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3 pp.503-510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3.503

A study on the washing efficiency with various washing conditions - Focus on deterg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In-Ryu Choi*, Taemi Kim†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an’s University, Korea
Dept. of Textile Business, Bucheon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taemik@naver.com)
June 9, 2014 June 26, 2014 June 26, 2014

Abstract

Nowdays, costumer’s washing behavior were often times for remove to light-duty di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ost effective washing conditions of deterg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conditions for help save energy and water resources required to the washing process. Washing conditions were as follows: 2 kinds of detergents and 4 types of artificially soiled fabrics were used. Detergent concentration was 0%, –10%, and –20% below the recommended conc. of manufacturer’s standard. Temperature of bath was 20°C and 40°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ashing performances of all kind of artificially soiled fabric improved as the temperature of bath at 40°C. Second, the tes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of decreasing respectively –10% and –20% below of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of manufacturer’s standard detergent. The average of washing efficiency was not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reduction of 10% below of manufacturer’s standard. Third, in case of the water temperature were 20°C, polyester/cotton blended fiber were higher degree of washing efficiency than cotton fiber.


인공오염포의 세탁조건에 따른 세척효율에 관한 연구 - 세제농도와 용수온도를 중심으로 -

최 인려*, 김 태미†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부천대학교 섬유의류비즈니스학과

초록


    Sungshin Women`s University

    I.Introduction

    의생활은 우리 문화와 실생활의 주요 활동이며, 이는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시대상을 반영한다. 세 탁문화의 변화는 시대에 따른 의생활 변화의 한 형 태로 현대의 친환경 문화가 세탁문화에서 무세제 세탁에 대한 관심과 연구(Kang, Jo, & Kim, 2003) 로 이어지는 것은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의생활 세탁문화의 변천을 살펴보면 옥 외에서 이루어지던 재래식 손세탁방법은 1970년 상수도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옥내세탁이 가능해 졌고, 1929년 수입 전기세탁기를 시작으로 전기세 탁기를 이용한 세탁방법이 소개되기 시작되었다(Cha and Research Society of Laundry-Culture, 1999). 그 러나 이러한 전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법은 전기 의 미보급과 경제적인 이유로 일부계층에서만 이 루어졌으며, 이후 1969년 최초의 국산 전기세탁기 출시이후 세탁기 보급률은 점차 증가하여 1993년 세탁기 보급률은 85.7%였으며, 이중 전자동 세탁기 는 85%를 차지하였다(Kang, 1995). 이러한 세탁기 의 생산에 앞서 1966년경 최초의 ABS계의 합성세 제가 생산되었으나, 당시는 세탁기보다 비누를 사 용한 손빨래가 주된 세탁의 형태였다. 그러나 이후, 점차적으로 합성세제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거품과 인산염의 사용 등으로 수질오염 이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하천의 부영양화를 방 지하고 세제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연성세제, 완전 무린세제, 농축세제, 고농축세제 등이 나타나게 되 었다.

    최근 산업기술의 발달은 예전과 다르게 대부분의 활동이 실내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생활환경의 변화 로 가볍고 자주 세탁하는 세탁행동의 변화가 나타 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기존의 더러운 오염물질을 강력하게 제거하기 위한 세제보다는 한번 입고 세 탁하기에 적합함을 강조한 세제가 출시되었다. 또 한,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급격한 인구의 증가는 물 사용량을 증가시켰으며 물부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물을 사고 파는 재원이자 자원으로 수자원 관 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수자원 사용량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세탁 시 투입되는 수자원 사용량의 선정(Jo et al., 2011)과 같 은 연구도 시작되고 있다.

    세탁의 기본 원리는 물을 용제로 세제를 이용하 여 세탁물에 붙은 오염을 분리해 내어 세탁액에 분 산, 안정화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침투 → 흡착팽윤 → 분리 → 유화∙분산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세제의 역할은 계면활성제로서 섬유와 오염 사이의 계면장력을 낮추고, 세액의 침투가 용이하 게 하며, 오염원을 롤링업하여 가용성 물질로 녹이 고, 섬유로부터 분리시켜 유화, 현탁을 통해 세탁용 수에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탁용수에 안정 화된 오염물질은 헹굼에 의해 세탁용액과 함께 제 거된다. 세탁 시의 비비기, 주무르기, 두들기기 등 의 기계적인 작용과 힘에 의한 직물의 굴신작용으 로 오염이 더욱 쉽게 빠져나가게 하며, 더운 물에 서의 열에너지는 세탁효과를 더욱 높인다(Jakobi & Lohr, 1987; Kim, 1993; Lee et al., 2000). 따라서, 세 탁의 효과는 세탁용수와 오염원의 종류, 세탁물의 양, 액비, 세탁시간, 세탁용수의 온도, 세제의 종류 와 사용량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 동안 각 오구의 특성과 세제에 대한 기본적인 세척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세척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Chung et al.(1996)은 세탁 시 세척성에 미치는 요인으로 세척온도, 세탁시간, 세제농도, 회전수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Chung and Kim(2007)은 오염원의 종류, 세탁기의 종류와 기계 력, 세제농도와 온도에 따른 세척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발표하였다. Lee and Kim(2011)은 세탁기의 종 류와 세제 농도에 따른 세제성분의 잔류에 대해 연 구하였으며, Piao and Park(2013)은 세탁기, 세제 및 오염의 종류에 따라 세탁성, 헹굼성, 섬유손상도와 엉킴도와 같은 세탁성능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앞선 이루어진 연구들에서는 여러 가 지 세탁 조건의 변화를 비교하여 연구발표하였으 나, 이들 연구들에서는 세제 사용량을 표준 사용량 보다 많이 사용 시 세척력의 변화를 통해 과도한 세제 사용 시 세척력의 증가가 미미하게 나타나므 로 표준 농도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반면, 세제 량의 감량에 따른 세정률 연구 및 최적의 세탁조건 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최근 세탁문화는 실내생활을 주로 하게 되며, 이 때 발생하는 가벼운 오염을 자주 세탁하여 제거하 는 세탁행동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소비 자들은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인 세탁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위한 노력이 이 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탁 시 시중에 판매되는 세제들 중에서 판매량이 많고 인지도가 높은 2종을 선택하여 각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량을 기준으 로 사용량을 10%. 20% 감량하고, 세탁액의 온도를 20도, 40도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는 세 탁시 세탁액의 온도와 세제 사용량에 따른 인공오 염포의 세척성을 평가하여 세탁액 온도 변화와 세 제량 감량 조건에 따른 세척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시판 세제의 농도와 온도 조건에 따른 세정 효율 등의 세탁 조건은 세탁용수의 절수 및 세탁용 수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에너지 비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라이프 스타일과 세탁행동 변화에 적합한 오염원에 따른 세탁온도 와 세제량에 대한 세탁조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I.Experimental

    1.Materials

    본 연구에서는 세척성 평가를 위해 C.F.T.오염포 (Center For Testmaterials BV, USA)를 사용하였다. 면직물에 인공오염물을 묻힌 2종의 인공 오염포이 며, 오염포는 5cm×5cm로 잘라 세탁하였다. 각 오 염포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Detergent

    본 연구에서는 세척성 평가를 위해 시중에서 많 이 판매되고 인지도가 높은 2개 회사의 세탁용 합 성 분말세제 2종을 사용하였으며, 각 세제의 성분 과 사용권장농도에 대한 정보는 (Table 2)와 같다.

    두 가지 세제 모두 5~15%의 계면활성제 성분으 로 되어 있으며, A사의 세제는 지방산계 음이온, 직쇄 알킬벤젠계 음이온, 고급 알콜계 비이온, 알파 올레핀계 음이온, 알칼리제, 경수연화제, 산소계표 백제, 효소, 향료, 형광증백제 등을 포함하며, B사 의 세제는 직쇄 알킬벤젠계 음이온, 고급 알콜계 비이온,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비이온), 알칼 리제, 경수연화제, 오염재부착방지제, 산소계표백 제, 프로테아제와 아밀라제의 2중 효소, 향료, 형광 증백제 등을 포함하는 시판용 분말세제이다. 두 가 지 세제의 각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농도는 모 두 물 5L에 세제 4.2g이다.

    3.Testing method

    본 실험의 세탁조건은 (Table 3)과 같다. 실험을 위해 욕비는 50:1이며, 회전속도는 40±5 rpm, 스틸 볼 10개를 넣어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A세제와 B세제의 제조사에서 권 장하는 사용 농도는 물 5L에 세제 4.2g이며, 제조 사에서 권장하는 사용농도의 감량에 따른 세척력 비교를 위해 권장사용농도와 권장사용농도에 대해 –10%, –20%를 감량하여 실험하였다. 세탁액의 온도는 20±3°C, 40±3°C의 2가지 조건하에서 실시 되었다.

    세탁 코스는 가정용 세탁기에서 사용하는 일반 적인 조건을 선택하여 론더오미터(Launder-O-Meter) 장치에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세탁 시간은 30분, 헹 굼 시간은 5분으로 횟수는 2회를 실시하였다. 헹굼 시 세탁액을 제거한 후 깨끗한 물을 넣어 헹구어 주었으며, 헹굼 후 자연 건조법에 의해 건조하였다.

    4.Washing efficiency

    세척률을 알아보기 위해 색차를 측정하였으며, 색차 측정은 색차계(Color-Eye 2180, Macbeth, USA) 로 광원 D65,observer 10°를 사용하였으며, 선행연 구(Piao and Park, 2013; Chung and Kim, 2007; Chung et al. 2006)을 참조하여 520nm에서 각 포의 겉과 안 각각 2곳씩 총 4곳의 K/S값을 측정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포 3매의 반사율(K/S) 평균값을 구하였다.

    본 실험은 권장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량의 감 소시 세척성의 변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고자 하므로 권장사용량 사용 시의 세척성을 평가 하여 세제 사용량을 감소하였을 때와 그 세척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세척률은 다음의 식 에 의해 구하였다.

    Washing  efficiency % = K / S S K / S W K / S S K / S O × 100

    이때, (K/S)O : K/S value of unsoiled fabric

    (K/S)S : K/S value of soiled fabric

    (K/S)W : K/S value of washed fabric

    III.Result and Discussion

    1.Temperature

    세탁액의 온도를 20°C와 40°C로 변화시키고, 세 제의 농도를 제품에서 표시한 권장 사용 농도를 기 준으로 –10%, –20%로 감량시킨 후, 각 오염포의 세척성을 측정하였다. 이는 인공오염포의 세탁조건 에 대해 Chung et al.(2006)의 연구결과에서 세탁 시 세탁액의 온도변화 조건이 20°C에서 40°C로 변 화시 일반적으로 세척력이 증가하며, 40°C 이상의 조건에서는 일부 섬유에서만 세척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온 온도 인 20°C와 세척력에 영향을 주는 온도인 40°C를 변 화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세제 A를 사용하여 각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세 탁용액의 온도를 20°C와 40°C의 조건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1)이다.

    엽록소와 식물성 오일을 오염원으로 하는 면직 물인 C-04를 세탁액의 온도를 20°C에서 40°C로 높 였을 때 사용된 두 가지 종류의 세제조건에서 모두 세척력이 증가하였다. 면직물에 색소, 오일, 우유를 오염원으로 하는 C-10의 시험포는 세탁액 온도가 높아질 때, 세척력도 증가하였으며, 같은 면직물이 지만 식물성 오일 오구인 C-04보다 각 온도 조건에 서 더 높은 세척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40°C 로 높였을 때 세척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단 백질 오구는 친수성이 높아 20°C의 온도 조건에서 도 세척성이 높으며, 단백질 오구 제거에 관여하는 효소성분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작용이 촉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엽록소와 식물성 오일을 오염원으로 하는 폴리 에스테르와 면 혼방인 PC-04는 20°C에서 40°C로 세탁액의 온도를 높였을 때 크게 증가하지는 않게 나타나 세탁온도가 세척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 았으나, 같은 오구로 오염된 면직물인 C-04보다 상 온인 20°C에서 세척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폴리 에스테르 섬유의 표면이 매끈하여 중공구조과 잔 털, 꼬임이 있는 면보다 오염원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오염원의 제거가 쉽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 다. 이는 선행연구인 Chung and Kim(2007)의 연구 에서 피지와 색소를 오염원으로 하는 면직물의 세 척력이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의 세척력보다 낮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폴리에스터65에 면35 혼방직물에 색소와 피지를 오구로 하는 WFK-20D는 20°C에서 40°C로 세탁액 의 온도를 높였을 때 세척력이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40°C인에서 세척력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이는 피지 오구가 체온과 비슷하거나 높 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섬유로부터 빠져나와 세척 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세제 B를 사용하여 각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세 탁용액의 온도를 20°C와 40°C의 조건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2)이다.

    면직물에 엽록소와 식물성 오일을 오염원으로 하는 C-04를 세제 B를 사용하여 세탁액의 온도를 20°C에서 40°C로 높였을 때 세척력이 증가하였으 며, 세제 A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 다. 이는 세제 B의 성분에 단백질 오구 제거에 관 여하는 효소성분인 프로테아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 효소성분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작용 이 촉진되므로 40°C 온도에서 더욱 그 세척력이 증 가한 결과로 보여진다.

    세제 B를 사용하였을 때 엽록소와 식물성 오일 을 오염원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면 혼방인 PC-04 의 세척성 변화와 폴리에스터65에 면35 혼방직물 에 색소와 피지를 오구로 하는 WFK-20D의 세척성 변화는 20°C에서 40°C로 세탁액의 온도를 높였을 때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는 세제 A를 사용하였을 때 세척성의 변화와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다.

    온도에 있어 모든 오염원에서 세탁액 온도가 20°C 에서 40°C로 증가할 때, 권장량 사용 시와 세제량 감량 시에 모두 세척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섬유 내부에 있는 오염원들이 높은 온도 조건에서 오구 의 세척력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Chung and Kim(2007)의 연구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세 척성의 증가가 20°C와 40°C에서 모든 오염원에서 크게 증가된 결과와 동일한 연구 결과이다.

    2.Detergent concentration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세제의 농도를 표준권장 농도와 이 농도에서 각각 10%와 20%를 감량한 조 건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면직물에 엽록소와 식물성 오일을 오염원으로 하 은 C-04와 색소, 오일, 우유를 오염원으로 하는 C-10 는 세제 A, B 모두의 농도를 표준권장농도를 사용 했을 때와 10% 감량 시 세척성은 비슷하거나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세척력에는 큰 영향을 주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 감량 시에는 세척력이 떨어져 세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40°C의 온도에서는 세제의 사용량을 20% 감량하여도 20°C에서 권장사용량을 사용했을 때보 다 더 높은 세척력을 나타냈다.

    폴리에스터65%에 면35%의 혼방직물에 엽록소와 식물성 오일을 오염원으로 하는 PC-04와 색소와 피 지를 오구로 하는 WFK-20D의 세척력은 세제 A, B 모두의 농도를 표준권장농도를 사용했을 때와 10% 감량 시 세척성은 비슷하거나 다소 떨어지는 경향 이 있으며, 20% 감량 시에 세척력이 전체적으로 더 욱 떨어져 세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백질과 피지 오염원은 전체적인 세척력 이 우수하여 세제량을 20% 감량하여도 다른 오구 에 비해 세척력이 높게 나타났다. 피지와 우유 단 백질, 오일 오구의 제거 시 40°C의 온도에서 세탁 시 세제 감량 시에도 세척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는 데, 이는 높은 온도에서 오염원이 녹아나오고, 세제 에 포함된 성분 중 단백질 오구의 제거에 관계되는 효소인 프로테아제가 50°C의 높은 온도에서 가장 활성이 잘 되기 때문(Smulders, 2002; Chung, et al., 2006)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단백질 오구 제거 시 세탁액의 온도를 높인다면 세제량을 10% 정도 를 감량하여도 그 세척력이 상온에서 세탁한 것보 다 높은 세탁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 3).

    특히, 연구에서 일부 오염포에서는 세탁용수의 온도가 40°C의 조건에서는 세제량을 20%까지 감량 하여도 세탁액의 온도가 20°C일 때의 세척력보다 도 높게 나타나, 세탁 시 세탁온도, 섬유의 종류, 오 염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탁을 하는 것이 효율적 임을 알 수 있었다.

    V.Conclusion

    본 연구는 최근 실내에서 주로 활동하는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인한 낮은 정도의 오염된 세탁물을 자주 가볍게 세탁하는 의복의 세탁관리행동 변화 에 맞는 세탁온도와 세제 농도에 대한 세탁조건을 연구하였다. 각 오염원에 따른 적정한 세탁조건을 제안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제들 중에서 판매량이 많고 인지도가 높은 2종의 분말세제를 선 택하였으며, 4가지 타입의 인공오염포를 사용하였 다. 세탁농도는 각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량을 기준으로 권장 사용량과 권장 사용량보다 10%, 20% 를 감량하였다. 세탁액의 온도는 20°C, 40°C의 조건 하에서 실험하였다. 실험 후 각 시료의 세척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의 결론을 얻 었다.

    첫째, 모든 종류의 오염포에서 섬유 구성성분, 오 염원의 종류와 세제 농도의 감량 정도와 상관없이 세척온도가 20°C에서 40°C로 증가할 때 세척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세제의 농도를 제조사의 표준권장농도와 이 농도에서 각각 10%와 20%를 감량한 조건을 적 용하였으며, 그 결과 10% 감량하여 세탁 시 세척력 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 제의 농도를 20% 감량 시 세척력이 떨어졌다. 그러 나, 일부 오염포에서는 세척액의 온도 40°C일 때, 세 제의 농도 20% 감량하여도 세척액의 온도가 20°C 일 때 세제의 농도를 제조사의 표준권장농도로 사 용했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피지와 단백질 오구의 세척성은 세제의 성 분과 세탁 온도에 따라 세척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면과 폴리 혼방섬유는 면직물에 비 해 상온인 20°C에서의 세척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섬유의 종류와 오구의 특 성, 세척액의 온도에 따라 세탁 시 세탁액의 세제 의 사용량을 제조사가 권장하는 사용량보다 10% 정도를 감량하여 세탁하여도 그 세척력이 크게 줄 어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력 한 세척력보다는 자주 가벼운 세탁을 요하는 현대 의복관리에 있어 세제의 과다 사용을 경계하고, 세 제의 사용량을 줄이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소 비자들이 이러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세제의 양을 조절한다면 세척효과는 향상시키면서도 수질 환경 보호와 에너지의 절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나, 상온인 20°C에서의 세탁방법이 고온인 40°C 세탁하는 것보다 에너지 절약성과 간편성을 고려할 때 일부 세제에 있어 10% 감량이 실용적인 지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일부 오염원과 섬유의 종류에 한정하여 주로 실생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20°C와 40°C 의 온도조건에 의해 실험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향후 실제 생활에서 예측될 수 있는 더 많은 특성을 가진 오염원과 다양한 섬유종 류의 조건하에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현대의 의생활에 적합한 세탁문 화의 변화를 통해 세탁 시 소요되는 수자원과 에너 지의 절약 및 수질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 으로 기대한다.

    Figure

    RJCC-22-503_F1.gif

    Washing efficiency of soiled fabric by temperature (detergent A).

    RJCC-22-503_F2.gif

    Washing efficiency of soiled test fabric by temperature (detergent B).

    RJCC-22-503_F3.gif

    Washing efficiency of soiled test fabric by detergent concentration.

    Table

    Specification of soiled fabrics

    Composition and recommended conc. of detergent type

    Washing conditions and levels

    Reference

    1. Research Society of LaunderingCha O. S (1999) 100 years of laundering in news paper [신문으 로 본 우리의 세탁문화 100년], Kyungchunsa,
    2. Choi H. W , Jung C. J , Park M. J (2002)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consumer's knowledge and laundry habbits to microorganisms living in clothing , Journal of Costume Culture Association, Vol.10 (6) ; pp.781-792
    3. Chung H W (1996) Detergency of triolein in mixed burfactant solutions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0 (1) ; pp.390-397
    4. Chung H. W , Kim H. J (2012) Effect of washing solution characteristics on the removal and color of cocoa stains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Industry, Vol.14 (3) ; pp.492-500
    5. Chung H. W , Kim M. K (2007) The soil removal of artificially soiled fabrics with commercial detergents at various washing conditions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Industry, Vol.9 (6) ; pp.671-678
    6. Chung H. W , Kim M. K , Kim H. S (2006) Optimum washing conditions of artificially soiled cloths in a drum-type washing machin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11) ; pp.1589-1597
    7. Jakobi G , Lohr L (1987) Detergents and textile washing, VCH Publishers,
    8. Jo H. J , Kim W. R , Park J. Y , Hwang Y. W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water consumption in electric applicaces using water footprint Focusing on washing machi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25 (5) ; pp.691-697
    9. Kang I. S , Jo S. J , Kim Y. S (2003) A study on non-detergent course of washing machi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5 (5) ; pp.539-544
    10. Kang S. Y (1995) Trends in laundry detergents in Kore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and Textiles, Vol.19 (1) ; pp.161-169
    11. Kim S. R (1993) Detergents and science of washing [세제와 세탁의 과학], Kyomunsa,
    12. Lee J. J , Kim Y. K (2011) Soil removal and residue of detergent ingredients at various detergent concentrations , Journal of the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ol.48 (2) ; pp.85-90
    13. Lee J. S , Ann C. S , Song K. H , You H. J , Lee H. J , Kim J. H (2000) Textile care & management[섬유제품의 성능유지와 관리], Hyungseul,
    14. Lee J. W , Choi D. S (1984) A study of analysis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affecting laundering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21 (3) ; pp.1-11
    15. Lee S. Y , Lee J. S (2007) Consumer's behaviors on the laundering of baby's clothing -Comparison of washing machine typ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1 (8) ; pp.1231-1239
    16. Mailand H. F (1980) Consideration for the care of textiles and consumers , Indianapolice Museum of Arts,
    17. Piao S. J , Park M. J (2013) Comparison of detergency effectiveness by the type of household washer, detergent and soil - Focused on detergency, rinsing, fabric damage and tanglement -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6) ; pp.950-960
    18. Smulders E (2002) Laundry detergents, Wiley-VCH GmbH,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