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폴리쉬 사용으로 인한 네일 변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il Discoloration of the Polish
Abstract
- 01(6)_논문 06.pdf1.68MB
Ⅰ. 서 론
1.연구 목적 및 의의
오늘날 산업 발달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이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와 욕구는 더욱 확대되고 다양 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용 산업의 환경은 급변 하고 있으며, 세분화, 전문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이에 편승하여 네일 아트의 관심은 더욱 고조 되고 있으며, 3,000여 개 이상의 네일샵과 9,000여 명 이상의 네일 종사자, 3,600억 원대의 규모의 네 일 아트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네일리스트 란 직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매력적인 직업 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
1) 김경희, 김주덕, “네일 관리에 대한 인식 및 네일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권 1호(2008), p. 2.
이러한 네일 아트의 급속한 성장은 다양한 표현방법을 등장시켰으며, 다양한 재료와 표현 도구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큐티클 정리, 칼라링 등 기본관리뿐만 아니라 페인팅, 인조팁 등 다양한 기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이에 따라 폭넓은 폴리쉬 색상이 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개성 표출하는 방법으로 의상, 악세서리와 함께 토탈 패션의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3)
2) 이영숙, 박영선, “네일 아트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권 2호 (2009), p. 686.
3) 정해량, 고정민, “네일 디자인표현기법과 작품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권 1호. (2008), p. 54.
또한 좀 더 강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큐티클 정리, 영양 관리보다는 표현 효과에 더욱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폴리쉬는 약 12%의 nitrocellulose,5% n-butyl phthalate, 5% arylsulfonamideformaldehyderesin, 1~3% camphor, 1~2% pigment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solvent는 35% toluene, 40% butyl acetate, 15% ethyl acetate, 10% ethanol로 구성되어 있다.4) 이와 같이 화학적인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폴리쉬 사용은 네일이 손상되고 변형되는 부작용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4) H. Sylvon, Newburger.. “Analysis of Nail Lacquers,” Research Journal of Cosmetic Vol. 5 (1975), p. 31.
또한 네일은 단단하여 외부에 대한 저항성은 크지만 피부의 각질층에 비하여 수분 증발을 막고 흡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지질(lipids)이 적으므로 수분 손실이 크고 수용성 물질의 흡수가 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쉬는 이러한 네일의 표면을 덮음으로써 수분 공급 부족에 따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구성성분이 자극피부염, 네일 변색, 네일 주위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등 일으키기도 한다.5)
5) 김도원, 백승혜, “Nail Lacquer가 Transonychial Water Loss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과학회지 15권 1호 (1997), p. 82.
본 연구는 폴리쉬 사용으로 인한 네일 변색에 대하여 실험, 연구하여 네일 아트 분야의 학문적 근거를 마련하고, 네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서비스 개발과 건강하고 아름다운 네일 아트디자인 상품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2.연구 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그림 1〉과 같은 절차를 거쳐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림 1> 연구 프로세스.
1)실험 대상 및 방법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3일부터 8월 28일까지 6개월에 걸쳐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흰색, 베이지, 핑크계열의 밝은 색 폴리쉬 사용 군과 자주, 파랑, 검정계열의 어두운 색 폴리쉬 사용 군으로 나누고, 현재 변색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베이스코트를 바른 그룹과 바르지 않은 그룹, 영양제를 바른 그룹과 바르지 않은 그룹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회 실험하고 1주일 후에 리무버로 지운 후 디지털 카메라로 접사 촬영을 하여 네일 변색 정도를 24주 동안 관찰하였다.
2)실험 절차
밝은 색과 어두운 색 폴리쉬를〈표 1〉과 같은 방법으로 네 가지 사례로 분류하여 바르고, 1주일 후 리무버로 지운 후 네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리무버의 색상과 성분에 따라 네일의 색상이 일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네일을 세척하고, 5시간 이상 지난 후 변화 과정을 측정 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접사 촬영하였다. 실험도구로 사용된 폴리쉬 색상은 색상, 명도, 채도가 각기 다른 색채를 이용하였으며, 먼셀 색체계(Munsell Color System)에 따라 표기하였다.6)
6) 문은배, 색채의 이해와 활용, (서울: 안그라픽스 2005), pp. 320-324.
<표 1> 실험 방법
<표 2> 먼셀 색체계에 따른 폴리쉬 색상
Ⅱ. 이론적 배경
1.네일의 구조
네일은 피부의 일부로서 케라틴(각질)과 탄소, 질소, 수소와 칼슘, 마그네슘, 구리, 망간, 아연, 철 등의 다양한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한 손톱은 표면이 매끄러우며 투명하고 연한 핑크색으로 희미하게 세로줄이 나 있다. 손톱의 유연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7~12%의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7)
7) 김광숙, 김난숙 김자애, 이화순, Nail Care & Art, (서울: 고문사 2000), p. 19.
네일은 자체, 밑, 주위의 피부로 나눌 수 있다(그림 2).
<그림 2> 네일의 구조.
1)네일 자체
네일은 조체, 조근, 자유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체(nail body)는 손톱의 본체로서 조판(nail plate)이라고 하며, 아미노산, 시스테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죽은 각질세포로 구성되어 아랫부분은 연약하며, 윗부분으로 갈수록 강하며 신경이나 혈관이 없으며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조근(nail root)은 손톱이 자라기 시작하는 피부 밑에 묻혀 있는 손톱의 뿌리이며, 손톱의 세포를 생성하는 곳으로 네일 베드의 모세혈관으로부터 산소를 공급받는다. 자유연(free edge)은 손톱의 끝부분으로 조상(nail bed)없이 자라나와 잘라내는 부분이다.
2)네일 밑
손톱 밑은 조상, 조모, 반월로 구성되어 있다. 조상(nail bed)은 조체를 받쳐주는 판으로 손톱의 신진대사와 수분 공급의 역할을 하며, 조모(nail matrix)는 조근 밑에 위치하여 손톱의 각질세포 생성과 성장에 관여하고, 혈관, 신경, 림프관이 있어 손상되면 손톱이 비정상적으로 자란다. 반월(nail lunula)은 하얀 반달모양으로 완전히 케라틴화 되지 않은 미완성된 손톱이다.
3)네일 주위의 피부
손톱 주위의 피부는 조소피, 조주름, 조구, 조벽, 상조피, 조상연, 하조피 등으로 나누어 있다. 조소피(cuticle)는 손톱의 주위를 덮는 피부이며, 미생물과 병균의 침입을 막아주며, 주름(nail fold)은 조근(nail root)이 묻혀 있고, 손톱의 베이스에 피부가 깊이 접혀있는 부분이다. 조구(nail grooves)는 조상의 양 측면에 패인 곳을 말한다. 조벽(nail wall)은 조구 위에 있는 손톱의 양 측면의 피부이며, 상조피(eponychium)는 손톱 베이스에 있는 피부의 가는선이며, 반월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얇은 막의 피부이다. 손톱 전체를 둘러싼 피부의 가장자리 조상연(perionychium)과 박테리아의 침입으로부터 손톱을 보호하는 자유연의 밑부분 하조피(hyponychium)등이 있다.8)
8) 김나영, 이정자, 이미춘, 이미정, 김봉인, 김용선, 황정순, 박춘심, 여영호, 김경미, 김금란, 네일아트, (서울: 광문각, 2007), p. 50.
Ⅲ. 실험 결과 및 분석
1.밝은 색 폴리쉬를 바른 그룹
4가지 실험 방법에 따라 24주 동안 관찰한 결과, 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영양제를 바르지 않고 베이스코트를 바른 대상들은 8주까지 아무 반응이 없었으나, 9주부터 자유연(free edge)이 누렇게 변색이 되기 시작하였고, 17주부터는 하조피(hyponychium)가 변색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영양제와 베이스코트를 모두 바르지 않은 대상들은 8주까지 반응이 없었으며, 9주부터 자유연(free edge) 하조피(hyponychium)가 서서히 변색이 되기 시작하였으며, 12주부터 누렇게 변하였다. 또한 17주부터 자유연(free edge) 하조피(hyponychium)의 변색 부위가 넓게 분포되었고 네일과 주변 피부가 갈라지고 각질이 생겼다.
영양제와 베이스코트를 모두 바른 그룹은 하얗게 변화하였고, 24주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네일과 조구, 조상연 등 주변 피부가 매끈함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영양제를 바르고 베이스코트를 바르지않은 그룹은 처음에는 하얗게 되고 변화가 없다가 17주부터는 자유연(free edge)이 변색되기 시작하였고, 네일과 주변 피부가 갈라지지 않았다(표 3, 4).
<표 3> 색상에 따른 네일 변색 변화(밝은 색 폴리쉬를 바른 그룹)
<표 4> 밝은 색 폴리쉬를 바른 그룹
2.어두운 색 폴리쉬 바른 그룹
영양제를 바르지 않고 베이스코트를 바른 대상들은 8주까지 반응이 없었으며, 9주부터 자유연(free edge)이 변색이 되었으나 폴리쉬 색상은 착색되지않았고, 17주부터 자유연(free edge)의 변색부위가 넓게 분포되었다. 영양제와 베이스코트 모두 바르지 않은 그룹은 3주부터 폴리쉬 색상이 착색되기 시작하였으며, 9주에는 자유연(free edge)과 하조피(hyponychium)가 모두 변색이 되기 시작하였다. 17주부터 착색이 심해졌으며, 자유연(free edge) 하조피(hyponychium)의 변색부위가 넓게 분포되었고, 네일, 조구, 조상연이 갈라지고 각질이 생겼다.
영양제와 베이스코트를 모두 바른 그룹은 8주까지 하얗게 되다가 9주부터 자유연(free edge)이 변색이 되기 시작하였고, 폴리쉬 색상이 착색되지 않았다. 24주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네일과 주변 피부의 각질도 생기지 않았으며 매끈함을 유지하였다.
영양제를 바르고 베이스코트를 바르지 않은 그룹은 8주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9주부터 자유연(free edge)이 변색되기 시작하였고, 17주부터 착색이 되기 시작하였으며, 하조피(hyponihium)의 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표 5, 6).
<표 5> 색상에 따른 네일 변색 변화(어두운 색 폴리쉬 바른 그룹)
<표 6> 어두운 색 폴리쉬 바른 그룹
Ⅳ. 결 론
본 연구는 폴리쉬 사용으로 인한 네일 변색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베이스코트와 영양제 사용여부에 따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밝은 색보다 어두운색의 폴리쉬를 사용할 경우, 착색과 변색이 잘 되었으며, 베이스코트를 발랐을 경우 착색이 늦게 나타났으며, free edge와 hyponychium의변색의 정도가 베이스코트를 바르지 않았을 때보다 약하게 나타났다. 즉, 명도가 낮고 채도가 높은 색상의 폴리쉬가 네일과 주변의 피부를 손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양제와 베이스코트를 모두 발랐을 경우, 착색과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제는 영양공급뿐 아니라 착색과 변색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영양제를 바르지 않고 폴리쉬를 바른 경우, 네일은 물론 하조피(hyponychium), 조구(nail grooves),조상연(perionychium) 등 주위의 피부가 건조해져 갈라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영양제를 바른 네일이 하얗게 변화한 것은 수분, 단백질 등의 성분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베이스코트는 변색 방지에 다소 효과가 있으나, 시간이 경과되면 변색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영양제를 같이 사용할 경우, 변색되는 시기가 늦춰져 변색 방지에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베이스코트에 영양 공급을 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시킨다면 네일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리무버, 폴리쉬, 디자인 재료 등을 네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연구 개발한다면 네일 산업의 발전과 대중화를 가속화 시킬 것이다.
Reference
2.김광숙, 김난숙, 김자애, 이화순 (2000). Nail Care & Art. 서울: 고문사.
3.김광옥 박춘심, 한상윤, 김태영, 하명희, 진미희, 정현화, 권태일, 김수현, 이희숙, 최현숙, 허혜순, 김효연, 박세희 (2007). 네일아트. 서울: 지구문화사.
4.김나영, 이정자, 이미춘, 이미정, 김봉인, 김용선, 황정순, 박춘심, 여영호, 김경미, 김금란 (2007). 네일아트. 서울: 광문각.
5.김도원, 백승혜 (1997). "Nail Lacquer가 Transonychial Water Loss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과 학회지 15권 1호.
6.문은배 (2005) 색채의 이해와 활용. 서울: 안그라픽스.
7.송미영 (2000). Nail Art. 서울: 현문사.
8.이영숙, 박영선 (2009). "네일아트 디자인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권 2호.
9.정해량, 고정민 (2008). "네일 디자인의 표현기법과 작품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권 1호.
10.허순득 (2004).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Nail Art. 서울: 형설출판사.
11.Newburger, Sylvon H. (1975). "Analysis of Nail Lacquers." Research Journal of Cosmetic Vol.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