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5 pp.861-875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5.861

Issey Miyake fashion’s fold characteristics through fold architecture

Meehee Seo, Jung-A Yoon,Younhee L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July 29, 2015 September 6, 2015 September 14, 201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old architecture and how its properties are shown in the fashion of the modern work of Issey Miyake through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 Fol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analysis features that appeared in Issey Miyake fashion features were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literature on Fold architecture and leading research. Empiric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Issey Miyake’s work and collection by collecting photo materials, and design concepts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in terms of features. Study ranges of Issey Miyake’s creative design development are Pleats Please, A-POC, 132.5 project, and collections from 2000 to 2014.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design concepts presented in the Issey Miyake fashion features of Fold are Hybrid, topology, and uncertainty. Hybrid look for the meaning of fashion, which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earer and garments. The concept of topology designs clothing, focusing on interrelationship of the body and clothing, and pays no attention to absolute size or the form of the clothing. The concept of uncertainty is an uncertain form that is infinitely expandable because all the elements have openness and uncertainty due to the determined incomplete state by the creator. Second, in the results presented in the Issey Miyake fashion features is the destruction of the boundary and diagram form. The destruction of the boundary is free from traditional clothing. The diagram form is a geometric form which does not create a Dart or Princess line.


Fold 건축 특성 분석에 따른 Issey Miyake 패션의 Fold 특성

초록


    IIntroduction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사상 의 근간은 인간의 이성과 물질세계가 확정적이며, 통일되고 투명한 것이 아닌, 상대적이며 불확정적이 고 불완전하다는 인식으로의 전환이었다. 해체주의 는 절대성, 일방향성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특징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기존의 개념적, 형태적 요소 들을 파편화, 재조합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체주의가 자생적 한계에 다다랐음을 주장 하며,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흐름이 1990 년대에 들어 형성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건축분야에서 활발히 나타났는 데, 1990년 이후 매년 열리고 있는 Any 회의에서는 포스트모던과 해체주의 건축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 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의 철학과 과학 등 건축 외적 인 분야를 건축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논 의되었고, 1992년 그 대안의 하나로 Fold 건축이 소 개되었다. Fold 건축은 포스트모던과 해체주의가 주 목하기 시작한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이질성을 대립 과 모순이 아닌 응집과 일체화의 논리로 풀어나가려 한다. 제프리 킵니스(J. Kipnis), 그렉 린(G. Lynn) 등 젊은 건축가들의 저술과 프로젝트로 구성된 ‘Folding Architecture’(1993)가 출간된 이후, 많은 건축가들과 조형 예술가들이 Fold 건축을 해체를 넘어선 새로운 이론으로 인식하고, Fold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 루어지고 있다(Jeon, 2003).

    현대패션에 적용된 Fold 개념을 연구한 선행연구 를 살펴보면, Kim(2006)은 건축에 나타난 ‘Fold’기 법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에서 ‘Fold’ 기법을 사용한 디자이너로 Issey Miyake와 Maria Blaisse를 선정하고, 그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Fold 건축의 조형성과 잠재적인 가능성이 현대 의상 에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음을 연구자의 작품제작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Joo(2010)는 현대 패션에 나타 난 Fold 기법의 조형성 연구에서, 폴드 개념을 건축 적 언어로 도입하고 있는 소피아 비조비티의 종이 접기 기법을 연구하여 그 조형적 특성이 현대패션 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Heo (2011)는 종이조형의폴딩앤컷팅(Folding & Cutting) 기법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에서 폴딩 앤 컷팅 기법(Folding & Cutting)을 컬렉션 분석을 통해 살펴 보고, 작품 제작을 통해 조형 감각의 개발 및 창조적 표현 능력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패션에서도 Fold의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통해 나타난 결과로서의 형 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Fold 의 이론적 배경과 중요 개념을 의미하는 디자인 개 념에 대한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조형적으로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는 건축과 패 션을 접목시켜 건축에 나타나는 폴드의 특성이 현 대 패션에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체와 의복의 상호 관계 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인 작업을 전개하고 있는 Issey Miyake를 선정하고, Fold 건축의 이론적 배경 과 중요 개념,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로서의 형태의 특징이 Issey Miyake의 작품세계에 어떻게 나타나 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는 Issey Miyake가 소재와 패턴에 대한 연 구로 그만의 독창적인 디자인 전개를 시작한 1980 년 이후부터의 작품인 Pleats Please, A-POC, 132.5 project와,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Issey Miyake 의 Collection 작품으로 범위를 한정한다. 연구의 방 법은 국내외 전문서적과 문헌, 논문, 학술지 등의 선 행연구를 통하여 Fold 개념이 적용된 Fold 건축과 Issey Miyake의 패션에 대해 정리하고, 이러한 이론 적 고찰을 바탕으로 Fold 건축의 디자인 개념, 결과 측면에서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Issey Miyake 패 션의 특징과 연결시켜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IIBackground

    1Gilles Deleuze’s Fold

    Fold의 사전적 의미는 ‘접다’, ‘끼다’, ‘맞물리다’, ‘싸다’, ‘덮다’, ‘꽉 껴안다’, ‘휘젓다’, 주름’, 접음’ 등의 의미를 내포한다(“Fold”, n.d.). 접힘이란 연속 의 계기와 불연속의 계기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으 며, 접힘의 구조라 할 수 있다.

    우주는 무수한 단자(monad)로 이루어져 있고, 개 개의 단자 속에는 하나의 완전한 우주가 구현되어 있다는 사상인 라이프니츠(G. W. Leibniz)의 모나드 이론(monadology)에서 출발한 주름 개념은 “세계는 무한히 접힌 주름이다”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다 (Kang & Lee, 2004). 라이프니츠의 주름 개념에서 영향을 받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는 세상을 끊 임없이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어떠한 세상의 근원도 점과 같이 줄어들 수 있는 본질이 아닌 상호 간의 차이, 즉 Fold라고 생각했다. 그는 우주의 실체 는 끊임없이 다른 것이 되려고 하는 생성적 변화의 잠재가능성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Fold 개념에 대 한 이론을 펼치고 있다(Jeon, 2003).

    질 들뢰즈는 1988년 발표한 그의 저서 ‘주름, 라 이프니츠와 바로크(The fold, Leibniz and the Baroque)’ 에서 바로크가 가진 특징들이 역사적 한계를 넘어 뻗어나가며, 동시대 예술 비평에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주름의 사유가 물질의 세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혼 안의 주름’이라고 부 르는 정신적이고 이성적인 세계에서도 나타난다고 하였다.

    질 들뢰즈의 Fold의 특징들은 Fold에 대한 담론 이 Fold 건축의 실제로 진화한 것을 이해하는데 매 우 중요하며,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Joo, 2010). 주 름(The fold)은 진행 중인 무한한 작업, 결론 내리는 방법이 아닌 이어나가는 방법, 무한성을 향해가는 방법이다. 내부와 외부(The inside and the outside)는 무한한 주름의 분리체들 혹은 재료와 영혼, 파사드 와 폐쇄된 방, 내부와 외부 사이의 무한한 이동들이 다. 높음과 낮음(The high and the low)의 주름은 서 로 나눠지면서 크게 확장되고, 그로 인해 높음과 낮 음을 연결시킨다. 펼쳐짐(The unfold)은 주름에 대 한 반대개념이 아니며, 그 행위의 연속으로서의 펼 쳐짐이다. 얽어 짜는 것으로 직조의 플라톤적인 패 러다임은 주름의 형상적 요소를 끌어내는 것이 아 니다.

    이러한 질 들뢰즈 이론의 특징들은 존재의 사유 에서 생성의 사유로 전환되어 시각적인 변화로 건 축에 적용되었으며, 또한 물질을 부분의 합이 아닌 연속체로 간주하고, 이 요소들의 결합은 주름으로 형성된 상호간의 관계성으로 그 사이의 단절을 거 부한다.

    2Fold architecture

    Fold 건축은 20세기 말 새로운 건축이 되기를 열 망하는 하나의 건축적 담론에서 출현하였다. 1990 년부터 매년 LA에서 건축과 타 영역간의 대화를 위 해 시작된 ANY 회의에서 기존의 포스트모던과 해 체주의적인 방법을 벗어나, 새로운 건축의 방향을 찾기 위해 현대의 철학과 새로운 분야를 건축에 받 아들이는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회의 에서 거론이 되는 새로운 대안 중 하나가 질 들뢰즈 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 Fold 건축이었다(Kim, 1999).

    Fold 건축은 건축의 본질 개념을 부정하고, 모든 것들의 불확정성을 주장하는 동시에, 연속성, 비선 형성, 상호 관계를 중시한다. 따라서 Fold 건축의 형 태는 앞선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던과 같이 불확정성 을 전제로 하면서 동시에 다른 것들과 혼합, 일체화 하는 경향을 띤다. 하지만 꼴라쥬 방식으로 형태를 구성하고 있는 해체주의 건축과는 달리 Fold 건축은 전체를 응집된 하나의 형태로 구성한다. 이 과정에 서 토폴로지 이론, 생물의 증식 과정, 에너지의 불연 속적 변화 등이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절대적 창조자로서의 건축가의 의도는 형태논리에 서 완전히 배제된다(Kim, 2004).

    Fold 건축의 디자인 개념과 구현에 관한 연구에 서 Jeon(2003)은 Fold 건축의 연속성에 강조점을 두 고, 해체주의 건축과의 비교를 통해 Fold 건축의 성 격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Fold 건축의 특징을 디 자인 개념(hybrid, topology, 불확정성), 디자인 방법, 디자인 결과(다이어그램 형태, 요소간 경계의 소멸)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해체주의 건축과의 비교 하여 살펴보고 있다. Fold 개념을 적용한 공간 구현 에 대한 연구로 Kim(2004)은 Fold 건축의 논리로 Dromology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공간의 가능성과 방법을 모색하고, 새로운 공간 형태를 설정하여 여 객 터미널(Ferry Terminal)을 디자인하였다. 또한 Fold 개념의 건축적 특징을 디자인 개념 원리(Topology, Hybrid), 공간 생성의 방법적 원리(예측불변 프로그 램), 공간 생성 결과(다이어그램, 경계 소멸)에 따른 원리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Fold 건축의 특징을 디지털 건축디자인으로서의 Fold에 관한 연 구에서 Kang and Lee(2004)는 Fold 건축을 시도하 는 현대건축가들 중에서 피터 아이젠만의 Folding 기법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Fold 개념을 형태화 로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형태생성기법을 제안하였다.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Fold 개념에 관한 연구에서 Shin(2001)은 Fold 건축을 카오스적인 현 대 상황에서 새로운 질서를 찾기 위한 디자인 원칙 들의 실험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수용하기 위 한 '시대성의 표현'이라고 하였다. Fold의 표현특징 에 의한 감성적 디자인 연구에서 Kim(2009)은 Fold 건축 기법을 적용하여 인간의 감성을 초점으로 한 감성적 디자인을 함으로써 도시 환경을 질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Jeon(2003), Kim(2004) 두 연구자 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Fold 건축의 특징을 디자인 개념 측면(Fold의 이론적 배경과 중요 개념)과 형태 표현 결과의 측면(Fold 건축 형태의 특성)으로 나누 어 살펴보았다(Table 1).

    1)The characteristics of Fold architecture from design concept perspectives

    Fold 건축은 해체주의 건축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질적이되 혼합, 응집되어 일체화된 건축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Hybrid(혼성)라는 단어로 요약 할 수 있다. Hybrid는 이질적인 것들이 모인 혼합체 내에서 그 특징은 드러나지만, 연속적이며 경계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Lynn, 1993). 사람, 뱀, 사자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전체적으로는 각각의 특징을 모 두 느낄 수 있지만, 어느 부분이 어떤 동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기 어려운 벤 반 베르켈(Ben van Berkel)의 manimal 이미지(Fig. 1)는 Hybrid의 개념 을 잘 나타나고 있다. 이를 건축으로 풀어 말하면, 건축 내외부의 여러 형태와 특징들을 조합하여 변 형시키되, 이들 각각의 특징은 살아 있지만, 이들 특 징들이 각각 어느 부분에서 나타나는지는 알 수 없 게 경계를 없애는 것이다.

    Topology(위상, 위상수학, 위상기하학) 이론에서 는 관계가 특징을 인식하게 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 에, 관계가 바뀌지 않으면 특징들 또한 변하지 않는 다. 즉, 상대적인 개념으로 하나로 독립되어서는 존 재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으며, 부분들이 모여 있을 때에야 각각의 개별성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Topology 이론은 내부의 상대적 관계가 그들의 응 집성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인 Fold 건축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Jeon, 2003). 아이젠만의 랩스 탁 파크(Rebstock Park) 마스터플랜 계획안(Fig. 2) 에서 두 개의 스케일이 다른 그리드(Grid)를 설정한 후, 각각의 대지 형태에 맞게 변형된 매스를 배열하 고, 그리드를 세분화한다. 각 건물의 형태는 서로 상 이하나, 같은 변형 틀 안에서 찾아낸 형태의 선 때문 에 처음의 전체성을 잃지 않는다.

    인간의 행동은 건축가가 의도하는 대로 따라가기 에는 너무나 불규칙적, 불확정적이기 때문에 건축가 가 기능을 결정할 수 없으므로 Fold 건축은 디자인 과정이 기능에서 독립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들 이 기능과 완전히 무관한 형태를 주장하는 것은 아 니며, 오히려 결과적으로는 가장 기능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Jeon, 2003). 건축가의 절대 적 창조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작가 인 그렉 린(G. Lynn)의 건물은 기능이나 프로그램이 아닌 건축 외적인 곳에서 형태의 모티브를 차용한다. <Fig. 3>은 건물의 형태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기능을 따라 형태를 결정하지 않고, 주변의 고 속도로에서 보이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컴퓨터 그래픽 툴을 통해 변형시켜 생성한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2)The characteristics of Fold architecture from design form expression results

    Fold 건축의 형태는 일체화된 다이어그램(diagram) 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유동화, 연속된 요소 의 혼성과 전체성을 추구한다. 다이어그램의 형태는 연속적이며, 자생적인 진화에 의한 결과이다(Kim, 2004). 아이젠만을 비롯한 많은 Fold 건축가들은 들 뢰즈의 다이어그램 개념을 그들의 디자인 프로세스 에 적용시키고 있다. Fold 건축은 어떠한 다른 형태 적 참고를 피하고 추상적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가 발생하나, 컴퓨터를 사용한 다이어그램 형태의 틀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난점을 안고 있다(Jeon, 2003). <Fig. 4>는 아이젠만 의 Max Reinhardt haus로 프리즘을 갖는 뫼비우스 띠를 주제로 한 건축물로, 판(plate)와 큐브(cube)를 회전시킨 비틀린 크리스탈의 형태가 나타난다.

    Fold 건축은 형태 측면에서 바닥, 벽, 기둥 등 요 소의 경계가 사라지고, 서로가 흐르면서 다른 요소 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즉, 각 요소들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경계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물리적 인 형태에서 뿐만 아니라, 인식적인 영역에서도 존 재하는 것으로, 경계 영역은 변형이 시작되는 부분 이며 상호간에 교류와 차이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서로간의 정체성이 생성되는 영역이다(Kim, 2004). 이러한 경계의 소멸은 요소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 라, 공간에서도 나타나, Fold 건축에서는 내부와 외 부의 구분이 무의미해진다. <Fig. 5>는 벽과 바닥, 천장이 서로 흐르듯 변화하고 있는 요코하마 여객 터미널의 내부 모습니다. 모든 요소가 평면을 벗어 나, 각각을 구분할 수 없다. 또한 형태 구성 요소와 구조체와의 일체화를 통해 형상은 더 이상 한 가지 의 본질 개념으로만 설명될 수 없게 된다.

    3Characteristics of Issey Miyake's fashion

    Issey Miyake는 오뜨 꾸뛰르가 패션의 기준이라 는 환상을 깨고 그 자신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옷의 개념을 세우기 위해 완전히 원점으로 돌아가 백지 상태에서 출발하였다(Miyake, 1979). 1980년, Issey Miyake는 오뜨 꾸뛰르와 기성복 세계를 모두 경험 하면서 실용적이고 보편적인 것을 추구하게 되었고, A-POC Making과 Pleats Please를 통해 그의 패션목 표인 ‘누구나 입을 수 있는 편안한 의복을 만드는’것 이 실현되었다(Kim & Bae, 2003). ‘A Piece of Cloth’ 란 의미의 A-POC은 인체를 완전히 감싸는 단 하나 의 천 조각으로 만들어진 의복으로 재단상의 변화 를 꾀한 방법이다. 1980년대부터 소재와 패턴에 대 한 연구에 집중하여 그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전 개하기 시작하였으며, 1988년부터 주름작업을 시작 하여 5년여의 연구 끝에 1993년 Pleats Please를 상 업화하는데 성공하였다(Miyake, 1999).

    본 연구에서는 Issey Miyake의 패션의 선행 연구 를 통해서 공통적으로 논의된 부분들을 추출하여 그 기준을 마련하고, 인체의 새로운 해석, 일본 전통 양식의 재인식, 타 영역 예술과의 교감으로 나누어 서 살펴보았다. Han(2004)은 Issey Miyake 작품에 나타난 해체주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에서 패션정신 에 기초한 독창성 때문에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Issey Miyake의 디자인 정신을 고찰해보고, 이 를 통해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디자인 특징을 분석 했다. Park(1990)은 Issey Miyake의 의상에 나타난 형태미와 상징성에 관한 연구로 Issey Miyake의 작 품과 현대적 미술표현과의 관계를 밝힘과 동시에 그의 작품에 재현된 일본의 전통성에 대해 고찰했 다. Issey Miyake의 패션철학을통해나타난디자인특 징에 관한 연구로 Kim and Bae(2003)는 Issey Miyake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여 과거, 현재, 미래에서도 경 쟁력을 지닐 수 있는 의복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제 시하였다.

    1)New interpretation of human body

    1960년대는 Issey Miyake가 디자이너로서의 활 동을 시작한 시기로 그 당시 여성의 성 해방 운동은, 의복이 주체가 되어 인체를 지배하려는 기존의 기 능에서 벗어나 인체가 주체가 되어 신체적 결점을 보완하고, 움직임의 자유를 돕는 것으로 의복의 기 능을 바꾸어 놓았다(Choi, 1997). 이러한 인식의 전 환은 디자이너들로 하여금 인간 자체에 관심을 기 울이게 하였다. Issey Miyake 역시 파리에서의 경험 을 통해 패션에 대한 오뜨 꾸띠르의 전통적 기준이 현대 여성들에게 적합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그는 근본적인 공간으로서 인체와 옷감의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원단을 인체의 선에 맞게 구성, 봉 제하지 않고, 극도의 가공되지 않은 단순한 구성을 통해 천과 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몸의 움직 임에 따라 구비치고 펄럭거리며, 드레이퍼리가 생기 게 하는 것이다(Fig. 6). 이는 조각적인 양감을 나타 내기 위한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현대적 표현에서 대상의 재현을 추방한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즉, 기하학적인 2차원적 요소에 의한 3차원적인 공 간의 추구와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 은 인체의 새로운 이미지를 발견하려는 것으로, 인 체를 장식하기 위함이 아니라, 인체를 강조하기 위 함이다(Park, 1990).

    2)Re-realization of Japan’s traditional style

    Issey Miyake는 일본이 섬나라이기 때문에 사회적 배경이나 미적 감각이 다른 나라와는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일본 문화와 공간의 의미에 대해 깊이 연 구한후, 일본의전통적인직물생산방식을자신의작 품에 적용하였다(Han, 2004). 1973년, ‘A Piece of Cloth’이란 주제로 파리컬렉션에서 Issey Miyake는 클래식하고 엘리건트하기만 했던 파리 패션계에 일 본의 전통의상 기모노로부터 영감을 얻어 봉제나 재단을 최소화한 자연 친화적인 의상을 무대에 올 렸고, 전 세계 패션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일본적인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을 끊임없이 제 기하며, 전통적인 일본의 의상이나 천에 최첨단의 현 대적인 테크놀로지를 그 시대에 맞게 반영시켜왔다.

    전통적인 양식에 영향을 받은 그의 패션들을 보 면 전통 양식을 미래적인 외관 및 착용감과 결합시 킴으로써 전통적인 양식을 현재 패션에 맞도록 진 보된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Miyake, 1999). 그의 디 자인은 서양복의 주된 재단 기법인 다트나 프린세 스 라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선재단으로 정방형 의 천 자체에 변형을 가하지 않은 재단 형태가 많아, 일본의 전통 복식인 기모노를 생각나게 한다(Fig. 7). 이 스타일은 정방형과 기하학적인 형태로 재단 하여 직물이 신체를 감싸서 늘어지도록 하여 착용 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연출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 으로, 전통성과 영속성 모두에서 성공한 작품이라 평가된다(Miyake, 1999).

    3)Communication with other field of art

    Issey Miyake는 조각, 무용, 영화, 건축, 인물 탐구 등을 통해 디자인의 영감을 받고, 현대 문화에 큰 영 향을 준 예술가들과의 협력으로 새로운 에너지를 창출하고 있다(Kim & Bae, 2003). 이사무 노구치와 의 공동작업인 ‘Jumping’ 시리즈는 의복의 조각적 특징을 강조하여 바닥에 놓았을 때는 평평하던 2차 원의 형태가 사람이 착용을 하면 3차원의 입체적인 형태로 완성되는 모습을 보여준다(Fig. 8). <Fig. 9> 는 1998년부터 1999년에 걸쳐 파리의 카르티에 재 단에서 기획한 Issey Miyake의 패션 전시로 ‘Making Things’란 주제로 열렸던 작품 중의 하나로 야수마 사 모리무라(Yasumasa Morimura)와의 공동 작업이 다. 앵그르(Jean-Auguste Dominique Ingres)의 ‘샘 (La Source, 1856)’과 모리무라의 누드 사진작품을 의상 작품의 하부와 대립시켜 놓음으로써 강한 대 조를 보이고 있다. 이 작품은 전면에 Issey Miyake 특유의 기계 주름에 의한 잔주름이 수직으로 흐르 고 있는 가운데 둔부의 햄 라인 위치에서 상하로 나 누어지는 수평선에 의한 대조가 대칭적으로 보이고 있다(Han, 2004).

    IIICharacteristics of Fold Presented in Issey Miyake Fashion

    Issey Miyake 패션에 내재되어 있는 자유감정은, 그가 의복과 인체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 서 기본 컨셉이 되었다. 그는 의복과 인체와의 관계 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과 신체 사이에 공간개념 을 취하였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볼륨과 그 볼륨의 변화를 그의 패션에 나타냈다(Kim & Bae, 2003). 이 와 같은 그의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방법, 그리고 결 과론적인 형태의 특징은 Fold 건축가들의 그것과 매 우 유사하다.

    Issey Miyake에 대한 선행연구와 Fold 건축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교하여 분석해 본 결과, Issey Miyake 패션에서는 Hybrid, Topology, 불확정성, 다이어그 램 형태, 경계의 소멸이라는 5가지의 Fold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Issey Miyake 패션에 나타난 Fold의 특성을 분석 하기 위해 디자인 개념 측면에서는 Hybrid, Topology, 불확정성을, 디자인 결과 측면에서는 경계의 소멸과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요약하 면 <Fig. 10>과 같다.

    1Characteristics of Fold architecture from design concept presented in Issey Miyake fashion

    1)Hybrid

    일본 출생의 Issey Miyake가 세계적으로 부각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가 패션 내외의 요소들과의 교감을 통해 패션의 기본을 허무는 새로운 실험을 계속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건축 내외의 여러 이질 적인 요소들이 혼합, 응집되어 일체화된 건축을 목 표로 하는 Fold 건축가들의 건축이념과 닮아 있으 며, 이러한 특성은 hybrid(혼성)이란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1996년에서 1998년 사이 그는 기존의 Pleats Please 라인에 신선한 변화를 도입하기 위해, 몸을 하나의 개념적 실체로 사용한 4명의 예술가들(야수마사 모 리무라(Yasumasa Morimura), 노부요시 아라키(Nobuyoshi Araki), 팀 호킨슨(Tim Hawkinson), 카이 구오 치앙(Cai Guo Qiang))과 협업하였다(Fig. 11). 그 결 과, 작품 속의 남성과 여성, 동양과 서양, 나체와 옷 입은 몸의 이질적인 이미지들은 예술과 패션의 상 호작용 속에서 결합되었다(Choi, 2012).

    단순한 패션경향으로서의 옷이 아닌 좀 더 근본 적인 개념을 찾아내려고 하는 Issey Miyake의 시도 는 인체로부터 옷을 벗겨내어 마지막 한 장의 천으 로 남게 한 후, 이것으로 인체의 형태를 표현한다는 A-POC으로 나타났다(Park, 1990). A-POC은 의복을 만들기 위한 봉제선이 없고 착용자가 직접 재단할 수 있어, 착용자는 스스로 자신의 의복을 창조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받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의복 은 의복으로서의 최소한의 속성만을 지니게 되며, 착용자와 의복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패션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된다(Fig. 12).

    2)Topology

    Issey Miyake는 신체와 옷의 관계를 다양하고 새 로운 방법으로 해석한다. 그는 2차원적인 직물이 인 체에 입혔을 때 3차원적이며 조각적인 형태로 변형 된다는 사실에 흥미를 갖는다. 인체와 옷감의 상호 관계에 초점을 두고 인체의 움직임과 연관하여 의 복을 이해하고 작품을 제작한다. 이것은 Issey Miyake 디자인 스튜디오의 기본 컨셉으로, 자유에서 영감을 받은 실험적인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Miyake & Fujiwara, 2001).

    신체와 옷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생각은 상대적 인 개념을 가지고 있어, 하나로 독립되어서는 설명 할 수 없으며, 절대적 치수나 형태에 주목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topology와 맥락을 같이 한다.

    Issey Miyake가 ‘원단에는 조건이 없다, 원단을 배 워라. 원단의무게나형태가그의복을결정한다(Irvimg, 1988).’라고 한 것은 천 자체가 오브제가 될 수 있다 는 현대적 미술 표현과 일치한다(Fig. 13). 그는 인 체와 천은 근본적으로 일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인체 와 천의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Fig. 14>의 작 품은 옷감과 인체가 각각 자기를 주장함으로써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몸의 움직임에 따라 구비 치고 펄럭거리며, 드레이퍼리가 생기고 있다. 이러 한 공간은 흡수하고, 흡수되면서 움직임에 의하여 하나가 되는 느낌을 표현한 것으로, 의복의 형태에 의해 외형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의복과 인간과 의 상호작용으로 의복의 형태가 결정된다는 것을 보 여준다. <Fig. 15>는 조그만 스웨터이지만, 늘어나면 small, medium, 심지어 large 사이즈가 된다. 입고 난 후에, 스웨터의 양쪽 끝을 한 번 잡아당기면 원래의 조그만 형태로 돌아온다. 탄력성이 매우 큰 양모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이 옷은 마치 거미줄처럼 몸에 꼭 맞는다. 이러한 그의 신체와 의복 사이의 공간 개념 은 상호 텍스트성을 이루는 열려진 공간의 불확정 성으로 연결된다(Miyake & Fujiwara, 2001).

    3)Indeterminacy

    불확정성이란 모든 체계가 개방성을 띄어 무한히 확장되어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뜻하는 것 으로, 패션에서는 착장법에 대한 고정관념을 무너뜨 리고 착장자에 의해 완성되는 미완성 상태의 형식 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뜨 꾸띠르 관습의 규칙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창작활동에 대한 그의 열망에 대해 Issey Miyake는 “서양의상의 전통은 나에게 너무나 경직되어 보이 며, 나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자유로운 것들을 창조하고 싶었다(Koren, 1984).”라고 말했다. 그의 이러한 자유감정은 의복과 인체 사이의 관계 연구 에 있어서, Issey Miyake 디자인 스튜디오의 기본 컨 셉이 되었다. 이처럼 그는 의복과 인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에 새로운 개념을 부여하였 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불확정적인 변화에 대한 생 각에 이르게 된다. Issey Miyake의 불확정성에 대한 생각은 직물이 신체와의 조화 속에서 스스로 완성 된 형태를 이루어 나가는 부정형의 의복에 영향을 미친다.

    <Fig. 16>의 작품은 특별한 형태나 형식을 미리 고정시키지 않고, 착용자에 의해 완결되는 비구조적 인 형태는 우연성, 열린 개념에 의한 미완성의 미학 으로서 자유로운 정신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Fig. 17>은 직물의 여러 곳에 구멍을 뚫어 착장자가 자유 롭게 머리 또는 팔 등을 자유롭게 끼워 넣음으로써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인 의복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 다. 즉, 그는 코르셋 혹은 패스닝을 사용하지 않는 자유로운 착장을 통해 의복과 인체 사이에 자연스 런 공간을 부여한다. 이것은 그의 의복이 인체를 무 시하는 듯 보이지만, 결국 의복과 인체 사이에 형성 되는 공간이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스럽게 형 성되도록 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Kim & Bae, 2003) 으로 기존의 의상처럼 완성된 단위가 아닌 미완성 의 것으로 착용자의 연출에 따라 예상하지 못했던 형태들이 창조된다(Irving, 1988).

    2Characteristics of Fold architecture from design results presented in Issey Miyake fashion

    1)Disappearance of boundary

    Issey Miyake의 작품에는 제 2의 피부인 의복으 로부터 구속되지 않는 신체의 자유를 향한 반복적 인 주제들이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89년 처 음 선보여진 그의 Pleats 라인이다. 그는 안정되고 복원력이 우수한 주름을 이용해 신체에 새로운 공 간을 구축하여 의복구성의 경계를 허물었다. 이렇게 소멸된 공간의 경계는 상호 연결되어 의도적으로 인지 불가능한 다양한 공간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주름은 이제 그를 떠올릴 때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 가 되었고, 2014년에는 새로운 주름 기법인 3-D 스 팀 스트레치 기법을 선보이며, 현대의 테크놀로지를 그 시대에 맞게 반영시키며 진보하고 있다(Fig. 18).

    이러한 의복에 있어서의 경계 소멸은 의복 구성 간의 경계소멸뿐 아니라, 착장 방식에 따라 의복과 신체와의 경계도 허물고 있는데, 이는 그의 2010년 작 품인 132.5 Project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10년 Issey Miyake의 Reality Lab 팀은 “132.5 ISSEY MIYAKE” 를 발표한다. 그는 132.5의 의미는 평평한 1장의 종 이(원단)(1차원) 3D 형상인 입체(3차원)가 되도록 접음 선을 넣고, 2차원 평면으로 접어 절개를 만들 고 색을 입혀(2차원), 그 옷이 사람과 만나면 차원을 초월하게 된다(5차원)고 설명한다. 마지막 숫자 ‘5’ 에는 한 장의 천이 한 벌의 의상으로 누군가에게 입 혀졌을 때 비로소 지금까지 없었던 존재로 완성된 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Fig. 19>의 작품은 삼각형 을 기본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접혀있는 검은 천 조 각의 끄트머리를 잡고 들어 올리면 자연스럽게 회 전하며 한 벌의 의상으로 변모한다. 이 옷에는 일반 적인 스커트나 바지 등의 패턴이 들어가지 않는다. 납작하게 접은 천은 머리, 소매, 허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들어간 트임의 위치에 따라 셔츠, 스커트, 원 피스, 바지 등으로 다시 태어난다. 종이 접기의 원리 로 완성된 구조, 그 자체가 의복이 되는 것이다. Issey Miyake는 A-POC와 132.5 Issey Miyake를 통해 기 존의 의복의 형태요소에서 해방시킴은 물론이고, 옷 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구별 또한 거부한다.

    2)Diagram

    Issey Miyake는 기모노의 평면적이고 기하학적인 선에서 출발하여 그것을 자신의 중심 개념으로 삼 되, 이를 더욱 발전시켜 전혀 새로운 형태를 창안한 다. 그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방식대로 재단하지 않 은 직사각형의 한 장의 천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이 는 전통과는 다른 기교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것은 종이 접기에서 가져온 방법이다(Park, 1990). 이러한 종이 접기 방법은 2차원의 평평한 직물을 3 차원의 입체적인 형태로 변화시키고, 접힌 천은 다 이어그램의 형태를 띠게 된다.

    재단하지않은한장의천에서출발하는Issey Miyake 의 디자인 방법은 1989년 처음 선보여진 Issey Miyake 의 Pleats들에 의해서 더욱 구조적인 형태를 띄게 된 다. Issey Miyake의 Pleats는 열가공이므로 안정되고, 복원력이 우수하며, 세탁이 용이하고, 열 설정에 의 해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가공기술의 진 보에 의해 소재화된 기계주름은 다트나 옆선이 드 러나지 않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Fig. 20>, <Fig. 21>과 같이 입혀지지 않은 상태에 서는 평면적이나, 입혀진 상태에서는 주름이 충분한 디자인적 요소로 작용하여 의복의 새로운 형태를 표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Kwak, 2000).

    2011 F/W Collection에 발표한 132.5 프로젝트에 서는 Issey Miyake Reality Lab의 스태프들이 무대에 나와 바닥에 깔린 커다란 흰색 전지를 접으면서 쇼 가 시작된다. 서너 팀으로 나뉜 그들이 2인 1조가 되어서 종이를 접고 가장자리에 스테이플을 박는다. 잠시 후 의복의 형태들이 완성되고, 이것들은 모델 들에게 입혀진다. 이러한 종이 접기 퍼포먼스를 시 작으로, 다양한 다이어그램의 형태를 띤 의상들을 보여줌으로써, 종이 접기 방식이 의복에 어떻게 적 용되어 나타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Fig. 22).

    지금까지 디자인 개념 측면과 디자인 결과 측면 에서 살펴본 Issey Miyake 패션에 나타난 Fold 특성 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IV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Fold 건축에 대한 문헌조사 및 선 행연구를 통해 Issey Miyake 패션에 나타난 Fold 특 징을 분석하기 위한 분류기준을 마련한 후, 실증적 자료 수집을 위해 Issey Miyake의 작품과 Collection 사진 자료를 수집하여 디자인 개념 및 결과 측면에 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Issey Miyake의 1980년 이후 부터의 작품인 Pleats Please, A-POC, 132.5 project 와,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컬렉션에 적용시켜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ssey Miyake 패션에 나타난 디자인 개념 측 면에서의 Fold의 특징은 Hybrid, Topology, 불확정 성이다. Hybrid 개념은 패션 내외의 이질적인 요소 들이 패션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결합되어, 옷의 근 본적인 개념에 대한 탐구를 통해 창조자인 디자이 너에 의해 의복이 결정되지 않고, 착용자와 의복 사이 의상호작용에서패션의의미를찾는것이다. Topology 개념은 신체와 옷감의 상호 관계에 초점을 두고 의 복을 디자인하고, 의복의 절대적 치수나 형태에 주 목하지 않는다. 불확정성 개념은 모든 요소가 개방 성을 띄어 무한히 확장 가능하고, 착장자에 의해 결 정되는 미완성 상태로 인한 불확정적인 형태이다.

    둘째, Issey Miyake 패션에 나타난 디자인 결과, 측면에서의 Fold의 특징은 경계의 소멸, 다이어그램 형태이다. 경계의 소멸은 기존의 의복형태에서 해방 되고, 옷의 구성요소들을 분리시켜 재단하지 않아 연결된 하나의 조형성을 가진다. 다이어그램 형태는 과장된 크기의 장방형 천 조각 형태 또는 절개선이 적은 기하학적인 모양에서 출발하여 종이접기 기법, 걸치기, 두르기 등을 이용한 형태 생성방법으로 인 한 다트나 프린세스 라인 등이 없는 기하학적인 형 태이다.

    Issey Miyake의 패션에 나타난 Fold의 특성을 고 찰해본 결과, 다양한 조형적 형태미에 대한 새로운 탐구심에서 비롯되어 현대 건축에서 새롭게 보여지 고 있는 Fold의 개념을 패션에 접목함으로써 파편 화, 중첩화 논리로 풀어나가는 해체주의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서 혼성화, 일체화의 논리를 통해 새로 운 패션의 흐름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Figure

    RJCC-23-861_F1.gif

    Manimal. - Ben Van Berkel, Caroline Bos. (2008). From. Saggio (n.d.). http://www.gdfitcaad2011.altervista.org

    RJCC-23-861_F2.gif

    Rebstock Park Masterplan. - P. Eisenman. (1990). From. Michael & Michael (2003). http://www.rebstockpark-ffm.de

    RJCC-23-861_F3.gif

    A diagram indicating the movement of a car for H2 House. - G. Lynn. (1966). From Lynn, G. Design Team (n.d.). http://synworld.t0.or.at

    RJCC-23-861_F4.gif

    The form of diagram Max Reinhardt haus. - P. Eisenman. (1992). From. Riley & Nordenson (2004). http://www.thecityreview.com

    RJCC-23-861_F5.gif

    The disappearance of the boundaries, Yokohama International Port Terminal. - F.O.A. (1995). From. Langdon (2014). http://www.archdaily.com

    RJCC-23-861_F6.gif

    Issey Miyake, Sommer 1984, Photo by Iman. From. Benaim (1997). p.43

    RJCC-23-861_F7.gif

    Issey Miyake, 1997, Photo by Irving Penn. From. Ventus (2012). http://the-rosenrot.com

    RJCC-23-861_F8.gif

    Flying Saucer, Issey Miyake, 1994, Photo by Enrique Badulescu. From. Benaim (1997). p.56

    RJCC-23-861_F9.gif

    Morimura’s Doll, Issey Miyake, 1998. From. Foreman (2014). http://www.nytimes.com

    RJCC-23-861_F10.gif

    Fold of Issey Miyake’s fashion

    RJCC-23-861_F11.gif

    Issey Miyake art work by Yasumasa Morimura, 1996. From. Benaim (1997). p.68

    RJCC-23-861_F12.gif

    making A-POC, 2001. From. Designboom (2001). http://www.designboom.com

    RJCC-23-861_F13.gif

    Issey Miyake, 1986, Photo by Irving Penn. From. MIYAKE DESIGN STUDIO (n.d.). http://mds.isseymiyake.com

    RJCC-23-861_F14.gif

    Issey Miyake, 1989. From. Benaim (1997). p.44

    RJCC-23-861_F15.gif

    A-POC MAKING_Spider, Issey Miyake, 2000. From. MoMA (n.d.). http://www.moma.org

    RJCC-23-861_F16.gif

    Issey Miyake, 2010 F/W. From. Firstviewkorea (n.d.b).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861_F17.gif

    Issey Miyake, 2004 S/S. From. Firstviewkorea (n.d.a).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861_F18.gif

    Issey Miyake, 2014 F/W. From. SDN (n.d.b). http://www.samsungdesign.net

    RJCC-23-861_F19.gif

    132 5. collection, Issey Miyake, 2010 F/W. From. SDN (n.d.a). http://www.samsungdesign.net

    RJCC-23-861_F20.gif

    Rhythm Pleats, Issey Miyake, 1990. From. LACMA50 (n.d.). http://collections.lacma.org

    RJCC-23-861_F21.gif

    Issey Miyake, 1997. From. Narayana (2011). http://www.blendbureaux.com

    RJCC-23-861_F22.gif

    Issey Miyake, 2011 F/W. From. Firstviewkorea (n.d.c). http://www.firstviewkorea.com

    Table

    Preceding research of fold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of Fold presented in Issey Miyake fashion

    Reference

    1. Benaim L (1997) ISSEY MIYAKE , Muenchen: SCHIRMER/ MOSEL,
    2. Choi B S (1997) A study on mini style fashion in the 1960's , Unpublish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Choi K H (2012) Issey Miyake , Naver cast [Online forum comment], from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35&contents_id=7835
    4. Designboom (2001) a-poc making , from http://www.designboom.com/eng/funclub/apoc.html,
    5. (2000) Firstviewkorea. (n.d.a). S/S Women RTW Paris Issey Miyake [Collection Image] , S/S Women RTW ParisIssey Miyake [Collection Image],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20&City=CD001&Event=EV001&Designer=228&Cate=CC001
    6. (2010) Firstviewkorea. (n.d.b) , F/W Women RTW Paris Issey Miyake [Collection Image],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07&City=CD001&Event=EV001&Designer=228
    7. (2011) Firstviewkorea. (n.d.c) , F/W Women RTW Paris Issey Miyake [Collection Image],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22&City=CD001&Event=EV001&Designer=228&Cate=CC001
    8. Fold. (n.d.) , Naver English Dictionary, from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0ec72bfb3d2b4b6ea4d9260e7e964657#English
    9. Foreman L (2014) Issey Miyake’s 50 Years of Making Connections , New York Times [Online forum comment], from http://www.nytimes.com/2014/12/02/fashion/issey-miyakes-50-years-of-making-connections.html
    10. Han G Y (2004) A study on formativeness of desconstyuct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ISSEY MIYAKE'S fashion work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1. Heo J Y (2011) A study of garment design utilizing the folding & cutting technique of paper modeling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University, Seoul, Korea,
    12. Irving P (1988) Issey Miyake: Photographs by Irving Penn, A New York Graphic Society Book,
    13. Jeon Y J (2003) A study on the design concept and the expression of 'fold' architecture: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deconstructivism architectur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Seoul, Korea,
    14. Joo S Y (2010) A study about the plasticity of the Fold technique shown in modern fash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Sophia Vyzoviti's 'Folding Architectur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15. Kang H , Lee D E (2004) Study on ‘Fold’ as a digital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G. Deleuze's 'fold' thought and Peter Eisenman's 'folding'method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0 (11) ; pp.77-86
    16. Kim H K (1999) A study on 'Fold' as a generator of architecture form: Focusing on the meaning of 'fold' and its architectural application , Unpublished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17. Kim K L (2006) Study of fashion design utilizing modeling feature of 'fold' technique in architectur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M J (2004) A study on embodying dromology space of architecture design process: Using the design concept of 'Fold architectur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M S , Bae S J (2003)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through Issey Miyake’s fashion philosoph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Vol.53 (6) ; pp.161-173
    20. Kim S Y (2009) Research on the emotional desig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oncept, focusing on urban open spac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1. Koren L (1984) New fashion Japan, Kodansha International,
    22. Kwak H Y (2000) A study on expression of folds desig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LACMA50. (n.d.). , Issey Miyake’s Dress from the Rhythm Pleats Series, from http://collections.lacma.org/node/212487
    24. Langdon D (2014) AD Classics: Yokohama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 from http://www.archdaily.com/554132/ad-classics-yokohama-international-passenger-terminal-foreign-office-architects-foa,
    25. Lynn G (1993) Architectural curvilinearity: The folded, the pliant and the supple , A.D. Architecture Design, Vol.63 (3/4) ; pp.8-15
    26. Lynn G Design Team. (n.d.). H2 House , from http://synworld.t0.or.at/level2/soft_structures/lynn/H2_House.htm,
    27. Michael K , Michael M (2003) Rebstockpark: The development of a concept , from http://www.rebstockpark-ffm.de/rebstockpark_eisenman_e.htm,
    28. MIYAKE DESIGN STUDIO. (n.d.). The concepts and work of Issey Miyake , from http://mds.isseymiyake.com/im/en/work,
    29. Miyake I (1979) East meets west, Pyungbumsa,
    30. Miyake I (1999) Making things: Issey Miyake, Scalo Publishers,
    31. Miyake I , Fujiwara D (2001) A-Poc Making , Basel: Vitra Design Museum,
    32. MoMA. (n.d.). Issey Miyake & Fujiwara Dai’s A-POC Queen Textile , from http://www.moma.org/collection/works/100361?locale=ko,
    33. (2011) Narayana , Irving Penn X IsseyMiyake, from http://www.blendbureaux.com/irving-penn-x-issey-miyake
    34. Park M H (1990) A study on the form and symbolism of Issey Miyake dress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 Vol.28 (1) ; pp.9-20
    35. Riley T , Nordenson G (2004) Tall Building , from http://www.thecityreview.com/tall1.html,
    36. Saggio A (n.d.). Gaetano De Francesco ITCAAD 2011’s Concept , from http://www.gdfitcaad2011.altervista.org/concept.html,
    37. SDN. (n.d.a.). 132.5. ISSEY MIYAKE , from http://www.samsungdesign.net/News/GlobalInfo/FashionBrands/Content.issey,
    38. (2014) SDN. (n.d.b.) , F/W Women Paris Issey Miyake[Collection Image],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tion/ForWomen/new_source.asp?sourcename=68_407_13215_1.jpg&itemidx=407&designeridx=13215&seq=1&an=68&sourcewidth=1280&sourceheight=1920&initImg=1
    39. Shin S H (2001) A study on the concept of 'fol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Peter Eisenman's work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40. Tavasoli F G (2012) The fold as a concept structure in architecture of post-modern tim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astern Mediterranean University, Gazimagusa, North Cyprus,
    41. Ventus G The brilliance of Issey Miyake: A retrospective [Web log post] , from http://the-rosenrot.com/2012/08/the-brilliance-of-issey-miyake-a-retrospective.html,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