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4 pp.619-631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4.619

Clothing educ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ecialized high schools

Hye-Ja Yoo, Young-Suk L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won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ysuklee@seowon.ac.kr)
June 12, 2014 August 21, 2014 August 27, 2014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direction to be followed by the clothing departments of Korea’s specialized high schools in order to help achieve high levels of job placements and to strengthen their students’ competitiveness. A comparison was made of the curricula in Korea’s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n several fashion schools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Italy, France, Taiwan, and Japan. To this end, publicly available educational records were retrieved from domestic school documentation, vocational high school portals, and domestic/overseas school web sites, and were then reviewed. The archival data extracted from these sources shows that the curricula of the three chosen domestic schools uniformly focus on foundational courses such as general computer skills, general design, accounting principles, design principles, and drawing, as well as practical courses such as the design of western clothing, fashion design, fashion CAD, management of clothing material, design of Korean clothing, and knitting. Unlike these standardized courses, it was found that overseas fashion schools provide a more technically-advanced and design-focused education based on the interests of the individual student. Moreover, their education system nurtures th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adequate field experience and history/language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find a way to accommodate their students’ interests and to provide them with personalized fashion education by adopting a more flexible curriculum. An educational line that considers the individual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 will help foster creativity and novel ideas, which, in turn,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국내외 의상 관련 고등학교의 교과교육 비교

유 혜자, 이 영숙†
서원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2014년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서 발간한 섬유통 계 자료(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14) 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섬유패션산업은 제조업 전 체의 12.5%로 작년에 비해 3.2% 감소했으며 고용 인력은 제조업 전체의 8.2%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 로 집계되었다. 반면, 섬유류 수출은 전년 대비 2.3% 상승해서 제조업 내 19.5%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섬유패션산업의 발전을 지속하려 면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간 패션 산 업의 발전과 더불어 패션과 관련된 특화된 직종들 이 많이 생겨났으며 젊고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하 게 되었다. 일찍이 대학의 의상 관련학과에서 많은 전문 인력들이 배출되어 패션산업 현장에서 활동 하고 있으며 보다 젊고 창의적인 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계 고등학교에도 의상 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고등학교 졸업 후 대부분이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여 고등학교의 의상과의 설립 취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 실이다.

    전문계 고등학교는 설립 당시 실업계 고등학교 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는데, 집안 사정이 어렵거 나 공부에 흥미가 없어 대학진학을 포기한 학생들 이 간다는 인식으로 왜곡되면서 실업계 고등학교 가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자 교육인적자원부는 2007년 4월 전문계 고등학교로 명칭을 변경하고 전 문화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직업 교육을 강화하 였다. 이를 계기로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을 추구하 고 있으며, 다양한 과목 개설을 통해 계열구분 없 이 선택의 폭을 넓히고 개인차에 따른 교육기회를 제공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1998 년 3월 공포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의거해서 운 영되는 고등학교의 한 형태로 넓게 보면 실업계 고 등학교의 한 유형이며, 전문계 고등학교보다 좀더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직업교육을 실시하여 우수 한 기능과 능력을 갖춘 전문인의 양성에 있다. 그 러나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른 직업 세계의 변화 와 경제 성장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학력을 우선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심화되어 직업 선택 보다는 진학에 대한 진로 선택이 늘어나는 상황이 다(Gong, 2011).

    대학 진학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사회분위기를 변화시키고 학생들의 취업 의지를 높이기 위해서 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의 문제점을 찾아 내어 개선하고 보다 전문화시킴으로써 전공에 대 한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취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 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ee and Shin(2002)이 전 문계 고등학교 의상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 로 의상과 교육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한 결과 고등학교 의상과 선택의 동기는 ‘적 성과 소질’이 가장 높았고, 내신 성적, 동일 계열 대학 진학, 취업의 가능성, 부모, 선생님, 주변의 권유, 가정의 경제사정 등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 였다. 학생들이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적성에 맞지 않아서, 의상과 특성 상 맞는 수업 운영의 부족, 교과과정의 획일성, 교 사 전공의 비전문성, 교과목의 방향성 미흡, 산업 체와의 연계 부족 등으로 조사되었다(Cho, 2008). 남들보다 빠른 취업을 원하거나 전문적인 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이 주로 전문계 고등학교를 선택하 게 되지만 고학력, 고학벌을 원하는 우리의 현실 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도 취업보다는 진학에 비중을 두고 있어 실제로 진학을 하는 학생이 80% 에 이르고 있다(Na, 2011).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교육을 원해서 입학한 경우에도 시설이나 교육내 용의 전문성이 학생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 여전 히 취업 중심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보다는 대학입시의 한 발판으로써의 교육으로 자리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16개 의상과가 개설되어 있는 특 성화 고등학교들 중 의상패션디자인과, 패션제품디 자인과, 패션비즈니스과의 3개의 의상관련학과(549 명)를 운영하고 있어 규모가 가장 큰 세그루패션고 등학교(Segeuru Fashion Design High School)와 안 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Ansan Design Culture High School) 섬유패션디자인과(218명)와 울산생활과학 고등학교(Ulsan Living Science High School) 의상디 자인과(194명)의 전공 교과목을 검토하고 세계섬 유강국인 미국, 이탈리아와 프랑스, 그리고 우리나 라와의 섬유교역 경쟁국인 아시아의 일본, 대만 등 의 의상계 고등학교들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비 교하였다. 국내 학교알리미 웹사이트에서 각 특성 화 고등학교의 2013년도의 학생현황 및 교육활동 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의 홈페이지에서 학생과 교 원 현황과 개설 교과목 등을 조사하였다. 외국의 고등학교 패션 교육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취업 강 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에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체제를 검토해보 고자 하였다.

    II.The Current State and Curriculum of Domestic Specialized High Schools

    1.Current state

    우리나라 의상과 교육은 개화기 이후 가정과 교 육과 함께 시작되었다. 1886년 이화학당에서 가정 과 교육을 시작으로 하여 2013년 현재 16개의 의 상과가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전 문직업인의 양성을 위한 가정과 교육이 시작된 것 은 1958년 문교부령 제76호에 의해 가정계 고등학 교 교육과정을 마련하면서부터였고 이 교육과정은 그 후 가사 실업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으로 명칭 을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Yoon et al., 2004). Yoo and Chung(2010)은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통해 1994년에는 성동여 자실업고등학교,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한독여자 실업고등학교, 춘천여자실업고등학교, 풍명여자실 업고등학교의 5개 학교에서 의상과가 운영되었고 2009년에는 15개 학교에서 운영되어 특성화 고등 학교에 의상학과 개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보 고하였다.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여 1994년도에 5 개 학교에 35개 학급이던 의상과가 2013년도에는 16개 학교에서 101개 학급의 의상과가 운영되고 있었다. 2009년 이후에 명칭과 체제가 특성화 고등 학교로 전환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는 세그루패션디 자인고등학교로, 춘천실업고등학교는 춘천한샘고등 학교로, 성동여자실업고등학교는 성동글로벌경영고 등학교로, 안산여자정보고등학교는 안산디자인문 화고등학교로 각각 교명을 변경하였다. 학과 명칭 도 의상과(Dept. of Clothing)뿐 아니라 패션디자인 과(Dept. of Fashion Design), 의상디자인과(Dept. of Clothing Design), 의상예술과(Dept. of Clothing Art), 섬유패션디자인과(Dept. of Textiles & Fashion Design), 글로벌패션과(Dept. of Global Fashion) 등 다양하게 변경되었다.

    2013년 현재 의상 관련학과가 운영되고 있는 16 개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수는 2,868명이고 교사수 는 105명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시는 4개 학교에서 33개 학급, 인천시는 3개 학교에서 14개 학급을, 부산시는 2개 학교에서 8학급의 의상 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 대전시, 울 산시, 강원도,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이 각각 1개 교씩 있다(KERIS, 2013). 의상계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규모는 차이가 커서, 작게는 학년 당 1개 학급(69명), 많게는 학년당 7개 학급(549명) 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2.Curriculum

    (Table 1)은 의상 관련학과가 있는 특성화 고 등학교 중 학생수가 많은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 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 학교의 3개 학교에 대해 학과와 교과목을 나타낸 것이다.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2013)는 의상 패션디자인과, 패션제품디자인과, 패션비즈니스과 가 운영되고 있으며,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2013) 에는 패션섬유디자인과,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2013) 에는 의상디자인과가 운영되고 있다. 세그루패션 디자인고등학교 의상패션디자인과는 안산디자인 문화고등학교의 패션섬유디자인과나 울산생활과학 고등학교의 의상디자인과는 전공 교과목들이 서양 의복구성, 한국의복구성, 패션디자인, 의복재료∙관 리, 컴퓨터 그래픽 등 대부분 비슷했다. 학교알리미 (KERIS, 2013)에 나타난 학년별 교육내용에 의하 면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와 울산생활과학고등 학교는 서양의복구성과 패션디자인 과목을 입학 때 부터 3년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있었으며 전공 교 과가 14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세그루패션디 자인고의 패션제품디자인과는 컴퓨터그래픽과 디자 인을, 패션비즈니스과는 전산회계, 사무관리, 패션 마케팅을 중점적으로 교육함으로써 섬유패션산업 의 분야를 세분화해서 보다 특화된 교육을 지향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산문화디자인고등 학교는 1학년에는 전공과목이 ‘조형’ 한 과목이고, 2학년에는 한국서양의복구성을 비롯한 3과목을, 3 학년에는 패션디자인을 비롯한 4과목을 운영하고 있어, 다른 두 학교에 비해 전공 교과에 대한 비중 이 낮았다.

    III.Education Systems and Curriculums of Clothing Departments of Foreign High Schools

    1.Fashion education of high schools in U.S.A

    미국의 경우 고등학교에서의 패션 관련 교육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패션을 전문적으 로 공부하는 패션고등학교에서 교육하기도 하고, 일반 고등학교에서 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패션 교 과목을 필수로 가르치기도 한다. 또한 패션 관련 학과를 가지고 있는 대학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대학(pre-college) 프로그램 운영으로 4~6주 동안 패션 관련 내용을 교육받을 기회를 제 공하는 방법도 있으며,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공 모전을 개최하고 시상함으로써 패션과 관련해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는 패션고등학교 및 일반고등학교, 예비대학 프로 그램, 공모전 개최의 3가지 유형에 대해 조사, 검토 하였다.

    1)Fash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미국 뉴욕에 위치하고 있는 The High School of Fashion Industries(2014)는 전문적인 기술과 패션 산 업의 각 영역에서 디자이너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기술적, 예술적 방법으로 교육하는 것을 목 표로 하고 있다. 이 학교의 교육과정은 패션관련 과목 뿐 아니라 대학 진학에 필요한 교과목도 아 울러 이수하도록 하여 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이나 대학진학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도록 선택의 가능성을 넓혀 주고 있다. 디자이너와 패 션산업의 현장 관계자들이 학교와 밀접한 연계를 맺어 학생들에게 상담이나 지도를 하기도 하고 학 생들의 실기교사 역할도 하고 있다. 이 학교를 자 매학교로 채택한 대형 패션회사에서는 학생들에 게 장학금을 주고 학생들의 교육에 필요한 자료 제공과 후원으로 많은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역 할을 하고 있으며 취업의 기회도 주고 있다. 패션 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은 9학년에 패션 디자인을 입 문하는 과정으로 컴퓨터 그래픽, 재봉틀과 손바느 질을 실습하며 10학년에는 기초 패션디자인 1, 2 를 통하여 재봉틀과 손바느질로 아동복과 복잡한 의복들을 직접 제작해 본 후 진로와 취업을 결정 하게 한다. 11학년의 패션 아트 1, 2에서는 아이디 어를 스케치로 표현하는 방법과 자신의 디자인을 스케치하고 채색하는 방법을 연습한다. 패턴 제작 1과 2에서는 디자인을 패턴으로 만든 후 의복을 제작한다. 드레이핑 1, 2에서는 머슬린으로 디자 인을 창조하는 방법을 익히고 디자인한 의복을 제 작한다. 12학년에는 고급 드레이핑 1과 2를 학습 하는데 복잡한 드레이핑 기술을 이용하여 여성복 을 제작하며 고급 패턴 제작 1, 2에서는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속옷 등으로 세분화하여 패턴과 봉제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마지막 학년인 12 학년의 고급 패션 아트에서는 패션쇼를 위한 작품 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마감한다.

    High School of Art and Design(2014)은 1936년에 설립된 디자인 예술고등학교로서 현재 뉴욕 맨하 튼 56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Calvin Klein과 Marc Jacobs 등 유명한 fashion designer, fashion illustrator, fashion photographer들을 배출한 학교이다. Art and Architecture 전공 영역, Fashion and Costume Design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3년간 이수하도록 한다. 1년차에는 Fashion Design 1과 Computer Arts Technology 1을 선수 과목으로 1학점씩 부여하고 2학기 에는 심화된 과정으로 Fashion Design 2와 Computer Arts Technology 2를 1 학점으로 4학점을 취득하게 한다. 2년차의 1학기와 2학기에 Fashion Design 3과 Fashion Design 4를 각각 2학점씩 4학점을, 3년차에 는 Fashion Design 5와 Fashion Design 6을 2학점씩 부여하여 전체적으로 12학점의 과정을 통하여 전 문 영역을 학습하면서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직업 분 야를 준비하게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위치한 Adrian C. Wilcox High School(2013)의 교육 목적은 모든 학 생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고 변화하는 세계 에서 성공할 수 있는 시민이 되게 하는 것이다. 공 통 교과 과정으로는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세계사, 미국역사, 과학, 외국어, 체육, 시각 또는 공연 예술 및 실용 예술로 9학년에서 12학년의 과정 중 패션 디자인에 관련된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1년 차에 는 학생들에게 우리가 무엇을 입고, 왜 그것을 입 는지, 누가 스타일을 창조하며, 어떻게 제작되는지 를 소개함으로써 패션의 세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기계와 손바느질, 패션의 역사, 디자인 요소와 원 리, 의류 소재, 의복 구성 기술, 패션 스케치, 패션 산업과 구직 기술 등을 학습한 후. 교사가 부여한 과제를 수행하여 학년 말에 패션쇼로 평가를 받는 다. 2년 차에는 패션 세계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 득하며 산업체에서 생산되는 방법으로 4벌의 의복 을 제작한다. 텍스타일에 종류, 가공, 장식 등에 대 하여 연구하고 여러 과제에 집중시켜 감각을 익힌 다. 드레이핑, 패턴 제작, 마케팅, 머천다이징을 학 습하며 패션쇼로 평가 받는다. 3년 차에는 학생들 이 주어진 스타일 컨셉에 따라 5벌을 디자인한 후 소재를 선정하고 패턴을 제작하여 완성하거나 패 션의 역사에 관련해서 주제를 정하고 이에 대해 집 중해서 연구하고 발표한다.

    Albany High School(2013)은 일반 고등학교로서 예술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 졸업 필수조건으로 예술분야 14개의 과목 중에서 반드시 1과목을 선택 하여야 한다. 예술 분야는 시각예술, 건축, 도자기, 순수 예술, 미디어 예술 등 5개 분야이며 미디어 예 술 분야에 기초 과목으로 9~12학년에게 Design and Drawing for Production 과목이 1학점, 10~12학년의 학생에게는 Fashion Illustration and Costume Design 과목이 2학점 부여된다. 예술 분야에 관심이 많고 그 분야로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포 트폴리오 개발에 관한 수업을 진행한다.

    Paramus High School(2013)은 뉴저지에 위치하 며 8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Creative Arts 분야의 일부분인 의류관련 과목은 매우 다양하였 다. 9~12학년에게는 의복 구성 1, 2를 통하여 의복 의 선택, 패션에 관한 지식, 의복의 스타일과 부분, 계측과 체형, 패턴의 선택, 패턴 피팅, 직물의 선택, 재봉틀, 구성 기술 등을 익힌다. 9~12학년에서는 Fashion Design 과목을 통하여 옷을 입는 이유, 패 션에 대한 지식, 패션의 발전, 의복의 스타일과 부 분, 색상의 요소, 디자인의 원리, 직물의 구성과 가 공, 섬유와 실, 패턴의 선택과 구성, 어패럴 산업 등 에 관한 수업을 진행하여 9학년에 기초적인 것을 수학한 후 10학년 이상에서는 더 정교한 작업을 통 하여 작품을 완성하게 한다. 평가 방법 과제로는 포트폴리오, 퀴즈와 시험이 진행된다.

    2)Pre-College workshop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퍠션디자인을 위한 예비 대학 프로그램은 디자이너를 열망하는 학생들에게 대학의 학점을 받을 수 있는 기회와 그 과정을 통 하여 스케치, 패턴 제작, 바느질에 대한 기술을 익 힐 수 있다.

    Syracuse University의 고등학생을 위한 여름 강 좌(Summer College Program, 2013)는 대학에서 6주 동안 드로잉과 구성 기술에 대한 배울 수 있는 기 회를 제공 받음과 동시에 대학에 진학했을 경우 6 학점을 받을 수 있다.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학 생은 패션 매거진을 연구하여 스스로 개발한 패션 관련제품이나 액세서리 디자인을 포트폴리오로 프 로그램에 응시해야 하며 1주일 동안 컴퓨터실에서 패브릭 디자인을 배울 수도 있다.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의 고등학생들을 위한 Program(High School Program, 2013)은 9~12 학년 재학생에게 참여가 국한되며 학기 중 주말과 여름 방학 동안에 개설된다. 패션 디자인 코스는 바느질, 자수, 디자인 테크닉과 모델 드로잉 등이 포함된다. 참가자는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의 사 용법을 배워 패턴 제작 시 활용한다.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의 예비대학 프로그 램(Pre-College Program, 2013)은 4주간의 여름 프 로그램이며, 미국의 전 지역과 외국에서 250여명의 고등학생들이 참여하며 오크랜드 캠퍼스에서 캠퍼 스 생활을 경험하며 포트폴리오를 전개하여 3학점 을 취득한다. 패션디자인 스튜디오 참석자들은 컨 셉으로부터 디자인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과 역사 적, 문화적 자료를 연구하여 패션 디자인에 적용시 키는 방법을 익혀 프로그램이 끝나면 자신의 작품 을 전시하고 평가 받는다.

    3)Fashion competition

    뉴욕주의 Cornell 대학에서 개최하고 있는‘Cornell Fashion Collective’는 고등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공 모전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2011년 27회로 개최된 이 공모전에서 1등은 Piedmont High School 2년차 학생이, 2등은 High School of Art and Design의 3년 차 학생이, 3등에는 High School of Art and Design 의 3년차 학생과 Albany High School 2년차 학생이 공동으로 수상하였다. 2012년 ‘Cornell Design Award Contest’에는 전 지역에서 우수한 150명이 참가하 여, 뉴저지에 위치한 Paramus High School 3년차 학 생이 1등을, High School of Art and Design 학생이 2등을, 워싱턴에 위치한 Gunnery High School 학생 이 3등을 각각 수상하였다(Cornell Fashion Collective, 2012).

    2.Fashion education of high schools in Italy

    이탈리아의 교육체제는 유치원 이후 대부분 공 립으로 초등학교 6세부터 11세까지 5년, 중학교 11 세부터 14세 3년의 의무교육을 실시하며, 고등학교 는 종류에 따라 3~5년제인데, 학년별 1년에 3번의 서술적인 평가를 받고 국가 관할 하의 졸업시험을 본다(Lee, 2009). 진학 시나 직업 선택 시 학생의 전 공하고자 하는 계열이 예술, 문과, 사회과학, 이과 의 4가지 계통으로 분리되어 있어 고등학교의 종류 가 다른 나라에 비해 세분화되어 있다.

    Di Setificio Paolo Carcano(2013)는 공립산업기술 학교로서 패션관련 학과로 섬유∙패션디자인과 패 션시스템 기술에 관련된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패션에 대해서 세분화하여 교육하고 있다. 학교 내 에는 CAD 섬유 연구실, 직물 연구실, 컴퓨터 실 등 의 실습실 확보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을 제공 하고 있으며, 디자인과 새로운 패션 섬유디자인을 위한 컬렉션을 구축하고, 다양한 섬유 생산을 위한 작업에 지원하고 마케팅과 연결하여 산업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담당교사의 전공은 실무경험 자와 의상담당교사로 구성되어 있어 보다 전문적 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학년부터 5학년까지 공통과목으로 이탈리아 언 어 및 문학, 영어, 역사, 수학, 체육교육과 스포츠, 종교가 있다. 기본적인 지식을 공통과목으로 개설 하여 학생들이 전공뿐 아니라 건강과 기본교양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 다. 1학년 때는 법률과 경제학, 지구과학 및 생물 학, 물리, 화학, 그래픽 표현기술 및 응용, CAD, 비 주얼 커뮤니케이션 및 예술사가, 2학년에는 기술과 응용을 제외한 1학년 과목에 섬유와 실험실 CAD 등 패션에 대한 창의적인 기술에 대한 교과목이 개 설되어 전공과목을 배우기 전에 필요한 지식위주 의 일반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실습시간이 포함되 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론위주의 교육이 아닌 실험 과 실습을 겸한 교육임을 확인할 수 있다. 1학년 때 배운 것을 기반으로 섬유와 패션에 기술을 적용하 여 창의력을 더해보는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3, 4 학년 때는 디자인과 기술 과목에서 패턴과 봉제를 학습하고 디자인과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텍스타일 디자인 및 CAD, 예술사 등의 과목을 통하여 섬유 디자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이 이루어지며 패션 스타일과정에서 디자인과 섬 유와의 관계를 CAD작업을 통하여 디자인을 창조 하도록 하고 있다. 졸업 후 학생들은 관련 분야로 원활하게 취업을 하고 있는데, 1990년대부터 졸업 후 대학으로 진학하는 졸업생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현재는 대략 70%의 학생이 졸업 후 대학 에서 고등교육을 계속 받고 있다. 학교는 꼬모 지 역의 생산 업체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 으며, 3학년을 마친 학생의 85%가 인턴과정을 갖 거나 이 지역 기업들과 연계된 산학협동 프로그램 에 참여한다. 학생들은 또한 자신들의 프로젝트와 작품으로 텍스타일 분야의 경시대회에 참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이 학교에서는 텍스타일, 패션 분야의 영국 대학들과 교환학생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학교에서는 기업과 연계한 인턴쉽을 진행하고 있으며 4학년 학생들은 여름방학 기간 동 안, 5학년 학생들은 학기 기간 중 기업에서 원하는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생산현장과 전문 분야의 분위기를 익힌다. 이탈리아의 세띠피치오 공립 산업기술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취업을 원하 는 학생은 졸업 즉시 취업이 보장된다. 졸업생은 주로 품질관리 담당자, 마케팅 전문가, creative 기 술자, creative artist 과정, web 그래픽 기술자, 패션 분야로 진출하게 된다(Di Setificio Paolo Carcano, 2013; Lee, 2009).

    3.Fashion education of high schools in France

    프랑스의 패션고등학교는 3년으로 운영되며 국 립과 사립 고등학교로 분류된다. Lycee Renaudeau de La Mode(2013) 패션고등학교 는 1학년 때 일반 과목으로 불어, 영어, 수학, 역사/지리, 과학, 체육, 철학, 경영/경제 등을 학습하며 2학년부터 전문영 역으로 창의성과 패션에 대한 개념을 위한 실습, 패션 모드, 섬유과학실험을, 3학년 때 디자인의 예 술적 표현, 예술과 문화 등을 학습한다.

    Lycee-Paul-Poiret(2013)는 국립패션고등학교이며 일반 수업의 외국어 영역에서 영어와 스페인어 중 선택이 가능하고 전문적인 수업으로 응용 예술, 예 술사와 복식사, 과학과 산업 기술에 관련된 수업을 받는다. 고등학교 3년 과정 중 16주는 회사에서 인 턴과정을 하도록 교과목으로 연결되어 있다.

    Albert de Mun Lycee Polyvalent(2013) 사립 고등 학교에서는 일반적인 과목의 수업은 타교와 비슷 하며 일반 과목과 전문 과목 수업이 각각 15~16시 간씩 진행되며 전문교과 내용은 예술문화, 응용예 술, 의류 실물 제작, 재료의 실험 등을 배운다.

    4.Fashion education of high schools in Japan

    일본의 고등학교를 통한 직업 교육은 정시제와 전공제, 단위제 등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정시제 고등학교는 정해진 시간에만 등교하여 배우는 제 도로 취업을 하고 있는 학생이 야간이나 하계, 동 계 등 일정하게 정해진 기간에만 학교에 나와 집중 학습을 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집에서 통신과 정이나 교사들의 순회지도에 의하여 학습하는 방 법을 채택하고 있다. 전공제 고등학교는 상위 단계 의 학교나 정규 학교와 다르게 매우 자유롭게 학습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어 매일 학교에 나가 는 것이 아니라 주당 몇 시간 학교에 등교하여 학 습하고 나머지는 취업을 한다. 단위제 고등학교는 학생 스스로 시간표를 작성하고, 자신의 학습계획 에 따라 필수 과목 이외에는 배우고 싶은 요일과 시간을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 여 학습할 수 있게 설계된 학교이다(Lim et al., 2005).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기초적이고 기 본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학교 교육을 마친 후에도 계속해서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획하 고 있다. 최근에는 중학교와 전문고등학교의 통합 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9). 사회 적 변화나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 여 고등학교 교육개혁의 목표를 개성화와 다양화에 두고 새로운 유형의 고등학교를 만들어 가고 있다.

    도쿄와 오오사카에서 운영하고 있는 반탄 디자 인고등학교의 패션과(Vantan Design High School, 2013)는 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1학년에서는 주제를 정해 패션 수업을 한 후 1분기에 1회 창작 작품 발표를, 디자인 기술에서는 아이디어 발상, 디 자인 기획, 기획서 작성 등의 기초 작업을, 패턴에 서는 기본 패턴, 드레이핑, 산업 패턴을, 봉제기술 에서는 공업용 재봉틀 사용법과 테크닉을, 마케팅 에서는 비즈니스 전략, 생산, 판매 등 어패럴 시장 을 분석하는 것을 학습한다. 2학년에서는 1학년 과 정의 심화 과정으로 패턴과 봉제를 합하여서 복잡 한 패턴을 제작하는 기술을 배우고 패션 스타일링 에서 스타일리스트의 기초가 되는 지식과 기술, 업 계동향 등을 학습한다. 3학년에서는 졸업작품 발표 를 위한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고, 이노베이션 디자 인에서 아이템, 브랜드에 따른 표현과 전략을, 패션 스타일링에서는 스튜디오 촬영이나 로케이션 등 촬 영 현장에 맞는 기술과 장르별 스타일링을 습득케 하고, PR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브랜드나 매장의 광 고 제작 등에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배운다. 패션 이외에 다른 분야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안목 을 넓히도록 하고 있다.

    5.Fashion education of high schools in Taiwan

    대만의 경우 국립 또는 사립의 고급가사상업직 업학교(高級家事商業職業學校) 유형의 고등학교에 의상 관련학과가 운영되고 있으며 학생을 모집하 여 3년간 전문 교육을 실시한 후 취업을 목표로 학 교에서는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직업인 양성을 위하 여 이론과 실기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대만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급가사상업직업학교는 1935년에 설립된 국립대중가사상업고등학교(國立臺中高級家 事商業職業學校, National Taichung Home Economics and Commercial High School, 2014)는 설립 당시에 는 가정여학교로 출발하였으며 현재는 8개의 전문 영역으로 세분화 되어 있다. 전체 학생수는 3,500명 정도이며 학과의 명칭은 유행복장과로 되어 있다.

    고웅시립삼민고급가사상업직업학교(高雄市立三 民高級家事商業職業學校, Kaohsiung Municipal Sanmin Home Economics & Commerce Vocational High School, 2014)는 1977년 설립되어 12개 학과로 분 류되어 있으며 복장과로 학생을 모집한다.

    신북시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인 능인고급가사상 업직업학교(能仁高級家事商業職業學校, Neng Ren Home Economics And Commercial Vocational High School, 2014)는 1982년부터 복장과를 운영하고 있 다. 일찍부터 섬유산업이 발달한 대만은 직업고등 학교 복장과는 의류에 관련된 기본 지식과 실용적 기능에 대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편성되어 있다.

    IV.Comparison of Curriculums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High Schools

    (Table 2)는 국내외 고등학교 의상관련 학과들 의 교과목을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는 특성화 고등학교 내에 의상과가 점차 증가되는 추 세이다. 대학교에 입학해야만 의상을 전공할 수 있 었던 시기에 비해 고등학교 내에 의상과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서양의복구성, 한국의복구성, 복식 디자인, 색채관리, 의류재료 및 관리 등으로 교과목 및 교육 내용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시위주 의 교육, 전공 교사의 부족, 대학과의 교육내용 연계 성 부족 등의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미국의 경우 직업을 갖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과 취업 및 동일 계열 진학을 위한 특정 분야의 직업 준비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어 학생이 취업이나 진 학을 준비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 취업과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고등학교 내 에서 패션관련 과목뿐 아니라 대학진학에 필요한 교과목도 아울러 이수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단계 별로 마스터해야만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수업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었다. 직업교 육과 관련하여 산업체 현장실습이 활성화 되어있 어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의상디자이너와 패션산 업의 관계자들이 학교와 밀접한 연계를 맺어 현장 실무지도, 실기학습 등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대학의 관련학과에서는 교육의 연계성 을 가질 수 있도록 예비대학이나 공모전을 실시하 는 등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탈리아의 경우, 1930년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이태리 패션 전문교육기관들은 실무 위주의 교육 과 더불어 세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전문분 야별로 효율적으로 인재양성을 실행하고 있다. 현 장학습과 창의력 위주의 수업, 기업들의 교육사업 지원 등 철저한 산학협동 교육체제를 운영하고 있 다(Choi, 2011). 이탈리아의 의상과 교육은 3~5년제 의 예술고등학교와 기술고등학교에서 다양한 교과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탈리아의 패션에서 역사적 배경에 중점을 두 고 예술사, 복식사 등의 과목을 교육하고 직물디자 인, 나염과 캐드, 시각적 표현기법, 색채관리 등의 교육을 통해 특화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교육을 통해 현재 세계인들이 명품으로 인정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강국으로 인정받게 되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수업에 교사들뿐 아니라 실무담당 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실질적인 교육이 되도록 하 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업과 연계 된 산학협동 프로그램에 학생들을 참여시키거나, 경시대회나 교환학생 프로그램도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졸업 후 학생들은 자신감을 가지고 패션 관련 분야로 원활하게 취업을 하고 있 었다.

    프랑스의 경우, 의상 교육에 있어 예술성과 창조 력을 중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창의성과 개념 Lab, 모드, 예술적인 표현, 디자인, 예술과 문화, 복 식사 등을 학습한다. 특히, Lycee-Paul-Poiret 국립 패션고등학교는 고등학교 3년 과정 중 16주를 반드 시 현장에서 인턴과정을 하도록 하고 있었다. 산업 체에서 요구하는 교육을 받음으로 졸업 후 취업이 잘 되며, 만일 졸업 후에라도 다양한 분야로의 취 업을 위해 집중 교육을 통하여 원하는 분야에서 활 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일본의 도쿄의 반탄 디자인 고등학교의 패션과 는 3년 과정으로 창작디자인, 디자인실습, 패턴 및 재봉기술, 패션스타일링 등의 과목에 대해 Basic Step, Advance Step, Special Step의 3단계로 학년에 맞게 운영하고 있다. 동일 과목을 반복, 심화시켜 점진적 으로 복잡한 기술을 익히도록 교육하고 있으며 졸 업 전에 작품 발표와 포트폴리오를 제작케 하여 졸 업 후 바로 취업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대만의 경우 고급가사상업직업학교(高級家事商 業職業學校)에 의상관련학과가 운영되고 있는데, 이 는 우리나라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신인 실업계 고 등학교와 유사하게 학생을 모집하고 있다. 3년간 직업인 양성을 위하여 섬유와 의류소재, 패션디자 인, 복식사, 봉제, 전통의상, 패션일러스트, 입체재 단, 여성복 패턴, 기성복, 패션마케팅 등 다양한 과 목을 이론과 실기 수업으로 실시하고 있다.

    V.Conclusion and Suggestion

    우리나라의 미디어의 발달은 사람들이 패션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패션산업은 더욱 활 발해지고 있다. 문화 전반의 한류의 영향으로 우리 나라의 패션산업은 이제 국제적으로 한 단계 도약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패션에 관련된 많은 직종이 생겨났으며 젊고 참신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60년대 후반부터 대학에서 의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80년대 후반 부터는 고등학교에서도 의상학을 교육하기 시작하 여 점점 많은 학생들이 이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보다 체계적인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현재 우리나라 특성화 고 등학교의 현황을 조사하고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대만 등 외국의 고등학교 패션 교육과 비교 함으로써 취업강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전공 교과교육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1994년도에는 5 개 학교에 35개 학급의 의상과가 운영되었으나 점 차 증가하여 2013년도에는 16개 학교에 101개 학 급의 의상과가 운영되고 있다. 2009년 이후에 전문 계 고등학교가 특성화 고등학교로 명칭과 체제가 전환되면서 시설 개선 등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학과 명칭은 의상과 뿐 아니라 패션디자인과, 의상디자인과, 의상예술과, 섬유패션디자인과, 글 로벌패션과 등 다양해지고 교육내용도 차별화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교육인적자원부의 시행령에 따라 교육내용의 범위가 정해지고 교재로 국정교 과서를 사용하므로 특정 분야에 관한 전문성보다 폭넓은 과목개설로 인한 보편적인 패션 교육이 이 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패션고등학교는 학생이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흥미와 책임감을 가지고 단계적 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으며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속옷 등 세분화 하여 기성복 시장 을 위한 실용적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탈리아는 역사와 예술성을 중시하여 기본교육 을 실시하고 특별히 날염과 텍스타일디자인 등에 대한 디자인 감각을 갖도록 가르치고 있었다. 졸업 학년이 되면 컬러응용과 패션제품, 경제 및 마케팅 을 배워 취업 전에 필요한 지식과 고급디자인을 익 히게 된다.

    프랑스의 패션고등학교의 수업은 예술적 표현 과정, 창조적인 실험, 패션과 의상의 역사, 응용 예 술, 예술 문화 등 예술적 교육에 중점을 두고 기본 교육을 철저히 하면서 디자인 실물 제작 등의 전문 영역을 학습하고 있었다.

    일본의 의상관련학과 고등학교 교육은 특성이 비슷한 학과들의 편제를 묶어서 진행하여 학생들 이 많은 것을 함께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디자 인 과목과 봉제, 패턴, 촬영 등의 기술과목을 반복 개설하여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의상 제작에 있어 패턴과 봉제를 익혀 디자인에 따 른 의복 형성과정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특히 반탄디자인고등학교의 경우에는 패션스타 일링의 교과목에서 스튜디오 촬영 등을 교육함으 로써 최근의 쇼핑문화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터 득하게 하고 있다.

    대만의 경우 3년의 교과과정이 의복재료, 기성 복, 패턴, 봉제, 입체재단, 디자인 발상에서 전개, 경영실무 등 의류에 관련된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 는 실용적 내용으로 되어 있다. 기본 지식과 기능 에 관한 전 과정을 교육하여 원하는 분야에 다양하 게 취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의 경우에는 직업교육과 관련하여 인턴과정을 교과목에 포함시키는 등 산 업체 현장실습이 활성화 되어 있어 학생들 취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었다. 프랑스의 Lycee-Paul-Poiret는 현자에서의 인턴 과 정을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실무를 경험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일본은 학생들이 폭넓은 사고와 견문을 지닐 수 있도록 교외학습과목으로 박물관, 산업체, 공장 등을 방문하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진행하 고 있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섬유강국 5국에 대하여 각 나라별로 2~3개씩의 섬유패션관련 직업고등학교 현황과 교육과정을 웹사이트들과 공개된 자료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섬유패션 선진국들은 예술성, 창 의성, 실용적 기능 등 기초 교육을 충실히 하고, 견 학이나 현장 학습을 통해 감각을 익히게 함으로써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게 교육하는 시스템이 자리 를 잡고 있었다. 국내 특성화 고등학교 의상과 교 육의 경우, 적성이나 능력과 진로 등을 고려하고 적극 수용해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탄력있게 운영하고 교육 내용에 대한 학생의 선택권을 확대 하는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많은 학교들이 이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과 운영으로 인한 부담감으 로 전공과목에 집중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어려 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졸업 후 진출할 수 있 는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로의 범위를 설정해 서 학생들이 보다 구체적인 취업 비전을 갖도록 해 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와 기업의 지원을 제도적 으로 확보하여 인턴이나 현장 실습, 위탁교육 등의 산학협력을 확대한다면 창의성과 참신한 감각을 지닌 인력을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내 실있는 교육과 기업의 지원은 학생들에게 취업에 대한 자신감과 전공에 대한 자긍심을 주게 되고 보 다 적극적인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국가의 실정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 의 언어의 장벽을 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웹 사이트를 통한 조사가 현장의 실제와 차이가 나타 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직접 조사나 각 나라에서 발표된 보고서나 논문, 인터뷰 등을 통해 검증되는 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Figure

    Table

    Major courses of fashion-related departments of Segeuru Fashion Design High School, Ansan Design Culture High School & Ulsan Living Science High School

    Major Courses of clothing departments of domestic and foreign high schools

    Reference

    1. Wilcox High SchoolAdrian C Retrieved May 8, 2013, from http://wilcox.schoolloop.com/cms/page_view?d=x&piid=&vpid=1330080517107,
    2. Albany High SchoolRetrieved May 10, 2013 from http://ahs.ausdk12.org,
    3. Albert de Mun Lycee Polyvalent , Retrieved November 27, 2013, from http://lyceealbertdemun.myurm.biz/xwiki/bin/view/NBSitePublic/page_1349615684760,
    4. Ansan Design Culture High SchoolAcademic Affairs , Retrieved October 4, 2013, from http://www.adc.hs.kr,
    5. California College of ArtsPre-College Program , Retrieved September 10, 2013, from https://www.cca.edu/academics/precollege,
    6. Cho E. Y (2008) A comparative study on student’s satisfaction level and recognition about clothing course education in general vocation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7. Choi K. H (2011) Transactions: A comparative study on fashion design education in Europe and Korea -Focus on the educational cases in the UK, France, Italy and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10) ; pp.1199-1214
    8. (2012) Cornell Fashion Collective , Tree-like gown takes top prize in High School Design Contest Retrieved May 10, 2013 from http://www.news.cornell.edu/stories/2012/05/tree-gown-wins-high-school-design-contest,
    9. Di Setificio Paolo Carcano , Retrieved September 11, 2013, from http://www.setificio.com,
    10. Fashion Institte of TechnologyHigh School Program , Retrieved September 11, 2013, from http://www.fitnyc.edu/7614.asp,
    11. Gong J. W (2011) Special highschool for fashion design as a school subject and studing for how to teach that clas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usan,
    12. Gu H. S (2004) A study of the present state of specialized highschool ,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13. High School of Art and DesignFashion Design , Retrieved May 1, 2014, from http://www.artand designhs.org/academics.cfm?subpage=200136,
    14. Kaohsiung Municlpal Sanmin Home Economics & Commerce Vocational High School , Retrieved May 2, 2014, from http://www.smvhs.kh.edu.tw,
    15. (2013)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Schoo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September 18, 2013, from http://www.schoolinfo.go.kr,
    16.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 Retrieved July 28, 2014, from http://www.kofoti.or.kr/bbs/data/2014_sum/index.html,
    17.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9) Vocational Education Trends of Major Countries , Retrieved September 1 2013, from http://www.krivet.re.kr/ku/ca/prg_kuAEBVw.jsp?gn=E1-E120090331&myCategoryCode=publication,
    18. Lee H. Y , Shin H. W (2002) A study on the education of department of clot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14 (2) ; pp.27-35
    19. Lee S. H (2009)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grams and curriculums of vocational high school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0. Lim C. S , Ban S. J , Oh H. S , Sin J. S , Kim Y. C (2005) The reform devices of the school system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trieved September 20, 2013, from http://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etadataid=4b76f6dc18b7afda01190d9a28a4490b,
    21. Lycee Paul Poiret , Retrieved November 27, 2013, from http://lycee-paul-poiret.org/index.php3,
    22. Lycee Renaudeau La Mode , Médiathèque. Retrieved November 27, 2013, from http://www.lycee-mode.fr/mediatheque/revue-de-talents,
    23. Na H. G (2011) A study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operation systems of specialized professional highschool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4. National Taichung Home Economics and Commercial High SchoolRetrieved May 02, 2014. from http://www.tchcvs.tc.edu.tw,
    25. Neng Ren Home Economics And Commercial Vocational High SchoolRetrieved May 02, 2014. from http://www.nrvs.ntpc.edu.tw,
    26. Paramus High SchoolRetrieved May 10, 2013 from http://www.paramus.k12.nj.us/ppsd,
    27. Segeuru Fashion Design High School (2013) Academic Affairs Retrieved October 4, 2013, from http://www.sfd.hs.kr,
    28. Summer college program, Syracuse University , Retrieved May 10, 2013 from http://news.syr.edu/summercollege/,
    29. The High School Fashion Industries (2013) Fashion Design , Retrieved September 11, 2013 from http://fashionhighschool.net,
    30. Ulsan Living Science High School (2013) Academic Affairs , Retrieved October 4, 2013, from http://www.uvhe.hs.kr,
    31. Vantan Design High SchoolDepartment of Fashion , Retrieved September 21, 2013, from http://www.vantan.jp/school/index.html, http://bit.ly/1nvUDRh,
    32. Yoo H. J , Chung M. K (2010) The changes and present status of clothing department education of vacational high scho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4 (2) ; pp.371-384
    33. Yoon I. K , Kim S. T , Jang M. H (2004)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16 (4) ; pp.107-126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