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7 No.4 pp.353-36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9.27.4.353

A study on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s design through analysis of Jin-Yi Hwang’s Sijos

Yun Ji Kim, Hye Kyung Kim*
Doctoral Course, Dept. of Fash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Fashion Design, Dongduk Women’s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Dongduk Women’s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hestia19@naver.com)
July 8, 2019 August 16, 2019 August 19, 2019

Abstract


These days, costumes of Korean creative dancing performances have been changed to be modernized and to be out of traditional regula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styles were replaced by other props and art devices. In this article, we have applied the emotions expressed in Jin-Yi Hwang’s sijos (Korean traditional poems), to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in modern style. chose three typical sijos from her six pieces, titled “Green mountain is like what I’ve meant”, “To Byeokgyesoo in Cheongsan-ri” and “Dongjibam ginaginbam”. In brief, Jin-Yi Hwang expressed her “everlasting love and emptiness”, “temptative conciliation” and “eager waiting” these three sijos, respectively. The character of Jin-Yi Hwang was shown in many TV soap operas and films, and the costumes were either much modernized, and not accurately based on the sijos she had written. Thus, we designed, made flat sketched, and fabricated three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from the three sijos, listed. We tried to highlight the aesthetic impression and the activeness of the dancing costumes, us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fabrics. Since Korean dance costumes had not yet been inspired from Jin-Yi Hwang’s sijo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fabric items, as well as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and dancers to emphasize Jin-Yi Hwang’s expressed emotions.



황진이 시조 분석을 통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 연구

김 윤 지, 김 혜 경*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과정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문화를 바탕으로 한 공연예술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다양한 장르로의 확장과 전 문적이고 독창적인 공연예술로 성장시키고 있다. 이에 무용예술 또한 급진적인 발 전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한국 창작무용은 주제나 안무 구성, 표현기법, 무용 의상 등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창작무용은 한국의 전통무용을 바탕으로 재 해석하여 연출하는 무용이며, 무대예술 분야의 발전과 어우러져 현대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또한 전통 춤 의 보존과 현대적 계승에 의해 독창적인 무용으로 발전 하고 있으며, 한국무용의 세계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한류문화 트렌드는 K-POP 열풍과 더불어 <대장금, 2003>을 시작으로 <다모, 2003>, <주몽, 2006>, <성 균관 스캔들, 2010>, <해를 품은 달, 2012> 등 2000년 이후 방영된 퓨전사극에 의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퓨전사극의 의상들은 단 아하고 정적인 전통한복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 하여 연출하였다. 그 결과, 전통성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기존 사극에 나타난 의상과는 뚜렷한 차이를 나 타냈으며, 한복 트렌드를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한복 의 아름다운 미를 새롭게 부각시켰다. <황진이, 2006> 는 단아하면서 때로는 화려한 한국무용의 아름다움을 알리는데 큰 효과를 거두었다.

    황진이는 TV 드라마와 영화로 제작이 되어 이미 호평을 받은 주제이다. 드라마 <황진이, 2006>의 복 식은 오방색을 바탕으로 하지만 현대적 색채 감각으 로 새롭게 표현되었고(Sung, 2008), 일반인들에게 한 복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입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 키는 화제의 한복이 되었다(Park, 2008). 영화 <황진 이, 2007>의 복식은 18세기 한국의 전통미에 18세기 서양의 로코코 스타일을 결합시켰다(Park, 2008). 기 존의 사극 영화들과는 달리 고전적인 미와 더불어 현 대적인 세련미까지 더해져 영화 전체의 시각적인 표 현을 강조하며 여인으로서의 황진이를 신선하게 묘사 했다(Lee, 2008). 또, 황진이는 기녀신분이므로 한국 의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연출 이 될 수 있는 좋은 소재이기도 하다. 드라마 <황진 이, 2006>는 장고춤, 검무, 살풀이 등의 한국무용과 한복의 결합으로 단아하고 화려한 한복의 아름다움과 정적인 한국무용을 세계적으로 알리는데 큰 효과를 거두었다.

    따라서 한국 창작무용의 세계화와 현대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퓨전사극의 성공적인 요소들을 접목 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예를 들면 해외 소비자들 에게 호평을 받았던 공연 주제를 바탕으로, 퓨전사극 의 의상처럼 전통의상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진이>를 소재로 한국 창작무용 의상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황진이는 기녀신분이므로 한국무용과 한국의 전통복식, 한국적 패션디자인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연출이 될 수 있는 좋은 소재이 기도 하다. 따라서 황진이의 삶을 함축적으로 표현하 고 있는 시조 중 대표적인 작품 3수를 선택하여 황진 이 시조를 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황진이의 시조 분석을 통한 한국 창작무 용 의상디자인을 위해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정의와 사례 분석, 한국 창작무용의상의 정의와 역할, 한국 창작무용 의상의 구성요소를 논문, 서적, 공연 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은 황진이의 시조 분석을 통해 한국 적 패션 디자인과 드라마 <황진이>, 영화 <황진이> 작품을 응용하여 창작하였다. 각 시조마다 다른 아이 템, 소재,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황진이의 시조에 나타 나는 함축적 의미를 한국 창작무용 의상 작품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황진이 시조를 분석한 이 론적 연구를 활용하여 작품 제작을 통해 한국 창작무 용 의상디자인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줄 수 있는 시각 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으며, 독창적인 한국 창작 무용 의상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더 나아 가 한국의 전통과 전통복식의 독창성을 알리면서, 한 류문화 트렌드에 맞는 한국 창작무용 의상을 창작하 는데 의의가 있으며, 한국 창작무용 의상의 발전에 기 여하고자 한다.

    Ⅱ. Backgrounds

    1. Korea fashion design definition and case analysis

    일반적으로 ‘한국적’이라는 것은 한국의 문화적 특 징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한국이 라는 나라의 특성을 보여주는 모든 것에 붙을 수 있는 수식어라고 할 수 있다(Eum, 2011).

    한국적 디자인은 가시적인 조형요소들보다 근원적 인 한국적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것과 문화에 대한 가 치관이 반영된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옛것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성과 대중성 즉 지 금 현재 대중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서 생활 속에 녹아 있으며, 세계적인 보편성이 가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Shin, 2010).

    패션 분야에서의 한국적 디자인은 한국적 이미지 가 나타나는 디자인으로 한국의 복식미를 활용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전통복식의 재현이나 모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감각 속에 녹아있는 원 형에 대한 이미지의 표현이며 한국적인 조형감각의 패션화를 의미한다(Kim & Kim, 2014).

    1980년대 이후 부각되기 시작한 한국적 패션디자 인은 한국적인 미를 표현하는데 있어 크게 두 가지 방 향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전통한복을 바탕으로 한복 의 생활화와 현대화시킨 것으로 개량한복이나 생활한 복의 발전을 가져왔다. 다른 하나는 서양 복식에 한국 적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한국적인 미를 패션디자 인 측면으로 풀어가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Shim, 2006). 특히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여러 패 션 디자이너들은 한국복식의 요소를 응용하여 한복의 아름다움을 재현하는 작품들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 외 컬렉션에서도 많이 발표하였다.

    한국적인 패션디자인을 창출하려는 시도를 많이 하는 대표적 패션 디자이너로는 이영희 디자이너와 이상봉 디자이너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영희 디자이너는 1993년 파리 프레타포르테 컬 렉션에 참가한 최초의 한국 패션 디자이너로, 2010년 파리 오트쿠튀르 컬렉션에 처음으로 한복을 직접적으 로 무대 위에 올렸다. 그녀는 한복이 가진 전통의 고 유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초점을 맞추어, 전통 소재, 색상, 문양 및 장식적 면을 적절히 조화시키고자 하였 다(Chae, 2012). <Fig. 1>은 이영희 디자이너의 2008 F/W Collection 작품으로 전통 풀치마를 이브닝드레 스로 응용한 작품이다. 소박한 색상, 전통 풀치마의 풍성함, 심플한 디테일이 어우러져 우아하고 단아한 한국적 이미지를 세련되게 표현하고 있다. <Fig. 2>는 2009 F/W Collection 작품으로, 속적삼과 전통 풀치마 를 볼레로와 이브닝드레스로 응용한 작품이다. 속적 삼은 깃, 섶, 동정 등 여러 부분을 간략하게 만들고, 소매 배래나 도련 등은 직선적으로 만들어 모던한 이 미지가 나타나게 하였다. 치마의 말기 부분을 넓게 하 여 드레스의 탑처럼 사용하면서, 치마의 끈을 여러 겹 으로 둘러지게 만들어 디테일적인 요소를 강조하였 다. 특히, 끈에 화려한 전통문양을 자수 처리하여 한 국적 이미지가 더욱 강조되도록 하였다.

    이상봉 디자이너는 1997년 파리 프레타포르테 컬 렉션을 시작으로 2002년부터 파리 컬렉션에서부터 2014년 뉴욕 컬렉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한국의 패션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다. 그는 우리의 전통복식 외에 한글, 건축, 예술, 문양 등 우리 전통 문화를 새롭게 해석하여 현대 의상에 접목시켜 새로 운 가치를 창출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패션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Fig. 3>은 2009 S/S Collection 작품으로, 디지털 큐브 이미지와 한국 전통 의 조각보에서 받은 영감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역시 서양 복식의 재킷과 바지로 구성된 의상으로, 서양적 이고 모던한 이미지가 나타난다. 여기에 우리나라 전 통의 조각보를 구성하는 천 조각들을 하나의 큐브 이 미지로 전환시켜 기하학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였고, 적, 청, 황, 백, 흑의 오방색을 사용하여 한국적 이미 지를 부각시켰다. <Fig. 4>는 이상봉 디자이너의 2012 S/S Collection 작품으로 한국 전통의 빛깔과 문양을 대표하는 단청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서양 복식의 오 프 숄더 형식의 탑과 스커트로 구성된 의상으로 서양 적인 이미지가 나타난다. 그러나 우리나라 고유의 단 청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그래픽적인 속성을 강 조하여 한국적 이미지가 돋보이면서도 서양 복식에 잘 어우러지게 하였다.

    <Fig. 1, 2, 3, and 4>와 같이 이영희 디자이너는 한 국적 이미지를 형태를 바탕으로 소재와 색상을 강조 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면, 이상봉 디자이너는 한국 적 이미지를 전통문양이나 여러 가지 문화적 요소들 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적 패션디자인은 전통적인 소재, 색 상, 아이템, 문양 등 가시적인 조형요소들을 응용하되, 전통미, 생활양식, 문화 등 근원적인 한국적 정서와 가치관이 반영되어 디자인으로 나타난다. 또한 현대 적 재구성을 통해 보편적으로 세계인에게 공감을 얻 을 수 있는 미적 가치를 가진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많은 해외 언론들은 단순히 의상에만 관심 을 보인 것이 아니라, 패션 디자이너와 그 뒤에 있는 한국적인 문화 배경이나 정신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 도 많아지게 되었다(Choi, 2013).

    2. Definition and role of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

    무용 의상은 무용을 접하는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 한 것으로서, 무용 의상을 통해 작품의 내용이나 상 황, 감정 등이 암시적으로 드러나며, 추상적인 무용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무용 수의 동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용의상 을 통해 작품의 내용이나 상황, 감정 등이 암시적으로 드러나며, 추상적인 무용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창작무용 의상은 수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쳐 지금과 같은 현대적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작품의 주 제와 더불어 디자이너의 창의적이고 획기적인 감각이 덧붙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나친 현대화의 추 구는 오히려 한국 창작무용 의상으로써의 특징이나 한국적인 미가 모호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 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창작무용 의상의 역할과 기능 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인 미가 표현되어야 한다. 한국 창작무 용은 전통무용을 재해석하고 현대화시켜 연출하는 것 이므로 무용의상을 통해 한국적 정서와 이미지가 드 러나야 한다.

    둘째, 작품의 주제와 분위기, 시대성 등이 표현되어 야 한다. 무용 작품은 안무가의 상상력과 창의성에 의 한 가상의 것이므로 작품 내용에 따라 공간적 배경이 나 시간적 배경의 다양한 상황이나 분위기가 무용의 상을 통해 전달되어 관객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셋째, 무용수의 활동성과 기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무용수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무용수의 신체조 건, 활동 범위 등을 고려해서 제작되어야 하며, 의상 으로 인해 춤 동작이 아름답게 보이게 하거나,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한국 창작무용 의상은 무용의상으로서 의 기본적인 역할은 물론 한국적 미의식이나 이미지가 표출되어 관객들에게 한국적 정서를 전달하고 있다.

    3. A component of the design of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

    1) Item

    한국적 패션디자인에서 아이템은 치마, 저고리, 바지 등에 서양 복식의 디테일이나 형식을 가미하여 현대 패션의 형태로 활용한다든지 인체에 밀착되지 않는 풍성한 형태로 자연적 주름과 유연한 곡선미를 표현하는 전통복식의 구조를 응용하고 있다(Lee & Hong, 2008).

    치마와 저고리 형식의 이부제 형태를 기본적으로 유지하는 한국 창작무용 의상은 무용 작품의 주제와 무용수의 동작에 따라 아이템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Fig. 5>는 작품 <솔거, 2006>의 의상으로 배자와 치마를 변형한 작품이다. 상의는 전통의 배자보다 길 이를 길게 하였고, 두 개의 끈을 꼬아 만든 장식을 깃 을 따라 부착시켜 입체적인 이미지를 가미하였다. 하 의는 이중 치마 형식으로 아래의 비치지 않는 치마와 위의 비치는 치마를 겹쳐 입어 풍성하게 한 것으로 소 재와 색상을 단아하게 사용하였다. <Fig. 6>은 작품 <꽃잎 떨어지면, 2006>의 의상으로 치마와 저고리를 응용한 작품이다. 상의는 일반 저고리보다 품과 여유 를 줄여 몸에 꽃 맞게 제작되었으며, 소매 배래와 저 고리 도련은 직선적으로 변형시켰다. 하의는 치마의 허리 부분에 빨강과 남색의 색채를 사용하여 시각적 으로 강조시켰고, 꽃과 금박으로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하였다.

    2) Silhouette

    한국적 패션디자인은 서양 복식의 단순한 라인 속 에 한국적 곡선의 미를 강조하고 있거나, 전통복식의 평면적 특성에 볼륨감, 입체감을 표현함으로써 전통 적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한다(Lee & Hong, 2008).

    한국 창작무용 의상에서는 치마와 저고리의 형식 의 이부제 복식을 착용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실루엣 처럼 상박하후의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상의는 몸에 딱 맞게 밀착시키거나 슬림한 실루엣으 로 무용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게 제작되고 있으며, 하의는 한국 전통복식이 가진 특유의 볼륨감과 곡선 을 강조는 실루엣이 나타나고 있다. 또, 소매 부리의 폭이나 길이 등의 부분 변화나 디테일을 추가하여 무 용수가 취하는 움직임의 표현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 록 한 작품들도 제작되고 있다.

    <Fig. 7>은 작품 <별은 비가 되어, 2006>의 의상으 로 전체적으로 하이웨이스트의 상박하후 실루엣의 작 품이다. 몸판과 소매는 여유분 없이 몸에 딱 맞게 밀 착시키고, 소매 부리를 나팔 소매로 하여 팔의 움직임 이 효과적으로 보이게 제작하였다. 또, 드레스의 치마 는 가슴 아래 위치한 하이웨이스트에서 스커트 단까 지 풍성해지는 실루엣으로 무지기 치마를 응용한 듯 층층이 겹쳐 볼륨감이 돋보이도록 하였다. 또, 치마 안쪽에는 바지를 착용하여 활동성을 고려하였다. <Fig. 8>은 작품 <천상화, 2014>의 의상으로 상박하후 실루엣의 작품이다. 상의는 몸에 딱 맞는 타이트한 실 루엣으로 무용수가 동작을 취했을 때 상체 곡선의 아름 다움과 움직임에 의해 나타나는 곡선 실루엣을 효과 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하의는 전통 치마와 달리 허리 에서 걸쳐지는 풀치마 형태로 여러 겹의 치마와 걷어 올린 주름 형식을 통해 풍성한 볼륨감을 연출하였다.

    3) Textile

    한국적 패션디자인은 거칠고 투박한 소재를 사용 하는 경우와 곱고 정교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 누어진다. 거칠고 투박한 재질감의 삼베와 무명은 올 이 굵고 거칠기 때문에 직물의 표면에서 생동감을 느 끼게 하며, 질박함과 무기교의 기교를 표현하기에 적 합하다. 곱고 섬세한 감사나 부드러운 명주는 올이 가 늘고 잘 정련이 되어 있어 광택이 나고 유연한 선율의 미를 느끼게 한다(Kim, 2010).

    한국적 패션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에서도 노방이나 갑사, 항라, 공단 등의 소재를 많이 사용하여 전통적인 느낌을 표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소재와 다른 소재를 혼합한 무용의 상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거즈나 소창 같은 토속적 인 소재, 종이, 얇은 조젯 같은 실크, 니트, 비닐 소재 등과 같은 첨단 소재까지 다양한 소재들을 사용하고 있다(Kim, 2004).

    <Fig. 9>는 작품 <스물일곱 송이 붉은 향기 허난설 헌, 2014>의 의상으로, 시폰과 망사를 소재로 사용한 작품이다. 상의는 저고리를 변형하여 언밸런스한 형 태에 은은하게 비치는 시폰을 사용하여 현대적 느낌 이 나게 하였다. 또, 닥종이의 느낌이 나는 소재로 디 테일을 장식하여 한국적 요소가 균형감을 이루도록 하였다. 하의는 이중 원단으로 광택이 비치도록 하였 으며, 형태는 풍성하지만 무겁지 않은 느낌을 전달해 주고 있다. <Fig. 10>은 작품 <춤 홍랑 사랑으로 잠들 다, 2014>의 의상으로 상의 레오타드와 풀치마로 구 성된 작품이다. 상의 레오타드의 몸판은 살색 망사를 사용하여 은은하게 비치는 시스루 효과를 주었다. 가 슴부분은 여러 겹의 조각난 시폰을 덧붙여 무용수가 동작을 할 때마다 역동적인 효과를 주도록 하였다. 치 마는 허리에 둘러 입는 풀치마 형태이며, 상의와 마찬 가지로 주름지는 시폰 소재를 여러 쪽으로 나뉘어 있 으며, 허리부분은 금색의 반짝이는 펄 소재를 이용하 여 포인트를 주었다. 전체적으로 얇은 시폰을 여러 겹 겹쳐 사용하여 풍성하고 우아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4) Color

    한국적 패션디자인에서 색채는 천연소재가 가지고 있는 그 자체의 색인 소색을 그대로 살려 수수하고 소 박함을 표현하기도 하고, 천연소재를 천연염료로 염 색하여 은은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한 다. 또, 오방정색 또는 색동, 단청색 등을 활용하여 화 려하고 강렬한 배색을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이미지 를 표현하고 있다(Lee & Hong, 2008).

    한국 창작무용 의상에서 색채는 작품의 내용과 주 제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색채를 통 해 무용수의 배역과 성격, 작품의 분위기 등이 잘 전 달되므로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Fig. 11>은 작품 <애멸생, 2007>의 의상으로 소색 으로만 이루어진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소색의 깨끗 한 색상과 절제된 디테일로 간결함이 돋보인다. <Fig. 12>는 작품 <본향- 소리 숲, 공기의 춤, 2012>의 의상 으로 전체적으로 소색인 드레스의 단 부분을 원색으 로 강조한 작품이다. 전통춤인 부채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의 무용의상으로 소색 드레스의 아랫단 부분에 단을 따라 빨강, 초록의 두 색채가 대조를 이 루어 강한 인상을 주며, 분홍 그러데이션의 속치마를 착용하여 빨강, 초록, 분홍의 색이 어우러져 만개한 꽃과 같은 화려함을 표현하였다.

    Ⅲ. An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Cases with Jin-Yi Hwang

    1. Korean fashion design in drama <Jin-Yi Hwang>

    드라마 <황진이>에 등장하는 의상은 조선시대 후 기 기녀 복식의 가장 큰 특징인 상박하후의 복식형태 를 유지하고 있으며, 저고리의 문양 크기나 색상 변화 를 통해 캐릭터별 성격의 차이를 드러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Ryu, 2008). 특히 주인공 황진이의 복식은 조선 후기 풍속화가 신윤복의 미인도 복식의 이미지 에 근거하여 과감한 원색과 현대적 감각의 소재를 혼 용하여 이전의 어떤 사극에서도 볼 수 없었던 화려하 고 현대적인 미를 가미한 세련된 기녀복식을 표현하 고자 하였다(Kim, 2008).

    따라서 드라마 <황진이>에 나타난 의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황진이라는 인물을 강렬한 붉은색으로 상징 하여 표현하고 있다. 황진이가 착용하는 드라마 의상 의 대부분은 붉은색이 주조색으로 배색되어 있거나, 붉은색의 문양을 사용하여 의지가 강한 여성의 이미 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동기시절의 황진이는 파스 텔 톤의 옅은 색채로 순수하고 소박한 면을 강조했던 반면, 기녀가 된 뒤로는 과감한 색채의 사용으로 극의 몰입도를 높이기도 하였다.

    둘째, 16세기 인물인 황진이를 18세기 신윤복의 작 품 <미인도>에 나타난 한복의 실루엣을 사용하여 아 름답고 화려한 기녀의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소매가 좁고 짧은 가슴의 저고리에 속옷을 여러 겹 껴입어 부 풀린 상박하후의 실루엣과 치마를 걷어 올려 착용하 는 방식을 통해 요염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자 하였다.

    셋째, 전통적인 꽃문양뿐만 아니라, 현대적이고 다 양한 꽃문양이 사용되었다. 또, 문양의 크기 또한 전 통 복식에서는 볼 수 없었던 크기로 저고리의 넓은 부 분에 분포되어 있다. 특히, 자수와 같은 전통기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디자이너가 손수 그림을 그려 넣기도 하였다. 기녀를 상징하는 매화꽃을 중심으로 다양한 꽃문양들이 표현되었는데, 이처럼 창의적이고 현대적으로 표현된 문양들은 드라마 반영과 동시에 한복 트렌드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넷째, 기존의 한국 전통복식과 달리 은박의 사용범 위가 넓어졌다. 일반적으로 전통복식은 치마 밑단이 나 깃, 고름 등 부분적으로 은박을 찍는 것이 보편적 이지만 저고리의 전체에 은박을 찍어 기녀로서의 도 도함과 화려함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전통복식에 나타나는 배색에서 벗어나 새 로운 색채 연출을 하였다. 빨강과 검정 등과 같은 과 감한 색채의 가슴말기를 사용하여 가슴부분을 강조하 였다(Table 1).

    2. Korean fashion design in the movie <Jin-Yi Hwang>

    영화 <황진이>에 등장하는 의상은 기녀복식의 상 박하후의 형태에서 벗어나 슬림한 실루엣의 의상들이 나타났으며, 기녀를 상징하는 적색을 빼고 보라색, 녹 색, 청색 등을 주된 색으로 사용하고 있다(Lee, 2008). 이것은 한국 전통복식의 한복의 곡선의 미를 배제한 직선적인 실루엣으로 21C 현대적인 면을 강조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황진이와 같은 신여성이 시도 했을 것이라 생각되는 다양한 연출을 위해 새로운 한 복의 소재나 디자인을 선택하였으며, 18세기 한국의 전통미에 18세기 서양의 로코코 스타일을 결합시켰다.

    따라서 영화 <황진이>에 나타난 의상의 특징을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황진이라는 인물을 검은색이나 어두운색으로 상징하여 표현하였다. 황진이가 착용하는 의상의 대 부분은 어두운색을 사용하여 억압된 여성의 내면적 슬픔이나 아픔 같은 심리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전달 하고자 하였다. 또한 황진이를 차갑고 차분한 이미지 의 인물로 인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둘째, 전통한복의 곡선미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직선을 과감하게 사용하여 현대적 스타일을 연출하였 다. 저고리의 좁은 소매통과 직선적인 배래선, 부풀리 지 않고 땅에 끌릴 정도로 긴 직선적인 치마의 실루엣 등을 통해 조선시대에 살고 있는 신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셋째, 색채와 직물을 파격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 이미지의 한복들이 나타났다. 검정색을 바탕으로 보 라색, 녹색, 청색 등의 대조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차 분하면서도 화려하고 우아한 이미지를 세련되게 표현 하였으며, 소재는 프랑스 원단이나 자카드 등을 사용 하여 현대적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넷째, 기존의 한국 전통복식과 달리 은박의 사용범 위가 넓게 나타났다. 은박문양을 패턴단위로 만들어 치마나 저고리 전체에 도장을 찍은 듯 은박을 넣어 현 대적인 느낌이 표현되게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검은색 과 은박의 강한 대조에 의해 모던하고 통일성 있는 느 낌을 주었다(Table 1).

    Ⅳ. An Analysis of Jin-Yi Hwang’s Sijos

    1. Sijo Ⅰ <Green mountain is like what I’ve meant>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 녹수(綠水)는 님의 정(情)이 녹수(綠水) 흘러간들 청산(靑山)이야 변할손가 녹수(綠水)도 청산(靑山)을 못 니져 우러 예어 가는고.

    이 시조는 6년간 동거했던 이사종과 이별 후 지어 졌다는 설과 남성 편력을 끝낸 인생의 말년에 허무함 을 느끼며 썼다는 설이 있는 작품이다. 황진이는 ‘청 산’을 불변하는 것으로 보고 ‘나’와 동일시하였고, ‘녹 수’는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님’을 상징하였다. 따라서 나에 대한 사랑이 쉽게 변하는 님을 원망하면 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님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의 영 원함을 노래하고 있다.

    시조 I <청산은 내 뜻이오>는 님과의 이별을 푸른 산의 불변성과 푸른 시냇물의 가변성에 빗대어 은유 적이고 멋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또한 비유적, 은유 적, 대비적 표현의 시어와 감정이입을 사용하여 주제 를 강조한 황진이의 탁월한 감각이 돋보이는 시조로 고결하고 우아함이 느껴진다.

    2. Sijo Ⅱ <To Byeokgyesoo in Cheongsan-ri>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一到滄海하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明月이 滿空山하니 쉬어 간들 엇더리.

    이 시조는 황진이가 벽계수를 시험하며 읊은 작품 으로, 종실인 벽계수를 단지 한 명의 풍류랑으로 만들 어 세상의 웃음거리로 만든 일화와 함께 전해지고 있 다. 황진이는 종친인 벽계수를 흘러가는 물에 빗대어 ‘벽계수’라 지칭하였고, 자신을 밝은 달에 빗대어 ‘명 월’로 지칭하며 중의적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벽계 수를 시험하면서 밝은 달이 떠 있는 이 밤에 자신과 함께 풍류를 즐겨보는 것이 어떠하냐는 유혹적인 회 유를 노래하고 있다.

    시조 II <청산리 벽계수야>는 자신의 욕망을 감추 지 않고 흘러가는 물이나 밝은 달에 빗대어 중의적이 면서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중의적, 은유 적 표현의 시어와 함께 인간심리의 변화를 자연의 변 화에 대입시켜 주제를 강조한 황진이의 뛰어난 관찰 력이 느껴진다.

    3. Sijo Ⅲ <Dongjibam ginaginbam>

    동지(冬至)ㅅ image.gif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춘풍 니불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이 시조는 6년간 동거했던 이사종과 이별 후 다시 그를 그리워하며 지었다는 작품이다.

    이 시조에서 황진이는 님이 부재한 시간을 ‘동지ㅅ image.gif 기나긴 밤’으로 표현하여 추상적인 시간의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하였다. 따라서 이 시조의 의 미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짓달의 시간을 비축하 였다가 님을 만나서 그 시간을 함께 하고자 하는 간절 한 기다림을 표현하고 있으며, 순수하고 순박한 그녀 의 사랑이 떠난 임에게 전달되길 바라는 애절한 그리 움을 노래하고 있다. 또 님과 함께 할 것이란 소망을 애틋하고 아름다운 비유를 통하여 은근하게 드러내고 있다(Ahn, 2007).

    시조 III <동지ㅅ image.gif 기나긴 밤을>은 밤이라는 추 상적인 시간 개념을 자르고 넣고 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으로 참신하게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리서 리’, ‘구뷔구뷔’ 등과 같은 의태어를 사용하여 섬세하 고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 님을 기다리는 마음 이 호소력 짙게 표현되어 언어적 형상화의 극치를 보 여준다.

    Ⅴ. Application of Jin-Yi Hwang’s Sijos to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1. Inten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of works

    본 작품은 황진이 시조 6수 중 대표적인 시조 3수 를 분석하여 한국 창작무용 의상으로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황진이의 시조에 드러난 이미지와 황진이의 정서, 심리적 갈등 등을 한국 창작무용 의상에 적용시 키기 위해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토대로 한국 창작무 용 의상의 디자인 구성요소를 응용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 시조에서 느껴지는 한국적인 이미지로 산 수화와 풍속화를 연상하였다. 작품 I은 영화 <황진 이>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영화 <황진이>는 틀에 갇혀 살지 않았던 신여성으로 주체적인 삶을 표 현하고자 하였으며, 드라마 <황진이>와 대조적인 슬 림한 실루엣과 녹색, 청색과 같은 차분하고 우아한 색 채를 응용하였다. 작품 II와 III은 드라마 <황진이>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하였는데, 조선시대 후기 기녀 복식의 가장 큰 특징인 상박하후 스타일을 응용하였 고, 동기시절의 순수한 모습을 표현한 핑크컬러와 기 녀가 된 후의 강한 여성상을 표현하는 짙은 붉은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작품의 전체적인 구성은 3작품으로 무용작품의 동 작에 맞는 실루엣의 변형과 현대적 소재와 전통적 소 재의 혼용, 다양한 색채, 염색기법 등의 변화를 시도 하고자 하였다(Table 2).

    2. Production and description of works

    1) Work Ⅰ

    작품 I은 시조 I <청산은 내 뜻이오>를 분석하여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구성요소인 아이템을 응용하여 디자인 한 작품이다. 이별 후에 겪는 허무함과 덧없이 떠도는 상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의 아이템은 튜닉형 상의와 두 겹의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드레스로 구성하였다. 전체적인 이 미지는 한국적 이미지인 산수화와 영화 <황진이>의 현대적인 이미지를 결합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영 화에서 표현된 여성스럽고 차분한 푸른색을 시조에서 표현된 녹수를 연상하여 디자인하였다.

    상의의 소재는 결이 있는 얇은 흰색의 시폰을 사용 하여 짧은 튜닉형으로 제작하였고, 점차적으로 물들 어진 나팔소매는 변화하는 청산의 이미지를 연상하여 그러데이션 염색으로 표현하였다.

    겉치마의 소재는 결이 있는 얇은 청록색의 시폰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님에 대한 자신의 굳건하고 고결 한 황진이의 마음과 시조에서 표현된 녹수를 의미한 다. 속치마의 소재는 인견을 사용하였고, 흩어지고 변 화한 사랑을 전체적으로 물감을 뿌린 듯한 염색기법 으로 표현하였다.

    실을 엮어 만든 장식은 청산과 녹수의 매개체로 즉 나와 님을 연결하는 끈으로 비유된다. 변한 님을 원망 하면서도 놓지 못하는 황진이의 마음을 표현하였고, 님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장식적인 요소로 표현하 고자 하였다.

    무용수가 동작을 할 때 겉치마의 트임 사이로 그러 데이션 되어진 속치마는 차분하면서도 강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염색되어진 속치마 위에 겉치마를 덧 대어 은은하게 비치는 중간색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를 통해 겹침의 미를 나타난다. 이 작품은 뿌려진 염 색기법을 통해 이별로 인한 황진이의 혼란한 내면적 인 아픔을 강조하고자 하였다(Fig. 13).

    2) Work Ⅱ

    작품 II는 시조 II <청산리 벽계수야>을 바탕으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구성요소인 실루엣을 응용하여 디자인한 작품이다. 시조에서 황진이는 벽계수를 유 혹하여 시험에 들게 한 기녀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벽 계수를 유혹하지만 사랑을 갈구하지 않는 적극적인 자세를 드라마 <황진이>에서 기녀로서의 당당함을 표 현하는 빨강과 검정의 색으로 나타내었고, 이를 시조 에서 나타나는 명월에 비유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의 아이템은 서양식 드레스 상의와 한국 전 통복식의 앞, 뒤 길이가 다른 치마로 구성하였다. 전 체적인 이미지는 한국의 풍속화에 나타난 여인의 이 미지와 드라마 <황진이>의 실루엣에서 나타난 도도 하고 당당했던 기녀의 이미지를 연상하여 디자인하였 으며, 현대적 소재인 레이스와 전통적 소재인 주아사 의 혼용으로 퓨전한복의 느낌으로 제작하였다.

    상의는 서양식 드레스의 보트넥을 응용하여 디자 인하였는데, 화려한 느낌으로 표현되는 기녀의 이미 지를 단아하고 현대적인 매력으로 담아내고자 하였 다. 소재는 자신의 욕망을 감추지 않고 대범한 여인을 표현하기 위해 레이스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시스루의 느낌과 세련되고 모던한 고급스러운 느낌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치마는 조선전기 상류층 부녀자들이 입 었던 의례용 치마를 응용하였다. 치마의 앞부분은 짧 고 뒷부분은 길게 디자인하여 기녀의 유혹적이고 화 려한 이미지와 세련된 미적 감각을 나타내고자 하였 으며, 빨강과 검정의 색채 변화를 통해 시조에 나타난 황진이의 도도함과 매혹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무용수가 동작을 할 때 앞이 짧은 치마로 인한 밋 밋함을 속바지로 포인트를 주고자 하였다. 일반적으 로 가슴 말기는 흰색을 사용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전 체적인 톤을 고려하여 톤을 달리한 빨강의 두 개의 띠 를 만들어 가슴 쪽의 시선을 분산시켜 표현하였다 (Fig. 14).

    3) Work Ⅲ

    작품 III은 시조 III <동지ㅅimage.gif 기나긴 밤>을 바탕 으로 디자인 한 작품이다. 이 시조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짓날에 간절하게 님을 기다리는 황진이의 마음을 노래하였다.

    본 작품의 아이템은 한국 전통복식인 저고리를 응 용한 레오타드와 단속곳을 응용한 바지, 로맨틱 튜튜 를 응용한 쓰개치마로 구성하였다. 전체적인 이미지는 드라마 <황진이>의 순박한 동기시절의 모습을 연상 하여 디자인하였는데, 드라마에서 표현된 동기시절의 황진이는 핑크 톤의 색채로 순수하고 소박한 면을 강 조하여 표현되었다. 전체적인 아이템인 레오타드와 쓰개치마는 발레의상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하였다.

    레오타드의 소재는 활동성이 좋은 스트레치 소재 를 사용하였고, 한국적 이미지를 함축적으로 표현하 기 위해 전통색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진분홍색을 기 본 색상으로 사용하였다. 네크라인의 색채는 동정을 응용한 아이보리색과 깃을 응용한 자주색을 사선으로 배치하여 레오타드에 삼회장저고리의 느낌이 나타나 게 디자인하였다.

    바지는 기녀로서의 화려한 황진이가 아닌 떠난 님 을 기다리는 순박한 마음을 가진 여자로서의 황진이 를 표현하기 위해 화려하지 않고 소박한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단속곳의 소재는 실루엣을 살려 주기 위해 은은한 광택과 힘있는 흰색 인견을 사용하 였다. 앞, 뒤의 주름은 풍성해 보이는 느낌을 살렸으 며, 겹치는 이중처리로 끈을 묶었을 때 앞이 자연스럽 게 쳐지는 효과를 주었다.

    쓰개치마는 로맨틱 튜튜를 응용하였고, 세 겹의 흰 색 육각망사로 풍성함을 살렸다. 간절하게 님을 기다 리는 순박한 황진이의 마음을 동기시절 황진이의 모 습에 빗대어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Fig. 15).

    Ⅵ. Conclusion

    본 연구는 예술적 가치가 있는 황진이의 시조 3수 의 분석을 통해 한국 창작무용의상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한국 창작무용 의상으로 연출된 사례가 없는 황진이의 시조를 주제로 시조에서 느껴지는 황진이의 사랑과 이별의 상황을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응용하여 한국 창작무용 의상을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무용의상은 각 시조에 맞는 아 이템, 실루엣, 색채, 소재 등의 한국적 패션 디자인 요 소를 강조하여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정서와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시킴으로써 시조의 내용을 효과 적으로 전달되도록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서술한 이론적 연구와 각 시조별 디자 인에 따른 3점의 작품 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실루엣은 소재와 마찬가지로 무용수의 활동 성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이다. 작품 3점은 한 국 패션디자인의 구성요소인 실루엣을 응용하였고, 활 동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적인 한 국 창작무용 의상으로의 재창조를 시도할 수 있었다.

    둘째, 색채는 관객에게 무용수의 역할과 작품의 주 제를 알려주는 직접적인 요소를 제공한다. 즉, 색채를 통해 시조의 이해를 돕고 황진이란 인물을 시각적으 로 상징화하였다. 본 작품에 사용된 색채를 통해 시조 에서 나타난 황진이의 감정에 대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었다.

    셋째, 소재는 한국 전통 소재와 현대적 소재를 혼 용하였다. 무용공연 특성상 조명의 효과를 극대화하 기 위해 소재가 나타내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느 낌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소재를 선택하였다. 본 작품 에서는 전통소재와 현대적 소재인 주아사, 인견, 시 폰, 레이스, 스판 등을 사용하여 소재 자체가 관객에 게 전달하는 메시지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고찰로 황진이의 시조 분석을 통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 디자인은 각 시조의 성격과 특성에 맞 는 무용의상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한국적 패션디자 인 구성요소 즉, 무용의상으로 표현될 아이템 선정과 무용수의 동작으로 인한 다양한 실루엣으로 연출되는 선의 효과, 무용수의 성격과 무용작품의 주제를 시각 적으로 표현하는 색채, 관객에서 시각적, 촉각적, 청 각적 효과를 줄 수 있는 소재의 표현의 중요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 창작무용 의상의 디 자인은 창의성과 예술성을 높이고, 한국적 패션 디자 인 요소를 통해 한국적 정서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 었다.

    본 논문은 황진이라는 소재를 한국 창작무용 의상 에 적용시킨 사례로 한국적 패션디자인을 응용하고, 황진이의 시조 분석을 통한 디자인 연구이다. 시조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한국 공연문화의 대중화 와 세계화에 대비하여 한국적 패션 디자인요소를 독 창적으로 응용하였으면 한다.

    Figure

    RJCC-27-4-353_F1.gif

    Lee Young Hee 2008 F/W Collection From Choi. (2008).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2.gif

    Lee Young Hee 2009 F/W Collection From Yoo. (2014).

    http://blog.naver.com

    RJCC-27-4-353_F3.gif

    Lie Sang Bong 2009 S/S Collection From Jykim1012. (2008).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4.gif

    Lie Sang Bong 2012 S/S Collection From Vogue. (2011).

    http://runway.vogue.co.kr

    RJCC-27-4-353_F5.gif

    Baek Hyun Soon Dance Company (2006) From Lee. (2014b).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6.gif

    Jang Yu Kyung Dance Company (2006) From Lee. (2014c).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7.gif

    Nam Hyang Lahn Dance Company (2006) From Lee. (2014a).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8.gif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2014) From Haneulbogi. (2014).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9.gif

    Choo Hyun Joo DO Dance Company (2014) From Lee. (2014e).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10.gif

    Jeju Special Self-Governing Dance Company (2014) From Arahan. (2014).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11.gif

    Jeong Tae Jin Dance Company (2007) From Lee. (2014d).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12.gif

    Changwon Municipal Dance Company (2012) From Changmunjigi. (2013).

    https://blog.naver.com

    RJCC-27-4-353_F13.gif

    The development of work: Costumes production

    RJCC-27-4-353_F14.gif

    The development of work: Costumes production

    RJCC-27-4-353_F15.gif

    The development of work: Costumes production

    Table

    Analysis of costume design work based on Jin-Yi Hwang

    Production plan of creative dancing costumes

    Reference

    1. Ahn, N. Y. (2007). Re-illumination of Hwang Jin-yi’s life and thought.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49, 161-178.
    2. Arahan. (2014, November 25). 제주도립무용단 제 46 회 정기공연 춤 홍랑 사랑으로 잠들다 [Jeju Special Self-Governing Dance Company 46th Regular Performance “Dance, Hongrang, fall asleep with love”]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s://blog.naver.com/chen9233/220191736466
    3. Chae, K.-S. (2012). Korean traditional clothes & Korean style for globalization. Paju: Jigu Publishing.
    4. Chakiman. (2017, May 25). 드라마 황진이 초상화 이 쁘네요 [The drama Hwang Jin-Yi portrait is pretty] [Blog Post].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blog.naver.com/kkj073192/221014190869
    5. Changmunjigi. (2013, October 5). 창원시립무용단 공 연 [Changwon Municipal Dance Company performance]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dedenty/70176824115
    6. Choi, K. S. (2013). 한류로드: 전통과 현대의 창조적 융화 [Korean wave road: Creativ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Paju: Nanam.
    7. Choi, M. J. (2008, April 17). Lee Young Hee – 2008 f/w Seoul collection [Blog Post]. Retrieved June 1, 2019, from https://blog.naver.com/csn6110/90030244852
    8. Cine21. (2017). Hwang jin yi.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18499
    9. Daldaltokki. (2016, September 30). 드라마 황진이 [Drama Hwang Jin-Yi] [Blog Post].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blog.naver.com/yukyung1014/100029168805
    10. Eum, J. S. (2011). A study on Korean fashion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national im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1. Haneulbogi. (2014, October 6).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 - 국립무용단 천상화 [Incheon Asian Games closing ceremony - National Dance Company “Chunsang hwa”]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itokntok/220142885061
    12. Hyunnouveau. (2016a, July 28). 영화 황진이 포스터 & 스틸 / 송혜교 한복 [Movie Hwang Jin-Yi poster & still / Song Hye-Kyo hanbok] [Blog Post].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blog.naver.com/hanbok486/220773129251
    13. Hyunnouveau. (2016b, October 5). 드라마 황진이 포 스터 & 스틸 / 하지원 한복 [Movie Hwang Jin-Yi poster & still / Ha Ji-Won hanbok] [Blog Post].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blog.naver.com/hanbok486/220786728663
    14. Jykim1012. (2008, October 22). Lie sangbong Paris Pret-a-poter S/S 2009 [Blog Post]. Retrieved June 1, 2019, from https://blog.naver.com/jykim1012/40056284233
    15. Kim, H.-K. (2004). The study costume design for “the Heaven”, a Korean creative dance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H. R. (2006, November 2). ‘황진이’ 4차포스터 공개.. “하지원 맞나?” [‘Hwang Jin-Yi’ 4th poster released ... “Ha Ji-Won right?”]. Starnews, Retrie ved July 5, 2019, from http://star.mt.co.kr/stview.php?no=2006110208315010218
    17. Kim, J. Y. , & Kim, S. A. (2014).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appeared in international fashion collections: Regarding color variation since 2000.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2, 183-190.
    18. Kim, M. J. (2010). Finding the Je-daum of Korean fashion design. Seoul: SNU Press.
    19. Kim, S. Y. (2008).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found in contemporary media: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roine’s costume of the movie (Hwang Jin-Yi)」.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E. Y. (2008). Periodical women beauty showed Korean historical drama and movie Hwanggini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6(3), 136-148.
    21. Lee, M. C. (2014a, January 9). [한국무용] 경북무용의 밤 - 안동지부 ‘별은 비가 되어’ / 공연사진 [Korean Dance: Gyeongbuk dance night - Andong branch ‘Stars become rain’ / Performance photo]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chumpan/70182591792
    22. Lee, M. C. (2014b, January 12). [한국창작무용] 비디 오&댄스 ‘솔거’ 안무 백현순 / 공연사진 [Korean Creative Dance: Video & Dance ‘Solger’, Choreography Hyun-Soon Baek / Performance photo]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chumpan/70182807133
    23. Lee, M. C. (2014c, January 14). [한국창작무용] 장유 경의 춤 ‘꽃잎 떨어지면’ / 무용사진 촬영 [Korean Creative Dance: Yu-Kyung Jang’s dance ‘When the petals fall’ / Dance photography]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chumpan/70182921673
    24. Lee, M. C. (2014d, January 20). [한국무용] 대구무용 제 - 정태진무용단 ‘애멸생’ / 무용사진 촬영 [Korean Dance: Daegu dance festival - Tae-jin Jeong Dance Company Aemyeolsaeng / Dance photography]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chumpan/70183322472
    25. Lee, M. C. 2014e, September 6. [한국무용] 추현주 Do무용단 ... 붉은 향기 / 허난설헌 공연사진 촬영 [Korean Dance: Hyun-Joo Choo Do Dance Company ... Red scent / Henan Seolheon Performance photography] [Blog Post]. Retrieved June 30, 2019, from http://blog.naver.com/chumpan/220114875526
    26. Lee, M.-R. , & Hong, J.-M. (2008). Costume making by application of Korean imag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1(2), 103-114.
    27. Muse eonniui tip. (2016, January 5). 드라마 황진이 속 한복! - 화려함의 극치 [Drama Hwang Jin-yi’s Hanbok! - The highest of splendor] [Blog Post].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blog.naver.com/df908hs90/220588296923
    28. Oh, S. W. (2010, May 4). 송혜교 - 영화 황진이(패션 편) [Song Hye-Kyo - Movie Hwang Jin-Yi (Fashion)] [Blog Post].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blog.naver.com/ttottoya777/110085533729
    29. Park, J. Y. (2008). A study on the costume design applying the fusion Han-Bock phenomena in med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0. Ryu, M. H. (2008). A study on the change of aesthetic consciousness of modern Hanbok in the ‘Hwang Jiny’ dram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31. Shim, S.-H. (2006). Study on high-class oriented character in fashion design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2. Shin, K.-S. (2010). The analysis of Korean formativeartistic characteristics in the Hanbok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3), 121-132.
    33. Sung, K. H. (2008). A study on the costume and color of the TV drama <Hwang Jin-Yi>: Focusing on Hwang Jin-Yi.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4. 34. Vogue. (2011, October 21). Spring/Summer 2012 Seoul Fashion Week: LIE SANGBONG. Retrieved June 1, 2019, from http://runway.vogue.co.kr/2011/10/21/seoul-collection-2012-ss-lie-sangbong/#0:7
    35. Yoo, Y. (2014, June 16). 2009 Seoul fashion week F/W - Lee Young Hee designer <Part.3> [Blog Post]. Retrieved June 1, 2019, from https://blog.naver.com/vnfmsduswl/220031463518
    36. Yoo, Y. S. (2006a, October 5). ‘황진이’ 하지원, 분홍 한복도 잘 어울리는 황진이 미소~ [‘Hwang Jin-Yi’ Ha Ji-Won, pink hanbok goes well with a Hwang Jin-Yi smile]. Newsen,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entertain.v.daum.net/v/20061005070018836?f=o
    37. Yoo, Y. S. (2006b, October 5). ‘황진이’ 하지원, 고 운 한복 환한 미소~ [‘Hwang Jin-Yi’ Ha Ji-Won, Beautiful hanbok bright smile]. Newsen, Retrieved July 5, 2019, from https://entertain.v.daum.net/v/20061017073014345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