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60대 후반 노년 여성의 슬랙스 원형 연구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Slacks of Elderly Women in Their Late 60s
Abstract
- 01(4)_논문 014.pdf796.7KB
Ⅰ. 서 론
현대의학기술의 발달과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인간의 평균수명은 크게 신장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2000년대부터 베이비세대의 중, 장년층의 진입과 의학 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었으며, 출산율의 하락1) 등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1) 최경수,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2),” 한국개발연구원 (2004-11), p. 42.
이러한 노년층 인구의 증가와 사회구조의 다변화로 노년 여성의 사회활동 기회 증가뿐만 아니라 활동 폭도 점차 커짐에 따라 실버세대는 외적 만족을 추구하게 되고, 다수의 소비 집단으로 부상하게 되면서 실버마케팅이 부각되게 되었다.2) 김금화와 최혜선3)은 특히 중년 이후 체형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는 노년 여성의 경우 기존 기성복의 적합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지적되고 있으므로, 신체적, 심리적 적응도가 떨어지는 고령자의 체형 변화를 최대한 보완하여 적절한 외관을 지닌 의복 제시가 시급하다고 하였다.
2) 정삼오, 김수아, “실버의류 기성업체의 실태조사 연구,” 복식 56권 4호 (2006), pp. 15-23.
3) 김금화, 최혜선, “노년 여성의 스커트 착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권 2호 (2000), pp. 166-166.
여성은 임신과 출산 등으로 하반신 체형의 변화가 현저해지는데, 중년 이후부터는 개인차로 인하여 동일한 연령의 여성이라 할지라도 체형의 변화가 달라 다양한 체형 분포를 가지게 된다.4) 하반신의 체형 변화는 주로 허리와 배 부위가 비만해지고, 엉덩이는 처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차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노년기로 갈수록 심화되어 노년기 여성의 체형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낸다.5)
4) 문지연, “노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분류 및 하의류 치수규격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p. 7.
김옥경, “슬랙스의 신체적합성을 위한 연구 원형 연구,” 복식문화연구 8권 4호 (2000), p. 578.
5) 도월희, “노년층 여성의 체형특성과 briefs원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p. 16.
김경화, “노년 여성의 체형의 유형화 및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p. 18.
현재의 기성복은 노년 여성의 체형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중, 장년층 위주로 한 디자인과 치수에 의존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의복 호수의 범위가 좁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성복 업체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체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성복의 보편화, 다양화, 전문화의 경향으로 소비자의 선택 폭은 커지고 기성복에 대한 욕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의복 착용 시 불만족스러워 하는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 의복의 캐주얼화의 경향으로 따라 자신의 체형에 적합하고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활동적인 슬랙스 차림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착용빈도가 증가하고 있고6), 계절과 연령, 성별, 유행에 구애되지 않고 착용하는 의복으로 정착되어 스포티한 것부터 정장에 이르기까지 입는 범위가 넓고 실루엣도 다양해지고 있는7) 슬랙스는 어느 의복보다도 기능성이 중시되며, 복잡한 신체구조를 감싸야 하는 구성요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년 여성의 체형 특징인 허리 및 배 둘레가 증가하고, 엉덩이 하수는 심해지며, 다리는 굽고 가늘어지는 신체 프로모션의 이상에 따른 패턴 변화가 필수적이다.
6) 김은희, 함옥상, “하체부 동작에 따른 슬랙스의 제작 시 여유 분량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18권 (1992), p. 2.
7) 서영숙, “하지동작에 따른 슬랙스의 동작요인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7권 4호 (1993), pp. 648-662.
슬랙스에 대한 선행 연구로는 하반신 체형 분류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8), 체형별 슬랙스 패턴이나 그레이딩 룰에 관한 연구9), 신체적합성 및 이를 위한 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10), 기능성 슬랙스 패턴에 관한 연구11) 등이 있으며, 슬랙스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로는 체표평면전개도를 이용한 연구12), 기존의 원형을 수집하여 관능검사를 통하여 보정하는 방법13) 등이 있으며, 연구대상도 45~59세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14)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슬랙스 연구는 다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슬랙스 구성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로는 박순지, 김혜경15), 박재경과 임원자16)의 연구에서는 미적, 기능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여유분을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하며, 나경희17)는 밑위길이 측정 시 뒤허리중심선에서 엉덩이 곡선이 끝나는 체표길이를 재는 것이 동작적응성과 착용감이 우수하다고 하였으며, 김경애18) 연구에서도 밑위길이와 샅냄폭이 주요한 요인이라고 하였고, 송부경과 이정란19)는 체표평면전개도를 이용한 뒤중심각도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신체에 적합한 슬랙스를 구성하기 위한 주요요인들로는 신체에 대한 여유량과 앞뒤밑위길이와 샅냄폭, 뒤중심각도 등이 고려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노년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의복의 캐주얼화로 슬랙스의 일상복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60대 후반 노년 여성들의 불만요인으로 나타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밑위길이20)에 대한 불편사항을 해소하여 착용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슬랙스 패턴에 관한 연구가 절실하다.
8) 심현주, “노년기 여성의 하반신 유형에 따른 슬랙스 원형설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p. 1.
9) 함옥상, 정인향 “중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분류에 따른 슬랙스 원형제작,” 복식문화연구 7권 6호 (1999), pp. 140-158.
박우미, 위은하, 김윤화, 박춘덕, “20대 여성의 기성복 슬랙스 패턴 및 그레이딩 룰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8권 4호 (2005), pp. 13-22.
10) 김옥경, op. cit.
11) 이효정, “외관과 동작 기능성 향상을 위한 골프용 슬랙스 패턴 설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 1.
12) 김은희, “하체부 동작에 다른 Slacks의 제작 시 여유분량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p. 44.
13) 김경화, “비만 노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에 다른 슬랙스 기본원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p. 25.
14) 송부경, “슬랙스 구성요인에 따른 원형제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p. 2.
15) 박순지, 김혜경, “중년기 여성을 위한 슬랙스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권 4호 (1997), p. 81.
16) 박재경, 임원자, “슬랙스 원형의 밑위앞뒤길이 여유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권 5호 (1994), pp. 602-614.
17) 나경희, “슬랙스의 신체 적합성에 관한 연구-밑위길이 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p. 73.
18) 김경애, “중년여성의 하반신 체형 특성에 따른 슬랙스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p. 75.
19) 송부경, 이정란, “슬랙스 구성요인에 따른 원형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권 7호 (2001), p. 122.
20) 함옥상, 정인향, op. cit.
남윤자, 유희숙, “노인계층의 의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Ⅰ),” 한국의류학회지 20권 6호 (1996), pp. 962-97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슬랙스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60대 후반 노년 여성의 신체에 적합하고 의복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추출하고, 이들 항목에 대한 설계치수를 적용한 연구원형을 설계하여 인체적합성이 우수한 원형을 개발함으로써 기성복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및 절차
1.피험자 선정
피험자 선정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제5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2004)의 직접측정치에 자료를 근거로 하여 65~69세의 연령대의 피험자로 인체측정 항목의 25~75% 수준에 해당되는 60대 후반 노년 여성 5인을 선정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피험자의 실측치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2.원형 선정 및 측정항목
60대 후반 노년 여성의 체형 변화에 대응할 슬랙스 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할 원형으로는 선행 연구을 참고로 하여 연구와 교육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슬랙스 원형 2종(임원자 원형A21), 강순희·서미아 원형B22)), 중·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반신 유형을 연구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 2종(함옥상 원형C23), 심현주 원형D24)), 실무에서 사용하는 기성복 슬랙스 원형 2종(SMA 원형E25), 강여선·곽영철 원형F26)) 총 6개 원형을 선정하였다. 슬랙스의 허리선은 원형 연구를 위하여 허리옆, 앞, 뒤점을 지나는 수평둘레허리선으로 하였다.
21) 임원자, 의복구성학. (서울: (주)교문사, 2006), p. 211.
박현숙, “폐경기 여성의 슬랙스 패턴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p. 13-14.
양소희, “중년여성의 둔부형태에 따른 슬랙스 원형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 26.
22) 강순희, 서미아, 의복의 입체구성. (서울: (주)교문사, 2007), p. 299.
김경화, “비만 노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에 따른 슬렉스 기본 원형 연구 -엉덩이 둘레 적용 방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p. 32.
박현숙, op. cit.
양소희, op. cit.
23) 함옥상, 정인향, op. cit.
박현숙, op. cit.
24) 심현주, “노년기 여성의 하반신 유형에 따른 슬랙스 원형설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1.
박현숙, op. cit.
25) 이승렬, 이승렬의 패턴이야기, (서울: 기술과 감성, 1997), p. 63.
박현숙, op. cit.
26) 강여선, 곽영철, 여자 기성복 기본 패턴 설계, (서울: 수학사, 2005), pp. 161-167.
피험자의 측정항목은 양소희(2008)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높이 5항목, 너비 3항목, 두께 3항목, 둘레 6항목, 길이 4항목, 체중 외 기타 2항목 총 24항목을 선정하였고, 기준점 설정과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은 각각의〈표 1〉,〈그림 1〉,〈표 2〉,〈그림 2〉와 같다.
<표 1> 기준점 설정
<그림 1> 기준점 위치.
<표 2>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그림 2>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3.실험복 제작 및 패턴 비교
실험복 제작은 평직의 면 100% 머슬린으로 하였으며, 가로 기준선은 빨강색 실로, 세로 기준선은 파란색실로, 다트는 녹색실로 1cm 간격으로 홈질하여 표시하였다. 형태안정성과 맞음새를 향상시키기 위해 벨트 심지를 사용하여 벨트를 제작하였다.
6종류의 실험복 패턴 제도 시 양소희(2008)의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둘레 2항목, 길이 4항목, 다트 2항목, 폭 3항목, 기타 3항목 총 14항목에 대해 산출식과 치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4.외관평가와 자료분석
각 실험복의 외관평가는 양소희의 연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머슬린으로 제작한 실험복을 피험자에게 착용시켜 평가하였다. 외관평가는 3명의 준거 집단(대학원 의복구성학 전공자)에 의해 앞 9개, 옆 4개, 뒤 9개, 기타 2개 항목으로 전체 24항목이 평가되었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평가를 의미하며, 1점 또는 2점으로 평가한 경우 구체적으로 이유를 기입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량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항목별로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검정(독립 K-표본 검정)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피험자의 인체측정
1)피험자 선정
피험자 선정은 양소희27), 김선옥28)의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정립 시의 인체측정을 통해 65~69세의 노년 여성 5명을 선정하였으며, 피험자의 인체 정치는〈표 3〉과 같다.
27) 양소희, op. cit. p. 18.
28) 김선옥, op. cit. p. 20.
<표 3> 피험자의 인체 측정 (단위: cm)
2.슬랙스 원형의 산출식 비교
교육용 슬랙스 원형 2종(임원자 원형A, 강순희·서민아 원형B), 중·노년 여성을 위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 2종(함옥상 원형C, 심현주 원형D), 기성복 슬랙스 원형 2종(SMA 원형E, 강여선·곽영철 원형F) 총 6개 원형을 적용하여 산출식에 의해 도출한 각 부위의 비교한 결과는〈표 4〉와 같이 나타났다.
<표 4> 각 원형의 산출식 비교 (단위: cm)
3.슬랙스 원형의 중합도 비교
각 슬랙스의 실험복은 허리둘레 79cm, 엉덩이둘레 91cm, 밑위길이 25cm, 바지길이 90cm를 기본치수로 하고, 소재는 평직의 면 100% 머슬린으로 제작한 후 중합도를 비교한 결과는〈표 5〉와 같다.
<표 5> 각 원형의 슬랙스 원형 중합도
3.외관평가
교육용 슬랙스 원형 2종(임원자 원형A, 강순희·서미아 원형B), 중, 노년 여성을 위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 2종(함옥상 원형C, 심현주 원형D), 기성복 슬랙스 원형 2종(SMA 원형E, 강여선·곽영철 원형F) 총 6개 원형의 실험복에 대한 외관평가는 3명의 준거 집단(대학원 의복구성학 전공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피험자로 선정된 65~69세의 노년 여성 5명 중 Size Korea의 표준인체 치수에 가장 근접하나, 부족한 부위는 각 항목의 표준편차에 근접한 피험자(S-2) 1명에게 임의로 착용시켜 평가하였다. 외관평가의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비모수검정(독립 K-표본 검정) 결과는〈표 6~8〉과 같다.
<표 6> 슬랙스 원형의 앞면 외관평가 결과 (N=3)
<표 6> 계속
<표 7> 슬랙스 원형의 옆면 외관평가 결과 (N=3)
<표 8> 슬랙스 원형의 뒷면 외관평가 결과 (N=3)
<표 8> 계속
앞면의 슬랙스 원형의 외관평가 결과,〈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B원형과 F원형이 다른 원형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독립 K-표본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교육용 앞면 슬랙스 원형에서는 A원형보다는 B원형이 학위논문 앞면 슬랙스 원형에서는 D원형보다는 C원형이 기성복 앞면 슬랙스 원형에서는 E원형보다는 F원형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외관평가 결과,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여유분과 밑위곡선 모양이 자연스러운가에서 B원형이 F원형에서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다트의 형태는 F원형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옆면의 슬랙스 원형의 외관평가 결과,〈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항목별로 우수한 원형을 살펴보면 ‘앞뒤폭이 균형 있게 나뉘었는가’에서는 F원형과 A원형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허리둘레선 주위에 군주름이 없는가’에서는 C원형과 B원형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엉덩이둘레선 주위에 군주름이 없는가’와 ‘옆 솔기선의 위치가 바르며 수직인가’에서는 F원형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독립 K-표본 검정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교육용 옆면 슬랙스 원형에서는 B원형보다는 A원형이 학위논문 옆면 슬랙스 원형에서는 D원형보다는 C원형이, 기성복 옆면 슬랙스 원형에서는 E원형보다는 F원형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기성복 슬랙스 원형의 뒷면 외관평가 결과,〈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F원형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독립 K-표본 검정결과, ‘허리선의 위치는 적당한가’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항목별로 살펴보면 ‘허리둘레의 여유분은 적당한가’에서는 B원형과 C, F원형 순으로 평가되었으며, ‘엉덩이 부분이 끼거나 군주름이 없이 잘 맞는가’에서는 B원형과 F원형이 우수하였으며, ‘엉덩이둘레의 여유분은 적당한가’에서는 A원형과 F원형이 우수하였다. ‘밑위선이 끼거나 처짐은 없는가’에서는 B원형과 F원형이 우수하였으며, ‘밑위곡선 모양은 자연스러운가’에서는 B원형과 F원형이 우수하였다. 그 외의 항목에서는 F원형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외관평가 결과, F원형이 엉덩이둘레의 여유분, 넙다리부분의 여유분, 밑위곡선부분, 밑위선의 처짐, 뒤 다트의 형태, 뒤중심선의 수직 등 전체적인 외관과 맞음새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착의평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체적으로 F슬랙스 원형이 다른 교육용 슬랙스 원형이나 중·노년 여성을 위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엉덩이 부분과 다트 부분, 그리고 전체적인 외관과 맞음새가 우수하였다. 이것은 노년 여성의 체형의 특징인 허리 및 배 둘레의 증가, 엉덩이 하수가 심해지며, 다리는 굽고 가늘어지는 등 신체의 프로포션에 의해 나타나는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엉덩이둘레에 비해 허리둘레와의 드롭 차가 적게 나타나는 비만체형을 위해 앞 지퍼부분을 연장하여 다트를 만들어주고, 옆선이 과다하게 기울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형태가 표준형에 가까운 형태의 패턴을 얻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표 9〉는 각 원형별 슬랙스 착의 사진이다.
<표 9> 각 원형별 슬랙스 착의 사진
이에 각 원형에서 외관평가에서 가장 많은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F원형을 기본으로 하고, B원형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허리둘레항목, 옆허리올림분량, 뒤밑아래처짐분량, 밑위폭 항목을 선정하여, 최종 슬랙스 원형 패턴 설계 치수(표 10)와 최종 슬랙스 착의 사진 및 최종 패턴(표 11)을 제시하고자 한다.
<표 10> 최종 슬랙스 원형 패턴 설계 치수 (단위: cm)
<표 11> 최종 슬랙스 착의 사진 및 최종 패턴
Ⅳ. 결론 및 제언
현대사회는 노년인구의 증가로 경제적 안정을 기반으로 여가활동과 취미생활 등 사회활동이 많아지면서 의복을 통하여 자신감과 건강한 노후를 추구하고 있다. 신체적인 변화가 심해짐으로써 더욱 더 심미적인 디자인을 필요로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성복 시장에서는 노년층을 위한 전문적인 브랜드는 한정적이어서 소비자의 구매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의복설계를 위해서는 노년 여성의 체형특성을 반영한 실용적인 원형 설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60대 후반 노년 여성의 슬랙스 원형을 설계하기 위해 교육용 슬랙스 원형 2종, 중·노년 여성을 위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 2종, 기성복 슬랙스 원형 2종을 비교 분석하여 노년 여성에게 적합한 원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의복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추출하고,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이들 항목에 대한 설계치수를 적용한 연구원형을 설계한 후 외관평가와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인체적합성이 우수한 설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용 슬랙스 원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외관평가는 B원형이 우수하였으며, 앞면과 뒷면에서는 허리둘레, 배 부분, 밑위선, 밑위곡선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유로는 B원형이 A원형 보다 앞, 뒤 허리둘레 W/4+3.5+0.5cm, 앞 밑위폭(H/4+1)/4-1cm, 뒤 밑위폭 (H/4+1)/4+4cm로 폭이 넓고, 허리 높이가 조금 높아 굵은 배둘레를 감싸주는 편안하게 감싸주었기 때문이다.
2. 중·노년 여성을 위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C원형이 D원형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그 이유로는 허리와 엉덩이 길이, 밑위길이가 C원형이 폭이 넓고, 뒤판에서는 뒤바깥솔기가 유난히 앞으로 튀어나와 풍성한 형태로 편안함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관평가 시 3.5점대를 넘지 못하여 연구원형 설계 시에는 반영하지 않았다.
3. 기성복 슬랙스 원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F원형이 E원형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앞면에서는 허리선, 엉덩이둘레, 넙다리부분, 앞중심선이 수직인지, 옆면에서는 앞 뒤폭이 균형 있게 나뉘었는지, 뒷면에서는 엉덩이부분, 밑위선, 뒤중심선, 다트의 형태가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바지통과 전체적인 외관상태와 맞음새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것은 노년 여성의 체형의 특징인 허리 및 배둘레의 증가, 엉덩이 하수가 심해지며, 다리는 굽고 가늘어지는 등신체의 프로포션에서 나타나는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엉덩이둘레에 비해 허리둘레와의 드롭 차가 적게 나타난 비만체형을 위해 앞 지퍼부분을 연장하여 다트를 만들어주고, 옆선이 과다하게 기울어지는 경향을 최소화하여 표준형에 가까운 형태의 패턴을 얻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4. 외관평가에서 가장 많은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65~69세의 노년 여성에게 적합한 슬랙스 원형은 F원형을 기준으로 하여 허리 앞, 뒤 둘레 W/4+3.5+0.5cm, 엉덩이 앞, 뒤 둘레 H/4cm, 중심선 위치 (H/4+1+3.8)/2cm, 엉덩이길이 실측치(19)cm, 밑위길이 실측치(25)cm, 무릎위치 (밑위둘레선~바지부리선)/2+10cm, 바지길이 90, (옆허리점~바깥복사점길이)cm, 앞다트위치 앞허리중심선, 뒤다트위치 뒤허리둘레선의 1/3, 2/3지점, 앞다트분량(길이) 3.5(11)cm, 뒤다트분량 3.4(10.2)cm, 옆허리올림분량 0.7cm, 뒤밑아래처짐분량 1.5cm, 앞 밑위폭 (H/4+1)/4-1cm, 뒤 밑위폭 (H/4+1)/4+4cm, 앞 무릎폭 21.8cm, 뒤무릎폭 24.4cm, 앞바지부리폭 20.8cm, 뒤바지부리폭 23.4cm로 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60대 후반 노년 여성의 슬랙스 원형의 중요 설계항목을 추출함에 있어서 교육용 슬랙스 원형, 중·노년 여성을 위한 학위논문 슬랙스 원형, 기성복 슬랙스 원형간의 치수분석과 외관평가를 통해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슬랙스 원형의 여유량 설정은 물론 중요항목에 대한 패턴 설계값 분석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관이 향상된 원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65~69세의 표준체형 노년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앞으로는 노년 여성의 다양한 체형을 반영하는 여러 사이즈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특이체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에 사용된 기본 원형은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원형과 중·노년 여성을 위한 원형, 기성복 원형으로 연구되었으므로 본 연구 결과의 확대해석은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
2.강여선, 곽영철 (2005). 여자 기성복 기본 패턴 설계 . 서울: 수학사.
3.김경애 (2002). “중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특성에 따른 슬랙스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김경화 (1995). “노년 여성의 체형의 유형화 및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김경화 (2001). “비만 노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에 따른 슬렉스 기본 원형 연구 -엉덩이 둘레적용 방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김금화, 최혜선 (2000). “노년 여성의 스커트 착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권 2호.
7.김옥경 (2000). “슬랙스의 신체적합성을 위한 연구 원형 연구.” 복식문화연구 8권 4호.
8.김은희 (1992). “하체부 동작에 따른 슬랙스의 제작시 여유 분량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김은희, 함옥상 (1992). “하체부 동작에 따른 슬랙스의 제작 시 여유 분량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18권.
10.나경희 (1994). “슬랙스의 신체 적합성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남윤자, 유희숙 (1996). “노인계층의 의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Ⅰ).” 한국의류학회지 20권 6호.
12.도월희 (1993). “노년층 여성의 체형특성과 Briefs 원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문지연 (2002). “노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분류 및 하의류 치수규격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박순지, 김혜경 (1997). “중년기 여성을 위한 슬랙스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권 4호.
15.박우미, 위은하, 김윤화, 박춘덕 (2005). “20대 여성의 기성복 슬랙스 패턴 및 그레이딩 룰 연구.”한국가정과학회지 8권 4호.
16.박재경 (1994). “슬랙스 원형의 밑위앞뒤길이 여유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박현숙 (2007). “폐경기 여성의 슬랙스 패턴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서영숙 (1993). “하지동작에 따른 슬랙스의 동작요인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7권 4호.
19.송부경 (2000). “슬랙스 구성요인에 따른 원형제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송부경, 이정란 (2001). “슬랙스 구성요인에 따른 원형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권7호.
21.심현주 (2003). “노년기 여성의 하반신 유형에 따른 슬랙스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양소희 (2008). “중년 여성의 둔부형태에 따른 슬랙스 원형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이승렬 (1997). 이승렬의 패턴이야기 . 서울: 기술과 감성.
24.이효정 (2007). “외관과 동작 기능성 향상을 위한 골프용 슬랙스 패턴 설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임원자 (2006). 의복구성학 . 서울: (주)교문사.
26.정삼오, 김수아 (2006). “실버의류 기성업체의 실태조사 연구.” 복식 56권 4호.
27.최경수 (2004-1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 (2). 한국개발연구원.
28.함옥상, 정인향 (1999). “중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분류에 따른 슬랙스 원형 제작.” 복식문화연구 7권 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