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전통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원피스 디자인 개발 연구
- 문양의 배치 및 색채 배색 과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Modern One-piece Design using a Traditional Pattern - Focusing on the Arrangement and Color-Scheme of the Pattern -
Abstract
- 01(4)_강민정외.pdf1.09MB
Ⅰ. Introduction
현대사회는 정보화, 개방화 시대로 문화와 생활양식이 범세계적으로 일원화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자민족의 문화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디자인 창출은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지되고 있다(Kim & Kim, 2008). 현재 파리, 밀라노, 런던 등의 컬렉션에서도 세계 유명 디자이너들이 각 나라의 전통문화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우리나라의 여러 패션디자이너들도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을 파리, 뉴욕 등의 컬렉션에 발표함으로써 패션의 세계화를 계속 시도하고 있다. 우리의 전통문화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디자인으로 재탄생될 경우, 경제적 이익뿐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으로 파급되는 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문화 자체가 우리의 삶과 사회 산업을 좌우하는 새로운 시대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우리 고유문화 중 하나인 전통문양을 살펴보면, 식물문양, 동물문양, 자연문양, 기하문양, 수복문양 등 종류가 다양하고, 상징하는 의미도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형태적 측면에서도 미적으로 우수하여 그 어떤 것보다도 차별화된 조형미를 나타내고 있다. 전통문양은 우리 민족이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부터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종교적, 사상적, 습관적인 면에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Lee, 2006).
다양한 여러 문양 중에서도 구름문양은 우리 민족에게 깊이 애호되어 그림, 도자기, 건축, 자수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쓰였다(Cho, 1995). 농경생활이 생업이었던 우리 민족에게 비를 오게 하는 구름은 신령스러운 존재였으며, 경외의 대상이었다. 이렇게 구름은 우리의 삶에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구름문양은 특히 조선시대에 많이 쓰였다. 구름문양은 단독으로 그 의미를 가지고 쓰이기도 하였으나, 용이나 봉황 등의 신령스러운 상징물과 조화를 이루어 그 상서로움과 오묘함을 더해 주거나, 학과 소나무 등과 함께 불노불사를 상징한 것처럼 주로 다른 문양과 어울려 표현되었다. 원래 구름은 산이나 달에 걸치거나 하늘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으며, 하늘에서 모아졌다 흩어지는 모양으로 그 자체의 형태와 색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구름문양의 형태는 역사적으로 사실적인 것에서 극도로 도식화된 것까지 무궁무진하게 변화되어왔다.
본 연구자는 디자인 모티브로 장수와 행운 등을 상징하는 길상의 의미를 지닌 구름문양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분야에 표현되어 있는 구름문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름문양의 형태적 특성상 회화처럼 그림으로 묘사되는 분야에서는 대부분 구름문양의 윤곽선이 또렷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으나, 실에 의해 선으로 표현되는 전통자수에서는 기법의 특성상 구름문양의 윤곽선이 또렷하게 표현되어 있으므로 그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표현된 형태가 다양하고, 반추상적인 모양은 충분히 독창적이었으며,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분야에 나타난 구름문양 중에서 전통자수에 표현된 구름문양을 모티브로 현대적 이미지의 의상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로 구름문양과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구름문양의 상징성, 구름문양의 역사적 변천 그리고 구름문양의 조형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실증적 연구로는 문헌 및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얻어진 이론을 바탕으로 구름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이미지의 원피스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원피스 디자인 과정에서 원피스의 실루엣은 프린세스라인의 기본형으로 정하고, 구름문양의 형태는 전통적인 원형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으므로 구름문양의 배치, 색채 배색 과정을 중심으로 현대적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현대적 이미지 표현을 위한 문양의 배치과정에서는 선행연구들을 참조로 하여 관련된 항목을 나열하고, 그 항목에 따라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체크리스트기법을 활용하여 문양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현대적 이미지 표현을 위한 색채배색은 팝아트의 대표적 화가인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1923~1997)의 작품들에서 색상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색상을 중심으로 원피스와 구름문양에 배색하였다. 이러한 디자인발상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원피스 디자인은 광목을 사용하여 실제로 원피스를 제작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 작업을 통해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문양의 배치 과정과 색채 배색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현대적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현대적이고도 독창적인 아이디어 전개를 위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각적 측면의 디자인 발상방법이 제시됨으로써 전통의 세계화를 향한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Symbolic meanings of the cloud pattern
1) Natural worship
옛 사람들에게 있어 하늘은 가장 숭고한 신앙의 대상이었다. 고대 무속신앙에서 구름은 하늘, 땅, 산, 나무, 물 등과 함께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농경생활이 생업이었던 우리 민족은 자연의 조그만 변화에도 민감하였고, 비를 몰고 오기도 하고, 비를 거두는 등의 구름은 우리 민족에게 신령스러운 존재였다(Ann, 1999).
우리나라의 구름에 대한 역사는 단군신화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다. 단군신화에 이르기를 “옛날에 천제(天帝) 환인의 아들 환웅이 천하를 헤아리려는 뜻으로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환웅은 바람의 신, 비의 신, 구름의 신을 거느리고 태백산의 신단수 밑에 내려왔다. 그 세 신들은 바람, 비, 구름을 자유자재로 부리면서 곡식과 생명과 병과 형벌과 선악 등 360여 가지의 인간사를 다스렸다.”고 한다(Ann, 2001). 자연신의 존재를 의미한 것이 구름, 바람, 비 등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조선은 농경사회에 기초로 하고 있는 만큼 바람, 구름, 비 등이 매우 중요하였다. 즉, 바람, 구름, 비 등이 우리 삶에 매우 깊이 관련되어 있는 자연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구름은 우리 민족과 가까운 곳에서 지상과 천상을 연결하는 초자연적 존재로 두렵고도 감사한 매우 중요한 존재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Pursuit of happiness
구름은 대개 구름머리, 구름날개 그리고 구름꼬리의 모양에 따라 그 의미가 각각 다르게 정해지는데, 옛 사람들은 구름의 모양을 보고, 앞으로 올 일을 예견하였다. 구름의 색과 생김새를 통하여 올해에 풍년이 들 것인지 또는 흉년이 들 것인지를 예측하고, 또 길조와 흉조를 따져보기도 하였다. 또한 나라에 경사스러운 일이나 상서롭지 못한 일이 있을 것을 구름의 모양으로 점을 쳐서 짐작하였다.
이는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믿음이었으며, 이를 통해서 구름이 우리의 삶에 깊이 연관되어 있고, 매우 사랑받는 자연물임을 설명해 주고 있다(Ann, 1990).
3) Eternal youth
구름이 장수를 의미하는 것은 이미 고대 이래의 생활 관념으로 동양사상에서 무위자연의 경지를 통해 영원토록 불변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던 것이다(Ma, 1997). 구름문양은 고대 신선사상에 입각한 종교적 배경에서 천상을 동경하고, 미래의 행복을 추구하며, 평화를 원하는 마음의 표출로 나타났으며, 조선시대에는 십장생의 하나로 독립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십장생은 원래 십장생문의 암면(巖面)에서 발전된 것으로, 우리 고유의 문양이 도안된 것이며, 장생사상(長生思想)이 강하게 반영된 동양적 사상으로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을 말하고 있다. 십장생문은 원래 10종류의 복합문양이 등장하는 것이지만, 구름, 학, 소나무 등 몇 가지만으로 표현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바탕에서 십장생문양이라는 완성품이 나오게 되었다(Kim, 1998).〈Fig. 1〉과 같이 자수병풍 십장생도를 살펴보면 적색바탕에 구름문양이 거북 한 쌍 등과 함께 표현되었다.
<Fig. 1> Sipjangsangdo. From Heo.(1978). p.74.
이처럼 구름은 십장생(十長生) 중의 하나로서, 장수의 표현으로 여러 분야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다.
4) Symbol of status
조선시대에 와서 구름문양은 유교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 속에서 이상과 정신세계를 표현하였다.〈Fig. 2〉와 같이 구름문양은 학이나 호랑이와 같은 다른 동물과 함께 선비의 사회적 계급을 표시해 주는 흉배에 사용되어 신분을 상징하였다. 흉배는 조선시대에 왕과 왕세자의 곤룡포나 백관들의 관복의 가슴과 등에 위엄이나 계급을 표시하기 위해 달았던 계급장과 같은 것이다.
<Fig. 2> Crane Motif Hungbae. From Jung.(2000). p.20.
이와 같이 구름문양은 서기 어린 짐승과의 조합, 운용문, 운봉황문과 같이 용이나 봉황과 같은 영물과의 조합, 그리고 운학문처럼 길상문양과의 조합 등 단독문양보다는 주로 주문양의 배경으로 사용되어 서로의 의미를 상승시킴으로써 위용, 기품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Lim, 1985).
이와 같이 구름은 신비에 쌓인 자연으로서 길흉을 살피고 영원을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등 인간에게 깊은 사랑을 받아왔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구름문양이 다른 문양과 어울려 흉배에 사용됨으로써 조선시대의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2. Historical change of the cloud pattern depicted in traditional embroidery
구름무늬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만 나타나며, 중국에서는 주대(周代) 이전부터 있었다(Lee, 1972). 우리나라에서는 낙랑과 삼국시대 유물에서도 볼 수 있다(Cho, 1995). 낙랑시대의 구름문양은 S자형 운기문이 교묘하게 장식되어져 있는 배(잔)를 볼 수 있다. 운기문이란 S자형의 구름문양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작은 와선을 부가하여 흐르는 듯이 섬세한 유형성을 보여주는 구름문양을 말한다. 고구려시대에 와서는 좀 더 독립되고, 더욱 고양된 형태의 구름문양으로 S자형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유연한 곡선이 흐르는 듯이 붙어 있다. 백제시대의 구름문양은 고구려시대의 S자형을 벗어나 컴마(comma)형의 비교적 단순한 선으로 형과 선이 부드러운 운문이 주로 쓰였다(Kim, 1987). 신라시대에는 불교미술의 경향으로 연화형 운문이 성행하였다. 그리고 7~9세기의 통일신라시대에 와서는 구름꼬리가 두 갈래로 갈라진 쌍꼬리 여의구름무늬가 나타나며, 운두가 보상화 모양으로 화려하게 꾸며졌다. 이를 흔히 보운(寶運)이라 일컫는데, 이 보운문은 서방의 인동초화(忍冬草化) 형식의 장식적 요소가 중국 육조시대 말엽에 유입되면서 그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성행하였다. 고려시대에 와서 구름문양의 형태는 구름머리가 여의(如意)모양, 영지(靈芝)모양, 또는 당초덩굴 모양으로 다소 변화를 갖게 되었다. 고려 말기에는 구름문양이 점차 작아지며 꼬리를 잇대어 무리를 이루면서 솟아오르는 모양으로 상감청자를 비롯하여 불화 등에 나타나는 예가 많아졌다(Lim, 1996).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에 비하여 자율적이고 진보된 수법과 개성 있는 시대 특유의 회화적 요소를 바탕으로 단독문양보다는 연속적인 문양으로 표현되거나, 다른 문양과의 조화를 꾀하며 양식화되었다. 권운(卷雲), 완자운, 삼두운, 유운(流雲), 사운(絲雲) 등 다양한 구름문양이 나타났으며(Ann, 1988), 불화나 민화에서는 뭉게구름으로 표현되는 꽃구름의 형태가 나타났다(Lim, 1980).
이와 같이 구름문양은 각 시대에 따라 양식을 달리하여 나타나고 있는데, 고구려의 구름무늬는 귀족적이고 정교하며 활기찬 기운의 미가 있고, 백제의 구름무늬는 담백한 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일신라의 구름무늬는 단정하고 화려한 미가 있다. 그리고 고려의 구름무늬는 화려함과 다양함을, 조선에 이르러서는 풍류의 미를 대표적으로 꼽아 볼 수 있다(Table 1).
<Table 1> Historical change of the cloud pattern
3. Formation of the cloud pattern depicted in traditional embroidery
자수는 유교의 엄격한 규제 아래 있었던 조선시대 여인들의 덕목이자 예술적 심성을 표현하고 발산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그들은 남편과 자녀에 대한 간절한 염원이 담긴 각종 문양들을 병풍, 농(籠), 보자기, 수저집, 베겟모, 안경집, 방석 등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생활용품에 여러 꽃문양과 구름문양 등을 수놓았다(Jung, 2000).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자수로 표현된 구름문양을 살펴보면, 실에 의해 표현되는 자수기법의 특성상 구름문양의 형태는 또렷하게 표현되었으며, 특히 구름문양의 윤곽선은 바탕색과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굵게 표현함으로써 형태가 더욱더 강조되었다. 또한 곡선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구름문양은 부드러움과 친근감을 주었다.
〈Table 2〉와 같이 흉배에 나타난 구름문양을 살펴보면, 구름문양을 여러 개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리듬감이나 입체감 등을 표현하였으며, 구름문양의 곡선을 달팽이처럼 안쪽까지 연장하여 그려줌으로써 선의 중첩에 의한 입체감이 표현되었다. 조끼에 나타난 구름문양을 살펴보면, 디테일이 생략된 단순한 둥근 형태로 서로 어우러지게 표현함으로써 귀여운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활옷에 나타난 구름문양을 살펴보면, 구름문양이 도식화처럼 양식화되어 표현되었다. 이층농이나 안경집, 수저 집에 나타난 구름문양을 살펴보면, 소나무나 해에 걸쳐 있는 구름을 표현한 것으로 걸쳐 있는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가로로 길게 표현하였으며, 부드러운 느낌으로 양쪽 끝부분을 둥글게 하거나 날카로운 느낌으로 끝부분을 뾰족하게 표현하였다. 이렇게 다양하게 표현된 구름문양은 사실적이라기보다는 반추상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 현대적 이미지가 느껴지기도 하였다.
<Table 2> Embroidery article
전통 자수에 표현된 구름문양의 색상은 전통색상인 황(黃), 적(赤), 청(靑), 백(白), 흑(黑)의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였다. 특히 흉배에 나타난 구름문양 윤곽선의 색상은 바탕색보다 연한 색을 굵게 표현함으로써 나뭇결에서 느껴지는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이와 다르게 조끼와 활옷에 나타난 구름문양의 윤곽선은 굵은 실을 사용하여 윤곽선을 또렷하게 강조하였다. 이층농과 수저집의 구름문양의 윤곽선은 바탕보다 연한 색으로 윤곽선을 표현함으로써 바탕의 진한 색을 강조하거나 연한 색과 어울려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다. 안경집의 구름문양은 붉은색과 주황색, 노란색 계열의 색상을 함께 사용하여 변화를 주었으며, 흰색과 검정색을 함께 윤곽선으로 표현함으로써 구름문양의 형태가 더욱 강조되었다. 안경집의 구름무늬는 연한 붉은색, 진한 붉은색, 하늘색 등이 색동처럼 표현되었으며, 연한 색상으로 테두리를 표현함으로써 색상조화가 더욱 강조되었다. 이처럼 구름문양의 바탕색은 한 가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2~3가지 색상을 동시에 조화롭게 사용함으로써 유사배색, 보색배색 등의 독특한 현대적인 색채미를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자수에 표현된 구름문양은 해학적이면서도 독창적인 형태미, 다양한 색채 배색을 통하여 독특한 조형적 아름다움을 나타내었다.
Ⅲ. Design Procedure
전통자수에 나타난 구름문양을 활용한 디자인 발상방법은 Jun and Cho(2010)의 연구를 참조로 하여〈Fig. 3〉과 같이 문양의 선정, 문양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 등의 과정을 거쳤다.
<Fig. 3> Design procedure.
1. Selection of the cloud pattern
문양의 선정을 위하여 전통자수에 표현되어 있는 다양한 구름문양들을 살펴보았다. 여러 문양 중에서도 형태가 도식적이어서 다양한 배치방법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고 아름다운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느 부분을 사용하더라도 아름다운 곡선이 표현된다고 생각되는 구름문양 3종류를 선택하였다. 구름문양의 형태는 원형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으며, 디자인작업에 활용하기 좋도록 형태정리를 위한 과정은 일차적으로 트레이싱 페이퍼(tracing paper)를 사용하여 문양을 원형 그대로 핸드드로잉 작업을 한 후, 이차적으로 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양들을 정리하였다(Table 3).
<Table 3> Selection of the cloud pattern
2. Arrangement of the cloud pattern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원피스 디자인은〈Fig. 4〉와 같이 프린세스라인의 기본형이다. 구름문양의 형태도 전통적인 형태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으므로, 현대적 이미지를 표현을 위해 문양 배치는 원피스 디자인의 중요한 디자인 발상과정이다. 따라서 현대적 감각의 문양 배치방법에 관하여 선행연구들(Do, 1995; Lim, 2000; Choi, 2001)을 살펴본 결과, 문제에 관련된 항목들을 나열하고, 검토해 봄으로써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체크리스트기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사료되어 그 기법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Fig. 4> One-piece design(front and back).
체크리스트기법은 창조적 아이디어를 위한 모든 기법 중에서 가장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기법으로 오스본의 체크리스트기법은 A. F. Osborn이 개발한 것으로 말(words) 또는 시각적 이미지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그들 중 어떤 것이 새 아이디어를 자극시킬 수 있는가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을 위한 체크리스트 항목으로 다른 용도로의 전환, 채용, 수정, 확대, 축소, 대체, 재배열, 전도, 조합의 9가지를 제시하였다(Lim, 2000). 그 밖에 Do (1995)는 ‘Osborn의 Checklist기법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에서 의상디자인 발상을 위한 방법으로 오스본의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용도전환, 확대, 축소, 재배열, 전도, 결합의 6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Cho(2001)는 ‘패션디자인의 창조적 발상과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의상디자인 발상을 위한 방법으로 수정하기, 크게 하기, 작게 하기, 대치하기, 재배치하기, 뒤집기, 합치기의 7가지 체크리스트 항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참조로 하여 Osborn, Do and Choi의 체크리스트에서 확대, 재배치 항목을, 그리고 본 연구자가 반복, 중첩 항목을 추가로 제시하여 원피스의 문양 배치를 위한 체크리스트 항목으로 확대, 재배치, 반복, 중첩의 4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확대 항목은 문양의 크기를 크게 하여 배치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확대는 문양의 크기를 매우 크게 하여 문양의 일부분을 사용한 경우를 말한다. 재배치 항목은 문양의 위치를 기존의 위치에서 다양한 각도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것을 말하며, 반복 항목은 문양을 여러 번 반복하여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중첩 항목은 문양과 문양을 서로 겹쳐서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원피스 디자인에 확대, 재배치, 반복, 중첩 등의 체크리스트 항목을 적용하여 문양을 배치한 결과, 〈Table 4〉와 같이 디자인 Ⅰ, Ⅱ, Ⅲ, Ⅳ, Ⅴ, Ⅵ을 완성하였다. 문양의 배치과정에서 체크리스트 항목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항목을 동시에 적용하기도 하였다.
<Table 4> Arrangement of the cloud pattern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Ⅰ은 재배치, 반복항목을 적용하여 문양 1을 배치한 디자인이다. 문양 1을 30°, 330°, 100° 등으로 문양의 위치를 이동한 후, 불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원피스의 앞과 뒤에 배치하였다. 문양의 불규칙적인 반복은 틀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느낌의 경쾌한 현대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디자인 Ⅱ는 확대, 재배치 항목을 적용하여 문양 1을 배치한 디자인이다. 원피스의 앞부분은 문양 1을 확대한 후 135°로 위치를 변경하여 배치하였다. 원피스의 뒷부분은 앞부분에 배치한 문양의 선과 연결되도록 문양을 배치하였다. 문양을 확대하여 원피스에 전체적으로 배치하되, 문양 형태의 일부분만 사용함으로써 현대 추상회화와 같은 모던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특히 구름문양의 굵은 윤곽선은 곡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하였다.
디자인 Ⅲ은 확대, 재배치 항목을 적용하여 문양 2를 원피스에 배치한 디자인이다. 원피스의 앞부분은 문양 2를 확대한 후, 270°로 위치를 변경하여 스커트 부분에만 배치하였다. 원피스의 뒷부분은 앞부분의 문양을 강조하기 위하여 배치하지 않았다. 원피스의 스커트 부분에 문양을 배치하되, 문양의 일부분만을 사용함으로써 곡선의 아름다움이 표현된 현대적 이미지의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하였다.
디자인 Ⅳ는 중첩, 반복 항목을 적용하여 문양 3을 배치한 디자인이다. 원피스 앞부분은 문양 3을 2개 내지 3개씩 중첩시킨 후 반복하여 배치하였고, 문양의 크기도 변화를 주었다. 원피스의 뒷부분은 앞부분과 연결되도록 문양을 배치하였다. 중첩된 문양의 수와 문양 크기의 변화를 통해서 리듬감이 표현되었다.
디자인 Ⅴ는 확대, 반복 항목을 적용하여 문양 3을 배치한 디자인이다. 원피스의 앞부분은 문양 3을 확대한 후, 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하였으며, 원피스의 뒷부분은 앞부분의 문양과 연결되도록 배치하였다. 이러한 문양의 반복 배치는 리듬감을 주었으며, 문양 형태의 부분적 사용으로 인하여 곡선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이미지를 더하였다.
디자인 Ⅵ은 확대, 재배치, 중첩 항목을 적용하여 문양 3을 배치한 디자인이다. 원피스의 앞부분은 문양 3을 확대한 후 225°로 위치를 변경하여 주문양을 배치한 후, 다양한 각도로 위치를 변경한 문양 3을 중첩시켜 배치하였다. 원피스의 뒷부분은 앞부분의 문양과 곡선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문양의 일부분을 사용함으로써 현대 추상회화처럼 면분할에 변화를 주어 현대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이 원피스 디자인에 구름문양을 확대, 재배치, 반복, 중첩의 체크리스트 항목을 적용하여 배치한 결과, 현대적 이미지의 다양한 원피스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원피스 디자인 Ⅰ, Ⅳ와 같이 문양의 형태가 그대로 표현된 경우, 구름문양이 인지되어 전통미와 현대미가 동시에 나타났으나, 원피스 디자인 Ⅱ, Ⅲ, Ⅴ, Ⅵ과 같이 문양을 확대하여 문양 형태의 일부분만을 사용한 경우, 구름문양의 형태가 인지되지 않고 곡선이나 면 분할 등이 강조되어 현대 추상회화처럼 표현되므로 전통적 이미지는 감추어지고 현대적 이미지가 강조되었다. 이처럼 문양을 배치할 때 문양의 형태가 그대로 표현될 경우, 전통적 이미지가 나타나지만, 문양 형태의 일부분만 표현될 경우는 전통적 이미지는 감추어지고, 현대적 이미지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디자인 의도에 따라 문양의 배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 Color-scheme of the cloud pattern
구름문양을 배치한 원피스 디자인에 현대적 이미지를 첨가하기 위하여 현대 화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팝아트의 대표적 화가인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1923~1997)의 작품들은 우리나라 전통 색상인 오방색과 유사한 황(黃), 적(赤), 청(靑), 백(白), 흑(黑)의 원색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일상적 사물의 표현으로 모던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이미지가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현대적 이미지의 의상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선택하였다. 색상추출 방법은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집(Hendrickson, 1994)에서 작품을 선정한 후, 작품에 나타난 색상을 Panton textile color specifier(Panton Textile Color System, 1982)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러나 인쇄된 작품 속에서 색상을 추출하였기 때문에 원본과 완벽하게 동일한 색상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제한점이 있다. 색상명은 P.C.C.S. 표색계에 나타난 1pR, 2R, 3yR … 22P, 23rP, 24RP의 24색과 무채색 BK(검정), GY(회색), W(흰색)로 표기하였다(색상명으로 표기된 영문 두 문자 중 소문자는 색상수식어이다). P.C.C.S. 표색계는 1964년 일본 색채연구소가 개발한 새로운 표색계로 일본 색채연구 배색체계를 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했다. P.C.C.S.는 일반교육 및 미술교육의 색채교육용 표준체계로 조화배색 선택의 가이드로 만들어진 배색체계이다(Kim et al., 2004). 색에 대한 정확한 값 표시는 Panton Textile Color Specifier에 나타난 번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에 나타나 있는 점무늬, 사선무늬도 그대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색채 배색이 완료된 원피스 디자인은 광목을 사용하여 원피스를 실제로 제작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 작업을 통해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1) Design Ⅰand Design Ⅴ
디자인 Ⅰ과 디자인 Ⅴ의 색채 배색을 위하여 〈Table 5〉와 같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모자를 쓴 여인(Femme au Chpeau, 1962)’을 선택한 후, 색상을 추출하여 배색에 사용하였다.
<Table 5> Design Ⅰ & Design Ⅴ
디자인 Ⅰ은 원피스의 바탕색으로 6yO를 선택하여 배색하였다. 구름문양은 GY를 배색하였으며, 문양의 윤곽선은 4rO를 사용하여 형태를 또렷하게 강조함으로써 경쾌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디자인 Ⅴ는 GY를 선택하여 원피스 어깨부분에 배색하였다. 그리고 구름문양은 20V, 4rO와 GY의 점무늬를 배색하였다. 구름문양의 곡선을 표현하는 굵은 윤곽선은 4rO, 6yO를 배색하여 곡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하였으며, 반복되는 곡선을 통해서 경쾌하고 부드러운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2) Design Ⅱ
디자인 Ⅱ의 색채 배색을 위하여〈Table 6〉과 같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공을 든 소녀(Girl with Ball, 1961)’를 선택한 후, 색상을 추출하여 배색에 사용하였다. 디자인 Ⅱ는 원피스의 바탕색으로 6yO를 선택하여 배색하였다. 구름문양은 2R, 그리고 BK와 6yO의 점무늬를 배색하였으며, 구름무늬의 굵은 윤곽선은 BK를 배색하였다. 원피스의 바탕색인 6yO와 구름무늬 윤곽선의 BK의 강렬한 배색은 경쾌하고 발랄한 현대적 이미지를 더하였다.
<Table 6> Design Ⅱ
3) Design Ⅲ
디자인 Ⅲ의 색채 배색을 위하여〈Table 7〉과 같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파리 리뷰 포스터(Paris Review Poster, 1966)’를 선택한 후, 색상을 추출하여 배색에 사용하였다. 디자인 Ⅲ은 원피스의 바탕색으로 20V와 GY의 점무늬를 선택하여 배색하였다. 구름문양은 2R, 6yO, 20V를 배색하였으며, 구름문양의 윤곽선은 GY로 배색하였다. 이처럼 구름문양을 2R, 6yO, 20V의 삼원색을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경쾌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Table 7> Design Ⅲ
4) Design Ⅳ
디자인 Ⅳ의 색채 배색을 위하여〈Table 8〉과 같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레몬이 있는 정물(Still Life with Lemons, 1975)’을 선택한 후, 색상을 추출하여 배색에 사용하였다. 디자인 Ⅳ는 원피스의 바탕색으로 BK와 GY의 사선무늬를 선택하여 배색하였다. 구름문양은 8Y와 20V를 각각 배색하였으며, 구름문양의 윤곽선은 BK를 배색하여 구름의 형태를 또렷하게 하였다. 구름문양에 표현된 8Y와 20V의 배색은 발랄하면서도 순수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Table 8> Design Ⅳ
5) Design Ⅵ
디자인 Ⅵ의 색채 배색을 위하여〈Table 9〉와 같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난 알아… 브레드(I Know…Brad, 1963)’를 선택한 후, 색상을 추출하여 배색에 사용하였다. 디자인 Ⅵ에서 원피스의 바탕색은 상의부분에 18B와 GY의 점무늬 그리고 스커트 부분에 BK를 배색하였다. 중첩된 구름문양은 2R, 10YG, 18B 그리고 2R과 GY의 점무늬를 배색하였으며, 구름문양의 굵은 윤곽선은 6yO를 배색하여 악센트를 주었다. 중첩된 구름문양에 2R, 10YG, 18B의 채도가 높은 색을 배색함으로써 순수하면서도 선에 의한 면 분할이 돋보일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Table 9> Design Ⅵ
이상과 같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속에서 추출된 색상을 사용하여 원피스 디자인에 색채를 배색한 결과, 다양한 이미지의 현대적 원피스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었다. 원피스 디자인의 개발과정을 요약 정리하면〈Table 10〉과 같다.
<Table 10> One-piece dress design procedure
Ⅳ. Conclusion
21세기가 다문화사회로 대변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자국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로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의 다양한 전통문화 중 하나인 전통문양은 식물문양, 동물문양, 자연문양, 기하문양, 수복문양 등 종류가 다양하고, 상징하는 의미 또한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양의 자원의 중요성을 깨닫고, 여러 문양 중에서도 전통 자수에 표현된 구름문양을 모티브로 현대적 이미지의 의상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로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구름문양의 상징성, 역사적 변천, 조형성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실증적 연구로는 문헌 및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얻어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구름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이미지의 원피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경생활을 하는 우리 민족에게 구름은 외경심의 대상일 뿐 아니라 우리의 내면을 표현하는 대상으로서 자연숭배, 기복사상, 불로장생을 상징하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신분의 상징으로 흉배에 다른 문양과 어울려 사용되었다.
또한 구름문양의 형태는 지역, 사회, 종교, 문화 등 시대적 배경에 따라 표현의 차이가 나며, 사실적인 것에서 도식화된 것까지 다양하게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고구려의 구름무늬는 귀족적이고 정교함과 활기 찬 기운의 미가 있고, 백제의 구름무늬는 담백한 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일신라의 구름무늬는 단정하고 화려한 미가 있다. 그리고 고려의 구름무늬는 화려함과 다양함을, 조선에 이르러서는 풍류의 미를 대표적으로 꼽아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전통자수에 표현된 구름문양의 형태를 살펴보면 사실적이라기보다는 반추상적인 독특한 형태미를 나타내며, 다양한 색상 배색의 조화를 통하여 독창적인 조형적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전통자수에 표현된 구름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이미지의 원피스 디자인 발상은 선행연구를 참조로 하여 문양의 형태 선정, 문양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의 과정을 거쳤다.
문양의 형태 선정은 전통자수에 표현되어 있는 구름문양 3종류를 선택한 후, 그 형태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형태 정리를 위한 일차적 작업은 트레싱 페이퍼(tracing paper)를 사용하여 문양을 원형 그대로 핸드드로잉 작업을 한 후, 이차적 작업으로 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양 1, 문양 2, 문양 3으로 정리하였다.
현대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문양의 배치는 선행연구들을 참조로 하여 체크리스트기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체크리스트 항목으로 확대, 재배치, 반복, 중첩의 4가지 항목을 제시한 후, 각 항목들을 적용하여 문양을 배치하였다. 문양의 배치과정에서 체크리스트 항목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항목을 동시에 적용하기도 하였다.
문양의 색채 배색은 팝아트의 대표적 화가인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1923~1997)의 작품들을 선정하여 색상을 추출한 후, 원피스 디자인 배색에 사용하였다. 색상추출 방법은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집(Hendrickson, 1994)에서 작품을 선정한 후, 작품에 나타나 색상을 Panton textile color specifier(Panton Textile Color System, 1982)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색상명은 P.C.C.S. 표색계에 나타난 1pR, 2R, 3yR … 22P, 23rP, 24RP의 24색과 무채색 BK(검정), GY(회색), W(흰색)로 표기하였다.
색채 배색을 위하여 선택된 작품은 디자인 Ⅰ과 디자인 Ⅴ를 위해 ‘모자를 쓴 여인(Femme au Chpeau,1962)’, 디자인 Ⅱ를 위해 ‘파 리 리뷰 포스터(Paris Review Poster, 1966)’, 디자인 Ⅲ를 위해 ‘공을 든 소녀(Girl with Ball, 1961)’, 디자인 Ⅳ를 위해 ‘레몬이 있는 정물(Still Life with Lemons, 1975)’, 디자인 Ⅵ를 위해 ‘난 알아… 브레드(I Know… Brad, 1963)’로 정하였다.
색채 배색이 완료된 디자인은 광목을 사용하여 실제로 프린세스라인의 원피스를 제작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 작업을 통하여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셋째,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현대적 이미지의 원피스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양 배치의 경우, 구름문양의 형태를 드러나게 하면, 구름문양의 형태가 인지되어 전통미가 표현되지만 문양의 크기를 확대하여 일부분만을 사용할 경우, 구름문양이 인지되지 않고 마치 기하학적인 현대 추상회화처럼 표현되므로 현대적 이미지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양을 배치할 때, 디자인 의도에 따라 문양의 배치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전통문양을 배치한 원피스에 팝아트의 대표적 작가인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속에서 추출한 색상을 사용하여 배색한 결과, 다양한 현대적 이미지가 표현되었다. 이처럼 전통문양을 모티브로 다양한 방법의 문양 배치와 색채 배색을 적용하여 전통의 조형적 아름다움이 내재된 현대적 이미지의 원피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현대적 감각으로 재탄생된 원피스 디자인은 현대여성을 위한 의상으로 또는 한국을 알리는 패션상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전통문양인 구름문양을 활용하여 문양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 과정을 통해서 현대적 이미지의 원피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전통문양을 모티브로 한 현대적 의상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다양한 종류의 문양을 발굴하고, 현대적 활용을 모색하는 창의적인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에게 중요한 제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로는 의상 외에 일상생활 속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방과 같은 패션용품이나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 연구를 제안해 본다.
Reference
2.Ann, S. S.(2001). Asian art motifs from Korea. Seoul: Ann graphics.
3.Broadbent, G.(1982). Design in architecture(Lee, N. W, Trans.). Seoul: Kimoondang.
4.Cho, G. H.(1995). Dictionary of costume. Seoul: Kyungchunsa.
5.Choi, Y. M.(2001). Generating creative idea and developing model in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Do, K. H.(1995). A study on the method for creative idea in the costume design. J.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5(1), 215-236.
7.Han, Y. H.(1989). Tradition embroidery. Seoul: Daewonsa.
8.Hendrickson, J.(1994). Roy Lichtenstein. Kὃln Germany: Benedikt Taschen.
9.Heo, D. H.(1978). Korean embroidery. Seoul: Samsung publishing.
10.Jun, J. J., & Cho, J. S.(2010). Design expression of lotus pattern presented in Minhwa. J. of the Costume Culture, 18(4), 741-754.
11.Jung, Y. Y.(2000). The past and the present of Korean embroidery -The conjunction of embroidery thread and an embroiderer's heart-.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useum.
12.Kang, M. J., & Cho, J. S.(2011). Analysis of previous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Focused on textile & clothing related part-. J. of the Fashion Business, 15(5), 1-14.
13.Kim, Y. S., Park, S. H., Ryu, J. W., Park, M. K., Cho, K. M., & Hwang, S. S.(2004). Color & personal color. Seoul: YeLim.
14.Kim, Y. S.(1998). Costume culture dictionary of Korea. Seoul: Misul Munhwa.
15.Lee, S. J.(2006). A study about the patterns represented costumes in Joseo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6.Lim, D. J.(1979). A study on cloud pattern of Jos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7.Lim, E. S.(1985). A study on cloud pattern of pott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Seoul, Korea.
18.Lim, Y. J.(1996). Traditional pattern. Seoul: Mijinsa.
19.Lim, Y. W.(2000). Industrial design methodology. Seoul: Mijinsa.
20.Ma, Y. W.(1997). The study of ceramic formation through applying figure of cloud and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Seoul, Korea.
21.Panton Textile Color System.(1982). Panton textile color specifier. New Jersey U.S.A.: Panton Inc. ISENI-881509-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