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4 pp.581-594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4.58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ymbolic pattern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 Focusing on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

Bonhye Ku, Mihyun Kim*
Dept. of Fashion Art, Chung Ang University, Korea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 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f_art@cau.ac.kr
April 23, 2015 June 14, 2015 July 2, 2015

Abstract

The emergence of pop art in the 1960s exerted a profound impact on integrating art into the real lives of the general public, which continues in the current area of culture of post-industrial society. Thus, this study aims to attempt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Korean images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p art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symbolic image. This study utilized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which are national symbolic images that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 through differentiation, universality, and visual formativeness. It then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pop art motives and patterns using national symbolic images from the standpoint of symbolism, mix-match, and repetitiveness fro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art. This study carried out pattern design by departmentalizing each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through scribbles composed of the following: Signs, pictograms, and childlike characters; drawing simplification for symbolism; a mix of the East and the West; a mix of subfashion and subculture for mix-match; the repetition of lines, characters, and icons; and the exaggeration and grotesqueness of characters and icons for repetitive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momentum for raising the cultural value of Korea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attern design capable of achieving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ermanence and continuity of national symbols with the popular universality of pop art.


네오 팝아트 방식을 적용한 국가상징 패턴 개발

구 본 혜, 김 미 현*
중앙대학교 패션예술학과
*중앙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네오 팝아트(Neo-pop art)는 매스 미디어와 광고 등 대중문화의 시각이미지를 미술 영역에 받아들인 팝아트의 영향을 받은 현대 미술의 한 장르이다. 네 오 팝아트는 팝아트를 현대에 맞게 재해석한 동시 대적 표현이라 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바탕으로 그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는 대중매체와 대중문화의 발 전 현상으로 네오 팝아트는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 해 동시대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제프 쿤스, 키스 해링, 무라카미 다카시 등의 젊은 작가들을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는 네오 팝아트는 패션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하여 작품의 영 역을 확장하는 등 일반 대중에게 쉽게 접근하고 있 다. 네오 팝아트 작가의 작품을 활용한 콜라보레이 션 작업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아트 혹은 패션상 품으로 전개되고 있다. 예술 양식을 활용한 디자인 의 다양성은 네오 팝아트 캐릭터를 적용한 티셔츠, 가방, 신발 등의 패션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캐릭 터 개발과 패턴 제안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방면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처럼 대중에게 친 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네오 팝아트의 기본적 특성 관점에서,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국가상징 이미지 모색과 모던화 방안의 패턴 개발은 국가라는 브랜 드의 글로벌화를 위한 필요성의 대안이 되리라 사 료된다.

    국가는 자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국가상징 이미 지에 다양한 의미를 적용시켜, 이를 다른 국가와 구 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디자인 제품에 적용하여 그 상징물과 접목시켜 글로벌 상품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최근 패션디자이 너 이상봉이 한글을 텍스타일디자인으로 활용한 패 션 디자인을 선보여 세계적인 공감을 일으킨바 있 다. 이처럼 국가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이 시 도되고는 있지만 시류에 적합한 디자인 모색과 모 던화를 통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상징 이미지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 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대중적 이 미지를 강조하는 네오 팝아트 관점을 적용한 현대 적 국가상징 패턴을 개발하고자 한다. 패턴개발에 활용된 국가상징 이미지는 행정부에서 그 분류와 상징성을 제시하고 있는 상징물로 무궁화, 태극기, 국새로 하였으며, 이는 한국의 국가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기본 상징물이라 사료된다. 이는 차 별성과 보편성 그리고 시각적 조형성을 갖추고 있 는 국가 상징 이미지(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PAS)로 국가에서 선정한 대표적 상징물로써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관점으로 네오 팝아트 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류를 고려하여 대 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국가상징물을 고찰한다. 둘째, 국가상징으로 무궁화, 국기, 국새가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현황과 문제점을 분 석 및 고찰하여 새로운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대중이 친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네오 팝아트 관 점의 국가상징 패턴을 24작품을 제안하고, 결론에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팝아트를 현대적 시각에 맞게 해석하 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한 장르인 네오 팝아트 관 점에서 국가상징을 적용한 패턴을 개발하여, 대중적 이며 모던한 한국의 독자적 상징 이미지로 거듭 날 수 있는 연구의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 를 둔다.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와 작품제작 실증연구를 병 행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네오팝아트의 특성을 이해하고, 국가상징 패턴 개발을 위해 현재 국가상 징 이미지가 활용된 다양한 패션문화상품 사례를 살 펴본다. 국가상징의 개념을 고찰하기 위해 우리나라 국가상징 이미지를 관리하고 있는 행정부(MOPAS, 2014)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인터넷 검색을 통해 국가 상징 이미지인 무궁화, 태극기, 국새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의 디자인 사례를 고찰하였다. 네오 팝 아트의 이해를 돕기 위해 두산백과사전(doopedia)과 Ahn(2011), Lee(2009)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네오 팝아트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Ahn (2011), Jung(2010), Kim, Y. H.(2012), Lee(2009), Park (2015)의 네오 팝아트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와 관련성이 있는 상징성, 믹스매 치, 반복성의 관점에서 국가상징 패턴을 개발하였다.

    II.Theoretical Background

    1.Neo-pop art

    네오 팝아트의 용어적 정의를 살펴보면 네오(Neo) 는 ⌈새로운⌋ , ⌈탄생⌋ 이라는 의미의 연결 형용사이 다. 그 어원은 그리스어의 ⌈새롭다⌋ 라는 용어로써, 네오스(Neos)가 어원이다(Ahn, 2011). 영어의뉴(New), 불어의 누보(Nouveau) 등도 그 파생어이다. 팝(Pop) 은 원래 포퓰러(Popular)의 약자로 쓰인 말이며, 포 퓰러 아트(대중예술)에서 유래되었으며, 1960년 뉴 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반체제적인 젊은 아티스트 들에 의해 반 예술적 지향의 만화, 상업디자인, 영화 스틸, TV 등 대중 사회의 매스 미디어 이미지를 주 제로 삼는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네오 팝은 두 단어 의 의미를 결합하여 팝아트의 새로운 부활, 탄생이 라는 의미를 부여한다(Ahn, 2011). 198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네오 팝아트가 끼치는 영향은 지속되고 있으며, 하나의 미술사조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트 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네오 팝아트는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음악 등 대 중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자란 세대의 문화 집약이 며, 팝아트를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고 새로운 테크 닉으로 표현한 새로운 장르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네오 팝아트의 등장은 사회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 상을 담고 있고, 모든 매체를 이용하고 수용함으로 써 그 영역이 점차 커지고 있다(Lee, 2009). 네오 팝 아트 작품은 현재의 시대적 아이콘이 한 형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캐릭터, 아바타와 같은 가상의 인 격체, 픽토그램과 같은 이미지와 문자가 결합된 기 호, 순수미술과는 구별되는 키치, 인터넷 글쓰기를 통한 환상문학, 만화와 애니메이션 그리고 각종 하 위문화 그룹을 아우르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 다(Ahn, 2011). 이와 같은 네오 팝아트 작품은 전시 회를 통하여 대중에게 선보이기도 하지만, 최근 다 양한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하여 제품에 그 영 감과 패턴 디자인으로 적용되어 일상에서 쉽게 접 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은 Ahn(2011), Jung(2010), Kim, Y. H. (2012), Lee(2009), Park(2015)의 네오 팝아트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특성을 정리한 것으로, 본 연구에 서는 관련성이 있는 상징성, 믹스매치, 반복성의 관 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2.National symbol

    국가상징이란 국제사회에 한 국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자국을 잘 알릴 수 있는 내용을 그림이나 문자도형 등으로 나타낸 공식적인 징표로서, 국민적자긍심의 상징이라 할수 있다(MOPAS, 2014). 국가상징은 어느 한 순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기 보다는 그 국가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환 경이나 학습 그리고 관습에 의한 주관적 의미체계 를 지니고 있으며, 그 관념들을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기호화한 표현이다(Kim, M. H., 2012). 이렇듯 국가상징은 세계의 각 나라마다 그 역사와 문화를 기초하여 국기, 국가, 국화 등을 국가의 상징물로 정 하고 있다. 이는 대내적으로는 국민들의 애국심을 화합하고 조화를 고취시키며, 대외적으로는 나라 이 미지를 부각시키고, 국가의 영속성을 도모한다.

    행정부에서 정의하고 분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가상징으로는 국기인 태극기, 나라의 국가인 애국 가, 나라의 꽃 무궁화, 나라 도장인 국새, 나라문장 이 있다(MOPAS, 2014). 이 사례 중에서 패턴개발에 용이한 국가 상징 이미지인 무궁화, 태극기, 국새를 본 연구에서 상징이미지로 선정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Mugunghwa)는 우리나 라를 상징하는 꽃으로,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우 리 민족은 무궁화를 고조선 이전부터 하늘나라의 꽃으로 귀하게 여겼고, 신라는 무궁화를 ‘근화향’이 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처럼 오랜 세월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무궁화는 조선 말 개화기를 거치 고, 무궁화가 애국가에 삽입되면서 더욱 국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이와 같은 무궁화에 대한 우리 민 족의 한결같은 사랑은 일제 강점기에도 계속되었고, 광복 후에 무궁화는 자연스럽게 나라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MOPAS, 2014). 그리고 1988년 서울 올 림픽 시기 무궁화동산과 거리를 조성 하였고, 2002 년 월드컵을 계기로 무궁화 축제 개최 등으로 그 붐 이 조성되어 2007년에는 8월 8일을 무궁화의 날로 지정하였다(Kim, M. H., 2012). 이처럼 역사의 영광 과 수난을 함께해온 우리나라 꽃 무궁화의 고귀한 정 신을 선양하고, 우리나라 국가상징물로써 무궁화의 번영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Taegeukgi)는 나라를 대 표하는 공식석상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국가상징 물이다. 대내적으로 국경일마다 태극기를 달자는 캠 페인이 전개되고 있으며, 국기 배례는 대 내·외적 인 공식적 자리에서 자국의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한다. 2002년 월드컵 응원에서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태극기를 활용한 의류 디자인을 착용하는 등 여러 가지 아이템으로 활용되어지기도 하였다.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 리의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를 나타내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낸다. 가운데의 태극 문양의 음(빨강)과 양(파랑)은 조화를 상징하는 것 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 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그리고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 타낸다. 그 가운데 건괘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 곤괘는 땅, 감괘는 물, 이괘는 불을 각각 상징한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선조들이 생활 속에서 즐겨 사 용하던 태극 문양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태극기는 우주와 더불어 끝없이 창조와 번영을 희구하는 한 민족의 이상을 담고 있다(MOPAS, 2014). 이처럼 태 극기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역할 을 도모할 수 있는 대표적 국가상징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우리나라 국새(Great Seal)의 사전적 의미는 ‘국 가의 권리와 정통성을 상징하며, 왕위 계승 또는 국 가 권력 이양의 징표로서 사용되는 도장이다’라고 표기되어 있다. 국새는 국사에 사용되는 관인으로 서, 나라의 중요문서에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국새는 국가 권위를 상징하며, 그 나라의 시대성과 국력 그리고 문화를 반영하는 상징물이라 하겠다. 현대에 와서 국권의 상징인 국새가 가진 불가침의 권위와 신성성은 다소 퇴색하였으나, 오늘날에도 국 새의 의미는 그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헌법개정공포문의 전문, 대통령이 임용하는 국가공 무원의 임명장, 외교문서, 훈장증 등 국가 중요 문서 에 국새를 사용하고 있다(MOPAS, 2014).

    공식 국가상물인 무궁화, 태극기, 국새는 우리나 라의 역사, 문화, 사상이 깃든 상징물이며, 누구나 공감하고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영속적인 가치 를 가진 우리나라의 국가상징 이미지라 할 수 있다 (MOPAS, 2014). 우리나라의 국가상징을 관리하고 있는 행정부의 의정관에서는 국가상징의 개념과 기 능을 정의하여 밝히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국가상징에 대한 선양사업을 다양하 게 실시하고 있다(Kim, M. H., 2012).

    III.Methods

    1.National symbol image in Action

    세계적으로 각 나라마다 자국의 국가 상징 이미지 를 활용한 패턴을 개발하여 대 내·외적으로 활발히 나라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 서도 한류 현상과 함께 국가 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 표 이미지로 인식되어지기에 아직 현대적 감각의 모 던화나 대중화가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본 장에서는 정부에서 국가상징물로 지정한 무궁화, 태극기, 국 새 모티브를 활용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본 연 구의 디자인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Table 2).

    무궁화는 나라의 꽃으로 그 상징물을 패션에서는 플라워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활용하는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2014년 서울 컬렉션 이상봉의 작품(Fig. 1)에서는 무궁화를 그래픽화 하여 한국적 플라워 모 티브를 모던하게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표현하였고, 국가상징을 활용한 패션으로 대중에게 좀 더 쉽게 다 가가고자 하였다. 무궁화 모티브의 활용은 현재 패션 분야뿐만 아니라, 쥬얼리(Fig. 2)와 머그컵, 텀블러 등 의 생활 용품 그리고 핸드폰 케이스와 같은 액세서 리(Fig. 3, 4) 분야로 그 활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태극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기이자 상징물 로서 태극의 빨강과 파랑, 건곤감리의 대칭 구도로 이루어져 있다. 대외적으로 나라를 상징하는 자리에 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유니폼(Fig. 5)이 나 국가 공공 행사에서 드레스(Fig. 6) 등에 모티브 로 활용되고 있으며, 태극기 형태를 변형한 모티브 를 프린트 한 카드지갑, 핸드폰 케이스 등의 액세서 리(Fig. 7, 8)와 로고 개발(Fig. 9)에 까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상징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태 극기의 건곤감리의 대칭구도는 디자인적으로 풀어 내기에 제한적인 면이 있어, 디자인의 다양화가 부 족하는 등 현대적 감각의 모던화가 필요하다.

    국새는 국가 권위를 상징하며, 그 나라의 시대성, 국력, 문화를 반영하는 상징물로써(MOPAS, 2014), 국가를 상징하는 패션 모티브로 활용되어지기에 적 합한 소재이지만, 이를 활용한 사례는 매우 제한적 이다. 국새의 활용은 특수 작품 활동(Fig. 10), 로고 (Fig. 11), 전통 건축물(Fig. 12)에 나타나고 있는데, 국새 모티브는 사각 프레임에만 맞춰진 형태로 나 타나는 형태로 디자인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무궁화, 태극기, 국새를 활용한 모티브 및 패턴의 활용도는 국가 관련 행사를 위한 유니폼이나 외국 인을 위한 패션문화상품 등 공적 사용물에 사용되 는 사례가 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사례 는 디자인에 있어 현대적 감각과 소재의 다양성 그 리고 대중화를 위한 아이템 개발이 부족한 상황으 로 나타났다. 국가 상징 이미지의 활용은 특정 디자 이너 및 작가 외에는 시도가 미비한 상황으로 좀 더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행정부에서 국가상징물로 지정한 무궁화, 태 극기, 국새가 현 시대에 부합하는 모던한 디자인 제 안과 대중화가 이루어진다면 글로벌한 국가상징 이 미지로서 그 역할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으리라 보여진다.

    2.Using a national symbol Neo-pop art pattern image development

    본 장에서는 국가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네오 팝 아트 패턴 모티브 개발 및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고 자 한다. 패턴의 디자인 방향은 국가 상징물 세 가지 를 네오 팝아트의 관점에 따라 컨셉별로 세분화하 여 모티브를 개발하고, 이를 패턴화 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상징 이미지는 무궁화, 태극기, 국새로 정하 고, 각 이미지를 네오 팝아트의 특성에 따라 상징성, 믹스매치, 반복성으로 분류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네오 팝아트의 특성은 Ahn(2010), Jung(2010), Kim, Y. H.(2012), Lee(2009), Park(2015)의 선행연 구의 특성 분류 방법론을 바탕으로 컨셉별로 세분 화 하였다. 그리고 이미지별 8개씩, 총 24개의 패턴 을 제안하였는데, 그 근원 이미지는 행정부에서 제 안한 국가상징물인 <Fig. 13~15>의 무궁화, 태극기, 국새의 국가상징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모티브를 디 자인하고 패턴화하는 작업에는 컴퓨터 그래픽 툴 Adobe Illustrator CS5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티브 디자인의 근원 이미 지는 국가상징물을 관리하고 정의하는 행정부의 제 시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칼라는 그 근원 이미지의 칼라를 기본으로 사용하였으나, 네오 팝아트 특성을 살리고자 퍼스트 뷰 코리아(First view Korea)에서 제공하는 2015 S/S 시즌의 트렌드 칼라를 사용하였 다. <Table 3~5>는 국가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네오 팝아트 패턴 디자인 작업에 관한 내용으로 모티브 의 이미지, 특징, 컨셉, 컬러, 모티브, 패턴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상징 이미지 무궁화는 100일 이상 피 어나 지지 않는 꽃으로 끈기와 인내의 민족성을 표 상하고, 붉은 꽃잎과 꽃심은 단일민족의 순수성과 결백성을 나타낸다(MOPAS, 2014). 이러한 무궁화 를 활용한 네오 팝아트 패턴 모티브의 색상은 국가 상징물을 정의해 놓은 행정부의 무궁화 분류인 백 단심계와 홍단심계에 따라 흰색과 분홍색을 기본색 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컨셉에 따라 네오 팝아트 특 성을 살리고자 퍼스트 뷰 코리아에서 제공하는 2015 S/S 시즌의 트렌드 칼라를 참고하였다.

    <Work 1~3>은 네오 팝아트의 첫 번째 특징인 상 징성을 세분화하여 각 해당 컨셉별로 디자인을 진 행하여 패턴화 한 결과물로써, 상징적의 특성을 부 각시키기 위해 하나의 모티브로 나타냈다. <Work 1>은 무궁화를 단순화 하여 검은 두꺼운 선과 원의 활용으로 기호의 형태를 나타내어 단독적인 상징성 을 표현하였다. <Work 2>는 무궁화에 눈과 입을 적 용한 유머스러운 표정으로 재미를 부여한 만화적 캐릭터로 표현하였으며, <Work 3>은 붓으로 그린 듯한 그래피티 드로잉에서 보여주는 낙서의 이미지 로 무궁화를 상징화 시키는 표현 방법을 시도하였다.

    <Work 4, 5>는 네오 팝아트 두 번째 특징인 믹스 매치를 적용하여, 각 해당 컨셉별로 디자인을 진행 하였다. 믹스매치는 서로 다른 요소들의 절충으로 제 3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최근 부각된 융 합 개념이라 할 수 있다. <Work 4>는 붓으로 드로잉 한 듯한 선으로 나타낸 무궁화 형태와 모던화한 무 궁화 이미지를 겹쳐 동서양의 믹스매치를 표현하고 자 하였다. <Work 5>는 네오 팝아트의 키치함을 나 타내었는데, 이 키치함은 비비드한 팝 아트 컬러를 사용하여 강조하였다. 무궁화의 모티브를 활용하여 형태적 반복과 네오 팝아트 원색의 컬러로 키치함 을 표현하여 네오 팝아트 모티브를 개발하였다.

    <Work 6~8>은 네오 팝아트 세 번째 특징인 반복 성을 적용한 무궁화 모티브이다. 반복성은 이미지나 캐릭터, 패턴, 선이 과장되게 반복되면 본래의 이미 지는 사라지고, 과장되거나 반복 이미지로 변화하는 특성을 살렸다. <Work 6>은 무궁화 모티브를 일정한 선의 두께와 정방향의 패턴화로 정적인 프레임 형 태로 표현하여 선의 반복성을 나타내었다. <Work 7> 은 상징성에서 개발한 <Work 1>과 <Work 2>를 활 용하여 캐릭터와 아이콘의 반복된 패턴을 나타내었 다. <Work 8>은 무궁화의 고유한 이미지를 선으로 표현하여 과장된 반복 형상을 패턴화 하였다. 이는 패턴화 하였을 때 모티브가 새로운 개체가 되어 보 여지는 작품이다.

    둘째, 국가상징 이미지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주 만물이 음 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 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MOPAS, 2014). 이러 한 태극기를 활용한 네오 팝아트 패턴 모티브의 색 상은 고유 색상인 빨강, 파랑, 검정, 하얀색을 기본 색상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국가를 대표하는 국기 와 같은 국가상징물인 태극기의 무리한 변형은 문 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디자인 시 이에 관한 주의와 조심스러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Work 9~11>은 네오 팝아트 첫 번째 특징인 상 징성을 세분화 한 컨셉별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 다. <Work 9>는 원 안의 태극기와 테두리에 ‘KOREA’ 의 문구를 테두리에 넣은 디자인으로 와펜을 형상 화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극대화 하였다. <Work 10> 은 태극의 형태를 모티브로 만화적 캐릭터인 물고 기를 형상화하여 상징성을 나타내었으며, 건곤감리 의 사각 형태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생동감을 표현 해 애니매이션과 같은 재미를 부여하였다. <Work 11>은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붓 터치의 강약조절로 원초적이면서도 그래피티적인 낙서로 표현하여 상 징성을 나타내었다. <Work 12, 13>은 네오팝아트 두 번째 특징인 믹스매치를 적용하여 각 해당 컨셉 별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Work 12>는 뉴욕의 유 명한 캐치프레이즈인 ‘I♥NY’을 응용한 ‘I♥KR’의 문구와 동양의 태극무늬, 수묵화의 선을 매칭시켜 동서양의 조화를 이루었다. <Work 13>은 복잡한 선 의 반복적인 나열과 태극 고유의 원색적인 느낌이 어우러져 네오 팝아트적 특성을 표현하였다.

    <Work 14, 15>는 네오 팝아트 세 번째 특징인 반 복성를 적용하여 각 해당 컨셉별로 디자인을 진행 하였다. <Work 14>는 태극기의 형태에서 유추해낼 수 있는 곡선의 단순화로 형태를 표현하였으며, 세 가지 메인컬러를 유기적인 선의 연결로 무한 반복 성을 가진 패턴으로 발전시켰다. <Work 15>는 태극 과 동양의 도가(도교)를 표현하는 아이콘인 구름을 이용하여 짜임새 있는 반복으로 한국이란 국가의 상징성을 표현할 수 있는 문창살무늬의 패턴을 개 발하였다. <Work 16>은 과장되게 확대된 태극과 축 소된 건곤감리를 겹쳐서 모티브화 하였다. 그리고 반복적인 나열로 흰색 여백이 만들어내는 빗살무늬 모양을 띤 패턴을 개발하였다.

    셋째, 국가 상징 이미지인 국새는 국사에 사용되 는 관인으로서, 나라의 중요문서에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국새는 국가 권위를 상징하며, 그 나라의 시대성과 국력 그리고 문화를 반영하는 상 징물이다(MOPAS, 2014). 국새 모티브를 활용한 팝 아트 패턴 개발 내용으로 모티브의 색상은 검정색 을 기본으로 하여 우리나라 전통색인 오방색을 적 절히 추가하여 디자인하였다.

    <Work 17>은 도형으로 글자를 기호화한 아이콘 형태의 모티브이다. 도형으로 한글을 표현하여 기호 화 했다는 것은 한글의 세계화 가능성의 의미를 부 여하기 위한 것이다. <Work 18>은 <Work 17>의 모 티브에 컬러를 적용하여 만화적 이미지를 나타냈다. 전통색인 오방색 중 빨강, 파랑, 노랑, 하양색을 조 화시켰고, 도형의 사용과 원색적인 색감은 애니매이 션의 이미지를 연출했다. <Work 19>는 국새의 모티 브를 붓 터치 사용으로 그래피티적인 모티브를 나 타내어, 드로잉 자체의 자유로운 느낌과 상징적 의 미를 갖는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

    <Work 20, 21>에서 네오 팝아트 두 번째 특징인 믹스매치를 적용하여 각 해당 컨셉별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Work 20>은 국새의 대한민국 글자 라 인을 붓글씨로 라인화 하고, 패션 컨셉의 하나인 빈 티지의 조합으로 동서양의 믹스매치를 표현하였다. 검정색과 회색의 조화 일정한 반복의 패턴은 모던 함을 연출한다. <Work 21>은 도형을 오려붙인 듯한 느낌을 반영하여 원색의 컬러 웨이로 만화적이고 발랄한 감성을 보여준다. 사선의 반복적인 나열은 키치함을 더해 주는데, <Work 22~24>는 네오 팝아 트 세 번째 특징인 반복성를 적용하여 각 해당 컨셉 별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Work 22>는 국새의 글 자만을 선으로 연결하여 반복한 모티브이다. 글자를 단순화 하고 규칙적인 반복으로 패턴화 하였을 때, 일정하게 배열된 선들이 다시 또 구분되어지고, 멀 리서보면또다른패턴으로변형되어보여진다. <Work 23>은 <Work 17>과 <Work 18>을 믹스하여 두 가지 아이콘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개체 하나의 고유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다시 복합적인 새로운 개체가 된다. <Work 24>는 국새의 대한민국 글자를 이미지 틀 안에서 붓 터치의 강약 조절로 자유롭게 왜곡, 반 전하여 변형하였다. 모티브가 반복된 패턴은 선의 강약으로 인해 과장되는 형상을 보이며, 반복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Table 4

    IV.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네오 팝아트의 관점에서 국가상징 물 활용한 패턴개발을 함으로써 패션 분야에 새로 운 패턴 개발 모색과 다양한 관점을 제안하고자 하 였다.

    국가상징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국가 상징 이미지인 무궁화, 태극기, 국새 모티브를 고찰하고, 활용 사례 의 패션문화상품을 조사하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 가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문화상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기는 하지만, 상품의 디자인적 모던화와 대중화가 미흡하여 차별화된 방안의 제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문화와의 접합을 가치로 내세 웠던 동시대의 네오 팝아트 특성을 활용하여, 대중 적이고 모던한 국가 상징 이미지를 개발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한 패턴 디 자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하겠다.

    이에 따른 국가 상징 이미지 무궁화, 태극기, 국 새를 활용한 네오 팝아트 패턴의 특성과 기대효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징성을 기호와 픽토그램, 만화적 캐릭터, 드로잉의 단순화에 의한 낙서로 나누어, 이를 활용 한 패턴 디자인을 모티브 별로 총 9개를 디자인하였 다. 상징성을 활용한 패턴은 국가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대중적인 캐릭터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기호의 형태로 국가 브랜드의 상징적인 이미지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둘째, 믹스매치는 동서양의 믹스, 하위패션과 하 위문화의 믹스로 나누어 이를 활용한 패턴 디자인 을 모티브별로 총 6개를 디자인하였다. 믹스매치는 퓨전적이고, 아방가르드하며, 키치스러움을 잘 나타 낼 수 있는 표현 방법으로 서로 다른 요소들의 절충 이 제3의 이미지로 표현되어 또 다른 장르의 창출이 가능하다. 이것은 근래의 산업 전반에 이슈화 되고 있는 융합과 하이브리드의 개념들과도 일맥상통하 는 부분이 있어, 본 연구의 디자인 방법으로 제안되 었다. 서로 다른 요소들의 조합이 만들어내는 창의 적인 디자인 개발과 다양성으로 새로운 가치를 추 구하고, 공감대 형성을 기대한다.

    셋째, 반복성은 선의반복, 캐릭터와아이콘의 반복, 캐릭터와 아이콘의 과장으로 나누어 컨셉별 총 9개의 디자인을 하였다. 만화적인 귀여운 이미지의 캐릭터, 선과 패턴이 과장되게 또는 과도하게 많은 양으로 반 복되면서 과장스럽고 아방가르드한 이미지로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복이 만들어내는 형 태적 변화 또는 우연의 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디자 인의다양성을기대해볼수있었다. 또한반복에있어 서의 방법적인 부분을 제한적인 조절의 여부에 따라 컬러와 형태의 조형적 요소가 더욱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과 창출로 이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국가상징 패턴 개발은 한국 을 대표할 수 있는 국가 상징물 모색과 대중화 이미 지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는 하나, 다음에서 이 를 활용할 수 있는 패턴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여 학 술적 의의를 높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국가 상징 이미지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산업 분야는 문화상품으로 박물관이나 관광지 의 로드샵 혹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로 관광객을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다. 문화상품은 국가나 사회의 독창적인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합하여 나 타나는 상품으로 정의된다. 특히 패션문화상품은 잡 화와 액세서리, 홈인테리어 제품 등으로 분류된다 (Hyun & Bae, 2007). 이러한 분류에 따른 패션 아이 템은 넥타이, 손수건, 가방, 여권지갑, 또는 명함지 갑, 열쇠고리, 액세서리, 네임택으로 샵 제품의 8.4% 에 해당하는 많지 않은 수량이며, 국가상징을 활용 한 박물관 문화상품은 일상적인 생활용품에 가까운 것으로 트렌드를 반영한 모던한 패션 아이템 개발 이 미진하다(Kim, Kim, & Hong, 2013).

    이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이슈의 관점에서 국가상징 패턴의 활용 방안 을 제안한다면 그 의의를 도출할 수 있으리라 사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적 의의를 높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사회문제인 환경보호의 관점에서 에코 트렌드를 반영한 아이템 제안, 소비 자와 판매자가 사회문제를 공유할 수 있는 캠페인 티셔츠 제안 그리고 여가 활동을 중요시 여기는 소 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DIY 제품 제안의 관점에서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관한 활용 방안의 제안은 첫째, 최근 환경오 염 문제의 심각성 인식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 지에서 시작된 에코백 사용은 힌드마치의 에코백이 헐리웃 연예인의 파파라치 사진이 보도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확산되었다. 이처럼 비닐봉투 사용 제한 등의 에코 트렌드를 반영한 에코백과 같 은 모던 아이템은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 공감 아이 템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시류에 따라 사회이슈 문제나 소외된 계층을 돕기 위한 목적의 공익 캠페 인 활동인 캠페인 티셔츠 디자인은 소비자와 판매 자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제 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여가활동을 위한 할애 시간 증가와 개성 있는 제품 제작 참여는 지난 시즌 망고 모자뜨기와 같은 유행을 일으켰는데, 최근 소 비자가 직접 제품의 제작에 참여하여 본인만의 독 특한 감각을 선보이는 DIY 키트 제품 또한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문화 이슈로 다루어지는 사례를 소 개하고 있어, 그 아이템으로 제안해 본다.

    이러한 문화적 시류와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 대 중적이고 모던한 패션문화상품 아이템을 독창적으 로 완성시켜 줄 국가상징 이미지를 적용한 패턴 개 발 모색은 본 연구의 당위성이라 하겠다. 국가상징 이 주는 영속성과 지속성이 네오 팝아트의 대중적 보편성과의 결합으로 친근한 글로벌 상징물 개발의 방안 제안 연구가 한국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세 계적으로 경쟁력을 얻을 수 있는 국가상징 이미지 개발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23-581_F1.gif

    2014 S/S Lie Sang Bong, From. http://blog.naver.com/wooseohwi

    RJCC-23-581_F2.gif

    Rose of sharon earrings, From. http://liebli.com

    RJCC-23-581_F3.gif

    Rose of sharon pattern tumbler and gift cards, From. http://news.tf.co.kr/read

    RJCC-23-581_F4.gif

    Rose of sharon pattern cell phone case, From. http://www.stylesha.re

    RJCC-23-581_F5.gif

    2014 S/S Lie Sang Bong, From. http://sports worldi.segye.com

    RJCC-23-581_F6.gif

    Presidential inauguration. From. http://denicheur. blog.me

    RJCC-23-581_F7.gif

    Taegeukgi card wallets, From. http:// blog.naver.com/ www.zww?Redirect

    RJCC-23-581_F8.gif

    Taegeukgi cell phone case, From. http://www. akmall.com

    RJCC-23-581_F9.gif

    National flag motif logo, From. http://news.mk.co.kr/

    RJCC-23-581_F10.gif

    Great Seal of the Joseon Dynasty Graphic Arts, From. http://article.joins.com/ news

    RJCC-23-581_F11.gif

    Kores renovated former website logo, From. >https://www. kores.or.kr

    RJCC-23-581_F12.gif

    Jiri mountain door handle before the Great Seal Applications, From. http://cafe.naver.com/leeoh3721/152

    RJCC-23-581_F13.gif

    Mugunghwa, From. http://www.mogaha.go.kr

    RJCC-23-581_F15.gif

    Great Seal, From. http://www.mogaha.go.kr

    Table

    Neo-pop art formative characteristics utilized in fashion design

    From. Ahn(2011), pp. 89-90

    Case study of a national symbol image

    National symbol pattern seen in the neo-pop art development perspective-Mugunghwa

    National symbol pattern seen in the neo-pop art development perspective-Taegeukgi

    Reference

    1. Ahn YJ (2011) A study on formativeness of fashion design utilizing neo-pop: Works of Keith Haring, Murakami Takashi and Ki-Soo Kw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 Babosarang. (n.d.). 아이폰5.5S더블커버_GrungeFlag_태극기 [IPhones, 5.5S double cover_grungeflag_called the Taegeukgi] , from http://www.akmall.com/goods/GoodsDetail.do?goods_id=71539082,
    3. (2010) Boonjeongmanri , 지리산 국새 전 각전 [Jirisan National Seal jeongakjjeon], from http://cafe.naver.com/leeoh3721/152
    4. (2014) CREALIVE , 태극기상품-교통카드케이스 [Goods traffic card case-the Korean national flag], from http://blog.naver.com/wwwzww?Redirect=Log&logNo=220153382706
    5. (2015) Danaaaa , 아디다스 st 제레미스캇 무궁화 케이스 (아이폰5s) [Adidas st Jeremy Scott The case (iPhone 5s)], https://www.stylesha.re/aphro1004/64038760
    6. (2013) firstVIEWKorea , 2015 S/S Pre-Color,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Board/BoardIndexView.aspx?Mode=M&DMode=L&Idx=6487&PageNo=1&SchCateCode1=SS031
    7. Great seal ,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rom http://www.mospa.go.kr/frt/sub/a06/b08/nationalIcon_5/screen.do
    8. Jeong JH (2012) 지마켓, ‘8.15 태극기를 입어라’ 실시. [Conducted 'Aug. 15, Tae Wear'] , Sports World, from http://sportsworldi.segye.com/content/html/2012/08/07/20120807001447.html
    9. Jung MK (2010) The study about main features and foundation of Japanese Neo Pop: Focused on Yokoo Tadanori, Murakami Takashi, and Yosimoto Nar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0. Hyun SH , Bae SJ (2007)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patter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1 (8) ; pp.1252-1261
    11. Kim JH (2015) 스타벅스 무궁화 텀블러 & 카드 2015년 신제품 출시… 가격은? [Starbucks The Tumbler & card, by 2015, new product launch ... much is it?] , THE FACT, from http://news.tf.co.kr/read/economy/1493340.htm
    12. Kim JG (2010) 조선시대 임금님 도장에는 무슨 내용이 새겨져 있을까? [Would press what will I be inscribed with what's in the Joseon Dynasty king?] , JoongAng Ilbo, from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045872&ctg=
    13. Kim MH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national symbol using mug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2 (7) ; pp.29-40
    14. Kim YH (2012)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 pop ar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YK (2013) 오르시아-이노디자인, 태극기 모티브로 ‘T-LINE 프로젝트’ [Oreusia Eno design, the flag motifs to ‘T- Line project’] , MK News,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489301
    16. Kim YK , Kim JM , Hong NY (2013) A study on the cultural products using the Mugunghwa motif in mus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3 (7) ; pp.49-64
    17. Kores logo(n.d)Korea Resources Corporation website , from http://www.kores.or.kr/hkor/userMain/hkorMain.do,
    18. Lee SA (2009) A study about art-collaboration in fashion industry: Focusing on Neo pop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 Seoul, Korea,
    19. Liebli. (n.d.). Rose of sharon earrings , from http://liebli.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888&category=005001003,
    20. Mugunghwa. (n.d.) ,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rom http://www.mospa.go.kr/frt/sub/a06/b08/nationalIcon_4/screen.do
    21. National symbols. (n.d) ,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rom http://www.mospa.go.kr/frt/sub/a06/b08/nationalIcon/screen.do
    22. nys972 (2014) Heart Taegekgi , from http://blog.naver.com/nys972/20205488401,
    23. Park KJ (2015) A study on neo pop art in contemporary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16 (1) ; pp.209-219
    24. (2014) Pop art. (n.d.) , doopedia,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924&cid=40942&categoryId=33048
    25. Seo SY (2013) 대통령 취임식 조수미 태극기 드레스 [Sumi Jo, the President's inauguration dress Taegeukgi] , from http://denicheur.blog.me/180053820?Redirect=Log&from=postView,
    26. Taegeukgi. (n.d)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 from http://www.mospa.go.kr/frt/sub/a06/b08/nationalIcon_2/screen.do;jsessionid=OoPmbXC3rUpvqu1mKJS7KkYdPMeO83gLFao7S1CmtTSXcsoHqnaS4WtTpA8U6F7a.mopwas52_servlet_engine1,
    27. Wooseohwi (2013) 2014 SS Seoul fashion week Lie Sang Bong , from http://blog.naver.com/wooseohwi/90184915097,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