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6 No.1 pp.95-108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8.26.1.095

Analysis of female student’s body shape of the late adolescent

Seong-Yeon Jeon, Su-Joung Ch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Dept. of Fashion & Clothing, Seowon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carollain@seowon.ac.kr
20180116 20180212 2018022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body shape of the body of 17~19 years old female students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according to the 7th Korea Human Body Survey. Factor analysis was based on six factors including body size, body height, shoulder length, and width, upper body length, hip length, and shoulder inclination related factors. Through this cluster analysis, the body shape of late adolescent female studen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Body type 1 was the highest body height factor, and the upper body length and the hip length factor were lower. It was analyzed as ‘Long leg in the body’. Body type 2 is the ‘narrow shoulder skinny type’ with high hip and shoulder slope factors and low body size, body height, shoulder length, and width factor. Body type 3 showed body size, shoulder length, height and hip length factor, and body height factor was rather low ‘low hip obese body shape’. Body type 4 was analyzed as ‘lower shoulder long upper body type’ with higher upper body length factor and lower body size and shoulder slope factor. It is thought that when the pattern is made, it is possible to produce excellent patterns by fitting the dimensions of the body, as well as the dimensions of the shoulder width, the slope, and the hip length.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 유형화 분석

전 성 연, 차 수 정*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서원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인간의 성장발달은 개인에 따라 신체적, 심리적 변화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개인 이 속해 있는 집단이나 문화에 의해 각기 다른 변화를 겪는다. 인간의 발달과정을 몇 단계로 구분할 때 어느 한 단계도 중요하지 않은 단계는 없으나, 특히 청소년기 는 이 시기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발달단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Cha, 2005). 청소년기는 사춘기의 시작과 함께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므로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Jeong & Suh, 2005). 2차 성징이 나타나 아동기 체형에서 성인기 체형으로 변 화하는 시기이기도 하다(Jang, 2013). 청소년기는 체 형의 변화가 다양한 시기이므로 이러한 체형의 변화 에 적합한 의복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청소년기의 체 형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 다(Kim, Kwon, & Suh, 1994). 청소년기의 신체 성장 은 청소년들의 심리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 기의 심리는 감성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이며, 자아 개념도 정립되지 않은 단계라고 할 수 있다(Koh, Jin, & Shim, 2000). 이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신 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의복을 통해 자신의 외 모를 돋보이게 하거나 보완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이 기도 한다(Yoon & Jeong, 2013). 그러므로 청소년들 의 신체적, 심리적 측면을 고려한 의복을 제공하는 것 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선행 연구들은 3차원 가상 착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자청소년용 길 원형 맞음 새를 연구하였고(Kim & Chun, 2016), 청소년기 전반 적인 체형변화에 대한 연구(Choi, 2017; Kim, 2016; Kook, 2013; Lee & Hahm, 2001)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청소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패턴설계 는 주로 교복 패턴 연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이 어느 정도 이 루어졌으나 성인의 체형과는 구분되는 17~19세의 인 체치수를 분석하여 청소년 후기 여학생 체형의 특성 을 분석하고 체형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청소년 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복패턴 개 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Background

    청소년 여학생의 체형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Kim (2016)의 연구에서는 키와 높이 성장은 만 15세를 기 점으로 둔화되며, 둘레항목은 만 15세 이전에 급격한 변화를 보이다가 만 16세 이후에는 성장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부위는 만 3세에서 15세 사이 에, 허리부위는 만 14세에서 15세 사이에, 엉덩이부위 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 지속적인 성장 추이를 나타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무게와 BMI지수 항목은 만 3세부터 지속적으로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만 17세 이 후에 두드러지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1999)에 따르면 엉덩이둘레의 성장이 가장 느리게 진행되어서 15세에 성인치의 90%에 달하는 반면, 가 슴둘레, 허리둘레, 몸무게는 15세에 이미 성인치의 95%에 달하였다. Choi(2017)의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여성의 높이항목 성장은 8~12세에 가장 급격한 성장 을 나타내며, 13~15세 사이에 성장이 둔화되어 17세 무렵에 대부분 성장이 마무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레항목은 7~15세 사이에 급격한 성장을 나타내며, 이후에는 성장과 비만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체형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ook(2013)은 만 8 세에서 14세까지의 여학생을 중심으로 체형특성을 분 석한 결과, 수직크기항목은 13세 이후 일정치에 도달 하였으며, 젖가슴 돌출은 10세부터 뚜렷해지기 시작 하고, 엉덩이둘레와 더불어 성장하면서 11~12세에 체 간부의 굴곡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 허리관련 수 평크기 항목은 12세에 성장이 둔화되었다.

    청소년 여학생의 체형분류를 살펴보면, Lee and Hahm(2001)의 연구에서는 16~18세 여학생의 체형을 3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 1의 경우, 높이항목은 평 균 크기가 중간크기이지만 3유형 중 체중, 둘레, 너비, 두께, 길이항목은 평균 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비만적 요소를 포함하므로 평균 키에 매우 뚱뚱한 체 형이다. 유형 2는 높이, 체중, 둘레, 너비, 길이 항목 모두에서 평균크기가 3유형 중에서 가장 낮은 평균값 을 나타내는 작은 키에 마른 체형이다. 유형 3의 경우, 높이항목은 3유형 중에서 가장 높고, 둘레, 너비, 두 께, 상반신의 길이 항목은 중간크기로 큰 키에 평균 체형으로 유형화하였다. Lee, Yun, and Cho(1997)는 12~14세 청소년 여학생의 체형을 4개의 유형으로 분 류하였다. 유형 1은 엉덩이 형태가 비교적 발달한 유 형이었으며, 유형 2는 신체 길이에 관한 요인이 작은 체형이었다. 유형 3은 가장 평균적인 체형이었고, 유 형 4는 비만에 관한 요인과 엉덩이 형태에 관한 요인 이 다른 요인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외형상 비만 집 단이었다.

    이상과 같이 청소년 여학생은 유방과 둔부의 발달 이 두드러지면서 신체상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신체변화가 급격 한 청소년 전기(Cha, 2005; Choi, 2004; Choi & Chun, 2014; Jeong & Suh 2005; Kim, 2016; Lee, 1999)와 트윈세대(Choi, 2004; Hur, 2005; Kook, 2013)에 그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 후기에 초점을 맞추어 성인과는 다른 청소년 체형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함으로써 맞 음새가 우수한 의복패턴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Ⅲ.Methods

    1.Research age

    본 연구는 Size Korea에서 실시한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자료(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중 만 17~19세에 해당하는 청소 년 여성을 연구대상자로 578명의 인체 측정자료를 분 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7세 204명(35.3%), 18세 221명(38.2%), 19세 153명(26.5%)으로 구성되었다 (Table 1).

    2.Research item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분석을 위해 사용된 인 체 측정항목은 높이 10항목, 너비 6항목, 두께 7항목, 길이 24항목, 둘레 12항목, 기타로 몸무게, 오른쪽어 깨기울기, 왼쪽어깨기울기 3항목으로 총 62항목이다. 연구대상의 인체치수 측정항목은 <Table 2>와 같다.

    3.Data process and analysis method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17~19세 청소년 후기 여학 생의 신체 측정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다. 신체 측정치의 평균과 표준편차 를 산출하고, 연령별 신체측정 항목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F-test)과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신체 측정 항목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신체 구성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요인 부하량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체형을 분류하였다. 신체 요인별 측정 항목이 체형에 따라 차 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였다. 분류한 체형을 Type별로 연구 및 업체의 활용 도가 높은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virtual model을 제시하였다.

    Ⅳ.Result and Discussion

    1.Measurements of female student’s body the late adolescent

    17~19세의 청소년 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체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 측정치 62항목을 분석한 결과, 평균 키는 159.83cm이었으며, 평균 몸무게는 56.17kg이었다. 가슴둘레는 85.57cm, 허리둘레 71.93 cm, 엉덩이둘레 93.33cm, 젖꼭지사이수평길이 17. 43cm로 나타났다.

    신체측정치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15 개 신체 측정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able 3). 측정항목 중 배꼽수준허리너비와 몸통수직길이, 앞중심길이, 배꼽수준앞중심길이, 배돌출점기준엉덩 이둘레, 몸통세로둘레는 18세가 17세에 비해서 넓고 긴 것으로 나타났고, 배꼽수준허리두께, 목둘레, 배꼽 수준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는 18세가 17세와 19세에 비해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등길이, 배꼽수 준등길이, 목뒤젖꼭지허리둘레선길이, 목옆허리둘레 선길이는 18세와 19세가 17세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 났다(Table 4). 이는 전반적으로 신체의 수직적 성장 이 먼저 이루어지고, 수평적 성장이 그 이후에 이루어 지는(Jeong & Suh, 2005) 청소년기의 성장 특성이 반 영된 결과로 생각된다. 다른 신체 측정항목에 있어서 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Analysis of body measurement item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신체 측정 항목의 구성 요인 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요인 추출은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회전은 직교회전인 Varimax방법을 사용하였다. 몸무게를 제외한 61개 신체 측정 항목에 대한 요인분 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낮거나 두 개 이상 요인에 높 은 적재량을 보이는 21개 측정 항목을 제거하고, 40개 측정 항목 6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전체 설명 변량은 79.48%로 나타났다.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신체 측정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요인 1은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리두께, 가슴둘 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너비, 젖가슴두께, 젖가슴너 비, 배둘레, 엉덩이두께, 가슴두께, 겨드랑둘레, 겨드 랑두께, 엉덩이둘레, 가슴너비, 목둘레, 엉덩이너비, 목밑둘레 등의 항목들이 높은 부하량을 보여 ‘신체 크 기’관련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34.97% 를 설명하고 있다.

    요인 2는 어깨가쪽높이, 겨드랑높이, 목뒤높이, 허 리높이, 키, 배꼽수준허리높이, 총길이, 엉덩이높이 등 의 항목들이 높은 부하량을 보여 ‘신체 높이’관련 요 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20.24%를 설명하 고 있다.

    요인 3은 어깨가쪽사이길이, 어깨길이, 겨드랑뒤벽 사이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어깨사이길이, 어깨너 비 등의 항목들이 높은 부하량을 보여 ‘어깨길이 및 품’관련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9.11% 를 설명하고 있다.

    요인 4는 앞중심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등길이 등의 항목이 높은 부하량을 보여 ‘상반신길이’ 관련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5.80%를 설명하 고 있다.

    요인 5는 엉덩이수직길이, 샅앞뒤길이, 엉덩이옆길 이 등의 항목들이 높은 부하량을 보여 ‘엉덩이길이’ 관련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5.16%를 설명하고 있다.

    요인 6은 오른쪽어깨기울기, 왼쪽어깨기울기 등의 항목들이 높은 부하량을 보여 ‘어깨기울기’ 관련 요인 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4.20%를 설명하고 있다.

    Lee et al.(1997)의 연구에서도 신체의 비만을 나타 내는 횡적요인, 신체의 높이를 나타내는 종적요인, 상 반신 품 요인, 엉덩이형태 등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 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수평적 크기, 수직적 크기, 상반신 형태 및 품 관련 요인, 엉덩이형태 요인 등이 공통적으로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Lee and Hahm(2001)은 수평적 크기, 수직적 크기, 상반신 전체의 형태, 엉덩이부분, 어깨각도, 뒤 어깨 등 6개의 요인으로 분석하였고, Lee and Hahm(2001) 의 연구에서는 16~18세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을 ‘평균 키에 매우 비만한 체형’, ‘작은 키에 마른 체형’, ‘큰 키에 평균 체형’의 3유형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와 는 차이를 나타냈다. Jeong and Suh(2005)는 키가 작 고 마른 체형으로 젖가슴이 발달되지 않았으며, 배는 앞으로 내밀고 있는 아동 후기의 체형이 남아 있고, 측 면은 표준형인 A유형, 가슴과 엉덩이 발달이 이루어 져 신체 굴곡이 가장 뚜렷한 표준체형인 X유형, 가장 비만한 체형으로 젖가슴은 발달되었으나 허리와 엉덩 이에 굴곡이 적은 굴신 체형인 H유형 등 3유형으로 분 류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키와 비만 정도에 따라 체 형을 구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어깨, 엉덩이 요인 이 첨가되어 좀 더 세분화하여 체형을 분류하였다.

    3.Female student’s body shape of the late adolescent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신체 측정치를 군집분석을 통해 4개의 체형으로 분석하였다(Table 6). 청소년 후 기 여학생의 체형별 신체 요인의 측정항목을 구체적 으로 비교한 결과와 요인별로 3D virtual model의 사 이즈는 <Table 7>과 같다.

    체형 1(n=208)은 신체높이 요인이 가장 높고, 상반 신 길이와 엉덩이길이 요인이 낮은 체형으로 신체 측 정 요인별 측정항목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신체크기 요인에서는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리 두께, 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너비, 젖가슴두 께, 젖가슴너비, 배둘레, 엉덩이두께, 가슴두께, 겨드 랑둘레, 겨드랑두께, 엉덩이둘레, 가슴너비, 목둘레, 목밑둘레 항목은 두 번째로 큰 값을 가지며, 엉덩이너 비는 세 번째로 큰 값을 갖는 집단이다. 신체 높이요 인에서는 어깨가쪽높이, 겨드랑높이, 목뒤높이, 허리 높이, 키, 배꼽수준허리높이, 총길이, 엉덩이높이 모두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어깨길이 및 품 요인에서는 어깨가쪽사이길이, 어깨길이, 겨드 랑앞벽사이길이는 세 번째로 길었고, 겨드랑뒤벽사이 길이, 어깨사이길이, 어깨너비는 두 번째로 큰 값을 갖는 집단이다. 상반신길이 요인에서는 앞중심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등길이 모두 세 번째로 긴 것으 로 나타났다. 엉덩이길이 요인에서 엉덩이수직길이와 엉덩이옆길이가 세 번째로 길었으며, 샅앞뒤길이는 두 번째로 큰 값을 나타냈다. 어깨기울기는 오른쪽어 깨기울기와 왼쪽어깨기울기 모두 두 번째로 큰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을 가진 체형 1은 ‘키다리 긴 하반신 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체형 2(n=129)는 엉덩이길이와 어깨기울기 요인이 높고, 신체 크기, 신체 높이, 어깨길이 및 품 요인이 낮은 체형으로 신체 측정 요인별 측정항목의 주요 특 징은 다음과 같다.

    신체크기 요인에서는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리 두께, 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너비, 젖가슴두 께, 젖가슴너비, 배둘레, 엉덩이두께, 가슴두께, 겨드 랑둘레, 겨드랑두께, 엉덩이둘레, 가슴너비, 목둘레, 목밑둘레, 엉덩이너비 모두 가장 낮은 값을 가지는 집 단으로 나타났고, 목밑둘레는 세 번째로 낮은 값을 보 여 전반적으로 신체크기가 가장 작은 집단으로 나타 났다. 신체높이 요인에서는 어깨가쪽높이, 겨드랑높 이, 목뒤높이, 허리높이, 키, 배꼽수준허리높이, 총길 이, 엉덩이높이 모두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집단이 다. 어깨길이 및 품 요인에서는 어깨가쪽사이길이, 어 깨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어 깨사이길이, 어깨너비 모두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집 단이다. 상반신길이 요인에서는 앞중심길이, 목옆허 리둘레선길이, 등길이 모두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집 단으로 나타났다. 엉덩이길이 요인에서 엉덩이수직길 이와 엉덩이옆길이가 두 번째로 긴 집단으로 나타났 다. 어깨기울기는 오른쪽어깨기울기와 왼쪽어깨기울 기 모두 가장 큰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체형 2는 ‘좁 은 어깨 마른 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체형 3(n=94)은 신체 크기와 어깨길이 및 품, 엉덩 이길이 요인이 높고, 신체 높이 요인은 다소 낮은 체 형으로, 신체 측정 요인별 측정항목의 주요 특징은 다 음과 같다.

    신체크기 요인에서는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리 두께, 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너비, 젖가슴두 께, 젖가슴너비, 배둘레, 엉덩이두께, 가슴두께, 겨드 랑둘레, 겨드랑두께, 엉덩이둘레, 가슴너비, 목둘레, 엉덩이너비, 목밑둘레 모두 가장 큰 값을 보여 신체크 기가 가장 큰 집단이다. 신체높이 요인에서는 어깨가 쪽높이, 겨드랑높이, 목뒤높이, 키, 총길이, 엉덩이높 이는 두 번째로 큰 값을 가지는 집단으로 허리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덩이 높이는 세 번째로 큰 값을 가지는 집단이다. 어깨길이 및 품 요인에서는 어깨가 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 이, 어깨사이길이, 어깨너비 모두 가장 큰 값을, 어깨 길이는 두 번째로 큰 값을 가진 집단으로 나타나 전반 적으로 어깨길이 및 품이 가장 큰 집단이다. 상반신길 이 요인에서는 앞중심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등 길이 모두 두 번째로 큰 값을 가지는 집단으로 나타났 다. 엉덩이길이 요인에서 엉덩이수직길이, 샅앞뒤길 이, 엉덩이옆길이 모두 가장 긴 값을 가지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어깨기울기는 오른쪽어깨기울기와 왼쪽어 깨기울기가 두 번째로 큰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체형 3은 ‘처진 엉덩이 비만 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체형 4(n=147)는 상반신 길이 요인이 높고 신체크 기와 어깨기울기 요인이 낮은 체형으로, 신체 측정 요 인별 측정 항목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신체크기 요인은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너비, 젖가슴너비, 배둘레, 엉덩 이두께, 가슴두께, 겨드랑둘레, 겨드랑두께, 목밑둘레, 엉덩이너비, 목밑둘레는 두 번째로 큰 값을 보였고, 허리두께와 젖가슴두께, 목밑둘레는 가장 낮은 값을, 엉덩이둘레, 가슴너비, 목둘레는 세 번째로 낮은 값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신체높이 요인에서 어깨 가쪽높이, 겨드랑높이, 목뒤높이, 키, 총길이는 가장 큰 값을, 허리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덩이높이는 두 번째로 큰 값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나 대체로 신 체 높이가 비교적 큰 값을 갖는 집단이었다. 어깨길이 및 품 요인에서 어깨길이는 가장 큰 값을, 어깨가쪽사 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는 두 번째로 큰 값을, 어깨사이길이, 어깨너비는 세 번 째로 큰 값을 가지는 집단이다. 상반신길이 요인에서 는 앞중심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등길이가 모두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엉덩이길이 요인에서 엉덩이수직길이는 가장 낮은 값을, 샅앞뒤 길이와 엉덩이옆길이는 두 번째인 집단으로 나타났 다. 어깨기울기는 오른쪽어깨기울기와 왼쪽어깨기울 기 모두 가장 낮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체형 4는 ‘처진 어깨 긴 상반신 체형’으로 명명하였다. <Table 7> 에서 3D virtual model의 치수와 신체치수와의 차이를 비교하고, 가슴부위의 둘레와 높이 항목을 조절하여 치수의 편차 범위에서 모델치수를 생성하여 3D virtual model을 〈Fig. 1>에 제시하였다.

    Ⅴ.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Size Korea의 제 7차 사이즈 데이터 를 활용하여 성장이 어느 정도 완성되어 가는 단계이 지만 성인의 체형과는 구분되는 17~19세의 인체치수 를 분석하여,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 특성을 분석 하고 체형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청소년 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복패턴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19세의 청소년 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체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 측정치 62항목을 분 석한 결과, 평균 키는 159.83cm이었으며, 평균 몸무 게는 56.17kg이었다. 가슴둘레는 85.57cm, 허리둘레 71.93cm, 엉덩이둘레 93.33cm, 젖꼭지사이수평길이 17.43cm로 나타났다. 등길이, 배꼽수준등길이, 목뒤 젖꼭지허리둘레선길이, 목옆허리둘레선길이 등 길이항 목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레와 두께항목은 18세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신체 측정 항목에 대 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은 신체크기, 신체높이, 어깨 길이 및 품, 상반신길이, 엉덩이길이, 어깨기울기 관 련 요인 등 총 6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신체크기 는 수평적 크기 요인, 신체높이는 수직적 크기 요인, 어깨길이 및 품은 상반신 전체의 형태, 엉덩이길이는 엉덩이부분, 어깨기울기는 어깨각도 요인과 부합하여 비슷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6개 요인의 적재량 을 이용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 후 기 여학생의 체형을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체 형 1은 신체높이 요인이 가장 높고, 상반신길이와 엉 덩이길이 요인이 낮은 ‘키다리 긴 하반신 체형’으로 분석되었다. 체형 2는 엉덩이길이와 어깨기울기 요인 이 높고, 신체크기, 신체높이, 어깨길이 및 품 요인이 낮은 ‘좁은 어깨 마른 체형’으로, 체형 3은 신체크기 와 어깨길이 및 품, 엉덩이길이 요인이 높고 신체높이 요인은 다소 낮은 ‘처진 엉덩이 비만 체형’으로 나타 났다. 체형 4는 상반신길이 요인이 높고 신체크기와 어깨기울기 요인이 낮은 ‘처진 어깨 긴 상반신 체형’ 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깨, 엉덩이 요인 등이 첨가되어 좀 더 세분화된 체형분류가 이루어졌다. 각각의 유형 에 따라 체형의 형태가 다르므로 마른 체형의 경우는 어깨너비 설정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 며, 비만 체형의 경우에는 엉덩이길이 설정 시 표준 체형의 청소년 후기 여학생과는 차이를 두어야 할 것 으로 생각된다. 패턴 제작 시 신체의 둘레 치수뿐만 아니라, 어깨너비, 어깨기울기, 엉덩이길이 등과 같은 세부 항목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 패턴제작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한 청소년 후기 여학생 체형의 유형별 특징을 반영하여 도출한 3차원 인체형상자료와 체형 분류의 결과는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 특성에 적 합한 의복 패턴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후속 연구로 청소년 후기 여 학생을 위한 의복패턴 설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RJCC-26-95_F1.gif

    3D body types of late adolescent female students

    Table

    Age distribution

    Measurement area

    Late adolescent female student’s body measurements by age (Unit: cm)

    *p<.05,
    **p<.01,
    ***p<.001
    ※Different letters mean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ncan test: a>b

    Body measurements of late adolescent female students (Unit: cm)

    The factor analysis of body measurement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body measurements

    Comparison of measurements by body types & 3D virtual model size

    B.: Breadth, C.: Circumference, D.:Depth, H.:Height, L.: Length, N.:Natural Indentation
    **p<.01,
    ***p<.001
    ※Different letters mean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ncan test: a>b>c>d.

    Reference

    1. ChaS.J. (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brassiere wearing for girl student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brassier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 ChoiS-Y. (2004) The design of bodice original form for tween generation juveni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3. ChoiS.-Y. ChunJ. S. (2014) A study on the varia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dolescent girls’ breast growth based on 3D body measurements: Focused on the ages from 13 to 18.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6) ; pp.943-954
    4. ChoiY.L. (2017) A basic study for brassiere size system on the women ?(tm)s body shape changing on the growth.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18 (4) ; pp.417-427
    5. HurN.K.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rso pattern for the schoolgirl of a tween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6. JangH.S. (2013)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Pakyoungsa,
    7. JeongH-Y. SuhM-A. (2005)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early adolescent girls.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3 (3) ; pp.329-343
    8. KimD.K. (2016) Analysis of adolescent girls’ body maturity trend & comparison of the bodice pattern fit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9. KimD. K. ChunJ. S. (2016) Adolescent girls’ bodice pattern fit using the 3-dimensional virtual clothing system.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4 (3) ; pp.279-292
    10. KimH.K. KwonS.H. SuhC.Y. (1994) Development of the dress form for high school girls through analyzing somatotyp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8 (1) ; pp.130-139
    11. KohA.R. JinB.H. ShimJ.E. (2000)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female adolescent ?(tm)s clothing behaviors: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ge and resid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4 (4) ; pp.475-486
    12. KookY.J. (2013) A study on somat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tween generation girls: Focused on the ages from 8 to 14.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1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http://sizekorea.kr/page/report/1
    14. LeeH-J. HahmO-S. (2001) The vari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matotype of female students aged from 12 to 18 in their growth period (Part I).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9 (2) ; pp.319-332
    15. LeeJ-S. YunJ-H. ChoY-C. (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trend of bo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izing system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niforms.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5 (3) ; pp.159-175
    16. LeeY.S. (1999) Changes of somatotypes and body proportions in Korean youths. , Korean J. Phys. Anthropol., Vol.12 (1) ; pp.175-186
    17. YoonH.Y. JeongS.J. (2013) A study on the learning needs of clothing and textiles according to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onlin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adolescen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9 (1) ; pp.362-373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