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5 pp.573-59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5.573

Development of Qipao design applied with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Yanfang Lin, Hao Zhang*, Younhee Lee**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August 2, 2020 October 20, 2020 October 23, 2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temporary Qipao design that emphasized creative feminine beauty with a unique sense beyond the concept of traditional Qipao design. This would be achieved using the expressive technique of human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of the unconscious world a supported by surrealism. Using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surrealist expression technique used in fash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y of new and original design beyond existing surrealistic Qipao design was demonstrated through various realistic surrealism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dépaysement, objet, and trompe-l’oeil techniques. This occurred by exploring various unconscious world out of fixed ideas and through expression techniques of surrealistic fashion such as imagery of body parts, metaphorical expression of objects, and position deformation and illusion. Second, Qipao design that combined objet and attempted ordinary escape by combining isolated body parts (such as hands, eyes, and lips) within the composition combine with surrealistic expression enabled various and fun surrealistic fashion designs to emerge. Third, the metaphor of surreal lips and eyes (mainly used in works of this study) presented a unique and extraordinary combination of images in accessories and partial design that used the dépaysement technique. Thus, it was possible to expand surrealistic expression by including LED wire.



초현실주의 표현 기법을 활용한 현대적 치파오 디자인 개발

임 염방, 장 호*, 이 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현대 글로벌 시대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으며, 각 국가 간의 문화적 요소들을 공유하며 결합하고 발전시킨다. 중국은 풍부한 전통 문화와 오랜 역사를 가진 다민족 국가로, 중국 문화의 이국적 인 정서와 상징적 요소는 많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활 용되고 있으며, 이국적인 스타일로 나타나고 있다. 중 국은 1997년 홍콩의 중국반환, 2003년 WTO 세계무 역기구 가입, 2008년 북경 올림픽의 개최 등으로 경제 적으로, 문화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 라 중국풍이 큰 관심으로 떠올랐으며, 패션 분야에서 도 중국 전통 치파오(Qipao)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Jung, 2005).

    패션 컬렉션에서도 중국 전통 치파오를 활용하는 디자인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치파오에 대한 수요 도 급증하고 있다(Zhu & Ha, 2016). 치파오는 청대 (淸代)부터 오늘날까지 백 년의 역사를 가지며 많은 변화를 하였으며, 새로운 발전을 추구하는 여성들의 곡선미를 강조하는 복식으로 변화하였다(Bin, 2008). 치파오는 구성 형태, 색상, 소재 및 문양에서 중국적 디자인을 강조하여 디자인된 것으로 새롭게 발전되어 다양화된 개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치파오에 대 한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치파오 복식에 대한 분석이나 미학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 로, 치파오를 활용한 다양한 패션 디자인의 연구와 개 발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패션디자인의 방향성 제 시를 위한 방법으로 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 surrealism) 표현기법을 활용한 치파오 패션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현실주의는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만 현실 을 넘어 현실로 이해, 현실적이고 비합리적인 자유로 운 상상을 추구하였으며, 잠재의식 속의 환상을 상징 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혁신의 운동으로 추상미술이다. 초현실주의는 다 다이즘에 이어서 1920년대 프랑스를 중심으로 전 세 계에 영향을 미친 문학예술 사조로, 초현실적이고 초 감각적인 꿈, 환상 등이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며 (Heo, 2014), 현재까지 많은 디자이너에 의해 영감으 로 작용하며 컬렉션에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치파오 디자인 관념에서 벗어나 새롭고 독창적인 감각을 강조한 현대적인 치 파오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최근 지속적인 에스 닉 트렌드 경향은 다양한 민속적 문화의 융합 및 수용 을 지향하고 있어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고찰 을 통하여 초현실주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조사, 도출 하고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패션디 자인의 표현기법을 조사하였다. 초현실주의를 추상적 초현실주의와 사실적 초현실주의로 분류하여 설명한 하프만(W. Halfmann)의 분류를 기반으로 사실적 초 현실주의의 특성을 조사하여 표현 가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치파오와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치파오의 디자인 특성 및 구성 형태를 조사하고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초현실주의 표현기 법을 활용한 치파오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였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Surrealism

    1)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초현실주의는 20세기 초 미래파, 다다이즘에 이어 서 프랑스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예술사 조로, 예술과 문학뿐만 아니라 생활 방식이나 철학적 조 망의 표현까지 발전시켰다(Heo, 2014). 초현실주의라는 용어는 시인 기욤 아플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가 1917년 연극의 서문에서 처음 사용하였으며, 초현 실주의는 사실상 1924년 프랑스의 시인 앙드레 브르통 (Andre Breton)이 주장하여 ‘제1차 초현실주의선언’ 발표 이후 새로운 운동으로 정의되었다(Breton, 1999/2012).

    앙드레 브르통은 초현실주의 선언문에서 “초현실 주의란 이성의 통제가 없는 상태, 또는 미학적이거나 도덕적인 모든 배려에서 벗어난 사고의 받아쓰기”라 고 규정했다(Chang & KIm, 2002). 다다이즘에 뿌리 를 둔 초현실주의는 이성의 지배를 거부하고 초현실 적이고 비합리적인 자유로운 상상을 추구하며, 무의 식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혁신의 운동으로 인간의 상상력을 확장하고자 하였다(Jo, 2018). 초현실주의자 들은 현실과 비현실을 연결시키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성을 초원한 관념, 본능, 예술양식, 인간의 잠재의 식과 꿈의 세계를 경험하여 인간을 억압하고 있는 의 식으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하였다. 즉 초현실주의는 기존의 예술 표현 관념에서 부터 과감히 탈피하여 인 간의 내면적인 잠재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한 표현양식으로 사실성, 추상성을 내포하고, 현실과는 다르게 자유롭게 표출하기를 원했다(Yoon, Kim, & Oh, 2015).

    이와 같은 초현실주의는 이성을 초월한 환상적 세 계를 주로 표현하였다. W. 하프만은 초현실주의를 ‘추상적 초현실주의’와 ‘사실적 초현실주의’로 구분하 고 있다(Zhang & Kim, 2013). 초기 호안 미로(Joan Miro), 파울 클레(Paul Klee) 등이 추구한 추상적 초현 실주의는 현실의 재현을 거부하고 의식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동기술법, 오토마티즘(automatism)을 실험 하고자 하였다. 반면, 후기의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와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 등이 추구한 사실적 초현실주의는ᅠ속성과 연관성이 없는 장소에 배 치하여 외관상 이질적인 상황으로 인한 충격을 일으키 게 하는 표현으로 낯선 장면을 연출하는 데페이즈망 (dépaysement)을 활용하는 시각적 기법이다(Jo, 2018).

    추상적 초현실주의 작가들은 주로 활용한 자동기 술법 오토마티즘은 무의식의 세계를 작품에 투영하려 는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표현기법으로, 의식, 고정 관념, 이성 등의 영향을 배제하고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움직임과 형태를 그리는 것을 의미한다 (Kim, 2010). 초현실주의자들은 오토마티즘을 활용하 여 포토몽타주(photomontage), 데칼코마니(décalcomanie), 프로타주(frottage) 등의 다양한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현대 미술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Choi, 2013).

    사실적 초현실주의에서 주로 사용한 표현기법 데 페이즈망은 전치, 전위, 위치전환이라고도 한다. 데페 이즈망은 입체주의의 콜라주로부터 출발하여 초현실 주의 화가들에 의해서 발전되었으며, 무의식에 내재된 감동을 끌어내는 표현기법이다. 기존 사물에 대한 고정 관념이 위치 전환에 따라 파괴되는데서 사람에게 심 리적인 쇼크를 주게 된다(Kim, 2009). 이러한 원리에 의해 꿈속의 화면을 구성하며, 그림을 보는 사람의 마 음속에 있는 잠재한 무의식의 세계를 해방시킬 수 있어 회화 안에서 신비스러움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2) Works of surrealism

    회화에서 추상적 초현실주의 운동을 주도한 작가 는 호안 미로와 파울 클레, 막스 에른스트(Max Ernst) 등이 있다. 호안 미로는 추상적이며 자동적인 회화 의 재질감, 붓의 미끄러짐, 행위와 기호를 통해 독특 한 생물학적 형태를 만들어냈다. ‘어릿광대의 사육제 (Harlequin’s carnival)’(Fig. 1)와 ‘사냥꾼(The hunter) (Fig. 2)’ 작품에서 보여지듯, 다양한 추상적 물체들이 섞여 새로운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무의식적인 ‘자동 기술법’으로 어린아이가 그린 것과 같은 자유로움을 표현하였다. 미로는 순수한 무의식의 상태에서 손의 자발적 움직임으로 추상적 율동적인 리듬을 가진 기 호나 부호에 가까운 형체를 독자적인 조형 언어로 표 현하였다(Yoon et al., 2015).

    사실적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을 표현한 대표적 작가로 르네 마그리트와 살바도르 달리가 있다. 그들 은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이 많이 차용하는 초현실주 의 대표적인 작가로, 데페이즈망을 통하여 무의식이 공존하는 환상과 독특한 회화의 세계를 구축하였다. 르네 마그리트는 벨기에 출생으로 초기에는 입체주의 와 미래주의 성향의 작품을 묘사하였으며, 조르지오 데 키리코(Giorgio de Chirico)의 영향을 받아 초현실 주의적인 개성이 두드러지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Yoon et al., 2015). 그는 조르지오 데 키리코의 작품 을 보면서 어떻게 그려야 하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그 려야 하는가에 대해 처음으로 고민하게 한 작가이며 작품이라 하였다(Gablik, 1976/2001).

    르네 마그리트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Ceci n’est pas une pipe)’ 작품은 눈에 보이는 현실의 객관성에 대한 의심을 주제로 현실성을 부인하거나, 소재를 그림 이 아닌 글로 표시하여 재현함으로써 이러한 논의를 분명하게 제시하였다(Fig. 3). ‘잘못된 거울(The false mirror)’은 오브제의 역설적인 결합으로, 대상에 대한 자유로운 사고와 사람의 눈과 하늘의 비정상적인 대 립에 의한 만남으로 사물들이 가지는 관계성을 경계 없이 결합하여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을 가장 직접적 이고 단순하게 표현하였다(Fig. 4). 또한 고립된 물체 자체의 독특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으로 오 브제와 오브제를 결합, 구성하였다. 사물의 일상적 이 미지를 거의 왜곡시키지 않고 정확히 묘사하여 결합 하고, 하나의 사물이 동시에 두 개의 사물일 수도 있 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Yoon et al., 2015).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주의 대표작 ‘골콩드(Golconde)’는 검은 중절모를 눌러쓰고 검정색 코트를 걸친 신사가 하늘에서 빗방울처럼 비쳐진다. 내려오고 있는 것인 지, 공중에 멈춰 있는지 확실하게 보이지 않는다(Fig. 5). 이와 같은 ‘엉뚱한 결합’을 즐기는 르네 마그리트 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립하였으며, 중절모와 코트 차림의 남자는 르네 마그리트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대표 아이콘이 되었으며, 실제 마그리트 자신이 즐겨 착용한 패션이다.

    르네 마그리트는 상식의 세계를 거부하고 영감, 현 실, 무의식 세계에서의 이미지와 언어, 사물 사이의 관계를 다룬 작품들을 통해서 인간의 무의식이나 잠 재되어 있는 욕망들을 표현하였으며, 이는 일상적인 사물을 예기치 못한 공간에 배치하여 크기를 왜곡시 키고, 논리를 뒤집어 이미지의 반란을 일으키고, 기존 사고의 일탈을 유도하였다.

    살바도르 달리는 20세기 무의식을 탐구한 초현실 주의의 대표적인 화가이다. 그의 내면적 상상력은 회 화, 조각 등의 순수미술에서부터 가구, 패션, 액세서 리 디자인, 영화 등 전위적인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주 었으며 오늘날까지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Yoon et al., 2015). 그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영향으로 무의 식의 세계와 꿈을 표출하고자 하였으며 ‘편집증적 비판 방법(Paranoiac critical method)’을 개발하였다(Hong & Bae, 2018). 작품 ‘기억의 영속성(The persistence of memory)’(Fig. 6)에서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바탕 으로 한 환상적 주제와 시각적 밀도감이 대조를 이루 고 있다. 녹아내리는 시계와 같은 초현실주의 표현은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몽환적인 2중, 3중의 중복 으로 보이게끔 하는데, 이러한 표현 방법을 편집광적 혹은 비판적 방법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녹아내리 는 시계는 오브제의 재현으로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 용의 관계성 즉, 4차원 세계를 암시하고 있다(Zhang & Kim, 2013).

    작품 ‘내란의 예감(Premonition of civil war)’은 전 쟁 속의 죽음과 탐욕스러운 식욕을 표현하고 있는 작 품이다(Fig. 7). 딱딱한 물체를 부드럽게 변형하고, 목 발과 같은 특정한 형상의 반복사용으로 원래의 관념 을 완전히 탈출하였으며, 낯익은 물질이 전혀 다른 이 미지의 상태로 부각되게 한다(Kwon, 2009). 또한 ‘아 파트로 쓰일 수 있는 메 웨스트의 얼굴(Face of Mae West which may be used as an apartment)’ 작품은 1920~30년대 할리우드의 유명 여배우 메 웨스트(Mae West)의 얼굴을 엉뚱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하였다. 방 안에 배치된 액자는 눈이 되고, 중간의 벽난로는 코를 묘사하고, 소파는 입술로 조화를 이룬 메 웨스트의 얼 굴이 된다(Fig. 8). 여자의 얼굴과 아파트 실내의 모습 이 중복되면서 이미지가 일치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여자의 눈과 실내의 액자, 여자의 코와 실내의 장식장, 여자의 입술과 실내의 소파가 일치된 위치에 중복되고 병치되면서 이중적 이미지를 만들며 시각적 혼란을 유도한다(Park, 2016).

    2. Expression technique of Surrealism in fashion design

    초현실주의 패션은 1920년대 초반에 발전하기 시 작하여,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1930년대 와 1940년대에 걸쳐 패션 광고와 잡지, 원도우 디스플 레이, 장신구, 의상 등 패션계에 독특한 스타일로 나 타났다. 초현실주의 패션은 1930년대 엘자 스키아파 렐리(Elsa Schiaparelli, 1890-1973)에 의해 탄생하였 으며, 현대 패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 많은 디자 이너들에 의해 재현되었다(Yoon et al., 2015). 엘자 스키아파렐리는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화가 살바도 르 달리 등의 예술작품에 패션을 연결하여 패션과 순 수예술을 접목하여 현대 패션의 발전을 이루었다.

    초현실주의 특성 분류에 관한 연구자로 리차드 마틴 (Richard Martin)은 그의 저서 ‘Fashion and Surrealism’ 을 통해 이브생로랑(Yves Saint Laurent), 장폴고티에 (Jean Paul Gaultier),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 등이 엘자 스키야파렐리의 아이디어를 부활시켜 초현실주의 적 스타일을 재현하였음을 언급하였다. 그는 현대 디 자이너들이 표현한 초현실적 패션의 특성을 Metaphor and Metamorphosis(은유와 변형), Bodies and Parts (몸과 몸의 부분), Displacement and Illusion(이동과 착시), Natural and Unnatural Worlds(자연적과 비자연 적 세계), Trompe-l’oeil(트롱프뢰이유, 눈속임)의 다 섯 가지로 분류하였다(Martin, 1988). 이후 다양한 초 현실주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선행연구 조 사 결과,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초현실주의 패션은 사 실적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의 연구가 주로 많이 연 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Lee, Lee, & Park, 2007). 초현실주의 특성에 따른 분류는 연구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를 위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 관련 연구의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Bang(2008)은 1980년대 이후 패션에 나타난 초현 실주의 표현으로 ‘상징적 이미지의 오브제, 이중 이미 지나 트롱프뢰이유, 데페이즈망 기법에 해당하는 일 상용품의 전위와 복식의 전위, 성의 양면성과 페티시 즘’으로 유형별로 분류하고, 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패션은 회화에서 상징적 이미지의 오브제 를 그대로 빌려와 형태면에서 변화를 주어 다양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Kwon(2009)의 연구에서 초현실주 의의 데페이즈망 기법 중, 은유적 표현은 사물의 은유 와 생물의 무생물화의 특징으로 나뉘며, 패션의 관계 없는 용품들을 응용하여 우연한 만남으로 새롭게 나 타내는 초현실주의적 표현이다. 위치 전환은 전후, 앞 뒤, 상하의 도치와 내의와 외의의 전환 등, 전통을 거 부하고 억압된 무의식의 욕구를 분출하였다. 트롱프 뢰이유이라는 뜻을 내포하는 착시와 신체의 상징화는 신체의 한 부분을 이탈시킴으로써 기존의 관념을 이 탈하여 해체주의적인 의미를 표현함을 알 수 있다. Heo(2014)는 패션 분야의 데페이즈망 표현기법은 ‘스 케일의 변화, 재질의 변환, 이질적 오브제의 만남, 대 상의 낯선 공간 배치, 대상의 중첩, 역설적 이미지, 가 변적 경계인지’의 총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Lee(2015)는 초현실주의를 활용한 드레스 디자인 을 위하여 ‘데페이즈망, 오토마티즘, 오토마티즘과 데 페이즈망의 복합적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데페이즈 망 기법은 오브제와 비 오브제의 이동으로 차용과 전 치를 나타냈으며, 오토마티즘 기법은 형태의 변형에 의한 왜곡으로 형태의 변형 및 과장, 강조, 삭제, 중첩 에 의한 왜곡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오토마티즘과 데페이즈망의 복합적 표현을 통하여 착시에는 드로잉 및 소재와 실루엣에 의한 착시가 있다고 나타났다고 알 수 있다.

    Hong and Bae(2018)의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 특 성을 ‘신체 부위의 형상화, 자연물의 형상화, 사물의 은유와 변형, 위치 변형과 착시’로 도출시킴으로써 신 체 부위의 형상화는 즉 눈, 입술, 가슴 등의 신체 일부 를 따로 때어내 예상치 못한 의복의 부에에 배치하였 으며, 자연물의 형상화는 자연물에서 모티브를 얻은 꽃, 나무, 나비, 동물, 새 등을 사용한다, 사물의 은유 와 변형은 일상의 사물을 오브제로 사용하여 발상의 전환으로 재미를 주거나 현실을 풍자하는 방법이다, 위치 변형과 착시는 앞뒤, 위아래가 바뀌는 의복 등 위치를 다르게 하거나 트롱프뢰이유 같은 시각적 착 시를 이용하는 방법이라는 초현실주의 패션은 다양하 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디자인과 패션이미지 전달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는 초현실주의 패션은 사실적 초현실주, 데페이즈망에 대한 연구 경향이 많았으며, 위 치전환으로 인한 전치, 형태의 위치 변형으로 인한 왜 곡, 트롱프뢰이유 기법으로 시각의 착각을 이용한 착시 등의 방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1).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초현실적 표현으로 초 현실주의 패션의 대표 디자이너 엘자 스키아파렐리의 Shoe Hat(Fig. 9)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달리가 여 성용 구두를 쓰고 찍었던 사진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 으로, 구두를 거꾸로 표현한 모자를 발표하였는데, 데 페이즈망의 대표적 작품으로 우연성을 중대시하는 초 현실주의 상상력의 해방을 제시하였다(Martin, 1988). 신체부위의 형상화 특성은 신체의 한 부분을 이탈시 킴으로써 기존의 관념을 벗어나 동시에 신체부위 간 의 전치 및 전위하여 신체 일부를 따로 때어내 예상치 못한 의복의 부위에 오브제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 체적인 신체에 대한 해방을 표현하였다.

    빅터&롤프는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신체의 한 부분 인 눈, 코, 입 유형을 조각으로 입체파 예술처럼 보여 주었다(Fig. 10). 사물의 은유적 표현으로는 자연적인 세계와 비자연적인 세계 특성과 함께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상의 사물이나 건축 등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거나, 생물의 무생물화, 일상용품과 자연물의 전치 및 변형하는 기법을 활용한다. 빅터앤롤프는 인 형머리의 오브제를 활용한 얼굴의 탈을 활용하여 기 존의 패션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관성이 없는 본질들이 우연히 만나 발상의 전환으로 재미를 주거 나 현실을 풍자하였다(Fig. 11).

    또한 위치 변형과 착시. 트롱프뢰이유 특성이 함께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다양한 소재를 응용한 착시 로 꽃다발 모양을 인체와 패션으로 표현하기도 하였 으며(Fig. 12), 형태의 변형에 의한 왜곡,ᅠ스케일의 변 화를 통한 비논리적 확대나 축소로 만들어진 시각적 착시, 사물에 앞과 뒤, 위와 아래가 바뀌거나, 의복 표 면에 모양과 디테일을 그려 넣어 입체적으로 트롱프 뢰이유 기법을 이용한 시각적 착시 등으로 나타났다 (Fig. 13).

    이와 같은 패션들은 합리적 사고를 깨고 본질의 변 화를 통하여 모순적이면서도 심미적인 이미지를 나타 내고 있다.

    3. Qipao

    1) Definition and composition of Qipao

    치파오는 중국의 전통적인 대표 복장으로, ‘치파오 (Qipao)’라는 용어는 청대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청 (清)나라 시대에 만주(滿洲)(“Chinese dress”, n.d.)는 몽 골 행정 구역의 하나였다. 중국 청나라의 실질적 창건 자이자 초대 황제 누루하치(努爾哈赤, 재위1616-1626) 가 후금(後金)을 건립하여 팔기(八旗) 제도를 실시하 고(Park & Cho, 2002), 모든 만주족을 거주하게 하면 서 만주족을 기인(旗人)이라 부르게 된 이후로 만주족 이 착용한 장포(長袍)를 치파오라고 부르게 되었다 (Jung, 2005).

    청대 이전에는 만주족의 남녀노소가 계절에 관계 없이 항상 치파오를 착용하였다. 만주족의 치파오는 단·겹·면·피 등 계절에 따라 재질이 달랐으며, 구 성 양식의 특징은 유목 기마민족의 특징이었던 마제 수(馬蹄袖)와 사면개차로 설명할 수 있다. 마제수란 소맷부리에 반원형의 수두를 덧붙여 활쏘기 편리하면 서 도련에 전·후·좌·우 즉 네 부분에 트임을 준 것이다(Frontier Space, 2019). 전통적으로 인식된 치 파오 특징은 목둘레가 둥근 원형의 원령이며, 여밈의 형태가 대금이고, 소매 모양은 착수의 형태이다. 또한 하의 양쪽에 옆트임이 있는 실루엣이다(Fig. 14).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치파오의 유행이 시 작되면서 현대화된 치파오를 차이니즈 드레스(Chinese dress)라고 불렀다(Bao, 2000). 치파오의 기본적인 구조 는 상하의 하나로 이어진 원피스 형태로 전형적 외관 특 징을 갖고 있어야 하는 복식 양식이다. 또한 만다린 드 레스(mandarin dress), 치포(chi pao), 청삼(cheongsam) 등 외국 연구사례 및 영문 역상 치파오에 대한 표현이 다양하며(Bian, 2003), 본 연구에서는 ‘치파오, Qipao’ 로 통일하여 지칭한다.

    2) Design characteristics of Qipao

    치파오는 청대(淸代)부터 현대까지 백여 년 동안 수정과 개량의 반복을 통해 오늘날 여성의 곡선미를 드러낼 수 있는 현대적이고 감각적인 중국 전통 스타 일의 치파오로 발전했다. 치파오는 여성의 어깨, 가 슴, 팔, 허리, 엉덩이와 다리를 다양한 곡선으로 구성 하여 여성의 곡선미를 드러내고 있다. 청대와 근·현 대 치파오의 조형적 특징인 구성형태, 색채, 문양과 소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Composition and form

    치파오의 구성 및 형태는 목둘레 형태, 여밈 형태, 소매 형태 등이 있다. 전통 만주족(滿洲族) 여성의 장포 (長袍)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좀 여유 있는 형태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품이 좁고 허리가 꼭 끼고 길이가 긴 치파오가 된다. 치파오의 앞단을 여밈은 형태와 형식 에 따라 개금(開襟)은 직금(直襟), 대금(對襟), 비파금 (琵琶襟), 쌍금(雙襟) 등으로 나누어지며, 목선의 형태 에 따라 입령(立領), 무령(無領), 고령(高領) 등으로 나 누어진다. 소매는 형태와 크기에 따라 대수(大袖), 착수 (窄袖)로, 소매 길이에 따라 장수(長袖), 반수(半袖), 무 수(無袖) 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치파오의 매듭단추, 곤변(滾邊)을 화려하게 부착하여 제작한다(Yoo, 2010).

    전통 치파오의 실루엣은 주로 A라인 실루엣이며, 몸통이 헐렁하고 청교도처럼 엄숙해 보였다(Fig. 15). 청대를 대표하는 전통 복식인 치파오는 서양의 아르 데코(Art Deco) 시기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가 일어났 다. 아르 데코는 여성 복식은 여성의 인체를 강조한 S라인에서 변화하여 직선적인 라인을 강조하였으며, 이후 치파오의 실루엣도 서양화에 따라 다양화 되었 다(S. Wang, 2002). 치파오는 서양 스타일의 영향으로 점점 몸에 딱 맞게 만들어져, 여성들이 날씬하고 섹시 하게 보이게 하는 타이트 실루엣(tight silhouette)으로 변형되었으며(Fig. 16), 다양한 여성의 신체 곡선미를 극대화시켜 표현하며 현대 치파오의 중요한 특징으로 완성되었다.

    또한 치파오의 다른 특징은 목에서 가슴옆구리에 사선으로 이르는 트임과 매듭장식이다. 매듭단추는 전통 치파오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반뉴(盤鈕)라고 도 한다. 실용적이며 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 로 옷감으로 만드는데 견사와 동선 등의 재료를 이용 해서 손안에서 맺기, 뚫기, 둘둘 말기, 두르기, 짜기, 꺼내기 등 다양한 기예를 통해서 규범적인 방법을 통 하여 매듭단추를 제작하였다. 옷을 여미는 기능적인 면보다 장식적 착용이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 매듭단 추는 치파오의 목둘레, 여밈, 트리밍, 개차 등의 부분 에 사용한다(Jiang & Tan, 2008).

    (2) Colorability

    현대 패션 복식에 있어 색채는 옷의 인상을 결정지 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색채는 색채 이미지에 의해서 선택되며, 향토와 민족의 문화에 따 라서 변천하기도 한다. 한 문화의 흐름 속에서도 그것 은 시간의 흐름에 의해 변천하는 것이다(Kwon, 1994). 중국 전통 색채는 명대부터 음양오행설에 따른 오방 색(五方色)을 기본으로 한다.

    청(清)대의 관습색은 위에 오방색인 청색, 적색, 황 색, 백색, 흑색의 다섯 가지 색을 오방정색(五方正色) 이라고 하며, 정색(正色)과의 혼합으로 생기는 다섯 가지 간색(間色)을 오간색(五間色)이라고 한다(C. M. Wang, 2002). 오행(五行)은 계절과 방향을 가지는데, 1년 5계 로 봄, 여름, 계하, 가을, 겨울로 나누어, 방향 색채는 동(東), 남(南), 서(西), 북(北), 중(中)을 일컫는다. 색채 는 우주의 기본이 되는 나무, 불, 땅, 금, 물의 다섯 가 지 요소와 다섯 가지의 행복, 미덕, 악덕, 교훈 등이 연관되어 있다(Kim, 2003).

    청색은 나무와 봄을 의미하고 동쪽을 상징하며, 치 파오 디자인에서 많이 선호하는 색이다. 적색은 여름 과 불을 의미하고 남쪽을 의미하며, 중국이 행운의 색 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결혼 예복이나 경사의 예복에 많이 사용한다. 황색은 중앙과 땅을 상징하고, 황제와 황후만이 사용할 수 있는 색이다. 백색은 가을과 금을 의미하고 서쪽을 의미하며, 죽음과 연관되기 때문에 옷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흑색은 겨울과 물을 의미 하고 북쪽을 상징한다고 여겼다(Hong, Shin, & Choei, 2004). 오방색(五方色)과 오행설(五行說)에 대해서 정리 하면 <Table 2>와 같다.

    (3) Pattern

    문양은 중국 전통복식의 특징으로 주로 화려한 자수 로 장식한다. 치파오의 전통 문양은 길상문(吉祥紋)으 로 상징되며 시대적 사상을 반영하였다(Jang, 1975). 중국 복식의 문양은 시대별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 다. 본 연구에서는 청(淸)대에 나타난 치파오의 문양 을 살펴 보았으며, 주로 사용된 문양은 동물문, 식물 문, 기하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문양에는 벽사(辟邪), 장수(長壽), 복(福), 부(富) 등의 의미가 있 다(Wang, 2017).

    동물문의 용(龍) 문양은 만물 조화의 능력이 있는 영물로 벽사와 권위, 남자의 정력과 다산, 황제 등을 상징한다. 중국 황제의 복식만 용문을 사용할 수 있었 다. 봉황(鳳凰)은 실재하지 않는 상상의 새로서, 중국 의 품위와 태평성대, 황후 등을 상징한다. 물고기(魚) 문양은 물고기를 나타내는 어(魚)라는 단어와 여분을 뜻하는 여(餘)라는 단어의 발음이 같은 것에서 물고기 는 부유함이나 풍요를 의미한다. 나비(蝴蝶)는 행복과 즐거움을 상징하며, 장수(長壽)를 의미하기도 하며, 박 쥐(蝙蝠)는 중국어로 박쥐와 부(富)의 발음이 같은 것 에서 부(富)를 상징한다. 특히 다섯 마리가 함께 있는 것은 “장수, 건강, 부, 덕, 천수”의 오복(五福)이라 한다 (Wang, 2017).

    전통 식물문은 매화를 비롯하여 대나무, 국화, 연 화, 모란 등으로 군자의 기상과 비유하여 사군자(四君 子)라든가 세한삼우(岁寒三友)로 이뤄졌다. 매화 그림 은 11세기 말 중국의 선승증인 묵매화(墨梅畵)가 그 창시라고 한다(Seong, 2001). 대나무는 군자(君子)에 비유되었으며, 소나무, 매화와 함께 세한삼우 또는 사 군자로 이뤄진다. 또한 대나무는 수명이 길고 사시사 철 늘 푸르러서 장수(長壽)를 상징한다(Nozaki, 1992). 당초문(唐草紋)은 당풍(唐風)의 이국풍 넝쿨이라는 의 미를 지닌 것으로 식물의 덩굴이나 끊어지지 않고 일 정한 모양으로 도안화한 장식무늬의 하나이다. 연꽃 문(蓮花紋)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진흙에 물들 지 않는 것에서 순수, 청빈, 기품, 정화 등을 의미하며, 연꽃 씨앗의 생명력이 강한 것에서 생명창조와 번영 (繁荣)을 상징한다. 소나무문은 대나무의 죽(竹)이 축 (祝)과 발음이 비슷한 것에서 축수(祝壽)의 의미로 사 용하며, 수명이 길고 사시사철 푸르러서 장수(長壽)를 상징한다. 모란문(牡丹紋)은 중국의 국화로 크고 화려 한 특성을 강조하여 여러 겹의 꽃잎을 겹겹이 풍성하 게 표현한다. 부와 행복,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Seong, 2001).

    중국 전통의 대표적인 기하문으로는 수파문(水波紋), 팔보문(八寶紋), 뇌문(雷紋), 태극문(太極紋), 운기문 (雲氣紋) 등이 있다. 수파문은 물결이 조(朝)와 발음이 같은 것에서 조정(朝政)을 상징하며 흉배나 관복 등에 서 사선, 물방울의 삼단 형태로 많이 나타난다. 태극 문(太極紋)은 파문에서 발전해 생겨진 것으로 단독 또 는 복합으로 쓰이며, 중국의 우주창조설(宇宙創造說) 에 따라 음(陰)과 양(陽) 등의 뜻을 나타낸다. 또는 “卍”자문은 길상만복(吉祥萬福)을 의미하며, 운기문 (雲氣紋)은 천상을 동경하고 미래의 행복을 추구하며 평화를 원하는 마음의 표출로 나타나 다복(多福), 다 수(多壽), 다손(多孫)의 상징적 요소가 나타난다(Lym, 1986).

    이와 같은 전통 문양들은 중국 문화의 현대화와 함 께 그 의미를 내포한 현대화 방향으로 다양한 적용이 필요하다.

    Ⅲ. Design Development of Qipao Applying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1. Development intention

    본 연구는 현대 패션디자인에 자주 등장하는 초현 실주의 표현 기법을 중국 전통 여성복 치파오 디자인 에 접목시켜 새롭고 창의적인 치파오 디자인을 개발, 제작하였다. 연구 작품의 테마는 ‘Mysterious oriental’ 로 패션디자이너들이 가장 많은 영감을 얻는 초현실 주의 작가 르네 마그리트와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였다. 초현실적 치파오 디자인을 위하여, 인간의 본질을 탐구한 사실적 초현실주의 다양한 표 현 기법인 데페이즈망, 트롱프뢰이유, 오브제 기법과 초현실주의 패션디자인 표현 방법으로 신체 부위의 형상화, 사물의 은유적 표현, 위치 변형과 착시를 활 용하였다.

    디자인의 모티브로는 초현실주의 작가 르네 마그 리트의 ‘The false mirror(1928)’와 살바도르 달리의 ‘Face of Mae West which may be used as an apartment (1935)’ 작품을 활용하였다. 얼굴 형태, 눈, 입술을 신 체 부위의 형상화 방법으로 역설적 결합에 의한 위치 변형과 착시, 비정상적인 대립에 의한 만남으로 사물 들이 가지는 관계성을 다른 사물같이 경계 없이 보여 주고자 하였다. 고립된 눈, 입술은 은유적 표현을 통 하여 독특한 이미지를 보이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일상적 이미지를 거의 왜곡시키지 않고 묘사하여 결 합하였으며, 작품으로써 입술을 확대하여 중간의 눈 이 동시에 보이고 두 개의 사물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케치처럼 표현한 트롱프뢰유 기법을 활용하여 얼굴 옆모습과 전면 눈이 겹쳐지며 대비되면서 하나로 얼굴 형태로 중복되면서 이중적, 시각적인 착시로 엉뚱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하였다. 색상은 검정, 흰색, 회색 등을 사용하여 현대적인 분 위기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울, 울 혼합소재, 인조 가죽, 네오플 랜 등을 사용하였으며, 부소재로 매듭단추를 사용하 였다. 또한 초현실주의 표현의 극대화를 위하여 LED 전선을 활용하여 주요한 포인트 역할을 부여하였다. 검정색, 흰색, 회색의 바탕 색상에 파랑, 흰색, 빨간색 의 LED 전선을 활용하여 눈, 입술, 얼굴 형태를 표현 하여 초현실적 감성을 더하였다(Fig. 17). 치파오의 기 본 아이템의 원피스에 재킷, 케이프, 조끼, 팬츠로 변 화를 주어 디자인을 전개하여 총 11 pieces의 초현실 주의 치파오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였다(Table 3).

    2. Production and description

    작품 1은 살바도르 달리의 ‘Face of Mae West which may be used as an apartment’의 작품을 모티브로 디 자인하였다(Fig. 18). 달리 작품의 특징은 여배우 메 웨스트의 얼굴을 엉뚱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하였으며, 방안에 배치된 작품들과 중복되면서 이중적 이미지로 보여졌다. 본 연구의 작품에서는 이러한 이중적 착시 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총 3가지 아이템으로 디자 인하였다. 치파오 디자인은 네크라인 중에 수저령(水 滴領)과 무수(無袖)로 다자인하였으며, 원피스 위에 케이프와 초현실적 뷔스티에를 추가적으로 스타일링 하였다. 치파오 원피스와 케이프 소재는 주로 울과 혼 방 소재를 이용하였으며, 색상은 흰색, 검은색, 회색 으로 구성되었으며 매듭단추를 사용하였다. 초현실적 인 뷔스티에 디자인은 인조 가죽 소재를 사용하여 초 현실주의 트롱프뢰이유 기법을 활용하여 얼굴 옆모습 을 자유롭게 변형과 착시를 스케치처럼 형상화하였 다. 얼굴 라인을 대비, 중복시켜 시각적 착시를 확대 시킬 수 있도록 LED 전선을 활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작품 2는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 ‘Face of Mae West which may be used as an apartment’과 르네 마그리트 의 ‘The false mirror’ 작품을 모티브로 팬츠 투피스의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두 작품의 공통점 특징으로 신체부위의 형상화를 응용하여 눈, 코, 입술의 일상적 인 이미지를 왜곡시키지 않고 묘사하고자 하였다. 재 킷 디자인은 중국 전통 치파오의 입령(立領)과 마제수 (馬蹄袖)를 응용하여 변형시켰다, 팬츠는 양쪽의 길이 가 다르게 다자인하였다. 재킷과 팬츠의 소재는 울과 혼방 소재이며, 전체적으로 검은색으로 구성하고 매 듭단추를 사용하였다(Fig. 19). 재킷 위에 작은 조끼 형태의 패턴을 탈부착용으로 디자인하였으며, 네오플 랜 소재를 사용하여 고립된 얼굴 형태인 눈의 전면을 대비시켜 입체적인 오브제 기법 이용하였으며, LED 전선을 응용하여 더욱 확대되어 보이게 하였다. 팬츠 허리에 부착된 탈부착용 장식은 신체부위의 형상화로 고립된 손, 눈, 입술 등의 혼합하여 오브제 역설적인 결합하고 장식하였다.

    작품 3은 살바도르 달리의 메 웨이스트 작품의 입 술과 르네 마그리트의 ‘The false mirror’ 작품의 눈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르네 마그리트 작 품의 눈과 구름에 나타난 이질적 사물의 전위를 나타 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표현하기 위에 고립된 눈과 입술의 은유적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입술의 확 대로 중간의 눈이 동시에 보이며 하나의 사물이 동시 에 두 개의 사물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치파오 원피스 디자인은 치파오 구성의 네크라인 중 ‘V’자령과 소매 형태는 도대수(倒大袖)를 응용, 변형 시켰다. 원피스의 스커트 실루엣은 현대적인 “O”형으 로 표현하고 소재는 울과 혼방 소재로 이용하였으며, 검은색의 치파오 원피스에 매듭단추를 사용하였다. 초현실적인 치파오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장된 입술모양의 벨트로 스타일링하였다(Fig. 20). 허리벨 트 장식으로 입술을 확대하여 눈동자 중간에 눈을 전 위시켜 동시에 보이고, 두 개의 사물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독특하고 엉뚱한 결합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입술과 눈 소재는 네오플랜을 이 용하였으며, 눈동자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초현실적 디자인으로 LED 전선을 응용하였다.

    작품 4는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The false mirror’ 에서 영감을 받아 고립된 눈의 위치 변형과 확대를 바 탕으로 착시 효과를 유도하였다. ‘The false mirror’는 자유로운 사고로 사람 얼굴의 눈과 하늘의 비정상적 인 대립에 의한 만남으로 사물들이 경계 없음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원피스 디자인은 치파오 구성형태인 저령(低領)과 비파금(琵琶襟)을 응용하였으며, 소매는 비대칭으로 오른쪽 소매만 기본적인 치파오 착수(窄 袖)를 제작하였다. 원피스의 소재는 울과 혼방 소재로 이용하여, 전체적인 색상은 검은색과 흰색, 회색을 사 용하였다. 치파오의 매듭단추를 부착하였으며, 초현 실적 눈이 달린 볼레로형 반쪽 하프 재킷과 원피스로 스타일링하였다(Fig. 21). 재킷의 몸판은 신체 부위 눈 이 고립되어 규모의 확대로 초현실적 표현을 LED 전 선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하였다. 앞면은 상하로 나누 어 하나의 눈은 탈부착용으로 똑같이 규모의 확대로 착시효과 유도하였으며, 탈부착용으로 제작하여 뒤판 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Ⅳ.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복식 치파오 의 구성 형태를 바탕으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 용한 창의적이며 현대적인 치파오 디자인을 전개, 제 안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패션에 주 로 활용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은 신체 부위의 형상화, 사물의 은유적 표현, 위치 변형과 착시가 많이 응용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초현실적 표현기법 을 활용한 현대적 치파오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작품의 테마는 ‘Mysterious oriental’로 디자인을 위 하여 패션디자이너들이 가장 많은 영감을 얻는 초현 실주의 작가 르네 마그리트와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 을 모티브로 하였다.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으로 초현 실주의 의미를 잘 드러내는 신체 부위로 눈, 입술, 얼 굴형태, 손을 응용하였으며, 중국 전통적인 매듭단추 와 LED 전선 등의 장식을 응용하여 초현실적 표현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소재는 울 과 혼합소재를 사용하였으며, 검은색, 흰색, 회색을 활용하여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초현실주의 치파오 디자인의 제작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현실적 치파오 다자인은 고 정 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무의식 세계를 탐구하여 사실적 초현실주의 다양한 표현기법인 데페이즈망, 트롱프뢰유, 오브제기법과 초현실주의 패션디자인 기 법인 신체 부위의 형상화, 사물의 은유적 표현, 위치 변형과 착시를 통하여 기존의 치파오 디자인에서 벗 어난 새롭고 창의적인 디자인의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었다. 둘째, 치파오의 구성 형태를 활용하여 초현실 적인 표현과 조화시켜 신체부위의 고립된 손, 눈, 입 술 등의 혼합하여 오브제 결합하고 일상적인 탈출을 시도한 치파오 디자인은 다양하고 재미있는 분위기의 초현실주의 패션 디자인으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셋 째, 본 연구 작품에 주로 활용된 초현실적인 입술과 눈의 은유는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액세서리 및 부분 디자인은 독특하고 엉뚱한 결합 이미지를 보여 주었으며, LED의 결합을 통하여 초현실적 표현을 더 욱 확장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창적이고 현대적인 치파오 디자인 개 발을 위하여 초현실주의에서 표현되는 다양하고 역설 적인 결합과 우연한 만남으로 사물들이 가지는 관계 성을 적용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 의 전통 치파오 구성 형태에 바탕을 두고 초현실주의 사고의 사물의 왜곡, 변형시킨 복합적인 이미지를 묘 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초현실주의 표현 방식이 치파오와 접목되어 더욱 다양한 치파오 디자 인이 개발될 수 있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치파오 디자 인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Figure

    RJCC-28-5-573_F1.gif

    Joan Miro, Harlequin’s Carnival, 1924 Reprinted from Xennex. (2013).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2.gif

    Joan Miro, The Hunter, 1924 Reprinted from Xennex. (2013).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3.gif

    René Magritte, Ceci n’est pas une pipe, 1928 Reprinted from Crksti. (2018).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4.gif

    René Magritte, The false mirror, 1928 Reprinted from Wikiart. (n.d.a).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5.gif

    René Magritte, Golconde, 1953 Reprinted from Wikiart. (n.d.b).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6.gif

    Salvador Dali, The persistence of memory, 1931 Reprinted from Wikiart. (n.d.a).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7.gif

    Salvador Dali, Premonition of civil war, 1936 Reprinted from Xennex. (2016).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8.gif

    Salvador Dali, Face of Mae West which may be used as an apartment, 1935 Reprinted from Wikiart. (n.d.b). https://www.wikiart.org

    RJCC-28-5-573_F9.gif

    Elsa Schiaparelli, Shoe Hat, 1937 Reprinted from Martin. (1988). p.111

    RJCC-28-5-573_F10.gif

    Viktor & Rolf 2016 S/S Reprinted from Vogue. (n.d.a). http://www.vogue.com

    RJCC-28-5-573_F11.gif

    Viktor & Rolf 2017 F/W Reprinted from Vogue. (n.d.b). http://www.vogue.com

    RJCC-28-5-573_F12.gif

    Moschino 2018 S/S Reprinted from Vogue. (n.d.d). http://www.vogue.com

    RJCC-28-5-573_F13.gif

    Moschino 2015 S/S Reprinted from Vogue. (n.d.c). http://www.vogue.com

    RJCC-28-5-573_F14.gif

    The name of each part of Dahong Kesi Eight Group Golden Dragon cheongsam Reprinted from Frontier Space. (2019). http://www.sohu.com

    RJCC-28-5-573_F15.gif

    Qing Dynasty Cheongsam Reprinted from Manchu Culture Net. (2020). http://www.sohu.com

    RJCC-28-5-573_F16.gif

    1930’s cheongsam Reprinted from Jin. (2014). http://www.wy88.cn

    RJCC-28-5-573_F17.gif

    Fabrication process with LED wires inserted

    RJCC-28-5-573_F18.gif

    Design 1, LED inserted bustier Qipao and cape

    RJCC-28-5-573_F19.gif

    Design 2, LED inserted best and pants-type two piece

    RJCC-28-5-573_F20.gif

    Design 3, Qipao of lip and eye belt

    RJCC-28-5-573_F21.gif

    Design 4, Qipao and an ensemble-type half jacket

    Table

    Precedence study on surrealism expression technique

    Traditional Chinese five colors and meanings

    Development intention

    Reference

    1. Bang, S. R. (2008). A study of surrealistic expression described in contemporary fashion since 198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 Bao, M. X. (2000). Shanghai style cheongsa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rt & Design, 12(5), 11-12.
    3. Bian, X. Y. (2003). Origin of Qipao fashion in Early Republic Period [J]. Journal of DongHua University, 20(4), 21-26.
    4. Bin, C. (2008). Global fashion designs analysis. Shanghai: Donghua University Press.
    5. Breton, A. (2012). Manifestes du surréalisme (H. Hwang, Trans.). Paju: Mimesis.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6. Chang, E. S. , & KIm, J. H. (2002). The study of clothes design applied by the works of Miro the artist of surreal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1), 45-60.
    7. Chinese dress. (n.d.). In Doopedia.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8224
    8. Choi, E. H. (2013). A study on surrealistic hair art applying depaysement technique: Focused on the author’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9. Cristi. (2018, January 7). Ceci n’est pas une pipe. Wikiar t,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rene-magritte/the-treachery-of-images-this-is-not-a-pipe-1948
    10. Frontier Space. (2019, May 27). National style, talk about Qing Dynasty cheongsam. Retrieved July 18, 2020,from https://www.sohu.com/a/316713883_523177
    11. Gablik, S. (2001). Magritte (S. Chon, Trans.). Seoul: Construc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976)
    12. Heo, S. Y. (2014). The characteristics of dépaysement in fashion window display and its application in design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Hong, N. Y. , Shin, H. S. , & Choei, J. H. (2004). Traditional costumes of Asia. Seoul: Kyomunsa.
    14. Hong, S. J. , & Bae, S.-J. (2018). A design development for coat using expression technique of surrealism.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2(1), 20-40.
    15. Jang, M. H. (1975). Costume aesthetics. Seoul: Scholarship Society.
    16. Jiang, N. , & Tan, Y. L. (2008). Signs of ChinaQipao. Beijing: Contemporary China Publishing House.
    17. Jin, B. (2014). 1930’s cheongsam, civilized new clothes and improved cheongsam.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www.wy88.cn/zhongguogongyi/bianxiubuyi/fuzhuangcaijian/2014-09-15/2239.html
    18. Jo, S. R. (2018). A study of the surrealism automatism. Journal of European Culture and Arts, 9(1), 91-105.
    19. Jung, J. S. (2005). A study on Chinese style in modern fashion design: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cheongsam in overseas collections since 2000.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M. G. (2003). A study on eastern and western color focusing the five colors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S. A. (2009). Surrealistic technique expressed in 21C fashion sty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S. Y. (2010). Study on the analysis of surrealism imaginary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3. Kwon, T. S. (1994). A study on the modern dress & its ornament applied by Chinese folk dress & its orna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Seoul, Korea.
    24. Kwon, Y. O. (2009). A fashion styling study based on surrealist dépays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J. Y. (2015). A study on the dress design adapting surrealism. Journal of Fashion Design, 15(2), 21-40.
    26. Lee, Y. M. , Lee, Y. H. , & Park, J. O. (2007). The surrealistic features of Viktor & Rolf’s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2), 352-367.
    27. Lym, Y. J. (1986). Traditional pattern collection. Seoul: Mijinsa.
    28. Manchu Culture Net. (2020, March 14). Qing Dynasty cheongsam,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Manchu cheongsam.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 www.sohu.com/a/380072783_115482
    29. Martin, R. (1988). Fashion and surrealism. London: Thames and Hudson Ltd.
    30. Nozaki, S. (1992). 중국길상도안: 상서로운도안과문 양의상징적의미와응용 [China Lucky Omen Pattern: Symbolic meaning of auspicious patterns and patterns] (Y. Byoun, & Y. Ann, Trans.). Seoul: Yekyung Publishing Co. (Original work published 1927)
    31. Park, C. S. , & Cho, W. H. (2002). 중국소수민족복식 [Chinese Minority Costume]. Seoul: Publishing Company Minsokwon.
    32. Park, L. L. (2016). A study on fusion art make-up using depaysement surrealism - Focusing on creating artworks.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35-44.
    33. Seong, H. S. (2001). A study on orientalism in contemporary fashion: Focusing on Chinese patterns in fashion in the 199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4. Vogue. (n.d.a). Viktor & Rolf Spring/Summer 2016 Ready To Wear,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runway.vogue.co.kr/2018/07/13/haute-couture-2018-fw-viktor-rolf/#0:16
    35. Vogue. (n.d.b). Viktor & Rolf F/W 2016 Ready To Wear.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couture/viktorrolf/slideshow/collection#17
    36. Vogue. (n.d.c). Moschino Spring/Summer 2015 Ready To Wear.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runway.vogue.co.kr/2014/09/19/ready-to-wear-2015-ss-moschino/#0
    37. Vogue. (n.d.d). Moschino Spring/Summer 2018 Ready To Wea.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runway.vogue.co.kr/2017/09/22/spring-2018-moschino/#0
    38. Wang, C. M. (2002). Chinese and English clothing decoration vocabulary. Shanghai: Textile University Press.
    39. Wang, S. (2017). A study on the Chinese style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0. Wang, S. (2002). World fashion history. Beijing: China Youth Publishing House.
    41. Wikiart. (n.d.a). (1928). The false mirror,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renemagritte/the-false-mirror-1928
    42. Wikiart. (n.d.b). (1953). Golconda,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rene-magritte/gonconda-1953
    43. Wikiart. (n.d.c). The persistence of memory.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salvador-dali/the-persistence-of-memory-1931
    44. Wikiart. (n.d.d). Face of mae west which may be used as an apartment.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salvador-dali/face-ofmae-west-which-may-be-used-as-an-apartment
    45. Xennex. (2013, May 20). Harlequin’s carnival. Wikiart,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joan-miro/harlequin-s-carnival-1925
    46. Xennex. (2016, December 7). Premonition of civil war. Wikiart,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salvador-dali/premonition-ofcivil-war
    47. Xennex. (2017, March 14). The hunter. Wikiart, Retrieved July 18, 2020, from https://www.wikiart.org/en/joan-miro/the-hunter-1924
    48. Yoo, S. (2010). “Qipao” style aesthetic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9. Yoon, K, H. , Kim, J. S. , & Oh, S. (2015).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by surrealism works.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48), 367-376.
    50. Zhang, N. , & Kim, S. H. (2013). A study on the symbolic expression of “fish” and “thorn bush” from modern Chinese paintings - Focused on the work analysis of a surrealist artist from China.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42, 133-143.
    51. Zhu, J. , & Ha, S. Y. (2016). The characteristics of Chinoiserie in contemporary women’s wear - Focused on Paris collection from 2005 to 2014.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3), 21-36.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