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ntroduction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4년 뉴 시니어와 시니어 인구 비율은 총 인구의 33.5%로 2024년에는 43.4%, 2034년에는 50.5%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4). 이같이 급속하게 증가되는 시니어 인 구 비율은 우리나라의 시니어 시장을 위한 제품개 발과 산업 규모의 확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미 시 니어 산업을 위한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국내 시 니어산업은 요양, 주거, 용품, 금융, 교육, 여가, 문 화, 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시니어 산업 분야 중에서 의류산업 은 건강하고 활기찬 뉴 시니어들에게 있어 그들의 삶을 보다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직접적인 역 할을 한다. 따라서 시니어를 위한 의류산업의 활성 화에 따른 시장 규모의 확대는 타 연령층에 비해 상 당히 유망하며, 의류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 상된다(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2006).
현재까지 시니어를 위한 의류산업 육성은 주로 요양복, 병원복 등 신체적 기능 저하로 인한 불편사 항을 개선해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시니어 를 병약하고 사회적 돌봄이 필요한 집단으로 보고, 신체적 특징 중심의 제품 기획으로 나타났다. 그러 나 이는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뉴 시니어들의 욕구 와는 상이하고, 변화된 라이프 스타일과 패션 욕구 를 충족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악센트 아이템으로서 스카프를 선정 하고, 뉴 시니어 여성의 디자인 선호도를 반영하여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카프는 의복에 비해 다양한 무늬와 색상으로 구 성되고, 유행에 민감하지 않으며, 착용과 비용 면에 서 활용도가 높은 아이템으로 여성용 패션 상품 중 대표적인 악센트 아이템이다. 또한 스카프는 장식적 인 요소와 보온, 방한 등 신체 보호적 요소가 결합되 어 있으며, 패션에 관심이 높은 뉴 시니어 여성의 미 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악센트 아이템으로써 그 중 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스카프 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는 스카프의 조형 적 디자인 연구(Jung & Kim, 2002; Kim & Seo, 2012; Roh, 2013)와디자인 개발연구(Kim, 2002; Kim, 2009; Moon, 2010; Park & Kim, 2005)를 중심으로 연구되 어 왔으며, 대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 시니어 여성을 위한 스 카프 디자인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뉴 시니어 여성 을 대상으로 스카프 디자인의 선호도, 구매행동, 요 구속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스카프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 디자인 선호도와 구매 행동을 알아본다.
둘째,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 요구속성을 알아 본다.
셋째, 뉴 시니어 여성의 요구에 적합한 스카프 디 자인을 제안한다.
II.Background
1.Characteristics of new senior women's
뉴 시니어는 기존 시니어와는 구별되는 세대를 뜻 하며, 시니어를 준비하는 중년층을 나타낸다. 이들은 기존 시니어와는 구분되며, 경제력을 갖추고, 다양한 활동을하는독립적이고능동적인세대를말한다(Kim, 2005). 이에 반해 기존 시니어는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고, 변화에 따른 대응 능력이 부족하고, 신체적 기 능이 저하된 의존적 성향을 나타내는 세대이며(Seo, 1991), 경제적으로는 독립성이 낮아 소극적 소비성 향을 보인다. 다시 말하면, 뉴 시니어는 외국문화가 유입되고, 한국영화와 음악의 전성기인 60~70년대 에 유년기와 청년기를 보내고, 90년대 국내 경제 발 전의 중심에 있었던 세대로서, 기존 시니어보다 높 은 학력, 높은 경제력, 높은 자기 개발 욕구와 자신 을 중요시하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Kim, 2005), 젊고 활기찬 삶을 지향하는 50대, 60대의 신 노년층 을 일컫는다.
뉴 시니어의 연령에 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Kim and Lee(2007)는 뉴 시니어의 기준 연령을 55세로 정의하였으며, Lee(2010)는 뉴 시니어의 기준 연령 을 50대, 60대 계층으로 사용하였다. Lee and Park (2013)은 50세에서 64세의 중년층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0대, 60대를 뉴 시니어로 정의 하였다.
뉴 시니어 여성은 기존 시니어 여성과 다른 특성 을 보인다. 선행 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뉴 시니어 여성의 특성을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관점에서 분 류하였다.
첫째, 뉴 시니어 여성의 신체적 특성은 신체변화 의 시작기로 근력의 약화와 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둥근 어깨, 어깨의 앞 기울어짐, 아랫배 돌출, 허리 둘레 증가, 엉덩이 처짐 등의 신체적 변화가 나타난 다(Kweon, 2003). 이와 같이 나이의 증가로 인한 신 체적 노화의 현상은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나, 뉴 시 니어 여성은 의학의 발달과 안정적인 경제력을 바 탕으로 건강한 삶을 지속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젊은 생각과 운동, 식이요법 등을 통해 자 신의 체형을 유지하고자 하며, 패션 연출을 통해 체 형을 보완하는 등의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뉴 시니어 여성의 심리적 특성은 자신의 존 재를 인정받고 싶어 하며, 자신을 중요시하는 가치 관을 가진다는 것이다.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 사 회적 역할의 상실, 가족 축소 및 배우자의 사망 등으 로 인한 자아 존중감,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켜 심리 적 위축감을 준다(Kim & Lee, 2007). 그러나 뉴 시 니어 여성은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사회적 활동 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 하며, 이를 위 한 패션, 뷰티, 미용 등 외적인 분야에 대한 관심도 가 높다. 이를 통해 패션에 관심을 가지며 자아 존중 감을 향상시킨다(Kim, 2008).
셋째, 뉴 시니어 여성의 경제적 특성은 기존 시니 어보다 안정적인 경제력이다. 시니어 여성은 자녀 의존도가 높고, 소극적 소비성향을 보인다(Kim & Lee, 2007). 뉴 시니어 여성은 연금, 저축 등의 노후 대비를 통한 안정적인 경제력을 바탕으로 패션, 뷰 티, 건강, 미용,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고 적극적인 소비 성향을 보인다. 특히, 시각적 영향력 이 높은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패션제품의 구 매를 통해 매력적인 모습으로 보이고자 노력한다 (Matsumoto, 2007/2007).
2.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scarf
스카프의 사전적 정의는 장식적 또는 실용적인 액 세서리의 하나로서, 신체보호와 장식의 목적을 위해 어깨나 목, 머리위에 착용하는 것을 말한다(Fashio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9). 스카프의 기원은 극동지방 민족이 방한용으로 사용한 데서부 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스카프는 형태와 크기, 소재, 무늬, 색상 등에 따라 다양하며, 소재는 견, 모, 면, 마, 합성섬유 등 다양한 재질을 계절에 맞추어서 사 용하고 있다. 스카프는 크기와 형태, 소재, 무늬, 색 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견섬유, 모섬유, 면섬 유, 함성섬유가 많이 사용된다. 스카프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스카프를 형태, 착용 부위, 착용 용 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스카프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스카프의 형태, 착 용 부위, 착용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우선 형태에 따른 스카프의 종류는 크게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으로 나뉘고, 그 외에 마름모형, 불 규칙한 형태의 스카프도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스 카프에는 숄(shawl), 케이프 스톨(cape stole), 도파타 (dopatta), 만틸라(mantilla), 맥시 스카프(maxi scarf), 행커치프(handker chief), 네커치프(neckerchief) 등이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 스카프는 레보소(rebozo), 머 플러(muffler), 스톨(stole), 초커(choker) 등이 있으며 삼각형 스카프로는 세일러 스카프(sailor scarf), 힙 랩 스카프(hip wrap scarf), 스패니쉬 숄(Spanish shawl) 이 있다.
다음으로 착용부위에 따른 스카프의 분류는 머 리, 목, 어깨 등 두르는 부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데, 머리에 두르는 양식은 두건(hood)형, 베일(veil) 형, 터번(turban)형, 헤어밴드(hair-band)형이 있으며, 목에 두르는 양식은 타이(tie)형, 카우보이(cowboy) 형, 드레이프(drape)형이 있다. 또 어깨에 두르는 양 식은 숄더 랩(shoulder wrap)형, 케이프(cape)형이 있 는데, 이외에도 허리에 둘러 벨트 대용으로 착용하 거나, 상체에 둘러 상의 대용으로 착용하는 등 개인 의 기호, 문화,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나 타난다.
마지막으로 스카프는 착용용도에 따라 신체 보호 용, 장식용, 종교용 스카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스카프들은 보온, 방한, 방진, 자외선, 차 단, 지혈 등의 신체 보호와 의복의 장식용으로 사용 되고 있다. 장식용의 경우에는 의복 장식 외에 작은 스카프를 손목에 둘러 팔찌로 활용하거나, 모자에 리본처럼 두르거나, 핸드백 손잡이에 둘러서 악센트 를 주는 등 개성적인 패션을 연출하는데 이용되기 도 한다. 종교적 용도로는 성직자의 스톨(stole), 아 랍 여성들이 착용하는 히잡(hijab), 미사시 여성의 머 리에 두르는 미사보(veil) 등이 있다.
III.Methods
1.Questionnaire survey
본 연구는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에 대한 선호 도를 조사하기 위해 부산·울산 지역 50~69세 이하 의 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 까지 총 150부를 배부하여 불충분한 응답지를 제외 하고, 136부를 조사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총 35문항으로 인구통계학적 특 성 조사를 위한 조사대상의 연령, 거주지, 학력, 직 업, 월 평균 가계소득을 묻는 5개 문항과 구매 행동 조사를 위한 5개 문항,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위한 색상, 소재, 무늬, 형태, 길이를 묻는 5개 문항, 스카 프 요구속성 조사를 위한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스카프 요구속성 조사를 위해 SD법에 의한 7점 리 커트 척도(Likert scales)를 사용하였으며, Row(2006) 의 문항을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IBM SPSS Statistics21과 Excel 2010을 이용하였다. 인구통계학 적 특성, 스카프 구매실태와 디자인 선호도의 일반 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고, 스카프 요구속성 조사는 빈도분 석과 요구속성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신 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하였다.
2.Scarf design
스카프 디자인은 뉴 시니어 여성의 특성과 설문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 이미지와 모티브를 선정하였다. 디자인 이미지는 뉴 시니어 여성의 특 성을 반영하여 세 가지 이미지를 제시하였으며, 디 자인 모티브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하였 다. 각 이미지 유형별 3점의 스카프 디자인을 하여, 총 9점의 스카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패턴 전개는 도식화 및 디자인 제시를 위해 Adobe Illustrator CS 6와 Adobe Photo CS 6 프로그램을 사 용하였으며, 모티브의 반복, 축소, 과장, 변형을 통 해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IV.Result and Discussion
1.Questionnaire survey
1)Demographic characteristics
설문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 령은 50대 72.7%, 60대 27.3%로 50대의 비율이 높 게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부산 60%, 울산 40%로 나 타났다.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 61.4%, 고등 학교 졸업 이하 38.5%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졸업자의 비율이 높은 시니어 여성과 차이를 보인 다(Han, 2011). 직업은 전업주부 61.8%, 전문직 18.4%, 자영업 11%, 판매서비스직 4.4%, 기타 4.4%로 전업 주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설문 대상자들의 비중에서 은퇴 연령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 다. 월평균 가계소득은 300만 원 미만 10.3%, 300~ 400만 원 미만 19.9%, 400~500만 원 11%, 500~600 만 원 미만 18.4%, 600만 원 이상이 40.4%로 고소득 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Purchasing characteristic of scarf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 구매 행동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구매 시기, 구매 횟수, 구매 중요도, 착용 용도, 구매 장소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스카프 구매 시기는 계절과 무관 42.6%, 가을 37.5%, 겨울 19.9% 순으로 나타났다. 봄, 여름의 스카프 구입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계절과 무관에 포함된다고 사료된다. 연간 스카프 구매 횟수는 4회 이상(33.1%) 구입한다는 응답이 가 장 많았으며, 3회 22.8%, 2회 27.2% 순으로 나타났 다.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 구매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카프 구매 시 중요도는 3개의 복수 응 답을 허용하였으며, 색상 31.6%, 디자인 24.3%, 소 재 22.3% 순으로 나타났다. 뉴 시니어 여성은 스카 프 구매시 색상을 가장 중요시 여기며, 유행, 브랜드, 관리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스카프 착용 용도 는 정장용 38.2%, 일상용 33.8%, 캐쥬얼용 24.3%로 뉴 시니어 여성들이 스카프를 외출복과 일상 생활 복에서 많이 착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스카프 구 매 장소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백화점이 94.1%로 대 부분의 응답자들이 선택하였다. 이는 백화점이 다른 형태의 상점보다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며, 교통편의 등 여러 환경 조성이 그들의 욕구를 반영해 주어 쇼 핑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Park & Kang, 2006). 뉴 시니어 여성은 주로 백화점에서 스 카프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쇼핑몰에 서의 구입도가 낮게 나왔는데, 이는 직접 착용 후 구 매 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3)Preference of scarf design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 디자인 선호도를 알아 보기 위해 선호하는 색상, 소재, 무늬, 형태, 길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스카프 구입 시 색상은 가장 먼저 시각적으로 판단 하는 영역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뉴 시니어 여성은 혼합 계열(44.9%)과 무채색 계열(44.1%)을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카프 소재 선호도는 모섬유 (46.3%), 견섬유(20.6%), 기능성섬유(14.0%), 합성섬 유(8.1%) 순으로 모섬유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스카프 무늬 선호도는 자연 무늬(27.9%)의 선호도가 가장 많았으며, 기학학 무늬(27.2%), 민무늬(21.3%) 순으로 나타났다. 스카프 형태 선호도는 직사각형 (93.4%)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카프 길이 선호도는 긴 길이(59.6%), 중간 길이(37.5%) 순 으로 나타났다.
4)Equirement attribute of scarf
스카프 요구속성 분석 결과, 연령별 차이는 “착용 시 타인이 알아주는”, “자신의 개성을 잘 표현해 주 는”, “마음에 드는 색상”, “새롭고 독특한 디자인”, “보관과 관리가 용이한”의 5개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착용 시 타 인이 알아주는” 문항에서는 60대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개성을 잘 표현해 주는” 문항 에서는 50대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마 음에 드는 색상” 항목에서는 50대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새롭고 독특한 디자인” 항목에서도 50 대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보관과 관리 가 용이한” 항목에서는 60대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 났다(Table 3). 이처럼 스카프 구매 시 50대는 60대 보다 개성, 색상,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요구도가 높 고, 60대는 타인의 평가와 용이한 관리성에 대한 요 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0.815 로 높게 나타났다.
2.Scarf design
1)Design concept
뉴 시니어 여성은 실제 연령과 인지연령이 큰 차 이를 보이며 젊게 오래 살기를 원하는 시니어들이 며, 건강한 삶을 위해 자신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 을 들이고 있다. 이들은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개성적 표현을 위한 악센트 아이템인 스카프의 착 용으로 다양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디자인 콘셉트는 이러한 뉴 시니어들의 특성을 반 영한 이미지로써,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추구하 는 개성미와 사회와 가족 간의 화합과 소통을 추구하 는 공존미, 뉴 시어니들이 가지고 있는 내적 가치를 성숙미로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뉴 시니어 여 성들의 자연무늬 모티브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나무 를 주제로 나뭇잎과 꽃잎, 나뭇가지, 수피를 대상으 로 모티브를 전개하여 디자인하였다. 나무는 죽음에 서 끊임없이 재생하고, 영원히 회귀하는 우주의 시간 을 상징한다. 이는 수명이 연장되고 100세를 바라보 는 뉴 시니어 여성에게 인생의 끝이 아닌 새로운 시 작의 의미로 삶의 활기를 줄 수 있는 스카프 디자인 을 제안하였다. 개성미는 뉴 시니어 여성들의 감성적 어려움에서의 자유로움에 대한 소망을 나뭇잎과 꽃 잎을 모티브로 시니어 여성의 개성적 아름다움을 디 자인하였고, 공존미는 마른 나뭇가지를 모티브로 바 싹 마른 나뭇가지처럼 고독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 니어 여성과 나뭇가지를 겹침으로 소통을 통해 고독 감을 극복하는 시니어 여성의 공존의 아름다움을 디 자인하였다. 성숙미는 나무의 수피를 모티브로 땅의 자양분이 되는 수피처럼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연륜이 쌓이며, 사회의 자양분이 되는 뉴 시니어 여성의 성 숙한 아름다움을 디자인하였다. 각 이미지 유형별로 각 3점씩 총 9점의 스카프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2)Design development
디자인의 전개는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 시 니어 여성의 디자인 선호도와 요구 속성을 반영하 여 각 이미지별로 적합한 디자인 콘셉트로 디자인 을 구성하였다. 색상은 선호도가 높게 나온 혼합 계 열과 무채색 계열을 사용하였으며, 소재는 모 섬유 와 견섬유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 도출된 자연 무늬와 기하학 무늬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전 개하였다. 형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선호 도가 높게 나타난 있는 직사각형과 사각형으로 디 자인하였으며, <Table 4>는 각 디자인 콘셉트에 따 른 이미지 유형별 모티브를 디자인이다.
Design Ⅰ
디자인Ⅰ은 나뭇잎과 꽃잎을 모티브로 뉴 시니어 여성의 개성미를 형상화하였으며, 스카프 색상은 선 호도가 높게 나타난 혼합 계열로 채도가 높지만 명 도가 중에서 중하인 동적이고 화려하고 액티브한 색상을 사용하였다. 패턴은 나뭇잎과 꽃잎을 단순화 하여 자연무늬로 대칭·반복 배열을 통하여 전개하 였으며, 소재는 선호도가 두 번째 높게 나타난 견섬 유를 제안하였다. 스카프의 크기는 가로 90cm×세로 90cm의 정사각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Table 5>는 뉴 시니어 여성들의 특성에서 도출 된 개성미를 반영한 각 디자인별 전개도 및 조형요소 들을 나타난 표이다. 디자인Ⅰ-1은 나뭇잎의 형태를 변형하여 뉴 시니어 여성의 개성을 표현하였으며, 패턴은 대칭 배열하였고, 색상은 검정색의 바탕에 원색을 사용하였다. 디자인Ⅰ-2는 흩날리며 떨어지 는 꽃잎을 단순화하여 뉴 시니어 여성의 개성을 표 현하였으며, 패턴은 반복 대칭 배열하였고,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붉은색을 사용하였다. 디자인Ⅰ-3은 꽃잎을 단순화하여 컬러 바리에이션을 통해 뉴 시니 어 여성의 개성을 표현하였으며, 패턴은 반복, 율동, 겹침 배열하였고, 색상은 붉은색을 사용하였다.
Design Ⅱ
디자인Ⅱ는 나뭇가지를 모티브로 뉴 시니어 여성 의 공존미를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스카프 색상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무채색 계열을 사용하여 고 상하고 우아하며 점잖은 느낌의 색상을 사용하였다. 패턴은 나뭇가지를 단순화하여 기하학 무늬로 대 칭·반복·겹침 배열을 통하여 전개하였으며, 소재 는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모 섬유와 견 섬유를 제안 하였다. 스카프의 크기는 가로 90cm, 세로90cm의 정사각 형태와 가로 180cm, 세로 70cm의 직사각 형 태로 나누어 디자인하였다.
<Table 6>은 뉴 시니어 여성들의 특성에서 도출 된 공존미를 반영한 각 디자인별 전개도 및 조형요 소들을 나타난 표이다. 디자인Ⅱ-1은 마른 나뭇가지 를 선으로 단순화하여 뉴 시니어 여성의 고독감을 표현하였으며, 패턴은 모티브를 반복·겹침 배열하 였고, 색상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을 사용하였다. 디 자인Ⅱ-2는 마른 나뭇가지를 직선으로 촘촘히 배치 하여 뉴 시니어 여성의 소통을 표현하였으며, 패턴 은 반복 배열하였고, 색상은 검은색 바탕에 흰색을 사용하였다. 디자인Ⅱ-3은 마른 나뭇가지가 겹쳐짐 으로 고독감을 벗어나고, 공존하는 뉴 시니어 여성 을 표현하였으며, 패턴은 반복 배열하였고, 색상은 검은색 바탕에 흰색을 사용하였다.
Design Ⅲ
디자인Ⅲ은 나무 수피를 모티브로 뉴 시니어 여성 의 성숙미를 형상화하였으며, 스카프의 색상은 혼합 계열과 무채색 계열을 중심으로 중정도의 명도와 채 도를부여함으로써우아하고성숙한느낌을주고자하 였다. 패턴은 수피를 단순화하여 기하학 무늬를 사용 하여 반복·비례·율동·대칭 배열을 통하여 전개하 였다. 소재는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모 섬유를 제안 하였다. 스카프의 형태는 선호도가 높게 나온 정사각 형과 직사각형으로 디자인하였으며, 스카프의 크기는 가로 90cm, 세로 90cm의 정사각 형태와 가로 180cm 세로 70cm의 직사각 형태로 나누어 디자인하였다.
<Table 7>은 뉴 시니어 여성들의 특성에서 도출 된 성숙미를 반영한 각 디자인별 전개도 및 조형요 소들을 나타난 표이다. 디자인Ⅲ-1은 수피를 단순화 하여 반복 배열함으로 뉴 시니어 여성의 경력을 표 현하였으며, 패턴은 모티브를 반복·비례·율동 배 열하였고, 색상은 안정감을 주는 갈색과 성숙함을 나타내는 붉은색을 사용하였다. 디자인Ⅲ-2는 수피 의 탈각의 반복됨을 뉴 시니어 여성의 연륜으로 표 현하였으며, 패턴은 모티브를 변화·대칭 배열하였 고, 색상은 편안함을 주는 녹색과 안정감을 주는 갈 색을 사용하였다. 디자인Ⅲ-3은 땅의 양분이 되는 수피와 같이 사회의 자양분으로서의 성숙한 뉴 시 니어 여성을 표현하였으며, 패턴은 반복 배열하였 고, 색상은 검은색 바탕에 회색을 사용하였다.
V.Conclusion and Suggestion
본 연구는 뉴 시니어들의 기호에 맞는 스카프디 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뉴 시니어 여성 136명을 대 상으로 스카프의 구매행동과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 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뉴 시니어여성의 패션 연출 에 악센트 디자인으로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9 점의 스카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시니어 여성의 스카프 구매 특성을 분석 한 결과, 스카프의 구매 시기는 계절과 무관하거나, 주로 가을과 겨울에 구매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봄, 여름에는 거의 구입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구매 횟수는 연 4회 정도이며, 구매 시에 우선으 로 생각하는 것은 스카프의 색상과 디자인, 소재 순 으로 나타났다. 구매 장소는 백화점을 가장 선호하 였으며, 색상은 혼합 계열과 무채색 계열을 선호하 였고, 소재는 모섬유와 견섬유를 선호하였다. 무늬 는 자연무늬와 기하학 무늬를 선호하였으며, 형태는 직사각 형태의 길이가 긴 스카프를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스카프의 요구속성에 대한 고찰 결과, 총 20 개의 문항 가운데 5개의 문항에서 50대와 60대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60대는 “착용 시 타인이 알아주 는”, “보관과 관리가 용이한” 문항에서 50대에 비해 요구속성이 높은 반면, 50대의 경우는 “자신의 개성 을 잘 표현해 주는”, “마음에 드는 색상”, “새롭고 독특한 디자인” 항목에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나, 50대는 60대보다 개성적이고 독특한 스카프 를, 60대는 50대보다 타인의 시선을 고려한 디자인 과 관리가 용이한 스카프 디자인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콘셉트는 뉴 시니어 의 특성을 반영한 개성미와 공존미 그리고 성숙미 를 추출하였으며, 각 콘셉트별 3점씩의 하위 디자인 을 전개하여 총 9점의 스카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모티브는 자연무늬를 선호하는 뉴 시니어 여성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나무를 주제로 하였으며, 개성 미는 나뭇잎과 꽃잎으로, 공존미는 나뭇가지로, 성숙미는 수피를 이용하여 각 모티브 디자인을 단순화시키거나 기하학적으로 배열과 반 복을 통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뉴 시니어 스카프 시장의 가치 를 인식하고 다양화되지 못한 국내 스카프 시장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제한점 으로는 부산,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니어들의 스카프 디자인의 선호도 및 요구속성을 추출하였으 므로 확대 해석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