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주짓수(Jiu-Jitsu, Ju-Jitsu)는 일본의 전통 유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격투기이며, 상대방을 완전히 제압해 승부를 결정하는 무술이다(“Jiu-Jitsu”, n.d.). 주짓수의 시작 은 일본의 유술이 서방 세계에 전달되어 재정립된 것 으로, 정착한 나라에 따라 ‘유러피언 주짓수(European Ju-Jitsu)’, ‘브라질리언 주짓수(Brazilian Jiu-Jitsu)’라 고 불린다. 현재의 주짓수는 일본 메이지 시대에 브라 질을 거쳐 전 세계로 퍼져 나가 스포츠 종목으로 발전 한 브라질리언 주짓수(이하 주짓수)를 말한다(“Ju- Jitsu International Federation”, n.d.). UFC(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와 MMA(Mixed Martial Arts) 등 종합 격투기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주짓수의 인지 도와 인기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Park, Shin, Jun, Shin, & Shon, 2015).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 주짓 수가 도입되었으며, 대한체육회 인정단체인 ‘대한주 짓수회’에 등록된 주짓수 체육관은 코로나 팬데믹에 도 불구하고 2018년 300여 곳에서 2023년 현재 493 곳으로 등록 체육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JJAK, n.d.a). 그리고 아시안 게임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2018년에는 15명이던 국가대표가 2022년에는 54명으 로 선수 인구도 증가하였다(JJAK, n.d.b). 대한주짓수 회에 등록되지 않은 체육관 수련 인들과 MMA 체육 관에서의 주짓수 수련인들을 포함한다면 국내 주짓수 수련인의 수는 더 많을 것이며, 도복의 수요도 증가 추세로 예상할 수 있다.
주짓수는 수련 시 격렬한 스파링(sparring)이 이루 어지므로 여벌의 도복이 필수적이다. 스파링 시 소맷 부리, 바짓부리, 무릎 부분이 잘 잡히지 않도록 규정 에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짧고 몸에 붙는 도복을 착용 하는 것이 특징이므로(Han & Jang, 2016) 맞음새가 좋은 도복은 경기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주짓수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스포츠 사회학(Han, 2018;Lim & Kim, 2018;Park, 2018), 운동 생리학 (Park et al., 2020;Sim & Chun, 2022;Yang, Kim & Yoon, 2021;Yang, Yoon, Ko, & Kim, 2020), 스포츠 경영학(Ahn, Kwak, & Seo, 2019;Park et al., 2015) 스포츠 물리치료학(Yang, Park, Kyung, & Kim, 2018) 분야 등에서 주짓수를 수련하면서 발생하는 신체적, 심리적 영향과 주짓수 도장 경영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주짓수 도복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짓수 동호인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주짓 수 도복의 생산국, 제품 유형, 가격, 컬러, 소재, 사이 즈 체계 등을 분석하여 브랜드 바리에이션을 살펴보 았다. 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주짓수 동호인을 위 한 주짓수 도복 개발 및 무도복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Ⅱ. Background
1. Jiu-Jitsu uniform characteristics and rules
주짓수 도복은 유도복과 유사한 경기복을 착용하 고, 화이트, 블루, 퍼플, 브라운, 블랙 벨트 순으로 승 급한다(“Jiu-Jitsu”, n.d.). 유사한 경기복인 유도복은 도복 제작 규정(IJF, 2015)과 경기 복장 규정(IJF, 2022)이 있고, 주짓수 도복은 경기 복장 규정(IBJJF, 2022)과 2024년부터 적용되는 주짓수 도복 제작 규정 (IBJJF, 2023)이 있다. 주짓수 도복은 국제 주짓수 경 기에서는 규정에 따르는 ‘규정 도복’과 규정을 따르지 않는 ‘규정 외 도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짓수 연습 사진(Fig. 1)에서 착용하고 있는 도복을 살펴보면, 규 정을 따르는 도복과 규정을 따르지 않은 규정 외 도복 을 착용하고 있다.
주짓수의 종류는 도복을 착용하는 기(Gi) 주짓수와 도복을 착용하지 않고 래시가드와 쇼츠(Shorts)를 착 용하는 노기(No-Gi) 주짓수가 있으며, 기, 노기 주짓 수의 복장 규정은 IBJJF(International Brazilian Jiujitsu Federation)에서 규정한다. IBJJF에서 규정하는 기 주짓수 도복 규정을 살펴보면(IBJJF, 2022), 도복 의 컬러는 화이트, 블루, 블랙 컬러만 허용하며, 깃과 상의 컬러, 상의와 하의의 컬러는 같아야 한다. 도복 패치는 면직물 형태의 패치(patches)가 봉제되어야 하 고, <Fig. 2>에 표시된 영역에만 패치를 부착할 수 있 으며, 체육관, 스폰서 로고 이외 페인트(paint)를 사용 할 수 없다. 그리고 직물(woven)로 만든 도복이 필수 적이며, 도복의 깃이 상대방이 잡기 어려울 정도로 두 껍거나 단단하지 않은 EVA 또는 그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었다. 주짓수 도복의 착장 치수 규정은 도복 상의 밑단이 선수의 허벅지에 닿아 야 하고, 상의 깃 두께 1.3cm, 깃 너비 5cm이어야 하 며, 팔을 양옆으로 뻗었을 때 소매가 선수의 손목 관 절에서 5cm 이상 떨어지지 않고, 소매 여유분 7cm를 충족해야 한다. 도복 하의는 발목뼈(ankle bone) 위로 5cm 이상 올라오지 않은 도복만 착용할 수 있다. 이 외 규정으로는 도복을 착용할 때 남성의 이너웨어 착 용이 금지되어 있고, 여성만 이너웨어로 래시가드를 착용할 수 있는 규정과 개인 위생에 대한 규정이 명시 되어 있다.
주짓수 도복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직물 조직은 펄 위브(pearl weave), 싱글 위브(single weave), 더블 위 브(double weave), 립스탑(ripstop), 트윌(twill), 캔버 스(canvas) 등이 있다(“Let’s know”, 2016). 주짓수 도 복 제작 규정(IBJJF, 2023)에 따르면, 상의는 캔버스 나 트윌 직물을 사용할 수 없고 엠보싱 브레이드 직물 로 제작되어야 하며, 하의는 트윌 또는 립스탑 직물로 제작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주짓수 도복은 유 도복과 같이 상의와 하의가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 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Sizing system of Jiu-Jitsu uniform
주짓수 도복 사이즈 가이드는 키와 몸무게를 사용 하여 치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주짓수 도복의 호칭 중 기준 호칭(standard size)에는 남녀공용을 나타내는 ‘A+숫자’로 표기하며, ‘A’는 ‘Adult’를 의미하고, 여 성 전용 호칭은 ‘F+숫자’로 표기하고, ‘F’는 ‘Female’ 을 의미한다(‘Musinsa’, 2022). 주짓수 도복 브랜드 ‘Vital’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이즈 가이드인 <Fig. 3> 을 살펴보면 기준 호칭에 체형을 나타내는 약어를 조 합하여 ‘기준 호칭+S’, ‘기준 호칭+L’, ‘기준 호칭+H’, ‘기준 호칭+F’ 등과 같은 추가 호칭(additional size)을 사용하여 사이즈를 세분화하고 있다.
Ⅲ. Research Method
연구 대상 선정을 위해 주짓수 착용 경험이 있는 주짓수 수련인 남 5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선호하는 브랜드 예비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련인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선 택하거나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 수련인이 선호하는 브랜드 23개 중 유도복만 판매하 는 브랜드 1개와 2022년 12월 20일부터 12월 30일 기 간 동안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브랜드 1개 를 제외하고, 21개 브랜드(A&P, n.d.c;Adidas, n.d.a;Etcseoul, n.d.;Fightersmarket, n.d.a;Fightersmarket, n.d.b;Fightersmarket, n.d.c;Hyperfly, n.d.;Jiujitsukor, n.d.a;Jiujitsukor, n.d.b;Jiujitsukor, n.d.c;Jiujitsukor, n.d.d;Jiujitsukor, n.d.e;Kingz, n.d;Naver Smart Store, n.d.;Nvapor, n.d.;Shoyoroll, n.d.;Storm, n.d.;Ubermensi, n.d.;Vanguard, n.d.b;Vital, n.d.a;Vital, n.d.b)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Table 1).
도복 구매 방법을 통제하고자 주짓수 매거진 (“Domestic Jiu-Jitsu uniform sales site”, 2020)에 소개 된 주짓수 종합 쇼핑물 2곳과 종합 쇼핑몰에 입점되 지 않은 브랜드의 경우 포털 사이트 검색을 통해 생산 업체가 직접 유통하는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 다. 또한 남녀공용과 여성 전용 주짓수 도복으로 제한 하였으며, 상의와 하의를 분리하여 판매하는 제품과 리퍼 제품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여 총 612벌을 조 사하였다.
21개 브랜드의 바리에이션을 살펴보기 위해 일반 적 사항과 주짓수 도복 디자인, 사이즈 가이드를 조사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2년 12월 30일까지 10일 동안 각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상세 정보 내용을 수집하여 자료를 정리하였다. 일반 적 사항은 브랜드 생산국, 제품 유형, 가격을 조사하 였고, 주짓수 도복 디자인은 컬러와 소재 정보를 중심 으로 조사하였다. 주짓수 도복의 사이즈 가이드는 제 품 등록 시기에 따라 브랜드 내에서도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브랜드별 최근 등록된 주짓수 도복 사이즈 가 이드를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Ⅳ. Result
1. General information of Jiu-Jitsu uniforms
21개의 브랜드의 생산국, 제품 유형, 가격에 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주짓수 도복 브랜드의 생산국은 국내 브랜드 6개, 국외 브랜드 15개로, 종주국인 브라질부터 미국, 일본 등에서 생산하고 있었다. 주짓수 도복의 제품 유형은 일반 도복과 한정판 도복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정 판만 생산하는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 Mo, Va, Sh이고 Sh의 경우 주문 제작 판매를 하였다. 한정판을 생산하 지 않고, 일반 도복만 생산하는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 De, Vi, Nv, Ub와 국외 브랜드 Br, IG, Ja, Ta, St가 있었다. 그리고 한정판 도복과 일반 도복을 모두 생산 하는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 Ja, Jh와 국외 브랜드 Bu, BC, Ad, Ki, Hy, A&, VH로 나타났다. 도복의 가격은 최소 89,000원, 최대 590,000원으로 나타났다.
제품 유형에 따라 주짓수 도복의 가격을 빈도 분석 한 결과 일반 도복은 153벌, 한정판 도복은 110벌로 나타났으며, 일반 도복의 가격은 150,000~200,000원, 한정판 도복의 가격은 250,000~300,000원이 가장 많 이 나타나 일반 도복보다 한정판 도복의 가격이 더 높 은 것을 알 수 있었다(Fig. 4).
생산국에 따라 주짓수 도복 가격대를 빈도 분석한 결과 국내 브랜드 도복 174벌, 국외 브랜드 도복 438 벌로, 국내 브랜드 가격대는 150,000~ 200,000원, 국 외 브랜드 가격대는 200,000~250,000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외 브랜드는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생 산하고, 국내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보다 가격이 상대 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Fig. 5).
2. Jiu-Jitsu uniform design
1) Colors
<Table 3>은 주짓수 도복 컬러를 규정 컬러와 규정 외 컬러로 분류한 빈도 분석 결과이다. 규정 컬러는 화이트가 27.9%로 가장 높았으며, 규정 컬러인 블랙 24.5%, 블루 18.8%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정 외 컬러 는 규정 컬러와 동일하지만, 소재 또는 패치 규정에 따르지 않는 화이트 4.7%, 블랙 4.9%, 블루 2.3%로 나타났으며, 기타 컬러는 16.8%로 나타났다. 주짓수 도복은 화이트, 블루만을 사용하는 유도복과 다르게 규정 컬러 이외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컬러의 도복을 생산하기도 하지만 규정 내 컬러인 화이트, 블 랙, 블루의 생산 비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짓수 도복의 컬러를 규정 컬러와 규정 외 컬러로 분류했을 때, 브랜드 생산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able 4). 국내 브랜드에서는 규정 컬러 도복 64.9%, 규정 외 컬러 도복 35.1%로 나타났고, 국외 브 랜드에서는 규정 컬러 도복 73.7%, 규정 외 컬러 도복 26.3%로 국내 브랜드가 국외 브랜드보다 규정 외 컬 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별로 규정 컬러와 규정 외 컬러를 살펴보면, 국내 브랜드 Nv는 규정 내 도복을 생산하지 않고 규 정 외 도복만 생산하였으며, 국외 브랜드 BC, Sh, St 에서는 규정 외 도복을 생산하지 않았다(Table 5).
규정 외 기타 컬러는 네이비, 카키, 민트, 그레이 컬 러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그 외 표백하지 않은 면 색 상인 언블리치(unbleached) 컬러, 데님(denim) 등 다 양한 컬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복 컬러 규정에서는 깃과 상의의 컬러가 동일해야 한다 고 규정하지만, 깃과 상의 컬러의 불일치 제품도 있었 다(Table 6).
2) Fabric
주짓수 도복의 소재는 분석 대상에서 소재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의 11개, 하의 66개를 제외하고 상의 601개와 하의 546개를 분석하였다.
주짓수 도복 상의 소재를 브랜드 생산국에 따라 교 차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7). 주 짓수 도복 상의 소재는 펄 위브 78.9%가 가장 많았고, 싱글 위브 3%, 더블 위브 1.7%, 기타 소재 16.5%로 나타났으며, 기타 소재로는 유도복 원단인 다이아몬 드 패턴 사시코 원단, 브랜드 자체 개발 원단, 립스탑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브랜드 생산국에 따라 상의 소재를 살펴보면, 펄 위브는 국내 96.5%, 국외 71.1% 로 가장 많았고, 싱글 위브는 국내 1.2%, 국외 3.7%, 더블 위브는 국내 1.2%, 국외 1.9%로 나타났다. 기타 소재로는 국내 1.2%, 국외 22.7%로 국외 브랜드가 국 내 제품보다 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주짓수 도복 하의 소재를 브랜드 생산국에 따라 교 차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8). 주 짓수 도복 하의 소재는 립스탑이 58.2%로 가장 많았 고, 트윌 34.2%, 캔버스 4%, 기타 소재로 헤링본, 데 님 소재 등이 3.5%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생산국 에 따라 하의 소재를 살펴보면, 립스탑이 국내 58.9%, 국외 57.9%로 가장 많았고, 트윌은 국내 39.3%, 국외 32%로 국내 브랜드가 더 많이 사용하였다. 캔버스는 국내 1.8%, 국외 5%로 국외 브랜드가 더 많이 사용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타 소재 5%는 국외 브 랜드에서만 사용하였다. 따라서 국내 브랜드보다 국 외 브랜드가 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3. Sizing system of Jiu-Jitsu uniform
주짓수 도복 호칭 체계는 <Table 9>와 같다. 모든 브랜드에서 남녀공용 기준 호칭은 A00, A0, A1, …, A6와 같이 ‘A+숫자’로 표기하여 호칭을 사용하였고, 숫자가 커질수록 큰 사이즈임을 의미하고 있었다. 기 준 호칭을 가장 많이 전개한 브랜드는 Jh, VH, Ja로 6개의 기준 호칭을 사용하였다. Jh, VH는 A00부터 A5까지 호칭을 전개하였고 Ja는 A0부터 A6의 호칭 을 전개하였다. Mo, Ad, IG에서는 기준 호칭 4개로 가장 적은 호칭을 사용하였고, 이 브랜드에서 전개된 A0, A1, A2, A3 호칭은 모든 브랜드에서 공통되게 나 타났다. 또한 여성 전용 호칭은 Jh, VH, Br, Hy에서 F1, F2, F3과 같이 ‘F+숫자’로 표기하여 호칭을 사용 하였다. 추가 호칭은 기준 호칭보다 팔다리 길이가 긴 L, 너비가 넓게 설계된 H/W와 좁게 설계된 F, 그리고 기준 호칭 사이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S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기준 호칭 A00부터 A3 범위 내에서 전개되 었다. 추가 호칭을 가장 많이 전개하는 브랜드는 De, Vi로 나타났으며 Nv, Va, St, Ja에서는 추가 호칭을 사용하지 않았다.
기준 호칭과 추가 호칭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호칭 을 사용하는 브랜드는 VH로 19개 호칭을 전개하였으 며, Nv, St, Va는 가장 적은 5개 호칭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추가 호칭 종류를 3개 이상 사용하고 있는 브 랜드들은 기준 호칭을 5개 이상 전개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추가 호칭 전개는 L이 가장 많았으며, VH에 서는 L 호칭의 약어를 T(Tall)로 사용하였다. H/W 호 칭은 8개 브랜드에서 사용하였고, A&과 Sh에서는 H/W 호칭을 기준 호칭 A0부터 A3까지 전개했지만, A1H(A1W)만 제외하였다. F 호칭은 8개 브랜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e와 Vi에서는 F 호칭을 보통 체형의 여성이 착용하도록 가이드하고 있었다. S 호칭은 8개 브랜드에서 사용하였다. BC, Ta에서는 기준 호칭과 L 호칭을 전개하였으며, Ub, Ad, IG는 기준 호칭과 S 호칭을 전개하였다. 국내 브랜드 Ja, Ub는 기준 호칭 숫자에 0.5를 뺀 A0.5, A1.5…와 같은 표기 방법을 사용해 S 호칭을 표기하기도 하였으며, Ja는 A0.5에 추가 호칭 F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준 호칭을 가장 적게 전개한 브랜드 중 Ad와 IG는 S 호 칭만을 사용하여 사이즈 체계를 세분화하였다.
이상과 같이 주짓수 도복은 통일된 남녀공용 호칭 을 사용하고, 여성을 위한 여성 전용 호칭, 체형을 반 영한 추가 호칭을 사용하여 사이즈를 세분화하고 있 었다. 그리고 브랜드별 추가 호칭의 경우 동일한 의미 를 가지지만 표기를 달리하기도 하였다. 각 브랜드의 주짓수 도복 호칭 표기 방법을 요약한 내용은 <Table 10>과 같다.
21개 브랜드의 호칭별 사이즈 가이드에서는 대부 분 키와 몸무게를 제시하고 있으나, Hy는 도식화에 의한 부위별 제품 치수를 제공하였으며, Ad와 Nv는 키와 제품 치수를 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키와 몸무 게를 제공하는 18개 브랜드의 공통 기준 호칭인 A0부 터 A3의 사이즈 가이드 산점 분포도는 <Fig. 6>과 같 다. 각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호칭별 사이즈 가이드는 생산 업체가 동일한 De와 Vi를 제외하고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브랜드에서 모두 사용하고 있는 A0~A3 호 칭의 키와 몸무게를 살펴보면 A0은 최소 150cm, 40kg, 최대 168cm, 70.3kg, A1은 최소 152.4cm, 50kg, 최대 177cm, 77.1kg, A2는 최소 168cm, 65kg, 최대 185cm, 90kg, A3은 최소 177cm, 75kg, 최대 195cm, 110kg으로 나타났다. 주짓수 도복 브랜드의 호칭별 사이즈 가이드에서 제공하는 키와 몸무게는 제각각으로 다르고 각각의 편차도 크게 나타났다.
여성 전용 호칭을 전개하는 Jh, Br, VH 브랜드의 사이즈 가이드 산점 분포도 결과는 <Fig. 7>과 같다. 여성 전용 호칭에서도 서로 다른 사이즈 가이드를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호칭별 키와 몸무게를 살 펴보면 F1은 최소 150cm, 45kg, 최대 165cm, 65kg, F2는 최소 155cm, 44kg, 최대 168cm, 65kg, F3은 최 소 168cm, 55kg, 최대 175cm, 70kg으로 나타났다. 여 성 전용 호칭별 키와 몸무게는 공용 호칭에서와 같이 브랜드마다 서로 다르고, 각각의 편차도 큰 편이었다.
주짓수 도복의 브랜드별 사이즈 가이드를 중심으 로 분석한 사이즈 체계는 각 호칭별 키와 몸무게의 범 위가 모두 달랐다. 이러한 주짓수 도복 브랜드에 나타 난 호칭 전개의 다양성과 사이즈 가이드의 차별성으 로부터 브랜드 바리에이션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Ⅴ.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주짓수 도복의 21개 브랜드 제품 을 대상으로 브랜드 생산국, 제품 유형, 가격, 컬러, 소재, 사이즈 체계를 조사하여 브랜드 바리에이션 을 살펴봄으로써 주짓수 도복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짓수 도복의 일반사항 조사 결과, 주짓수 도복의 제품 유형은 일반 도복과 한정판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한정판 도복이 일반 도복보다 가격대가 높았다. 그리고 국외 브랜드가 더 다양한 가격대의 도 복을 생산하였고, 국내 브랜드 도복보다 국외 브랜드 도복의 가격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짓수 도복의 디자인 조사 결과, 컬러는 화 이트, 블랙, 블루의 규정 컬러가 규정 외 컬러보다 높 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국내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보 다 규정 외 컬러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상의 소재는 펄 위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하의 소재는 립스탑 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생산국에 따른 소재의 다양 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국외 브랜드가 국내 브랜드보다 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였다.
셋째, 주짓수 도복 브랜드의 사이즈 가이드를 조사 한 결과, 남녀공용 기준 호칭은 최소 A00에서 최대 A6까지 전개되었고, 숫자가 커질수록 큰 사이즈임을 의미하였다. 4개의 브랜드에서는 여성 전용 호칭인 F1에서 F3까지 생산하였다. 추가 호칭은 기준 호칭보 다 팔, 다리 길이가 길게 설계된 L 호칭을 가장 많이 전개하였다. 가장 많은 호칭을 사용한 브랜드는 19개 의 호칭을 전개하였으며, 가장 적은 호칭을 사용한 브 랜드는 5개의 기준 호칭만 사용하였다. 주짓수 도복 의 추가 호칭은 의미가 동일하지만 브랜드에 따라 추 가 호칭의 표기 방법이 다양하였다.
넷째, 주짓수 도복 브랜드의 사이즈 가이드에서는 키와 몸무게를 가장 많이 제공하였으며, 기준 호칭과 여성 전용 호칭의 키와 몸무게 정보는 브랜드마다 다 르고 호칭별 키와 몸무게의 치수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조사를 통한 임의 표집으로 선호 브 랜드를 추출하여 통계적 검정에는 제한점이 있었으 나, 국외 주짓수 도복 브랜드가 국내 브랜드보다 더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브랜드별 호칭과 사이즈 가이드에 나타난 다양성과 차이는 주짓수 도복 브랜드의 바리에이션을 보여주는 뚜렷한 특징으로 볼 수 있으나, 동일 호칭에서의 서로 다른 사이즈 가이드는 구매자가 적합한 사이즈를 선 택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이즈 선택 기준 및 요구 사항 등 을 파악하여 주짓수 도복 사이즈 가이드에 대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국내 주짓수 도복 개발에 필요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무도복 업체의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