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No.6 pp.1334-1346
DOI :

전통버선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김 선 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 Study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Motif of Traditional Beoseon Socks

Sun Young Kim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beoseon, traditional Korean socks that are a fashion item showcasing the beauty ofthe round hanbok shape. The study utilized the beoseon as an influential design motif and suggested 24 culturalfashion items to which the beoseon can be applied, including neckties, scarves, and T-shirts. For the purposes ofthis study, Adobe Illustrator CS3 and Adobe Photoshop CS3 were used for the motif design as well as the literaturereview on traditional beoseon socks. For the basic design motif, two basic forms were taken from the collection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key point of the motif development is that it maintains the basic shapeof the beoseon but highlights the attractiveness of the Korean image by using repetition, rotation, symmetry andoverlap into a new image pattern so that modern and chic imag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ach culturalproduct. For the necktie, the mixed or repeated patterns for each motif were used as is. Alternatively, an obliqueline pattern was adopted to express a stable and stylish image. For the T-shirt, a round-neck sleeveless type wasdesigned. T-shirts were unified in the white color to highlight the image from the pattern. For the scarf, two shapeswere displayed, square and rectangle. Through mixture of two repeated variation unit patterns for each motif, asplendid and stylish image was revealed along with various layouts.

01(15)_논문 15.pdf1.79MB

Ⅰ. 서 론

 21세기가 추구하는 세계화는 다양한 문화영역의 활발한 교류로 인하여 새로운 미적가치의 추구를 도모함과 동시에 각 문화권마다의 고유하고 독특한 문화적 자원을 부각시킴으로써 다양성과 독창성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문화의 세기라 일컬어질만큼 모든 영역에 있어 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자국의 독특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고유의 전통과 의식이 담긴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문화상품은 제품에 문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창출하는 것으로 일정한 용도와 한정된 물질적, 경제적 효용가치를 지니는 일반적인 상품보다는 상위의 개념으로서 한 민족 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정신적, 문화적 가치가 경제적인 효용가치와 결합하여 생산되는 유·무형의 모든 상품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의 상품을 지칭한다. 따라서 그 개발과정에 있어 심미적, 예술적 가치는 물론 대내외적으로 한 나라와 한 지역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담아낼 수 있는 정신적 가치와 심리적 특성이 함축되어 있어야 한다.1) 다양한 문화적 자원 중 각 민족 특유의 전통복식은 한 민족의 미의식이나 생활의 여건과 감정, 정신적 가치 등을 반영하며, 독특한 조형미로 디자인적 측면에서 그 어떤것보다도 독특하고 차별화된 조형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1) 이재민, “지역문화를 기반 한 패션문화상품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p. 6.

 전통한복의 경우 남녀 및 의례복, 평상복 등의 구별이 있고, 또 기본적으로 저고리, 바지, 치마, 두루마기와 도포 등의 겉옷, 쓰개, 머리장식, 신발 등 다양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형태와 색채, 소재, 문양 등 조형요소에 따라 독특한 미적가치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한국 전통의 복식미에 대한 다양한 연구2)가 진행되었으며, 전통한복의 현대화를 위한 생활한복디자인으로의 전개 및 전통한복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연구3) 전통문양을 이용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4)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5)에 있어 복식 이외의 다양한 전통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진 반면, 전통복식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텍스타일 디자인이나 이를 이용한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2) 금기숙,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김영자, 한복의 미적 고찰,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pp. 397-406.
임영자, 유순례, “한국인의 미의식 변천과정과 복식미의 특질에 관한 연구,” 복식 50권 8호 (2000), pp. 57-66.
최세완, 김민자,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한국의류학회지 17권 1호 (1993), pp. 103-117.
3) 권순교, “전통복식의 현대적 활용화를 위한 웨딩드레스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김지은, “한국 전통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문영희, “한국 전통복식의 선을 이용한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박창숙, “한국 포의류를 응용한 생활한복디자인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정미혜,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채송화, “전통문양을 이용한 생활한복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황경숙, “한국복식 조형미를 표현한 학위예복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 백현옥, “한국의 전통문양을 이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이연주, “전통 떡살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전승현, “조선시대 매화문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차민경, “전통문양을 응용한 레드카펫 드레스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 김선영, “전통꽃담문양을 이용한 패션문화상품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8권 4호 (2010), pp. 731-740.
김선영, “전통창살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디자인 개발,” 복식 60권 9호 (2010), pp. 16-25.
남재경,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조형예술학연구 6권 2호 (2004), pp. 249-266.
서옥경, “한국적 이미지의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권 2호 (2008), pp. 230-236.
신혜선, “한국 단청문양을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이미석, “전통색동 이미지를 이용한 문화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9권 2호 (2009), pp. 101-110.
현선희,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복 고유의 곡선미를 나타내는 복식아이템 중 하나인 버선을 디자인 개발의 소재로 선택하여 그 형태미를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한국 전통복식이 갖는 차별화된 독특함과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으며, 한국 전통복식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방법은 컴퓨터디자인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3와 Adobe Photoshop CS3를 이용하여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곡선을 이색적으로 잘 표현한 버선의 형태를 모티브 화하고, 이를 우리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되어질 수 있는 섬유제품인 넥타이와 스카프, 티셔츠에 적용하였다.

Ⅱ. 전통버선에 관한 일반적 고찰

 버선은 한국 특유의 것으로 발의 보호 및 보온과 함께 발의 맵시를 내기 위해 천으로 만들어 발에 신는 것이다. 한자로 발에 신는 것이라 하여 족의(足衣), 말(襪), 족건(足件)이라고도 하는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양말(洋襪)이라는 말은 서양에서 들어온 말(襪)이라는 의미이다.6) 1527년 최세진이 쓴 <訓蒙字會>에는 ‘보션말’이라고 쓰여 있어 그 이전부터 ‘보션’이라 불리었음을7) 짐작할 수 있다.

6) “버선”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2011년 2월 18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nfm.go.kr/nfm.dasen?cmd=museum-view&ac=765
7) 김지은, op. cit., pp. 20-21.

 버선의 가장 오랜 유물은 몽고의 노인우라에서 발견된 것으로 그 형태는 발에서 다리까지 감싸게끔 되어 있는 것이었으나, 버선의 형태는 점차 발달하여 1500년대까지만 해도 현재의 버선모양보다 약간 투박한 모양이었던 것이 1600년대에 와서는 곡선을 아름답게 살려서 수눅이 부드러운 선이 되고 바닥도 아름다운 곡선이 되었다.8) 버선의 형태는 버선코 부분이 뾰족하여 위로 치켜졌고, 버선목에 비해 회목이 조금 좁게 되어 있는데, 버선목의 바느질 눈이 오른쪽으로 된 것은 오른발, 왼쪽으로된 것은 왼발에 신어 좌우를 구별한다.9)

8)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pp. 294-295.
9) 이능화, 조선여속고, (서울: 한국학연구소, 1977), p. 89.

 무엇보다도 버선의 형태적 특성은 발의 모양을 그대로 보여주는데 있으며, 풍성한 긴 치마 아래로 보일 듯 말 듯 보이는 아름다움에 있다. 더욱이 다른 의복이 색이 있는 것으로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주로 흰색으로 해서 착용하는 것도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동정을 흰색으로 하는 것과 같은것인데, 인체의 가장 윗부분과 아랫부분인 버선에 흰색으로 통일감을 주어 한복을 돋보이게 하는 이러한 미의 표현의식은 독특한 백색효과의 미로 볼 수 있다.10)

10) 금기숙, op. cit. pp. 295-296.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의 진골여자는 계수라(罽繡羅)로 만든 버선을 착용하는 등 신분에 따라 재질에 차등을 두었고, 통일신라시대에는 버선과 버선목을 따로 제작하여 남녀 모두 착용하였으며, 견(絹), 나(羅), 능(綾), 綿(면) 등을 재료로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주로 흰색 포(布)로 버선을 만들었으나, 왕의 면복에는 적색 버선을, 왕비의 적의에는 청색 버선을 신었다. 그리고 왕의 버선에는 흰색 끈을 달았으며, 남자의 면복에는 버선 끈이 달려 있는 흰색 버선을 신었다.11) 조선시대에는 보통흰색 포로 만든 버선을 신었는데, 왕의 예복에 딸린 버선은 적색 또는 비색 단(緞)으로 겉을 대고 비색 초(綃)로 속을 대어 만들었다. 백관이 관복에 착용하는 버선은 모두 백포였고, 경국대전에 백관의 조복, 제복 차림에 백포말(白布襪)을 신도록 규정하였다. 버선은 일반적으로 광목이나 무명으로 만들었으나, 궁중예복에는 각색 비단으로 지은 청말, 홍말, 흑말을 신었다.12)

11) 손경자, 전통한복양식, (서울: 교문사, 1990), pp. 13-15.
12) 김지은, op. cit., p. 20.

 버선은 예로부터 귀신을 쫓고, 다산이나 복을 기원하는 민간신앙과 깊은 관련을 맺기도 하는데, 전염병이 유행할 때면 버선을 문기둥에 걸어 놓기도 하고, 3·5·7·9의 홀수로 엮은 버선을 문기둥 위에 걸어 놓기도 하였다. 또 장독에는 고추와 숯을 꽂은 왼 새끼로 금줄을 치는데, 그 금줄에 버선 한짝을 끼워놓는 풍속도 있는 등 주술적인 상징의 의미로 사용되었다.13)

13) Ibid., p. 21.

 버선의 종류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이 있으며, 형태에 따라 곧은 버선과 뉘인 버선이 있고, 만드는 방법에 따라 홑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가죽버선 등이 있다. 어린이용의 타래버선과 꽃버선이 있다. 버선의 종류14)를 정리하면〈표 1〉과 같다.

<표 1> 버선의 종류

14) 고복남, 한국전통복식사연구, (서울: 일조각, 1986), pp. 508-513.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1998), p. 20.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전통어린이복식,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2000), pp. 111-113.
손경자, op. cit., p. 169.

Ⅲ. 전통버선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패턴개발 및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본 장에서는 버선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되, 반복, 회전, 대칭, 중첩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이미지의 문양패턴을 전개시켜 한국적이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콘셉트로 삼았고, 이 패턴물의 결과를 스카프, 넥타이, 티셔츠에 적용하여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자료 중〈그림 1〉의 일반 버선의 형태와〈그림 2〉의 어린이용 타래버선의 형태 두 가지를 기본으로 하여 각각 네 가지 형태로 8개의 기본 모티브를 설정하였고, 각각 두 가지의 반복단위의 변형을 통해 총 16개의 기본 모티브로 전개시켰다. 또한 기본 모티브의 반복단위를 이용한 반복패턴과 스트라이프, 바둑판무늬의 배경과 조합을 통한 혼합패턴을 개발하였다. 설정된 기본 모티브의 색상에 있어 모티브 1~4는 버선의 내부색상은 그레이로 통일하여 모던함을 살리고 색동의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적, 청, 녹색을 포인트 컬러로 적용하였고, 모티브5~8은 모티브1~4에서 적용한 적, 청, 녹색의 파스텔 톤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도록 고명도의 핑크, 그린, 블루와 그레이를 적용하고 그러데이션 효과를 주어 화사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그림 1> 버선 www.nfm.go.kr

<그림 2> 타래버선 www.nfm.go.kr

 넥타이 디자인은 개발된 혼합패턴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일반적으로 바이어스로 재단되어지는 것을 염두에 두어 45도 회전시켜 적용하였다. 티셔츠는 라운드 네크라인의 민소매 셔츠로 디자인하였고, 문양의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도록 화이트티셔츠로 통일하였으며, 스카프의 형태는 목에 두르거나 머리에 싸매는 장식용 정사각형의 스카프와 긴직사각형의 머플러용 두 가지 형태로 전개하였으며, 반복패턴이나 혼합패턴의 결과물만으로도 스카프나 손수건디자인 등에 이용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스카프에 적용된 색상은 각 모티브별로 적용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적용하거나, 톤 인 톤 배색, 톤 온 톤 배색, 동일색상 배색, 그러데이션 배색 등을 통해 모던하면서도 통일감 있는 조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1.모티브 디자인1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1은 버선의 전체적인 형태를 그대로 강조한 것으로 외곽선의 색상과 중첩된 형태를 달리하여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개발한 기본 모티브의 조합을 통해 반복시킴으로써 직선과 곡선이 조화된 안정감 있는 구조의 반복패턴으로 나타냈고, 각 반복패턴의 배경에 녹색과 청색, 녹색과 적색의 스트라이프를 적용하여 색동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면서도 모던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표 2> 모티브 디자인1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1-2의 혼합패턴을 사선배치하여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1-1과 1-2의 반복단위를 회전시켜 꽃문양과 같은 형상을 나타내도록 하여 티셔츠 전면에 올 오버 배치함으로써 변화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스카프 디자인은 두 가지 혼합패턴과 혼합패턴의 배경에 적용한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용하여 바둑판 배열함으로써 화려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2.모티브 디자인2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2는 버선의 수눅선을 강조시킨 것으로 대칭의 형태를 달리하여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개발한 기본 모티브의 조합을 통해 반복시킴으로써 버선의 형태와 함께 강조된 수눅선으로 기학학적 형상을 나타내는 반복패턴으로 전개하였고, 각 반복패턴의 배경에 적색과 청색의 바둑판 문양을 적용하여 태극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면서도 모던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표 3> 모티브 디자인2와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1-1의 혼합패턴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2-2의 반복단위 일부분을 티셔츠에 삽입하여 유기적인 곡선의 형상을 연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스카프 디자인은 두 가지 혼합패턴과 반복패턴을 이용하여 바둑판 배열함으로써 모던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3.모티브 디자인3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3은 버선의 앞볼과 뒤꿈치 라인의 곡선을 강조시킨 것으로 대칭과 중첩을 이용하여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모티브3-1은 가로방향으로 뉘인 버선의 형상을 상하좌우로 대칭시키고, 조합된 모티브 중심에 버선의 앞볼과 뒤꿈치 라인의 곡선 형태를 삽입하여 변화된 형태를 갖게 하였으며, 모티브3-2는 기본 모티브3을 세 단계로 축소시켜 중첩시키고 이를 상하좌우 대칭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각 반복단위를 반복시켜 나비의 형상과 같은 이미지로 반복패턴을 전개하였으며, 각 반복패턴의 배경에 적색과 녹색의 가로 스트라이프 문양을 적용하여 화려한 색동의 이미지와 모던함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표 4> 모티브 디자인3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3-1의 혼합패턴을 사선배치하여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3-1의 반복패턴을 적용하여 레이스 소재와 같은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스카프 디자인은 직사각형의 형태에 3-2의 혼합패턴과 반복패턴을 이용하여 가로 스트라이프 형태로 레이아웃시켜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4.모티브 디자인4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4는 버선 특유의 곡선을 나타내는 수눅선을 버선 내부 중심에 배치하여 변화를 준 것으로 회전 각도의 변화를 주어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모티브4-1은 모티브4를 90도 회전반복시켜 바람개비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게 하였고, 모티브4-2는 45도 회전반복시켜 꽃의 형상을 나타내게 하여 각각 반복패턴을 전개하였다. 각 반복패턴의 배경에 청색과 녹색의 바둑판 문양을 적용하여 차분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나타내게 하였다.

<표 5> 모티브 디자인4와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4-2 혼합패턴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4-2와 모티브내부에 적용한 곡선을 회전시켜 원 포인트 배치함으로써 모티브를 부각시켰다. 스카프 디자인은 직사각형의 상하 외곽선에 혼합패턴을 가로 배치하여 테두리를 강조하였고, 스카프 중앙에는 두 가지 반복단위를 이용해 회전시켜 꽃문양과 같은 형상을 나타낸 패턴을 반복 배열하여 화려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5.모티브 디자인5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5는 어린이용 타래버선의 형태를 이용한 것으로 누빔 선과 꽃술, 대님 등 디테일적인 요소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기본 모티브의 중첩된 형태변화에 따라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모티브5-1의 반복패턴은 세로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열되고 가로방향으로는 엇갈리게 배열한 1/3 드롭을 적용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게 하였고, 모티브5-2의 반복패턴은 상하 반전시킨 모티브를 반복 배열하여 새로운 형상을 나타내게 하였다. 혼합패턴은 각 반복패턴의 배경에 사선과 가로 스트라이프를 적용하여 전개하였다.

<표 6> 모티브 디자인5와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5-1의 혼합패턴을 그대로 적용하여 스트라이프 이미지를 나타냈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5-2의 반복패턴을 중앙에 일렬배치하여 모티브를 부각시켰다. 스카프 디자인은 테두리에 모티브5-2를 배치하고 정사각형의 스카프 형태에 맞게 축소 반복시켰고, 중앙에는 반복패턴의 배열을 달리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스카프의 테두리와 중앙 모두를 강조시키는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6.모티브 디자인6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6은 타래버선의 형태에서 버선목부분에만 누빔 선을 주었고, 대님을 묶지 않은 끈의 형태로 변화를 주었으며, 핑크색의 그러데이션을 적용하여 화사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대칭의 형태를 달리하여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고, 모티브6-1의 반복패턴은 반복단위를 상하 반전하여 반복시킴으로써 격자무늬와 같은 새로운 형태미를 갖게 하였고, 세로 스트라이프 배경을 적용하여 혼합패턴을 전개하였다. 모티브6-2는 반복단위를 단순 반복하여 반복패턴을 나타냈고, 가로 스트라이프를 적용하여 혼합패턴을 전개하였다.

<표 7> 모티브 디자인6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5-1의 혼합패턴을 45도 회전시켜 스트라이프 이미지가 강조되도록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6-2를 중앙에 배치하고 투명도를 조절하여 전면에 올 오버 배치하였다. 의 반복패턴을 중앙에 일렬 배치하여 모티브를 부각시켰다. 스카프 디자인은 서로 다른 크기의 모티브6-1과 6-2를 혼합하여 1/4 회전 반복시켜 모티브를 강조시킴으로써 화사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7.모티브 디자인7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7은 타래버선의 형태에서 버선 아랫부분에만 누빔 선을 주었고, 그러데이션을 적용하여 화사하고 입체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모티브7-1은 90도 회전시킨 모티브를 상하좌우 대칭시키고 조합된 모티브의 중앙에 꽃술의 형태를 회전시킨원형을 삽입하여 화려한 이미지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이 반복단위를 반복하여 스트라이프와 같은 이미지의 반복패턴을 전개하였으며, 핑크와 그린의 가로 스트라이프 배경을 적용하여 가로 스트라이프가 강조된 혼합패턴으로 전개하였다. 모티브7-2는 45도 회전시킨 모티브의 좌우 반전을 통해 반복단위를 설정하였고, 이를 반복하여 반복패턴을 전개하였으며, 세로 스트라이프 배경을 적용하여 세로 스트라이프가 강조된 혼합패턴으로 전개하였다.

<표 8> 모티브 디자인7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7-1의 혼합패턴을 45도 회전시켜 스트라이프 이미지가 강조되도록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7-2의 반복단위를 이용해 꽃송이와 같은 형상으로 전환시켜 티셔츠 전면에 배치하여 회화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스카프 디자인은 모티브7-1과 7-2를 혼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스카프 테두리에 조합된 모티브를 배열하여 테두리선을 강조함과 동시에 중앙에는 꽃송이와 같은 조합된 모티브의 상하 반전을 통해 반복 배열함으로써 화려하면서도 동양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8.모티브 디자인8개발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모티브8은 타래버선의 형태에서 버선 내부의 누빔 선을 곡선으로 전환하여 변화를 준 것으로 회전각도의 변화를 주어 두 개의 반복단위로 전개하였다. 모티브8-1은 모티브를 90도 회전 반복시켜 바람개비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게 하였고, 모티브 8-2는 모티브를 45도 회전 반복시켜 꽃의 형상을 나타내게 하여 각각 반복패턴을 전개하였다. 각 반복패턴의 배경에 그레이와 그린색상의 바둑판 문양을 적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표 9> 모티브 디자인8과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넥타이 디자인은 모티브8-1의 혼합패턴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티셔츠 디자인은 모티브8-2의 반복단위를 티셔츠 중앙에 배치하고 투명도를 조절한 반복단위를 배경에 두어 입체적이면서도 화려한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스카프 디자인은 모티브 8-1과 8-2를 혼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스카프 테두리에 조합된 모티브를 배열하여 테두리선을 강조함과 동시에 중앙에는 반복단위의 회전을 통해 원형으로 변형한 모티브를 반복 배열함으로써 직선과 곡선의 조화를 통한 세련된 이미지와 화려함을 강조하였다.

Ⅳ. 결 론

 오늘날 문화는 한 국가의 경쟁력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문화상품은 국가 이미지 홍보 및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그 파급효과와 영향력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한민족의 전통 복식은 민족의 시대적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문화유산으로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자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복 고유의 곡선미를 나타내는 복식아이템 중 하나인 버선을 디자인 개발의 소재로 선택하여 그 형태미를 이용하여 패턴을 전개하고, 이를 넥타이와 스카프, 티셔츠 디자인에 적용하여 총 24점의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버선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모티브 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위해 컴퓨터디자인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3와 Adobe Photoshop CS3를 이용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일반 버선의 형태와 어린이용 타래버선의 형태 두 가지를 기본으로 하여 8개의 기본 모티브를 설정하였고, 각 기본 모티브별로 반복, 회전, 대칭, 중첩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반복단위를 두 가지씩 전개하여 총 16개의 기본 모티브로 전개시켰다. 또 각 기본 모티브의 반복단위를 이용한 반복패턴과 스트라이프, 바둑판무늬의 배경과 조합을 통한 혼합패턴을 개발하였다. 모티브 전개에 있어 주안점은 버선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여 한국적인 이미지를 살리되, 각 문화상품에 적용함에 있어 모던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염두에 두었고, 기본 모티브 색상은 그레이 색상을 기본으로 색동의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는 적, 청, 녹색과 고명도의 핑크, 그린, 블루를 적용하여 화사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넥타이 디자인은 각 모티브의 혼합패턴이나 반복패턴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사선배치를 통해 스트라이프 패턴과 같은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적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안정감 있는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티셔츠 디자인은 라운드 네크라인의 민소매 셔츠로 디자인하였고, 문양의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도록 화이트티셔츠로 통일하였으며, 스카프의 형태는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의 머플러용두 가지 형태로 전개하였고, 각 모티브에서 두 가지로 변형한 반복단위의 혼합을 통해 다양한 변화감과 화려함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과거 전통 공예품에 치우친 문화상품 개발과는 달리 오늘날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다양한 재료의 문화상품이 생산되고 있고, 전통복식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복식을 현대패션디자인에 활용할 경우 그 원형의 특징을 완전히 바꾸면서도 원형 그 자체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으로의 표현은 어려운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전개되는 대부분의 패션문화상품의 전개역시 공예품 위주였던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아이템에 걸쳐 적용되고 있으나, 전통문양이나 복식 이외의 문화적 자원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버선뿐만 아니라 한복의 다양한 아이템을 이용하여 전통복식의 조형적인 형태미를 모티브 화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전개하고, 이를 다양한 패션문화상품과 연계하여 전개한다면 전통복식의 원형을 살린 아름다움을 보다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고부가가치의 경제성을 지닌 상품개발의 전개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Reference

1.고복남 (1986). 한국 전통복식사 연구. 서울: 일조각.
2.국립민속박물관 (2011 년 2월 [2011년 2월 18일 검색]). "버선" [온라인게시판];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nfm.go.kr/nfm.dasen?cmd= museum-view&ac=765
3.권순교 (2006). "전통복식의 현대적 활용화를 위한 웨딩드레스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김선영 (2010). "전통꽃담문양을 이용한 패션문화 상품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8권 4호.
6.김선영 (2010). "전통창살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 상품디자인 개발." 복식 60권 9호.
7.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8.김영자 (1982). 한복의 미적 고찰. 서울: 한국문화재 보호협회.
9.김지은 (2001). "한국 전통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남재경 (2004).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조형예술학연구 6권 2호.
11.문영희 (1986). "한국 전통복식의 선을 이용한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박창숙 (2001). "한국 포의류를 응용한 생활한복디자인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백현옥 (2007). "한국의 전통문양을 이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서옥경 (2008). "한국적이미지의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권 2호.
15.석주선기념박물관 (2000). 한국 전통어린이 복식.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6.손경자 (1990). 전통한복양식. 서울: 교문사.
17.신혜선 (2002). "한국 단청문양을 모티브로 한 패션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이능화 (1977). 조선여속고. 서울: 한국학연구소.
19.이미석 (2009). "전통색동 이미지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9권 2호 .
20.이연주 (2001). "전통 떡살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이재민 (2002). "지역문화를 기반 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임영자, 유순례 (2000). "한국인의 미의식 변천과정과 복식미의 특질에 관한 연구." 복식 50권 8호.
23.전승현 (2002). "조선시대 매화문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정미혜 (1995).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5.차민경 (2011) "전통문양을 응용한 레드카펫 드레스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채송화 (2006). "전통문양을 이용한 생활한복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최세완,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한국의류학회지 17권 1호.
28.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29.현선희 (2006).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30.황경숙 (2001). "한국복식 조형미를 표현한 학위예복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