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4 pp.471-48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4.471

A case study on change of body measurements and silhouette after wearing early 19th century corsets

Yoo Jeong Hahn, Jong Suk Chun*, Dong Ae Suh**, Seol Young Oh***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vi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vi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Design, Myongji Unviersity, Korea
***Lectur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vi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jschun@yonsei.ac.kr)
December 22, 2020 August 24, 2021 August 25,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to body measurements and silhouettes after wearing an early 19th century women’s corset. Two types of corsets were tested. Changes in body size and silhouette were compared based on the levels of tightening strength of the corset. The tightening strength was adjusted in 4 steps by making the length of back fastening string 10-40 cm shorter than the standard. The silhouette was compared with the front silhouette and the side silhouet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fter wearing the experimental 19th century corsets, the chest circumference and front interscye length increased. However, the chest circumference did not increase proportionally to the tightening strength. The under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back interscye length also decreased. The waist width was decreased to create a slim front silhouette. The change in the body silhouette differed depending on the style of the experimental corset. The experimental corset made with the six-piece torso pattern changed the posture so that the shoulders were pulled back and the chest was pushed forward. The experimental corset with the side bodice pattern resulted in the subject’s shoulders reclining backward and the chest and abdomen extending forw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omen’s body sizes and silhouettes could be changed by wearing the early 19th century corsets, but the changes in body size and silhouette vary depending on the wearer's individual body type or corset style.



19세기 초반 코르셋 착용에 따른 인체 치수와 실루엣 변화 사례연구

한 유정, 천 종숙*, 서 동애**, 오 설영***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교수
**명지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강사

초록


    I. Introduction

    19세기 초반 서양의 여성 드레스는 여성의 인체 실 루엣을 강조하였으며(Lee, Jung, & Cho, 2006), 여성 들은 드레스 안에 인체 실루엣을 보정하는 기능이 있 는 코르셋을 착용하였다. 따라서 19세기 언더웨어 착 용 후 나타나는 실루엣에 대한 고찰은 19세기 서양 여 성드레스의 실루엣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Lee et al., 2006). 19세기 초반 코르셋은 체형을 보정 하는 바디 쉐이퍼(body shaper)의 기능이 강하다는 특 징을 가지고 있다(Jeon & Kim, 2003). 체형을 보정하 는 기능을 가진 여성용 언더웨어는 1920년대 이후 보 정 부위에 따라 브레지어(brassiere), 올인원(all in one), 거들(girdle) 등으로 세분화되었다(Lee, 2002).

    19세기 서양 여성복의 특징을 연구한 선행연구들 은 19세기의 복식의 재현(Chung & Park, 2000;Lee & Lee, 2006), 구성 기술의 특성 분석(Moon, 2007;Ryu & Kim, 2015), 재킷 착용 후 나타나는 인체 실루 엣의 변화(Cha & Chun, 2011)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 부분의 연구가 19세기 후반 여성복에 집중되었다.

    19세기 코르셋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주제는 19 세기 코르셋 형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연구(Ko & Choy, 2000;Yoon, 2006), 19세기 코르셋을 고증하 여 제작하는 연구(Kim, 2003;Kim, Na, & Kim, 2011), 코르셋의 디자인 구성적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들이었 다(Kim, 2011;Park, 2008). 선행연구자들은 19세기 초반 코르셋이 체형 보정 기능을 발휘하는 요소로 버 스크(busk), 보닝(boning), 코딩(cording) 등을 언급하 였다. Steele(2001)는 앞중심에 삽입하는 버스크가 자 세를 바로 세우는 기능을 한다고 하였다. Lynn(2010)Salen(2008)은 코르셋의 바디스에 부분적으로 삽 입하는 보닝과 코딩도 여성의 실루엣을 입체적으로 표현해 주는 기능을 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Waugh (1954)는 19세기 초반 코르셋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트라푼토(trapunto) 장식도 체형 보정 기능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코르셋을 착용한 후 나타나는 체형보 정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 서 본 연구는 19세기 초반의 코르셋을 착용한 후 나타 나는 인체 치수와 실루엣 변화를 측정하여 체형보정 효과를 객관적으로 고찰하였다.

    Ⅱ. Background

    1. The features of early 19th century women’s dress silhouette

    19세기 여성 드레스는 시기에 따라 실루엣의 차이 를 나타낸다. 19세기 초반에는 허리선이 젖가슴 아 래둘레선까지 높고, 인체 허리선이 드러나지 않는 실 루엣이었다. 이러한 실루엣의 여성드레스 스타일을 Tortora and Eubank(1989)는 엠파이어스타일이라고 명명하였고, Bae, Baek, and Oh(2008)는 슈미즈가운 (chemise gown)으로 명명하였다. 슈미즈가운은 허리 선이 젖가슴아래둘레 높이로 올라온 하이웨이스트 드 레스이며, 스커트는 H-라인 실루엣이다(Fig. 1). 19세 기 중반에는 여성 드레스의 허리선이 인체 허리 높 이에 위치하였고, 허리너비는 극단적으로 좁아졌다 (Richardson & Kroeber, 1940). Tortora and Eubank (1989)는 이러한 여성 드레스 스타일을 로맨틱가운 (romantic gown)으로 명명하였다. 로맨틱가운은 허리 가 잘록한 X-라인 실루엣 드레스이다(Fig. 2).

    2. The features of early 19th century women’s corset

    19세기 여성용 코르셋의 길이는 드레스의 스타일 에 따라 변화하였다. 19세기 여성용 코르셋 유물을 사 진으로 제시한 자료들은 1800년 스타일 코르셋이 짧 은 길이였음을 보여준다(Fig. 3). 1820년 이후 시기의 코르셋은 허리를 잘록하게 표현하는 엉덩이 수준 길 이였다(Fig. 4, 5, and 6). 19세기 여성용 코르셋은 공 통적으로 어깨 끈이 어깨의 중심이 아닌 어깨 끝에 가 깝게 위치하였으며, 뒤중심을 열어서 착용하는 특징 이 있었다. 또한 유방과 엉덩이 볼륨을 커버하는 요소 로 거젯(Gusset)을 사용하였고, 체형 보정의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보닝을 바디스의 여러 부분에 삽입 하였고, 앞중심에 넓은 폭의 버스크를 삽입하였다. Salen(2008)은 코딩이 보닝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고 하였고, Waugh(1954)은 촘촘하게 삽입한 19세기 여성용 코르셋의 보닝이 인체를 강하게 압박하여 날씬 한 인체 실루엣을 형성하고, 복부를 평평하게 압박하 여, 인체의 곡선을 매끈하게 표현하는 기능을 발휘한 다고 하였다. Steele(2001)는 코르셋 앞중심에 삽입한 버스크가 코르셋 착용 후 자세를 바로 세우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19세기 초반에 착용 하였던 여성용 코르셋에는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스타 일을 표현하기 위하여 트라푼토 장식(Fig. 4)을 사용 하였다. Waugh(1954)Jo and Park(2019)은 트라푼 토 장식이 인체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3. Previous studies on the reproduction of women’s dress in the 19th century

    19세기 복식 유물을 재현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문헌에 수록된 패턴의 그래픽사진을 문헌에서 제시 한 방법에 따라 실물 사이즈로 확대하거나(Chung & Park, 2000;Lee et al., 2006), 문헌에 수록된 복식의 사진이나 그래픽을 보고 인대를 사용하여 입체 패턴 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과거의 코르셋을 재현하여 제 작하였다(Kim, 2003;Kim et al., 2011). 그러나 19세 기 복식 패턴은 현대 패턴제도법에서 사용하는 가슴 선과 허리선 등의 기초선의 표시가 없으므로 선행연 구자들은 피험자나 인대에 착의시켜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Chung and Park(2000)은 문헌에 축소사 이즈로 제시된 패턴을 문헌에 제시된 비율을 반영하 여 확대한 실물사이즈 패턴으로 제작한 코르셋을 피 험자에게 착의시켜 보정하는 방법으로 실험용 패턴을 제작하였고, Lee and Lee(2006), Lee et al.(2006)은 문 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실물사이즈로 패턴을 확대하 였으며, 확대한 패턴으로 제작한 코르셋을 인대에 착 용시켜 기초선을 찾아 표시하는 방법으로 코르셋의 패턴을 보정하였다. 이외에도 Cha and Chun(2011)은 문헌에 제시된 바디스 패턴의 겨드랑점을 기준으로 가슴둘레선을 설정하여 측정한 패턴의 가슴둘레와 착 용자의 가슴둘레치수를 비교하여 패턴을 확대하는 비 율을 산출하여 문헌에 제시된 축소사이즈 패턴을 실 물사이즈 패턴으로 확대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 들은 문헌에서 제시한 19세기 여성복 축소사이즈 패 턴을 실물사이즈로 재현하여 제작하는 연구들을 수행 하였으며, 제작한 19세기 복식에 대한 맞음새의 특징 을 파악하기 위하여 피험자나 인대를 이용한 착의 평 가를 실시하였음을 보여준다.

    III. Methods

    1. Pattern of experimental corsets

    본 연구의 실험용 코르셋A형(Fig. 4)과 B형(Fig. 5) 은 19세기 초반 로맨틱 가운드레스와 착용하는 스타 일의 코르셋이었다. 실험용 코르셋A형과 B형은 엉덩 이둘레 수준 길이이었고, 가슴 거젯, 앞중심 버스크, 넓은 어깨 끈을 사용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 나 패턴 형태는 달랐다. A형 실험용 코르셋 패턴은 좌 /우측 바디스를 각각 앞, 옆, 뒤로 나누어 총 6개의 패 턴을 사용하였고, 뒤중심선은 허리선 아래를 플레어 로 넓게 한 반면, 앞중심선은 직선인 형태이었다(Fig. 7). B형 실험용 코르셋은 좌/우측 바디스를 각각 앞과 뒤로 나누어 총 4개의 패턴을 사용하였고, 앞중심선 과 뒤중심선은 직선이었다(Fig. 8).

    A형 실험용 코르셋의 패턴(Fig. 7)은 1900년대 초 반 스타일의 코르셋 패턴을 6인치 스케일로 제시한 서 적(Waugh, 1954)에서 발췌하였다. B형 실험용 코르셋 의 패턴은 1900년대 초반 코르셋 유물의 사진과 코르 셋의 패턴을 모눈종이 위에 제시한 서적(Salen, 2008) 에서 발췌하였다(Fig. 8). 2종의 실험용 코르셋 패턴은 각각 발췌한 문헌에 제시된 패턴 확대 기준 스케일에 맞추어 확대하였다.

    실물로 확대한 실험용 코르셋 A형과 B형의 크기와 형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뒤중심 선의 길이(②)는 A형 코르셋(38.2cm)이 B형 코르셋 (35.0cm)보다 3.2cm 길었다. A형 코르셋의 뒤중심선 은 허리수준 아래로 약 11.8° 넓게 퍼진 형태였고, B 형 코르셋은 직선형이었다. 그러나 앞중심선 길이(①) 는 유사하였다(A형: 37.8cm, B형: 37.5cm). 가슴 거셋 의 하단점을 기준으로 측정한 젖가슴아래둘레(앞중심 선부터 뒤중심선까지 너비, ④)는 A형 코르셋(29.1cm) 이 B형 코르셋(30.8cm)보다 약 1.7cm 작았다. 암홀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암홀선의 길이와 너비를 측정 한 결과, 앞뒤 암홀선의 길이(⑦+⑧)는 A형 실험용 코 르셋(14.4cm)이 B형 실험용 코르셋(17.4cm)보다 3cm 짧았으나, 암홀의 너비(⑤+⑥)는 A형 코르셋(7.5cm) 이 B형 코르셋(3.5cm)보다 3cm 더 넓었다.

    2. Making experimental corsets

    실험용 19세기 코르셋 패턴으로 제작한 A형과 B형 실험용 코르셋의 착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예비 착 의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실험용 코르셋 패턴 의 가슴 거젯이 삽입되는 슬릿의 가장 아래 끝점을 기 준으로 측정한 젖가슴아래둘레 치수를 기준으로 선정 하였다. 19세기 코르셋은 뒤중심선의 여밈 끈을 당겨 서 착용하므로 일반적으로 코르셋의 좌우 뒤중심선 사 이가 5~10cm 벌어지게 착용하였다는 선행연구(Lynn, 2010)를 반영하여 패턴의 젖가슴아래둘레 치수보다 젖가슴아래둘레 치수가 큰(A형: 12.8cm, B형: 9.3cm) 여성을 선정하였다. 예비 착의실험 결과, A형 실험용 코르셋은 가슴 삽입 거젯의 폭이 너무 넓어, 유방이 드러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A형 실험용 코 르셋은 가슴 거젯 폭을 축소하는 보정을 실시하여 제 작하였다. 보정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옆선쪽 가슴 거젯(X)은 중심각을 36°에서 20°로 축소하였고, 앞중 심쪽 가슴 거젯(Y)의 중심각은 36°에서 33°로 축소하 였다(Fig. 7, 가슴 거젯 실선). B형 실험용 코르셋은 예비 착의실험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아 보정 없 이 확대한 패턴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용 코르셋은 각각의 코르셋 패턴을 발췌한 문 헌에 표시된 보닝과 코딩, 버스크의 위치와 크기를 반 영하여 제작하였다. 보닝은 A형 실험용 코르셋의 경 우 3mm 너비의 플라스틱 와이어12개를 좌/우 뒤중심 선과 옆패널, 앞패널의 패턴 위치(Fig. 7)에 맞추어 삽 입하였다. B형 코르셋은 2가지 너비의 와이어를 보닝 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좌/우 뒤중심 패널에는 3mm 너비의 플라스틱 와이어를 삽입하였고, 좌/우 뒤중심 선에는 10mm 너비의 플라스틱 와이어를 삽입하였다. 이외에도 6mm 간격으로 3mm 두께의 면 끈 코딩을 패턴에 제시된 위치(Fig. 8)에 맞추어 삽입하였다. A 형과 B형 코르셋 앞중심에는 패턴에 제시된 너비에 맞추어 2mm 두께의 아크릴판을 버스크로 삽입하였 다. 이외에도 뒤중심끈의 길이를 조정하는 착의실험 을 위하여 뒤중심선 아래 두 개 아일렛을 통과하는 끈 사이에 뒤중심 여밈끈의 길이 조정을 위한 스토퍼 (stopper)를 사용하였다(Table 2). 앞중심선에는 착탈 의를 위해 세퍼레이트형 지퍼를 부착하였다. 겉감은 20수 머슬린을 사용하였고, 안감은 30수 머슬린을 사 용하여 제작하였다.

    3. Wearing test

    1) Measurement of changes in the body size

    실험용 코르셋 착용 전과 후의 피험자 인체 치수를 측정하여 코르셋 착용에 따른 인체치수의 변화를 분 석하였다. 피험자들은 기본형 브라탑과 레깅스를 착용 한 위에 실험용 코르셋을 착용하였다. 뒤 여밈 끈의 당 김 정도에 따른 신체치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복 착의 실험을 5가지 단계의 당김 정도로 실시하 였다. 기본 단계는 피험자가 실험용 코르셋 착용 후 자 신의 신체치수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뒤 여밈 끈을 당긴 단계로 정의하였다. 4가지 단계의 추가적인 당김 정도는 기본단계에서 설정한 뒤 여밈 끈 길이를 0점으 로 하여 기준단계 길이 0점보다 양쪽에서 각각 10cm, 20cm, 30cm, 40cm 더 짧게 한 상태로 설정하였다. 인 체 치수 측정 항목은 가슴둘레(chest circumference, C1), 젖가슴아래둘레(under-bust circumference, C2),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C3), 겨드랑앞벽사이길 이(interscye, L1), 겨드랑뒤벽사이길이(interscye, L2) 이었다(Table 3). 측정 방법은 KS K ISO 8559-1: 2007, KS A ISO 7250-1: 2011를 따랐으며, 2회 반복하여 측 정하였다. 인체 치수와 실루엣 측정을 위하여 8개의 기준점을 표시하였다. 기준점은 귀구슬점(tragion, a), 어깨 가쪽점(lateral shoulder point, b), 견갑골끝점 (scapula point, c), 뒤허리점(posterior waist point, d), 젖가슴아래점(under-bust point, e), 앞허리점(anterior waist point, f), 겨드랑앞벽점(anterior midaxilla, g), 겨드랑뒤벽점(posterior midaxilla, h)이었다(Table 3).

    실험용 코르셋의 착용 후 인체치수와 실루엣 변화 를 확인하는 착의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20대와 30 대 여성 3명이었다. 피험자들의 키, BMI지수, 가슴둘 레,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는 제7 차 국민 체위 조사 자료의 20대와 30대 한국 여성 평 균 치수 범위에 속하였다(Table 4).

    2) Measurement of changes in the body silhouette

    실험용 코르셋 착용 후 나타나는 실루엣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체의 실루엣 및 체형을 분석한 선 행연구(Bye, Labat, & Delong, 2006;Do, 2014;Park & Suh, 1997)를 참고하여 정면과 측면 사진을 촬영하 여 인체 실루엣 변화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들의 정면 과 측면 사진은 격자 스크린을 배경으로 양 발을 30도 각도로 벌리고, 팔은 자연스럽게 양 옆으로 내리고, 정면을 바라보고 바로 선 자세에서 촬영하였다. 격자 스크린과 피험자의 발 사이까지 거리는 30cm, 카메라 까지 거리는 150cm, 카메라 높이는 120cm를 유지하여 촬영하였다. 정면 실루엣은 어깨너비(shoulder width, W1)와 허리너비(waist width, W2)의 비율로 분석하 였다. 측면 실루엣은 귀구슬점(tragion)에서 내린 수선 을 기준으로 측정한 어깨가쪽점 깊이(lateral shoulder point depth, D1), 견갑골끝점깊이(scapula point depth, D2), 뒤허리점 깊이(posterior waist point depth, D3), 젖가슴아래점깊이(under-bust point depth, D4), 앞허 리점깊이(anterior point depth, D5)를 기준으로 분석 하였다(Table 5). 피험자들이 실험용 코르셋을 착용하 기 전 실루엣 측정값은 피험자에 따라 약간 달랐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Table 6).

    IV. Result and Discussion

    1. Changes in the body size

    A형과 B형 실험용 코르셋을 착용한 후 피험자들의 인체 치수는 항목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다. 증 가한 인체치수 항목은 가슴둘레(chest circumference) 와 겨드랑앞벽사이길이(interscye, front)였고, 감소한 항목은 젖가슴아래둘레(underbust circumference)와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였다. 가슴둘레는 낮은 단계의 조임 정도(–10cm)부터 0.5cm~5.0cm 증가하였 으나, 조임 정도를 더 강하게 하여도 더 이상 크게 증 가하지는 않았다. 특히 B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가슴둘레가 크게 증가하였다(Table 7 and Fig. 9).

    겨드랑앞벽사이길이(interscye front)와 겨드랑뒤벽 사이길이(interscye back)의 변화는 코르셋의 유형과 피험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A형 코르셋이 B형 코르셋보다 겨드랑벽사이길이를 변화시키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A형 코르셋은 뒤 여밈 끈을 당겨서 착용 하였을 때 겨드랑뒤벽사이길이가 감소하였고, 겨드랑 앞벽사이길이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B형 코르셋은 당 김의 정도를 강하게 하여도 겨드랑뒤벽사이길이와 겨 드랑앞벽사이길이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Table 8 and Fig. 10).

    이와 같은 결과는 19세기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경 우, 코르셋의 디자인에 따른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가슴둘레는 약간의 조임 단계에서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겨드랑앞벽사이길이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겨드랑뒤벽사이길이는 약간 감소 하였다. 이는 19세기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가슴을 앞으로 내밀게 되는 자세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젖가슴아래둘레(under-bust circumference)와 허리 둘레(waist circumference)는 조임을 강하게 할수록 지 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허리둘레가 젖가슴아래둘 레보다 감소폭이 더 컸다. B형 코르셋이 A형 코르셋 보다 더 많이 감소시켰다(Table 9 and Fig. 11).

    2. Changes in the body silhouette

    어깨너비에 대한 허리너비의 비율로 실험용 코르 셋을 착용한 후 나타나는 정면실루엣의 변화를 분석 한 결과, A형과 B형 실험용 코르셋 모두 정면 실루엣 을 슬림하게 변화시켰다(Fig. 12). 감소폭은 A형 코르 셋보다 B형 실험용 코르셋이 더 크게 나타났다(Table 10). 특히 허리둘레가 큰 피험자2의 정면실루엣이 크 게 감소하였다. 이는 19세기 초반 코르셋 착용 시 정 면에서 보았을 때 허리가 가늘어지는 실루엣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정면 실루엣을 평가한 항목인 허리너비와 어깨너비 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B형 코르셋은 허리너비(waist width)의 감소가 정면실루엣의 변화를 주도하였고, A 형 코르셋은 어깨너비와 허리너비가 모두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상체의 실루엣이 좁아지는 변화를 나타냈 음을 시사한다(Table 11 and Fig. 13).

    측면의 실루엣 변화를 전면과 후면으로 나누어 비 교해 보면, 후면 실루엣은 코르셋의 유형에 따라 측면 실루엣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Table 12).

    A형 코르셋은 뒤어깨끈의 길이를 짧게 하여 조임 을 강하게 할수록 어깨가쪽점깊이(D1)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견갑골끝점깊이(D2), 뒤허리점깊이(D3) 는 약간 감소하였다. B형 코르셋은 측면의 후면 실루 엣 변화가 거의 없었다(Table 13 and Fig. 14).

    측면의 전면 실루엣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A형 코 르셋을 착용한 경우 젖가슴아래점 깊이(D4)와 앞 허 리점 깊이(D5)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 러나 B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측면의 전면 실루엣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Table 14 and Fig. 15).

    측면의 후면과 전면 실루엣 변화값을 종합하면, A 형 코르셋은 조임을 강하게 할수록 어깨를 뒤로 젖혀 주고, 흉부와 요부는 앞으로 밀어내는 자세를 유도함 을 시사한다.

    피험자 개인별로 측면 실루엣 변화를 비교한 결과, 측면 실루엣 변화를 나타내는 코르셋 유형이 피험자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Table 15). 피험자1은 B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A 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어깨가쪽점깊이(D1)와, 젖가슴아래점깊이(D4)와 앞허리점깊이(D5)는 증가하 였다. 이는 어깨가 뒤로 젖혀지면서 흉부와 요부를 전 면으로 밀어내지는 자세 변화가 나타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피험자2는 A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에 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B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어깨 가쪽점 깊이(D1), 젖가슴아래점 깊이(D4)와 앞 허리점 깊이(D5)가 감소하여, 어깨와 흉부 요부가 뒤 로 밀리는 자세로 변화함을 보여주었다. 피험자3은 피 험자 1과 유사하게 B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A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흉 부와 요부를 전면으로 밀어내는 자세로 변화하는 경 향을 나타냈다.

    V. Conclusion

    본 연구는 19세기 여성들이 착용하였던 코르셋의 체형보정 효과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9세기 초반 코르셋을 착용하면 인체 치수와 실루엣이 변화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코르셋의 유형 과 피험자에 따라 변화의 양상은 다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뒤여밈끈의 당김으로 조절한 코르셋의 조임 의 강도가 낮은 단계부터 가슴둘레는 증가하였고, 겨 드랑앞벽길이도 증가하였으나 겨드랑뒤벽길이는 감 소하였다. 가슴둘레는 조임의 강도가 높아져도 더 이 상 증가하지 않았다. 어깨너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다. 허리둘레, 젖가슴아래둘레와 허리너비는 감소 하였다. 특히 허리둘레는 조임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19세기 초반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정면과 측면 실루엣의 변화와 자세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코 르셋 유형에 따라 변화의 양상이 약간 다르게 나타났 다. 바디스를 전면, 측면, 후면으로 나눈 패턴으로 제 작한 A형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어깨를 뒤로 젖히고, 흉부와 요부를 앞으로 내미는 자세로 변화되 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바디스를 전면과 후면으로 나누고, 옆선의 허리가 잘룩한 형태의 패턴으로 제작 한 B형 코르셋은 허리둘레 치수는 감소시켰으나 실루 엣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허리둘레가 큰 체형의 피 험자에게는 지나치게 허리를 조이는 결과를 나타내어 어깨가 앞으로 숙여지는 반면 흉부와 요부가 뒤로 밀 리는 구부정한 자세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19세기 초반 코르셋을 착용하 면, 일반적으로 가슴둘레치수는 증가하고, 허리둘레 치수는 감소하는 인체치수의 변화가 나타나며, 인체 실루엣도 부분적으로 변화됨을 보여준다. 또한 자세 의 변화까지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스타 일에 따라 인체치수나 실루엣의 변화 양상이 다르며, 일부 측정 항목은 조임을 강하게 하더라도 조임 강도 에 비례하여 인체 치수가 감소하거나 증가하지 않았 다. 이는 19세기 초반 당시 여성들이 자신의 체형에 따라 적합한 스타일의 코르셋을 선택하여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코르셋을 조임을 강하게 하여 착용 하여도 인체보정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은 아님을 시사 한다.

    본 연구는 19세기 코르셋을 착용하였을 때 나타나 는 인체 치수와 실루엣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코르셋 의 스타일과 개인의 체형 간에 관계가 있음을 고찰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피험자 수가 3명이라 는 한계점으로 인해 분석 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은 어 려우며, 사례 연구에 머무른 한계가 있었다. 후속 연 구에서는 19세기 코르셋의 구조적 특징이 착용자의 인체 치수와 실루엣, 자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체형에 따른 코르셋 착용 효과 고찰도 필요하다.

    Figure

    RJCC-29-4-471_F1.gif

    Chemise gown Reprinted from Victoria and Albert Museum. (2015). http://collections.vam.ac.uk/

    RJCC-29-4-471_F2.gif

    Romantic gown Reprinted from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34). http://collections.vam.ac.uk/

    RJCC-29-4-471_F3.gif

    1800 style corset Reprinted from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83). http://collections.vam.ac.uk

    RJCC-29-4-471_F4.gif

    1820 style corset Reprinted from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48). http://collections.vam.ac.uk

    RJCC-29-4-471_F5.gif

    1830~40 style corset Reprinted from Salen. (2008). p.34.

    RJCC-29-4-471_F6.gif

    1840s style corset Reprinted from Metropolitan Museum. (n.d.). https://www.metmuseum.org

    RJCC-29-4-471_F7.gif

    Type A corset pattern Adapted from Waugh. (1954). p.76.

    RJCC-29-4-471_F8.gif

    Type B corset pattern Adapted from Salen. (2008). p.36.

    RJCC-29-4-471_F9.gif

    Change of chest circumference measurements

    RJCC-29-4-471_F10.gif

    Change of interscye measurements, front and back

    RJCC-29-4-471_F11.gif

    Change of under-bust and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s

    RJCC-29-4-471_F12.gif

    Change of ratio of waist width to shoulder width measurements

    RJCC-29-4-471_F13.gif

    Change of waist width and shoulder width measurements

    RJCC-29-4-471_F14.gif

    Change of body silhouette: Back

    RJCC-29-4-471_F15.gif

    Change of body silhouette: Front

    Table

    Measurements of experimental corset pattern *(Unit: cm, °)

    Materials for boning, cording, busk and stopper (Unit: mm)

    Body landmarks and dimensions for measurement

    Subjects’ body measurements (Unit: cm, kg)

    The measurements for silhouette analysis

    Subjects’ silhouette measurements (Unit: cm, %)

    Change of chest circumference measurements (Unit: cm)

    Change of interscye measurements, front and back (Unit: cm)

    Change of under-bust and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s (unit: cm)

    Change of ratio (W1/W0): waist width (W1)/shoulder width (W0) (Unit: %)

    Change of waist width and shoulder width measurements (Unit: cm)

    Body silhouette at –40cm back string length

    Change of body silhouette: Back (Unit: cm)

    Change of body silhouette: Front (Unit: cm)

    Change of body side silhouette

    Reference

    1. Bae, S. J. , Baek, J. H. , & Oh, H. A. (2008). Contemporary fashion & historic costume in the west. Seoul: Soohaksa.
    2. Bye, E. , Labat, K. L. , & Delong, M. R. (2006). Analysis of body measurement systems for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4(2), 66-79.
    3. Cha, J. E. , & Chun, J. S. (2011). A study on body silhouette change by wearing English women’s upper garments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205-1220.
    4. Chung, H. S. , & Park, E. H. (2000). The study on the women’s wear in 19th century -Focus on the studies of rehabilitation-. Chung Ang Journal of Human Ecology, 13, 205-222.
    5. Do Rosário, J. L. P. (2014). Photographic analysis of human postur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18(1), 56-61.
    6. Jeon, H. J. , & Kim, J. Y. (2003). Immediate constituent and technics of corsetry in the 20C.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4), 562-577.
    7. Jo, M. H. , & Park, S. M. (2019). An observation on the reconstitution of materials in western dress -Focused on the visual tactility of the texture of dresses from the renaissance era to the rococo 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2), 101-121.
    8. Kim, J. Y. (2005). A study on women’s underwear in the late 19C.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12, 325-336.
    9. Kim, K. H. (2003).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a corset in the late renaissance ag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1), 152-159.
    10. Kim, Y. H. , Na, Y. J. , & Kim, H. J. (2011). A study on the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corps a baleine in 18th century F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8), 991-1005.
    11. Ko, Y. A. , & Choy, H. S. (2000). Fashion design for applying supra syndrome of cors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4), 165-180.
    12. Lee, J. R. , Jung, J. M. , & Cho, Y. J. (2006). Analysis of dress style and patterns for the reproduction of empire style dres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6), 687-696.
    13. Lee, J. S. , & Lee, J. R. (2006). A study of crinoline and bustle style jacket pattern analysis and its reproduc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1), 80-88.
    14. Lee, S. R. (2002). Aesthetics of under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1), 159- 173.
    15. Lynn, E. (2010). Underwear: Fashion in detail. London: V & A Publishing.
    16. Metropolitan Museum. (n.d.). 1840s Corset. Retrieved April 20, 2020,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86412
    17. Moon, M. O. (2007). The bodice pattern design of the 19th century -Focused on the four-piece bodice of the ladies’ costume of the 1890’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3), 23- 31.
    18. Park, C. M. , & Suh, M. A. (1997). A study on the plan photogrammetry for clothing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5(1), 151-164.
    19. Park, S. H. (2008). A comparative study of corsetry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4), 99-112.
    20. Richardson, J. , & Kroeber, A. L. (1940). Three centuries of women’s dress fashions, a quantitative analysis (Vol. 5, No. 2).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Ryu, K. H. , & Kim, Y. H. (2015). A study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western women’s jacket in the late 19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7), 60-74.
    22. Salen, J. (2008). Corsets: Historic patterns and techniques. Los Angeles: Costume & Fashion Press.
    23. Steele, V. (2001). The corset: A cultural histor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4. Tortora, P. G. , & Eubank, K. (1989). Survey of historic costum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25.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34). Dress 1830. Retrieved September 24, 2019, from http://collections.vam.ac.uk/item/O129210/dress-unknown/
    26.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48). Corset 1825- 1835. Retrieved September 19, 2019, from http://collections.vam.ac.uk/item/O138890/corset-unknown/
    27.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83). Stays 1795-1800. Retrieved September 24, 2019, from http://collections.vam.ac.uk/item/O138889/stays-unknown/
    28. Victoria and Albert Museum. (2015). Dress 1800-1805. Retrieved February 3, 2020, from http://collections.vam.ac.uk/item/O1317205/dress-dress-unknown/
    29. Waugh, N. (1954). Corsets and crinolines. New York: Theatre Arts Books.
    30. Yoon, J. A. (2006). Apparel design and pattern construction utilizing expressive properties of corset look.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2), 159-17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