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1 No.6 pp.806-82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3.31.6.806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 in Feng Chen Wang’s Chinese fashion collection

Anna Ren, Younhee Lee*
Doctoral Course,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September 19, 2023 November 17, 2023 December 1, 2023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fashion designer Feng Chen Wang and interpret their implicit meaning from a neo-deconstruction perspective. A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utlined the development of deconstruction and neo-deconstruction, with neo-deconstruction’s aesthetic features termed ‘traditional fusion’, ‘positive playfulness’, ‘open communication’, and ‘multiple inclusiveness’. These features informed an analysis of Feng Chen Wang’s fashion design. Four key findings emerged. First, ‘traditional fusion’ combines traditional Chinese colors, items, handicrafts, and patterns with modern design to break down boundaries between past and modern, tradition and fashion. Second, ‘positive playfulness’ promotes creativity and fun, using bright colors, exaggerated accessories, and playing withthe composition of traditional clothes to create a positive atmosphere. Third, ‘open communication’ emphasizes design that combines practicality and creativity in response to consumer needs, incorporating the thoughts arising from individual experiences and interest in social phenomena. Fourth, ‘multiple inclusiveness’ breaks down boundaries of sexuality, hierarchy, and body shape, embracing various ideas of beauty and respecting uniqueness through design that are seen as available to all. Using a neo-deconstruction perspective, Feng Chen Wang provides novel product planning ideas for Chinese fashion brands and reflects the values and meaning of modern design pursued by contemporary Chinese designers.



펑첸왕 중국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신-해체주의 특성

임 안 나,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박사과정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해체주의는 모더니즘의 정 통 원칙과 표준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모더니즘의 어휘를 운용하며, 기존 어휘 간의 관계를 뒤바뀌고 재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해체주의는 전통적인 미 학, 역학, 기능 등을 부정함으로써 새로운 역사를 만 들었으며, 21세기 다양성을 존중하는 포용성의 시대 를 맞이하여 신-해체주의라는 용어로 대변되고 있다.

    신-해체주의는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된 다양성에 대한 관용, 사회문제로 나타나는 불안을 흥미와 재미 로 탈피하고픈 욕구와 함께 나타났다. 마르케스 알메 이다(Marque’s Almeida), 와이 프로젝트(Y/Project), 자크뮈스(Jacquemus), 베트멍(Vetements)과 같은 패 션 브랜드는 MZ시대의 문화를 대변하며, 다양하고 포용성을 내포하는 신-해체주의 디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Yoo & Lee, 2021). 해체주의 패션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 배경과 대중적 태도의 변화와 함께 기존 시대상을 반영하며 신-해체 주의로 등장하였다(Wu, 2021).

    신-해체주의는 2014년 베트멍의 디자이너 뎀나 바 잘리아(Demna Gvasalia)의 등장과 함께 기존 해체주 의 패션의 표현적 특징과 구성 원리 등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Kim & Ha, 2016;Lee, 2019) 패션계의 새로 운 사조로 ‘신-해체주의’라고 정의되었다. Kim and Ha(2016)의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신-해체주의’라 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등장 배경을 고찰하여 자크 뮈스, 마르케스 알메이다, 베트멍의 컬렉션을 통해 신 -해체주의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여 신-해체주의 패션 디자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Kim and Kim (2017)은 긍정적인 구조주의 측면에서 신-해체주의를 설명하였으며, Kim(2019)은 로우에(Loewe)의 신-해 체주의 디자인 특성을 통해 럭셔리 브랜드의 새로운 가치 추구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Park and Kim (2020)은 신-해체주의를 바탕으로 3D프린팅과 데님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Yoo and Lee(2021), Wu(2021)의 연구에서는 디자이너 브랜드별 컬렉션을 통해 신-해체주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신-해체주의 패션디자인 성향 을 보이는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 등의 패션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 신-해체주 의 패션에 대한 연구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신-해체주 의 패션을 포괄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신-해체 주의 특성을 지닌 브랜드에 대한 연구와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최근 중국의 패션 산업도 국가 경쟁력이 점차 향상되면서 문화를 포함 한 다양성과 패션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중국 의 다양한 브랜드들이 국제적으로 시장 진출을 확대 하면서 중국 디자이너들도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 했으며, 이에 중국 디자이너들의 신-해체주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의 신세대 디자이너로 주목받고 있는 펑첸왕 은 패션 전문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Instagram) 등을 통하여 해체주의 키워드로 언급되고 있는 디자이너이다. 펑첸왕은 2015년 런던 왕립예술 대학을 졸업한 중국 신세대 패션의 선두 주자로, ‘미 래-현대, 진실, 다차원적 심미관과 기술적 해체를 중심 으로 생활과 중국 전통을 영감으로 기능성, 개념성, 개 성적인 젠더리스 패션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Qilin, 2021). 펑첸왕은 2016년 뉴욕 패션 위크에 데뷔하여 LVMH상 후보에 올랐으며(London Fashion Week, n.d.), 이후 2020 F/W 컬렉션과 인터내셔널 울마크상 의 최종 수상자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신-해체주의 선행연구 조사 를 바탕으로 신-해체주의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고, 중국의 신세대 패션 디자이너 펑첸왕 패션디자인의 신-해체주의 특성을 분석하고, 동양적 미학을 패션에 표현하고 있는 신-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관 점과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패션 디자이너는 물론 소비자들과 소통할 수 있 는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문헌 및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해체주의의 등장 배경과 해체주의 패션의 개념 정의 및 표현 특성을 정 리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조사를 바탕으로 신-해체주 의의 배경과 개념, 표현 특성을 고찰하고 신-해체주 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신-해체주의 패 션의 특성 기준을 바탕으로, 펑첸왕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신-해체주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 료의 수집 및 범위는 Vogue(www.vogue.com), WWD (www.wwd.com) 등의 패션 전문 사이트와 펑첸왕의 공식 홈페이지, 인스타그램(Instagram) 등을 통하여 펑첸왕 패션 컬렉션 2018 S/S부터 2022 F/W까지 10 개 시즌, 300장의 컬렉션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 한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 해 패션 전문 사이트, 패션 에디터들의 리뷰와 디자이 너 인터뷰를 참고하여 활용하였다.

    Ⅱ. Background

    1. Deconstructive fashion

    해체주의의 개념은 자크 데리다가 1960년대 후반 문예 비평 방법으로 발전시킨 해체(deconstruction)에 서 파생되었다(Lakshmi, 2005/2007). 패션 분야에서는 1989년 ‘Details’ 잡지에서 빌 커닝햄(Bill Cunningham) 이 처음에 언급하였으며, 1990년대 초반 이후 패션 저 널리즘에서 마르틴 마지엘라(Martin Margiela)와 앤 데멀 미스터(Ann Demeulemeester) 등의 작품을 설명 하는 데 사용되었다(Kim & Yang, 1997). 이후 요지 야마모토(Yohji Yamamoto),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 비비안 웨 스트우드(Vivienne Westwood), 레이 가와쿠보(Rei Kawakubo), 장 폴 고티(Jean-Paul Gaultier), 꼼 데 가 르송(Comme des Garçons) 등, 해체주의적 디자인을 전개하는 디자이너들이 등장하였다.

    해체주의 패션은 고정된 가치관과 전통적인 원리 등을 타파하면서 권위에 도전하는 파격적, 전위적 구 성과 참신한 원리를 도입하고, 과도한 노출과 소재의 다양화 등의 혁신적인 방식을 채택해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공존하고 혼합된 탈중심적 형태를 띠고 있다(Lee & Lee, 2019). 해체주의 디자인은 이데올로기와 디자 인 철학에서 전통적인 사고방식에 비해 매우 다채롭고 혁신적이며 전위적인 디자인 이념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해체주의 패션은 의복 형태의 간단한 해체에 대한 시도가 아니라,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주장처럼 패션과 관련된 모든 고정 관념, 전통 질서와 원칙들을 과감히 거부하고, 새로운 형태와 구조, 원리, 관념 등을 새롭게 상상하고 실험하고 재조합하려는 모 든 행동과 사유를 종합적으로 의미한다(Kim, 1994).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20세기 말 해체주 의 대표 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해체주의 특성 을 조사하였으며, 대부분의 선행연구 주요 관점에 따 라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은 차연(差延 différance), 상 호텍스트성, 탈현상, 불확정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Table 1).

    차연은 공간 차이의 개념에 시간개념을 도입해 차 이가 지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차연의 표현 특성은 주로 흔적, 시공간의 초월, 유보 상태로 인한 모호성 과 불확정성 등으로, 표현기법은 주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해체되고, 과거의 스타일을 현대적으로 재조 명하며 낡은 소재와 색이 바랜 의상, 동양과 서양, 디 자이너 패션과 스트리트 패션의 해체 등으로 표현되 었다(Kim, 2008;Lee & Lee, 2019). 상호텍스트성의 해체는 텍스트 중 어느 것도 완전히 존재할 수 없으 며, 서로 언급하거나 병렬로 인용하거나 자율적으로 병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패션에 나타나는 상 호텍스트성의 표현은 지위, 성, 나이, T.P.O 등 다른 영역을 도입해 계급과 다양한 문화의 융합하여 표현 하고 있다. 탈현상은 텍스트를 개념적으로 분해하고 재구성하여 단순히 통일된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으 로, 기존의 복장 체계를 탈피하여 탈중심적 형태, 파 괴, 무질서 등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Seo & Choo, 2005). 불확정성은 일정한 척도와 기준이 존재하지 않 으며(Heo, 2020), 복식의 구조와 디자인 원리를 해체 하고, 일정한 형태 없이 착용자가 매기, 레이어링, 걸 치기를 통해 완성되는 오픈 패션으로 표현되고 있다.

    2.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 fashion

    1) The concept of neo-deconstruction fashion

    시대 흐름에 맞춰 변화해온 해체주의 패션은 2014 년에 베트멍의 뎀나 바잘리아의 등장과 함께 2014년 이후부터의 ‘신-해체주의 패션’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적용하고 있다(Lee, 2019). 사회․문화적 현상과 함께 2010년대 중반까지 몇 년 동안 평범함과 단순함을 지 향한 놈코어 패션 트렌드가 유행하였다(Jin, 2021). 그러나 놈코어 패션에 대한 의구심을 갖기 시작하면 서 놈코어가 패션의 변화를 무시하는 심미적 원동력 이라고 생각하였다. 신-해체주의 패션은 ‘놈코어’ 단어 와는 반대되는 ‘비정상적인(abnormal)’ 것과 ‘주변의 (marginal)’라는 의미를 수용하면서 놈코어의 반대적 개념을 포용하는 트렌드로 등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Kim & Ha, 2016). 즉, 신-해체주의 패션은 편안 함에 대한 대중의 욕구는 유지하면서 ‘비정상적’이며 ‘주변의’라는 두 상반된 개념에 융합했다.

    선행연구에 나타난 신-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의 개 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Kim and Ha(2016)의 연 구에서는 신-해체주의 패션은 우리가 흔히 쓰는 일상 아이템을 기준 방식에서 벗어나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특별하고 평범하지 않은 미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였 다. Kim and Kim(2017)은 신-해체주의 패션을 해체 주의에 바탕을 둔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 패션이라 하였다. Lee(2019)Jin(2021)은 신-해체주의는 2014 년 이후 등장한 젊은 디자이너들이 기존 해체주의 패 션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표현 특징을 바탕으로 동시대 적 의미를 부여한 새로운 패션이라고 하였다. Park and Kim(2020)Wu(2021)는 신-해체주의는 시대적 배경 아래 기존 해체주의의 새로운 발전이라고 정의했다.

    이와 같이 신-해체주의 패션은 기존 해체주의의 표 현 특성을 바탕으로 발전하고 계승하여 디자인에 긍 정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패션이라 할 수 있다.

    2) The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

    2010년대 중반 이후 신-해체주의 브랜드들은 1990 년대에 활약했던 해체주의 디자인의 해체와 재구성의 공통된 특성을 동시대에 적합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시하여 주목을 받았다(Lee, 2016). 신-해체주의는 사회적 배경의 변화, 인터넷의 발전, 디지털 시대의 도래, SNS의 보편화와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소비의 점진적 영향 등 다양한 문화적 포용도 확대, 현실적 삶에 대한 불안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적 태도, 기 존 일상생활의 새로운 가치 추구에서 비롯되었다(Wu, 2021).

    신-해체주의 관련 선행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Kim and Ha(2016)는 해체주의와 신-해체주의의 등 장 배경 표현 특성 연구 비교로 신-해체주의 패션이 ‘시공간의 재조합’, ‘하위문화 재조합’, ‘성 경계의 해체’, ‘비확정적 착장 방식’과 ‘복식의 구조 및 디자 인 원리의 해체’ 5가지 표현 특성을 가진다고 보았 다. Kim and Kim(2017)의 연구에서는 긍정적 해체 주의 패션이 지닌 내적 의미와 변화의 현시대가 추 구하는 가치에 대해 연구를 통해 ‘긍정적․유희적 방 향성’, ‘일상성’, ‘유스컬쳐 표현성’으로 신-해체주의 특성을 분류 분석하였으며, 또한 신-해체주의 대표 브 랜드의 최신 컬렉션을 분석을 통해 유희성, 포용성, 소통성, 일상성 등의 특성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대중 은 과거 소극적인 대처에서 적극적이고 즐거운 태도 로 대처하며,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이 지닌 내적 의미 와 변화의 현시대가 추구하는 가치라 하였다.

    Lee(2019)는 20세기 말 유행한 기존 해체주의 패션 과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신- 해체주의 패션 표현 특성을 ‘유희성’, ‘긍정성’, ‘대중 과의 소통성’, ‘다양성, 다원성의 존중’, ‘포용적 재조 합․재창조’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신-해체주의 특성과 소설 ‘11분’을 바탕으로 작품디자인을 진행하 며, 다원적 전위, 유희적 비율과 균형의 파괴, 중심 해 체, 구성요소 기능 상실, DIY 착장 방식, 긍정적 구멍 내기 등의 7가지 해체주의 표현방식을 각각의 룩 아 이템에 적용하였다.

    Kim(2019)은 조나단 앤더슨(Jonathan Anderson)의 로우에(Loewe) 취임 이후 신-해체주의 디자인 특성을 관찰하여 현대 럭셔리 브랜드 패션디자인의 변화와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신-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을 개 방적 소통, 재조합과 재창조, 새로운 가치 추구로 유 형화하였다. 로우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마케 팅, 전통과 동시대 감성의 조화, 럭셔리 브랜드의 가 치를 추구하는 신-해체주의 디자인 특성을 나타낸다 고 하였다. Yoo and Lee(2021)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 해 신-해체주의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유희성, 저항 성, 소통성, 포용성, 일상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자크뮈 즈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신-해체주의의 표현 특성은 긍정적 유희성, 상징적 수용성, 기하학적 단순성, 개 방적 소통성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 분석하였다.

    Wu(2021)는 존 갈리아노의 메종 마르지엘라 패션 2015년~2021년 시절의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패션 의 신-해체주의의 특성을 ‘탈경계’, ‘유희성’, ‘소통성’ 으로 탐구하였다. 신-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은 다원성 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경계의 해체로 대중이 공감할 수 있고, 다원적인 긍정적인 요소를 이용해 재미와 유 희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Jin(2021)은 신-해체 주의 패션 표현 특성, 심미적 가치를 바탕으로 신-해 체주의 대표 브랜드로 베트멍 2015 SS부터 2021 FW 까지, 마르케스 알메이다는 2014 SS부터 2021 FW까 지 컬렉션의 디자인 특징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 점를 도출하였다. 이에 신-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 로는 이질적 새로움의 추구, 동시대의 다양성 수용, 유희성, 개성의 존중 등으로 정리하고, 두 브랜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포함한다 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해체주의 패션 의 표현 특성은 ‘긍정적 유희성’, ‘개방적 소통성’, ‘다 원적 포용성’, ‘문화적 융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Table 2).

    (1) Positive playfulness

    21세기에는 시대가 급격히 다양해지고 부정적인 상황과 불안감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러한 상황에 서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대처하였으며, 긍정적인 생 활 태도는 SNS의 발달과 함께 정보의 확산으로 디지 털 문화가 전 인류 공통의 생활 태도로 자리 잡았다. 패션 분야뿐만 아니라, 건축, 문학, 회화,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예능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작품에 활 력을 불어넣고, 적극적이고 밝은 분위기와 이미지를 연출하고 구성하고 있다(Lee, 2019).

    디자이너들은 경쾌하고 우회적인 표현 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해방과 자유를 느낄 수 있도록 긍정적 인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며, 기존 해체주의 패 션의 복식 구조와 원리를 해체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서 밝은 컬러, 타이포그래피 등 방법을 더하여 위트와 재미, 경쾌한 풍자, 유희적인 연출로 긍정적인 메시지 를 전달하였다(Lee, 2019). 신-해체주의 시대의 적극 성을 담은 재미있는 디자인은 현실을 도피하며 유토 피아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방식으로 사 회의 문화를 전달하고 보여주는 메시지로 현대사회의 문제에 대한 불안감과 사고 탐구의 과정을 대중 앞에 보여준다(Wu, 2021).

    이와 같이 신-해체주의 디자인은 밝은 색채, 풍자 적 타이포그래피 등 다양한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대 중에게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분위기로 연출되고 있 다. 베트멍의 2016 F/W 컬렉션은 티셔츠에 ‘May The Bridge I Burn Light The Way’, ‘YOU FUCK’N ASSHOLE’ 등의 욕설을 티셔츠에 프린트하여 현실 에 대한 불만을 풍자적이고 유머러스하게 표현하였다 (Fig. 1). 자크뮈스 2015 S/S 컬렉션에는 선명한 밝은 노란색 스트라이프 패턴이 과감하게 적용되어 스커트 가 언밸런스하게 변형되어 발랄한 분위기를 연출하였 다(Fig. 2).

    (2) Open communication

    21세기는 다양한 SNS가 등장하고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다수와 공유하는 밀레니얼 및 Y, Z세대의 라 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는 트 렌드와 디자인이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Yoo & Lee, 2021). 소통성은 디자이너와 대중의 개방적, 수 평적, 쌍방향적 소통성을 의미한다. 소셜미디어의 발 달로 인해 디자이너와 대중의 소통이 빠르고 편리해 지며, 젊은 소비자들은 패션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가 지고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아이템에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고 싶어 한다.

    신-해체주의 패션은 신세대 청년문화 및 클럽 문 화, 일상성, 실용성, 스트리트 패션 등의 적극적인 관 심과 수용을 통해 연령, 성별, 계층, 직업 등의 차별과 한계를 해소, 파괴하고,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키며 그들의 개성과 존엄성을 존중한다(Lee, 2019). 또한 현실에 기반을 둔 창의성을 더 중요시하고, 디자 이너들이 자신의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대중의 욕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젊은 세대 문화에 더 가까운 다양한 문화에서 아이디어를 찾는다(Wu, 2021).

    이처럼 신-해체주의 디자이너는 소비자와의 소통 을 중시하고, 대중의 니즈 변화를 자신의 디자인에 반 영하며, 과장보다는 편안하고 실용적인 일상적인 아 이템을 지향하면서, 풍부한 색상을 사용해 대중의 개 성을 존중한다. 와이프로젝트(Y/project)는 2022 S/S 남성복 컬렉션에서 스포츠 브랜드 FILA와 콜라보레 이션으로 스트리트 요소를 녹여냈다. 밝고 선명한 색 상과 함께 해체하고 재구성하였으며, 소비자들은 취 향에 따라 ‘DIY’ 패션으로 실험적 패션을 즐길 수 있 다(Fig. 3). 베트멍의 2016 S/S 컬렉션에서는 ‘DHL’을 이미지로 티셔츠 디자인에 실용적 가치를 추구하고, 럭셔리 패션에 대한 브랜드들의 저항을 표현하며, 브 랜드 이미지를 재구성하였다(Fig. 4).

    (3) Multiple inclusiveness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젠더 뉴트럴(gender neutral)’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남 녀 양성 간 차이를 해소하려는 시도보다는 중립적인 개념을 선호하고 있다. 신-해체주의 디자이너들은 성 별의 구분에 대한 관점에서 성(性) 소수자들도 포함하 는 성(性)적 태도나 취향을 존중하는 디자인을 제안하 고 있다(Jin, 2021).

    최근 여러 컬렉션을 통해 플러스사이즈 모델, 논 바이너리(non-binary) 모델, 트렌스젠더(transgender) 모델, 노인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출은 다 양성을 존중하며, 포용성을 표현하는 패션을 표현하 기 의한 방법으로, 몸매, 나이, 성의 경계를 허물고 더 많은 가능성을 포용하며 소수 계층에 대한 존중을 표 하였다. 베트멍 2020 S/S 컬렉션에는 노인 모델을 기 용하여 나이는 패션의 경계가 아니라는 관점으로 제 시하고 있다(Fig. 5). 또한 성별이 모호한 모델을 선정 하여 소수 젠더에 대한 포용과 존중을 드러냈다.

    신-해체주의 패션은 하위문화 및 비주류 문화, 소 외되거나 사회적 하위 계층 등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 를 보여주고 있다(Jin, 2021). 다문화적 클럽의 문화는 개인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비주류를 추구하는 청년 문화를 결집함으로써 최근 패션산업의 주요 소비자의 욕구를 나타내고 있다(Kim & Ha, 2016). 다문화에 대 한 포용성은 패션디자인에 더 많은 영감을 제공하여 새로운 흥미로운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유의 패션 시스템과 사회계층의 해체, 다양한 문화 에 대한 포용은 신-해체주의의 특성이다. 예를 들어 스트리트 요소를 패션에 녹여 캐주얼한 프린트 후드 티셔츠가 베트멍 컬렉션에 자주 등장한다(Fig. 6).

    (4) Cultural convergence

    최근 국가별 지역문화, 과거 전통문화, 청년문화, 스트리트 패션 등에 대한 경계가 모호해지며, 두 요소 간의 상호작용과 융합은 물론, 다양한 요소와 다문화 간의 복합적인 모습으로 패션 이미지와 아이템에 대 한 탈경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Wu, 2021).

    해체주의와 신-해체주의는 모두 시대적 흐름과 디 자이너의 감성, 그리고 현재 이미지와 과거의 역사를 복합적으로 재구성하여 시공간을 새롭게 재조합한 표 현 특성을 보여준다(Kim & Ha, 2016). 이와 같이 신- 해체주의 패션은 디자이너가 직접적으로 경험한 독 특한 문화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신-해체주의 디자 인의 신선함을 표현하고 있다. 마르케스 알메이다 (Marques’ Almeida)의 2022 F/W 컬렉션에는 포르투 갈의 전통 수공예 장인들과 협력하여 화려하고 비대 칭적인 조각들을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원피스와 장신 구를 제작하였다(Fig. 7). 이러한 디자인은 조상들의 수공예적 지식을 보존하고 디자인에 창의성을 부여한 다. 시간이 흘러도 선조들의 수공예 기술은 사라지지 않고 사랑받고 재생되어 조상의 유산을 활용하고 연 장하며(Mower, 2022), 시공간을 초월한 과거와 현재, 더 나아가 미래와의 문화적 융합을 이루고 있다.

    또한 신-해체주의 패션은 하위문화 및 비주류 문 화, 소외되거나 사회적 하위 계층 등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Jin, 2021). 다문화적인 클럽 문 화는 개인적 다양성을 포용하고, 비주류를 추구하는 청년문화를 결집함으로써 패션 산업의 주요 소비자의 욕구를 나타내고 있다. 문화적 융합성은 패션디자인 에 더 많은 영감을 제공하여 새로운 흥미로운 작품을 만들어낸다. 사례로 스트리트 요소를 패션에 접목하 여 프린트한 후드 티셔츠가 베트멍 컬렉션에 자주 등 장한다(Fig. 8).

    Ⅲ. The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ism in Feng Chen Wang’s Fashion Design

    본 연구는 펑첸왕 디자인의 신-해체주의 특성 분석 을 위하여 펑첸왕의 2018 S/S부터 2022 F/W까지 5년 간 10개 시즌의 컬렉션 자료를 vogue.com과 소셜미 디어 펑첸왕의 Instagram 등을 통하여 300장 수집하 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1차로 연구자가 분류 하였으며, 2차로 의류학 분야 전문가 집단 5인과 함께 특성 유형 분류를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특성 분석을 위하여 펑첸왕의 Instagram과 패션 전문 사이 트 US ‘vogue.com’, ‘wwd.com’ 등의 컬렉션 리뷰와 인터뷰 기사의 내용을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펑첸왕 컬렉션에서도 선행연구에 서 분석된 신-해체주의 특성과 함께 중국의 전통적 요 소와 중국 문화를 담은 패션디자인도 많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펑첸왕 패션디자인의 신-해체주 의 특성을 ‘긍정적 유희성’, ‘전통적 융합성’, ‘다원적 포용성’, ‘개방적 소통성’으로 분류하였으며, 펑첸왕 의 신-해체주의 패션디자인 표현 방법을 분석하였다.

    펑첸왕 패션의 신-해체주의 특성에 나타난 ‘긍정적 유희성’은 밝은 컬러, 과장된 액세서리, 기존 의복의 구성 타파 등을 통해 창의성과 재미를 선사하며 긍정 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전통적 융합성’은 중국의 전통 색채, 아이템, 수공예와 문양 등의 요소를 현대 적으로 융합하여 과거와 현대, 전통과 유행의 시, 공간 의 경계를 해체하였다. ‘다원적 포용성’은 성적 취향, 계층 문화, 몸매의 경계를 없애고 개별적인 특성을 존 중하며 다양한 미에 대한 포용력을 나타내며 누구나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디자인을 표현하였다. ‘개방 적 소통성’은 개인의 경험이나 사회 현상에 대한 관심 과 사고를 디자인에 담아 소비자와 공감하고 소비자의 니즈에 맞춘 실용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일상적 디자 인을 연출하였다. 펑첸왕의 패션 컬렉션의 신-해체주 의 특성은 긍정적 유희성(36.0%)이 가장 많이 나타났 으며, 전통적 융합성(25.7%), 다원적인 포용성(22%), 개방적 소통성(16.3%)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1. Positive playfulness

    현대는 경제 불황과 코로나19 등 신종 바이러스의 글로벌 확산, 자연재해 등 부정적인 사회 현상과 함께 청년들은 취업, 사회적 경쟁의 스트레스 등으로 불안 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도 신세대 젊은 이들은 불안과 스트레스에 젖어 있기보다는 일상의 즐거움을 발견하고, 순간적인 즐거움을 통해 현실의 상실감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순간적 흥미에 대한 관심은 새로운 재미를 나타내고 자 하는 신-해체주의 패션의 확대 배경이라 할 수 있 다(Kim & Ha, 2016). 신-해체주의 패션은 유희적인 태도로 현대사회의 불안감에서 탈피해, 패션에서 해 학적이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디자인하면서 이를 통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신-해체주의의 대 표 특성인 ‘긍정적 유희성’으로 표현한다.

    신-해체주의 패션은 해체주의 패션과 컬러 사용에 서 차이가 나타난다. 해체주의 패션이 무채색과 어두 운색으로 주로 표현되었다면 신-해체주의 패션은 다 양한 상징적인 색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펑첸왕 도 다양하고 밝고 선명한 컬러로 자유롭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2019 S/S 컬렉션에서는 인 간관계와 정서를 탐구하고자 밝은 핑크와 블루의 그 라데이션 소재를 사용하여 인간의 감정을 암시하며 로맨틱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한다(Monica, 2018). 또한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이나 다른 취미를 추구에 서 위로를 찾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도 전달한다 (Fig. 9 and 10).

    신-해체주의 패션은 일상적이고 다양한 디테일의 변화를 통해 긍정적 유희성을 표현한다. 펑첸왕은 크 고 과장된 가방과 액세서리 등을 통해 창의성과 재미 를 선사하였다. 2018 F/W 남성복 컬렉션에서는 전화, 열쇠, 디자이너의 고향 주소에 적힌 숫자 2, 3, 9를 과 장된 3D 백으로 만들어 창의적이고 흥미롭게 표현하 였으며, 귀향이라는 주제의 콘셉트로 고향에 대한 그 리움을 표현하였다(Carter, 2018; Fig. 11). 또한 전통 복식 구성을 해체, 과장, 왜곡, 재조합 재창조 등을 통 하여 디자인의 유희성 반영하기도 한다. 2021 S/S 컬 렉션은 유스컬쳐의 대표 의상인 데님 코트의 소매에 셔츠 칼라를 접목하여 예상치 못한 낯선 조합으로 긍 정적인 유희성을 시각화하였다(Fig. 12).

    펑첸왕은 기존의 복식 구성의 관념을 깨고 과장, 왜곡, 파괴나 평범한 아이템을 재조합하고 재구성하 는 등, 신선하고 재미있는 표현 방법으로 소비자의 관 심을 받고 있다. 신-해체주의는 해체주의 패션의 과장 된 표현 방법보다는 의복 구성의 변화와 작은 부분에 표현하여 일상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과장된 액세서리 가방으로 천진난만과 창 의성을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표현 방법에 따 라 긍정적인 유희성은 ‘밝은 컬러의 활용’, ‘과장과 유 희의 디테일’, ‘복식 구조와 디자인 원리의 해체’ 등의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2. Traditional convergence

    신-해체주의는 다양한 국가, 민족, 지역문화의 활용 속에서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의 새로운 시대의 이미지 와 의미에 대한 추구를 나타내고 있다(Wu, 2021). 중 국은 5천여 년의 역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 진 56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통 요소 를 바탕으로 중국의 패션 디자이너들도 중국의 전통 요소를 디자인에 융합하고 있다.

    펭천왕의 패션디자인은 중국의 전통 컬러, 패턴, 전 통공예 기법의 활용을 통해 전통적인 융합성을 표현 하고 있으며, 고향 푸젠성의 전통 수공예와 염색 방법 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자신의 디자인에 응용하였다. 또한 중국 전통 요소의 내포적 의미를 탐색해 자신의 브랜드 철학에 맞는 디자인을 전개하며, 중국의 대표 적인 전통 색채와 전통 문양을 현대화 복식에서 적용 하고, 중국 전통 복식의 혁신적 개조와 중국 전통공예 의 재응용을 통하여 신-해체주의의 전통적 특성을 표 현하고 있다.

    중국 전통의 제의와 염색 공법을 현대의 디자인에 응용해 차원이 풍부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2020 S/S 컬렉션에서는 고향에서 청명절 때 만나는 방법으 로 ‘LAN YIN HUA BU(蓝印花布)’이라는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콩과 석회석, 현지에서 배합된 인디고 물 감으로 만든 흰색과 인디고 직물을 활용하여 조상에 게 경의를 표하기 위한 세레모니에서 착용하여(Nnadi, 2019; Fig. 13), 전통 수공예의 가치를 표현하였다. 또 한 2020 F/W 컬렉션에서는 약초와 식물의 추출물을 활용한 염색도 시도하였으며, 2021 S/S 컬렉션에서도 고향의 전통적인 염색 기술이 사용되었다(Fig. 14).

    또한 펑첸왕은 다양한 중국 전통 문양 및 토템을 활용하여 현대 패션과 어우러져 시공간을 초월한 신 비감과 함께 패션에 신선함을 불어넣었다. 2021 F/W 컬렉션에서는 전반에 걸쳐 붓 그림을 모티브로 패턴 으로 바코드를 손으로 그린 것처럼 불규칙하게 주름 을 가공하였다. 붓 프린트 반바지에 짧은 재킷, 가죽 장갑과 슬림 일자 선글라스는 시공간을 초월한 미래 적인 느낌을 나타냈다(Fig. 15). 2022 F/W 컬렉션에 서는 펑첸왕 고향의 전통 칠기의 세련된 라인과 무늬 디테일을 디자인에 적용하고, 재킷과 셔츠에 화려한 에메랄드빛 칠기 무늬를 넣어 전체적인 디자인이 화 려함을 선사하였다. 전통적인 문양과 현대 디자인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미래적 스타일을 연출하였다(Hess, 2022; Fig. 16). 2020 F/W 컬렉션에서는 중국의 신년 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귀족적인 금색을 활용해서 중 국 문화에 대한 애정과 존중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Leitch, 2020). 중국 전통 색채는 현대화된 청년문화 의 특색을 지닌 캐주얼 세트에서 전통과 유행의 경계 를 허물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면서 스트리트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Fig. 17 and 18).

    3. Multiple inclusiveness

    과학 기술과 소셜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방 면으로 포용성도 강조되고 있다. 신-해체주의는 성(性) 의 다양성에 대한 수용뿐 아니라, 주류와 비주류 문화 를 포용하고 계층 고착화를 타파하고 상류문화와 하 위문화 재조합하는 데 나타난다. 21세기에 들어 다양 한 성적 취향을 과감하게 표현하기 시작했고, 남성과 여성의 이분법적 성별 외에도 많은 성적 소수자의 생 각과 취향을 인정하고, 각자의 성적 취향에 따라 자유 롭게 입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다원적 포용성으로 나 타난다.

    펑첸왕의 패션도 신-해체주의의 다원적 포용성을 표현하고 있다. 성의 경계를 허물고 독특한 개성과 다 양한 성적 취향을 수용하고 존중하며, 사회계층의 경 계를 허물고 하위문화를 재조합하고 각종 비주류 문 화를 포용하며, 몸매의 경계를 허물어 누구나 자유롭 게 착용할 수 있는 패션을 디자인한다. 디자인 표현 방법에 따라 다원적 포용성은 ‘다양한 성의 수용’, ‘하 위문화 재조합’, ‘시공간 경계 해체’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신-해체주의 패션은 남, 여성 경계의 해체를 넘어, 다양한 성적 취향과 다원적 표현으로 각자의 취향에 맞게 착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한다. 펑첸왕의 컬 렉션에서도 남성은 여성스러운 옷을 착용하고, 여성 은 남성스러운 옷을 착용하여, 유니섹스 디자인을 표 현하며, 성별을 구분하기 어려운 모델 등을 통해 다양 의 성에 대한 포용성도 표현하였다. 2022 S/S 컬렉션 에서는 두 가지 성을 한 몸에 가진 봉황을 주제로 프 린트를 활용하여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디자인을 강 조하였다(Leitch, 2021; Fig. 19). 2021 F/W 컬렉션은 남성같이 보이는 통통한 여성 모델이 등장하였으며, 모든 신체와 성별을 포용하고 모두를 위한 패션의 신- 해체주의 특성을 표현하였다(Fig. 20).

    펑첸왕은 클럽문화, 하위문화 등을 융합하여 평범 한 비주류를 추구하는 청년문화에서 벗어나 계층적 규 제를 해체한다. 이는 다문화 포용, 시장의 니즈에 부 응하며, 계층적 한계를 깨고 하위문화를 재조합하여 다원적 포용성을 실현하는 디자인을 보여준다(Leitch, 2020). 2020 F/W 컬렉션에서 블루 컬러의 모델 헤어 와 와이드한 트레이닝복 세트를 착용한 현대 젊은이 들의 개성을 표현하며, 편안함과 일상성을 중시하는 니즈를 충족시키며 다문화적 수용을 보여주고 있다 (Fig. 21).

    신-해체주의는 이질적인 소재 혼합이나 과거 미래 감각적 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시간 공간의 해체를 이 뤄낸다. 2018 F/W 컬렉션은 광택이 있는 금색 소재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느낌의 실루엣에 미래적인 원단을 사용하여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였다(Fig. 22). 2020 S/S 컬렉션은 모던한 느낌의 그린 데님 재킷과 향토적인 밀짚모자를 매치하여 다양한 스타일과 요소 가 복합적인 디자인을 표현하였다(Fig. 23).

    4. Open communication

    21세기 디지털 기술과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대중 은 빠르고 포괄적인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소비자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브랜드와 디자이너의 배경과 컨셉, 디자인 철학을 이해하고, 자신과 잘 맞 는 디자인을 선택한다. 또한 유스컬처가 성행하면서 젊은 세대는 옷차림에서 자신만의 개성과 심미적 품 위를 드러내고 싶어 한다. 이에 신-해체주의의 관점의 디자이너는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통해 대중과 공감 하거나 사회 현상에 대한 관심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 하며 소비자와 소통하고 있다(Wu, 2021).

    신-해체주의 디자인은 사회적 책임감과 정의심이 강해서 패션디자인을 통해 컬렉션에서 낡은 옷을 재 활용하고 개조하는 등의 방식으로 환경오염, 자원낭 비 등 사회현상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슬로건 프린트 등의 방식으로 테러와 성차별을 반대한 태도를 패션 디자인으로 표현한다. 펑첸왕의 패션 컬렉션에서도 개방적 소통성의 특성이 나타나며, ‘개인적 코드’, ‘사 회적 코드’와 ‘소비자 코드’로 나타났다. 해체주의와 신-해체주의 패션 모두 디자이너의 감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해체주의가 집단화된 코드를 통해 대중 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경향이 있다면, 신-해체주의 패 션은 자신만의 경험과 감정을 통해 디자인을 완성해 독특한 신선함과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에게 정서적 공 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펑첸왕의 컬렉션에서는 자신의 성장 경험, 가족, 고 향의 추억을 주제로 소비자와 정서적으로 공감하고 있다. 2020 F/W 컬렉션은 고향 무이산 일출에서 영감 을 받아 고향의 문화와 요소를 담아 개인의 기억을 포 함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무이산의 풍광을 불규칙 한 컬러의 조각으로 디자인하여 고향의 아름다운 경 관을 표현하였다(Fig. 24). 2022년 동계올림픽에서 호 기수를 위한 디자인을 하여 사회 현상이나 사건에 대 한 관심을 패션디자인으로 제안하였다. 파란색과 흰 색이 점차 물들어가는 패딩 점퍼에는 만리장성 등 중 국의 상징적 경관 패턴, 흰색의 중산복은 비대칭 해체 주의적 표현으로 중국 문화를 표현하면서 디자이너가 국제 사회에 기여하고 싶은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 다(Fig. 25).

    또한 2018 F/W 컬렉션에서는 여러개의 셔츠를 해 체하고 과장된 형태로 재결합하여 재킷을 만들어 폐 기물을 활용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표현하며, 생태환 경에 주목하여 헌옷이나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동참하고 있다(Carter, 2018; Fig. 26). 또한 SNS를 통해 젊은 세대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 하고, 일상에서 입는 옷을 창의적으로 구현해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면서도 일상에서 입을 수 있는 니즈를 충족시키며, 젊은 층이 선호하는 아이돌과 협업하여 소비자와 소통한다. 인기 가수 잭슨왕(Jackson Wang) 은 펑첸왕 2021 F/W 컬렉션으로 패션 잡지에 소개되 어 사람들의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Fig. 27), 젊은 층 이 선호하는 컨버스(Converse)와 협업한 슈즈를 해체 적으로 재조합하여 인기를 끌었다(Fig. 28).

    이와 같이 펑첸왕의 신-해체주의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4>와 같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신-해체주의 패션의 등장 배경, 개념, 표 현 특성을 바탕으로 중국 디자이너 브랜드 펑첸왕 디 자인의 신-해체주의 특성을 분석하고, 내포된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신-해체주의 패션은 해체주의 표 현 특성을 바탕으로 발전하고 계승하여 패션 디자인 에 긍정적 특성을 부여하는 패션으로 정의하였다. 선 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신-해체주의 패션은 기존 해체 주의의 계승과 발전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청년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신-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은 ‘긍정적 유희성’, ‘문 화적 융합성’, ‘다원적 포용성’, ‘개방적 소통성’의 유 형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패션 브랜드 펑첸왕 컬렉션에 나타난 신-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결 과는 다음과 같다. 펑첸왕 패션에 나타난 신-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은 ‘긍정적 유희성’, ‘전통적 융합성’, ‘다 원적 포용성’과 ‘개방적 소통성’으로 유형화할 수 있 었다. 첫째, 긍정적 유희성은 밝은 컬러, 과장적 액세 서리, 전통 의복의 구성 타파 등을 통해 새로운 재미 를 전달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둘째, 전통 적 용합성은 중국의 전통 색채, 아이템, 수공예와 문 양 등 요소를 현대적인 디자인과 융합하여 과거와 현 대, 전통과 유행의 시, 공간의 경계를 해체한다. 셋째, 다원적 포용성은 성적 취향, 계층 문화, 몸매의 경계 를 허물고 개체의 독특성을 존중하면서 다양한 아름 다움에 대한 포용력을 나타내며 누구나 자유롭게 착 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전개한다. 넷째, 개방적 소통 성은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현상에 대한 관심을 디자 인으로 표현하여 소비자와 공감하고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실용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디자인으로 연출하고 있다.

    펑첸왕의 패션은 신-해체주의 관점에서 중국 전통 문화를 현대화 디자인에 접목시켜 소비자 니즈에 주 목하고 다문화와 다양성을 포용하여 작품은 개성을 표현하면서도 일상적으로 입는 실용성을 지니고 있 다. 이러한 펑첸왕의 신-해체주의 패션은 중국의 전통 요소와 서양의 현대적 디자인을 융합하여 중국과 서 양 문화의 융합으로 다문화에 대한 포용성을 반영하 고 있다. 개인의 성장 배경과 현실에 대한 사고를 통 해 자신의 내면과 정서를 패션디자인으로 표현하고 소비자와 소통하며, 국가의 전통문화와 하위문화를 창조적으로 활용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메시지를 전 달함으로써 독특한 신-해체주의 감성을 표현한다. 또 한 고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소비자에게 긍정적 인 브랜드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사회 현상에 주목하 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룬다는 점에서 신-해체주의 브랜드들과 공통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중국 디자이너의 신-해체주의 표현 특성 을 분류하는 데 있어 연구자의 주관을 배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나, 신-해체주의 패션을 해석하고 디자인 을 기획 진행하는데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신-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Figure

    RJCC-31-6-806_F1.gif

    Vetements 2016 F/W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a).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2.gif

    Jacquemus 2015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b).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3.gif

    Y/project 2022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c).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4.gif

    Vetements 2016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d).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5.gif

    Vetements 2020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e). https://www.vog ue.com

    RJCC-31-6-806_F6.gif

    Vetements 2023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f).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7.gif

    Marque’s Alimeida 2019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g).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8.gif

    Vetements 2019 S/S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h).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9.gif

    Feng Chen Wang 2019 spring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i). https://www.vogue.com

    RJCC-31-6-806_F10.gif

    Feng Chen Wang 2019 spring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i). https://www.vogue.com

    RJCC-31-6-806_F11.gif

    Feng Chen Wang 2018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j). https://www.vogue.com

    RJCC-31-6-806_F12.gif

    Feng Chen Wang 2021 spring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k). https://www.vogue.com

    RJCC-31-6-806_F13.gif

    Feng Chen Wang 2020 spring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l).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14.gif

    Feng Chen Wang 2020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m).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15.gif

    Feng Chen Wang 2021 fall ready-to-wear Reprinted from Vogue. (n.d.n).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16.gif

    Feng Chen Wang 2022 fall ready-to-wear Reprinted from Vogue. (n.d.o). https://www.vogue.c om

    RJCC-31-6-806_F17.gif

    Feng Chen Wang 2020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m). https://www.vogue .com

    RJCC-31-6-806_F18.gif

    Feng Chen Wang 2018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j).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19.gif

    Feng Chen Wang 2022 Shanghai spring Reprinted from Vogue. (n.d.p). https://www.vogue.c om

    RJCC-31-6-806_F20.gif

    Feng Chen Wang 2021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n). https://www.vogue.c om

    RJCC-31-6-806_F21.gif

    Feng Chen Wang 2020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m). https://www.vogue.c om

    RJCC-31-6-806_F22.gif

    Feng Chen Wang 2021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j). https://www.vogue.c om

    RJCC-31-6-806_F23.gif

    Feng Chen Wang 2020 spring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l). https://www.vogue.c om

    RJCC-31-6-806_F24.gif

    Feng Chen Wang 2020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m).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25.gif

    Feng Chen Wang Beijing Winter Olympic Games 2022. Reprinted from Sina weibo. (2022). https://m.weibo.cn.

    RJCC-31-6-806_F26.gif

    Feng Chen Wang 2018 fall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j). https://www.vogu e.com

    RJCC-31-6-806_F27.gif

    Feng Chen Wang X Jackson Wang Reprinted from Feng Chen Wang. (2021a). www.instagram.com

    RJCC-31-6-806_F28.gif

    Collaboration Feng Chen Wang X Converse Reprinted from Feng Chen Wang. (2021b). www.instagram.com

    Table

    Analysis about the pri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 fash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nual frequency of neo-deconstruction in Feng Chen Wang’s fashion colle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 in Feng Chen Wang’s fashion collection

    Reference

    1. Carter, L. (2018, February 6). Feng Chen Wang fall 2018 menswear. Vogue.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menswear/feng-chen-wang#review
    2. Feng Chen Wang [@fengchenwang]. (2021a, December 11). Feng Chen Wang X Rolingstone China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Y6rev_oRlj/?igshid=YmMyMTA2M2Y=
    3. Feng Chen Wang [@fengchenwang]. (2021b, January 20). Feng Chen Wang X Converse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XTquUGtwd6/?igshid=YmMyMTA2M2Y=
    4. Han, M. , & Lee, Y. (2022).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Using 3D virtual cloth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1), 66-87.
    5. Heo, J. Y. (2020). Upcycling shirt design with deconstructionist idea method.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5), 655-668.
    6. Hess, L. (2022, February 23). Feng Chen Wang fall 2022 ready-to-wear. Vogue.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feng-chen-wang#review
    7. Jin, Z. Y. (2021).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vism fashion: Comparison of Vetements and Marques’ Almeida.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8. Kim, J.-Y. , & Yang, S.-H. (1997). ‘Deconstruction’ from the outside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costume(part Ⅰ): From 1980's to 1990’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8), 1261-1274.
    9. Kim, J.-Y. , & Yang, S.-H. (1998). ‘Deconstruction’ from the inside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costume(part Ⅱ): From 1980's to 1990'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1), 3-17.
    10. Kim, M. H. (2019). A study on the Neo-deconstruction design in Loew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2(4), 14-24.
    11. Kim, S.-A. (2008).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deconstructive shoes design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Fashion Design, 8(1), 135-149.
    12. Kim, S. B. (1994). 패션디자인과 해체주의 [Fashion design and deconstruction]. 한성대학교 논문집, 18(1), 487-511.
    13. Kim, S. E. , & Ha, J. S. (2016). A study on aesthetic values of Neo-deconstructive fashion: Focused on Vetements, Marques’ Almeida, Jacquemus. Journal of Fashion Design, 16(4), 129-150.
    14. Kim, S. H. , & Kim, Y. (2017).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in positive deconstruction fashion: Focused on the collections since the 2014. Journal of Fashion Design, 17(4), 67-85.
    15. Kim, S. Y. (2016). An analysis of Vetements fashion collections and its internal meaning: Focusing on fashion collections from 2014 F/W to 2016 F/W.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2(3), 67-80.
    16. Lakshmi, B. (2007). Designs of the times: Using key movements and styles for contemporary design. (M. H. Jung, Trans.). Seoul: Sigong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17. Lee, H. , & Lee, Y. (2019). Characteristics of différance image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 222-238.
    18. Lee, K.-E. (2016, March 11). 마르지엘라의 후예들 [Descendants of Margiela]. W Korea.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www.wkorea.com/2016/03/11/마르지엘라의-후예들/
    19. Lee, M. (2019).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by Neo-deconstructivism: based on Paulo Coelho’s novel ‘Eleven minu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Y. , & Park, M. (2000). Deconstruction of the street fashion in 1990s: Focus on S/S pret-aporter coll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8), 1155-1166.
    21. Leitch, L. (2020, January 6). Feng Chen Wang fall 2020 menswear. Vogue.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menswear/feng-chen-wang#review
    22. Leitch, L. (2021, October 14). Vogue Runway Feng Chen Wang Shanghai spring 2022 menswear. Vogue.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hanghai-spring-2022/feng-chen-wang
    23. London Fashion Week. (n.d.). Feng Chen Wang.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londonfashionweek.co.uk/designers/feng-chen-wang
    24. Monica, K. (2018, July 10). Vogue Runway Feng Chen Wang spring 2019 menswear. Vogue.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feng-chen-wang
    25. Mower, S. (2022, July 21). Vogue Runway Marques’ Almeida Fall 2022 ready-to-wear. Vogue.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marques-almeida
    26. Nnadi, C. (2019, June 11). Vogue Runway Feng Chen Wang spring 2020 menswear. Vogue.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feng-chenwang
    27. Park, S.-Y.ᆞ , & Nam, Y.-J. (2003). Dividinism of collar of costume in the cultural pattern of post-modernism. The Korean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5(3), 227-234.
    28. Park, S. Y. , Kim, H. J. , & Han, J. M. (2015). Dépaysement characteristics in deconstructive fashion: Focused on 2013s/s~2015s/s collection.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6, 231-242.
    29. Park, Y. K. , & Kim, M. H.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nim design with 3D printing and DTP from neo-deconstructivism.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60, 157-166.
    30. Qilin, Z. (2021, May 24). FengChenWang 2021 [Elle interview with designer Wang Fengchen]. Elle China. Retrieved October 25, 2021, from https://www.ellechina.com/fashion/fashionweek/a36513227/feng-chen-wang2021-elle/
    31. Seo, K.-H. , & Choo, T.-G. (2005). A study on intertextuality expressed in mordern fashion: Focus on 1999~2005 Paris collections. The Korean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7(4), 361- 370.
    32. Sina weibo. (2022, February 11). Beijing winter Olympic games 2022.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m.weibo.cn/6226846261/4735791207285983
    33. Vogue. (n.d.a). Runway, Vetements fall 2016 readyto- 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6-ready-to-wear/vetements/slideshow/collection#25
    34. Vogue. (n.d.b). Runway, Jacquemus spring 2015 ready-to-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5-ready-to-wear/jacquemus/slideshow/collection#23
    35. Vogue. (n.d.c). Runway, Y/Project spring 2022 ready-to-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2-ready-to-wear/y-project/slideshow/collection#30
    36. Vogue. (n.d.d). Runway, Vetements spring 2016 ready-to-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6-ready-to-wear/vetements/slideshow/collection#1
    37. Vogue. (n.d.e). Runway, Vetements spring 2020 ready-to-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vetements/slideshow/collection#1
    38. Vogue. (n.d.f). Runway, Vetements spring 2023 mens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3-menswear/vetements
    39. Vogue. (n.d.g). Runway, Marque’s Alimeida fall 2022 ready-to-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marques-almeida/slideshow/collection#8
    40. Vogue. (n.d.h). Runway, Vetements spring 2019 ready-to-wear. Retrieved November 20,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vetements/slideshow/collection#7
    41. Vogue. (n.d.i). Runway, Feng Chen Wang spring 2019 mens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feng-chen-wang#gallery-collection
    42. Vogue. (n.d.j). Runway, Feng Chen Wang fall 2018 mens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
    43. Vogue. (n.d.k). Runway, Feng Chen Wang spring 2021 mens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1-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3
    44. Vogue. (n.d.l). Runway, Feng Chen Wang spring 2020 mens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18
    45. Vogue. (n.d.m). Runway, Feng Chen Wang fall 2020 mens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33
    46. Vogue. (n.d.n). Runway, Feng Chen Wang fall 2021 ready-to-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feng-chen-wang#gallery-collection
    47. Vogue. (n.d.o). Runway, Feng Chen Wang fall 2022 ready-to-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23
    48. Vogue. (n.d.p). Runway, Feng Chen Wang Shanghaispring 2022 ready-to-wear. Retrieved October 25,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hanghai-spring-2022/feng-chen-wang#gallery-collection
    49. Wu, Y. (2021).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Maison Margiela from the Neo-deconstruction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50. Yoo, S. J. , & Lee, Y. (2021).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on expressed in the Jacquemus fashion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3(4), 39-56.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