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5 No.5 pp.611-628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7.25.5.611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tilizing the World Heritage of Korea

Jaemin Song, Jiyoung Kim, Jongmyoung Choi†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 jmchoi@chungbuk.ac.kr
June 27, 2017 September 8, 2017 September 11, 2017

Abstract

As a plan for establishing Korea’s cultural identity and its competitive edge in the world market and for enhancing Korea’s cultural status, creative and unique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need to be developed utilizing our inherent cultural asset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utilize the convergence of Hangeul our peculiar font style and Korea’s cultural heritage, which is registered as part of UNESCO’s World Heritage. A design method was devised that converges archetypal images of cultural property with the unique Hangeul font in a way that targets Korea’s symbolic architectures. The symbolic architecture includes Korea’s world-heritage pagoda architecture, such as Seokgatap pagoda and Dabotap pagoda at Bulguksa temple. It also included the architecture of royal palace, such as Injeongjeon hall at Changdeokgung palace. Finally, it also included the architecture of the fortress wall, such as Paldalmun gate in Hwaseong fortress. Thus, by developing cultural assets made from a convergence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Hangeul font as a consumer-product image that has universality, the possibility of cultural products was pursued by applying color planning after an analysis that involved extracting the compositional colors of the flags of the world. This research and approach will lead to opportunities for further progress for Korea’s cultural products in the global market as a results of additional recognition for their value, excellence, and universal appeal.


한국의 세계유산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한글 글자꼴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

송 재민, 김 지영, 최 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초록


    I.Introduction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지털 정보화 시대, 세계화 시대가 된 21세기는 한 나라의 문화산업이 국가의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문화의 시대이기도 하다. 세계 각국에서는 세계 화로 인하여 국가나 민족의 정체성이 희박해짐에 따 라 각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자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보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 는 경향이다. 세계의 문화 선진국들은 자국의 고유문 화를 세계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타 문화와는 차별되 는 독창성을 강조하고 있다(Chung, 2011). 우리나라 에서도 드라마, 영화, K-POP 등을 통하여 세계적인 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를 국가 발전의 핵심 요소로 간주하여 한 글, 한식, 한복, 한옥, 한지, 한국음악 등 6대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한(韓) 스타일(Han Style)사업을 진행 하였다(Nam, 2011). 즉,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한국의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위상을 높이 기 위해서는 우리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활용한 고부 가가치의 창의적인 문화상품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 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계화 흐 름에 따라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문화 아이콘으로 우리의 고유한 한글과 유네스코 세 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건축물을 융합한 패션 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한글의 창제원리를 담고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한 글은 한류 전파와 함께 해외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한글은 한글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 즉 디자인적 미적 감각 요소와 신비로움, 과학성과 합리성 등이 주요 요인이 되어 세계인의 합리성과 감성에 호소하는 바 가 크다고 할 수 있다(Sin, 2005). 따라서 한글은 우리 나라 문화의 정체성을 가장 집약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으므로(Sohn, S. M., 2007), 한글의 독창성 및 우수성을 외국인들도 공감 할 수 있도록 한글을 소재나 주제로 하는 문화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야 한다(Hong, 2008). 한글을 활 용한 디자인 개발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한글 폰트 디자인 관련 연구(Choi & Hong, 2008a; Choi & Hong, 2008b; Kim & Park, 2008), 한글 캘리 그래피 디자인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An & Song, 2014; Kim, 2015), 한글의 자음과 모음, 단어와 문장, 이미지를 패턴화한 디자인 개발 연구(Chung, 2011; Kim, M.-H, 2011; Kim, 2015; Lee & Kim, 2012; Oh 2015; Sung & Kim, 2007) 등이 있으며, 한국의 세계 유산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세계문화유산 경쟁력 강화와 문화유산을 보존, 복원하기 위한 디지털 개발 및 교육에 관한 연구(Ban, 2016; Hwang, 2014) 등이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한글을 한국 고유 의 문화를 알리는 디자인 개념으로 보아 한글을 활용 한 연구와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글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 연구 는 자음과 모음을 분해하여 패턴화한 연구가 대부분 이라서 한글의 구조적인 형태와 특성을 제대로 살리 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우리의 문화유산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에서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우리나라의 고유한 역사 와 탁월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한국의 세계유산 을 세계에 널리 홍보할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기초로 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는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 하여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인 한글과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객관적인 가치를 인정받 은 문화유산 건축물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이 미지를 개발하고자 한다. 한글과 문화유산의 융합을 통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은 세계 속에서 우리 문화의 고유성과 독창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패션문화상품에 한글을 적 용하되, 그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 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중에서 탑, 궁궐, 성곽을 상징하는 건축 물을 선정하여 독창적인 한글 글자꼴 디자인을 융합 하는 방식을 구현하였다. 일반적으로 국가를 상징하는 이미지에 국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어(Nam, 2011), 한국의 전통문화 이미지를 세계화하기 위해서 각 나 라를 대표하는 국기에 사용된 공통 색상을 적용하고 자 하였다. 패션문화상품의 아이템으로는 파손의 우 려가 적어 국내외 소비자와 여행객들에게 쉽게 전달 될 수 있는 가방, 스카프, 넥타이 등 패션소품에 적용 하여 상품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글 글자꼴과 한국의 문화유산의 정체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글로벌 문화시장에서 우리 문화상품의 가치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또한 이 러한 연구와 시도를 통해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패션문화상품이 그 가치와 우수성을 인정받고 한층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글자꼴을 활용한 디자인의 범 위를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문화유산 중에서 탑, 궁 궐, 성곽 건축물 세계유산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 는 건축물인 불국사의 석가탑․다보탑, 창덕궁의 인 정전, 화성의 팔달문 등으로 제한하였다. 한국의 세계 문화유산 중에 디자인의 연구 대상을 건축물로 선정 한 이유는 건축물의 구조가 방형, 장방형, ‘ㄱ’자형과 ‘ㅁ’자형이 가장 일반적이기 때문에 기하학적인 글자 꼴과 융합하였을 때, 가독성 있는 문화유산 건축물 이 미지를 표현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한글 글자꼴의 범위는 1995년에 문체부에서 개발 보 급한 훈민정음체 자음 19자, 모음 10자 등 총 29자로 제한하였다. 디자인 개발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관련 서적, 도록, 인터넷 사이트에 서 정보를 수집하고, 문헌 고찰과 현지답사를 실시한 후, 이를 근거로 디자인 연구 및 개발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한글 글자꼴의 유형, 한글을 활용 한 디자인 개발 연구 동향, 한글을 이용한 패션문화 상품 개발 사례 및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세계문 화유산 중에 불국사, 창덕궁, 화성 등의 상징 건축물 (불국사, 석가탑과 다보탑; 창덕궁, 인정전; 화성, 팔달 문)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모티브 디자인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디자 인 기획 및 개발 연구에서는 컴퓨터 디자인 시스템인 Adobe Illustrator CS5, Photoshop CS5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훈민정음체 원형 글자꼴을 비례감과 조형적 형태감, 통일감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네모틀 고딕체 글자꼴을 개발하였다. 또, 건축물의 원형 이미지를 라 인작업을 통해 새롭게 추출하였다. 개발한 글자꼴의 자음과 모음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규칙적으로 배 열하거나,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방법을 통해 문화재 원형 이미지를 창의적으로 형상화하는 모티브 디자 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셋째, 색채는 한글 글자꼴과 융합한 문화재 이미지를 세계화 시대에 보편성과 다 양성을 지닌 소비재 이미지로 개발하기 위해 세계 여 러 나라 국기의 공통적인 색상인 동시에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오방색에도 속하는 빨강색, 파랑색, 녹색, 노 랑색, 흰색, 검정색을 중심으로 디자인 분야에서 범용 되는 팬톤 컬러를 적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넷 째, 개발된 모티브를 활용하여 가방, 스카프, 넥타이에 적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패션문화상품 아이템 으로 가방 12점, 스카프 12점, 넥타이 12점 등 총 36점 을 Adobe Illustrator CS5, Photoshop CS5 프로그램을 이용해 디자인 캐드로 작업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디자인 가운데 가방 3점, 스카프 3점, 넥타이 6점 등 총 12점을 DTP(Digital Textile Printing) 기법과 선염 사를 사용한 직조방법으로 실물작품을 제작하였다.

    Ⅱ.Theoretical Background

    1.Hangeul and design

    1)Types of Hangeul font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에 “정음 28글자는 각각 그 꼴을 본떠서 만들었다”라고 제시하고 있듯이, 한 글은 음양오행 철학과 우주의 추상적 의미 그리고 발 음기관의 상형성을 따서 창제되었다(Kim, 2007). 훈 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한글의 글자꼴은 시대마다 사 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어 왔으며, 한글은 어느 문자보다 체계적이며 균형미가 있어 여러 형태 의 글자꼴 표현이 가능한데, 오늘날 컴퓨터의 사용으 로 많은 글자꼴이 등장하고 있으며, 글자 자체로도 조형미를 추구할 수 있다(Lee & Kim, 2012).

    한글 글자꼴은 조합방식 즉 글자 틀의 형태에 따라 크게 네모틀 글자꼴과 탈네모틀 글자꼴로 나눌 수 있 다(Sohn, E. M., 2007; Yu, 2006). 네모틀 글자꼴은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글자꼴로서, 글자의 모임 꼴에 상관없이 한 벌을 이루는 글자가 정사각형 안에 놓여지는 것을 말하며, 탈네모 글자꼴은 네모틀 글자 꼴의 상대적 개념인 용어로서 한 벌의 글자가 모임꼴 에 따라 크기와 비례가 다르게 나타나는 글자꼴이다 (Lee, 2007; Yu, 2006).

    우리나라는 한글 이전의 한자 사용의 영향으로 획 수에 상관없이 자음과 모음, 받침을 일정한 네모틀에 넣는 네모틀 글자꼴을 한글의 전형적인 형태로 사용 해 오고 있다. 이러한 네모틀의 글자 안에서는 같은 자음이라도 조합방식의 구조에 따라 네모틀 안에 놓 이는 위치가 달라지며, 또한 네모틀 안에서의 균형과 비례를 갖기 위해서는 글자마다 다른 공간 배분이 이 루어지므로, 글자의 기본 자형들은 저마다 독립된 조 형요소를 갖게 된다(Won, 1990). 탈네모틀 글자꼴은 각 자소마다 충분한 공간이 주어져, 이에 대해 제약을 받지 않아, 각자의 개성과 모양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준선이 일정하여 글자끼리의 연결감과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어 글자 자체뿐만 아니라, 문장으로 구성되었을 때에도 시각적인 리듬감과 흥 미를 느낄 수 있으며, 글자체의 운동감으로 그 시각 적인 변화를 통한 재미를 유발하기도 한다(Won, 1990). 앞에서 살펴본 한글 글자꼴의 유형을 글자 틀의 변화 에 따라 종합하여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2)Design and fashion cultural product using Hangeul

    (1)A case study of design studies using Hangeul

    오늘날 한류의 확산과 더불어 한글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글의 가치에 대한 재인식과 재발견으로 문화상품으로서 중요한 국가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 에서 한글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 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글을 활용한 디 자인 개발 연구를 크게 자음과 모음을 활용한 연구, 단어와 문장을 활용한 연구, 자음과 모음에 이미지를 활용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한글의 자음 과 모음을 활용하여 글자꼴이 지닌 기하학적인 형태 와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 연구로, Jung(2012) 은 한글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ㅍ 자와 한글 모음 ㅑ, ㅕ자를 선정하여 넥타이, 스카프용 직 물 디자인을 개발하여 문화상품의 가능성을 제시하 였으며, Kang(2013)은 수평과 수직의 사각형 그리드 시스템을 통해 기하학적인 한글 자음과 모음 글자체 의 형태와 구조를 실용화하여 가구에 적합한 구조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Maisuti(2016)는 한글이 가 지고 있는 점, 선, 면의 기하학적 형태와 자음과 모음 또는 다양한 조형적 형태를 만드는 논리적 조합성을 활용하여 변형 및 재조합을 통해 한글 텍스타일 디자 인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한글의 단어와 문장을 활용한 연구로 문자와 문장을 활용하여 의미 전달이나 메시지 전달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Kim, M.-H.(2011)는 한글의 아름다운 의미 전달을 위하여 조지훈의 ‘달밤’, 김소월의 ‘진달래꽃', 김춘수의 ‘꽃’ 에서 한글의 자음 ‘ㅇ’을 활용하여 한글 타이포그래피 의 메시지 전달을 보여주었다. 또한 한글 타이포그래 피의 가독성, 회화적 요소를 도입하여 입체적 표현을 강조한 조형성, 문자를 텍스타일화한 장식성을 중심 으로 활용도가 높은 셔츠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Kim, D.-G.(2013)는 한글의 조형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 다양하게 표현하기 위해 자음과 모음의 사전적 의미 나 시의 한 구절, 감정 등을 내용으로 삽입하고, 들어 간 내용이나 의미에 맞는 상징적 형태를 외곽형태로 단순화시킨 디자인으로 장신구를 제작하였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형태를 단순히 무늬처럼 이용하기보 다는 뜻이 담길 수 있는 문장을 활용하여 한글을 시 각화하여 의미전달 기능으로 재해석한 장신구 디자인 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림 이 미지나 전통문양을 접목한 디자인 개발 연구로 Lee and Kim(2012)은 자음과 모음의 형태와 비율이 기하 학적 탈네모틀 글자꼴인 산돌 60체를 사용하여 자음 과 모음을 해체하고 크기, 간격, 방향 등을 변화시켜 불규칙적으로 결합하여 전개하는 방법으로 전통문화 인 규방 공예품에 접목시켜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Oh(2015)는 침장품을 대상으로 전통적 가치가 높은 조 각보와 조형적 아름다움을 지닌 한글을 융합하여 상 품의 일반적인 형태나 목적을 넘어 다양한 기법을 활 용한 새로운 디자인으로 제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Kim(2014)은 한글과 무궁화를 시각화하여 한글 디자 인 상품을 제시하였는데, 손 글씨로 쓴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글꼴과 무궁화 꽃을 접목하여 티셔츠, 손수건, 스카프, 가방 등을 개발하였다.

    이처럼 한글을 단순한 언어로 보는 것이 아니라, 디 자인의 요소로 받아들여,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 한 디자인 개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어지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글과 다른 조형물 즉 한국 의 세계문화유산을 융합하여 이미지화한 디자인 개 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2)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 using Hangeul

    문화가 디자인 개발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시 대에 한글의 소중한 가치와 독특한 조형성을 살린 차 별화된 문화상품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한글은 글자로서의 기능적인 면을 넘어 건축과 공예, 미술, 패션에 이르기까지 전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 며, 한글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이 적용된 다양한 디자 인 상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Table 2>는 한글을 소재로 한 패션문화상품 아이 템 중 가방, 스카프, 넥타이의 상품사례를 제시한 것 이다. 가방 디자인은 한글의 자음을 패턴화한 디자인 과 자음과 모음을 패턴화한 디자인, 훈민정음 고어체 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모던한 이미지로 재해석 한 디자인, 캘리그래피를 활용하여 한글의 아름다운 글꼴로 자유롭게 배치하거나 이미지를 접목시켜 패 턴화한 디자인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경향이 다. 스카프 디자인은 한글 자음 글자꼴의 확대와 축 소로 형태미를 강조한 디자인,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 고 융합하여 패턴화한 디자인 등 한글 글자꼴의 다양 성과 조형미를 새로운 시각으로 디자인한 상품들이 개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넥타이 디자인은 심플 하고 모던한 디자인과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조합으 로 패턴화한 상품들이 대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아이템별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 고 있지만, 한글의 조형적인 형태미와 가치를 다른 조 형물과의 융합을 통해 전달하고 있는 차별화된 디자 인을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한글을 적 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과 시도로 창의성을 가미한 독창적인 한글 글자꼴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이 필 요한 것을 알 수 있다.

    2.Korea's world-heritage architecture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탁월한 가치를 인정 받고 있는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건축물로는 석굴암 과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화성, 남 한산성 등 여섯 곳이 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n.d.c.).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건축물이 지니는 미적 조형성을 표현하 기 위하여 탑 건축물인 불국사의 석가탑․다보탑, 궁 궐 건축물인 창덕궁의 인정전, 성곽 건축물인 화성의 팔달문 등 세 곳의 건축물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세 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탑 건축물, 궁궐 건축물, 성곽 건축물이라는 상징 건축물을 중심으로 역사적․문화 적인 가치와 조형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탑 건축물을 살펴보면, 탑은 부처의 진신(眞 身)사리를 모시기 위한 축조물로 뛰어난 불교 미술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탑은 치밀한 계획 아래 제작되며, 그 안에 기하학적 원리를 담고 있어, 화려하고 장엄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연 환경과 절묘한 조화를 이룬 석탑이 나 각 지역의 자연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탑이 특징적 이며, 불국사의 석가탑과 다보탑이 가장 대표적이다. 석가탑은 삼층석탑으로 각 부분의 비례와 전체의 균 형이 알맞아 간결하고 장중한 멋이 있으며, 다보탑은 정사각형 기단위에 여러 가지 정교하게 다듬은 석재 를 목재 건축처럼 짜 맞추었는데, 복잡하고 화려한 장엄미, 독특한 구조와 독창적인 표현법은 축조기법 에 있어 웅장하고 화려하면서도 균형의 미를 더한 우 리나라 석조 미술의 정수이다(CHA, n.d.c.).

    궁궐은 왕권국가에서 임금의 절대적인 권력을 상 징하는 건축물로 옛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였다. 궁 궐 건축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창덕궁은 동아 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인 궁궐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 n.d.b.). 창 덕궁 외전(外殿)의 중심이 되는 정전(正殿)인 인정전 은 신하들의 하례식과 외국 사신의 접견 장소로 사용 되는 국가 행사의 공식적인 건물로서 정면 5칸에 측 면 4칸의 중층 팔작지붕의 다포 구조이다. 또한 기단 이 이중의 월대(月臺)로 구성되었고, 월대에는 전면과 좌우측면에 계단이 있으며, 전면부의 어계(御階)의 앞 면에는 당초문을 조각하였고, 그 중앙부의 답도(踏道) 에는 봉황문을 새겨 놓았다(Chang, 2004).

    성곽은 도시나 마을을 지키기 위하여 군사적 혹은 행정적 목적으로 쌓은 울타리로 자연과 어우러진 옛 도시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성곽 건축물인 화성은 정조의 유교적 효(孝) 사상의 발달로 시작하여 국가가 백성들의 새로운 삶 의 터전 조성을 실현화한 계획된 신도시라 할 수 있 다. 특히 자연을 존중하며, 자연의 지세를 살려 조화 를 이루는 성곽은 하늘에서 보면 마치 나뭇잎 모양을 하고 있다. 땅의 생김새에 따라 성을 쌓아 시각적인 기 능과 방어적인 기능면에서 미적 감각이 뛰어난 조선 시대 최고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성 곽이다(Choi & Noh, 2009). 화성의 대표 건축물인 팔 달문은 성곽 구조물인 육축 위에 건립된 중층문루의 대표 건축물로 동ㆍ서 외부 동선의 위치도 대칭이 되 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문루의 정면이 5칸, 측면이 2 칸이고, 양식은 중층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 식을 갖추고 있으며, 석축의 홍예문 위에 중층의 문 루를 세우고, 주위 4면에는 여장(女檣)을 돌리고, 전 면에는 반월형으로 옹성(甕城)을 축조하여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하고 있다(Oh, 2016).

    <Table 3>은 지금까지 살펴본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등재 건축물인 탑, 궁궐, 성곽의 주된 성격이나 용도에 따라 분류하여 특성을 종합해서 정리한 것 이다.

    Ⅲ.The Plan and Development in Design of Fashion Cultural Product

    1.Development in typeface

    우리의 문화유산을 세계화하는 문화상품 디자인 개 발을 위한 첫 단계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개발 보급 한 훈민정음 해례본 글자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서 건축물의 조형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글자꼴을 개 발하였다. 훈민정음 글자꼴은 묵직하면서 굽은 곳이 없고 꾸밈이 거의 없는 스타일의 네모체 글자꼴 고딕 체이다. 고딕체는 선이 굵고, 획의 굵기가 일정한 글 자꼴로 건축의 기하학적인 조형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글을 네모틀 고딕 체 글자꼴의 형태로 개발한 이유는 건축물의 구조가 방형, 장방형, ‘ㄱ’자형과 ‘ㅁ’자형이 가장 일반적이기 때문에(Kim, S. Y., 2013), 가시성 있는 문화유산 건 축물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 여 사용하였다.

    한글 글자꼴은 훈민정음 해례본 글자꼴 원형을 이 용하여 자음 14자, 복합자음 5자, 모음 10자 등 29자 를 개발하였다. 정사각형의 네모틀 안에 맞추어 가로 획을 100%로 하고, 세로획은 가로획의 50%로 축소 된 비율로 글자꼴을 개발함으로써 글자꼴을 조합했 을 때 조형적인 형태감을 느낄 수 있게 표현하였다. 기존의 고딕체 글자꼴은 가로 줄기와 세로 줄기의 비 율이 같고, 두께도 일정하여 다소 조형미와 가독성이 떨어진 반면, 개발된 글자꼴은 가로 줄기와 세로 줄 기의 비율에 변화를 주어 건축물의 형태와 융합하였 을 때, 간결한 비례감과 입체적 형태감을 느낄 수 있 다. 또한 글자꼴을 각각 확대와 축소, 상하, 좌우 대 칭이나 반복적으로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형 태를 만들 수 있다(Fig. 1). 이와 같이 개발한 한글 글 자꼴은 가로 줄기나 세로 줄기의 두께, 길이, 줄기 간 의 거리 등의 변화로 면적인 성격과 선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건축물의 구조와 외형의 형태 를 표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글자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Development in motif design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1995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개발해 보급한 훈민정음체를 활용해 현대적으로 재 해석한 글자꼴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탁 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중에 불국사, 창덕궁, 화성의 세 곳에 속한 상징 건축물 중 탑 건축물인 석가탑ㆍ다보탑, 궁궐 건축물인 인정전, 성곽 건축물인 팔달문을 선정하여 모티브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문화유산의 모티브 디자인 개발은 건축 물의 기본 원형 형태를 라인작업을 통해 추출하였고, 개발된 건축물 원형 모티브에 개발한 글꼴의 자음과 모음을 축소, 확대, 결합하거나, 다양한 시각적 요소 를 융합하는 과정 속에서 문화재 이미지의 형상화를 모색하였다. 모티브 디자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법으로 개발하였다. 첫째, 자음만의 글꼴을 활용한 모티브 디자인 개발, 둘째, 글자꼴의 자음과 모음을 활용한 모티브 디자인 개발이고, 셋째, 문화재 명칭의 자음과 모음을 문화유산 건축물 이미지와 새롭게 융 합시켜 창의적인 패턴 디자인을 시도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문화유산 모티브 디자인 개발 방법을 정리하 여 살펴보면 <Table 4>와 같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개발된 모티브를 활용하여 가방, 스카프, 넥타이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자음을 적용한 모티브는 가방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 여 문화재 건축물의 입체감을 부각시키고, 자음과 모 음을 활용한 모티브는 스카프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 여 문화재 이미지와 한글의 기하학적인 조형미를 표 현하며, 자음과 모음 및 문화재 이미지를 융합한 패 턴은 넥타이 아이템에 적용시켜 문화재 이미지를 강 조하고 한글의 고유한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개발한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상징 건축물 모 티브 디자인을 종합ㆍ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3.Color planning

    다변화된 미디어를 통해 이미지를 소비하는 시대에 국가와 국가를 연결시켜 주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기 능인 색채는 문화의 벽을 허무는 하나의 언어라 할 수 있다. 색채는 환경으로부터 인간에게 가장 즉각적으로 인지되고, 사회 환경의 여러 요인과 문화, 민족적 특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국가를 상징하 는 색채는 국가를 나타내는 특성이 된다(Jo, 2007).

    국가를 상징하는 것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국기 라고 할 수 있으며, 국기는 국가와 국민의 영예로운 상 징으로 민족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다. Nam (2011)이 국가 상징물 출현 빈도를 분석한 연구 결과 에서 국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국기의 구성 색이 상징물의 주조색의 바탕색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Lim(2005)은 올림픽 같이 국제적 성격의 스포츠 경기 유니폼의 경우, 국가 이 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국기를 상징 매체로 사용한 경 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매체를 통한 국가 이미지의 표현 방법을 분석한 결과, 색상에 의한 표 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채 심리학자인 파버 비 렌(Faber Biren)은 “모든 색채는 그 색상마다 인간에 게 각각 다른 느낌을 주는데, 실제로 상품 판매, 성격, 음식 맛까지 좌우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소비 자들이 대부분 그림이나 색채를 통한 기억을 먼저 떠 올리기 때문이다(Kim, H. N., 2011). 이와 같은 취지 에서 세계화 시대에 한국적 전통과 상징을 잘 전달하 는 문화재 이미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각 나라를 대표 적으로 상징하는 국기의 구성 색상을 추출하여 분석 한 후 색채기획에 적용하였다. 색채기획을 위해 한국 의 통계청에서 제시한 224개국의 국기를 선정하여 국 기를 구성하는 색상을 분석하였다(Lee, 2008). 사용된 색상 톤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고, 색상을 기준으로 색상 수를 추출하여 색상 출현 빈도 수를 살펴보았 다. 그 결과, 추출된 색은 reddish, whitish, bluish, greenish, yellowish, blackish 등 6가지 계통의 색상이 며, 색상수의 출현 빈도수는 reddish(162번), whitish (146번), bluish(97번), greenish(84번), yellowish(81번), blackish(39번) 순으로 나타났다(Ferdio, n.d.). 이처럼 세계국기에서 추출한 공통 색상 중 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흰색, 검정색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오방색 과 같으며, 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녹색은 빛과 색의 삼원색에 속하므로 세계화 시대에 한국적 전통과 상 징을 잘 전달하는 문화재 이미지를 개발하는데 적합 한 색상이라고 판단되어 색채기획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문화유 산을 세계인과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기에서 추출된 공통 색상 중에서 빨강색, 파랑색, 녹 색, 흰색, 검정색을 주조색인 바탕색으로 설정하여, 디 자인 분야에서 범용되는 팬톤 컬러를 적용하여 색채 디자인을 다음과 같이 전개하였다. 첫째, 흰색과 검정 색을 주조색인 바탕색으로 적용하여 순수하고 깨끗하 며,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문화재 이미지를, 둘째, 파 랑색을 주조색인 바탕색으로 적용하여 신뢰, 혁신과 미 래지향적인 문화재 이미지를, 셋째, 녹색을 주조색인 바 탕색으로 적용하여 자연, 편안함, 평화, 위안 등 친환 경적인 신선한 문화재 이미지를, 넷째, 빨강색을 주조 색인 바탕색으로 적용하여 열정적이고 화려한 문화 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색채배색을 전개하였다.

    Ⅳ.The Design Development and the Product Manufacturing in Fashion Cultural Products

    1.Development in design

    1)Bag design

    가방은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감각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소 비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심플한 형태로 도식 화한 장방형 가방 디자인에 한글 자음 글자꼴을 건축 물 이미지와 융합한 모티브의 특성을 부각시켜 활동 적이면서 화려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석가탑과 다 보탑 모티브를 활용한 디자인은 한글 글자꼴로 융합 한 문화재 건축물을 국기의 구성 색상을 적용하여 반 회화적인 형태로 표현하고 이미지화하여 다보탑과 석가탑의 패턴화를 시도하였다. 인정전 모티브는 창 덕궁의 자연과 건축물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표현하 기 위하여 동궐도 이미지를 활용하여 인정전 건축물 의 장엄하고 화려함을 표현하였다. 팔달문 모티브를 활용한 디자인은 계획된 도시의 화성 이미지를 표현 하기 위하여 도시 이미지에 전통 문양을 접목시켜 정 조의 효성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고, 성벽의 이미지 를 현대적으로 패턴화하여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형 상화하였다. 한글의 자음 글자꼴을 융합한 팔달문 건 축물은 중앙에 배치하여 형태감을 상징적으로 강조 하였다. 전체적으로 기하학적인 조형요소를 조합하여 심플하면서도 화려한 이미지로 표현하였다(Table 6).

    2)Scarf design

    스카프 디자인은 한글의 전통성과 문화유산 건축 물 이미지의 형태적 조형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한글 자음과 모음 글자꼴을 융합하여 개발한 문화재 건축 물 모티브의 특성을 부각시켜 표현할 수 있는 스카프 의 종류를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탑 건축물인 석가탑 과 다보탑 건축물의 수직적인 형태의 특성을 반영하 여 장방형 스카프를 선정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한글 자음과 모음 글자꼴을 융합한 석가탑과 다보탑 이미지를 부각시켜 표현하기 위해 투 포인트로 확대 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 글자꼴을 탑을 쌓듯 디자인 을 형상화하였다. 궁궐 건축물인 인정전 건축물의 형 태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ㅁ”의 정방형 스카프를 선 정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한글 자음과 모음 글자 꼴을 융합한 인정전 건축물을 원 포인트로 확대 배치 하여 인정전의 화려하고 아름다움 인정전의 형태와 한글 글자꼴의 기하학적인 형태가 시각화 될 수 있게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성곽 건축물인 팔달문은 장 방형 스카프를 선정하여 성곽의 길이와 성곽의 형태, 성벽 이미지, 도시 이미지를 도식화한 패턴과 접목하 여 자연과 도시가 함께 공존하는 조화로운 화성의 전 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Table 7).

    3)Necktie design

    넥타이는 실루엣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 분 색상 변화나 소재 활용 및 패턴 디자인 개발이 중 요하므로 아이템의 특성에 맞게 섬세하고 모던한 패 턴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여 문화재 이미지의 조형성 을 부각시켰다. 색채는 색상 대비에 의한 배색을 적 용하여 통일감 있고 세련되면서 화려한 감각을 표현 하였다. 우리 고유한 전통성과 문화유산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누구나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정교 하면서도 심플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석가탑 디자 인은 불국사(ㅂ,ㅜ,ㄹ,ㄱ,ㅅ,ㅏ)의 문화유산 명칭을 분 화하고, 석가탑 건축물 도안과 융합하여 패턴화 디자 인을 전개하여 섬세하고 모던한 조형미를 표현하였 다. 인정전 디자인은 창덕궁(ㅊ,ㅏ,ㅇ,ㄷ,ㅓ,ㄱ,ㅜ)의 문화유산 명칭을 분화하여 인정전 건축물 도안을 융 합한 패턴을 전개하였다. 팔달문 디자인은 수원 화성 (ㅅ,ㅜ,ㅇ,ㅓ,ㄴ,ㅎ,ㅗ,ㅏ,ㅅ)의 문화유산 명칭을 분화 하고, 팔달문 건축물 이미지를 도식화하여 융합한 패 턴을 전개하여 한글의 정체성과 건축물의 조형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였다(Table 8).

    2.Real cultural products

    디자인 기획을 통해 완성된 가방, 스카프, 넥타이 실물을 제시하면 <Table 9>와 같다. 한국의 세계문화 유산과 한글 글자꼴을 융합하여 정체성이 있는 상징 건축물을 이미지화한 디자인 상품으로 국기의 구성색 상을 적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독창성과 현대적인 감 각을 결합한 패션문화상품의 가치와 상품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한글의 고유한 감성 표현 및 문화재 의 조형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 영역을 확대하였으며,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일상 생활 속에서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산업용 문화상품으로 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Ⅴ.Conclusion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문자인 한글과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유산 한국 건축물을 융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한국의 세계 문화유산 중에 탑 건축물인 불국사의 석가탑․다보 탑, 궁궐 건축물인 창덕궁의 인정전, 성곽 건축물인 화 성의 팔달문 등 한국의 상징적인 건축물을 대상으로 문화재의 원형 이미지를 한글 글자꼴과 융합하는 디 자인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빨강색, 파랑색, 녹색, 노랑 색, 흰색, 검정색 등을 주조색으로 하여 세계화 시대에 다양한 색상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중에서 불국사, 창덕궁, 화성 등 세 곳의 건축물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것 은 디자인 개발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글의 기하학적 인 형태미와 문화재 건축물의 조형적인 요소가 조화 롭게 융합할 수 있었던 점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문 화적 정체성과 건축물의 형태적 특징을 잘 반영한 훌 륭한 우리의 문화재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상징 건축물에 한글 글 자꼴을 융합하는 방식의 구현으로 기하학적인 형태미 와 가시성이 좋은 모티브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었고, 가방, 스카프, 넥타이 등 패션문화상품으로 차별화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글의 가치 와 문화유산 이미지를 동시에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셋째,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건축물을 이미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나라의 국 기의 구성 색상을 활용하여 적용함으로써, 패션문화 상품의 글로벌 상품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지를 소비하는 세계화 시대에 색채는 국가와 국 가를 연결시켜 주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 에, 우리의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향후 경 제적인 부가가치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 류의 지속적 흐름을 위한 방안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글로벌 문화시장을 겨냥하여 경쟁력 있는 다양한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 시대에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가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문화유산 이미지로서 관련 산업분야에 접목되어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더불어 해외 소비시장 진출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인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우리의 문화산업이 세 계 시장에서 자리매김하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Figure

    RJCC-25-611_F1.gif

    Development process in a letter form

    (Note: Use of the photoshop CS5 font archetype in Hunminjeongeumche for 2010).

    Table

    Classification of typefaces according to a form of a letter frame

    A case of fashion cultural product using Hangeul

    Characteristics of monumental architectures as Korea's world heritage

    The development in architectural motif design of cultural heritage

    General evolvement in design with the motif development of symbolic architecture in Korea's word heritage

    Evolvement in bag design using a motif of cultural-property architecture

    Evolvement in scarf design using a motif of cultural-property architecture

    Evolvement in necktie design using a motif of cultural-property architecture

    Real cultural products using a motif of cultural-asset architecture

    Reference

    1. An S.L. , Song J.Y. (2014) A study on expression type of Korean typeface's calligraphy.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Vol.37 ; pp.121-137
    2. Ban S.H. (2016) The change of value by digit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digital contents for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3. Chang S.Y. (2004) 창덕궁 [Changdok Palace], Daewonsa,
    4. Choi H.Y. , Noh H.E. (2009) Revitalization measures of local tourism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Focused on Suwon Hwaseong cultural festival. ,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Vol.19 (1) ; pp.27-35
    5. Choi J.W. , Hong S.H. (2008)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font design in the digital era. ,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8 (2) ; pp.173-182a
    6. Choi J.-W. , Hong S.-H. (2008) Creativity through convergence of Korean font design. ,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b
    7. Chung G-W. (2011) A study on textile products with application of Hangeul: Centering on men's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8. Cultural Found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2015) a http://www.museumshop.or.kr/ver2/sub/product_view.asp?str_bcode=030120002&str_goodcode=201510260004
    9. Cultural Found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2015) b http://www.museumshop.or.kr/ver2/sub/product_view.asp?str_bcode=030120002&str_goodcode=201511040003&page=1
    10. Cultural Found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2015) c http://www.museumshop.or.kr/ver2/sub/product_view.asp?str_bcode=030120002&str_goodcode=201511110003
    11. Cultural Found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2015) d http://www.museumshop.or.kr/ver2/sub/product_view.asp?str_bcode=030120002&str_goodcode=201511130006
    1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n.d.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020000,31
    1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n.d.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250000,11
    1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n.d. http://www.cha.go.kr/worldHeritage/selectWorldHeritageSub.do?mn=NS_04_04_02&hcode=record1
    15. (2011) http://blog.naver.com/designpole11/150120015633
    16. n.d. http://flagstories.co/post/132213751573/number-of-colours-in-flags#132213751573
    17. Hong J.S. (2008) The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the Hangul culture. , Korean Linguistics, Vol.41 ; pp.157-182
    18. Hwang N.R. (2014) A study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understanding UNESCOregistered heritages of Korea: Focusing on the art education on the middle school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9. Jo E.Y. (2007) The study on the international analysis of color sensibility and fashion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Korean personal color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 Jung J-S. (2012)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using Hangeul: Focusing on necktie and scarf. ,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 (7) ; pp.102-113
    21. Kang H-Y. (2013) Structural features of Hangul furniture design utilizing the grid syste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Vol.41 ; pp.301-310
    22. Kim D-G. (2013)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Hange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3. Kim H.N. (2011) A study on the color association of domestic cosmetic brands image: Centered on the whitening cosmetics contain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24. Kim I.K. (2014) A study of design of national symbolic souvenirs using Hangul. ,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Vol.17 (4) ; pp.65-70
    25. Kim M-H. (2011) Study of shirt design utilizing Hangeul typography.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4) ; pp.697-711
    26. Kim M-S. (2015) A study on formative arts with paper crafts applied pattern of Korean let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7. Kim S.O. (2007) 28자로 이룬 문자 혁명: 훈민정음 [Hunminjeongeum in the letter revolution of having been made by 28 letters], Iseum,
    28. Kim S.Y. (2013) A study on construction of space and design elements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represented in Korea Hanok-type hot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29. Kim Y-K. , Park S-H. (2008) Space structure character of Hangeul typography. ,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8 (3) ; pp.86-96
    30. (2010) http://blog.naver.com/kimhankyul77/100114612148
    31. n.d. http://www.kkamajong.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21
    32. n.d. http://www.kkamajong.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122
    33. n.d. http://www.kkamajong.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69
    34.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n.d.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data/contentDataView.do?cp_code=cp0403&content_data_id=cp0403100082
    35.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n.d.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data/contentDataView.do?cp_code=cp0403&content_data_id=cp0403100072
    36. Lee G.M. n.d. http://www.lgmmall.com
    37. Lee G.M. n.d. http://www.lgmmall.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879
    38. Lee G.M. n.d. http://www.lgmmall.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1759
    39. Lee K-M. (2007) A study on development of applied fashion designs using Hangeul's formative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40. Lee M.H. (2008) 비즈니스 스쿨 [Business school], Youth Mind,
    41. Lee N.Y. , Kim Y.K. (2012) The design develop ment of Gyubang craft using Hangul typograph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8 (3) ; pp.321-334
    42. Lim J-S. (2005) A study on design of uniforms for athletes in the olympics in which a national image is expressed: Focused on the Olympics in Athens, 2004.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43. Maisuti A. (2016) A study on textile design using the forms of Hang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44. Nam J-K. (2011) A study on fashion design for enhancing a nation-brand image of Korea: Focusing on the use of motifs symbolizing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45. Oh K.S. (2016) The multi-floored gates' functions and structures of the palace and the capital city in Joseon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46. Oh S-L. (2015) A study on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 applying a patchwork and Hangul: With a bedclothes work as its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47. Pak S.S. (2016) http://www.koreasang.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20166
    48. Pak S.S. (2016) http://www.koreasang.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18363
    49. Sin S.L. (2005) Hangeul and Hallyu. , Korean Language Information Science, Vol.7 (3) ; pp.73-81
    50. Sohn E.M. (2007) A study on image classification for HANGUL font for emotional expression on digital med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51. Sohn S.M. (2007) A study on cultural products using Hang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52. n.d. http://storefarm.naver.com/sonart/products/146368467
    53. Sung J.W. , Kim S.J. (2007) A study of pattern design with disassembly of ‘Hangul’ typography.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8 (3) ; pp.229-236
    54. Won K.I. (1990) The comparison study on readability and legibility of Hangeul typef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55. Yu J-M. (2006) A historical study on the flexibility square-format typeface and the prospects: Focused on the three-pairs fonts of Hange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19 (2) ; pp.241-25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