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No.2 pp.183-194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3.21.2.183

캐주얼 브랜드의 패딩 재킷 생산실태 조사 및 20대 여성용 패딩 재킷 패턴 연구

이혜승, 서미아, 어미경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n assessment of the production of padded jackets in casual brands and a study of padded jacket patterns for women in their 20s

Mi-Kyung Uh, Hea-Seung Lee, Mi-A Suh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Received 25 January 2013, revised 1 April 2013, accepted 16 April 2013.

Abstract

In recent years, intense cold spells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encouraged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to wear a variety of padded jacke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production of padded jacketsin casual brands and to develop basic patterns for well-fitted padded jackets targeted toward women in their 20s.The study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padded jackets from 13 apparel companies. In addition, three samplejackets were created with 3oz. fill in the body and 2oz. fill in the sleeves, and they were subjected to a wearingtest to determine their movement functionalit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Woven jackets constituted53.4% of the winter jackets produced by casual brands; padded jackets accounted for 25.3%, leather jackets 12.6%,and other jackets 8.7%. Thus, data showed that padded jackets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overallwinter jacket production. Based on the wearing test results, the basic measurements of a padded jacket for womenin their 20s were as follows: bust girth of B/4+3cm front length and B/4+3.5cm back length; waist girth of W/4+3.1cm front length and W/4+1.9cm back length; and hip girth of H/4+3.3cm front length and H/4+2.8cm back length.The jacket length was set at 62.8cm, with a 63.8cm sleeve length. This study concluded that providing paddedjacket manufacturers with basic pattern designs for a well-fitted jacket is expected to boost the efficiency of patterndesign processes and the production of padded jackets.

03_이혜승외.pdf7.31MB

I. Introduction

 지구 온난화의 여파로 겨울 날씨가 점점 더 추워지면서 일상생활에서도 보온효과가 높으며, 실용적이고 패셔너블한 패딩 재킷이나 다운 재킷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반영한 듯 국내외브랜드에서 패딩 재킷의 생산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삶의 질을 지향하는 라이프 스타일과 트랜드가 부각되면서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였고, 기능성과 스타일의 경계를 넘나드는 겨울 의복의 스타일이 경쟁하고 있다(Chi, 2009). 따라서 캐주얼 브랜드에서는 캐주얼과 스포티즘을 반영한 패딩 재킷의 디자인을 선보이며 매출 증대로 이어가고 있다. 패딩재킷은 겨울뿐만 아니라 이른 가을 등산 시에도 큰폭의 일교차에 대비할 수 있는 실용적인 아이템으로, 저렴한 가격과 보온성만을 강조하는 것에서 벗어나 고급성과 실루엣이 우수한 패션성에 중점을 둔 디자인이 출시되고 있다. 이전의 패딩 재킷은 패딩을 많이 넣어 볼륨감 있는 실루엣의 다자인이 많았으나, 현재는 소재와 디자인이 다양해지면서 고가의 모피 제품과 결합한 고급 패딩 제품도 선보이고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으로 고객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으며, 유명 패션디자이너의 컬렉션에서도 많은 패딩 작품들을 볼 수 있다.

 패딩은 디자인에 따라 겉감에 본딩하는 방법과 퀼팅을 하는 방법이 있고, 겉감, 패딩, 안감을 한 번에 봉제하는 방법이 있다. 본딩의 본드(bond)란 연결을 의미하며, 원단과 패딩 사이에 접착제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퀼팅은 원단과 원단 사이에 부드러운 심이나 솜 같은 것을 넣고 전체를 재봉하거나, 부분 장식으로 심을 일부만 넣고 무늬를 돋보이게 하는 것으로 의류뿐만 아니라 이불감, 침대 커버, 테이블 커버 등에도 많이 사용된다. 겉감, 패딩, 안감을 한 번에 봉제할 경우는 겉감이나 안감에 패딩을 완성선보다 크게 봉제하여 고정시킨 다음 한 번에 봉제한다. 패딩의 온스(ounce)는 두께로 구분하며, 단위는 oz로 표기하는데, 1온스란 사방 1야드(yd)로 길이가 91.44cm, 무게가 28.35g을 말한다. 과거에는 두꺼운 패딩을 쓰기도 하였지만, 근래에 이르러 압축패딩이나 고밀도 소재 등 다양한 보온 효과를 줄 수 있는 제품과 함께 사용하면서 기능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패딩 재킷은 패딩의 두께 차이로 겉감보다 안감의 패턴을 작게 설계하는데, 디자인에 따라 겉감 패턴을 먼저 제작하고, 그에 따른 안감 패턴을 패딩의 두께에 따라 작게 설계한다. 팔은 활동량을 생각하여 몸판보다 1온스 작게 해주어 활동하기에 편리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 이르러 패딩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지만, 패딩 재킷의 맞음새 및 패턴 설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패딩 재킷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Chi(2009)은 다운 재킷의 패턴 설계 시 각 부위별 적정 여유량을 알아보고 아웃도어 다운 재킷 패턴 설계법을 제시하였는데, 다운 재킷은 여성용 기본 재킷보다 등길이는 0.8cm의 여유를 더 주며, 가슴둘레 2cm, 밑단둘레 2cm, 어깨너비 1cm, 소매길이 0.5cm의 여유분을 더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아웃도어웨어나 스포츠웨어에 관한 연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충전재를 넣은 재킷 패턴에 관한 연구는 Chi(2009)의 연구 이외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대 표준체형 여성을 대상으로 첫째, 여성용 패딩 재킷을 생산하고 있는 캐주얼브랜드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패딩 재킷 디자인 및 소재, 패턴 설계방법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캐주얼 브랜드의 패딩 재킷 패턴 2종과 선행연구의 다운 재킷 패턴 1종, 총 3종의 패턴을 수집하여 패턴 비교분석과 착의실험을 통하여 패딩 재킷연구패턴을 선정하고, 셋째, 패딩 재킷 연구패턴을 수정보완한 후 착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맞음새와 외관이 좋은 패딩 재킷 기본패턴을 개발하고, 그 설계방법을 제시하여 패딩 재킷 제조업체에게 패딩 재킷의 디자인과 패턴 제작 및 생산 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Methods

1. Production survey of padded jackets consisting of casual brand

 패딩 재킷의 생산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캐주얼 브랜드의 일반적인 사항, 패딩 재킷의 디자인 및 소재, 패턴 설계방법을 조사하였다. 한국패션브랜드연감에 기재된 캐주얼 브랜드 중에 매출액 상위 40%인 브랜드를 선택한 후 2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13개 브랜드를 선정하였다(Table 1). 캐주얼 브랜드 현황조사는 2011년 10월 14일부터 12월 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 브랜드의 패턴담당 실무자를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에 의한 방법과 더불어 인터뷰 방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Table 1> General information of the companies surveyed

2. Production of test clothing

1) Subject sampling

 피험자는 제 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Size Korea자료에 제시된 20~29세 여성의 표준 인체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표준편차 이내에 포함된 여성을 <Table 2>와 같이 선정하였다. 패딩 재킷의 외관평가는 피험자 1에게 착의시켜 실시하였고, 동작기능성 평가는 피험자 3명에게 실시하였다. 패딩 재킷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생산이 많이 되고 있는 스탠드칼라에 암홀 프린세스라인의 앞지퍼가 있는 형태로 한 장 소매를 선정하였다(Fig. 1).

<Table 2> Body size of test subject

<Fig. 1> Padded jacket

2) Selection of the test pattern

 패딩 재킷 기본패턴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재 교육용 패턴이 미비함으로 브랜드에서 기준 사이즈가 되는 패딩 재킷 패턴 2종과 선행연구 Chi(2009)의 다운 재킷 패턴 1종으로 총 3종의 패턴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패턴을 제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외관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패턴을 기초로 하고, 캐주얼 브랜드의 실태조사 중 패턴 설계방법 자료를 참고하여 패딩 재킷 연구패턴으로 선정하였다.

3) Wearing test materials

 실험복 제작에 사용된 겉감과 안감의 소재는 100%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고, 충전재도 100% 폴리에스테르 솜을 사용하였다. 소재의 색상은 군주름과 형태를 잘 볼 수 있으며, 색채에 의한 인식의 차이를 배제하기 위해 흰색으로 선정하였다(Table 3).

<Table 3> Characteristics of the test materials

4) Appearance evaluation

 패딩 재킷 실험복의 외관 평가항목은 Chi(2009), Kim(2009)의 평가항목을 참고하여 재킷 패턴 설계시 중요한 부위 및 항목을 추가 선정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가자는 의복구성에대한 전문지식이 있는 의류학 전공의 대학원생 6명으로 선정하였고, 실험복을 피험자에게 착의시킨 후 전면, 측면, 후면의 외관을 평가하였다.

5)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패딩 재킷 실험복의 동작기능성 평가항목은 Kim(2009)의 평가항목을 참고하여 정립 시 착용감과 동작 시 착용감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피험자 3명에게 착의시켜 5점 리커트 척도로 직접 평가하도록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평균을 중심으로 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III. Results and Discussion

1. Production survey of padded jackets of casual brand

 조사대상 브랜드 중에서 패딩 재킷을 생산하고 있는 브랜드의 유형은 <Table 4>와 같이 영 캐주얼 브랜드는 69.3%, 캐릭터 캐주얼 브랜드는 30.7%로 조사되었다.

<Table 4> Brand zone

 조사대상 브랜드명은 브랜드에 상관없이 A, B, C 등으로 명명하였고, 겨울 재킷 생산 비율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이 우븐 재킷 53.4%, 패딩재킷 25.3%, 가죽 재킷 12.6%, 기타 재킷 8.7%로 조사되어 전체 겨울 재킷 아이템 중 패딩 재킷이 차지하는 생산비중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재킷의 충전재 사용비율에 관한 조사 결과는 <Table 6>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솜이 50.8%, 다운이 덕 다운과 구스 다운을 합쳐 49.2%로 나타나, 사용 비율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Production ratio of winter jackets

<Table 6> Fillings ratio

 패딩 재킷의 소재 사용 조사결과는 <Table 7>과 같이 겉감은 폴리에스테르가 53.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일론 38.5%, 면 7.6%로 나타나 합성섬유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감은 폴리에스테르 46.2%, 큐프라 23.1%, 벰베르크 15.4%, 나일론 15.3%로 나타나 합성섬유를 재생섬유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브랜드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보다는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스테르 소재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실용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로 생각된다.

<Table 7> Materials using of padded jacket

 패딩 재킷의 디자인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판매되는 재킷은 스탠드칼라에 암홀 프린세스라인의 앞지퍼가 있는 디자인으로 색상은 블랙 계열이라고 구두 응답하였는데, 이는 실루엣을 축소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와 어떤 색상과도 무난하게 코디네이션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판매량이 높은 패딩 재킷의 두께는 2oz부터 4oz까지 다양하며, 5oz 이상은 입었을 때 둔탁해 보여많이 생산하지 않고 다운(down)과 같은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대체한다고 응답하였다. 2oz인 경우는 몸판과 소매를 똑같이 사용하나, 3oz부터 팔의 활동량을 생각해서 몸판보다 소매는 1oz낮은 패딩을 사용하며, 가장 많이 생산하는 두께는 몸판 3oz와 소매 2oz라고 구두로 응답하였다. 몸판 3oz와 소매 2oz의 패딩 재킷 제품치수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8>과 같이 평균값이 가슴둘레 97.4cm, 허리둘레 87.6cm, 엉덩이둘레 109.2cm, 어깨사이길이 40.6cm, 윗팔둘레 33.8cm, 소매길이 61.4cm, 재킷길이는 61cm로 조사되었다.

<Table 8> Products size of padded jacket

 패딩 재킷의 겉감과 안감의 여유분 차이를 조사한 결과를 <Table 9>에서 살펴보면, 패딩의 두께에 따라 겉감과 안감의 여유분을 다르게 제작한다는 61.5%, 패딩의 두께에 상관없이 겉감과 안감의 여유분을 같게 한다는 38.5%로 조사되었다. 겉감과 안감의 여유분을 다르게 제작할 경우 겉감과 안감의 여유분 차이는 0.8~2.5cm로 패딩의 두께에 따라 겉감보다 안감을 작게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딩 재킷에 가로 방향으로 스티치를 넣을 경우 0.2~0.5cm씩 길이 방향으로 줄어들며, 스티치의 땀수에 따라 둘레 여유분이 2~5cm씩 줄어들기 때문에 줄어드는 분량을 패턴에 적용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Table 9> Size difference of shell and lining of padded jacket

2. Developing basic pattern of padded jacket

1) Comparisons of test pattern and appearance evaluation

 조사대상 브랜드에서 수집한 A와 B, 선행연구 C의 패턴을 실험용 패턴으로 선정하였고, 생산이 많은 패딩 두께(몸판 3oz과 소매 2oz)를 적용하여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패딩 재킷의 패턴 비교는 <Table 10>, 패턴은 <Fig. 2~4>, 착의사진은 <Fig. 5>와 같다.

<Table 10> Comparisons of test pattern

<Fig. 2> A test pattern

<Fig. 3> B test pattern

<Fig. 4> C test pattern

<Fig. 5> Images of test padded jackets

 외관평가 결과를 전체 평균으로 살펴보면, A실험복은 3.47점, B실험복은 2.80점, C실험복은 2.45점으로 평가되어 A실험복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A실험복은 어깨너비와 프린세스 라인 위치, 재킷길이, 소매부리 폭, 윗팔둘레 여유분에서 4점 이상을 받아 적절한 편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허리둘레와 밑단둘레에서 2점대의 낮은 점수를 받아 전체 외관은 좋으나 둘레항목 여유분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B실험복과 C실험복은 평균 2점대의 낮은 점수를 받아 전체 외관이 크고 여유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A실험복의 패턴을 연구패턴으로 선정하였고, 외관평가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Table 11>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test padded jackets

2)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basic padded jacket

 연구패턴으로 선정된 실험복 A패턴의 1차 외관평가 결과에서 가슴둘레, 허리둘레, 밑단둘레 여유분의 항목에서 3.5점 이하로 낮게 평가되어 이를 분석한 결과, 둘레 항목의 여유분이 적어 패딩 재킷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여유분이 부족한 부위를 잘라 벌리면서 부족한 여유분을 산출하였다. 가슴둘레는 2cm, 허리둘레는 2.4cm, 엉덩이둘레는 3.2cm의 여유분을 더 주어 수정하였고, 진동둘레 군주름은 진동깊이가 작아 군주름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나 진동깊이를 0.5cm 늘려주었다. 소매 길이는 짧은 것으로 나타나 소매길이를 3cm 길게 수정하였고, 스티치선 1개당 0.2cm씩 줄어들었으므로 총 4개의 스티치선을 위해 0.8cm 늘려 소매길이를 총 3.8cm 늘려주었다. 앞길의 가슴들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재킷의 앞처짐 분을 1.5cm 늘려주어 옆선과 연결하고, 그 1.5cm 분량을 사이드다트(side dart)로 넣어주었다. 칼라의 외곽둘레가 작아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몸판의 앞, 뒷길의 옆목에서 0.5cm 파주어 수정하였고, 스탠드칼라 뒤중심 높이를 10cm에서 8cm, 칼라 앞중심 높이를 8.5cm에서 7.5cm로 수정하였다. 재킷길이는 62cm로 패턴을 제작하였으나, 완성품의 길이는 61.2cm로 줄어들어 스티치 1개당 0.2cm씩 총 4개의 스티치선에서 줄어든 분량인 0.8cm를 늘려 62.8cm로 수정하였다.

 수정한 연구패턴으로 실험복을 제작하여 2차 외관평가를 한 결과, <Table 12>와 같이 전체평균이 1차 3.47점에서 2차는 4.13점으로 향상되었다. 가슴둘레 여유분 4.50점, 허리둘레 여유분 4.33점, 밑단둘레 여유분 4.30점으로 둘레항목 여유분이 향상되었고, 소매길이도 4.83점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뒷길 허리둘레 여유분은 커서 들뜸 현상이 나타났으므로 암홀 프린세스라인에서 양쪽으로 다트분량을 다시 0.3cm씩 늘려서 패딩 재킷 기본패턴을 완성하였다.

<Table 12>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basic padded jacket

3)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of the basic padded jacket

 수정한 연구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의 동작 기능성 평가 결과는 <Table 13>에서 보듯이 정립 시 착용감에서 뒤품부위, 허리부위, 암홀부위와 동작 시 착용감에서 팔을 최대한 들 때가 3점대의 점수를 받았으나 전체 평균은 4.02점으로 나타나, 동작기능성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패딩 재킷이 패딩이라는 충전재로 인해 적절한 여유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활동하기에 편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여겨진다.

<Table 13>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of the basic padded jacket

4) Drafting basic pattern of padded jacket

 패딩 재킷 기본패턴 적용치수는 <Table 14>, 패턴은 <Fig. 6>, 착의사진은 <Fig. 7>과 같다. 가슴둘레는 앞길 B/4+3cm, 뒷길 B/4+3.5cm로, 허리둘레는 앞길 W/4+3.1cm, 뒷길 W/4+2cm, 엉덩이둘레는 앞길 H/4+3.3cm, 뒷길 H/4+3.5cm로 패딩재킷의 여유분을 설정하였다. 앞길의 암홀 프린세스라인의 허리 다트량은 3cm, 뒷길의 암홀 프린세스라인의 허리 다트량은 2.6cm로 실험패턴보다 0.6cm 크게 설정하여 슬림한 효과를 내었다. 재킷길이는 62.8cm, 소매길이는 63.8cm로 설정하였다.

<Table 14> Basic pattern size of padded jacket

<Fig. 6> Basic pattern of padded jacket

<Fig. 7> Images of basic padded jacket

IV. Conclusion

 본 연구는 여성용 패딩 재킷을 생산하고 있는 캐주얼 브랜드의 패딩 재킷 생산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20대 표준체형 여성의 외관과 맞음새가 좋은 패딩 재킷 기본패턴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주얼 브랜드의 패딩 재킷 생산현황 조사결과, 겨울 재킷 아이템 중 패딩 재킷의 생산비율을 조사한 결과, 우븐 재킷 53.4%, 패딩 재킷 25.3%, 가죽 재킷 12.6%, 기타 재킷 8.7%로 조사되어 전체 겨울 재킷 아이템 중 패딩 재킷이 차지하는 생산비중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딩 충전재는 폴리에스테르 솜이 50.8%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은 스탠드칼라에 암홀 프린세스라인의 패딩 재킷을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딩 재킷의 두께는 패딩의 무게가 2oz부터 4oz까지 다양하게 생산되나, 5oz 이상은 둔탁해 보여 오리털과 같은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oz 몸판과 2oz 소매 패딩 재킷 기본패턴설계방법으로는 가슴둘레는 앞길 B/4+3cm, 뒷길 B/4+3.5cm로 설정하였고, 허리둘레는 앞길 W/4+3.1cm, 뒷길 W/4+2cm로 하였다. 엉덩이둘레는 앞길 H/4+3.3cm, 뒷길 H/4+3.5cm이며, 앞길의 암홀 프린세스라인은 허리에서 다트량을 3cm, 사이드다트 1.5cm를 설정하였다. 뒷길의 암홀 프린세스라인은 허리에서 다트량 2.6cm를 설정하여 슬림한 효과를 주었다. 재킷길이는 패턴 치수 62cm로 하였을 때 패딩 완성치수가 61.2cm로 되어, 이는 4개의 스티치선 때문에 길이가 0.8cm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패딩 완성치수가 62cm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패턴 치수를 62.8cm로 설정해야 하고, 소매길이도 패딩 완성치수가 63cm가 되기 위해서는 패턴치수를 63.8cm로 설정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3oz 몸판과 2oz 소매의 패딩 재킷의 패턴에서 길이설정은 패딩 완성치수에 스티치 개수×0.2cm의 길이를 보충하여 설정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패딩 재킷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패딩 두께에 따라 둘레 및 길이에 적절한 여유분을 추가하여 패턴을 제작하여야 하고 또한, 패딩 위에 스티치가 있는 경우는 스티치 개수와 스티치 방향에 따라 패턴 치수를 보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고려한 패딩 패턴 설계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패딩 재킷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게 맞음새 높은 패딩 재킷 패턴 설계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패딩 재킷의 패턴제작 및 생산 시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Reference

1.Bae, J. M.(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outdoor wear design to respond to the climate and environment -Focus on the design in collections after the year 200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7), 101-109.
2.Chi, J. Y.(2009). A study of the down jacket pattern for the outdoor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Ha, S. Y., Lee, Y. H., & Park, J. O.(2006). Aesthetic features of sportswear in the early 21st century -Centered on New York coll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6), 880-891.
4.Im, M. J., Seo, M. J., Park, J. Y., & Kim,Y. I. (2011).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totype for funtional men's outdoor-wear jacke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61(4), 152- 168.
5.Lee, E. H.(2010). A development of outdoor wear to be wearable as townwear: for women of their 20s and 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Lee, J. A.(2006). A study o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the quilt desig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2), 303-316.
7.Oh, H. S.(2011). A study on the market of the outdoor wear.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4(3), 99-104.
8.Ryu, S. A.(2005). Ease and pattern design of snowboard wear for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 mo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