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4 No.1 pp.1-12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6.24.1.001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outdoor wear

Sanggyung Han, Yonson Kim†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kiyoso@sm.ac.kr)
March 31, 2015 December 29, 2015 January 19, 2016

Abstract

Despite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are depressed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the apparel industry is no exception, the market for the outdoor wears including the hiking ones has been recording a high growth rate, making the outdoor wear a high growth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basic data useful to our outdoor businesses to help them respond to consumers’ needs in the rapidly growing outdoor markets. For silhouettes, the point was given primarily to the oblique cutting to have it follow the human body curves and thereby, look natural and slim. Another point was given to the color schemes along the cutting lines, so that an effect of optical illusion could be created to make the wears look slim making use of lines and colors.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rapidly changing weather conditions during hiking, the details were designed practically by setting appropriate hip lengths, using attachable/detachable hoods as well as applying the Velcro & rubber band-type set-in sleeves for the tail edges. As discussed abo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esign elements for the outdoor wears and developed some sensuous designs meeting consumers' needs to help our outdoor wear businesses to expand their target base, while awakening them of the importance of the outdoor fashion.


현대 아웃도어웨어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방한재킷을 중심으로 -

한 상 경, 김 영 선†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아웃도어웨어(outdoor wear)는 2000년대 중반 이 후부터 새로운 메가트랜드(mega trend)로 떠오르게 되면서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Naisbitts, 1982). 주5일제 근무와 수업제가 정 착되면서 가족 단위의 캠핑 및 여행문화의 활성화 와 전 세계적으로 웰빙을 지향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로 야외활동이 부각되면서 자연스럽게 다 목적 스포츠 의류인 아웃도어웨어의 판매가 급증하 게 되었다. 스포츠 활동이 여가나 취미활동 그 이상 으로 건강을 증진시키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요소 로 확산되면서 아웃도어 활동은 레저스포츠 활동으 로 사회적 붐을 일으키게 되었다.

    초기의 아웃도어는 등산이나 캠핑 등의 야외활동 에 국한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걷기, 트레킹, 바이킹, 서핑, 요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적인 금융 위기로 인해 국내외 시장경기가 침체되 고 의류산업이 부진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아웃도 어웨어 시장은 매출과 규모에서 큰 상승세를 나타 내었다(Jang, 2012). 삼성패션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2007년 1조 5000억 원, 2011 년 3조 원에서 2013년 6조 4000억 원까지 뛰어 세계 2위에 달하였다(Lim, 2014). 최근에는 해외 아웃도 어 브랜드들의 강세로 꾸준히 증가하던 매출 상승 세가 2014년에는 주춤하면서 국내 브랜드들은 마켓 경쟁력을 갖고자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을 개발하며 성장동력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 이후 아웃도어웨어를 생활화하는 트랜드가 생겨나면서 정통 아웃도어와 메트로룩(metro look) 합성어인 아우트로(outro)룩이 등장하였다. 이는 정 통 아웃도어와 달리 전문성과 기능성은 유지하지만 패션적인 요소가 강해 일반 직장인들이 출근 시에 도 착용이 가능하고 퇴근 시 곧바로 야외에서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상품이나 의류를 지칭하 는 것이다(Choi, 2009). 아우트로 열풍 덕분에 아웃 도어 시장 규모는 지난 10년간 4배 이상 성장하였고 패션 의류업체들이 경기 침체, 매출 부진이지만 아 웃도어 만은 10% 안팎의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이러한 아웃도어웨어는 완벽한 기능성과 튼튼한 내 구성, 세련된 디자인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편 안함과 멋스러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젊은이들의 욕 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중장년층의 여가생활, TV 프로그램으로 인한 캠핑 열풍에 따른 키즈 브랜드 확산 등으로 아웃도어웨어의 소비자층이 넓어지면 서 모든 세대를 겨냥할 수 있는 산업군으로 자리 잡 게 되었다. 스포츠는 다원화된 현대 패션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되었으며 시즌을 거 듭할수록 현대패션에 나타나는 스포츠웨어의 감성 은 다양화, 세분화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 웃도어 패션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트랜드를 반영한 방한재킷 디자인을 개발하여 아웃도어웨어 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II.Contents of Study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아웃도어 패션의 개 념과 아웃도어 패션의 확산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 를 위해 아웃도어 및 스포츠 등의 관련 서적, 인터넷 뉴스 사이트, 국내 선행 논문들을 바탕으로 조사하 였다. 둘째,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여 동기간 내에 출 시된 의류 제품의 스타일을 살펴보고 브랜드별 대 표 스타일을 수집하여 디자인 특성을 알아본다. 국 내 리딩 브랜드 5개를 선정하여 최근 3년 동안에 발 간된 잡지, 아웃도어 홈페이지, 패션전문사이트에서 대표 디자인 총 97장을 수집하였고 이를 실루엣, 디 테일, 소재 및 색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조사한 아웃도어웨어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운 동성과 심미성이 두드러지는 총 8점의 아웃도어웨 어를 개발하였다.

    지금까지 아웃도어웨어의 대한 선행연구들은 아 웃도어 디자인과 패턴연구(Cho, Son, & Lee, 2014; Choi, 2009; Im, Seo, Park, & Kim, 2011; Kim & Ha, 2012; Lee, Seo, Seo, & Kim, 2013; Sim, Moon, & Jung, 2012), 착용 시 소비자행동 연구(Bae, 2011; Han & Lee, 2011), 브랜드 상품 분석 및 마케팅(Jang, 2012; Oh & Kim, 2012; Park, 2012; Yun, 2012)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트랜드 반영한 디자인 개발·제안까지 실행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현황과 국 내외 대표 브랜드의 디자인 트랜드 조사를 바탕으 로 디자인 개발을 하여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소비 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는 아웃도어웨어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I.Background

    1.Concept of the outdoor wears

    아웃도어(outdoor)는 집 밖, 야외를 뜻하는 것이 며 등산 뿐 아니라 캠핑, 낚시, 스킨스쿠버다이빙, 요트, 패러글라이딩, 자전거 등 야외에서 즐기는 다 목적 활동을 뜻하며(Kim et al., 1990) 아웃도어 활 동을 위해 착용하는 의복을 아웃도어웨어(outdoor wear)라고 한다. 이러한 의복은 야외 활동 시 인체 에 편안함을 주고 체온유지를 위한 기능성과 소재 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가 입고 있는 아 웃도어웨어의 형태가 정립된 것은 19세기 영국에서 부터 시작되었으며, 영국에서 아웃도어 스포츠란 생 활 그 자체였기 때문에 옷차림도 아웃도어용으로 특별히 새로운 것을 고안했다기보다는 평상시 캐주 얼웨어에 몇 가지 기능 및 장비를 보태어 디자인하 였다.

    과거 아웃도어웨어는 전문적으로 야외활동을 하 는 사람들에 의해 기능적으로 입혀졌다. 그러나 과 학과 경제발전으로 인한 전반적 생활수준 향상 및 여가시간의 증대, 주 5일제 근무와 가족과 함께 보 내는 라이프스타일이 추구됨에 따라 아웃도어웨어 는 모든 계층이 누리는 패션아이템으로 받아들여지 고 있다. 이는 특정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여가 활 동이 다양한 계층으로 확산된 결과이다.

    최근에는 아웃도어웨어와 캐쥬얼웨어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일상에서 입는 것이 자연스러워져 높 은 매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아웃도어웨 어는 남성복, 여성복, 키즈, 액세서리까지 전 영역으 로 확산되어 실용성과 패션성을 겸비한 디자인을 선보이며 아우트로(outro), 시티 웨어(city wear), 어 반 아웃도어(urban outdoor)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이 와 같이 다양해진 아웃도어웨어는 대중패션 뿐만 아니라 하이패션 아이템으로 부각되면서 해외유명 디자이너 컬렉션에 반영될 정도로 패션 트랜드를 주도하게 되었다. 현대 패션은 무경계 시대에 돌입 하게 되면서 새로운 장르의 시도가 많아지면서 전 통적인 장르의 혼합 및 붕괴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크로스오버(crossover)’, ‘하이브리드(hybrid)’ 등으로 명하고 있다(Park, 2005). 의복 행동에서도 그 동안 중요시 되었던 T.P.O의 개념이 허물어져 포 멀웨어와 인포멀웨어의 구분이 약화되었으며 품종 이 세분화 되어 있던 의류 산업 구조 또한 수정되고 (Um, 2003) 있는데 이러한 현상들이 아웃도어웨어 에 적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아웃도어웨어의 대표 아우터 스타일로는 크게 다 운재킷(down jacket), 패딩재킷(padding jacket), 파카 (parka)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운은 오리와 거위 등 의 앞가슴 깃털 속의 부드러운 솜털을 말한다. 다운 은 가운데 핵을 중심으로 섬유가 방사선형태로 뻗 쳐 다운볼을 형성하여 서로 반발하면서 얽히지 않 아 함기량이 많고 가볍고 보온성이 좋으며 탄성회 복력이 우수하여 방한복과 이불의 충전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Yu & Kim, 2005). 적은 양의 털로 많 은 공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다운재킷은 주로 나일 론 소재의 옷감을 누벼 그 사이에 거위나 오리털을 넣어 만든다(“Down jacket”, n.d.). 패딩재킷(padding jacket)의 패딩은 ‘속을 채워 넣다’라는 의미로 누비 를 뜻하는 영어이며, 두껍고 빳빳하게 만들기 위해 또는 보온을 위해 재킷 안에 충전물로 합성 솜, 다운 (오리나 거위의 솜털) 등을 속에 넣고 퀼팅한 재킷을 말한다(Fashio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9). 파카(parker)는 후드가 달린 안에 모피로 되 어 있는 짧은 외투를 일컫는다. 비와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방수 처리된 옷감으로 누비거나 보온을 위해 안감에 털을 대어 만든 모자 달린 상의로 알래스카 에스키모인들이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에스키모의 언어에서 아노락(anorak) 재킷과 동일한 스타일로서 아노락이 스포티한 재킷이라면 파카는 약간 정장풍 의재킷이다(Fashio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9).

    2.Growth of the outdoor wears

    1980년대부터 전국 산의 취사·야영 허용으로 배 낭·등산 용품을 비롯하여 기능성 소재인 고어텍스 를 사용한 등산복이 시중에 대거 등장하였고, 국민 들에게 등산 붐이 일어나게 되었다. 88올림픽 개최 를 앞두고 스포츠 의류산업이 유명 산업으로 부각 되어 대기업들이 앞 다투어 참여하였고, 국내 스포 츠 붐이 조성됨에 따라 스포츠 의류생산 품목이 다 양해졌다. 아웃도어에 대한 스포츠 활동 중 우리나 라 등산 인구는 1991년 10백만명, 2001년 14백만명 (Kim, 2007), 2010년 15백만명이며, 한국리서치 센 터는 등산을 여가활동으로 즐기는 국민이 1,88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3%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 다. 이에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글로벌 리딩 아웃도어 브랜드들이 오랜 역사를 통한 제품력과 지속적 투자를 통한 기술력, 차별화된 스타일로 리 드하고 있었으나 한국 아웃도어웨어 마켓이 세계 2 위를 기록(Kim, 2015)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아웃도어웨어가 부상하게 된 배경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도어웨어는 몇 년 전만 해도 보온, 투 습, 방수 등의 기능성이 중요한 등산이나 익스트림 스포츠를 위한 옷이었으나 최근 글로벌 해외 브랜 드를 중심으로 패션성을 가미한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면서 캐주얼웨어와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 어 어디서든 쉽게 볼 수 있는 평상복이 되었다. 과거 와는 달리 아웃도어웨어의 강점인 기능성과 패션성 을 접목함으로써 타 복종에선 볼 수 없는 차별화된 아이템 출시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켰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하여 혹독한 한파 및 변덕스러운 날 씨가 잦아지면서 이에 적응하기 위하여 아웃도어웨 어를 중심으로 하는 기능성 아이템이 증가하게 되 었다.

    둘째, 경제력 향상으로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건 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건강과 웰빙이 주요 가치이자 척도로 여겨짐에 따라 운동을 통한 여가 생활을 즐기는 빈도가 점점 늘어나면서 여가 활동 에 대한 관심이 주로 아웃도어 활동에 집중되었다. 실내보다는 등산, 걷기, 자전거 등의 아웃도어 활동 을 즐기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의류, 용품 산업도 함께 성장하였다.

    셋째, 국내 아웃도어웨어 마켓은 초기에 등산용 의류에서 시작되어 40~50대 중·장년층이 주요 고 객이었으나, 최근 다양한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는 여성층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스타일리쉬하면서도 여성미를 강조한 아웃도어웨어의 비중이 높아졌다 (Kim & Ha, 2012). 이와 함께 아웃도어 시장의 핵심 소비자로 부상한 10대와 활동적인 20~30대를 위해 도심에서도 즐기는 활동을 컨셉으로 타깃 하향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아웃도어 상품이 강화되고 있다.

    최근 아웃도어 시장은 전반적인 내수 침체와 더 불어 상반기 국가적 재난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브랜 드가 연 초 세운 목표 달성에 실패한 가운데, <Fig. 1>과 같이 예년의 고성장을 마무리하고 완만해진 성장세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된다. 등산 위주의 익 스트림 아웃도어가 소비자에게 식상해지고, 아웃도 어 업계가 골프, 키즈, 슈즈까지 영역확장을 위한 매 출 다변화 전략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Han, 2015)한 다. 더불어 매출과 판매량 경쟁에서 프리미엄 아웃 도어 브랜드에서 밀렸던 국내브랜드들이 프리미엄 감성을 어필하면서 아웃도어 시장의 세분화에 일조 할 것으로 보여 빠르게 변화하는 스포츠웨어 시장 에 적응하기 위한 디자인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IV.Trend of the Contemporary Outdoor Fashion Sesign

    2000년대 후반 염색이 가능한 기능성 소재의 등 장으로 블랙 색상을 줄이고 화려한 제품들이 크게 늘면서 정형화 된 아웃도어웨어 디자인에서 벗어나 게 되었고, 등산복과 캐주얼웨어의 경계가 모호해지 면서 등산복을 평상복처럼 입고 다니는 사람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아웃도어라이프는 자유 로움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문화코드로 바뀌고 있으 며 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한 제품들이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는데, 기능성에 상위 개념을 두고 기능 성과 패션성의 크로스오버인 아우트로의 확대로 나 타나고 있다. 아웃도어웨어가 일상복으로 확장되고 보편화되면서 캐주얼 아이템과 절충되어 슬림한 디 자인과 소재 및 색상에 변화를 준 상호 결합성의 결 과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프리미엄 아웃도어웨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패딩 시장이 더욱 확대 되고 세분 시장도 형성(Park, 2013)되기 시작하였다. 가치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너아이템과 달리 겉으로 보여 지는 상징성을 갖는 아우터 아이템에 대해 더 좋은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상향 니즈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혹한의 긴 겨울을 겪으며 나 타난 하이퀄리티의 방한성이 높은 방한재킷에 대한 욕구와 과시적 성향이 맞물려 프리미엄 브랜드에 더욱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프리미엄 아 웃도어웨어 브랜드 시장의 확대는 국내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수입 패딩브랜드에서 시작된 패딩 열풍은 아웃도어웨어의 대표 착장으로만 여겨 졌던 패딩 아이템을 재발견하고 다양한 스타일로 재해석하는 발판을 마련했는데, 이와 함께 혹한의 추위가 계속되며 궁극의 방한복으로 패딩 파카의 인기가 더욱 높아지게 되었으며(Samsung Design Net, 2014b), 대표 브랜드로는 몽클레어(Moncler), 캐나다 구스(Canada goose), 에르노(Herno), 노비스(Nobis), 파라점퍼스(Parajunpers), 무스너클(Moos knuckles) 등이 있다.

    국내 주요 브랜드들은 기존의 아웃도어 또는 캐 주얼 스타일 일색이던 패딩 디자인에서 벗어나 수 입 브랜드처럼 패션너블한 하이퀄리티의 디자인을 앞 다투어 출시하였고(Samsung Design Net, 2014a), 아웃도어·스포츠 브랜드 또한 일상생활에서 입을 수 있는 디자인을 확대하였다. 대다수의 브랜드들의 주력 아이템인 방한재킷은 경량과 중량 아이템 모 두 골고루 출시되었고 다양한 충전재의 활용으로 가격의 폭도 넓어졌으며, 동시에 패션성과 기능성을 강화하면서 상품력이 전반적으로 상승되었다. 또한 다양한 연령층으로 저변이 확대되며 그 파급력이 증가하였고, 하절기 주력 상품보다 많게는 10배 이상 높은 단가로 규모 성장의 효과를 가져왔다(Samsung Design Net, 2014a).

    연도별 겨울 외투류 구입률 분석 결과 남녀 모두 패딩파카 구입율이 최근 2년 동안 압도적으로 증가 하여 모직코트, 가죽보다 앞서 약 67%의 외투류 절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Samsung Design Net, 2014b). 이에 아웃도어웨어 브랜드 아이템 중 추위로부터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패딩, 다운, 파카인 ‘방한재 킷’ 아이템만으로 한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현대 아웃도어 패션 디자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 출 상위 5위 순위의 국내 브랜드에서 출시된 방한재 킷의 실루엣, 디테일, 소재 및 색상을 중심으로 디자 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국내 리딩 아웃도어브랜드 코오롱(Kolonsport), 노스페이스(Northface), 케이투 (K2), 네파(Nepa), 블랙야크(Blackyak) 5개의 브랜드 의 최근 3년 동안 출시된 제품 중 남성·여성 방한 재킷 주력 상품 총 97점을 가격, 대표 디자인, 소재, 색상으로 정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1.Silhouette

    최근 아웃도어웨어에서 보여지는 실루엣은 인체 의 곡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절개하거나 퀼팅 라인 을 넣어 주면서 슬림한 형태의 방한재킷이 주를 이 룬다. 남성 방한재킷의 경우도 기존의 박스 실루엣 의 남성적 느낌에서 벗어나 절개를 활용한 라인을 넣어 스타일을 강조한 디자인이 눈에 띄었다. 아웃 도어웨어에서 느껴지는 경쾌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Fig. 2>, <Fig. 5>, <Fig. 6>은 소매, 등판, 가슴 부분 에 배색 라인을 넣어 디자인되었고, <Fig. 4>와 같이 역동적 느낌을 나타내기 위해 소매 부분의 곡선 컷 팅 라인이 많이 선보여졌다. 방한재킷 디자인의 주 요 기법으로는 퀼팅 스티치를 볼 수 있는데 과거에 균일한 간격의 블럭형 퀼팅라인에서 벗어나 사선 퀼팅이나 다양한 퀼팅 간격을 믹스하여 슬림하게 보이게 하는 동시에 스티치 자체가 디자인 요소로 적용되었다. 특히 <Fig. 4>에서 보이는 사선 퀼팅 라 인은 가슴 라인 부분에 적용할 경우, 가슴 넓이가 축 소되어 보이므로 방한재킷의 부피감에서 느껴지는 다소 둔한 실루엣을 보완하기 적합하여 남·여 디 자인 모두에서 가장 많이 보여 졌다. 여성의 방한재 킷의 경우 5개의 리딩브랜드 모두 최근 3년 동안 의 주력 상품은 허리 라인이 있는 여성스러운 실루 엣이었다. 숏 재킷 스타일, 롱 코트 스타일 등이 탑 셀러 상품으로 한 겨울에도 슬림한 방한재킷을 입 어 보온성과 패션성을 모두 해결하였다. 젊고 세련 된 디자인은 20~30대 여성 고객의 매출 상승을 일 으켰으며, 특히 여성 방한재킷은 고급스러운 리얼 퍼부터 야생적 페이크 퍼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제 작되었고 퍼로 안면보호를 극대화 하였다. <Fig. 3>

    2.Detail

    방한재킷은 급변하는 날씨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 퍼로 연결된 후드 탈부착형이나 내장형 후드, 라쿤 퍼, 스냅 버튼, 웰딩 지퍼 부착이 가장 많았다. 아웃 도어웨어의 특성상 몸의 땀과 열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거나 몸의 활동성의 높이기 위한 지퍼의 활 용이 많았으며 지퍼에 컬러나 레이저 프린트를 하 여 디자인 요소로도 적용하였다. 남녀 디자인 모두 허리와 밑단 안쪽에는 스트링을 적용하여 핏 조절 을 간편하게 돕고, 탈부착 포켓이 내장되어 있어 휴 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였다. 소매의 경우 <Fig. 2~11> 모두 벨크로나 E-band 여밈으로 간편하게 실 루엣 조절을 가능하게 하였고, 소매 단 안쪽에 니트 립 조직을 하여 이중으로 디자인하여 추위를 대비 할 수 있게 하였다. <Fig. 6>, <Fig. 11>의 블랙야크의 경우 후드에 와이어 기능으로 챙의 형태 조절을 가 능하게 하여 디자인에 도움을 주었다. 소매의 경우 대부분 셋인 슬리브 형태였으며 그 다음으로 라글 란 슬리브 디자인이 많았다. 남·여 디자인 중 슬림 핏 스타일의 경우 지퍼 플랫킷이 없는 경우가 많았 고 밑단 형태는 예전에 가장 많았던 E-band 형에서 스트레이트 형태나 언발란스형으로 변화하고 있었 다. 파카의 경우에는 안감에 퀼팅 블록을 넣어 디자 인 요소로 사용하고, 여성의 경우 <Fig. 10>과 같이 사이드 지퍼나 벨트 디테일 등으로 여성스러운 실 루엣을 강조하여 타운웨어로도 입을 수 있는 디자 인이 눈에 띄었다. 다운재킷의 경우 포켓 플랫킷이 없는 경우가 많았고, 파카의 경우 힙 기장에 맞는 빅 핸드 포켓에 플랫킷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Fig. 7-8-9>

    3.Fabric and color

    최근 다운재킷은 구스다운과 덕다운, 두 종류의 깃털로 제작되며 거위 몸집이 오리보다 커, 다운 털 의 크기도 더 크므로 보온성이 뛰어나다. 털의 크기 가 클수록 보온성, 복원력, 가벼움 등 다운의 장점이 더 커진다. 어깨, 등판, 소매 하단에 함성섬유지만 면 처럼 부드러운 촉감을 지난 원단인 서플랙스(Supplex) 소재를 패치하여 내구성을 고려하였다. 서플렉스는 면소재의 단점인 땀의 흡수력과 배출성을 좋게 하 여 아웃도어웨어에 어울리는 기능성 소재이다. 코오 롱 스포츠의 <Fig. 2>, <Fig. 7>은 자체 개발한 아토 써모(Attothermo keep warm) 소재를 안감으로 사용 하여 향균, 소취 효과와 함께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 을 흡수해 보온성을 극대화 하였다. 방한재킷은 윈 드스토퍼 액티브 쉘(Windstopper insulated shell)을 겉감으로 사용하여 눈, 비에 저항성이 우수하며 아 웃도어 활동 시, 쾌적감을 유지시켰다. 또한 봉제선 의 스티치가 없이 접합기술을 이용하여 포켓, 지퍼, 밑 단 등을 붙이는 웰딩 테크놀로지(Welding Technology) 사용으로 경량성을 실현 가능케 하였다. 블랙야크의 <Fig. 6>, <Fig. 11>은 겉감과 안감 원단의 공기를 3 단계로 나눠 가둬 부풀어 오른 공기층이 높은 보온 성을 유지해주도록 하는 원리인 에어탱크(Air tank) 로 체내 온기는 그대로 살리는 동시에 외부 냉기를 차단해 보온력을 극대화 시켰다. 방한재킷의 겉감은 밀도가 높아 다운의 털이 잘 빠져나가지 않고 발수 기능이 우수한 퍼텍스(Pertex) 원단으로 쾌적성을 높이고, 안감은 카본코팅으로 보온성을 높이며 대전 방지가공을 하여 정전기를 최소화 시키는 경향이다. 방한재킷의 컬러는 아웃도어 활동에서 주는 경쾌함 을 표현하는 비비드한 컬러가 꾸준히 출시되고 있 으나 아웃도어웨어가 생활화되면서 무채색과 믹스 계열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엄 패딩의 영향으로 무채색 계열에 퍼 소재로 고급스러움을 지향하였고, 절개 라인에 무채색과 원색 대비효과로 컬러가 많이 사용되었다.

    V.Development of Design

    1.Design intention and production method

    패션정보 사이트인 퍼스트뷰 코리아와 삼성디자 인넷에서 나타난 2015년 아웃도어웨어 트랜드 경향 을 보면 스포츠 활동에서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도 착용 가능한 실용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이 지속적으 로 제안되고 있다. 세계최대 아웃도어 스포츠 박람 회 ISPO는 헤리티지에 집중하는 움직임이 트랜드로 떠올랐다. 캐주얼한 스트리트웨어를 연상시키는 아 웃도어웨어가 제안되었고, 기하학적 퀼팅, 비대칭 여밈, 카모플라쥬 패턴, 디지털 프린팅들이 눈에 띄 었다.

    앞서 조사한 국내 리딩브랜드의 디자인 조형적 요소와 2015년 아웃도어웨어 트랜드를 반영하여 차 분한 컬러에 포인트 컬러를 활용하여 디자인 요소 가 절제된 심플한 아웃도어웨어를 디자인하였다. 디 자인 기획의 컨셉은 젊은 감성과 세련된 스타일로 자신의 개성을 들어냄과 동시에 실용적이고 활동적 인 아웃도어웨어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한재킷 제작은 남성·여성 각각 4개씩 총 8개 아이템으로 2014년 9월~2015년 6월, 총 9개월 동안 ㈜영원무역의 지원을 받아 3차에 걸치는 패턴 및 원 단 수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2.Design presentation

    디자인 1은 남성 파카로 스탠드칼라에 후드 탈부 착 형태로 셋인 슬리브에 허리라인이 없는 베이직 디자인으로 제작하였다. 가슴 부분에 사선 라인과 아웃 포켓 3개를 가로 방향으로 두고, 비대칭 포켓 플랫킷에 스냅을 달아 디자인 포인트로 적용하였다. 소매 여밈은 벨크로로 진행하였으며 소매 안단에 립 조직을 사용하여 방한에 대비하였다. 안감은 블 럭형 퀼팅 스티치를 한 보색을 매치하였고, 뒷판의 길이가 긴 언발라스 형으로 제작하여 부담감 없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2는 다운재킷으로 기존의 전형적인 아웃 도어웨어를 젊고 트랜디하게 변형시킨 디자인이다. 톤다운 된 블루 색상으로 아웃도어 활동의 경쾌함 은 살리면서 앞 중심으로 모이는 사선 퀼팅라인과 허리 라인을 주어 세련된 느낌을 추구하였다. 후드 는 탈부착에 앞 중심 덮개 없이 슬림하게 연출하였 으며, 가슴 포켓 지퍼는 세로형으로 컬러 대비로 포 인트를 주었다. 밑단의 사선 퀼팅 블록을 크게 주어 네이비 컬러로 대비시켜 허리라인 좀 더 높은 느낌 을 주도록 디자인 하여 착용 시 다리가 길어보이도 록 연출하였다.

    디자인 3과 4는 아우트로 경향에 맞춰 기존의 방 한재킷보다 심플한 디자인에 시크한 스타일로 제작 하였다. 디자인 3은 2015년 아웃도어웨어 트랜드를 반영하여 카모플라쥬 패턴에 낮은 스탠드칼라, 지퍼 플랫킷과 후드가 없이 시크하게 연출한 패딩재킷이 다. 패턴으로 인한 상체의 시각적 확장을 막기 위해 가슴 절개 라인을 높이 잡고, 정사각형 퀼팅을 주어 포멀한 느낌을 주었다. 뒷판 엉덩이 길이를 언발란 스로 길게 하고 소매는 E-band를 주어 밀리터리룩 을 거부감 없이 편안하게 입도록 하였다. 디자인 4 는 다운재킷으로 허리 라인에 앞 중심 지퍼 플랫킷 없이 디자인하여 슬림하게 연출하였고, 기존의 규칙 적 퀼팅라인에 뒷 중심에 퀼팅 라인을 넣어 해비한 느낌을 감소시켜 주었다. 원 컬러 사용으로 모던하 게 연출하였으며 카키색 겉감에 비비드한 그린 컬 러 지퍼를 부착하여 디자인 포인트 적용하여 세련 되게 연출하였다.

    디자인 5는 여성 다운재킷으로 사선 블록을 주어 비대칭을 이루게 디자인하였으며 에이라인으로 제 작하여 여성스러움을 강조하였다. 와이드한 밑단으 로 상대적으로 어깨부분이 좁아 보이도록 하여 다 운재킷을 슬림하게 표현하였고, 다운 중량감을 높인 하이넥 카라로 방한에 대비하였다.

    디자인 6과 7은 기존의 방한재킷에 패미닌한 느 낌을 주어 기존의 아웃도어에서 탈피하여 여성스러 움을 강조하고 일상생활에서도 착용 가능하도록 디 자인하였다. 디자인 6은 벌룬 실루엣으로 아웃도어 웨어를 여성스럽게 해석하였으며 V퀼팅 라인으로 시선이 몸 중심으로 쏠려보이도록 하였다. 앞판과 뒷판이 비대칭으로 자연스럽게 라인이 이어지도록 하여 곡선미를 주었다. 디자인 7은 낮은 스탠드칼라 에 후드 없이 뒤판의 허리 E-band 강도를 높여 벨트 를 착용한 것 같은 느낌을 연출하였다. 뒷판의 허리 밴드를 중심으로 상·하 다른 퀼팅 크기·간격을 주어 디자인한 다운재킷이다.

    디자인 8은 3 in 1 패딩코트로 포멀한 스타일에 레드 컬러로 경쾌함을 주었다. 경량 다운재킷은 다 양한 퀼팅 스티치를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고 넥 칼 라와 앞 중심 지퍼에 블랙 테잎으로 단조로울 수 있 는 디자인에 포인트를 주어 방수·방풍의 기능을 갖춘 가벼운 아웃도어 웨어를 연출하였다.

    개발한 8개의 방한재킷은 기존의 스포츠 웨어가 갖는 역동적인 느낌을 줄이고, 기능성과 패션성을 겸비하여 도시에서나 가벼운 아웃도어 활동 모두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아웃도어웨어 디자인 8개의 착장의 개발한 결과 는 <Table 2>와 같다.

    VI.Conclusion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인해 국내외 시장 경기가 침체되고 의류산업이 부진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등 산복을 포함한 아웃도어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보 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도약하였고, 아웃도어 브 랜드들은 지난 10년간 최대 17배 이상의 매출 신장 률을 기록하고 한국의 시장규모는 세계 2위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아웃도어웨어는 남성 중심의 단순 등 산복에서 벗어나 다양한 디자인으로 고객층이 확대 되었고, 아웃도어웨어를 평상복으로 입고자 하는 소 비자의 욕구도 증대되어 바람막이 점퍼나 패딩 점 퍼 등 아웃도어 제품이 평상복으로 인기를 끌게 되 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성장하고 있는 아웃도어 시장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국내 아웃도어 리딩 브랜드를 실루엣, 디테일, 소재 및 색상으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 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게 트랜드를 반영한 방 한재킷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최근 아웃도어웨어의 대중화에 따른 디자인 특성 을 알아보기 위해 코오롱, 노스페이스, 케이투, 네 파, 블랙야크의 홈페이지와 키탈로그, 현장 실태 조 사를 토대로 방한재킷 디자인 특성을 정리하였다. 중복되는 사진을 제외하고 총 97여장의 사진을 수 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 요소를 적용시킨 8 개(다운재킷 4개, 파카 1개, 패딩재킷 1개, 다운코트 2개)의 새로운 방한재킷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근 아웃도어브랜드의 색상 경향을 반영 하여, 명도 차이를 통한 포인트 배색을 적용하였다. 절개부분에 톤다운 된 계열과 원색의 배색합으로 경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하였고, 컬러 스티치 장식을 통하여 장식적 효과를 주었다. 또한 카모플라쥬 패턴을 부분적으로 응용하여 좀 더 트 랜디한 느낌을 강조하였다.

    둘째, 물기, 바람을 막아내는 발수, 방풍의 기능, 신축성을 지닌 고어텍스 제품을 주로 사용하였다. 원단에 DWR(Durable Water Repellent)이라고 하는 매우 얇은 코팅이 되어 있어 물을 흡수되지 않고 직 물 위에서 물방울이 되어 굴러 내리게 하는 특성을 지녀서 아웃도어용 재킷이나 기타 겉옷들에 사용되 고 있다. 이외에도 이질적인 느낌의 재질을 합성하 여 방풍, 방수, 통기성을 갖춘 니트나 우븐 소재를 사용하여 전형적인 등산복 느낌을 탈피하여 캐쥬얼 하게 디자인하였다.

    셋째, 아웃도어웨어를 일상생활에서도 착용가능 한 아우트로룩으로 해석하여 트랜디한 디자인을 제 시하였다. 실루엣은 최근 아웃도어에서 많이 보여 지는 형태를 응용하여 사선 절개를 포인트로 주어 인체의 곡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보이는 슬림한 형 태로 표현하였다, 절개선을 통한 배색을 포인트를 줌으로써 선과 색을 통해 날씬해 보이는 착시현상 또한 제공하였다. 또한 다소 단조로울 수 있는 디자 인에 스티치 간격을 조절하여 심플함 속에 변화를 주었다. 디테일은 급변하는 산행 날씨에 대응하기 위하여 엉덩이 길이, 탈부착형 후드, 소매 밑단은 벨 크로&고무 밴드형, 셑인 소매를 주로 사용하여 실 용적으로 디자인하였다.

    최근 소비자들은 젊은 감성과 함께 개방적이고 여유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영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아웃도어웨어 시장의 높은 성장세에 큰 영향을 미 치고 있다. 이에 따라 선호 아웃도어웨어 디자인 요 소를 적용한 디자인 개발을 함으로써 아웃도어웨어 시장의 타깃층 확대에 활력을 주는 동시에 아웃도 어웨어 패션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작된 작품을 소비자에게 실제로 제공하여 만족도를 평가 받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아웃도어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은 아웃도어 패 션 감성이 접목되고 있으며, 새로운 소비계층을 수 용할 수 있는 국내 아웃도어웨어 시장은 향후 크게 발전될 전망이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RJCC-24-1_F1.gif

    Scale of the outdoor market and trend of its growth From. Samsung Design Net (2014a). http://www.samsungdesign.net

    RJCC-24-1_F2.gif

    From. Kolon Sport (n.d.). http://www.kolonspor t.com

    RJCC-24-1_F3.gif

    From. The North Face (n.d.). http://www.thenorthf acekorea.co.kr

    RJCC-24-1_F4.gif

    From. K2 (n.d.). http://www.K2.co.kr

    RJCC-24-1_F5.gif

    From. Nepa (n.d.). http://www.nepa.co. kr

    RJCC-24-1_F6.gif

    From. Blackyak (n.d.). http://www.blackyak. co.kr

    RJCC-24-1_F7.gif

    From. Kolon Sport (n.d.). http://www.kolonspor t.com

    RJCC-24-1_F8.gif

    From. The North Face (n.d.). http://www.thenorthf acekorea.co.kr

    RJCC-24-1_F9.gif

    From. K2 (n.d.). http://www.K2.co.kr

    RJCC-24-1_F10.gif

    From. Nepa (n.d.). http://www.nepa.co. kr

    RJCC-24-1_F11.gif

    From. Blackyak (n.d.). http://www.blackyak. co.kr

    Table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 jacket styles

    Development of the winter jacket designs

    Reference

    1. Bae J M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outdoor wear design to respond to the climate and environment: Focus on the design in collections after the year 2000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1 (7) ; pp.101-109
    2. Blackyak. (n.d.)Blackyak (2015) Retrieved February 7, 2015, from http://www.blackyak.co.kr,
    3. Cho A L , Son Y J , Lee I S (2014) A design development for the outdoor wear for new senior generation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Vol.31 ; pp.65-75
    4. Choi J Y (2009) A study of the down jacket pattern for the outdoor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Down jacket. (n.d.) (2014) Doopedia, Retrieved September 13, 2014,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8746
    6. Fashio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9) Fashion dictionary, Kyomunsa,
    7. Han E J , Lee J R (2011) Investigation of preference for outdoor jacket and design prototype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5 (4) ; pp.167-181
    8. Han H W (2015) 블랙야크․네파 ‘토종’ 아웃도어‘글로벌’ 장벽넘을까? , Consumer Times, Retrieved April 11, 2015, from http://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3237
    9. Im M J , Seo M J , Park J Y , Kim Y I (2011)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totype for funtional men`s outdoor-wear jacke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1 (4) ; pp.152-168
    10. Jang Y S (2012) A study on outdoor wear style analysis and positioning: Centered on ready-to-wear collections and global outdoor wear brands since 2007,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1. K2. (n.d.). K2 (2015) Retrieved February 19, 2015, from http://www.K2.co.kr,
    12. Kim I , Ha J S (2012)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in outdoor wea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2 (1) ; pp.93-109
    13. Kim J A (2015) 시장포화 아웃도어, 해외서 답 찾는다 , Seoulnews, Retrieved February 17, 2015, from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114020034
    14. Kim J H (2007) 건강 챙기고 친목 도 모하고 겨울산행 열풍 , Gallup Korea, Vol.FebruaryRetrieved April 24, 2015, from http://www.gallup.co.kr/gallupdb/newsContent.asp?seqNo=1643
    15. Kim K H , Kim Y M , Kim H Y , Ahn T Y , Lee S A , Choi K H , Hong K H , Hwang S Y (1990) A study on the functional design proces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rmy's training wea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4 (2) ; pp.104-116
    16. Kolon Sport. (n.d.)Kolon Sport (2015) Retrieved March 7, 2015, from http://www.kolonsport.com,
    17. Lee Y W , Seo M J , Seo I K , Kim Y I (2013) The characteristic of a functional design for a commercial outdoor-wear jacke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3 (7) ; pp.1-16
    18. Lim H W (2014) 아웃도어 시장에 찬바람…덤핑․폐업 속출 , The Korea Economic Daily, Retrieved March 11, 2015, fr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113061941&intype=1
    19. Naisbitt J (1982) Megatrends: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 Warner Books,
    20. Nepa. (n.d.)Nepa (2015) Retrieved March 15, 2015, from http://www.nepa.co.kr,
    21. Oh H S , Kim J W (2012) A study on design preference of outdoor jacket ,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Vol.15 (2) ; pp.67-78
    22. Park H S (2012) A study on the color trends outdoor sportswear: Focusing of the jackets for 2010~ 2011F/W seasons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Vol.15 (2) ; pp.90-108
    23. Park J S (2013) 프리미엄 아웃도어 시장 활성화 기대 , Fashion Channel, Retrieved September 6, 2014, from http://www.fashionchannel.co.kr/main/bbs.php?table=inews&query=view&uid=28318
    24. Park S H (2005) A study on the fusion styl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5. Samsung Design Net (2014a) 2014 복종 별 상반기 분석 및 하반기 전망 , Advertising Research, Retrieved October 9,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Market/MarketReport/content.asp?an=6136
    26. Samsung Design Net (2014b) 겨울 외 투류 지표 분석 , Advertising Research, Retrieved Dec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Market/MarketReport/content.asp?an=6091
    27. Sim H R , Moon S J , Chung S H (2012) Research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design for developing of outdoor produc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2 (8) ; pp.45-54
    28. The North Face. (n.d.) (2015) The North Face , Retrieved March 15, 2015, from http://www.thenorthfacekorea.co.kr,
    29. Um J H (2003) Study on trends of active sportswear since the 199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0. Yu J J , Kim B H (2009) 의류소재: 소재기획 을 위한, Kungchunsa,
    31. Yun S A (2012) A study on the outdoor fashion in collections: Focused on four global collections since 2000,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