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0 No.5 pp.709-724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2.20.5.709

할로윈 커스튬에 나타난 전통 모티브의 유형 및 상징적 의미

유 지 헌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A study on the type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traditional motifs of the Halloween costume

Jihun Yu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Korea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worn at Halloween parties, a form of cultural entertainmentcommonly seen in the U.S. The Halloween party culture involves children and adolescents wearing costumes,decorating their bodies, and mimicking famous characters. Furthermore, the types and motifs of Halloween costumeshave become a means of expressing individuality.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on how such motifs werereflected in modern Halloween party-wear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Halloween costumes and the formation of the related entertainment culture. This study researched the shape ofcostumes and the type of traditional motif presented in these costumes, as well as analyzed the symbolic meaningof each motif. The research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igin and evolution ofHalloween by researching precedent studies, books, and internet data. Second, this study extracted the types oftraditional Halloween motif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symbols of Halloween costumes commonlypresented in such materials. After collecting 547 Halloween-related images from U.S. and Korean Internet websites,this study sorted and analyzed images that could represent traditional Halloween motifs. According to the results,representative traditional Halloween motifs included black cats, white rabbits, tridents, scarecrows, skull and bones,ghosts, witches, vampires, bats, werewolves, and jack-o-lanterns(pumpkins, etc.). The sentiments for such traditionalHalloween motifs changed according to era and race. The symbolic meaning would continuously change - frompositive to negative and vice versa - to reflect various socio-cultural phenome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Halloween costume designs and the related entertainment culture.

01(7)_유지헌.pdf1.10MB

Ⅰ. Introduction

 할로윈 데이인 10월 31일은 추수계절의 끝과 셀틱족의 새해 시작을 상징하는 삼하인(Samhain)의 축제로 시작되었으며, 로마시대엔 ‘The eve of All Saints' Day’로 지정되면서 ‘All Hallows' Eve’가 ‘Hallowe'en’로 축약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Jack Santino(1997)에 의하면, 할로윈은 가을에서 겨울의 문턱으로 넘어가는 시기로써, ‘생과 사’의 의미를 지닌 계절적 행사라고 한다. 오늘날의 할로윈은 죽은 자와 산 자와의 만남의 의미를 무해한 게임과 개성 있는 커스튬을 입고 즐기는 파티 또는 놀이문화로 정착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크리스마스, 발렌타인, 부활절, 어머니 날, 아버지 날과 함께 6대 소비 이벤트 날이 되었으며, 소비 규모도 50억 달러(약 6,000억 원)을 초과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도 1억 6천 파운드(약 2천 800억 원) 이상으로 소비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National Retail Federation, 2007; Odoi, 2007; Mckechnie & Tynan, 2008). 한국과 중국의 경우, 할로윈 소비 통계자료가 정확히 분석·정리되어 있지는 않지만,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매년 10월 31일이면 한국과 중국의 젊은이들뿐만 아니라 유치원에서조차 할로윈커스튬을 입고 파티를 즐기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중국 유학생 공심 외 5인 인터뷰, 2011년 10월). 최근에는 할로윈 관련 온라인 게임이 개발되어 전 세계 게이머들이 게임 상에서 할로윈의 기분을 만끽하며 색다른 게임을 즐기기도 하였다(Kim, 2008).

 이제 할로윈 파티는 더 이상 미국만의 풍습이라고 볼 수 없을 만큼 세계의 놀이문화가 되어가고 있다. 각국의 사람들은 할로윈 파티를 통해 다가오는 새 해의 예측불가한 일들에 대한 안보와 방어에 대한 기원을 놀이문화로 승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할로윈을 타국의 풍습이라고 배척하기보다는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관심을 갖고 접근할 필요가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우리는 할로윈의 올바른 유래 및 의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그저 파티 또는 놀이 문화의 한 유형으로 즐기기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매년 10월 31일에 우리는 할로윈 커스튬을 입고 파티를 즐기거나 게임을 즐기지만, 자신이 입고 있거나, 게임에 나타난 커스튬의 형상과 거기에 포함된 모티브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의미가 어떻게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렀는지를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흔히 ‘할로윈’하면 귀신 복장, 괴물 복장만을 떠올릴 정도라고 본다.

이처럼 할로윈이 글로벌화되어가는 현실에서, 할로윈에 관한 국내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할로윈의 본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할로윈에 대한 미국인의 소비의식 진화(Belk, 1990), 소비경험으로써의 할로윈(Levinson, Mack, Reinhardt, Suare & Yeh, 1992), 오늘날 할로윈 의식속의 축제, 통제 그리고 협력 문화(Ravenwolf, 1999), 삶과 죽음에 대한 할로윈과 기타 축제(Santino, 1983, 1997, 1998, 2000) 등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로는 할로윈 축제를 사진촬영 기법으로 접근한 연구(Lee, 1999)와 할로윈 데이 코스튬 놀이 중 가면에 관한 연구(Kim, 2007)만이 이루어졌을 뿐, 할로윈 커스튬에 나타난 모티브의 상징적 의미와 그 변화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할로윈 커스튬의 형상과 이에 나타난 전통 모티브의 유형을 고찰하고, 각 모티브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한 후, 이들 모티브가 현대 할로윈 파티웨어에 어떤 양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로윈 커스튬 제작 및 할로윈 영감의 패션 디자인 개발 그리고 관련 놀이문화 형성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각 나라의 할로윈 풍습과 패션을 조사 분석하는 후속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The origin and change of the Halloween

 BC 500년경 아일랜드 켈트족에게는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1년 동안 타인의 육체에 머물다 떠난다는 미신이 있었다. 그들의 새 해는 11월 1일이었기에 한 해의 마지막 날인 10월 31일에 망자들이 앞으로 1년 동안 자신들이 기거할 육신을 선택하러 배회하기 때문에 켈트족들은 집 밖에 나가지 않고 집안을 음침하게 꾸미고, 자신들 역시 귀신 복장으로 무섭게 꾸며서 망자가 자신의 집에 들어와서 자신들을 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삼하인 풍습이 있었다. 즉, 공포를 위협으로 방어하려는 풍습이었던 것이다. 그 후 로마가 켈트족을 정복하고, 교황 보니 파체 4세가 매년 11월 1일을 ‘모든 성인의 날(All Hallow Day)’로 선포함으로써, 그 전날인 10월 31일이 카톨릭 모든 성인의 축일 ‘All Hallow'Eve’가 되었으며, 이로부터 오늘날의 ‘Hallowe'en’이란 용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Chambers, 1997).

 이처럼 유럽에서 시작된 할로윈이 오늘날 미국의 대표적인 풍습이 된 것은, 영국의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미국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9세기 초까지, 미국에서는 할로윈을 공식 기념일로 정하지 않았다. 19세기 중반에, 할로윈은 아이리시 또는 스코티쉬 축제 중 하나로 간주되었으며, 19세기 말에 이르러 비로소 상업적인 목적으로 미국인들의 관심을 갖게 되었다.

 매년 10월 31일이 되면, 미국의 어린이와 젊은이들은 할로윈 코스튬이라는 복장과 화장 그리고 가면을 쓰고 동네 주택가를 돌면서 ‘Trick or Treat’라고 외치면서 자신들을 대접하지 않으면 재앙이 닥칠 것이라는 의미로 겁을 주면, 집주인들은 초콜릿이나 캔디 간혹 돈을 주면서 그들을 구슬려 자신들에게 재앙이 닥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상징적 행동을 하였다. 이렇게 되면서 할로윈은 북미에서 2번째로 중요한 파티일이 되었으며, 할로윈 파티를 즐기기 위한 다양한 상징품과 공예품들이 보다 상업적이고 일상화 되어 갔다.

 비록 할로윈이 이교도 축제로 시작되었지만, 1910년경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the San Francisco Chronicle)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the Los Angeles Times)가 할로윈 오락과 만화를 보도한 후 점차 또래집단의 기념일이 되었으며, 다른 세대들에 의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받아 들여졌으며, 1920년경에는 대학생들이 할로윈 의식을 신입생 길들이기에 전용하기도 하였다(National Geographic, 2007; Rogers, 2002).

 1950년경에는 할로윈 공포가 쇽-코믹(shock-comic)으로 표현되었으며, 1970년 이후부터 공포영화가 할로윈 때 극장의 지배적인 장르가 되면서 할로윈이 할리우드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할로윈 관련 영화만으로도 미국내 시장에서 1,850만 $를 획득하였으며, 비디오 팬들에게 추종영화가 되었다(Rogers, 2002). 이처럼 할로윈은 젊음의 인증과 차별화의 기념일로 1970년대에 다시 활성화 되었던 것이다. 즉, 전근대적인 축제 정신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계속되었으며, 그들의 뒤죽박죽인 의례는 주요 문화를 패러디하고, 노여움을 발산하고, 성적 취향의 선택 가능성을 주장하고, 세상을 보는 관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던 것이다.

 1980년대는 할로윈이 현실도피자의 화려한 오락(Rogers, 2002)으로 묘사되면서 tric or treat의 어린이 중심적 의례가 퇴색되고, 카니발적인 분위기가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즉, 거리행렬과 댄스, 카바렛 문화가 할로윈에 새로이 등장하게 되었다(Hirschman & Holbrook, 1982; McKechnie & Tynan, 2008 ). 이러한 새로운 스타일의 할로윈은 대중의 카타르시스로 묘사되어 지면서, 오늘날에는 ‘재미, 연회, 화려한 드레스, 장난스러움과 섬뜩함’을 상징하는 하나의 놀이 문화로 발전하게 되었다.

 할로윈은 그 모티브가 마녀, 마법, 마법사, 악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사실 어린이들에게 불쾌하고, 위협적이며 공포스러웠기 때문에 소설가Homero Aridjis(Rogers, 재인용, 2002)는 할로윈을 “문화적 공해”라고 묘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유명 카드회사인 Hallmark사가 할로윈 제품을 생산하여 전 세계에 공급함으로써, 할로윈은 문화적 제국주의의 이상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즉, 대중문화의 브리콜라주(bricolage; 도구를 닥치는 대로 사용해서 만들어내는)로써 할로윈이라는 창의적인 파티문화를 탄생시킨 것이다(Rogers, 2002).

 성령의 날에 망자를 기념하기 위한 기원전의 믿음을 상징하는 할로윈은 19세기 중엽이 되면서 죽음과 관련 있는 이야기들은 점차 희미해졌으며, 점차 세속적이고 쾌락적인 풍습이 되었다. 죽음보다는 오히려 삶에 역점을 둔 할로윈 풍습 속에서 친목, 안전, 보호 그리고 즐거움 등 라이프스타일적인 상징적 의미를 엿 볼 수 있다

2. Halloween costume

 BC 500년경 삼하인들의 귀신 복장에서 시작된 할로윈 복장은 19세기 말에 가서 상업적 목적으로 다양화되기 시작하였다. 즉, 할로윈 모티브들이 매장, 식당 그리고 직장에까지 디스플레이 되기 시작하였으며, 고양이, 마술, 마법, 악마, 박쥐 등이 할로윈의 전통적 복장 및 문양으로 이용되었다. 1920년경에는 박쥐와 고양이가 오렌지와 검정색 또는 노랑과 검정색으로 장식되었으며, 마녀, 도깨비, 또는 호박등(Jack'o'Lanterns)과 함께 할로윈을 상징하는 지배적인 문양이었다. 이 무렵에는 이러한 핵심문양 이외에도 단풍잎, 옥수수대, 과일, 채소 문양 등이 할로윈 복장에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수확의 상징이었다(Rogers, 2002; Santino, 1983).

 1910년경 할로윈이 오락과 만화에 도입되고, 대학생들의 신입생 길들이기에 전용되면서 할로윈 풍습이 젊은 계층으로 확대되고, 할로윈 복장 역시 젊은이들의 스타일로 다양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1950년경에는 할로윈 공포가 코믹하게 표현되면서 혐오스럽고 공포스러운 할로윈 복장과 그의 문양에 코믹의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는 할로윈 영화가 할리우드로 진출하고, 젊은이들이 거리행렬과 댄스, 카바렛 파티를 즐기면서 어린이 중심적 놀이 문화에서 청소년 중심의 카니발문화로 확대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할로윈 복장에도 영향을 미쳐 현대적인 할로윈 복장 및 문양의 카테고리가 정립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워싱톤 포스트지(23 Oct., 6 Nov.1983, Rogers, 재인용, 2002)에 “여러분은 매일 일상의 규칙을 따라야 하지만, 할로윈 때는 여러분의 판타지(상상, 공상)에 따라 옷을 착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 환타지는 할로윈의 모던 모티브들인 마녀, 늑대인간, 고스트, 뱀파이어 등으로부터 유래된 문양들이었다. 그러나 모든 할로윈 복장이 피와 마녀, 고스트 등과 같이 공포와 연관된 것만은 아니었다. 때때로 그들은 앤디워홀의 대중문화를 패러디하여 가솔린 펌프, 벤딩머신, 쓰레기통, 크레스트 치약통, 립스틱 튜브, 씹던 껌, 콘 플레이크, 6팩의 맥주, 핫덕, 코치, 포테이토, 맥도널드 프라이, 타이레놀 병, 가짜 돈, 교황복장, 미국 대통령 형상 등을 할로윈 복장에 패러디로 응용함으로써 자신들의 따분함을 풍자하기도 하였다(Holbrook & Hirschman, 1982; Rogers, 2002; Santino, 1983).

 1991년에 the Grand Rapids Jaycees가 할로윈 파티를 기획한 후 다시 공포 분위기가 현대 할로윈의 일부분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즉, 가짜 피, 뱀파이어, 드라쿨라 이빨, 프랑켄슈타인 형상, 종탑과 박쥐, 몬스터 등이 어린이와 십대들에게 인기 있는 할로윈 복장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1994년에는 아프리카 스타일 가발(Afro wig), 풋볼저지(football jersey), 피 묻은 장갑과 함께 O.J 커스튬이 할로윈 복장에 등장하여 각광을 받기도 하였다.

 2001년에는 미국 911테러 사건의 영향으로 애국주의가 할로윈 마케팅에 활용되어 애국적 모티브가 유행을 하게 되었다. 즉, 자유의 여신, 우주비행사, 특공대, 경찰, 소방관, 건축가, 텍사스 카우보이, 샘 아저씨, 조지 워싱턴, 남북전쟁의 군인 복장 등이 패러디된 패션들이 유행하였다. 이 때 어린이들 사이에서는 소방관, 비행사, 경찰, 그리고 군복, 슈퍼맨, 배트맨, 디즈니 캐릭터, 헤리포터 등이 인기를 얻었다. 전반적으로 사람들은 ‘친근하고 온화한 할로윈’을 기대했으며, 미국의 전통색인 빨강, 흰색, 파랑을 기본으로 계절색인 검정과 오렌지색을 혼합하여 연출함으로써 애국주의적인 면모를 할로윈 커슈튬으로 표출한 것이다(Linton & Linton, 1950).

 이처럼 1970∼80년 이후는 정치적 이슈와 팝 문화들이 할로윈 복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결과 할로윈 커스튬의 다양화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일부 교인들은 그들의 자녀가 전통적인 귀신 복장보다는 “행복한 의복(happy attire)”를 입기를 원하였다(Rogers, 2002). 그리하여 병아리, 토끼, 가재, 프린세스, 만화 캐릭터, 레이디 가가 등과 같은 팝가수와 유명 배우들의 복장이 전통적인 할로윈 모티브와는 상관없이 유행하게 되었다.

 할로윈의 지배적인 개념인 유머와 놀이, 친근함 등은 무엇을 전복시키기 보다는 패러디 그 자체로써의 파워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세계 각국에서 소비자들이 각자의 욕망과 불만, 판티지를 할로윈 복장에 표현하여 카니발적인 분위기를 즐기려고 하는 지도 모르겠다. 오늘날의 할로윈 복장은 세계 각국의 어린이와 젊은이들이 신체를 꾸미고 패러디하는 기쁨과 삶의 윤택함을 즐김과 동시에 그들 자신을 어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면서 그 전파성이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사회적 또는 공식적 비난 없이 그들의 욕구와 느낌을 표출할 수 있는 복장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할로윈 복장이 사회적 의식의 일시적인 표출의 기능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본다.

Ⅲ. Methods

 연구내용 및 방법은 할로윈 관련 선행연구와 서적, 그리고 인터넷 자료로부터 첫째, 할로윈의 유래와 변화를 고찰하고, 둘째, Linton and Linton(1950), Rogers(2002), Ravenwolf(1999), Santino(2000)의 문헌으로부터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할로윈 커스튬과 심볼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전통적인 할로윈 모티브의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미국 인터넷 사이트(www.yahoo.com, www.msn.com, www.aol.com, www.comcast.com, www.netscape.com, www.lycos.com, www.altavista.com, www.google.com: 검색일 2010년 10월)와 한국 인터넷 사이트(www.google.co.kr, www.naver.com, www.daum.net: 검색일 2011년 10월)에 나타난 할로윈 관련 이미지 547개를 수집하여, 그 중 최근 영화 주인공, TV쇼 주인공, 팝 가수, 빅뉴스, 애국주의 등을 패러디한 형상을 제외하고, 문헌으로부터 도출된 전통적 할로윈 모티브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만을 선별한 후, 셋째, 그들의 상징적 의미와 변화를 분석하고, 넷째, 전통적인 할로윈모티브가 오늘날 할로윈 파티웨어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가를 사례로 제시하는 내용분석법과 사례연구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할로윈 모티브’란 용어의 조작적 정의는 할로윈 관련 모티브, 문양 그리고 전체적인 실루엣을 통칭하고 있다.

Ⅳ. Symbolic Meanings of the Halloween Costumes and Motives

1. Symbolic meanings of the black cat and white hare

 오늘날의 할로윈 패턴 중 고양이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지만, 그 중 고양이의 긴발톱, 아취형으로 굽은 고양이 등 모양, 그리고 부풀은 고양이 꼬리는 전통적인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고양이는 고대 여신숭배신화에 나타나고 있다. 즉, 지금의 북유럽인 게르만 민족의 하나인 튜턴인인 레야(Rreya)가 고양이가 끄는 마차를 탔으며, 로마 신화 중 달의 여신인 아프텐미스 디아나(Artenmis-Diana)가 자주 고양이 형상으로 둔갑을 했으며, 이집트 수호신 바스트(Bast) 등이 고양이로 묘사되곤 하였다. 북미에서는 1050년경 이후에도 고양이가 소개되지 않았으며, 이집트에서는 고양이가 종교여신의 능력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고양이와 관련된 부정적 미신은 어리석은 로마 군인이 고양이 집을 부수고 고양이를 죽인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재판관 니콜라스 레미(Nicholas Remy) 또한 모든 고양이는 악마였다고 주장함으로써 고양이가 부정적 미신으로 여겨지기 시작하였다. 1387년, 롬바르드 족(Lombard)의 마녀들이 고양이를 악마로 숭배하기도 하였으며, 중세 기독교인들은 고문에 고양이를 활용하기도 하여 복수의 상징이 되기도하였다(Dale-Green, 1963; Ravenwolf, 1999). 북미에 있어서의 미신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이르러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검정 고양이는 할로윈의 재미와 친근의 상징이 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할로윈에 등장하는 고양이는 밤의 불길함을 겁주어서 떨쳐버리게 하는 수호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avenwolf, 1999). 〈Fig. 1〉은 검은 고양이 모티브이며,〈Fig. 2〉는 검은 고양이 형상의 할로윈 복장을 한 여인의 모습으로서 공포의 이미지보다는 섹시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다.〈Fig. 3〉은 어린이용 검은 고양이 할로윈 복장으로 고양이가 귀엽게 묘사되고 있다.

<Fig. 1> Black cat. From. Ravenwolf. (1999). p.54.

<Fig. 2> Black cat. Halloween Costume Ⅰ From. http://blog.naver.com/parispink/

<Fig. 3> Black cat. Halloween Costume Ⅱ From. http://cafe.daum.net

 스코틀랜드에서는 들 고양이가 들 토끼로 변신하여 나타난다고 믿었으며, 고대 셀틱인들은 흰 토끼가 살아있는 사람을 방문하고자하는 망자의 영혼이 담겨진 동물이라 믿었기 때문에 흰 토끼를 무서운 존재로 인식하였다(Ravenwolf, 1999).〈Fig. 4〉는 흰 토끼의 모티브이며,〈Fig. 5〉는 흰 토끼 형상의 할로윈 복장을 착용한 여성으로서 토끼 귀 형상의 헤어밴드로 발랄한 이미지를 창출하고 있다.〈Fig. 6〉은 토끼 복장을 한 아기의 모습으로 귀여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있어 할로윈 원래의 의미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Fig. 4> White hare. From. http://www.google.co.kr/search

<Fig. 5> White hare. Halloween Costume Ⅰ From. http://blog.danawa.com/prod

<Fig. 6> White hare. Halloween Costume Ⅱ From. http://kr.image.search.yahoo.com/

 이상을 정리하면, 고양이는 초기엔 여신 또는 수호신 등과 같이 긍정의 상징 동물이었다가 14세기 후반부터 악마 또는 복수의 부정적 의미를 지닌 동물로 인식되었다. 1930년과 40년대 사이엔 재미와 친근함을 상징하는 긍정적 상징의 동물로 묘사되었으며, 오늘날 할로윈 날에 주로 여성 또는 어린이의 발랄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파티웨어로 착용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흰 토끼 역시 고대에는 망자의 영혼이 깃든 두려운 동물로 상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사람과 친근한 애완동물로써 긍정적 의미의 동물로 인지되고 있으며, 주로 어린이용 할로윈 복장이나 여성용 헤어 액세서리로 착용되고 있었다.

2. Symbolic meanings of the trident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삼지창과 악마를 연관시킨다. 그러나 원래 삼지창의 의미에는 사탄과 그의 하인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다. 셀틱족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권에서 삼지창은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에서는 힌두교 카리(Kali)의 신랑이 삼지창을 지녔으며, 기타 이교도의 신인 넵툰(Neptune)과 포세이돈(Poseidon) 역시 바다의 생명수와 관련 있는 생식기의 상징으로 삼지창을 지니고 다녔다.

 삼지창과 악마와의 관련은 초기 기독교에서 시작되었다. 우스꽝스러운 성기의 이미지를 진압하고, 셀틱인들의 성기 이미지와 관련 있다는 이유로 셀틱 신화에서 신성한 문의 열쇠로 상징되었던 삼지창의 상징을 성적 패륜으로 알려진 악마로 전이시켰다. 삼지창은 일반적으로 이교도 전통에서 남성의 도구로 인식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악마는 신체의 일부가 삼지창으로 꽂힌 것으로 묘사되곤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교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삼지창은〈Fig. 7〉에서와 같이 꽃, 나뭇잎, 넝쿨, 말린 옥수수 다발, 리본 등으로 장식되어 추수감사절 축제의 유용한 도구로써 풍요로움을 상징하게 되었다.〈Fig. 8〉과〈Fig. 9〉는 삼지창이 할로윈의 액세서리로 사용된 사례이다.

<Fig. 7> Tridents. From. Ravenwolf.(1999). p.56.

<Fig. 8> Tridents. Halloween Accessory From. http://blog.naver.com

<Fig. 9> Tridents. Halloween Accessory From. http://kr.image.search.yahoo.com/

 이와 같이, 삼지창은 남성의 생식기, 신성한 문의 열쇠를 상징하다가, 성적 패륜의 악마인 부정적 상징으로 전이되었다가 다시 풍요로움이라는 긍정적인 상징으로 그 의미가 변화되어, 오늘날 다양한 디자인의 할로윈 액세서리로 등장하고 있다.

3. Symbolic meanings of the scarecrow

 허수아비는 그 외모가 유럽의 시인이나 무언극배우와 유사하여 그들을 상징하기도 하였으며, 허수아비를 태우는 풍습은 영국의 가이 퍽스 체포기념일(Guy Fawkes Day)에 인형을 태우는 풍습으로 부터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허수아비가 농작물을 보호하고 풍요롭게 하는‘들녁의 꼬마 피터’로 상징화되었으며, 농장 동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 허수아비와 같은 짚 인형을 동물들에게 먹이기도 하였다. 또한 감사의 표시로 집단사회의 모닥불에 사용하는 번식의 부적물(신)로 간주되기도 하였다(Ravenwolf, 1999).〈Fig. 10〉은 허수아비의 모티브이며,〈Fig. 11, 12〉는 허수아비 형상의 성인 여성과 어린이용 할로윈 복장으로서 우수꽝스러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있다.

<Fig. 10> Scarecrow. From. Ravenwolf.(1999). p. 58.

<Fig. 11> Scarecrow. Halloween Costume Ⅰ From. http://korean.alibaba.com/

<Fig. 12> Scarecrow. Halloween Costume Ⅱ From. item.gmarket.co.kr

 이상으로부터, 허수아비는 보호와 풍요 그리고 번식의 상징물이었으나, 허수아비 형상의 할로윈 복장은 자신의 개성이나 특정인물 또는 특정상황에 대한 패러디성이 떨어지기 때문인지 오늘날의 할로윈 축제에 많이 착용되지는 않았다.

4. Symbolic meanings of the skeleton

 할로윈과 흔들리는 뼈대 그리고 해골은 불가분의 관계처럼 생각되는데, 해골의 공포는 팔레오페이건(Paleopagans)과 후기 유럽 신화로부터 유래되었다. 많은 씨족들은 모임에서 조상의 머리 또는 해골을 보호했으며, 그것들에 그림을 그리고, 복장을 입혀서 상좌에 모셨다(Ravenwolf, 1999). 미국의 청교도(Puritans)들 역시 이런 관습을 파괴하기 보다는 유지하였으며, 멕시칸과 남미 사람들은 초기셀틱 축제일을 그들의 지역 관습에 끌어들여 축제로 발전시켰던 것이다. 멕시코 축일은 망자의 영혼이 멕시코로 돌아왔다고 하는 셀틱의 풍습과 카톨릭문화 그리고 아즈텍 신화의 복합체라 할 수 있다. 〈Fig. 13〉은 해골과 뼈대의 모티브이며,〈Fig. 14〉는 뼈대 할로윈 복장을 한 남자 어린이로서, 혐오나 공포의 분위기보다는 귀여움을 느낄 수 있다.〈Fig. 15〉는 뼈대를 모티브로 디자인된 여성용 할로윈 복장으로서 여성의 섹시함으로 표출되고 있다.

<Fig. 13> Skeleton. From.etc.usf.edu http://www.google.co.kr

<Fig. 14> Skeleton. Halloween Costumes Ⅰ From. http://search.daum.net

<Fig. 15> Skeleton. Halloween Costumes Ⅱ From. http://blog.naver.com/oomoaa

 이와 같이, 뼈대와 해골은 조상 숭배의 상징체이였으나, 역시 공포 또는 혐오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할로윈 축제 때 어린이나 성인들의 복장에 귀여운 이미지 또는 섹시한 이미지로 자주 등장하고 있다.

5. Symbolic meanings of the ghost

 ‘유령’이라는 단어는 씨족 축제에 초대된 돌아가신 조상의 영혼을 의미하는 게르만어의 ‘영혼(geist)’에서 유래되었다. 이런 유형의 유령은 살아있는 사람에 대한 자애로운 정신으로 나타났다. 할로윈 때 유령은 아마도 우호적으로 당신을 방문한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유령은 자애로운 조상의 영혼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Fig. 16, 17〉은 귀신 또는 유령의 형상을 한 할로윈 복장이다. 오늘날 이러한 복장은 주로 장난꾸러기 소년들이 흰 천으로 온몸을 덮고 할로윈 때 trick or treat이라 하며 가가호호를 방문할 때 주로 착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유령의 이미지로 디자인한 다양한 여성용 할로윈 드레스가 제작되어 특정 판매사이트에서 판매되고 있다.〈Fig. 18〉은 락텐(rackten)이라는 일본 사이트에서 할로윈 드레스로 판매했던 유령 드레스로서 음산한 느낌을 준다.

<Fig. 16> Ghost. From. blog.naver.com http://www.google.co.kr

<Fig. 17> Ghost. Halloween Costumes Ⅰ. From. blog.daum.net http://www.google.co.kr

<Fig. 18> Ghost. Halloween Costumes Ⅱ. From. global.rackten.com http://www.google.co.kr

6. Symbolic meanings of the witches

 마녀의 공적은 1300년경까지 미래의 예언자, 치유자로서 교회와 귀족들에 의해 칭송되었으며, 마녀는 우물, 시내, 동물의 수호신, 겨울의 화신으로서 그녀가 지니고 있는 지식, 현명함, 외교적 성향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Ravenwolf, 1999). 오늘날 할로윈과 관련 있는 친숙한 마귀할멈은 중세기독교인들로 부터 평가 절하되기 시작하였다. 여러 이단교의 신들이 처녀, 엄마, 노파의 3위 일체인 헤카테(Hecate), 캘럭스(Calleach), 크론(Crone) 등과 같은 노파로 묘사되었다. 교회는 마녀를 폄하할 필요가 있어서 그들의 권리를 사회로부터 제거시켰으며, 결국 비방의 대상이 되었다. 그래서 많은 노파들이 단지 그들의 나이 때문에 고문과 화형, 또는 교수형을 당해야만 했다(Walker, 1983; Levak, 1992). 오늘날 미국에는 약 120만 개의 마법 숭배가 존재하며, 특히 중산층 백인 그룹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21세에서 45세의 사람들로써 그들의 종교에 마법 풍습(craft practices)을 접목시키고 있다.

 〈Fig. 19〉는 마녀의 모티브이며,〈Fig. 20, 21〉은 마녀와 마녀가 쓴 모자 그리고 마녀가 들고 다니던 빗자루 형상과 이것을 할로윈 복장으로 착용한 숙녀와 소녀의 모습이다. 이처럼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많은 소녀 또는 여성들이 그들의 코에 무사마귀를 단 기이한 형태의 귀여운 마녀로 변장하고, 마녀의 복장으로 자신을 꾸미곤 한다. 마녀의 뾰족한 모자는 기도하는 사람 중에서 자기 자신을 지원하는 힘의 고깔을 상징하며, 빗자루는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유럽 농부들에 의해 수행된 풍요의식과 일치한다.

<Fig. 19> Witches. From. blog.naver.com http://www.google.co.kr

<Fig. 20> Witches. Halloween Costumes Ⅰ From. vitaminmd.co.kr http://www.google.co.kr

<Fig. 21> Witches. Halloween Costumes Ⅱ From. http://shopping.daum.net

 이상으로부터, 마녀복장 또는 마녀 모티브는 비록 한 때 종교인들로 부터 부정적 의미를 부여 받았지만, 전통적인 의미는 미래의 예언자인 동시에 치유자, 수호신, 화신을 상징하였으며, 그 녀가 쓴 뽀족한 모자는 힘을 상징하였고, 그녀가 든 빗자루는 풍요를 상징하는 긍정적 의미를 지녔다. 마녀와 마녀의 부속품은 오늘날에도 마법의 힘이라는 초능력을 상징하면서 할로윈 축제 때 여성 또는 젊은이,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7. Symbolic meanings of the vampires

 Ravenwolf(1999)에 의하면, 뱀파이어의 전설은 망자가 삼하인, 할로윈 또는 만성절(All Saints' Day)를 통해 산 자를 방문하기 위해 돌아온다는 믿음, 악마의 자취를 덮기 위해서 미신을 허용하면서 사람들을 괴롭히면서 돌아다니는 실존 미치광이의 존재에 대한 믿음, 방부처리 전에 이루어지는 중단된 매장이 필수 관습이 되었다는 믿음, 죽은 후 따돌림으로 떠돌아다니는 사람에 대한 험담, 전염병과 유행병에 대한 믿음 등 다양한 미신의 혼합체라고 한다. 중세의 교인들은 여인이 자신의 신체를 달빛에 노출시키면 뱀파이어 어린이를 품거나 출산한다고 믿었다. 교회는 뱀파이어에 대한 믿음을 인정하였으며, 뱀파이어들이 달 빛 아래에서만 걸어 다닐 수 있다고 가르쳤다.

 뱀파이어는 불가리아, 독일, 크레타, 앗시리아, 바빌론 등 여러 나라에서 등장하고 있다. 20세기까지 뱀파이어는 즐거움을 전달하는 인간의 속성보다는 2피트의 못생긴 짐승으로, 대단히 충격적인 얼굴과 털이 거의 없는 미완성 몸체로, 침을 흘리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Ravenwolf, 1999). 오늘날의 뱀파이어 팬클럽은 실지 지하 단체일 뿐 아니라 수천만의 뱀파이어 광팬이 동맥으로부터 피를 멋있게 흡입하는 멋진 모습의 이상형에 매혹되고 있다. 현대의 뱀파이어는 좋은 뱀파이어와 나쁜 뱀파이어로 분류되고 있다. 좋은 뱀파이어는 인간 여성의 진솔한 사랑을 찾으며, 나쁜 사람만을 죽이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뱀파이어 라이프스타일이 죽은 자와 산 자의 밤(손상된 삶과 흔들리는 삶)인 할로윈과 연계되어 할로윈 축제에 드러난 것이 아닐까 한다. 오늘날, 우리는 끝이 뾰족한 어금니를 보이면서 케이프를 펄럭이는 작은 뱀파이어 무리 없이는 할로윈 파티나 퍼레이드를 상상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Fig. 22〉는 뱀파이어의 형상이며,〈Fig. 23, 24〉는 뱀파이어 할로윈 복장으로서,〈Fig. 23〉은 고딕시대의 남녀 뱀파이어 형상을 묘사한 댄디형 고딕 뱀파이어이며,〈Fig. 24〉는 로코코형 뱀파이어로서 역사적으로 다양한 뱀파이어 형상을 볼 수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남성은 댄디 스타일, 여성은 퍼멀한 스타일로 젊은 연인들이 선호하였다.

<Fig. 22> Vampires. From. http://magickalgraphics.com/vampire6.htm

<Fig. 23> Vampires. Halloween Costume Ⅱ From. Gothic-Vampire http://www.enrichyou.info/head-turning-halloween-costumes/

<Fig. 24> Vampires. Halloween costume Ⅲ From. halloweenshopaholic.com http://www.google.co.kr

8. Symbolic meanings of the bat

 박쥐는 동물의 피를 흡입하는 뱀파이어 박쥐와 신화적 박쥐가 있다고 유래된다. 역사적으로 박쥐는 그들의 먹이인 나방을 끌어들이는 불빛인 삼하인 모닥불과 관련이 있다. 나방과 박쥐가 마녀로 인해 이끌리어 온다고 하기 때문에, 마녀가 박쥐로 변신하거나 마녀의 영혼이 박쥐 형상으로 날아다닌다고 하였다(Ravenwolf, 1999).

 〈Fig. 25〉는 박쥐 형상의 모티브이며,〈Fig. 26∼28〉은 박쥐 형상의 할로윈 복장이다. 박쥐는 마녀가 박쥐로 둔갑한다고 하여〈Fig. 26〉과 같이 마녀복장과 함께 쌍을 이루어 입혀지기도 하고,〈Fig. 27〉과 같이 어린이 영화 ‘배트맨’의 영향으로 어린소년이나 성인 남성들이 착용하기도 하여 용감한 이미지를 나타냈으며,〈Fig. 28〉과 같이 갓난아기에게도 귀여운 박쥐 형상의 할로윈 복장을 입힌 것을 보면 사람들이 박쥐를 혐오나 공포의 부정적 상징물로 여기기보다는 용맹한 이미지인 긍정의 상징물로 인식하고 있었다.

<Fig. 25> Bat From. http://images.search.yahoo.com

<Fig. 26> Bat Halloween Costume Ⅰ From. http://blog.naver.com/oomoaa

<Fig. 27> Bat Halloween Costume Ⅱ From. http://www.google.co.kr/search

<Fig. 28> Bat Halloween Costume Ⅲ From. bolg.hawkinskorea.com http://www.google.co.kr/search

9. Symbolic meanings of the werewolves

 늑대인간에 대한 믿음은 동물의 영혼이 숭배되고 공포의 대상이 되었던 팔레오페이간 시대(Paleopagan Times)로 거슬러 올라간다. 늑대인간이란 단어는 소크라테스가 가르쳤던 ‘늑대 신전’ 또는 리세움(Lyceum)이라는 유명한 문화공간에서 숭배되었던 아폴로 리캐우스(Apollo Lycaeus; 늑대 같은 아폴로)에 근간을 두고 있다. 신 또는 여신이 동물 형상으로 자신의 모습을 멋대로 바꿀 수 있었으며, 여기서 늑대로 변신한 사람을 늑대인간이라고 하였다. 셀틱 아일랜드에서부터 독일에 이르기까지 많은 신화에 의하면, 만약 사람이 늑대 털로 만든 펠트를 입으면, 영적 동물로 변신한다고 하였다(Ravenwolf, 1999). 기원후 10세기 동안 메르시아(Mercia)에서는 2명의 두루이드교 목회자 제자의 부활이 있었으며, 그들 중 한 명이 늑대인간이었다고 한다. 이 때 ‘영적-늑대’라는 단어가 기독교의 저항을 받은 것 같다. 서기 1000년경, ‘늑대인간’이라는 단어는 ‘도망자’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늑대 족’에 대한 전통을 찾을 수 있는 또 다른 이야기는 독일의 ‘빨간 모자를 쓴 아이(Little Red Riding Hood)’라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빨간 옷 입은 사람은 ‘부활’의 상징이었으며, 빨간색 우븐 후드는 여성예언자 또는 여성사제를 상징하였다. 그리고 한 아일리쉬 보고서에 의하면 마녀(the Cailleach)는 빨강과 초록의 클록(clok)을 입은 연약하고 작은 여성이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이 파워풀한 여성은 걸어 다니는 나무 지팡이 또는 나무망치를 가지고 다니면서 체크무늬의 옷을 입은 푸른 얼굴을 가리고 다니는 여인으로 묘사되었다. 이 여인은 우물, 시내 그리고 야생 동물의 수호신이며, 삼하인(Samhain to Beltainne)으로부터 벨타인의 겨울의 화신으로 간주되곤 하였으며, 이때 마녀는 상식, 현명함, 외교, 신중함을 상징하였다(Ravenwolf, 1999). 이와 같이 늑대인간은 여신 또는 여성 예언자, 사제를 상징하였으며, 빨강과 초록의 코트, 체크무늬 의복과 관련시켜 묘사되고 있었다.

 〈Fig. 29〉는 늑대의 모티브이며,〈Fig. 30〉은 빨강색 후드 코트를 입은 여신의 모습을 한 할로윈 커스튬인데, 고대의 신 또는 여신이 늑대의 형상으로 둔갑을 한다고 믿었기 때문인지 늑대의 복장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Fig. 31〉은 스코틀랜드의 체크패턴 할로윈 복장을 한 모습으로 늑대의 공포적 이미지를 표출하고 있다.

<Fig. 29> Werewolf. From. http://imagex.search.yahoo.com

<Fig. 30> Werewolves and red Hood Halloween Costume I From. bbs1.telzone.daum.net

<Fig. 31> Werewolves Halloween Costume Ⅱ From. http://www.costumeexpress.com

10. Symbolic meanings of the jack-o-lantern (pumpkin)

 호박이 없이는 할로윈을 생각할 수 없을 만큼 호박은 할로윈의 중요한 심볼이다. 호박등(Jack-o-Lantern)은 호박의 속을 파내고 눈, 코, 입을 멋있게 디자인한 후 그 속에 촛불을 켜놓은 것이다. 많은 미국의 역사가들은 호박등이, 셀틱인들이 사과와 순무 또는 비트의 속을 파내고 촛불을 그 속에 넣어 사용한데서부터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Ravenwolf, 1999). 그러나 일부학자는 호박이 미국 채소이고, 셀틱인들은 유령, 마녀, 검은 고양이 등을 공포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기기 때문에 미국에서 유래하였을 것이라고도 하고, 기독교인들이 부정적 미신에 이교도 관련 풍습을 관련시킨 것이라고도 하며, 또 일부에서는 잭이라는 술주정꾼과 마귀와의 전설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여 그 유래설이 분분하다. 이 괴상한 등은 ‘도깨비불(will-o'-the-wisps), 초불무리(corps candles), 랜턴맨(lantern men), 합오랜턴(hob-o'-lanterns), 호박등(jack-o'-lanterns) 또는 간단히 윌(will')이라고 불려지기도 하였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조각된 순무를 ‘악령(bogies)’ 이라고 부르고, 영국에서는 속이 빈 비트를 ‘불량한(punkies)’라고 불렀다(Ravenwolf, 1999). 미시시피와 루이지애나와 같은 미국 남부지역에서는 호박등을 땅속요정 또는 도깨비로 묘사한다(Ravenwolf, 1999). 

 오늘날 호박등은 전 세계의 아트로 승격되어 호박등 만들기 대회도 열리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Fig. 32〉는 호박등이며,〈Fig. 33〉은 호박등의 이미지로 디자인된 할로윈 코스튬의 파티복이며, 〈Fig. 34〉는 호박등이 할로윈 파티를 즐기는 어린이들의 소품으로 사용된 예이다. 호박 모티브는 할로윈 복장으로 입혀지기 보다는 주로 할로윈 소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Fig. 32> Jack-o-Lantern From. http://image.search.naver.com

<Fig. 33> Jack-o-Lantern Halloween Costumes From. http://www.google.co.kr

<Fig. 34> Jack-o-Lantern Halloween Accessories From. http://www.google.co.kr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다룬 할로윈 코스튬에 나타난 전통적 모티브의 유형 및 상징적 의미 변화  그리고 오늘날의 사례를 간단히 표로 정리하면〈Table 1〉과 같다.

<Table 1> Symbolic meanings of the Halloween costume motives

<Table 1> Continued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할로윈 코스튬의 형상과 이에 나타난 전통 모티브의 유형을 고찰하고, 각 모티브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한 후 이들 모티브가 현대 할로윈 파티복에 어떤 양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할로윈 형상의 역사적 변천을 요약해 보면, 할로윈 초기의 대표적인 모티브는 고양이, 마녀, 박쥐, 단풍잎, 옥수수 대, 과일이나 채소의 문양으로써 공포 또는 수확의 상징적 의미가 주를 이루었다. 1950년경부터 할로윈에 코믹의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는 영화의 영향으로 할로윈 복장이 다양한 면모를 보이면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할로윈의 전통모티브인 마녀, 늑대인간, 고스트, 뱀파이어에 팝문화적 요소가 가미되어 패러디와 풍자적 모티브가 접목되어 모던 모티브의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이후 1990년대 접어들면서 할로윈 모티브는 다시 공포적 이미지로 복고되었으며, 2001년에는 미국 911 테러의 영향으로 애국주의적 할로인 모티브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그 후 2010년부터는 팝가수와 영화 또는 만화의 캐릭터 의상 등 대중문화가 할로윈 복장 및 패턴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대표적인 전통 할로윈 모티브는 검은고양이, 흰 토끼, 삼지창, 허수아비, 해골과 뼈대, 유령, 마녀, 뱀파이어, 박쥐, 늑대인간 그리고 잭오랜턴(호박등)으로 축약할 수 있었다.

 검은 고양이는 여신, 때로는 악마를 상징하는 동물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발랄하고 귀여운 여성 또는 어린이의 할로윈 파티복으로 착용되고 있었으며, 토끼는 망자의 영혼을 상징하는 동물이었으나, 현대에는 친근한 애완동물로서 어린이용 복장이나 여성용 할로윈 헤어밴드로 많이 착용이 되고 있었다. 삼지창은 남성적 상징물 또는 악마로 상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풍요를 상징하는 할로윈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허수아비는 보호와 풍요 또는 번식의 상징물이었으나, 최근에는 그 형상이 매력적이지 않아서인지 할로윈 코스튬으로 많이 착용되지는 않았다. 해골과 뼈대 모티브는 공포 또는 혐오의 대상체이었으나, 최근에는 해골패턴의 유행때문인지 남녀노소를 망라하고 공포스럽게 또는 귀엽게 때로는 섹시하게 많이 착용되었으며, 유령모티브는 조상의 영혼을 상징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소년들이 장난스럽게 착용하거나 음산한 드레스로 디자인되어 주로 여성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녀 모티브는 한 때 치유자 또는 수호신을 상장했으며, 고깔모자는 힘, 마녀의 빗자루는 풍요를 상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교적 영향으로 악마로 폄하되어 지금에 이르렀으나, 최근에는 초능력을 지닌 여성 마녀와 소년 소녀의 할로윈 복장으로 인기를 얻고 있었다. 뱀파이어는 흡혈귀로서 공포의 대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멋진 남녀의 할로윈 코스튬으로 젊은이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었다. 박쥐 모티브는 변신의 동물로 상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용맹의 이미지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착용되고 있었으며, 늑대인간은 빨강과 초록 그리고 체크무늬의 코트를 착용한 여신 또는 사제를 상징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젊은 남성과 여성들이 섹시한 이미지 또는 무서운 이미지의 할로윈 파티복으로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등은 요정 또는 도깨비를 상징하였으나, 의복으로 착용되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할로윈의 소품으로 자주 연출되었다.

 즉, 11개의 할로윈 전통 모티브 중에서 토끼, 삼지창, 마녀의 고깔모자와 빗자루 등의 모티브는 할로윈 코스튬의 액세서리 또는 소품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할로윈 모티브는 시대와 민족에 따라 긍정적 의미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때로는 부정적인 의미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사회 문화적인 현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또한, 어린이와 젊은이들이 그들의 신체를 꾸미고 패러디하는 기쁨과 놀이를 즐기면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하게 됨으로써 그 전파성은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할로윈 풍습이 더 이상 어느 한 국가의 풍습이 아닌 세계 젊은이들의 축제 문화로 정착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할로윈 코스튬 제작 및 할로윈 영감의 패션 디자인 개발 그리고 관련 놀이문화 형성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각 나라의 할로윈 풍습과 패션을 비교 분석하거나 할로윈 모티브가 현대 패션에 어떻게 응용되었으며, 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 가를 연구하는 후속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Reference

1.Belk, R. W.(1990). Halloween: An evolving American consumption ritual.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1), 508-517.
2.Chambers, C.(1997). All saints, all souls, and halloween. Texas: Austin.
3.Dale-Green, P.(1963). The only fully-developed cult of the cat existed in Egypt and it lasted over two thousand years. Cult of the Cat, Barre Publishing.
4.Hirschman, E. C., & Holbrook, M. B.(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3), 92-101.
5.Holbrook, M. B., & Hirschman, E. C.(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32-140.
6.Kim, C. H.(2007). The costume plays of Halloween day. Journal of The Society of Modern Photography & Video, 10, 119-137.
7.Kim, H. G.(2008, October. 29). 'Laghaim', Halloween Event, Retrieved December 11, 2010, from www.donga.com
8.Lee, Y. H.(1999). Halloween day. Kyung Ill University, 1753-1767.
9.Levak, B. P.(1992). Articles on witchcraft, magic and demonology, witchcraft in England. University of Texas: Garland Publishing, Inc.
10.Levinson, S., Mack, S., Reinhardt, D., Suarez, H. & Yeh, G.(1992). Halloween as a consumption experien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9(1), 219-228.
11.Linton, R., & Linton, A.(1950). Halloween through twenty centuries. New York: Henry Schuman.
12.McKechnie, S., & Tynan, C.(2008). Halloween in a material world: Trick or trea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4(9-10), 1011-1023.
13.National Geographic(2007). Halloween History. Retrieved June 23, 2008, from http://www.youtube.com/watch?v=R-VRAemIvbI
14.National Retail Federation(2007). Halloween sales leave retailers with nothing to fear [online]. Available at: http://www.nrf.com, [Accessed 29th December 2007].
15.Odoi, A.(2007). Frightening spend on Halloween, The Guardian, October 25th[online]. Available at: http://guardian.co.uk/business[Accessed 29th December 2007].
16.Ravenwolf, S.(1999). Halloween: Customs, recipes & spells(1st ed). Llewellyn World wide.
17.Rogers, N.(2002). Halloween from pagan ritual to party night. Oxford University Press.
18.Santino, J.(1983, January). Halloween in America: Contemporary customs and performances. Western Folklore, 42(1), 1-20.
19.Santino, J.(1997). All around the year: Holidays and celebrations in American lif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110, Urbana and Chica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Santino, J.(1998). The hallowed eve-dimensions of culture in a calendar festival in northern ireland.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1.Santino, J.(2000). Halloween and other festivals of death and life. Knoxville: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22.Silver Raven Wolf(1999). Halloween. Llewellyn Publications.
23.Walker, B.(1983). The woman's encyclopedia of myths and secrets. Harper Coll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