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3 pp.412-424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3.412

A study on the meanings of soul fashion in American pop culture

Hyojin Lee†
Dept. of Fashion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lehyojin@jbnu.ac.kr)
March 9, 2015 May 15, 2015 May 15,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soul fashion in American pop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prior theses, journals and relevant books. Soul as a concept, originated in African-American communities and evolved from the ideology of Black Power, which prompted Black Nationalism. Soul fashion, which took on two styles in African American culture began to embody black resistance and community pride in the late 20th century. One of these, hip-hop style represented the message of resistance and a sense of beauty outside the mainstream. The other, African–inspired fashion, which utilized a look inspired by African tradition, rejected white supremacy by expressing a proud dignity. As a result, the meaning of “soul” in soul fashion represented by American pop culture resulted in contrasting appearance due to different elements. First, one of its meanings is ironic and sarcastic, and it expressed historical trauma, cultural stereotypes, self-hatred, and self-degradation and, the self-mutilation of African-American by cynically distorting their silhouettes and, using modified materials and patterns, fantastic colors, and extraordinary accessories. Second, the other meanings is the pride and dignity of Black Power, which visualized the concentration of ideas implied by the tradition of African-American, through soul fashion by using fierce traditional of African costumes, unique patterns and accessories.


미국 대중문화에 있어서 소울 패션(Soul Fashion)의 의미

이 효 진†
전북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Introduction

    문화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양식, 상징체계를 말한다. 대중문화가 문화의 중심이 된 배경에는 자본주의의 변신이 크게 영향을 미쳤으 며, 20세기 자본주의는 문화를 상업화함으로써 새 로운 내부시장을 창출하게 된다(Yang, 2000). 즉, 대 중사회를 기반으로 성립되는 현대 대중문화는 이 전 단계에서 볼 수 있던 일부 엘리트만의 고급문화 와 기층(基層)에 있는 토착적인 민속문화와의 사이 에 나타난 중간문화를 이르기도 한다(Doopedia: 大 衆文化, NAVER).

    한편, 미국에 대해서 말할 때 대중이라는 단어는 어떤 뜻에서든 각별하다. 적어도 이념적으로 무계 급 사회와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미국에서 대중은 그 원형질과도 같으며, 대중문화 없이 미국을 생각 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Park, 2011). 그러나 자본 주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미국문화에는 이데올로기 적인 구분뿐만 아니라, 흑인과 백인간의 인종문제 를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문화와 인종을 구분하려 는 시도로 오랫동안 부당한 인종차별을 겪어 온 미 국의 소수민족과 흑인들에게는 문제 제기 없이 쉽 게 받아들일 수 없었다(Hwang, 2010). 따라서 미국 에서 대중문화의 의미와 확산 배경에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는 흑인문화, 그리고 거기에서 비롯된 블랙 아메리칸문화를 간과할 수 없다. 지금까지 흑 인문화는 백인의 주류문화에 종속된 저속한 문화 라고 치부해 왔는데, 백인문화에 영향을 미친 흑인 예술은 실로 헤아릴 수 없으며, 오히려 블랙 아메 리칸문화는 미국 대중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블랙 아메리칸 스타일, 패션, 그리 고 팝 음악 등은 20세기와 21세기를 통해 미국문화 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다(Dilia and Joseph, 2009). 그리고 블랙 아메리칸문화의 요소들은 현대 패션 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서 저항과 폭력이 팽배하게 나타난 저속한 이미지가 아닌 유일하고 독특한 캐 주얼웨어나 스포츠웨어 등의 스트리트 패션부터 고급스러운 이미지로까지 변신을 거듭하면서 하이 패션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다.

    그리고 미국 대중문화에서 1900년 중반부터 소 수 대중문화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던 소울(soul)은 주류사회를 형성했던 백인문화에 대한 블랙 아메 리칸들의 저항의식의 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시대가 거듭할수록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 로 표현되었다. 무엇보다도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 해서 개관적인 검증을 통해서 미국 대중문화 속의 블랙 아메리칸문화가 영향력 있는 비중이 되어 왔 으며, 그로 인해 미국 대중문화 속에서 소울 패션 의 존재성이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블랙 아 메리칸의 소울의 정신세계는 소울 패션으로 미국 대중문화 속에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대중문화 속의 블랙 아 메리칸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여 ‘소울 패션(soul fashion)’ 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21세기에는 어떠한 영향력으로 소 울 패션의 요소가 미국 대중문화를 이끌고 있는지, 그 중요성과 위상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 고자 함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에 의한 연구로서, 연구 내 용의 이론적 배경은 소울의 의미가 구체적으로 패 션에서 언급되었던 1960년대 이후부터 그 문화적 인 배경과 사회현상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20세기 말부터 미국 대중문화에서 자리 잡기 시 작한 소울 패션에 대한 사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 라서 실증적 자료는 국내외 연구관련 전문 서적에 수록된 사진들을 선정하였고, 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과거 20세기 후반까지를 그 범위로 정하였다.

    II.The Formation and Progress of American Pop Culture

    1.American pop culture

    문화는 모든 신념과 태도 그리고 특정한 바디 이 미지를 선호하는 행동양식을 함축하는 생생한 역할 을 한다. 문화적응 또는 문화화(文化化; enculturation) 란 특별한 집단의 문화적 특성인 인종, 사회, 교육, 성별, 나이 등을 수용하고 인정함으로써 실패나 성 공의 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Eric, 2008). Kang(1999)은 대중(mass popular)문화의 정의를 ‘많 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저속한 것, 사람들의 호 기심을 끌기 위해서 정교히 만들어진 것, 그리고 민 중 스스로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 대중문화의 평범한 정의는 대중문화가 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 는 것이며, 흔히 대중문화는 ‘mass culture’, ‘popular culture’로 이해하지만,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다소 차이가 난다고 하였다.

    즉,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소란한 1920년대 는 현대적 생활방식을 폭발해내면 영화와 재즈, 스 포츠를 즐기는 대중문화를 탄생시켰고, 그것은 세 계로 퍼져갔다. 그리고 2차 세계대전 후 세계화의 여파로 미국사회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것은 흑 인의 지위 향상이었다(Kim, 2007).

    그리고 미국의 대중문화가 본격화된 것은 1930 년대 이후였다. 1920년대에서 1930년대 사이에 대 중문화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미국인의 일상생활 에 스며들자 지식인들은 대중문화가 자본주의 발 전, 미국적 가치, 민주주의 확산, 그리고 고급문화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를 질문하기 시작했다(Kim, 2008). 무엇보다도 대중문화가 중요한 가치관과 신 념, 그리고 신화를 구체화하고, 매스미디어, 예술, 음 악, 의식, 이벤트 등 형태로 나타나는 것처럼 미국 대중문화 속에 형성되어 있는 ‘Black visual culture’ 는 당연히 대중문화로 간주할 수 있으며, 거기에서 비롯된 독특한 사회적·․역사적 부산물은 마찬가지 로 신념과 가치관을 전달한다(Carol, 2012)는 것이다. 즉, Carol(2012)은 미국 대중문화 속의 Black visual culture는 소비자들에게 즐길 수 있는 이상적인 기 회를 제공하며, 그것은 아프리카를 알 수 있는 기 회이자 마찬가지로 미국을 알 수 있는 요소라고 언 급하였다.

    이에 대해 Lee(2001)는 이러한 ‘흑인예술운동’은 지배사회와의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이전의 여 러 노력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역시 흑인들 의 문화 역시 원래 아프리카를 기원으로 하지만, 노예제도를 통해 백인 사회와의 접촉을 거쳐 현재 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므로 아프리카 문화인 동 시에 미국문화라고 할 수 있음을 명시했다.

    따라서 미국 대중문화는 흑인문화, 블랙 아메리 칸문화의 다양한 문화적 요인들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2.The Soul in the American pop culture

    소울은 1960년대 말 블랙 아메리칸사회에서 유 래된 개념으로 이 개념은 흑인 민족주의에서 발단 이 되어 블랙파워(Black Power) 이상으로 진화되었 다. 따라서 소울은 두 가지의 사회정치적이면서 문 화적 의미를 가진다. 사회정치적 관점에서는 흑인 의 역량 강화와 정체성에 대한 자아인식을 옹호하 며 문화적 관점에서는 블랙 아메리칸들의 독특한 전통뿐만 아니라, 블랙 스타일(Black style)의 상징 적 표현 또는 이러한 전통을 행하는 방식으로 구체 화되었다(Moniqye & Richard, 1998).

    국내 패션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소울’이란 영혼 이라는 미국의 속어로 흑인들의 자유의지와 감성 을 담은 마음과 정신을 이야기하기도 하며, 리듬 앤 블루스와 같은 소울풍의 음악이라는 뜻도 담고 있 다. 이러한 흑인들의 독특한 원색적인 컬러배합과 자유분방한 키치(kitch)적인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 을 말한다(The fashion compilation committee, 1997). 그리고 1960년대 ‘소울’이라는 단어는 흑인의 신분 을 상징하는 말이었다. 이 당시 흑인음악은 그 어 느 때보다도 흑인적인 특성이 강하였고 가스펄 지 향적이었는데, 이는 흑인 세력확장운동과 투쟁으로 인해 고조된 감정으로부터 소울 음악이 긴장감과 박진감 넘치는 격렬한 표현성 표출된 것이었다(Lee & Koo, 1997).

    Cynthia(2006)은 사실 도처에 산재해 있는 ‘Black Power’ 슬로건이 ‘Union Power, Soul Power’로 중년 층 파업 노동자와 청소년 학생들에게 더 친숙한 주 문처럼 되었는데, 이 ‘Soul Power’란 어구에는 인종 과 호전성이 합성된 의미를 지녔다. 이러한 특정 의미는 주류문화와의 갈등이 사회 저변에 깔려있 는 흑인 호전성에 의한 장벽을 깨뜨리는 놀라운 효 과를 가져왔다고 했다. 또한 Moniqye and Richard (1998)에 의하면 미국 대중문화 속의 소울은 개념 은 부분이든 전체이든 세계적 시각에서 볼 때 블랙 아메리칸들이 소속된 공동체의 특징적 요소들이 그 대로 스타일로 나타난다고 명시하였다.

    Ko and Kim(2010)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문화 속 에서 소울의 표현은 블랙 아메리칸들의 마음에 뿌 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주류문화에 대한 저항의식 에서 시작이 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예술적 표현 속에서 그 대표적인 형태가 힙합과 아프리카 풍에 대한 숭배로 나타났다. 이렇게 미국이 중심이 된 대 중사회로의 변화는 일반인인 다수의 중류층에 가 장 많은 변화를 주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마이너 권력으로 다양한 하위문화계층의 등장과 저항은 그 들만의 문화를 표출하기 위한 다양한 대중문화를 등 장시켰음을 서술하고 있다.

    소울은 세대 간이나 세대와는 별개로 다양한 방 법으로 표현되었다. 일단 흑인문화의 부산물은 대 량소비를 위해 상품화되어 왔으며, 새로운 환경에 어울리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기능이 주어졌다. 그러나 블랙 아메리칸 공동체 내에서는 소 울 본래의 의미와 사회문화적이고 정치적인 중요성 이 새로운 상황에 맞게 유지되고 있다(Moniqye & Richard, 1998). 따라서 대중매체를 이용해 저항의 식이 가득한 흑인음악이 대중화되면서 흑인음악에 뿌리를 둔 힙합(hip hop) 장르도 어필되었다. 그리 고 Hwang(2010)의 연구에서는 1970년대 후반에서 8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뉴욕빈민가에 한정되 어 존재하던 힙합은 80년대 후반부를 거치면서 대 중문화 속으로 편입되었다. 흑인 빈민가 문화를 통 칭하는 힙합의 음악적 형태인 랩은 20세기 말에 대 중음악에서 최고의 인기 장르의 하나로 자리 잡은 후 꾸준히 유행되고 있다(Kwon & Yang, 2001).

    이처럼 미국 대중문화 속에서 소울은 많은 의미 를 내재하고 있고, 동시에 그에 대한 다양한 형태 로 변형을 시도하면서 철학, 행동, 상징, 문화적 부 산물, 즉 아프리카인의 가치관과 전통으로 제시되 는 스타일과 ‘Black identity’ 개념으로 지지되는 블 랙 아메리칸들만의 유일한 스타일로 표현되었다.

    즉, 미국 대중문화에서 나타난 소울은 블랙 아메 리칸들의 삶 속에 스며들어 있는 고뇌의 표현 중의 하나이며. 이것은 저항의식이라는 수단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특히 블랙 아메리칸들의 타고난 천부적인 재능인 예술적 감각에서 두드러 졌으며, 소울은 음악이나 춤, 더 나아가 패션에서 그들의 혼을 실어 메시지를 담았다.

    3.The traits and of African American culture

    본 연구에서 언급하는 흑인사회, 흑인문화, 아프 로 아메리칸 문화, 블랙 아메리칸문화 등 다양하게 서술되고 있는데, 이것은 모두 미국 대중문화 속에 형성되어 있는 블랙 아메리칸문화와 동일시된다. 이것은 연구자나 학자에 따라 용어 사용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흔히 우리가 소울을 말할 때, 블랙 아 메리칸들이 가지고 있는 타고난 재능인 요리법이 나 춤과 같은 스타일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그것은 흑인들에게 극단적으로 적대적이기 까지 한 사람들도 소울스타일을 받아들일 정도로 매력적이다(Moniqye & Richard, 1998).

    이처럼 유일한 블랙 아메리칸문화 특징은 미적 자유표현 매체인 의상에서 표출되었으며, 그러한 특 징들은 European American 스타일을 모방하는 것 이 아니라, 다양한 아프리카 문화에서 미적인 독창 성과 혁신적인 풍요의 역사를 이끌어냈다. 물론 블 랙 아메리칸 스타일은 서로 다른 요인들, 즉 사회 계급, 나이, 성, 지역성으로 인해 다양한 외양으로 나타났으나, 더욱 미묘한 점은 인종과 민족성이 예 측불가할 정도로 작용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Carol, 2004).

    미국 내 흑인사회란 흑인들이 과거 아프리카에 서 끌려와 노예생활을 하면서 시작되면서 그들은 아프로 아메리칸으로 분류되었고, 유색인종이라는 이유로 백인과의 인종적 차별을 받았다. 이에 흑인 들은 점차적으로 저항의식이 커지면서 다양한 문 화를 통하여 자신들의 저항성을 드러내고 있다. 흑 인문화는 독창적으로 그들의 삶을 드러내면서 발 전하였는데 흑인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하고 있는 것은 노래였다(Kwon & Yang, 2001). 흑인들의 음악은 정치성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 며, 농장에서 도시의 게토에 이르기까지 흑인문화, 특히 흑인음악은 미국 흑인들에게 강력한 생존수 단을 제공했으며, 그들의 생존과 저항의 수단으로 가장 익숙한 표현법은 음악이었다(Yang, 2001). 따 라서 Yang(2001)은 소울 음악과 저항의식은 1960 년대 미국 흑인들의 생존 전략으로서 가장 큰 무기 의 역할을 했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시기는 랩과 힙합이 그와 같은 역할을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힙합을 소울로 간주할 수가 있는 것은 소울의 전통이 힙합을 통해 유지되 고 있으며, 현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힙합에 표현되 고 있는 소울이 새로운 형태로 변형되고 있으나, 블 랙 아메리칸문화 특성으로 자리 잡고 있다(Moniqye & Richard, 1998). 더욱이 블랙 아메리칸들은 전통 적으로 이분화 된 세계인 소울과 마음처럼 감정을 표현하고 구현하거나 정치적인 것과 미적인 것의 두 가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조합하여 이것을 도 발적인 유행의 의상을 통해 이를 통합하였다(Carol, 2004).

    현재 논쟁이 되고 있는 미국인 가치관에 대해 진 보적인 힙합의 대응은 정의와 평등과 같은 힙합에 서 알려진 다른 중요한 미국인의 가치관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불결함, 부도덕, 폭력으로 간주했던 관 점을 재정의하는 것까지도 함축하였다. 뿐만 아니 라 힙합이 형성되었던 불평등한 환경을 강조하고 변화하고자 하는 보다 진보적 가치를 살리고자 도 전하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Tricia, 2008).

    Hwang(2010)도 마찬가지로 21세기 미국에서 대 중문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힙합은 사회적 주변인들이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는 저항 적 문화 형식으로 출발한 힙합은 탈산업화된 미국 사회의 물질적, 인종적 불평등에 대항할 수 있는 문화 수단으로 발전했으며, 또한 최근 몇 년 사이 미국 내 블랙 아메리칸들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 는 가장 효과적인 매체가 되었고, 동시에 미국문 화 속의 블랙 아메리칸문화를 전 세계적으로 대표 할 수 있는 문화산업으로 성장해가고 있음을 제시 하였다.

    이처럼 미국 대중문화 속의 블랙 아메리칸문화 의 특성은 힙합을 통해서 가장 절실하게 표현되었 는데, 이는 단순히 미국 내에서 그들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출하는 것이 아닌 이들의 정신에 뿌리 깊 은 흑인정신을 정치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럼으로써 미국 사회에서 그들의 존재감을 사회적으로 관심 사로 부각시켰음을 알 수 있다.

    III.Soul Fashion

    미국 대중문화 속에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소 울을 그들의 패션에서 고찰해보고 거기에 내재된 의미를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따 라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20세기 말 이후 현재까 지 소울 패션을 정의하였고, 크게 두 가지 측면으 로 표출되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Ⅲ장에서는 힙합문화의 하나인 소울 패션과 ‘Africa-inspired’에 서 연유된 소울 패션의 두 관점을 고찰 분석하였다.

    1.The conception of soul fashion

    미국 대중문화에서 나타난 소울은 블랙 아메리 칸들의 삶 속에 스며들어 있는 고뇌의 표현 중의 하나이며, 이것은 저항의식이라는 수단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특히 그들의 소울은 음악 이나 춤, 더 나아가 패션에서 그들의 혼을 실어 메 시지를 담았다. 본 연구에서 소울 패션은 미국 대 중문화 속에서 블랙 아메리칸들의 철학, 행동, 상 징, 문화적 부산물로써 그들의 가치관과 전통으로 제시되는 스타일과 ‘Black identity’ 개념으로 지지 되는 패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울 패션은 Carol(2004)이 언급했듯이, 20 세기 말부터 미국 대중문화에서 소울이 특별히 두 가지 스타일로 저항의식이란 비가시적인 힘이 가시 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했다. 한 가지는 힙합문화의 중요한 비중을 가지는 소울 패션에서 블랙 아메리 칸들의 영혼을 표현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Africaninspired’ 된 소울 패션이었다. ‘African-inspired’된 소 울 패션은 블랙 아메리칸들의 고향이자, 전통의 뿌 리가 있는 아프리카 문화에서 고무된 요소들을 의 도적으로 패션에 혼을 담아 접목시켰다.

    2.The soul fashion in hip hop

    힙합 패션에 표현된 저항의식의 이미지가 소수 비주류문화와 주류문화 사이에서 매우 심한 변화 를 보이는 것은 바로 21세기 초 블랙 아메리칸들의 신분을 표시하는 것과 마찬가지였다(Carol, 2004). 즉, 블랙 아메리칸들의 자유를 향한 그리움은 지배 문화에 대한 저항의식이며, 힙합 패션에서의 저항 의식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식으로 표 출되었고, 그것은 착장의 규칙을 무시하는 방식으 로 나타났다. 색상의 경우, 블랙 패션을 착용함으로 써 오히려 자신들의 피부색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 하였다(Kwon & Yang, 2001).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의 뉴욕 할렘의 초 기 힙합 패션은 기존의 저렴한 캐주얼 작업복들의 창조적인 재창조에 바탕을 하였다. 1977년 뉴욕에 서 전력공급 중단과 동반한 폭동은 불법으로 전기 대신 가로등을 이용하여 거리에서 행위를 하는 새 로운 공연가들의 붐을 일으켰다. 공동체에서의 분 노와 좌절은 브레이크 댄싱과 그라피티 아트로 사 회적인 그리고 음악적 행사에 점화를 했다. 즉, 이 러한 분위기는 경쟁력 있는 DJ들을 고무시켰는데, 특히 Grandmaster Flash로 알려진 Joseph Saddler는 힙합이란 실험적인 장르를 완성했다(Gates, 2013). <Fig. 1>은 1980년 Grandmaster Flash의 힙합 패션이 다. 그의 패션은 당시 음악만큼이나 가장 대중에게 영향을 미친 정신적으로나 사회적 메시지가 담긴 소 울 패션이었다. <Fig. 2>는 1993년 뉴욕시의 Columbia University’s Rap Summit에 참석한 당시 최고의 힙 합뮤지션인 Grandmaster Flash, DJ Kool Here, Afrika Bambaataa, Chuck D이다. 이들의 의상은 낡은 청바 지나 티셔츠에 그라피티를 하고, 춤동작에 방해되 지 않는 배기 바지나 지나치게 여유가 많은 바지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야구모자나 신발 그리고 액세 서리 등에서 독특한 소울 패션을 형성하였다. 그럼 으로써 그들의 내면에 있는 고뇌를 사회에 알리는 메시지를 표현했다. <Fig. 3>은 1980년대 중반 남성 들만의 힙합세계에 공격적인 핵으로 나타난 여성 힙합 트리오인 Salt-n-Pepa이다. 이들의 안무에 조 화된 패션은 때로는 프레피(preppy)나 바이커(biker) 와 같은 이미지를 구축하여 사회적인 이슈를 패션 에 담음으로써 당시 전 세계 젊은 팬들을 열광하게 한 소울 패션이었다. 즉, 폴로셔츠와 찢어진 청바지 에 가죽재킷을 입거나 에어브러쉬(airbrushed)한 티 셔츠에 퍼나 금, 다이아몬드 등을 믹스한 스판덱스 를 착용하여 Salt-n-Pepa 만의 유일한 이미지를 통 하여 당시 대중문화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켰다. 1970 년대 말에 블랙 아메리칸문화에서 형성된 힙합은 1980년대 미국 대중문화의 주류사회에 자리잡게 되면서 힙합 뮤지션들의 패션은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Dilia & Joseph, 2009). <Fig. 4>는 당시 또 다른 힙합 패션에 영혼을 담아 표현한 뮤지션인 Lauryn Hill이다. 그녀는 항상 가발을 썼으며, 관능 적인 이미지에 자신의 내면세계의 뿌리를 두고 외 양을 갖추었다. 그녀만의 유일무이한 스타일로서 데드락(deadlock)과 타이트한 핫팬츠 그리고 4캐럿 정도의 링 장신구로 치장함으로써 자신만의 소울 패션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육감적이면서도 순수함 이 혼합된 이미지는 뉴욕의 힙합젊은이들의 마음을 뒤흔들었으며, 더욱더 그녀는 패션을 통해 천상의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Fig. 5, 6>은 힙합뮤 지션 Eve인데, Eve의 패션은 불량스러운 이미지뿐 만 아니라, 하이 패션에서도 열광하게 한 힙합 뮤 지션으로 유명하다. 짧은 컷의 자연스러운 헤어를 백금색으로 염색하고, 손색없을 정도로 잘 꾸민 외 양을 표현했다. 가끔은 진한 청색의 진즈에 모토사 이클 재킷 또는 퍼를 걸쳤는데, 자신의 패션을 통 해서 놀라우리만치 자신의 마음과 영혼을 담아 다 양한 변신의 가능성을 보임으로써 특히 십대에게 롤 모델이 되었다. Eve 패션 역시 의상과 장신구를 통해서 내면의 메시지를 당시 사람들에게 전하고 자 했던 소울 패션이었다.

    즉, 80년대 초반에는 운동복과 운동화가 빈민가 에서 유행을 했고, 그 이후에는 힙합 패션으로 전 개되어 세계적인 유행을 낳았다. 미국 뉴욕의 흑인 할렘가에서 10대들에 의해 흘러나온 이 특별한 문 화조류는 1990년대 들어가면서 그 자유로움과 반 항 정신을 공유하고, 자신들만의 문화를 창조하려 는 전 세계 신세대들을 중심으로 패션, 춤, 노래, 의 식까지도 지배하는 힙합 스타일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속받기 싫어하는 젊은이의 자유 로운 감성을 반영하듯 헐렁하게 큰 셔츠와 흘러내 리는 듯 한 통이 큰 바지가 스타일의 특징을 이었 다(Ko & Kim, 2010).

    <Fig. 7>은 힙합뮤지션 Da Brat이다. 여성 힙합 뮤지션 최초로 100만 이상의 레코드가 팔린 Brat의 이미지는 불량소년과 글래머스한 외양으로 나타났 는데, 그녀의 주얼리 장식 이외의 평범한 흰색 셔츠 와 함께 배기진이나 목이 긴 팀버랜드(timberland) 부츠와 땋아내린 헤어스타일 등으로 구성된 소울 패션은 Brat의 음색처럼 남성적인 이미지를 표출했 으며, 이는 1990년대 중반 대중문화에 큰 충격을 가져왔다. 1990년대에는 힙합 패션은 오버사이즈, 배기팬츠, 축구나 야구셔츠와의 매칭, 그리고 야구 모자를 돌려씀으로써 그 이미지를 형성했다. 1990 년 후반부 힙합 패션은 오버사이즈 화이트 셔츠, 야구나 하키의 저지 셔츠, 밑위가 내려간 승마용 배기 진즈, 카고팬츠 그리고 전투용 부츠 도는 하 이킹 부츠 등에서 블랙 아메리칸들의 소울 이미지 를 표출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디자이너 브랜드 의 선호는 21세기까지 힙합 패션에서 받아들여졌 을 뿐만 아니라, 타투, 면도를 하거나 땋아 내린 헤 어스타일 등도 다른 형태의 소울이 표현된 힙합 패 션의 일부였다(Dilia & Joseph, 2009). 이러한 1990 년대 의 합합 패션에서 나타난 소울 패션의 이미지 는 특히 힙합 뮤지션인 <Fig. 8>의 Missy Elliot의 외 모에서 생생하게 표현되었다.

    <Fig. 9>는 ”Queen of hiphop/soul”로 묘사되고 있 는 힙합뮤지션 Mary J. Blige로 그녀의 이미지는 주 류문화에 대한 이탈과 지배적인 대중매체에 폭넓 게 수용되는 이중적인 의식이 표현되고 있는 새로 운 스타일의 힙합 패션이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지식층 블랙 아메리칸들은 그들의 저항의식을 정치 적으로만 표출하기 보다는 미국 대중문화 속에서 중재된 이미지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는데, 저 항의식 속의 소울의 표현과 물질주의가 결합된 의 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해 Carol(2004)는 21세기 힙합 스타일인 극단적으로 풍성한 남자 진즈나 극 단적으로 타이트한 여자드레스에서 저항의 메시지 이자 주류 밖의 미적 감각인 소울을 전달하고 있다 고 한다. 즉,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는 힙 합 음악이 미국 주류 대중 음악시장에서 자신만의 위치를 확립했던 시기로, 이때의 의상은 소울 패션 으로의 메시지를 전달했으나, 점차로 아디다스 운 동복, FUBU의 블랙진 스타일, Karl Kani의 블루 데 님, Wu-Wear의 군인 스타일 옷 등 문제의식을 보 여주기 보다는 고급화 된 힙합 패션아이템들은 21 세기 초에 이르면서 힙합 의상은 유명 브랜드의 옷 처럼 상업화 되었다(Yang, 2001).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정상적(normal)’과 ‘비정 상적(abnormal)’이란 단어를 사용할 때 소속된 사회 대다수 사람들의 관점에서 ‘정상적’과 ‘비정상적’ 이 결정된다. 한 예로 미국사회에서 사람들은 팬츠 나 진즈를 입을 때 벨트를 착용하고 허리 위치에 입는 것이 ‘정상적’인 것이며, 벨트 없이 팬츠가 샅 부위까지 내려가게 착용하는 것은 아주 이상할 뿐 만 아니라, 괴짜로 보이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 주하였다(Porter, 2006). 이것은 힙합 패션에서 블랙 아메리칸들의 저항의식이 표현된 소울 패션으로 미국 대중문화에서는 비정상적 이미지로 아이러닉 하면서 냉소적으로 수용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안타깝게도 미국 대중문화에서는 미국인들의 우 상의 모습에 비치는 비정상적인 이미지, 실지로 병 적인 현상을 정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블 랙 아메리칸문화 속의 비정상적 이미지에 대한 냉 소는 문화 갈등이 되었을지라도 현재 소울 패션으 로 주류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힙합문화 속에서 표현된 소울 패션 은 그 도전적인 과감한 표현으로 흑인 젊은이들에 게 상투적이었던 주류미국인들을 면전에서 대항할 수 있었던 혁신적인 스타일을 통해 인종차별의 가 시화된 표출을 전복시켰다. 시대변천에 따라 소울 의 메시지가 물질주의와 결속되어 변화가 되었을 지라도 근본적인 블랙 아메리칸들의 정신과 마음 속 고뇌의 혼이 뿌리 깊게 대중문화 속에 자리하고 있다. 즉, 이러한 소울 패션의 아이러니한 이미지는 백인 우월주의에 대한 저항의식이 비대칭적으로 불균형한 모습을 형성하였다. 더불어 힙합문화의 황금기인 20세기 말에는 소울 패션이 미국 대중문 화에서는 거칠고 조잡한 느낌의 감정으로 전달되 었으나, 21세기에는 하이 패션에서 고급화된 이미 지 속에 블랙 아메리칸들의 혼을 담아 표현하였다.

    3.The soul fashion in Africa-inspired

    블랙 아메리칸들은 그들의 자부심을 아프리카 전통적 요소를 의도적으로 소울 패션으로 표현함 으로써 백인우월주의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아프리카 전통과 문화를 근본으로 하고 있는 소울 패션은 미국 대중문화 속에서 대량생산이 된다고 해도 흑인들의 저항의식의 의미가 여전히 내재되 어 미국 주류문화 속에 남아있었다(Carol, 2004). 의 상은 문화의 생생하고 통합적인 부분으로 블랙 아 메리칸들의 역경 속에서 만들어진 패션은 노예생 활을 견디는 동안 그들의 삶에서 형성되었다(Shane & Graham, 1999).

    아프리카 전통적 요소를 강하게 가지고 있는 소 울 패션에도 마찬가지로 혁신적인 이미지가 다양 하게 표현되었다. 블랙 아메리칸 여성들은 아프리 카와의 연결고리를 상징화하는 의상을 채택하여 정치적 자의식을 보여주었는데, 일부 여성들은 바 틱(batik)이나 진흙으로 염색한 아프리카 문양이 있 는 길고 펄럭거리는 카프탄(Kftan)을 입거나 켄테 (Kente)를 입었다. 그리고 켄테에서 영감을 받은 블 랙 아메리칸들의 소울 패션은 그들의 아프리카 혈 통 안에서의 강한 자부심의 소통이었으며, 또한 미 국 대중문화 안에서 소수집단의 결속력을 의미하 였다(Carol, 2012). <Fig. 10>은 1995년 뉴욕 맨하탄 의 모습으로 다양하고 다채로운 서아프리카의 전 통문양의 셔츠를 팔고 있는 길거리 상점이다. <Fig. 11>은 1993년 캘리포니아의 한 쇼룸으로 당시 유행 했던 아프리카 전통셔츠를 전시하고 있다. <Fig. 12> 는 아프리카 전통 문양과 직물로 된 의상을 입고 있는 아프리카 부족의 남자들의 모습으로, 이러한 에스닉한 의상의 요소들이 당시 미국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다른 여성들은 넓은 소매의 칼라가 없는 아프리 카 문양의 셔츠나 자수가 놓아진 아프리카 전통의 상을 입거나 벨바텀의 진즈, 팬츠, 길고 풍성한 스 커트를 입었고, 샌들은 캐주얼한 아프리카 풍의 이 미지를 역시 소울 패션으로 완성하였다. 이 스타일 을 완성하기 위해 여성들은 아프리카 전통 주얼리 인 초커, 팔찌, 반지, 부적 그리고 상아 목걸이를 했 으며, 뼈로 목이나 팔, 손가락 등을 장식을 했다. 귀 에는 금이나 은으로 크고 작은 링이나 조개껍질로 된 귀걸이를 했고, 목 중간에 목걸이를 했다(Duane, 2000). <Fig. 13>은 비즈장식 된 로브를 입고 있는 마사이 여성의 모습이며, 미국 대중문화 속에 형성 된 소울 패션에 영감을 준 이미지이다. <Fig. 14>는 Suno 디자인으로 아프리카 전통에 뿌리를 둔 이미 지를 하이 패션으로 표현한 소울 패션이다. 머리를 땋거나 실타래처럼 하는 전통적인 기술 또한 아프 리카 전통 헤어 디자인이며, 반다나(bandanna)의 경 우 그 기원이 난해할지라도 아프리카 전통 의상으 로 널리 간주되고 있다. 즉, 이 반다나는 북부 아메 리카에서 여성 노예들이 실용적인 목적으로 이용 했던 아이템으로 때론 햇볕으로부터 보호, 머리청 결유지, 땋은 머리 유지, 그리고 아마도 아프리카 나라만의 상흔 등을 가리기 위해 두르는 목적 등으 로 이용되었다(Shane & Graham, 1999). <Fig. 15>는 Suno 작품에서 아프리카 전통 머리장식을 볼 수 있 는데, 많은 하이 패션 디자이너들이 아프리카 전통 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이너 내면세계를 소울 패션 으로 표현하였다.

    하이 패션에서는 디자이너들이 아프리카 전통의 독특한 미적 감각에서 영감을 받은 이미지 속에 블 랙 아메리칸들의 소울을 환상적인 다양한 요소로 표출하였다. 그것은 그들의 다양한 아프리카인들의 에스닉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그들의 유일한 전통 소재들과 실루엣, 색상, 장신구, 헤어스타일 그리고 신체장식 등의 요소들의 자신의 디자인세계에 접 목하기도 하고, 아프리카 예술작가들과 콜라보레이 션하여 소울 패션으로 완성하였다.

    반다나는 정교하게 머리를 땋거나 머리장식 기 구가 없는 블랙 아메리칸 여성들에게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아이템으로 때로는 아주 눈부시게 밝은 색상의 반다나나 두건이 장식욕구나 미의식 의 표출 수단이 되었다(Shane & Graham, 1999).

    그리고 랩퍼들의 적극적 저항의식을 표현한 패션 중 아프로 스타일은 아프리카적 흑인의 정체성을 이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패션에 있어서 아프리카 원주민의 민속복이나 장식 등을 응용한 원시적 요 소와 함께 과감한 노출을 통하여 자연주의와 검은 색 피부의 선호, 레드, 골드, 그린 및 무늬, 두건, 전 통적 아프로 헤어스타일과 라스파타리안(Rastafarian) 헤어스타일로 나타났다(Yum, 1995). 랩퍼들은 블 랙과 대비되는 레드, 골드, 그린 색상을 선택하였는 데, 이는 과거 라스파타리안들에 의하여 이 세 가 지 색상이 흑인 저항의 색으로 구분되었기 때문이 다(Kwon & Yang, 2001).

    더욱 중요한 것은 색상과 디자인에서의 독창성 을 발휘할 수 있었던 이들 블랙 아메리칸 여성들은 직물 생산에 그러한 아이디어를 비중 있게 접목한 점이다. 그것은 의상에서는 부조화된 색상 배합이 나 비규칙적인 문양의 형태로 나타났는데, 바로 지 배사회를 형성하고 있는 백인사회의 미적 감각과 는 전혀 다른 문화적인 미감이 추상화되어 표현된 것 이었다(Shane & Graham, 1999). <Fig. 16>은 Matthew Williamson의 2009년 작품으로 아프리카 전통 의복 인 kaftan과 문양 등에서 영감을 받아 아프리카 뿌 리인 소울을 간접적으로 하이 패션에 표현하였다. <Fig. 17>과 <Fig. 18>은 Deola Sagoe의 작품으로 뉴 욕 패션위크에서 선보였던 아프리카 전통복에서 영감을 받은 소울 패션이다. 동아프리카 부족의 전 통복에서 영향을 받은 이 작품들에서 Deola Sagoe 는 아프리카 여성의 능력과 힘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신비스러움과 여성스러움을 가진 보다 자유롭고 독립적인 아프리카인의 혼을 담고자 했 다. <Fig. 19>는 Jacques Van derWatt의 작품으로 미 래적이고 신아프리카의 정체성을 자시의 디자인세 계에 담아서 표현하고자 했던 작품이다. 사파리 의 상과 ‘Himba culture’ 그리고 에스닉한 헤어스타일 에서 영감을 받아서 표현한 소울 패션이다. <Fig. 20> 은 Emeka Alams가 ‘slave to the Rhythm’이란 주제 로 표현한 소울 패션으로 작품을 통해서 현대 아프 리카의 균형 잡힌 현실을 보이고자 의도함으로써 블랙 아메리칸의 내면세계를 담은 소울 패션이다.

    바로 이러한 미적 표현이 미국 대중문화 속에서 소울 패션으로 구체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일 한 미적 감각은 블랙 아메리칸 음악과 그 성격을 공유하고 있으며, 백인들도 역시 이러한 감각에 공 감되었다. 그리고 가끔 흑인 노래를 묘사하는데 사 용되는 은유적인 감각은 직물디자인이나 퀼트를 만 드는 이미지로 고양되었다(Shane & Graham, 1999).

    블랙 아메리칸문화 표현으로서 중요한 형태인 음악과 댄스, 그리고 패션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음악과 댄스의 리듬처럼 텍 스타일 디자인에도 미묘한 리듬의 특징을 지닌다. 거기에는 놀라우리만치 탁월한 즉흥적인 감각의 흑 인음악처럼 그들의 미적 감각은 퀼트나 의상과 밀접 하게 관련을 가지고 있다. 블랙 아메리칸들의 댄스 에는 ‘생명력’이나 ‘활기참’ 그리고 ‘예상할 수 없는 리듬과 긴장’으로 ‘끊임없는 놀라움’이 있다(Shane & Graham, 1999). 바로 그러한 감정이 ‘부조화된 색상’이나 ‘텍스타일의 불규칙적인 패턴’ 등 예측 불가한 다양함과 신비로운 미감이 소울 패션으로 공유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Carol(2012)의 의상은 사회적 지위, 젠더, 민족성을 소통할 수 있고, 마찬 가지로 국민성, 나이, 감정상태까지도 전달하며, 의상은 그룹, 즉 흥미, 취향, 가치관이나 지위를 고 유하는 사람구성 간의 신호이다고 한 의미로 공감 할 수 있다.

    <Table 1>에서 소울 패션의 의미와 표현의 요소 에 대해서 정리 요약하였다.

    IV.Conclusion

    미국 대중문화에서 1900년 중반부터 소수 대중 문화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던 soul은 주류사회를 형성했던 백인문화에 대한 블랙 아메리칸들의 저 항의식의 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시대가 거듭 할수록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 다. 이들의 패션에서 표현되는 소울은 외적으로 나 타난 요소에는 시대의 변화에 의해 다소간 차이는 있을지라도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정신적 세계 는 미국 대중문화 속에 견고하게 자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대중문화 속의 블랙 아 메리칸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여 소울 패션이 가지 는 진정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국대중 문화에 나타난 소울 패션은 두 가지 문화적 특성인 힙합의 팝 문화적 측면과 아프리카 전통에 뿌리를 둔 문화적 측면에 서 나타났으며, 이것은 미국 대중문화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류문화의 패션흐름 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렇 게 표현된 소울 패션에는 블랙 아메리칸들의 정신 속에 새겨진 아픔이 저항의식이란 수단으로 가시 화 되었지만,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들의 혼 으로 승화되어 스트리트 패션이나 하이 패션 등 다 양한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이 두 가지 문화적 현상으로 나타난 소울 패션에 는 블랙 아메리칸들의 저항의식의 표출은 두 가지 측면의 의미로 표현되었는데, 하나는 아이러닉한 이 미지(ironic image)와 냉소적 이미지(sarcastic image) 요소들로 응집되었다. 즉, 이들 이미지 모두 백인 우월주의에 대한 저항의식이 비대칭적으로 불균형 한 모습의 스트리트 소울 패션에서는 거칠고 조잡 한 느낌의 감정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블랙 아메리 칸들의 역사적인 상처와 문화적 고정관념, 자아 증 오나 비하나 자해와 같은 슬픔과 고뇌를 패션에서 는 실루엣, 소재, 색상, 액세서리 등에서 예기치 못 하는 즉흥적인 감정과 감각으로 냉소적 표현으로 왜곡되어 표출되었다. 그러나 다른 의미는 블랙 아 메리칸들의 자부심이 패션을 통해 가시화 되었다. 즉, 그들의 진정한 내면의 소울은 과거 노예시절의 슬픔이나 주류사회에 대한 열등의식을 넘어서 저 항의식을 단순하게 물리적인 힘으로 과시하는 것 이 아닌 유일무이한 블랙 아메리칸들이 가지고 있 는 인종문제나 그들만의 전통의 혼을 소울 패션 승 화시켜 민족적 자부심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소울 의 메시지는 스트리트 패션뿐만이 아니라, 아프리 카 출신의 패션 디자이너들의 하이 패션 속의 소울 패션으로 승화되었다. 현대 미국 대중문화에서 중 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울 패 션은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그리고 직접적으로는 공연가들이나 스트리트패션에 그리고 간접적으로 하이 패션에서 이미 미국 대중문화 속에 그 중심을 형성해 오고 있다.

    이처럼 선행 연구들에서도 꾸준히 비중 있게 다 루어지는 것은 흑인문화가 미국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영향력은 무엇 때문일까? 그 근원을 근본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바로 블랙 아메리칸들의 영 혼이 깃들인 소울 패션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블랙 아메리칸문화에 내재된 소울은 소울 패션으로 가시 화되어 미국 대중문화 속에서 트렌드를 이끄는 비 중 있는 요소로써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21세기 패션세계에 영향력 있는 영감의 요 소가 되고 있는 블랙 아메리칸문화의 소울을 다각 적인 사례연구를 섭렵하지 못한 점은 한계점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본 연구 주제를 심도 있게 그리 고 신뢰도 있게 연구한 결과는 복식사 연구의 미래 방향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Figure

    RJCC-23-412_F1.gif

    Grandmaster Flash, 1980. From. Gates, H. L.(2013). p.401

    RJCC-23-412_F2.gif

    Columbia University’s Rap Summit, New York, 1993. From. Gates, H. L.(2013). p.400

    RJCC-23-412_F3.gif

    Salt-n-Pepa. From. Duane, T.(2000). pp.117-118

    RJCC-23-412_F4.gif

    Lauryn Hill. From. Duane, T.(2000). p.111

    RJCC-23-412_F5.gif

    Eve. From. Duane, T.(2000). p.115

    RJCC-23-412_F6.gif

    Eve. From. Duane, T.(2000). p.116

    RJCC-23-412_F7.gif

    Da Brat. From. Duane, T.(2000). p.125

    RJCC-23-412_F8.gif

    Missy Elliot. From. Duane, T.(2000). p.126

    RJCC-23-412_F9.gif

    Mary J. Blige. From. Carol, T.(2004). p.67

    RJCC-23-412_F10.gif

    Street market, New York, 1995. From. Carol, T.(2004). p.42

    RJCC-23-412_F11.gif

    Show room of Bassiro Lo, Califonia, 1991. From. Carol, T.(2004). p.61

    RJCC-23-412_F12.gif

    Tunkana tribe wearing traditional brigh fabric, From. Knox, K.(2011). p.16

    RJCC-23-412_F13.gif

    Maasai Woman in robes with beads, Kenya. From. Knox, K.(2011). p.26

    RJCC-23-412_F14.gif

    Suno Collection in New York, 2011S/S. From. Knox, K.(2011). p.25

    RJCC-23-412_F15.gif

    Suno Collection, 2011. From. Jennings, H.(2011). p.13

    RJCC-23-412_F16.gif

    Matthew Williams S/S, New York, 2009. From. Knox, K. (2011). p.59

    RJCC-23-412_F17.gif

    African Collection in New York Fall 2010. From. Knox, K. (2011). p.22

    RJCC-23-412_F18.gif

    ARISE in New York, A/W 2010. From. Jennings, H.(2011). p.136

    RJCC-23-412_F19.gif

    ARISE in New York, S/S 2011. From. Jennings, H.(2011). p.72

    RJCC-23-412_F20.gif

    Emeka Alams, Gold Coast Trading Co. From. Jennings, H.(2011). p.129

    Table

    The meaning of soul fashion and the source of soul

    Soul fashion has been showed in the street and hi fashion as an American pop culture from the late 20th century to present.

    Reference

    1. Carol M (2012) Africa in the American imagination,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 pp.17-179
    2. Carol T (2004) Black style, Harry N Abrams, Inc, ; pp.51-66
    3. Cynthia AY (2006) Soul power culture, radicalism,and the making of a U. S. third world left , Duke University, North Carolina, United States, ; pp.90-97
    4. Dilia LG , Joseph H (2009) American men andidentity: Contemporary African-American and Latinostyle , The Journal of American Culture, Vol.32 (1) ; pp.16-28
    5. (2015) Doopedia. (n.d.). 大衆文化 [Mass culture] ,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435&cid=40942&categoryId=31614,
    6. Duane T (2000) Soul style, Universe Publishing, ; pp.17-165
    7. Eom SH (1995) A study on the popular music and fashion of youthful subcul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26 ; pp.101-121
    8. Eric JB (2008) Black America, body beautiful, how the African American image is changing fashion, fitness, and other industries, Praeger Publishers,
    9. Gates HL (2013) Life upon these shores: Looking at African American history 1513-2008, Alfred Knopf, ; pp.1513-2008
    10. Hwang HS (2010) Minority discourse, Dong Guk University Publish,
    11. Jennings H (2011) New African fashion, Prestel Publishing,
    12. Kang JM (1999) Inside and out of mass culture , Seoul: Characters and Ideas,
    13. Kathy P (2011) Zoot suit, the enigmatic career of an extreme sty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4. Kim HI (2007)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in the U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9.11 , International Area Studies, Vol.11 (2) ; pp.175-202
    15. Kim JH (2008) New York intellectuals and mass culture in the 1930-40s , American Studies, Vol.40 (3) ; pp.5-38
    16. Knox K (2011) Culture to catwalk, Bloomburry Publishing,
    17. Ko YJ , Kim MJ (2010) A study of cultural power and fashion in the modern and post modern era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Costume, Vol.60 (2) ; pp.81-98
    18. Kwon HJ , Yang SH (2001) A study on resistance in rapper fashi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5 (1) ; pp.53-71
    19. Lee WJ (2001) Multiculturalism and August Wilson's black cultural nationalism , Journal of American Studies, Vol.24 ; pp.53-76
    20. Lee YJ , Koo IS (1997) Influence of black street style on the contemporary fash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1 (30) ; pp.544-558
    21. Moniqye G , Richard CG (1998) Soul black power, politics, and pleas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22. Park IC (2011) American literature of the late 20th century and popular literature: Conflict and compromise , Journal of English Studies in Korea, Vol.21 ; pp.41-66
    23. Porter M (2006) Rap and the eroticizing of black youth , Illinois: African American Images,
    24. Shane W , Graham W (1999) Stylin' African American expressive culture from beginnings to zoot suit, Cornell University Press,
    25. The fashion compilation committee (1997) Dictionary of fashion, Korea Dictionary Publishing Co,
    26. Tricia R (2008) The hip hop wars, Basic Books,
    27. Yang HR (2000) Fusion era of beauty: Meeting of beauty, art, mass culture, Philosophy and Reality Publishing Co,
    28. Yang JY (2001) Hip-hop connection: Beat, rhyme and culture, Hannarae Publishing Co,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