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0 No.5 pp.695-708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2.20.5.695

의류와 패션잡화에 사용되는 한국 전통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선호도 연구

김 민 경
장안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the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used in clothing and fashion accessories

Min-Kyung Kim
Dept. of Fashion Design, Jangan University, Korea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consumers’ awareness regarding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through various channels or product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consumers in the Gyeonggi region(n=322) fromJune to August 2012.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placed on, and preferences for,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fashion textile an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Research resultsshowed that the factors allowing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ing and fashion accessories werecolor, pattern, and textile type, in the respective order. Overall, consumers generally perceived higher importancein using the factor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ing than in fashion accessories. Preferences for Koreantraditional pattern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fashion item, i.e., clothing or fashion accessories, and also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the consumer. Women generally showed a tendency to place higher value on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an men.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higher, as well. However, only a minordifference was seen according to pattern type. Women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plant patterns, literal patterns,and geometric patterns compared with men. The preferred type of traditional pattern was also different accordingto age.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presented a higher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colors when comparedwith the 30s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as higher among consumersin their 40s than those in their 20s or 30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wareness of consumers regardingKorean traditional textile reflected in clothing and fashion accessories differs according to gender or age. Thus, thisimplies the need to consider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and preferences among target consumer groupsto develop various fashion products that use Korean traditional fashion textile.

01(6)_김민경.pdf596.9KB

Ⅰ. Introduction

 현대 사회는 세계화 사회로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의 시장에서 타국과 차별화된 독자적인 경쟁력을 갖는 전통 문화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문화관광부에서는 2005년부터 한스타일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한스타일 사업은 한국 원류로서 대표성과 상징성을 띠며,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가 가능한 한글, 한식, 한복, 한옥, 한국 음악 등의 전통 문화를 브랜드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 사업을 통해 국가 이미지 제고, 세계 무대에서 통할 가장 대표적인 전통 문화의 제품화로 경제적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 확대로, 한류의 지속 확산에 기여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세계 여러 국가들에서 자국의 전통을 유지, 보존하면서 세계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전통복식의 경우, 전통 그대로 유지하면서 예복 등으로 착용하고 있다. 한편으로 전통을 세계화, 대중화하기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하거나 현대 복식에 적용 등을 하고 있다. 자국의 전통을 현대 패션에 활용하는 사례를 살펴보면, 국외 브랜드로 영국의 버버리, 비비안웨스트우드, 중국의 상하이탕, 비비안탐, 일본의 이세이미야케, 겐조 등이 있으며, 이러한 브랜드들은 자국의 독자성을 세계인들의 미적 공감각에 접근하여 보편화시켜 세계화를 하고 있으며, 명품 브랜드로 발전시키고 있다. 한국 브랜드로는 한복 업체들과 이영희, 이상봉 등의 디자이너 브랜드들이 있다(Chae, 2007).

 이러한 시대에 한국 전통 문화를 세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복의 경우, 전통 한복을 복원, 유지하는 노력뿐 아니라, 세계화 시대에 다양한 소비자들이 만족하고 보편적으로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은 전통한복뿐 아니라 현대 패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한국 전통을 확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 전통의 세계화 필요성이 커지면서 한국 전통을 반영한 패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대중화, 보편화되지는 않은 실정이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에 관한 선행 연구들로는 패션문화상품의 한국 전통 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Hyun & Bae, 2007), 한복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Chae,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 전통 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Hyun & Bae, 2007), 전통 문양과 친환경소재를 활용한 패션소재기획(Park & Park, 2009), 전통 문양의 활용에 관한 기존연구분석(Kang & Cho, 2011), 한국 전통 문양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Jeon & Park, 2011) 등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한국 전통 소재 속성을 구분하여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며,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 소비자의 중요도와 선호도를 알아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패션제품기획에 있어서의 소재기획의 중요한 점은 기획대상인 표적 소비자 집단을 고려하고 트렌드를 반영하며, 각각의 아이템에 적합한 소재를 선정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소재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섬유의 종류와 성질, 제조공정, 직⋅편물의 설계, 염색, 디자인, 품질관리 등등 소재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 제품화, 유통까지 폭넓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Kweon et al., 2001; Park & Park, 2007). 한국 전통 소재를 활용한 제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제품 속성과 소비자의 중요도, 선호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패션 소재인 텍스타일은 포괄적이 의미를 내포하며, 각종 섬유 제품을 말하며, 텍스타일 디자인이란 섬유 위에 문양, 색상, 재질감을 입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Yu, 2010). 외국의 경우, 자국의 전통 문양을 다양하게 개발, 활용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전통 문양을 다양하게 개발하려는 사업들이 시행되고 있다. 한국 전통 소재도 다양하게 개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한국 전통 문양을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을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한국 전통 소재 속성, 한국 전통 문양 유형에 대한 소비자의 중요도, 선호도를 알아보고,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후, 이를 제품 전략 수립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 특성에 따른 중요도, 선호도를 고려하여 표적 소비자 집단의 만족을 높일수 있는 한국 전통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한국 전통 패션을 확산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Background

1. Current status of fashion product using Korean traditional textile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의 현황을 살펴보면, 전통 한복 업체들이 생산하는 전통한복이 있으며, 전통 한복을 현대화시키고 있는 디자이너 브랜드들이 생산하는 현대화된 패션 제품, 국내 문화상품점에서 판매하는 전통문화상품 등이 있다. 이영희는 프랑스 오트꾸뛰르, 프레타포르테에 한복을 현대화하여 참여하고 있으며, 2012년 한산모시를 소재로 오트쿠튀르 패션쇼를 열었다(Donga.com, 2012). 2013 컨셉코리아 패션쇼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대구광역시, 한국패션산업 연구원과 함께 개최한 행사로, 한국의 전통색상인 오방색을 주제로 뉴욕컬렉션에 참가하였다(Heraldbiz.com 2012). Hyun and Bae(2007)는 전통문화상품 판매점을 조사한 결과, 패션문화상품에는 전통 문양과 조각보 기법을 활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외 천연 염색 기법을 이용한 아이템 등으로 나타났다. 전통 문양이 활용된 패션문화상품은 액세서리류가 35.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패션 의류 및 잡화로 32.5%, 생활문화상품이 32.08%로 파악되었다.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패션 제품은 의류 제품, 잡화 제품, 액세서리, 생활 용품 등으로 개발되어 관광지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

 전통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대중화되지 않고 유통도 제한적이며 제품 유형도 제한적으로 개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소비자들은 여러 정보 단서들을 가지고 제품을 평가하게 되는데, 제품 속성은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의복 속성이란 의복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가지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 선행 연구들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Lee(1995)는 의복 속성을 내적 기준과 외적 기준(상표, 가격)으로 분류하고, 내적 기준을 다시 미적 기준(유행, 스타일, 색)과 실용적 기준(옷감, 바느질, 편안성, 관리성)으로 패션 제품의 속성을 구분하였다. Park and Lim(1999)는 의류제품 속성을 객관적 속성(가격, 상표, 색상, 디자인), 주관적 속성(혁신성, 개성, 실용성, 품위, 유행성)으로 구분하였다.

 패션 소재의 속성은 소재를 구성하는 여러 특성들을 말하며, 의복 속성 중 소재에 해당하는 속성들, 즉, 소재 종류, 색, 무늬(문양)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의 속성은 소재 속성들에 한국 전통이 반영된 속성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재 종류는 면, 마, 견 등 천연 소재를 포함하고, 색은 천연 염색을 통한 자연스러운 색이나 한국 전통 색인 오방정색(청, 적, 황, 백, 흑), 오방간색(녹, 벽, 홍, 자, 유황), 색동 등(Raim Design Institute)을 포함하며, 문양은 한국 전통을 반영한 문양들(Kang & Cho, 2011; Hyun & Bae, 2007; Jeon & Park, 2011)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3. Korean traditional pattern

 문양이란 물체의 겉에 나타나는 장식 무늬의 형태를 말하며(Fashion dictionary, 1999),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하여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요소로서, 그것을 공유하는 집단사이에서 약속된 부호와 같은 기능을 한다(Lim, 2004). 따라서 문양은 의식의 반영이며, 정신활동의 산물임과 동시에 창조적 미화활동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Park & Park, 2009).

 전통 문양에 대한 선행연구(정복상, 정이상, 1995, 안상수, 1995; 정진순, 2004; 김혜경 등, 2004; 권경자, 1999; 김영숙, 2000)뿐 아니라, 현재 패션소재기획을 담당하는 많은 디자이너들과 머천다이저들은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문양과 디자인을 통한 한국패션의 글로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전통 문양이나 디자인을 의복에 적용하여 과거를 재현하는 것을 넘어 한국인의 감각 속에 내재한 문양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한국적인 조형감각을 패션화하기 위한 패션디자인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Park & Park, 2009).

 한국 전통 문양은 다양하며, 선행 연구들에서 이를 분류하여 왔다. Kang and Cho(2011)은 의류학 관련 분야에서 전통 문양의 활용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통 문양 유형을 자연문, 동물문, 식물문, 기하문, 수복어문으로 구분하였다.

 Park(2000)은 문양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민족적 지혜와 정신생활 속에서 우리의 풍토와 기질에 맞추어 정신적 감정을 표현하며 발전하여왔고, 정신문화의 내용에 포괄되어 나타나며, 그 시대의 복식에 나타난 직물문양 양식을 통해 사람들의 생활문화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양을 기하문, 동물문, 식물문, 길상문, 길상어문 등으로 구분하였다.

 Hyun and Bae(2007)은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전통 문양의 유형을 기하문, 동물문, 식물문, 길상도안, 문자문으로 구분하였다.

 Jeon and Park(2011)는 다양한 전통 문양을 활용한 이론적 문헌적 고찰을 하여 문양 유형을 동물문, 식물문, 기하학문, 자연문, 문자문, 인공문, 복합문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 문양을 그 소재와 의미하는 바에 따라 분류하였다. 용이나 봉황 등 동물을 소재로 할 수 있으며, 연꽃이나 대나무 등식물을 소재로 삼을 수도 있다. 문자 무늬나 기하학 무늬도 있으며, 인공물 소재도 있다. 문양 중에서는 장수를 상징하며, 열 개의 사물을 같이 표현하는 십장생문 아들이 많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포도와 여러 아이들을 같이 나타낸 복합문도 있다.

<Table 1>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otifs

<Fig. 1> Example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at is applied to the design (www.culture.go.kr)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 문양을 다양하게 개발, 적용하려 하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국제 캐릭터, 로고 및 디자인 전시회인 ‘라이센싱 아시아 2006’에 우리의 전통 문양을 응용한 10여종의 생활용품과 인테리어 제품용 디자인을 출품하였다(www.culture.go.kr).

 이와 같은 다양한 한국 전통 문양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한국 전통 소재와 문양의 활용을 확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 문양 유형을 동물문, 식물문, 기하학문, 자연문, 문자문, 인공문, 복합문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Ⅲ. Methods

1. Subjects for study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하였으며, 실증 연구는 설문 조사를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고,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특성에 따른 한국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보고, 소비자 특성에 따른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1-1.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1-2.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2.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2-1.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2-2.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3.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다.

 3-1.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본다.

 3-2.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4.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4-1.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다.

연구 문제 4-2.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다. 

2. Measuring instruments

 본 연구의 척도는 문헌 연구(Lee, 1995; Park & Lim, 1999; Hyun & Bae, 2007; Cho, 2011; Jeon & Park, 2011) 결과,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항을 작성하였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은 세부 속성으로 한국전통 색, 소재 종류, 문양의 3개 속성으로 구분하고, 각 속성을 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한국전통 패션 소재 속성들에 대한 중요도를 의류와 패션 잡화를 구분하여 7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한국 전통 문양 유형은 동물문, 식물문, 기하학문, 자연문, 문자문, 인공문, 복합문의 7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을 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양 유형들에 대한 선호도를 의류와 패션 잡화를 구분하여 7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였다.

3. Research object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2012년 6월~8월에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370부를 배포하여 최종 총 32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남자 156명(48.4%), 여자 166명 (51.6%)이고, 연령별로는 20대 109명(33.9%), 30대 108명(33.5%), 40대 105명(32.6%)으로 구성되었다.

4. Analysis method

 본 연구의 분석은 SPSS 19.0(v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분석, Scheffe 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fashion textile

1)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es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중요도 평균값은 모든 속성에서 4점 이상으로 나타나(Table 2), 소비자들이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류제품에 사용하는 한국 전통 소재 요소에 대한 중요도는 색(5.52), 문양(5.53), 소재 종류(4.92)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es

 소비자들이 의류 제품에 대해 한국 전통 소재를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의류 제품 기획, 개발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인 한국 전통 문양, 색, 소재 종류의 순으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의류 제품 개발을 해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효과가 증대할 것이다.

2)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fashion accessories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평균값은 모든 속성에서 4점 이상으로 나타났다(Table 3). 패션잡화에 대한 한국 전통 소재로서 중요시하는 요소는 색(5.20), 문양(4.89), 소재 종류(4.52)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인 한국 전통 색, 문양, 소재 종류의 순으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패션 잡화제품 개발을 해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효과가 증대할 것이다.

<Table 3>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fashion accessories

2.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1) Preference about type of Korean traditional in clothes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평균값은 모든 속성에서 4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문양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평균값의 순서는 식물문양(4.92), 기하학문양(4.87), 문자문양(4.77), 자연문양(4.76), 복합문양(4.75), 인공문양(4.67), 동물문양(4.51)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식물문양, 기하학문양, 문자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을 활용하여 의류 제품 개발을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able 4>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clothes

2) Preference about type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fashion accessories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평균값은 모든 속성에서 4점 이상으로 나타났다(Table 5). 선호하는 문양은 식물문양(5.07), 자연문양(5.03), 문자문양(4.99), 복합문양(4.80), 기하학문양(4.70), 인공문양(4.67), 동물문양(4.51)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5>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fashion accessories

3.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1)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e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성별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 전통색, 한국 전통 소재 종류, 한국 전통 문양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한 속성들에서 여성의 중요도가 남성보다 높아, 여성이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더 중요시함을 알 수 있다(Table 6).

<Table 6>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es according to gender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해 여성과 남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의류 제품 개발 시 여성복과 남성복에 각각 여성과 남성이 중요시하는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이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에 대해 중요도가 남성보다 높으므로(p<.01) 특히 여성복에 한국 전통 색, 소재 종류, 문양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연령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 전통 색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7). 한국 전통 색, 한국 전통 문양 속성에서 30, 40대가 20대보다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Table 7>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clothes according to age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의류 제품 개발시, 연령대에 따라 중요시하는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30, 40대를 표적 소비자 집단으로 하는 패션 기업은 의류 제품 개발 시 한국 전통 색,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2)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성별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 전통 색, 한국 전통 소재 종류, 한국 전통 문양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able 8) 여성이 남성보다 더 이러한 요소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8>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gender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해 여성과 남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패션 잡화 제품 개발 시 여성복과 남성복에 각각 여성과 남성이 중요시하는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용 패션 잡화 제품에 한국 전통 색, 소재 종류,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연령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전통 색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한국 전통 색은 30대가 20, 40대보다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able 9). 이러한 결과는 30대를 표적 소비자 집단으로 정하여 패션 잡화 제품 개발시 한국 전통 색을 더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able 9> Difference in importance about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in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age

4.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1)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clothe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성별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식물문양(p<.001), 문자문양(p<.05), 기하학문양(p<.001)에 대하여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여성이 식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을 더 선호하므로 여성복 기획, 개발 시 이러한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able 10>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clothes according to gender

 연령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복합문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11). 동물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선호도가 높고(p<.05), 식물문양은 30, 40대가 20대보다 높으며(p<.001), 문자문양은 40대가 20, 30대보다 높고(p<.01), 복합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의류 제품 개발 시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동물문양, 문자문양, 복합문양은 40대에, 식물문양은 30, 40대에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able 11>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clothes according to age

2)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성별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동물문양(p<.01), 기하학문양(p<.001), 자연문양(p<.001), 복합문양(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12). 유의한 문양 유형들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동물문양, 기하학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을 여성용 패션 잡화 제품에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able 12>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gender

 연령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동물문양, 식물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13). 동물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선호도가 높고(p<.01), 식물문양은 40대가 20대, 30대보다 선호도가 높았으며(p<.001), 자연문양은 30대가 20대보다 높고(p<.05), 복합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선호도가 높았다(p<.001).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잡화 제품 개발 시 자연문양은 30대, 동물문양, 식물문양, 복합문양은 40대를 대상으로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able 13>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fashion accessories according to age

Ⅴ.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한국 전통 소재 속성, 한국 전통 문양 유형에 대한 소비자의 중요도, 선호도 등에 대해 연구하고,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였다.

 의류 제품과 패션소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한국전통 패션 소재 사용의 중요도는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전통 의류나 패션소품 제품에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전통 소재 요소에 대한 중요도 순서는 색, 문양, 패션 소재종류의 순이었다.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 순서는 식물문양, 기하학문양, 문자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 인공문양, 동물문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패션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 순서는 식물문양, 자연문양, 문자문양, 복합문양, 기하학문양, 인공문양, 동물문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는 한국 전통 색, 한국 전통 소재 종류, 한국 전통 문양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한 속성들에서 여성의 중요도가 남성보다 높아, 여성이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더 중요시함을 알 수 있다. 연령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 전통 색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 전통 색, 한국 전통 문양 속성에서 30, 40대가 20대보다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는 한국 전통 색, 한국 전통 소재종류, 한국 전통 문양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한 속성들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 전통 색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 전통 색은 30대가 20, 40대보다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식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한 문양 유형들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의류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복합문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물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선호도가 높고, 식물문양은 30, 40대가 20대보다 높으며, 문자문양은 40대가 20, 30대보다 높고, 복합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동물문양, 기하학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한 문양 유형들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패션 잡화 제품의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동물문양, 식물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물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선호도가 높고, 식물문양은 40대가 20대, 30대보다 선호도가 높았으며, 자연문양은 30대가 20대보다 높고, 복합문양은 40대가 20대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마케팅 전략에 반영한다면, 한국전통 소재를 활용한 패션 제품을 중요시하고 선호하는 소비자 범위를 남성, 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령대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패션기업은 패션 제품 유형별 표적 소비자 집단의 중요도, 선호도가 높은 요인을 더 개발, 적용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 전략을 수립하고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들이 의류 제품에 대해 한국 전통 소재를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의류 제품 기획, 개발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인 한국 전통 문양, 색, 소재 종류의 순으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의류 제품 개발을 해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효과가 증대할 것이다.

 패션 잡화 제품에 대해 한국 전통 소재를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잡화 제품 기획, 개발을 더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인 한국전통 색, 문양, 소재 종류의 순으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패션 잡화 제품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의류 제품에 대해 한국 전통 문양을 보통 이상으로 선호하고 있으므로 한국 전통 패션 문양을 활용한 의류 제품 기획, 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식물문양, 기하학문양, 문자문양, 자연문양, 복합문양, 인공문양, 동물문양의 순으로 활용하여 의류 제품 개발을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패션 잡화 제품에 대해 한국 전통 문양을 보통 이상으로 선호하고 있으므로 한국 전통 패션 문양을 활용한 패션 잡화 제품 기획, 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식물문양, 자연문양, 문자문양, 복합문양, 기하학문양, 인공문양, 동물문양의 순으로 활용하여 패션 잡화 제품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해 여성과 남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의류 제품 개발 시 여성복과 남성복에 각각 여성과 남성이 중요시하는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이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에 대해 중요도가 남성보다 높으므로 여성복에 한국 전통 색, 소재 종류,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용한 의류 제품 개발 시, 연령대에 따라 중요시하는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30, 40대를 표적 소비자 집단으로 하는 패션 기업은 의류 제품 개발 시 한국 전통 색,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 전통 패션 소재 속성에 대해 여성과 남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패션 잡화 제품 개발 시 여성복과 남성복에 각각 여성과 남성이 중요시하는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이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에 대해 중요도가 남성보다 높으므로 여성용 패션 잡화 제품에 한국 전통 색, 소재 종류,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 전통 패션소재 속성에 대해 20, 30, 40대 모두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패션 잡화 제품 개발 시 다양한 연령대에 대해 한국 전통 소재 속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한국 전통 색은 30대가 20, 40대보다 중요도가 높으므로, 30대를 표적 소비자 집단으로 정하여 패션 잡화 제품 개발 시 한국 전통 색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의류 제품에 대한 한국 전통 문양 선호도가 남성, 여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의류 제품 개발 시 남성복과 여성복에 각각 여성과 남성이 선호하는 문양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의류 제품에 대한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가 각 연령대별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므로 한국 전통 문양을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의류 제품에 확대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의류 제품 개발 시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문양을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패션 잡화 제품에 대한 한국 전통 문양에 대한 선호도가 여성, 남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므로 패션 잡화 제품 기획, 개발 시 한국 전통 문양을 남성용, 여성용 패션 잡화 제품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한국 전통문양을 다양한 연령대로 확대하여 활용하고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문양을 패션 잡화 제품에 더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 특성에 따른 중요도를 고려하여 표적 소비자 집단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한국 전통 패션 소재를 활 용한 패션 제품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생산, 판매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 시장 확대뿐 아니라, 나아가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

1.Chae, K. S.(2007). A study on improvement for globalization of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9/10), 1418-1430.
2.Fashio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1999). Fashion dictionary. Gyomunsa.
3.Hyun, S. H., & Bae, S. J.(2007).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patter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252-1261.
4.Jeon, J. E., & Park, Y. M.(2011). A study on surface pattern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5), 115- 128.
5.Kang, M. J., & Cho, J. S.(2011). Analysis of previous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5), 1-14.
6.Kweon, O. K., Ko, J. W., Kim, J. Y., & Kim, T. K. (2001). Planning fashion textile ans new textile, Hanlimwon.
7.Lee, Young-hee, Hanbok Haute couture fashion show in Paris.(2012.7.5.)
8.Lim, Y. J.(2004). Korean traditional pattern. Daewonsa.
9.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www.mcst.go.kr)
10.Park, O. R.(2000).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patterns. Seoul: Hyeongseol.
11.Park, S. E., & Lim, S. J.(1999). A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attribute perception of clothing up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7), 929-940.
12.Park, Y. M., & Park, K. S.(2009). Fashion textile planning by eco-friendly fabrics with traditional pattern.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5), 1103-1113.
13.Raim Design Institute(cafe.naver.com/raimcolorlist).
14.Yu, H. J.(2010). Pattern and fashion. Gyeonggi: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15.www.donga.com
16.www.culture.go.kr
17.www.herald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