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No.4 pp.863-875
DOI :

다문화 가정의 의복 실태와 섬유 선호도에 관한 연구

최인려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Study of the Clothing Behavior and Fiber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Ryu Choi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lothing behavior, care and the fiber preferences of multi-culturalfamilies living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s based on pre-tests, and a main surveyconduc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258 participants came from 151 multiculturalfamilies and 107 Korean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lipinos owned moreclothes than the Chinese and bought clothes more frequently. The Filipinos spent 10,000~30,000 Korean won onall types of clothing. Each time, the Chinese spent more money when purchasing jackets. Second, when health wasthe greatest concern for underclothes, they chose cotton fiber as their preferred fiber. When beauty was of greatestconcern for blouses they chose cotton. When beauty was of greatest concern for skirts and jackets they chose naturalfibers such as silk, wool or linen. Filipinos preferred synthetic fibers because they are easy to care for, and theChinese preferred natural fibers due to their beauty, especially for pants. Third, multi-cultural families launderedat home using only a washing machine. All fibers were laundered together into the washer without any sorting.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lothing behavior and laundry styles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may be useful data in the apparel market in Korea given the relative and directchanges relevant to various clothing cultures.

01(15)_논문 15.pdf437.3KB

Ⅰ. 서 론

 한국사회는 유네스코와 OECD가 지정한 다문화 국가이자 이민국가인 다문화사회1)로 1990년 5만 명미만이었던 한국 내 거주 외국인의 수는 2009년 110만 명을 넘어섰다.2,3) 한국의 다문화 가정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국제결혼으로 이루어진 가정에서 시작하였으며, 그 형태는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이주 노동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정과 1990년대 후반 이후 결혼 이민자와 한국인 배우자로 이루어진 가정이 주를 이루나, 북한 이탈주민인 새터민과 최근 급격히 증가한 유학생도 그 범주에 넣기도 한다.4) 2009년 5월 1일 집계에 의하면 국내 거주 외국인은 1,106,884명으로 그 유형별 비율은 외국인 근로자 52%, 결혼이민자 11.4%, 외국인 주민자녀 9.7%, 유학생 7% 등이다. 이들의 국적별 현황은 중국이 56.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동남아시아 21.2%, 미국 5.4%, 남부아시아 3.9%, 일본 2.4%, 대만 2.1%, 몽골 2.1%, 중앙아시아 1.8%의 순으로 이어지며5), 그 수는 해마다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1) 권재일, 서덕희, 서현정, 이태주, 조용환, 한건수, 한경구, 한상준, 황병하, 다문화 사회의 이해, (파주 : 유네스코 아시아, 2008), p. 266.
2) 이동영, “외국인 주민 100만 돌파 色다른 시대, 多문화한국,” 동아일보, 2009년 8월 6일, A1면.
3) 보건복지부, 다문화가족 관련 통계, (보건복지부, 2009), p. 2
4) 한국사회문제연구원, 다문화가족 정책세미나 자료집, (한국사회문제연구원, 2009), pp. 15-16.
5) 이동영, op. cit., (2009), A1면.

 현대의 ‘다문화’는 ‘여러 나라의 생활양식’을 뜻하며, 생활양식은 의식주를 근간으로 이루어진다. 마르코 마르티니엘로는 이주민의 음식, 복식, 철학, 종교와 같은 사회적으로 시행되는 생활양식과 소비양식과 같은 문화교류를 온건한 다문화주의6)라고 하였으며, 유네스코에서는 현대사회의 다문화 공존을 위해서는 국내의 인종 집단과 타국의 문화를 포함하는 모든 인종, 문화, 문명, 가치,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중요 원리7)로 꼽았다. 즉, 여러나라의 의식주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서로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다문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의식주문화는 문화의 주요 요소이자 실생활의 필수 활동으로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한국의 의복문화 또한 시대를 반영하며 이루어져 왔다. 다문화 사회로 구성원 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이 시기에 한국사회내 다문화 가정의 의생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류산업의 다각적 시장 모색에 필요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한국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의식주에 관련된 조사와 연구로는 2009년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에서 10개 국어의 설문지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주거 형태에 대한 조사8)와 대구 지역의 다문화 가정 이주 여성의 식생활 실태 분석에 대한 연구,9) 다문화 가정 여성의 의생활 착의 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10)가 있다. 그러나, 국내의 다문화 가정 여성들의 의복 구매 및 섬유 선호와 세탁 관리방법에 대한 실태와 같은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6) 마르코 마르티엘로,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윤진 역 (서울: 한울, 2002), pp. 89-91
7) 권재일, 서덕희, 서현정, 이태주, 조용환, 한건수, 한경구, 한상준, 황병하, op. cit., p. 269.
8) 보건복지부, op. cit., (2009), pp. 1-20.
9) 김정미, 이난희, “대구지역의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식생활 실태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5권 4호 (2009), pp. 405-418.
10) 이윤정, “다문화 가정 여성의 의생활착의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권 3호 (2010), pp. 395-410.

 다문화 시대의 마케팅 패러다임은 레인보우 마케팅, 즉 각 민족 또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개별 문화권을 강조하는 마케팅으로 변모하고 있으며11), 이는 한국기업도 100만 명이 넘는 외국인들을 주요 고객으로 인정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한다.

11) 김승욱, 다문화 콘서트, (파주: 법문사, 2009), pp. 166-167.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가정을 구성하는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복생활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의 의복의 소유 개수, 구입빈도, 구입 가격에 따른 의생활 실태와 섬유 선호도 및 세탁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한국의 다문화 가정의 의생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생활 실태와 의복 종류별 선호섬유와 구매 이유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세탁 관리법의 차이를 조사 연구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조사 대상자 및 지역

본 연구의 설문 대상자는 서울과 충남 지역의 중국인과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교사와 담당직원, 상담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조사는 편의 추출집단을 대상으로 국내에서의 의복 구매 및 세탁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상을 중심으로 한 조사이므로 결혼 이주자, 노동 이주자, 유학생을 다문화 가정의 범주로 정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다문화 가정의 여성은 필리핀인 72명, 중국인 79명으로 총 151명이었고, 다문화 가정과 비교집단인 한국 가정의 여성은 107명으로 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표 1〉과 같다. 

<표 1>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N(%)

2.조사항목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12,13)를 참조하여 의복의 종류를 내의, 블라우스, 바지, 스커트, 자켓의 5가지로 정하였다. 의복 종류별 선호 섬유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14)에서 섬유 유형별 선호집단을 분류한 것을 참조하여 선호 섬유 집단을 면 선호, 면 외의 천연섬유(마, 견, 모 등) 선호,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방선호와 합성섬유 선호로 분류한 후 세분하여 제시하였다. 의복 사용 실태 조사는 의복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소유 개수와 연간 구매빈도 및 1회 평균 구매 비용를 조사하였다. 의복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섬유와 이유에 대한 문항을 선다형 및 기술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세탁 방법에 관한 실태 조사를 위하여 세탁 방법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한 방법과 가정용 세탁기와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는 방법, 전문 세탁소를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누었고, 이를 색상, 섬유 종류에 따라 구분을 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재분류하여 선다형 및 기술형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12) 서용숙, 조필교, 구은영, “의복소비 및 활용실태 분석,” 복식문화연구 5권 2호 (1997), pp. 207-216.
13) 류숙희,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른 의복 구매 성향 및 의복사용 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11권 2호 (2003) pp. 320-330.
14) 김선경, 이희선, 김종배, “유아외출복 구매자의 조성섬유 선호집단별 차이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6권 1호 (1998) pp. 117-128.

3.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0년 6월 15일에서 9월 14일까지 설문지법과 함께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으로 이루어졌다. 다문화 가정의 여성을 대상으로 총 200부를 배포하여 162부가 회수되었으며, 무성의하고 불완전하게 작성된 11부를 제외한 총 151부가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다문화 가정과 비교 분석하기 위한 한국 가정 여성의 설문조사는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다수의 조사원을 통해 배포 및 회수되었으며, 총 120부를 배포하여 112부가 회수되었으며, 무성의하고 불완전하게 작성된 5부를 제외한 총 107부가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의복 종류별 섬유 선호도와 사용 실태, 세탁 방법에 대한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1.의복 실태

1)의복 종류별 소유 개수

 다문화 가정 국가와 한국 가정의 의복 종류에 따른 소유 개수 결과는〈표 2〉와 같고, 의복 종류에 따른 소유 개수는 국가별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내의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소유하였고, 필리핀인이 가장 적게 소유하였으며, 블라우스는 필리핀인 가장 많이 소유하였고, 중국인이 가장 적게 소유하였다. 바지는 한국인 가장 많이 소유하였고, 중국인이 가장 적게 소유하였다. 스커트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소유하였고, 중국인이 가장 적게 소유하였으며, 자켓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소유하였고, 중국인이 가장 적게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복 종류 중 블라우스는 필리핀인과 중국인 중 일부에게서 소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지, 스커트, 자켓을 소유하지 않은 중국인과 치마를 소유하지 않은 한국인 가정이 있었고, 필리핀인은 블라우스 외에는 모든 종류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조사 대상자의 의복 종류별 소유 개수

 아열대 기후지역 사람들은 속옷을 주로 입지 않고 자란 습관으로 인해 외의 착의량을 증가시켜 보온하는 착의 습관15)이 있다. 이는 필리핀인의 의복소유 개수가 5벌 이상 소유가 많은 결과가 자국의 아열대성 기후에 비해 기온이 낮은 한국 기후 적응을 위해 착의량이 많아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의 소유 개수가 많은 것은 스커트의 하향 개구를 통해 방열량을 증대시키기 위한16) 착의습관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중국인은 블라우스 소유 개수가 5벌 이상이 25.3%인에 비해 바지와 스커트의 소유 개수가 5벌 이상인 결과는 54.4%, 32.9%로 바지와 스커트와 같은 하의류의 소유수가 가장 많다는 연구 결과17,18)와 일치한다.

15) 이윤정, op. cit., (2010), p. 408.
16) 조길수, 의복과 환경, (서울: 동서문화원, 2009), p. 28.
17) 류숙희, op. cit., (2003), pp. 4-5.
18) 서용숙, 조필교, 구은영, op. cit., (1997), p. 153.

2)의복 종류별 년간 구매 빈도

 다문화 가정 국가와 한국 가정의 의복 종류에 따른 년간 구매 빈도 결과는〈표 3〉과 같다. 의복 종류에 따른 년간 구매 빈도는 모든 의복의 종류에서 국가별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표 3> 조사 대상자의 의복 종류별 년간 구매 빈도

필리핀인은 모든 의복의 구매 빈도가 1달에 한번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다른 나라보다 많이 나타나 의복의 구매가 잦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은 1년에 1번이 다른 나라보다 많이 나타나 의복의 구매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리핀인의 의복 구매가 6개월에 한번이 가장 많은데 비해, 중국인은 내의, 블라우스, 바지와 같은 품목은 2~3개월에 한번 구매를 많이 하였고, 스커트와 자켓은 1년에 한번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은 내의, 바지, 스커트는 2~3개월에 한번 구매를 많이하고 블라우스와 자켓은 6개월에 한번 구매를 많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켓을 제외한 의복 구매 빈도는 중국인은 2~3개월에 한번 구매가 많았으며, 이는 선행 연구19)에서 다문화 가정 여성이 계절이 바뀔 때 주로 의복구매가 이루어진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필리핀인은 6개월에 한번 구매가 많았으며, 이는 한국은 2~3개월을 주기로 계절이 바뀌고 있으나, 필리핀인은 일 년을 봄과 여름, 가을과 겨울의 2 계절로 인식하여 6개월에 한 번 구입하는 빈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필리핀인들이 자국 기후와 비교하여 내한성과 한랭반응이 계절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며, 한랭통증이 내한성과 계절 및 연령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20)와 유사하였다.

19) 이윤정, op. cit., (2010), p. 408.
20) 이원자, “손의 한랭자극이 인체생리반응과 의복의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2권 2호(2004), p. 90.

3)의복 종류별 구매 비용

 다문화 가정 국가와 한국 가정의 의복 종류에 따른 1회 평균 구매 비용 결과는〈표 4〉와 같다. 의복 종류에 따른 1회 평균 구매 비용은 모든 의복의 종류에서 국가별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필리핀인은 모든 의류를 10,000원 이하의 비용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다른 나라보다 많았고, 한국인은 100,000원 이상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중국인은 자켓은 50,000~100,000원에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 외의 품목은 10,000~30,000원의 비용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한국인은 내의는 10,000~30,000원, 블라우스, 바지, 스커트는 30,000~50,000원, 자켓은 100,000원 이상의 비용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표 4> 조사 대상자의 의복 종류별 1회 평균 구매 비용

 한국 가정의 의류 구입 비용은 의복 종류별 시장단가21)인 내의 12,000원 블라우스 39,000원, 바지 37,000원, 스커트 44,000원, 자켓 80,000원와 일치하며, 필리핀인과 중국인은 내의류 외의 의복은 이에 비해 낮은 가격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구별 소득 수준에 따라 구매 비용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주관적 사회계층의 분포는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이 비슷하였으나,〈표 1〉 결과에 의거한 실제 수입은 다문화 가정의 월수입은 200만원 이하가 69.5%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한국 가정은 20.5%로 나타난 경제적인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소득별 구입 비용의 차이는 비교적 저가인 내의류의 의류에서는 크게 나타나지는 않은 반면, 고가의 의류일수록 그 격차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중국인은 자켓구매 비용에서 다른 의복 종류에 비해 현저히 높은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자켓 소유 개수가 적게 나타났던 결과는 중국인은 자켓을 소량 소유하여도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고 구매한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선행 연구22) 결과와 일치하였고, 유행과 디자인, 품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23)와도 유사하였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소득증대와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이는 중국인의 최근 트랜드 조사 결과24)와 일치하며, 가격보다는 브랜드와 디자인을 중시하는 경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21)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5년 의류소비실태조사보고서, (서울: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6), p. 32.
22) 유혜경, “중국 의류소비자 특성 고찰,” 복식 22권 2호 (1998), pp. 233-240.
23) 박진영, 손희순, “중국 상해지역 여대생의 진 팬츠 실태와 구매 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14권 3호 (2006), p. 129.
24) 섬유패션산업연합회, 섬유패션산업동향 11권 4호 (서울: 섬유패션산업연합회, 2011), pp. 26-27.

2.섬유 선호도와 구매 이유에 따른 세탁 방법

1)의복 종류별 선호 섬유와 구매 이유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의 의복 종류에 따른 선호 섬유 결과는〈표 5〉와 같고, 의복 종류에 따른 선호 섬유는 블라우스, 자켓의 선호 섬유는 국가별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그 외의 품목은 국가별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내의는 면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바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필리핀인과 한국인은 혼방섬유, 중국은 면과 천연섬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커트는 면 외의 천연섬유(마, 모, 견)을 선호하였으며, 합성섬유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블라우스로 필리핀인은 면 섬유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나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인과 한국인은 면외의 천연섬유(마, 모, 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켓은 모든 나라가 면 외의 천연섬유(마, 모, 견)와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방제품을 선호하였다.

<표 5> 조사 대상자의 의복 종류별 선호 섬유

 더운 아열대 기후에서 생활하던 필리핀인이 면섬유 선호가 다른 나라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켓의 선호 섬유로 면 외의 천연섬유(마, 모, 견)와 합성섬유 혼방제품을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봄, 여름에는 면섬유 선호 비율이 높고, 가을, 겨울에는 합성섬유 선호비율이 높으며, 울섬유 혼용 비율이 높다는 통계 결과25)와 유사하다.

25) 한국섬유산업연합회, op. cit., (2005), p. 63.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의 의복 종류에 따른 선호 섬유 선택이유는〈표 6〉과 같고, 의복 종류에 따른 선호 섬유 선택 이유는 모든 의복의 종류에서 국가별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표 6> 조사 대상자의 의복 종류별 선호 섬유의 구매 이유

내의로 선호 섬유를 선택한 이유는 모든 나라가 건강을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하였고,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는 필리핀인과 한국인은 가격이었으며, 중국인은 세탁성이었다. 블라우스로 선호 섬유를 선택한 이유는 모든 나라가 아름다움을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하였으며,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는 필리핀인과 한국인은 가격이었으며, 중국인은 세탁성이었다. 바지로 선호 섬유를 선택한 이유는 필리핀인과 한국인은 세탁성, 중국인은 아름다움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나라에서 가격이 낮게 나타났다. 스커트의 선호 섬유를 선택한 이유는 모든 나라가 아름다움이 높게 나타났고, 가격이 낮게 나타났다. 자켓의 선호 섬유를 택한 이유는 모든 나라가 아름다움이었으며, 필리핀인과 한국인은 가격, 중국인은 세탁성이라는 응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세탁 방법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의 의류 세탁 방법은〈표 7〉과 같다. 필리핀인의 세탁 방법은 색상 및 섬유 종류의 구분 없이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29.2%), 색상 구분만 하여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26.4%),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와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여 세탁한다(23.6%),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20.8%)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의 세탁 방법은 색상과 섬유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와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여 세탁한다(32.9%),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27.8%), 색상 구분만하여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21.5%), 색상 및 섬유 종류의 구분 없이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13.9%), 손빨래한다(3.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정의 세탁 방법은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와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여 세탁한다(74.8%),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한다(9.3%), 색상 구분만 하여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한다(7.5%), 색상 및 섬유 종류의 구분 없이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다(5.6%),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여 세탁한다(2.8%) 순으로 나타났다.

<표 7> 조사 대상자의 세탁 방법 N(col.%)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 모두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와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한국 가정이 74.8%로 나타난 것에 비해 필리핀 가정이 23.6%, 중국 가정은 32.9%로 나타났고. 가정용 세탁기만 사용하는 경우가 한국 가정은 21.4%인데 비해 필리핀인은 76.4%, 중국인은 63.2%로 많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세탁 방법의 차이는 각 나라의 세탁에 대한 문화적 차이와 소득의 차이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3)선호 섬유 구매 이유와 세탁 방법

 선호 섬유 구매시 세탁성을 이유로 구매한 사람들의 세탁 방법은〈표 8〉과 같았다. 세탁성을 이유로 구매한 다문화 가정은 색상 및 섬유 종류의 구분없이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가정은 색상과 섬유 종류를 구분하여 세탁기와 전문 세탁소를 이용하여 세탁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의 세탁 관리는 주로 가정에서 세탁기를 사용하여 관리를 하였고, 색상과 섬유의 구분 없이 세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세탁성 구매 이유 선택자의 세탁 방법

Ⅳ.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가정을 구성하는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의생활에 대한 연구를 위해 2010년 6월 15일에서 9월 14일까지 서울과 충남지역의 필리핀 여성 72명과 중국 여성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와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을 시행하였다. 다문화 가정 151부과 한국 가정 107부로 총 258부 자료의 의복 종류별 소유 개수, 구입 빈도, 구입 가격에 따른 사용 실태와 섬유 선호도와 세탁방법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리핀인은 의복 종류별 의복의 소유 개수 5개 이상인 사람이 많았으며, 블라우스는 1달에 한번, 그 외의 의복은 6개월에 한 번 구매하였으며, 구매 비용은 10,000~30,000원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은 의복 종류별 소유 개수가 1~2개인 사람이 많았으며, 자켓은 6개월에 한 번, 그 외의 의복은 2~3개월에 한 번씩 구매하고, 구매 비용은 자켓은 50,000~100,000원, 그 외는 10,000~30,000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의 섬유 선호도 조사 결과, 내의는 건강을 이유로 면섬유를 선호하였고, 블라우스는 아름다움을 이유로 천연섬유를 선호하였으며, 스커트와 자켓은 아름다움을 이유로 면외의 천연섬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는 필리핀인은 세탁성을 이유로 혼방섬유를 선호하였고, 중국인은 아름다움을 이유로 천연섬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의 세탁 관리법에 관한 연구결과는 주로 가정용 세탁기를 사용해 가정에서 세탁하였고, 세탁성을 고려한 의복 구매 후 관리는 색상과 섬유의 구분 없이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은 자국에서 의복 착의 습관이 의복 소유 개수나 선호 섬유 등의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 가정이 한국 가정보다 낮은 소득 수준으로 외의류 구매시 저렴한 가격을 선호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의류 세탁은 가정에서 색상과 섬유의 구분 없이 세탁하고, 전문세탁소의 이용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

1.권재일, 서덕희, 서현정, 이태주, 조용환, 한건수, 한경구, 한상준, 황병하 (2008). 다문화 사회의 이해 . 파주: 유네스코 아시아.
2.김선경, 이희선, 김종배 (1998). “유아외출복 구매자의 조성섬유 선호집단별 차이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6권 1호.
3.김승욱 (2009). 다문화 콘서트 . 파주: 법문사.
4.김정미, 이난희 (2009). “대구지역의 다문화 가정 이주 여성의 식생활 실태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5권 4호.
5.마르코 마르티엘로 (2002).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윤진 역. 서울: 한울.
6.박진영, 손희순 (2006). “중국 상해지역 여대생의 진팬츠 실태와 구매 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14권 3호.
7.보건복지부 (2009). 다문화가족 관련 통계 . 서울: 보건복지부.
8.류숙희 (2003).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른 의복 구매성향 및 의복 사용 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11권 2호.
9.서용숙, 조필교, 구은영 (1997). “의복소비 및 활용 실태 분석.” 복식문화연구 5권 2호.
10.섬유패션산업연합회 (2011). 섬유패션산업동향 11권 4호. 서울: 섬유패션산업연합회.
11.유혜경 (1998). “중국 의류소비자 특성 고찰.” 복식 22권 2호.
12.이동영 (2009년 8월 6일). “외국인 주민 100만 돌파 色다른 시대, 多문화한국.” 동아일보 .
13.이윤정 (2010). “다문화 가정 여성의 의생활착의 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권 3호.
14.이원자 (2004). “손의 한랭자극이 인체생리반응과 의복의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2권 2호.
15.조길수 (2009). 의복과 환경 . 서울: 동서문화원.
16.한국사회문제연구원 (2009). 다문화가족 정책세미나 자료집 . 고양: (주)디프넷.
17.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6). 2005년 의류소비실태조사보고서 . 서울: 한국섬유산업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