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미국패션디자이너협회(The Council of Fashion Designers of America)는 최근 자기 몸 긍정주의(body positivity)에 발맞추어 패션디자이너와 기업들에게 보 다 폭넓은 사이즈 및 인종의 다양성을 적극 수용해 달 라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Yu, 2019). 자기 몸 긍정주 의는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는데, 획일적인 외모, 몸 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모든 형태의 몸을 긍정하자는 운동으로, 사회의 기준을 거부하고 개인의 개성을 중 요하게 생각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트렌드와 맞아떨어 지며 대중문화에 전파되기 시작(Content Korea Lab Gyeongnam, 2020)하였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체형 의 여성 모델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신체에 맞는 옷 을 입는 것은 일종의 권리가 되었다(Lee, 2019). 이러 한 흐름에 맞추어 세계적인 패스트패션(fast fashion) 브랜드들은 폭넓은 사이즈의 범위 안에 여성 쁘띠 (petite) 체형을 위한 XS(extra small) 및 XXS(double extra small)과 같은 스몰사이즈(small size) 제품을 포 함하여 생산하고 있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2017년 여성환경연대의 의류브 랜드 31곳의 사이즈 실태 조사 결과, XS부터 대형 치 수인 XXL(double extra Large)까지 모두 갖춘 브랜드 가 1곳에 불과하며, 최소 사이즈인 XXS을 취급하는 곳은 없어 대중적으로 구할 수 있는 사실상 가장 작은 사이즈인 XS부터 조사 대상에 포함하였다며, 의류업 체의 자의적 기준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 폭이 줄어든 것이라 지적하였다(Choi, 2017).
2019년에는 한국의 대표 패스트패션 브랜드 스파오 (SPAO), 에잇세컨즈(8seconds), 탑텐(TOPTEN)의 여 성 상의 사이즈는 S(small)․M(medium)․L(large) 3 단계로 제작되어, 여전히 해외브랜드에 비해 상당히 제한적인 것(Shin, 2019)으로 보도된 바 있었으며, 이 후 일부 품목에 한하여 XS 혹은 XXL사이즈를 생산 하여 사이즈의 다양화를 진행하고 있었다.
국내의 스몰사이즈 여성복 전문 자사 쇼핑몰은 2011년 엘걸(L’girl), 2014년 미니레이디(Mini lady), 2018년 44어패럴(44APPAREL) 등이 개설되었다.
세계적인 패스트패션 브랜드에서 국내 자사 쇼핑 몰에 이르기까지, 20대와 30대 연령층의 작은 키 여성 소비자들은 기성복 구매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며, 과 거와 다르게 기성복의 길이만 수선하여 입기보다 쁘 띠 체형에 맞는 의류를 찾아 구입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의 니즈는 매년 증가(Nam & Lee, 2020)하고 있 어 국내의 여성복 스몰사이즈 시장의 소비자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재킷은 여성복 가운데 가장 고난도의 제품 설계를 요구하고 소비자의 체형 변화에 민감하며, 현대 여성복 시장에서 주요 품목으로 자리 잡고(Lee & Lee, 2005) 있어 연구할 가치가 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작성 한 2021년 한국패션시장 규모 조사 상반기 보고서에 의하면 20대와 30대 여성 연령층에서 ‘현재 생활 형편 수준’과 ‘패션 제품 구매수준’ 항목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아(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21) 여성복 시장에서 소비지출수준이 높은 주요 고 객으로 사료된다.
이들을 코어 타켓으로 의류를 기획하는 영컨템포러 리 마켓은 기존의 컨템포러리에 비해서 더욱 젊어진 상품이다. 내셔널 브랜드의 강점인 아이덴티티와 웨어 러블한 감성, 더불어 적절한 가격대까지 갖추고 있으 며(Fashionbiz, 2008), 감도 있는 디자인과 다양한 콘셉 트로 20대와 30대 연령층의 고객을 타겟으로(Kang, 2017) 설정하는 영컨템포러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스몰 사이즈 재킷 제품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로 체형에 관한 연구와 재킷 제품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체형연구로 키 작 은 성인 여성의 체형 특성 및 유형 연구(Nam & Lee, 2020;Uh, 2018), 키 작은 성인 여성의 신체인식과 신 체만족도 분석(Lee, 2011)이 있으며, 재킷 제품에 관 련한 연구로 20대와 30대 여성의 재킷 치수체계와 소 비자 치수 만족도 연구(Lee & Lee, 2005), 재킷의 디 자인 유형과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Kim, 2019;Song & Park, 2017), 표준 체형을 벗어나는 플러스사이즈 여성을 위한 정장 재킷 사이즈 실태 연구(Ha, 2009)가 있으나, 스몰사이즈 여성을 위한 의류 제품에 대한 실 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의 제품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외 영컨템포러 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2021년 S/S 시즌의 여성복 스 몰사이즈 재킷 254벌을 선정하여 사이즈 체계, 핏에 따른 의복구성, 디테일, 색상, 가격에 대한 생산실태 를 분석하고자 한다.
Ⅱ. Methods
1. Data collection
‘KS K 0051: 성인 여성복 치수’에서 규정한 ‘S(P)’ 와 ‘M(P)’ 호칭의 신체 치수를 나타낸 <Table 1>을 기준으로 상의용 스몰사이즈를 생산하는 브랜드를 선 별한 후, 재킷의 앞․뒤․측면 사진이 있는 제품을 연 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21년 4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구글, 네이버 에서 ‘XS size’, ‘XXS size’, ‘EUR32 size’, ‘스몰사이 즈’, ‘영컨템포러리’, ‘키 작은 여자’ 등의 키워드를 검색하였고, 96개의 브랜드를 추출하였다. 그 중 연 구 대상인 스몰사이즈 재킷을 판매하는 브랜드는 해 외 9개, 국내 14개였으며, 총 23개 브랜드에서 254벌 의 재킷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브랜드의 제품은 자라 (ZARA) 38벌, 망고(MANGO) 22벌, 에이치앤엠(H&M) 13벌, 앤아더스토리즈(& Other Stories) 10벌, 에스올 리버(S.Oliver) 18벌,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 13벌, 띠어리(Theory) 13벌, 코스(COS) 4벌, 유니클로 (UNIQLO) 3벌, 에잇세컨즈 14벌, 마인(MINE) 8벌, 에스제이에스제이(SJSJ) 4벌, 오즈세컨(O’2nd) 3벌, 미샤(MICHAA) 12벌, 잇미샤(It MICHAA) 14벌, 린 (LYNN) 5벌, 라인(LINE) 11벌, 케네스레이디(Kenneth lady) 3벌, 제이제이지고트(JJ JIGOTT) 1벌, 플라스틱 아일랜드(PLASTIC ISLAND) 11벌, 엘걸 14벌, 44어 패럴 12벌, 미니레이디 8벌이다.
2. Data analysis
국내외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의 생산실태 연구 를 위해 사이즈 체계, 핏에 따른 의복구성, 디테일, 색 상, 가격으로 분류하여 총 11항목을 분석하였으며, 이 중 색상 항목의 자료 분석방법은 제품 사진을 Liquid Retina XDR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KS표준색 155a 컬 러칩과 한국색채표준디지털팔레트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모든 자료는 SPSS 26 통계패키지 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의사결정나무분석,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Ⅲ. Results and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영컨템포러리 브랜드의 2021년 S/S 시즌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254벌을 연 구대상으로 사이즈 체계, 핏에 따른 의복구성, 디테 일, 색상, 가격에 대한 생산실태를 분석하였다.
1. Size system
스몰사이즈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외 브랜드의 여 성복 재킷 사이즈 생산범위를 <Table 2>에 나타내었 으며, ‘KS K 0051: 성인 여성복 치수’와 ‘자라의 사이 즈 조견표’를 재편집하여 만들었다. <Table 2>를 통해 XS사이즈의 여성복 재킷을 생산하는 브랜드 중 8개 의 브랜드가 XXS사이즈까지 생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외브랜드 중 미국의 띠어리는 00, 0, 02, 04,…16, 18까지 총 11단계의 사이즈를 생산하여 그 범위가 가장 넓었으며, 전체적으로 해외브랜드는 5단 계 이상의 사이즈를 생산하여 국내브랜드와 비교해 볼 때 소비자 선택의 폭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브랜드는 대부분 3~4단계의 사이즈를 생산하 였으며, 스몰사이즈 전문 자사 브랜드인 엘걸, 44어패 럴, 미니레이디의 경우는 목표 고객층에 맞추어 사이 즈 범위를 좁게 2~3단계로 생산하여 타겟층 집중과 재고관리에 용이한 전략으로 운영하였다. 국내 패스 트패션 브랜드인 에잇세컨즈는 XS부터 L까지 4단계 의 사이즈를 전개하여 국내 패스트패션 브랜드 중 유 일하게 XS사이즈 여성복 재킷을 생산하였다. 이와 관 련된 기사로 2019년에 한국 대표 패스트패션 브랜드 스파오, 에잇세컨즈, 탑텐의 여성 상의 사이즈는 S․ M․L 3단계로 제작되어, 해외 패션 브랜드에 비해 상당히 제한적이었으며, 그 이유로 업계 관계자들은 패스트패션에서 재고처리는 기획․생산만큼 중요하 기 때문에 재고를 남기지 않기 위해 가장 보편적인 사 이즈를 생산해 판매한다는 것(Shin, 2019)으로 보도된 적이다. 이후 자기 몸 긍정주의가 대두되며 해당 브랜 드들은 일부 제품에 한하여 XS와 XL사이즈를 생산 하는 등 사이즈 전개의 폭을 넓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키를 줄이고 허리를 늘린 ‘현실 마네킹’을 도입(Oh, 2021)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단계적으로 문 제점을 개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제품을 생산하는 23개 브 랜드의 사이즈 표기 정보를 <Table 3>에서 유목별 빈도 로 살펴보았다. 사이즈 표기 방법은 숫자표기(52.2%), 숫자․문자 혼용표기(30.4%), 문자표기(17.4%) 순으 로 주로 표기되었으며, 사이즈 표기 범위는 2단계부 터 11단계까지 있었다.
사이즈 표기 현황에서는 Free사이즈로 표기하는 것 과 브랜드 자체 사이즈로 표기하는 것도 있었으며, Free사이즈나 브랜드 자체 사이즈로 4(44)/5(55)/6(66) 또는 76(44)/82(55)/88(66)과 같이 표기하는 것은 소 비자가 정확한 사이즈를 가늠하기 어려운 표기 방법 이다. 현재 KS 여성복 규격에서 상의의 경우, ‘가슴둘 레-키’의 호칭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규격에 맞추어 호칭을 표기하는 곳이 없어, 향후 생산 되는 재킷 제품에 대해 KS 규격의 호칭이 반영된다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국내외 브랜드의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정보 제 공 현황을 <Table 4>에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브랜 드는 ‘신체 참고 치수’ 정보로 가슴둘레 정보를 제공 하였으나, 국내 온라인 스몰사이즈 전문 자사 쇼핑몰 인 엘걸, 44어패럴, 미니레이디 3곳은 모두 해당 정보 를 제공하지 않아 호칭 부여의 기준을 알 수 없었다.
해외브랜드들은 대부분 ‘제품 실측 정보’를 제공하 지 않았으며, 브랜드의 ‘신체 참고 치수’ 정보가 표기 되어 있더라도 디자인에 따라 ‘제품 실측 정보’는 달 라지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불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반면, 국내브랜드는 제품의 전체 길이, 어깨 너비, 가슴너비 항목 등의 ‘제품 실측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고 있었으며, 디자인에 따라 허리둘레, 소매부 리둘레, 암홀둘레 등 추가적인 항목을 표기해 소비자 의 구매 결정을 돕고 있었다.
국내브랜드 14곳 중 10곳은 ‘신체 참고 치수’에서 키,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3가지 정보를 모두 제공하 는데, 이는 ‘KS K 0051’ 표준에서 가슴둘레, 엉덩이 둘레, 키 표기를 기본으로 제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 료된다.
<Table 5>에서 XS와 XXS사이즈의 ‘신체 참고 치 수’를 국내외 브랜드별로 상세히 비교하였다. XXS사 이즈의 가슴둘레는 76~80cm까지 4cm의 편차로 전개 되었으며, XS사이즈는 74~85cm까지 전개되어 편차 가 11cm 정도로 매우 컸다. 추가로 동일한 브랜드에 서 생산하는 S와 M사이즈의 가슴둘레 편차를 조사해 본 결과, S사이즈는 79~90cm, M사이즈는 86~97cm로 모두 11cm 정도의 편차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XXS사이즈는 특수한 사이즈이기 때문에 타겟 층에 집중될 수 있어 가슴둘레 편차가 4cm로 비교적 작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XXS사이즈 제품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 측하기 위하여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254벌을 대상 으로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하였다(Fig. 1). 예측 요인으로 12개의 항목(디자인 핏, 몸판 패널 구성, 재 킷 길이, 허리 다트, 소매구성, 소매길이, 칼라 & 네크 라인, 여밈, 잠금장치, 포켓 종류, 국내외 브랜드 구분, 가격)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상위 요인은 브랜드의 국내외 구분, 중위항목은 제품 의 가격, 하위항목은 재킷 길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 해 디자인적 요인보다 마케팅적 요인을 포함하는 국 내외 브랜드 구분과 제품의 가격에 의해 스몰사이즈 생산이 결정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8개의 가지 중 XXS사이즈의 생 산 여부 예측 조건을 알 수 있는 3개의 가지가 있었 다. 첫 번째 가지는 해외브랜드 중 169,000원 이상 가 격의 엉덩이선 높이의 재킷 길이일 경우 100%, 두 번 째 가지는 해외브랜드 중 169,000원 이상 가격의 손 가락 끝 높이의 재킷 길이일 경우 83.3%, 세 번째 가 지는 해외브랜드 중 109,000~169,000원 사이 가격의 엉덩이선 높이의 재킷 길이 또는 허벅지선 높이의 재 킷 길이일 경우 72.2%로 XXS사이즈의 생산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Clothing construction depending on fit and details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제품의 전체적인 외관 형 태를 결정하는 핏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으며, 스트레이트핏(49.6%), 베이직핏(34.6%), 슬림 핏(15.7%)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S/S시즌 여성복 메가트렌드로 홈웨어와 외출복의 경계가 허물어진 편 안함에 집중되어 몸에 딱 맞는 핏보다 릴랙스한 분위 기의 오버사이즈핏 혹은 여유로운 실루엣이 중요해졌 으며(Ann, 2021), 본 연구의 결과 또한 스트레이트핏 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 허리를 조이지 않는 편안한 핏 의 트렌드가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재킷 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전체적 인 외관 형태를 X형(아우어글래스), H형(스트레이트), A형(텐트), O형(벌크) 4가지 실루엣으로 분류(Song & Park, 2017)하거나, 실루엣 변형(Kim, 2019)에 관 한 분석까지 다양한 재킷 외관 형태가 보고되었으며, 영컨템포러리 마켓 또한 앞서 밝힌 것처럼 다채로운 콘셉트와 디자인이 핵심이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스몰사이즈 제 품에서는 실루엣의 다양성이 나타나지 않아 재킷의 기본원형에서 허리의 여유를 보여주는 핏(슬림핏, 베 이직핏, 스트레이트핏)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패션계에서 자기 몸 긍정주의로 인한 다양성과 포용성이 강조되고 있어도 실제론 재고관리 때문에 잘 팔릴 만한 기본적인 상품에 한해서 특수사이즈를 생산하며, 부가적인 옵션으로 치부(Ike, 2019)하고 있 는 현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7>에서 핏(슬림핏, 베이직핏, 스트레이트핏) 에 대해 의복구성요소 항목(재킷 길이, 몸판 패널 구 성, 허리 다트 구성, 소매길이, 칼라 & 네크라인 디자 인)을 교차분석한 결과, 핏에 따라 의복구성요소에 차 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킷 길이의 경우, 세 가지 핏에서 모두 ‘엉덩이선 높이의 재킷’이 가장 많이 관 측되었다. ‘허리선 높이의 재킷’은 기본적인 ‘손끝선 높이의 재킷’과 비교했을 때, 슬림핏과 베이직핏에서 관측빈도가 기대빈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크롭탑은 이번 여름 가장 각광받는 트렌드 중 하나로 상․하 의를 분리하여 시선이 나뉘기 때문에 대체로 다리를 길어 보이게 한다(Choi, 2021). 더불어 크롭형 재킷 또한 상대적으로 다리가 길어 보이는 효과를 가져 키 가 작은 사람들도 스타일리시하게 연출할 수 있다 (Esquire, 2021). 이러한 트렌드의 영향으로 ‘엉덩이선 높이의 재킷’과 ‘허리선 높이의 재킷’ 같은 길이감이 짧은 재킷이 ‘손끝선 높이의 재킷’보다 비교적 많이 생산된 것으로 사료된다.
몸판 패널 구성의 경우, 많은 교육용 교재에서 6패 널 패턴을 기본원형으로 사용하고 있는 만큼(Kim, 2015) 슬림핏과 베이직핏에서 6패널 패턴과 한 쌍의 허리 다트의 관찰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또한 기대빈 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이트핏에서는 4패널 패 턴과 허리 다트가 없는 몸판 구성의 관측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스트레이트핏의 직선 형태 구성에 따 른 결과로 사료된다.
소매길이의 경우, 기본적인 손목 길이의 긴소매가 세 종류의 핏에서 매우 높게 관측되었다. 봄, 여름 계 절임에도 불구하고 손목 길이의 긴소매 재킷이 높은 비율로 생산된 것은 생활상의 에어컨에서 비롯된 냉 방병 예방을 위해 피부에 직접적으로 바람이 닿지 않 도록 긴 소매 옷을 활용하는 것(Lee, 2021)과 여름에 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Tea, 2021) 등 의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칼라 디자인의 경우 슬림핏은 피크트칼라, 베이직핏과 스트레이트핏은 노 치트칼라 디자인이 빈도가 높게 관측되었다.
여밈과 잠금장치의 디테일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여밈에서 싱글브레스트 재킷(63.8%), 더블 브레스트 재킷(22.4%), 오픈 재킷(13.8%) 순으로 생 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단추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싱글브레스트 재킷 에서 1개 단추가 31.9%의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더블브레스트 재킷에서는 4개 단추가 13.4%, 오 픈 재킷에서는 잠금장치가 없는 디자인이 9.1% 정도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켓의 디테일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포켓의 경우, 디자인의 종류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재킷에 장식과 실용성을 더해주었다. 입술플랩형이 37.8%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입술형(11%), 플랩형 (10.6%), 패치(7.1%), 포켓이 없는 재킷(6.3%) 순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종류 이상의 포켓을 활용한 디자인은 전체에서 15.4%로 나타났으며, 웰 트포켓과 입술플랩포켓(6.3%), 웰트포켓과 플랩포켓 (3.1%), 웰트포켓과 입술포켓(2%) 등의 조합을 통해 포켓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활용을 볼 수 있었다.
3. Colors and prices
국내외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254벌은 427개의 색상으로 생산되었으며, ‘KS A 0011: 물체색’을 기준 으로 총 81개의 색상 종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Table 10>을 통해 75%의 누적 범위 이내에 나타난 20개의 색상 종류를 살펴보았다. 무채색의 Black(23%)과 White(13.3%)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유채색의 Whitish yellow red(4.7%), Whitish red(2.8%), Whitish yellow(2.6%)와 같은 베이지 계열과 Dark purple blue (3.3%), Blackish purple blue(3.0%)와 같은 네이비 계 열이 많이 관찰되었다. 이외에도 계절과 어울리는 색 상으로 Soft purple blue, Pale purple blue, Pale blue는 주로 스카이블루로 명명되어 사용되었으며, Pale red purple은 로즈핑크, Whitish blue green과 Pale green 은 아쿠아마린으로 명명되어 사용되었다. 추가로 전 체 색상 427개 중 무채색과 기본 색상을 제외한 256개 의 색상에서 색조(tone)를 분석한 결과, whitish(12.9%), pale(8.9%), light gray(8.9%), soft(7.3%), dull(4.7%)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름 색조의 유 형은 whitish, pale, light gray, light, soft, dull 등의 밝 고 부드러운 톤이 주를 이룬다고 발표한 Lee(2015)의 연구 분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국내외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의 가격 분석 결과, 가격대별 제품 분포 비율은 5~10만 원(30.3%), 10~15 만 원(19.3%), 15~20만 원(11.8%), 5만 원 이하(11.4%) 순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브랜드별 정가의 가격대를 제2사분위수를 통해 산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Fig. 2> 와 같다. 백화점 유통 라인의 여성복 리딩브랜드인 미 샤가 859,000원대, 마인이 695,000원대 순으로 고가의 제품이었으며, 반면, 글로벌 패스트패션 브랜드인 스 트라디바리우스가 40,500원대, 국내의 경우 온라인 스 몰사이즈 전문 자사 쇼핑몰인 44어패럴이 51,000원대 의 저가의 수준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이외에도 세계 적인 어패럴 그룹 에이치앤엠사의 브랜드인 에이치앤 엠이 59,900원대의 저가, 앤아더스토리즈가 165,000 원대의 중가, 코스가 290,000원대의 고가로 같은 그룹 내 브랜드들의 가격경쟁 구도가 전략적으로 기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개발을 위한 기 초자료로써 스몰사이즈 재킷 제품의 생산실태를 알아 보고자 영컨템포러리 브랜드의 스몰사이즈 재킷 254 벌을 대상으로 사이즈 체계, 핏에 따른 의복구성, 디 테일, 색상, 가격에 대한 생산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몰사이즈를 생산하고 있는 브랜드의 여성 복 재킷 사이즈 체계를 살펴본 결과, 해외의 경우 사 이즈 생산범위가 최소 5단계에서 최대 11단계, 국내 의 경우 최소 2단계에서 최대 5단계로 생산되었으며, XS사이즈의 여성복 재킷을 생산하는 23개의 브랜드 중 8개의 브랜드가 XXS사이즈까지 생산하고 있었다. 추가로 국내의 여러 브랜드에서도 자기 몸 긍정주의 가 대두되며 일부 제품에 한하여 XS와 XL사이즈를 생산하는 등 사이즈 전개의 폭을 넓히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이즈 체계 표기 방법은 숫자표기, 숫 자․문자 혼용표기, 문자표기 순으로 많이 표기하고 있었으며, 현재 ‘KS K 0051: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 에서 권장하는 ‘가슴둘레-키’로 호칭을 표기하는 곳은 없었다. 치수 정보 제공 현황의 경우, 공통적으로 가 슴둘레 치수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특히 국내브랜드 의 경우 대부분 KS 성인 여성복 치수 표준에서 권장 한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키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 적으로 제품의 실측 정보 또한 표기하여 소비자의 구 매 결정에 도움을 주었다. XXS사이즈 제품의 가슴둘 레는 76~80cm까지 4cm의 편차로 전개되는 반면, X S․S․M사이즈 제품은 가슴둘레 편차가 11cm 정도 로 매우 크게 나타나, 최소 사이즈 제품의 전개 시 특 수한 타겟층에 집중되어 치수 편차를 더 작게 설정함 을 알 수 있었다. XXS사이즈 생산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 과, 브랜드의 국내외 구분, 제품의 가격에 의해 생산 이 결정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을 핏에 따라 슬림핏, 베이직핏, 스트레이트핏 3가지로 분류한 후, 핏에 따 른 의복구성요소를 분석하여 5개의 항목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슬림핏과 베이직핏은 의복구성요 소로 엉덩이선 높이의 재킷 길이, 6패널 패턴, 한 쌍의 허리 다트가 주된 특징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이트 핏은 엉덩이선 높이의 재킷 길이, 4패널 패턴, 허리 다 트가 없는 몸판이 주된 특징으로 나타났다. 칼라 디자 인의 경우, 슬림핏은 피크트칼라, 베이직핏과 스트레 이트핏은 노치트칼라, 소매길이의 경우 모두 손목 길 이의 긴 소매가 높은 빈도로 생산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영컨템포러리 마켓의 다채로운 콘셉트와 실루 엣 디자인이 스몰사이즈 재킷 생산에 있어 어떠한 차 별성을 가졌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기본원형에서 허리의 핏이나 재킷 길이에 차이가 있을 뿐, 전반적인 외관 실루엣의 디자인은 다양하게 전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의 재고관리와 수익성 문제에 부딪혀 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되었다. 반면, 디테일 부 분에서 포켓의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포켓을 활용한 조합을 통해 여러 디자인으로 응용되어 기본적인 형 태의 재킷에 장식과 실용성을 더해주었다.
셋째,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의 색상 분석 결과, 블랙, 화이트, 베이지 계열, 네이비 계열이 높은 빈도 로 생산되었으며, 이외에도 봄과 여름의 계절감이 보 이는 스카이블루, 로즈핑크, 아쿠아마린과 같은 색상 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가격 분석 결과로는 5~10만 원 (30.3%), 10~15만 원(19.3%), 15~20만 원(11.8%)과 같이 중저가 수준의 가격대로 형성된 스몰사이즈 재 킷이 생산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21년 S/S 시즌에 한정한 자료 임을 밝히며, F/W 시즌의 생산실태 및 소비자 선호도 조사와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스몰사이즈 재킷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