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1 No.4 pp.504-518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3.31.4.504

Exploring phoenix patterns

Jingyi Zhang, Myung Hee Lee*
Doctoral Course, Dept. of Fashion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leemh@pknu.ac.kr)
June 27, 2023 August 9, 2023 August 19, 2023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ymbolism associated with phoenix patterns in China and the tempor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se patterns found in Dunhuang Mogao Grottoes. The study involved collecting examples of clothing designs featuring phoenix patterns from China Fashion Week and the Vogue website, spanning from spring and summer of 2016 to fall and winter of 2022. After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se examples, representative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effective techniques for incorporating phoenix patterns within the context of Dunhuang Mogao Grottoes and provided insights for future clothing design and textile pattern design research. Phoenix patterns boasted a lengthy history and were laden with symbolic meaning. Early renditions of phoenix patterns found at Mogao Grottoes in Dunhuang were relatively simplistic in design, mainly employing elements like rhythm, coordination, balance and symmetry to convey a sense of nature and gravity. Over time, these patterns evolv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vailing cultural backdrop, employing repeated emphasis to portray notions of abundance and tenacity. Furthermore, regarding the use of phoenix patterns in clothing, there were four prevalent expression techniques: embroidery, beading, printing, and knitting. Traditional techniques like embroidery and beadwork often prioritized aesthetic features like coordination, emphasis, and symmetry, thereby showcasing the opulent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s. On the other hand, printing and knitting techniques used a single phoenix pattern or a modified version to simplify designs by emphasizing or repeat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while adhering to a modern artistic approach.



봉황문양 탐구
- 둔황 막고굴과 패션디자인 표현기법 -

장 정 이, 이 명 희*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박사과정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둔황(敦煌)은 중국 간쑤성(甘肃省) 허시회랑(河西走廊)의 서쪽 끝에 위치하며, 이는 고대 실크로드의 중요한 요충지였다. 또한 둔황은 중국, 인도, 그리스, 이슬람문화가 서로 어우러져 그 야말로 다문화의 융합이자 충돌 교차점이라 할만하 다. 이로써 독창적인 품격을 띤 둔황 예술이 탄생하게 되었다(Piao, 2019). 둔황 막고굴 벽화는 둔황 예술의 주요 구성 부분으로서 십육국(十六國)의 전진(前秦)시 기에 시작되어 십육국 남북조(南北朝), 수(隋)나라, 당 (唐)나라, 5대 10국, 송, 서하(西夏), 원(元)나라 등 여러 왕조의 건국과 몰락을 겪었다(Lee, 2006). 이는 중화민족의 예술 보물창고 중에서 소중한 고전 문화 예술 유산일 뿐만 아니라 세계문화유산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기도 하다(Piao, 2019). 왕조의 교체와 예술문 화의 융합, 전승, 발전을 거쳐 인물, 동물, 식물 문양 등 다양한 문양 소재가 남아 있다. 그러나 봉황문양은 같은 시기의 다른 동물 문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록 이 적고, 그 출현 시대는 남북조 시대부터 1,60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현재 많은 봉황문양 연구 문헌은 한 나라 이전의 옥기, 청동기, 묘장 전시물 및 명나라와 청나라 때의 건축, 회화, 기물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남북조 시대와 수당 5대 송나라 등의 이미지 자료는 상대적으로 적다(Hu & Wang, 2018). 그러나 둔황 막 고굴의 봉황문양은 이러한 부족한 자료를 보완하여 귀중한 자료가 됨과 동시에 연구의 가치가 충분하다.

    중국 전통 소재를 활용한 현대적 재해석(Liu & Lee, 2022;Wang, Liu, & Lee, 2022)은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창출하는 수단이 되어왔으며, 중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Feng, Liu, & Lee, 2022)와 최근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 연구(Ma & Choi, 2020;Shi & Kim, 2022)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중국 소수민족 복식 특성에 대한 연구(Li, Wang, & Lee, 2020;Long & Lee, 2021;Wang et al., 2022)는 소수 민족의 지역과 문화 특성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소수 민족 복식 특성과 현대 디자인을 결합하는 방법을 탐 구하고 있다. 중국 전통 봉황문양에 관한 선행연구는 중국 항공사브랜드의 로고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시각적 상징의 조형성 연구(Wu, Park, & Park, 2017)가 있으며, 중국 둔황 막고굴 문양을 토대로 한 선행연구는 여성 가방 디자인 연구(Li, Pang, & Tian 2022), 막고 굴의 기타 문양을 활용한 현대의복 디자인 연구(Yang & Zhang, 2021) 등이 이루어졌으나 봉황문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봉황문 양과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 해 봉황문양의 특성을 살펴보고, 패션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패션디자인에서 봉황문양의 표현 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 이미지 자료는 모두 화려한 둔황-둔황 용봉문양 장 식도록(Hu & Wang, 2018)에서 나온 것이다. 이 책은 다른 문헌과 비교하여 둔황 막고굴 용봉문양 사진 의 수집 및 분류, 관련 소개 및 설명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둔황 막고굴에서 봉황문양의 변화, 특성 등의 중요한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다만, 이 책은 봉황문양에 대한 간단한 묘 사만을 담고 있어서 관련 연구(Hu, 2010;Pu, 2000;Zhang, 2019)를 참고하여 봉황문양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는 중국 봉황문양의 상징성과 둔황 막고굴 봉황 문양의 시대별 특징과 미적 특성을 살펴본다. 둘째, 사례 연구는 주로 패션정보 전문 사이트인 중국 패션 위크(CHINA FASHION WEEK)와 보그(VOGUE)를 통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7년간 봉황문양을 활용 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수집하고,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시즌별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컬렉션에 나타난 봉황문양의 특성과 표현 기법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봉황문양의 상징성과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의 시대별 특징 및 미적 특성을 조사 하고, 이를 기반으로 패션디자인 사례에서 나타난 봉황문양의 특성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여 둔황 막고굴 의 봉황문양에 활용할 수 있는 패션디자인 표현 기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의 봉황 문양 디자인 요소와 현대적 표현 기법에 관한 실증적 자료가 될 것이며, 둔황 예술의 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을 패션디자인과 텍스타일 디자인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The symbolism of phoenix patterns

    봉황문양은 중국의 고대 전설과 신화에서 비롯된 상징적인 동물 문양으로,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산해경(山海经)’과 다른 고대 문헌들에 기록되어 있으며, “단혈산(丹穴山)에 새가 있었다, 그 모양은 닭 과 같고, 몸에 다섯 가지 빛깔을 갖고 있으며, 봉황이 라고 부른다(丹穴之山....有鳥焉, 其狀如雞, 五采而文, 名曰鳳皇).”로 기록되어 있다(Hu, 2010). 그래서, 봉황 은 조류의 형태적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그 모습은 신비하고 귀하며, 아름다운 색상과 화려한 깃털을 지닌 신조(神鳥)의 새로서 표현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봉황은 중국 전통문화에서 오랫동안 소중한 존재로 여겨져왔다.

    봉황문양은 중국의 신화에서 은혜와 부활, 영생과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졌다(Pu, 2000). 신화와 전설에서 자신의 유골을 태워 다시 태어나는 환생을 하는 놀라운 새로 묘사되어왔으며, 이러한 환생은 봉황이 항상 희망과 생명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이유이다. 불경 에서도 ‘열반(涅槃)’이라는 설이 있어 봉황을 통해 영생과 불멸의 상징성이 담겨져 있다(Hu, 2010). 둔황 막고굴에는 남북조 시대의 불상 팀파눔(Tympanum) 에는 봉황문양이 자주 그려져 있으며, 이는 봉황이 영생과 불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한 봉황문양은 중국 전통문화에서 권위와 지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상징 중 하나로 여겨졌다(Hu, 2010). 특히 중국의 궁궐과 왕실에서는 봉황문양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둔황 막고굴 벽화 속 귀족들의 의류, 장식, 기물 등에 나타나는 봉황문양은 모두 권위 와 지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해된다. 봉황문 양은 중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감정의 상징이며 ‘웅은 봉, 암은 황’이라는 뜻을 갖고 있었다 (Hu, 2010). 중국의 전통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는 봉황문양을 착용하면서 상대방에 대한 충성과 약속을 상징했다. 봉황문양은 또한 중국의 예술과 공예에서 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사용되었다. 예술 작품, 석 각, 도자기 등에 봉황문양이 자주 포함되어 있으며, 그 아름다움과 상징성으로 중국 문화에서 특별한 위 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원과 상징성으로 인해 봉황문양은 중국 문화에서 매우 중요하고 귀중한 요 소로서 계속해서 전승되고 있다. 봉황문양은 중국 예술, 패션,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중국 문화의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2.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s in Dunhuang Mogao Grottoes in different periods

    천 년에 걸친 둔황 막고굴 벽화의 장기적인 발전에서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은 중국과 서양의 문화를 융 합하여 자체적인 예술적 스타일을 형성하였다(Wu, 2017). 이를 통해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은 시대별로 다른 특징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둔황 막고굴 벽화의 역사에서 봉황문양이 처음 등 장한 시기는 남북조 시대이다(Huang & Kim, 2021). 초기 봉황문양의 특징은 형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자연스럽다. 그리고 주로 적색, 청색, 흑색, 백색 등을 사 용하여 선명한 색채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백색으로 바탕을 칠하고 다른 색상의 농담과 경중을 강조 하였다. 봉황문양은 상대적으로 양식의 종류가 적고 대조적인 색조를 사용해 작품의 무게감을 잘 살려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냈다(Fig. 1).

    중기는 수나라(Fig. 2), 당나라(Fig. 3) 시대이다. 중기 봉황문양의 특징은 주제가 다양하고 형식이 풍부하여 당시 화려함을 추구했던 미적 특성이 잘 드러났다. 봉황의 형태는 초기보다 더 화려하며 자색, 청색, 적색, 백색, 황색 등 여러 가지 색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다른 식물문양과의 결합도 더욱 생동감 있고 자연스럽다. 이에 봉황문양을 이용한 표현 기법이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작품이 부귀하고 화려한 단계로 접어들기 시작하였다.

    말기는 5대(Fig. 4), 송(Fig. 5), 서하(Fig. 6), 원나라 (Fig. 7) 시대이다. 말기 봉황문양의 특징은 수나라와 당나라의 표현 형식을 답습하고 표현 요소가 다양하고 상징적인 문양을 많이 사용하는데, 특히 용 문양과 봉황문양을 주로 사용하였다. 색채는 초록색, 황색, 흑색, 백색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송나라 이후에는 단아하고 편안한 스타일의 창작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색채 대비도 강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담백한 느낌을 주었다.

    둔황 막고굴 벽화를 시대별로 살펴본 결과, 초기 남북조 시대는 형식이 간단하고 자연스러우며, 주로 적색, 청색, 흑색, 백색 등의 선명한 색채를 사용하여 엄숙한 분위기를 형성했다. 중기 수당 시대는 봉황문양이 더욱 화려해지고 다양한 형식을 가지며, 화려함을 추구했던 미적 특성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말기 5 대, 소, 서하, 원 시대는 봉황문양이 상징적인 문양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단아하고 편안한 스타일의 창작에 더 많은 관심이 기울여졌다. 이러한 시대별 특징은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의 시대별 다양한 발전과정을 보여주며, 둔황 예술의 풍요로움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이다(Table 1).

    3.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s in Dunhuang Mogao Grottoes

    둔황 막고굴의 봉황문양은 선이 부드럽고 이미지가 풍부하여 율동, 조화, 균형, 강조, 반복, 대칭 등 봉 황문양의 뚜렷한 미적 특성을 보여준다.

    율동은 선․형․색이 반복되면서 리듬감이 나타나고 방향성을 가진 봉황문양의 시각적 운동성을 형성 하며, 생명력과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시각적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Zhang, 2019). <Fig. 8, 9, 10, 12, 13, 15, and 17>과 같이 봉황의 몸이 구부러지거나 늘어나는 자세 변화를 통해 리듬감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Fig. 13>의 봉황은 양발을 서서 날개를 펼친 자세로 자연적으로 치켜든 꼬리가 약간 구부러져 율동감을 나타냈으며, <Fig. 11, 14, and 16>의 봉황은 달리거나 비상하는 행동을 통해 움직이는 듯한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조화(調和)는 봉황문양을 분해하고 조합하는 변화를 통해 다른 문양과 상호의존하고 교묘하게 맞물려 다양한 전통문양을 형성하는 것으로(Zhang, 2019),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서로 배척되지 않고 서로 융합된 다음에 문양 전체가 통일되고 조화로운 느낌을 준다. 그리고 ‘부분과 부분’ 또는 ‘부분과 전체’ 간의 상호 관계에서 시각적 안정감도 준다. <Fig. 9, 10, and 15> 는 봉황문양과 식물문양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문양 이 각각의 특성을 서로 배척하지 않고 하나의 문양으 로 결합하여 어울리면서 조화를 이루었다.

    균형은 봉황문양의 구도에 나타난 시각적 균형과 무게중심의 안정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Zhang, 2019), 선의 굵기, 면의 크기, 색의 명암을 활용하여 문양에 활동적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Fig. 9>의 봉황문양 은 연꽃 위에서 있고 봉황 꼬리와 봉황 부리에는 꽃 가지가 있어 시각적으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Fig. 10>은 봉황문양과 양쪽의 식물 문양 간의 동일 색상 조합으로 시각적 균형 감각을 엿볼 수 있었다. <Fig. 16>에서는 두 봉황의 색을 다르게 하여 시각적 충격이 강해졌으나, 두 봉황이 같은 방향으로 날고 자 세가 일치하여 안정감을 더했다.

    강조는 봉황문양이 하나의 핵심에 위치하거나 독립적으로 나타날 때 특색과 매력을 충분히 드러내는 것으로, 구도에서 크기, 색상, 형태 등을 대비시켜 시각의 중심을 이루면서 나타난다(Zhang, 2019). <Fig. 13>은 봉황문양은 선 자세로 강하게 펼쳐진 날개와 하늘을 향해 솟은 꼬리 표현에서 운동감과 율동성을 극대화해 역동적이고 힘찬 존재로 표현하였다. <Fig. 14>와 <Fig. 17>의 봉황문양은 앞으로 비상하고 위로 비상하는 자세로 주위의 식물문양에 비해 화려함 강조성이 나타났으며, 펼쳐진 양날개와 과장된 꼬리에도 강조성이 나타났다.

    반복은 봉황문양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연속적으로 치밀한 구조로 나타나며(Zhang, 2019), 형 태와 형태, 형태와 공간, 공간과 공간 사이의 연결로 표현되었다. 같은 문양이 같은 형식의 배열을 반복하면 사람들의 시선이 그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대적으 로 역동적인 느낌을 주고 리듬감을 느끼며 시각적으로 힘의 강약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Fig. 11> 및 <Fig. 12>의 봉황문양은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반복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칭은 하나의 선이나 하나의 점을 대칭의 중심으로 하여 양쪽의 형태와 색채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며 일부의 형태가 변하면 율동감이 나타나게 된다 (Zhang, 2019). <Fig. 8>과 <Fig. 15>의 봉황문양은 좌우의 순서로 배열되어 대칭성을 나타내며, 좌우의 두 봉황의 자태와 색깔이 일치하여 대칭된 느낌을 부각 시켰다. 봉황문양 전체에 장중하고 대범하며 안정된 느낌을 주었다.

    둔황 막고굴의 봉황문양은 초기에는 단순한 선과 부드러운 색채를 통해 율동, 조화, 균형, 대칭의 특성을 나타냈다. 중기에는 반복과 강조의 수단을 이용하여 봉황문양의 표현이 다양해지며, 이는 수․당 시대 의 풍요함과 강인함을 상징하기 위한 것이었다. 말기 에는 표현 기법이 점차 성숙해져 봉황문양의 형태가 복잡하고 사실적이며, 전체적으로는 평화로운 느낌을 전달하도록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시대별 문화 의 융합에 기인하며, 봉황문양은 다양한 미적 특성을 풍부하게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2).

    Ⅲ. Expression Techniques of Phoenix Patterns in Modern Fashion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봉황문양을 사용한 디자인 사례가 흔하게 나타낸다. 그러나 둔황 막고굴의 봉황 문양을 직접 사용한 사례는 아직까지는 많이 보이지 않다. 따라서 둔황 예술과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의 전승과 발전을 위해 봉황문양의 패션디자인 표현 기법 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에 적 용할 수 있는 표현 기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오늘날 패션 디자이너들은 봉황문양을 혁신하고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여 드레스, 치파오, 캐주얼 등 다양한 스 타일에서 봉황문양의 장식적인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 고 있다. 이에 따라 봉황문양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조사하기 위해 주로 중국 패션 위크(CHINA FASHION WEEK)와 보그(VOGUE)를 통해 최근 7년간(2016년 S/S부터 2022년 F/W까지)의 컬렉션에서 봉황문양을 활용한 브랜드를 조사하고 패션 사진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이 결과, 총 20개의 컬렉션 브랜드를 선정하였다(Table 3). 따라서, 이 장에서는 각 시즌별로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봉황문양의 특성과 주요 표현 기법을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인에서 적용된 봉황문양 표현 기법은 자수, 비딩, 프린팅, 니팅 등이 있다. 2016년 S/S부터 2022년 F/W까지 중국 패션 위크와 보그 컬렉션에서 발표된 봉황문양을 활용 패션디자인의 사례를 살펴 보면, 보그 컬렉션 68벌, 중국 패션 위크 30벌로 나타났다. 중국 패션 위크에서는 자수, 비딩, 프린팅을 사용하였다. 중국 패션 위크에서의 표현 기법별 브랜드 빈도를 살펴보면, 자수는 헤븐가이아(Heaven Gaia) 4.08%, Chu He Ting Xiang․Chu Yan(楚和聽香․楚 豔) 7.14%, WOO(嫵) 2.04%, De Jing․Zhou Li(德 錦․周麗) 3.06%로 나타났고, NE․TIGER(東北虎), Rong Chang Xia Bu․Zhang Yichao(榮昌夏布․張義 超), PJ+, David Sylvia(郝爲民)는 각각 1.02%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딩은 헤븐가이아(Heaven Gaia) 6.12%, WOO(嫵) 3.06%로 나타났고, 프린팅은 라고고(LAGOGO)에서 1.02%로 나타났다. 중국 패션 위크에서는 자수 기법을 사용하는 브랜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니팅은 나타나지 않았다. 보그에서 나타 난 표현 기법별 브랜드 빈도를 살펴보면, 자수는 구 페이(Guo Pei) 5.11%, 겐조(Kenzo) 5.11%, HUI(卉) 5.11%, 발렌티노(Valentino) 3.06%로 나타났고, 구찌 (Gucci), 아담(Adeam), 발메인(Balmain), 비비안 탐 (Vivienne Tam)은 각각 1.02%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딩은 구 페이(Guo Pei) 14.29%, 엘리 사브(Elie Saab) 9.18%, 구찌(Gucci) 7.14%, 앤드류 겐(Andrew Gn) 6.12%, 발렌티노(Valentino) 1.02%로 나타났다. 프린 팅은 Feng Chen Wang(王逢陳) 7.14%, 겐조(Kenzo)는 1.02%로 나타났고, 니팅은 Feng Chen Wang(王逢陳) 1.02%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그에서는 비딩을 사용하는 브랜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 패션 위크 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 패션 위크와 보그에 나타난 봉황문양의 표현 기법은 주로 전통적인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자수와 비딩에 의한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표현 기법 은 색채의 활용과 함께 고전적이면서도 강렬하고 고급스러운 복식의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는 화려한 느낌과 함께 입체적인 효과를 살려줄 수 있으며(Kim, 2002), 봉황문양의 특징인 깃털 등의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입체적인 자수와 비딩의 표현기법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프린팅과 니팅과 같은 현대적인 표현 기법의 사례도 볼 수 있었다.

    1. The expression of embroidery

    자수(embroidery)는 옷감․헝겊․가죽 등의 바탕에 여러 가지 색실로 무늬를 수놓아 장식하는 공예미 술을 말한다(“Embroidery”, n.d.). 이 기술은 색채를 활용하면서도 전통적이면서도 강렬하며, 고급스럽고 부드럽게 복식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소재 기법으로 활용된다. 바늘, 실 및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사용하 여 자수를 통해 생동감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복식뿐만 아니라 건축, 예술품, 종교 의식용품, 무대 의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실용성 보다는 장식적인 표현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한 컬렉션에서는 14개의 브랜드가 자수 기법으로 봉황문양을 표현하였다.

    Rong Chang Xia Bu․Zhang Yichao(榮昌夏布․張 義超)의 2019년 컬렉션에서 현대적인 감각을 담은 노란색 셔츠와 녹색 재킷을 선보였다. 이 조합은 보라색 스커트에 수놓은 봉황문양과 대비되어 봉황문양이 주목받는 중심 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봉황문양의 강조의 미적 특성을 표현하고, 스커트의 전체적인 디자인에 모던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부여하고 있다 (Fig. 18). De Jing․Zhou Li(德錦․周麗)의 2022년 컬렉션에서는 드레스에 봉황과 모란 문양이 아름답게 수 놓여 있고, 하단의 구름무늬를 받쳐 화려하면서도 여러 요소가 어우러져 조화의 미적 특성을 잘 표현하 였다(Fig. 19). 구 페이(Guo Pei)는 2019년 발표한 작 품에서 골드 컬러의 롱 스커트를 선보였다. 이 스커트는 허리에 아름다운 봉황문양 두 개가 장식되어 있어 허리선을 아름답게 돋보였다. 골드 컬러와 푸른색 봉황문양의 조합은 스커트에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여하며, 동시에 대칭적인 미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Fig. 20). 또한, 디자이너들은 봉황문양 자수 기법을 다른 표현 기법과 함께 사용하기도 하였 다. 겐조(Kenzo)의 2019년 컬렉션은 봉황문양과 블루 니트를 아플리케 자수 기법으로 연결하였다. 특히 스 커트에는 여러 개의 봉황문양이 서로 연결되어 눈길을 끌면서도 발랄한 리듬감을 표현하였다(Fig. 21). 패션디자인에서 봉황문양의 표현은 자수 기법 외에 아 플리케 기법과 결합하여 봉황문양의 율동, 조화, 강조, 대칭과 반복의 미적 특성을 잘 표현하였다. 또한 아플리케 자수 기법은 자수 영역을 돋보이게 하여 전체적인 디자인에 독특한 시각적 흥미를 더할 수 있었다.

    2. The expression of beading

    비즈(beads)란 여성복, 수예품, 실내 장식 따위에 쓰는 구멍이 뚫린 작은 구슬을 말한다. 비딩은 주로 핸드백이나 복식 등에 이용된다(“Beads”, n.d.). 비딩은 다른 표현 기법에 비해 종류가 풍부하며, 크기, 색 상, 형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혼용하거나 다양한 기 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Jeong, 2010). 이를 통해 입체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고전적이면서도 화려한 감성을 전달해 준다. 비딩은 의상의 부 분으로 장식되거나 전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적용되며(Lee, 2004), 웨딩드레스, 이브닝드레스 등 패션 의류에서 많이 활용되어 활용도가 높다. 조사한 컬렉션 에서는 7개의 브랜드가 봉황문양을 비딩으로 표현하 였다.

    헤븐가이아(Heaven Gaia)는 2019년 컬렉션에서 비딩을 사용하였고, 다양한 광택과 질감의 비즈를 통해 봉황문양의 정교하고 화려함을 표현하였다. 복식 전체의 구성이 간결하고 대칭적인 봉황문양의 장엄함은 동양적인 매력과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준다(Fig. 22). 또한, 비즈의 사용은 봉황문양에 풍부한 텍스처와 깊이를 부여하며, 빛과 그림자의 변화를 통해 동적인 효과를 연출하였다. 비딩에 의한 표현은 봉황문양이 현실적이고 입체적인 모습을 더욱 강조하며,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선사하였다. 엘리 사브(Elie Saab)의 2019년 컬렉션에서는 봉황문양이 아름다운 금빛 비즈를 통해 표현되었다. 이 비즈로 장식된 봉황문양은 하늘색 실크 소재의 드레스 위에 섬세하게 자리잡았다. 이를 통해 봉황문양은 조화의 미적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비즈의 반짝임과 빛나는 효과는 봉황의 우아 함과 선명한 형태를 감각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비 즈의 조화로운 배치와 섬세한 기법은 드레스에 깊이와 차원을 더해주었다(Fig. 23).

    WOO(嫵)의 2019년 컬렉션은 ‘봉황열반’이라는 주제로 신비로운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고 봉황이 불에서 다시 태어나는 힘을 표현하였다. 디자이너는 봉황 문양을 화려한 비딩으로 불규칙한 실루엣의 케이프에 표현하여 봉황문양이 복식에 생동감 있고 선명한 컬러 효과를 주어 복식이 더욱 매력적이고 역동적이며 스타일리시한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봉황문양의 강조된 미적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Fig. 24). 발렌티노(Valentino)의 2016년 컬렉션에서 봉황문양의 세부 적인 디테일을 재현하기 위해 수공예적 기술과 정교한 손길이 요구되는 비즈와 스팽글을 적극 활용했다. 비즈와 스팽글은 빛을 반사하여 광택과 화려함을 제공하는 재료로, 봉황문양이 드레스에 표현될 때 시선을 사로잡는 중심 요소로 작용했다. 이를 통해 발렌티노는 섬세함과 고급스러움을 결합한 독특한 시각적 언어를 선보였으며, 패션과 예술의 만남을 통해 창조 적인 영감과 아름다움을 전달하였다(Fig. 25). 비딩에 자수, 스팽글 등 다양한 기법이 결합하여 표현되었으며, 이를 통해 봉황문양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면서도 더 다채로운 효과를 살려냈다. 비즈를 중심으로 한 다 양한 재료들이 봉황문양과 함께 사용되어 유연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구현했으며, 이를 통해 봉황문양의 율동, 조화, 강조, 대칭의 미적 특성이 잘 나타났다.

    3. The expression of printing

    프린트에서 대표되는 것은 문양인데 문양은 개념상으로 모티브와 패턴으로 구분된다(Choi, 2001). 프린트는 주제가 매우 풍부하여 복식의 미적 감각을 높이고 복식의 개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프린트의 모티브가 뚜렷한 패션디자인은 독특한 예술적 감화력을 지녀 디자이너의 영감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으며, 다 양한 스타일과 복식 부위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복식의 전반적인 디자인과 스타일 요구 사항에 따라 봉황문양 프린트를 적절한 위치에 적용하여 복식의 핵심과 강조할 부분을 부각시킬 수 있다.

    라고고(LAGOGO)의 2022년 컬렉션은 봉황과 모란 문양을 프린팅으로 티셔츠에 생생하게 표현하였다. 전체적인 컬러는 선명하며, 색상, 패턴, 형태가 길 한 의미를 담고 있어 동양적인 분위기를 명확히 보여 주었다(Fig. 26). 또한, 봉황문양에 프린팅을 적용하여 색상 선택을 통해 다양한 주제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선명하고 밝은 컬러는 활기찬 젊음을 나타내고, 부드럽고 따뜻한 톤은 우아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조 성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봉황문양 프린트의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 복식의 스타일에 따라 적합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겐조(Kenzo)의 2019년 컬렉션은 전 통적인 봉황문양을 현대적인 미적 디자인에 맞게 개량하고 프린팅으로 다양한 선명한 색상의 충돌과 고 대 토템 문양의 융합을 통해 젊은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유행 요소를 창조하였다(Fig. 27). Feng Chen Wang(王逢陳)의 2021년 컬렉션은 전통 문화를 기반으로 중국 전통 수묵화에 초점을 맞추고 봉황문양의 단순한 형태를 부드러운 색상으로 셔츠와 다른 디자인에 구현하여 주제에 맞는 복식 작품을 만들어 착용자에게 독특한 시각 경험과 정서적 공감을 선사한다 (Fig. 28). 반복적인 미적 특성이 현대적인 표현 기법 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 The expression of knitting

    니팅은 패션디자인에서의 예술적 표현이 주목받으며,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표현 기법을 넓히는 주요 아이템이 되고 있다. 니팅 기법은 근본적으로 니트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표면 질감과 자유로운 표현방식이 그 가치를 결정한다고 하겠다(Fang, 2009). 그래서 니팅 기법을 사용한 복식도 다른 기법과는 다른 특징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Feng Chen Wang(王逢陳)의 2022년 컬렉션에서 봉 황문양은 독특한 니팅 기법으로 표현되어 전통적인 문양을 현대적이고 재미있게 재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봉황문양의 반복의 미적 특성을 강조하며, 전통과 현대성을 조화롭게 융합한 예술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Fig. 29). 니팅 기법의 사용도 전체적인 디자인에 부드러운 느낌을 더해주었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은 중국의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면서도 새로운 해석과 현대적인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창의적인 영감을 제공 하며, 패션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증명하는 좋은 사례라 하겠다.

    2016년 S/S부터 2022년 F/W까지 중국 패션 위크와 보그 컬렉션에 나타난 봉황문양의 표현 기법 특성 은 <Table 4>와 같다. 자수와 비즈를 사용한 봉황문양 은 율동, 조화, 강조, 대칭의 미적 특성을 나타내며 화려하고 풍부하며 장식성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서 중국 디자인에 비해 외국 디자이너들이 더욱 현대적인 디자인을 채택하여 반복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프린팅으로 표현된 봉황문양은 율동 외에 주로 조화와 반복의 미적 특성을 표현하였다. 조화의 특성을 가 진 봉황문양의 복식 스타일은 간결하고 일반적이며, 반복적인 특성을 가진 봉황문양의 복식 스타일은 대 담하고 전위적인 특징을 보여주었다. 니팅으로 표현 된 봉황문양은 율동 외에도 반복의 미적 특성을 보여 주어 옷차림이 흥미롭고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다. 중국 패션 위크와 보그 컬렉션을 통해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의 특성이 모든 표현 기법에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수, 비딩, 프린팅, 니팅 등 다양한 표현 기법들을 바탕으로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은 둔황 예술의 미적 가치를 계승하면서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의 다양한 요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봉황문양의 기원과 상징성,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의 시대별 특징과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중국 패션 위크와 보그의 사례 연구를 통해 패션디자인에서 봉황문양의 표현 기법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황은 중국 신화에서 은혜와 부활, 영생과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환생을 통해 희망과 생명 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궁중에서도 봉황문양을 사용 함으로써 왕실의 권위를 강조하고, 왕과 황후의 위엄 과 위대함을 상징하며, 궁중의 우아함과 화려함을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봉황문양은 행운과 충성과 같은 사회적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봉황문양의 상징 성과 아름다움은 중국 문화의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을 대표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계속해서 전승되고 있으며, 중국 예술, 패션,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둘째, 중국 둔황 막고굴의 봉황문양에서는 시대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초기 남북조 시기에는 봉 황문양의 형태가 단순하였고, 색은 주로 백색 바탕에 다른 색의 강약과 경중을 강조하였다. 중기 수나라와 당나라의 봉황문양은 형태가 풍부하고 색채가 화려했으며 다른 동식물 문양과의 결합도 더욱 생동감 있고 자연스러웠다. 말기 5대부터 원나라까지 봉황문양에는 표현 요소가 다양하고 상징적인 문양이 같이 사용 되었으며, 송나라 이후에는 색채 대비가 강하지 않고 단아하고 담백하였다.

    셋째, 둔황 막고굴의 봉황문양은 시대별 문화가 융합하는 배경에 따라 풍부하고 다양한 미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초기에는 율동, 조화, 균형, 대칭의 특성을 단순한 선과 부드러운 색채로 표현하였으며, 중기에 는 반복과 강조에 의해 수․당 시대의 풍요와 강인함 을 표현하였다. 말기에 이르러 표현 기법이 점차 성숙 되어 봉황문양의 형태는 더욱 복잡하고 사실적이며, 후기로 갈수록 유연하고 변화가 다양한 배열 방식과 신중하고 엄밀한 구도 형식으로 평화로운 느낌을 나타내었다.

    넷째,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패션 위크와 보그에서 조사된 봉황문양을 활용한 사례는 20개 브랜 드 98벌로 나타났으며, 그 사례 빈도는 보그에서 발표 된 패션 수가 중국 패션 위크보다 많았다. 이는 중국 뿐만 아니라 해외의 패션 디자이너들도 봉황문양을 활용한 문양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패션디자인 사례에서 봉황문양은 자수, 비 딩, 프린팅, 니팅을 통해 표현되었다. 봉황문양의 율 동 미적 특성은 모든 패션디자인 사례에서 나타났으며, 자수와 비딩 같은 전통 기법을 활용한 패션에서는 조화, 강조, 대칭 미적 특성을 주로 사용하여 봉황문 양의 화려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수는 반복적인 미적 특성도 보여주었다. 프린팅에서는 복식 스타 일이 더 일상화하고 캐주얼하게 나타났다. 프린팅과 니팅 기법을 활용한 패션에서는 단순한 봉황문양을 사용하거나 봉황문양을 변형하고 간소화하여 강조하 거나 반복하는 미적 특성을 통해 현대적인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의 특성과 패션디자인 사례에 나타나는 봉황문양의 표현 기법을 분석 함으로써 중국 봉황문양의 디자인 요소와 현대적 표현 기법에 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패션디자인 사례에 나타난 봉황문양의 미적 특성, 표현 형식, 표현 기법 등이 각 브랜드의 개성과 결합되어 유연하고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었으며, 디자이너가 다양한 표현 기법을 결합해 디자인에 새로운 시각 효과를 부여하고 창의적인 디자인 영감을 제공하였다.

    앞으로, 둔황 막고굴 봉황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표현 기법과 패션디자인 개발을 통해 전통 소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적인 복식 연구가 계속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31-4-504_F1.gif

    Phoenix patter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29.

    RJCC-31-4-504_F2.gif

    Phoenix pattern, Sui Dynasty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64.

    RJCC-31-4-504_F3.gif

    Phoenix pattern, Tang Dynasty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89.

    RJCC-31-4-504_F4.gif

    Phoenix pattern, the five dynasties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26.

    RJCC-31-4-504_F5.gif

    Phoenix pattern, Song Dynasty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37.

    RJCC-31-4-504_F6.gif

    Phoenix pattern, the Western Xia Dynasty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45.

    RJCC-31-4-504_F7.gif

    Phoenix pattern, The Yuan Dynasty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58.

    RJCC-31-4-504_F8.gif

    Canopy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31.

    RJCC-31-4-504_F9.gif

    Honeysuckle lotus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32.

    RJCC-31-4-504_F10.gif

    Honeysuckle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42.

    RJCC-31-4-504_F11.gif

    Royal chariot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61.

    RJCC-31-4-504_F12.gif

    Lion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66.

    RJCC-31-4-504_F13.gif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73.

    RJCC-31-4-504_F14.gif

    Phoenix flower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88.

    RJCC-31-4-504_F15.gif

    Phoenix flower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26.

    RJCC-31-4-504_F16.gif

    Double phoenix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43.

    RJCC-31-4-504_F17.gif

    Phoenix flower pattern Reprinted from Hu & Wang. (2018). p.144.

    RJCC-31-4-504_F18.gif

    Rong Chang Xia Bu Zhang Yichao, Spring/Summer 2019 Reprinted from China Fashion Week. (2018). http://www.chinafashi onweek.org.cn/

    RJCC-31-4-504_F19.gif

    De Jing Zhou Li, Spring/Summer 2022 Reprinted from China Fashion Week. (2021). http://www.chinafashi onweek.org.cn/

    RJCC-31-4-504_F20.gif

    Guo Pei, Spring 2019 couture Reprinted from Vogue. (2019a). https://www.vogue.com/

    RJCC-31-4-504_F21.gif

    Kenzo, Spring 2019 ready-to-wear Reprinted from Vogue. (2018a). https://www.vogue.com/

    RJCC-31-4-504_F22.gif

    Heaven Gaia, Fall/Winter 2019 Reprinted from China Fashion Week. (2019). http://www.chinafas hionweek.org.cn/

    RJCC-31-4-504_F23.gif

    Elie Saab, Fall 2019 couture Reprinted from Vogue. (2019b). https://www.vogue.c om/

    RJCC-31-4-504_F24.gif

    WOO, 2019 F/W Reprinted from Elle. (2019). https://www.ellechina. com/

    RJCC-31-4-504_F25.gif

    Valentino, Spring 2016 couture Reprinted from Vogue. (2016). https://www.vogue.c om/

    RJCC-31-4-504_F26.gif

    LAGOGO, Fall/Winter 2022 Reprinted from China Fashion Net. (2022). https://news.mshishan g.net

    RJCC-31-4-504_F27.gif

    Kenzo, Spring 2019 ready-to-wear Reprinted from Vogue. (2018b). https://www.vogue.c om/

    RJCC-31-4-504_F28.gif

    Feng Chen Wang, Fall 2021 ready-to-wear Reprinted from Vogue. (2021). https://www.vogue.c om/

    RJCC-31-4-504_F29.gif

    Feng Chen Wang, Fall 2022 ready-to-wear Reprinted from Vogue. (2022). https://www.vogue.com/

    Table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s in Dunhuang Mogao Grottoes in different period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s in the Mogao Grottoes of Dunhuang

    Brands using phoenix pattern in collection from 2016 to 2022

    The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 expression techniques in fashion design

    Reference

    1. Beads.(n.d.). In Doopedia. Retrieved May 2, 2023, from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0644
    2. China Fashion Net.(2022, July 29). 承东方之韵,创 国风新潮 [Inheriting the oriental rhyme, creating a new trend of national style]. Retrieved January 20, 2023, from https://news.mshishang.net/a/20220729/311706.html
    3. China Fashion Week.(2018, October 31). Rong Chang Xia Bu Zhang Yichao. Retrieved January 20, 2023, from http://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9cx/zcfu/pic/201811/t20181101_3803012.html
    4. China Fashion Week.(2019, March 31). Heaven Gaia. Retrieved January 20, 2023, from http://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92020/zcfb/pic/201903/t20190331_3858784.html
    5. China Fashion Week.(2021, September 9). De Jing Zhou Li. Retrieved January 20, 2023, from http://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2cx/zcfb/pics/202109/t20210903_4183707.html
    6. Choi, J. Y. (2001). A digital textile printing design by abstract expression: Focused on motive by textile transform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 Elle. (2019, April 4). “凤凰涅槃,浴火重生” 东方女性 华丽蜕变—嫵WOO 2019秋冬新品 亮相上海时装 周 [“Phoenix nirvana, rebirth from the ashes” oriental women’s gorgeous transformation -WOO’s 2019 fall and winter new products appeared in Shanghai Fashion Week]. Retrieved January 20, 2023, from https://www.ellechina.com/fashion/fashionweek/a296204/20190404-shizhuangzhou/
    8. Fang, W. (2009). A study of knit design by a fabulous bird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Korea.
    9. Feng, Y. , Liu, H. , & Lee, Y. (2022).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raditional fretwork patterns and faux chenille texti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6), 880-897.
    10. Hu, Q. P. (2010). 服飾鳳紋研究及其在現代禮服設計中 的應用 [Research on phoenix pattern of clothing and its modern application in formalwear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Jiangnan University, Wuxi, China.
    11. Hu, T. Q. , & Wang, Y. Z. (2018). 華麗敦煌-敦煌龍鳳 紋飾圖錄 [The Ornate Dunhuang –Decorative illustration of Dunhuang dragon and phoenix patterns]. Lanzhou: DUZHE Publishing House.
    12. Huang, B. , & Kim, H. K. (2021).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art make-up design works using the mural painting in Mogao Grottoes of Dunhuang in China.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9(2), 95-108.
    13. Jeong, J. (2010). A study on fashion decoration using beads craft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14. Kim, S.-H. (2002). A study on expressing handcraft techniques of materials in modern fashion: Centering around forming work technique. The Korea Society of Craft, 5(2), 43-58.
    15. Lee, H. L. (2006). Study on polychrome Buddhist sculptures of Dunhuang Mogao ca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bang Culture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S.-A. (2004). Study of beads decoration design expressed with modern fashion: Centering around Paris, Milan, New York, London collection from 2000 to 2004.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7. Li, F. W. , Wang, L. , & Lee, Y. (2020).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Atlas fabrics of the Xinjiang Uygur Minority Ethnic Group, Chin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2), 199-214.
    18. Li, H. , Pang, S. , & Tian, J. (2022). Application of Dunhuang pattern elements in modern women’s bag design. China Leather, 51(6), 111-117+123.
    19. Liu, H. , & Lee, Y. (2022). 3D digital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k of Nuo, Jiangxi province, Chin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3), 455-476.
    20. Long, L. , & Lee, Y. (2021).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o costume and Huangping batik of the Chinese minority Miao.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9(4), 585-602.
    21. Ma, Z. H. , & Choi, S. (202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ourt dress motives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2015 S/S–2020 S/S collections. Journal of Fashion Design, 20(2), 157-170.
    22. Piao, S. (2019).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lan of mural resources in Dunhuang Mogao Grottoes in China: Focused on tourism and chore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3. Pu, A. G. (2000). 中國傳統藝術(續)-鳳紋裝飾 [Chinese traditional art (renewal) -The phoenix decorations]. Beijing: China Light Industry Press.
    24. Shi, J. , & Kim, H.-J. (2022). Traditional Chinese ink-and-wash painting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Focused on 2015 S/S~2021 S/S colle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80, 81- 100.
    25. Vogue.(2016, January 27). Valentino Spring 2016 couture.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6-couture/valentino/slideshow/collection#62
    26. Vogue.(2018a, June 24). Kenzo Spring 2019 ready-to-wear.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kenzo/slideshow/collection#30
    27. Vogue.(2018b, June 24). Kenzo Spring 2019 ready-to-wear.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kenzo/slideshow/collection#18
    28. Vogue.(2019a, January 23). Guo Pei Spring 2019 couture.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 //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couture/guo-pei/slideshow/collection#23
    29. Vogue.(2019b, July 3). Elie Saab Fall 2019 couture.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couture/elie-saab/slideshow/collection#31
    30. Vogue.(2021, April 13). Feng Chen Wang fall 2021 ready-to-wear.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10
    31. Vogue.(2022, February 23). Feng Chen Wang Fall 2022 ready-to-wear. Retrieved January 24, 2023,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21
    32. Wang, S. , Liu, H. , & Lee, Y. (2022). Fashion design applying to features of the Chinese minorities Naxi costume and seven star sheepskin cap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3), 331-347.
    33. Wu, Y. , Park, Y. J. , & Park, J. S. (2017). A study on the formative images of Chinese traditional phoenix pattern: Focused on the Chinese Airlines logo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4), 189-206.
    34. Wu, Y. X. (2017). Research on color performance of Dunhuang Mogao Grottoes Murals in the Tang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Northwest Normal University, Lanzhou, China.
    35. Yang, Y. , & Zhang, Y. (2021). 石窟紋樣在現代服裝設 計中的應用研究 [Application of Grotto pattern in modern clothing design]. Chemical Fiber & Textile Technology, 2021(12), 133-135.
    36. Zhang, J. Y. (2019). Research on artistic characteristics of phoenix and bird pattern in Mogao Grottoes in Dunhuang and its application in modern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uangxi Normal University, Guangxi, China.
    37. 자수 [Embroidery].(n.d.).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May 1, 2023, fr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963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