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1 No.4 pp.558-571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3.31.4.558

The development of a textile design targeting Chinese consumers from Generation MZ

Xinyue Qi, Chil Soon Kim*, Chai Young Lee**
Master’s Course, Dept. of Textile & Fash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Textile and Clothing Design, Kyung Hee University, Korea
**Lecturer, Dept. of Textile and Clothing Design, Kyung Hee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cskim@khu.ac.kr)
June 15, 2023 August 8, 2023 August 14, 2023

Abstract


In recent years, young Chinese consumers have become more favorably inclined toward products relating to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xtile design that incorporates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cultural symbolism that will appeal to consumers from the MZ generation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Through a literature search for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symbols regarded as auspicious, our design concept and motives were established. We selected peony, lotus, and frog motifs as representative of a “wealth and eternal prosperity” design theme. In textile design work 1, we u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techniques, color transformation with Adobe Photoshop, and colorway and end-use 3D simulation with TexPro. The 3D simulation work suggests that this textile pattern is suitable for women’s outerwear, mufflers, and tote bags. Textile design work 2 conveyed the ‘wealth and eternal prosperity’ design theme and had a graceful mood that embodied the nobility of the lotus flower whilst also encompassing the symbolism of money and status. The end design is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motifs. As such, it is hoped that it will satisfy the needs of young consumers for cultural values yet offer a unique new aesthetic distinct from existing textile designs. These qualities can be expec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 market value of textiles bearing this design.



중국 MZ세대 소비자를 겨냥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척흔월, 김칠순*, 이채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텍스타일․패션디자인학과 석사과정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강사

초록


    I. Introduction

    최근 들어 중국 소비의 패턴은 많은 변화가 있는데 개성을 중시하며 소비를 통해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문화 증가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국 의 MZ세대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에 개발 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2020년 중국 소비시장을 살펴보면 애국 소비를 뜻하는 ‘귀차오(歸潮, tropic tide)’라는 트렌드가 대중들에게 강한 공감을 형성하였다(Win China, 2021). 즉, 중국 MZ 소비자들에게 중국 문화 전반 및 전통적 요소와 관련된 소비는 애국 의 일환으로 여겨지며, 이를 반영한 디자인을 선호함 과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새롭게 재해석된 엔터테인먼트 요소나 스토리를 결합한 디자인 니즈가 중요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트렌드와 함께 95년 이 후 출생한 젊은 소비자들은 중국 로컬 브랜드 상품에 중국 전통문화와 역사 스토리를 가미하는 것에 중국 로컬 브랜드 상품에 중국 전통문화와 역사 스토리를 가미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 어, 중국 스포츠 브랜드 리닝(李宁, LI NING)의 젊은 중국 소비자들을 겨냥한 중국 전통 요소를 가진 제품을 소비하도록 한 마케팅 전략 사례와 같이, 리닝 브 랜드는 중국에서 오래전에 유명했던 전설적 쿵푸 스타였던 성룡의 쿵푸 이미지를 활용하여 젊은 중국 소 비자들의 전통적인 것을 좋아하거나 애국적인 것을 좋아하는 젊은 중국인의 감성에 어필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중국 전통문화를 담은 디자인 상품 개발이 중국의 MZ 소비자들을 겨냥해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근 중국 MZ세대들의 사찰 참배 가 열풍인데 취직과 승진, 재산증식에 대하여 공양하 고 소원을 빈다고 한다(Kim, 2023).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의 MZ 소비자들을 겨냥한 중국 전통문화와 염원 의 상징성을 담은 디자인 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 한다. 즉 중국 MZ세대의 애국 소비를 자극할 만한 전통적인 디자인 모티브 발굴 또는 상징성의 활용과 더 불어 그들의 소원과 사고를 담은 텍스타일 디자인 개 발에 관한 문제 해결로 성공적인 상업적 가치를 발휘 할 수 있다고 본다.

    중국의 오랜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문화예술 중의 하나인 회화 부분에서 철학적 이념을 표현하기 위 하여 많은 식물과 동물, 꽃 등이 모티브로 등장하며, 각기 다른 상징적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부귀, 장수, 행운 등의 염원이 대표적이다. Ma(2017)의 연 구 결과에 따르면 부유함에 대한 염원과 관련된 중국 인의 관심이 매우 높은 특징을 보이며, 이는 부유한 삶, 철학, 번영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중국에서는 중국인들의 부유함과 풍요 로움에 대한 염원을 담아 상징적인 의미의 문양들이 다수 발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귀와 풍요, 행운 염원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기반을 두어 중국 MZ세대 소비자들을 겨냥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문양들의 상징성을 깊이 있게 고찰하고, 부귀와 풍요, 행운 기원과 관련된 모란, 개구리, 연꽃이라는 대표 문양을 추출하여 이를 텍스타일 디자인 전개에 활용 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상징 문양을 고찰한 결과 Zhang(2011)은 전통적인 색상과 그래픽적 요소를 분해하고 재구성하는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현대 홈 텍스타일 디자인 디자인하여 작품을 제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논 문에서 봉황은 행운, 모란은 꽃의 왕으로 부(wealth) 와 계급(rank)을 상징한다고 하였고 빨간색과 모란에 있는 봉황, “xi”라는 중국 문자를 사용하여 모던 홈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을 완성하였다. 또한 홈의 우아함 과 평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흰색과 청색을 사용하여 작품을 완성하고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의 전통 적인 색상과 조형적 요소, 그리고 심미적 철학을 현대 모던 텍스타일에 적용하여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서양 적 취향을 담아내고자 하는 시도가 중요함을 보여준 다. 또한 부귀와 재물을 나타내는 모티브로 개구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Zhang, 2009). Zhang and Wu(2010)는 중국 소수민족인 리족(黎族)의 문화 연구 에서 리 사람들은 개구리(frog)가 신기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며, 곡식이 풍성함을 나타내며 리족의 숭배 대상이었다고 하였다. 또한 리족 전통에서 개구 리는 악을 피함의 상징이자 모성애의 표현일 뿐만 아니라 조상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상징한다.

    중국의 전통 문양을 활용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 한 결과 Zhang(2011)의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색상과 그래픽 요소를 분해하고 재구성하는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현대 홈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중국의 전통적인 색상과 조형적 요소, 그리고 심미적 철학을 현대적으로 적용하여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서양적 취향을 담아내고자 한 시도로 볼 수 있다. Ma(2017)의 연구에서는 세계화의 추 세가 한창인 오늘날 중국 스타일과 관련된 디자인 전 개에 있어 전통적인 요소 및 현대적 비주얼 표현의 표 현성에 관해 연구하였고, 그 결과 중국의 전통적인 요 소는 첫째 주제가 매우 다양하여 중국의 상징적인 문 양, 매듭, 경극, 그림자, 오라클, 전지 기법, 중국 문자 등이 활용된다고 하였고,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 중국의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 패션스타일의 유기적 결합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Lee and Chen (2010)의 연구에서는 중국 전통 문양의 대표적인 모 티브와 상징성, 시대적 흐름에 따른 모란 문양 등을 고찰한 다음 “중국 원대 청화목단당초문합(青花牡丹 唐草汶盒)”의 모란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텍 스타일 디자인을 발전하였고 그 작업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의 디자인 전개 방법에 있어 서 패턴 전개 시 어떤 CAD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여 어떤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는지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기술되지 않은 아쉬움이 있었다. Qiao and Lee(2010) 의 연구에서는 기록물로부터 직조 직물에 표현된 모란을 일러스트로 그려서 모란의 특징이 72개의 유물 모란의 표현 방법을 분석한 결과 사실적, 특징만 잡아서 도안화,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분류하였다. Han(2014)은 중국의 상서로운 전통 문양의 시각적인 요소를 현대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관심을 두고, 전통적인 미학과 단순하며 직설적인 현대 미학을 연결하는 방법, 즉 혁신적인 형태, 확장 의미, 기백 전달의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것이 전통문화를 비교적 잘 전승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중국의 전통 문양을 기반으로 현대화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개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하지 만, 중국의 문양은 각기 다른 의미와 상징성을 띠며 어떤 조합으로 활용되는가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부 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양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염두에 두지 않고 실제 문양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반복적으로 활용한 심미성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중국 시장의 경우 디자인 작업에서 전통적인 요소의 표현 과 현대적 감각을 가미한 디자인 창출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술 분야에 사용된 중국 전통 문양과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상징적 사 고를 적용하는 디자인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중국 젊 은 소비자들의 애국소비 니즈를 충족시키며,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감성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중국 MZ 소비자들의 부귀와 풍요, 행운 염원에 부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제안을 목적으로 둔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요소의 적용과 현대적 감각의 조화를 통하여 중국 MZ 소비자들의 애국소비 니즈를 충족시키며, 부귀영화를 표현하는 모티브와 스토리를 담은 상품 개발로 인한 상업적 가치향상에 연구의 의 미를 둔다.

    II. Review of Literature

    1. Symbolism in Chinese art and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중국의 전통 문양은 국가가 가지고 있는 민족성 문화 및 시대성을 가지고 전해져 내려오며, 복식을 비롯한 예술작품, 건축, 생활 도구 등에 응용되어왔다. 특히, 중국의 회화 속 문양들에는 다양한 심볼리즘이 존 재한다. 심볼리즘은 어떤 형상이나 색상을 사용할 때 는 철학적인 이념이 내포되어 있고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중국의 전통적인 장식 문양의 분류는 아래와 같이 자연 문양(동물과 식물)과 기하학 문양, 인물, 문자로 분류되며 각 문양은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자연 문양에는 식물과 동물로 구분되는데 식물은 중국 전통 꽃으로 알려진 모란을 비롯하여, 연화, 용화, 난초, 매화와 같은 꽃과 과일 문양을 포함한다 (Qiao & Lee, 2010). 이들의 연구에서 꽃의 경우 색상 이 매우 화려하고 아름다워 복식 문양의 소재로 널리 사용됐는데 자연 문양의 상징성을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모란꽃은 부귀함을 대표하며 매화문은 고결함을 상징한다. 또한 동물문의 경우 상상 동물과 실제 동물로 구분되어 나타나는데, 상상 동물은 대표적으로 용 문이 있으며, 권력과 권위를 상징하고 비를 기원하는 마음을 내포한다. 실제 동물문에는 부귀와 재산을 상 징하는 물고기, 복을 상징하는 박쥐, 평화와 존귀, 행운을 상징하는 토끼문, 그 위에 기린문, 사자문 등이 나타난다. 기하 문양의 경우, 귀갑문, 팔괘문 태극문 등이 사용되었고 특히 팔괘문(卍)은 유가 사상을 반영 하여 끊임없는 성장과 번성을 의미한다. 문자 문양의 경우, 여러 가지 문자의 길상 의미를 사용하고 있는 데, 아(亞), 수(壽), 만(萬), 재(財) 등이 활용되었고, 선 한 마음, 장수, 원만 그리고 재물과 행운 등을 상징하며 길상 문양으로 활용되었다. <Table 1>은 중국 예술 의 심볼리즘과 중국 전통 문양의 분류에 관한 선행연구(Chen, 2009;Li, 2015;Sun, 2015)를 고찰한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2. Symbolic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1) Peony patterns

    모란은 중국을 원산지로 두는 꽃으로 중국을 대표 하는 꽃이다. 특히, 모란은 꽃 중의 왕이라는 의미로 화왕(化王)으로 불리며, 부귀영화(wealth and honor)를 상징하는 대표적 모티브이다. 모란 문양은 중국 전 통 회화에 다수 활용되고 있는데 그 특성을 살펴보면 사실적, 도안적,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이 되며, 조형적인 특성은 꽃잎, 잎사귀, 꽃받침, 줄기로 구성되어 있고 넝쿨과 가지, 단위 형으로 구성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란 문양은 중국 회화 및 건축, 의복에 오랜 기간 활용되면서 그 형태는 조금씩 변화 해 왔다. 특히, 중국 당대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되었던 소재로 당대의 장식문화 발달과 사실주의 경 향이 영향을 미쳐서 모란 문양이 애용되었고 당대에 모란 생화의 머리 장식이 유행하였다(Qiao & Lee, 2010). 모란은 송나라 때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사실 적 표현 형태로 활용되었으며 명 청대에는 다양하게 변화되어, 모란 꽃잎의 중첩이나, 모양, 개수 등의 변 화로 다양하게 변화되어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란은 <Fig. 1>과 같이 단독으로 그려 활용하기도 하지 만 다양한 문양들과 혼합하여 사용하며 다양한 상징 적 의미를 복합적으로 내포하기도 한다. 모란은 특히 캘리그래피(calligraphy), 공작, 닭, 까치, 잉어, 금붕어 등의 동물들과 함께 소재로 사용되며 부귀영화의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 표현되었다(Fig. 2).

    2) Frog patterns

    개구리는 중국에서 활용된 길상 문양 중 하나로 형 태적 특성과 상징적 의미를 주목할 만하다. Lubica (1999)는 중국에서 개구리(frog), 두꺼비(toad) 그리고 실제의 두꺼비는 아니지만, 신화에 나타난 황금 두꺼 비, 즉 금섬(金蟾: golden toad)은 부와 지위를 상징한 다고 한다고 하였다. 특히, 중국의 소수민족은 미신을 믿으며 개구리를 숭배하였고 개구리는 물을 움직이게 하여 비를 내리게 한다고 믿었으며 그들은 개구리가 땅을 기름지게 하므로 “비옥함(fertilities)”을 상징한 다고 하였다. Yang(2016)은 중국 신화에서 보이는 개 구리와 두꺼비의 상징적인 의미는 비옥함을 비롯한 재탄생(regeneration), 음(yin), 영원함(immortality)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또한 중국 북부의 샤머니즘에서 는 개구리와 두꺼비가 인간이 다른 세계와 소통하는 신령으로 주술사를 갖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처럼 개구리는 중국에서 개구리는 숭배의 동 물이자, 비옥함과 영원함, 재탄생 등을 상징하며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내포한 문양으로 <Fig. 3> 및 <Fig. 4>와 같이 회화에 주요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3) Lotus patterns

    연꽃의 모양을 도안화한 연화문은 중국에서 전통적 인 문양으로 벽화나 건축 등이 장식으로 다수 발견되 고 있으며, 의복의 직물에 자수로 다수 활용되어온 대 표적인 문양이다. 특히, 연꽃은 사찰의 장식이나, 불화 에도 빠지지 않고 활용되면서, 불교문화에 영향을 받아온 중국에서도 지속적으로 활용된 문양이다. 연꽃 은 더러운 진흙 속에서 피어나는 꽃이면서도, 그에 물 들지 않는 특성을 통해 청정과 깨달음, 성스러운 진리 등을 상징하며, 천생연분, 화목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Kim, 2003).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연꽃은 고결한 군 자, 또는 자식이 많을수록 복이 많다는 상징적인 의미 가 있다(Chen, Cheng, Simatrang, & Joneurairatana, 2020).

    연꽃이 나타난 회화를 살펴보면 형태적으로 사실적, 반사실적,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대표 적인 사례로 <Fig. 5>의 연꽃 모티브는 2천 년 넘는 실크로드의 가장 귀중한 문화예술 보고인 둔황 막고 굴(敦煌莫高窟)의 천장 벽화에서 발견되었는데, 천장 위의 사각형 안에 화려한 패턴으로 존재하였다. 당나라의 연꽃 문양은 색채가 풍부하고 문양이 풍부하며 이미지가 충만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당시 사회의 번영과 발전을 보여준다. 이처럼 연화문은 예로부터 미 적인 요소 및 상징적인 요소를 두루 가지고 있어 중국 전통 회화에 널리 애용됐음을 알 수 있다(Fig. 6 and 7).

    이상과 같이 중국의 길상 문양 중 모란, 개구리, 연 꽃 문양의 상징과 조형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를 정리 하여 <Table 2>에 제시하였다.

    III.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문헌 연구, 선행연구 리서치, 디자인 기획 및 개발 작업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세부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중국의 전통적인 길상 문양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토대로 중국의 MZ세대를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에 관한 디자인 콘셉트를 기획하였다. 이에 따라 문헌 연구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전통 길상 문양 중 부귀와 길함을 의미하는 모란, 비옥함을 상징하는 개구리, 고결한 귀족성을 상징하는 연꽃을 메인 디자인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콘셉트는 “부귀와 영원 한 풍성함(wealth and eternal prosperity)”과 “고결함 과 재탄생(nobility and rebirth)” 2개로 선정하여 독창적인 텍스타일 아트웍을 전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기획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개 하기 위해 수채화 기법과 텍스프로(Texpro V11)를 활 용한 디지털 기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모티브를 개발한 다음 텍스프로에서 색 정리 기능을 활용하여 텍스타일에 적합한 색의 도수를 조정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모티브를 활용하여 텍스타일 패턴 리피트로 전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패턴을 전개하는 리피트 방법은 블록(block) 리피트라고 불리기도 하는 스퀘어(square) 리피트, 하 프드롭(half drop) 리피트, 브릭(brick) 리피트, 다이아몬드 리피트 등 다양하며, 각 리피트 전개 방법마다 모티브의 배치 배열이 변경되어 각기 다른 무드로 전 개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모티브를 다양한 전개 방법으로 패턴을 레이아웃해보고 기획한 콘셉트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리피트 방법을 선정하였다.

    셋째, 완성된 텍스타일 디자인은 텍스프로의 컬러웨이 생성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컬러 변형을 시도 하였으며, 색상 변경뿐만 아니라 채도 및 명도 조절을 통한 색조 변경을 시도하였고, 본 텍스타일 디자인 콘셉트를 고려하여 각각 3개의 컬러웨이를 제작하였다.

    넷째, 텍스타일 디자인 결과의 최종용도의 적합성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3D 맵핑(3D mapping) 기능을 실행하여 적합성을 살펴보았으며, 모티브의 배열 및 크기를 적절하게 미세 조정하여 완성하였다.

    IV. Result of Textile Design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 길상 문양 중 부귀와 길함을 의미하는 모란, 비옥함을 상징하는 개구리, 고결한 귀족성을 상징하는 연꽃을 메인 모티브로 활용하여 MZ세대 소비자의 애국 소비 성향에 부응하는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extile design work 1

    1) Design concept establishment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1의 주제는 부귀와 영원한 풍성함(wealth and eternal prosperity)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메인 모티브는 중국 문양의 심볼리즘을 참고하여 부와 지위를 상징하는 모란과, 번영과 지위를 상징하는 개구리로 선정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기획하였다. 중국에서 모란은 일반적으로 부귀영화 (富荣榮華)를 상징하며, 미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던 특징이 본 콘셉트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 하였다. 동시에 꽃잎은 붉은 색조를 비롯해, 자주색, 흰색과 같이 그 색이 다양하고, 잎사귀가 매우 아름다워 고상하고 우아한 감성을 더하는 모티브이다. 더불어, 부와 지위를 상징하는 개구리를 메인 모티브로 선 정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기획 의도는 부와 지위에 대한 MZ세대들의 도전과 부귀공명한 아름다움을 담아 기획한 것이다. 특히, 모란은 전통적으로 중국인에게 널리 사랑받았기 때문에 다양한 예술작품이 존재하는 데, 개구리와 결합을 시도함으로써 기존 예술작품과는 대조되는 새로운 조합의 디자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1의 콘셉트 및 설 명, 중심 모티브, 이미지맵 및 메인 컬러를 정리하여 <Table 3>에 제시하였다.

    2)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patterns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1은 수채화를 활용한 핸드드로잉 기법에 기반을 두었으며, 포토샵을 활용한 색상 변형, 텍스프로를 활용하여 컬러웨이 및 엔드유즈 3D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1의 메인 모티브인 모란과 개구리는 수채기법을 통해 드로잉한 후, Texpro에서 스퀘어 리피트 방법으로 텍스타일 패턴을 전개하였다. 리피트 방법은 표준 반복을 클릭하여 진행하였고, 표준반복의 반복성에 의해 생 성된 단조로움을 개선하기 위해 모란과 개구리의 방향성을 다양하게 시도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컬러의 경우 모란의 짙은 브라이트 마젠타(bright magenta) 컬러를 메인으로 설정하여 모란의 대담하고 우아함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개구리의 에메랄드 그린(emerald green) 컬러와의 색상대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더불어 모란 컬러는 트렌드 컬러를 반영하여 베리 페리(veri peri) 컬러로 변형하여 다채로운 이미지를 더하였다. 본 텍스타일 디자인의 배경컬러는 메인 모티브 간의 대담한 색상대비에 어울릴 수 있는 파스텔 색조로 컬러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우아한 무드로 전개하여 완성한 결과는 <Fig. 8> 과 같다.

    3) Color ways and end use expression using 3D simulation

    <Fig. 9>는 텍스프로를 이용해 만든 컬러웨이 (colorway) 결과물이다.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1의 컬러웨이는 총 3가지로 기획하였으며, 모란과 배경의 컬러는 배색 기법을 활용하여 같은 색상의 명도 및 채 도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분위기를 보다 통일감 있게 하였다. 각각의 컬러웨이는 샴페인 옐로우(champagne yellow), 셀레멘타인(celementine), 미들블루(middle blue) 컬러를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톤온톤 배색기법을 활용하여 배경과 모란에 각각 적용하였다. 개구리 의 컬러도 각각의 컬러웨이에 조화롭게 톤인톤 배색 기법을 통해 톤을 조절하여 전체 모티브 간 조화롭게 구성되도록 유도하였다.

    <Fig. 10>은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1을 텍스프로를 활용하여 엔드 유즈에 적용한 결과물로, 가을, 겨울 의류 및 머플러와 같은 액세서리 아이템으로 최종용도를 설정하여 이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본 디자 인의 문양의 크기와 화려함을 고려함과 동시에, 2023년 컬러 트렌드를 반영하여 디자인의 배경은 채도를 낮추어 샌드 베이지(sand beige) 컬러로, 메인 모티브 의 컬러는 베리 페리 컬러를 적용하여 실용성과 디자인의 독특함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적용된 최 종 결과물은 중국의 모란꽃의 부드러운 감성을 표현 함과 동시에 우아함을 부각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머플러에 적용된 결과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밝은 채도와 톤으로 제작된 텍스타일 디자인은 부드러운 핑크색 배경 컬러와 대비되는 대담한 컬러 모티브가 적용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통해 독특한 패션 스타일 링 아이템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Textile design work 2

    1) Design concept establishment

    텍스타일 디자인 2의 주제는 연꽃과 개구리를 활용한 주제는 고결함과 재탄생(nobility and rebirth)으로 귀족적인 고결함과 재생을 상징하는 연꽃과 개구리를 메인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중국에서 연꽃에 관한 가 장 유명한 시구는 “흙에서 나와도 물들지 않고, 연꽃을 깨끗이 씻어도 요괴하지 않다(出淤泥而不染,濯清 涟而不妖).”(주돈이, 周敦颐, <애련설>)로, 해석하면 연꽃은 중국에서 세속에 물들지 않고 자신의 순결을 지키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처럼 연꽃은 현대 사회에서 부와 지위에 대한 강한 염원과 반대되는 상징성을 내포한다.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2의 주제는 현대인 들에게 필요한 자질이라고 판단되는 세속적이지 않은 순결성을 텍스타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의도에 적절한 연꽃과 개구리를 메인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스타일 디자인 작품 2의 콘셉트 및 설명, 중심 모티브, 이미지맵 및 메인 컬러를 정리하여 <Table 4>에 제시하였다.

    2)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patterns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2는 수채화를 활용한 핸드드로잉 기법 및 텍스프로를 활용한 화면 구성, 3D 맵핑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디자인 작품 2의 모티브는 연 꽃과 연꽃잎의 다양한 형태들과 개구리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방향성과 배치를 위해 모티브를 나누거나 반복하고, 불규칙한 형태로 배치하였다. 본 작품은 스퀘어 리피트로 전개하였는데, 스퀘어 리피트 구성의 단조로움을 피하고자 연꽃의 형태를 위치 이동함과 동시에 반복 배치하여 연꽃의 움직임을 표현하여 다 층적인 공간감을 주어 완성하였고 그 과정은 <Fig. 11>과 같다. 컬러는 화이트 컬러를 메인으로 대담하 게 활용하였기 때문에, 연잎, 개구리, 배경 컬러를 그 린 계열의 컬러로 통일하되 색조를 유연하게 조절한 톤인톤 배색기법을 활용하였다. 개구리와 연잎은 중 채도의 에메랄드 그린컬러를 중심으로 전개하였으며, 배경에는 저채도의 블루 컬러를 가미한 라이트 틸 (light teal) 컬러를 배색하여 전체적인 서정적이며 안정감을 가미한 무드를 표현하였다.

    3) Color ways and end use expression using 3D simulation

    <Fig. 12>는 텍스프로를 활용하여 제안한 텍스타일 디자인 2의 컬러웨이이다.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 2는 만개한 연꽃과 연잎의 크기를 대담하게 배치하여 강 한 인상을 주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컬러웨이를 제안 하였다. 메인 디자인의 서정적인 무드와는 상반되는 생동감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원색의 컬 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동적인 느낌을 강조하고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컬러웨이 제안에 있어서 활용 한 레드와 퍼플 컬러는 2023의 WGSN 컬러 트렌드를 반영하여 루셔스 레드(luscious red)와 베리페리(veri peri)를 반영하여 제안하였다.

    엔드유즈 적용 및 제안에 있어 텍스타일 디자인의 용도에 따라 텍스타일 디자인 반복의 크기, 방향, 밀 도 등을 적절하게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다양한 시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한 가을, 겨울 남성복 의류 및 가방 적용 결과는 <Fig. 13>과 같다. 연꽃의 형태를 크고 대담하게 배치하여 남성복의 단조로움을 탈피하고 예술 지향적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더불어 여성 핸드백을 비롯한 액세서리 등 패션 텍스타일 제품 아이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V. Conclusion

    중국의 MZ세대 소비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귀차 오’ 소비 방식을 보여 왔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는 제 품을 소비하면서 문화와 역사와 관련된 소비에 더 많 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예나 지금이나 부귀영화 의 상서로운 상징은 중국인의 마음속에서 대체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젊은 세대들의 부와 높은 지위와 명예에 대한 염원이 그 예이 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향에 맞춰 젊은 소비자들의 염원을 담은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자 하였으며, 이 를 위해 중국 길상 문양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바 탕으로, 2개의 콘셉트를 설정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부귀영화(富荣榮華)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심볼은 모란으로, 중국의 전통 회화에서는 모란을 다른 동물과 식물과 결합해 창작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개발된 작업은 한정적 이었다. 더불어 선행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 문양 중 모란과 개구리가 부와 지위, 풍요로움의 대표적인 식 물이자 동물임을 밝혀냈다. 이에 모란과 개구리는 동 물에서 부귀영화 주제와 텍스타일 디자인 모두에 적 합한 이미지라는 판단으로 ‘부귀와 영원한 풍성함 (wealth and eternal prosperity)’ 주제를 표현하는 모티 브로 선정하였다. 작품 1에서는 모티브를 수채화 기 법으로 표현한 다음, 텍스프로를 사용하여 리피트가 있는 패턴을 창조하는 등의 일련의 창작물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색채는 화려함과 대담함이 강조된 현대 적인 무드로 전개되었다.

    둘째, ‘고결함과 재탄생(nobility and rebirth)’이라 는 제목으로 청개구리와 연꽃이 공존하는 전통 중국 문화에 기반을 둔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연꽃은 고결하고 세속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상징하며, 개구리는 부와 지위의 상징 외에도 재 생을 의미한다. 재구성 과정에서 여러 마리의 개구리 가 연꽃 사이를 누비는 모습을 통해 재생의 의미를 표 현하였다. 텍스프로를 이용한 패턴 제작, 컬러웨이 및 엔드유즈 3D 시뮬레이션 진행한 결과 디자인 1과 비 교하여 디자인 2는 식물 요소의 변화를 통해 전반적 인 디자인 분위기를 크게 변화시켜 우아한 무드의 텍스타일 디자인이 완성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최근 중국의 MZ세대 소비 자들을 겨냥한 중국 전통문화와 염원의 상징성을 담 은 디자인 상품 개발의 필요에 부응하여 디자인을 기 획하고 개발하였다. 특히 관련 텍스타일 디자인 선행 연구들이 중국 전통 문양의 외형적 형태를 심미적 요소만 고려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면, 본 연구는 중 국 MZ세대의 애국 소비를 자극할 만한 전통적인 디자인 상징성을 담은 모티브 발굴 또는 상징성의 활용 과 더불어 그들의 소원과 사고를 담은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문제 해결로 성공적인 상업적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일련 의 디자인 과정 및 결과를 통해 중국 전통 문양을 활 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있어 디자인 발상을 위 한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본 논 문의 한계로는 연구자의 모티브 드로잉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주관적으로 색상을 선택한 것이다. 이에 중 국 MZ세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디자인 만족도에 대한 세부조사 결과를 제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RJCC-31-4-558_F1.gif

    Wealth and Peace Painting (富貴平安圖) Reprinted from Yicongwang. (2018). https://m.yczihua.com

    RJCC-31-4-558_F2.gif

    Peony Peacock Illustration (牡丹孔雀圖) Reprinted from Baidu. (2022). https://baijiahao.baidu.com

    RJCC-31-4-558_F3.gif

    Frog Play Illustration (蛙戲圖) Reprinted from Sohu. (2021). https://www.sohu.com

    RJCC-31-4-558_F4.gif

    Birthday Illustration (祝壽圖) Reprinted from Sohu. (2023). https://www.sohu.com

    RJCC-31-4-558_F5.gif

    Lotus Three Rabbit Caisson (蓮花三兔藻井) Reprinted from Gyerim History Tour. https://kelim.tistory.com

    RJCC-31-4-558_F6.gif

    Lotus Heron Illustration (荷花鷺鷥圖) Reprinted from Baidu. (2023). https://baike.baidu.com

    RJCC-31-4-558_F7.gif

    Withered Lotus Yuanyang Illustration (枯荷鴛鴦圖) Reprinted from Baidu. (2022). https://baike.baidu.com

    RJCC-31-4-558_F8.gif

    Design process

    RJCC-31-4-558_F9.gif

    Color ways

    RJCC-31-4-558_F10.gif

    End use

    RJCC-31-4-558_F11.gif

    Design process

    RJCC-31-4-558_F12.gif

    Color ways

    RJCC-31-4-558_F13.gif

    End use

    Table

    Symbolism in Chinese art and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Expression method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eony, frog, lotus

    Design concept 1

    Design concept 2

    Reference

    1. Baidu.(2022, March 31). 枯荷鴛鴦圖 [Withered Lotus Yuanyang Illustration]. Retrieved July 20, 2023, from https://baike.baidu.com/item/枯荷鸳鸯图?fromModule=lemma_search-box
    2. Baidu.(2022, December 31). 实力派花鸟画家王一容 ——孔雀牡丹国画作品欣赏 [Wang Yirong, a powerful flower and bird painter–Appreciation of peacock and peony Chinese paintings]. Retrieved May 31, 2023, from https://baijiahao.baidu.com/s?id=1753731540849399972&wfr=spider&fr=pc
    3. Baidu.(2023, February 16). 荷花鷺鷥圖 [Lotus Heron Illustration]. Retrieved March 25, 2023, from https://baike.baidu.com/item/%E9%AD%8F%E5%AD%A6%E6%BF%82
    4. Chen, D. , Cheng, P. , Simatrang, S. , & Joneurairatana, E. (2020). Innovative design of caisson lotus pattern in Mogao grottoes based on shape grammar.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1790.
    5. Chen, S. (2009). On Chinese traditional auspicious patt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ujian Normal University, Fujian, China.
    6. Gay, G. (2015, April 25). Beautiful peony. Fine Art America. Retrieved June 25, 2023, from https://fineartamerica.com/featured/beautiful-peony-garry-gay.html
    7. Han, C. (2014). A study on application of Chinese auspicious pattern in modern design. Asian Social Science, 10(12), 53-58.
    8. Kim, J.-I. , & Park, C.-S. (1999). A study of Chinese peony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4, 57-75.
    9. Kim, M.-J. (2023, March 31). 中, MZ세대 사이에 부 는 사찰 참배 열풍 [Temple worship craze among Chinese MZ generation]. 현대불교 [Modern Buddhism]. Retrieved July 25, 2023, from https://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8659
    10. Kim, Y.-H. (2003). A study on lotus patterns of Chinese lucky omen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1), 67-75.
    11. Lee, Y.-S. , & Chen, D. (2010). A study on creating textile design applied a peony blossom of Chinese traditional patter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1), 1-10.
    12. Li, Y. (2015). Research on the concept of traditional auspicious patterns and moder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ianji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ianjin, China.
    13. Lubica, O. (1999). Frog and toad symbols in Zhuang folklore (Southern China). Archív Orientální, 67(2), 257-278.
    14. Ma, Q. L. (2017). The application of Chinese traditional elements in modern visual communication.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s, Arts and Humanities, 131-134.
    15. Qiao, D. , & Lee, E.-J. (2010). Expression method and compositions of peony patterns in Chinese text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1), 101-116.
    16. Sina.(2020, November 21). 两栖类动物: 红眼树蛙最 引人注目的特征显然是红眼睛 [Amphibians: Redeyed tree frog’s most striking feature is apparently its red eyes]. Retrieved May 21, 2023, from https://k.sina.cn/article_6411142208_17e224440001020ec9.html?from=science
    17. Sohu.(2017, July 22). 禅里开出了一朵莲花,美醉 了! [A lotus flower bloomed in Zen, the beauty is drunk!]. Retrieved July 22, 2023, from https://www.sohu.com/a/159251948_665531
    18. Sohu.(2021, September 11). 极罕见,齐白石20世纪 20年代画蛙 [Very rare, Qi Baishi painted frogs in the 1920s]. Retrieved July 11, 2023, from https://www.sohu.com/a/489252373_121119019
    19. Sohu.(2023, July 21). 炎炎盛夏,看十位巨匠画青蛙 [In the hot summer watch ten masters draw frogs]. Retrieved July 21, 2023, from https://www.sohu.com/a/705010549_121124308
    20. Sun, R. (2015). 中国几何形吉祥图案研究 [Research on Chinese geometric auspicious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njing University of the Arts, Nanjing, China.
    21. Walter, S. (2023, May 30). Meet 10 of the world’s most adorable frogs. Discover. Retrieved July 22, 2023, from https://www.discovermagazine.com/planet-earth/meet-10-of-the-worlds-most-adorablefrogs
    22. Win China.(2021, March 10). 중국소비트렌드 및 소 비 패턴의 변화 [Chinese consumption trends and consumption patterns’ changes]. Retrieved June 10, 2023, from https://blog.naver.com/winchina01/222269540752
    23. Yang, S. (2016). Frogs and toads in Chinese myths, legends, and folklore. Chinese America: History and Perspectives, 77-82.
    24. Zhang, S. , & Wu, S. M. (2010). Research on frog pattern in Li brocad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13(2), 82-87.
    25. Zhang, X. K. (2011). Innovative application of Chinese traditional modeling elements to design of modern home textile products. Advanced Materials Research, 308, 419-423.
    26. Zhang, Y. (2009). 中国古代蛙纹的象征意义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rog pattern in ancient China]. Arts Exploration, Journal of Guangxi Arts College, 23(2), 86.
    27. 계림역사기행 [Gyerim history tour].(2012, October 6). 隋代 막고굴 - 중국 돈황 막 고굴 제407굴 세 토끼 연꽃천정 [Mogao caves of the Sui Dynasty - Mogao caves, Dunhuang, China, cave 407, Three Rabbit Lotus Ceiling]. Retrieved June 25, 2023, from https://kelim.tistory.com/15714856
    28. 易从网 [Yicongwang].(2018, October 3). 当代画家石 荣代表作梅花、竹子、牡丹欣赏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painter Shi Rong’s representative works of plum blossom, bamboo and peony]. Retrieved July 3, 2023, from https://m.yczihua.com/article-32151.html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