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3 pp.368-383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3.368

A study on the Korean design motif and fashion design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fashion to the global market

Jungsun Eum†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newti@daum.net)
February 10, 2015 May 13, 2015 May 13,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xpression method for Korean fashion design that can have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fashion market. For this, fashion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were interviewed, focusing on their opinions on the Korean motifs outlined in existing literature studies. First, aesthetic sens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have appeared in existing studies on Korean art,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Korean fashion were explored. As a result, they were categorized into: Modesty/plainness, freewheelingness, religion/custom, and humor/joke. During this process, Korean design motif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and expression method of aesthetic sense. According to the opinions on Korean design motifs and Korean fashion design works drawn from the interviews with fashion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Changhomun was the favorite design motif to be utilized in Korean fashion design. The Korean specialists thought that visual design motifs were important, while the overseas specialists had more interest in abstract design motifs, which embody the background and story behind the motif. Regarding the fashion design associated with the Korean design motif, all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favored the design using ceramics and wrapping cloth. Regarding the choice of fashion image, Korean specialists chose the design utilizing Hangeul as the most Korean, while the foreign specialists chose designs reflecting the design motifs of Hangeul and Hanbok for women. The Korean specialists chose relatively more Korean images, while the foreign specialists chose more eastern images or other images than Korean images.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와 패션 디자인 연구

음 정 선†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초록


    I.Introduction

    국가이미지는 하나의 브랜드 가치를 지니고 국 가의 산업과 직결되어 경제적 가치 창출의 근원이 되고 있다. 특히 한 국가의 고유한 문화적 이미지 는 산업, 과학기술, 정치, 자연경관, 인물과 더불어 국가이미지에 관련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통문화 의 창조적 현대화는 세계 선진 국가들의 국가이미 지 제고를 위한 슬로건으로 이끌어지고 있는데, 일 본의 ‘신일본 양식’, 영국의 ‘멋진 영국’, ‘창조적 영 국’, 미국의 ‘창조적 미국’ 등이 그것이다. 우리나라 에서도 ‘한 스타일’ 등의 정책적 브랜드에 대한 관 심이 모아지고 있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이는 자국의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상품기획에 도입함으로써 국가적 정체성을 담은 새롭고 창조적인 상품을 개 발하고, 이를 통하여 국가의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 패션산업에서도 패션제품의 성공적인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패션디자인 의 독창적 모티브로 활용해왔다. 이는 세계시장에 서 한국 브랜드라는 차별성을 강조하고, 창의성을 부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였다. 일반적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디자인에 입히기 위해 대부분의 디자이너들과 연구자들은 특정 한국적 디자인 모 티프를 선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려 노력 한다. 이상봉, 이영희 등의 디자이너들은 한복, 한 글, 단청, 조각보 등 다양한 한국적 모티프에서 영 감을 받아 계속적으로 컬렉션을 진행하고 있다. 이 는 학계에서도 마찬가지로 O and Lee(2011)는 자신 의 연구에서 단청의 연화문을 재해석하여 파티복 디자인을 선보였고, Ye, Kim and Chung(2013)은 전 통문양을 한국적 이미지를 보편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모티프로 꼽으며, 각종 전통 문양을 추출하여 이미지 별로 티셔츠 디자인을 전개하였 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적 이미지와 한 국적 패션 디자인은 지나치게 한국적인 것을 고집 하거나, 세계 트렌드를 외면한 디자인 개발로 인해 세계인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 므로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와 그 표현 방법에 대한 국내외 반응을 함께 살펴보며 비교할 수 있는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적 패션이 세계패션시장에서 경 쟁력을 가질 수 있게 하고, 나아가 국가적 대표 이 미지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 와 이에 대한 고부가가치를 가진 한국적 패션 디자 인 표현방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가 진 행되어, 향후 국제무대에서 주목 받을 수 있는 한 국적 디자인 개발의 실제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된다.

    II.Background

    1.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revealed in art

    한국 예술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는 일제 시대 이후 시작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국 미학의 선구 자인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적조 미, 무관심성, 질박, 담소, 어른 같은 아해, 적요한 유모어, 구수한 큰 맛과 같은 한국미의 미적 특징들 과 함께 민예의 미에 대해 언급하였다(Kwon, 1997). 또한 고유섭은 ‘조선의 미술은 민예적인 것이므로 신앙과 생활과 미술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하며, 한국 미술은 민예적이라고 하였다(Kwon, 2005). 이 는 그가 열거한 미적 특징인 무기교의 기교, 무계 획의 계획과 연결되는 것으로 미술 자체가 생활 속 에 있으므로 특별한 기교가 필요치 않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민예의 미는 일상용품의 특징인 무명, 무심, 소박과 맞닿아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의 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람이 직접적 으로 사용하는 물품에서 비롯되기에 그 인간적 감 정이 표현되는 자유분방함의 미로도 해석이 가능 한 것이다.

    윤희순은 조선의 미를 청초로 표현하였다. 이는 감각적이고 화려한 색채의 미가 아니며, 본질적인 선과 형태로 이루어지는 세련된 조화의 미를 뜻한 다. 또한 그 성격에 따라 청초에서 아취와 소박의 미가 파생된다고 하였다.

    최순우는 한국미의 특성으로 자연을 따르는 순리 의 아름다움, 담담한 색조의 아름다움인 담조(淡調) 의 아름다움, 분수에 맞는 아름다움, 고요의 아름다 움, 바라보는 아름다움, 익살의 아름다움을 들었다. 또한 그는 한국 미술의 모든 분야에서 익살, 즉 즐거 움이 느껴지는데, 이는 민중적인 경향이라고 하였 다. 이와 관련된 표현방법에 대해서 과장, 왜곡, 생 략, 비대칭, 이그러진 형태를 꼽았다(Kwon, 1997).

    김원룡은 한국 미술의 특성을 ‘아’가 배제된 자 연주의라고 하였다(Kim, 1998). 여기에서의 자연주 의는 기교도 없고, 계획도 없지만 무의식 중에 자 연과 융합되는 부드러운 조화를 뜻한다. 그래서 겉 보기에 평범하고 소박하지만, 자연과 조화되어 깊 은 감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최준식은 조선 후기의 예술의식을 자유분방함이 라고 정리하였다(Choi, 2003). 기층문화의 바탕이 되었던 무교는 조선 후기 모든 예술에서 파생되어 나타나고, 이는 자유분방함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비록 그는 분청사기의 형태나 문양, 조선 건축물의 휘어있는 기둥을 자유분방함의 미로 해석하였지만, 동시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자연주의의 미로 해 석할 수 있어 두 미의식은 공통되는 부분이 존재한 다고 볼 수 있다.

    권영필은 우리 미술품에서 소박미와 해학미를 찾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꾸밈과 장식을 아 껴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는 표현이다. 또한 그는 소박미가 소극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오히려 소박함 속에 대담함이 담겨져 있다 고 하였다(Kwon, 1997). 해학은 익살, 풍자, 유머로 풀이될 수 있으며, 우리의 미술품에서 자주 보여지 는 엉뚱하고 파격적인 표현은 보는 이로 하여금 의 외성을 주어 웃음을 유발하게 한다.

    김영기는 한국미의 미적 가치를 시김의 미, 담백의 미, 절로의 미, 비(飛)의 미라고 하였다(Kim, 1998). 시김의 미, 담백의 미, 절로의 미는 꾸밈이 없는 자 연주의의 미에 속한다고 볼 수 있겠으나, 비의 미 는 중력을 벗어나 자유롭게 날 수 있는 여지를 마 련해주는 것이다. 이는 비움, 허, 여백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정신적인 자유를 추구한다. 비의 이미지 표현의 예로 전통 건축물의 날아오를 듯한 형상과 새의 형상, 중력에서 벗어 난 듯 가벼운 한 복의 형태에 대해 언급되었다. 이는 한민족의 전통 신앙인 무속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다른 종교와 서로 융합되고, 한국인의 정신세계에 깊숙이 스며 들어 한국예술에서 종교와 생활 관습의 미의식으 로 나타나고 있다.

    선행 연구들에서 나타난 미의식은 <Table 1>로 정 리하였다. 이에 대한 키워드는 질박, 담소, 여유, 소 박, 자연스러움, 익살, 자유분방함, 종교심, 관습으 로 추출되었다. 이들 키워드의 성향을 나누어 보면 자연미와 소박미를 대표하는 담소/질박, 무속신앙 을 바탕으로 한 즉흥의 자유분방함, 종교에 의한 규범과 생활 관습에서 비롯된 종교/관습, 민중의 삶 속에 동화된 해학/익살의 미의식으로 범주를 분류 할 수 있다.

    2.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esign by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category

    1)Modesty/plainness

    담소/질박의 범주는 자연에 순응하는 미의식에 서부터 기인한 것이다. 이는 나를 잊고 자연의 근 원에 다가가는 자연주의로 대표되며, 결과적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담소/질박 을 표현하는 미적 특징으로는 고유섭의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적조미, 무관심성, 질박, 담소, 윤희순의 청초, 최순우의 자연을 따르는 순리와 담 담한 색조의 아름다움, 권영길의 소박미 등을 들 수 있다. 건축에서는 자연 그대로의 나무를 그대로 대들보나 기둥으로 사용하거나, 황토와 짚으로 지 은 소박한 초가 등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예술, 공예 분야를 살펴보면 여백의 미를 표현한 수묵화는 공간의 여유와 담담한 색조를 사용하여 자연을 닮은 절제적 표현으로 대표된다. 또한 분청 사기는 현대적이면서도 한국적인 미를 많이 간직 하고 있는 예술품이라고 하였는데(Choi, 2003), 그 이유는 도자기의 비균일적인 형태와 질박한 질감 이 자연주의의 미와 자유분방함의 미를 대표하기 때문일 것이다. 담소/질박은 패션 디자인 선행연구 를 살펴본 결과, 평면구성, 장식과 형태의 절제, 좌 우대칭, 유기적인 선의 사용 등의 표현 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소/질박과 연관된 디자인 모티프 로는 산수화(Fig. 11), 도자기(Fig. 7) 등의 이미지가 추출되었다.

    2)Freewheelingness

    자유분방함의 바탕은 조선시대 기층문화의 종교 정신인 무교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인간의 감정 에 충실한 자유분방함은 즉흥적이고 어딘가에 얽 매여있지 않는 자유를 표현한다. 그리하여 이를 표 현하는 미적 특징으로 최준식의 즉흥성과 김영기 의 비의 미를 들 수 있다. 그 표현의 예로 김영기는 한국 전통 건축물 지붕(Fig. 3)의 처마선이 살짝 뻗 친 형태에 대해 언급하였다(Kim, 1998). 이러한 형 상은 중력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날아다니며 하늘 과 인간세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새의 형상과도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 그는 한복의 형 태에 대해 한복의 배래선과 바람에 날리는 고름은 새의 나는 이미지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하였다 (Choi, 2003). 그러나 한복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복 인만큼 그 외에 유교적인 생활 관습과 규범을 표현 하고 있어, 자유분방함과 종교, 규범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볼 수 있다. 보자기(Fig. 10) 의 경우 안의 물건 형태에 따라 보자기의 주름과 형태가 결정되는 자유롭고 즉흥적인 포장이 가능 하여 둥글고 자연스러운 형태의 한국적 조형미를 보여준다. 자유분방함은 즉흥성, 비(飛)의 미와 같 은 미적 특징으로 대표되며, 이는 패션 디자인에서 비대칭 비례, 비균일적 형태, 실루엣의 대비 등의 표현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분방함과 연관된 디자인 모티프로는 창호문(Fig. 1), 기와(Fig. 3), 한 복(Fig. 2), (Fig. 5) 등의 이미지가 추출되었다.

    3)Religion/custom

    반만년 동안 우리 문화의 바탕이 되었던 대표적 인 한국의 정신적 뿌리로서 유교, 불교, 무교를 꼽 을 수 있다(Choi, 2003). 유교는 유교적 금욕주의와 중용사상에서 비롯되는 절제가 가장 중요한 미덕 이었다. 그리하여 꾸밈을 배제하여 본질을 추구하 는 권영길의 소박미, 색채의 사용을 절제하는 고유 섭의 적조미, 색채가 아닌 선과 형태의 조화를 중 요시하는 윤희순의 청초미, 절제를 통하여 격조 높 은 선비의 내면을 표현하는 김영기의 담백의 미 등 의 담소/질박의 미의식과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부 분이 있다. 무교 또한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이 주 축이 되며, 조선 후기 서민들의 생활 속에 나타나 는 최준식의 자유분방함의 미의식의 바탕이 되기 도 하였으나, 종교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면 벽사와 주술적인 측면이 강하다.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일 상용품서의 전통공예는 민예의 미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지만, 고유섭은 한국의 미술은 민예적이 어서 신앙과 생활과 미술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하였다. 이는 미술 자체가 신앙과 함께 생활 속에 서 숨 쉬며 관습으로 형성되었다는 의미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생활 용품에는 복을 기원 하는 음양오행의 주술적인 기원을 담는 경우가 많 아, 이에 기인한 오방색과 문양의 사용이 두드러지 게 보여졌다. Choi and Kim(1993) 등의 연구에 따 르면 이는 패션 디자인에서 겹쳐 입기, 형식존중, 흑백 조화, 오방색의 사용, 문양의 사용으로 표현되 었다. 종교/ 관습과 연관된 디자인 모티프로는 제례 (Fig. 15), 작두거리(Fig. 9)와 함께 고가구의 경첩문 양(Fig. 16, 자수(Fig. 17), 조각보(Fig. 12)의 규방공 예 등의 이미지가 추출되었다.

    4)Humor/joke

    젝켈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이 내재되어 있어서 한국 미술에는 즉흥적이고 시원한 활력소와 같은 에너지가 보인다고 하였다(Kwon, 2005). 이 에너지 는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상상력과 익살이 어우러 져 도자기, 불상, 그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분야 에서 표출되고 있다고 하였다. 이를 표현하는 미적 특징으로는 고유섭의 어른 같은 아해, 적요한 유우 머, 구수한 큰 맛, 권영필의 해학미, 익살, 풍자, 유 모어, 의외성이 있다. 특히 상층문화에서 그려졌던 절제의 미와 여백의 미로 대두되는 산수화, 수묵화 와 민중의 그림인 풍속화와 민화는 풍자와 해학이 가득하다. 위의 미의식과 미적 특징을 바탕으로 선 행연구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의 표현방법은 과장 과 왜곡, 대담함이 있다. 해학/익살과 연관된 디자인 모티프로는 민화(Fig. 13)와 풍속화(Fig. 8) 등의 이 미지가 추출되었다.

    위의 미의식 범주를 바탕으로 분류된 모티프 중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활용된 디자인 모티프들을 살펴본 결과, 한국 패션에서는 자유분방함과 종교/ 관습의 범주에 속하는 디자인 모티프들이 많이 사 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의식의 범주는 서로 교집합적인 부분이 있어 디자인 모티프의 범 주 또한 서로 공유되는 부분이 있었다.

    III.Methods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인터뷰 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로는 한국적 미 의식을 표현하는 디자인 모티브를 알아보기 위하 여 한국예술, 한국 전통 복식, 한국적 패션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적 패션의 선행연구는 최근 한국적 패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보았다. 그 결과, 미 의식은 담소/질박, 자유분방함, 종교/관습, 해학/익 살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미의 식에 나타난 미적 특징과 표현 방법을 바탕으로 인 터뷰에 제시된 17개의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들을 추출하였다.

    인터뷰 조사는 국내외 패션 전문가 20명을 대상 으로 이루어졌으며, 시각자료를 포함한 한국적 패 션 디자인 모티프에 관한 질문으로 진행되었다. 인 터뷰는 2011년 1월에 시작되어 중순에 마무리되었 으며, 선정된 패션전문인은 국내 10명, 해외 10명으 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자격요건은 패션 디자인 실 무 경력 5년 이상으로 한정하였다. 추천을 통하여 선정된 전문가들 중 인터뷰를 허락한 전문가들을 추려 최종 선정하였다. 국내 패션 전문가들의 실무 경력은 5~17년가량으로 박사학위자 2인과 석사학 위자 3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국외 패션 전문가들 은 10인 모두 석사학위자이며, 실무경력은 5~9년가 량이었다. 또한 그들의 국적은 영국, 미국, 핀란드, 터키, 파키스탄, 독일, 그리스, 호주이며, 활동지역 은 런던, 상하이, 스톡홀름, 바르셀로나, 뉴욕이었 다. 인터뷰 방법은 직접 대면하는 1:1 심층면접으 로, 부득이한 경우는 인터넷을 통한 화상인터뷰로 대체되었다. 1인 인터뷰 소요시간은 1시간 30분가 량이었으며, 질문지에 포함된 시각자료를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아이패드를 사용하였다. 인터뷰 내 용은 녹음기로 녹취되어 문서자료화 되었다.

    인터뷰에 사용된 시각자극물은 질문지의 구성 <Table 2>에 따라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활용되는 디자인 모티프, 한국적 패션 디자인 작품 총 두 부 분의 질문에 사용되었다. 질문지의 자극물은 의상 디자인 전공 교수 2인과 박사과정 연구원 2인으로 이루어진 4인의 의상 전문가들에 의해 수집되었으 며, 이후 인터뷰 대상자들의 감성 자극을 촉진하는 예술성 있고 정확한 사진을 중심으로 수차례의 회 의를 통해 선정되었다.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활용되는 디자인 모티프 의 자극물 선정을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 정리된 한 국적 미의식의 범주를 기준으로 하여 일차적으로 총 150여 장의 이미지가 수집되었다. 이는 선행연구 와 한국적 패션 디자인 자극물에 나타난 디자인 모 티프를 중심으로 선택작업이 진행되어 추출된 모 티프가 한국적 미의식 범주에 고르게 나타나지 않 았음을 밝혀둔다. 최종적으로 자주 등장하고, 주목 을 받았던 17개의 자극물이 선택되었다.

    또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 자극물은 2000년대 이 후의 한국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서 유행성이나 컬렉션이 발표된 장소 등의 기타 요소보다는 한국 적인 부분이 드러나는가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 추어 총 200여 장의 자극물이 수집되었다. 이 중 선 정된 디자인 모티프와 연관된 것들을 중심으로 최 종적으로 15장이 선택되었다.

    IV.Specialist Interview about Korean Fashion Design

    1.Korean fashion design motifs

    1)The design opinions of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on the Korean fashion design motifs

    인터뷰에서 제시된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 17개 (Table 3)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디자인 의견을 다음과 같이 선호도가 높은 순서로 정리하였다.

    창호문은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로서 국내외 전 문가들에게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창호문의 자 극물(Fig. 1)은 문풍지를 통해 빛이 은은하게 투과 되는 한옥의 실내 풍경을 담고 있다. 국외 전문가 들의 창호문에 대한 의견으로 ‘빛이 투과되는 이미 지가 멋지며 전통적인 느낌을 준다’, ‘스토리가 연 상되는 이미지’라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아름답 지만 이를 디자인에 응용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 국내 전문가는 빛이 투과되는 이미지를 불투명하고 얇은 직물 소재 개발과 연결 하고, 격자 문살을 추상적인 패턴으로 응용하겠다 는 의견을 주었다. 또 다른 국내 전문가들은 이를 기존의 노방, 모시와 같은 얇은 한국적인 소재와 연결 지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남자한복(Fig. 2)은 여자한복에 비해 신선한 모 티프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은은한 색상과 실루엣, 우아한 분위기가 강점으로 떠올랐다. 국외 전문가 들은 남자한복에 대해 ‘남성복임에도 매우 우아하 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한국적이며 세련되고 아름 답다’고 하였다. 국내 전문가의 의견으로는 남성복 의 조끼, 셔츠, 재킷 등에 남자 한복의 다양한 디테 일이나 전체 비율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도포자락이 나 끈, 고름 등이 날리는 이미지를 의상에 활용해 보고 싶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를 통해 국외 전문 가들은 남자한복에 내재된 우아한 전통미를 좋아 하고, 국내 전문가들은 비율 및 디테일 등 외형적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와(Fig. 3)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아름다운 지붕의 형태와 라인은 의상 형태에 응용하고, 기와 의 문양은 직물 패턴 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의 기와와 지붕이 비슷한 것 같지만, 옷에 라벨을 달 듯 차별화된 한국적인 특성이 보이는 것 같다’는 의견들을 주었다. 그 외 의 국외 전문가 의견으로 한국적 독특함이 없다는 답도 있었다. 일부 국내 전문가들은 기와지붕은 그 조형적 형태의 우수함에서 한국적 이미지와 함께 현대적 느낌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디자인 모티프 라고 하였다.

    노리개(Fig. 4)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색상이 좋고 움직이는 율동감도 마음에 든다’, ‘독특하고 어떤 용도의 물건인지 매우 궁금하다’ 등의 비교적 긍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한 국외 전문가는 노리 개의 용도에 관심을 가지며, 술 장식보다 매듭에 더 흥미를 보였다. 이를 선택하지 않은 국외 전문가들 은 ‘술 장식이 너무 고전적이다’, ‘용도를 알 수 없 고 특별히 흥미 없다’ 등의 의견을 주었다. 국내 전 문가들은 노리개의 은은한 색감과 우아한 술 장식 을 장점으로 꼽으며, 이를 잘 응용하면 서구인들에 게 동양적 고급스러움으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고 하였다.

    국외 전문가들은 여자한복(Fig. 5)에 대해 ‘색상, 실루엣, 소재의 질감 등 모두 마음에 들고 우아하 며 관능적이다’, ‘한국판 보그 화보에서 본적이 있 으며, 평면적 구조의 의복이 착용하면 입체적으로 변하는 점이 흥미롭다’, ‘부드러운 색상과 분위기가 매우 아름다우며, 중국 전통의상에 비해 우아해 보 인다’등의 구체적인 의견을 주었다. 그 외의 국외 전문가 의견으로 ‘게이샤 같다’, ‘특별한 매력은 없 다’ 등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국내 전문가들은 여자한복은 많이 사용되어 식상하며, 개량한복의 이미지 때문에 잘못하면 의상이 진부해질 수 있음 을 우려하였다.

    나전칠기(Fig. 6)에 대해 한 국외 전문가는 인사 동에서 나전칠기 상품을 본적이 있으며, 매우 한국 적이고 제작 방법을 배우고 싶다고 하였다. 국외 전문가들은 ‘현대적이다’, ‘철학적인 영감이 떠오른 다’, ‘디테일이 섬세하고 우아하다’라는 의견을 주 었다. 나전칠기를 선택을 한 국내 전문가들은 디자 인 모티프에 대해 신선함을 느끼며, 나전칠기의 오 묘한 광채를 디자인에 적용하고 싶다고 하였다. 반 대로 선택을 하지 않은 국내 전문가들은 좋은 디자 인 모티프인 것 같지만 구체적인 표현방법이 떠오 르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한 국내 전문가는 나전칠 기는 이미지를 그래픽이나 패턴으로 활용하기 보 다는 전통 제작 방법이 그대로 실행되는 것이 중요 하기 때문에 현대적인 재해석에 한계가 있다고 하 였다. 그 외에 ‘일본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도자기의 자극물로는 투박한 질감의 분청사기 이미지가 제시되었다(Fig. 7). 국외 전문가들은 ‘자 연적인 색감과 형태가 아름답고, 오래된 느낌이 좋 다’, ‘도자기의 투박한 질감을 직물 프린트 디자인 으로 응용하겠다’고 하였다. 그 외의 국외 전문가 들은‘여타의 도자기와 비슷하다’ 등의 의견을 주었 다. 대부분의 국내 전문가들은 도자기의 투박한 질 감과 자연적인 색감에서 기교가 없는 자연주의적 인 한국적 미의식이 느껴지지만, 이를 디자인에 적 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비대칭 적인 도자기의 형태가 오히려 현대적이며, 이는 착 장자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하는 의복 구성이나 올이 풀린 단 처리 등의 자연스러움을 추 구하는 최근 트렌드와도 맞는다는 의견도 있었다.

    풍속화(Fig. 8)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색상 팔 레트를 추출하여 컬렉션에 사용하고 싶다’는 의견 을 주었다. 풍속화를 선택하지 않은 국외 전문가들 은 ‘중국, 일본 그림과 구분이 가지 않는다’, ‘너무 전통적이며 과거의 그림일 뿐이다’ 등의 의견을 주 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풍속화의 강점으로 선과 색 감을 들었으나, 이전 국내 디자이너들이 사용했던 풍속화 속 장면이나 인물을 의상 중앙 배치하는 것 과 같은 직접적인 표현 방법을 지적하며, 새로운 표현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무교의 자극물로는 오방색 의상을 입고 작두를 타는 무당의 이미지가 제시되었다(Fig. 9). 국외 전 문가들은 ‘의복의 색이나 형태에 담긴 상징적인 의 미와 문화적인 배경을 알고 싶고, 그 스토리를 자 신의 컬렉션에 사용하고 싶다’라고 하여 무당의 의 복과 함께 그 내면에 담긴 의미에 호기심과 매력을 느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무당의 복색이 너 무 원시적이고 강렬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일부 국 내 전문가들은 순수, 기쁨, 에너지를 상징하는 색동 의 원색을 추출하여 현대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 이라고 하였다. 이를 선택하지 않은 국내 전문가들 은 몽골, 중국 고산지대의 소수민족 등에서도 샤머 니즘이 있음을 지적하며, 무교가 꼭 한국적인 것만 은 아닌 것 같다고 답하였다.

    보자기(Fig. 10)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포장된 둥글고 부드러운 입체적인 형태가 일본의 평면적 인 오리가미하고는 차이를 보인다’, ‘이를 주제로 여성복 컬렉션을 전개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 을 주었다. 또한 ‘너무 전통적이다’, ‘세련되지 않았 다’ 등의 표현도 있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보자기 가 묶인 부분의 자연스러운 주름을 드레이핑을 사 용하여 상의의 소매, 스커트 혹은 전체적인 형태에 접목시킬 수 있을 것 같다고 하였다. 또한 쪼임과 풀림의 느낌이 독특하여 의상 디자인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산수화의 자극물로는 음양오행사상이 담긴 궁중 회화인 일월오봉도가 선정되어 제시되었다(Fig. 11). 국외 전문가들은 ‘그림의 색상 구성이 모네의 작품 을 떠올리게 하며, 이 색상 팔레트를 컬렉션에 사 용하고 싶다’, ‘색상을 추출하여 직물의 프린트 디 자인에 적용하고 싶다’는 의견을 주었다. 반면, 부 정적인 의견으로는 ‘색채가 너무 강하다’, ‘중국적 이다’ 등이 있었다. 대부분의 국내 전문가들은 ‘민 화나 풍속화보다 매력적이지 않다’, ‘그림으로만 생 각된다’ 등의 의견을 보였다.

    조각보(Fig. 12)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전통공 예품임에도 매우 현대적이다’, ‘칸딘스키 그림 같 다’고 언급하며, 조각보의 조화로운 색상구성과 정 교한 패치워크 테크닉을 강점으로 들었다. 또한 ‘한 국디자이너의 의상에서 보았다’, ‘한국에서 보았는 데 매우 인상 깊었다’는 의견도 주었다. 조각보를 선택하지 않은 국외 전문가들은 칸딘스키나 바우 하우스 양식의 복제라는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 음을 우려하였다.

    민화는 자극물로 호랑이 그림이 제시되었다(Fig. 13). 국외 전문가들은 민화를 보고 ‘큐비즘적 기법 이다’, ‘초현실주의 그림을 연상케 하며, 호랑이 얼 굴이 서커스 마스크 같다’고 평하였다. 그러나 ‘그 림이 너무 복잡하다’, ‘그림으로만 보인다’는 의견 도 있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민화의 호랑이 무늬 는 한국적인 특별함이 있어서 그 느낌을 잘 살려 직물 패턴으로 응용하면 좋을 것 같다’, ‘호랑이의 익살스러운 얼굴을 캐릭터화하여 조끼와 같은 아 이템에 부분적으로 넣으면 흥미로울 것이다’, ‘흥미 롭고 다양한 한국 민화가 많으며, 이를 팝아트적으 로 대담하게 의상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와 같 은 의견을 주었다. 그 밖에 직접적인 표현이 우려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서예(한글)(Fig. 14)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글 자의 유연한 곡선과 형태를 장점으로 꼽았다. 특히 일부 국외 전문가가 글자 속 동그라미인 ‘ㅇ(이응)’ 에 대한 호감을 표시하였다. 이에 대해 ‘동그라미 가 유연해 보이고 현대적이다’, ‘글씨의 실루엣과 형태를 의상의 칼라나 소매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 을 것 같다’는 의견을 주었다. 한글을 선택하지 않 은 국외 전문가들의 의견으로는 ‘중국 글자와 구분 을 못 하겠다’, ‘직접적인 디자인 모티프라 피하고 싶다.’ 등이 있었다. 대부분의 국내 전문가들은 한 글이 이미 많이 사용되었고, 직접적인 표현으로 보 일 수 있어 매력적이지 않다고 하였다.

    유교는 소색 의복을 입은 사람들이 조상의 묘 앞 에서 제를 올리는 이미지의 자극물이 제시되었다 (Fig. 15). 국외 전문가들은 자극물을 보고 ‘의상의 조형적 형태가 흥미로우며 자연적인 린넨 느낌의 원단은 작업에 사용하고 싶다’, ‘스토리가 있어 보 이고, 이를 디자인 영감으로 사용하고 싶다’라는 의견을 주었다. 또 다른 국외 전문가들의 의견으로 는 ‘중국적이다’, ‘부담스럽다’ 등이 있었다. 주로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이지만 가부장적 인상이 강하여 호감이 가지 않는다’, ‘형식적이고 구시대적 이다’ 등의 부정적 의견을 주었다. 반면에, 유교는 정신적인 면이 강한 디자인 모티프로서 재해석을 통해 한 시즌의 컬렉션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 는 의견도 있었다.

    경첩의 자극물로는 고가구인 반닫이의 이미지가 제시되었다(Fig. 16). 국외 전문가들은 ‘서울 방문 시 이와 같은 문고리를 많이 봤으며, 한국을 떠올 리게 한다’, ‘문양을 직물 패턴으로 디자인하면 좋 을 것 같다’, ‘액세서리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의견을 주었다. 대부분의 국내 전문가 들은 자신들도 경첩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데 이러 한 디자인 모티프를 외국인들이 한국적이라 여기 지 않을 것 같다고 하였다. 또한 디자인 모티프로 사용하기 전에 우리 고유의 경첩에 대한 연구가 필 수적임을 강조하였다.

    자수(Fig. 17)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고전적이 고 동양적인 색상과 문양을 아름답다고 하였다. 그 에 반해 자수를 선택하지 않은 국외 전문가들은 ‘중국적인 느낌이 강하고, 티베트나 몽골의 민속품 들도 떠올라 한국적 모티프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고 하였다. 국내 전문가들 역시 아시아 지역의 전 통자수는 일반인이 보았을 때 그 구분이 쉽지 않으 므로, 자수는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로서 부적합하 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리 고유의 자수 도안 등을 연구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면 가능성이 있 다’는 의견도 있었다.

    2)The comparison between the design opinions of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on the Korean fashion design motifs

    한국적 패션에 활용되는 디자인 모티프의 선호 선택 결과, 국외 전문가들은 총 95회, 국내 전문가 들은 총 47회의 선택을 하여 국외 전문가들이 국내 전문가보다 월등히 많은 횟수의 선택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택 내용을 살펴보면 국내 전 문가들이 5인 이상 선택한 디자인 모티프는 창호 문, 남자한복, 노리개, 기와에 그친 반면, 국외 전문 가들의 경우 민화, 보자기, 경첩, 자수의 디자인 모 티프를 제외한 13개의 모티프가 모두 5인 이상의 선택을 받았다. 이는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이미 식상함을 느끼고 있는 반면, 국외 전문가들은 자신의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새 로운 디자인 모티프에 대한 관심이 높고, 그 폭도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한국적 디자 인 모티프의 발굴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려준다. 유교, 무교, 여자한복, 도자기, 한글, 산수 화, 조각보, 자개 등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선택횟수 차이가 4회 이상으로 큰 선호 차이를 보였다. 여기 서 국내외 전문가들의 디자인 모티프에 대한 시각 차이를 알 수 있었는데, 특히 한국의 정신에 관련 된 모티프인 유교와 무교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구시대적이고 표현하기가 쉽지 않은 점을 들어 선 택하지 않은 반면, 국외 전문가들은 스토리를 발굴 할 수 있는 흥미로운 소재라는 의견을 주며, 5명 이 상이 선택하였다. 또한 국내 전문가들은 직접적인 표현에 대한 지적을 하면서도 시각적인 것을 일차 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국외 전문가들은 그 이면에 담긴 상징, 의미, 배경과 스토리에 대해 더 관심이 많았다. 또한 한복, 도자기, 서예, 산수 화, 조각보는 한국에서는 소비된 디자인 모티프라 는 인식이 강하여 많은 국내 전문가들의 선택을 받 지 못했지만, 국외 전문가들에게는 아직 새롭고 흥 미로운 디자인 모티프로 인식되어 있었다. 물론 자 수와 같이 동양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내외 모 두의 선택을 받지 못한 디자인 모티프도 있었다.

    2.Korean fashion design works

    1)The design opinions of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on the Korean fashion design

    인터뷰에서 제시된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를 표 현한 패션 디자인 작품(Table 4)과 그에 해당하는 패션 이미지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디자인 의 견을 다음과 같이 선호도가 높은 순서로 정리하였 다.

    <Fig. 18>은 보자기의 형태가 반영된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통할 것 같고, 누구나 입고 싶어 할 디자인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상업적이라는 답을 주어 세 계시장에서의 한국 디자인의 고부가가치 상품 가 능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상당수의 국내 전문가들 은 목선의 자연스러운 주름이 현대적으로 잘 표현 되었다는 의견을 주었다. 국외 전문가들의 패션이 미지 평가에서는 유럽적, 한국적, 동양적 이미지 등 이 선택되었고, 과반수의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를 선택하였다. 보자기는 디자인 모티프 인 터뷰에서 주목 받지 못했지만, 이 디자인에서는 디 자이너의 감성과 함께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바 람직한 한국적 디자인의 롤모델로 평가 받았다.

    <Fig. 19>는 소재의 질감과 둥근 형태가 소박한 분청사기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여 도자기의 형태를 반영한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특히 의상의 소재에 대해 자연적인 느낌이 좋다는 의견을 주었다. 국내 전문가들도 소재의 질감에 대 해 흥미를 보였고, 그 중 일부는 의상의 둥근 실루 엣이 마음에 든다는 의견을 주었다. 국외 전문가들 의 패션이미지 평가에서는 동양적 이미지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그 뒤를 한국적 이미지가 따 랐다. 반면,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그 다음으로 동양적 이미지를 선 택하였다. 앞서 디자인 모티프의 장점으로도 투박 하고 자연적인 질감과 색채, 그리고 형태가 언급되 었는데, 이러한 점이 디자인에서도 잘 표현되었다.

    <Fig. 20>은 창호문을 투과한 은은한 빛과 그 열 린 공간의 느낌이 반영되어 선정된 디자인이다. 이 의상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90년대 스타일이다’, ‘상품성이 부족하다’라고 하였다. 그에 반해 일부 국외 전문가들은 비치는 소재에 대해 각각 동양적 혹은 한국적 느낌이 나며, 마음에 든다고 하였다. 반수의 국내 전문가들은 비치는 직물과 절개된 분 할에 호감을 드러냈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의상의 실루엣이나 형태에 대해 구식이며 마음에 들지 않 는다는 의견을 주었다. 패션이미지 평가에서는 국 외 전문가들은 기타 이미지(90년대, 유럽적, 낭만 적, 오뜨꾸뛰르)와 함께 동양적 이미지를 선택하였 다. 또한 국내 전문가들은 동양적, 한국적, 기타(구 식), 아방가르드적 이미지 순으로 선택하였다.

    <Fig. 21>은 디자인 모티프인 조각보를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직물 디 자인이 마음에 든다’는 표현 외에 ‘조각보의 표현 이 강하고 부담스럽다’는 의견을 주었다. 또한 아 방가르드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일부 국내 전문 가는 조각보를 너무 직접적으로 의상에 활용하였 음을 지적하였다. 국외 전문가들의 패션 이미지 평 가에서는 동양적 이미지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 고, 그 뒤를 한국적 이미지가 따랐다. 또한 국내 전 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를 압도적으로 선택하였다.

    <Fig. 22>은 디자인 모티프인 나전칠기를 반영하 는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많은 국외 전문가들이 의상 실루엣에서 레이디가가가 떠오르며, 벨트 장 식이 과장되었다고 하였다. 국내 전문가들은 디자 인 모티프가 신선하며, 자개의 광택감이 마음에 든 다고 하였다. 그 외에 ‘서양적’, ‘현대적’, ‘일본적’ 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국외 전문가들의 패션 이미 지 평가에서는 기타 이미지(레이디가가 이미지, 새 도매저키즘적 이미지)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그 뒤를 아방가르드적 이미지가 따랐다. 국내 전문 가들은 기타 이미지, 동양적 이미지, 아방가르드적 이미지의 순으로 패션 이미지를 선택하였다. 이 디 자인은 자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신체에 밀착된 실루엣, 가죽소재와의 부조화로 한국적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덜 부각된 것으로 사료된다.

    <Fig. 23>은 디자인 모티프인 경첩 문양을 반영 한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문양 장식이 동양적이라는 의견과 함께 한국적인 느낌 이 난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일부 국내 전문가 는 소재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마음에 들지만, 한 국적인 느낌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 외에 국내 전문가들은 ‘식상하다’, ‘정체를 모르겠다’ 등 의 답을 주었다. 패션이미지 평가에서 국외 전문가 들은 동양적 이미지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그 뒤 를 아방가르드적 이미지가 따랐다. 국내 전문가들 은 동양적 이미지와 함께 기타 이미지로 엘레강스 이미지, 현대적 이미지를 선택했다.

    <Fig. 24>는 디자인 모티프인 한글을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일부 국외 전문가들은 한 글이 한국의 글자임을 알아보았으며, 상업적인 디 자인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상당수의 국내 전문가 들은 너무 직접적으로 한글이 표현되었다는 의견 을 주었다. 국외 전문가들의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 는 한국적 이미지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그 뒤를 동양적 이미지,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를 선택 을 하였다. 이 디자인은 한글이 활용되어 국내외 전 문가들에게 한국적으로 인식될 수 있었으나, 직접 적인 표현법에 대한 우려는 앞으로 개선이 되어야 할 부분이다.

    <Fig. 25>는 여자한복을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 정되었다. 다수의 국외 전문가들은 소재나 스타일 에서 한국적인 느낌은 있지만, 디자인은 마음에 들 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그 외의 의견으로는 ‘현 대적이지 않다’, ‘이집트 의상 같다’, ‘치마가 아름 답다’ 등이 있었다. 또한 절반의 국내 전문가가 한 국적 이미지는 강하지만 한복의 이미지 역시 지나 치다는 의견을 주었다.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 국외 전문가들은 한국적, 동양적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 었으며,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를 압도적 으로 선택하였다.

    <Fig. 26>은 기와를 반영한 디자인으로 선정되었 다. 많은 국내외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무겁고 부 담스러워 보인다는 의견을 주었다. 또한 국외 전문 가들은 실험적이며, 패션쇼용 의상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국내 전문가들 역시 상품성이 없어 보인다 는 의견을 주었다. 국내외 전문가들의 패션이미지 평가에서 모두 아방가르드적, 기타, 한국적, 동양적 이미지 순의 결과가 나와, 이에 대한 두 전문가집 단의 생각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Fig. 27>은 남자한복을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 정되었다. 국내외 전문가 모두 한국적이기 보다는 동양적 이미지가 강하다고 하였다. 국외 전문가들 의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도 동양적 이미지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그 뒤를 한국적, 기타 이미지 가 따랐다. 국내 전문가들의 이미지 평가에서도 동 양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Fig. 28>은 디자인 모티프인 노리개를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절반의 국외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구식이라 하였고,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적인 느낌이 난다는 의견을 주었다. 국내 전문가들 은 동양적, 특히 중국이라고 하였으며, 일부 전문가 들은 배 부분이 주름이 있어 뚱뚱해 보이는 실루엣 이라는 지적을 해주었다.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 모두 한국적 보다 동양적 이미지 가 더 많이 선택하였다.

    <Fig. 29>는 무교를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되 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현대적이지 않다’, ‘중국적 이다’, ‘상업적이지 않다’, ‘실용성이 없다’의 의견 을 주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의상에 한복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나 있어 상업성과 실용성이 떨어진다고 하였으며, 전체적인 스타일링에 대한 지적도 있었 다. 패션이미지 평가에서 한복의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국외 전문가들은 대부분 동양적 이미지를 선 택하였다. 반면에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 를 단연 많이 선택하였다. 디자인 모티프 인터뷰에 서 장점으로 언급된 컬러 구성이 아닌 형태만 적용 되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Fig. 30>은 디자인 모티프인 자수를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남성복이 너무 여성스럽게 디자인되어 이해할 수 없다고 하 였으며, 국내 전문가들은 너무 직접적으로 자수를 사용한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자 수 디테일이 의상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견을 주 었다. 국내외 전문가들 모두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 의상이 한국적이기보다는 동양적, 특히 중국적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Fig. 31>은 디자인 모티프인 민화를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실루엣 이 80년대 스타일이다’, ‘무대 의상 같다’ 등의 의 견을 주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호피무늬와 파워 숄 더가 부담스럽다는 의견과 함께 호피무늬가 신체 를 뚱뚱해 보이게 한다는 의견을 주었다. 국외 전 문가들은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 모두 기타 이미지 로 80년대 미국, 현대적, 서구적 이미지를 들었다. 국내 전문가들 역시 대부분이 기타 이미지를 선택 하였고, 현대적, 관능적, 서구적 이미지 등이 그 뒤 를 따랐다.

    <Fig. 32>는 풍속화를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선정 되었다. 국외 전문가들은 ‘그림이 너무 강조되었 다’, ‘일본적, 중국적이다’, ‘프린트가 디자인과 어 울리지 않는다’ 등의 의견을 주었다. 국내 전문가 들 역시 직접적인 이미지가 정면에 배치되어 흥미 롭지 않다고 하였다. 풍속화에 대해 알고 있는 국 내 전문가들은 패션 이미지 평가에서 한국적 이미 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나, 국외 전문가들은 이 를 동양적 이미지로 평가하였다.

    2)The comparison between the design opinions of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on the Korean fashion design

    위에 제시된 디자인 모티프가 나타난 패션 디자 인(Table 4)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이미지 를 비교적 많이 선택한 반면 국외 전문가들은 동양 적이나 기타를 많이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디자인 표현 방법의 문제일 수도 있으나, 국 외 전문가들이 한국에 대해 정보가 부족하여 동양 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의 구분이 힘든 것으로 풀이 할 수도 있겠다. 또한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적 디 자인 모티프의 직접적인 표현에 대한 부정적 의견 이 많았고, 의상의 전체적인 스타일링에 대한 의견 을 주어 흥미로웠다. 국외 전문가들은 국내 전문가 들에 비해 ‘80, 90년대 스타일’, ‘구식이다’ 등의 표 현을 하여 디자인의 표현 방법이 트렌드에 벗어나 있음을 자주 지적하였다. 전통적 표현 방법을 고집 하는 것에 대해서는 ‘현대적이지 못하다’, ‘상업성 이 없다’는 의견으로 불만을 표시하였다. 또한 한 국적 이미지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디자인 모티 프를 중심으로 한국적인 느낌이 난다고 하는 반면, 국외 전문가들은 의상에 사용된 원단이나 스타일 에서 한국적인 느낌이 난다는 대답을 하여 서로 다 른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그들이 주로 한국적 원 단 소재라고 표현하는 것은 비치는 불투명한 소재 와 소색의 원단임을 알 수 있었다.

    V.Conclusion

    본 연구는 한국적 미의식 범주와 표현특징에 대 한 고찰을 바탕으로 국내외 패션 전문가 대상의 인 터뷰 조사를 통하여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와 한국 적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의견을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 예술, 한국 전통복식, 한국적 패션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적 미의식을 범주화 한 결과, 담소/질박, 자유분방함, 종교/관습, 해학/익살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담소/질박은 무기교의 기교, 순리의 아름다움, 무관심성, 소박미, 담담한 색조 등의 미적 특징으로 대표되며, 이를 바탕으로 패션 디자인에서는 평면구성, 장식과 형 태의 절제, 좌우대칭, 유기적인 선의 사용 등의 표 현으로 나타났다. 자유분방함은 즉흥성과 비의 미 의 미적 특징으로 대표되며, 패션 디자인에서는 비 대칭 비례, 비균일적 형태, 실루엣의 대비 등으로 나타났다. 종교/관습은 무교, 유교, 불교, 도교의 종 교 및 정신을 바탕으로 패션 디자인에는 겹쳐 입기, 형식존중, 흑백 조화, 오방색, 문양의 사용으로 표 현되었다. 해학/익살은 어른 같은 아해, 적요한 유 모어, 해학성 등의 미적 특징으로 대표되며, 패션 디자인에서 과장, 왜곡, 대담함으로 나타났다. 그리 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의식 범주에 속하는 17개의 한국적 디자인 모티프들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패션 전문가를 중심으로 실시된 인 터뷰에서 한국적 모티프에 대한 디자인 의견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활용되 는 호감 있는 디자인 모티프로서, 국외 전문가들은 창호문과 여자한복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국내 전 문가들 창호문과 남자한복을 선호하였다. 디자인 모티프의 총 선택 수를 비교해 보면 국외 전문가들 은 국내 전문가의 2배에 가까운 횟수의 선택을 하 여 국내 전문가들은 이미 많이 보아왔던 디자인 모 티프에 대해 식상함을 느끼고 있는 반면, 국외 전 문가들은 타문화에서 추출된 새로운 디자인 모티 프에 대해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한 한국의 정신과 관련된 디자인 모티프인 유교와 무교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의 선택인수의 차이 가 컸는데, 이는 국내 전문가들은 시각적인 것을 중시하는 반면, 국외 전문가들은 그 이면에 담긴 배경과 스토리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셋째, 디자인 모티프가 활용된 패션디자인에 대 해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국내 외 전문가 모두 공통적으로 자연적인 소재의 질감 과 둥근 형태가 돋보이는 도자기를 반영한 디자인 과 현대적이고 감각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보자기 의 형태가 연상되는 디자인에 대해 호감을 표현해 주었다. 패션 이미지 선택에서 가장 한국적인 디자 인으로 국내 전문가들은 한글을 활용한 디자인을 선택하였으며, 국외 전문가들은 한글과 여자한복이 반영된 디자인들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국내 전문 가들은 한국적 이미지를 비교적 많이 선택한 반면, 국외 전문가들은 한국적보다는 동양적이나 기타 이미지를 많이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활용된 디자인 모티프에 대해 국외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관심과 호기심을 보이는 반면, 이를 표현한 디자인 작품에 대해서는 유행에 뒤떨어져 있고, 상업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주었 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호감을 얻은 자연적 질감 표현의 응용과 감각적인 트렌드의 적용 등이 한국 패션 디자인의 보완책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품기획자인 국 내 패션 디자이너들은 모티프의 시각적인 것에만 연연하지 않고, 그 속에 내재된 의미를 디자인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우리 것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외 연구 대상자가 국적, 문화적 배 경, 개인적 선호도가 서로 다른 패션 전문가들 10 명에 한정되어, 그들의 의견을 국외 전문가들 대부 분의 의견으로 볼 수 없는 것이 한계점이나, 한국 적 패션디자인에 대한 국내외 패션 전문가들의 시 각차를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2000~2010년에 걸친 시기의 한국 적 디자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로서 향후 이와 비교되어 한국적 디자인의 발전상황을 파악 할 수 있는 다양하고 세분화된 새로운 연구들이 이 루어지길 기대해본다.

    Figure

    RJCC-23-368_F1.gif

    Changhomun. From http:// www.janekoo.com

    RJCC-23-368_F2.gif

    Hanbok for men. From http://www.kbs.co. kr

    RJCC-23-368_F3.gif

    Roof tile. From http://photo.naver.com

    RJCC-23-368_F4.gif

    Norigae. From http://blog.naver.com

    RJCC-23-368_F5.gif

    Hanbok for women. From http://www.style.co. kr

    RJCC-23-368_F6.gi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From http://www. museum.go.kr

    RJCC-23-368_F7.gif

    Ceramics. From http://terms. naver.com

    RJCC-23-368_F8.gif

    Genre painting. From Shin. http://terms.naver.com

    RJCC-23-368_F9.gif

    Shamanism. From http://blog.naver.com

    RJCC-23-368_F10.gif

    Wrapping cloth. From http://blog.naver.com

    RJCC-23-368_F11.gif

    Landscape painting. From http://terms.naver.com

    RJCC-23-368_F12.gif

    Patchwork. From http://blog.naver.com

    RJCC-23-368_F13.gif

    Folk painting. From http://navercast.naver.com

    RJCC-23-368_F14.gif

    Calligraphy (Hangeul). From http://blog.naver.com

    RJCC-23-368_F15.gif

    Confucianism. From http://korean.visitkorea.or.kr

    RJCC-23-368_F16.gif

    Hinge. From http://imagesearch.naver.com

    RJCC-23-368_F17.gif

    Embroidery. From http://blog.naver.com

    RJCC-23-368_F18.gif

    Doo.Ri, 2009 F/W. From http://www.style.com

    RJCC-23-368_F19.gif

    Jin Taeok, 2010 S/S. From http://www.sfaa.co.kr

    RJCC-23-368_F20.gif

    Moon Younghee, 2008 S/S. From http://www. firstviewkorea.com

    RJCC-23-368_F21.gif

    Lie sang bong, 2009 S/S.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RJCC-23-368_F22.gif

    Lie sang bong, 2010 F/W.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RJCC-23-368_F23.gif

    Lie sang bong, 2009 F/W.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RJCC-23-368_F24.gif

    Lie sang bong, 2007 S/S. From http://www.ifp.co.kr

    RJCC-23-368_F25.gif

    Lee Younghee, 2010 F/W. From http://www. firstviewkorea.com

    RJCC-23-368_F26.gif

    Lie sang bong, 2008 F/W.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RJCC-23-368_F27.gif

    Icinoo, 2007 S/S. From http://www. sfc.seoul.kr

    RJCC-23-368_F28.gif

    Lee Younghee, 2007 F/W. From http://www.sfc. seoul.kr

    RJCC-23-368_F29.gif

    Lee Younghee, 2002 F/W. From http://www. firstviewkorea.com

    RJCC-23-368_F30.gif

    Jang kwanghyo, 2009 S/S. From http://www.sfc. seoul.kr

    RJCC-23-368_F31.gif

    Lie sang bong, 2009 F/W.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RJCC-23-368_F32.gif

    Becjie, 2009 F/W. From http:// www.sfc.seoul.kr

    Tabl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revealed in art

    The composition of interview questionnaire

    Korean design motifs for interview

    Korean fashion design works for interview

    Reference

    1. Becjie FW (2009) F/W. (n.d.) , Seoul fashion center, http://www.sfc.seoul.kr
    2. (2010) Calligraphy (Hangeul) (n.d.) , Naver blog, http://blog.naver.com/hjk12344/299888090
    3. (2010) Ceramics (n.d.) , Naver terms,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1552&cid=51266&categoryId=51266
    4. (2010) Changhomun (n.d.) , Jane Koo, from http://www.janekoo.com/journal/?cat=3
    5. Choi JS (2003)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The aesthetics of freewheelingness in Korean beauty], Hyohyeong Publishing,
    6. Choi SW , Kim MJ (1993) A study on beauty of traditional dress expressed in Korean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7 (1) ; pp.103-118
    7. (2010) Confucianism (n.d.) , Korea Tourism Organization. Retrieved December 2. from http://www.korean.visitkorea.or.kr/kor/photogallery.kto 2010 http://www.korean.visitkorea.or.kr/kor/photogallery.kto.%20, http://korean.visitkorea.or.kr/kor/photogallery.kto
    8. Doo Ri (2009) F/W. (n.d.) , Style.com, http://www.style.com/slideshows/fashion-shows/fall-2009-ready-to-wear/doori/collection/8
    9. (2009) Embroidery , Naver blog, http://blog.naver.com/freesun68?Redirect=Log&logNo=40062153562
    10. (2010) Folk painting , Naver cast,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088
    11. (2010) Genre painting. (n.d.) , Naver terms. http://terms.naver.c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3814&mobile&cid=46721&categoryId=46879
    12. (2006) Hanbok for men , KBS, http://www.kbs.co.kr/drama/hwangjiny
    13. (2006) Hanbok for women , Vogue Korea, http://www.style.co.kr/vogue
    14. (2011) Hinge (n.d.) , Naver image, http://imagesearch.naver.com
    15. (2011) Icinoo, 2007 S/S. (n.d.) , Seoul fashion center. http://www.sfc.seoul.kr, http://www.sfc.seoul.kr
    16. Jang kwanghyo (2009) S/S. (n.d.) , Seoul fashion center. http://www.sfc.seoul.kr, from http://www.sfc.seoul.kr
    17. Jin Taeok (2010) S/S. (n.d.) , Seoul Fashion Artist Association, http://www.sfaa.co.kr
    18. Kim WY (1998) 한국미의 탐구 [The search for the beauty of Korea], Youlhwadang,
    19. Kim YK (1998) 한국미의 이해 [Understanding the beauty of Korea], Ehwa Women’s University Publishing,
    20. Kwon YP (1997) 한국미학시론 [An essay on Koreanaesthetics]. , Seoul: Korean Study Center in Korea University,
    21. Kwon YP (2005)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Reading Korean beauty again], Dolbegae Publishing,
    22. (2005)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n.d.) , National Museum of Korea. http://www.museum.go.kr,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langCodeCon=LC1&menuID=001005001003&relicID=2393&relicDetailID=9569&naver=Y
    23. (2010) Landscape painting , Naver terms,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76431&cid=46702&categoryId=46739
    24. Lee Younghee 07 F/W. (n.d.) , Seoul fashion center, from http://www.sfc.seoul.kr
    25. Lee Younghee (2002) F/W.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04&City=CD001&Event=EV001&Designer=999
    26. Lee Younghee (2010) F/W.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20&City=CD001&Event=EV003&Designer=999
    27. Lie sangbong (2007) S/S. (n.d.) , Interfashion planning, from http://www.ifp.co.kr
    28. Lie sangbong (2008) F/W.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6&City=CD001&Event=EV001&Designer=473&timeLinePageNo=1
    29. Lie sangbong (2009) F/W.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8&City=CD001&Event=EV001&Designer=473&timeLinePageNo=1
    30. Lie sangbong (2009) F/W.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8&City=CD001&Event=EV001&Designer=473&timeLinePageNo=1
    31. Lie sangbong (2009) S/S.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7&City=CD001&Event=EV001&Designer=473&timeLinePageNo=1
    32. Lie sangbong (2010) F/W.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20&City=CD001&Event=EV001&Designer=473&Cate=CC001
    3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A study on the planning and establishmentof technical foundation for the promotionof ‘hanok’ industrialization,
    34. Moon Younghee (2008) S/S. (n.d.) , firstviewkorea,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6&City=CD001&Event=EV001&Designer=473&timeLinePageNo=1
    35. (2004) Norigae , Naver blog, from http://blog.naver.com/jy831215/60005397
    36. O JH , Lee IS (2011) A development of party-wear design with Dancheong's lotu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8) ; pp.959-967
    37. (2005) Patchwork , Naver blog,
    38. (2010>) Roof tile , Naver photo, http://photo.naver.com/view/2010031018222391332
    39. (2010) Shamanism , Naver blog, from http://blog.naver.com/hyangdowon/105412298
    40. (2009) Wrapping cloth , Naver blog, from http://blog.naver.com/glueck326/50048225304
    41. Ye IG , Kim DU , Chung IH (2013) Modern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its application to T-shirts ,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7 (3) ; pp.270-279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