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2 pp.252-271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2.252

Satirical expression in Thom Browne’s fashion design

Yeonjoo Kim, Younhee Lee*
Maste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February 14, 2021 April 2, 2021 April 6,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satirical expressions that appear in a wide range of arts into fashion and to analyse and present satirical expression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the collections of Thom Browne. Theoretical examination of satirical concepts were made of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theses, dissertations, precious studies, and publications related to satire. Analysis was conducted on cases in which satirical expressions were applied in literature, painting, sculpture, and fashion. Based on these studies, analysis was conducted on satirical expressions appearing in Thom Browne’s work. Material was gathered from collection reviews, interview articles, professional books, and internet photo material from professional fashion magazines encompassing 16 years of Thom Browne’s collections officially recorded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magazine ‘Vogue’, ranging from the 2006 S/S collection to the 2021 S/S collection. From this, a total of 1,753 photos were collected as data. Characteristics of satirical express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fluid reconstruction of ‘gender fluid’, dual meanings of metaphorical allegories, playful expressions of visual wit, constructions made of overlapped disassembled material, and borrowing of morphological distortion were all identified. Accordingly, satirical approaches as social aspects and objects in the flow of modern thought appear as positive forms based in humor that hope to be improved. This study anticipate the concept of satire will expand into a positive form as a new direction of fashion.



톰 브라운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풍자적 표현

김 연 주,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빠르게 발전되고 있는 현대에서 고정되어 있는 관념들에 대하여 변화하는 시대 속에 발생하는 불협화음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오랜 기간 쓰인 표현 방법 중에서 풍자는 현실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으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풍자는 불안한 현대 사회에서 의도와 목적을 담은 웃음을 녹 여내 공감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발전되는 표현 방법으로서 다양한 현대 사조에서 영향을 받아 이어 져 내려온다. 문학, 회화, 조형 등의 다양한 예술 사조 를 통하여 국내외에서 오랜 기간 사회와 지배계급, 특 정한 대상을 향한 소리 없는 아우성과도 같았는데, 현 대의 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가 늘어나면서 풍자의 표현에 따른 흐름이 더욱더 광범위해지고, 이는 시각 적인 측면에서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닌 의미를 담 은 형태로서 사람들의 밀접한 관계 속으로 스며들었 다.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 맞춰서 발전 되는 풍자는 사회 현상들과 급격한 변화들에서 보이 는 부조리한 현상들을 형상화하여 무한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동일한 현상들에 대한 웃음을 통한 긍정적 인 효과를 만들어낸다.

    패션 디자이너 톰 브라운은 다양한 주제로 컬렉션 을 전개하여 이슈가 되고 있으며, 새롭고 도전적인 디 자인을 통하여 사회적 현상들을 표현하고 있다. 톰 브 라운을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는 남성복에서 나타난 패러디 형태 분석 연구(Jang & Lee, 2013), 남녀 재킷 으로 섹슈얼리티 표현 특성 분석(Park & Kim, 2016), 그로테스크 미적 특성 분석(Ban & Roh, 2019)이 있 으며, 그 외로 여성 패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스타일을 다양한 디자이너들과 같이 톰 브라운을 분석한 연구 가 있다(Kim, 2016).

    이와 같이 현대 예술에서 풍자는 많은 분야에서 진 행되었지만 패션과 관련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 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현상으로 풍자와 패 션의 연결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톰 브라운의 인터뷰 기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 여 풍자적 요소들을 잘 표현하고 있는 톰 브라운의 컬 렉션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 의 목적은 문학, 회화, 조형 등 다양한 예술사조에서 폭 넓게 이어져 내려온 풍자적 표현의 이론적인 체계 를 구축하고, 패션 분야로 확대하여 다양한 주제와 방 법으로 디자인 전개를 보여주는 톰 브라운의 패션 디 자인을 통하여 현대 패션에서 표현되는 풍자적 표현 들을 분석하고, 디자인 분야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자 개념과 관련된 국내외 학술논문, 학위논문 등의 선행연구 및 단행본 서적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진 행한다. 인터넷 자료, 패션사이트를 통해 풍자에 대한 문학, 회화, 조형 패션의 다양한 예술 사조에서 나타 나는 풍자의 의미와 전개 과정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풍자적 표현의 적용사례를 분석해 각 분야에서 나타나는 풍자적 표현들을 분류한다. 둘째, 문학, 회화, 조형, 패션의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풍자적 표현을 종합적으로 분 류해 연구 기준을 도출한다. 셋째, 선행연구 및 문헌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풍자적 표현의 연구 분석을 기 준으로 하여 톰 브라운 패션에 나타난 풍자적 표현을 분석한다.

    연구 범위에 따른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다. 문학, 회화, 조형, 패션의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에서 나타 난 풍자적 표현들을 기준으로 톰 브라운이 2006년 미 국 패션 디자이너 협의회를 통하여 CFAD(Council Of Fashion Designers of America)의 남성복 부분의 디자 이너 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 작하였으며, 국내외 패션 전문 매거진 ‘Vogue’에 공 식적으로 게재되어 있는 첫 컬렉션 2006 S/S를 기점 으로 2021 S/S까지 16년간 진행한 톰 브라운의 S/S, F/W 시즌 Ready to wear, Resort, Menswear, Pre fall 컬렉션을 포함한 64개의 범위를 선정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다. 분석 자료는 전문 패션 정보를 얻을 수 있 는 패션 매거진 ‘보그 코리아(http://vogue.co.kr)’, ‘보 그닷컴(http://Vogue.com)’을 통하여 수집하고, 컬렉 션 리뷰, 인터뷰 기사, 전문 서적 및 인터넷 사진 자료 를 활용하였으며, 사진의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컬 렉션 리뷰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시각적으로 보이 는 풍자적 디자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Ⅱ.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atire

    1. The concept, definitions, and deployment of satire

    1) Concept of satire

    ‘풍자’란 무엇에 빗대고 비유하는 의미를 가지고, 슬며시 돌려서 남의 결점을 말하고, 사회, 인물의 결 함을 조소적으로 쓰는 것으로서 극이나 소설 등에서 쓰인다(Lee, 2018). 풍자의 어원은 ‘가득히 담긴 접시’ 라고 하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Ianx satura’에서 유래 되어 ‘혼합물’이나 ‘인간의 어리석은 행위를 조롱하기 위해 각기 다른 주제들을 잡다하게 다룬 것’을 의미하 게 되어 18C 고대 서구에서 문학의 한 갈래로 사용되 는 표현기법으로 정착되었다(“Satire”, n.d.). 풍자는 여러 가지 다른 개념들과 혼융되어 사용되는데, 근접 된 개념으로 해학, 골계, 위트, 아이러니를 포함한 유 머, 반어, 익상의 형태까지 포함한다. 개념과 관련된 풍자의 논의에서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부분은 풍자가 골계의 미적 범주에 속한다는 것이다(Bae, 2001).

    골계와 풍자는 서로 독립된 것이 아닌 골계의 일종 으로서 미적 범주의 하나인 골계미를 기반으로 한다 (Yu, 1995). 풍자의 대상이나 주제와 목적에 대한 언 급은 무엇보다 풍자가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을 강조한다. 풍자가 어떤 색채를 가지게 되 는지는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관계된다(Lee, 1994). 풍자는 여러 가지 의미를 담을 수 있는데, 웃음을 바 탕으로 표현되며, 웃음 뒤에 의도와 목적을 담아 풍자 의 대상이 이전보다 발전되어 나아지길 바라는 교훈 을 가진다(Ahn & Cho, 2018). 따라서 풍자는 대상에 대한 유머러스한 웃음으로 과장하며, 왜곡하고 개선 을 바라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현실에 스며들어 나타 난다. 변화하는 사회에서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발자 국으로서 불협화음을 위트 있는 모습으로 공존시키는 것이다.

    2) Definitions of satire

    풍자와 예술이 만나는 지점에서 위치한 풍자는 불 안한 현대 사회를 탈출하는 비상구이고, 권력의 억압 에 대한 비꼼으로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에 대한 연민과 희망이다(Yoon, 2009). 부도덕과 불합리가 일 상에서 존재할 때 도덕과 정의가 항상 실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부조리함을 폭로하는 통로가 필요하며, 이를 표출하고 고발하는 방법으로 풍자가 사용된다. 대상의 결점이나 특징을 확대, 축소하고 과 장하며 형태를 왜곡하고 일그러뜨리는 방법을 통하여 대상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해서 시각적인 형태로 그 형상이 일그러진 형태일수록 보이는 모습만이 아닌 인격의 내면의 영역까지 아름다운 이상을 바라는 역 설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에 있다(H. Kim, 2010). 풍 자적 작품에서의 풍자성은 이상과 현실의 사이에서 나타나는 불화를 감지할 때 부당함에 대한 풍자적인 진행방식을 통하여 형상화하고자 한다(Ji, 1994).

    풍자하는 행위는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으로 문학 작가, 미술가, 저널리스트 등이 자신들 의 이데올로기와 지배적 이데올로기가 모순되는 방식 을 통해 비유적 표현을 통해 은밀한 미소와 함께 통쾌 함을 주고자 하며, 추상적인 것을 주로 의인화하며 구 체화하는 알레고리를 통하여 표현한다(Jeon, 2015). 이처럼 풍자는 인간에게 알레고리적인 표현으로 현대 사회에 은유적으로 양면적인 모습들을 녹여내어 풍자 적 표현이 스며들게 만들어준다. 현대사회에서 풍자 적 기능은 동일한 현실을 보고 웃음을 짓도록 하는 것 으로 사회적인 상황들을 과거에는 없던 방식으로 바 라볼 수 있게 시도하는 것이다(Yoo & Choi, 1990). 따라서 결국 풍자에서 나타나는 표현들은 대상의 방 향에 대하여 웃음을 가지고 출발해 그 웃음이 결국 어 긋나지 않은 긍정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에 중점을 둔다.

    3) Deployment of satire

    풍자는 인류 역사 초기부터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 며, 미술에서의 풍자적 표현은 이집트 시대 속에서 파 피루스 그림에서도 발견되고, ‘이상적인 아름다움’들 이 지배했다고 알려진 고대에서 또한 비이상적이며 괴기한 모습의 풍자적 형태를 가진 작품들이 존재하 였다(Champfleury, 1856/2001). 기원전 6세기 그리스 우화작가 ‘이솝(Aesop)은 우화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Aisopos”, 2002). 그는 인간의 어리석음과 탐욕을 우 화로서 풍자하였다. 르네상스 이후로 대표적 풍자화가 로 15세기 네덜란드의 히에로니무스 보스(Hieronymus Bosch)와 16세기 피터 브뤼겔(Pieter Bruegel the Elder) 이 있으며, 다양한 상징과 우의를 통한 세상과 인간의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작품을 제작하였다(Park, 2016; Fig. 1 and 2).

    르네상스는 지난 16세기 말 교황, 귀족의 사치와 허 영을 보여주며, 17세기에는 유럽의 풍자 대상은 루이 14세였다. 18세기에서 19세기 왕과 정치가, 성직자 등 의 엘리트 계층에 대한 풍자가 나타났고, 19세기 산업 혁명을 통한 인쇄술의 발달로 풍자는 만화, 포스터, 삽화를 통해 유통되었다. 대표적으로 1800년대에 시 작하여 2002년 폐간된 시사 잡지 펀치(Punch or the London Charivari)를 통해 사회풍자를 찾아볼 수 있다 (Jeon, 2015; Fig. 3 and 4). 근대 이후 인물풍자의 형 태는 동물을 의인화하여 인간적인 요소를 이끌어내 인간과 동물의 모습을 연결하여 풍자하기도 하였다 (Park, 2016). 한국에서는 조선사회를 유지하던 지배 계급의 무능으로 서민 계급의 의식이 각성되면서 갈 등 구조 속에서 풍자적인 기법이 발현되었는데, 이 시 기의 풍자 정신은 서민 계층에서의 세계관을 반영해 온 탈춤과 판소리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Bae, 2001). 따라서 풍자는 오랜 시간 동안 인간의 삶에서 녹아 한 정되지 않은 대상과의 갈등에 대한 표출이며, 개선을 향한 바람과 공감을 만들어내고 희극적으로 무한한 표현을 통해 한계를 두지 않는 무궁한 방법으로 발전, 전개되면서 이상을 담은 긍정적 변화로의 방향을 제 시한다.

    2. Satirical expressions in contemporary thought

    1) Satire in the field of literature

    풍자 문학은 사회를 지배하는 모순과 불합리들을 비판하며, 사회적 문학으로서 작가가 전개하고자 하 는 논의와 교훈이 선행한다. 이는 다양한 정서적 상태 를 통해 독자를 감동시키고, 비판 고발하는 사회적인 문학양식이다(Jeong, 1999). 풍자의 문학 형식은 인류 의 문화사와 거의 병행되어 변천해 왔다(Kim, 1984). 풍자 소설은 표면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복잡한 현실 의 표현을 위한 예술적 사유의 형식으로 웃음을 공유 하는 구체와 타자들 사이의 현실 인식 문제와 직접적 관련을 가진다(Ryu, 2010).

    시조에서의 풍자는 자연물, 식물, 동물의 형태로 나타나, 대상을 은유나 상징으로 표현한다(Hwang, 2002). 1516년 영국의 ‘토마스 모어(Thomas More)’의 유토피아는 사회 체제 개편을 통해 평등을 추구하는 이상사회의 모습을 제시하여 풍자하였다(Kang et al., 2006; Fig. 5). ‘조나단 스위프트(Jonathan Swift)의 걸 리버 여행기는 사회에 대한 고찰로서 우화적으로 당 대의 사회와 인간의 모습을 풍자하였다(Kwak et al., 2006; Fig. 6 and 7). 프랑스의 소설가 프랑수아 라블 레(Francois Rabelais)의 가르강튀아는 루이 16세를 비롯하여 근대 프랑스 왕들의 과욕, 사치와 탐욕을 풍 자하는 데 표현되었다(Kim, 2013; Fig. 8).

    한국의 문학에서의 주된 특질로 풍자를 찾을 수 있 다. 연암 박지원의 소설 양반전은 몰락하는 양반들의 위선적 생활을 비판하여 풍자하였다(Yoon, 1994). 동 물을 의인화한 토끼전은 서민의식을 바탕으로 피지배 층의 지배층에 대한 저항의식의 표현이었다(In, 1995). 우화에서 동물이 등장하는 경우, 사람 이외의 동물과 식물에게 사람의 감정을 불어 넣어서 의인화 과정을 거쳐 간결하고 소박한 문제들을 도덕적 접근을 하여 유머와 교훈을 바탕으로 풍자해 쉽고 재미있도록 접 근할 수 있게 한다(Hwang, 2006).

    이와 같이 문학에서의 풍자적 표현은 첫째, 특정한 대상에 대한 불만 해소의 통로로서 복잡한 현실 표현 을 위한 예술사유의 형식으로 웃음과 유머를 동반한 교훈과 설득을 통하여 개선을 위한 긍정적인 형태로 언어적 기법을 활용한 은근하고 강렬한 표현의 방식 이다. 둘째, 동식물, 사물에게 사람의 감정을 의인화 의 형태로 은유적이며 상징적으로 대상을 표현하는 사회 풍자의 형태로서 나타난다. 셋째, 풍자의 대상을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위트와 아이러니, 우스꽝 스럽게 변형, 과장과 패러디, 그로테스크, 캐리커처 형태로서 풍자를 표현한다.

    2) Satire in the field of painting

    풍자화의 사전적인 정의는 기지나 냉소 등을 섞은 사회 또는 남의 실수와 결함 등을 풍자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 그림으로, 사람이나 물질의 특징들을 과장하 는 표현법으로 펜화나 담채의 약화 특징들을 과장하 는 판화 등에 의해 보여 진다(Lee, 2018). 미술은 형 상만을 본뜨는 것이 목적이 아닌 과정에서 일어나는 충동과 생각하고 나아가는 사유 활동이 중요한 것으 로 그 과정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재의 의미 와 가치관을 나아가는 것이다. 따라서 풍자화는 인간 을 위한 미술이다. 풍자화는 예술을 통한 진실과 도덕 성, 인간들의 삶의 평등과 존엄성을 확인할 수 있다 (Sung, 1994). 프랑스 화가 피에르 폴 프뤼동(Pierre Paul Prud’hon)은 미술은 허망한 기분 풀이가 아닌 사 회의 오점을 드러내는 방식을 통한 사회의 개선으로 사회의 부도덕을 노출시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이 상에 기대해야 한다고 하였다(Randall, 1989/2008).

    또한 풍자화에서 기지, 유머, 왜곡, 과장 등을 하나 로 묶는 표현이 있다면 그것은 은유의 알레고리이다. 상호적으로 조화되지 않으면서 우스꽝스럽고 모순적 인 비상식적 요소들을 알레고리로 표현하는 방식은 전달하고자 하는 것들을 대중에게 성공적으로 전달하 게 하는데 정서적 교감을 주면서 발생하는 웃음들은 카타르시스를 불러 일으킨다(Edward, 1981). 1830년 대 샤를 필리퐁(Charles Philipon)이 그린 르 샤리바리 (Le Charivri) 표지(Fig. 9)로 당시 루이 필리프 왕을 통통하며 익은 배 모양으로 풍자한 그림으로 유명하 다(Lee, 2005). <Fig. 10>은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 네트 왕비를 머리가 두 개 달린 괴물로 묘사하여 지배 계급을 풍자하기도 하였다(Jeon, 2015). 페르난도 보 테로(Fernando Botero)는 편견을 가진 외모 지상주의 를 과장되고 부풀어 오른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철저하게 풍자하였다(Park, 2016; Fig. 11).

    풍자는 현대로 넘어오면서 웃음을 유발하는 유머 의 요소로 증가하였다. 풍자의 표현 방법은 왜곡의 형 태로 표현하는데 과장을 통한 왜곡의 형태로 보인다 (Kim, 2015). 뱅크시(Banksy)의 작품은 사회 풍자적 이며 파격적 주제의식을 담고 있는데, 대표적인 작품 으로 2002년 영국 런던 쇼디치 근교에 벽화로 그려진 ‘풍선과 소녀’가 있다(Banksy, n.d.). 2014년에 지워졌 지만 회화로 복원된 이 그림은 빨간 풍선을 하늘 위로 날리는 소녀의 모습을 담고 있다(Fig. 12). 뱅크시는 보는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담아 반정부, 반자본주의 성향에 대해 위트 있는 풍자를 통해 웃음 을 통한 공감을 이끌어낸다(Choi, 2016). 야고 파르 탈(Yago Partal)은 동물들의 두상을 이용해 인간의 모 습을 합쳐 유머와 풍자를 묘사하였다(Choi, 2014). 즉, 인간의 형태를 동물 얼굴의 일러스트로서 증명사 진을 찍은 것처럼 인간의 모습을 투영해 풍자하였다 (Fig. 13).

    이와 같이 회화에서의 풍자적 표현은 첫째, 변화하 는 사회상에서 한정되지 않은 표현을 시지각적으로 웃음과 공감을 통한 유희로서 고정관념에 대한 풍자 를 무궁무진한 표현으로 불러낸다. 둘째, 부정부패와 인종차별 등 계급사회에 대한 풍자로 시대정신을 의 인화하여 동식물에 빗대 은유적 표현을 통한 풍자 표 현이 나타난다. 셋째, 생각하는 그림으로서 풍자는 왜 곡과 과장으로서 친숙한 이미지를 더해 인식의 전환 으로 대중의 경계를 낮추는 효과로서 나타난다.

    한국 고전 회화에서 풍자적 표현이 두드러지는 시 기는 조선 후기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란을 겪 은 후 시대가 바뀌면서 영조, 정조가 다스리는 시기를 뜻한다(Lee, 1967).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양반문화로 여기던 그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서민의 성장으 로 민화와 풍속화가 발전하고 유행하게 된다(Jeong, 2012). 신윤복의 단오풍정은 단옷날 개울에서 반라로 목욕하고 있는 기생들을 등장시켜 양반 대신 어린 스님 을 추가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였다(Chung, 2011; Fig. 14).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우화적이고 풍자적으 로 표현하는 김홍도는 서민적 요소와 사회적 현상을 반영한 작품을 그려냈다(Yoon, 2006). 김홍도의 벼 타 작은 일하는 평민 계급과 무능한 양반의 당대 사회적 모습을 풍자적으로 그려냈다(Fig. 15). 풍속화는 민간 의 생활을 다룬 그림으로 다양한 생활상이 차지하며, 민화 속에는 동식물, 무생물 등 다양한 소재들이 그려 지는데, 호랑이가 양반층으로 표현될 때 토끼, 거북 이, 학은 사회적 약자인 서민층으로 대변된다. 이는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로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갈 등이 표현되었지만, 고발적 형태가 아닌 화해의 모습 으로 웃음을 담아낸다(Bang, 2008; Fig. 16 and 17).

    한국 회화에의 풍자적 표현은 첫째, 풍자의 대상은 양반과 스님 등 지배계층에 위치해 있는 대상으로 나 타나며, 고발이나 비판적 형태가 아닌 일상생활에서 의 갈등을 화해와 웃음으로 풀어내고 풍자하였다. 둘 째, 동식물, 사물 등의 대비를 통해 신분계층에 대한 풍자를 의인화하여 은유적으로 나타났는데, 동물은 권력자와 민심의 관계를 대변하는 존재로서 익살스럽 게 나타났다.

    3) Satire in the field of sculpture

    동일한 하나의 대상으로도 서로 다른 방향의 조형 작품들이 나타난다. 이처럼 예술은 가치의 표현이고, 예술가들은 시지각을 통해 가치를 표현하는데, 풍부 한 상상과 감성을 더해 왜곡과 과장하여 조형화시키 는 경우가 많다.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작 품 샘(Fig. 18)은 남성용 변기에 대한 관습화된 사고를 재해석하여 본래의 관점을 뒤바꾸며, 고정관념에 대 한 풍자로서 나타났다. 그레이슨 페리(Grayson Perry) 는 도자기에 전쟁, 아동학대 등 노골적 이미지를 그려 (Fig. 19) 사회를 풍자한다(Clark, 2004/2012). 마우리 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은 상상력과 풍자로서 파괴적이며 유머러스한 방식을 통해 사회의 논란에 대해 우스꽝스럽게 포장해 풍자한다(Yoon, 2009). 또 한 알레고리를 적절히 이용한 사회적 모순을 우화적 으로 표현하는데, 다람쥐 손끝에 자살을 암시하는 총 한 자루와 같이 비극적인 감정의 장면에 뒤틀린 유머 로서 현대인들의 괴리감을 유머러스하게 풍자한다 (Kim, 2012; Fig. 20).

    과거부터 동물들을 의인화하여 인간 사회를 풍자 하며, 교훈과 유머를 주는 경우가 많았다. 동물이 지 닌 본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정신적 가치를 표본으로 삼아 인간에 비유해 우화적인 방법으로 표현한 것이 다(Hwang, 2006). 제이슨 워커(Jason Walker)는 자연 인식에 역설적이고 인간의 문화에서 재고해야 하는 자연과 균형에 대한 현실을 풍자하였다(Fig. 21). 죠지 시걸(George Segal)은 인체의 사실표현과 상황의 연 출로 현대 사회를 실증적으로 나타내, 인간에게 내재 된 욕망과 대상을 보는 방식에 사회 풍자적인 태도를 연결하였다(Y. W. Kim, 2010; Fig. 22). 이와 같이 조 형 분야에의 풍자적 표현은 첫째, 알레고리를 통해 사 회적 모순에 대한 풍자의 모습을 조형적으로 적용했 다. 둘째, 자연물이나 동식물, 사물의 의인화를 통해 풍자했다. 셋째, 사회 약자였던 인종과 성별에 대한 풍자로 표현되었다.

    3. Satire in fashion

    패션에서의 풍자는 은유로 반어와 역설로 정형화 되어 있는 패션의 흐름에 대한 비판을 우회적으로 표 현한다(Kwon,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풍자에 대 해 선행연구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브제를 통한 눈속임으로 시각적 혼동과 위치 전환으로 해체하여 재구성해 억압된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Na, 2015)(Fig. 23), 가발이라는 오브제와 트롱프 뢰유 기법을 사용해 앞뒤 전환으로 풍자 효과의 극대 화(Fig. 24)로 나타나기도 하였으며(Choi, 2004), 저항 의식으로 의복의 외형적 해체와 재조합해 풍자하였다 (Fig. 25). 또한 불평등한 계급구조에 저항했던 피억압 자들의 개성과 자유에 대한 억압을 해체로 표현하였 다(Song, 2018; Fig. 26). 시각적 충격의 극대화를 위 해 눈속임 기법 등을 활용해 유머와 풍자, 유희적이며 동화적인 환상을 표현한다(B. Y. Kim, 2010). 소외계 층의 이미지를 차용하거나, 현실과 이상, 외관과 실재 의 차이 인식에서 풍자는 계층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인간성에 대한 풍자를 위해 다양한 자연물을 차용하 였다(Jang & Lee, 2013).

    현대 사회에서 성의 역할의 경계가 모호하고 불확 정적인 것에 대한 오랜 충동을 시각화하는 구조로서 가벼운 풍자적 재현이다. 이질적 요소로의 풍자는 패 션의 무한한 가능성을 확장시킨다(Kwon, 2011). 풍자 는 형태의 과장과 패러디로 웃음과 의인화하여 과감 한 성격과 성적인 요소를 통해 표현된다(Bang, 2014). 계층성을 파괴하는 형태로서의 풍자는 복장에 대한 규정을 파괴하고 형태의 자유로운 특성들의 불완전성 을 표현해 외형적 부분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한다. 속옷의 겉옷화로 상반된 표현(Fig. 27), 코트의 형태를 과도한 확장으로 인체를 숨겨 비정상적 형태(Fig. 28) 의 자유로운 특성을 과장과 왜곡으로 표현하였다.

    패션 분야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풍자적 표현을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컨셉추얼 패션에 관한 연구에서 풍자는 은유와 의인화를 통한 모방 차용으로 제도와 정치에 대한 우회적 표현과 시각적인 이미지를 병치 하여 역설을 통해 나타난다(Kwon, 2008). 재현된 패 션 오브제의 조형성 연구에서는 성적 표현 등의 고정 관념과 전통적 관습에서 나타나는 패션의 표현 방법 을 오브제의 관점에서 풍자하여 왜곡, 과장과 같은 형 태의 변형과 눈속임, 차용과 모방, 위치전환으로의 유 희와 유머, 소재의 다양화를 통한 병치와 시각적, 유 아적, 환상적으로 풍자를 아이러니와 엮어 표현하였 다(B. Y. Kim, 2010). 톰 브라운 컬렉션에서 나타난 패러디 연구에서 풍자는 패러디를 중심으로 소외계층 의 이미지, 자연물의 차용과 모방으로서 패러디의 한 분류로 성, 계층과 복식의 양식의 해체로서 풍자를 두 어 상징적 방법으로 분류하였다(Jang & Lee, 2013).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시각적 유머 연구에서 풍자 는 패션에서의 유머의 분류에 풍자를 포함하여 형태 의 변형으로 과장과 해체, 왜곡, 오브제의 사용과 같 은 형태로 그로테스크와 팝아트를 엮어 사회의 불완 전함과 계급, 성적 표현을 포함해 의외성을 통하여 웃 음으로 풍자를 표현하였다(Jang, 2013).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브제의 미적 특성연구에서는 패션에서의 오 브제 사용에 따른 분류 중 사회 풍자를 포함하여 위치 전환과 병치, 해체, 성의 표현과 시각적 표현으로서 트롱프뢰유와 사람과 동물을 조합하는 의인화의 형태 로서 제시하였다(Na, 2015). 권력의 억압적 표현을 응 용한 패션디자인 연구에서 풍자는 해체로서 성의 고 정관념을 파괴하며, 성의 표현을 위치전환과 형태의 변형으로 과장과 왜곡을 소재의 다양화와 혼합된 형 태로 나타났다(Song, 2018).

    이와 같이 패션 분야 선행연구에서 등장한 풍자는 선행연구의 주제에 따른 하위분류로 구분되어 진행되 었기에 패션 분야에서 풍자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다 소 부족하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패션에서 나타나 는 풍자적 표현을 정리하면 다섯 가지 표현으로 분류 되며,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의 변형과 과장, 왜곡으 로서 나타나는 위치전환으로 풍자의 표현이다. 둘째, 성의 표현, 모방, 패러디와 소재의 다양화 그리고 병 치로서 나타난다. 셋째, 해체와 중첩, 재조합을 통한 변형이다. 넷째, 의인화를 통한 유희성, 우회적 표현 과 차용이다. 다섯째, 시지각적으로 나타나는 눈속임 의 트롱프뢰유, 오브제, 의외성으로의 풍자적 표현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패션디자인에 나타나는 풍자적 표현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Ⅲ. Analysis of Satirical Expressions in Thom Browne Fashion Design

    톰 브라운(Thom Browne)은 2001년 뉴욕에서 다 섯 가지의 슈트 종류를 사전 주문에 따라 제작°진 행하는 맞춤복 사업을 시작했고, 2003년 이후 컬렉 션을 통해 본격적인 패션 디자인을 시작하였다(Thom Browne, 2017). 본 연구는 톰 브라운 컬렉션에서 나타 난 풍자적 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대 사조에서 보 이는 예술 분야의 문학, 회화, 조형, 패션에서 나타난 선행연구와 문헌 연구에서 나타난 풍자 표현들을 조 사°분류하였다. 자료 수집의 범위는 톰 브라운이 2006년 미국 패션 디자이너 협의회 CFDA에서 남성 복 디자이너를 수상하면서 국내외 패션 전문 매거진 ‘Vogue’에서 공식적으로 올라와 있는 첫 컬렉션 2006 S/S부터 2021 S/S까지 16년 동안의 톰 브라운 컬렉션 S/S, F/W 시즌의 Ready to wear, Menswear, Resort, Pre fall 컬렉션 전부를 포함한 64개의 범위를 대상으 로 2,392개의 사진 사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자료는 패션 전문 매거진 ‘보그 코리아’, ‘보그닷컴’을 통해 수집하고, 컬렉션 리뷰와 인터뷰 기사, 전문서적과 인 터넷 사진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사진의 객관적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나타나는 풍자적 표현을 바탕으로 하여 문학, 회화, 조형, 패션에서 보 이는 풍자적 표현들을 분석 기준의 틀로 구성하였다. 또한 컬렉션의 리뷰와 톰 브라운의 인터뷰 자료들을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하며 그에 따라 시각적으로 나 타난 풍자적 디자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 며, 이를 바탕으로 총 2,392개 중 풍자적 표현이 나타 난 작품들은 1,753개(73.3%)로 나타났다. 풍자적 표 현이 나타나지 않는 사례는 전통적 형태의 정장과 정 형화된 일반 기성복 형으로 639개(26.7%)의 복식들 은 분류에서 제외하였다. 톰 브라운 패션 컬렉션에서 수집한 풍자적 표현에 따른 사례를 분류하면 다음 <Table 2>와 같다.

    1. Fluid reconstruction of genderfluid

    현대 예술에서 풍자는 성과 관련된 고정관념들에 대한 풍자적 표현이 나타났다. 패션에서 이러한 성과 관련된 풍자의 형태는 성의 구분에 대한 틀을 낮춰 여 성성과 남성성에 대한 표현에서의 자유를 찾고자 하 였으며, 유동적인 재구성을 통해 전개되었다. 젠더플 루이드(genderfluid)란 고정되지 않으면서 시간이 지 남에 따라서 변화하는 성 정체성을 갖거나 보여주는 것으로 패션에서는 젠더의 유동적인 의류를 의미한다 (“Gender-fluid”, n.d.).

    남성과 여성의 구분으로 일어나는 고정관념에서 빠져나오는 것으로 젠더플루이드는 톰 브라운 컬렉션 에서 재구성되어 나타나는데, 성별에 대한 구분은 양 성성을 통해 나타나며, 남녀의 구분이 없는 같은 형태 의 옷을 디자인하여 성별에 대한 구분 없이 표현하고, 컬렉션에 나타나는 복식과 성별에 구분 없는 연출로 외적 요소를 활용해 전개하여 동일성을 만들어내 전 개한다(Fig. 29). 또한 반대로 성적인 특징을 더욱 부 각시켜 드러내는 방식으로 오랫동안 지켜왔던 성의 규범들에 대해 유동적으로 재구성하였다(Fig. 30). 남 성복의 여성스러운 접근 방식으로 재킷 모양과 코르 셋을 융합해 전개하거나 남성에게 드레스를 입히는 개방적인 방식으로, 이는 문화적으로 자의적 차이들 에 대한 근본적 의심으로 풍자적 표현이 나타난다.

    톰 브라운은 성의 구분에 중요성을 두지 않고, 고 정되지 않은 형태로서 유동적으로 성별의 경계를 교 묘한 예술의 형태로 만들어 복식의 형태에 있어 본질 적으로 성별에 제한받지 않으며 시각적으로 보이는 실루엣을 변화시켜 성의 경계에 대한 구분을 허물었다 (Fig. 31). 이는 표현의 경계에서도 나타났는데, <Fig. 32>와 같이 원피스와 작업용 장갑을 매치함으로써 소재와 아이템 등 오브제를 혼합하여 판단에 있어 구 분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Fig. 33). 유동적인 풍자의 표현으로의 디자인의 전개는 구분에 중요성을 두지 않고, 패션에서 지켜오던 성의 규범들이 무너지는 모 습을 통해 선입견에 의한 사회적 약자, 인종,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등장하는 특정 대상들에 대한 교 훈과 설득의 표현으로 톰 브라운 컬렉션에 표현되고 있다.

    2. Dual meanings of metaphorical allegories

    현대 예술에서 나타나는 풍자는 직접적이지 않으 며 은유적인 방법으로 제시된다. 패션에서는 동식물 이나 사물에게 인간의 모습을 의인화하여 나타나는 우의와 풍유의 뜻으로서 다른 것을 통해 이야기하는 알레고리의 형태로서 나타난다. 유머와 기지, 과장과 왜곡의 형태를 하나로 묶는 표현으로써 은유적 알레 고리는 패션에서 풍자적 표현으로 전달하는 것에 대 한 카타르시스를 준다. 알레고리를 통하여 사물은 새 로운 의미를 얻고, 그 방식은 문화적 경험과 사회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며, 그로 인한 예술적 표현이 더욱 풍부해진다. 은유는 낯선 사건이나 경험을 인식 가능 하도록 다시 기술하는 일족의 속성을 가지며 변환하 는 방법을 말한다(Choi, 2004).

    의인화를 통해 전달하는 형태로서 한걸음 뒤에서 은유적으로 표현되어 동식물, 사물을 통해 만들어 내 거나 이입하여 표현하는 방법으로 현대 사회나 특정 대상에 대한 풍자로서 전개되었다. 톰 브라운은 사람 에게 동식물의 형상을 전개하여 주객전도된 형태로서 은유적으로 알레고리를 연결하였는데, 2020년 F/W RTW 컬렉션과 같이 머리에 동물 오브제를 착용한 모 델들로 패션을 현실 도피로서 표현하고, 동물들이 모 여 톰 브라운의 옷을 입은 남자 케이크를 먹는 연출로 동물에 대한 인식과 인간의 탐욕에 대한 판도를 풍자 로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이중성을 둔다(Fig. 34). 2020 년 F/W RTW 컬렉션에서는 말의 형태의 오브제를 이 용하여 퍼포먼스로 풍자를 형상화하였으며(Fig. 35), 새 모양의 오브제와 깃털을 표현한 의상으로 디자인 을 전개하기도 하였다(Fig. 36).

    톰 브라운은 컬렉션 자체를 하나의 스토리로서 식 물의 모티브 복식으로 숲을 대입하고, 숲에 사는 동물 과 사냥꾼으로서 연출하여 풍자적 표현을 극대화하였 다. 또한 거대한 동물의 얼굴에 전통적 슈트를 입혀 이중적 모습들을 담아냈다. 컬렉션의 피날레에 사냥 꾼 역할의 모델들이 동물 형상의 모델들을 가리고 있 다가 뒤로 한발자국 물러서는 연출로 동물들에 대한 인간의 모습들을 풍자하였다(Fig. 37). 즉, 다른 무엇 인가를 통해 의인화한 형태는 재치 있는 모습으로 정 형화된 표현에서 벗어나 이중적 의미를 담은 풍자적 메시지를 패션 디자인으로 전달하였다.

    3. Playful expressions of visual wit

    시각적으로 눈에 제시되는 형태들에 의해 선택되 는 시각적인 표상은 직접적인 방법이 아닌 간접적으 로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판단을 제시한다. 고정되어 있는 가치를 부정하며 모순된 현실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위트는 전혀 다른 상황들이나 의미를 결합하는 재치를 발휘하여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전환과 반전으 로서 새로움을 창출한다. 위트가 암시하는 내용들의 의미를 파악할 때 그것이 추구하는 새로움, 해방감, 열린 가능성을 준다(Kwon, 2011).

    풍자에서의 위트있는 표현들은 현대 예술사조에서 전반적 형태로서 나타난다. 시각적인 위트로서 시대 와 대상에 대한 풍자 형태는 결국 웃음으로서 나타나 며, 유머러스한 표현들은 대상에 대한 더 나은 방향으 로 향하고자하는 하나의 염원으로 시각적으로 보이는 표현들에서 찾을 수 있다. 톰 브라운의 패션에서의 시 각적 형태의 위트는 눈속임으로서 나타났는데, 다수 의 표현이 트롱프뢰유 표현방법으로 등장하였다. 또 한 모방의 형태로 패러디로서 디자인의 전개와 메시 지를 담아 시각적인 측면에서 위트로서 풍자를 담아 냈다.

    톰 브라운은 인간의 회복에 대한 풍자적인 메시지 를 담은 위치전환의 형태로서 보는 사람에게 진실에 대한 판단을 넘기는 시각적 효과를 통한 유희적 표현 으로서 전개하였다. 현대의 예술사조에서 풍자의 대 상으로 등장했던 마리 앙투아네트를 컬렉션에 등장시 켜서 역사와 예술의 강박관념과 광범위한 어휘로서 역사의 모습을 컬렉션에 담아 풍자하였다(Fig. 38). 겹 겹이 옷을 입은 착시를 주는 시각적 재미는 위트 있는 디자인으로 복식이 주는 개념의 존재들에 고정관념을 비틀어 전개하였다(Fig. 39). 때로는 인체 구조와 연결 하여 투영된 모습으로 표현하고(Fig. 40), 옷 위에 인 체의 구조를 표현하여 <Fig. 41>과 같이 착시효과를 주어 나타내었다. 또한 종이를 오려 붙인 것과 같은 형태로 시각적인 착시와 참께 유희적인 효과를 더해 풍자가 보여주는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 각을 통한 과장된 형태로 패션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현실에 대한 풍자를 표현하였다(Fig. 42). 친숙한 이미 지들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재해석하여 고정되어 있 는 가치를 벗어나 모순된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풍 자적 표현이 위트있게 전개되었다.

    4. Constructions made of overlapped disassembled material

    해체된 소재들로 만들어지는 중첩은 기존에 존재 하고 있던 의복의 위치 변환을 통해 원단을 해체함으 로써 형태의 재구축을 만들어내 장난스럽게 뒤바꾼 다. 옷의 개념들이 뒤바뀜으로 인해 상의가 하의로, 속옷의 형태가 겉옷으로 드러나는 방식들로 내부적 요소였던 부분들이 외적으로 드러나는 기능적 요소들 과 함께 새로운 위치에 자리 잡으면서 톰 브라운은 기 존의 복식이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상반 된 표현 방법들로 고정되어 있던 옷의 형태에 대한 개 념을 재구축하고자 했다. 이는 복식이 가지고 있는 형 태의 기준에 제한을 두지 않은 방식으로 디자인을 전 개하였다.

    과거 여성들의 복식에 사용되었던 코르셋이나 크 리놀린을 겉으로 드러내 형태를 해체하여 겉과 안의 경계를 뒤바꿔 중첩하였는데, 이는 패션에서 고정되 어지던 형태에 대한 풍자적 표현으로 나타났다(Fig. 43). 이는 남성에게 여성의 전유물인 크리놀린을 개조 한 형태로 뒤덮어 중첩의 모습을 넘어 성의 경계까지 해체한 디자인으로서 전개되었다(Fig. 44). 복식을 구 성하는 데 있어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진 소재의 조각들 을 통해 해체와 중첩을 반복하여 하나의 새로운 형태 를 재구축하는 데 본래 가지고 있던 쓰임에 대한 기준 을 파괴하여 개인적인 환상 속에서 때로 옷에서 보이 는 노골적인 예쁘장한 형태성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고 해체하여 전개한다(Fig. 45).

    <Fig. 46>의 재킷은 두 종류의 정형화된 재킷을 해 체하여 한 벌의 재킷에 혼합한 디자인으로 비례를 해 체하고 균형을 깨트려 기존의 재킷 이미지를 새로운 형태로 디자인 되었다. 톰 브라운의 패션에서 소재의 해체로서의 위치전환은 중첩을 통해 나타났는데, 이 는 계층에 대한 풍자 형태를 닮아 있으면서 그러한 고 정관념에 대한 해체로서 풍자적 표현이 나타났다.

    5. Borrowing of morphological distortion

    모든 예술에서 표현된 실제의 대상과는 다른 차이 는 하버트 리드(Herbert Read)에 의하면 왜곡을 자연 에서 본래적으로 주어진 비례를 무시하는 것이라 하 였다. 보는 이의 기억 속에 담긴 사물에 대한 정상적 이미지와 왜곡된 이미지의 사이에는 심미적인 긴장감 과 연상을 통한 특별한 감정들이 유발된다(Ahn, 1999). 풍자는 가장 큰 목표를 개선으로 하여 감성보다 지성 으로서 부정적인 동기를 웃음으로 교정과 개선으로 긍정적인 동기로서 승화한다. 즉, 풍자의 웃음 속에 통쾌와 쾌재가 있는 것이다(Kim, 1983).

    형태적 왜곡은 과장의 형태로 현대 예술사조에서 의 풍자는 본래 가지고 있는 모습에서 변화를 통해 적 용되는데, 이는 내부적 요소를 외부적 형태로서 표현 하고자 하는 것이며, 내부와 외부는 각각 분리된 형태 가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구조적인 변화 로서 톰 브라운의 패션에서 전개되었다. 이처럼 풍자 는 내적인 심리를 전달하고자 하는 요소로서 외적인 형태를 왜곡하여 기존의 형태에서의 변화로서 일어나 는데, 이는 주로 과장되고 비틀리는 외적 요소로서 부 분적인 왜곡부터 과도한 왜곡의 진행까지 패션의 고 정관념에 대한 풍자적 표현이 녹아 있다(Fig. 47).

    톰 브라운은 풍자적 표현이 나타난 디자인의 전개 에 옷의 형태를 차용해 기존의 복식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서 형태적인 왜곡을 진행하여 시각적인 강조 와 함께 복식의 고정관념에 대한 풍자의 유머러스한 요소들을 풀어냈다(Fig. 48~50). 복식에서 나타나는 실루엣에 대한 왜곡을 자연물에서 보이는 식물 등을 은유적 요소로 유기적 형태로서 패턴화하여 풍자적 표현을 담아 전개하였다(Fig. 51). 톰 브라운 패션 컬 렉션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왜곡은 실제 대상과 다름 으로써 생기는 차이들로 본래 주어진 비례를 무시하 고 기억하고 있는 정형화된 복식의 형태의 이미지들 을 왜곡으로서의 형태로 인식하면서 생겨나는 부조화 적인 인식들에서 풍자와 유머의 요소가 동시에 등장 한다. 풍자의 희극적 성격들이 유머러스하게 왜곡되 고 변형되어 의도적이면서 동시에 비의도적인 표현으 로 시각적으로 보이는 차용과 과장, 변형으로서 패션 에서의 풍자적 표현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톰 브라운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5가지 풍자적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Ⅳ. Conclusion

    풍자는 변화가 빠른 현대에서 물질적 형태들만이 아닌 인식으로의 변화이다. 이는 다양한 예술 사조를 통해 국내외에서 사회적 특정 대상을 향해 소리 없는 아우성으로서 개선과 웃음이라는 긍정적인 형태로 전 개되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시지각적으로서 표 현의 자유가 늘어나면서 풍자의 표현에 따른 흐름 또 한 광범위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한 풍 자의 개념과 의미들을 고찰하고, 현대의 예술에서 보 이는 문학, 회화, 조형 분야에서의 풍자적 표현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는 패션 컬렉션에서 정 형화되지 않은 방법들로 현대의 패션에 영향을 주고 있는 패션디자이너 톰 브라운의 2006년부터 2021년 동안의 64개 컬렉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톰 브라운의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풍자적 표 현은 다음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톰 브라운의 패션 컬렉션에서 수집된 사 진 사례 1,753개(73.3%) 중에서 풍자적 표현이 나타 난 사진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젠더플루이드의 유 동적 재구성으로 631개(26.4%), 은유적 알레고리의 이중적 의미 368개(15.4%), 시각적 위트의 유희적 표 현 288개(12.0%), 해체된 소재의 중첩으로의 구축 238 개(9.9%), 형태적 왜곡의 차용 228개(9.5%)의 순서로 나타났다. 톰 브라운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풍자 적 표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플루이드의 유동적 재구성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변화하는 성 정체성으로 성의 구분에 대한 복식의 기준을 유동적으로 재구성하여 풍자하였다. 둘째, 은유적 알레고리의 이중적 의미는 은유적인 방 법으로 알레고리의 모습을 통해 동물, 식물, 사물을 통하여 의인화하여 패션에서 연출을 더해 풍자적 표 현이 이중적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도록 디자인을 형 상화한다. 셋째, 시각적 위트의 유희적인 표현은 시각 적으로 제시되는 형태들에 의해 선택되는 시각적 표 상에 착시를 주고, 재치 있고 능란하게 구사하는 위트 와 함께 시각적 형태로 풍자적 표현을 유희로서 전달 해준다. 넷째, 해체된 소재의 중첩으로의 구축은 복식 의 형태를 재구축하여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중첩과 해체를 통해 보이는 자유로운 구성들은 계층에 대한 풍자 형태를 닮아 있으며, 위치전환으로서 풍자적 표 현이 나타난다. 다섯째, 형태적 왜곡의 차용은 풍자의 희극적인 성격을 변형과 과장을 통한 표현으로, 패션 에서 유머스럽게 왜곡하여 고정관념에 대한 풍자적 표현을 녹여냈다. 따라서 풍자적 접근들은 유머러스 한 웃음과 함께 개선을 바라는 긍정적 형태의 모습들 이 톰 브라운 컬렉션에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풍자의 개념들을 패션으로 확대하여 긍정적 형태로의 전개된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사상 의 흐름에서 풍자가 패션의 새로운 방향성으로 확대 되어 새로운 방향성 확대에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Figure

    RJCC-29-2-252_F1.gif

    The garden of earthly delights, Hieronymus Bosch, 1480-1490 Reprinted from Indiepost. (2018). https://www.indiepost.co.kr

    RJCC-29-2-252_F2.gif

    The land of cockayne, Pieter Bruegel the Elder, 1567 Reprinted from Kang. (2010). https://magazine.hankyung. com

    RJCC-29-2-252_F3.gif

    A word with punch, Alfred Bunn, 1847 Reprinted from Rogers. (2019). https://magazineparo dy.com

    RJCC-29-2-252_F4.gif

    The political cerberos, William Dent, 1784 Reprinted from Jeon. (2015). p.370.

    RJCC-29-2-252_F5.gif

    The utopa illustration, Ambrosius Holbein, 1518 Reprinted from Jeon. (2015). p.37.

    RJCC-29-2-252_F6.gif

    Gulliver’s travels illustration Reprinted from Kwak et al. (2006). p.241.

    RJCC-29-2-252_F7.gif

    Gulliver and yahoo, Jean Ignac Eisidore Gerard, 1856 Reprinted from Kyosu Newspaper. (2020). http;//www.kyosu.net

    RJCC-29-2-252_F8.gif

    Gargantua, 1792 Reprinted from Jeon. (2015). p.72.

    RJCC-29-2-252_F9.gif

    Le charivari cover Reprinted from Philipon. (1835). https://www. metmuseum.org

    RJCC-29-2-252_F10.gif

    The two are but one, 1791 Reprinted from The MET. (n.d.). https://www.metmuseum .org

    RJCC-29-2-252_F11.gif

    Monalisa Reprinted from Botero. (1978). https:// publicdelivery.org

    RJCC-29-2-252_F12.gif

    Girl with balloon Reprinted from Banksy. (2004). https://www.banksy. co.uk

    RJCC-29-2-252_F13.gif

    portraits moses the lion panthera leo Reprinted from Yagopartal. (n.d.). https://yagopartal.com/ portfolio

    RJCC-29-2-252_F14.gif

    Danopungjeong, Shin, 1758 Reprinted from “Danopungjeong”. (n.d.). https://terms.naver.com

    RJCC-29-2-252_F15.gif

    Rice threshing, Kim, 18C Adapted fro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Museum of Korea. (n.d.). https://www.museum.go.kr

    RJCC-29-2-252_F16.gif

    Imyobongindo Reprinted from Shim. (2012). https://www.tongilnews.com

    RJCC-29-2-252_F17.gif

    Magpie and tiger Reprinted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Minhwa Resarch. (n.d.). http://www.minhwagallery. com

    RJCC-29-2-252_F18.gif

    Fountain, Marcel Duchamp, 1917 Adapted from Tate. (n.d.). http://www.tate.org. uk

    RJCC-29-2-252_F19.gif

    The rosetta vase, Grayson Perry, 2011 Reprinted from Victoria Miro. (n.d.). https://www.victoriamiro. com

    RJCC-29-2-252_F20.gif

    Bidibidobidiboo, Maurizio Cattelan, 1996 Reprinted from Maggi. (2013). http://www. collezionedatiffany.com

    RJCC-29-2-252_F21.gif

    We burn things that’s what we do Reprinted from Jason Walker. (2008).http://jasonwalkerceram ics.com

    RJCC-29-2-252_F22.gif

    Bus riders Reprinted from Segal. (1962). https://hirshhorn.si. edu

    RJCC-29-2-252_F23.gif

    Chanel fall 2008 couture Reprinted from Vogue. (n.d.a).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24.gif

    Maison Margiela spring 2009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b).http://www.vogue. com

    RJCC-29-2-252_F25.gif

    Unravel spring 201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c).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26.gif

    Comme des Garçons fall/winter 2016 Reprinted from Vogue. (n.d.d).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27.gif

    John Galliano fall/winter 2010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e).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28.gif

    Juun.J spring/summer 2013 menswear Reprinted from Juun. (n.d.). http://www.juunj. com

    RJCC-29-2-252_F29.gif

    Thom Browne fall 2020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f).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30.gif

    Thom Browne spring 2020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g). http://www.vogue.com

    RJCC-29-2-252_F31.gif

    Thom Browne fall 2019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h).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32.gif

    Thom Browne fall 2011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i).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33.gif

    Thom Browne fall 2015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j).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34.gif

    Thom Browne fall 2020 RTW Reprinted from Vogue. (n.d.f).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35.gif

    Thom Browne spring 2018 RTW Reprinted from Vogue. (n.d.k). http://www.vogue.com

    RJCC-29-2-252_F36.gif

    Thom Browne spring 2017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l). http://www.vogue.com

    RJCC-29-2-252_F37.gif

    Thom Browne F/W 2014 menswear Reprinted from Thom Browne. (2014). https://youtu.be/RCDJusfr3v4

    RJCC-29-2-252_F38.gif

    Thom Browne spring 2020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m). http://www.vogue.com

    RJCC-29-2-252_F39.gif

    Thom Browne fall 2019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h).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0.gif

    Thom Browne spring 201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k).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1.gif

    Thom Browne fall 201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n).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2.gif

    Thom Browne fall 2017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o).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3.gif

    Thom Browne spring 2017 RTW Reprinted from Vogue. (n.d.p).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4.gif

    Thom Browne spring 2017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l).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5.gif

    Thom Browne fall 2017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o).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6.gif

    Thom Browne S/S 2017 resort Reprinted from Vogue. (n.d.q).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7.gif

    Thom Browne spring 2020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g).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8.gif

    Thom Browne spring 2018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r). http://www.vogue.com

    RJCC-29-2-252_F49.gif

    Thom Browne spring 201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k).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50.gif

    Thom Browne fall 201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s). http://www.vogue. com

    RJCC-29-2-252_F51.gif

    Thom Browne fall 2014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n.d.t). http://www.vogue. com

    Table

    A satirical expression in the study of fashion

    Example of a satirical photo in Thom Browne fashion design

    Satirical expression in Thom Browne fashion design

    Reference

    1. Ahn, H. M. , & Cho, E. S. (2018). A study on Maguy Marin’s works with satirical elements.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71(4), 55-68.
    2. Ahn, Y. H. (1999). Contemporary art dictionary. Seoul: Mijinsa.
    3. Aisopos. (2002). In Compilation Committee for Compilation of Biographical dictionary (Ed.), 인명사 전 [Biographical dictionary]. Seoul: Minjung publishing company.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82767&cid=43671&categoryId=43671
    4. Bae, H. J. (2001). A study of satire represented in the novels written by Kim, Seung 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 Ban, M. S. , & Roh, Y. S. (2019).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grotesque that appears in collections of Thom Browne –Focusing on collections after the 2012 F/W collection-.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7(1), 99-112.
    6. Bang, H. E. (2014). Humorous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popular culture fashion: Focused on tv variety programs and K-p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Bang, M. J. (2008). A study on satire and the humor of Korea contemporary art: Focused on the works after 199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8. Banksy. (2004). Girl with balloon.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banksy.co.uk/in.asp
    9. Banksy. (n.d.). In PMG 지식엔진연구소 [PMG Knowledge Engine Research Institute] (Ed.), 시사상식 사전 [Current affairs dictionary]. Seoul: Pmgbooks.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79841&cid=43667&categoryId=43667
    10. Botero, F. (1978). Monalisa.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publicdelivery.org/fernando-botero-mona-lisa/
    11. Champfleury. (2001). Histoire de la caricature (J. G. Jung, Trans.). Seoul: Kachi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856)
    12. Choi, B. S. (2016). A study on the formative ceramics about satirizes the social phenomen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3. Choi, J. M. (2014). A study on ceramics expression with the motive of the rabbit sha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4. Choi, K. J. (2004). 현대미술의 전략 [Strategy of contemporary art]. Seoul: Artbooks.
    15. Chung, B. M. (2011). Portrayal and significance of ‘everyday life’ in the genre paintings of late Joseon. Art History, 25(25), 331-356.
    16. Clark, G. (2012). Shards: Garth clark on ceramic art (S. J. Kim, Trans.). Seoul: Hyunsilbook.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17. Danopungjeong. (n.d.). In Naver Encyclopedia.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1356&cid=58600&categoryId=59149
    18. Edward, L. S. (1981). The art of caricature.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 Gender-fluid. (n.d.). In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oxfordlearnersdictionaries.com/definition/english/gender-fluid?q=gender-fluid
    20. Hwang, H. S. (2002). Satire typ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5, 370-387.
    21. Hwang, S. A. (2006). A study of animals in fables as a subject of creative expression in ceramic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2. In, K. H. (1995).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토끼전 [The rabbit’s liver]). Academy of Korean Studies.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86%A0%EB%81%BC%EC%A0%84&ridx=0&tot=3
    23. Indiepost. (2018). Hieronymus Bosch, <The garden of earthly delights> (1490-1510).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indiepost.co.kr/post/6376
    24. Jang, J. I. (2013). Visual humor expressed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5. Jang, J. I. , & Lee, Y. H. (2013). Parody expressed in Thom Browne’s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3), 61-77.
    26. Jason Walker. (2008). We burn things that’s what we do.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jasonwalkerceramics.com
    27. Jeon, K. O. (2015). 풍자 자유언어 웃음의 정치: 풍자 이미지로 본 근대 유럽의 역사 [The language of satire freedom and the politics of laughter: History of modern Europe in the image of satire]. Seoul: Chaeksesang.
    28. Jeong, B. M. (1999).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풍속화 [genre painting]). Academy of Korean Studies.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2%8D%EC%86%8D%ED%99%94&ridx=0&tot=29
    29. Jeong, M. H. (2012). A study on folk cultures appeared in the late Chosun paintings: Genre painting, folk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0. Ji, H. W. (1994). Eine untersuchung der satirschen gestaltungsweise: Im bezug auf heinrich manns Der Untert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1. Juun, J. (n.d.). 2013 spring/summer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www.juunj.com/collections/2013_ss/index.jsp
    32. Kang, J. I. , Ko, B. J. , Ko, G. P. , Kwak, C. S. , Kim, W. G. , Kim, Y. H. , . . . Hwang, K. S. (2006). 서 양의 고전을 읽는다 2 (정치 사회) [Read western classics 2 (Political society)]. Seoul: Humanist.
    33. Kang, J. Y. (2010). 貪食에 대한 유쾌한 풍자 [A delightful satire on engorgement]. Magazine Hankyung.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 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10090600064059402
    34. Kim, B. Y. (2010).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ed fashion obj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5. Kim, H. (2010). A study on the satirical expression of daily life from a playful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6. Kim, J. H. (2013). A study on Honore Daumier’s political caricature: Focused on gargantu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7. Kim, J. H. (2016).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genderless style appeared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38. Kim, J. M. (2015). A study on social satire through plant draw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9. Kim, J. W. (1983). 해학과 풍자의 문학 [The literature of humor and satire]. Seoul: Munjang.
    40. Kim, S. S. (1984). The satirical tendency in modern Korean drama. Journal of Humanities, 11, 3-20.
    41. Kim, W. (2012). A study on reality satire and theatrical sculpture expression through fables: With my work as a foc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2. Kim, Y. W. (2010). The study of humorous expression of human figure in the sculptures of late contemporary era: Focusing on the works of resear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43. Kwak, C. S. , Kim, O. D. , Kim, I. Y. , Kim, C, S. , Kim, H. K. , Park, S. J. , . . . Jo, A. R. (2006).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4 (문학 下) [Read western classics 4 (Literature 2)]. Seoul: Humanist.
    44. Kwon, H. J. (2011). The comic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5. Kwon, J. Y. (2008). A study on the conceptual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46. Kyosu Newspaper. (2020). 걸리버와 야후(1856, 그랑 빌) [Gulliver and yahoo (1856, Jean Ignace isidore gerard)]. Kyosu Newspape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7787
    47. Lee, H. K. (1994). A study on the satire method of political fiction during the flowering period. Eomunyeongu, 25, 441-445.
    48. Lee, H. S. (2018).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Seoul: Minjungdic.
    49. Lee, K. B. (1967). 한국사신론 [The theory of korean history]. Seoul: Ilchokak.
    50. Lee, Y. J. (2005). Satire expression by means of symbolism of the hippopotam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1. Maggi, N. (2013). ‘Bidibidobidiboo’, Maurizio Cattelan, 1996. Collezione de Tiffany.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collezionedatiffany.com/larte-come-missione-il-collezionismo-di-patrizia-sandretto-re-rebaudengo
    5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Museum of Korea. (n.d.). 김홍도 벼타작(18c) [H. D. Kim, rice threshing (18c)].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treasure/view?relicId=543
    53. Na, Y. M. (2015).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54. Park, E. Y. (2016). A study on satire of norman rockwell’s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55. Park, S. Y. , & Kim, M. Y. (2016).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Thom Browne fashion Jacket.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3), 183-196.
    56. Philipon, C. (1835). Le charivari cove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47359
    57. Randall, P. H. (2008). The cartoon, communication to the quick (J. W. Ha, Trans.). Seoul: Hannarae. (Original work published 1989)
    58. Rogers. C. (2019, February 25). ‘A word with punch’, Alfred Bunn, 1847. Maganzin parody.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magazineparody.com/2019/02/25/a-word-with-punch-1847/
    59. Ryu, D. G. (2010). Teaching satire novels by using the context of laughter. The Korean Society of Literary Education, 31(31), 187-210.
    60. Satire. (n.d.). In 한국문학평론가협회 [Korean Literary Critic Association] (Ed.), 문학비평용어사전 [Dictionary of literary criticism]. Seoul: Kookhak.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31077&cid=60657&categoryId=60657
    61. Segal, G. (1962). Bus riders. Hirshhorn Museum.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hirshhorn.si.edu/itunesu/Themes/sculpture_and_form/Segal.pdf
    62. Shim, K. S. (2012, September 14). 이묘봉인도 [Imyobongindo]. Tongilnews.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877
    63. Song, J. E. (2018).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oppressive expression of pow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4. Sung, J. H. (1994).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 of caricatures apprec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Chungcheongnam-do, Korea.
    65. Tate. (n.d.). ‘Fountain’, Marcel Duchamp, 1917, Replica 1964.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tate.org.uk/art/artworks/duchamp-fountain-t07573
    66. The Korean Institute of Minhwa Resarch. (n.d.). 까치 와 호랑이 [Magpie and tige].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www.minhwagallery.com/gallery/gallery.html?category=3
    67. The MET. (n.d.). ‘The two are but one’, 1791.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93244
    68. Thom Browne. (2014). Thom Browne fall 2014 menswear [YouTube Chanal].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youtu.be/RCDJusfr3v4
    69. Thom Browne. (2017). Thom Browne at Parsons BFA fashion design & MFA fashion design and society 2017 recognition [YouTube Chanal].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7PvGRgn--PA&feature=youtu.be
    70. Victoria Miro. (n.d.). ‘The rosetta vase’, Grayson Perry, 2011.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ictoria-miro.com/artists/12-grayson-perry/works/artworks14618/
    71. Vogue. (n.d.a). Chanel fall 2008 couture.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08-couture/chanel/slideshow/collection#58
    72. Vogue. (n.d.b). Maison Margiela spring 2009 ready r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9-ready-to-wear/maison-martin-margiela/slideshow/collection#9
    73. Vogue. (n.d.c). Unravel spring 2018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 unravel/slideshow/collection#25
    74. Vogue. (n.d.d). Comme des Garçons fall/winter 2016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6-ready-to-wear/comme-des-garcons/slideshow/collection#6
    75. Vogue. (n.d.e). John Galliano fall/winter 2010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0-menswear/ john-galliano/slideshow/collection#17
    76. Vogue. (n.d.f). Thom Browne fall 2020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
    77. Vogue. (n.d.g). Thom Browne spring 2020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
    78. Vogue. (n.d.h). Thom Browne fall 2019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menswear/thom- browne/slideshow/collection
    79. Vogue. (n.d.i). Thom Browne fall 2011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1-mens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33
    80. Vogue. (n.d.j). Thom Browne fall 2015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5-mens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2
    81. Vogue. (n.d.k). Thom Browne spring 2018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
    82. Vogue. (n.d.l). Thom Browne spring 2017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mens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
    83. Vogue. (n.d.m). Thom Browne spring 2020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11
    84. Vogue. (n.d.n). Thom Browne fall 2018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3
    85. Vogue. (n.d.o). Thom Browne fall 2017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mens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20
    86. Vogue. (n.d.p). Thom Browne spring 2017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12
    87. Vogue. (n.d.q). Thom Browne spring/summer 2017 resort.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resort-2017/thombrowne/slideshow/collection#5
    88. Vogue. (n.d.r). Thom Browne spring 2018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
    89. Vogue. (n.d.s). Thom Browne fall 2018 ready to 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vg-images.condecdn.net/image/y2mvpBAAjYm/crop/810/f/kim_0364.jpg
    90. Vogue. (n.d.t). Thom Browne fall 2014 menswear.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4-menswear/thom- browne/slideshow/collection#26
    91. Yagopartal. (n.d.). Zoo portraits moses the lion panthera leo.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s://yagopartal.com/portfolio
    92. Yoo, I. S. , & Choi. B. K. (1990). 현대 미술 구조론 [Art as image idea]. Seoul: Sungnyemun.
    93. Yoon, H. J. (1994). 나의 양반문화 탐방기 1: 온돌야 화 [My yangban culture expedition journal 1: Ondolyahwa]. Seoul: Gilansa.
    94. Yoon, J. S. (2006). Work study made by customary consid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Gangwon-do, Korea.
    95. Yoon, J. Y. (2009). A study on satiric expression of realistic sculpture in contemporary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96. Yu, B. K. (1995). Some problems with the concept of satire. Journal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6, 339-35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