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2 pp.313-325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2.313

Content planning for a ubiquitous wardrobe - Application of an RFID database -

Woon-Young Lee†
Life and Culture Research Institute,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bloomyou@dreamwiz.com)
March 5, 2014 April 13, 2014 April 15, 2014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 ubiquitous wardrobe with a clothing management function through detailed and subdivided integration research. To create a databas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output data were analyzed and used as the basic data. In particular, this study researched clothing management programs and companies’ standards of clothing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First, through an in-depth analysis centering on specialists, we established the contents of a ubiquitous wardrobe and used the concept of cloud computing to support the wardrobe contents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Second, this research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schools, and enterprises in their applications of, and the importance they attach to, design images. A detailed database composed of various categories was established to present the ubiquitous wardrobe contents with efficient functions. Third, we facilitated the search process by designating clothes with QR codes,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contents. Fourth, the code number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clothes into the database were utilized as RFID information as a way to arrange the products in a simpler manner. The ubiquitous wardrobe was constructed as a web-style hybrid, and its contents areavailabl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and QR codes.


유비쿼터스 워드로브 설계를 위한 콘텐츠 개발 - RFID 칩의 활용 -

이 운영†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초록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09-353-C00088

    I.Introduction

    첨단과학기술의 영향으로 섬유∙패션산업은 디 지털화하여 글로벌화, 네트워킹화 되고 있다. 융합 기술은 기존의 지식을 토대로 신선한 시각과 상상 력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Cho, 2010) 으로 개인의 의생활은 물론 섬유∙패션교육 방식 에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 된다. 본 연구는 정보산업과 패션산업 간의 구체 적이고 세분화된 융합연구로 의류관리기능을 지닌 유비쿼터스 워드로브 구축에 목적을 둔다. 이는 개 인의 의복관리 및 의생활 계획, 학계의 디자인 정 보제공, 패션업체의 상품관리 기능의 가상공간 옷 장이다. 같은 아이템이라도 유행에 따라 맞음새나 스타일의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합리적 인 의생활을 계획하기 위한 관리적 측면에서 옷장 에 쌓이는 옷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유비쿼터 스 워드로브는 웹 사이트 공간에 모체를 두고, 스 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이 가능한 연계형 콘텐츠이다.

    본 연구는 계속연구로 1차 연구에서는 연구에 필 요한 기술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QR 코드에 의류 품목 별로 정리, 제작하여 스마트 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여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데이타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 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웹 콘텐츠를 예비 실행하여, 현직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실시, 분석 하여 콘텐츠를 수정, 보완하였다. 또한 시대적 흐름 과 편의성을 위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 여 웹 콘텐츠와 연동함으로써 타 애플리케이션과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RFID 칩의 패션에서 활용성 에 관한 연구과 연계하여 칩의 정보에 입력될 정보 의 코드화 기준을 제시하였다.

    패스트 패션과 불황의 영향으로 급격히 늘어난 의 류의 재고 처리 문제는 계획적인 의류관리가 필요 하다. 개인의 의류계획 및 재고 관리는 자신의 옷 장에서부터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 구자는 그 첫 단계가 유비쿼터스 워드로브(Ubirobe) 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연구의 이론적, 기술적 배경은 국내외 관련 업체 및 기관, 연구소들의 동향 보고서와 논문 및 단행본을 포함 한 도서∙출판물 등의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하였 다. 보완 및 검증이 필요한 분야는 설문조사 및 분 석으로 콘텐츠 구성의 최종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II.Theoretical Background

    1.Fashion contents

    소셜, 사물, 라이프로그(Life-Log: 개인 일생활에 대한 정보), 데이터 등이 결합되며, 실시간으로 연 결되고 소통되는 스마트 시대는 정보통신기술의 일 상화를 구현하고 있다. 패션 분야에서도 이러한 디 지털 기술이 적용되어 패션 콘텐츠 시장의 영역도 넓어지고, 새로운 소통을 위한 융합연구가 활발하 다. 다른 분야와의 융합은 더 많은 소통을 하게 되 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단계 더 발전한 융합연구로는 아바타를 이용한 가상착장(Oh & Lee, 2012)을 예 로 들 수 있다. Hong(2006)은 패션 콘텐츠 웹사이 트를 이용하여 패션 컬러 코디네이션의 도구를 개 발하여, 섬유패션 업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색채 배 색 데이터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는 사용자 입 장에서는 인터넷을 활용하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 는 수많은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여, 콘텐츠 제공자 와 사용자 간의 소통(Byeon, 2013)을 가능하게 하 기 위해서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통한 다양한 패션 콘텐 츠가 개발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그 실효성이나 고급 정보의 제공은 부족한 실정이다.

    2.Wardrobe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은 웹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모바 일 특성이 부과된 매체라는 점에서 새로운 정보기 술이며, 국내의 패션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은 초기단계 (Lee & Lee, 2013)에 있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의 사전적 의미는 ‘적용, 응용’이지만, PC나 스마트 폰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프로그램’을 뜻 한다. 줄여서 앱(App), 흔히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 플이라고도 한다. 애플리케이션이란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운영체제 별 앱 스토어 에 접속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색다른 공간(Kim & Park, 2001; Lee & Lee, 2013)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을 통해 스마트 폰에 최 적화된 응용 소프트웨어로 게임, e-books, 네비게이 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앱 스토어를 통 해 자신이 원하는 모바일 앱을 구하고, 스마트 폰 으로 활용할 수 있다(Bae, 2010). 이는 개인의 속성 과 선호양식에 따른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Choi & Lee, 2012).

    패션 애플리케이션은 브랜드 앱과 비브랜드 앱 으로 나뉘며, 브랜드 앱은 주로 브랜드의 연혁과 추 구하는 컨셉, 디자인에 관한 설명을 포함하여 제품 홍보 및 판매를 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 브랜드 앱은 모바일 쇼핑이나 모바일 잡지, 패션 트랜드 정 보, 코디네이션 정보, 스타일링 정보, 옷장 정리 기 능으로 분류한다(Choi & Lee, 2012; Yang, 2012; Han, Park, Jeon, & Kang, 2011; Lee & Lee, 2013).

    패션 브랜드 앱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원 하는 제품의 가상착용으로 제품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현실성, 원하는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즉시성, 사용자 간의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활 성화시키는 공감성, 이렇게 네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Choi & Kim, 2011). Kim(2010)은 24 개 패션 브랜드 앱과 5개의 유통 브랜드 앱의 구성 과 소비자 리뷰를 내용을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 의 특성을 제품의 매장관련 정보와 같은 기본 정보, 구매 관련 기능, 재미요소, 증강현실 4가지로 분류 하였다.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초기 단계로 선행연구는 다소 부족하지만, Jang(2011)은 패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콘텐츠 구성 요소인 채널 에 따라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 패션 쇼핑 애 플리케이션, 패션 매거진 애플리케이션, 패션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고, Bae(2010)는 패션과 관련된 국내외 애플리케이션을 패션 브랜 드 애플리케이션, 패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패션 매 거진 애플리케이션, 패션 관련 쇼핑몰 애플리케이 션으로 분류하였다. Choi and Lee(2012)는 패션 관 련 애플리케이션,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 패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패션 라이프 스타일 애플리케 이션으로 분류하고 있다. Jang(2012)은 패션 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매거진을 포함한 패션 정보, 게임, 모바일 쇼핑, 브랜드 홈페이지, 소셜네트워크, 개인 패션관리, 기타 순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비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은 의류 회사와 연관성 이 없는 것으로 모바일 판매용, 패션잡지 형, 패션 정보 형, 패션스타일 형, 소셜네트워크 형, 옷장 정 리 형이 있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패션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판매와 연결되는 것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다른 기 능이 융합된 형태가 많았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구 성은 모바일에 독립된 매체보다는 웹 콘텐츠와 연 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옷장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계 앱 스토어에서 ‘Closet’, ‘Wardrobe’로 검색했을 때, 42개의 애플리케이션이 검색되었다. 그 특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순수한 옷장 기능을 지원하기 보다는 쇼핑 사이트와 연결되도록 되어 증강현실을 이용한 착장시도 형, 패션 코디네이션 을 위한 사이트연결 형, 본인의 옷으로 착장을 한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와 연결한 소통의 장으로 활 용하는 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교적 옷장 기능 이 강화된 애플리케이션은 42개 중 14개로 33.3% 를 차지하고 있었다. 디자인적인 면에서는 우수하 나, 실행이 순조롭게 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스 마트폰이 아예 멈춰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옷장 정 리 기능에 있어서도 분류가 다양하게 되어 있지 않 아, 모든 아이템을 저장할 수 없었다. 또한 이미지 의 저장 기능이 평면적이며, 입력, 저장, 정리하는 기능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디자인에 따른 분류, 소장 의류 입력방식, 아이템 분류 방식에 있 어 용이성이 요구된다. 또한 2010년부터 2013년에 이르기까지 연구자가 지속적으로 옷장 정리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 활용해 본 결과, 업그레이드 속도도 뒤지고, 이용도에 있어서도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차별화된 저장기능의 애플리케 이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에 구축된 유비쿼터스 워드 로브를 비 브랜드 형의 옷장 정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게 구축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촉 불량, 정보 저장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개인 의 옷장은 물론 학계나 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세분화하고 특히, 학계에서 수업에 사 용될 수 있도록 이미지 부분을 강조하였으며, 업체 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작업내용(혹은 상품의 세부 설명)을 기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서 사용 자가 원하는 용도,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다운을 받는 능동적 형태의 서비스이다. 스마트폰의 애플 리케이션의 활용은 개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기업 으로부터의 제공받고 있으며, 교육적인 면에서도 여러 가지 교육 주제에 따라 활용되어 새로운 커뮤 니케이션 창이 되고 있다.

    III.Research Methods

    1.Data collection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설정된 옷장 기능의 웹 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해 현직 패션디자이너 21명 을 상대로 심층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이는 실무에 서의 활용도를 측정하여 반영하고, 개선점을 보완 하기 위해서 이다. 면접을 실시한 시기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4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를 얻기 위한 직접 면접방법은 방문, 전화, 이메일을 이용하여 설문하였으며, 조사한 내 용은 문서로 정리하였다. 면접 자료를 분석하여 콘 텐츠를 수정을 하였으며, 콘텐츠와 연동되는 애플 리케이션의 항목 설정에 적용하였다. 콘텐츠를 구 성하고,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에 앞서 효율성을 평 가하기 위하여 만족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였다. 현 직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한 심층설문지법은 일반 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설정한 카테고리에 대 한 검증과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재고 관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검색을 위한 분류는 적 합한지, 아이템의 정보 저장을 위해 합리적으로 분 류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활용성 있는 콘텐츠 구성 이 되도록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여성복 디자이너 및 MD, 브 랜드 디자이너 21명에게 우선 내용을 숙지할 수 있 도록 우선 이메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후 시간 차를 두고 직접 방문하여 15~30분간 직접 인 터뷰를 실시하였다. 면접대상자는 삼성의 제일모 직, LG패션, 이랜드 등의 대기업 브랜드를 포함하 여, 중소기업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여성 정장 브랜드 6개 브랜드, 남성 정장 4개 브랜드, 아 웃도어 2개 브랜드, 속옷 2개 브랜드, 캐주얼 4개 브랜드, 스포츠 웨어 3개 브랜드 총 21개 의브랜드 를 선정하였다. 콘텐츠 구축과 관련한 설문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품관리 프로그램 의 유무 및 편의성과 보완성

    2.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용도

    3. 회사에서 상품 개발 시 이미지 분류의 유무 및 방법(이유)

    4.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품 분류 기준

    5.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상 분류 기준

    6.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이템 분류 기준

    7. 검색기능 및 이미지가 제공되는 옷장 관리 시 스템의 활용도

    8. 구축하고자하는 옷장에 관한 적정성(이미지, 아이템, 전체구성)

    2.Data collection and analysis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국내외 논문 및 전문서적, 연구원 자료 를 토대로 하여 카테고리 구축을 위한 토대에 적용 하였으며, 실증연구로는 전문 디자이너들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선행연구 에서 나누었던 카테고리를 수정, 보완하였다. 인터 뷰를 통한 자료 분석에 앞서 컴퓨터를 문서화하였 으며, 자료 분석은 상수비교방법을 활용하였다. 가 장 첫 번째 단계로서 많은 자료를 알고자 하는 내 용 속으로 압축하기 위하여 구분하고 정리하여, 비 교, 분석하는 방법이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답형 설문에 관한 결과를 정리하면 (Table 1) 과 같다. 상품을 관리하는 ERP 프로그램의 유무에 관해서는 대기업의 브랜드 10개 브랜드(여성복 4, 남성복 2, 아웃도어 1, 캐주얼 1, 속옷 2)는 모두 자 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중소기업의 경 우는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자체 프로그램을 활용 하고 있는 경우, 프로그램의 활용도는 물류파악, 판 매현황, 원부자재 관리기능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사진으로 디자인이 제시되는 경우는 한 군데도 없 었다. 코드화 된 숫자에 의해서 상품이 구분되고, 그 분류에 따라 전체적인 판매의 흐름을 분석하고 있었다. 상품 개발을 위한 이미지 분류를 하고 있 는지에 관한 설문에 대한 답은 여성복의 경우 대부 분이 이미지 분류를 하고 있었으며, 브랜드의 성격 에 따라 이미지에 따른 분류를 하지 않고, 트랜드 에 따라서 상품 개발을 하고 있었다. (Table 1)에서 알 수 있듯이, 남성복의 경우는 고유 이미지를 가 지고 있어서 굳이 이미지 분류를 하고 있지 않다고 답하였다. 특히 정장 포멀의 경우, 고유 이미지를 고수하는 정도가 높았다. 상품의 분류를 하고 있는 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는 여성복은 대부분이 계 절이나 스타일, 소재, 색상에 따른 분류를 하고 있 었으며, 속옷의 경우는 상품이 다양하게 나눠지지 않으므로 기획 상품을 생산할 때에만 상품 분류를 하였다. 속옷의 경우, 특이한 점은 상품의 분류를 혼수용, 감사의 날 선물용으로 구분하고 있었다.

    색상 구분을 하고 있느냐의 설문의 답은 13개 업 체가 색상에 따라 구분한다고 답하였는데, 아웃도어 의 경우는 색상의 세분화보다는 시즌에 따른 고유 색을 쓰는 것이 독특하고, 속옷 브랜드의 경우, 일 정한 색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 상 구분을 하지 않는 경우는 색상이 없는 것이 아니 라,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툴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와 유행 색상을 그대도 따른다고 답하였다.

    스타일을 구분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은 11개 브랜드가 스타일 분류를 하고 있다고 답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속옷의 경우는 행사에 의해 한시적으 로 구분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유비쿼터스 워드로브(Ubirobe)의 유용성에 14 개 브랜드 디자이너가 유용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업체에서의 활용성을 위해 조언을 구하는 설문에 관해서는 속옷의 경우는 아이템이 많지 않아 그다 지 유용하지 않을 것이라 답했으며, 여성복 디자이너 5명은 사진을 함께 볼 수 있는 형태의 재고 정리 시 스템은 유용할 것이라 답하였다. 또한 이미지분류 항목에 관해서는 업체는 대부분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고유 이미지가 있으므로, 굳이 분류를 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다고 답하였으며, 용도에 맞게 되도록 간략하게 저장이 가능한 콘텐츠를 구성하 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업체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든 분야에 세분화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그 이 유는 유행과 컨셉에 따라 색상이나 디자인의 경향 이 많이 달라지므로, 기초적으로 세분화된 콘텐츠 로 구성하면 그 안에서 활용이 용이할 것이라는 것 이다. 업체와 개인 혹은 학계와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타난 부분은 이미지 설정 부분이다. 업체 에서는 각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회사 규모가 클수록 이미지 분류의 의미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에서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미지 분류 수업이나 패션 카테고리는 수업에 활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학계, 업체에서 사용 가능을 목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설문결과를 절 충하였다. 옷장기능의 유비쿼터스 워드로브(Ubirobe) 를 실행하여 보고, 업계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 및 분석한 자료를 보완하여, 업계와 학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워드로브 콘텐츠(Ubirobe) 를 구성하였다.

    IV.Contents Archiving

    1.Contents configuration

    콘텐츠의 화면 구성은 선행 연구에서 확립한 데 이타 베이스를 기초로 학계에서 교육에 활용이 가 능하도록 카테고리를 구축하였다. 콘텐츠는 예비 실행을 기초로 하여 Web에 기반을 둔 통합 시스템 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계속 연구로 연구자의 선행연구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1차 연구에서 는 옷장 정리를 위하여 각각의 옷을 QR 코드로 정 리하였다(Lee, 2011). 2차 연구에서는 워드로브 콘 텐츠 구축을 위해 일반인들의 선호도와 니즈를 파 악하여 카테고리를 구성하였다(Lee, 2012). 시스템 구축의 데이타 베이스는 코드화된 정보의 제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의 유용성 실험을 위하여 전문 디자이너를 심층면접을 통하여 콘텐츠의 활용 도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콘텐츠 구축은 ‘Cafe 24’의 솔루션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의도했던 콘텐 츠로 수정하여 만들었다. 모체가 되는 웹 콘텐츠는 스마트 폰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 많은 정보를 저 장하는 공간이며,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모바 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모체가 되는 웹 사이 트를 쉽게 불러 올 수 있게 하였다.

    디자이너의 심층 설문조사에서 이미지의 분류는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브랜드가 있기 때문 에, 세부적인 분류가 그다지 중요한 것 같지 않다 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개인의 옷장으로 활용될 경우, 이미지보다는 용도에 따른 분류가 더욱 유용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본 연구의 콘텐츠는 쉽게 컴퓨터에 저장하기 위해 클릭 혹은 터치 방식으로 각 단계를 찾아 저장하고, 사진을 올리는 방식이며, 모바일 웹은 저장된 옷의 사용이나 사진을 찍어서 올리는 형식이다.

    2.Contents components

    1)Web wardrobe contents

    Cha, Hwang, Kim and Lee(2013)는 패션 코디네 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 상 옷장 제공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가상 옷 장의 설정을 위해서 고객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 였으며,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가상 옷장 서비 스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조사를 통해 패션코디기 능, 코디보관함, 내 옷장,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시스템개발을 실행하였다. 이 연구는 정보기술 분 야의 기술연구로 본 연구와 차이가 있으나, 정보의 활용을 RFID칩을 이용하고, 옷을 정리하는 기능을 고려했다는 점에서는 일맥상통한다고 판단된다.

    (Fig. 1)은 웹 콘텐츠를 구성하는 의류 부분의 구 성도이다. 액세서리 부분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로 나뉜다. 본 콘텐츠는 http://ubirobe.cafe24.com/로 접속한다. (Fig. 2)는 상품을 입력하는 8단계로, 단 계별로 창에서 선택하여 클릭해 나가고, 이미지를 사진을 클릭하여 올리면 입력이 된다. 하단의 빈칸 부분은 상품에 관한 정보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만들어 놓은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몰은 3차 카테고리로 분류되나, 본 콘텐츠는 8차까지 구분하 여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자료의 저장이 가능 하며 다중검색이 가능하다.

    (Table 2)는 8단계를 거치는 카테고리의 분류 및 그 예를 표로 제시한 것이다. 제일 밑 칸을 보면 ‘옷의 항목’으로 분류되며, ‘상의’, ‘셔츠’이며, ‘여 름’용, ‘모던’한 ‘블랙색상’의 ‘무늬가 없는’, ‘울’이 라는 것이다.

    (Fig. 3)은 유비로브의 인트로 화면이다. 엔터를 터치하면 메인화면으로 바로 뜬다.

    그림마다 설정되어 있는 글씨를 터치하면 각 카 테고리로 연결된다. (Fig. 4)는 유비로브의 메인 실 행화면이다. 카테고리가 세분화되어 있으며, 카테고 리마다 항목을 다양하게 구분하였다. (Fig. 5)는 의 류 및 액세서리의 아이템은 QR Code(Quick Reponse: 많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2차원 코드)로 저장하 여 콘텐츠에서 바로 불러 올 수 있다.

    (Fig. 6)은 카테고리의 코딩화면으로 화면 좌측 을 보았을 때, 각 품목마다 코드번호가 부여된 것 을 알 수 있다. 이 코드는 차후 RFID 칩의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 카테고리는 상품의 정보를 수 정 보완할 수 있는 저장소이다. (Fig. 7)은 검정색 재킷을 검색하여 실행된 화면의 일부이다. 여러 개 의 검정 재킷이 보이게 되면 그 중에서 찾고자 했 던 재킷을 클릭하면 착용빈도, 상품가격, 옷의 상태 등의 상세정보는 물론 일기처럼 그날의 일정들을 기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쇼핑몰과 비교하면 상품 평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는 공간과 유사하다.

    2)Mobile application - Unirobe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유비쿼터스 워드로브 웹 사이트와 연동시켰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카테 고리는 웹 콘텐츠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Fig. 8)의 상단 동그라미 안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활성시키면, (Fig. 9)와 같이 팝업창으로 웹사이트가 동시 실행되면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 화된다. 웹 사이트로 접속은 (Fig. 9)를 터치하면 가능하며, 원치 않으면 왼쪽 하단의 닫기 창을 닫 으면 된다.

    앞서 옷장 정리 관련 패션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해 본 결과,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버그가 잘 생기는 단점을 보완하여 유비로브(본 연구의 애플 리케이션)는 항목은 세분화 하고, 한 번 클릭으로 세부 옷장에 접속이 되게 구성하였다. (Fig. 10)의 오른 쪽에 열린 창의 표시된 부분의 홈 화면 추가 부분을 터치하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된다.

    (Fig. 11)은 여러 창 중 디자인 창을 터치하여 하 단으로 디자인 분류 항목이 열린 모습이다. 디자인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해 들어가면 (Fig. 12) 와 같이 디자인 부분의 세부항목으로 연결할 수 있 다. (Fig. 13)은 계절항목을 터치한 것으로 여름계 절에 입을 수 있는 옷들이 제시된 모습이다.

    본 유비쿼터스 워드로브는 기존 패션 애플리케 이션의 개인의 옷장의 옷들을 정리하고, 모바일 사 이트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용도의 콘텐츠 와 차별화한 것이다. 웹사이트에 보다 많은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여 개인의 옷뿐만 아니라, 업체의 재 고 및 상품관리에 사용을 유도하였으며, 많은 디자 인을 분류하고 정리하여 학계에서는 교육의 용도 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편의성과 작업의 신속성 을 위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여 활 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사이트와 애플리케이 션은 베타버전으로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좀 더 기술적인 면의 보완이 필요하다.

    콘텐츠를 실행해 본 결과, 개인의 옷장에서 이뤄 진다는 점에서 개인의 취향에 의해 선택되어진 옷 들로 구성되어 있어 계절(7항목), 이미지 분류(14항 목)나 색상 분류(16항목), 패턴항목(7항목), 소재 분 류(8항목)를 다양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많은 카테고리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회사의 상품 을 위주로 실행해 본 결과, 회사의 경우에는 브랜 드의 컨셉을 가지고 있으며, 시즌별로 주제를 설정 한 디자인으로 구성되므로, 회사의 경우도 설정한 카테고리를 모두 사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개인 혹은 회사마다 추구하는 이미지는 상이하므로, 카 테고리 항목에서 이미지 분류의 수를 축소시키지 는 않았다. 색상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를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나, 그러한 부분은 스타일 넘 버에서 조정이 가능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 패 션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다양하고, 특히 옷 장 정리 기능의 애플리케이션도 많이 출시되었으 나, 코디네이션 기능이나 상품 판매를 위한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의 개념이 아닌 순수한 개인의 옷장 혹은 회사, 브랜드 만이 사용하는 옷장의 개념으로 차별화 시켰다. 그러한 초점에 맞춰 실행해 본 결 과, 개인 혹은 회사가 가지고 있는 취향이 있는 관 계로 계획했던 많은 카테고리는 다양하게 쓰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42세 여성의 옷장을 정리해 본 결과, 소장하고 있는 겨울옷의 색은 검정, 회색, 밤 색, 파랑색에 국한되어 있으며, 여름 옷의 색은 검 정, 파랑, 흰색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보다 간편한 상품 분류를 위해서는 상품마다 가 지는 식별 번호를 통일하여, 그것이 상품에 부착되 고 리더기를 그 표식을 바로 읽고 바로 저장하는 RFID(무선인식식별장치) 기술의 적용이 편리성을 제공할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시각을 다 투어 신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섬유, 패션 분야에서 도 일반적인 물류나 유통의 관점에서가 아닌 디자 인적인 측면에서 유익한 정보가 제공되기를 기원 한다. 콘텐츠를 실행해 본 결과, 실행에는 큰 문제 점이 없었으나, 상품을 입력하는 과정을 좀 더 간 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축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정보에 의해 원하는 의 류 품목이 제시되도록 콘텐츠를 구축하며, RFID Chip 의 데이타 베이스로 활용되도록 카테고리 항목을 코드화하는 것을 제안한다.

    3.Encoding

    본 장에서는 선행연구의 코드화된 정보를 기초 로 하여 유비쿼터스 워드로브의 다른 각도에서 실 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웹사 이트와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해 본 결과, 검색기능 이나 정보를 선행 연구에서 확립한 데이타 베이스 를 기초로 학계에서 사용 가능한 교육에도 활용이 가능한 카테고리가 구축되었다. 콘텐츠는 예비 실 행을 기초로 하여 Web에 기반을 둔 통합 협업 시 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 구축의 데이타 베이스 는 코드화된 정보로 제공되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가지게 될 것이다.

    Kwon and Ghun(2008)은 RFID 칩을 이용하여 보 관과 검색이 가능한 회전식 옷장을 제안하였다. 옷 에 부착된 RFID 칩의 정보를 판독, 추적하는 회전 수납장이다. An, Yang and Chung(2008)은 RFID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상품정보가 정 장된 것을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는 본 RFID 칩을 이 용한 상품 정보 저장 및 활용이 가능함을 입증한다.

    연구자는 선행연구(Lee, 2006)에서 RFID 칩에 저장될 의류의 액세서리를 기준을 정하고, 코드를 이진법으로 구하였다. 옷의 정보를 코드를 엑셀 프 로그램의 코드 생성기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생성 시켜 의류와 액세서리의 파일을 각각 만들고, 코드 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중복된 코드가 있는지 확인하여 각각의 파일을 clothes.txt, accessory.txt 파 일로 변환하였다. 정보의 코드화 방법은 본 콘텐츠 의 카테고리 정보와 분류를 같이 하였다.

    (Table 3)은 의류품목의 코드화 방법을 제안한 실례이다. 물론 활용에 있어서는 기술적인 면이 협 업이 되어야 하겠지만,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칩 에 저장한다면 상품의 등록 방법은 보다 용이할 것 이다. 아직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회사마다 다른 코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언젠가는 실행될 기 술이다.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 된다면 특별한 입력 이나 전문기술 없이, 스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아 이템이 분류되어 소분류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러 나 이러한 의류품목의 코드화는 그 실행 면에 있어 서 국가 혹은 세계적인 통합 혹은 체제의 변혁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RFID 칩을 적용시킬 새 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Fig. 6)에서 나타난 것처럼 웹 콘텐츠에 의류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자 동으로 생성되는 코드를 이용하여 칩으로 활용하 는 방법이다. 각각의 카테고리에서 두 자리 숫자로 표시되고, 소분류로 나누어질 때, 4자리로 생성되 는 코드를 이용하여 칩에 입력시켜 상품을 쉽게 찾 고자 하는 것이다. 칩의 입력 및 사용은 방법은 용 이하나, 개인보다는 회사에서 이뤄질 수 있는 방법 으로, 다량의 상품을 취급하는 업체에서는 활용이 가능한 부분이라 판단된다. 아이템 별로 두 자리의 고유 번호가 계속 생성되므로 고유번호를 이용한 검색기능의 활용은 가능하다. RFID 기술을 적용하 는 목적은 정확성과 신속성으로 의류용 태그에 프 린터를 이용하여 인코딩함으로써 활용이 가능하므 로, 그 실현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가까운 예로 대형 세탁소에 의류를 맡길 경우, 세탁소 고유의 번호가 찍힌 작은 태그를 발견할 수 있다. 개인의 옷장 혹은 업체의 물류 관리도 그러한 방법으로 활 용이 가능하다. 끊임 없이 정보통신기술은 발달하 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특정 기술자뿐 만 아니라, 개인이 필요에 의해 개발되어지는 현시 점, 그러한 칩의 활용도 개인이 쉽게 활용 가능하 다고 사려된다.

    V.Conclusion and Suggestion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중심의 심층 분석을 통해 유비쿼터 스 워드로브 콘텐츠와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등 으로 연동하는 클라우딩 컴퓨팅 개념의 유비쿼터 스 워드로브(Ubirobe)를 구축하였다. 콘텐츠는 4개 의 대분류(워드로브, 백, 슈즈, 액세서리)로 나뉘고, 각 항목마다 세분화하여 아이템별로 구분하였다. 중분류로는 계절은 7개 항목, 디자인 이미지는 14 개 항목, 색채이미지는 16개 항목, 패턴(문양)은 7개 항목, 소재는 8개 항목으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실 험 연구를 통해 활용해 본 결과, 개인과 학교, 업체 와 디자인 이미지의 중요성에 차이가 있었다. 개인 과 학계에게는 그 활용도에 있어 디자인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업체에서는 이미지를 함께 보여 주는 상품의 저장 기능을 요구하여, 그 부분을 강화하여 구축하였다. 이러한 적용은 신제 품 디자인 기획 시 재고 상품에 대한 스타일의 체 계적인 분석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셋째, 콘텐츠 의 기능 중의 하나인 QR 코드는 상품의 저장을 가 능하게 하였다. 또한 RFID 기술의 적용 제안하였 다. QR 코드를 이용한 의류 정리는 본인의 소장 의 류를 코드화시킨 정보로 스마트 폰에 쉽게 저장된 정보를 불러 올 수 있다. 넷째, 웹 콘텐츠에 의류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코드번호를 RFID 정 보로 활용하여 손쉽게 상품을 정리하는 방안을 제 시하였다. 개인의 옷장에서의 QR 코드를 적용해 보고, 유비쿼터스 워드로브를 실행 해 본 결과, 아 이템 및 용도별 저장이 용이하였으며, 자신이 소장 하고 있는 의류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에게는 합리적인 의복관리 를 위해 의생활을 계획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 다. 의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패스트 패션의 영향으로 의류의 착용주기는 짧아지고, 의류를 쉽 게 구입하는 과정에서 의미 없이 옷장에 쌓이는 옷 에 대한 정리는 필요하다. 가지고 있는 옷에 대해 분석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사한 옷을 반복적으로 구매하게 되거나, 코디네이트를 고려하지 않고 구 매가 계속적으로 이뤄진다면 합리적인 의생활은 기 대할 수 없다. 학계에서는 다양한 의류를 이미지별, 아이템 별, 색상별, 소재별로 분류된 카테고리에 입 력하여 의류의 종류 및 분류 실습에 적용이 가능하 며, 패션코디네이션 실습에도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 단된다.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고관리 시스템 은 시각적 자료가 제공되지 않고, 품번이나 상품분 류코드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디자인에 대한 정 보나 분석은 불가능하다. 디자인이 함께 보여지는 본 연구의 콘텐츠는 재고관리 시스템에 활용도가 있을 것이다. 시각적 자료의 분석은 좀 더 나아가 서는 업체의 재고 조사나 차기 디자인 개발에도 응 용이 가능한 부분이다.

    본 시스템을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화 된 콘텐츠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미래사회는 각종 산업과의 통합과 다변화가 동 시에 나타나는 시대이므로, 단순 기능 만이 아닌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 는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Figure

    RJCC-22-313_F1.gif

    Clothing classification.

    RJCC-22-313_F2.gif

    8 step - Select.

    RJCC-22-313_F3.gif

    Web wardrobe intro - Ubirobe.

    RJCC-22-313_F4.gif

    Working screen - Major categories.

    RJCC-22-313_F5.gif

    QR code item information.

    RJCC-22-313_F6.gif

    Item code.

    RJCC-22-313_F7.gif

    Search working screen.

    RJCC-22-313_F8.gif

    Wardrobe app - Ubirobe.

    RJCC-22-313_F9.gif

    Pop up - Ubirobe web.

    RJCC-22-313_F10.gif

    App icon - Wallpaper.

    RJCC-22-313_F11.gif

    Categories - Design.

    RJCC-22-313_F12.gif

    Design - Small scale classification.

    RJCC-22-313_F13.gif

    Season select.

    Table

    Data analysis

    *Some designers did not want to disclose their company names so we used alphabets only instead of the names. Capital letters represent large companies and small letters are smaller firms.

    8 step classification

    *Information herein is recognized in 8 different categories. Multiple search is possible.

    Clothing and accessory code

    Lee, W. Y.(2006). RFID chip code

    Reference

    1. An K. H , Yang S. K , Chung M. D (2008) A study on the enterprise application framework for developing efficient RFID applicati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11 (2) ; pp.269-280
    2. Baugh Gail (2011) The fashion designer's textile directory: A guide to fabrics' properties, characteristics, and garment- Design Potential, Barron's Educational Series,
    3. Byeon H. S (2013)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 development and data management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11 (10) ; pp.277-285
    4. Cha M. Q , Hwang I. J , Kim G. J , Lee K. S (2013) Social network based virtual closet services business model , Innovative Management TF, Group Strategy Department, Corporate Center KT,
    5. Cho Y. J (2010) Study on development of fusion technology , CEO REPOR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6. Choi G. H , Lee S. H (2012) A study on information seeking benefits of fashion applications of users and their effects on loyalty and satisfac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6 (2) ; pp.27-43
    7. Choi Y. S , KIm M. Y (2011) An analysis of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5 (5) ; pp.129-143
    8. Daniel Tamar (2011) The fashion sketchpad, Chronicle Books,
    9. Genuario Leah (2008) Smart labels: Today's smart labels come in many forms and functions, not just RFID , Label and Narrow Web, Vol.13 (2)
    10. Ha S. Y , Park J. O (2010) Analysis of values and design elements in eco-friendly fashion using an in-depth interview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4 (1) ; pp.1754-1766
    11. Han P. K , Park J. S , Jeon B. H , Kang B. G (2011) A study on the factors of mobile applications adopti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9 (3) ; pp.65-82
    12. Hong S. Y , Cho J. Y (2006) Development of fashion color coordination instrument for fashion web site, ; pp.238-239
    13. Hou J. L , Chen T. G (2011) An RFID-based shopping service system for retailer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 Advanced Enguneering Informatics, Vol.25 (1) ; pp.119-129
    14. Huang H. P , Chang Y. T (2011) Optimal layout and deployment for RFID systems ,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Vol.25 (4) ; pp.679-691
    15. Jang N. K (2012) The use of application as a mobile fashion tool , The Journal of Fashion Design, Vol.12 (4) ; pp.29-44
    16. Jang S. H (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advertising acceptance and the advertising strategie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r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S. H (2010) A study on the mobile application of fashion brand , Th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4 (6) ; pp.134-145
    18. Krämer Bernd J , Halang Wolfgang A (2007) Contributions to ubiquitous computing, Springer,
    19. Kwon S. K , Ghun S. S (2008) Clothing storage and revolving wardrobe that search is available that use RFID chip , Konzession NO. 1020080128008. Retrieved March 19, 2013, from http://www.kipris.or.kr/khome/tutorial/tutorial,
    20. Lee M. J , Lee K. H (2013) Mobile shopping motives and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Digital Policy Research, Vol.11 (1) ; pp.153-163
    21. Lee W. Y (2006) Study on virtual fashion coordination to realize magic mirror -Focus on RFID code proposal-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W. Y (2011) Development of contents in plan ubiquitous wardrobe -Application of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7 (1) ; pp.449-465
    23. Lee W. Y (2012) Development of contents in plan ubiquitous wardrobe -Category for ubiquitous wardrobe conten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8 (1) ; pp.322-335
    24. Moon I. W , Ahn J. K , Kim S. K (20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FID based U-SCM system for fiber and apparel industry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ociety, Vol.36 (8) ; pp.986-1171
    25. Oh J. H , Lee I. S (2012) Study about utilizing the wedding dress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2 (6) ; pp.139-153
    26. Sung H. W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smart phone fashion application to promote mobile shopping , Fashion and Clothing Research Journal, Vol.14 (6) ; pp.941-951
    27. Yang H. S , Kim B. C , Yang D. Y (2008) A study on the RFID technology in textile industr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13 (4) ; pp.198-204
    28. Yang S. J (2012) The new marketing channel, the secret of successes in branded app , SERI Management Note. Retrieved January 25, 2013, from http://seri.org,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