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6 pp.881-90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6.881

A study on the upper body type and size of men aged 30-44 for men jacket pattern design

Dong Kuk Kwon†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Konkuk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dyne3013@hanmail.net)
November 4, 2021 December 20, 2021 December 22, 202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dult men’s body sizes and shapes and suggest size specification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academia and industries. A total of 814 adult men aged 30-44 were selected from the 7th Size Korea data, and 55 direct upper body measurement and calculation item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In individual Individual differences, thickness, circumference, and width were high, and height and length were low. Height above the waist base line and shoulder dimension decreased in early 40s age group, while height below the waist base line declined as age increased. In addition, buttocks shape changes were found in early 40s age group.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upper body and upper-extremity horizontal size’, ‘torso height and upper extremity length’, ‘shoulder dimension’, ‘upper body length’ and ‘shoulder angle’ were derived. Using clustering analysis, four different body types were classified: i) big abdomen with flat chest, ii) slender with big, raised shoulders, iii) dwarfish with small, droopy shoulders, and iv) obese with large shoulders. ‘Slender with big, raised shoulders’ was a typical body shape among men aged 30-44. In older participants, the ‘big abdomen with flat chest’ ratio was low, while ‘obese with large shoulders’ was more common. This study proposed size specifications by body type consider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남성 재킷 패턴 설계를 위한 30-44세 남성의 상반신 체형 및 유형별 사이즈 연구

권 동 국†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박사수료

초록


    I. Introduction

    2020년 대한민국의 패션 시장은 매출액 기준 33조 원의 규모로 그중 남성 정장의 매출액이 3조 8,800억 원으로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한국패션마켓트 렌드조사(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KOFOTI], 2021)에서는 성인 남성 의 연령대를 Young(13~29세), Career(30~44세), Adult(45~59세), Elderly(60세 이 상)로 구분하여 구매율을 분석한 결과, 2020년 상반기 기준 30대와 40대 연령이 각각 35.0%, 36.3%였으며 하반기 기준 39.6%, 41.1%로 전체 연령대에서 구매 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0대, 40대 남성 들의 정장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2020 상반기에 30대는 착용 맞음새, 40대는 색상이었 으며, 2020 하반기에는 두 연령대 모두 착용 맞음새로 나타나 의복구매 시 착용 맞음새가 매우 중요한 요인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인 남성 30대와 40대의 구 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 체형에 대한 신체 치수 및 신체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여 기성복 치수체계 수 립 및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스펙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한 인체 측정 자료 및 체형 정보는 한 국인 인체치수 조사 사업(Size Korea)을 통해 제공 받 을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사이즈코리아 측정치를 활용한 연구로는 인체 의 직접측정치 분석을 통한 체형 유형화에 관한 선행 연구로 성인 남성의 하반신 체형에 관한 연구(Cha, 2019a;Kim, 2015;Lee & Do, 2015;Lee & Suh, 2011;Sung, 2004) 및 성인 남성의 상반신 체형에 관 한 연구(Cha, 2019b;Kim, 2018;Kim, 2020;Lee, Jun, & Choi, 2013;Ryu & Oh, 2017) 등이 있으며, 이들 연구는 대부분 인체 측정치 분석을 통한 신체 특 성 파악 및 체형 유형 분류에 집중되어 고찰된 경우가 많고 사이즈 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 이즈스펙 제시까지 접근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었 다. 또한 성인 남성 재킷의 여유량에 관한 연구는 Kang and Choi(2004), Kim and Kim(2015), Li and Shim(2007), Park and Lee(2013)의 연구 등이 있으나, 이들 연구는 교육용 패턴 제도 방법에서 여유량을 계 산하여 설정하거나 15년 이상 경과된 자료이므로 현 재 업체에서 사용하는 패턴 제도 방법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한국패 션마켓트렌드조사(KOFOTI, 2021)에서 착용 맞음새 를 가장 중요시한 연령으로 조사된 한국 성인 남성의 ‘Career zone(30~44세)’의 신체 치수 변화 및 체형 유 형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여 남성 정장 재킷 패턴 설계 를 위한 사이즈스펙을 학계 및 업계에 제공함으로써 남성 상반신 치수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함과 동시에 구매 만족도 높은 재킷 패턴 설계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Background

    성인 남성복의 시장규모 및 패션 관심도가 증가됨 에 따라 성인 남성 재킷의 맞음새에 관한 연구도 꾸준 히 진행되어 왔다. 연령대 및 각 시대별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ark and Sohn(2001)의 연구에서는 30대 전 반 연령대의 45%가 가슴둘레의 맞음새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불만족 부위로 30대 전반에서는 목둘레, 어깨너비, 소매길이, 30대 후반에 서는 전체여유, 목둘레, 소매길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Seok and Kim(2006)의 연구에서는 남성 기성복 정장 재킷과 바지 모두 ‘약간의 여유’가 있는 것을 선 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im and Suh(2011)는 30 대 남성 소비자는 당시 남성복의 패션 경향이 과거보 다 날씬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정 장 스타일에 따라 소유 현황 및 정장 구매 시 고려사 항이 달라지며, 재킷의 불편한 부위와 개선할 부위가 달라진다고 하였다. 따라서 재킷의 각 부위별 적정 여 유량은 신체적합성뿐 아니라, 유행 경향도 반영해야 하며, 이를 적용한 사이즈스펙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 하다. 구체적으로 이를 반영하여 여유량을 제시한 연 구로는 Kang and Choi(2004), Kim and Kim(2015), Li and Shim(2007)의 연구 등이 있다. Kang and Choi (2004)는 35세를 기준으로 35세 미만에서는 가슴둘레 20.0cm, 허리둘레 20.5cm, 엉덩이둘레 15.5cm, 위팔 둘레 8.9cm, 어깨 3.7cm, 소매길이 5.5cm 여유량을 분 석하였으며, 35세 이상 연령에서는 가슴둘레 21.3cm, 허리둘레 19.8cm, 엉덩이둘레 16.0cm, 위팔둘레 9.6cm, 어깨 4.5cm, 소매길이 5.0cm의 여유량을 제시하였다. Li and Shim(2007)은 재킷 원형의 경우 가슴둘레 8.8cm, 허리둘레 16.0cm, 앞품 1.1cm, 뒷품 1.4cm, 어 깨길이 1.1cm, 등길이 0.8cm의 여유분으로 제시하였 다. Kim and Kim(2015)은 외관 평가와 동작 평가 결 과를 비교 분석하여 도출한 적정 여유분은 1버튼 재 킷에서는 가슴둘레+7.5cm, 허리둘레+10.5cm, 엉덩이 둘레+9cm이고, 2버튼 재킷과 3버튼 재킷에서는 가슴 둘레+10.5cm, 허리둘레+13.5cm, 엉덩이둘레+12cm이 며, 4버튼 재킷에서는 가슴둘레+13.5cm, 허리둘레 +16.5cm, 엉덩이둘레+15cm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성인 남성의 착용 맞음새 선호도와 그에 따른 재킷의 사이즈스펙이 변 화하고 있으나 관련된 최신 연구가 미미하므로, 본 연 구에서는 업체에서 최근 사용하고 있는 사이즈 분석 을 통해 정장 재킷 패턴 설계를 위한 사이즈스펙을 학 계 및 업계에 제공하고자 한다.

    III. Method

    1. Research subjects

    본 연구는 제7차 Size Korea 자료의 30~44세 남성 8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Table 1>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측정치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Analysis items and analysis methods

    분석항목은 <Table 2>와 같이 30~44세 남성의 직 접측정치 49항목과 계산치 6항목의 총 55항목으로 선 행연구(Cha, 2019a;Kim, 2018)의 항목을 참고하여 남성의 상반신 체형 특성 파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 는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직접측정치는 높이 8항목, 길이 12항목, 둘레 12항목, 두께 6항목, 너비 6항목, 기타 5항목의 49항목이며, 성인남성 상반신의 입체형 상을 파악하기 위한 계산치는 드롭치 3항목, 편평률 3항목의 6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Duncan test),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K-평균군집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 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의 직접측정 치 자료 중 30~44세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재킷 패턴 설계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직접측정치 49항목과 이 를 이용하여 계산한 드롭치 3항목, 편평률 3항목에 대 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각 항목의 변이계수 크 기를 분석하였다.

    둘째, 측정 항목 평균 및 유의차 검증을 위하여 직 접측정치 및 계산치의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을 실시하였다.

    셋째, 상반신의 체형 구성 요인 추출을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 내 항목들의 일관성 확인 을 위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요인점수를 독립변수 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유형화된 체형 유형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 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LO3D ver 6.1 for windows 프로그램에 군집유형별 기본 항목을 입력하여 3D 형 상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다섯째, 연령대별 군집유형의 인원 분포 및 대표 체형 파악을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30~44세 성인 남성의 재킷 패턴 설계에 필 요한 고정치수와 설계치수를 평균체형의 체형 수치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일곱째, 30~44세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재킷을 제 조 판매하고 있는 산업체의 기본치수를 참고하여 재 킷 설계에 필요한 여유량을 도출하였다.

    여덟째, 도출된 고정치수 및 설계치수와 여유량을 종합하여 체형 유형별 사이즈스펙을 도출하였다.

    III. Results and Discussion

    1. Analysis of measurements for men aged 30 to 44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asurements

    30~44세 남성의 직접측정치와 계산치 총 55항목의 평균 및 변이계수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변이계수 가 가장 낮게 나타난 항목은 키(3.107)이며, 직접측정 치 전체항목에서 변이계수가 4.5 미만으로 나타난 항 목은 높이항목 전체, 길이항목 중 팔길이(4.497), 너비 항목 중 어깨너비(4.336)로 나타났다. 변이계수가 14.0 이상으로 나타난 항목은 드롭치 전 항목과 기타 항목 의 몸무게(14.327), 오른쪽 어깨 경사각(23.026), 왼쪽 어깨 경사각(23.451)으로 나타났다.

    직접측정치에서 낮게 나타난 항목은 높이항목에서 키(3.107), 길이항목에서 팔길이(4.497), 둘레항목에서 손목둘레(4.950), 두께항목에서 가슴두께(8.546), 너비 항목에서 어깨너비(4.336) 기타 항목에서는 복부지방 률(5.076)이었으며 높게 나타난 항목은 높이항목에서 엉덩이높이(4.463), 길이항목에서 겨드랑뒤벽사이길 이(5.847), 둘레항목에서 허리둘레(9.458), 두께항목에 서 허리두께(12.527), 너비항목에서 허리너비(8.246), 기타 항목에서 왼쪽 어깨 경사각(23.451)으로 나타났 다. 이를 종합하면 30~44세 성인 남성 체형에서 키는 개인차가 가장 적고 왼쪽 어깨 경사각이 개인차가 가 장 많은 항목임을 알 수 있고, 전반적으로 몸무게와 어깨 경사각을 포함하여 두께와 둘레 너비 등의 항목 이 개인차가 높게 나타났으며, 복부지방률을 포함한 높이와 길이 항목 등이 개인차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 을 보였다.

    2) Characteristics of measurements by age group

    계측치의 연령대별 측정 결과는 <Table 4~6>과 같 으며, 연령대별 측정결과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높이항목과 길이항목의 측정 결과는 <Table 4>와 같이 높이항목 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 으며 30대 전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대 전기에 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목뒤높이를 제외한 허리 기준 선 이상 항목인 키, 어깨높이, 겨드랑높이는 30대 전 기와 30대 후기가 동일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40대 전기에서 감소하였으며, 목뒤높이를 포함한 허리 기 준선 이하의 항목인 허리기준선높이, 허리높이, 배꼽 수준허리높이, 엉덩이높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길이항목에서는 어깨사이길이, 어깨가쪽 사이길이, 위팔길이, 팔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항 목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30대 전기가 가장 높고 40대 전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어깨 크기 관련 항목인 어깨가쪽사이길이와 겨드 랑뒤벽사이길이는 30대 전기와 후기가 동일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40대 전기에서 감소하였다. 어깨사이 길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40대 전기에 서 어깨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팔길이 와 팔길이는 30대 후기와 40대 전기가 동일수준으로 낮게 나타나 30대 후기부터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30~44세 남성 체형에서 허리 기준선 이상 높이항목과 어깨크기에 관련된 항목은 40대 전 기에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허리기준선이하 의 높이항목은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팔길이는 30대 후기에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레항목에서는 <Table 5>와 같이 엉덩이둘레와 겨 드랑둘레, 손목둘레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엉덩이둘레와 겨드랑둘레는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반면 손목둘레는 30대 전기와 후기가 동일수준으로 낮게 나타났고, 40대 전 기에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인 다른 항목과 반 대 경향을 나타냈다.

    너비항목에서는 배꼽수준허리너비, 엉덩이너비, 어 깨너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배꼽수준허리너 비, 엉덩이너비항목은 30대 전기와 후기가 동일수준 으로 높고, 40대 전기에서 감소하며 어깨너비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두께항목에서는 엉덩이두께 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 으며, 엉덩이두께는 30대 전기와 후기가 동일수준으 로 높게 나타나고 40대 전기에서 감소하였다. 따라서 30~44세 남성의 엉덩이둘레는 연령에 따라 감소하나 두께와 너비는 40대 전기에서 감소하여 엉덩이형태의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겨드랑둘레는 연령에 따라 감소하고 배꼽수준허리너비는 40대 전기에서 감 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연령 증가 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이 둘레항목에서는 엉덩이둘레, 겨드랑둘레, 손목둘레로 나타났고, 너비 와 두께 항목에서는 배꼽수준허리너비, 엉덩이너비, 어깨너비, 엉덩이두께 등으로 높이와 길이항목에 비 해 적게 나타났다. 이는 비교적 젊은 30~44세 성인 남 성의 체형에서는 높이 및 길이항목은 연령 증가에 따 른 변화가 큰 반면 둘레 및 두께와 너비 항목은 변화 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엉덩이에 관련된 항목과 겨드랑둘레 및 손목둘레와 배꼽수준허리너비 및 어깨 너비에서만 연령 증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 을 알 수 있다.

    기타 항목에서는 <Table 6>과 같이 몸무게와 오른 쪽어깨경사각을 제외한 전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며, 몸무게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하였고, 오른쪽어깨경사각은 30대 전기에서 감소하여 40대 전기까지 동일수준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드롭 치에서는 가슴둘레-허리둘레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배꼽수준허리둘레-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모두 30대 전기가 가장 높게 나타 났고, 30대 후기와 40대 전기가 동일수준으로 나타났 다. 편평률에서는 배꼽수준허리너비/배꼽수준허리두 께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으며, 30대 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 후기와 40대 전기가 동일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2. Extraction of upper body components in men aged 30 to 44

    1) Analysis of upper body type factors of men aged 30 to 44

    성인 남성의 상반신 체형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접측정치 49개 항목 중 5 개 항목이 제거된 44개 항목이 요인분석의 변수로 이 용되어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전체 항목의 설 명력은 78.890%이며, <Table 7>과 같이 요인1은 25항 목으로 설명력이 38.953%, 고유치는 17.139로 나타났 다.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배둘레, BMI, 배꼽 수준허리두께, 허리두께, 허리너비, 배꼽수준허리너 비, 젖가슴둘레, 몸무게, 엉덩이둘레, 젖가슴두께, 가 슴둘레, 가슴두께, 목둘레, 엉덩이두께, 젖가슴너비, 위팔둘레, 복부지방률, 엉덩이너비, 겨드랑두께, 목뒤 젖꼭지길이, 가슴너비, 겨드랑둘레, 손목둘레 등으로 BMI와 몸무게, 복부지방률과 목뒤젖꼭지길이를 제외 하고는 모두 상체 및 상지의 둘레, 너비, 두께와 관련 된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요인1을 ‘상체 및 상지 수 평크기’ 요인이라 명명하기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 하기 위하여 BMI와 몸무게, 복부지방률과 목뒤젖꼭 지길이를 요인1의 항목 간 상관계수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상관계수가 모두 .50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1 은 ‘상체 및 상지 수평크기’ 요인이라 명명하였다. 요 인2는 9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명력이 19.445% 고유치는 8.556으로 허리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 덩이높이, 목뒤높이, 허리기준선높이, 어깨높이, 겨드 랑높이, 키, 팔길이 등 모두 체간부의 높이와 상지의 길이 항목을 포함하고 있어 ‘체간부 높이 및 상지길 이’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3은 4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설명력이 8.683%, 고유치 3.820으로 어깨 사이길이, 어깨가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어 깨너비 등 어깨 크기 관련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어깨 크기’ 요인이라 명명하였다. 요인4는 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명력이 7.890%, 고유치는 3.471로 앞중심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목뒤젖꼭지허리둘 레선길이, 등길이 등 모두 체간부의 길이항목을 포함 하고 있어 ‘상체 길이’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5는 2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명력이 3.920%, 고유 치는 1.725로 왼쪽어깨경사각, 오른쪽어깨경사각 등 모두 어깨 경사각 항목을 포함하고 있어 ‘어깨 경사 각’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연령별대별 요인점수는 <Table 8>과 같이 상체 및 상지 수평크기 요인과 상체길이, 어깨 경사각 요인은 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간부 높 이 및 상지 길이 요인은 30대 전기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고, 40대 전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연령이 증가 함에 따라 체간부 및 상지의 길이가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깨크기 요인은 30대 전기와 후기가 동 일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30대 전기가 가장 낮게 나 타나 남성 체형의 어깨크기는 40대 전기에서 감소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2) Type of upper body type and characteristics of men aged 30 to 44

    성인남성의 상반신 체형 유형화를 위하여 요인분 석으로 추출된 5개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의 수를 3집단, 4집단, 5집 단, 6집단으로 지정해가며 분석한 결과, <Table 9>와 <Fig. 1>과 같이 집단의 특성이 뚜렷이 구분되는 4개 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요인점수의 체형유형별 특성을 유추해 보면 유형1 은 체간부 높이 및 상지길이가 가장 크고, 어깨 크기 는 평균이며 어깨 경사각이 가장 낮은 체형임을 알 수 있다. 유형2는 체간부 수평크기가 가장 작고 어깨 크 기가 평균보다 큰 체형이며, 유형3은 어깨 경사각은 가장 높고 체간부 높이 및 상지 길이와 상체길이가 가 장 작은 체형이고, 유형4는 체간부 수평크기와 상체 길이가 가장 크고 긴 체형임을 알 수 있다.

    요인별로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면 <Table 10>과 같 이 상체 및 상지 수평크기인 요인1의 항목에서 유 형1은 BMI와 엉덩이너비를 제외한 전 항목이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BMI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유형4를 제외한 전 유형이 동일수준으로 낮게 나타나 BMI는 평균 수준 임을 알 수 있으며, 엉덩이너비는 유형4와 동일수준으 로 높게 나타났다. 드롭치와 편평률은 <Table 12>와 같이 드롭치에서는 배꼽수준허리둘레-허리둘레를 제 외하고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고, 배꼽수준허리둘레-허 리둘레는 가장 높게 나타나 복부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편평률에서는 가슴너비/가슴두께를 제외한 전 항목이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고, 가슴너비/가슴두께는 가장 높게 나타나 가슴의 형태가 편평한 것을 알 수 있다. 유형2는 몸무게, 가슴둘레, 젖가슴너비, 엉덩이 너비, 목뒤젖꼭지길이, 가슴너비, 손목둘레를 제외한 전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젖가슴너비, 엉덩이 너비, 가슴너비는 평균수준으로 나타났고, 몸무게, 가 슴둘레, 목뒤젖꼭지길이, 손목둘레는 다소 작게 나타 났다. 드롭치와 편평률에서는 배꼽수준허리둘레-허리 둘레를 제외한 전 항목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배꼽 수준허리둘레-허리둘레는 평균 수준으로 나타나 체간 부가 날씬하고 가슴과 복부가 다소 작고 편평한 형태 임을 알 수 있다. 유형3은 엉덩이두께와 복부지방률을 제외한 전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엉덩이두께는 다소 작고 복부지방률은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드롭 치와 편평률에서는 드롭치는 전 항목이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편평률에서는 가슴너비/가슴두께를 제외 한 전 항목이 다소 작게 나타났고, 가슴너비/가슴두께 는 평균 수준으로 나타나 가장 왜소하고 체간부의 굴 곡이 크지 않은 체형임을 알 수 있다. 유형4는 전 항목 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드롭치와 편평률은 전 항목 이 가장 낮게 나타나 체간부가 가장 크고 비만하며, 굴 곡이 없는 둥근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체간부 높이 및 상지길이 요인인 요인2 항목에서는 <Table 11>과 같이 유형1이 전 항목에서 가장 크게 나 타났으며, 유형3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유형2는 허리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덩이높이 는 평균 수준이고 팔길이는 다소 길며 나머지 항목은 다소 작게 나타났고, 유형4는 허리높이, 배꼽수준허리 높이, 엉덩이높이는 평균 수준이고 팔길이는 다소 짧 으며 나머지 항목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어깨크기 요 인인 요인3 항목에서는 유형1은 어깨너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형3을 제외한 전 유형이 동일수준으로 높게 나타나 평균 수준임을 알 수 있고, 어깨너비를 제 외한 항목 또한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형2는 전 항목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유형3은 전 항목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유형4는 어깨사이길이를 제외한 전항 목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어깨사이길이는 평균수준 으로 나타났다. 상체길이 요인인 요인4 항목에서 유 형1은 전 항목이 다소 크게 나타났고, 유형2는 전 항 목이 다소 작게, 유형3은 전 항목이 가장 작게 나타났 으며, 유형4는 전 항목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어깨 경 사각 요인인 용인5 항목에서 유형1과 유형4는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고, 유형2는 가장 작게, 유형3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 면 <Table 13>과 <Fig. 2>와 같이 유형1은 체간부 높 이 및 상지길이가 가장 크며 체간부 수평 크기는 평균 이나 복부가 작고 가슴이 편평한 체형이다.

    유형2는 체간부 높이 및 상지 길이가 다소 작으나 팔길이가 다소 길며, 체간부 수평크기가 가장 작아 체 간부가 날씬하고 어깨가 가장 크고 솟은 체형이고, 유 형3은 체간부 높이 및 상지길이와 어깨크기가 가장 작고 체간부 수평크기도 가장 작으며, 어깨 경사각은 가장 높아 키가 작고 왜소하며 작고 처진 어깨인 체형 임을 알 수 있으며, 유형4는 키는 다소 크고 체간부가 크고 비만하며 상체가 길고 어깨가 큰 체형이라 할 수 있다.

    3)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people of body type by age group

    연령대별로 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Table 14> 및 <Fig. 3>과 같이 30대 전기에는 유형1>유형3>유형2> 유형4 순으로 나타나 유형1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 으며, 30대 후기에는 유형2>유형3>유형1>유형4 순으 로 유형2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유형4는 30대 전기와 후기 모두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40대 전 기에는 유형2> 유형3․유형4>유형1 순으로 나타나, 유형2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유형1은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면 키와 복부가 큰 체형은 30대 전기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연령이 증 가함에 따라 비율이 감소되며, 체간부가 비만하며 상 체가 크고 긴 체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율이 증 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날씬하고 어깨가 큰 체형은 30 대 후기에서 분포가 증가하여 40대 전기까지 가장 높 은 분포를 보였으며, 전체 연령에서도 가장 높은 분포 를 보여 30~44세 성인 남성의 대표 체형이라 할 수 있다.

    3. Analysis of upper body standard dimensions and size specifications for designing jacket patterns for men aged 30 to 44

    1) Setting the upper body standard for male jacket pattern

    연령대별 계측치 분석결과, 계산치를 제외한 직접 측정치 항목 중 재킷 패턴 설계에 필요한 필요치수 14 개 항목에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5 개 항목을 포함하여 <Table 15>와 같이 제시하였다.

    재킷 설계에 필요한 치수 중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은 항목은 전체 연령의 평균치로 설정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연령대 평균의 최대값 과 최소값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레이딩시 사이즈 편 차와 비교하여 기준 치수를 설정하였으며, 전체 계측 치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하여 설정하였다. 또 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 중 최소값으로 설정할 시 최대값의 수치가 포함된 인원의 착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비교 군집인 원의 이탈을 최소화 하였다. 분석결과, 등길이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전체의 평균치를 사용하 여 444mm로 설정하였다. 어깨가쪽사이길이는 연령 간 유의차를 나타냈으나 연령 평균간 차이가 10m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산업체에서 그레이딩시 어깨가 쪽사이길이의 사이즈 간 편차를 10~20mm로 설정하 는 것을 감안하여 전체 연령 최대치인 431mm로 설정 하였다. 배꼽수준등길이와 목옆허리둘레선길이는 두 항목 모두 연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연령 평균값인 484mm와 450mm로 설정하였으며, 팔 길이는 연령평균의 평균차가 13mm로 산업체에서 사 이즈 그레이딩시 사이즈 간 편차를 10~ 15mm 사이로 설정하므로 최대값인 593mm로 설정하였다. 겨드랑 앞벽사이길이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으므로 전체 평균인 379mm로 설정하였으며, 겨드랑 뒤벽사이길이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 령 평균차가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그레이딩 편차인 10mm 미만이므로 연령 평균 중 최대값인 420mm로 설정하였다. 가슴둘레와 배꼽수준허리둘레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전체 평균치인 988mm와 874mm로 설정하였으며 엉덩이둘레는 연령 간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그레이딩시 사이즈 간 편차를 40~50mm로 설정하는데 반해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 균차이가 23.006mm로 나타나 최대치인 978mm로 설 정하였다. 위팔둘레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므로 각각 320.0mm로 설정하였으며 손목둘레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그레이딩 사이즈 편차 가 5~10mm로 설정하는 것에 반해 최대값과 최소값 의 평균차가 3mm로 나타났으므로 최대값인 165mm 로 설정하였다. 겨드랑두께는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119mm로 설정하였으며, 오른쪽어깨경사 각은 연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 평균의 차 가 1도 미만으로 나타났으므로 최대치인 21도로 설정 하였다.

    2) Size specifications for men's jacket patterns by design specifications for each type

    연령대별 계측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기준 치수 값 을 토대로 <Table 16>과 같이 재킷 기본패턴의 고정수 치와 설계치수를 도출하였으며, <Fig. 4>와 같이 재킷 패턴 설계 시 각 사용부위를 제시하였다.

    고정치수는 항목별 기준치수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였으며, 배꼽수준등길이의 기준치수는 등 길이 보다 4.0cm 컸으므로 설계치수는 [등길이+4.0cm] 으로 설정하였고, 목옆허리둘레선길이의 기준치수는 등길이보다 0.6cm 컸으므로 설계치수는 [등길이 +0.6cm]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계산법으로 겨드 랑뒤벽사이길의 설계치수는 [어깨가쪽사이길이– 1.1cm]으로 설정하였고 겨드랑앞벽사이길이의 설계 치수는 [겨드랑뒤벽사이길이–4.2cm]으로 설정하였다. 배꼽수준허리둘레는 [가슴둘레–11.4cm], 엉덩이둘레 는 [가슴둘레–1.0cm], 겨드랑두께는 [가슴둘레⨯0.12] 으로 설정하였다.

    패턴 제작에 필요한 여유량은 산업체에서 사용하 고 있는 기본사이즈와 30~44세 성인 남성의 평균 사 이즈를 참고로 하였다. 참고로 삼은 산업체는 30~40 대 남성 재킷을 판매하는 판매율 상위 10위 이내의 3 개 업체로 <Table 17>과 같이 산업체 기본 사이즈의 평균치와 30~44세 성인 남성의 연령대별 평균치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재킷 패턴의 여유량을 설정하였다.

    여유량은 산업체 사이즈 평균과 신체평균의 차를 구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계산하였으 며, 항목별로 살펴보면 등길이는 산업체평균과 신체평 균의 차가 0.933cm로 0.9cm로 설정하였으며, 어깨가쪽 사이길이는 평균차가 2.2cm로 나타나 2.2cm로 설정하 였다. 팔길이는 평균차가 3.023cm로 나타나 3.0cm로 설정하였고, 가슴둘레는 평균차가 5.533cm로 5.5cm로 설정하였다. 위팔둘레는 평균차가 5.933cm로 나타나 5.9cm로 설정하였고, 손목둘레는 평균차가 11.333cm 로 나타나 11.3cm로 설정하였다. 도출된 재킷의 설계 치수 및 여유량을 바탕으로 평균 체형의 재킷 기준 사 이즈스펙과 체형 유형별 재킷의 사이즈스펙을 <Table 18>과 같이 설정하였다. 체형 유형별 사이즈스펙에 필요한 체형 사이즈는 산업체에서 재킷 패턴 설계시 필요로 하는 항목인 등길이, 어깨가쪽사이길이, 팔길 이, 가슴둘레, 위팔둘레, 손목둘레의 체형 유형별 사 이즈를 사용하였으며, 오른쪽어깨경사각은 평균 치수 는 21도로 나타났으나 체형 유형별 어깨 경사각이 체 형 유형 특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판단되어 각 유형별 오른쪽 어깨 경사각을 사용하였다. 도출된 사 이즈스펙을 분석한 결과, 유형1은 평균 체형의 사이즈 스펙과 가장 근접하므로 산업체에서 평균 체형의 사 이즈 스펙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형 2는 평균체형보다 날씬하지만 어깨는 큰 체형의 사이 즈스펙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유형3은 평 균보다 마른 체형의 사이즈스펙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유형4는 비만형 체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 라 판단된다.

    V. Conclusion

    본 연구의 목적은 30~44세 성인 남성의 인체 치수 변화 및 체형 유형 특성을 파악하고, 사이즈분석을 통 해 사이즈스펙을 정리하여 산업현장에는 구매만족도 높은 정장 재킷 패턴 설계를 위한 사이즈스펙을 제공 하고, 학계에는 남성 상반신 치수체계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제7차 한국 인 인체치수조사사업 자료의 30~44세 성인 남성 814 명이며, 상반신 직접측정치 49항목과 이를 이용한 계 산치 6항목의 총 55항목 데이터로 성인 남성 상반신 특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이계수 분석결과, 키는 개인 간 차이가 가 장 큰 항목이고, 왼쪽어깨경사각은 개인 간 차이가 가 장 낮은 항목이며, 전반적으로 둘레와 두께, 너비 등 의 항목이 개인차가 높았으며, 높이와 길이 항목 등이 개인차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드롭치는 개인차가 높 은 반면 편평률은 개인차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 령대별 측정치 분석결과, 30~44세 남성 체형은 허리 기준선 이상 높이항목과 어깨 크기 관련항목은 40대 전기에서 감소하고 허리기준선 미만의 높이 항목은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엉덩이둘레는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엉덩이두께와 너비는 40대 전기에 서 감소하여 성인 남성 체형의 엉덩이 형태변화가 40 대 전기에 나타났다. 셋째, 요인분석결과, 5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요인1은 ‘상체 및 상지 수평크기’요인, 요인2는 ‘체간부 높이 및 상지 길이’요인, 요인3은 ‘어 깨 크기’요인, 요인4는 ‘상체 길이’요인, 요인5는 ‘어 깨 경사각’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요인1, 요인4, 요인5 는 연령증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요인2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요인3은 40대 전기에서 감소하였다. 넷째,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 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1은 복부가 크고 가슴이 편평한 체형, 유형2는 팔길이가 길며 체간부가 날씬 하고 어깨가 크고 솟은 체형, 유형3은 키가 작고 왜소 하며 어깨가 작고 처진 체형, 유형4는 비만하고 상체 가 길며 어깨가 큰 체형이다. 다섯째, 연령에 따른 체 형 분포를 살펴보면 복부가 크고 가슴이 편평한 체형 은 연령 증가에 따라 분포가 감소하였고, 비만하고 어 깨가 큰 체형은 연령 증가에 따라 분포가 증가하였으 나, 전체 연령에서는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체간 부가 날씬하고 어깨가 큰 체형은 30대 후기와 40대 전기, 전체 연령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여 30~44세 성인남성의 대표 체형이라 할 수 있다. 여섯째, 재킷 설계시 등길이, 배꼽수준등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가슴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위 팔둘레, 겨드랑두께는 전체 평균 사이즈를 기준으로 설정 하며 어깨가쪽사이길이, 팔길이, 겨드랑뒤벽사 이길이, 엉덩이둘레, 손목둘레, 오른쪽어깨경사각은 연령대 평균의 최대치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평균치수를 분석하여 재킷 패턴 설계를 위한 설계치 수는 배꼽수준등길이는 [등길이+3.9cm], 목옆허리둘 레선길이는 [등길이+1.7cm], 겨드랑앞벽사이길이는 [겨드랑뒤벽사이길이–4.2cm], 겨드랑뒤벽사이길이는 [어깨가쪽사이길이–1cm], 배꼽수준허리둘레는 [가 슴둘레–11.4cm], 엉덩이둘레는 [가슴둘레–0.1cm], 겨 드랑두께는 [가슴둘레⨯0.12]로 나타났다. 여덟째, 재 킷의 각 부위별 여유량은 [등길이+0.9cm], [어깨가쪽 사이길이+2.2cm], [팔길이+3.0cm], [가슴둘레+5.5cm], [위팔둘레+5.9cm], [손목둘레+11.3cm]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20 한국패션마켓트렌드조사(KOFOTI, 2021)에서 정의한 Career zone(30~44세)의 성인 남성 을 대상으로 연령을 5년 단위로 세분화하여 제7차 사 이즈코리아의 측정치 분석을 통해 체형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체형 유형별 사이즈스펙에 대해 고찰하였 다. 본 연구의 차별점은 연령 증가에 따른 인체 측정 치의 증감분석 및 체형 유형에 대한 고찰뿐 아니라, 30~44세 대한민국 성인 남성 상반신 분석을 통해 기 준이 될 수 있는 평균 사이즈를 제시하고, 유형별 체 형에 따른 기준 사이즈스펙을 제시했다는데 있다. 추 후 연구에서는 도출된 사이즈스펙을 이용하여 재킷 패턴을 설계하고 시착복을 제작하여 심미성 및 동작 성 평가 분석을 진행하여 체형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여유량 및 설계치수를 분석한다면 좀 더 업체에서 사 용하기 편하고 구매 만족도가 높은 재킷 패턴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도출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Figure

    RJCC-29-6-881_F1.gif

    Characteristics of body type

    RJCC-29-6-881_F2.gif

    3D characteristics of each body type

    RJCC-29-6-881_F3.gif

    Body type ratio by age

    RJCC-29-6-881_F4.gif

    Item for applied to the pattern

    Table

    Distribution of subjects by age group

    Measurement items

    Upper body measurements of the middle-aged man (Unit: mm)

    Differentiation in upper body measurements for each age group (height, length) (Unit: mm)

    Differentiation in upper body measurements for each age group (circumference, depth, breadth) (Unit: mm)

    Differentiation in upper body measurements for each age group (other, drop rate, flatness) (Unit: mm)

    Factor analysis of measurement items

    Differentiation in factor scores for each age group

    Comparison of factor scores on body type

    The result of ANOVA by upper body types (Unit: mm)

    The result of ANOVA by upper body types (Unit: mm)

    Comparison of calculated measurements on body type (Unit: mm)

    Characteristics of each body type

    Distribution of subjects by the body type

    Item for pattern analysis (standard dimensions) (Unit: mm)

    Item for pattern analysis (fixed figure, design dimension) (Unit: cm)

    Item for pattern analysis (industrial relaxed figures) (Unit: cm)

    Design specifications for each type (Unit: cm)

    Reference

    1. Cha, S. J. (2019a). Lower body shape of middle-aged male -Focused on the 40s and 50s mal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4), 543-554.
    2. Cha, S. J. (2019b).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upper body shape of middle-aged mal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3), 457-467.
    3. Kang, Y. S. , & Choi, H. S. (2004). Characteristics to ensure optimum ease in men’s business jacke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91-102.
    4. Kim, E. K. (2018). Changes in upper body sizes and body types of men in their 30s for bodice patter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0(2), 73-87.
    5. Kim, J. M. (2015).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ower body shapes of men in their 50s and 60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8), 455-464.
    6. Kim, M. K. (2020). A study on the body sizes changes of men aged 19 to 34 by age group for apparel construc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4), 53-67.
    7. Kim, M. O. , & Kim, K. A. (2015). Patternmaking of slim-fit jacket sloper for men in their 30’s according to numbers of jacket buttons part 1 -Focusing on eas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5), 835-845.
    8. Kim, M. O. , & Suh, M. A. (2011). Survey on purchase and fitting of menswear suits according to styles for consumers in their 3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1), 191-199.
    9.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21). 2021 Korea fashion market trend -2020 research analysis & 2021 market forecasting-. Retrieved August 18, 2021, from http://www.fashionnet.or.kr/wpcontent/uploads/ebooks/2021/index.html
    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The 7th size Korea. Size Korea. Retrieved August 15, 2020, from https://sizekorea.kr/page/ report/1
    11. Lee, B. N. , & Suh, M. A. (2011). A classification of obese middle-aged men's lower body shap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150-1162.
    12. Lee, J. E. , & Do, W. H. (2015). Lower body type classification of Korean men in their 30’s for the development of slim-fit pants patter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2), 227-236.
    13. Lee, J. H. , Jun, J. I. , & Choi, K. M. (2013).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body type of adult men in their forties for automated pattern design.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9), 325-336.
    14. Li, E. J. , & Shim, B. J. (2007). Survey on use of basic bodice blocks at domestic men’s apparel companies and comparative study on men’s bodice block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4), 120- 134.
    15. Park, J. Y. , & Sohn, H. S. (2001). A research on purchase behavior and fit of men’s ready-made suit for Korean adult me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1), 45-60.
    16. Park, S. H. , & Lee, E. H.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ease of men’s jackets according to the pattern draft method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112-127.
    17. Ryu, Y. S. , & Oh, S. (2017). Classification of Korean elderly men’ body types -Focused on aged 70 to 85-.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5), 63- 74.
    18. Seok, H. J. , & Kim, I. S. (2006). The fit preference for ready to wear clothings 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8), 13-21.
    19. Sung, O. J. (2004). A study on lower body shapes from classification of middle aged me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4), 499-50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