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0 No.2 pp.222-237
DOI :

모듈러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주입형 다기능 재킷 디자인
- 쿠션, 보온, 휴대 기능을 중심으로 -

손 수 민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Air-containing Multi-functional Jacket Design Utilizing Modular Systems - Focused on Cushioning, Heat Insulation and Portability -

Sue-Min Son
Dept. of Fashion Industry, Silla University

Abstract

Air-containing fashion, which can offer diverse functions through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is highly relevantin today's mobile society, where people are experiencing a wider range of environments. This study attempts tosuggest the possibility of air-containing multi-functional fashion that could continuously be utilized by developinga design for an air-containing jacket using modular systems. In this research, the modular systems in architectureand furniture design were referenc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modularsystems in fashion. Functions relevant to the mobility of today’s society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dvancedresearch and applied to the design of modules of the jacket. The modules are integrated through the modularsystems. The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in architecture and furniture is applied as a folding system in fashion,the vertical accumulation structure as a layering system, and the horizontal integration structure as a combiningsystem, and in addition, the containing system has emerged in fashion. Each module is designed to fulfill certainfunctions, such as cushioning, heat insulation, and portability. The folding system is utilized in designing thecushion module to support the neck and back of a wearer by making its hood and hem fold in the back. Theapplication of a layering system was suggested by making the vest, combined with the neck cushion and backcushion via the combining system, layered with its insulation module. By applying the combining system, the hoodthat includes the neck cushion, the skirt that includes the back cushion, the body that includes the insulation module,and the sleeves can be connected and separated by a zipper. The applicability of this concept was proven byapplying a developed design to an actual item.

01(8)_논문 08(손수민).pdf25.45MB

Ⅰ. Introduction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현대인의 삶을 유동적이게 하였다. 현대인이 하루 동안 이동하는 거리는 멀고 이동은 빈번하여 일상에서 접하는 환경이 자주 변화한다. 환경의 변화는 특정시간이나 특정 지역에 제한 받지 않고 착용자의 의도와 착장목적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적이며 다기능적 패션을 요구하였다.

 Na, Kim, and Lee(2011)의 연구에 의하면 다기능 패션은 착용방법, 패스닝(fastening), 폴딩(folding)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공기를 주입하여 기능을 부여하는 형태도 출현하였다. 공기주입형 패션은 흔히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여 의복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기에 현대의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공기주입형 패션은 다기능 패션을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Na & Park, 2006; Lee & Park, 2009; Kim & Lee, 2008)에서 기존 제품의 형태와 기능에 대하여 종종 언급되어지기는 하나, 실질적인 공기주입형 기능복에 관한 연구는 Choi and Do(2005)의 에어백 장착 모토사이클복 개발과 Kim(2009)의 ‘공기주입형 무봉제 웰딩 스마트웨어 개발’ 연구로 그 원형을 제작하는 것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주입형 패션의 이동성과 관련한 기능을 재킷 디자인에 활용하여 공기주입형 다기능 패션의 지속적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기능 패션은 착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기 쉽고, 여러 가지 형태로 재구성이 가능하고 해체가 용이한 모듈(module)적 특성을 지닌 것이 많아(Na et al., 2011), 모듈러 시스템(modular system)에 대한 정립은 다기능 패션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며, 체계적 디자인 전개의 기초가 되고, 실용주의적인 기능주의 패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지침이 될 것으로 사려된다. 이에 패션과 같이 인체 비율을 근거로 디자인되는 가구, 건축에서의 모듈러 시스템을 고찰하여 패션에서의 모듈러 시스템에 도입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과 가구 디자인에서의 모듈러 시스템을 고찰한다.

 둘째, 건축과 가구의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여 패션에서의 모듈러 시스템을 정립한다.

 셋째, 정립된 모듈러 시스템에 따라 이동성과 관련한 기능을 지닌 공기주입형 재킷의 모듈을 디자인한다.

 넷째,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여 재킷의 디자인을 전개하고 제작하여 공기주입형 다기능 패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모듈러 시스템 정립을 위하여 선행 연구들(Cho, 1989; Lee, 2008; Jeong, 2005)과 Brooke(2006)의 문헌, 인터넷 자료를 고찰하여 가구, 건축에서의 기능적 디자인의 특징과 모듈러 시스템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모듈러 시스템을 Bolton(2002)의 서적과 인터넷 자료를 통하여 드러난 패션의 모듈러 시스템에 적용하여 정립하였다. 다기능 공기주입형 재킷 디자인에 적용할 기능은 선행연구(Son, 2011)를 참고하였다. Son(2011)의 연구에서 도출된 이동성과 관련한 기능들 즉, 머리와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의 기능, 온열 환경변화에 대한 보온의 기능, 휴대 기능을 중심으로 모듈을 먼저 디자인하고,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여 재킷 전체를 디자인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Ⅱ. Mobility and Functions of the Air-containing Fashion

1. Mobility of the moderns

 현대인의 이동은 기반시설을 따라 이루어지기에 공항, 역과 같이 잠시 머무는 통과의 공간에서의 시간이 늘어난다. 현대인은 통과의 공간과 낯선 군중 속에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자신을 안락하게 하는 자신만의 공간이 없는 것을 느껴 의복으로 대응을 하고자 한다. Kim and Lee(2008)는 패션을 통한 공간 창출은 전이적 공간에서 신체적,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먼 곳으로의 이동이 빈번하여 기후의 변화를 겪게 되거나, 낯선 이와 만나고 예기치 않은 사건들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들에 대하여 기후 변화나 물리적 위해에 대한 보호라는 패션의 본연의 기능을 확장하여 대응한다. 그러나 현대인은 과거와는 달리 필요한 모든 것을 짊어지고 다니지 않는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것만을 들고 그것들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어떤 것들은 제외시키며 움직이기에 지닌 물건이나 장소에 따라 자신과 자신이 지닌 것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감각을 발달시켜 왔다(Abbas, 2006). 따라서 현대인이 지니는 용품의 기능에서는 환경에 대한 연결이나 분리의 효용성이 중요하다.

2. Functions of the air-containing fashion

 공기주입형 패션은 공기가 갖는 탄성을 이용하여 쿠션과 같은 안락감을 부여하거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다. 씨피 컴퍼니(C.P. company)의 ‘파카(Parka)’는 외투의 형태나 PU(Polyurethane)로 만들어져 있고, 어깨와 칼라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등받이가 되고 소매는 팔걸이가 되고 등 부분은 방석으로 변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안락감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한다(Fig. 1). 샘쏘나이트(Samsonite)사의 1999~2000F/W 컬렉션 중 ‘여행객 베개 재킷(Traveller Pillow Jacket)’은 탈부착이 가능한 칼라 부분에 공기를 넣어 목 쿠션이 되도록 하였다(Fig. 2). 단열성이 높은 공기를 의복 사이에 다량으로 함유하여 보온력을 높일 수 있다. 공기주입형 패션은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착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보온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고어텍스(Goretex)는 의복에 공기를 넣어 필요에 따라 보온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재킷 ‘에어벤티지(Airvantage)’를 선보였다(Fig. 3). 공기주입형 패션은 어디서든 구할 수 있는 공기를 주입하여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환경이 바뀌어 기능이 불필요할 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주입 시에는 부피가 커지지만, 공기가 배출된 컨테이너는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에 용이하다. 휴대 기능은 공기주입형 패션이 지닌 본질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Fig. 1> C.P. Company's ‘Parka’. From. Bolton. (2002). p. 19.

<Fig. 2> ‘Traveller Pillow Jacket’. From. Bolton. (2002). p. 35.

<Fig. 3> GoretexⓇ의 ‘Airvantage’. From. http://www.google.co.kr/imglanding

 앞에서 서술하였듯이 공기주입형 패션은 안락감을 제공하는 쿠션 기능, 환경 변화에 대하여 보온기능, 부피의 축소와 경량성으로 인한 휴대 기능을 가져 현대인의 이동성과 관련한 기능을 수행한다.

Ⅲ. Modular Systems of the sMulti-functional Fashion

1. Modular fashion

 현대 사회에서는 통과의 공간에서 거주하는 시간이 늘어가고, 접하는 환경의 변화가 크기에 다기능 패션이 출현하였다. 환경에 따라 필요한 기능의 종류가 달라지기에 기능을 선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스커트, 팬츠 혹은 재킷 혹은 그보다 작은 각각의 유닛이 개인의 필요나 욕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모듈러 시스템이 그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모듈은 건축 재료, 가구 제작 등의 기준 치수, 단위를 일컫는 용어이며,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개발한 비례 시스템으로 건축적 형태에 있어 비슷한 모양의 반복을 조절하는 단위이다(Kim, 2006). 그 단위인 모듈이 조립, 축적되어지며 전체를 이루어 가는 것이 모듈러 시스템이고, 이것은 건축뿐 아니라 가구, 패션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만다리나 덕(Mandarina Duck)의 ‘어패럴(Apparel)' 라인(Fig. 4)은 착용자의 상황에 맞게 각 부분을 조립할 수 있는 모듈러 시스템을 하고 있다. 외의, 중의, 내의의 개념을 지닌 ‘엑조웨어(exowear)’, ‘메조웨어(mesowear)’, ‘엔도웨어(endowear)’로 그룹지어지고 각 그룹은 시즌에 따라 더 작은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각기 다른 수준의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소재를 선택하여 착용자의 의도대로 조합을 이루어 표준화된 스타일을 만들 수 있다. 아이템은 서로 간 조합이 될 수 있는 모듈이고, 각 모듈의 조합으로 날마다 변화하는 새로운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스타일을 착용자 스스로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렇듯 해체와 조립, 재구성이 용이한 모듈러 패션은 다기능 패션의 새로운 구성적 대안이 되고 있다.

<Fig. 4> Mandarina Duck's ‘Apparel’. From. Bolton. (2002)

2. Modular systems in architecture and furniture design

 패션은 한시대의 건축뿐 아니라, 회화, 건축, 실내장식, 가구 등 타 예술분야의 시각적 조형 양식 내지는 표현의 미적 일치점을 보여준다(Kim, 1989). 가구, 건축은 패션과 그 시대의 예술 양식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형태적 특성뿐 아니라 인체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이라는 측면에서도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가구와 건축에서 기능적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할 때 인체 비례를 기준으로 하는 모듈러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패션에서도 역시 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건축과 가구의 디자인은 모듈러 시스템에 따라 그 기능과 조형성을 달리 하는데, 시스템을 접음과 펼침, 수직적 축적구조, 수평적 조립 구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1)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건축에서는 모듈의 접음과 펼침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시켜 효율성을 높인다. 공항, 항만의 물류 집합소나 여행 트레일러의 카라반처럼 필요에 의해 공간의 확장이 요구되는 곳에 활용된다. 카프만(Kaufmann)의 ‘트랜스포머블 빌딩(Transformable Building)’은 한 공간 안의 이중적인 벽체가 다른 쪽으로 나오면서 공간을 연장한다(Fig. 5). 이것은 넓은 실내 공간이 요구될 때 확장할 수 있으며, 이동이 요구되거나 넓은 실외 공간이 요구될 때 축소시킬 수 있는 가변적 구조를 보여준다. 가구에서도 접음과 펼침은 이동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다양한 공간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접는 의자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모듈의 집합체를 부피가 작고 단순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에 휴대성과 보관 시 공간 활용성을 높인다. 책장이 접힌 구조로 제작되었을 경우 펼치는 각도를 조절하여 공간의 형태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Fig. 6).

<Fig. 5> Kaufmann's ‘Transformable Building’. From. www.archeworks. org/.../precedents1.html

<Fig. 6> Extension étagère modulable anis. From. www.eveiletjeux.com/produit

2) Vertical accumulation structure

 건축에서 모듈의 축적은 단위공간의 수직 조합으로 형성되는데, 고정적인 수직 조합은 아파트의 구조와 같이 동일한 단위공간이 쌓여가는 형태로 건축물이 밀집된 도시에서 공간을 창출하는 대표적 구성방식이다. 수직적으로 축적되는 모듈은 각 층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단위 공간이 가변적 구조를 갖도록 모듈화된 경우, 크레인과 같은 힘을 빌려 나열된 공간들을 위로 쌓아 차지하는 대지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대지의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Fig. 7). 가구에서도 모듈을 축적하여 가구가 차지하는 공간은 줄여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수납과 같은 가구의 본연의 기능은 창출할 수 있으며, 축적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한 디자인 전개가 가능하다(Fig. 8). 또한 다시 나열하여 재배치하면서 디자인과 기능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Fig. 7> Spacebox Student Housing Utrecht University. From. http://mocoloco.com/archives/000821.php

<Fig. 8> Bibliotheque.From. www.uaredesign.comurban-bibliothequemodulaire

3) Horizontal integration structure

 가구, 건축은 모듈의 반복을 통하여 수평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각 모듈은 서로 유기적으로 조립되어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만들어낸다. 단순한 병렬에 의해서는 공간의 확장을 보일 수 있지만, 모듈이 가변적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조립 방식을 갖고 있으면 공간은 중첩이 되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중첩된 공간은 새로운 형태를 만든다.

 건축의 모듈이 수평적으로 조립 구조를 가지며, 중첩, 삽입, 병렬될 수 있어 공간의 성격을 바꾸는 예는 2005 DBEW 국제 디자인 공모전에서 그랑프리로 선정된 타자카니 바벅(Tghikhani Babak)의 ‘바빌론의 행잉 가든(Hanging Garden of Babylon)’(Fig. 9)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자녀의 방이 가변성이 있는 세 개의 이동형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 공간 외부에서 독특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내부도 용도에 따라 색색의 블록을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자녀 방의 용도에 따라 집전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2005 DBEW", 2005). 죠셉 키넌(Joseph Keenan)의 모듈러 가구 ‘버티브럴(Vertibral)’은 중심에 경첩으로 연결된 매우 단순한 12개의 사각의 틀들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있다. 이 모듈은 이름처럼 경첩에 의해 척주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어 틀이 벌어지는 간격을 조절하여 다른 모듈과 조립될 수도 혹은 병렬될 수도 있다. 끼우거나 각도를 벌이거나 하는 동작으로 다양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여 의자 혹은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책장으로의 변형도 가능하다(Fig. 10).

<Fig. 9> Hanging Garden of Babylon. From. http://blog.naver.com/draegon3

<Fig. 10> Vertibral. From. www.instablogsimages.com

3. Modular systems in fashion design

 가구와 건축에서는 모듈러 시스템을 통하여 공간에서의 이동성을 부여하고 가변성을 확보한다. 확보된 가변적 구조는 다양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며 부피를 줄여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모듈러 시스템은 패션에서도 가변적 구조를 갖게 하며, 그를 통하여 다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여러 벌의 기능을 한 벌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휴대의 편이성을 제공한다. 건축, 가구에서 보인 접음과 펼침의 구조, 수직적 축적 구조, 수평적 조립 구조를 다기능 패션의 모듈러 시스템에 응용하여 폴딩 시스템(folding system), 레이어링 시스템(layering system), 컴바이닝 시스템(combining system)으로 나누어 보고, 패션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시스템으로 패션이 모듈을 간직하는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컨테이닝 시스템(containing system)으로 정리하였다.

1) Folding system

 패션에서 폴딩은 주로 주름으로 표현되지만 모듈러 시스템으로도 폴딩이 표현될 수 있다. 패스너(fastener)를 이용하여 의상의 일부분을 접거나 펼쳐 기능과 형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핀(Griffin)이 1997년 발표한 바지는 옆 솔기 지퍼를 열면 바지가 완전히 평면으로 변하게 한다(Fig. 11). 죤 리베(John Ribbe)의 2007년 컬렉션에서 보인 드레스는 가슴에 채워진 벨트를 풀러 접혔던 스커트의 길이를 펼치면 외형의 변화뿐만 아니라, 데이 웨어에서 이브닝 웨어로 패션의 사회적 기능이 바뀔 수 있다(Fig. 12).

<Fig. 11> Griffin`s Zipski Trousers. From. Bolton. (2002). p.29

<Fig. 12> John Ribbe's 2007 S/S collection. From. http://www.parisfashionshows.net/fall2007/johnribbe

2) Layering system

 패션 모듈의 수직적 축적 구조는 의상의 레이어링에 의한 공간의 축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것은 겹쳐진 의복 내 정지 공기층을 확보하여 보온의 기능을 확대하는 물리적 기능, 여러 겹의 의상이 만드는 겹침 효과에 의한 심미적 기능을 한다. 빅터 앤 롤프(Victor & Rolf)가 2010F/W에 발표한 ‘쇼(Show)’ 컬렉션(Fig. 13)은 한 명의 모델이 여러 겹의 코트를 겹쳐 입고 등장하여 무대 가운데에 정지하고 있고, 디자이너는 코트를 하나씩 벗겨 다른 모델에게 입히고는 패스너를 재구성하여, 코트가 다른 형태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레이어드 된 아이템 간의 결합과 분리를 착용자가 선택할 수 있기에 심미적 취향이나 환경 변화에 따라 아이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Fig. 13> Victor & Rolf's ‘Show’ collection. From. http://www.viktor-rolf.com/_en/_ww/index.htm

3) Combining system

 패션에서 모듈을 조립하는 구조는 소매, 후드와 같은 구조적 디테일이 지퍼, 스냅과 같은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거나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는 시스템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의상의 일부분과는 구별되는 기하학적 조각을 패스너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하여 조형하는 시스템도 볼 수 있다. 패트릭 콕스(Patrick Cox)는 2000S/S 시즌에 ‘피시스(Pieces)’ 컬렉션에서 후드 달린 재킷이 후드, 칼라, 소매가 떨어져 기본적인 베스트로 변화하며, 바지는 무릎 아래가 떨어지고 이것이 파우치(pouch)에 보관될 수 있는 디자인을 선보였다(Fig. 14). 착용자가 느끼는 기후 환경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거나, 후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14> Patrick Cox's 'Pieces'. From. Bolton. (2002). p. 28, 29.

4) Containing system

 이동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는 필수품을 지니고 이동할 수 있는 패션의 휴대기능이 요구된다. 패션은 휴대품 혹은 다른 패션 아이템을 넣을 수 있는 컨테이너 역할을 하게 된다. 컨테이닝 시스템은 이와 같이 모듈을 포켓과 같은 의상의 디테일에 삽입하는 형태이다. 스마트 웨어의 초기 원형은 디지털 모듈을 지닐 수 있는 포켓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필립스-리바이스(Philips-Levi`s)가 2001S/S에 발표한 ‘스토리지 재킷(Storage Jacket)’은 디지털 기기를 담을 수 있는 포켓이 바깥으로 드러나 있어, 디지털 기기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그 자체가 접어져 숄더백의 형태가 된다(Fig. 15). 이 재킷은 말 그대로 컨테이닝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Fig. 15> Philips-Levi`sⓇ Storage Jacket. From. Bolton. (2002). p. 53.

Ⅳ. Development of the Air-containing Jacket Design using Modular Systems

 현대인의 이동성을 고려한 공기주입 재킷의 실질적 기능인 안락감을 높이기 위한 쿠션 기능, 기후 변화에 대한 보온 기능, 휴대 기능(Son, 2011)을 재킷의 모듈로 디자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여 모듈 자체가 가변적 구조를 갖게 하거나 모듈 간 결합에 변화를 주어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1. Module design based on functions

1) Cushioning module design

 쿠션 모듈을 지지하는 부위에 따라 목 쿠션, 허리쿠션으로, 또 기능에 충실한 정도에 따라 고정형, 가변형으로 나눠 디자인하였다(Table 1). 모듈이 목과 허리를 안락하게 받치는 기능에 충실하도록 인체 형태를 고려한 고정적 형태의 목 쿠션과 허리 쿠션을 디자인하였다. 또한 모듈이 기능을 발휘하지 않을 때는 패션 아이템으로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폴딩 시스템과 컴바이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변적 형태로 쿠션을 디자인하였다.

<Table 1> Cushioning module design

 고정형 목 쿠션은 최대한 목을 편히 감싸며 수면 중에도 고개가 떨어지지 않게 하였으며, 앞의 스트링으로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형 허리 쿠션은 인체의 형상과 앉은 자세를 고려하여 디자인하였다. 대부분의 좌석의 등받이에 요추 부분이 볼록하게 나와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에 요추 부분에는 필요 이상의 많은 공기가 주입되지 않도록 요철 형태로 디자인하였고, 등받이를 뒤로 많이 젖힐 경우 좌석과 엉덩이 부분에 생기는 많은 공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엉덩이 아래로 공기가 많이 주입될 수 있도록 쿠션을 디자인하였다.

 후드 형태인 가변형 목 쿠션은 쿠션 역할을 할 때는 공기를 주입하여 정수리 양쪽의 지퍼를 열고 접어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평소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보온성을 높이는 후드로 사용된다. 긴 외의의 도련 부분을 변형한 허리 쿠션은 공기를 주입한 후 옆선의 스냅을 풀러 뒤판 부분을 접어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폴딩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패션 아이템의 일부였다가 분리될 수 있는 컴바이닝 시스템을 이용한 긴 직사각형의 허리 쿠션은 지퍼의 결합으로 쿠션의 형태가 되는 디자인이다. 쿠션으로 변화하는 부분은 접어 지퍼로 고정하기에 폴딩 시스템 또한 적용된 것이다.

2) Thermal insulation module design

 공기를 주입한 것과 하지 않은 것에 의해서도 공기주입형 재킷은 보온력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소매와 같이 재킷의 일부분이 분리되거나 공기주입부가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면 공기를 구간별로 주입하는 것에 따라 보온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온 모듈의 디자인 전개를 공기주입부의 유형에 따라 나누어 하였다. 재킷 한 벌의 공기 주입부를 분리하지 않은 일체형과 한 벌에 공기 주입부를 몸판, 소매 구역으로 나누어 공기를 나누어 주입하는 구간 구분형, 또 소매, 혹은 재킷의 일부가 패스너에 의해 분리되어 더 큰 보온력의 차이를 만드는 탈착형으로 디자인하였다(Table 2).

<Table 2> Thermal insulation module design

 일체형 보온 모듈은 일반 재킷의 형태를 하고 있고, 뒤판의 중심에서 솔기가 봉합된 형태로 앞 쪽 좌, 우의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두 번의 공기주입으로 전체에 공기를 다 넣을 수 있다. 소매와 몸판이 하나로 이어진 기모노 소매 형태이다. 구간 구분형 모듈은 몸판과 소매의 공기주입부가 분리되어 있어 몸판의 보온력을 높이고자 할 때는 앞판, 뒤판에 있는 공기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소매까지 보온력을 높이고자 하면 소매 양쪽에 있는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탈착형 모듈은 몸판, 어깨, 소매, 후드, 스커트 부분에 각각 공기를 따로 주입할 수 있으며, 소매, 후드, 스커트 부분은 패스너를 이용하여 탈착할 수 있다. 공기주입 전에도 소매 등을 분리하려 보온력을 조절할 수 있지만, 공기 주입을 부분에만 하여 보온력을 조절하기도 하고, 혹은 주입된 부분을 완전히 떼어 내어 보온력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이다.

3) Portability module design

 공기주입형 재킷은 공기의 주입 여부에 따라 부피의 차이가 난다. 보온 기능을 하기 위하여 패딩재킷과 같이 부피가 크던 재킷의 공기를 배출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줄어든 부피는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부피를 줄이는 것 외에 재킷을 특정 공간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면 이동 중에 재킷을 가방 속에 넣거나 뺄 때 효율적이어서 휴대기능은 더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덮개 혹은 쿠션이 파우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Table 3). 덮개 겸용 파우치는 폴딩 시스템을 이용한 파우치로 펼쳤을 때 사각의 형태가 되어 덮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안쪽 스냅을 닫고 가장자리의 지퍼를 닫으면 파우치가 되는 형태이다. 쿠션 겸용 파우치는 펼쳤을 때 긴 사각의 형태로, 접어서 쿠션으로 사용하거나 세 곳의 지퍼를 닫고 스트링을 잡아당겨 파우치로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Table 3> Portability module design

2. Development of the jacket design applying modular systems

1) Folding system

 모듈을 패스너에 의하여 접고 펼쳐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모듈 간의 결합을 웰딩으로 고정적이게 할 수도 있고, 컴바이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완전히 탈착이 되게 할 수도 있으며, 레이어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이템간의 겹쳐 입는 형태로도 디자인할 수도 있다.〈Fig. 16〉은 구간 구분형 보온 모듈과 폴딩 시스템의 목 쿠션, 허리 쿠션 모듈간의 결합을 봉제와 웰딩을 통하여 고정적이게 한 디자인 예이다. 구간별로 공기를 주입하여 보온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후드와 뒷면의 도련을 접어 쿠션으로 활용한다. 재킷의 보온력을 높이지 않고 쿠션의 기능만을 사용할 때를 위하여 허리 쿠션의 공기주입부를 따로 하였다.

<Fig. 16> Folding system design.

2) Layering system

 레이어링 시스템은 모듈 자체가 단일 아이템이 되며, 그 아이템을 겹쳐 입는 시스템이다. 쿠션 모듈이 베스트 혹은 재킷에 삽입되어 있거나 컴바이닝 시스템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보온 재킷을 겹쳐 입는 형태로 디자인 될 수 있다.〈Fig. 17〉은 인체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디자인한 고정형 목 쿠션과 허리 쿠션을 베스트에 컴바이닝 시스템으로 연결하고, 그 위에 보온 재킷을 입는 시스템이다. 휴대 기능을 위하여 파우치가 베스트 주머니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 파우치는 펼쳐서 무릎 덮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Fig. 17> Layering system design.

3) Combining system

 패스너를 이용하여 모듈을 연결하기에 모듈 자체의 유형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나, 패스너의 무게와 부피가 추가된다는 점과 연결과 분리 시에 패스너를 조작해야 하는 점이 단점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각 모듈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 필요한 모듈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 18〉은 보온 모듈, 목 쿠션, 허리 쿠션이 모두 패스너로 연결되거나 완전히 분리된다. 목 쿠션, 허리 쿠션의 디자인은 폴딩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나 각 모듈의 연결은 컴바이닝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Fig. 18> Combining system design.

4) Making up

 공기주입형 재킷은 자체가 공기를 가둘 수 있는 컨테이너이어야 하기에 재킷 소재의 공기 투과도는 ‘0’이어야 한다. 원단에 PU 등의 수지를 코팅하거나 필름을 라미네이팅 한 소재들 혹은 필름 자체가 공기주입형 재킷 제작에 이용될 수 있다. 고정형 목 쿠션과 허리 쿠션은 디자인상 다른 패션 아이템으로 변형되지 않기에 PU 필름을 사용하였다. 목 쿠션은 목이 직접 닿는 감촉을 고려하여 60D의 폴리에스테르로 양면으로 짠 환편 니트로 덮개를 만들었다. 허리 쿠션에는 피부와 직접 닿는 경우가 적기에 필름만을 사용하였다. 고정형 목 쿠션과 허리 쿠션을 연결하는 쿠션 베스트는 허리 쿠션을 연결했을 때 허리 부분에 여유분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뒤판은 목 쿠션의 덮개와 같은 환편 니트로 제작하였다. 앞판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경량의 나일론 60D로 된 트윌 조직 원단으로 제작하였다. 그 외 폴딩 시스템의 재킷, 컴바이닝 시스템의 재킷 그리고 레이어링 시스템의 보온 모듈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이용한 단면 조직의 환편 니트에 PU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원단을 이용하였다.

 공기주입형 패션은 봉합의 과정도 일반 봉제를 사용하면 바늘구멍 사이로 공기가 새기에 봉제와 더불어 소재를 용융시켜 다시 붙이는 웰딩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재킷은 웰딩 방식 중 열과 압력을 접합부분에 직접 가하는 가열 웰딩을 사용하여 봉합하였다. 접착이 용이하도록 PU 접착 필름을 접합부분에 끼워 웰딩하였다.

 완성된 재킷 실물을〈Table 4〉에 시스템별로 제시하였고, 각 재킷이 공기주입 후에 지니는 기능을 모듈별로 분류하여 나타냈다.

<Table 4> The finished jackets designed in the modular systems

<Table 4> Continued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이동성과 관련한 패션의 쿠션 기능, 보온 기능, 휴대 기능을 재킷에 공기를 주입하여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모듈러 시스템을 활용하여 재킷의 디자인을 전개하고, 이를 통하여 공기주입형 다기능 패션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기능을 환경에 따라 선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듈러 시스템을 재킷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패션 디자인처럼 인체 비례 시스템이 활용되는 건축과 가구의 모듈러 시스템을 기초로 패션의 모듈러 시스템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건축과 가구에서는 접음과 펼침의 구조로 이동성을 부여하고, 공간에의 적용성을 높이며, 수직적 축적 구조로 가구와 건축이 차지하는 대지에서의 공간은 줄이며, 수납과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평적 조립 구조는 건축 공간의 활용도를 다양하게 하였고, 가구에서는 가변성을 부여하여 기능뿐 아니라 디자인에서도 다양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 가구의 접음과 펼침의 구조, 수직적 축적 구조, 수평적 조립 구조를 참고로 패션의 모듈러 시스템을 정리한 결과, 패션에서는 접음과 펼침의 구조가 폴딩 시스템으로 나타나며, 수직적 축적 구조는 모듈 간의 레이어링 시스템으로 나타나고, 경첩과 같은 매개체를 이용한 수평적 조립 구조는 패션에서 패스너를 이용한 컴바이닝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패션에서 다르게 나타난 부분은 컨테이닝 시스템으로 포켓과 같은 디테일을 이용하여 모듈을 휴대하는 형식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립된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여 재킷의 기능별 모듈을 디자인하고 모듈을 결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모듈은 목, 허리 쿠션 모듈, 보온 모듈, 휴대 모듈로 나누어 디자인하였다. 목, 허리 쿠션은 지지의 기능에 중점을 둔 디자인은 인체 형상을 바탕으로 고정적인 형태로 디자인하였으며, 패션 아이템에 자연스럽게 조화되기 위한 디자인은 폴딩시스템과 컴바이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가변적 구조로 디자인하였다. 보온 모듈은 공기주입부를 최대한 적게 나누어 공기주입구를 적게 만드는 일체형 보온 모듈, 공기주입부가 몸판과 소매로 나뉜구간 구분형 보온 모듈, 몸판, 소매, 후드, 스커트 부분을 지퍼로 연결하여 탈착할 수 있는 탈착형 보온 모듈로 디자인하였다. 휴대 기능을 위한 모듈은 덮개 겸용 파우치, 쿠션 겸용 파우치로 디자인하였다. 덮개 겸용 파우치는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넓은 사각형태의 천을 접어 파우치가 되도록 디자인 하였으며, 쿠션 겸용 파우치는 파우치에 공기가 주입되어 허리 쿠션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디자인된 모듈을 각 시스템을 활용하여 조합하여 재킷 전체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폴딩 시스템을 활용한 후드가 달린 긴 외의 형태의 디자인은 후드를 접어 목 쿠션이 되고, 뒤판의 도련 부분을 접어 허리쿠션이 되는 가변형 쿠션 모듈과 구간 구분형 보온 모듈을 조합하였다. 레이어링 시스템을 활용한 디자인은 목, 허리 쿠션이 삽입된 베스트위에 일체형 보온 모듈을 레이어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컴바이닝 시스템을 활용한 디자인은 탈착형 보온 모듈의 후드에 가변형 목 쿠션 디자인을 적용하고, 스커트 부분에 가변형 허리 쿠션, 파우치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컨테이닝 시스템은 휴대 기능을 위한 파우치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디자인의 효용성을 알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필름과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소재를 사용하고, 웰딩 방식을 이용하여 봉합하여 재킷을 제작하였다.

 재킷의 디자인을 전개하고 실물을 제작한 결과, 공기주입을 통하여 재킷에 쿠션의 기능, 보온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었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었다. 모듈러 시스템을 활용하여 재킷은 가변적 구조를 지니게 되어 기능을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고, 또한 다양한 디자인 전개가 가능하였다. 모듈러 시스템의 활용은 재킷 외의 다른 아이템의 디자인 전개에서도 가능할 것으로 사려되어 공기주입형 다기능 패션의 지속적인 디자인 개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Reference

1.Abbas, Y.(2006). Neo-nomads: Designing environments for living in the age of mental, physical and digital mob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Boston, U.S.A.
2.Bolton, A.(2002). The supermodern wardrobe. London: V&A Publications.
3.Brooke, H.(2006). Skin+bones: Parallel practices in fashion and architecture. New York: Thames & Hudson.
4.Cho, M. S.(1989). A study on modular system furniture design for the efficiency of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Choi, H. S. & Do, W. H.(2005). Development and wearing comfort analysis of motorcycle wear with built-in airba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6), 27-35.
6.Jeong, H. S.(2005). A study on unit variation of hou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7.Kim, K. W.(2009). Development of the air packing welded smartwea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Kim, M. J.(1989). Dress as ar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7(2), 1-19
9.Kim, W. J., & Lee, K. H.(2008). A study on the protection functionality of super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264-1273.
10.Kim, W. J., & Lee, K. H.(2008). A study on space embodiment of supermodern fashion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6), 1064-1075.
11.Kim, Y. K.(2006). A study on the modular systems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2(1), 24-33.
12.Kim, Y. L., & Moon, D. S.(2007). A study on the mobility of space according to changing life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8(1), 97-104.
13.Lee, H. J.(2008). A study on module furnitur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19(1), 55-65.
14.Lee, H. Y., & Park, H. W.(2009). A study on the multifunctional fashion desig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2) 123-135.
15.Na, E. M., Kim, S. B., & Lee, K. H.(2011).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ultifunctional eco-friendly fashion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1), 119-127.
16.Na, Y. W., & Park, M. H.(2006). Transformation expressed in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 167-175.
17.Son, S. M.(2011). Development of air-containing modular wear for the neo-noma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2005 DBEW International design contest.(2005, 12, 12.). Annews. Retrieved September 25, 2011, from http://annews.kr/100020310849
19.Bibliotheque. Retrieved September 13, 2011, from http://www.uaredesign.comurban-bibliotheque-m odulaire
20.Extension étagère modulable anis. Retrieved December 15, 2011, from www.eveiletjeux.com/produit- 158681/extension-etagere-modulable-anis.htm
21.Goretex`s ‘Airvantage’. Retrieved September 25, 2010, from http://www.google.co.kr/imglanding
22.Hanging Garden of Babylon. Retrieved September 20, 2011, from http://blog.naver.com/draegon3
23.John Ribbe's 2007 S/S collection. Retrieved September 25, 2011, from http://www.parisfashion shows.net/fall2007/johnribbe
24.Kaufmann's 'Transformable building'. Retrieved September 13, 2011, from www.archeworks.org/.../ precedents1.html
25.Spacebox Student housing Utrecht University. Retrieved September 13, 2011, from http://mocoloco. com/archives/000821
26.Vertibral. Retrieved September 20, 2011, from www. instablogsimages.com
27.Victor & Rolf's ‘Show’ collection. Retrieved September 25, 2011, from http://www.viktor-rolf. com/_en/_ww/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