I. Introduction
한류 문화를 통해 나타난 우리 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은 K-Culture의 명성과 함께 부상했으며, 우리의 전통문화는 국제화 시대에 경쟁력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시류와 함께 BTS나 블랙핑크와 같은 K-pop 가수의 무대의상으로 한복이 등장하고, 한류 연예인 과 한복 브랜드의 협업을 통해 진행된 ‘한복 웨이브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한복을 향한 관심은 점점 증가하 고 있다(Kim, 2022;Park & Rhee, 2023). 더불어 다양 한 분야에서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의 중요성 이 커지면서 한복 역시 대표적인 우리 문화 상징물로 선정되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한국적 이미지 사 업과 함께 국가 주도의 한복 문화정책을 시행하면서 한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한복문화정책의 도약기인 2016년부터 2020 년까지는 과거에 발의된 정책이나 법안에 따라 다양 한 사업과 콘텐츠가 진행되어 성과를 낸 시기로 ‘한복 의 날’, ‘한복문화주간’, ‘2020 한복문화 활성화 지원 사업’, 그리고 ‘2020 한복교복 보급 시범사업’ 등이 진행되었다(Lee & Kim, 2021).
한복 교복 보급사업은 한복근무복 도입 사업과 함 께 진행된 한복산업 활성화 전략 중 하나로 한복 착용 의 일상화와 생활화를 위한 수요층을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한복 디자인을 제시하고, 한복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21). 또한 우리 문화를 계승할 후속 세대에게 한복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선도하고 한복 과 친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한복 교 복이 지니는 가치는 상당하다.
교복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청소년기 학생들이 하 루의 상당 시간을 착용하는 의복으로 최근에는 생활 복과 같이 학교 생활 중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교 복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성장기에 있 는 학생들은 다양한 신체 변화를 겪기 때문에 자신의 체형에 맞는 편안한 교복을 필요로 한다. 이는 기존 교복의 경직된 실루엣을 벗어나 점차 편안함과 활동 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Choi, 2015).
일부 학교에서 1990년대 말 채택한 생활한복 교복 은 활동성과 편안함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생 활한복 교복이 지니는 문제점 혹은 실제 착용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 디자인 분석 등의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 생활한복 교복은 디자인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Youn & Moon, 2010). 양장교복을 착용하는 학생들을 대상 으로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사 대상 학생 400명 중 56.5% 의 학생이 생활한복 교복 착용에 대해 활동이 불편하 고 청소년 이미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반대 하였다(Lee, Jeon, & Yoo, 2008). 특히, 생활한복 교복 을 착용하는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는 생활한복 교복이 신체를 구속하지 않아 착용성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디자인 측면에서 는 전통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다 보니 청소년의 미적 감각이나 트렌드와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어 만족도가 낮았다(Kim & Han, 2005). 이와 같이 여러 선행연구 들은 제언을 통해 한복 교복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 하고 한복 교복의 활성화를 기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복 교복과 관련한 선행연구들 이 제안한 한복 교복의 개발 방향과 전략을 종합적으 로 검토하고 한복진흥센터에서 진행하는 한복 교복 보급사업이 제안한 교복의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를 통해 향후 한복 교복 디자인 개발의 방향성을 검토 하여 한복 교복의 대중화에 기여함은 물론, 좀더 다양 한 한복 교복 제품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축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Ⅱ. Literature Review
1.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Hanbok
우리나라의 전통 복식인 한복을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한복을 영감의 원천으로 삼아 디자인을 제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복의 전 반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현대 패션에 접목한 연구 (Choi, 2006;Lee, Kim, & Song; 2016, Yoon & Woo, 2011), 한복의 특정 요소를 현대화한 패션디자인 연구 (Kim, 2011;Park, 2021;Park & Shim, 2016), 웨딩드 레스나 항공사 유니폼과 같은 특정 복식을 디자인한 연구(Jeong, Park, & Min, 2012;Kwon & Park, 2006), 한복을 현대화한 특정 패션디자이너의 사례연구(Lee & Kim, 2018), 전통공예기법이나 문양을 활용한 디자 인 개발 연구(Hong, Kim, & Bae, 2020;Min & Suh, 2022) 등이다.
한복의 전반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현대 패션에 접 목한 Choi(2006)의 연구는 현대적 라이프 스타일에 적합한 전통복식의 미적 특성을 선별하고 문양, 의복 형태, 재료 등을 중심으로 디자인 응용 요소를 분류하 고 어떠한 분야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방향성을 논 하였다. Yoon and Woo(2011)도 한복의 일반적인 특 징을 선, 소재, 색채, 문양 및 장식으로 분석하고 현대 패션에 적용된 요소를 실루엣, 소재, 디테일로 분석하 였다. 이를 통해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복의 미적 요소를 반영하고, 전통복식과 서양복식을 절충한 디 자인을 개발해 실물 작품을 세 벌 제작하였다. 특히 현대인을 위한 기능성을 고려한 디자인 개발에 중점 을 두어 연구하였다. 생활한복을 문화관광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 Lee et al.(2016)은 전통 한복이 아닌 생활한복을 중심으로 형식적 특성을 선, 소재, 색상, 문양의 네 가지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 출하였다. 또한 실용성, 상징성, 독창성을 생활한복이 지닌 내용적 가치로 판단하여 이를 바탕으로 관광객 들에게 우리 민족의 전통미를 전달하고 독창성을 전 달할 수 있는 기념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상품을 개 발하였다.
한복의 특정 요소를 분석하여 현대 패션에 접목한 연구는 저고리나 배자와 같이 특정 아이템에 집중하 거나 한복의 다양한 형식적 요소 중 형태에 집중하여 논의한 연구 등이 있다. Park(2021)은 저고리를 한복 의 가장 기본이 되는 종류로 보고 저고리의 핵심 디자 인 요소를 깃, 고름, 동정의 디테일로 분석하여 이러한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가죽 소재를 활용한 현대패 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배자를 현대화한 Kim(2011) 의 연구는 배자가 지니는 현대적 가치를 분석하고 단 품 형태의 디자인 개발이 더 효율적이라는 분석을 통 해 배자를 현대화하는 데 주목하였다. 또한 배자는 고 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착용 중인 전통복식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정통성을 확보하였고, 다양하게 코디 하여 현대인의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아이템이라는 점 을 강조하였다. Park and Shim(2016)은 한복이 지닌 형태적 특성을 공간감으로 분석하고 인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섶과 무, 트임의 형태를 중요한 요소로 분석 하여 이를 현대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전체적으 로 슬림한 실루엣이나 여유를 주었고 사선의 네크라 인과 작은 고름을 통해 전통적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하의의 경우 자연스러운 주름을 통해 배기형 팬츠의 실루엣에 사폭 바지의 패턴을 반영한 디자인을 제시 하였다.
전통여성 복식의 특성을 웨딩드레스에 반영한 연 구도 있다(Kwon & Park, 2006). 혼례에 여성이 착용 했던 원삼, 활옷, 당의 등의 선, 색채, 문양, 소재를 분 석하여 웨딩드레스의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전통복식 이 지닌 자연친화적인 미와 주술적 상징미를 반영한 웨딩드레스를 제안하여 전통복식의 아름다움을 인식 하고 현대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항공사의 유니폼을 개발한 연구도 프린세스 라인을 당의의 곡선 을 활용하여 표현하거나, 치마나 바지의 형태미를 반 영한 디자인, 두루마기의 디자인을 적용한 코트, 내리 닫이치마의 실루엣을 활용한 앞치마 등 연꽃 문양과 오방색을 사용한 포인트를 통해 절제된 전통 미의식 을 바탕으로 현대화를 진행하였다(Jeong et al., 2012).
전통공예기법의 형태적 특징을 반영한 현대화된 한복을 디자인한 연구로는 나전과 한지 공예, 단청의 화문, 고궁의 창살문양을 활용한 연구 등이 있다. Min and Suh(2022)는 나전칠기를 연상하는 자수 기법이나 자개 비즈를 활용한 비딩, 한지 코사주 장식 등을 비 롯한 전통공예기법을 바탕으로 배자, 저고리, 무지기 치마, 도투락 댕기 등의 아이템의 디테일을 반영하여 무대의상을 개발하였다. Lee and Kim(2017)은 단청 의 전통 화문을 문양으로 전통한복의 외형을 단순화 한 스타일, 한복과 일상복을 혼용한 스타일, 일상복에 한복 요소를 더한 스타일의 현대패션의 디자인을 개 발하였다. 한복의 저고리와 치마, 철릭을 바탕으로 디 자인하거나, 깃와 말기 끈, 원삼의 형태적 요소 등을 반영하였다. Hong et al.(2020)은 창덕궁 희정당의 창 살문양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두루마기와 장옷, 답 호의 형태를 반영한 코트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 한복을 영감으로 현대화한 패션디 자인의 연구는 우리 전통 복식이 지닌 형태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 패션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전통복식의 형태 적 특성이 선, 색채, 소재, 문양으로 구분되어 그 특성 을 분석 및 활용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도 디자 인 특성 분석에 위 선행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진행 하였다.
2. School uniforms
교복은 학교에서 착용하는 학생의 공식적인 의복 으로 학생들이 단체 생활을 원만히 하고 학생이라는 신분에 대한 인식, 소속감, 그리고 유대감을 불러일으 키는 도구로 여겨진다(Kim & Lee, 2009). 청소년기에 있어서 의복은 또래집단과의 동조수단이며, 의복을 통한 자아정체성 표현의 수단으로 청소년기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낸다는 점에서 교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Kwon & Kim, 2016;Park, Lee, & Kang, 2014;Yang & Jeong, 2013). 교복과 관련한 선 행연구는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둔 연구와 청소년의 체형을 반영한 패턴 개발 연구, 그리고 교복 만족도 조사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교복 디자인 개발 연구는 색채를 중심으로 디자인 을 개발한 연구(Min, 2003), 포스트디지털 세대의 특 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한 연구(Mun & Na, 2012), 여고생의 교복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한 연 구(Yang & Jeong, 2013)와 이를 바탕으로 자극물을 제시하여 매력성, 단정성, 개성, 활동성의 요인을 분 석했으며 학생들은 매력성을 가장 높이 평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Yang & Jeong, 2016).
교복 만족도 조사 연구로 Mun and Na(2010)는 서 울시내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복 구매 행동 과 만족도 조사를 통해 남녀 학생 모두 상의의 어깨 맞음새를 중요시하며, 하의의 경우에는 남학생을 바 지통을 중요시하고 여학생은 엉덩이둘레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복의 만족도 요인은 심미성, 상징성, 기능성, 경제성으로 동작에 따른 기 능성과 경제성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여 교복이 착용 에 있어 불편한 점이 있으며 품질에 비해 가격이 적절 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가장 불편한 아이 템으로 남학생은 재킷, 여학생은 블라우스라고 응답 해 상의의 움직임에 대한 불편함이 가장 큰 것으로 확 인되었다. Choi and Son(2012)은 중고등학교 남학생 들이 교복을 변형하는 이유가 치수가 맞지 않거나 활 동하는 데 불편해서라는 답변을 통해 성장기 신체의 변화나 활동량의 증가로 인해 불만족이 늘어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여고생의 교복 만족도 조사를 진 행한 Kwon and Kim(2016)은 원피스형과 투피스형의 교복 만족도를 조사하여 치수적합성과 동작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원피스형 교복의 경우 손을 올리거나 앉 을 때 위로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 불편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교복 수선비율이 76.4%로 나타난 학생들이 교복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복 패턴 개발을 위한 체형 연구로는 교복의 맞음 새를 위한 연구가 다수 확인되었다. 사이즈코리아의 인체치수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남학생을 위 한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를 개발한 연구(Cha & Wee, 2020), 여중생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 에 신체적합성을 배려한 이상적인 교복 패턴 개발 연 구(Han & Choi, 2018), 가상 착의 시스템을 이용한 비 만 여중생을 위한 교복 원형 개발 연구(Lim, 2011), 여고생의 스커트 여유분, 주름분량, 길이에 따른 동작 기능성 조사를 통해 스커트 패턴을 제시한 연구(Jung & Kim, 2011) 등이 있다.
교복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해 교복에 있어 디자 인과 맞음새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도 한복 교복 개발의 방향성도 기존 교복 개발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복 교복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제언을 종합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 주도 한복교복 보급 사 업을 통해 제안한 교복의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여 한 복 교복 디자인 개발의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한복 교복의 디자인과 관련한 선행연 구의 종합적 결론과 제언은 무엇인가?
-
연구문제 2: 한복 교복 보급사업을 통해 제안한 교 복 디자인 사례의 특성은 무엇인가?
-
연구문제 3: 한복 교복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한복 교복 분석과 한복 교복 보급사업 에 나타난 디자인 분석을 종합하여 제 시할 수 있는 한복 교복의 디자인 개 발 방안은 무엇인가?
Ⅲ.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위에서 제시한 각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 절차는 다 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한복 교복의 디자인과 관련 한 선행연구의 고찰이다. 한복 교복, 한국적 디자인 교복, 생활한복 교복, 신한복 교복 등을 키워드로 Google Scholar를 통해 검색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 였다. 1998년에 처음으로 한복 교복과 관련한 연구가 등장한 이래로 2000년대 초반에 관련 선행 연구가 다 수 이루어진 것을 감안하여, 연구 발표 기간은 1998년 이후로 선정하여 검색하였다. 디자인과 관련한 내용 이 있는 선행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에서 제안한 한복 교복의 디자인 개발 방향과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국적 문양을 활용한 직 물 개발을 교복에 적용한 연구, 학생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한복 교복 패턴 디자 인 연구 등을 포함한 총 16편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분 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디자인 제언 방향은 선, 색채, 소재, 문양으로 나누어 종합하였다.
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한복 진흥센터가 진행하고 있는 한복 교복 보급사업을 통 해 개발된 한복 교복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디 자인 분석은 2020 한복교복 디자인개발 도록(HAC, 2021)에 실린 2019년 개발 디자인과 2020년 개발 디 자인, 그리고 2022 한복교복 디자인개발 도록(HAC, 2022)에 실린 2022년 개발 디자인을 활용하였다. 두 명의 연구자가 각각 품목, 선, 색채, 소재, 문양 등의 기준을 바탕으로 품목별 디자인을 분석했으며 그 결 과를 대조 확인하여 교차검증을 통한 분석 결과의 타 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기준은 앞서 살펴본 전통복 식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한 선행연구의 기준에 따랐 다. 분석한 아이템의 수는 총 172개로 2019년 개발 디 자인 29개, 2020년 개발 디자인 54개, 2022년 개발 디 자인 89개이다. 품목에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했으며 공용복도 있었다. 또한, 일반 적인 정장 스타일의 겨울옷과 여름옷을 비롯하여 캐 주얼 스타일의 생활복과 체육복도 분석에 포함하였 다. 참고로 2021년에는 한복근무복 개발 사업이 진행 되어 교복 디자인 개발은 진행된 바가 없다.
연구문제 3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 1과 2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한복 교복 디자인 개발의 보완점과 방안을 제시 하였다.
Ⅳ. Results
1. Design suggestions from previous research on Hanbok school uniforms
한복 교복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디자인, 활동 성, 만족도 등에 대해 진행되었다. 선행연구 16편을 통해 개발된 한복 교복 디자인은 총 50개로 상의 29 개, 하의 21개가 개발되었다. 상의는 재킷이 26개로 개발 디자인의 대부분이었으며 조끼와 하복용 블라우 스가 개발되었다. 하의는 바지 8개와 치마 13개가 개 발되었다.
한복 교복의 디자인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선과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면, 남자 고등학생의 한복 교복 패턴 개발을 위해 디자인 선호도에 조사한 Kim and Han(2005)은 생활한복 교복 재킷이 지니고 있는 과도 한 여유분과 바지의 실루엣 및 디자인에 대한 불만족 을 확인하여 현대적 실루엣에 정통성이 가미된 디자 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활한복 교복의 형태를 분석한 Lee, Jeon, and Chung(2008)의 연구결 과에서 한복의 심미적 특성과 양복의 기능적 측면이 적절히 조화된 디자인의 필요성이 논의된 것과 유사 하다. Choi and Cho(1999)의 연구에서도 전통한복보 다 슬림한 실루엣을 선호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하의 의 길이를 짧게 하고 폭을 줄여 H라인이나 A라인으 로 디자인하기 원했으며, 남학생의 경우 H라인의 일 자바지를 선호했다(Yoo & Kweon, 2006a). 또한, 한 복을 응용한 교복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한 Yi(2022)는 깃과 동정, 고름, 둥근 어깨, 넉넉한 소매 와 풍성한 치마를 한복의 특징으로 도출하여 한복 고 유의 선을 교복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3D 가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해 생활한복 모티브 교복 디자인을 제안한 Im and Lee(2022)의 연구에서도 양 장식 교복의 실루엣에 전통적인 한복의 디테일 요소 를 조화시킨 스타일이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가장 많이 선호되었으며, 생활한복 교복을 양장식 교복과 차별화 하기 위해서는 전통문화 계승에 주안점을 두 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개발한 디자인 중 몸 판 여유분과 맞음새를 조절할 수 있는 디테일, 그리고 셋인슬리브로 구성된 상의와 사이드 플리츠 스커트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색과 관련해서는 부드럽고 온화한 느낌(Choi & Cho, 1999), 한복 배색의 적극적 활용(Yi, 2022), 기존 교복에서 주로 사용하는 짙은 청색이나 갈색과 더불 어 한복 느낌이 나는 황색과 적색계열의 활용(Kim, 2009), 빛바랜듯한 색이나 소박하고 자연적인 색채를 사용하였다(Lee, Jeon, & Chung, 2008). 전체적으로 상의는 흰색, 하의는 푸른색 계열이나 검정색을 선호 했으며(Yoo & Kweon, 2006a),
소재에 대한 디자인 제안으로는 천연소재가 한복 교복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나 천연소재의 비싼 가 격과 세탁의 불편함에 우려를 표했다(Yi, 2022;Yoo & Kweon, 2006a). 실제로 생활한복 교복에 가장 많이 사용된 소재는 합성섬유이거나 천연섬유와 함성섬유 의 혼방이 주를 이루었으며 폴리에스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교복 세탁의 용이성 및 기능성과 관련이 깊다(Lee, Jeon, & Chung, 2008).
문양에 대한 연구로 Youn and Moon(2010)은 학과 소나무, 용과 봉황이라는 두 이미지를 활용해 전통 이 미지를 현대적으로 인식할수록 청소년들의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여, 전통문양의 직접적인 사용보 다는 디테일에 도입하여 절제미와 고급미를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였다. 전통문양이 지니고 있는 장식 적이고 화려한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디자인에 대한 제언 외에도 한복 교복이 지니는 편 안함과 활동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한복 교복 을 착용하는 고등학생들의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를 측정해 동작적합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한 Yoo and Kweon(2006b)의 연구는 바로서기와 앞으로 90도 굽힌 자세 등을 비롯해 총 9개 동작에 대한 편안도를 측정하였다. 전체적으로 양장 교복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생활한복 교복의 활동성을 확인하였고, 디자인 상 한복보다 서양식 교복과 유사한 여학생의 교복이 남학생의 교복보다 편안함이 낮게 측정되어 여학생 교복의 디자인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Yoo and Kweon(2008)은 4가지 다양한 소재로 하복을 제작하 여 하복의 동작기능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통해 전체 적인 동작기능성 점수가 보통 이상의 점수를 보여 대 체로 생활한복 교복을 착장할 때 형성되는 의복기후, 주관적 감각 그리고 동작기능성이 양호함을 확인하였 다. Hong and Jang(2005)은 여학생들이 디자인에 대 한 불만족이 가장 높으며 착용 중인 생활한복 교복이 치마길이가 너무 길어 걸어다닐 때 불편함을 느꼈고,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 팔을 올릴 때 불편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치마길이와 저고리길이를 변경한 패턴을 개 발하였다. 치마를 전체 4cm 줄였으며 저고리 길이를 허리둘레선까지 내리고 소매 패턴을 셔츠소매로 수 정, 지퍼와 단추를 사용해 활용도를 높였다.
한복교복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연구로 Yang, Lee, and Hwang(2005)은 생활한복 교복을 착 용하는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만족도를 저해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만족 요인은 외관성 이 성별의 차이 없이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를 저해시 키는 디자인 요소로는 여학생의 경우 하의 길이, 남학 생의 경우 하의 폭이 가장 문제되는 요인으로 꼽았다. 여학생들은 하의 길이가 너무 길어 하의 폭이 좁지 않 음에도 걷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어렵다고 지 적했으며, 남학생들은 바지의 폭이 지나치게 넓어 활 동하기 불편하며, 또래가 착용하는 양장교복 바지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것과 비교되어 불쾌감을 느낀다 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착용 전후 학생들의 호의 도를 분석하였는데 한복 교복을 착용한 후에 교복에 대한 호의도가 더 떨어졌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부정적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Yoo and Kweon(2006a)은 남녀 고등학생의 인식과 만족도 조 사를 통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생활한복에 대한 인 식도가 긍정적이며, 전체적으로 중간 이하의 만족도 를 나타냈다. 현재 착용하는 생활한복 교복에 대해 가 격개선, 디자인, 착용감, 소재 등 모든 문항에서 높은 개선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바지의 폭과 스커트의 길 이, 소매길이와 폭에 대한 변형 요구가 높았다.
이 외에도 Yi(2022)는 한복과 생활한복에 대한 전 반적인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응답을 통해 학생들이 지 니고 있는 한복에 대한 호의가 호기심이나 전통에 대 한 환상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통에 대해 일상 속에서 지속적 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의 전통에 대 한 단편적인 시각이나 태도를 지양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여기며 한복 교복에 대한 필요성을 주 장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한복 교복의 디자인 방안을 종합하면 <Table 1>과 같다. 착용자들 은 한복의 곡선보다 양복의 직선적 실루엣을 선호하 고, 한복의 부분적인 직선과 곡선은 디테일과 같은 장 식선으로 활용하기를 바랐다. 실루엣은 양복과 같이 직선적이거나 인체를 적당히 따르는 스타일을 선호하 여, 남학생의 바지는 스트레이트 실루엣, 여학생의 치 마는 길이가 무릎까지 오는 H실루엣이나 A실루엣을 선호하였다. 색채는 하복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 는 색상을 주로 활용하여 상의는 밝은 흰색, 하의는 청색 계열이나 검정을 선호하였으며, 갈색, 황색, 적 색 등 전통색상의 활용도 고려하였다. 또한, 일반적으 로 한복의 상하의 색상을 조합할 때 사용하는 배색조 화를 활용할 것을 논의하기도 하였다. 재질은 상의와 하의 모두 기능성을 고려하여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 와 천연섬유인 면의 혼방소재를 가장 우선에 두었고 순면으로 제작되는 것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순 면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한복이 지니는 전통적 이미 지를 표현하는 데 천연섬유가 더 적합하다는 의견이 다. 무늬는 전통문양을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현대 적 해석을 통해 모티브를 반복하는 디자인 전개 방법 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양복 스타일과의 융합을 통 해 현대적 미감을 반영한 교복 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2. Design analysis of Hanbok school uniform distribution project
한복 교복 보급 사업은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의 업무협약 체결에 의해 운영되어 2019년부 터 ‘한복교복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한복교복 디자인 개 발’을 통해 재킷, 셔츠, 바지와 치마 등으로 구성된 일 반형 한복 교복과 점퍼, 티셔츠, 운동복 바지 등으로 구성된 생활형 한복 교복을 개발하였다. 한복 교복 보 급 사업을 통해 한복 교복을 도입한 학교는 2020년 15개교, 2021년 19개교, 2022년 12개교로 총 46개 학 교가 한복 교복을 채택하여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한 복 교복 경험을 제공하여 한복과 우리 고유 전통문화 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자긍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HAC, 2021).
1) Item analysis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한복 교복은 총 172개 아이템 으로 2019년과 2020년에 디자인한 것으로 “2020 한 복 교복 디자인개발 도록”에 실린 총 83개의 아이템 과 “2022 한복 교복 디자인개발 도록”에 실린 89개의 아이템이다. 아이템은 성별, 계절, 활동성, 디자인 개 발 주제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Table 2> 와 같다.
성별에 따른 분석으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모두 남녀 교복 개발이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졌으 나 2019년에 비해 2020년과 2022년에 개발된 공용 아 이템의 수가 상당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 발된 교복 디자인의 활동성과도 관련이 있는데, 2020 년에 개발된 점퍼, 티셔츠, 운동복 바지나 2022년 개 발 아이템 중 후드형 집업이나 셔츠, 조끼와 같은 생 활형 한복 교복의 수가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2022년에는 일반형 교복의 수보다 생활형 교복의 수 가 훨씬 증가하였다. 생활형 한복 교복의 경우, 남녀 가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유니섹스 스타일이 다수 를 차지하였다. 성별 구분이 명확한 일반형 한복 교복 은 남학생의 경우 총 43개로 재킷이 9개, 바지가 16 개, 셔츠가 18개가 개발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총 52 개로 재킷이 15개, 바지 7개, 셔츠 15개, 원피스 6개, 치마 9개가 개발되었다. 성차에 따른 일반형 교복의 수가 여학생이 다소 많은 이유는 원피스나 스커트 같 은 품목의 다양화를 이유로 꼽을 수 있다. 2020년에 개발된 여학생의 바지는 총 1개뿐이었으나 치마바지 스타일이었으며, 2022년에는 4개 중 3개가 치마바지 스타일로 활동성을 강조하는 스타일이 일반형 교복에 서도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활동성과 관련하여 생활형 한복 교복 디자인 개발 을 통해 점퍼, 맨투맨티, 티셔츠, 후드티, 반바지 등의 아이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생활형 한복 교복 아이 템은 기존 교복의 만족도 조사에서 학생들이 응답한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복이 지니는 동작적합 성에 대한 낮은 점수와 활동하기에 불편하다는 의견 (Choi & Son, 2012;Mun & Na, 2010), 생활한복 교 복에서도 제시되었던 활동성에 대한 불만족 의견 (Hong & Jang, 2005)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아이템으로 신체활동이 많은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적합한 개선안 이라 할 수 있다.
또한, 2019년과 달리 2020년과 2022년 개발 한복 교복의 경우 주제에 따른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2020 년은 한복이 지니는 디테일을 디자인 주제로 삼아 색 동, 당코깃, 돌림고름으로 제시되어 디자인의 세부 디 테일에 반영하였고, 2022년 개발 디자인의 경우 두루 마기, 마고자, 단령, 학창의, 심의, 배자, 동다리 등 한 복 아이템을 주제로 삼아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2019 년 개발 디자인의 경우 개발 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 하지 않았으나 한복이 지니고 있는 목판깃, 곧은깃, 사폭 변형, 색동 등의 특성이 디테일로 다양하게 제시 되었다.
2) Design analysis
한복 교복 디자인의 분석은 전통 한복을 영감으로 현대화한 패션디자인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 로 선, 색채, 소재, 문양으로 분석하였다. 한복 교복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대한 분석 내용은 <Table 3>과 같다.
(1) Lines
분석 결과 구성선에 있어 한복의 비대칭적 선의 특 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상의에서는 여밈 방 식에서 한복 저고리의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목판깃 (Fig. 1), 당코깃(Fig. 2), 칼깃, 직령 칼라, V자형 네크 라인 등이 중요 특징이다. 전통 한복 저고리의 깃과 섶, 동정의 디테일을 반영하였다. 하의에서는 사폭바 지의 패턴을 변형하여 만든 사폭변형바지에서 비대칭 균형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2022년 개발된 단령과 심 의를 주제로 한 일부 아이템에서는 좌우대칭의 맞깃 (Fig. 3)의 형태가 특징으로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장식선의 경우에 상의는 당코깃이나 목판깃 의 네크라인에서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 전통한복에서 소매의 배래에서 나타나는 곡선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학창의의 선 장식, 색동 무늬의 세로선 장식, 색 동파이핑, 가슴선을 중심으로 한 돌림고름 장식, 당코 깃 라인을 따라 파이핑 한 앞 중심 장식, 치마바지와 치마의 주름이 사선으로 나타난 점 등을 확인할 수 있 다. 이는 전통 한복에서 나타나는 직선, 곡선, 사선이 조화롭게 나타나는 특징(Kwon & Park, 2006)과 일맥 상통한다 할 수 있다.
실루엣은 H, A, 오벌형이 주를 이루었다. 셔츠와 재킷은 주로 H형 실루엣을 나타내면서도 뒷판에 주름 을 잡는 등 넉넉한 품으로 여유를 주었고 스커트와 원 피스의 경우에는 A형 실루엣을 보였다. 이는 스커트 와 원피스가 주름을 특징으로 지녀 밑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보였기 때문이다. 주름은 한복치마 에서도 중요한 구성적 특성으로 플리츠, 개더, 셔링 등의 특성이 드러났다. 특히 생활복 교복의 치마에서 는 허리의 밴드 아래로 잡히는 자연스러운 주름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더했다. 옆선에 전통한복 특징인 삼 각무를 덧댄 티셔츠(Fig. 4), 옆트임과 뒤중심에 주름 을 댄 셔츠의 경우에도 전체적인 실루엣을 A형이라 볼 수 있다. 또 생활형 한복교복의 점퍼(Fig. 5), 맨투 맨티, 후드티와 같은 캐주얼 스타일 교복들을 배럴형 실루엣으로 신체에 충분한 여유와 자유로운 활동성을 보장하였다.
(2) Colors
디자인에 활용된 주색채는 다른 교복에서도 볼 수 있는 그레이, 네이비, 화이트, 베이지 등의 색상이다 (Fig. 6, 7, and 8). 겨울 일반형 교복의 재킷과 바지, 스커트에서는 어두운 색을 주로 사용했으며 일반적인 교복과 마찬가지로 블라우스는 화이트(Fig. 6)가 주를 이루었다. 한복이 지니는 전통적인 특성을 형태나 디 테일에 적용하고 색채에서는 현대화된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두루마기를 영감으로 제작된 패딩 재킷의 경우(Fig. 7) 짙은 재색이 사용되었는데 전통 적으로 소색과 같은 밝은 색채가 주로 사용되었던 것 에 비해 대비되는 특성이다. 이는 개화기 등장한 흑단 령과 유사한 색채로 갑신의제개혁 이후 서양복의 특성 이 도입된 내용이 반영되었다 볼 수 있다(Lee, 2009). 그러나 장식에 활용된 보조색으로는 옥색, 자주, 청록 과 오방색 등을 활용하여 포인트를 주어 강조하였다 (Fig. 9). 이는 전통적인 한국적 이미지를 디테일을 통 해 표현하려는 디자인 의도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연 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자연색도 많이 사용되었다. 나무와 흙, 하늘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색채의 사용 을 통해 자연에서 얻은 옷감이나 염료를 사용했던 자 연친화적인 전통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려 하였다(Fig. 10).
(3) Fabrics
교복은 학생들이 학교생활 내내 입어야 하며 자주 구매할 경우 경제적 부담이 큰 제품이다. 이에 내구성 도 중요하고 학생의 활동성을 보장하고 품질과 가격 을 모두 만족시켜 경제성도 갖춰야 한다. 그러나 견이 나 마와 같은 천연소재는 값도 비싸고 관리가 쉽지 않 아 교복 소재로는 적합하지 않다. 전통한복을 현대화 한 제품들도 세탁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소재를 선호하고 과거에는 한정적이었던 소재 선택의 폭을 넓혀 활용하였다(Lee et al., 2016). 한복 교복 개발에 사용된 소재는 면, 폴리에스터, 모, 레이온 등의 혼방 소재로 재킷과 바지, 치마 등에는 모와 폴리에스터 혼 방을 사용하였고 셔츠에는 폴리에스터와 레이온 혼방 소재나 스판이 추가된 소재가 쓰였다. 생활복에는 폴 리에스터 100% 소재와 폴레이스터와 스판 혼방,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 소재가 주를 이루었다. 전반적으로 폴리에스터 섬유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학생들이 장 시간 착용하고 활동해야 하는 옷으로 구김이 덜 가고 세탁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 개발된 디자 인 중 색동을 주제로 진행한 교복의 경우 셔츠에 한하 여 진주실크와 협업하여 개발한 소재를 사용하여 흡 습성과 착용감을 높였다(Fig. 11). 당코깃을 주제로 한 여학생의 겨울용 재킷에서 양단 소재를 활용해 파이 핑하여 한복의 특징을 전달하였다(Fig. 12). 2022년에 개발된 디자인에서는 누빔을 특성으로 한 아이템이 일부 개발되었고(Fig. 13), 생활복에서는 플리스 소재 를 사용한 배자 디자인을 통해 현대화된 감각과 실용 성을 더했다(Fig. 14).
(4) Patterns
전통적으로 문양은 의복에 더해져 아름다움을 돋 보이게 하거나 사회적 지위나 권력을 상징하기도 하 고 원하는 바를 나타내는 염원의 의미를 지녔다. 이러 한 문양은 현대화되는 과정에서 전통적 이미지를 강 조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단순히 조형적 특성을 지닌 것이 아닌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과 가치가 내재 해 있어 상징성과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수단 이라 할 수 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과거에도 한 복에 주로 사용되었던 문양인 색동문양(Fig. 15), 구름 문양(Fig. 16), 오방색의 체크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 석하여 활용하였으며(Fig. 17 and 18), 2022년에는 주 역에 나타난 64괘의 특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포인트로 활용하였다(Fig. 19). 주역은 자연과 인간의 존재 양상과 모든 변화의 원리를 상징하는 유교의 개 념으로 한복 교복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중천건’과 땅 을 뜻하는 ‘중지곤’을 변형하여 하늘과 땅의 전통적인 철학을 담아냈다.
3. Comprehensive analysis
한복 교복의 디자인 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의 연 구결과와 한복진흥센터의 한복교복 디자인개발 사례 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 디자인 제언 을 종합한 <Table 1>에 따르면, 전체적인 실루엣은 양 장 교복의 스타일을 따르나 디테일의 요소에 전통적 인 한복 스타일을 조화롭게 배치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실제 개발된 디자인은 양장 교복 실루엣을 기본으로 하며 바지의 앞중심 지퍼나 자켓의 스냅단 추, 히든단추와 같이 일상복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양복의 요소들이 확인되었다. 특히 교복 셔츠의 경우, 다트나 요크, 커프스와 같은 요소들이 대체적으로 양 복 스타일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나 네크라인의 형태 나 문양 등의 요소에서 한복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 다. 2022년에 개발된 두루마기 패딩 재킷의 경우에도 인체에 잘 맞는 H라인 실루엣, 뒷 트임이나 셋인 슬리 브 등은 양복의 형태를 따르고 선행연구의 제언처럼 여유분이 지나치지 않은 슬림한 스타일의 디자인이나 네크라인에 직령의 목판깃과 동정을 활용하여 한복 교복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한복의 특성을 살리기 위 해 디테일에 있어 한복의 장식선이나 구성선 활용이 필요하다는 제언과 비교하면, 실제로 개발된 디자인 에서 돌립고름, 파이핑, 동정이나 깃의 현대화 된 특 징으로 보여지는 네크라인 등을 통해 장신선의 활용 을 통한 한복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통한복과 달리 인체의 실루엣을 살리는 형 태인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논의와 남학생 바지의 스 트레이트 실루엣, 여학생 하의의 H형이나 A형 실루 엣에 대한 요구가 분석되었다. 실제 개발된 디자인 역 시 전반적으로 H형 실루엣을 나타내고 여학생의 스커 트와 원피스가 A형 실루엣을 보인다는 점에서 선행연 구의 내용에 부합한다. 특히, 선행연구의 분석에서 여 학생의 치마길이와 남학생의 바지통에 대한 디자인 제언이 비교적 잘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치마길이 는 개발된 디자인의 치마길이는 대체로 무릎선을 중 심으로 개발되어 기존 생활한복 교복의 지나치게 긴 치마길이로 인한 불편함을 없앴다. 또, 기존 한복 교 복의 남학생 바지가 지나치게 통이 넓어 불편하다는 의견을 개선하기 위해 한복 구성의 특징을 따르나 바 지통을 좁게 디자인 한 결과물이 많이 도출되었다. 또 한 심미적 차원에서는 전통한복의 이미지를 따르고 기능적 차원에서는 양복의 특성을 지닌 요소들의 조 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실제 개발된 교복들이 전반적으로 양복 스타일의 의복구성을 따랐으나 인체 에 꼭 맞는 양복의 특징과 한복이 지닌 풍성하고 여유 있는 실루엣을 상호 보완한 스타일이 제안되었다. 무 와 액주름을 통한 상체의 여유분이나 밑위 길이가 긴 바지, 대님장식의 간소화, 허리누빔을 활용한 여유분 활용 등이 그것이다. 또한, 2022년 개발 디자인에서는 여학생의 치마바지 스타일이 많이 등장하였다. 주름 을 풍성하게 잡아 A라인 실루엣으로 보이기도 하나 바지의 형태라는 점에서 충분한 여유분을 형성해 배 럴 실루엣이 나타나기도 한다. 치마형 바지는 2019년 개발 디자인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2020년 개발 디자인에서는 1개, 2022년 개발 디자인에서는 3개가 등장하여 바지 형태로 활동성을 보장하고 외적인 디 자인은 치마로 보여지게 하여 여학생의 치마에 대한 선호를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흰색, 청색, 흑색, 황색, 적색 등의 전통색상의 사용이 분석되었고, 전통 한복의 상의와 하의의 조화로운 배색을 주장하였다. 각 선행연구들이 양복 스타일의 교복에 대한 연구를 주로 진행하여 색상 사용이 다채롭지 못했으나 개발 사례에서는 생활복까지 다양한 스타일이 전개되어 색 채 또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전통색상과 관련해서 는 실제로 주조색으로 흰색, 흑색, 청색 등은 사용되 었으며 황색과 적색은 보조색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 다. 특히 전통색채로 알려진 오방색이 디테일로 활용 되어 교복이 지닌 한복의 특징을 잘 표현하였다. 생활 복에서는 천청색, 분홍색, 두록색, 회색 등 다양한 색 상을 활용해 한복 전통색상의 다양한 변주를 도모하 였다. 이처럼 전통색상으로 알려진 오방색뿐만 아니 라 다양한 색의 변화를 통해 교복의 특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색채 활용에 대한 기대가 크 다고 할 수 있겠다. 다양한 전통문화유산의 색채를 수 집하여 교복에 활용하거나 현대적 분위기의 색조합을 한복 교복에 반영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소재의 경우, 천연소재인 순면의 사용이나 폴리에 스터를 활용한 혼방소재의 사용이 요구되었는데 이는 내구성과 활동성이 좋아야 하는 교복의 특성과 경제 적인 요인도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 개발된 디자인은 세탁과 관리에 용이한 폴리에스터와 모, 폴 리에스터와 레이온 등의 혼방 소재가 주로 사용되었 을 뿐만 아니라 진주실크와 협업해 개발된 소재나 양 단이 부분적으로 사용되어 전통한복의 특성을 드러냈 다. 또, 동복에 활용된 누빔 기법을 활용해 전통한복 의 소재 특성을 반영하였다.
문양은 전통문양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모티브의 반복으로 전통적 미의식을 드러내는 것이 현대화된 한복 교복에 더 적합하다고 보았다. 실제로 개발된 디 자인에서 색동문양, 구름문양, 오방색 문양, 괘를 패 턴화한 그래픽이 디테일로 활용되어 주머니나 목둘레 에 파이핑 되거나 깃과 소매 안단, 후드의 안감에 무 늬로 일부 활용되었다. 특히 체크 무늬로 디자인된 오 방색 문양과 괘 패턴은 현대적 미감을 표현했다 할 수 있다.
이같이 실제 개발된 한복교복은 선행연구의 제안 점에 대해 대체로 부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 다. 그러나 남학생 바지 디자인의 경우, 선행연구의 분석에서는 한복형 실루엣에 대한 불만족이 상당하여 스트레이트 실루엣과 양복 스타일의 의복구성 방법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였으나 한복교복 보급사업을 통해 개발된 디자인의 경우 한복 구성의 특징을 적극적으 로 반영하려는 노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대님 장 식, 배기바지 스타일의 엉덩이 여유분, 바지밑단의 지 퍼 활용, 바지 밑단의 스트링 사용, 사폭바지 변형 디 자인 등을 활용한 바지 디자인이 그 예이다.
더불어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일반교복의 디자인에 대해서만 논의하였으나 실제 개발된 한복 교복 디자 인에는 생활복 교복 디자인이 다수 개발되었다. 과거 체육복으로만 입던 단체복을 벗어나 반바지, 티셔츠, 후드티, 맨투맨티 등의 다양한 아이템과 같은 생활형 한복 교복을 개발함으로써 학생들의 활동성을 보장하 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생활형 한복 교복은 2019년 개발디자인에서는 2개로 전체 디자인 개발 수에 미치 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2020년 개발디자인에서는 19개, 2022년 개발디자인에서는 55개까지 그 수가 확 대되어 최근 교복 개발에 있어 생활형 교복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코로나 이후 학생들 이 일반형 교복보다 세탁이나 위생관리가 용이한 생 활복을 입는 것을 허락한 학교가 많아진 것도 그 배경 이라 할 수 있다(Kim, 2023). 특히 이러한 생활형 교 복은 활동성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으 로 배럴형 실루엣을 나타내 일반형 교복 디자인을 위 한 제언을 적용하여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Ⅴ. Conclusions and Discussion
교복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매일 입고 활동하는 옷 으로 학생의 학교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교복을 한복으로 제공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한복경험 의 기회를 늘리고 한복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을 높이는 일은 전 통문화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 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복 교복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복 교복의 방향성을 확인하고 2019년부 터 2022년까지 진행한 한복진흥센터의 한복 교복 디 자인개발 사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도출한 한복 교복의 디 자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형태나 색 등의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는 양복 형태의 교복 디자인을 바탕으로 디테일을 한국적 디자인을 활용하기를 선호 하였다. 전체적으로 인체의 형태가 잘 드러나도록 옷 의 여유분이 크지 않은 디자인을 선호했으며 여학생 의 스커트의 경우에는 H형이나 A형 실루엣을 선호하 고, 남학생의 경우 일자바지 스타일의 디자인을 선호 했다. 기존 생활한복 교복이 지니는 단점으로 지나치 게 긴 치마길이와 너무 넓은 바지통이 지적되었다. 색 채는 흰색, 검정, 청색 등과 오방색과 같이 한복에 자 주 쓰이는 배색을 제언했으며, 소재는 천연소재와 혼 방소재, 문양은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무늬를 반복적 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한복진흥센터가 제안한 디자인은 총 172개의 아이템으로 양복 실루엣을 바탕으로 한복의 장식적인 디테일을 활용하였다. 전통색동 문양, 당코깃 형태, 돌림고름 형태 등이 부분적인 장식으로 활용되어 한 복 디자인의 비대칭적 여밈, 섶, 고름, 깃, 무 등의 특 징을 확인하였다. 양복과 한복의 실루엣을 조화시켜 일상복의 실루엣과 유사하나 활동성을 보장하였다. 전통색채나 전통문양은 디테일로 활용되었으며, 문양 은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 재는 세탁과 관리에 용이한 혼방 소재가 주로 사용되 었으나 진주실크 소재의 개발, 양단 소재 활용, 누빔 등을 통해 전통소재가 부분적으로 활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앞선 두 연구문제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한 결과 한복 교복 디자인개발 사업의 내용은 기존 선행 연구의 제언점과 대부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양복을 중심으로 한복적 디테일을 가미한 개발 아 이템들은 디자인의 선, 색채, 소재, 문양의 요소들이 전통한복을 현대화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선행연구에 서 제언하는 바와도 일맥상통한다. 후드티나 점퍼, 맨 투맨티와 같이 생활형 한복에서 나타나는 배럴형 실 루엣은 선행연구의 디자인 제언에 부합하지 않으나 생활복이라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이해가 가능하다. 또한, 여학생의 치마에 있어 치마형 바지의 개발은 선 행연구에서 조사한 디자인들이 지니는 문제점을 개선 한 새로운 아이템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소재 측면 에서는 폴리에스터와 모나 면의 혼방 소재를 활용하 여 장시간 착용한 채 활동해야 하는 교복의 특성을 고 려하여 구김이 덜 가고 쉽게 세탁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플리스, 누비, 양단, 진주실크 등 다양한 소재 가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었다. 전통소재나 기법을 부 분적으로 활용하여 개발하거나 다양한 신소재를 교복 디자인에 적용하는 등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
한국적 독창성을 살리며 시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 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방안으로 전통복식을 활용한 교복디자인 개발은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앞으 로 한복의 현대화와 대중화를 위해 전통한복을 현대 화하는 과정에서 한복 교복이 긍정적인 사례로서 그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현재 한복교복 보급 사업을 통해 46개 학교의 도입 사례를 통해 색채의 조합, 디 테일의 구성, 소재의 선택 등에 대한 다양한 검토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학생들의 교복 만족도 및 한복 교복 경험을 통해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을 조사하 여 교복 디자인 개발에 방향성을 새롭게 제시할 수 있 을 것이다. 더불어, 추가 디자인 개발을 위해 전통 문 양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모티브 개발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