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4 pp.569-580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4.569

A study on pattern development to improve the fitness of women’s slim-fit tailored jackets- Focused on the somatotypes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

JaeChul Jeong
, SunKyung Park*, MiKyung Uh**
Graduate School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Korea
*Dept. of Fash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Kore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본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며, 2014년도 국민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Corresponding author pak27@kookmin.ac.kr
June 23, 2015 July 20, 2015 July 27, 2015

Abstract

The recent fashion market failed to satisfy the needs of female customers in their 30s who are demanding a slim jacket that makes the wearer look young and slim. Accordingly, the slim-fit jackets of domestic brands targeting the women in their 30s were collected to conduct look and movement fitting evaluations based on the standard somatotype, and a slim-fit tailored jacket prototyp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This research aim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lim-fit jacket customers reflecting a variety of somatotypes of women in their 30s. The research process was developing jacket patterns fully reflecting the properties in terms of extra space and design lines for different somatotypes of women in their 30s based on the jacket pattern formulated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and then suggesting pattern design methods for the different somatotypes. In this sense,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fy the problems concerning the slim-fit tailored jacket fitting for different somatotypes of women in their 30s. The main aim wa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ustomers’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fit, and enable the manufacturers to produce a well-fitting jacket reflecting the peculiarities of each somatotype.


여성복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의 맞음새 향상을 위한 패턴 개발

정 재철>, 박 선경***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Kookmin University

    I.Introduction

    Samsung Fashion Institute(2014)의 자료에 의하면 2013년 전체 여성 의류의 복종별 점유율에서 캐주 얼이 약 4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여 성 정장은 전년의 21.4%보다 크게 감소한 15.8%의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다운에이징 및 캐 주얼라이징트렌드의 영향으로입지가크게좁아진여 성 정장군의 어려운 현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 한 상황에서도 여성의 젊고 날씬함을 강조하기 위해 슬림한 재킷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최근 소비자들은 다운에이징 트렌드에 따라 젊고 날 씬해 보이는 슬림한 디자인과 인체에 꼭 맞는 형태의 재킷을 즐겨 착용하게 되었다. 이는 트렌드를 반영한 슬림한 디자인의 외형적 형태와 신체적 밀착감이 높 은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이 소비자의 결정적인 구매 행동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재킷 패턴 설계 시 가장 우선 시 해야 하는 것은 피험자의 체형이다. 최근 브랜드의 치수체계는 타깃 연령층 중에서도 슬림한 체형을 기준으로 치수를 설 정하고 있다. 하지만30대여성은 체형의 변화가 많고, 다양하여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한 패턴으로는 다양 한 체형의 맞음새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최근 트렌 드의 영향으로 재킷의 맞음새가 더욱 중요한 시기 에 30대 여성의 체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체형에 맞 는 재킷 패턴을 개발하여야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다. 하지만 테일러드 재킷의 대한 지금까 지의 선행 연구는 Hwang(2013)이 테일러드 재킷의 진동깊이와 소매산 높이 변화를 중심으로 소매 및 진동의 형태변화와 동작적합성을 비교분석하여 인 체동작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패턴을 개발하였 으며, Jeong(2011)은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과 여 밈 버튼 수에 따라 달라지는 칼라 패턴의 설계 방법 을 제시하였다. 또한 Lee(2011)는 테일러드 칼라 재 킷의 칼라 눕힘분에 따른 칼라 및 라펠의 특성에 대 해 연구를 Choi(2008)는 중년여성의 재킷제도에 있 어서 신축성에 따른 재킷 여유량에 관한 연구를 하 였다. Kang(2004)은 남성복 재킷의 선호 여유량과 맞음새에 관한 연구를 Oh(2011)는 30대 Plus-size 여 성을 위한 맞음새가 좋은 재킷 패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테일러드 재킷의 선행논문을 살 펴보면 소매, 테일러드칼라, 소재, 맞음새, 특수체형, 중국여성, 20대 여성 등의 주제를 가지고 연구되었 지만,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테일러드 재킷 패턴 개 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30대 여성 체형의 특징이 잘 반영된 패턴을 개 발하기 위해 한국인의 인체치수 및 인체형상을 측 정조사한제6차한국인인체치수조사사업사업(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의 분류 된 체형을 가지고, 체형별 맞음새의 만족도를 높인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을 개발하고자 한다.

    II.Methods

    연구 방법은 Jeong, Park, and Uh(2015) 선행연구 에서 개발한 30대 여성 표준체형에 맞는 슬림 핏 테 일러드재킷 연구원형을 가지고, 체형별로 외관·동작 착의평가를 실시하여 패턴을 수정·보완하여 맞음새 가 좋은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을 개발하였다.

    1.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of the slimfitted tailored jacket

    1)Subject selection

    사이즈코리아(Size Korea)에서는 30대 여성체형 을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삼각체형, 큰사각체형, 작 은사각(짧은 지체)체형으로 분류하였다. <Fig. 1>은 30대 여성 표준체형과 체형별 스캔사진의 비교이며, 착의평가를 위하여 선발된 피험자는 산업자원부 기 술표준원의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제6차 한국 인 인체치수조사(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의 자료를 기준으로 30대 여성 체형 별 평균치수의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체형별 피험 자 4명을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다.

    2)Making experimenting jackets and evaluation method

    Design an experimenting jacket

    본 연구의 원형은 Jeong, Park and Uh(2015)의 선 행연구에서 개발된 표준체형에 적합한 연구원형으 로 <Fig. 2>와 같다.

    선정된 원형에 칼라를 추가하여 <Fig. 3>과 같이 남성형 재킷 형태인 테일러드 칼라와 허리다트를 기본으로 한 6패널 재킷이며, 소매는 테일러드 재킷 의 기본적인 소매인 두 장 소매이다.

    Materials of experimenting jackets

    실험복 제작을 위한 소재는 면 100%의 광목으로 하였으며, 세부적인 실험복 소재의 물성은 <Table 2> 와 같다.

    Fit satisfaction evaluation of experimenting jacket

    선정된 재킷 패턴을 30대 여성 체형별 신체치수 에 준하여 실험복을 제작하였으며, 착의평가는 외관 착의평가와 동작 착의평가로 나누어 3차에 걸쳐 실 시하였다. 평가자는 의복 구성학과 실무에 경험이 있 는 9명의 평가 위원으로 구성하였다. 외관 착의평가 항목은 Yun(2005)Kim(2009)이 평가한 항목을 참 고하여 37항목, 동작 착의평가 항목은 Kim(2009)Kim(2000)이 평가한 항목을 참고하여 30항목으로 구성하여 <Fig. 4>와 같이 평가하였다.

    3)Method of analysis

    본 연구를 위해 진행한 자료 분석은 체형별 외관 착의평가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후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 였으며, 체형별 동작 착의평가 변화는 Kruskal-Wallis 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III.Result

    1.The comparison of wearing test on the appearance in each somatotype

    체형별 외관 착의평가 비교를 확인하기 위해 체 형별로 표본을 구분하여 1차, 2차, 3차 평가 점수 차 이의 살펴보면 <Table 3>, <Table 4>와 같다. 작은사 각(짧은 지체)체형의 외관 착의평가는 전면, 후면, 측면, 소매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수가 높아질수록 평균도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외관 착의 평가는 표준 체형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연구원형을 가지고 체형 별 착의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큰사각체형에서 나쁨 의 평가를 작은사각(긴지체)체형, 삼각체형, 작은사 각(짦은지체)체형 순으로 보통의 평가를 받았다. 세 부적으로 보면 큰사각체형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나 쁨의 평가를 앞자락 길이와 엉덩이둘레선부위의 여 유분에서는 매우 나쁨의 평가를 받았다. 삼각체형 과 작은사각(긴지체)체형은 전체적인 평균 점수는 비슷하나, 전면 여유분에서 삼각체형이 나쁨의 평가 를 받았다. 작은사각(짦은지체)체형은 전면과 후면 의 히리둘레선부위의 여유분에서 나쁨의 받았다.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한 연구원형과 전체적인 실 루엣이 비슷한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삼각체형은 디자인선 변화가 적게 나타났고, 실루엣이 다른 큰사 각체형은 디자인선의 변화가크게나타났으며, 여유분 의차이는연구원형과 비교하여둘레항목이차이가 있 는 큰사각체형과 삼각체형에서 개선 부위가 많았다.

    1차 외관 착의평가에서 나쁨과 보통의 평가를 받 은 부위를 수정·보완하여 2차, 3차 평가에서는 비 교적 매우 좋음의 평가를 받았다. <Fig. 5>는 체형별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의 3차 외관 착의평가 사진이다.

    2.The comparison of wearing test on the sense of activity in somatotype

    체형별 동작 착의평가 비교를 확인하기 위해 체 형별로 표본을 구분하여 1차, 2차, 3차 평가 점수 차 이의 유의성을 검증하여 <Table 5>, <Table 6>과 같 은 결과가 나왔다. 먼저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은 가볍게 걸을 때와 팔을 옆으로 90도 들어 올릴 때 평균이 1차, 2차, 3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p<.01). 반면에 정립 시 착용감과 의자에 앉아서 글을 쓸 때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각체형은 정립 시 가볍 게 걸을 때, 의자에 앉아서 글 쓸 때, 팔을 옆으로 90 도 들어 올릴 때 모두 1차, 2차, 3차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5). 반면에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은 모든 항목에서 1차, 2차, 3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 하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통계데이 터의 표본 수가 적어 생긴 현상으로, 동작평가 시 평 균값의 점수 변화를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큰사각 체형은 정립 시 착용감에서는 1차, 2차, 3차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 했지만, 가볍게 걸을 때, 의 자에 앉아서 글 쓸 때, 팔을 옆으로 90도 들어 올릴 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즉, 큰사각체형 은 패턴의 수정·보완을 통해 전반적으로 동작 착 의평가가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of t slimfitted- tailored jacket

    30대 여성 표준체형의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연 구원형을 가지고, 체형별로 착의평가하여 맞음새가 좋은 30대 여성 체형별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 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재킷 패턴의 여유분 특성은 가슴둘레 여유분이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4cm, 삼각체형과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5.6cm , 큰 사각체형 6.4cm이다. 허리둘레 여유분은 삼각체형 7cm, 큰사각체형 7cm ,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7.4cm,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8cm이다. 엉덩이둘레 여 유분은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5cm,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6cm, 큰사각체형 7.6cm, 삼각체형 9cm이 다. 앞품 여유분은 큰사각체형 –2.6cm, 작고 작은 사각(짧은 지체)체형 0.4cm,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1.2cm, 삼각체형 2.2cm이다. 뒤품 여유분은 삼각체 형 1.6cm,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1.4cm, 큰사각체 형 1.2cm,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1cm이다. 다음 으로디자인선의 특성은 어깨길이가 삼각체형 11.7cm, 작은사각(짧은 지체, 긴 지체)체형 12cm, 큰사각체 형 12.2cm이고, 어깨사이길이는 삼각체형, 작은사 각(짧은 지체)체형 39.4cm,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39.6cm, 큰사각체형 41.6cm이다. 소매길이는 팔길 이에 작은사각(긴 지체)체형과 큰사각체형이 3.5cm,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3.7cm, 삼각체형 4cm 더 한 길이이다. 앞허리다트시작점은 작은사각(짧은 지 체)체형 9.2cm, 삼각체형 9.3cm, 작은사각(긴 지체) 체형 9.5cm, 큰사각체형 9.6cm이다. 다트량의 특성 은 뒤몸판허리선에서 작은사각(짧은 지체)체형 2.5cm, 삼각체형 2.2cm, 작은사각(긴 지체)체형 3cm, 큰사 각체형 2.2cm이고, 뒤옆길다트량은 작은사각(짧은 지 체)체형 2.7cm, 삼각체형은 3.6cm, 작은사각(긴 지체) 체형 2.5cm, 큰사각체형 3cm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체형별로 제도법으로 정리하면 <Table 7>과 같다.

    (2)Comparison of jacket patterns in each prototype

    <Fig. 5>는 개발된 체형별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의 비교그림이다. 재킷 패턴의 중합도에서 보듯 이 체형에 따른 패턴의 차이를 볼 수 있다, 특히 등 길이, 앞길이, 어깨높이,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 이둘레, 위팔둘레, 소매길이 부위 등에서 많은 차이 를 보이고 있다.

    IV.Conclusion and Suggestion

    본 연구는 30대 여성의 체형별 맞음새가 좋은 슬 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을 개발하기 위하여 Jeong, Park, and Uh(2015)의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연구 원형을 가지고, 30대 여성 체형별 착의평가 과정을 거치면서 체형별 맞음새가 좋은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을 개발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표준 체형를 기준으로 한 연구원형의 제도법 으로는 체형별 특성을 반영되는 한계가 있어 맞음 새에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체형별 슬림 핏 테일러드 재 킷 패턴은 체형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선과 여유분 의 변화를 체형별 특성에 맞게 제작하였다. 둘째, 30 대 여성 체형별 재킷 패턴은 앞허리 부위는 타이트 하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는 여유를 주어 슬림하 면서 활동하기 편하게 개발되었다. 셋째, 개발된 체 형별 재킷패턴을 통해 그레이딩 전개 시 사이즈별 체 형의 특성을 고려한 패턴을 개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30대 여성 체형별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의 맞 음새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 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맞음새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 였지만, 실험자의 수가 적고 지역 분포 등의 한계점 이 있었다. 또한 슬림핏 태일러드 재킷의 체형에 따 른 칼라, 소재 등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의 변화에 따 른 패턴 개발을 후속 연구로 제시하는 바이다.

    Figure

    RJCC-23-569_F1.gif

    Scanned image of somatotype of women in their 30s by shape Source: sizekorea.kats.go.kr

    RJCC-23-569_F2.gif

    Research prototype pattern

    RJCC-23-569_F3.gif

    Design an experimenting jacket

    RJCC-23-569_F4.gif

    Image of moving fitness evaluation

    RJCC-23-569_F5.gif

    Image of the 3rd Appearance evaluation

    RJCC-23-569_F6.gif

    Comparison of jacket patterns in each prototype

    Table

    The body size of 30s female subjects in each somatotype (Unit : cm)

    Source: sizekorea.kats.go.kr

    Material quality of the experimenting jacket

    In each somatotype 1st, 2nd, 3rd appearance evaluation

    **p<.01,
    ***p<.001,
    Duncan test: a>b>c, ab≒a≒b, bc≒b≒c

    In each somatotype 1st, 2nd, 3rd appearance evaluation

    ***p<.001,
    Duncan test: a>b>c, ab≒a≒b, bc≒b≒c

    In each somatotype 1st, 2nd, 3rd moving fitness evaluation

    *p<.05

    In each somatotype 1st, 2nd, 3rd moving fitness evaluation

    *p<.05

    Developed slim fit tailored jacket pattern drafting method by somatotype (Unit: cm)

    abbreviation : B(bust), W(waist), H(hip), C(chest), AH(armhole)

    Reference

    1. Choi CS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arket pattern in proportion to stretch fabric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 Hwang SH (2013) A study on the armhole depth & sleeve cap height of tailored jacke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 Jeong JC , Park SK , Uh MK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lim-fit tailored jacket prototype: Focused on the standard somatotype of women in their 30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3) ; pp.454-467
    4. Kang YS (2004) Characteristics to ensure optimum ease in men's suit jacket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Kim ES (2000) Comparison of selected jacket pattern draft methods focused on ease allowance and silhouett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MO (2009) The patternmaking of men's slimfit jacket: Focusing on men in the 30'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The 6th Korean human dimensions research , from http://www.sizekorea.kats.go.kr/03_report/6th.asp,
    8. Lee SY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 of collar and lapels according to collar laying amount: Focused on tailored jacke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4) ; pp.421-430
    9. Oh YS (2011) The development of a jacket pattern for plus-size women using by visual effect: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real clothing and virtual clothing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0. Samsung Fashion Institute (2014) 2014 Analysis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forecast for the second half of the year by garment type , SamsungDesignNet, from http://www.samsungdesign.net.proxy.kookmin.ac.kr:8010/Market/MarketReport/content.asp?an=6136&glChk=G&block=0&page=2&cnt=9
    11. (2014) Size Korea (n.d.). Somatotype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 From http://www.sizekorea.kats.go.kr/05_application/bodyFormCategory2_2.asp,
    12. Yun EY (2005) Basic bodice patterns by somatotype classification based on rhizome structure and purpose-fitting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