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4 No.5 pp.617-625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6.24.5.617

Sensibility image on power shoulder jacket according to the shoulder shape

Si-Baek Lee, Mi-Kyung Uh†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 (mikyuh@hanyang.ac.kr)
August 8, 2016 September 4, 2016 September 5, 2016

Abstract

In women’s clothing the shoulders are distorted and exaggerated. Consequently, the wearers’ bodies are transform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modern standards. We therefore refer to this aspect of women’s clothing as the power should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ensibility images on variations in the shoulder shape of power shoulder jackets. Nine samples were examined that involved combinations of three variations of the shoulder height and three variations of the shoulder width. The data was evaluated by 123 fashion design majors. Four factors were selected: attractiveness, personality, activity, and self-respect. Among these factors, attractiveness is the most importa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hanges in shoulder height acted as a major effect tha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all four factors. In contrast, changes in shoulder width acted as a major effect tha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attractiveness, personality, and activity but not on self-respect. It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ttractiveness, personality, activity, and self-respect.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help individual customers select clothing that is suitable for their preference and body shape because it is now possible for them to estimate images of power shoulder jackets.


파워 숄더 재킷의 어깨 형태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이 시 백, 어 미 경†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현대 사회는 여성들의 고학력, 소득 증대 및 사회 진출이 꾸준히 증가하여 남성 못지않게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의복에도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여성용 의복에서 어깨를 과장하면서 상대적으로 허리라인의 곡 선을 강조한 파워풀한 의복은 여성의 적극적인 자기표현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Kim, 2010). 이와 같이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재킷에 숄더 패드를 넣어 어깨를 강 조하고, 하의와 매치한 스타일을 파워 드레싱(power dressing), 파워 룩(power look), 파워 수트(power suit)라 하는데, 그 중 재킷은 파워 숄더 재킷(power shoulder jacket)이라 부르며, 최근에 는 드라마 속 여주인공, 뉴스 여성 앵커 의상은 물론, 스트리트 패션으로 보편화되었다.

    파워 드레싱이란 위엄이나 지성, 힘을 느끼게 하는 옷차림으로 비즈니스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 한 의복(Chung, 2013)이며, 파워 수트란 권력과 부의 이미지가 융합된 파워 드레싱 중 성공을 위한 여성의 옷차림으로 남성 위주의 직장에서 전문적이고 권위 적인 이미지를 가시화하기 위한 남성적인 비즈니스 수트 스타일(Choi & Ha, 2005)을 의미한다. 더 나아 가 파워 룩이란 슈퍼 히어로의 초능력을 그가 착용한 의복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패션에 반영 시킨 것으로 신체의 강함과 활동성을 강조한 스타일, 현대적 의미의 능력으로 기계적 기능성을 표현한 스 타일(Ham, 2013)로 해석하기도 한다.

    파워 룩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여성들의 사회활동 증가와 여성의 성 개념의 변화와 같은 사회문화적 요 인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패션 전문가들은 1980년 대 패션의 유행현상, 특히 그 시대 커리어 우먼을 상 징했던 파워 수트 스타일을 지목하였다. 1980년대 여 성들은 남성적인 옷차림으로 여성성을 부정하는 대 신에 ‘Dress for Success’를 추구하며, 남녀 간의 차이 를 인정하고, 그 차이에 가치를 두면서 의복에서도 여 성성의 장점을 도입하려고 하였다(Kim & Lee, 2009). 이러한 영향을 받아 클래식 테일러드 수트도 어깨에 패드를 넣어 과장하고 허리는 잘룩하게 동여맨 역삼 각형 실루엣으로 인체를 과장하고, 강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파워 수트는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권위적이 고 관능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 구를 만족시켰다(Ham, 2003).

    최근의 파워 숄더 재킷은 남성적인 과장된 테일러 링의 요소들이 섬세하고 매력적인 꾸뛰르 감성으로 재해석되어 나타났으며, 형태에 있어서는 절제된 감 성의 어깨선과 캐주얼 웨어와의 매치로 슬림한 실루 엣의 경쾌한 느낌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최 근 여성들은 파워 숄더 재킷을 스키니 진(skinny jean) 이나 배기 팬츠(baggy pants), 펜슬 스커트(pencil skirt) 와 매치함으로써 어깨선을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키가 크고 날씬하게 보이는 이미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Kim & Lee, 2009).

    파워 재킷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1980년 대 파워 수트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Kim, 2011), 1930년대, 1980년대, 2000년대 파워 드레싱의 특성 (Chung, 2013), 클래식 테일러드 수트의 미적 특성 (Ham, 2003), 파워 숄더 재킷의 패턴(Kim, 2010; Lee, 2011; Lee & Choi, 2011; Park & Lee, 2013), 파워 재킷의 시각적 평가(Kim & Lee, 2011) 등이 발표되 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신체 외모를 통하여 의사가 전달 되고, 외모가 주는 첫인상에 의해 자신에 대한 평가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외모 형성은 사회생활을 성공적으로 해내는데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한다(Park, 2016). 외모를 평가하는데 커다 란 영향을 미치는 의복에 있어서 선은 면을 분할하 고, 형태를 이룰 뿐 아니라 느낌을 전달한다. 또한 선 은 착시에 의한 신체적, 감성적 이미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착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의 해 이미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의복 디자인에 선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한다면 의복을 통하여 자신의 개 성을 표현하고, 신체적 매력을 증진시켜 자신이 원하 는 외모의 이미지를 구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선 연구(Lee, Suh & Uh, 2015)에서는 파워 숄더 재킷의 시각적 이미지 중에서 신체 보정 이미지 에 대해 알아보았고, 본 연구에서는 파워 숄더 재킷 의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감성 이미지 차이와 그 상 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Methods

    1.Selection of subject and experimental jacket design

    피험자는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Size Korea, 2010) 자료에 제시된 20대 여성 표준체형의 인체치수를 기 준으로 하여 표준편차 이내에 포함된 여성을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고, 디자인은 선행연구(Lee, Suh, & Uh, 2015)와 동일한 재킷으로 슬림한 실루엣의 정 장형이며, 활동성이 높은 래글런 슬리브로 구성되어 있다.

    2.Development pattern and conditions

    선행연구(Lee, Suh, & Uh, 2015)의 기본 재킷 패턴 을 활용하여 파워 숄더 재킷 패턴으로 전개하였고, 파워 숄더 재킷의 선행연구(Kim & Lee, 2011; Lee & Choi, 2011)를 참고하여 어깨 형태 변화를 분별할 수 있도록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를 변화시켰다. 어깨 높이는 기본 재킷의 어깨선이 1cm 올라가 있는 높이 를 기준으로 하여 2cm씩 올라가도록 단계를 설정하 여, 어깨 높이 +1cm, +3cm, +5cm인 3단계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어깨 너비는 어깨 끝점을 기준으로 +0cm 로 설정한 후, 어깨 너비가 1cm씩 넓어지도록 하여 어깨 너비 +0cm, +1cm, +2cm인 3단계로 설정하였 다. 이를 토대로 9벌의 실험복을 어깨에 래글런 패드 를 넣고 제작하였다. 실험복은 20수 머슬린(cotton)을 사용하였고, 실험복의 패턴은 <Table 2>, 착의사진은 <Table 3>과 같다.

    3.Evaluation of the sensibility image

    감성 이미지 평가항목은 선행연구(Choi, Suh & Uh, 2013; Park, 2016)를 통해 수집한 시각적 이미지 용어 중에서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미지에 적합한 18개 의 형용사를 선정하였고, 평가단은 의류학을 전공하 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123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복 9벌을 피험자에게 실제 착의시켜 사진 촬영한 후 모 니터 화면으로 평가단에게 제시하여 7점 척도로 평가 하도록 하였다.

    4.Data analysis

    PASW 18.0 프로그램으로 재킷 이미지의 구성요인 을 도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베리맥 스(Varimax) 방법으로 직교회전을 하여 고유치 1 이 상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재킷의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요인별로 일원분산분석과 던컨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감성 이미지의 구성요인에 대한 상호영 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Ⅲ.Results and Discussion

    1.Primary hand factors of the sensibility images

    파워 숄더 재킷 이미지의 요인분석 결과를 <Table 4>에서 살펴보면,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1 요인 은 매력성 요인, 2 요인은 개성 요인, 3 요인은 활동 성 요인, 4 요인은 자존성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4개 요인의 전체 설명력은 72.606%이고, 매력성 요인이 26.407%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개성 요 인은 25.961%, 활동성 요인은 10.447%, 자존성 요인 은 9.791%를 차지하였다. 각 요인 문항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한 결과, 매력성 요인은 .891, 개성 요인은 .924, 활동성 요인은 .748, 자존성 요인은 .743으로 나타나, 측정 문항의 타당성 과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shoulder height

    어깨 높이 변화에 따른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미 지 평가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어깨 너비가 +0cm일 때,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매력성 요인은 어깨 높이 변화에 따른 이미지 차이가 크지 않 고 비슷하게 지각되었고, 개성 요인과 자존성 요인은 어깨 높이가 높을수록 높게 지각되어 어깨 높이가 +5cm일 때 개성 이미지와 자존성 이미지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활동성 요인은 어깨 높이 +1cm, +3cm, +5cm 순으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높이가 낮을수록 활동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너비가 +1cm일 때,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매력성 요인은 어깨 높이가 +3cm, +5cm, +1cm 순으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높이가 중간 높이인 +3cm일 때 매력성 이미지 효과가 가장 큰 것 으로 나타났다. 개성 요인은 어깨 높이 +5cm, +3cm, +1cm 순으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높이가 높을수록 개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활동성 요 인은 어깨 높이 +1cm, +3cm, +5cm 순으로 높게 지각 되어 어깨가 낮을수록 활동성 이미지 효과는 큰 것으 로 나타났고, 자존성 요인은 어깨 높이가 +3cm, +5cm 일 때는 이미지가 높게 지각되었고, 어깨 높이가 +1cm 일 때는 이미지가 낮게 지각되어 자존성 이미지는 어 깨 높이가 높은 편이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깨 너비가 +2cm일 때, 매력성 요인과 개성 요인, 활동성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 존성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매력성 요인은 어깨 높이 +1cm일 때 가장 높게 지각 되어, 어깨 높이가 낮을 경우에 매력성 이미지 효과 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성 요인은 어깨 높이 +5cm, +3cm, +1cm 순으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높이가 높 을수록 개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활 동성 요인은 어깨 높이 +1cm, +3cm, +5cm 순으로 높 게 지각되어, 어깨 높이가 낮을 때 활동성 이미지 효 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자존성 요인은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아 어깨 높이 변화에 따른 이미지 차이를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진다.

    3.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shoulder width

    어깨 너비 변화에 따른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 미지 평가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어깨 높이가 +1cm 일 때, 모두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매 력성 요인은 어깨 너비 +2cm가 제일 높았고, +0cm, +1cm는 비슷하게 지각되어 어깨 너비가 넓을 때 매 력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 요인 과 자존성 요인은 어깨 너비 +2cm, +1cm, +0cm 순으 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너비가 넓을수록 개성과 자존 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 요인 은 +0cm, +2cm일 때 높게 지각되었고, +1cm일 때는 낮게 지각되어 어깨 너비가 중간 정도일 때는 활동성 이미지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높이가 +3cm일 때, 개성 요인을 제외한 세 개 의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매력성 요인 과 자존성 요인은 어깨 너비 +0cm와 +1cm에서는 높 게 지각되었고, 어깨 너비 +2cm에서는 낮게 지각되어 매력성 이미지와 자존성 이미지는 어깨 너비가 좁은 편이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활동성 요인은 어 깨 너비 +1cm에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너비가 중간 정도일 때 활동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높이 +5cm일 때, 개성 요인을 제외한 세 개 의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매력성 요인 은 어깨 너비 +0cm, +1cm, +3cm 순으로 높게 지각되 어, 어깨 너비가 넓을수록 매력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성 요인과 자존성 요인은 어깨 너비 +0cm, +1cm에서 높게 지각되어, 어깨 너비가 많이 넓지 않은 편이 활동성과 자존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 요인은 어깨 너비 변화에 따 른 유의적인 이미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평가 점수는 모두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파워 숄더 재킷은 일반적인 재킷의 비해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 의 변화가 크지만, 과도한 어깨 높이와 너비가 설정 되었을 때는 각 이미지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거 의 비슷한 수준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Mutual influences of 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shoulder height and shoulder width

    파워 숄더 재킷의 어깨 형태 변화에 따른 감성 이 미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감성 이미지의 상호작용효과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어깨 높이에서도 모든 요인에 서 유의차가 나타나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 로 작용하였다. 어깨 너비에서는 자존성을 제외한 세 개의 요인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매력성, 개성, 활동 성 요인만이 독립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각 요인별 상호작용 효과를 <Fig. 1>, <Fig. 2>에서 살펴보면, 매력성 요인은 어깨 너비 +0cm, +1cm일 때는 어깨 높이 +3cm에서 매력성 이미지가 가장 높 게 나타났으나, 어깨 너비 +2cm로 어깨 너비가 넓을 때는 어깨 높이 +3cm에서 매력성 이미지가 가장 낮 게 나타나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개성 요인은 어깨 너비에 상관없이 어깨 높이에 따라 비슷한 양상 을 보여 개성 이미지는 어깨 너비보다는 어깨 높이의 영향력이 더 크고 어깨 높이가 높을수록 개성 이미지 효과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동성 요인은 개성 요인과 마찬가지로 어깨 너비보다는 어깨 높이 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하였지만, 개성 요인과는 반 대로 어깨 높이가 낮을수록 활동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깨 너비가 +0cm, +1cm일 때는 어깨 높이와 상호작용하여 자존성 요인에 영향 력을 미쳤으며, 어깨 높이가 높아질수록 자존성 이미 지 효과도 커졌지만, 어깨 너비 +2cm로 어깨 너비가 너무 넓은 경우에는 자존성 이미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Conclusion

    본 연구는 파워 숄더 재킷의 어깨 형태 변화에 따 른 감성 이미지와 그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 여 재킷의 어깨 높이 3종류와 어깨 너비 3종류를 디 자인 변인으로 설정하고, 그 이미지 차이를 연구하였 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미지 요인분석 결과는 매력성 요인, 개성 요인, 활동성 요인, 자존성 요인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그 중에서 매력성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2. 어깨 높이 변화에 따른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미지 평가에서 매력성 요인은 어깨 너비가 좁을 때 에는 어깨 높이가 중간 높이일 때 매력성 이미지 효 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어깨 너비가 넓 을 때에는 어깨 높이가 중간 높이일 때 매력성 이미 지 효과가 가장 작게 나타나, 어깨 너비에 따라 상반 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개성 요인은 어깨 너비 변화에 상관없이 어깨 높이가 높을수록 개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존성 요인은 어깨 너비가 좁을 때는 어깨 높이가 높을수록 자존성 이미지 효과가 크 지만, 어깨 너비가 넓을 때는 어깨 높이에 따른 이미 지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활동성 요인은 어깨 높이가 낮을수록 활동적이고 편안한 이 미지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파워 숄 더 재킷은 어깨 높이가 높으면 개성적으로 보이지만, 활동성은 떨어진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 어깨 너비 변화에 따른 재킷의 감성 이미지 평 가에서 매력성 요인, 활동성 요인과 자존성 요인은 어깨 높이가 낮을 때는 어깨 너비가 넓고, 어깨 높이 가 높을 때는 어깨 너비가 좁은 경우에 이미지 효과 가 커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성 요인은 어깨 높이 가 낮을 때는 어깨 너비에 따른 이미지 차이를 지각 하여 어깨 너비가 넓을수록 개성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깨 높이가 높아지면 어깨 너비 에 따른 개성 이미지 차이를 지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워 숄더 재킷은 일반적인 재킷의 비해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의 변화가 크지만, 과도 한 어깨 높이와 넓이가 설정되었을 때는 각 이미지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지각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4.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미지의 상호작용 효과 는 어깨 높이 변화에 따라 매력성 요인, 개성 요인, 활동성 요인, 자존성 요인에서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 는 주효과로 작용하였고, 어깨 너비 변화에 따라서는 매력성 요인, 개성 요인, 활동성 요인에서만 독립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의 상호작 용 효과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서로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워 숄더 재킷의 감성 이미지 효과에 대해 종합해 보면, 매력성 이미지는 재킷의 어깨 높이 변화보다는 어깨 너비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고, 개성, 활동성, 자존성의 세 이미지는 어깨 너비 변화보다 어깨 높이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어깨 높이와 어깨 너비가 상호작용하여 감성 이미지 효과가 달라지므로 파워 숄더 재킷을 디 자인할 때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다면 20대 여성이 추 구하는 외모 이미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재킷에 적용시켜 시각적 이미지 차이를 연구하여 자 료화한다면 재킷을 디자인할 때 이미지 효과를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RJCC-24-617_F1.gif

    Mutual influences of the shoulder height

    RJCC-24-617_F2.gif

    Mutual influences of the shoulder width

    Table

    Body size of the subject (Unit: cm)

    Power shoulder jacket patterns

    Experimental images

    Primary hand factors of the sensibility images

    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shoulder height

    *p<.05
    **p<.01
    ***p<.001
    Group by Duncan test: A>B>C

    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shoulder width

    *p<.05
    **p<.01
    ***p<.001
    Group by Duncan test: A>B>C

    Mutual influences of 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shoulder design

    *p<.05
    **p<.01
    ***p<.001

    Reference

    1. Choi E-J , Suh M-A , Uh M-K (2013) Aesthetic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ip circumference and crotch length ease of baggy pant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4) ; pp.576-584
    2. Choi H-J , Ha J-S (2005) Women power dressing expressed in recent fashion: With reference to the female yuppie style of the 80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5 (2) ; pp.129-142
    3. Chung M-H (2013) A study on power dressing in socio-culture ,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15 (1) ; pp.31-45
    4. Ham Y J (2013) Types of superhero looks expressed in fashion in the 2000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3 (3) ; pp.145-158
    5. Ham Y-J (2003)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omen’s classic tailored suits in modern fash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3 (6) ; pp.101-115
    6. Kim J M , Lee J S (2011) Visual evaluation of design variations in power shoulder jacket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5 (1) ; pp.80-91
    7. Kim J-M (2011) A study on the power suit style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3 (5) ; pp.679- 685
    8. Kim J-M , Lee J-S (2009)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visual image of the power shouldered jacket ,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11 (3) ; pp.125-134
    9. Kim Y-R (2010) An analysis of the pattern construction on power shoulder l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 Vol.23 (4) ; pp.265-274
    10. Lee E H , Choi J W (2011) A study on the ways to develop power shoulder patterns according to shoulder angles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12 (3) ; pp.397-403
    11. Lee J-S (2011) Pattern making method for crescentshaped sleeve used in power shoulder jacket ,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13 (1) ; pp.59-71
    12. Lee S-B , Suh M-A , Uh M-K (2015) Body compensation image on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according to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1) ; pp.117-125
    13. Park S H , Lee E H (2013) Pattern making method and design of power shoulder jackets ,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3 (7) ; pp.131-140
    14. Park W M (2016) The mutual effect and factors of visual image according to pants style and geometric pattern (Part ?) , Korea Science & Art Forum, Vol.23 ; pp.135-148
    15. Size Korea. (2010) 6차 인체치수조사 [The sixth anthropometric data] , Retrieved July 29, 2016, from http://sizekorea.kats.go.kr/03_report/6th.asp,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