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4 No.1 pp.27-40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6.24.1.027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for utilized fabrics and preferences of fashion images

Yeo Won Kim†, Yong Park*, Jong Myoung Choi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Dept. of Beauty Design, Halla University, Korea

본 논문은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Corresponding author (jblookyw@naver.com)
November 17, 2015 February 3, 2016 February 4, 2016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regarding fashion materials, such as the color, pattern and texture of fabric.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and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by identify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The survey subjects were 312 women ranging in age from 20 to 40 years old. This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as a measurement tool. First, this study performed a factorial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fashion materials. In regards to color preference, this study considered color depth such as light tone color, moderate tone color, dark tone color and vivid tone color. In regards to pattern preference, this study examined: geometric pattern, floral pattern, animal skins pattern, check pattern and symbolical pattern. In regard to preference of the texture, this study assessed: roughness, luster, flatness and lightness. Second, this study performed a factorial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This study examined five factors: dignity, uniqueness, femininity, activity and simplicity.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fashion material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As a result, the color preference was related to the image preference associated with dignity, femininity and simplicity, whereas the pattern preference was related to the images of uniqueness, femininity, activity and simplicity. Moreover, the preference of texture image was related to the images of dignity, uniqueness, femininity and activity.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와 패션이미지 선호도의 관련성

김 여원†, 박 용*, 최 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한라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초록


    I.Introduction

    패션소재는 고감성, 고기능성으로 발전하여 소비 자의 다양한 감성 욕구에 맞춰 고급화, 다양화되고 있다. 패션제품의 중요한 디자인 요소인 패션소재는 색채, 재료, 질감을 포함하며, 패션제품의 이미지나 품 격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이다(Ha & Kim, 2010). 패션이미지는 의복에 의해 전달되는 전반적인 느낌 을 말하며, 디자인 요소에 의해서 표출되는 느낌으 로 의복의 실루엣이나 아이템, 재질, 색상, 디테일 등 디자인 요소들의 시각적 특징들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Shin & Kim, 2013). 특히 의복디자인 제품설계의 주요 요소인 패션소재 는 섬유의 종류, 촉감, 두께, 태가 중요한 요인이므 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은 패션소재의 선택과 색채의 선택 등에 의해 좌우된 다(Row & Park, 2008). 이러한 패션소재는 패션제 품의 디자인 특성을 표현해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시각, 촉각 등과 같은 인간의 감각적인 측면을 자극 하는 요소로 패션제품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품질을 나타내며, 패션상품의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패션 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과 같은 요소들은 단일속성 에 의한 감성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다른 요소와의 결합으로 인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며, 다양한 감 성을 복합적으로 유발하기도 한다.

    패션제품의 이미지는 패션소재의 물리적인 특성 을 비롯하여 패션소재의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에 의해 표현된 복합감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패션 소재의 표면에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로 인해 동일 한 디자인의 패션제품일지라도 제품에 대한 감성이 나 전체적인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패션소재 의 색채, 무늬, 질감과 같은 요소가 시각적 자극으로 작용하여 감성을 유발하고, 패션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성표현요소가 된다. 따라서 패션소재의 감성표현 요소와 소비자가 선호하는 패션이미지와의 관련성 을 파악하여 패션제품기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패션제품의 감성표현요소 및 이미지와 관련하여 이 루어진 연구를 살펴보면, 색채와 관련하여 의복배색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거나(Eun, Joo, & Lee, 2002), 무늬의 감성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기도 하였으 며(Choi, 2012; Kong & Kwon, 2013; Lee & Kim, 2007), 소재의 시각적 감성과 시각적 질감이 소재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Kim, Lee, Kim, & Park, 2008) 등이 있다. 이처럼 지금까지 이루어 진 연구들은 패션소재의 표면에 나타나는 색채, 무 늬, 질감의 시각적 효과와 선호도와의 관계를 밝히 는 것이 대부분이며,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에 대 한 선호도와 패션이미지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연계 하여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의 선호 도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한 패션소재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감성표현요소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패션소 재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I.Background

    1.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the fabrics

    1)Color

    패션제품의 색채는 감성을 유발하는 디자인 요소 로서, 예측, 적용, 표현의 세 가지 측면과 관련되어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Lee, 1999). 색 채는 제품의 시각적 특징의 주된 부분을 차지하므 로 제품 색채에서 인지되는 감성과 이미지는 소비자 의 제품 선택에 중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Yi & Choi, 2009).

    Kato(1995)는 무늬의 색채와 형태가 인상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유채색 무늬의 감성을 능 력 요인, 활동성 요인, 화려함 요인, 평가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무늬의 색상은 능력 요인과 화려함 요 인에 영향을 미쳤고, 무늬의 형태는 활동성 요인에, 무늬의 색채와 형태는 평가요인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패션소재의 색상과 색조, 질감에 의해 의류소재의 패션이미지를 분석한 Choo(2001)는 소 재의 질감에 비해 색채가 전반적으로 패션이미지에 대해 더 비중 있는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보고하였 다. 이처럼 색채는 시각적 자극에 의해 감성을 유발 하는 요소로 색채에 따른 패션이미지의 차이를 나 타내었으며, 무늬와 질감 등의 다른 디자인 요소와 의 상호작용으로 감성의 차이를 보이며, 복합적인 감성이 유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Pattern

    패션제품에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무늬는 자 유로운 조작이 가능하고, 그 자체로서 시각 효과를 나타내는 매개체 및 구성요소의 역할을 한다(Nam & Han, 2004). 패션소재의 무늬는 무지의 소재가 나 타낼 수 없는 흥미를 불러일으키므로(Kim & Ra, 2014), 시각적 감각으로 패션제품의 감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Lee, Chung, Park, Lee, and Cho(2002)은 블록 스 트라이프 패턴의 각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의 감성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라이프의 폭이 좁을수록 심플한, 깨끗한, 모던한 감성을 유발하며, 스트라이프 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고급스러운, 보수 적인 감성을 나타내고, 간격이 넓을수록 편한, 심플 한, 깨끗한, 스포티한, 캐주얼한 감성을 유발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라이프와 바탕색 간의 명 도차가 작을수록 고급스러운, 수수한, 점잖은, 스포 티한, 깨끗한, 모던한, 심플한, 보수적인 감성을 유 발한다고 하였다. Kong and Kwon(2013)는 남성셔 츠의 선염 줄무늬 감성을 유도하여 선호도를 높이 기 위해서 소재기획 시 매력성 감성 표현을 위해 대 조되는 난색과 한색의 두 가지 다른 폭을 부등 간격 의 순배열로 된 줄무늬를 선택하여야 한다고 하였 다. 그리고 품위성 감성 표현은 한색의 등간격 단순 배열 줄무늬를 선택하여야 하고, 실용성 감성 표현 을 위해서 한색의 등간격 줄무늬를 너무 단순하거 나 복잡하지 않게 선택하여야 하며, 단순성 감성 표 현은 유사배색으로 줄무늬를 선택해야 한다고 제안 하였다. Choi and Eun(2005)의 연구에서는 채색 모 티브는 전반적으로 단순한 면 구성이 복잡한 면 구 성보다 남성적이고 딱딱한 이미지로 지각되며, 선 형태는 현대적인 이미지로, 곡선 형태는 고전적인 이미지로 지각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무늬의 시 각적 효과는 모티브의 종류, 간격, 선의 굵기와 같은 무늬를 구성하는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와 색채나 질감에 의한 효과가 결합되어 감성의 차이를 나타 내고 있었다.

    3)Texture

    질감은 소재의 표면특성으로 촉각적인 측면과 시 각적인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질감의 촉각적인 측면은 패션소재의 원사 종류, 소재의 조직, 두께, 무게, 가공 등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에 의해 촉감각 적으로 접촉하였을 때 느껴지는 감성으로 부드럽다, 따뜻하다, 거칠다 등으로 평가하게 된다. 시각적인 측면에서는 패션소재의 표면에서 느껴지는 촉각적 경험의 시각적 전이로 질감을 지각하기도 한다(Choo, 2001).

    Chung(2002)은 의복 추구 이미지와 소재 선호와 의 관련 연구에서 천연섬유는 튼튼하고 보송보송하 고, 가벼운 질감과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해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방섬유는 신축성이 있 고 따뜻하고 유연하며, 스포티한 이미지를 표현해 줄 수 있으며, 화학섬유는 광택있고 빳빳한 질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깔끔하고 자연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는 부드러운 질감과, 섹시한 이미지는 광택있는 질감과, 패셔너블한 이미지는 매끄러운 질 감과 관련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Lee, Kim, and Lee(2010)은 질감감성의 다차원공간구조는 탄력 있 는-광택 있는, 두꺼운-얇은, 거친-매끄러운의 3개의 축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두께감은 매력성 이미지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다양성과 온화한 이미지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표면 감은 매력성과 온화성 이미지에 부적인 상관을, 다 양성 이미지에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탄력감은 다양성, 기능성 이미지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내 구성은 매력성 이미지에 부적인 상관을, 온화성, 기 능성, 강렬성 이미지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평활감은 매력성, 다양성, 강렬성 이미지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에서는 감각적인 형용사에 의해 평가된 소재의 질감은 패션제품의 이 미지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Preference of fashion image

    패션이미지는 의복디자인의 기본 요소인 선, 형 태, 색채와 재질 등 의복의 시각적 특징으로부터 얻 게 되는 전반적인 느낌으로 개인이 착용한 의복이 전달하는 느낌이다(Chung & Rhee, 1992; Hong & Chung, 1993; Kim, Lee, & Lee, 2012; You, 2002). 한편, 의복 추구이미지는 의복을 통해 보완하거나 강조하고 싶은 자기 이미지로, 어떤 착용 상황이 규 정되었을 때 보여지기를 바라거나 동경하는 이미지 라고 할 수 있으며(Chung, 2002), 선호 의복이미지 라고도 할 수 있다(Lee, 2011).

    Shim(2006)은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에 따른 의복이미지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는데, 의복이 미지는 품위성, 매력성, 단순성, 활동성 요인 등으로 추출되었다. 자기 이미지 유형에 따른 의복이미지에 서 여성형은 엘레강스하고 클래식한 의복을 품위있 고 매력적이라고 하였으며, 대담한 의복은 활동적이 라고 평가하였다. 중성형은 엘레강스한 의복을 단순 하다고 평가하였고, 클래식한 의복을 매력적으로 평 가하였다. 남성형은 캐주얼한 의복을 매력적이며 단 순하다고 하였으며, 대담한 스타일을 활동적이라고 평가하였다. Lee(2011)는 2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선호의복이미지를 세련된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개성적 이미지, 품위있는 이미지, 활동적 이미지, 여 성적 이미지, 단정한 이미지, 섹시한 이미지의 총 8 개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선호의복이미지 요인점수 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세련된 이미지 선호 집단, 편안한 이미지 선호집단, 개성적 이미지 선호 집단, 품위있는 이미지 선호집단, 활동적 이미지 선 호집단, 여성적 이미지 선호집단, 단정한 이미지 선 호집단으로 분류하였다. Kim(2009)은 패션상품을 소비하는 남성들의 추구이미지를 세련된, 활달한, 화려하고 섹시한, 낭만적인 추구이미지 요인으로 구 성되었고, 이들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화한 결과, 침 착한 이미지 추구 집단, 활달하고 세련된 이미지 추 구 집단, 화려하고 섹시한 이미지 추구 집단으로 분 류하였다.

    3.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the fabrics and fashion image

    패션제품은 기능적인 특성 때문에 형태가 달라질 수는 있지만, 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과 같은 디자 인 요소는 변하지 않는다. 패션제품 중에서 형태적 으로 획일적인 특징을 가지는 스카프, 넥타이, 손수 건과 같은 패션소품과 침장류와 같은 경우에는 텍 스타일 디자인이 상품의 가치와 직결되고, 의류 제 품은 패션소품이나 침장류에 비해서는 많은 형태적 인 변형이 있지만, 사람의 신체 구조에 부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제약이 따른다(Park, 1999). 즉, 패션소재의 디자인 요소가 최종 제품의 형태적 인 변화에 비해 패션소재의 디자인 속성은 변화하 지 않으며, 패션제품의 감성을 유발하는 디자인 요 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패션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 등의 감성표현요소 와 패션이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 and Yoo(1999)는 의복이미지를 유행성 이미지, 품 위성 이미지, 활동성 이미지, 단순성 이미지 등으로 분류하고, 주요 이미지와 의복색, 무늬, 소재 요소간 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즉, 민무늬, 점무늬, 기하하 적 무늬, 자연적인 무늬에 따라 유행성 이미지를 달 리하고 있으며, 색상으로는 red, orange, white, gray, black 색상과 vivid, dull, deep, dark 톤에서 유행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질감은 limp, bulky, see-through, stiff, crisp, silky 등이 유행성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품위성 이미지는 점무늬, 기하하적 무늬, 자연적인 무늬와 red, orange, brown, yellow, green, purple, white, 얇은 소재와 중간 두께의 소재가 품위성 이미 지를 나타내었다. 활동성 이미지는 민무늬, 기하학 적 무늬와 brown, yellow, grey, black, 두꺼운 소재 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 and Lee(2003)의 연구에서는 패션소재 디자인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티 브에 관한 특징 중 모티브 모양의 선명도, 모티브의 크기, 색채, 대비 및 밀도변화나 모양대비에 의한 응 시점의 형성 정도, 모티브의 전반적 색상이나 톤, 모 티브의 방향 대비, 색상 대비, 톤 대비 등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분석되었으며, 레이아웃에 관련된 특 징으로는 모티브군과 배경과의 톤 대비나 모티브군 의 모양 및 크기 대비, 모티브군 내의 색상 대비, 톤 대비 정도 등이 소비자 감성에 전반적으로 중요한 영 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로 도출되었다. Kim, Koh, and Hong(2000)은 지적 이미지 집단, 낭만적 이미지 집단, 발랄한 이미지 집단이 섹시한 이미지 집단에 비해 베이지 색상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지적 이 미지 집단과 섹시한 이미지 집단이 밝은 회색, 흰색 의 무채색 계열을 선호하는 것에 비해, 낭만적 이미 지 집단과 발랄한 이미지 집단은 하늘색, 흰색의 깨 끗하고 연한 색을 선호하였다. 색조 선호도의 경우, 지적 이미지 집단과 섹시한 이미지 집단은 다른 두 집단보다 light grayish와 grayish를 더 선호하였고, 낭만적 이미지 집단과 발랄한 이미지 집단은 pale 색조를 더 선호하였다. Vivid와 같은 선명한 색조에 대한 선호는 지적 이미지 집단과 섹시한 이미지 집 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Lee (2008)는 무늬의 종류와 색에 따라 현시성, 매력성, 안락감, 온유성 차원의 감성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패션소재의 감성이미지는 무늬의 종 류와 색에 따라 감성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시성 차원의 평가에서 무늬와 색의 상호작용 효 과가 나타나, 같은 무늬라도 색에 따라 평가되는 이 미지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Lee and Shin(2003)은 면직물의 감성을 여성적이고 정돈되며, 클래식한, 정돈되고 클래식하며 오래된 듯한, 남성적이고 오래 된 듯한, 정돈되고 남성적이며 새롭고 클랙식한, 여 성적인, 새롭고 여성적이며 모호한, 캐주얼하고 새 로운, 모호하고 오래된 듯한 등의 대표 이미지를 8 개 군집으로 분류하였고, 이는 면직물의 감성이 8개 대표형용사의 통합된 개념을 가진 복합적인 차원으 로 분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III.Methods

    1.Subjects and data collection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으로 색채와 형태를 구분하 는데, 지장이 없는 20~49세의 여성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설문 문항의 타당성을 검토 하기 위해 2013년 5~6월 사이에 여자 대학생 25명 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는 2013년 9~11월까 지 실시하였고, 312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20대 153명(49.04%), 30대 96명(30.77%), 40대 63명 (20.19%)이었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38명(12.30%), 대학교 재학 118명(38.19%), 대학교 졸업 128명 (41.42%), 대학원 이상 25명(8.09%)이었다. 직업을 살펴보면, 학생 108명(34.84%), 주부 62명(20.00%) 의 비율의 높았으며, 기혼 135명(43.41%), 미혼 176 명(56.59%)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이 200 만 원 미만(39.33%)과 200~300만 원 미만(29.29%) 인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Measurement

    1)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for the fabrics

    Color

    색채선호도는 KS표준 기본10색(R, O, Y, YG, G, BG, B, bV, P, rP)으로 이루어진 13개의 톤(vv, lt, 기 본, dp, pl, sf, dl, dk, wh, ltgy, gy, dkgy, bk)을 사용 하였다(Fig. 1). 평가척도는 7점 척도로서 전혀 선호 하지 않는다(1점)부터 매우 선호한다(7점)로 구성하 였다.

    Pattern

    무늬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2006년부터 2012 년까지 S/S와 F/W 패션잡지(동아TV Collection, gap Fashion Show, gap Collections)와 인터넷 자료를 검 색하여 원피스, 셔츠 및 블라우스에 표현된 무늬를 중심으로 하여 1차로 총 327개의 무늬를 수집하였 다. 1차로 수집된 무늬를 중심으로 하여 의류학 분 야 전문가 집단이 무늬의 종류와 배열 등을 고려하 여 추출 빈도가 높은 무늬를 중심으로 무늬 종류별 대표적인 무늬 33개를 2차로 선정하였다. 2차로 선 정한 33개의 무늬에 대한 선호도 예비조사를 실시 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부하량이 .40 이하인 무 늬와 요인으로 묶이지 않는 무늬는 제거되었으며, 이러한 분석자료를 토대로 최종 12개의 무늬를 선 정하였다. 선정한 무늬는 연구자가 TexPro 11.0을 사용하여 <Fig. 2>와 같이 도식화하였고, 각각의 무늬에 대해 전혀 선호하지 않는다(1점)부터 매우 선호한다(7점)로 구성하였다.

    Texture image

    패션소재의 질감이미지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선행연구(Ju & Ryu, 2004; Kim & Na, 2005; Lee & Kim, 2004; Roh & Kim, 2010; Yi, 2007)를 참고하여 질감을 나타내는 감각 형용사를 본 연구 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35개의 형용사를 추출하 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자신이 선 호하는 질감이미지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여 빈도가 높은 감각 형용사를 선택하여 최종 21개의 형용사 로 구성하였다. 질감이미지 선호도는 해당 감각 형 용사에 대하여 전혀 선호하지 않는다 1점부터 매우 선호한다 7점의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2)Preference of fashion image

    패션이미지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감성 형용 사를 사용하여 7점 리커트 척도의 설문지를 구성하 였다. 패션이미지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성 형 용사는 선행연구(Kim & Na, 2009; Lee, 2006; Roh & Kim, 2010)를 참고하여 45개의 감성 형용사를 추 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선호하는 감성 형용사 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여 빈도가 높은 형용사를 선 택하여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최종 31개 의 형용사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감성 형용사에 대 해 전혀 선호하지 않는다 1점부터 매우 선호한다 7 점의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3.Data analysis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 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패 션소재 감성표현요소의 선호도와 패션이미지 선호 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색채, 무늬, 질감 등의 감성표현요소와 패션이미지 선호도는 Varimax 회전 방식에 의한 주성분 분석과 고유값 1 이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별로 각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 호도가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Results and Discussion

    1.Factor analysis for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1)Color preferences

    색채선호도에 대해서 각 톤별로 KS표준 기본10 색으로 구성된 13개에 대한 선호도의 요인을 규명 하고, 각 요인에 대한 단일 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유값 1을 기준으로 Varimax 회전 방식에 의한 주 성분 분석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1>과 같이 선호하는 색채는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 며, 총 설명력은 69.68%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 한 Cronbach’s α 는 .67~.87로 나타나, 모두 .60 이상 의 값을 나타내어 이들을 구성요소 간에 내적 일관 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요인 1은 Pale tone, Light tone, Whitish tone, Soft tone로 구성되어 비교적 명도가 높은 색채들로 구성 되어 밝은 톤 색채로 명명하였다. 밝은 톤 색채 요인 의 고유값은 2.68이고, 전체분산의 20.60%를 설명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명도가 높은 밝은 색채들 을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인 2는 Dark grayish tone, Blackish tone, Grayish tone, Light grayish tone으로 구성되어 채도가 낮은 회색기미가 많이 나 타나는 색채들을 나타내는 수수한 톤 색채로 명명 하였고, 고유값 2.42, 전체분산의 18.60%를 설명하 였다. 요인 3은 Dark tone, Deep tone, Dull tone으로 구성되어 명도가 낮은 어두운 계열의 색채들로 어 두운 톤 색채로 명명하였고, 고유값 2.00, 전체분산 의 15.38%를 설명하였다. 요인 4는 기본색 tone과 Vivid tone로 구성되어 채도가 높은 선명한 색채들 로 나타나 선명한 톤 색채로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1.96, 전체분산의 15.11%를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요인분석 결과로 나타난 색채선호도 요인은 채도가 선명한 톤과 채도가 낮은 수수한 톤, 명도에 차이에 따라 밝은 톤과 어두운 톤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5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색채선호도 요인을 Dark, Pale, Vivid, Moderate 요 인으로 추출한 Kwon(2010)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색채선호도 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 4점 이상인 선명한 톤 색채와 어두운 톤 색채 가 선호하는 색채 요인이었으며, 수수한 톤 색채, 밝 은 톤 색채는 4점 미만의 평균점수를 나타내어 선호 하지 않는 색채 요인으로 나타났다.

    (2)Pattern preferences

    무늬선호도는 12가지 무늬에 대해 선호도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Varimax 회전 방식에 의한 주성분 분석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Table 2). 이들 5개 요인의 총 설명력은 72.72%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 분석에 의해 산출된 Cronbach’s α는 .67~.79로 나타나, 측정내용이 신뢰 할만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인 1은 가로 줄무늬, 작은 점무늬, 세로 줄무늬, 큰 점무늬로 구성되어 기하학무늬라고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2.02, 전체분산의 16.84%를 설명하였다. 요인 2는 큰 꽃, 작은 꽃무늬로 구성되어 꽃무늬라 고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1.92, 전체분산의 16.01% 를 설명하였다. 요인 3은 호피와 지브라로 구성되어 동물무늬라고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1.65이고, 전체 분산의 13.78%를 설명하였다. 요인 4는 타탄체크와 깅엄체크로 구성되어 체크무늬라고 명명하였고, 고 유값은 1.59, 전체분산의 13.58%를 설명하였다. 요 인 5는 헤르메스와 페이즐리로 구성되어 전통적인 무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징무늬라 고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1.53, 전체분산의 12.81% 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요인분석 결과, 20~40대 성 인여성이 선호하는 무늬요인으로 기하학, 꽃, 동물, 체크, 상징무늬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늬선호도 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한 결과, 줄무늬와 점무늬를 포함한 기하학 무늬의 평균이 4.07로 나타나 가장 선호하는 무늬로 나타났 으며, 꽃무늬의 경우 평균 2.88로 가장 선호하지 않 는 무늬로 나타났다.

    (3)Texture image preferences

    질감이미지 선호도는 선호하는 질감의 구성차원 을 밝히기 위해 감각 형용사 22문항을 고유값 1을 기준으로 Varimax 회전 방식에 의한 주성분 분석하 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드럽다, 따뜻하다, 무 겁다, 신축성이 있다의 4문항은 요인부하량이 .40 이하이거나 다른 문항과 공유하는 분산이 적고, 다 른 척도와 묶일 때 전혀 관계없는 것과 요인을 정의 하기가 어려워 제거하고 총 18문항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질감이미지 선호도 요인이 추출되었 으며, 전체 설명력은 57.55%를 보였다.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 1은 거칠다, 뻣뻣하다, 구김이 간다, 오톨도 톨하다, 부피감 있다, 건조하다의 문항으로 구성되 어 소재의 표면에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거침성과 관련된 표면특성으로 나타나 요철감으로 명명하였 다. 고유값은 3.61이고, 전체분산의 20.08%를 설명 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호하는 질감이미지 선호도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요인 2 는 광택이 있다, 촉촉하다, 드레이프성이 있다, 매끄 럽다로 구성되어 광택감이라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2.35, 전체분산의 13.03%를 설명하였다. 요인 3은 평평하다, 촘촘하다, 두껍다, 단단하다로 구성되어 평활감이라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2.31, 전체분산의 12.81%를 설명하였다. 요인 4는 얇다, 유연하다, 가 볍다, 비친다로 구성되어 경량감이라 명명하였으며, 고유값 2.09, 전체분산의 11.62%를 설명하였다. 이 러한 요인분석 결과, 요철감, 광택감, 평활감, 경량 감 요인으로 질감이미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각 요인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한 결과, 요철감 .81, 광택감 .71, 평활 감 .75로 나타나 신뢰도계수가 .60 이상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경 량감 .58로 신뢰도계수가 .60 이하의 값이 나와 다른 요인들에 비해 내적일관성이 높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감이미지 선호도의 하위개념을 측정 하는 문항으로는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질감이미지 선호도 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 출한 결과, 평균 4점 이상으로 나타난 경량감은 선 호하는 질감이미지로 나타났고, 요철감, 광택감, 평 활감은 평균 4점 미만으로 나타나 선호하지 않는 질 감이미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40대 여성들은 소재의 경량감(평균 4.14)을 가장 선호하였고, 소재 의 요철감(평균 2.93)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질감이 미지임을 알 수 있었다.

    2.Factor analysis for preference of fashion image

    패션이미지 선호도의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에 대한 단일 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Varimax 회전 방식에 의한 주성분 분석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요인 수는 고유값 1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요인 부하량이 .40 이하인 젊은, 곡선적인, 개성적인, 모 던한, 남성적인, 클래식한, 직선적인, 캐주얼한 등은 다른 문항과 공유하는 분산이 적고 다른 척도와 묶 일 때 전혀 관계없는 것과 요인을 정의하기가 어려 워 제거하고 총 23문항을 분석하였다. <Table 4>와 같이 패션이미지 선호도는 5개의 요인으로 추출되 었으며, 총 설명력은 59.58%로 나타났다.

    요인 1은 고급스러운, 세련된, 멋있는, 지적인, 도 시적인, 깔끔한 등의 감성 형용사로 구성되어 품위 성 이미지로 명명하였다. 고유값은 3.61이고, 전체 분산의 15.6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선 호하는 패션이미지로 나타났다. 요인 2는 독특한, 강렬한, 화려한, 섹시한, 매력적인 등의 감성 형용사 로 구성되어 독특성 이미지로 명명하였고, 고유값은 3.09, 전체분산의 13.45%를 설명하였다. 요인 3은 로맨틱한, 여성적인, 감성적인, 우아한, 귀여운 등의 감성 형용사로 구성되어 여성성 이미지로 명명하였 고, 고유값은 2.68이고, 전체분산의 11.67%를 설명 하였다. 요인 4는 활동적인, 편안한, 실용적인 등의 감성 형용사로 구성되어 활동성 이미지로 명명하였 고, 고유값 2.24, 전체분산의 9.74%를 설명하였다. 요인 5는 내추럴한, 심플한, 수수한, 보수적인 등의 감성 형용사로 구성되어 단순성 이미지로 명명하였 고, 고유값은 2.08, 전체분산의 9.03%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별로 해당 요인에 속하는 감성 형용사들 간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요인의 Cronbach’s α 값은 .65~.82로 나타났다. 이상의 요인분석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면, 품위성 요인을 표현하는 고급스러운, 멋있는, 세련된, 도시적인, 깔끔한, 지 적인 등의 감성 형용사의 구성은 Kim et al.(2000)의 여자의 정장 의복이미지 요인 중 지적 이미지 요인 과 Roh and Kim(2010)의 여성 추동용 니트 스웨터 의 감성요인 중 모던 요인을 구성하는 평가 용어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im, Choi, and Na (2011)의 춘·하 여성 재킷용 소재의 온·오프라인 의 감성이미지 요인 중 세련되다, 도회적이다, 고급 스럽다, 로맨틱하다 등으로 구성된 세련된 요인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패션이미지 선호도 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 출한 결과, 활동성 이미지가 평균 5.34로 나타나서 가장 선호하는 패션이미지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품위성, 여성성, 단순성, 독특성 이미지의 순으로 선 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3.Effects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n fashion image preferences

    20~40대 여성들의 패션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 등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가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 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패션이미지 요인 중에서 품위성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는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가 3% 정 도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품위성 패션이미지를 선호하는 여 성은 질감이미지 요인인 광택감 선호도와 관련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독특성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는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가 26% 정도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광택감, 동물무늬, 평활감이 관 계되는 것으로 나타나, 패션소재의 질감과 무늬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즉, 소재의 광택감 과 평활감, 동물무늬를 선호할수록 독특성 이미지 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성성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는 광택감, 밝은 톤 색채, 꽃 무늬와 같은 감성표현요소에 의해 18% 정도의 설 명력을 보였다. 소재의 광택감, 밝은 톤 색채, 꽃무 늬를 선호할수록 여성성 패션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패션소재의 색채, 무 늬, 질감이 여성적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미 치는 감성표현요소로 나타났다. 활동성 이미지에 대 한 선호도는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에 의해 10% 정도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기하학무늬와 선명한 톤 색채는 정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광 택감과 동물무늬는 부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패션소재의 기하학무늬와 선명한 톤 색채를 선호할수록, 광택감과 동물무늬 를 선호하지 않을수록 활동성 이미지에 대한 선호 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단순성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는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에 의해 12% 정 도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어두운 톤 색채와 기하학 무늬는 정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상징 무늬는 부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패션소재의 어두운 톤 색채와 기하학무늬 를 선호하고 상징무늬를 선호하지 않는 여성일수록 단순성 패션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V.Conclusion

    본 연구는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패션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 등 감성표현요소의 선호도를 조사 하고, 패션이미지 선호도를 파악하여 감성표현요소 의 선호도 요인과 패션이미지 선호도 요인간의 관 련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를 요인분 석한 결과, 색채선호도는 밝은 톤 색채, 수수한 톤 색채, 어두운 톤 색채, 선명한 톤 색채 등의 4개 선 호도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색채선호도 요인 중 에서 선명한 톤 색채와 어두운 톤 색채는 평균 점수 가 4점 이상으로 나타나, 선호하는 색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늬선호도는 기하학무늬, 꽃무늬, 동 물무늬, 체크무늬, 상징무늬 등의 5개 요인이 추출 되었다. 무늬선호도 요인의 평균을 살펴본 결과, 기 하학무늬를 가장 선호하였고, 꽃무늬는 가장 선호하 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감이미지 선호도는 요철감, 광택감, 평활감, 경량감 등의 4개 요인이 추 출되었다. 이들 요인 중 경량감은 평균 4점 이상으 로 선호하는 질감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패션이미지 선호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품 위성, 독특성, 여성성, 활동성, 단순성 이미지 등 5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 중 활동성 이미지 에 대한 선호도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으로 품위성, 여성성, 단순성, 독특성 이미지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가 패션이 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품위 성 이미지를 선호하는 여성은 소재의 광택감을 선 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특성 이미지를 선호하는 여성은 소재의 광택감과 평활감, 동물무늬를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성 패션이미지를 선호하는 여성은 소재의 광택감, 밝은 톤 색채, 꽃무늬를 선호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활동성 패션이미지를 선호 하는 여성은 기하학무늬와 동물무늬, 소재의 광택 감, 선명한 톤 색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단순성 패션이미지를 선호하는 여성은 어두 운 톤 색채, 기하학무늬와 상징무늬에 대한 선호도 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선호하는 패션 이미지 요인별로 관련이 있는 패션소재의 감성표현 요소가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와 패션이미지 선호도의 관계를 정리해 보면, 색채선호도는 여성 성, 활동성, 단순성 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색채선호도 요인 중에서 밝 은 톤 색채, 선명한 톤 색채, 어두운 톤 색채 등의 선호도가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무늬선호도는 품위성을 제외한 독특성, 여성성, 활 동성, 단순성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활동성과 단순성 패션이미지를 선호 하는 경우, 기하학무늬, 동물무늬, 상징무늬 등이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무늬선호도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늬선호도 요인 중 체크무늬를 제외한 기하학무늬, 꽃무늬, 동물무늬, 상징무늬 등이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질감이미지 선호도는 단순성 패션이미지 선 호도를 제외한 품위성, 독특성, 여성성, 활동성 등의 패션이미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특성 패션이미지를 선호하는 여성의 경우 다양한 질감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션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과 같은 감성표현요소가 패션이미지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패션제품 소재기획 시 선호하는 이미 지에 따라 효과적인 소재의 색채, 무늬, 질감 특성을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RJCC-24-27_F1.gif

    KS Standard Color C & D tone

    RJCC-24-27_F2.gif

    Pattern

    Table

    Factor analysis result of color preferences

    Factor analysis result of pattern preferences

    Factor analysis result of texture image preferences

    Factor analysis result of fashion image preferences

    The effects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n preferences of fashion image

    *p<.05,
    **p<.01,
    ***p<.001

    Reference

    1. Cho H S , Lee J H (2003) A suggestion of an emotion model on textile design based on consumer emoti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7 (1) ; pp.14-26
    2. Choi S K (2012) An analysis on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ing according to the form variable of a striped neckti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8 (1) ; pp.474-480
    3. Choi Y H , Eun Y J (2005) Research on sensibility image of pattern applying the formative elements of a traditional jokakbo: The surface composition and color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3 (2) ; pp.289-299
    4. Choo S H (2001) Images of fashion fabric based on color and tex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 Chung I H (2002) The analysis of fabric impact and consumer`s preference for fabric on clothing purchas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6 (1) ; pp.83-94
    6. Chung I H , Rhee E Y (1992) A study on clothing images: Their constructing factors and evaluative dimension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6 (4) ; pp.379-391
    7. Eun S Y , Joo S H , Lee K H (2002)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Part I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6 (6) ; pp.833-842
    8. Ha E A , Kim S A (2010) Study on the industrial design trend with innovative fiber material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23 (4) ; pp.93-104
    9. Hong B S , Chung M K (1993) A study on the constructing factors of the female suit ima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20 ; pp.73-82
    10. Ju J A , Ryu H S (2004) Effect of weft kni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subjective texture and sensibili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8 (11) ; pp.1516-1523
    11. Kato Y (1995) Effective factors for the impression of three-color design , Journal of Home Economics of Japan, Vol.46 (3) ; pp.249-259
    12. Kim H S , Na M H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hand and sensibility image on the preference to clothing material: Focused on shir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9 (2) ; pp.210-219
    13. Kim H S , Na M H (2009) The evaluation of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ilk fabric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8 (1) ; pp.137-143
    14. Kim H S , Choi J M , Na M H (2011) The effect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omen`s jacket fabrics for spring, summer on the sensibility image and consumer preference: The comparison of offline and online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9 (1) ; pp.121-133
    15. Kim H S , Lee J Y , Lee Y H (2012) Fashion image preference, pursued image and self-image satisfaction of businessme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 Vol.62 (1) ; pp.1-13
    16. Kim I B , Yoo T S (1999)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clothes image types and design factor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45 ; pp.103-119
    17. Kim K H (2009) Men's purchase pattern of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ursued self-image and fashion life sty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K H , Ra J Y (2014) The influences of check pattern upon consumers' emotional image and brand image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Vol.43 ; pp.367-378
    19. Kim M J , Lee Y M , Kim Y J , Park M J (2008) Visual sensibility evaluation of fancy yarns for hand knitting of using computer knitting simulation: Application of SDS-ONE paint func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2 (9) ; pp.1333-1342
    20. Kim Y I , Koh A R , Hong H S (2000) Fashion image segmentation of 20's female apparel market and apparel color preferenc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4 (1) ; pp.3-14
    21. Kong J H , Kwon Y A (2013) Effect of stripe pattern for men`s shirts on emotion ,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16 (1) ; pp.65-74
    22. Kwon Y J (2010) A study on the small house pl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type of emotional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3. Lee H J (1999) 패션디자인, Gyohakyeongusa,
    24. Lee J S , Shin H W (2003) The sensibilities of cotton fabric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7 (7) ; pp.800-808
    25. Lee M S (2011) A study of purchasing behaviors on female markets segmented by clothing image preference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9 (1) ; pp.93-106
    26. Lee M S , Kim E K (2004) Influence of the sense of sight & touch, sight, and touch on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fabric han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8 (6) ; pp.784-789
    27. Lee S I (2006) Design strategy for the Han-san mosi fabrics through enhancement of the quality and sensi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Korea
    28. Lee S R , Kim J S (2007) Effect of motif designs on preferences and image perceptio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5 (2) ; pp.193-202
    29. Lee S R (2008) Effects of colors and categories of motifs on evaluating sensory image of fashion fabric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6 (5) ; pp.841-851
    30. Lee S Y , Kim J H , Lee J S (2010) Needs and sensibility of functional fabrics for outdoor sportswear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ol.47 (3) ; pp.163-172
    31. Lee Y J , Chung H J , Park H J , Lee J H , Cho G S (2002)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5 (3) ; pp.21-28
    32. Nam K S , Han M S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atten image by the personality typ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2 (1) ; pp.59-72
    33. Park S J (1999) A study on affective space model for surface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4. Roh E K , Kim S H (2010) Subjective hand and sensibility of knit fabrics according to preference segmenta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4 (10) ; pp.1611-1620
    35. Row Y , Park J O (2008) A study on apparel product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image preference: Applied to quality function deployment focused on middle aged and aged women`s formal wea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2 (10) ; pp.1522-1534
    36. Shim J H (2006) A study on clothing image evalua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lf-image classific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11) ; pp.1608-1617
    37. Shin S Y , Kim Y I (2013) The classification of fashion frame and fashion image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3 (4) ; pp.118-131
    38. Yi E J (2007) Tactile sensibility factors of traditional silk fabrics ,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10 (1) ; pp.99-111
    39. Yi E J , Choi J M (2009) Color sensibility factors for yellowish and reddish natural dyed fabrics by 40s middle-aged consumers ,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12 (1) ; pp.109-120
    40. You K S (2002) A study on difference of clothing image evaluation by gend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2 (3) ; pp.87-9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