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2 pp.198-208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2.198

Demand for functional elements of sports climbing shirts

Eunjung Seo, Jongsuk Ch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jschun@yonsei.ac.kr)
December 26, 2013 March 6, 2014 April 11, 20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functional elements of sports climbing shirts.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dult (n=53) and adolescent (n=55) sports climbers. The questionnaire explored respondents’ sports climbing activities and need for functional design features of sports climbing shirts. Their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ing value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regarded ergonomic design and the use of intelligent material as important elements of expert-level sports climbing shirts. Compared to adolescent, adult respondents were more susceptive to functional design elements such as suitability for climbing motions and ease of dressing or undressing. Also, adult sports climbers were more likely than adolescents to prefer shirts that are tightly fit at the chest. Neither adults nor adolescents favored shirts design that is tightly fit at the neck or armpit. The regular shirts length not covering hips and sleeve length ending at the wrist were preferred. The collar stand should not hit the chin. Adult climbers preferred ergonomically designed sleeves on the back shoulder. Adults and adolescents had different preferences for the front neck zipper length. Adults preferred long front zipper length at che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orts climbing shirts should have functional feature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climbing movements and improve convenience and stability.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기능성 요소 수요

서 은정, 천 종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초록


    I.Introduction

    스포츠 클라이밍(sports climbing)은 등반에서 파 생된 스포츠 종목이다(Sheel, 2004). 스포츠 클라이 밍은 자연 암벽 등반을 위한 수련활동으로 시작되 었으나, 실내경기로 개발되면서 전문적인 스포츠 종목으로 발전하였다(Booth, Marino, Hill & Gwinn, 1999). 스포츠 클라이밍 참여 인구는 초등학생부터 50대까지 다양하다. 대한산악연맹에서는 청소년 스포츠 클라이밍 대회를 초등학교 저학년부에서 고등부까지 포함하여 실시하고 있다. 실내 스포 츠 클라이밍은 인공벽에 부착된 홀드를 쥐거나 딛고 오르는 연속 동작들로 구성된다. 먼 곳에 위 치한 홀드를 손으로 쥐거나 발로 딛기 위해 상체 와 하체를 비틀거나 뻗거나 굽히게 되는 동작이 자주 반복되므로, 인체 가동범위가 크고, 인체의 다양한 근육을 사용하는 익스트림 스포츠라 할 수 있다(Jung & Chun, 2013; Son, 2007).

    최근에는 기능성 스포츠웨어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함에 따라 운동 시 나타나는 근육의 피로나 부상 을 예방하는 기능을 반영한 스포츠웨어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Lee & Chun, 2013). 선행 연구자들은 사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거나 사용자 의 요구사항이나 인체 특성을 반영하여 기능성 스 포츠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 어 싸이클 자세에서의 체표면 변화를 반영하여 싸 이클웨어를 개발하기도 하고(Kim & Kim, 2003), 운동 시 불편한 부위와 선호요소를 반영하여 골프 웨어를 개발하기도 하였다(Ryou, 2009). 이 외에도 아웃도어웨어 브랜드의 상품특성을 구체적으로 비 교 분석하거나(Kim & Ha, 2012; Sim, Moon & Chung, 2012), 소비자 수요를 파악하는 연구도 수 행되었다(Im, Seo, Park & Kim, 2011). 그러나 대부 분의 기능성의류에 대한 수요 파악에 관한 선행연 구들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스포츠 활동에서 극한의 인체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해당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수요특성의 파악은 미흡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 구는 전문 스포츠 클라이머를 대상으로 스포츠 클 라이밍용 의복 개발에 필요한 의류 디자인 요소에 대한 수요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스포츠 클라이밍 전문가 육성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반 영하여 성인 전문 클라이머와 청소년 클라이머들 을 대상으로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제품설계요 소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여, 스포츠 클라이밍 셔츠 제품 설계요소에 대한 수요차이를 클라이밍 인구 의 연령에 따라 구분하여 규명하였다.

    II.Background

    1.Sport climbing wear

    스포츠 클라이밍 시 착용되는 스포츠웨어는 산 악활동부터 조깅과 자전거, 수상스포츠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종목의 야외활동 시 착용하게 되는 의복 인 아웃도어웨어(Rhee & Lee, 2011)의 일종이다. 지 난 수년간 국내 패션산업의 저성장 속에서도 2012 년도 아웃도어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였다(www.samsungdesign.net). 의류업체들은 전문적이면서 다양한 기 술을 집약시킨 아웃도어웨어 제품을 출시하고 있 다(Sung, 2012). 의류학 연구자들은 아웃도어웨어 브랜드의 상품특성과 디자인 경향을 파악하거나 (Sim et al., 2012; Kim & Ha, 2012) 아웃도어웨어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도 하였다. 예를 들어 선행연구들은 20~40대의 소 비자를 대상으로 아웃도어웨어용 점퍼와 팬츠의 치 수 맞음새와 소재, 세탁방법, 색상의 선호경향에 대 해 조사하거나(Park, Park, Lee & Ra, 2003), 20~40 대 이상의 남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아웃도어 재 킷의 부위별 디테일 선호도를 조사하여 프로토타 입 개발에 반영하기도 하였다(Oh & Kim, 2012).

    인공암벽에서 경기가 진행되는 스포츠 클라이밍 은 자연 암벽 등반과 달리 온도나 습도, 날씨에 영 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Burbach, 2004; Lee, 2006). 인공암벽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클라이밍 경기방 식은 평가기술요소와 안전장비 사용에 따라 크게 속도 경기, 난이도 경기, 볼더링경기로 구분된다. 속도경기는 톱로프가 확보된 상태에서 가장 빨리 목표지점에 도달해야 하는 경기방식이고, 난이도경 기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한시간 내에 가장 높은 지점까지 도달해야 하는 경기이다. 볼더 링경기는 안전벨트나 로프, 하네스를 착용하지 않 은 상태로 제시된 과제를 풀면서 제한된 손 홀드를 사 용하여 정상까지 도달하는 경기방식이다(Sung, 2009).

    스포츠 클라이밍 등반 기술 동작은 발의 위치나 손의 사용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발을 딛는 홀드의 위치를 정상보다 높여 딛는 하이스텝 기술은 프론트 하이 스텝(front high step)과 백 하이 스텝(back high step)으로 분류한다. 이 외에도 허리 를 비틀어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면서 이동하 는 동작인 트위스트 록(twist lock), 수직방향의 홀 드를 두 손으로 잡고 양 발로 벽을 밀면서 오르는 레이백(layback), 양 다리를 벌려 딛고 오르는 스테 밍(stemming), 먼 곳에 위치한 홀드를 잡기 위해 양 손을 홀드에서 떼고 순간적으로 날아서 다음 홀드 를 쥐는 다이노(dyno) 등이 있다(Kim, 2002). 따라 서 클라이밍용 스포츠웨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 러한 클라이밍 동작 수행 시 나타나는 인체의 변화 와 요구되는 의복의 특성을 잘 인지하는 집단을 대 상으로 제품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2.Clothing need of adolescents

    청소년기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재학 시기에 해 당하며, 연령으로는 14세에서 19세까지이다. 청소년 시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 이 이루어지는 독특한 시기로서, 심리적으로는 불 안정하고 민감하며, 아동에서 성인의 체형으로 바 뀌어가는 과정에 있는 시기이며, 체형적으로 성인과 는 구분되는 차별적인 집단이다(Kim & Choi, 2005; Kim, Kwon & Suh, 1994; Hong & Suh, 2008). 이러 한 외모와 정서가 급변하는 특성으로 인해 청소년들 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Koh & Kim, 1996).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포츠의류 소비행동 연 구는 청소년들이 유행에 민감하고, 또래집단에 귀 속되고자 하는 동조적 성향이 높다고 주장하였다 (Lee & Ryou, 2011; Koh & Kim, 1996). 이러한 특 성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원하는 물건을 소유함으 로써 자신을 나타내는 세대로 평가되며, 의류 브랜 드의 중요한 소비자집단으로 인식된다(Lee, Yoo & Lee, 2013). 또한 상품 구매력과 구매결정권을 스스 로 행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소비자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는 집단이다(Kim, Chung & Yu,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집단을 성인 집단 과 구분하여 각 집단의 수요 특징을 연구하였다.

    III.Methods

    1.Subjects

    스포츠 클라이밍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클라이밍 셔츠에 대한 기능적 수요 특성을 파악하 기 위하여 2013년도 5월에 실시된 대표적인 국내 스포츠 클라이밍 대회(아디다스 락스타 볼더링 대 회, 노스페이스컵 전국 스포츠 클라이밍 대회, 전국 청소년 스포츠 클라이밍 대회)에 참가한 스포츠 클 라이머들과 스포츠 클라이밍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22부를 회수하 였고,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n= 14)를 제외 한 총 108부를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성인(n=53)과 청소년(n=55)이었고, 성 별로는 남성(n=69)이 여성(n=39)보다 많았다. 성인 집단은 20대부터 50대까지 포함하였으며, 청소년 집단은 중학생(n=23)과 고등학생(n=32)으로 구성되 었다. 성인의 연령은 20대(n=21, 39.6%)가 가장 많 았고, 30대(n=12, 22.6%)와 40대(n=12, 22.6%)도 고 르게 분포하였다. 50대(n=8, 15.1%)는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Table 1).

    2.Data collection

    설문조사를 통해 응답자의 특성과 스포츠 클라이 밍 셔츠 구매 및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응답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스포츠 클라이밍 활동특성(2문항)을 포함하였다.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 클라이 밍용 셔츠 보유 수량(2문항) 및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착의 만족 관련 문항(2문항)을 조사하였고, 구매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계요소별 디자인 선 호(6문항), 구매 시 중요시 하는 요소(1문항)를 측정 하는 문항들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 품목은 클라 이밍 시 착용하는 긴소매 셔츠로 제한하였다. 구체 적인 설계요소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및 해외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브랜드 5개(ARCTERYX, Columbia, MAMMUT, MOUNTAIN HARDWEAR, Snake)에서 2012년 F/W용으로 판매한 75개 스타일 의 긴소매 셔츠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칼라, 앞여밈 지퍼 길이, 셔츠의 길이, 소매와 등어깨 부위 설계 요소의 대표적 디자인의 도식화를 제시하여 설문 조사에 사용하였다(Fig. 1). 설문지에 제시한 설계 요소별 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칼라는 높이에 따라 목부위의 중간 높이까지 올라오는 세미하이 넥(semi-high neck)과 목부위를 완전히 감싸는 하이 넥(high neck)으로 분류하였다. 앞여밈 지퍼길이는 지퍼의 길이에 따라 가슴 윗부분까지 위치하는 일 반적인 길이(short front zipper), 가슴 아랫부분까지 지퍼가 내려오는 긴 길이(long front zipper), 앞여밈 을 완전히 개폐할 수 있는 스타일(full zip-up)로 구 분하였다. 셔츠의 길이는 셔츠 밑단이 엉덩이 윗부 분까지 내려오는 일반적인 길이(upper hip length)와 엉덩이부위를 덮는 긴 길이(under hip length)로 구 분하였다. 어깨디자인은 소매의 어깨부위 형태에 따라 레글런 슬리브(raglan), 셑인 슬리브(set-in), 인 체공학적인 커팅의 슬리브(ergonomic cut)로 구분 하였다. 소매길이는 손목까지 내려오는 일반적인 길이(regular length)와 손등과 손바닥까지 덮는 긴 길이(long length)로 나누었다. 소매 밑단은 봉제하 는 방식에 따라 소매 끝을 말아 박음질한 스타일 (self hem), 소매 끝을 탄력 테이프로 마감한 스타일 (elastic band), 소매 끝에 2~3cm의 비교적 좁은 폭 의 밴드를 덧댄 스타일(narrow band), 3cm 이상의 폭이 넓은 밴드를 덧댄 스타일(wide band), 소매의 길이가 손바닥까지 덮는 긴 길이로 되어 있으면서 엄지손가락을 분리시키는 작은 구멍을 낸 스타일 (thumb slit)로 구분하였다.

    스포츠 클라이밍 전문가들의 경험을 근거로 한 셔츠의 기능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포츠 클 라이밍 셔츠 착용 시 체감한 동작적합성, 착∙탈의 편이성, 치수적합성을 조사하였고, 응답자 개인이 선호하는 가슴, 어깨, 겨드랑이, 허리, 목 부위별 밀 착감의 정도를 3점 Likert 척도로 조사하였다. 또한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구매 시 중요시하는 가치요 소를 파악하기 위해 소재의 기능성, 기능적 디자인, 가격, 브랜드 인지도에 대한 중요도를 5점 Likert 척 도(1: 전혀 중요하지 않다~5: 매우 중요하다)로 측 정하였다. 이 외에도 응답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 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치수를 조사하였다.

    3.Data analysis

    설계요소별로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깨부위 디자 인, 셔츠의 길이, 칼라 스탠드 높이, 셔츠의 앞지퍼 길이, 셔츠의 소매길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성 인집단과 청소년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동 작적합성, 착∙탈의 편이성, 치수적합성, 셔츠 부위 별 선호 밀착감, 클라이밍용 셔츠 구매 시 중요시 하는 소재의 기능성, 기능적인 디자인, 가격, 브랜 드 인지도, 선호하는 소매밑단 스타일에 대한 성인 집단과 청소년집단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검 정을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스포츠 클라이밍 경력, 스포츠 클라이밍 참여빈도,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보유수량과 사이즈는 빈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 는 SPSS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V.Result and Discussion

    1.Sports climbing activity

    설문에 참가한 스포츠 클라이머들의 스포츠 클 라이밍 경력은 성인과 청소년 집단이 달랐다. 성인 스포츠 클라이머들의 경우, 3년 이상의 경력을 가 진 응답자들이 가장 많았고(n=22, 41.5%), 청소년 스포츠 클라이머의 경우 1개월에서 1년 이하의 경 력자(n=23, 41.8%)가 가장 많았다(Table 2).

    스포츠 클라이밍 활동 빈도를 조사한 결과, 성인 들은 월 평균 9.54회 스포츠 클라이밍 활동을 하였 으며, 청소년은 월 평균 18.62회 하였다. 이는 성인 들은 취미로 일주일에 약 2회 정도 스포츠 클라이 밍을 하는 경향을 보이나, 청소년 집단은 스포츠 전 문가로 육성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 실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트레이닝이 이루어지 고 있음을 보여준다.

    2.Retention properties of sports climbing shirts

    클라이머들이 착용하는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사이즈를 조사한 결과, 성인 남성들은 90에서 105 사이즈까지 4가지 사이즈의 셔츠를 착용하고 있었 으며, 청소년 남성과 성인 여성들은 85에서 100까지 4가지 사이즈의 셔츠를 착용하였다. 청소년 여성은 85사이즈부터 95사이즈까지 3가지 사이즈의 셔츠 를 착용하고 있었다. 집단에 따라 빈도가 높은 사 이즈는 성인 남성의 경우, 95사이즈(n=12, 42.9%) 와 100사이즈(n=9, 32.1%)였다. 성인 여성의 경우, 90사이즈(n=12, 48%)와 95사이즈(n=8, 32%)의 수 요가 높았다. 청소년 남성도 95사이즈(n=18, 43.9%) 의 수요가 높았으며, 90사이즈(n=13, 31.7%)의 수 요도 비교적 높았다(Table 3). 이러한 결과는 클라 이밍용 셔츠 공급업체들이 전문가용 클라이밍 셔 츠를 제작할 때 연령 집단과 성별에 따라 사이즈의 분포를 달리 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남성의 경우, 성인과 청소년 모두 95사이즈를 중심사이즈로 하 고, 두 번째로 비율이 높은 사이즈는 성인은 100사 이즈, 청소년은 90사이즈로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 사한다. 성인 여성의 경우, 90사이즈를 중심사이즈 로 하고, 두 번째 비율이 높은 사이즈를 95사이즈 로 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스포츠 클라이머들이 보유한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수량을 조사한 결과, 성인이 청소년보다 더 많은 수의 클라이밍용 셔츠를 보유하였다. 성인 집 단은 4벌(n=15, 28.3%)이나 5벌 이상(n=21, 39.6%) 을 보유한 응답자의 비율이 67.9%였다. 그러나 청 소년들은 1벌(n=23, 41.8%)만 가진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Table 4). 이와 같이 청소년에 비해 월 평균 스포츠 클라이밍 활동 참여 횟수가 적은 성인 스포 츠 클라이밍 전문가들이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이유는 성인집단이 스포츠 클라이밍을 전문적으로 수행한 기간이 길기 때문 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청소년 스포츠 클라이 머들은 성인 스포츠 클라이머에 비해 전문적으로 스포츠 클라이밍에 입문한 기간이 짧기 때문에 전 문가용 스포츠 클라이밍 웨어의 보유 수량이 적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3.Satisfaction of sports climbing shirts

    성인과 청소년 스포츠 클라이머 집단의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착용 시 체감한 사용성을 파악하 기 위하여 동작적합성, 착∙탈의 편이성, 치수적합 성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작적합성과 착∙탈 의 편이성 항목에서 청소년과 성인 집단 사이에 차 이가 있었다.

    동작적합성은 성인집단(2.20)보다 청소년 집단(2.54) 이 유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p≤0.01). 착∙탈의 편이성에 대해서도 성인집단(2.24)보다 청 소년집단(2.58)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클라이밍용 셔츠에 대한 치수 적합성은 성인(2.18)보다 청소년(2.43)의 만족도가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수준은 아니 었다(Table 5). 이러한 결과는 성인집단이 청소년보 다 클라이밍용 셔츠의 동작적합성, 착∙탈의 편이 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음을 시사한다.

    4.Preference for fit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밀착감 선호도를 신 체 부위별로 나누어 3점 Likert 척도(1: 넉넉함~3: 밀착됨)로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성인들이 청소 년보다 밀착된 스타일의 셔츠를 선호하였다.

    가슴부위는 성인(2.00)들이 청소년(1.65)보다 신 체에 밀착되는 스타일의 셔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어깨부위는 통계적으로는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인(2.00)이 청소년 (1.80)보다 밀착되는 스타일의 셔츠를 선호하였다. 허리부위에서는 성인집단(2.10)과 청소년 집단(1.92) 모두 다른 부위에 비해 밀착되는 스타일을 선호하 는 경향이 높은 편이었다. 겨드랑이부위와 목부위 는 두 집단 모두 가슴부위나 허리부위, 어깨부위보 다 밀착되지 않는 스타일을 선호하였다(Table 6).

    고강도(Likert scale 3)의 밀착 정도에 대한 수요 를 부위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성인들이 고 강도 밀착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다. 가장 밀착됨 을 선호한 부위는 어깨와 허리 부위였으며, 성인들 은 30.2%, 청소년은 21.8%였다. 성인은 가슴부위 (26.4%)와 겨드랑이부위(20.8%)도 밀착되는 스타일을 선호하였다(Fig. 2).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클라이밍 용 셔츠에 대해 어깨나 허리, 가슴부위가 밀착되는 스타일을 선호하는 수요가 30% 내외로 존재함을 시사하며, 목부위는 밀착되지 않게 설계하도록 주 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5.Design preference

    스포츠 클라이밍용 긴 소매 셔츠의 디자인 선호 도를 설계요소별로 조사하였다. 비교한 설계요소는 어깨부위의 디자인, 셔츠 길이, 칼라 스탠드 높이, 셔츠의 앞지퍼 길이, 소매길이, 소매밑단 봉제방식 이었다. 분석 결과 성인과 청소년 집단의 선호도가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어깨부위 셔츠 디자인은 레글런슬리브(Style A) 와 셑인 슬리브(Style B), 인체공학적인 형태의 슬 리브(Style C)의 3가지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선호 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집단은 인체공 학적인 형태인 Style C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 였으나, 청소년 집단은 셔츠의 어깨부위 디자인에 다른 선호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p≤0.05)(Table 7). 이러한 결과는 성인 스포츠 클라이머들이 클라이 밍용 셔츠 어깨부위의 기능적 스타일에 민감도가 높으므로 스포츠 클라이밍 셔츠 설계 시 기능적인 소매 디자인에 무게를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선호하는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길이는 엉 덩이를 덮지 않는 일반셔츠길이(Style A)와 엉덩이 를 덮는 긴 길이(Style B)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인(69.8%)과 청소년(61.8%) 모두 엉덩이를 덮지 않는 일반적인 길이(Style B) 형태의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Table 8).

    칼라 스탠드 높이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 해 일반적으로 클라이밍 셔츠나 아웃도어 등산복 셔츠에 적용되는 중간 높이(Semi-high, Style A)와 턱 끝까지 올라오는 높이(High, Style B)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성인(86.8%)과 청소년(67.3%) 모두 중 간 정도 높이의 일반적인 높이의 칼라를 선호하였 다. 칼라 높이가 턱 끝까지 올라오는 Style B는 성 인(13.2%)보다 청소년(32.7%)이 더 선호하였다(p≤ 0.05)(Table 9). 이러한 결과는 클라이밍용 셔츠의 칼라 높이는 중간 정도의 높이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고, 청소년용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 츠 설계 시 턱 끝까지 올라오는 스탠드가 높은 칼 라에 대한 수요도 30% 이상이라는 특성을 반영하 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는 착∙탈의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앞여밈 지퍼를 사용한다. 앞여밈 용 지퍼 길이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성인과 청소년의 선호도 차이가 분명하였다(p≤0.001). 성인 들은 일반적인 길이보다 약간 더 긴 길이의 지퍼스 타일(Style B, 45.3%)을 선호한 응답자가 가장 많은 반면, 청소년들은 재킷처럼 앞중심 전체를 열어서 입고 벗을 수 있는 스타일(Style C, 63.6%)을 가장 선호하였다. 클라이밍 셔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짧은 길이의 앞지퍼는 30% 이내의 선호도를 나타 냈다(Table 10).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사 용하는 짧은 지퍼 길이에 대한 선호도가 낮다는 것 을 의미하므로 성인용 셔츠의 앞지퍼 길이를 가슴 하단까지 열 수 있는 긴 길이의 지퍼 사용이 필요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이 선호한다고 응답한 앞 을 완전히 개폐하는 스타일의 클라이밍용 셔츠도 청소년용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소매 길이 선호도를 손목까지 오는 일반적인 길이(Style A) 와 손바닥을 덮는 긴 길이(Style B)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성인 집단과 청소년 집단 모두 일반적인 손목 길이의 소 매를 뚜렷하게 선호하였다(Table 11). 손바닥을 덮 을 정도의 긴 길이 소매는 인공벽에 부착된 홀드를 잡고 몸의 균형을 잡아야 하는 스포츠 클라이밍의 운동 특성상 홀드를 쥘 때 동작 수행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포츠 클라이밍 셔츠 의 소매밑단 처리방식을 조사한 결과, 매우 다양한 봉제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중 빈도가 높은 5종류 의 소매 밑단 처리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3점 Likert 척도(1: 비선호~3: 선호)로 분석한 결과, 성인집단은 소매 밑단 처리 방식에 대한 선호 스타일이 뚜렷하 였다. 성인집단은 단순한 스타일(Style A, Style B) 을 선호하였고, 넓은 밴드를 덧댄 스타일(Style D) 과 엄지손가락 구멍을 낸 긴 길이의 소맷단(Style E) 은 선호하지 않았다. 청소년 집단은 Style E를 제외 한 모든 스타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p≤ 0.05)(Table 12).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소매밑단은 가능한 한 단순하게 제작하고, 손목을 지나치게 조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손바닥 까지 커버하는 스타일은 지양해야 할 요소임을 보 여준다. 이는 소매 길이와 마찬가지로 홀드를 쥘 때 손바닥의 이물감이 클라이밍 활동의 방해요소 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6.Purchasing value

    성인과 청소년 스포츠 클라이머의 스포츠 클라 이밍용 셔츠 구매 시 중요시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소재의 기능성, 기능적인 디자인, 가격, 브랜 드 인지도를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중요하지 않 다~5점: 매우 중요하다)로 측정한 결과, 소재의 기 능성은 성인(4.11)과 청소년(4.00) 집단 모두 매우 중 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였다. 성인과 청소년 집단 사 이에 차이가 있는 요소는 기능적 디자인과 가격이 었다. 기능적 디자인은 성인(4.15)이 청소년(3.80) 집단보다 더 중요시 하였으며(p≤0.05), 가격도 성 인(4.07)이 청소년(3.52) 집단보다 중요하게 고려하 였다(p≤0.01)(Table 13).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인과 청소년 스포 츠 클라이머 집단 모두가 스포츠 클라이밍 웨어의 기능적 소재와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를 높게 평가 하나, 성인이 특히 기능적 디자인을 중요하게 고려 하여 클라이밍용 셔츠를 구매한다고 해석할 수 있 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기능적 설계를 위해서는 기능적 디자인 요소에 대 한 경험이 청소년에 비해 풍부한 성인 집단의 의견 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브랜드인지도는 성인(2.86)과 청소년(3.03) 모두 크게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지는 않았다(Table 13). 이는 소비자들이 스포츠 클라이밍 웨어를 전문적 으로 공급하는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낮기 때문 일 수도 있고, 브랜드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기 때 문일 수도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 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V.Conclusion

    스포츠 클라이밍은 팔과 다리뿐만 아니라, 인체 의 모든 관절을 극단적인 범위까지 움직여 수행하 는 스포츠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스포츠 클라이머의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수요특성을 조사하여, 제품 개발에 반영할 필 요가 있는 설계요소와 피해야 할 설계요소의 특징 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포츠 클 라이밍 참가 연령이 청소년까지 확대되고 있는 점 을 반영하여, 성인과 청소년 소비자의 수요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조사항목은 스포츠 클라이밍 활동특성,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보유 특성과 착의 만족도, 설계요 소별 디자인 선호도,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소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과 청소년 집단 간에 부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첫째, 스포츠 클라이밍 활동에 참여하는 빈도는 청소년이 성인보다 2배 정도 높았으나, 스포츠 클 라이밍용 셔츠 보유 수량은 성인들이 청소년보다 2~5배 이상 많았다.

    둘째,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착용 시 체감하는 동작적합성, 착∙탈의 편이성, 치수에 대한 만족도 는 청소년에 비해 성인집단이 낮았다. 이는 성인 클라이머들이 스포츠 클라이밍용 의류제품에 대한 성능 평가기준이 높은 집단임을 보여주며, 클라이 밍용 셔츠의 기능적 디자인 개선을 위해서는 성인 집단의 의견을 경청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 구매 시 성인과 청 소년 스포츠 클라이머 집단 모두가 기능적 소재와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였으나, 특히 성인 전문 스포츠 클라이머 집단이 기능적 디자인 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클라이밍용 셔츠를 구매하 였다.

    넷째,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를 착용하였을 때 선호하는 밀착수준은 성인과 청소년 집단이 공통 점과 차이점을 나타냈다. 공통점은 허리와 어깨부 위는 밀착되나 목과 겨드랑이는 밀착되지 않는 스 타일의 셔츠에 대한 수요가 높은 점이었다. 성인용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는 가슴부위도 밀착되는 스타일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섯째, 스포츠 클라이밍용 셔츠의 설계요소별 선호하는 디자인을 조사한 결과, 성인을 위한 스포 츠 클라이밍 셔츠는 기능적인 소매와 어깨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며, 셔츠의 앞지퍼 길이를 현재보다 약간 더 길게 제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 러나 셔츠나 소매의 길이는 지나치게 길 필요가 없 으며, 칼라도 지나치게 높거나 밀착되지 않도록 설 계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스포츠 클라이밍 셔츠는 지나치게 패션 스타일 위주의 설계보다는 스포츠 클라이밍 동작 수행의 편이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동작 수행 방해 요소 발생을 예방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제품의 설 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여섯째, 스포츠 클라이머들의 상의 사이즈는 성 별과 연령에 따라 대표사이즈를 차별할 필요가 있 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클라이밍 셔츠 제조업체들이 대표 사이즈를 설정할 때, 남성 의 경우 성인과 청소년 모두 95사이즈를 대표 사이 즈로 하는 것이 적합하며, 두 번째 대표 사이즈는 성인은 100사이즈, 청소년은 90사이즈로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성인 여성의 경우 90사이즈를 대표 사이즈로 하고, 두 번째 중심 사이즈는 95사 이즈로 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과 청소년 전문 스포츠 클 라이머들의 클라이밍용 셔츠 디자인에 대한 수요 가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으며, 클라이밍 스포츠 활 동의 경험이 많고 전문가용 셔츠 구매 경험이 많은 성인 집단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제품 설 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igure

    RJCC-22-198_F1.gif

    Details of sports climbing shirts in questionnaire.

    RJCC-22-198_F2.gif

    Preference of tightness on part of shirts.

    Table

    Age and gender of subjects (%)

    Sports climbing experience and frequency (%)

    Sports climbers’ shirts size (%)

    Amount of sports climbing shirts (%)

    Satisfaction levels of fitting

    Note. 3 points Likert scale, mean(standard deviation)
    **p≤0.01

    Preference of tightness

    Note. 3 points Likert scale(3=tight, 2=moderate, 1=loose)
    **p≤0.01

    Preference for shoulder design (%)

    Note. The design detail is shown on Fig. 1.
    *p≤0.05

    Preference for length of shirts (%)

    Note. The design detail is shown on Fig. 1.

    Preference for collar height (%)

    Note. The design detail is shown on Fig. 1.
    *p≤0.05

    Preference for front zipper length

    Note. The design detail is shown on Fig. 1.
    ***p≤0.001

    Preference for sleeve length (%)

    Note. The design detail is shown on Fig. 1.

    Preference for sleeve hem finish

    Note. The design detail is shown on Fig. 1.
    *p≤0.05

    Valued elements

    *p≤0.05,
    **p≤0.01

    Reference

    1. Booth J , Marino F , Hill C , Gwinn T (1999) Energy cost of sports rock climbing in elite performers ,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33 ; pp.14-18
    2. Burbach M (2004) GYM CLIMBING: Maximizing your indoor experience, The Mountaineers Books,
    3. Hong E. H , Suh M. A (2008) A study on th sizing system for lower garments according to lower body types of adolescent boy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6 (6) ; pp.1035-1049
    4. Im M. J , Seo M. J , Park J. Y , Kim Y. I (2011)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totype for functional men’s outdoor-wear jacke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1 (4) ; pp.152-168
    5. Jung S , Chun J (2013) Professional climbers' demand for movement functionality in pant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2) ; pp.261-271
    6. Kim H , Kwon S , Suh C (1994) Development of the dress form for high school girls through analyzing somatotyp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8 (1) ; pp.130-139
    7. Kim I , Ha J. S (2012)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in outdoor wea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2 (1) ; pp.93-109
    8. Kim J. G (2002) Sports climbing, Outdoorbooks,
    9. Kim N. Y , Choi H. S (2005) A study 2nd proposal on the sizing system for middle-school girs' cloth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5 (6) ; pp.67-81
    10. Kim Y. H , Kim Y (2003) Considerable differences of body surface area in the preparation of bicycle wear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1 (3) ; pp.375-386
    11. Kim Y. Y , Chung K. H , Yu K. K (2007) Young people’s purchase behavior of sports products and effect factors ,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Vol.12 (3) ; pp.65-78
    12. Koh A , Kim Y (1996) The effects of egocentrism, self-consciousness, boy cathexis on adolescence clothing behavio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0 (4) ; pp.667-681
    13. Lee M , Chun J (2013) A study on procedure for classifying male muscular lower body somatotype from general anthropometric databas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4) ; pp.585-595
    14. Lee N. H , Ryou E. J (2011) Adolescent's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sportswear purchasing behavior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7 (4) ; pp.351-360
    15. Lee S. I , Yoo H. S , Lee K. S (2013) The effects of the sportswear brand property on the teenager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22 (3) ; pp.791-801
    16. Lee Y. D (2006) Climbing school, Hainaim,
    17. Oh H. S , Kim J. W (2012) A study on design preference of outdoor jacket ,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Vol.15 (2) ; pp.67-78
    18. Park W. M , Park C. D , Lee G. R , Ra J. E (2003) Design process of outdoor-wear for improvement of comfort and appeara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2 (8) ; pp.29-39
    19. Rhee Y. J , Lee E. O (2011) The qualitative study on outdoor sportswear purchase behavior -Focusing on functional fabric awareness level and benefits sought-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5) ; pp.1088-1101
    20. Ryou H. S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men’s golf windbreaker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3 (3) ; pp.420-432
    21. Sheel A. W (2004) Physiology of sport rock climbing ,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38 ; pp.355-359
    22. Sim H , Moon S , Chung S (2012) Research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design for developing of outdoor produc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2 (8) ; pp.45-54
    23. Son J. J (2007)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heart rates during sport climbing by skill level of male high school sports climbing player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4. Sung B. J (2009) Let’s do sports climbing in autumn , The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Health and Life, Vol.65 ; pp.38-39
    25. Sung H. W (2012)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of outdoor sportswear: Based on sports types and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s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1 (2) ; pp.315-329
    26. http://www.samsungdesign.net/,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