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카무플라주 문양을 활용한 현대패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using Camouflage Patterns
Abstract
- 01(1)_논문 01.pdf4.93MB
Ⅰ. 서 론
패션디자인에 있어 문양은 실루엣이나 색상, 소재와 함께 디자인 완성의 중요한 요소로 문양 자체가 갖는 형태나 색채 등은 하나의 독립적인 디자인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또한 문양은 그 자체로 뿐만 아니라 패션디자인과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켜 착용자의 외형적, 내면적 이미지에 다양한 영향을 미쳐 그 호소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패션이 그 시대의 사회, 정치, 경제, 기술 등 시대를 반영하는 문화의 산물로서, 당시 사회의 환경적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양 역시 인간 생활 중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상징적인 사고의 산물로써 인간의 미적 표현의 한 방법이며, 생활 감정의 표현이기도 하다. 특히 종교나 이데올로기 같은 정신적 산물 또는 충격적인 문명의 이기가 나올 때면 그 파급효과는 의식주뿐만 아니라 문화체계 전반에 걸쳐 혁신으로 나타나게 되는데1), 이 중에서도 전쟁의 영향은 급진적이고 획기적인 변화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인류의 역사상 인간은 무수한 전쟁을 치르면서 무기의 발달을 가져왔고, 한편으로는 그 무기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탐색해 왔으며, 그 중에 하나가 군복이다.2) 군복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카무플라주 문양은 제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수풀이나 산림지역에서 위장의 필요성에 의해 대두된 위장무늬로 군복뿐만 아니라 현대패션디자인에 끊임없는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1) 임상임, 추미경, “밀리터리룩에 표현된 파시즘,” 복식문화연구 12권 5호 (2004), p. 156.
2) 한순자, “군복에 대한 연구,” 복식 32권 (1997), p. 244.
그러나 카무플라주 문양에 관한 선행 연구3)는 밀리터리룩과 관련된 연구나 군복의 디자인 개선을 위한 연구를 통해 단편적으로 언급될 뿐 현대패션과 카무플라주 문양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무플라주 문양의 기원과 변천, 종류를 이론적 배경으로 고찰하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의 표현 형태를 분석하여 여기에 내재된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그 미적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카무플라주 문양의 풍부한 시각적 효과들로 고부가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창작디자인의 전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방법은 카무플라주 문양과 관련된 국내외 서적 및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00 S/S부터 2010 S/S까지의 세계 4대 컬렉션인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 중 카무플라주 문양을 활용한 작품 총 201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사진자료의 경우 인터넷 패션쇼 사이트인 스타일 닷컴(www.style.com)과 퍼스트 뷰(www.firstview.com)의 사진자료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화면상에 부정확한 부분이나 디테일적인 측면은 패션컬렉션지인 Gap, Mode&Mode, Fashion news 등의 사진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3) 구자원, “한국군의 개인장구 개선을 위한 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권상희, 하지수, “현대군복디자인에 대한 연구,” 복식 56권 9호 (2006), pp. 143-156.
김선영, “현대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의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권 9호 (2006), pp. 41-50.
김지영, “밀리터리패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김지희, “현대복식에 표현된 밀리터리룩의 조형성 연구,” 가톨릭상지전문대학논문집 27권, pp. 137-157.
사진강,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턴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윤경은, “전투복을 응용한 현대 밀리터리룩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조정미, 유희, “20세기 밀리터리스타일의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권 8호 (2008), pp. 141-153.
진성모, 황자영, “한국 육군군복의 지형 적응용 개선을 위한 패턴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7권 3호 (2006), pp. 511-522.
채금석, 이화정,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복식 52권 1호 (2002), pp. 103-115.
최혜주, “현대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의 조형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Ⅱ. 카무플라주 문양에 관한 일반적 고찰
카무플라주(camouflage)란 ‘위장, 변장’이란 의미로 현혹과 감춤의 모든 국면이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단어는 베일로 시야를 가린다는 뜻의 불어 표현인 ‘camoufler’에서 유래한 것으로 현혹적 은폐의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4) 또 복식사전5)에 의하면 카무플라주 프린트란 ‘전쟁터에서 적의 눈을 속이기 위해서 모자와 옷에 덧붙인 나뭇잎 모양의 프린트 무늬에서 시작된 것으로 베트남 패턴, 타이거스트라이프 패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배색은 그린베이스와 브라운 베이스가 있다’고 하였다.
4) C. H. R. Chsney, The Art of Camouflage, (London: Robert Hale Ltd, 1941), p. 14.
5) 패션 큰 사전 위원회,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1999), p. 553.
카무플라주의 기원에 있어서는 원시 사냥꾼들이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6) 사냥꾼들은 사냥감을 찾아다니며 동물들이 이빨이나 발톱 이외에도 자신의 털가죽 색을 이용한 방어수단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이러한 카무플라주 효과를 이용해 사냥감을 향해 창을 던지고 화살을 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가까이 다가갈 때까지 자신의 정체가 들키지 않도록 가죽, 깃털, 나뭇잎으로 위장한데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겠다.7)
6) N. Tim, N. Quentin, and J. F. Borsarello, Brassey's Book of Camouflage, (London: Conway, 2002), p. 9.
7) 사진강, op. cit., p. 4.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카무플라주 문양은 하나의 분열 패턴(disruptive pattern)으로 전쟁과 관련하여 정찰을 위해 탱크, 비행기, 배를 환경과 비슷한 색으로 칠하는 것에서 시작되었으며,8) 군복에 처음 도입된 것은 독일의 특수부대원과 참호기습부대원 등과 같은 정예군들이 1916년 녹색, 갈색, 회색의 조각무늬를 헬멧에 칠한 것이었다. 1929년 이탈리아군은 위장무늬가 있는 텐트를 도입했으며, 1930년 독일군이 위장무늬가 있는 삼각형 판초를 만들어서 처음으로 의복에 위장무늬를 사용했다.9) 이것은 ‘splinter’라는 문양으로 녹색의 점선 또는 빗줄기 모양을 갈색과 녹색의 배경 위에 덧칠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 독일은 위장무늬 개발에 주력해서 나뭇잎의 형태와 색이 비슷한 ‘plane tree’, ‘palm tree’, ‘oak tree’ 등의 위장무늬들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10)
8) 김완주, 이금희, “슈퍼모던 패션의 보호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권 8호 (2008), p. 104.
9) 권상희, 하지수, op. cit., p. 146.
10) N. Tim, N. Quentin and J. F. Borsarello, op. cit., p. 23.
제 2차 세계대전 때에 이르러서 세계 각국이 적에게 노출되지 않기 위한 위장무늬인 카무플라주를 적극 이용하게 되었고, 카무플라주에 주로 쓰이는 색채는 기본적으로 모래색, 녹색, 갈색과 검정이지만 전투지역의 특색에 맞추어 독자적인 색채로 디자인되었다.11) 정글이나 수목이 울창한 산림지역에서는 다크 그린과 브라운, 베이지 등으로 초목에 은닉하는데 유리하게 하였고,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은 빗줄기처럼 생긴 무늬가 이용되었으며, 시가전에서는 회색과 흰색의 반점을 이용해 건물과 구분할 수 없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1990년대의 걸프전, 2003년의 미국과 이라크전과 같은 사막전에서는 지형적 조건에 맞추어 모래와 자갈의 형상에 모래색상과 비슷한 베이지 색상의 카무플라주 군복이 개발되었다.12)
11) 김지영, op. cit., p. 8.
12) 최해주, op. cit., p. 10.
또한 전쟁의 양상이 변화함에 따라 현대의 군복에 사용되는 색상과 카무플라주 문양은 전 세계의 지형과 숲의 색채, 계절 등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보편타당한 최대 공약치를 뽑아내어 사용할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13) 영국은 disruptive pattern material을 개발했으며, 미국은 베트남전을 위해 tiger stripe를 만들었고, 일반적인 미군 군복을 위한 우드랜드(woodland) 패턴을 개발했다. 1990년경에는 전 세계적으로 350가지 이상의 위장무늬가 사용되기에 이르렀는데, 영국과 미국은 군복에 카무플라주와 더불어 야간명시장치(night vision goggles)에 걸리지 않도록 반사되지 않는 염료를 첨가하기도 했다.14)
13) “디자인이 역사를 바꾼다,” 조선일보, 1996년 3월 8일, A21면.
14) C. Mcnab, 20th Century Military Uniform, (London: Barnes & Noble Books, 2002), pp. 12-13.
군복에 활용된 카무플라주 문양의 종류를 살펴보면, 가장 먼저 위장무늬를 사용한 독일의 플랙탄(flektan)을 들 수 있다. Flektan은 독일어로 ‘점박이’라는 의미로 영어로는 도트 카무플라주(dot camouflage)라고도 한다.15) 점 방식을 이용한 모호한 정체성으로 선 방식을 이용한 미군의 우드 랜드 패턴보다 위장성이 뛰어나다.16) 미국의 우드 랜드는 가장 일반화된 위장무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 세계 삼림의 형태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그 모양과 색을 조합하여 만든 패턴으로 세계의 어느 지형에서나 잘 어울리도록 설계되었다. 또, 걸프전을 계기로 제작된 사막 6색 위장복(desert battle dress uniforms)에 사용된 문양은 사막 중에서도 약간의 돌이 포함된 사막지형을 대상으로 만들어졌으며, 사막 3색 위장복은 6색 위장복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패턴으로 모양과 색의 배합이 비교적 단순하여 위장 효과가 뛰어나다.17)
15) 구자원, op. cit., p. 24.
16) 진성모, 황자영, op. cit., pp. 514-515.
17) 구자원, op. cit., p. 8.
또한 21세기에 맞게 개선된 전투복은 디지털을 활용한 카무플라주 패턴이다. 지금까지 전투복이 사막과 우드 랜드의 두 가지로 나뉜 반면 ACU(Army Combat Uniform)는 단 하나의 색상으로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애큐팻(ACUPAT; ACU Pattern)으로도 불리는 위장색은 전투복의 우드 랜드 패턴에 검정이 빠진 것으로 삼림지역에서 가장 일반적인 색인 녹색, 시가지에 유리한 회색, 그리고 사막에 유리한 샌드 브라운의 세 가지를 잘 배합한 다음 컴퓨터를 이용해 형태가 쉽게 포착되지 않는 디지털 픽셀 패턴으로 제작하여 무늬 자체는 뚜렷하게 윤곽이 드러나지 않고 눈을 혼란시키는 장점이 있다.18) 여기서 한 단계 발전하여 2009년 아프간의 미군들에게 지급된 새로운 위장무늬의 전투복은 멀티 캠 위장 패턴과 유니버설 위장 패턴-델타로 특히 유니버설 위장 패턴-델타는 도트프린터로 인쇄한 듯한 디지털 위장무늬를 이용하여 착시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더 큰 위장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19)
18) 진성모, 황자영, op. cit., p. 516.
19) “미 육군 새로운 위장무늬 전투복 공개,” 서울신문 [온라인 뉴스] (2009년 9월 22일 [2009년 12월 20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nownews.seoul.co.kr/
이와 같이 카무플라주 문양은 단순히 환경적 위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최첨단 군사장비 못지않게 중요한 전략이며 동시에 국가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상징으로 전 세계의 모든 국가는 독자적인 카무플라주 패턴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표 1〉20)은 세계 각국의 군복에 사용된 카무플라주의 종류 중 특색 있는 형태를 정리한 것이다.
<표 1> 군복에 사용된 카무플라주 종류
20) N. Tim, N. Quentin and J. F. Borsarello, op. cit., pp. 25-144.
Ⅲ.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의 표현 형태
20세기에 발생한 두 차례의 세계대전은 패션에 있어 밀리터리룩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탄생하게 하였고, 이후 일시적인 유행 현상이 아닌 패션의 한 트렌드로서 스트리트패션뿐만 아니라 고급 하이패션의 많은 디자이너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또한 복잡한 현대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이 지향하는 유틸리티 패션트렌드와 맞물려 군복을 모티브로 한 밀리터리룩은 일상복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현상을 나타냈는데,21) 군복의 형태나 다양한 디테일, 카무플라주 문양 등을 적극 활용하여 기능적 목적뿐만 아니라 장식성의 한 수단으로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특히 카무플라주 문양은 현대패션에 있어 적용되는 의복디자인과 표현방식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지만, 본래 위장이라는 목적으로 군용에서 시작된 독특한 패턴의 이미지로 군복과 전혀 무관한 현대패션의 다양한 의복 아이템에 응용되거나 카무플라주 문양의 형태나 색상을 변형하여도 문양의 고유성으로 인하여 밀리터리 스타일의 이미지를 단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22)
21) 김선영, op. cit., p. 44.
22) 윤경은, op. cit., p. 18.
본 연구를 위해 2000 S/S부터 2010 S/S까지의 세계 4대 컬렉션인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 작품 중 카무플라주 문양을 활용한 작품 총 201점의 연도별, 시즌별 빈도와 형태 및 표현기법별 빈도는〈표 2〉와 같다. 카무플라주 문양을 활용한 작품의 경우 F/W 시즌보다는 S/S 시즌에 더 많이 사용되는 경향을 나타냈고, 군복에서 사용되는 카무플라주 문양의 형태가 그대로 사용되기도 하나, 이와 유사하면서도 변형된 형태로 나타난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을 구성하고 있는 형태의 종류는 크게 추상적인 문양, 꽃이나 나뭇잎을 사용한 식물문양, 동물문양, 점 문양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상적인 문양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의 연도별, 유형별, 표현기법별 빈도
추상적인 문양은 군복에서 사용하고 있는 우드랜드 패턴과 같이 일반적인 카무플라주 문양을 이용하거나 그래픽적인 이미지로 변형되어 표현되었다.〈그림 1〉은 2006 S/S에 Michael Kors가 발표한 카키와 베이지 톤을 기본으로 한 우드 랜드 패턴의 이브닝드레스이다. 카무플라주를 이용하여 밀리터리적인 이미지를 우아한 드레스로 전환시키기도하고, 또〈그림 2〉와 같이 카무플라주 문양을 해적의 이미지와 히피스타일과의 혼성으로 표현하기도 하였으며,〈그림 3〉의 팬츠에 활용된 카무플라주는 사막 6색 위장복과 유사한 형태를 활용한 것이다. 반면〈그림 4〉는 블랙, 화이트, 그레이의 3색을 이용하고 그래픽적인 형태 변화로 보다 추상적인 효과를 표현한 카무플라주 문양이고,〈그림 5〉는 인체를 왜곡하지 않은 편안한 실루엣과 그린과 엘로우 색상으로 구성된 추상적인 구름 형태의 카무플라주를 이용하여 편안한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그림 1> Michael Kors, 2006 S/S. www.style.com
<그림 2> Jean Paul Gaultier, 2008 S/S. www.style.com
<그림 3> D&G, 2003 S/S. www.style.com
<그림 4> Giles, 2009 S/S. www.style.com
<그림 5> Matthew Williamson, 2001 S/S. www.style.com
또, 카무플라주 문양의 모티브가 식물문양이 바탕이 되는 바 꽃이나 나뭇잎 등 식물의 형태를 이용한 것들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2003 S/S Valentino는 ‘No War, Just Warhol’이라는 컬렉션의 주제 아래 Andy Warhole의 카무플라주 문양을 배경으로 하고, 〈그림 6〉과 같이 침엽수나 활엽수 등 다양한 식물의 잎을 모티브로 한 카무플라주 문양을 프린트하여 작품을 전개했다. 또, 2001 S/S Louis Vuitton 역시 꽃문양을 활용한 카무플라주로 우아한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하였으며, 2007 S/S Missoni 역시〈그림 7〉과 같이 밝은 컬러와 수련의 모티브를 혼합하여 활용한 카무플라주로 여성적이면서도 자연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현하였다.
<그림 6> Valentino, 2003 S/S. www.style.com
<그림 7> Missoni, 2007 S/S. www.style.com
타이거 스트라이프로 대표되는 동물문양의 카무플라주는 과거 미국이 베트남전에 착용한 전투복에 주로 사용되던 것으로 삼림이 우거진 진역을 제외하면 위장의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아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미군이 카무플라주 문양을 연구하게 만든 결정적 계기를 준 문양이라고 할 수 있다.〈그림 8〉은 2003F/W Versus 작품으로 타이거 스트라이프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나 카키 톤이 아닌 블루, 퍼플, 옐로우 등 색상의 변화와 몸에 꼭 맞는 실루엣으로 표현되어 밀리터리적인 이미지보다는 강렬한 유혹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그림 9〉 역시 카키, 베이지, 브라운 톤의 색상으로 비치는 소재에 호피문양과 같은 형태로 프린트된 카무플라주 문양의 원피스로 여성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그림 8> Versus, 2003 F/W. www.style.com
<그림 9> Blugirl, 2010 S/S. www.style.com
또, 독일군복에 활용된 플랙탄과 같이 점문양의 카무플라주 형태도 나타났다.〈그림 10〉은 2010 Louis Vuitton의 작품으로 점박이 형태에 퍼플, 블랙, 블루 등의 청량감 있는 색상을 이용하여 카무플라주를 표현하였으며, 〈그림 11〉은 조각난 듯한 점문양의 카무플라주와 군복에서 차용한 패치포켓, 부풀린 헤어스타일 등으로 모든 것이 혼성되고 절충된 듯한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림 10> Louis Vuitton, 2010 S/S. www.style.com
<그림 11> Louis Vuitton, 2010 S/S. www.style.com
특히 색상에 있어서는 카키와 베이지를 기본으로 한 카무플라주 본연의 색상보다는 다양한 색상의 변화와 조합으로 군복의 이미지를 벗어나 디자인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었다.〈그림 12〉의 재킷과 스커트에 활용된 카무플라주는 다양한 원색의 컬러조합으로 군복이라는 카무플라주의 고정된 이미지를 탈피하고 있으며,〈그림 13〉 역시 블랙, 브라운, 카키 톤의 색상을 기본으로 한 카무플라주 문양에 형광 빛 얼룩을 더해 산뜻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또, 파스텔 톤으로 프린트된〈그림 14〉의 수채화와 같은 이미지의 슬립드레스는 군용포켓을 이용한 백 팩, 펑크적인 헤어스타일 등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혼성적인 이미지를 나타냈다.
<그림 12> Duro Olowu, 2008 F/W. www.style.com
<그림 13> Blue Marine, 2010 S/S. www.style.com
<그림 14> Louis Vuitton, 2010 S/S. www.style.com
그리고 문양의 표현에 있어서도 프린트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자수나 비딩, 니팅, 콜라주와 같은 기법을 통해 장식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도 하였다.〈그림 15〉는 브라운, 베이지 톤의 가는 스웨이드 끈을 이어 붙여 코트 전체에 카무플라주 문양을 표현한 것이고,〈그림 16〉은 비치는 소재의 원피스 전체에 자수와 비딩으로 카무플라주 문양을 표현한 것이며,〈그림 17〉은 카키와 브라운, 블랙의 비즈를 이용해 카무플라주 문양을 표현한 것으로 단순히 카무플라주 문양의 형태나 색상의 변화만이 아닌 표현기법의 변화를 통해 부조적인 조형감과 함께 수공예적인 장식미를 강조하였다.
<그림 15> Trussardi, 2004 F/W. www.style.com
<그림 16> Kenzo, 2010 S/S. www.style.com
<그림 17> Balmain, 2010 S/S. www.style.com
이와 같이 전쟁의 부산물로 저항과 도전을 반영한 군복에 있어 특유의 문양과 색상으로 위장성을 상징하는 카무플라주 문양은 그 고유의 인식에서 벗어나 이질적인 요소와 이미지의 조합, 변형 등을 통해 현대패션에 새로운 스타일의 혁신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Ⅳ. 카무플라주 문양을 활용한 현대패션의 특성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한 군복의 영향은 20세기 후반 많은 청년문화와 함께 밀리터리룩이라는 모습으로 사회에 대한 저항의 태도를 표현하였으며, 군복을 본래의 용도에 부적합하게 만들려는 의도 하에 카무플라주 문양에 핑크와 주황색을 포함한 모든 색채를 사용했고, 신발에서 스커트에 이르는 모든 의상아이템들에 이 문양을 적용하여 본래의 시각효과를 완전히 바꾸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주로 펑크, 스킨헤드, 테크노, 힙합 같은 하위문화에서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로 표현되었다.23) 그러나 1990년 초에 발발한 걸프전은 사람들에게 한동안 멀어졌던 전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시에 밀리터리룩이 새롭게 전환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부터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밀리터리스타일이 디자이너나 착용자가 독특한 새로운 이미지와 메시지를 창조하기 위해 차용하거나 상호텍스트성을 나타내는 순수한 패션코드로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카무플라주를 이용한 이브닝드레스나 수영복 등 밀리터리스타일의 요소들이 서로 상반되는 다양한 요소들과 융합되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냈다.24)
23) 제르다 북스바움, 20세기 패션아이콘, 금기숙, 남후남, 박현신, 허정선 역, (서울: 미술문화, 2009), p. 196.
24) 조정미, 유희, op. cit., pp. 149-150.
21세기에 들어서도 미·이라크 전쟁과 북 핵의 위협, 9·11 테러 등 사회적 위기감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서 군복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특히 카무플라주 는 다양한 형태와 변형으로 재탄생되어 전쟁이라는 부정적 이미지 대신 하나의 문양으로써 현대패션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2000 S/S부터 2010 S/S까지 카무플라주를 활용한 현대패션의 특성을 여성미의 강조, 중성성의 표현, 장식적인 요소로의 활용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1.여성미의 강조
일반적으로 여성성이란 우아하고 세련된 여성적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이미지로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수성, 부드러움, 온화함 같은 여성적인 미적특성을 의미한다.25) 그러나 현대패션에서 여성성의 강조는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여성의 이미지를 재인식하는 주체적인 표현으로서 과거처럼 남성에게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닌 여성들 스스로가 즐기고 여성만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신체적 매력을 드러냄으로써 강조시킨다 하겠다.
25) 고현진, 김민자, “복식에 표현된 미적개념으로서의 엘레강스,” 복식 54권 5호 (2004), p. 104.
남성들의 군복에서 시작된 카무플라주는 남성, 전쟁 등을 연상시키며 밀리터리라는 이미지를 단적으로 드러내게 하지만, 카무플라주 문양을 차용하여 남성적인 이미지를 거부하기보다는 오히려 여성의 성적 매력을 강조하기도 한다. 본래의 카키계열에서 벗어나 파스텔 톤의 색채로 응용되거나, 동·식물문양 혹은 페미닌한 감각의 모티브로 변형되고, 노출이나 신체에 밀착되는 바디컨셔스 실루엣 등을 이용하여 카무플라주 문양이 갖는 인식의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여성성이 강조된 관능적 이미지로 재창조되었다.
〈그림 18〉은 2001 S/S Christian Dior 작품으로 우드 랜드 패턴의 카무플라주를 이용한 수영복은 오렌지 색상의 가는 벨트, 망사스타킹 등으로 함께 연출되어 여성의 신체적 매력을 강조시키는 관능적 이미지를 강조하였으며,〈그림 8〉 역시 색상과 형태가 변형된 카무플라주 문양을 이용한 미니 원피스는 몸에 밀착되는 실루엣과 함께 관능적인 여성성을 강조하는 이미지로 전환되었다. 또〈그림 19〉와 같이 한쪽 가슴을 드러낸 우드 랜드 패턴의 탑을 착용하여 남성의 군복이미지와 여성성의 노출이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동시에 표현함으로써 여성적인 관능미와 남성적인 힘을 교묘하게 병치시키고 강인한 현대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하였다.〈그림 9〉는 카키와 브라운의 색상배합으로 구성된 동물문양의 카무플라주로 비치는 소재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노출과 함께 어깨를 드러낸 원피스로 카무플라주가 갖는 본래의 이미지 대신 부드러운 감성의 여성성을 나타냈다. 또〈그림 20〉과 같이 카키를 기본으로 파스텔 톤의 다양한 색상으로 변형된 카무플라주는 비치는 시폰 소재에 프린트되고 부드러운 러플장식을 이용한 여성적인 원피스에 적용되어 낭만적인 이미지를 갖게 한다.
<그림 18> Christian Dior, 2001 S/S. www.style.com
<그림 19> Nicole Miller, 2000 F/W. www.style.com
<그림 20> Christopher Kane, 2008 S/S. www.style.com
이와 같이 남성적 영역이라고 인식된 군복의 카무플라주는 여성 인체의 직, 간접적 노출이나 여성복의 아이템 등을 이용하고, 부드럽고 아름다운 여성 인체의 곡선을 표현하는 실루엣, 카무플라주 형태와 색상의 변형, 비치는 소재의 사용, 여성적인 디테일 장식 등과 함께 표현되어 남성적 이미지와 전혀 상반된 여성 특유의 성적 매력을 느끼게 하였다.
2.중성성의 표현
인간은 출생과 동시에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의구분을 갖게 되고, 또 사회생활을 통해 2차적인 성의 역할 분담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생활양식이나 가치관, 미의식의 변화 등으로 성적 고정관념과 성 역할 등 이분법적인 성의 구분에 대한 초월이 이루어졌고 패션 역시 이러한 경향을 나타내게 되었다. 즉, 연령과 신분, 지역을 초월한 패션의 동질화로 인해 여성이 남성의 역할을 대신할 실용성과 기능성의 패션을 요구하게 되었고, 현대패션이 창출하는 성적이미지 역시 은폐나 위장 등 다양한 양상으로 그 구분을 모호하게 하거나 반전시켜 다양한 변화를 실현하고 있다.26)
26) 김선영, op. cit., p. 45.
여성 패션의 중성화는 주로 남성들만이 착용해왔던 패션아이템을 여성 패션에 도입하거나 남성적인 요소 또는 남성 패션의 이미지를 이용해 여성패션에 시도함으로써 중성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게 되는데, 특히 군복이나 카무플라주와 같이 군복을 연상시키는 특징들을 사용함으로써 중성성의 표현을 강하게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림 21〉은 카키색 군복 재킷과 카무플라주가 프린트된 크롭트 팬츠로 밀리터리이미지를 나타냄과 동시에 얼굴과 머리를 감싼 필름으로 중성적이고 해체적인 이미지로 표현된 것이다.〈그림 22〉 역시 낡고 헤진 듯한 이미지의 카무플라주 니트 스웨터와 찢겨진 듯한 팬츠는 파격적인 펑크 헤어와 마스크와 함께 연출되어 가시적인 성의 구분을 모호하게 나타내 중성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 〈그림 23〉과 같이 군복과 유사한 형태의 아이템에 카무플라주 문양을 전체에 이용하고 카무플라주를 연상시키는 메이크업과 같이 연출하여 남성성에 대한 성 정체감의 저항을 나타냄과 동시에 중성적 이미지를 나타내 전통적인 여성의 이미지에 대해 도전하는 등 현대패션에 있어 성의 초월을 표현하였다.
<그림 21>Junya Watanabe, 2006 S/S. www.style.com
<그림 22>Junya Watanabe, 2006 F/W. www.style.com
<그림 23>Yohji Yamamoto, 2006 S/S. www.firstview.com
이와 같은 표현들은 현대에 들어서 성 역할의 변화와 자유로운 개성의 추구 등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개인에게 성의 자유를 추구하도록하고 인간 내면에 숨겨져 있는 남성과 여성이라는 상반된 양면성 중 어느 한 부분도 부정될 수 없는 동등한 하나의 본질로 인정하게 하여 군복의 디자인 요소인 카무플라주를 이용한 패션을 통해서도 중성성의 표현을 자유롭게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여성 패션에 남성 군복의 아이템이나 카무플라주와 같이 디테일적인 요소를 차용한 디자인을 도입하는 행위는 의복에 부과된 성적 상징을 부인함으로써 남성의 역할과 남성지배 사회의 강요에 대한 깊은 믿음을 파괴하고자 하는 것이며,27) 또 남성 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하나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절대적인 것은 없다고 보는 해체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여성화 되는 남성, 남성화되는 여성이 만나는 접점의 성을 초월한 중성성의 표현으로 성을 초월한 공동의 패션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7) 이민선,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p. 72.
3.장식성의 강조
미의 추구를 위한 복식이나 기타 장신구에 있어서의 장식은 개인의 인격이나 사상표현의 한 수단이 되며 그 시대의 사조를 반영함은 물론 지역의 전통을 나타내기도 한다. 장식은 라틴어 ‘ornare’ 즉 ‘장식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장식한다는 것은 매력적이게 하는 것, 혹은 아름답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의 욕망은 장식을 통해 추구되는 미적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만든다.28)
28) 채선미, “한지로 제작된 남성셔츠의 미적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권 11호 (2006), p. 176.
이러한 장식의 욕구는 변화적이고 개방적이며 고정관념의 틀을 벗어난 현대패션에 있어 다양한 장르나 스타일의 경계를 초월하여 표현되기도 한다. 그 예 중의 하나가 제 1, 2차 세계대전, 베트남전, 걸프전 등 다양한 전쟁과 테러의 발발과 함께 대두된 군복에 있어 군복의 디테일적인 요소들을 이용해 하나의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한 것으로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새로운 패션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1990년대 후반 Jean Paul Gaultier는 오트쿠튀르 컬렉션을 통해 화려하게 비즈 장식된 카무플라주 문양의 이브닝드레스를 발표함으로써 전쟁과 저항의 이미지를 화려한 쿠튀르적 이미지로 승화시키기도 하였는데, 2000 S/S에는〈그림 24〉와 같이 오트쿠튀르 컬렉션에서 300m의 튤 소재를 이용하여 카무플라주 문양을 만들어내 카무플라주에 대한 고정관념을 부수고 장식적이고 수공예적인 기법의 최고급 드레스로 표현하였다. 가는 스웨이드 끈을 이어 붙여 코트 전체에 카무플라주 문양을 표현한 〈그림 15〉, 비즈와 자수 장식을 통해 표현된〈그림 16〉, 다양한 톤의 비즈 장식만을 통해 표현된〈그림 17〉 역시 카무플라주를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한 것이며, 또〈그림 25〉와 같이 만화 캐릭터인 담비와 카무플라주 문양이 프린트 된 드레스에 다양한 톤의 그린과 브라운 색상의 나뭇잎을 숄 형태로 연출하여 장식적이면서도 자연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프린트가 아닌 자수, 비즈 장식, 콜라주 등 부조적인 장식기법을 통해 표현된 카무플라주 문양은 카무플라주가 갖는 내재적 상징의 의미를 연상시키기보다는 하나의 조형적이고 장식적인 효과를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그림 24> Jean Paul Gaultier, 2000 S/S. www.style.com
<그림 25> Jean Charles de Casetelbajac, 2000 F/W. www.firstview.com
이러한 부조적인 장식기법 외에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의 대부분은 프린트를 통해 표현되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350여 가지 카무플라주 문양의 종류와 같이 카무플라주는 그 자체만으로도 장식적인 효과를 표현한다. 특히 카키나 브라운, 베이지 등의 일반적인 카무플라주 색상이 아닌 원색이나 파스텔 톤 등 다양한 색상의 조합을 통해 표현된 카무플라주는 다양한 디자인에 적용되어 화려한 장식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 우드 랜드와 같은 식물문양, 동물문양 등의 카무플라주 형태는 자연적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하지만,〈그림 14〉와 같이 추상적 구름문양의 카무플라주를 파스텔 톤으로 표현하여 수채화 같은 이미지를 주기도 하고,〈그림 26〉과 같이 블랙과 화이트의 그래픽적인 형태로 변형된 카무플라주는 추상적인 장식성의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또한 의복 아이템의 전면에 활용되어 밀리터리 이미지를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의복의 일부분이나 소품에 활용하여 전체적인 패션 연출의 포인트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그림 26> Narciso Rodriguez, 2009 F/W. www.style.com
이와 같이 현대패션에서 장식적 기법을 통한 카무플라주 문양의 활용은 화려하고 수공예적인 이미지로 디자인에 다양한 조형성을 갖게 함과 동시에 인간 본연의 미적 표현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하나의 기본적인 욕구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전쟁과 테러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불안하고 긴장된 현실세계에서 벗어나 이상적이고 평화스러운 세계를 갈망하며, 이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픈 마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Ⅴ. 결 론
21세기인 현 시점에도 세계 각지에 전쟁과 테러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현대 패션에서도 밀리터리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전개시키고 있다. 특히 전쟁이라든가 남성, 군복을 연상시키는 카무플라주의 사용은 현대패션에 있어 전쟁의 위기감이라기보다는 평화의 염원을 위한 하나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또는 패션의 다양한 이미지 연출을 위해 하나의 문양으로 표현되어 새로운 현대패션의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카무플라주 문양의 기원과 변천, 종류를 이론적 배경으로 고찰하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의 표현 형태를 분석하여 여기에 내재된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문양을 구성하고 있는 형태의 종류는 크게 추상적인 문양, 꽃이나 나뭇잎을 사용한 식물문양, 동물문양, 점 문양 등으로 구분되었다. 추상적인 문양은 군복에서 사용하고 있는 우드랜드 패턴과 같이 일반적인 카무플라주 문양을 이용하거나 그래픽적인 이미지로 변형되어 표현되었고, 식물의 형태를 이용한 것들은 침엽수나 활엽수 등 다양한 식물의 잎을 모티브로 하거나 꽃문양과의 혼합을 통해 여성적이면서도 자연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현되었다. 동물문양은 동물의 표피문양과의 혼합 사용이나 변형을 통해 나타났고, 점문양 역시 둥근 도트의 형태가 아닌 독일군복의 플랙탄과 같이 변형된 형태로 나타났다. 색상에 있어서는 카키와 베이지를 기본으로 한 카무플라주 본연의 색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변화와 조합으로 군복의 이미지를 벗어나 디자인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었고, 표현기법은 프린트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자수나 비즈 장식, 니팅, 콜라주와 같은 기법을 통해 부조적인 조형감과 함께 수공예적인 장식미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표현 경향을 통해 카무플라주를 활용한 현대패션의 특성은 첫째, 여성미의 강조이다. 남성적 영역이라고 인식된 군복의 카무플라주는 여성인체의 직, 간접적 노출이나 여성복의 아이템에 적용되고, 부드럽고 아름다운 여성 인체의 곡선을 표현하는 실루엣, 카무플라주 형태와 색상의 변형, 비치는 소재의 사용, 여성적인 디테일 장식 등과 함께 표현되어 카무플라주 문양이 갖는 인식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남성적인 이미지를 거부하기보다는 오히려 여성의 성적 매력을 강조하였다. 둘째, 중성성의 표현이다. 여성 패션에 남성 군복의 아이템이나 카무플라주와 같이 디테일적인 요소를 차용한 디자인을 도입함으로써 의복에 부과된 성적 상징을 부인하고 중성성의 표현을 자유롭게 나타내어 성을 초월한 공동의 패션을 제안하였다. 셋째, 장식성의 강조이다. 카무플라주는 전쟁이나 이와 연관된 부정적 이미지, 군복과 관련된 상징성 대신 프린트, 자수, 비즈 장식, 콜라주 등 다양한 표현기법과 형태변형, 색상의 전환 등을 통해 하나의 문양으로 존재하여 의복에 조형적이고 장식적인 효과를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카무플라주 문양을 이용한 디자인의 표현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현대패션에 있어 카무플라주를 활용한 디자인을 통해 현대인들은 우리들 자신이 전쟁이라는 불안한 현실 속에서 결핍된 욕망이나 소망을 표현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카무플라주의 화려한 장식적 표현과 다양한 스타일들을 통해 계속해서 또다른 이미지를 생산해내어 카무플라주가 갖는 이미지의 전환으로 새로운 패션의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카무플라주 문양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양들의 변형과 혼합을 통한 창의적인 시도들은 패션디자인에 새로운 조형미를 구축하여 독창적이고 감각적인 시도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또 강한 개성을 지닌 현대인들의 감성에 부응할 수 있는 감성적 디자인으로써 보다 다양한 전개가 창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Reference
2.구자원 (2002). “한국군의 개인장구 개선을 위한 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권상희, 하지수 (2006). “현대군복디자인에 대한 연구.” 복식 56권 9호.
4.김선영 (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의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권 9호.
5.김완주, 이금희 (2008). “슈퍼모던 패션의 보호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권 8호.
6.김지영 (1997). “밀리터리패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김지희 (1997). “현대복식에 표현된 밀리터리룩의 조형성 연구.” 가톨릭상지전문대학논문집 27권.
8.사진강 (2003).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턴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윤경은 (2004). “전투복을 응용한 현대 밀리터리룩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0.이민선 (1993).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임상임, 추미경 (2004). “밀리터리룩에 표현된 파시즘.” 복식문화연구 12권 5호.
12.제르다 북스바움 (2009). 20세기 패션아이콘 . 금기숙, 남후남, 박현신, 허정선 역. 서울: 미술문화.
13.조선일보사 (1996년 3월 8일). “디자인이 역사를 바꾼다.” 조선일보.
14.조정미, 유희 (2008). “20세기 밀리터리스타일의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권 8호.
15.진성모, 황자영 (2006). “한국 육군군복의 지형 적응용 개선을 위한 패턴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7권 3호.
16.채금석, 이화정 (2002).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복식 52권 1호.
17.채선미 (2006). “한지로 제작된 남성셔츠의 미적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권 11호.
18.최혜주 (1998). “현대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의 조형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 서울: 교문사.
20.한순자 (1997). “군복에 대한 연구.” 복식 32권.
21.“미 육군 새로운 위장무늬 전투복 공개,” 서울신문[온라인 뉴스] (2009년 9월 22일 [2009년 12월 20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nownews.seoul.co.kr/
22.Chsney, C. H. R. (1941). The Art of Camouflage. London: Robert Hale Ltd.
23.Mcnab, C. (2002). 20th Century Military Uniform. London: Barnes & Noble Books.
24.Tim, N., N. Quentin and J. F. Borsarello (2002). Brassey's Book of Camouflage. London: Con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