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acteristics and Texture of Sight and Touch on the Tactile Preferences for the Black Fabrics
Abstract
- 01(9)_논문 09.pdf351.5KB
Ⅰ. 서 론
최근 소비자들의 끊임없는 기호의 변화는 생산업체에게 다변화되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인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다양화하고 차별화시키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되는 의류 제품을 생산하는 패션산업에서도 이러한 요구가 반영되어 소비자의 감성을 고려한 제품 개발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의류 제품은 대량 생산과 유행 스타일로 인하여 유사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나, 패션 소재와 컬러로 인하여 의류제품의 차별화와 특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다양한 제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블랙 컬러는 산업혁명 이후의 거의 모든 디자인 분야에서 기본적인 색상으로 정착하였다.1) 실제로 블랙 패션은 현대에 있어서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인정받고 있어 국내외의 패션산업체에서 블랙 컬러를 기본으로 패션 상품 기획을 하고 있으며, 계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블랙 컬러의 옷은 항상 기본 아이템으로 존재하고 있다.2) 이러한 블랙 컬러는 오랫동안 죽음이나 슬픔 등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컬러로 인식되기도 하였으나, 현대에 와서는 20~30대 젊은 여성들이 선호하는 컬러이면서 동시에 가장 많이 구입하는 의복 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3)
1) 송금옥, “패션색채계획을 위한 검정색의 색채특성”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p. 1.
2) 신은진, “블랙 패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p. 1.
3) 이지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컬러 선호도: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p. 35.
패션 소재에서 느껴지는 감각은 동일한 컬러라고 하더라도 질감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유채색에 비해 무채색인 블랙 컬러는 빛의 반사 정도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어, 물체 표면의 질감을 강조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4) 패션 소재의 질감을 경험한다는 것은 빛에 의한 반사, 투과, 흡수, 굴절 등의 물리적인 과정을 거쳐서 눈에 도달되는 시감각과 손으로 만져서 느껴지는 촉감이 결합된 공감각으로서 경험되는 것이다.5) 특히 패션에서의 블랙 컬러는 서로 다른 재질에서 빛 반사 현상으로 인해 효과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질감의 블랙 컬러 소재는 더욱 빛나 보이고, 광택이 없는 질감의 블랙 컬러 소재는 더욱 차분하게 가라앉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6)
4) 송금옥, op. cit., p. 10.
5) 염하림, “Texture의 대비조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터킹(Tucking)기법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pp. 4-5.
6) Ibid, p. 7.
이처럼 패션 소재에서 질감은 재질이나 표면 구조 등에 의해 생기는 표면 시지각의 속성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손으로 만지는 감각을 말하지만, 촉각적 경험의 시각적 전이로 더욱 효과적으로 질감을 지각하기도 한다.7) 그런데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시각적, 촉각적 질감의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8)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패션 소재의 질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신혜원 외(1999)9)에 의하면 인조피혁이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유연하고 거칠지 않으며 신축성이 있을수록 촉감이 좋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들은 고급스러우며 싸구려 같지 않고 촉감이 좋으며 부드러운 인조피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춘정 외(1999)10)는 넥타이 직물의 태로서 표면 특성, 온냉감, 유연성, 건조감 등의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표면 특성과 온냉감은 넥타이의 감성 표현을 표현하는 중요한 태라고 할 수 있으며, 견직물의 전통적인 느낌인 유연하고 매끄러운 태가 넥타이 소재로서 선호되었다고 하였다. 고수경 외(2003)11)는 방모 직물의 질감 이미지의 주관적 감각 측정 결과, 클래식, 엘레강스, 따뜻함, 내추럴, 캐주얼의 다섯가지 구성요인이 도출되었고, 구조적 특성에 따라 방모직물의 질감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감각 평가를 위한 촉감각 및 시감각 측정 방법에 따른 질감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촉감각 측정에 의한 평가가 시감각 측정에 의한 평가보다 좀 더 소극적이었으나 두 방법이 비슷한 추이를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노의경 외(2005)12)는 신축감과 드레이프성 및 강연감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춘하 남성용 수트의 역학적 평가와 시각적 질감 이미지 평가가 일치하게 나타나서 무점포 판매에 있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시각적 질감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추선형 외(2002)13)는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와 질감을 전달하는 패션 소재를 중심으로 소재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를 하였는데, 패션 소재 이미지는 우아한, 편안한, 개성적인, 가벼운, 단순한 등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고 하였다. 즉, 우아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변인은 광택, 두께, 밀도로 광택이 있고 얇으며 성근 소재가 우아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안한 이미지는 광택과 밀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광택이 없으며 촘촘한 소재가 편안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또한 소재의 광택, 요철, 밀도는 개성적 이미지와 관련있는 변인으로 나타나 광택이 있고 성근 소재는 개성적 이미지를 나타내었고, 가벼운 이미지는 두께와 밀도가 관련되어 성근 소재일수록 가벼운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며, 단순한 이미지는 광택, 요철, 밀도가 영향을 미쳐 광택이 있고 평평하고 촘촘한 소재가 단순한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7) 노의경, 유효선,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감성과학 8권 2호 (2005), p. 118.
8) 김미지자, “Texture와 Colour Coordination의 감성공학적 Technology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p. 149.
9) 신혜원, 이정순, “인조피혁의 촉감 및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3권 4호 (1999), pp. 541-550.
10) 김춘정, 나영주, “견직물의 태와 감성 차원의 이미지 스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권 6호 (1999), pp. 898-908.
11) 고수경, 유신정, 김은애, “의류소재의 물성이 소재의 이미지 및 감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DB구축(제1보): 방모 직물의 구조 특성에 따른 질감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7권 5호 (2003), pp. 533-544.
12) 노의경, 유효선, op. cit., pp. 117-128.
13) 추선형, 김영인, “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권 2호 (2002), pp. 193-20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직물의 색상과 색조 등의 색채 특성 및 광택, 요철, 두께, 밀도 등의 구조적 특성이 패션 소재의 질감 및 시각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블랙 컬러 소재에 대한 연구로는 현대 패션에서 블랙 컬러가 적용된 패션 소재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한 블랙 컬러 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14) 블랙 페티시 패션의 조형성15) 및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 드레스의 이미지16) 등의 연구에서 블랙 의상에 사용된 소재의 특성에 따라 블랙 패션 소재를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있으나, 다양한 질감의 블랙 패션 소재에 대해서 주관적인 감각을 평가하고, 이를 구조적 특성 및 색채 특성과의 관련성을 규명한 예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 특성 및 촉감 선호도에 기초한 소재 기획 및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특성의 블랙 패션 소재에 대한 시촉각적인 질감을 규명하고, 둘째,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 특성이 시촉각적인 질감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며, 셋째, 이들 특성이 블랙 패션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14) 곽혜선, 금기숙,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권 (1998), pp. 231-252.
15) 이민경, 한명숙, “블랙 페티시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권 2호 (1999), pp. 323-333.
16) 김기례, 채금석,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8호 (2004), pp. 1076-1087.
Ⅱ. 연구방법
1.블랙 패션 소재 특성
본 연구의 자극물은 패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블랙 패션 소재를 선행 연구17)에서와 같이 9종의 자극물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극물로 사용된 패션 소재를 살펴보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된 오간자와 쉬폰, 수자직으로 제직된 새틴, 크레이프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된 조젯, 파일직의 벨벳, 편성물인 저지 소재를 포함하여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 혼방의 레이스, 방모사와 폴리에스테르등으로 구성된 능직의 맬턴 및 인조가죽 등이었다. 촉감 평가에 가능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레이스를 제외한 모든 소재는 무늬 없는 소재를 선정하였다. 소재의 구성 특성에 속하는 변수들은 꼬임, 조직, 혼용률, 가공 등의 질적 변수와 무게, 두께, 밀도와 같은 양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양적 변수가 사용되고 있는데, 측정이 용이한 양적 변수가 구성 특성의 변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구조적 특성의 소재를 사용하였으므로 이들 소재가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무게와 두께 등 양적 변수를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은〈표 1〉과 같다.
<표 1>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
17) 김여원, 최종명,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색채감성과 선호도,” 감성과학 13권 2호 (2010), pp. 337-346.
18) 노의경, 유효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소재의 구성특성, 질감 및 감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모형 (제1보): 추동 여성 자켓용 소재의 무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권 8호 (2007), p. 1242.
2.시촉각적 질감 및 촉감 선호도 평가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을 평가하기 위해서 선행 연구(배현주, 김은애, 200319); 노의경, 유효선, 200720); 김희숙, 나미희, 200921))에서 감각평가를 위해 사용된 용어를 수집하여 같은 의미의 용어를 제외한 17개의 감각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촉감 선호도를 묻는 문항을 추가하였다. 평가 설문지는 7점의 의미미분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평가 설문지에 제시된 용어 쌍(매끄럽지 않다-매끄럽다)에 대하여 왼쪽의 용어(매우 그렇지 않다)에 해당하면 1점, 오른쪽 용어(매우 그렇다)에 해당하면 7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방법은 선행 연구22)와 동일하게 남자 대학생 63명과 여자 대학생 62명이 햇빛이 들지 않도록 차단된 실험실의 형광등 하에서 제시한 회색종이 위에 부착된 블랙 패션 소재를 보고 만지면서 시촉각적 질감 및 촉감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19) 배현주, 김은애, “남성 정장용 양모 직물의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7권 11호 (2003), pp. 1318-1329.
20) 노의경, 유효선, op. cit., pp. 1240-1251.
21) 김희숙, 나미희, “견직물의 구조적특성에 따른 질감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8권 1호 (2009), pp.137-143.
22) 김여원, 최종명, op. cit., p. 341.
3.자료 분석
조사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서 주성분 분석과 직교회전(Varimax)방식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된 요인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구하였다. 패션 소재의 종류에 따른 시촉각적 질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색채 특성 및 시촉각적 질감 요인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 요인
1)요인분석 결과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감각 평가 용어 17개에 대한 주관적 평가 결과를 가지고 주성분 분석과 직교회전 방식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표 2〉와 같다.〈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은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요인의 총 설명력은 62.86%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요인의 Cronbach's α값은 0.67~0.86으로 나타나서 측정내용의 신뢰도가 수용할 만한 범위에 있었다.
<표 2> 블랙 컬러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 요인분석 결과
요인 1은 매끄럽다, 평평하다, 오톨도톨하다(R), 광택이 있다, 거칠다(R) 등 직물의 표면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형용사가 포함되어 있어, ‘평활감’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블랙 패션 소재의 ‘평활감’은 시촉각적 질감의 20.75%를 설명하고 있어 다른 시촉각적 질감에 비해 가장 중요시 되는 감각임을 알 수 있었다. 요인 2는 두껍다, 푹신하다, 무겁다, 촘촘하다와 같은 무게와 두께와 관련된 형용사로 구성되어 ‘부피감’으로 명명하였으며, 17.4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인 3은 늘어난다, 신축성 있다 등과 같은 잘 늘어나는 성질과 관련된 형용사로 구성되어 ‘신축감’이라고 명명하였고, 13.46%를 설명하였다. 요인 4는 딱딱하고 뻣뻣한 느낌과 연관된 형용사를 포함하고 있어 ‘강경감’이라고 명명하였으며, 11.1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 요인은 남성 정장용 양모직물의 감각 요인을 분석한 연구(배현주, 김은애, 2003)23)와 남성 수트의 시각적 질감 요인을 분석한 연구(노의경, 유효선, 2005)24)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소재의 평활감과 강연감은 이들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과 동일한 요인으로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을 나타내는 중요한 감각임을 알 수 있었다.
23) 배현주, 김은애, op. cit., p. 1321.
24) 노의경, 유효선, op. cit., p. 120.
2)블랙 패션 소재별 시촉각적 질감 차이
블랙 패션 소재별 시촉각적 질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표 3〉과 같다.〈표 3〉에서와 같이 블랙 패션 소재의 종류에 따라 시촉각적 질감은 다르게 나타났다. 평활감이 큰 패션 소재는 벨벳, 새틴 소재라고 평가하였으나, 쉬폰, 레이스, 멜턴은 평활하지 않다고 평가하였으며, 시각적인 부피감을 잘 표현하는 소재로는 벨벳과 인조가죽이라고 평가한 반면, 레이스, 쉬폰, 오간자 등은 시각적 부피감이 낮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신축감이 큰 패션 소재로는 저지와 레이스라고 평가하였고, 쉬폰은 신축감이 적은 소재라고 평가하였다. 한편, 멜턴과 인조가죽은 강경한 소재라고 평가하였으나, 저지는 유연한 소재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오간자, 쉬폰, 조젯은 평활하지 않고 부피감이 적으나 강경한 소재, 레이스는 평활하지 않고 부피감이 적으며,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 새틴, 저지, 벨벳은 평활하면서 유연한 소재, 인조가죽과 멜턴은 평활하면서 부피감이 큰 강경한 소재로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평활감과 부피감이 크다고 평가된 패션 소재는 새틴과 벨벳, 인조가죽 등 광택 있는 소재로 나타났으므로 광택은 평활감과 부피감과 같은 주관적 감각을 느끼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 블랙 패션 소재별 시촉각적 질감 차이
2.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간의 관계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색채 특성이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표 4). 그 결과 이들 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 간의 상관계수
먼저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활감을 제외한 블랙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은 구조적 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부피감은 두께와 무게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블랙 패션 소재의 두께가 두껍고 무게가 무거울수록 시각적인 부피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신축감은 두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얇은 소재에 비해 두꺼울수록 신축성이 있다고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강경감은 두께 및 무게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두껍고 무거운 소재일수록 강경한 질감을 표현한다고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블랙 패션 소재의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은 많은 부분에서 유의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시촉각적 질감 요인인 ‘평활감’은 소재의 색채 특성 중에서 L*, b*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a*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블랙 패션 소재의 명도가 낮고 청색기가 많으며 적색기미를 보이는 블랙 소재일수록 평활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피감은 L*, b*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명도가 낮고 청색기가 많을수록 부피감이 커지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한편, 신축감은 모든 색채 특성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L*, b*와 부적 상관관계를, a*, C*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명도가 낮고 청색기를 보이거나 적색 기미를 보이고 선명한 블랙 컬러일수록 신축감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강경감은 L*, b*와 정적 상관관계를, a*, C*와는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명도가 높아 밝고 노랑기미가 보이며 녹색기가 많고 선명하지 않은 블랙 컬러일수록 소재의 강경감이 크게 느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색채 특성은 시촉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이 촉감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블랙 패션 소재 촉감선호도를 종속변수로, 소재의 구조적 특성인 무게와 두께, 색채 특성인 CIE L*, a*, b*, C*값, 시촉각적 질감 요인을 설명변수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는〈표 5〉와 같다.〈표 5〉에서 b는 회귀계수를 나타내며, β는 회귀모형에서 해당 독립변수에 의하여 설명되는 종속변수의 설명력을 의미하는데, t-값을 통해 회귀계수들이 p<0.05 수준에서 유의함을 알 수 있다. 즉, 촉감 선호도 회귀식은 각 설명변수의 t-값과 F값으로 미루어 볼 때, 회귀모델 및 계수의 적합성이 인정되며, 수정 결정계수(adjusted R2)값으로도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잔차의 독립성에 관련되는 Durbin-Watson값이 2에 가까우므로 회귀식의 설명변수가 적합하게 선택되었다고 생각된다.
<표 5>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랙 패션 소재의 평활감, 강경감, 부피감, 두께, 무게 및 b*값의 촉감선호도를 42%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평활감, 강경감, 부피감 등의 시질감 요인이 블랙 패션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색채 특성 중에서는 유일하게 b*값만이 촉감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은 제시된 9종의 블랙 패션 소재의 종합적인 촉감 선호도는 소재 표면이 평활하고 시각적 부피감을 느끼며, 무게가 가볍고 부드러움을 느낄수록 그리고 두께가 얇고 청색기미를 보이는 블랙 컬러일수록 촉감을 좋게 평가하며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블랙 패션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는 시촉각적 질감, 구조적 특성 및 색채 특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블랙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대한 구조적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으로 추정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촉감 선호도=1.07+1.04×(평활감)+ -0.30×(강경감)+0.33×(부피감)+ -3.28×(두께)+ -0.35×(b*)+0.01×(무게)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이들 특성이 블랙 패션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9종의 블랙 패션 소재의 시촉각적 질감을 평가한 결과, 평활감, 부피감, 신축감, 강경감 등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블랙 패션소재별 시촉각적 질감은 소재별 차이가 있어 벨벳과 새틴은 평활한 소재로 평가되었고, 벨벳과 인조가죽은 시각적인 부피감을 표현하는 소재이었으며, 저지와 레이스는 신축성 소재, 멜턴과 인조가죽은 강경한 소재로 평가되었다.
둘째, 블랙 패션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 요인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어 두께가 얇고 무거울수록 부피감 있는 소재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얇고 가벼울수록 강경감 있는 소재로 평가하였다. 또한 블랙 패션 소재의 색채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 요인 간에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는데, 특히 명도와 관련있는 L*과 황-청색 관련 변인인 b*요인이 관련성이 더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요인 중에서 촉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평활감, 부피감, 신축감, 무게, 두께, b*값으로 나타나서 블랙 패션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는 시촉각적 질감, 구조적 특성 및 색채 특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블랙 패션 소재를 이용한 패션상품 개발시 소재 기획을 의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2.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권.
3.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8호.
4.김미지자 (1996). “Texture와 Colour Coordination의 감성공학적 Technology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김여원, 최종명 (2010). “블랙 컬러 패션 소재의 색채감성과 선호도.” 감성과학 13권 2호.
6.김춘정, 나영주 (1999). “견직물의 태와 감성 차원의 이미지 스케일에 관한 연구: 넥타이용 직물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권 6호.
7.김희숙, 나미희 (2009). “견직물의 구조적특성에 따른 질감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8권 1호.
8.노의경, 유효선 (2005). “남성 수트 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감성과학 8권 2호.
9.노의경, 유효선 (2007).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소재의 구성특성 및 질감 및 감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모형 (제1보): 추동 여성 자켓용 소재의 무게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권 8호.
10.배현주, 김은애 (2003). “남성 정장용 양모 직물의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7권 11호.
11.송금옥 (2000). “패션색채계획을 위한 검정색의 색채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신은진 (2006). “블랙 패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신혜원, 이정순 (1999). “인조피혁의 촉감 및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3권 4호.
14.염하림 (2003). “Texture의 대비조화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터킹(Tucking)기법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이민경, 한명숙 (1999). “블랙 페티시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권 2호.
16.이지윤 (2003).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컬러선호도.”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추선형, 김영인 (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권 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