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5 pp.807-821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5.807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based on Chochungdo by Shin Saimdang

Jaemin Song, Jongmyoung Choi, Jiyoung Kim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coco7@chungbuk.ac.kr)
June 1, 2015 August 25, 2015 September 21,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as a high value-added exportable industrial product by developing a cultural product, that can be accepted as having universal beauty by people in the Western cultural area. This is done by, re-analyzing it from a modern perspective after applying the color representation, used in pop art, to Shin Saimdang’s Chochungdo (草蟲圖, insects on flowers) which clearly expresses Korea’s national emo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e research method depends upo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such as scarfs, neckties, handkerchiefs, and folding fans, which are communicated in the global market The expressive technique of pop art is utilized after reconstructing the color sensation of pop art in the aesthetic dimension of the natural, physical, and formative beauty of Chochungdo based on the whole understanding of our country’s genre of Chochungdo and Western pop art. With regard to the colors in the developed design, the basic colors were extracted and applied by selecting 10 pieces in the flower series, which were made with the silkscreen printmaking technique in the 1970s by Andy Warhol, a master in pop art. A work that integrates pop art, a global art trend, with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expected to highlight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global cultural era.


신사임당의 초충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팝아트의 색채표현을 적용하여 -

초록


    IIntroduction

    21세기 문화에서 감성가치와 융합은 중요한 키워 드가 되었다. 세계가 다인종, 다문화, 다기능의 사회 로 변화하면서 정보통신 기술에 의해 문화적 교류 확산, 인적, 물적 교류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문화까 지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 적 추세와 흐름 속에서 문화는 국경을 넘어 서로 혼 합되고 있으며, 문화의 혼성화 현상이 점점 가속화 되고 있다. 세계화에 따른 유통개방으로 인해, 현대 를 살고 있는 우리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 공존의 시 대에 살고 있다. 이에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우리의 것을 세계적인 것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세계의 대중 예술 문화에서 우수한 점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전통문화와 융합하여 현대 감각에 맞는 창조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런 취지에서 대중 예술문화와 관련된 선행연구 를 살펴보면 Choi and Kim(2008), Kim, K. M.(2009), Song(2011), Wi and Rha(2004), Yim(2005) 등이 팝 아트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 로 현대패션에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Jung and Jang(2011), Kim(2008) 등은 현대 패션일러스트에 나타난 팝아트의 표현기법을 통해 현대화의 가능성 을 제시하였다. 또한 Oh(2011)는 팝아트 작가 작품 에 나타난 조형적 이미지 특성을 활용하여 팝아트 의 대중적인 특성을 살린 텍스타일디자인을 개발하 였다. 이처럼 대중 예술문화의 하나로 팝아트의 표 현기법을 현대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우리 전통문화의 요소를 팝아트에 적 용하여 현대적 미감으로 표현하는 시도는 아직 많 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자연의 소박하고 꾸밈없는 아름다움이 잘 표현된 그림으로, 대중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소중한 문화자산이다. 초충도를 현대적인 감 각으로 재해석하기 위하여 일상의 소재들을 예술영 역으로 끌어들인 서양의 팝아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우리문화정서를 계승하면서 국내 외 소비자들의 감각에 맞는 고품격의 문화상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민족정서와 미의식이 잘 표현되어 있는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대중들이 좋아 할 만한 색의 선택과 현대 소비문화의 이미지를 긍 정적인 시각으로 표현한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 작품의 색채를 적용하여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함 으로써, 서양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고부가 가치의 수출용 산업제품으로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전통미가 내재된 초충도를 디자인 개 발에 활용하는 것은 문화주체성의 정립에 있어 그 의미와 가치가 크며, 세계적인 예술사조인 팝아트를 한국 전통문화와 융합시키는 작업은 글로벌 문화시 대에 한국 전통문화가 세계인과 소통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관련서적, 잡지, 도 록 등을 중심으로 초충도와 팝아트에 대한 문헌고 찰을 실시하였고, 고찰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 개발 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은 초충도의 개념과 시대적 배경, 신사임당 초충도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 고, 팝아트의 개념과 표현특징을 살펴본 후 팝아트 의 색채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색채표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컴퓨터 디자인 시스템인 Adobe Illustrator CS5, Photoshop CS5 프 로그램을 이용해 신사임당의 초충도 중 수박과 들 쥐, 가지와 방아개비, 맨드라미와 쇠똥벌레, 원추리 와 개구리의 원형이미지를 라인작업을 통해 기본원 형 디자인, 기본패턴 디자인, 변형 디자인으로 전개 하였고, 초충도의 곤충과 작은 동물들의 모티브들을 이용해, 창의적인 패턴작업을 시도하였다. 개발된 디 자인은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이 1960년대에 실 크 스크린 기법으로 제작한 ‘플라워스’ 연작 10점을 선정하여 색상을 적용시켰다. ‘플라워스’ 시리즈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중들이 선호하는 생동감 있고, 화려한 색상 배색으로 팝아트의 색채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고, 대중의 소비욕을 자극할 수 있는 색채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선정하였다. ‘플 라워스’ 작품에서 기본 색상을 추출한 후 디자인 분 야에서 범용되는 팬톤 컬러를 적용시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은 스카프, 넥타 이, 손수건, 부채 각 11점씩 총 44점을 디자인 캐드 로 제시하였고, 아이템별 3점씩 총 12점의 실물 제 품을 DTP(digital textile printing) 나염 기법을 활용 하여 제작하였다.

    IIChochungdo and Pop Art

    1Chochungdo

    1)The concept of Chochungdo and the historical backdrop

    ‘초충(草蟲)’이란 용어가 미술사에 처음 등장한 것 은 1006년 북송시대(北宋時代)의 황휴복(黃休復)의 익주명화록(益州名畵錄)에서이다. 그 이전에는 충금 (忠禽: 곤충과 새), 승접(蠅蝶: 파리와 나비), 봉선(蜂 蟬: 벌과 매미)과 같이 곤충 하나하나를 이름하거나 화조(花鳥)라는 화목(畵目)에 여러 가지 곤충․풀․ 꽃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Kim, 2012). 초충도는 일 반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작은 야 생풀, 꽃, 곤충 등의 자연물을 소재로 한 그림으로 대자연의 섭리와 질서가 함축적으로 집약된 것으로 우리의 자연관과 미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우리 나라의 초충도는 중국 회화와 교섭이 폭넓게 이루 어지던 고려시대부터 회화양식으로 성립되면서 활 발하게 전개된 것으로 본다(Ahn, 1980). 특히 우리 나라의 초충도는 고려시대부터 그려졌으리라 추측 되며, 단순한 주제, 간결한 구도, 섬세하고 여성적인 표현이 특징적이다(Kim & Ahn, 1993).

    초충도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중국의 영향을 벗어 나, 우리만의 독립적인 화풍이 수립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초충도 화가로는 조선 초기의 신사임당, 조선 중기의 이우, 조선 후기의 정선, 심사정, 김홍 도, 조선 말기의 장승업, 남계우 등을 들 수 있다. 특 히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조선시대 회화사에 있어서 동시대의 중국회화에서도 독립된 화풍으로 전개되 지 못했던 초충도를 한국적 특성을 지닌 독립된 회 화양식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 다(Lee, 2012).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조선 전기 명대의 화조화의 영향인 전형화 된 화본에서 탈피하여 사물의 세심 한 관찰 및 작가의 예술적 소양으로 인하여 독창적 인 화면으로 이끌어내었다(Doh, 1995). 즉, 끊임없 는 중국미술의 영향권 아래 있으면서도 중국회화의 초충도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특성이 거의 드러 나지 않으며, 단지 기법에 있어 화조 화법에서 많이 사용된 몰골법으로 그렸다는 점만이 일치할 뿐이다 (Yu, 2011).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한국의 땅에서 자 생하는 들꽃이나 풀벌레를 소재로 하여 그림의 소 재가 독특할 뿐만 아니라, 초와 충의 다양한 위치구 도 및 초화의 사실적인 형태와 밝고 생동감 있는 색 채의 사용으로 독창적인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는 조선 초기 이후에 한국 화단에 신사임당의 초충 도가 한국적인 독창적 화풍으로서 하나의 모범이 될 만큼 중요한 위치를 확보했음을 보여준다(Ahn, 2000).

    2)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Chochungdo

    신사임당(1504년~1551년)은 율곡 이이의 어머니 이며, 조선 초기 대표적인 여류문인, 여류화가로서 시서화가 모두 뛰어난 인물이다. 신사임당의 초충도 는 소탈한 정서와 고유의 미의식을 갖추어 한국적 화풍의 형성에 있어서 근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신사임당은 비록 하찮은 미물과 보잘 것 없는 잡초 들이지만, 자연 속에서 그들 스스로 서로에게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아름답게 살아가고 있는 자연을 화폭에 담아내고자 하였으며, 한국인의 미의식 속에 잠재해 있는 풀과 벌레를 간결한 형태로 표현하였 다. 소박하고 섬세한 여성의 마음으로 우아한 품위 를 지닌 한국적 미의식의 일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Yu, 2011).

    조선 초기 초충도는 일반적으로 정지된 느낌의 중앙 중심 구도로 소재들이 평면적으로 배치되며, 중앙에 중심이 되는 소재를 배치하고, 사방에 여러 소재를 균제감 있게 배치하였다. 신사임당의 초충도 는 조선 초기 초충도의 전반적인 특징을 보여주면 서 확 트인 공간을 보여준다. 자수의 밑그림을 연상 시키는 간단한 구도, 섬세하고 여성적인 필치, 우아 한 색감 등을 특징으로 하며(Ahn, 1988), 전체적으 로 여성적인 편안한 분위기를 자아낸다(Oh, 1997). 신사임당의 초충도 작품 중에서 현재 실제 작품으 로 전하는 초충도는 채색 초충화 18폭과 자수로 표 현된 초충화 8폭 그리고 화초어죽 흑화 4폭 중 2폭 으로 자수 작품을 포함하여 모두 28폭이며, 최근 입 수된 북한의 자료에 의하면 조선 미술박물관에 가 지와 여치를 소재로 한 작품이 한 점 더 확인되고 있다(Lee & Kim, 2007).

    본 연구에서는 신사임당의 대표적 채색 초충화 중 하나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초충 8폭의 그 림(Fig. 1)을 대상으로 <Table 1>과 같이 구도와 소 재, 색채를 살펴보았다.

    Composition

    초충도에는 한 화면에 비교적 많은 종류의 풀과 벌레가 등장하는데, 화면의 중앙에 두세 가지의 식 물을 그린 다음에 그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각종 풀벌레를 배치하여 좌우균형의 변화를 꾀하였다. 즉, 자연의 구도에서 엄격한 좌(左)와 우(右), 음(陰 과 양(陽)의 질서를 나타내었고, 화면의 가운데를 중 심으로 평면적으로 나열하여 단순하고 간결하게 표 현하였다(Yu, 2011). 좌우로 볼 때 화면의 중앙을 중 심으로 하여 초(草)와 충(蟲)의 위치를 잡아 그려져 있으며, 충의 구도를 살펴보면 삼각형, 사각형의 단 순한 구도를 보이는데, 벌레들의 시선 방향이 자유로 워 정적인 화면에 생동감을 불어 넣는다(Ahn, 2000). 전체적으로 초충도의 화면 구도를 살펴보면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반타원형 구도로 나눌 수 있다. 삼 각형 구도로는 <양귀비와 도마뱀>, <맨드라미와 쇠 똥벌레>가, 역삼각형 구도에는 <가지와 방아개비>, <원추리와 개구리>가 있다. 사각형 구도에는 <산차 조기와 잠자리>, <어숭이와 개구리>가, 타원형 구도 로는 <수박과 들쥐>, <맨드라미와 개구리>가, 반타 원형 구도에는 <오이와 개구리>가 있다(Park, 2009).

    Subject

    초충도의 소재를 살펴보면 초(草)로서는 수박, 가 지, 오이 등의 열매를 맺는 것과 양귀비, 맨드라미, 도라지꽃, 산초자기, 봉선화, 원추리 등의 꽃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 또 다른 부 소재들도 나타나 있 다. 충(蟲)으로는 땅에 기어 다니는 것들과 하늘에 날아다니는 것들이 있다. 우선 땅에 기어 다니는 것 들을 보면 도마뱀, 쇠똥벌레, 개미, 땅개, 쥐 등이 있 고, 날아다니는 것들로서는 잠자리, 나비, 사마귀, 나방, 벌, 여치, 메뚜기 등이 있다(Park, 2009). 신사 임당의 초충도는 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 는 소박하고 하찮은 소재를 선택하고 있다. 신사임 당의 인품이 온화하고 겸손하며, 작은 것에도 세심 하여 배려할 줄 알고, 특히 주위의 자연 환경에 대하 여 남다른 정감을 지니고 있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소박한 소재를 섬세하고 우아한 품위를 지 니도록 하여 보잘 것 없는 소재들을 한국의 미를상징 하는 고귀한 예술로 승화시켰다(Lee & Kim, 2007).

    Color

    초충도에 나타난 색채표현은 화려하지 않으면서 도 우아하고 온화한 특징을 보인다(Ahn, 1988). 초 충도의 색상은 대상을 푸른색, 붉은색, 검은색, 흰 색, 노란색의 다섯 가지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삼라 만상을 조화와 변화로 보았던 음양오행사상에 유래 되었으며, 회화적인 원칙 말고도 철학적인 뜻이 담 겨 있다(Oh, 1997). 신사임당 작품에서 공통되는 색 감은 녹색계통이며, 빨강, 주황, 노랑, 보라, 파랑, 흰 색, 올리브그린 등이 보인다. 배경을 황색으로 처리 하여 그 위에 나타난 꽃의 색이 알맞고, 부드러운 중 간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녹색과 붉은색의 보색대비 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중간색조인 청색으로 단조로 움을 보완하면서 색채의 섬세함과 다양함을 보여주 고 있다(Park, 2002).

    2Pop art

    1)Concepts and features of pop art

    팝아트라는 용어는 1954년 영국의 미술 평론가 로렌스 알로웨이(Lawrence Alloway, 1926~1990)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본래 이 용어는 대중예 술(Popular art)을 지칭하여 사용되었으나, 1962년 알로웨이에 의해 대중적인 이미지를 순수미술의 문 맥 안에서 사용하고자하는 미술가들의 예술 활동을 뜻하는 명칭이 되었다(Jin, Kim, & Park, 2015). 또한 카린 토마스(Karin Thomas)는 팝아트의 개념을 “현 대 소비문화의 제 특징을 조형언어 가운데로 융합 하는 미술활동이며, 그 때문에 광고의 미적 능력을 심리적으로 어필하는 현란한 색채 및 형태를 최대 한으로 이용한다.”고 하였다(Jeong, 2006).

    제2차 세계대전 후 인쇄술과 사진을 비롯한 새로 운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대중문화가 확장되어 갈 때 팝아트는 텔레비전이나 광고, 표지판 등 일상적 이고 흔한 소재들과 대중적 이미지를 미술의 영역 속에 적극 수용하였다. 현대 테크놀로지에 대한 낙 관주의를 기초로 하고 있는 팝아트는 산업화와 대 중문화의 소산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미국의 팝아 트를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팝아 트는 대중문화를 통해 일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이 미지나 매체를 혼합하고 예술을 생활과 결합시킨 표현으로 팝아트의 정수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팝아트는 예술과 현대사회의 관계 에서 대중문화를 통해 등장한 수많은 이미지들을 대중예술로 확장시켜 주었다.

    2)Color expression of pop art

    팝아트는 대중매체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현실을 대상으로 구상적인 표현을 하였고, 대중들에게 친숙 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심리적 경 계를 허물었으며, 색채는 원색적이고 화려하며 강하 게 의도된 색으로 대중들을 매료시켰다. 팝아트 작 가들은 대중의 시선을 끄는 강한 힘이 색채에 있다 고 보고, 색채를 통하여 사물의 성격과 의사전달 효 과를 함축적으로 나타내어 현대 사회에 맞는 예술 을 대중 소비문화로 표현하였다(Kim, Y. J., 2009).

    팝아트의 색채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eong(2006)은 팝아트가 실크 스크린이나 포스터 기 법 등과 같은 상업미술의 표현에 주력하여 나타난 간결하고 깔끔한 색채 표현은 산업사회의 단면을 표현한다고 하면서, 팝아트의 색채특성을 색채의 확 장성, 대중성, 자율성, 평면성, 개방성, 깔끔한 디자 인적 요소로 보았다. Kim, K. M.(2009)은 색채의 대 중성, 상징성, 자율성 등을 특징으로 들면서 팝아트 에서 나타난 색채의 개방과 개성이 대중미술로서 팝아트가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하였다. Kim(2010), Kim(2011), Kim(2015) 등은 팝 아트의 색채 특성에서 젊고 대중적이고 평면적인 특성에 주목하면서 단순하고 선명한 색채가 대중들 의 소비문화에 대한 관심과 욕구를 상승시켜, 팝아 트의 대중적 성공을 가져올 수 있었다고 보았다. 선 행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팝아트의 색채특성을 종합 해서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팝아트의 색채는 젊음을 표현한다. 마치 축제를 표현하듯 강렬하고 현란한 색채는 전 세계의 젊은 이들을 사로잡았고, 열렬한 반응을 일으켰다. 많은 팝아트 작품에서 주조색으로 사용된 노랑, 빨강, 파 랑의 삼원색과 비비드한 원색은 색상대비를 통해 강렬한 느낌을 전달하였다. 이는 팝이 추구하는 생 생한 젊음을 상징하며, 동시에 밝고 대담한 색상의 선택은 좀 더 날카롭고 선명한 시각 효과를 보여주 었다(Jeong, 2006).

    팝아트의 색채는 평면적이다. 팝아트는 바로 이 전 시대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채색재료를 두 껍게 덧칠하는 임파스토(impasto) 기법 대신에 ‘경 박단소(輕薄短小: 가볍고 얇으며 짧고 작음)’를 추구 한 1960년대의 시대감각에 어울리게 단순하고 얇게 채색하여 상식적이면서 까다롭지 않은 기법을 고수 했다(Lippard, Alloway, Marmer, & Calas, 1985/2011). 이로 인해 명료하고 신선한 색채를 표현하였고, 맑 고 투명한 느낌이 우러나오는 질감으로 나타냈다. 조형적인 측면에서 볼 때, 모더니즘적인 평면화의 정립과 색채에 의한 대칭과 균형, 독특한 패턴을 표 현하였고, 세련된 색채감으로 대중들에게 갖고 싶은 충동을 일으켰다.

    팝아트의 색채는 대중적이다. 대중문화의 매스미 디어에서 보여지는 대중스타와 광고의 속성을 사용 하여 대중적 이미지들을 제시하였고, 강렬하고 인공 적인 색채, 특히 형광색채의 사용으로 환상적이고 풍 자적인 메시지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색채표현은 대 중들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했으며, 산업사회의 소비성향을 더욱 가속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색채 특성을 잘 보여주는 팝아트의 대표 작가인 앤디 워홀은 대중문화와 소비사회의 산물을 팝스타나 일상 소비제품의 이미지와 밝은 형광색채 를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대중적이면서도 특정한 이미지를 보편화, 다중화 시켰다. 또한 다양한 색채 사용으로 화면의 단조로움을 극복하였고, 화면 구성 을 위해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적 기법으로 색상이 선명하게 남는 시각적 순환효과를 제시하였으며, 예 술을 대량 생산방식을 통해 상업화하였다(Vaughan, 2007/2011).

    팝아트에서 나타난 명확하고 강조된 색채는 그 자 체만으로도 팝아트를 대변해 주며, 선명하고 대조적 인 색면 구성은 지금까지도 현대인의 시선을 사로 잡는다. 예술을 수용하고 향유할 수 있는 사람이 늘 어나고, 대중들이 예술에 대한 소비 욕구가 상승하 면서 팝아트의 색채는 현대의 대중문화와 미술, 디 자인, 의상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 고 있으며, 자율적 표현 수단이 되어 대중문화를 이 끌어가는 데에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IIIDesign Motifs and Pattern Design Development using Chochungdo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신사임당의 초충 8폭의 채색화 중 수박과 들쥐, 가 지와 방아개비, 맨드라미와 쇠똥벌레, 원추리와 개 구리 등 네 가지로 선정하여 모티브 디자인을 실시 하였다. 컬러는 팝아트의 작품 중 초충도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 앤디 워홀의 ‘플라워스’에서 추출하였 고, 팬톤 컬러로 제시하였다. 패턴 전개는 기본 모티 브 형태에 충실한 기본원형 디자인과 함께 기본원 형을 반복하여 패턴화하면서 곤충, 벌레, 야생초 등 작은 모티브들을 새롭게 조합시켜 창의적인 변화형 패턴을 개발하였다.

    1Motive and pattern design

    수박과 들쥐, 가지와 방아개비, 맨드라미와 쇠똥 벌레, 원추리와 개구리의 원형이미지를 부드러운 곡 선으로 라인 작업하여 부드러우면서도 세련된 감성 을 표현하였다. 모티브디자인은 기본원형 이미지의 컬러를 응용하여 현대적인 감성의 색상으로 최대한 간결하면서 화사하게 표현하였다. 기본 패턴디자인 은 모티브 기본원형 디자인을 사용하여 기본원형의 모티브 모양을 변형하지 않고 패턴화한 것으로, 수 박과 들쥐는 타원형의 구도를 살려 두 이미지를 연 속으로 이어지게 좌우로 배치하고, 서로 수직대칭으 로 전개하였다. 가지와 방아깨비는 기본원형이미지 를 우측으로 배치하고, 수직 대칭으로 구도를 전개 하여 세로타원형의 패턴을 전개하였다. 맨드라미와 쇠똥벌레는 기본원형의 모티브를 180도 회전하여 두 개의 이미지를 나란히 배치하여 표현하고, 서로 맨드라미의 꽃이 마주 볼 수 있게 수직대칭으로 구 도를 전개하였다. 원추리와 개구리는 기본원형이미 지를 복사 이동시켜 사각형의 중심으로 네 개의 이 미지가 사방연속으로 배치하여 새로운 구도를 전개 하였다(Table 3).

    변형 패턴디자인은 <Table 4>와 같이 기본 원형 디자인에서 곤충, 벌레, 야생초 등의 작은 모티브들 을 추출하고, 불규칙하게 조합하여 새로운 복합형의 패턴을 시도하였다. a형은 복합형의 패턴을 반복패 턴으로 전개하여 생동감 있고 산뜻한 느낌으로 표 현하였다. b형은 기본원형모티브와 복합문패턴을 이 용하여 사선으로 배치된 변형 패턴으로 현대적이며 시원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2Application of pop art color

    오늘날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이 대중소비사회 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워홀의 작품 중 초충도와 같은 자연물을 소재로 한 ‘플라워스(flowers)’ 연작 10점을 선정하여 색상을 추출하였다. 워홀은 ‘플라 워스’ 연작을 통하여 인공적인 소재뿐 아니라, 자연 의 대상까지 표현영역을 확장시켰다.

    ‘플라워스’ 연작은 실크스크린 판화기법으로 초 록 풀밭에 떠 있는 알록달록한 꽃송이를 표현한 시 리즈인데, 잡지에 실린 히비스커스 꽃 사진을 추상 화한 작품으로 1964년에 처음 선보였다. 이후 같은 문양이 변형된 작업을 발표하면서 ‘플라워스’ 시리 즈는 1970년대 대표작으로 꼽힌다. 또한 실크스크 린을 사용해 원색적이며 표현력이 강한 색상, 동일 한 이미지를 반복하면서 안료, 잉크의 양, 밀대의 압 력, 이미지의 자리바꿈이나 겹쳐 찍는 방식 등을 통 해 다양한 변주를 제시하였다(Vaughan, 2007/2011). ‘플라워스’는 독특한 색채와 패턴, 밝고 대담한 캔 디 컬러로 젊고 발랄한 느낌을 주며, 소유하고 싶은 소비욕을 느끼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워스’를 작품제작의 색채 소 스로 활용하였는데, 이는 ‘플라워스’가 앞장에서 고 찰한 팝아트의 색채특성인 젊음의 표현, 평면성, 대 중성의 특성을 잘 드러내며,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현대적인 색의 선택으로 소비욕을 자극할 수 있는 색채 특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플라워스’ 작 품에서 포토샵의 아이 드로퍼(eye dropper) 툴을 사 용하여 4가지 주요 색상을 추출하였고, 이를 팬톤 컬러에 적용시켜 제시하면 <Table 5>와 같다.

    IVCultural Goods Design Development using Chochungdo

    개발된 문화상품 디자인은 크게 기본 모티브형, 기본 패턴형, 변형 패턴형의 세 가지로 진행하였다. 기본 모티브형 디자인은 기본 원형 모티브를 원 포 인트로 사용하였고, 기본 패턴형은 기본 원형 모티 브를 반복시켜 패턴화시켰다. 변형 패턴형은 변형 패턴을 적용하면서 화면구성에 있어서도 과감한 면 분할을 시도하여 좀 더 과감하고 현대적인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팝 아트의 색채 표현 특성을 반영하 여 컬러 기획은 초충도 이미지를 통한 다양한 전개 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스카프, 넥타이, 손수 건, 부채의 아이템 별로 적용하였다. 스카프는 밝고 화려한 pinkish(225 PC) 계열로 여성적인 부드러움 을 강조하였고, 넥타이는 명료성과 창조성을 증가시 키는 blueish(298 PC)로 지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 고자 하였다. 손수건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정신 적인 안정감과 평화를 주는 yellow greenish(376 PC) 를, 부채는 환희와 희망의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yellowish(116 PC)로 하였다. 위의 네 가지 선명한 색상을 선정하여 색조대비와 보색대비로 대중들의 시각을 만족시키고, 시선을 끌 수 있는 색채배색을 전개하였다.

    1Basic motive type

    기본 모티브형은 <Table 6>과 같이 기본원형 모 티브를 적용한 것으로, 스카프 a는 나비를 크게 확 대하고, 대칭적인 구도로 크기에 변화를 주어 디자 인하였고, b, d는 한쪽의 원형모티브를 크게 확대하 고,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대칭구도로 전개하였다. c는 맨드라미를 중심부 크게 확대하여 배치하고, 그 밑부분에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원형모티브를 전 개하여 시원스러우면서 밝고 경쾌한 느낌을 표현 하였다.

    넥타이 a, b, c, d는 기본원형 모티브 디자인 사이 즈를 파랑색 배경에 솔리드로 적용하고, 희망의 상 징인 나비를 빈 공간에 배치하여 생동감 있고 발랄 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손수건 a, b, c, d는 기본원형 모티브 디자인 사이즈를 크게 확대하여 중심부에 배치하고, 사각형의 네 부분에 나비라는 모티브를 적용하고, 가장자리에 연두색을 배색하여 생동감 있 고 화사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부채 a, b, c, d는 기 본원형 모티브 디자인을 좌우로 배치하고, 좌우 양 쪽의 사이즈를 다르게 변화시켜 공간감과 통일성을 표현하였다. 팝아트의 현란한 형광 색채를 적용하여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2Basic pattern type

    기본 패턴형 디자인은 <Table 7>과 같이 원형 모 티브를 다각도로 배치하여 패턴화한 디자인이다. 스 카프 a는 기본패턴디자인을 반복하여 가로스트라이 프 디자인을 전개하고, b, c, d는 사각 반복패턴을 전 개하여 체크 디자인 형태로 표현하였다. 넥타이 a, b는 사선스트라이프 디자인으로 전개하였고, c, d는 변형 체크디자인으로 표현하여 격조 있고 시원한 느낌의 감성을 전달하였다. 손수건 a, b, c, d는 기본 패턴 디자인을 반복하여 가로스트라이프와 체크 디 자인으로 전개하였고, 정사각형의 두각을 대칭으로 사선 표현을 주어 변화를 시도하였다. 부채는 작은 패턴을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정교하고 세련된 느낌 을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색과 구성으로 규칙적인 형태성과 평면성을 추구하였고, 선명한 색 채대비로 디자인적인 요소인 대칭과 균형을 강조하 였다.

    3Transformative pattern type

    변형 패턴형은 <Table 8>과 같이 작은 모티브를 복합, 변형한 패턴을 적용하면서 화면구성에 변화를 준 디자인이다. 스카프 a는 변형패턴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좌측에 배치하고, 우측은 강렬한 핑크색으 로 배색하여 심플하면서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이미 지를 표현하였다. b는 사선변형패턴을 좌측에 반복 적으로 전개하고, 우측에는 원색으로 배색하여 율동 적이면서 밝고 경쾌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c는 원형 모티브와 변형패턴을 삼각형의 지그재그 디자인으 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적용하고, 현대적이면서 팝 아트 색채특성을 표현하였다. 넥타이 a, b는 좌우대 칭으로 패턴과 색상의 변화로 조화를 주어 심플하 고 현대적인 느낌을 표현하였고, c는 변형패턴을 연 속적으로 반복 전개하면서 삼각형 형태의 패턴을 가로 스트라이프 디자인으로 적용시켜 율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손수건 a는 사각형에 전체에 반복적으 로 전개하고, 네 등분하여 대칭구도로 연두색을 배 색하여 변화를 주어 세련되고 정교한 느낌을 표현 하였다. b는 변형패턴을 사각형의 틀 안에서 패턴사 이즈를 크게 확대하고, 네 등분하여 연두색라인으로 스테인드글라스의 모자이크처럼 시원하고 자유로 운 감성을 표현하였다. c는 변형패턴을 연두색의 배 경에 자유롭고 불규칙적으로 배치하여 세련된 느낌 을 표현하였다. 부채 a는 사각 체크패턴으로 전개하 였고, b는 변형패턴을 응용하여 대칭적으로 반복하 여 전개하고, 수직 라인의 사이즈에 변화를 주어 율 동감과 자유로운 감성을 표현하였다. c는 삼각형 패 턴에 간결하고 화려한 팝아트 색상을 적용하여 밝 고 경쾌하게 표현함으로써 대중적인 이미지를 부여 하였다.

    4Real cultural product

    디자인 기획을 통해 완성된 스카프, 넥타이, 손수 건, 부채 실물을 제시하면 <Table 9>와 같다.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미의식이 잘 표현된 신사임당의 초충도를 현대적 트렌드에 맞게 젊고 화려한 색과 대중적 이미지로 유명한 앤디 워홀의 ‘플라워스’의 색상을 적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수출용 산업제품으 로 차별화, 개성화, 대중화의 특성을 부여함과 동시 에 문화상품으로서의 실용성을 모색하였다.

    VConclusion

    세계화에 의해 각국의 문화가 모두 비슷해지고 획일화되고 있는 지금, 한국의 디자인이 세계로 뻗 어나가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한국의 전통미를 살리 면서 동시에 세계화된 감각에 맞는 문화상품을 개 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러한 취지로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문화상품 개발을 위하여 신사임당 초충도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팝아트의 색채특성과 색채 표현을 살펴보았고, 독특한 색채와 패턴, 밝고 화려 한 색채의 평면적 사용으로 선명한 시각효과를 추 구한 앤디 워홀의 ‘플라워스’ 연작에서 기본색상 (pinkish, blueish, yellow greenish, yellowish)을 추출 하여 적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모티브형 디자인은 소재 크기의 확대 와 축소를 통한 디자인 배치로 변화와 통일의 조화 를 이룰 수 있었고, 팝아트의 색상대비를 적용으로 신선함과 세련된 현대적 감각을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기본 패턴형 디자인은 초충도의 기본모티 브를 연속적인 반복 패턴 작업을 통해 모던하고 격 조 있는 느낌을 주었고, 팝아트의 독특한 색채와 간 결하게 생략된 평면화된 표현으로 소비적, 상업적인 대중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변형 패턴형 디자인은 기본모티브를 과감 히 변형하여 자유로운 율동감과 긴장감을 동시에 표현하였고, 팝아트의 색채에 의한 대칭과 균형의 디자인적인 요소를 강조해 장식적이고 유쾌한 느낌 을 주었고,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색과 보색 위주의 강렬한 색채대비로 독특한 색채와 패턴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팝아트의 색채특성을 활용한 실물 작품제 작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면서 세 계인의 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디자 인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초충도는 우리 민 족의 역사와 전통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한국적 미의 표현물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또한 초충도에 팝아트의 밝고 대 담한 색감과 색상대비로 선명한 시각효과를 주어 대중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향후 국제화 시대에 보다 경쟁력 있는 상품개발 을 위하여 서양의 예술이나 미적 감성을 우리의 전 통문화와 접목시킨 연구 및 디자인 개발을 지속한 다면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줄 것이며,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가 서양 문 화권의 사람들도 향유할 수 있는 감성으로 받아들 여져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 문화상품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계적인 예술 사조를 한국 전 통문화와 융합시키는 작업은 글로벌 문화시대에 한 국 전통 문화가 세계인과 자연스럽게 소통하게 되 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Figure

    RJCC-23-807_F1.gif

    Shin Saimdang's Chochungdo (草蟲圖) 8-picture images. From. Convitto(2009). http://kin.naver.com

    Tabl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ochungdo

    Color characteristics in pop art

    Basic design in a motive with the application of Chochungdo image

    Transformative pattern design in a motive with the application of Chochungdo image

    Color extraction with the application of a flower work by a pop artist Andy Warhol

    Basic archetype design in a cultural product with the application of Chochungdo image

    Basic pattern design in a cultural product with the application of Chochungdo image

    Transform pattern design in a cultural product with the application of Chochungdo image

    Rehabilitation in a cultural product with the application of Chochungdo image

    Reference

    1. Ahn H J (1980) 한국회화사 [Korean painting history], Iljisa,
    2. Ahn H J (1988) 한국회화의 전통 [Tradition of Korean painting], Moonye Publishing,
    3. Ahn H J (2000) 한국 회화사 연구 [A study on Korean painting history], Sigongsa,
    4. Choi S A , Kim M J (2008) A study of pop-art fashion,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8 (8) ; pp.137- 157
    5. Convitto (2009) Shin Saimdang's Chochungdo (草蟲圖) [Internet Jisikin], from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120102&docId=100550010&qb
    6. Doh H S (1995) A study on Shin Saimdang's Chochunghwa (草蟲畵) ,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7. Jeong K I (2006) The study about expression of pop art: Colors into focu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8. Jin H A , Kim J I , Park H S (2015)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awareness of Pop Art technique applied cultural products ,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15 (2) ; pp.427-439
    9. Jung S H , Jang M K (2011) A study on formative relationship of Pop Art expressed in modern illustration: Focus on color and an image, expression techniques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Vol.31; pp.215-224
    10. Kim J H (2010) Pop artists' expression technique researc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11. Kim K M (2009) Pop artists' color expression technique researc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12. Kim M H (2008) 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Pop Art techniq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2 (4) ; pp.659-668
    13. Kim S H (2012) A study of Shinsaimdang's the painting of grass and insect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4. Kim S J (2011) Pop art researc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15. Kim S Y (2015) A study on pop art expression using photo imag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6. Kim W R , Ahn H J (1993) 신판 한국 미술사 [(New edition) Korean Art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7. Kim Y J (2009)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from paintings of Andy Warhol: Focusing on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 Unpublished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Korea,
    18. Koh M S (2010) 앤디 워홀의 위대한 세계’ 전 꽃이 피어 봄이다 [‘The Great World of Andy Warhol’ exhibition-flowers bloom is spring] , dongA.com, from http://news.donga.com/3/all/20100101/25149873/2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2104353
    19. Lee B G (2012) The study of modern exploration of Korean Cochungdo ,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0. Lee Y M , Kim Y J (2007) Fashion design utilizing Saimdang Shin's Cho-Chung-D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7 (2) ; pp.135-152
    21. Jeong S H , Lippard L R , Alloway L , Marmer N , Calas N (2011) 아트 : 예술과 상품의 경계에 서다 [Pop Art: Stand on caution of art and merchandise] (Trans) , Seoul: Sigongart.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22. Oh J K (2011) A study of popster in the works of textile design using formative images , Unpublished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3. Oh K J (1997) An aesthetic sense of Korea which was appeared in Chochungdo of Chosun perio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4. Park S E (2009) A study of Shinsaimdang's the painting of grass and insects , painting of grass and inse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25. Park W Y (2002) 한국 채색화 기법 [Korean coloredpainting technique] , Seoul: Jaewon,
    26. Song H R (2011)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applying similarity between Korean folk painting and pop art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7. Shin S R Vaughan W (2011) 화가로 보는 서양미술 사: 비잔틴에서 팝아트까지, 치마부에에서 앤디 워홀까지 , [The encyclopedia of world artists], Bookroad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28. Wi J S , Rha S I (2004) A study on the code of Pop art in modern style of clothing: Since the early of the 2000'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2 (3) ; pp.441-454
    29. Yim E H (2005) Pop art-inspired fash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5 (1) ; pp.13-24
    30. Yu J E (2011)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Grass and insect painting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Vol.23; pp.69-96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