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2 pp.300-312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2.300

A survey on jacket lining manufacture of menswear brands

Myoung-Ok Kim†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myokkim0303@gmail.com)
March 6, 2014 April 21, 2014 April 25, 2014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offer practical suggestions for manufacturing jacket lining patterns through research on menswear brands. A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a survey instrument targeting 12 menswear brands.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btained using SPSS 18.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lining production, most menswear brands were found to provide jacket lining patterns to their subcontractors, and pattern makers were found to designlining patterns based on their own know-how.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roduction of jacket lining patterns is whether linings are cut more than once during the sewing process. For suit jackets, linings are cut more than once, and for casual jackets, linings are cut once. Second, with regard to jacket production for different jacket styles, most menswear brands were found to use patterns that include seam allowance. Partial lining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methods used to sew edges and attach linings to the outer shell. Third, extra space in jacket lining patterns varied according to style. Jacket lining patterns for suit jackets and casual jackets showed differences in extra space in the following areas: the parts that cover the chest(suit jacket linings: 5.6cm, casual jacket linings: 2.4cm), the parts that cover the waist(suit jacket linings: 3.8cm, casual jacket linings: 1.3cm), hem(suit jacket linings: 2.7cm, casual jacket linings: 1.3cm), and bicep(suit jacket linings: 2.7cm,casual jacket linings: 1.1cm). However, extra space in the sleeve hems was identical for the two styles(suit jacket linings: 0.1cm, casual jacket linings: 0.1cm).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lothing manufacturers design linings in accordance with the jacket lining production style.


남성복 브랜드 재킷 안감 제작에 관한 실태 조사

김 명옥†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 증가로 실제보다 젊 어 보이는 영룩(young look)의 슬림한 라인을 추구 하는 남성복 재킷은 슬림핏 재킷의 개발을 불러일 으켜 20~30대 뿐만 아니라, 중년 남성에게까지 슬 림핏의 영향을 확대하며, 남성복 시장의 꾸준한 성 장을 이끌어왔다. 이러한 남성복 시장도 2008년 외환 위기의 여파로 주춤하였으나, 금융위기 전에는 사회 초년생과 왕성한 사회활동을 펼치고 있는 30~40대 를 위한 시장이 형성되어 왔다면, 외환위기 이후에 는 50대 이상의 시니어 신사복의 증가로 남성복 시 장이 커지고 있다(Park & Han, 2010). 더불어 계속 되는 고용불안과 청년실업의 증가로 취업면접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는 구직자들이 늘어남으로 인하여 남성복 시장은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성장하고 있다.

    재킷은 비즈니스웨어의 가장 핵심적인 옷일뿐 아 니라, 비즈니스에서 착용자의 지위를 설정해주는 중 요한 옷이다(Molly, 2006). 남성복 재킷은 크게 전 통적인 남성정장의 수트 재킷과 편안함을 추구하 는 캐주얼 재킷으로 구분된다. 남성 소비자가 자신 의 기호와 상황에 따라 수트 재킷과 캐주얼 재킷을 선택적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남성복 브랜드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수트 재킷과 캐주얼 재킷을 병행하여 제작하여 판매하 고 있다.

    이렇듯 성인 남성 비즈니스웨어의 매우 중요한 복장인 남성복 재킷의 경우, 여름용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감이 부착되어지고 있다. 안 감은 의복 표면에 직접 보이지는 않지만, 의복의 실루엣을 표현하고 착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Kang & Suh, 2007). 즉, 안감은 의복의 구성방법을 숨기기 위하여 겉감과는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의복의 안쪽으로서 의복 안 쪽에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며, 형태안정성을 더하 여주거나 의복의 리버시벌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대부분의 재킷은 보기 좋은 외관과 내구성을 위해 안감이 부착되어 있다(Knowles, 2006). 그리하여 안 감은 겉감과 함께 의복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의복의 종 류, 겉감 소재의 특성, 디자인, 실루엣, 사용되는 부 위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적합하게 제작되어야 한 다(Lee & Suh, 2008).

    남성복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남성복에 관한 연 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남성복 재킷원형 개발 에 관한 연구(Jung, 2006; Kim & Jo, 2006), 슬림핏 재킷에 관한 연구(Cho, 2008; Yang & Seong, 2011), 3D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Suh & Chun, 2004; Hong & Suh, 2012)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안감 에 관한 연구로는 의복소재분야(Suh et al., 2004)로 서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성인 남성의 비즈니스웨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재킷 패턴 제작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겉감의 실루 엣과 기능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재킷의 안감 제 작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성복 재킷을 생산하고 있는 남성복 브랜드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안감 제작 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수트 재킷과 캐 주얼 재킷 제작에 관한 일반적인 차이점을 알아보 며, 재킷 안감 제작 스타일에 따른 안감 패턴 제작 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남 성복 재킷 안감 제작에 관한 남성복 브랜드의 실질 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여, 남성복 제작업체와 교육 현장에 재킷 제작에 실용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II.Literature Review

    1.Functions and fabrics of linings

    안감이란 의복의 안쪽에서 봉사, 시접, 심지, 포 켓 등을 깨끗하게 싸서 의복을 마무리하기 위해 사 용되는 겉감과 다른 소재를 말한다. 남성복 재킷은 재킷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의복의 안쪽에 심지, 캔버스, 어깨패드, 슬리브헤딩 등의 부자재가 많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이를 가리기 위한 안감작업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안감의 기능은 겉감의 실루엣을 보완하고, 옷을 착용하였을 때 매끄럽게 하여 마찰성을 좋게 하며, 입고 벗기에 편한 역할을 한다(Kang & Suh, 2007). 안감은 겉감이 닳고 헤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의복 에 안감을 부착한 경우 의복의 품질이 더 좋으며, 의 복의 수명도 더 길어진다. 더불어 안감은 체온을 유 지하여 주며, 소재가 얇거나 비치거나 구멍이 있을 때 의류형태의 안전성을 도와주기도 한다(Oh, 1994).

    안감의 소재는 겉감에 따라 선택되지만, 일반적 으로 겉감과 같은 색상의 무지의 합성섬유나 실크 가 많이 사용된다. 섬유별로 보면 polyester, rayon, acetate 등이 많이 사용되며, 조직별로는 봄과 여름 에는 plain이, 가을에는 plain과 twill이, 겨울에는 twill과 satin 등이 많이 사용된다(Kim & Suh, 2007). 안감 소재는 일반적으로 겉감보다 가벼운 소재가 사용되며, 또한 매끄러워 의복 착용 시 암홀부위 의 안감이 겉감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일반적 으로 비신축성의 소재가 사용되나, 겉감이 신축성 소재인 경우는 겉감과 동일한 신축성을 가진 안감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Knowles, 2006). 만약 안 감 소재로 겉감과 동일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겉감에서 늘려주는 안감 패턴의 여유분 량은 신축성 안감 소재에 비해 크게 재단하여 안감 소재의 비신축성으로 인한 안감 소재와 겉감 소재와 의 차이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Suh, 2007).

    2.Jacket lining patternmaking methods

    안감이 의복의 안쪽에 놓여 지나, 안감 패턴은 겉 감보다 길이와 너비에서 겉감보다 약간 크게 재단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안감에서 충분한 여유분이 없다면 계속되는 당김과 마찰로 인하여 안감이 찢 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Cabrera, 1996). 남성복 재킷 안감 패턴 제작 방법에 관하여 문헌(Armstrong, 2010; Cabrera, 1996; Knowles, 2006; Kwak et al., 2008)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감 패턴 둘레항목의 여유분은 문헌에 따라 차 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겉감 패턴에서 키워서 안 감 패턴을 제작하였다. 가슴둘레 여유분은 2.5~6cm, 허리둘레의 여유분은 0~6cm, 밑단둘레의 여유분은 0~6cm로 다양하였다. 즉, 가슴둘레에 추가하는 여유 분은 모든 문헌에서 일정분량을 추가하였으나, 허 리둘레와 밑단둘레는 문헌에 따라서는 여유분량을 주지 않았다. Knowles(2006)Armstrong(2010)은 가슴둘레는 동일하게 2.5cm를, 허리둘레는 0cm와 2.5cm의 여유분이었으며, 밑단둘레는 모두 0cm로 여유분을 주지 않았다. 반면, Cabrera(1996)Kwak et al.(2008)은 가슴둘레, 허리둘레, 밑단둘레서의 여 유분을 동일하게 각각 2.5cm와 3~6cm로 제시하였 다. 안감의 활동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뒤중심선에 추가해 주는 뒤중심활동분량은 모든 문헌에서 공통 적으로 추가하여 사용하였으나, 그 분량은 1.3~3.8cm 로 다양하였다.

    소매통둘레에서의 여유분은 Knowles(2006)Arm-strong(2010)은 1.3cm를, Cabrera(1996)는 2cm의 여유 분을 추가하였으며, Kwak et al.(2008)은 특정한 수치 를 제시하지 않고, 소매곡선을 올려주면서 자연스 럽게 늘어나는 분량으로 여유분을 주었다. 소매부 리에서의 여유분은 모든 문헌에서 0cm로 겉감 패턴 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안감 패턴을 제작하였다.

    몸판의 진동둘레선에서 올려주는 분량은 0.6~1.5cm 이었으며, 소매 패턴의 앞과 뒤가 분리되는 소매곡 선에서 올림분량은 0.6~2.5cm로 몸판에서 올리는 분 량에 비하여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Knowles(2006)Armstrong(2010)은 몸판진동둘레선에서 올 리는 분량과 소매곡선에서 올리는 분량을 동일하 게 각각 0.6cm와 1.3cm로 제시하였으며, Kwak et al.(2008)Cabrera(1996)는 몸판 패턴의 진동둘레 선에서 올리는 분량보다 소매곡선에서 올리는 분 량이 더 많게 제시하였다.

    안감 패턴 제작 시 몸판 패턴의 어깨경사도를 조절해 주는 방법과 소매산정점에서 조절해 주는 방법은 문헌에 따라 다양하였다. Knowles(2006)Armstrong(2010)은 어깨끝점과 소매산정점에서 동 일한 분량 1.3cm를 깎아서 안감의 어깨 경사도와 소매산 정점으로 사용하였다. 반면, Kwak et al.(2008) 은 앞어깨선에 1.5cm의 평행선을, Cabrera(1996)는 앞어깨선은 5cm, 뒤어깨선은 2.5cm의 평행선을 올 려 그려서 안감 패턴의 어깨경사도로 사용하였다. 소매산 정점에서는 Kwak et al.(2008)은 0.5cm를 올 려서 사용하였으며, Cabrera(1996)는 특정한 수치를 제시하지 않고 소매곡선의 길이가 몸판암홀보다 5cm 가 크게 소매산정점을 올리거나 내려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남성복 재킷 안감 패턴 제작에 관한 문헌을 살펴본 것과 같이, 안감 패턴 제작은 다양 하게 패턴 제작법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안감 패 턴 제작을 위해 겉감 패턴에서 키워주는 여유분의 분량도 패턴의 해당 부위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복 브랜드에서 재킷 안감 패턴 제작법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남성복 재 킷 안감 제작에 관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 요하다.

    III.Research Methodology

    1.Data collection

    조사 대상 브랜드 선정기준은 한국패션브랜드연 감 2012/2013에 수록된 남성복 브랜드 중에서 2010/2011년 매출액 80억 원이 넘는 12개 브랜드를 선정하 였으며, 조사 대상 브랜드의 일반적인 사항은 (Table 1)과 같다. 예비조사기간 및 조사방법은 2013년 11 월 4일부터 15일까지 2개 브랜드를 전화 인터뷰와 방문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본 조사는 2013년 12월 23일부터 2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 브 랜드의 패턴담당 실무자를 직접 방문하여 사전에 준비한 설문지와 인터뷰를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응답자 전원의 성별이 남자였으며, 7년에서 40년까 지의 경력자였다.

    설문지 문항은 선행연구(Kim & Suh, 2007; Lee & Suh, 2008)를 참조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 대상 응답자의 일반적인 문항, 재킷 안감 패턴 제작에 관한 일반적인 문항, 수트 재킷과 캐주얼 재킷의 비교에 관한 문항, 안감 패턴 제작 시 겉감에 추가 하는 여유분량과 구체적인 이동량에 관한 문항 등 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대상 재킷디자인과 겉감 패턴은 (Fig. 1), (Fig. 2)와 같다. 그림과 같이 2버튼의 너치드재킷 으로 뒤중심에 트임이 있고, 두 장 소매인 디자인 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앞허리다트가 있으며, 입술 주머니가 있는 남성복 재킷의 전형적인 디자인으 로 선정하였다. 재킷의 겉감 패턴은 대부분의 남성 복 브랜드에서 시접을 포함한 패턴을 사용하고 있 어 본 연구에서도 시접을 포함한 패턴을 사용하였 으며, 겉감 패턴의 소재는 남성복 재킷으로 일반적 으로 사용하는 신축성이 없는 울 혹은 울 혼방직물 을 기준으로 하였다. 안감 소재도 신축성이 없는 합성섬유 소재로 한정하여 안감 패턴 설계 제작법 을 조사하였다.

    2.Data analysis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SPSSWIN Ver.18.0 을 사용하였다. 남성복 브랜드의 안감 제작에 관한 일반적인 문항과 수트 재킷과 캐주얼 재킷의 안감 제작에 관한 비교에 대하여 빈도분석 및 평균의 기 술적 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 감의 여유분과 구체적인 이동분량에 관하여 유의 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IV.Research Results & Discussion

    1.General information of lining manufacturing for jacket

    조사 대상 브랜드의 재킷 안감 제작과 관련된 일 반적인 사항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표 에서와 같이 대부분(9개 브랜드, 75.0%)의 남성복 브랜드에서 협력업체에 재킷 안감 패턴을 항상 제 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Kim & Suh, 2007)에 나타난 여성복의 경우 20%의 업체 에서 안감 패턴을 항상 제공한다고 조사된 연구결 과와는 상당히 대조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시즌에 1회 제공한다와 50%만 안감 패 턴을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안감 패턴을 제작하 는 담당자도 대부분(10개 브랜드, 90.9%)의 브랜드 에서 패턴을 제작한 사람이 동일하게 안감 패턴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감을 제작하는 방법은 8개 브랜드(72.7%)가 패턴 제작자가 습득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 성복 재킷에 관한 선행연구(Kim & Suh, 2007)의 4 개 브랜드(26.7%)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치로써, 남 성복의 경우, 안감 패턴 제작이 개인이 습득한 방 식에 더 의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개 브 랜드(18.2%)가 회사지침과 본인의 노하우를 병행 하여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킷 안감 패턴 제작 방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 인을 조사한 결과, 9개 브랜드(75.0%)에서 수트 재 킷인지 캐주얼 재킷인지에 따른 재킷의 스타일인 것 으로 조사되었다. 재킷 겉감 소재의 신축성 여부가 더 중요하다고 응답한 브랜드는 3개 브랜드(25.0%) 에 불과하였다. 각각의 이유를 조사한 결과, 재킷의 스타일에 따라 안감 패턴 제작 방법이 달라진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수트 재킷과 캐주얼 재킷은 제조 공법이 달라서 안감의 여유분량이 달라지기 때문 에, 스타일에 따라 봉제의 완성도가 달라지며, 재킷 스타일에 따라 손으로 작업한 느낌이 나서 고급스 런 사양에 주로 사용되는 핸드메이드인지 대량생 산에 적합한 미싱으로 봉제한 미싱메이드인지 등 등의 봉제기법이 달라진다고 응답하였다. 재킷 소 재의 신축성 여부가 더 결정적 요인이라고 응답한 이유는 안감의 미어짐 방지, 겉감 소재의 신축성과 더불어 안감 소재의 신축성 여부에 따라 여유분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남성복 브랜드에 서 재킷 안감으로 주로 제작하는 스타일은 수트 안 감(7개 브랜드, 58.3%)과 캐주얼 안감(5개 브랜드, 41.7%)으로 조사되었다. 수트 안감(re-cutting)은 재 킷의 안감을 몸판에 일부분 부착한 후에 재킷의 모 양새를 만들기 위해 다시 한 번 재단하는 제작법을 말한다. 캐주얼 안감(one-cutting)은 수트 안감과는 달리 다시 재단하는 과정 없이 처음에 재단한 안감 패턴을 그대로 사용하여 봉제하는 것을 말한다.

    재킷 스타일에 따른 앞안단의 모양은 3개 브랜 드(25.0%)가 재킷 스타일과 상관없이 동일하다고, 4개 브랜드(33.3%)가 동일하지 않다고, 5개 브랜드 (41.7%)에서 기타의견으로 앞안단의 모양은 디자 인과 판매가격, 재킷의 스타일에 따라 달라진다고 응답하였다. 뒤안단의 모양은 어떠한지 조사한 결 과, 9개 브랜드(75.0%)에서 제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과거에는 뒤안단을 제작 하였으나, 최근의 경향이 가볍고 경쾌한 것을 선호 하여 뒤안단을 제작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조사 대상 브랜드의 재킷 안감 패턴 제작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본 결과, 남성복 재킷은 여성복 재킷과는 다르게 제작되고 있었는 데, 이는 여성복 재킷보다 남성복 재킷의 제작공정 이 더 까다롭고 복잡하여 브랜드 본사에서 협력업 체의 생산설비실태에 맞추어 안감 패턴을 제공하 여 품질을 컨트롤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재킷 안감 패턴과 안단의 모양은 재킷의 스타일과 디자인, 가격요소에 의해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재킷 안감 패턴 제작과 관련된 사항으 로 재킷의 필수 부속품인 어깨패드에 대하여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표에서와 같 이, 현재 남성복 브랜드에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 는 어깨패드두께는 6개 브랜드(50.0%)가 6mm를, 5 개 브랜드(41.7%)가 4mm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패드의 두께는 가볍고 활동적인 것 을 선호하는 최근의 유행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서 과거의 10mm를 사용하던 때보다 얇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패션트렌드에 따라 어깨패드의 두께는 다양하기 때문에, 겉감 패턴 제작 시 패드두께에 따라 어깨 끝점에서 겉감 패턴의 어깨 경사도를 조절하여 겉 감 패턴을 사용한다. 이 조절된 어깨패드의 두께를 안감 패턴 제작 시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8개 브랜드(66.7%)에서 어깨패드분량을 안감 패턴에서 처리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2 개 브랜드(16.7%)에서 어깨패드분량의 20% 정도를 안감 패턴 제작 시 어깨경사도에서 깎아낸다고 응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복 재킷 안감에 관한 선행연구(Kim & Suh, 2007)에서 대부분의 여성복 브랜드에서 어깨패드분량을 어깨경사도에서 깎아 낸다고 응답한 결과와는 대조적이었다. 인터뷰 시 이유를 물어본 결과, 겉감 패턴 설계 시는 패드두 께를 감안하여 어깨경사도를 올려주나, 최근의 경 향이 얇은 패드를 선호하여 안감 패턴 설계 시는 어깨 경사도를 조절하지 않아도 무리가 없어서 그 냥 사용한다. 혹은 재킷 제작 공정 시 안감을 넉넉 히 재단하여 부분봉제 후 다시 재단하는 기계를 사 용하기 때문에 패드분량을 처리하지 않는다 등의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산정점에서 깎아준다고 응답한 브랜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소매산정점에서 깎아준다고 한 Armstrong(2010)Knowles(2006)와는 대조적인 결과였으며, 소매산정 점에서 0.5cm 올린다고 한 Kwak et al.(2008)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Manufacturing survey according to jacket styles

    재킷의 스타일 즉, 수트 재킷인지, 캐주얼 재킷인 지에 따라 재킷 패턴의 형태와 안감의 봉제 방법에 관한 비교를 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일반적으로 여성복 브랜드에서 샘플작업을 위한 패턴이 시접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남성복 브랜드가 시접을 포함한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 부분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샘플작업을 위한 남성복 재킷의 패턴 형태는 수트 재킷(10개 브랜드, 83.3%)과 캐주얼 재킷(8개 브랜드, 66.7%) 모두 시접을 포함하고 있는 패턴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접이 없거나 부분적으로 있는 패턴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캐주얼 재킷이 수트 재 킷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접을 포함한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는 size spec을 준수하기 위해, 협력업체에서 추가적인 작업 없이 바로 작업할 수 있게, 어느 협력업체이든 통일성을 주고, 봉제 상태를 동일하게 점검할 수 있어서, 시 접에도 이즈분량이 맞춰져야 하므로, 작업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지금까지 통례상 남성복 브랜드에 서는 시접을 포함한 패턴을 사용하였기 때문 등등 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접이 없는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는 디자인 변형이 쉬워서, 패턴 제작과 패턴수정 작업이 용이하여서, 칼라나 주머 니와 같이 패턴이 작아서 시접오차가 크면 곤란한 경우 등으로 조사되었다.

    재킷의 일부분에만 안감이 들어가는 경우, 밑단 의 봉제마무리에 대한 조사 결과, 수트 재킷(7개 브 랜드, 58.3%)에서는 스쿠이 작업(blind hem foot)이 가장 많았으며, 캐주얼 재킷(6개 브랜드, 50.0%)은 말아박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감과 겉 감을 연결하는 방법을 조사한 결과, 수트 재킷에서 는 11개 브랜드(91.7%)가 몸판과 소매에서 각각 겉 감에 합봉하여 고정시킨 후에 소매 안감을 암홀에 서 연결한다고 응답하였다. 캐주얼 재킷에서는 9개 브랜드(75.0%)가 안감과 겉감을 따로 봉제한 후에 서로 합봉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안감 패턴의 소 매이즈분량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재킷 스타일과 는 상관없이 안감 소매의 이즈분량은 제작하는 겉 감 패턴의 소매이즈분량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재킷 스타일에 따른 조사 결과, 시 접패턴의 사용과 안감 패턴의 소매이즈분량이 겉감 패턴보다 적은 것은 재킷 스타일과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부분안감의 밑단봉제 방법과 안감과 겉감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재킷의 스타일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부분은 재킷 안감 제작 시 참고하여야 할 중요한 데이터라고 판단된다.

    3.Men's wear brand jacket lining pattern development

    1)Ease on the lining pattern according to jacket lining manufacturing style

    조사 대상 브랜드의 재킷 안감 패턴을 설계할 때 추가하는 수트 안감(re-cutting)과 캐주얼 안감(onecutting) 의 둘레항목의 여유분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감의 여유분 차이 에 대하여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슴둘레 와 소매통둘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가슴둘레의 여유분은 수트 안감의 평균이 5.6cm 인 반면, 캐주얼 안감의 여유분은 2.4cm에 불과했 다. 이러한 이유는 수트 안감은 제조공법상 안감을 넉넉히 재단한 이후에 일부분 봉제 후 형태를 잡으 면서 남는 분량을 다시 한 번 재단하기 때문에, 넉 넉히 여유를 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허리여 유분량은 수트 안감이 3.8cm, 캐주얼 안감이 1.3cm 이었으며, 밑단둘레여유분량은 수트 안감이 2.7cm, 캐주얼 안감이 1.3c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매통 둘레여유분량은 수트 안감이 2.7cm인 반면, 캐주얼 안감은 1.1cm이었으며, 소매부리여유분량은 수트 안 감과 캐주얼 안감이 모두 0.1cm로 거의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소매밑단에서 여 유분량이 많으면 활동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감의 안감 패 턴의 여유분량에 대한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수트 안감의 여유분량이 캐주얼 안감의 여유분량보다 많 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매부리에 대한 안감 패 턴의 여유분량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 트 안감의 여유분은 Kwak et al.(2008)과 유사하였 으며, 캐주얼 안감의 Knowles(2006)와 좀 더 유사 하였다. 몸판의 밑단둘레와 소매부리의 둘레는 남 성복 브랜드에서 안감 패턴 제작 시 추가적인 여유 분을 주지 않았는데, 이는 문헌연구에서 살펴본 바 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2)Degree of movement from the outshell pattern to develop the lining pattern

    남성복 재킷 안감 패턴의 구체적인 설계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겉감 패턴에서 이동하는 분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브랜드에서 주로 생산하는 재킷 안감의 제작 스타일에 따라 응답하게 하였으 며, 안감을 부분봉제 후에 다시 재단하는 수트 안 감(re-cutting)에 응답한 브랜드는 7개 브랜드이며, 다시 재단하지 않고 한번 재단한 안감을 바로 사용 하는 캐주얼 안감(one-cutting)에 응답한 브랜드는 5 개 브랜드이다. 먼저 재킷 몸판 패턴에서 이동하는 분량의 결과는 (Table 6), (Fig. 3)과 같다. 몸판안 감 패턴의 형태는 안감 제작 스타일에 따라 형태가 많이 달라져서 (Fig. 3)에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감 두 가지 스타일을 모두 표시하였다.

    앞판에서 이동하는 분량은 재킷 안감 제작 스타 일에 따라 봉제 공정이 달라짐으로 인해, 수트와 캐주얼의 구체적인 이동분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동량의 차이가 큰 부위는 주로 암홀 부위이며, x 값보다는 y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 가슴부위에 수트 안감은 안쪽에서 턱이나 주름 으로 활동분량을 추가함으로 인하여 차이가 큰 것 으로 조사되었다. T-test 결과, ➀, ➃, ➆, ➇, ⑳, ㉑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진동둘레부위 에서 올림분량(➀, ➃, ➆)이 수트 안감이 1.7cm인 반면, 캐주얼 안감은 0.5cm로 나타났다. 앞어깨선 부위에서 위로 올리는 분량(⑳, ㉑)이 수트 안감이 3.8cm와 3.0cm인 반면, 캐주얼 안감은 0.2cm와 0.3cm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이드패널의 뒤암홀 상단 부위(➇)는 x, y, z의 값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특히나 Z값은 수트 안감에서만 이동하는 분량으로 나타났다.

    재킷 안감 패턴의 기장(㉒)은 모든 조사 대상브 랜드에서 겉감완성 기장에서 시접을 겉감시접보다 적은 시접(㉓)을 사용하였다(수트 안감 2.3cm, 캐주 얼 안감 1.6cm). 뒤중심의 활동분량(⑭, ⑮, ⑯, ⑰), 허리둘레 부위(➁, ➄, ⑫), 밑단둘레 부위(➃, ➅, ⑬), 뒤목점에서 뒤중심트임까지의 길이(㉓) 등은 재킷의 스타일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이 재킷 안감 패턴의 설계를 위하여 겉 감 패턴에서 이동하여 주는 분량은 앞판과 사이드 부위의 암홀둘레와 어깨부위를 중심으로 수트 안 감과 캐주얼 안감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남성복 재킷 안감 패턴 설계 시에는 제작하는 재킷 안감 스타일을 고려하여 적절한 설계법을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재킷 겉감 소매 패턴에서 안감 패턴 설 계 시 이동하는 분량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Table 7), (Fig. 4)와 같다. 안감 소매 패턴은 재킷 안감 제작 스타일에 따라 패턴의 형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 (Fig. 4)는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감 모두를 위한 패턴이다.

    안감 소매 패턴은 제작 스타일에 따라 소매에서 올리는 분량 ➀과 ➇의 x축 이동량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안감 소매 패턴의 소매통둘레선 부위에서 이동량은 두 장 소매가 분리되는 위치에 따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장 소매의 앞쪽 부분에서 분리되는 부위의 이동하는 분량(➀, ➁, ➇)이 서로 비슷하였으며, 또한 뒤쪽에서의 소매가 분리되는 부위에서의 이동분량(➂, ➅)도 비슷한 분량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하는 분량 은 수트 안감이 캐주얼 안감보다 여유분이 크므로 인해, 둘레항목의 여유분량이 되는 x축 이동량과 함께 y축 이동량 또한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매정점에서 위로 이동분량(➆)은 수트 안감(0.6 cm)이 캐주얼 안감(0.1cm)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여성복의 경우(Kim & Suh, 2007), 패드두 께가 6mm일 때 패드분량과 동일한 분량만큼 소매 산을 깎아서 안감 패턴을 설계한다고 한 것과는 대 조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트 안감 소매 패턴의 제작법은 Kwak et al.(2008)이 소매정점을 0.5cm 올 린다고 한 것과 유사하게 안감 패턴을 제작하고 있 었으며, Armstrong(2010)Knowles(2006)에서 소 매정점을 깎아준다고 한 것과는 반대인 것으로 나 타났다. 소매 안감 패턴의 기장은 몸판 패턴에서 설계와 같이 겉감 소매 패턴의 완성기장에서 겉감 패턴의 시접분량보다는 적은 분량의 시접(수트 안 감, 1.6cm; 캐주얼 안감, 1.1cm)을 사용하여 설계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재킷 안감 소매 패턴 설계를 위하여 겉감 패턴에서 구체적으로 이동하는 분량을 살펴 본 결과,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감의 몸판에서 이 동하는 분량은 수트 안감이 캐주얼 안감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소매 안감의 이동분량은 몸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V.Summary and Conclusion

    본 연구는 남성복 브랜드의 재킷 안감 제작에 관한 일반적인 현황과 안감 패턴 설계에 관한 구체 적인 방법을 조사하여, 재킷 안감 패턴 설계와 제 작에 관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로 도출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브랜드의 안감 제작에 관한 일 반적인 사항을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남성복 브랜 드는 재킷 안감 패턴을 협력업체에 항상 제공하고 있었으며, 안감 패턴 설계는 패턴사가 자신의 노하 우(know-how)를 바탕으로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감 패턴 제작에 가장 중요한 요 인은 재킷 봉제 과정에서 안감에 추가적인 재단을 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수트 안감(re-cutting)인지, 캐주얼 안감(one-cutting)인지가 가장 중요한 요인 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트 재킷과 캐주얼 재킷의 스타일에 따 른 재킷 제작에 관한 조사 결과, 제작하는 재킷의 스타일과는 상관없이 대부분의 남성복 브랜드에서 는 샘플작업을 위해 시접을 포함한 패턴을 사용하 고 있었다. 부분 안감의 경우, 밑단의 봉제 방법은 수트 안감은 스쿠이 작업(blind hem foot)이 많은 반면, 캐주얼 안감은 말아박기가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안감을 겉감에 연결하는 방법에서도 수트 안감과 캐주얼 안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재킷 안감 패턴 설계 방법에 관한 조사한 결과, 안감 패턴의 여유분은 안감 제작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가슴둘레 여유분(수트 안감: 5.6cm, 캐주얼 안감: 2.4cm), 허리둘레 여유분(수트 안감: 3.8cm, 캐주얼 안감: 1.3cm), 밑단둘레 여유분 (수트 안감: 2.7cm, 캐주얼 안감: 1.3cm), 소매통둘 레 여유분(수트 안감: 2.7cm, 캐주얼 안감: 1.1cm) 에서는 차이가 났으나, 소매부리 여유분(수트 안감: 0.1cm, 캐주얼 안감: 0.1cm)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안감 제작 스타일에 따라 겉감 패턴 각각의 포인트에서 안감 패턴 설계 시 이동하 는 분량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 판에서는 암홀부위와 어깨부위를 중심으로 이동량 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으며, 소매에서의 이동분 량은 몸판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남성복 브랜드의 재킷 안감 제작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남성복 브랜드에서는 수 트 재킷인지, 캐주얼 재킷인지의 재킷의 스타일에 따라 안감 제작 방법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 는 안감의 제작 방법이 생산하는 공장에 구비되어 있는 생산시스템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으로 일 반적으로 수트 안감은 안감을 봉제 공정에서 다시 한 번 재단하기 때문에 안감의 여유분이 많았으며, 이러한 부분은 여성복의 재킷 안감 패턴과는 상당 히 대조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캐주얼 안감 은 안감 봉제 공정에서 다시 한 번 재단하는 과정 이 없음으로 인하여 안감 패턴의 여유분은 수트 안 감에 비하여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남성복 재킷을 제조 및 제작하고자 하는 의류업계 와 학계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참조하여 재킷 안감 패턴을 설계하면, 제작과정에서 오차를 줄이는 과 학적인 재킷 제작에 도움이 되는 연구결과라 사료 된다. 또한 후속연구로는 재킷과 더불어 착용하는 성인 남성의 바지 안감 제작에 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진다면, 남성복 재킷과 바지 제작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RJCC-22-300_F1.gif

    Experimental jacket design.

    RJCC-22-300_F2.gif

    Outshell patterns of experimental jacket design.

    RJCC-22-300_F3.gif

    Body pattern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styles of the linings.

    RJCC-22-300_F4.gif

    Sleeve lining patterns for both jacket styles.

    Tabl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ponded companies

    Lining patternmaking manufacturing condition of the companies

    How to treat the thickness of the shoulder pad

    Manufacturing survey according to jacket styles

    Ease comparisons in the lining pattern: suit jacket vs. casual jacket

    **P<0.01

    Specific shifting degrees on body patterns

    Note: Values (x-value and y-value) are specific distances from each point that is shown in Fig. 3. Body pattern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styles of the linings. The z-value on the 8 point is the specific distance as shown in the figure.
    *P<0.05,
    **P<0.01,
    ***P<0.001.

    Specific shifting degrees on the sleeve patterns

    Values (x-value and y-value) are specific distances from each point that is shown in Fig. 4. Sleeve lining patterns for the style of both jackets.
    *P<0.05,
    **P<0.01.

    Reference

    1. Armstrong H. J (2010)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 Pearson Education Inc,
    2. Cabrera R (1996) Classic tailoring techniques: A construction guide for men's wear, Fairchild Publications,
    3. Cho R. H (2008) Establishments of the suitable basic slim fit jacket pattern for man age of 18~24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4. Hong E. H , Suh M. A (2012) A comparative study on men's bodice slopers -Using a 3D virtual garment system-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0 (3) ; pp.403-415
    5. Jung J. E (2006) The study on men's jacket block according to somatotype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0 (1) ; pp.41-57
    6. Kang S. H , Suh M. A (2007) Practical clothing construction [의복의 입체구성], Kyomunsa,
    7. Kim M. J , Jo J. S (2006) A study on the basic pattern of men's casual jacke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2) ; pp.207-220
    8. Kim M. O , Suh M. A (2007) A study in the pattern making of the lining fabrics for jackets made of stretchable fabric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5 (6) ; pp.1038-1052
    9. Knowles L. A (2006) , The practical guide to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ers, Fairchild Publications, Inc,
    10. Kwak Y. S , Kim J. Y , Baek Y. H (2008) Men's wear tailoring [남성복 테일러링], Kyoungchunsa,
    11. Lee M. S , Suh M. A (2008) A study on the lining pattern making method of pants made of stretchable fabric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6 (1) ; pp.48-57
    12. Molloy J. T (2006) , Dress for suscess, Grand Central Publishing,
    13. Oh S. H (1994) Sewing science and production manage [봉제과학과 생산관리], Kyoungchunsa,
    14. Park Y. H , Han S. H (2010) A study on the preference design and the demand performance for adult men's suit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8 (1) ; pp.1-12
    15. Suh D. A , Chun J. S (2004) Men's bodice pattern making method using 3-D body scan data ,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Vol.12 (2) ; pp.290-299
    16. Yang C. E , Seong O. J (2011) Development of pattern in casual slim-fit jacket for middle-aged men , Journal of Design forum, Vol.32 ; pp.382-391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