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4 No.2 pp.180-197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6.24.2.180

Knit fashion design by application of a flower image ofGeorgia O'Keeffe painting

Hyeon-Yeong Kim, Younhee Lee*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February 12, 2016 April 27, 2016 April 28,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knit ruffles that represent the aesthetic and artistic values of painted worksof art that rhythmically express flower petals and add an artistic impression on the knit ruffle desig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rtistic life of Georgia O’Keeffe and changes in her artistic background, and the world of paintings. The relevant data was gathered from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academic journals, and the internet. The characteristics of Georgia O’Keeffe paintings were examined. Her paintings typically include a series of various motifs, symmetry, balance, and harmony of detailed realistic expressions and abstract elements, repetition, and the principles of contrast and emphasis in shaping. The decoration techniques used on fabrics were applied using the knitting machine which controls the tension to develop a variety of textures, apart from the previous standardized knit textures, through various knitting techniques. A gradation effect was then applied by piece-dyeing the knitted materials in various colors to express asimilarity to the original colors in O’Keeffe’s works with delicate color expressions. After the piece-dyeing, the decorative knitted materials were trimmed on a model to re-create the natural curves of flower petals. This study aims to converge works of art with fashion designs to develop various creative knitted fashion and to impart an artistic sense in the fashion design industry.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회화의 꽃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

김 현 영, 이 연 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Hanyang University
    HY-2015

    I. Introduction

    예술과 패션을 접목한 패션디자인은 과거 살바도 르 달리(Salvador Dali)의 작품을 활용한 엘자 스키아파렐리(Elsa Schiaparelli)의 작업과 이브생로랑(Yves Saint Laurent)의 몬드리안 룩(Mondrian look)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작 업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션 디자이너와 다양한 아티스트의 협업은 패션에 창의성과 개성적인 상품의 개발로 소비자의 인정을 받아 패션에서 중 요한 요소가 되었다.

    예술과 패션디자인의 접목은 니트 디자인 분야에 도 활용되고 있다. 니트는 단순한 원사에서 특수사, 장식사, 비즈 등을 이용한 창의적인 디자인과 우수 한 보온성과 신축성으로 실용적이며 다양한 디자인 이 가능하다. 니트는 따스함과 아날로그적 감성이 느껴지는 소재로 수공예적 가치가 더해진 차별화된 패션으로 개인의 미의식 표현에 적합한 패션 소재 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구와 디자인 작업이 지속 적으로 필요하다.

    니트웨어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착용감을 높 여주는 무봉제 기법 디자인 연구(Lee, 2010)와 무봉 재 편성 방법 연구(Lee, Kim, & Suh, 2009), 신축성 과 드레이프성의 니트 특성을 응용하고 착장 방법 을 달리하여 활용도를 높인 가변적 니트웨어 연구 (Yoon & Lee, 2010), 직물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소 재와 원사 굵기의 편차를 응용한 과장형 니트웨어 특성 연구(Yoo & Lee, 2014), 해체주의 탈현상을 응 용한 니트웨어 디자인(Yoon, 2010), 여성 니트웨어 디자인의 표현 양식에 관한 연구(Choi, 2005) 등, 편 직과 기법, 소재 개발, 디자인 연구 등 다양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창적인 시각으로 작업을 한 미국을 대표하는 모더니스트 여류화가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의 회화 작품을 응용하여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오키프 작 품에 나타나는 선과 꽃 형태의 반복성과 균형이 주 는 이미지를 니트의 러플(ruffle)과 플라운스(flounce) 와 같은 장식적 효과와 요소를 니트 기법으로 적용 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디자인에 적 용하여 니트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니트웨어 작업 에 있어 러플 장식은 소매 끝이나 목둘레 등에만 주 로 사용되는 매우 한정적인 활용으로 나타나는 상 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니트의 변화와 밀도를 활용 한 프릴 작업으로 니트웨어의 입체적인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오키프의 음악적 리듬이 느껴 지는 곡선형의 꽃 회화 작품과 니트 소재의 조화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여성적 감성을 표현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고찰, 간행물, 선 행연구를 통하여 조지아 오키프 생애의 흐름에 따 라 회화 작품의 변화가 나타나는 작가로 작품의 형 성 배경을 국내외 문헌을 통한 고찰하고, 유명한 연 작 시리즈인 꽃 작품을 조형미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오키프가 1919년부터 10년간 뉴욕에서 거주하며 그린 꽃 작품의 선행 연구 자료와 조형성 에 따라 분석하고 컬렉션자료를 통한 현대 패션디 자인에 응용된 표현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 으로 창의적인 니트웨어의 표현을 위해 니트의 특 성과 기법, 가공의 방법 및 특성 고찰을 통해 오키프 의 회화 작품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편 직 기법을 조사한다. 색채 표현은 편직 후 일부 후염 으로 부분 작업으로 진행한다. 핸드니팅과 변형된 기계니팅을 통해 입체적 효과와 오키프의 꽃 회화 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운 곡선의 리듬감을 니트 프 릴을 활용한 디자인 제안은 니트 디자인의 다양한 장식적 기법을 활용하는데 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II. Georgia O'Keeffe Painting

    1. Background of Georgia O'Keeffe painting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는 미국 위스콘 신 주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그녀가 자랐던 주 변의 풍경은 큰 감명을 주었다. 오키프는 윌리엄즈 버그(Williamsburg)에서 만난 미술 선생님에 의해 미술적 재능과 잠재성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회화공 부를 시작했다. 17세에 시카고의 아트 인스티튜트 (Art Institute of Chicago)에 입학하여 밴더 포엘 (John Vanderpoel)의 기초 미술 수업과 해부학 드로 잉 수업에서는 구조화된 윤곽으로서의 선을 강조했 는데, 이것에 영향을 받는 오키프는 곡선, 나선의 작업을 하게 되었다(Benke, 1995/2006). 1907년부터 는 뉴욕의 미술학교 아트 스튜던트 리그(Art Student League of New York)에서 생생한 질감과 색의 물질 성을 강조하는 윌리엄 메릿 체이스(William Merritt Chase)의 지도를 받았으며, 1908년 보수주의적 분위 기에 반대하는 엘프레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 의 갤러리 ‘291’에서 전시 관람으로 남편인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와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오키프는 1912년 버지니아 대학에서 아서 웨슬 리 다우(Arthur Wesley Dow)의 이론을 심화시킨 러 시아 출신 화가 앨런 비먼트(Allen Beamont)의 수업 을 들었다. 아서 웨슬리 다우는 미국 인상주의 작가 로 산업화에 반발로 기계 제작물보다 수공예창작을 촉진시킨 19세기 영국 예술공예운동의 선구적 인물 로 자연을 모사하기 보다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창 조되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조화로운 디자인에 도달 하기 위해 색, 형태, 선, 부피, 공간과 같은 구성 요 소를 세심하고 균형 있게 배치할 것을 강조한 다우 의 이론은 오키프의 화면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앨 런 비먼트의 ‘자신의 본능에 따라 그림을 그리라는 충고’도 오키프에게 추상에 눈을 뜨게 하였으며 순 수 회화를 향한 열정은 삶의 중심이 되었다. 색채와 형태가 더 이상 자연의 외부 모습에 집착해서는 안 되며 작가의 내면과 감정을 탐구해야 한다는 칸딘 스키의 기본 이론 또한 오키프에게 지속적인 영향 을 주며 내적 세계와 예술의 정신성에 관심을 가지 게 했다(Benke, 1995/2006).

    오키프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연적 이미 지와 사물, 도시풍경, 꽃, 암소의 두개골, 안마당의 집을 모티브로 캔버스에 담아 오키프의 시선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그 중 모티프로 시리즈 작 업을 첫 시도한 것은 목탄 드로잉 연작으로 스티글 리츠에 의해 1916년 291에 전시가 되면서 이름을 알리게 되었고 ‘스페셜’이라는 명칭으로 유동적인 선과 여성적 직관의 표현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작 품은 유기적이고 기하학적으로 화면을 가득히 채우 고 리듬의 반복과 회화적 요소인 연속적인 선의 반 복을 나타냈다. 오키프는 1920년 이후부터 조지 호 주변의 풍경, 꽃, 뉴욕을 그리며 오키프의 낭만적인 색감이 유화로 옮겨지기 시작했다. 1930년대 이후 부터 사막에서 생활하면서 동물 뼈의 연작을 작업 하며 꽃을 함께 그리는 삶과 죽음의 양면성을 이야 기하고 있다. 1940년대에는 사막의 동물 뼈에서 변 화된, 화면을 가득 채운 단순함을 강조한 양식적 변 화를 보인 모래 색깔의 벽돌집과 강렬한 파란색의 구성으로 안마당의 문 연작과 생전 작업한 9백여 점 이 되는 작품과 조각품들이 오키프의 논리를 입증 해 주고 있다(Kim, 2014).

    조지아 오키프는 편견에 맞서는 대표적인 여류화 가로 평가되며, 조화, 비례, 단순함, 우아함과 함께 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이상은 사소한 일상의 물건 에도 의미를 부여하는 동양의 예술과 삶의 방식에 서 영감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2. Characteristics of flower image of Georgia O'Keeffe painting

    조지아 오키프의 꽃 시리즈는 주제를 확대하여 바라봄으로써 정물화의 기본방식에서 벗어나 기하 학적인 형태, 추상적 구성으로 표현함으로써 오키프 의 독특한 시선과 화려한 색채를 표현하는 작품의 성격이 되었다(Benke, 1995/2006). 오키프는 1919년 부터 10년간 뉴욕의 북부에 위치한 아름다운 풍경 을 가진 조지호수에서 지내면서 꽃 연작을 작업하 였다. 담청색의 물빛과 푸른 하늘, 다양한 나무 등에 서 많은 감명과 영감을 받았다. 수채화에서 유화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고 꽃 소재의 작품은 많은 평론가들의 관심을 불러 모았고 오키프를 성장할 수 있게 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4). 전 통적인 시대 분위기에 비해 매우 진보적인 작품세 계와 정신을 가진 오키프의 다채롭게 묘사된 꽃 연 작 추상화에 나타난 여성적 상징성은 오키프를 여 성 참정권 운동가이자 미국의 페미니즘적 요소의 대표화가로 만들었으며 스티글리츠의 모델, 부인으 로 스티글리츠의 그늘에 있던 오키프를 조지아 오 키프라는 이름의 여성 미술가로 자리 잡게 해준 작품들이다.

    오키프는 꽃이 지닌 본연의 색채를 중요하게 생 각하고 그 미묘한 색채를 연구하여 모티브가 되는 꽃의 종류마다 색상카드를 만들어 그 꽃잎을 그릴 때 필요한 색상들을 분리했다. 상세히 기록된 색상 카드를 사용해 이후 같은 꽃을 그릴 때 거의 비슷한 색상으로 재현하며 치밀하고 정성스럽게 꽃을 그렸 다. 꽃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캔버스를 가득 채우 는 클로즈업(close-up) 확대 기법과 불필요한 여백을 줄여 안정적인 구도로 디테일을 표현하는 크롭드 테크닉(cropped technique)의 화면 자르기 기법을 사용 하여 배경과 모티브의 조화로 화면을 대칭 구도로 구성한 것을 들 수 있다(Kim, 2014). 클로즈업 확대 기법은 육안의 법칙에 잡히지 않고 피사체와의 정상적인 거리 관념을 과감히 깨는 일종의 창조적 수 단으로 특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일반적 의미의 공간성을 없어지고, 내면적 현실 또는 감성을 표현하 여 개성적인 주장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특별하고 확장된 의미를 가지며 형태의 단순화와 꽃의 고유 색을 사용하여 표현하며 단색으로 묘사하는 색채의 구조적 단순미가 나타난다.

    1918년부터 1932년까지 오키프는 200여점 이상의 꽃 그림을 그렸다. 장미, 페튜니아, 양귀비, 동백 꽃, 해바라기, 금낭화, 수선화와 같은 흔한 꽃들도 검은 붓꽃이나 이국적인 난과 같이 희귀한 꽃과 마 찬가지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그녀가 실물보다 크게 그렸던 꽃 중의 하나는 카라였으며 대중들에게는 오키프의 ‘엠블럼’이 되었다(Benke, 1995/2006). “꽃들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본 그대로 그렸다면 아무도 그 꽃을 주목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꽃을 크게 그렸고, 모든 사람들, 바쁜 뉴욕인들까지도 이 그림 에 주목하였다”라고 꽃의 확대에 대해 언급했다 (McCoubrey, 1970). 이처럼 확대된 형태는 동일 모 티브의 다양한 시점을 느낄 수 있으며, 꽃의 개별적 형태를 강조하여 구조를 상세히 볼 수 있다. 이와 같 은 형태는 혁명적이고 감각적인 도입이며 꽃의 우아한 매력과 중앙에 위치시켜 모티브를 의인화하는 낭만적인 방식이다.

    오키프는 꽃 연작을 통하여 꽃이란 여성들이 그 리는 작고 보잘 것 없는 것이라는 선입견을 오히려 역으로 이용하여 그 편견을 깨고 새로운 시각의 표 현으로(Kim, 2014) 더욱 사실주의적인 재현방식을 사용했다. 꽃에서 보여 지는 단순한 아름다움보다는 우주의 생성, 즉 씨앗에서부터 시작했을 생명체에 대한 이야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대상에서의 중 심부를 확대함으로써 생명의 힘을 표현하고자 한다 (Byun, 2002). 확대된 꽃 시리즈에 대한 해석은 성적 인 표현으로만 해석을 하느냐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성으로 보느냐는 감상자의 감상에 열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오키프의 꽃 연작을 대칭과 균형, 반복, 대비와 강조의 조형 요소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Symmetry & balance

    균형은 본능적인 감각으로 화면을 구성함에 있어 무게나 힘이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질서와 안정 통일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요소이다. 시각 적으로 균형을 이룬 상태는 양쪽에 같은 양의 ‘눈을 끄는 힘’이 있는 상태이며 중심이 되는 선의 방향에 따라 수평적 균형(horizontal balance)과 수직적 균형 (vertical balance)로 나눠진다(Rhee, 2003).

    수직적 균형은 중심선을 가로 방향으로 놓았을 때 중심선의 상하 양쪽에 같은 힘이 있는 균형을 이 루면서 화면을 가득 채우는 모티브가 중심선에서부터 퍼져나가는 구도이다. 작품 Black IrisⅢ와 같이 색채를 위쪽의 꽃잎과 아래쪽의 꽃잎의 색상 대비를 이루고 아래쪽에 짙은 색을 사용하여 무거운 느 낌을 준 안정적인 구조를 하고 있으며(Fig. 1), 안정된 삼각형의 구도로 안쪽 윤곽선이 대각선의 곡선 으로 대칭 형태로 상승적인 느낌은 들지 않는다 (Kim, 2009). Light Iris(Fig. 2)는 전체적으로 흰색으로 채색하고 아래에 포인트 컬러를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단조로움을 없앤 균형감을 주고 있다.

    수평적 균형은 중심선을 세로 방향으로 놓았을 때 중심선의 좌우 양쪽에 같은 힘이 생기는 상태를 의미한다. 작품 Jack-in-the-Pulpit Ⅳ(Fig. 3)는 뒤에 서 흰빛을 받고 있는 암청색을 중심으로 꽃차례가 특 징을 이루는 신선한 작품이다. Grey Line With Black, Blue And Yellow(Fig. 4)는 식물 형태의 이미지를 거의 완벽한 대칭으로 데칼코마니의 느낌을 준다. 밝고 건강한 느낌을 주는 Red Canna(Fig. 5)는 수평 적 균형에서 대칭균형으로 엄격한 의미에서 좌우가 다르지만 자연스럽게 대칭으로 지각되는 구조로 좌 우에 빨강과 노랑의 컬러가 비슷한 형태로 서서히 흩어지는 만개한 꽃이 V자 모양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꽃의 가장 깊은 정수부분을 확대하거나 깊은 곳으로 빨려 들어가는 느낌을 준다(Byun, 2002). 또 한 여성의 생식기관을 닮았다고 하여 평론가들은 성 과 연결시켜 상징적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Nochlin, 1988/1997). 꽃 속이 드려다 보이는 감상을 주는 Flower Abstraction(Fig. 6)에서는 오키프가 전달하 고자 하는 삶과 죽음의 생명력이 잘 나타나 있다. 자 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의인화와 구체적인 구조는 오키프의 꽃 그림에 공통적 요소로 발견된다.

    2) Repetition & balance

    조지아 오키프는 스승인 다우에게 영향을 받아 사실주의 묘사보다는 선이나 형태, 색채를 통한 화 면구성을 했다. 반복적인 형태의 변화를 통하여 시 각적으로 움직임을 주며, 꽃을 표현하는 반복된 곡 선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음악적인 리듬을 느끼게 한다. 일정한 간격의 높낮이와 교차, 방향성으로 꽃잎은 중심점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며 방사형 균형을 이루어 율동적인 리듬을 느낄 수 있다. Peter(1991)는 반복이란 “규칙적인 질서에 의해 반복되는 선으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것이고 반복이 모든 음악과 시의 기본이기도 하다”라고 하였다. 오키프의 회화에 서는 동일한 선 또는 소재의 반복으로 나누어진다.

    White Rose White Camelia에서는 꽃잎 중앙부와 꽃받침이 방사형을 이루고 있으며 중심으로 향하는 변화와 초월을 뜻하는 힘찬 활력을 상징하는 운동 감이 느껴진다(Fig. 7). 꽃술이 있는 부분은 화면의 중심 역할을 하며 주위로 뻗어나가는 곡선들은 집 중 또는 확산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꽃술을 중심으 로 해서 오른쪽 하단으로 퍼지는 흰색의 흐름은 왼 쪽의 녹색과 대비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느낌을 준다(Kim, 2009). Abstraction, White RoseⅡ(Fig. 8) 는 반복되는 곡선은 자연스러운 흑, 백 컬러의 조화로 우아하며 여성적인 리듬감이 느껴진다.

    연속 리듬은 같은 단위가 한 방향으로만 반복되어 나가는 것으로 클래식 음악을 사랑했던 오키프가 음악을 통해 느낀 감정을 Music-Pink and Blue Ⅱ(Fig. 9)와 같이 타원의 선형태가 위에서 아래로 점차 작아지면서 한 방향으로 반복되어 율동감을 주고 타원 중심이 되는 파란색의 컬러가 점차 밖으 로 빗방울이 퍼지는 음악적 감상을 꽃의 확대된 느 낌과 함께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같은 연작 Music- Pink and Blue Ⅰ과함께음악에서남성적인것과여성 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Drohojowska- Philp, 2004/2008).

    대상의 비대칭 반복으로 양쪽에 정확한 규칙은 없지만 색, 크기, 명암 등으로 시각적으로 균형을 이 루는 것을 말한다. 이는 숨겨진 균형으로 꽃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의 상이한 감정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던 오키프의 생각과 비슷하다. 실물 크기로 그려진 Two Calla Lilies on Pink(Fig. 10)는 분홍색의 모호한 패턴은 꽃의 구조를 암시하 고 두 송이의 꽃을 확대, 반복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복합적으로 전달한다. 오키프는 자연물에 대한 애착 을 동일 소재의 반복에서 미묘한 변화를 통해 보여 주며 이중적 감정을 표현했다(Kim, 2009). 이는 다 우가 강조한 화면 구성 원리에 해당하며 오키프는 다우보다 더 나아가 색채의 중요함까지 표현하며 소재의 반복적인 탐구는 내면의 이중적 무의식에 대한 반영이 엿보인다.

    3) Contrast & emphasis

    강조는 선이나 형 또는 색으로 특정한 부분을 강 하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긴장감으로 사람의 첫 시 선을 집중시키는 중심점을 이루는 형태를 말한다. 오키프는 강조점으로 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강조점은 배경과의 조화를 이루어 강조점으로 모아진 시선이 선이나 색채로 리듬감을 타고 다른 부분들 로 이어진다(Kim, 2009).

    꽃의 부드러운 감촉을 꽃이 가진 고유의 단색으 로 묘사한 오키프는 조지 호수에서 산책할 때 야생 천남성 꽃밭을 지나며 천남성을 담은 여섯 점의 작 품을 연달아 그렸다. 그 연작 중 처음 세 작품 Jackin- the-Pulpit Ⅱ(Fig. 11)와 같이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리면서 점차 추상적으로 그렸다(Drohojowska- Philp, 2004/2008). Single Lily with Red(Fig. 12)는 붉은색 배경과 꽃잎의 녹색이 보색대비를 일으켜 화 면 중앙의 꽃송이가 더욱 강조되어 보인다. Leaves of a Plant(Fig. 13)는 빨간색의 꽃을 중앙에 두고 녹 색 잎이 캔버스 밖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대각선 구 도의 형태로 역동적인 느낌을 주어 더욱 강조되어 보인다. L. K. WHITE CALLA AND ROSES(Fig. 14)는 빨강과 녹색의 보조색으로 강조하여 장미와 장미 꽃잎을 표현하고 중앙에 카라 꽃을 묘사하여 분리배색으로 표현하였다. 바탕에 표현된 장미는 저 채도로 카라 꽃을 더욱 강조되게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지아 오키프의 꽃 연작을 조형적 특 성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로즈 업 기법을 통해 확대된 시각으로 바라본 꽃의 형태 들이 사실적인 표현을 통한 수직, 수평의 대칭과 균형성으로 나타난다. 둘째,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곡 선의 리듬감과 꽃잎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가 는 방사형 구도는 모티브의 색과 명암을 통한 비대 칭 균형으로 시각적 안정성을 보여준다. 셋째, 과감 한 보색들의 조화, 명도 조화, 화면 중앙에 모티브를 표현하는 과감한 표현으로 주제를 분명히 드러내고 시선을 집중시키는 강조적인 형태의 균형을 보이는 과감성이 나타난다(Table 1). 대표적인 대칭적 구조 의 자연물 꽃을 통하여 좌우의 예측이 가능하여 심 리적 안정감을 주는 대칭구도의 균형적 요소가 잘 나타나고, 색채가 갖는 시각적 효과와 내면적 특성을 사용한 유사 조화, 대비 조화, 강렬한 색채의 감각적 구도를 통한 화면 구성을 볼 수 있다.

    3. Fashion design by application of Georgia O'Keeffe painting

    오키프의회화작품을모티브로응용한작품을2010 년에서 2015년의 해외컬렉션에서 디자인 사례를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라발 그렁(Prabal Gurung)은 2012년 F/W 컬렉션에서 조지아 오키프의 ‘암소의 두개골’ 연작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 투피스와 원피스를 발표하였다(Fig. 15). 코발트 블루컬러 위 에 흰 암소의 두개골이 중앙에 프린트된 의상은 오 키프의 <Cow's Skull. Red. w and> 작품이 연상된다. 꽃 패턴이 모티브와 경계성 없이 하나로 표현되어 추상적인 느낌을 준다. 스테판롤랜드(Stephane Rolland) 의 작품 <Fig. 16>은 Oriental Poppies에서 영감을 받아 드레스에 적용시켰다. 드레스 하단에 계층화된 꽃잎의 표현과 붉은 꽃 코사지로 꽃잎을 표현한 드레스이다.

    츠모리 치사토(Tsumori Chisato)의 2013년 Paris 컬렉션은 오키프의 컬러를 최대한 재현한 작품으로 화려한 색채와 부드러운 소재와 잘 어우러져 있다. 암소의 두개골의 다양한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디 자인한 시리즈는 오키프의 작품이 바로 떠오를 만 큼 각 작품의 특징을 살려 해석하였다. <Fig. 17>은 오키프의 암소의 뼈 연작의 핑크 빛으로 물든 하늘 과 두개골의 색감을 그대로 재현한 작품이다. Light Iris에서 영감을 받은 엘리 사브(Elie Saab)의 드레스 는 오키프의 파스텔 톤의 은은한 아이리스 꽃을 얇 은 쉬폰 소재에 패턴으로 프린팅하여 튜브톱 드레 스로 옮겨 놓았다(Fig. 18). 존 갈리아노의 Christian Dior Couture는 ‘꽃’을 주제로 펼친 컬렉션은 생화에 필적할 만큼 아름다웠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 컬렉션은 강렬한 색감의 대비와 꽃 모양을 형상화한 갖가지 장식적 테크닉이 돋보인다. 오키프 작품 poppy 와 Red amaryllis 작품이 프린트되어 블랙 드레스와 잘 어울리고 있다(Fig. 19). 이와 같은 오키프 작품을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DTP기 법, 비딩, 자수, 트리밍 기법으로 장식되어 디자인 된 것을 볼 수 있다.

    III. Knit Ruffle

    1. Characteristics of knit stitch

    니트는 루프의 연결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루프를 형성하는 섬유의 원료, 실의 굵기, 실의 꼬임, 구조, 편직물의 조직에 의해 일반적인 특성이 달라진다. 니트는 원사의 종류와 편직 기법에 따라 다양한 디 자인 변형을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복 식사전에서 ‘니트는 짜다’, ‘뜨다’라는 의미를 가지 고 있으며, 니트웨어(knit wear)는 원사로 편직된 편 직물을 총칭한다. 니트의 작업 수단은 뜨개바늘을 이용하여 손으로 뜨는 핸드니트(hand knit)와 기계 (컴퓨터) 편직이 있다. 니트웨어는 니트, 편물, 편직, 편직물, 편성물, 스웨터(sweater), 저어지(jersey), 메 리야스(merias) 등의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 만 통틀어 니트웨어 혹은 스웨터라고 통용되어 불 린다(Hong & Choi, 2009).

    니트는 부드러운 성질과 독특한 구조로 다양한 특성이 나타낼 수 있으나 다루기 어려운 편직물의 특성이 있으므로 전문성이 필요하다. 다양한 편직 기법을 이해하고 용도에 맞는 기법을 사용하며 원 사의 특징을 살린다면 다양한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다. 용도에 따른 편직기법과 게이지와 밀도 변화 에 따라 시스루 룩 효과, 편직 방향에 따른 실루엣 변형 등의 디자인이 가능하다.

    니트 편직의 기본적인 조직은 평편 조직(plain stitch), 리브 편조직(rid stitch), 펄 편조직(purl stitch), 양면 편조직(double stitch)으로 크게 4가지로 나눠 지며, 양면 편조직은 앞의 3가지 조직의 응용조직이 라고 할 수 있고, 응용조직에는 턱(tuck), 레이스(lace), 부편(float), 파일(pile), 자카드(jacquard) 등이 있다.

    평편 조직(plain stitch)은 위편조직 중 가장 기본적 인 조직으로 싱글 편기에 의해 편직된다(Kim, 2000). 메리야스편이라 하고, 저지라고도 부른다. 평편 조 직은 신축성이 크며 환기, 보온성이 좋으나 편성의 처음과 끝 부분의 구별이 안 되고 드레이프성이 너 무 강하며, 편사가 잘 풀리는 단점이 있다. 평편 조 직의 특징은 위편성물 중에서 가장 얇고, 표면은 매 끄럽고 이면은 광택이 작으며 거친 느낌을 준다. 단 편침상 편기로 편성되므로 평편 조직으로 편성한 의 류를 싱글 니트 제품, 평면 제품이라 하고 상업적으로는 싱글 니트 제품을 싱글 저지라고도 한다(Kim et al., 2009).

    리브 편조직(rib stitch)은 고무조직이라고도 부르 며 평편 조직의 표면과 이면이 번갈아가면서 나타 나는 것과 같은 조직이다. 1:1로 배열된 것을 1×1리 브 편조직이라 하며, 이것이 리브 편조직의 기본이 된다. 리브 조직의 편침 배치를 변화 편성하면 2×1, 2×2, 3×1 등과 같은 1×1 편조직의 다양한 변화 형태 의 조직을 만들 수 있고 바탕 전체 고무뜨기, 꼰 고 무뜨기와 같이 특수기계로 짜는 방식도 있다(Kim et al., 2009). 리브 편조직의 특징은 표면과 이면의 외 관이 동일하고, 외관은 평편 조직의 표면과 유사하 며 코스 방향으로 신축성이 크다. 동일 게이지의 평 편 조직에 비해 폭은 좁지만 두께는 두꺼워 각종 스웨터, 내의, 니트웨어의 소매와 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펄 조직(purl stitch)은 양두 조직(links and links stitch), 가터 조직(garter stitch)라고 불리기도 한다. 겉코와 안코의 변화에 의한 요철 무늬가 나타나며 겉코가 볼록하게 안코가 오목하게 된다(Kim, 2000). 펄 편조직의 특징은 표면과 이면의 외관이 동일하 고, 외관은 평편 조직의 이면과 같으며 웨일 방향으 로 신축성이 크지만 리브 조직보다는 떨어지지만 컬 업 현상이 없어 재단, 봉제가 쉽다. 편성의 처음과 끝이 구별이 안 되고, 양쪽 다 편사가 풀리는 단점이 있다. 동일 게이지의 평편 조직에 비해 두껍다.

    양면편 조직(double stitch, interlock stitch)은 앞의 세가지 조직의 응용 조직으로 볼 수 있으며 직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니트와 비슷한 특성이 있는 아주 섬세한 리브 편기의 변화 조직이다. 2개의 1×1 리브 편조직을 결합한 것처럼 보이므로 더블 리브 편조 직(double rib stitch)이라고도 한다(Kim et al., 2009). 표면과 이면의 양면 외관이 동일하며 외관은 평편과 유사하지만 평편과 리브편에 비하여 치밀한 편 조직으로 탄력성이 크다. 다른 조직과 다르게 신축 성이 적어 안전성이 높으며 편사의 꼬임에 의한 현 상과 컵업 현상이 없으며 동일 게이지의 1×1 리브 편 조직에 비해 폭이 좁다.

    인타시아(Intarsia)는 이탈이아어 ‘Intarsiare’에 유 래된 말로 인레이(Inlay) ‘상감하다. 도장 찍다.’의 의미를 뜻한다. 인타시아라고도 불리며 두 가지 이 상의 다른 색상이나 원사를 활용하여 편직하는 방 식으로 무늬가 선명하고 뚜렷하며 도장을 찍은 것 과 같은 효과를 보인다(Hong & Choi, 2009). 반복되지 않는 원 패턴이나 큰 면적에 활용하는 싱글 편직 기법으로 여러 무늬나 그림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편직물의 부피감이나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경량화 트렌드에 맞추어 많이 사용되고 선호되는 조직이다.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나서 각각의 색이 독립적인 고유의 모양 그대로 편직되며, 조직 간의 경계가 생기지 않아 배색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조직 이다(Lee, 2013). 다양한 패턴의 기하학무늬, 캐릭터 와 같은 모티브의 표현, 다이아몬드 무늬의 아가일 (argyle) 패턴들이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2. Technique of knit ruffle

    니트 러플은 니트웨어에 구조적 디테일을 더 할 수 있는 곡선형의 주름 장식으로 니트 디자인에 창 의적인 특성을 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자리 에 다양한 곡선을 창출하여 역동성이 느껴지는 디 테일로 세부 장식과 곡선, 직선으로 러플을 연결하여 니트에 다양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대 부분의 니트 패션 디자인에 러플의 활용은 밑단이 나 부분 장식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디 자인의 활용은 부족한 상황이다.

    러플은 핸드니팅 기계니팅에서 모두 코를 늘려주 며 편직하거나 밀도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작업된 다. 일반적인 핸드 니팅의 대바늘뜨기는 바늘의 굵 기나 실을 걸고 끌어낼 때의 손동작에 따라 편직물 간의 밀도 차이가 생긴다. 또한 기계에 걸 수 없는 굵은 실 또는 장식사, 특수사를 이용하여 뜰 수 있어 소재의 활용 효용성이 높다. 기본적인 뜨기 기법인 겉뜨기, 안뜨기, 모아뜨기, 교차뜨기, 바늘비우기 등 의 기법을 조합하여 대바늘 러플 조직을 만들 수 있 다(Table 2).

    러플은 코 수의 배수를 통해 만드는 것이 가장 기 본적이며, 시작 바늘 수와 끝에서 필요로 하는 바늘 수를 측정하여 필요 코 수를 측정하여 두배, 세배로 늘려 간단하게 러플을 뜨는 방식으로 주름 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코 수를 줄이는 방법과 바늘을 추가하여 러플 뜨기도 가능하다. 주름을 만들기 위해 작업을 시작하는 바늘땀 수와 원하는 치수로 마 무리하는데 필요한 바늘땀 수가 다르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것들은 원하는 치수로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바늘땀 수의 두 배 내지 세 배만큼 단순한 경우도 있다. 배수가 그리 크지 않은 반복 작업을 하거나 또는 가터 뜨개질의 경우처럼, 반복 작업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최종 계산을 위해 늘리거나 줄인 후에 몇 바늘땀 수를 줄이거나 늘릴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Epstein, 2010). 더욱 복잡 한 배수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치수를 얻기 위해 특정 배수를 이용하여 늘리거나 줄이는 데 필요한 바늘땀의 양을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기계 편직에서는 편직 밀도와 바늘수를 조정하여 니트 러플을 편성할 수 있다. 니트 편직의 기본이 되 는 게이지를 편직 기계의 침상에 배치된 바늘의 간 격을 조정하여 편성물을 완성하게 된다. 게이지는 실의 굵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게이지를 변화 시키거나 코 수 변화, 밀도 변화를 주어 기계 니트 러플을 표현할 수 있다. 게이지는 표준치수, 표준규격, 척도 등의 의미로 사용되며(Yoo & Lee, 2014), 니트 게이지는 편기 바늘 수의 밀도를 뜻한다. 일반 적으로 핸드 니트에서는 10cm의 가로, 세로 안의 코 수와 단수를 말하고, 기계편에서는 니들 베드의 인 치 당 바늘 수를 말하며 기계의 게이지에 따라 실의 굵기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Sissons, 2010). 실 의 굵기에 따라 로우 게이지(low gauge)에서 하이 게이지(high gauge)로 분류하는데, 숫자가 작을수록 바늘은 커지고 스티치가 커지는 3~5게이지의 로우 게이지는 거칠고 볼륨감 있는 헤비(heavy)한 표면이 나타난다. 반대로 10게이지 이상 게이지 숫자가 커 질수록 바늘은 작아지고 스티치도 작아지는 하이 게이지는 파인(fine)한 표면감이 나타난다. 1:1 리브 조직으로 시작하여 의도하는 높이만큼 편직한 뒤 1:1 바늘수를 2배로 늘리고 게이지를 크게 올려서 변형 리브조직으로 편직하면 러플 효과를 낼 수 있 다(Fig. 20).

    밀도(tension)는 조절을 통해서 다양한 표면 질감 의 편직물을 낼 수 있다. 이는 밀도 견본을 통해서 샘플을 만들어 보고 밀도를 조정하여 원하는 편직 물을 만들 수 있고 원단의 정확한 크기와 특성을 파 악하여 편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Sissons, 2010).

    IV. Design & Product Development

    1. Production process

    본 연구는 조지아 오키프의 회화작품을 모티브로 응용하여 풍부한 색감과 곡선의 형태의 여성미를 부드러운 소재인 니트로 표현하여 창의적인 니트 패션디자인을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전개에 응용된 작품은 V대칭 균형을 이루는 작품 2점과 꽃을 확대 된 시각으로 바라본 곡선의 율동감이 느껴지는 작품, 형태의 반복성을 이루는 작품 2점, 색상 대비로 강조된 작품을 모티브로 니트웨어에 접목시켰으며, 입체적으로 응용하여 풍성하게 만개한 꽃이 느껴지 도록 표현하고자 하였다. 오키프 회화에서 나타나는 꽃잎의 유기적인 흐름과 원형의 반복적 방사형과 대칭구조를 자연스럽게 러플이 흐르는 데로 모양을 잡아 형상화하여 스타일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의 재료에는 모헤어, 램스울, 니트 원단을 사 용하고, 응용한 모티브는 컴퓨터 기계 편직을 사용 한 인타시아 편직, 수동 기계 편직을 사용한 평편, 리브조직 변형편과 핸드 니트를 활용하였다. 오키프 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화려하고 다양한 색채는 빨 강, 노랑, 주황, 파랑계열, 녹색계열 등을 사용하여 색감만으로도 오키프의 작품이 연상되도록 작품의 색과 가장 유사한 색의 실을 사용하였다. 같은 색의 램스울과 모헤어를 함께 사용하여 오키프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부드러운 니트의 특징이 더 부각되도록 하였다.

    전반적인 작품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 품에 맞는 니트웨어를 디자인하여 그 작품의 조형 적 표현을 모티프 전개하여 컴퓨터 작업을 통해 패 턴을 제작하였다(Fig. 21). 다음으로 재구성된 작품 의 색상을 맞춰 램스울 원사를 결정한 후, 원사의 굵 기에 맞는 게이지를 결정했으며, 재구성된 작품의 디자인에 맞는 색의 램스울을 결정한 후 원사의 굵 기에 맞는 게이지를 조정하였다(Fig. 22). 컴퓨터 니트 편직(SES124CS) 기계에 입력할 데이터를 넣어 LCD 모니터를 확인하고, 시험 편직으로 데이터에 맞는 편직물 견본을 확인한 후 수정 및 조정하여 편직 한다(Fig. 23). 편직물을 디자인에 맞는 모티브의 형태로 맞춰서 재단하고 링킹한다(Fig. 24).

    니트 러플의 장식요소를 개발하고자한 연구의 의 도를 위하여 니트 러플을 먼저 편직하고 바디 편직 물에 둔 상태로 러플을 트리밍하여 오키프 회화에 서 나타나는 꽃잎의 유기적인 흐름과 원형의 반복 적 방사형과 대칭구조를 자연스럽게 러플이 흐르는 데로 모양을 잡아 형상화하여 입체 드레이핑 스타 일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니트웨어에 잘 사용하지 않는 플레이팅 링킹 작업으로 입체감을 살린 실루 엣을 만들고 게이지가 다른 니트웨어를 겹쳐 입는 레이어드 형식의 스타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실물 작품은 총 6점으로 원피스 2벌, 니트 셔츠, 점프슈 트, 후드 가디건, 케이프로 구성하였다.

    니트 러플과 평편 뜨기로 편직된 편물은 후염작 업을 통하여 오키프 작품의 색채 표현과 편물의 그 라데이션 효과를 표현하였다. 끓는 물과 염료, 소금 을 물과 염료의 비율을 달리하여 염색되어 나오는 편직물의 후염 샘플 작업을 통해 염료비율을 정하 였으며, 작품에 사용될 편직물에 후염작업을 반복하 여 원사와 염색되는 색채의 연결이 자연스러워지도 록 반복하여 작업하였다(Fig. 25). 편직물은 세탁하 여 잉여 염료가 빠져나가도록 하고 건조 후 코가 풀 리지 않도록 코 마무리를 하였다(Fig. 26). 제작된 편직물은 디자인에 맞춰 직선 디자인은 링킹 가공 하며, 원형 디자인으로 표현되는 러플과 니트 원단 은 링킹과 미싱을 활용하여 봉제 가공하였다(Fig. 27). 실물 작품은 총 6점으로 원피스 2벌, 니트 셔츠, 점프슈트, 후드 가디건, 케이프로 구성하였다.

    2. Design development

    1) Design 1

    디자인 1은 확대된 꽃의 모티브를 V자형 구도로 대칭을 이루고 캔버스에 형태가 잘려나가 꽃 형태 가 연장되는 시각적 착각을 주는 작품 모티브 ‘Red Canna’로 하였다. 작품을 상․하 반전시켜 V자 구 도의 작품을 ˄ 형태가 되게 하여 상의는 바디에 붙 는 스타일로 핸드니트로 작업하여 모티브를 배색 뜨기하고 2단으로 된 니트 편직을 연결시켜 원피스 를 디자인하였다. 하의는 메인컬러인 빨강색 니트 스커트를 디자인해 상의와 겹쳐져 풍성한 볼륨감이 느껴지는 활짝 만개한 꽃을 형상되도록 하였다.

    강렬한 빨강에서 노란색으로 따뜻한 난색이 주를 이룬다. 노란색 니트 프릴 장식에 후염을 더해 스커 트와 미니 원피스의 컬러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연결하였다. 소재는 부드러운 램스울을 사용하여 그 특징을 더 부각시키기 위해 모헤어를 함께 사용하 였다. 상의 패턴을 니트 조직 패턴으로 변경하고 대 바늘로 핸드 니팅하여 배색뜨기 하였다. 상의 끝 처 리는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코 줄이기로 지그재그 로 마무리하여 니트 장식이 곡선 형태로 연결되며 스커트의 끝단과 반복되는 선으로 균형이 느껴진다.

    2) Design 2

    디자인 2도 V자 대칭구조로 원피스 가슴부분에 편직물을 플레이팅 링킹하여 프릴과는 다른 변화를 주어 시각적 다양성을 시도하여 ‘Flower Abstrastion’ 작품을 모티브로 대칭구도를 표현하였다. 원피스의 실루엣은 몸에 밀착되는 디자인으로 인체의 곡선미 를 나타내고 하의는 언발란스 디자인으로 꽃 형태 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상의 디테일 디자인이 착장 시 하의 러플장식이 주는 무게감을 분산하고 모티 브에서 주는 V 구도 안의 곡선의 연결이 하나의 리 듬감으로 느껴지게 하였다.

    모헤어와 램스울 1:1비율로 5G 평편 조직으로 기 계니팅한 편직물로 부드러운 질감과 가벼운 편직물 을 제작했다. 같은 편직물을 Tangerine Mandrina 컬 러를 후염해 플레이팅에 색의 변화가 동반된 볼륨 감이 가슴부분에 느껴지도록 아플리케 하였다. 프릴 장식에도 같은 염료로 후염하고 장식마다 염색 농 도와 불규칙하게 염색되게 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으 로 표현하였다. 원피스 패턴에 맞춰 U라인으로 장식 된 원피스 하단부분의 러플은 겹겹이 봉제하여 율동 적으로 반복되는 둥근 곡선으로 통일감을 주었다.

    3) Design 3

    디자인 3은 여러 송이의 꽃이 반복되면서 커다란 한송이의 꽃으로 이어지는 작품 ‘White Rose with Lakspur No.2’로 반복적인 형태의 힘찬 활력과 생동 력이 느껴지는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꽃을 상․하로 반전시켜 상의에 흰 장미의 꽃 잎을 니트 러플을 여러겹 겹쳐 율동적인 리듬감을 표현하여 장식하고 하의에 하늘색의 꽃을 평편 편 직한 스커트에 러플장식을 링킹하여 큰 꽃잎을 표 현하였다. 평편으로 편직한 상의에 장미꽃이 연상되게 원형을 그리면서 드레이핑하여 아플리케 하였다.

    상의의 끝처리는 자연스럽게 드레이핑된 라인을 따라 재단하여 꽃이 자유롭게 수놓아져 있는 꽃을 표현하고 흰색 러플을 Aquamarine Aguamarina 염 료로 후염하여 스커트의 Sky Blue 색의 원사로 편직 한 프릴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하였다. 소매 부분은 러플을 그대로 소매 라인에 달아 옆 라인에 연결 되게 봉제하여 자연스러운 곡선의 흐름이 느껴지는 실루엣이 길게 연결되어 입체감이 풍성한 니트 셔츠로 표현하였다. 네크 부분에는 짧게 편직한 러플은 차이나 카라로 디자인하여 상의와 조화를 이루 게 마무리하고 하의는 니트의 특성인 신축성이 부 각되는 직물보다 편안하고 자유로운 5G 평편 기계 편직한 레깅스를 더해 니트 셔츠와 스타일링하면 심플한 느낌의 착장이 되고 스커트를 레이어드하여 입으면 상의와 조화를 이루면서 화사한 색감과 러 플의 곡선이 통일감을 이루면서 러플이 겹치게 스 타일링할 수 있다.

    4) Design 4

    디자인 4는 ‘Abstration, White RoseⅡ’ 작품을 모 티브로 하였다. White Rose는 꽃의 방사형태가 반복 적으로 나타나 균형을 이루는 작품으로 꽃의 중심 부를 크게 확대하여 원형으로 반복되는 꽃잎을 곡 선으로 부드럽게 표현하고 있다. 이는 자연이 주는 물결의 흐름이 연상되는 점진적인 원의 반복 형태 를 가지고 있다. 작품에서 보이는 반복적인 요소는 점프 슈트의 네크라인부터 상의까지 연결되는 러플 장식을 원형으로 돌려가며 전체에 장식하고 하의는 니트 원단의 플라운스 장식을 트리밍하여 착장시 생기는 주름이 상의 러플 장식과 디자인이 자연스럽게 조화되게 표현하였다.

    검정과 흰색이 주를 이룬 작품의 색채는 흰색 장식에 Black Azabache, Pearl Grey 염료로 염색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어 검정색 러플과 연결되며 명도 차이가 주는 입체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5) Design 5

    디자인 5는 오키프 작품 중 색상이 다양하게 표 현된 ‘Grey Line With Black, Blue And Yellow’ 작품의 꽃 단면을 확대해서 대칭을 이루는 꽃잎이 반복 적으로 균형을 이루게 한 디자인이다. 세로로 반복된 꽃잎마다 그 컬러가 다르게 곡선의 반복으로 물 이 흐르듯 부드럽게 색감이 연결되고 윗부분은 다 시 모였다가 벌어지는 형태를 하고 있다. 모였다 퍼지는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후드 디자인을 선택하 였고 긴 코트 뒤판은 길고 앞판은 짧게 언밸런스하게 꽃을 형상화 한 실루엣으로 제작하였다. 코트의 가장자리와 후드에 프릴장식이 한 바퀴 돌아가게 디자인하여 착용했을 때 멀리서 바라보면 오키프의 작품을 보고 있는 착각을 주고자 했다.

    배색이 많이 들어가는 디자인으로 니트의 무게감 을 줄이기 위해 5G 컴퓨터 인타시아 편직을 활용하 였다. 러플 장식은 작품에서 나타나는 리듬감을 몸 판 편직물의 배색과 연결된 색으로 링킹하여 프릴 이 겹쳐지면서 입체적인 율동미가 느껴지게 장식하 여 풍성한 색감이 느껴지게 하였다. 하의 레깅스는 작품 중앙의 꽃 술 부분을 모티브로 배색하여 인타 시아 편직하고 작품의 배경에서 보이는 은은한 핑 크색은 이너에 홀터넥 티를 디자인하여 후드 가디 건 안쪽에 핑크색으로 그라데이션된 흰 러플과 색 감이 연결되며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했다.

    6) Design 6

    디자인 6은 캔버스의 위쪽을 가득 채우는 둥근 곡선과 꽃의 녹색과 파란색의 한색계열과 검정색의 차분함이 잘 어우러진 색채가 특징적인 ‘Jack-in-the Pulpit Ⅳ’ 작품을 후드 니트 케이프에 응용하여 전 개하였다. Navy 컬러는 기본 뜨기로 모헤어와 램스 울을 합사하여 편직하여 부드러움을 더하고 Black 은 얇은 니트 원단으로 리버시블로 작업하여 실용 성을 더하였다.

    후드의 라인에 그림의 엑센트 컬러인 Green을 러 플장식으로 꽃잎을 표현하여 강조해주고 Teal Green 러플은 가슴라인까지 연장되게 하였다. 롱 원피스는 원사 대비 굵은 대바늘을 사용하여 그물형의 레이 스 느낌으로 핸드 니팅하였으며, 은은하게 비치는 녹색컬러의 리듬이미지가 느껴지는 둥근 프릴장식 이 꽃잎의 둥근 선과 연결되어 수공예적인 측면과 함께 시각적 효과가 느껴지도록 의도하였다. 후드 케이프는 리버시블 디자인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실용성이 높은 디자인이다.

    V. Conclusion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여류화가 조지아 오키프의 회화 작품을 조형적 분석을 통하 여 니트 디자인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오키프의 꽃 모티프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니트 러플 장 식기법을 개발하여 조형적이고 창의적인 니트 디자 인을 전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지아 오키프의 꽃 연작의 조형적 특성은 첫째, 꽃의 형태를 클로즈업 기법을 통해 확대된 시각과 사실적인 표현을 통해 표현하는 수직, 수평의 대칭 과 균형성이다. 둘째는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곡선의 리듬감과 꽃잎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방 사형 구도, 모티브의 색과 명암을 통한 비대칭 균형 의 시각적 안정성이며, 셋째, 과감한 보색 사용과 명 도차, 화면 중앙에 모티브를 표현하는 과감한 표현 등으로 주제를 분명히 드러내고 시선을 집중시키는 강조적인 형태의 균형을 보이는 과감성 등으로 나 타났다. 대칭적 구조의 자연물 꽃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대칭구도의 균형적 요소가 잘 나타 나고, 색채가 갖는 시각적 효과와 내면적 특성을 사 용한 유사 조화, 대비 조화, 강렬한 색채의 감각적 구도를 통한 화면 구성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오키프 작품의 꽃 모티프 분 석을 바탕으로 대칭, 반복, 조화를 이루는 조형적 특 징이 잘 나타난 작품 6점을 선정하여 니트웨어에 응 용하였다. 부드러운 울, 모헤어 소재를 사용하여 꽃 이 주는 여성의 감성을 더 부각시키고 수동 기계편 직, 컴퓨터 자동편기, 핸드 니트의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그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키프의 작품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선적인 조형적 특성을 니트 프릴 장식으로 리드미컬한 입 체적 조형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인타시아 편직으 로 모티브의 섬세한 표현과 시각적 재미를 주는 예 술과 패션을 융합시킨 창의적인 고감성의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오키프의 작품에서 나타나 는 섬세하고 감각적인 색채와 과감한 구도, 모티프 의 구성에 의한 꽃잎의 표현은 부드러운 곡선의 반 복으로 리듬감이 느껴진다. 이는 러플장식으로 율동 감을 극대화시켜 주고 니트웨어에 부드러운 질감, 회화작품의 조형미를 러플장식이 입체적 효과를 나 타내기에 적합하였다. 셋째, 니트는 게이지, 밀도를 조절하여 새로운 편직법의 개발이 가능하고 편직방 법에 따라 옷의 중량감, 질감, 신축성 등이 달라진 다. 프릴장식은 링킹 이외에도 패치워크, 드레이핑, 아플리케 등의 방법으로 장식의 볼륨감을 표현할 수 있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니트 디자인 전개를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니트 편직기법의 변형으로 생기는 새로운 조직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니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 예술과의 접목뿐 아니라 기법 변형으로 다양한 조직 개발로 폭 넓게 패션디 자인에 응용되어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과 니트 패 션이 한층 더 발전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또한 인타시아 기법으로 표현되던 컬러풀한 니트웨어에 후염작업을 통하여 한층 더 부드러운 색채의 니트웨어 표현이 되고 한정된 원사의 색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과 회화 작품을 모티브로 한 디자 인 연구와 니트웨어의 다양한 표현 방법과 편직 기 법, 편직물의 가공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실물 작품 제작을 통한 연구는 패션에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앞으로 계속적인 회화작품, 사진 작품 등 예술작품을 응용한 니트웨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igure

    456_F1.jpg

    Black IrisⅢ, 1926. From. Benke (1995/2006). p.36

    456_F2.jpg

    Light Iris, 1924. From. Benke (1995/2006). p.35

    456_F3.jpg

    Jack-in-the-Pulpit Ⅳ, 1930. From. Benke (1995/2006). p.44

    456_F4.jpg

    Grey Line With Black, Blue And Yellow, 1923. From. Coe, Owens, & Robertson (2013). p.241

    456_F5.jpg

    Red Canna, 1925/1928. From. Coe et al. (2013). p.289

    456_F6.jpg

    Flower Abstraction 1924. From. Coe et al. (2013). p.294

    456_F7.jpg

    White Rose White Camelia, No.Ⅱ 1929. From. Coe et al. (2013). p.346

    456_F8.jpg

    Abstraction, White Rose Ⅱ, 1927. From. Turner (1999). p.83

    456_F9.jpg

    Music-Pink and Blue Ⅱ, 1919. From. Benke (1995/2006). p.21

    456_F10.jpg

    Two Calla Lilies on Pink, 1928. From. Benke (1995/2006). p.30

    456_F11.jpg

    Jack-in-the Pulpit Ⅱ, 1930. From. Benke (1995/2006). p.43

    456_F12.jpg

    Single Lily with Red, 1928. From. Benke (1995/2006). p.30

    456_F13.jpg

    Leaves of a Plant. From. Coe et al. (2013). p.556

    456_F14.jpg

    L.K.White Calla and Roses, 1926. From. Lynes (1999). p.313

    456_F17.jpg

    Prabal Gurung, 2012 F/W. From. Prabal Gurung (2011). http://nowfashion.com

    456_F18.jpg

    Stephane Rolland, 2012 S/S. From. Stephane Rolland (n.d.). http://www.livingly.com

    456_F19.jpg

    Tsumori Chisato, 2013 S/S. From. Tsumori Chisato (2012). http://nowfashion.com

    456_F20_1.jpg

    Elie Saab, 2010 S/S. From. Elie Saab (2014). http://www.modearte.com

    456_F21_1.jpg

    Dior Couture, 2010 A/W. From. Christian Dior (n.d.). http://www.style.co.kr

    456_F20.jpg

    1:1 rib stitch & ruffle Photography by researcher

    456_F21.jpg

    Design development

    456_F22.jpg

    Yarn preparation

    456_F23.jpg

    Input the data into the computer machine knitting

    456_F24.jpg

    Preparation of linking & finishing

    456_F25.jpg

    Gradation effect Photography by researcher

    456_F26.jpg

    Finishing of ruffle Photography by researcher

    456_F27.jpg

    Knit linking Photography by researcher

    Table

    Characteristic of a flower image of Georgia O'Keeffe painting

    Instance of hand knitting ruffle

    From. Epstein (2010). pp. 51-65.

    Design development

    Photography by researcher

    Reference

    1. Benke, B. (2006). Georgia O'Keeffe, 1887-1986: Flowers in the desert. (B. J. Kang Trans.). Seoul: Maronie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2. Byun, B. Y. (2002).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 research of work analysis and person oneself work and of Georgia O'Keeffe pain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w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3. Choi, K. H. (2005). A study on the forms of expression in modern knitwear design for women: Focused on collections after 1995.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s University, Seoul, Korea.
    4. Christian Dior. (n.d.). 2010 F/W Paris Christian Dior. Style.com,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www.style.co.kr/collection/view.asp?scd_code=2133#146693_2_11
    5. Coe, E. B., Owens, G., & Robertson, B. (2013). Modern nature: Georgia O'Keeffe and Lake George. London: Thames & Hudson.
    6. Drohojowska-Philp, H. (2008). Full bloom: The art and life of Georgia O'Keeffe. (H. K. Lee, Trans.). Seoul: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7. Elie Saab. (2014, August 7). Fashion inspired by art. ModeArte,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modearte.com/fashion-inspired-by-art
    8. Epstein, N. (2010). Knitting on the edge: Ribs, ruffles, lace, fringes, flora, points & picots: The essential collection of 350 decorative borders. New York: Six & Spring Books.
    9. Hong, M. H. & Choi, K. M. (2009). Knit design guide book. Seoul: Kyungchoonsa.
    10. Kim, B. C., Koo, H. J., Kwon, O. K., Kim, S. S., Kim, T. K., Kim, H. S. and Cho, H. H. (2009). Textile basic technology. Daegu: Hanrimwon.
    11. Kim, H. Y. (2000). A study on the design of women's Knitwears: Focusing on the handcraft ornament techniq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S. H. (2009). A study on process of organic image of Georgia O'Keeffe'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do, Korea.
    13. Kim, Y. K. (2014). A study on dualistic characteristics in Georgia O'Keeffe's pain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14. Lee, I. S. (2010). A study on the design of women's seamless knitwea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M. S., Kim, M. O., & Suh, M. A. (2009). The sleeve knitting method of the seamless knit onepiece dress: Focused on the bind-off length at the axill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6), 1059-1067.
    16. Lee, S. A. (2013). The characteristics of allegoric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men's knitwea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7. Lynes, B. B. (1999). Georgia O'Keeffe: Catalogue raisonné (Vol.Ⅰ). Washington: National Gallery of Art.
    18. McCoubrey, J. W. (1970). American painting, 1900~1970. New York: Time-Life Books.
    19. Nochlin, L. (1997). Women, art, and power and other essays. (J. K. Oh, Trans) Seoul: Yekyo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20. Peters, S. W. (1991). Becoming O'Keeffe: The early years. New York: Abbeville Press.
    21. Prabal Gurung. (2011, September 10). Prabal Gurung ready to wear spring summer 2012 New York. Nowfashion.com,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nowfashion.com/prabal-gurung-readyto-wear-spring-summer-2012-new-york-945
    22.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Paju: Kyomunsa.
    23. Sissons, J. (2010). Knitwear. Lausanne: AVA Publishing.
    24. Stephane Rolland. (n.d.) Couture spring 2012-Stéphane Rolland. Livingly,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www.livingly.com/runway/Couture+Spring+2012/Stephane+Rolland/lQ2XV64_4br
    25. Tsumori Chisato. (2012, September 29). Tsumori Chisato Ready To Wear Spring Summer 2013 Paris. Nowfashion.com,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nowfashion.com/tsumori-chisatoready-to-wear-spring-summer-2013-paris-2726
    26. Turner, E. H. (1999). Georgia O'Keeffe: The poetry of things. Washington D.C.: The Phillips Collection.
    27. Yoo, J. H. & Lee, Y. H. (2014). Exaggeration shown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8), 67-82. doi:10.7233/jksc.2014.64.8.067
    28. Yoon, J. A. & Lee, Y. H. (2010). A study on modifiable design in knit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10), 88-99.
    29. Yoon, S. W. (2010). A study on knitwear design applying deconstructive devi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ty, Seoul,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