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3.21.3.348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디지털 프린팅 넥타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s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using Jeonju Hanok Village image - Centered on digital printing neckties -
Abstract
- 01(4)_김기훈, 문미라.pdf393.6KB
I. Introduction
한옥 마을의 유래는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이 활동 무대를 넓혀감으로 인해 이에 반발한 시민들이 한옥촌을 형성해 일본인들의 기세를 꺾으려 했다(Ahn, 2012). 이렇듯 정치적인 이유로 형성된 한옥촌이 21세기 지속적인 경제적 성장을 기반으로 문화관광지로 재탄생되었다. 이렇듯 한옥마을이 주거공간에서 문화관광지로 변화하면서 관광객들에게 제공할 문화적 상품의 개발은 관광문화를 지역경제와 연결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또한, 복잡한 21세기 현대사회는 창의성과 독창성이 중요시됨과 동시에 화학에너지와 자원의 잘못된 사용으로 지구의 환경 및 인류의 삶도 위협을 받고 있다. 그로 인해 환경을 위한 디자인, 에코 디자인, 친환경 디자인, 그린 에너지 디자인, 생태 디자인 등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에코백, 그린패션 디자인, 천연 소재, 재생 섬유, 친환경 에코 섬유 등으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패션 산업 전반에 소비자의 가치소비 증가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웰빙을 넘어 자연과 함께 발전하는 그린라이프 시대로 변화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듯 국내 섬유시장에서도 한지사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아이템들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지사는 최근 몇 년 동안 관련 학계를 비롯하여 몇 몇 개발자들에 의해 패션상품으로 시도되어 왔으나, ‘종이’라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실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지와 섬유를 일정비율로 섞은 한지사는 현재 친환경 소재로 가볍고 인체에도 무해하며, 황토수준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며, 향균성과 소취성 등이 탁월하기 때문에 최근 로하스적 삶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한지사는 뛰어난 흡수성으로 인해 양말 등 이너웨어 종류에서 부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정되어 있는 한지사 활용을 더욱 높이기 위해 한지사를 활용한 다양한 패션문화상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패션문화상품은 패션의 미적, 상징적, 문화적 차원을 가진 상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패션문화상품은 한 사회의 문화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Kang,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문화상품을 문화상품과 관광상품, 패션문화상품이 결합된 집합체로 관광객이 관광지 혹은 관광 관련 장소에서 구입하는 관광지와 지역 나아가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에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넥타이는 남성들이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패션 아이템이면서, 동시에 남성들의 복식에서 기본적인 아이템으로 비즈니스맨의 상징이 된 만큼, 직장인들 사이에서 넥타이의 코디네이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동향은 2000년도 이후 선행연구를 통해 넥타이, 스카프, 티셔츠, 가방, 파우치, 가방, 모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왔다. 그 중 한지사는 뻣뻣한 질감과 특수한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소재로써 디자인 후일자형으로 보여지는 넥타이의 시각적 효과와 어우러져 발전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본 연구에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한 2012년은 ‘전주 방문의 해’로서 고색이 창연한 전통의 도시 전주의 명소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관광을 개발하였다. 전주 한옥마을은 경기전, 전동성당, 오목대 등 함께 어우러져 있는 관광명소로 알려졌다. 이에 조선왕조 500년을 꽃피운 조선 왕조의 발상지로서의 전주의 풍경을 디자인 소재로 한 패션문화상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지사 소재에 디지털 프린팅을 이용하여 한지사 직물의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지사 직물을 넥타이 소재로 응용하여 다양한 상품디자인 개발과 보급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한지사 직물에 디지털 프린팅을 진행하여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으로 넥타이를 디자인하였다.
II. Background
1. The concept of Hanok and Hanok Village
현재 전국적으로 한옥마을은 전북 전주뿐 아니라 서울의 북촌, 남산골, 충북 남계리 등 다양한 한옥마을이 관광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 전주한옥마을은 최근 국내외 드라마에서 과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촬영지로 각광 받으면서 전주 한옥마을에서 느낄 수 있는 여행자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추억여행의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한옥의 정의는 최근 개정된 건축법 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의에 따라 ‘기둥 및 보가 목구조방식이고, 한식지붕틀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짚,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축물’에 따른다(Kim & Kwon, 2010). 한옥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거쳐 우리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물밀듯이 들어온 서양의 새로운 건축 양식을 양옥이라고 부르면서 그에 대응하는 용어로 생겨난 것이다(Park, 2010). 한옥은 공간적 형태적 특성이 있으며, 자연과의 조화, 색채 나눔에 의한 구성, 선과 면에 의한 구성, 전이공간에 의한 구성, 개방과 폐쇄에 의한 구성 등의 특성으로 분류된다(Nam, 2011).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한옥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전주 부성의 성곽이 훼손되고, 부성 일대가 3차례 걸친 시구 개정과 격자형의 가로망이 정비되고, 부성내의 중심가를 일본인이 대부분 장악하면서 이웃한 곳에 대립적으로 한옥을 건립하며 마을을 형성한 것이 전주 한옥마을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Shim, 2013). 전주 한옥마을은 전주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교동, 전동 일대로서, 이곳은 전국에서 얼마 안 되는 도시 속의 한옥밀집지역이다. 현재 이 곳에는 약 650여 동의 한옥이 남아있는데,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한옥을 현재와 같은 도시 상황에 적합하도록 지속적으로 변형시키는 가운데 오늘날에 이르러 ‘전통문화도시’로서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2. Hanji yarn
우리나라의 종이 ‘한지(Hanji)’는 소박한 아름다움은 물론 자연친화적인 친밀감을 느끼는 소재이지만, 이전의 한지를 소재로 하는 기존의 연구에서 한지는 회화작품이나 공예작품에서 주로 다루어왔다. 최근에는 한지의 새로운 가치를 발전시키려는 노력과 산업화를 위한 기계화 공정으로 한지사(Hanji yarn)가 개발되어 직물화 되면서 착용감과 통기성 및 세탁이 가능한 실용성과 뛰어난 염색성, 손쉬운 가공성 등으로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패션제품을 구상할 수 있어 경쟁력을 지닌 ‘한지직물’이 대량 생산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지의 종류만 해도 여러가지 이다. 창호지, 화선지, 색지, 순지 등 다양한 종류의 한지가 패션문화상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더 튼튼하고 실용적으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한지를 선별할 필요성이 있다.
전주 한지는 타 도시의 한지들보다 뛰어난 패션상품화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이에 글을 적던 한지에서 벗어나 패션쇼 의상, 스카프 등 문화상품으로써의 매력을 뽐내고 있다. 한지사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전북의 한 업체에서는 한지 직물의 제조를 위한 슬리팅 장치와 닥 섬유 원사 제조방법을 2006년 특허를 출원하여 기술적 권리를 확보하였고, 이 공정은 권취, 정경, 가호, 통경, 제직의 과정으로 만들어지며, 한지사 제작 과정에 사용된 직기에 의해 위사로 사용되는 모시 원사를 북에 감고, 직기의 개구운동, 북침운동, 바디침 운동의 주 운동으로 인해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되면서 직물이 제직된다(Woo, 2010). 이렇게 이미 기계화․상업화에 도달한 한지섬유는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과 암모니아, 포름알데이드 등과 같은 환경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소취 및 항균 기능을 가지며, 의류용과 아토피 방지를 위한 인테리어, 생활용품까지 제품의 응용이 가능하다(Yu, 2005). 다양한 혼합의 한지직물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한지직물은 한지사와 실크사가 7:3의 비율로 직조된 넥타이 제조용 한지직물을 사용하였다.
3. Digital Textile Printing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이란 이전 염색 방법에서 벗어나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문화상품 개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하여 디지털 스페이스가 발생함으로써 소비자 또는 디자이너간의 네트워크화가 이루어지고, 소비 의식의 향상은 고부가 가치의 상품 생산과 퀵 리스폰스(Quick Response)를 위한 제작환경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Kim, 2011).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손으로 그릴 수 없는 사진의 이미지나 난해한 고품질 디자인의 프린팅이 가능하며, 원하는 대로 디자인의 축소, 확대가 가능하고, 색상의 조절도 용이하여 고부가 가치 제품의 생산에 효과적이다. 또한 재래식 날염에서와 같은 복합한 공정의 생략으로 소비자가 보는 앞에서 바로 프린트 할 수 있고, 기존 날염 공정은 샘플 제작 과정에서 장시간과 고비용이 소모되는 등 부가가치가 낮은 반면,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빠른 생산과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고,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소비자 주도형 맞춤식 생산방식의 하나이다(Chung, 2004).
일반 날염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의 공정을 비교해 보았을 때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일반날염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날염은 짧은 시간에 결과물을 손쉽게 볼 수 있고, 다품종 고품질의 생산에 적합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날염기에 비해 속도가 느려 대량생산에는 어려움이 있고, 수입에 의존하는 염료의 잉크의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잉크 개발 추진 및 전처리 기술의 국내 자체개발 성공 등으로 기술 발전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기존 복잡한 날염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산업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나라 디지털 프린팅 산업의 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디지털 프린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디자인에 다양한 컬러 바레이션 등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서 다품종 소량생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Hong et al, 200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품종 소량화 생산이 가능한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기초로 하여 전주 한옥마을에서 느낄 수 있는 정취를 다양한 기법 변화와 컬러 바레이션을 통해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III. Research Methodology
문화상품을 디자인하는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변수가 많으며, 어떠한 변수를 갖느냐에 따라 디자인 결과도 그 성격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패션 아이템인 넥타이라는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기본 모티브는 전주 한옥마을의 실질적인 풍경을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 인위적인 색상 변형을 통하여 넥타이에 맞는 디자인과 컬러로 디자인하였다. 각 디자인 별로 전주 한옥마을을 배경으로 한 사진자료에서 기본 모티브를 추출하고, 이를 현대적인 느낌으로 변형시켜 8가지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모티브 디자인에 있어서 한옥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아이템으로 청사초롱, 전경, 한옥의 문고리, 향교, 한옥마을의 거리, 오목대의 6가지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넥타이의 디자인 중 에피소드 디자인(Conversational design)은 인물이나 동물, 사물 등의 모티브를 사용해서 이야기의 에피소드 등을 구성하는 디자인으로 주변 여러 가지 사물들과 풍경을 이용한 디자인을 말한다(Jung, 2006). 넥타이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에피소드 디자인을 사용한 이유는 현재 전주 한옥마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상적인 모습과 관광객들의 모습들이 한데 어우러져 활기있는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이를 디자인에 연출, 투영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에피소드 디자인을 기초로 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사진을 직접 찍어 디지털화 시키는 실증적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과 넥타이의 관련자료와 넥타이 디자인의 패턴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강조할 대상을 설정하여 넥타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는 포토샵 CS3 버전을 사용하였다.
1. Literature review on Jeonju Hanok Village
1) Data analyses
직접 촬영하여 편집한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디자인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아 참고하기 위하여, 한옥마을에 대해 문헌 및 논문들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참고한 문헌 목록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Literature review on Jeonju Hanok Village
2) Content consideration and methods of data processing
고찰 내용은 전주 한옥마을의 상징적 의미, 시대적 변천 등을 살펴보고, 이들 내용에 대해서 요약하고 대표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2. Design proposals
전주 한옥마을의 문헌적 고찰을 시행한 결과, 한옥마을에 관한 단행본에서는 전반적인 한옥의 이미지와 역사적 의미, 철학과 한옥에 거주했던 일반사람들의 이야기,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 대해서는 전통 공간의 도심활성화, 한옥마을의 색채 분석, 한옥 고유의 색채아이덴티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시되어 있으나,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넥타이 디자인에 응용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옥마을의 고유 색채이미지에 모던한 색채와 다양한 기법들을 추가하여 넥타이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1) Design proposal methods
디자인 제안 과정은 타깃 및 콘셉트를 설정, 이미지를 직접 촬영 후, Photoshop CS3 프로그램을 활용해 모티브를 선정하고, 반복단위 배열, 컬러웨이(color way)의 과정으로 디자인 작업을 실행하였다.
2) Proposed design contents and processes
디자인 작업과정은 타깃을 설정하여 한옥마을의 라이프스타일(Kim, 2011)과 한옥 고유의 색채 아이덴티티(Kim, 2011)를 통해 직접 촬영한 이미지에서 모티브를 설정하여 디자인하였고, 컬러 칩 등을 제시하였다. 완성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바탕으로 넥타이를 제작하였다.
IV. Necktie Textile Design
1. Design direction
1) Design proposals
우리 한옥의 선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초가의 선은 뒷산의 모양을 닮았고, 기와의 선은 양끝을 잡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늘어진 새끼줄의 선을 표현한다. 그리고 처마는 후림과 조로를 두고 용마루의 가운데를 처지게 하여 자연스러운 형태를 나타낸다. 대상을 강렬하게 드러내 보이려는 의지보다는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며, 평범함 가운데서도 숨겨진 질서의 미를 발견할 수 있는 멋과 깊이가 한옥에는 간직되어 있고, 부드럽고 조용하여 때론 적막할 정도의 단순함도 느낄 수 있다. 특출함이 없는 평이함의 미학, 인위적인 꾸밈이 드러나지 않은 자연스러운 미학, 대자연의 질서를 느낄 수 있도록 절제된 형과 화려하지 않은 색, 간결한 선의 유기적 통일에 의한 구성 미학, 인위를 거부하는 소박함, 조용한 가운데서 깊은 의미를 추구하는 미학이 있으며, 대개는 문양이 없는 무채색이 주조를 이루었다(Park, 2005).
사진 촬영, 문헌 조사, 색채 샘플 수집 등의 현장분석을 통하여 결론 지어진 전주 한옥마을의 색채환경은 자연환경과 역사환경을 기반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소재를 살린 건축물로 자연과 조화되고 가라앉은 경관색으로 형성되어 있다(Kim, 2011). 목재나 흙으로 만들어진 한옥의 색채는 그 지역의 기후, 풍토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체적인 저채도의 색조를 나타낸다. 목재 등의 자연소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드러운 색조로 변화하며 채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통공간 측색 결과, 사용빈도가 높은 YR(옐로우 레드) 계열의 저채도 난색계열 색영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흙, 돌, 나무 등의 색과도 일치한다(Kim, 2011).
이상의 전주 한옥마을의 문헌적 고찰을 한 결과, 한옥 고유의 선이나 단순하면서도 간결한 미학 등은 한국 고유의 전통미를 드러내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또한 인위를 거부하며 소박하고 고요하면서도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한옥의 순수함과 청명함을 의미하고 있어 이러한 의미를 넥타이 디자인의 모티브 소재로 선정하였다.
2) Target
넥타이 텍스타일 디자인의 타깃을 20~30대로 설정하였다. 이들 20~30대의 연령층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한옥과 전통의 색채를 고리타분하게 여겨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20~30대가 선호할 수 있도록 강렬한 색채를 적절히 가미하여 모던함을 이끌어내도록 재해석하였다.
3) Concept
넥타일 텍스타일 디자인의 콘셉트는 “안락과 도전(Comfortable & Challenge)”이다. 앞으로 개척해나가야 할 삶과 그 삶을 영위해 나가야 할 20~30대가 우리 고유 전통의 삶에서 느낄 수 있는 편안함과 그 편안함 속에서 마음의 평안을 얻고, 다가올 미래에 도전한다는 의미에서 디자인 콘셉트를 “안락과 도전”으로 설정하였다. 전주 한옥마을의 자연친화적인 고유의 색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모던함과 위트를 주려 하였다.
2. Design development
1) Necktie designs using street pictures of the traditional Korean village
넥타이 디자인-1은 한옥마을의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솟대느낌의 전봇대에 달린 청사초롱의 이미지를 블랙 계열과 그레이 계열의 모노 톤과 전통의 기본적인 색상인 옐로, 레드 색상을 여러 가지 색채 변화를 통해 삽입함으로써 모노 톤 특유의 밋밋함과 단조로움을 피해 활력을 더하려 하였다. 추출한 부분을 상하, 좌우 반전을 통해 다층적인 각도에서 보이도록 연출하였고, 하나의 문양으로 보이도록 하여 현대적인 감각의 세련미를 더하면서, 솟대의 느낌을 주는 전봇대와 청사초롱의 장식에서 모티프를 얻어 디자인하였다. 강조하고 반복할 수 있는 부분을 원 리피트시켜 전체적으로 변화시키고, 원 리피트 후 구성되는 주요 컬러는 브라운, 블랙, 화이트 컬러가 사용되었다. 어둡게만 보일 수 있는 전체적인 컬러를 바탕으로 청사초롱에 컬러블로킹이 된 레드와 블루 컬러가 악센트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레드는 브라운 계열과 연계될 수 있으면서도 작지만 강한 악센트를 주며 디자인에 생기를 주도록 디자인하였다. 모티브의 전체적인 느낌은 편안하지만, 각각의 컬러가 컬러 블로킹되면서 강렬한 느낌을 가미하여 20~30대의 도전정신을 표현하려 하였다.
<Table 2> Design-1 & 2 (original image, motive and color chip)
2) Necktie designs using the panorama of the traditional Korean village viewed from Omokdae
넥타이 디자인-2는 오목대에서 지켜본 한옥마을의 전경을 단순화한 작업으로 시작하여 여러 개의 레이아웃을 겹쳐 전체적인 컬러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컬러감과 그 다양한 컬러 속에서 이루는 조화를 보여주려 하였다. 전경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단순화하는 작업에 집중하였고, 그 변화시킨 이미지를 차이와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치시켜 반복효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어 정리되지 않은 듯한 불균형적인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시에 완벽한 균형을 이루도록 하였다. 오목대 지붕의 기와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것에 모티프를 얻어 스트라이프를 추가하여 디자인하였고, 전체적으로 그린과 블루가 섞인 컬러를 베이직으로 하여 다른 컬러들과 조화를 이루게 하면서 넥타이의 컬러를 구성하였다. 스트라이프가 전체적인 구성을 이루면서 기와의 지붕과 30도로 사선으로 교차되면서 부조화 속의 조화처럼 통일을 이루도록 하였다. 악센트 컬러로는 옐로우 기운이 섞인 올리브 컬러와 화이트 컬러가 사용되어 차가울 수 있는 컬러감에 따뜻한 느낌을 불어 넣었다. 따뜻한 컬러감에 한색 계열인 블루, 그레이 계열을 매칭시켜 한옥의 거리풍경을 모던하게 재해석한 것은 20~30대의 세련미를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3) Necktie designs using images of Omokdae
넥타이 디자인-3은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오목대’의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이다. ‘오목대’는 왜구 토벌 후, 연회를 열었던 곳으로서 의미가 큰 곳이다. 연회의 느낌과 분위기를 청색 계열로 나타내 보았는데, 여기서 사용된 청색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첫 번째 의미로의 청색은 불우함과 권력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색으로써의 의미인데, 강직하면서도 직선적인 면모를 지닌 수직선을 넣음으로 그 깊이를 연출하였다. 또한 두 번째 의미로의 청색은 시원함, 지성, 순수함, 남성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일반적인 넥타이의 의미를 포함시켜 넥타이 고유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강직하면서도 직선적인 느낌에 초점을 둔만큼 오목대의 처마에서 모티프를 얻어 원 리피트 시킴으로써 디자인에 곧은 느낌을 더하였다. 컬러 또한 차가우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동시에 주는 블루 기운이 도는 그린컬러를 사용하였다. 액센트 컬러 또한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도록 브라운과 베이지 컬러에 핑크 컬러를 약하게 넣음으로써 커다란 이질감이 없도록 삽입하였다. 중성색인 핑크 컬러는 어떤 컬러에도 어울린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20~30대의 유쾌함과 위트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Table 3> Design-3 (original image, motive and color chip)
4) Necktie designs using natural environments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넥타이 디자인-4는 향교를 부드럽게 화이트, 브라운, 베이지 계열을 이용하여 톤 온 톤 배색을 통해 친숙한 분위기로 안락함을 도출시키려 하였다. 세 가지의 색상이 밸런스를 이루며 조화를 나타냄으로써 커브를 이용한 콘트라스트 조절로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여 부드러움을 강조하였다. 전반적으로 부드러움이 강조된 가운데 나뭇가지를 전면에 배치시켜 부드러움 속의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극대화시키려 하였다. 전체적인 컬러로는 투명한 기운이 도는 블루(혹은 스카이) 컬러와 나뭇가지에 버건디 컬러를 첨가시켜 컬러를 극대화시켰다. 다양하고 많은 컬러들이 삽입되었는데, 특히 브라운과 그린 컬러가 교차되는 느낌으로 컬러 블로킹된 부분이 악센트라고 할 수 있다. 하늘의 색상을 그대로 살리면서 유연함과 자연스러운 느낌을 동시에 준 것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며, 평범함 가운데서도 숨겨진 질서의 미를 발견할 수 있는 멋과 깊이가 한옥에는 간직되어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Table 4> Design-4 & 5 (original image, motive and color chip)
5) Necktie designs using images of the Hyanggyo(confucian temple)
넥타이 디자인-5는 생도를 교육하던 기관인 향교를 재해석한 것인데, 이지적인 느낌을 강조하려 하였다. 모던한 느낌의 회색조에 이지적이면서도 잘 어우러지는 퍼플, 블루 계열을 대표적으로 삽입하여 향교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 전반적으로 도시적인 분위기로 디자인하였다. 전통과 현대의 새로운 결합과 색채 변화의 재해석으로 세련된 이미지를 도출시켰다. 햇빛이 비쳐 형성된 빛의 파장이 달과 같은 형상을 만들어내서 특징을 이루는 부분을 원 리피트 시켜 디자인하였다. 사용된 컬러는 대체적으로 모노 톤인 그레이 톤들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모던한 분위기를 연출시켰다. 악센트 컬러로는 퍼플 컬러가 삽입되어 달의 형상 같은 부분에 포인트를 주었다. 원본은 낮을 연출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와 컬러는 완벽하게 밤을 구축시킴으로써 향교의 지적인 느낌에 모던함을 연출하였다. 정적인 컬러인 그레이 컬러를 활용한 것은 조용한 가운데서 깊은 의미를 추구하는 한옥의 미학에 적합하다.
6) Necktie designs using streets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tourists as they are
넥타이 디자인-6은 한옥마을의 가장 활발하며 생동감이 넘치는 거리를 중점으로 하여 이미지의 일정부분을 한 면으로 분리시켜, 분리된 면에 색채변화와 상하 반전, 좌우 반전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구성을 표현하였다. 여기서 상하 반전, 좌우 반전을 시킴으로써 하나의 동일한 끝 점이 한 점에서 만나 단순함을 덜함과 동시에 넥타이의 끝부분에 반복적인 이미지를 배치시켜 무게감을 주려고 하였다. 무게감을 부여하여 중점을 둔 부분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단조로움을 피해 새롭게 재해석된 깊이를 연출하려 하였다. 전통적인 건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배경을 확대 후 로테이션시킨 부분을 원리피트시켜서 디자인하였다. 많은 컬러 변화는 주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평화로운 분위기를 연출시키려 하였다. 20~30대의 연령층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한옥과 전통의 색채를 고리타분하게 여겨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20~30대가 선호할 수 있도록 간결한 색채와 공간구성을 통하여 모던함을 이끌어 내려 하였다.
<Table 5> Design- 6 & 7 (original image, motive and color chip)
7) Necktie designs using streets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tourists as they are
넥타이 디자인-7은 넥타이 디자인-6에서 사용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하였는데, 디자인-7 또한 젊은 층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색상배치를 통해 색채 변화를 주면서 세미 캐주얼 복장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디자인-6과 같이 상하, 좌우 반전을 통하였으나, 다양하면서도 색다른 재배치를 하여 전통적인 거리의 이미지에서 추상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경쾌함, 활발함 그리고 생동감을 모던한 느낌이 나는 스트라이프를 가로로 삽입하여 무게를 주어 분위기를 상승시키려고 하였다. 컬러로는 전체적으로 핑크와 옐로우 기운이 섞인 브라운이 크게 컬러 블로킹이 되면서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중간 중간에 버건디나 블랙컬러를 삽입하여 무게감을 더하여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핑크와 옐로우 계열의 스트라이프는 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므로, 20~30대가 선호할 수 있도록 강렬한 색채를 가미하여 모던함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다.
8) Necktie designs using doorknobs
넥타이 디자인-8은 한옥건물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장식적인 요소를 함축하고 있는 문고리를 이용하여 전통 가옥의 단아함을 노이즈 효과를 주어 추상적이며 장식적인 모노크롬 화면으로 연출하여 디자인하였다. 노이즈 효과로 생성된 모노크롬으로 인하여 자칫하면 다각적인 측면으로 비춰지게 되어 단아함을 잃을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 이미지의 중심이 하단에 이르도록 하여 균형을 주려고 하였다. 여기서 대두되고 있는 모노크롬의 느낌은 서양화 작가인 진영선 작품의 프레스코 모티브를 추출하여 동서양의 조화를 꾀하려고 한 것이다. 문고리의 원본을 확대시켜 로테이션시킨 결과물을 원 리피트하여 넥타이 디자인을 하였다. 전체적인 컬러는 브라운 계열로 삽입하여 노이즈 효과로 생긴 모노크롬을 거칠게만 느껴지지 않도록 중화시켰다. 다가올 미래에 도전한다는 의미에서 문고리를 디자인 모티브로 삼았으며, 전주 한옥마을의 자연친화적인 고유의 색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모던함을 주려하였다.
<Table 6> Design-8 (original image, motive and color chip)
3. Manufactured products
넥타이의 제조는 천의 재단부터 시작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반복적인 패턴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재단 시 하나 하나 염두에 두어 제작하여야 한다. 재단은 정확히 45° 정 바이어스로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넥타이를 양쪽으로 당겼을 때 뒤틀리는 느낌이 들고 올바른 형태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넥타이의 제조과정을 염두에 두고 8가지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디자인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Fashion-cultural products using the images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V. Conclusions and Suggestions
오늘날 우리나라는 오천년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그 세월만큼이나 유구한 고유의 전통과 문화유산의 정통성을 뒤로 한 채 서구 문명에 의존해 오고 있다. 물론 서구문명이 오늘날 우리의 삶에 풍요로움을 가져다주기도 하였으나,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우리만의 독특하고 세련된 고유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과 그에 따른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지출이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나라를 알릴 수 있는 문화관광 상품이 장식적인 용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한지사 상품의 수요량에 비해 아직은 한지사 상품의 다양한 패턴 개발 및 활용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우리 전통의 한옥마을에서 이미지와 사진을 한지사 직물에 접목하여 텍스타일 패턴을 디자인하고 그것을 이용한 관광 상품으로 판매될 수 있는 패션제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디자인의 주요 모티브는 한옥마을의 거리와 자연과의 조화, 한옥 속에서 찾을 수 있는 문양의 특징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새롭게 해석하여 관광 명소를 찾고, 선물용으로 넥타이를 구입할 수 있는 20~30대 젊은 층을 상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전략적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한옥뿐 아니라 지역적 문화정체성 정립을 위한 디자인 개발이 시급하다. 풍부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디자인 개발에 적극 활용하고 문화유산을 첨단과학기술 및 디자인과 접목시킴으로써 전주를 상징하는 지역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제품 개발이 급선무인 것이다. 즉, 전주만의 차별성 있는 제품과 디자인으로 문화상품 개발을 진행하여야 한다.
둘째, 현재의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패션문화상품의 아이템 중에서도 넥타이, 스카프, 가방 등의 아이템은 어느 판매장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아이템은 문화적 요소가 반영되었다 하더라도 트렌드가 반영되지 않으면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상품으로 가치를 상실하게 되므로 전통문화 이미지에 현재의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세련된 디자인과 함께 사용의 편리성을 추구해야 하며, 중저가 가격대의 상품을 개발하여 제품의 대중화를 추구하여야 한다. 디지털 프린팅은 다품종 소량생산의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대량생산된 제품보다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거기에 한지사라는 특수소재까지 접목되면서 문화상품의 단가가 특수선물용 이외의 생활용품으로 구매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소재 및 제품 개발방법들의 변형을 통해 소비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중저가의 제품 생산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액세서리 텍스타일 디자인은 패션의 창의성과 차별화를 위해 복식의 기능적 측면보다 복식의 디자인적 요소인 패션성이 강조되며, 남성복식조형의 주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넥타이 디자인에서 패턴디자인의 표현성이 중시되고 있으며, 한지사 제품을 활용한 상품 디자인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전주 한옥마을에서 모티브를 얻은 한옥 넥타이 패턴은 시대와 계절의 구분 없이 다양하고 폭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화려한 장식성, 율동미와 상징성을 활용하여 젊은 층의 캐주얼 패션에도 코디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한옥의 이미지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있는 다른 관광 문화지들을 활용하여도 전통을 알리면서 현대적인 감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패션상품들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써 아름다운 한국의 관광지와 한지사라는 한국 고유의 소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렇게 개발된 디자인을 이용한 한지사 패션상품들을 구매와 판매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및 제품 제작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할 향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작된 넥타이 상품에 대한 실질적인 소비자의 인식을 활용하고, 선물용 또는 자신이 직접 착용할 목적 등 목적별 구입 의도를 파악하여 본 연구에서 나타난 디자인의 실질적인 마케팅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전주방문의 해를 맞이하여 전주 한옥마을로 제한되어져 있다. 이에 국내의 다양한 한옥마을의 특색을 가진 문화상품에 대한 디자인적 후속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작된 넥타이는 디지털 프린팅과 한지사를 활용하였기에 실질적인 판매금액이 일반 넥타이보다 비싼 실정이다. 이에 실질적으로 구매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매환경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프린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추후 본 상품에 대한 실질적인 관광상품으로서의 구매의도 및 실용화 가능성에 대한 양적 연구방법론에 의한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
2.Choi, I. S.(2010). Flying fragrance in the tinkling sound of a wind-bell (watercolor culture tour- Jeonju Hanok Village). Seoul: Maccom21.
3.Chung, Y. S.(2004). A comparative study of digital textile printing and traditional screen print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56(17), 363-372.
4.Hong, M. K., Lee. H. N., Kim, J. Y., Zhang, L. P., Yoon, S. H., Kim, M. K., & Han, S. S.(2007). A study on the media treatment technology of the high-coloured digital textile pr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9(4), 175-178.
5.Kang, M.(2013),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regional tourism contents and industrialization strategy, Master's thesis, Jo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6.Kim, D. Y.(2011). The neo-bohemian lifestyle and urban revitalization: A case study of Jeonju Hanok Village. Korean Society for Cultural Anthropology 44(1), 3-36.
7.Kim, H. Y., & Seo, Y. J.(2012).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ative elements in the brand scarf design.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raft, 15(4), 102-120.
8.Kim, J. M.(2011). Design standards through a color analysis of Jeonju Hanok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4(4), 109-113.
9.Kim, J. P.(2011). Digital textile printing.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5, 194-203.
10.Kim, M. C.(2007). Jeonju Hanok Village and living culture. Seoul: Geulnurim.
11.Kim, S. B., & Kwon, Y. S.(2010). Study on polic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Han style house and town. Korean Journal of Public Policy, 17(2), 93.
12.Nam, K. H.(2011). Case study of real estate commercialization applying the value of Korean-style housing.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13.Park, J. J.(2010).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housing, Han-ok architecture.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Seoul, Korea.
14.Park, M. D.(2005, 17 October). Hanok. terms.naver. com. Retrieved May 17, 2013,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71&docId=1052482& mobile&categoryId=1379
15.Shim, J. K.(2013).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es in Jeonju. Master's thesis, MockWon University, Seoul, Korea.
16.Sin, K. C.(2010). Hanok Village. Seoul: HAN Munhwasa.
17.Woo, H. R.(2010). Physical specifications and functionality regarding natural indigo dyeing on Hanji fabric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8.Yu, S. B.(2005, November 8). Collection of all the high-tech & functional mulberry-fiber. ITN News. Retrieved May 21, 2013, from http://itnk.co.kr/s02.htm?page=88&keyfield=&key=&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