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383-6334(Online)
뮤지컬 의상 제작의 실제와 의상 디자이너의 역할
- 국내 중소형 창작 뮤지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The Practice of Musical Stage Costume Production and the Role of the Stage Costume Designer - Focused on Case Studie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Original Musical Productions -
Abstract
- 01(2)_논문 02.pdf971.0KB
Ⅰ. Introduction
뮤지컬은 다양한 볼거리와 대중적인 음악으로 현대인에게 각광받고 있는 공연 예술이다. 우리나라 뮤지컬은 해외 라이선스 작품이 대중의 지지를 받고 있는 편이지만, 국내 창작 뮤지컬 작품도 흥행에 성공하는 작품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특히, 대학로 등 여러 지역의 중, 소극장에서 소규모 극단의 뮤지컬 작품들도 다양하게 공연되고 있다. 뮤지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공연의 완성도에 대한 기대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뮤지컬 무대 미술의 한 분야이며, 공연 예술의 필수적 요소인 의상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과 완성도도 점차 강조되고 있다.
무대 의상 및 뮤지컬 의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특정 작품의 작품 분석과 그에 따른 실물 의상 제작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있으며(Choi, 2005; Kang, 2007; Kang, 2004; Lee, 2007), 이미 공연된 작품에 대해 새로운 의상 디자인을 제시하거나(Chae, 2004; Goo, 2005), 셰익스피어의 극과 같은 특정 고전작품에 관한 의상 디자인 연구(Kim, 2004; Kwon, 1999; Lee, 2001)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또한 공연된 작품의 무대 의상을 분석하는 연구(Cho, 2001; Hyun, 1999)나 무대의상의 현황을 분석한 연구(Park, 2003)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체로 공연의 전반적인 과정 가운데서 무대 의상의 총체적인 연구라기보다는 의상 디자인 및 제작이나 분석 측면에 치중된 편이며, 특정 작품을 위주로 한 제한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체적으로 광의의 무대의상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며, 뮤지컬 의상에 국한된 디자인 제작 관련 연구는 미미하다. 특히 Korea Art Management Service에서 분류한 중 소극장 규모(2008 The fact finding survey of musical, 2009)의 창작 뮤지컬 공연이 압도적으로 많고, 창작 뮤지컬 투자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비해 중 소극장의 소규모 극단에서 이루어지는 중소형 창작 뮤지컬 의상에 대한 차별화 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소형 뮤지컬 의상의 제작에 관한 실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국내 소규모 극단에서 제작되는 중소형 창작 뮤지컬 의상 제작 과정을 기획단계부터 보관 및 관리과정까지 살펴보는 것으로, 의상 제작 과정의 실태를 뮤지컬 제작 요소와의 관계적 측면, 의상 디자인적 측면과 제작 환경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뮤지컬 중에서도 소규모 극단에서 이루어지는 중소형 창작 뮤지컬을 대상으로 북 쇼 형식을 가지고, 연구자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의상 디자이너로 참여한 여섯 개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배경을 위한 복식, 무대 미술, 문화 예술 관련 국내외 전문 서적, 논문 등의 문헌 자료 조사와 공연 관련 시각 자료 조사 및 연구자가 의상 디자이너로 참여한 공연 작품의 제작 및 분석의 실증적 방법이다.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3인의 무대의상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 및 3인의 패션디자인 전공 연구자들과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채택된 내용을 위주로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에서 공연과 의상 디자인의 관계를 분석하고, 소규모 극단의 창작 뮤지컬 의상의 제작 과정과 제작 환경 등을 살펴봄으로써 중소형뮤지컬 의상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의상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총체적인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규모 극단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중소형 창작 뮤지컬 의상 제작실무에 도움을 줌으로써 국내 중소형 뮤지컬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Constitution and production factor of musical
뮤지컬의 구성요소는 대본과 음악, 연기, 춤 그리고 분장, 무대의상, 무대장치 등을 포함하는 미술이다. 대본은 뮤지컬을 이끌어 가는 전체의 시나리오이며, 배우들의 무대에서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극본으로 배우의 연기와 음악이 잘 어우러져야 그 본연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다. 음악인 노래와 등장 인물들의 춤은 극을 진행시키고, 배우들의 성격과 주제를 드러내준다. 뮤지컬 음악은 가사가 있는 노래뿐 아니라 서곡, 막간곡, 퇴장곡 등 춤을 위한 음악과 대사에 깔리는 배경음악을 포함한다. 뮤지컬은 노래와 춤이 극과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있어야 비로소 완성된 하나의 작품이 된다. 뮤지컬은 또한 분장, 의상, 무대 장치와 같은 미술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공연이다. 무대 분장은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나게 해주는 도구로, 극의 흐름과 내용, 배우의 특징을 나타내어 극의 이해를 돕는다. 무대 의상은 등장인물의 성격, 시대와 지역에 대해 파악할 수 있고, 극의 주제나 분위기를 암시한다. 무대 장치는 관객에게 극의 시대, 배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영상, 조명, 특수효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볼거리를 제공한다.
뮤지컬의 제작 요소에는 기획·제작, 연출, 작가, 작곡·작사를 포함하는 음악, 배우, 무대 디자인, 의상 디자인, 분장 디자인, 조명 디자인이 포함된다. 기획·제작은 공연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주도면밀한 기획과 효과적인 제작이 필요하다(Yang, 2001). 공연에서의 기획이란 어떤 이미지로 표현할 것인지에 대해 미리 구상하는 기획단계의 과정뿐 아니라 제작단계의 섭외, 대관, 홍보 및 마케팅과 공연 진행 단계와 공연 후 단계인 결산, 평가 단계의 공연의 전 과정을 포함한다. 연출은 공연의 핵심이 되는 분야로 예술적 작업의 총 책임을 지는 것으로 뮤지컬의 모든 요소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공연 제작의 양식적인 개념과 시각화, 연기자의 연기 그리고 기술적인 요소들을 응집력 있는 전체로 결합시키는 데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Cha, 1999). 작가는 극의 구성과 인물을 창조해내며, 때로는 작사를 겸하기도 한다. 음악은 극을 이끌어 가는 대표적인 도구로 멜로디를 통하여 극중 인물의 내면상태와 극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으며, 가사 를 통하여 이를 관객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배우란 뮤지컬에서는 주, 조연을 포함하여 다양한배역을 수행하는 앙상블을 포함한다. 뮤지컬 배우는 노래, 춤, 연기를 통하여 관객에게 자신이 맡은 역할을 이해시키고 극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대 디자인은 뮤지컬 공연 시 무대 위에 만들어지는 장치와 대도구를 포함하는 디자인이다. 이는 맨 뒷막에 걸리는 그림 등의 배경뿐 아니라 무대위에 설치되어지고 움직이는 모든 기구를 포함한다. 무대 의상 디자인은 머리장식, 신발, 다양한 액세서리와 작은 소도구로 관객이 극 속의 등장인물의 성격과 그 시대 배경에 관한 이해를 돕는다. 의상을 통해 한 인물의 성격을 반영하기도 하고, 인물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기도 하며, 극의 분위기를 파악하게 해주는 도구가 된다. 분장은 등장인물의 민족, 시대, 성격, 건강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인물을 재창조한다(Na, 2003). 분장을 통하여 배우는 극 중 인물로 표현되며, 관객은 이를 통하여 극중 인물을 파악할 수 있다. 분장은 배우에게 시선을 집중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배우의 개성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Choi, 2005). 조명 디자인은 무대 위에서 분위기를 결정하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조명은 배우를 비춰주는 것뿐만 아니라 배경을 보완해 주고, 의상과 분장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명은 의상의 색상과 질감에 영향을 미친다(Kim, Woo, Han, & Yin, 2009).
2. Peculiarity and process of musical stage costume
뮤지컬 의상은 무대 의상의 일종으로 뮤지컬 공연 중 극 중 배우가 착용하고 있는 모든 것으로 무대 위에서 극의 내용을 전달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Thomas, 2007). 일반적인 무대 의상과 차별되는 뮤지컬 의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의상은 극장의 규모나 극의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실루엣, 색채, 질감을 통하여 디자인하여 관객에게 시각적인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 특히 관객은 의상의 작은 디테일보다는 큰 형태를 인지하므로 의상의 실루엣은 더욱 중요하다(Tina, 2006). 둘째, 뮤지컬 의상은 일반적인 무대의상과는 달리 춤과 노래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배우의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도록 기능성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져야 한다. 셋째, 뮤지컬 의상은 공연 중 장면 전환이 많고 의상의 교체가 빈번함으로, 배우의 의상 전환 시간을 고려하여 의상의 탈착용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져야 한다.
일반적인 뮤지컬 의상 디자인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공연 제작 회의에서 공연에 관한 전반적인 콘셉트 회의가 이루어진 후 작품 분석과 대본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뮤지컬 의상의 안무와 연기를 잘 나타낼 수 있는 특징들을 도출하고, 의상 디자인에 필요한 시각적 자료조사가 진행된다. 사진, 인터넷, 문헌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차별화 된 의상 디자인이 되도록 한다. 등장인물 별 콘셉트와 콘셉트에 따른 스타일 디자인, 소재와 색채를 선정하여 완성된 견본지시서에 의해 제작이 진행된다. 리허설을 통하여 배우들이 의상을 착용하고, 의상에 대한 수정, 점검이 이루어지며, 공연 이후 의상의 해체 및 보관의 과정을 거친다.
3.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 musical play and stage costume
국내 뮤지컬은 1960년대 중반 다양한 뮤지컬의 시도가 이루어져 1980년대에는 극단·민중·광장대중이 공동 제작한 아가씨와 건달들 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뮤지컬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Seo, 2004). 한국 뮤지컬 시장은 경제 규모 확대로 인해 90년대 이후 나날이 성장하였으며, 양적 팽창을 거듭하다가 2002년에는 100편 정도의 뮤지컬이 공연되었다. 2007년 제작된 뮤지컬 작품은 창작 뮤지컬의 작품 비율이 58.0%로 가장 높았으며, 라이센스 작품은 26.4%, 내한 오리지널 투어 작품은 7.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뮤지컬 공연 시장의 규모는 티켓 판매를 기준으로 2007년 1,600억 원이며, 뮤지컬 관람객 규모는 350만 명으로 티켓 판매 실적으로는 라이선스 작품과 내한 오리지널 투어 작품이 상위권을 차지한다. 또한 뮤지컬 투자 현황은 라이선스 작품이 2007년 전체의 51.5%로 가장 많이 투자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작뮤지컬에 대한 투자 건수도 전년도 16.7%에서 42.4%로 증가했으며, 전체적으로도 창작뮤지컬에 대한 투자비율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뮤지컬 공연 현황을 객석규모에 따라 살펴보면 2007년 기준 214개의 공연장에서 작품이 공연되었으며, 소공연장이 80개, 중공연장 77개, 대공연장이 57개 순으로 나타났다. 소공연장에서는 창작뮤지컬 작품이 총 102건의 공연 중 80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뮤지컬 관람객 규모는 2008년 인터파크 자료에 따르면 한 해 동안 약 200만 명 정도가 뮤지컬을 관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15.1% 증가한 것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 뮤지컬 제작사의 초연 제작비로는 5 10억 원 혹은 3 5억원 사이의 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제작사들은 제작비의 대부분을 자체 자금으로 조달하고, 연습실, 무대장치 보관소 등과 같은 실제적인 뮤지컬제작을 위해 필요한 시설은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제작사가 일정 이상 규모의 매출은 뮤지컬 공연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 The fact finding survey of musical, 2009). 소규모 극단의 뮤지컬의 경우, 더욱 열악한 제작 여건에서 공연제작이 이루어지며, 의상 디자이너 역시 열악한 환경에서 디자인을 하게 된다. 소규모공연의 무대의상 제작 실태를 살펴보면, 일부 공연의 경우 의상 디자이너를 고용하지 않고 소규모 극단 내에 보유하고 있는 의상이나 배우 개인의 의상으로 공연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혹은 의상을 제작하더라도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에게서 제작되어지기도 한다("Situation of stage costume design", 2007). 무대 의상 디자이너는 개인 작업실을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하기도 하고, 전문적인 제작업소형태로 작품 활동을 하거나 하청을 받아 의상을 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작업여건이 열악하고 소득의 기준이 일정하지도 않으며, 계약제도나 자격증과 같은 신분보장이나 저작권 보호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많은 문제들이 있다. 현재 국내 뮤지컬 산업은 도약과 정체의 갈림길에 서 있는, 그 어느때보다도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으며, 뮤지컬 산업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Tae, 2008).
Ⅲ. Case Analysis of Musical Productions
<Table 1>부터 <Table 12>는 국내 중소형 창작뮤지컬의 사례로 6개 작품의 개요와 의상 디자인을 나타낸 것이다. 의상 제작표는 배역, 시대, 성, 나이, 의상, 장신구, 색채, 신체, 이미지로 분석하고, 계급 분석이 필요한 작품인 경우 계급을 표시하였고, 실제 공연 사진으로 제시하였다.
1. Production I : 2010 Pinocchio
<Table 1> Musical overview
<Table 2> Stage costume production
2. Production II : 2009 princess Pyung-Gang & general Ondal
<Table 3> Musical overview
<Table 4> Stage costume production
3. Production III : Seventy Million until heaven
<Table 5> Musical overview
<Table 6> Stage costume production
4. Production IV : 2007 princess Pyung-Gang & general Ondal
<Table 7> Musical overview
<Table 8> Stage costume production
5. Production V : HOLY STEPS
<Table 9> Musical overview
<Table 10> Stage costume production
6. Production VI : GODPEOPLE GOODPEOPLE
<Table 11> Musical overview
<Table 12> Stage costume production
Ⅳ. Result of Case Analysis
1. The aspect of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stage costume and musical productions factor
1) Musical stage costume and director
연출가는 공연을 만들어가는 예술적 작업의 총책임자로 공연의 모든 요소들을 조합하고 통일성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즉, 공연의 틀을 만들고 작품 기획에 따른 전체적인 콘셉트를 확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각 스텝간의 의견 조율과 화합의 역할 수행에는 연출가마다 차이가 있다. 디자이너가 극단에 소속된 경우, 공연의 초기 제작부터 동참하여 연출가와의 규칙적인 회의가 지속될 수 있지만, 소속되지 않은 경우, 의상디자인에 국한된 초기 회의만 이루어진다.
작품 I, IV는 연출가가 무대의상 콘셉트에 관해 사진, 영상, 공연 팸플릿 등의 다양한 시각자료를 제시하여 연출가와 무대의상 디자이너와의 아이디어의 조율이 원활이 이루어져 의상 제작 완료 후 연출가의 의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회의빈도수는 공연 리허설 동안 의상의 수정과도 관련이 있었다. 디자이너가 극단에 소속된 작품 I, III, V, VI은 평균 주 1회 정도 꾸준한 회의가 지속되었으나, 작품 II, IV는 의상에 대한 초기 회의만 이루어졌다. 회의의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작품 II, IV의 공연은 의상의 수정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사례분석 연구 결과, 무대의상과 연출가의 관계에 있어서 연출가가 기획 의도는 물론 시각자료를 충분히 제시하고 디자이너와의 작품 콘셉트에 대한 아이디어를 교류하고, 디자이너가 극단에 소속되어 연출가와의 정기적인 회의가 지속되면 작품의 완성도 및 통일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디자이너는 연출가와의 회의를 꾸준히 지속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회의가 불가능하다면 무대의상 제작의 단계별 회의를 통하여 콘셉트와 디자인에 관한 충분한 아이디어 공유와 제작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Musical stage costume and set design
무대의상과 무대는 무대미술의 한 분야로, 서로 조화를 이루어 극의 흐름과 배우를 시각적으로 돋보이도록 해야 한다. 대체로 공연의 전반적인 콘셉트가 확정되고 무대 디자인이 이루어진 후 무대의상 디자인이 이루어진다.
작품 I의 무대는 중세 유럽 마을로 동화적인 콘셉트이다. 이를 위해 아동극의 특성을 나타내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화려하고 강렬한 색을 사용하여 의상을 디자인하였다. 또한 의상에서도 현대적 감각을 나타내기 위해 중세 유럽 의상의 완벽한 재현이 아닌 고전적인 분위기의 현대적인 색채로 디자인하였다. 작품 II, IV는 고구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현대적 감각의 극으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갖고 온 색채의 이미지로 된 무대이다. 의상도 고구려 의상의 형태를 차용하고, 현대적인 색채를 이용하여 무대 배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작품 III, V는 현대를 배경으로 한 사실적인 극이므로, 무대나 의상의 색채가 두드러지거나 화려하지 않았다. 무대는 실제 상가와 학교 등을 재현한 사실적인 무대이므로, 이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의상도 평범한 일상복에 색채로 다양한 변화를 주었다. 작품 VI의 경우에는 전쟁 직후 암울한 시대상 반영이라는 작품 콘셉트에 맞추어 그레이쉬 톤으로 의상과 무대가 디자인되었다.
무대의 규모는 작품 콘셉트와 함께 무대 의상은 물론 소품, 액세서리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작품 I, III, V, VI은 규모가 큰 중극장 공연이므로 관객과 무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의상의 색채가 좀 더 화려하고 실루엣이 과장되어 시각적 인상이 분명히 전달되도록 하는 의상이 많았으며, 액세서리도 크거나 과감한 스타일을 선택하였다. 작품 II, IV의 경우에는 무대 규모가 작은 중극장 정도로 관객과 무대의 거리가 짧아 과장되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실루엣이 주를 이루고, 액세서리 또한 사실적이고 과장되지 않은 스타일로 관객에게 이질감이느껴지지 않도록 디자인되었다.
사례분석 연구 결과, 무대의상과 무대와의 관계에 있어서 의상 디자인은 무대의 콘셉트와 무대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즉, 무대 디자인의 이미지를 최대한 반영하여 의상 디자인은 무대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하며, 공연장의 규모에 따른 관객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의상 실루엣의 규모와 색채 및 액세서리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져 보이게 디자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대의상 디자이너와 무대 디자이너는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관객이 무대를 시각적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서로간의 아이디어의 공유는 보다 양질의 공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3) Musical stage costume and lighting
조명은 무대의상의 색채나 소재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조명의 종류와 색상에 따라 의상색채가 다르게 보이기도 하며, 조명의 각도에 따라서 의상의 실루엣도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조명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디자인 이미지가 달라져 보이기도 한다. 즉, 광택이 반사되어 퍼지는 효과로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의상이 실크처럼 고급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의상 디자이너는 조명과 의상과의 조화를 예측하고, 의상의 소재와 색채를 사용하여 의도한 디자인이 표현되도록 해야 한다.
작품 I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주를 이루어 조명에 광택이 반사되어 의상이 화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II, IV의 경우에도 고급스러움을 살릴 수 있도록 조명에 은은한 광택이 나는 공단을 사용하였다. 작품 III, V는 기성복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조명에 의해 돋보일 수 있는 색채를 중점적으로 사용하였다. 즉, 조명에 의해 채도가 낮아지지 않는 진한 색을 사용하여 색상이 돋보이도록 하였다. 작품 VI은 일부 장면에서 의상의 색상과 동일 색상의 조명이 사용되어 의상이 돋보이지 않았을 뿐 아니라 배우의 얼굴까지도 제대로 구분되지 않았다.
사례분석 연구 결과, 무대의상과 조명과의 관계에 있어서 광택성은 물론 채도를 고려하여 소재를 선택해야 한다. 즉, 조명에 따라 소재의 광택 정도를 1차적으로 고려하고, 의상 디자인에 따라 의도한 채도의 색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소규모 극단의 공연은 대체로 연출가의 의도나 연출가와 조명 디자이너와의 회의로 조명의 색상과 분위기가 결정되지만, 의상과 조명의 시각적 일치감과 무대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무대의상 디자이너와 조명 디자이너와의 의견 조율을 위한 회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4) Musical stage costume and actor
무대의상은 배우를 극 중 역할의 사람으로 바꾸어주는 시각적인 도구로 배우의 캐릭터를 부각시켜줄 뿐만 아니라 배우들 간의 관계도 나타내준다. 배우의 무대의상은 극 중 역할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하며, 연기에 필요한 동작의 보조 역할을 한다. 특히 뮤지컬 의상은 안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배우의 움직임과 동작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무대의상은 배우의 연기 동작에 따른 특징을 도출하고, 배우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신체 결점은 보완하고, 캐릭터에 맞는 체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작품 I은 둔한 캐릭터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과장된 실루엣을 사용하고, 장난스러운 캐릭터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다채로운 원색을 사용하였다. 특히 안무 동작이 많은 경우에는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고, 하이웨이스트에 풍성한 스커트로 동작의 표현을 극대화시켰다. 작품 II, IV의 경우 극중 인물들 간의 관계를 색상의 대립으로 나타내었으며, 한국 무용의 동작을 수행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통이 넓은 바지로 제작하였다. 작품 III, V, VI은 대체로 기성복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모두 스트레치성 소재 탈의가 편한 스타일을 선택하였다. 배우의 신체적 특징을 살리고, 적절한 사이즈로 제작하기 위해 작품 II를 제외한 모든 작품은 디자이너 가 신체계측을 하고 의상 제작을 하였으며, 디자이너가 직접 신체계측을 하지 않은 작품 II공연은 리허설이 되어서야 배우에게 의상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사례분석 연구 결과, 무대의상과 배우의 관계에 있어서 배우가 착용할 의상은 소재의 무게감과 스트레치성, 허리선의 위치 및 실루엣 등의 형태, 탈착용의 여부 등 기능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고, 배우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여 안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신체계측은 디자이너가 직접 수행하여 배우들의 외모적, 신체적 특징을 파악하고, 디자인 및 패턴제작에 반영한다. 특히, 무대의상 디자이너는 안무가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안무 동작을 충분히 이해하고, 배우의 연기에 보조 역할을 하는 의상을 디자인해야 한다.
2. The aspect of musical stage costume production
1) Planning process of stage costume
무대의상 디자인의 기획 과정은 작품의 기획, 시놉시스 결정, 등장 인물의 성격과 대본 분석, 제작회의, 자료조사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작품의 기획과정에서 공연의 전반적인 콘셉트가 결정되면 작품을 분석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인물관계도를 파악하는 대본 분석이 이루어진다. 정기적인 제작회의를 통해 의상 디자인의 구체적 콘셉트가 정해진 뒤 작품의 배경이 되는 영상, 사진 자료 등의 시각 자료를 수집한다.
작품 I, III, V, VI의 기획 과정은 작품마다 차이를 보였으나, 약 3개월에서 6개월의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이 기간 중 디자이너는 회의의 전 과정에 참여하여 작품에 관한 아이디어 공유 및 각 분야 간에 의견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작품 II, IV의 경우, 디자이너는 대본 분석에서 자료조사까지의 과정만 참가하고, 연출가와 의상디자인에 대한 의견 교류만 이루어졌으며, 약 한 달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모든 작품에서 의상디자인은 연출가가 의도하는 작품 콘셉트 정도만 참조되었고, 디자인의 자율성은 어느 정도 허용되었다. 대본 분석과정은 작품 I, III, V, VI의 경우, 디자이너와 각스텝들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작품 II, IV의 경우 디자이너가 대본을 전달 받아 단독으로 수행하였다. 작품 분석과 대본 분석이 완료되면 의상 리스트가 작성되고, 의상 제작 견적이 확정되므로 철저한 대본 분석 과정이 중요하였다. 각 분야별 스텝과의 회의는 작품 I은 주 2회 정도, 작품 III, V, VI의 경우 주 1회 정도, 작품 II, IV의 경우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작품 I, IV에서는 의상제작 과정 중 중간 검점, 배역 의상 테스트 등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자료 조사 단계는 각 작품의 배경이 되는 영상, 사진 자료 등의 시각 자료를 수집하고, 작품 II, IV와 같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작품인 경우 서적 및 박물관 유적 등의 고증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작품 I, VI과 같이 원작이 있는 작품의 경우 원작을 참고하였다. 그러나 소규모 극단의 공연 제작 기간이 특히 짧으므로 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다. 고증 자료를 참고하여 의상을 디자인하는 경우에도 뮤지컬의 오락적 기능과 배우들이 연기를 하기에 편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공연의상의 특징으로 고증의 완벽한 재현에는 어려움이 있다(Pong, & Lee, 2000).
사례분석 연구 결과, 무대의상의 기획 과정에서 디자이너는 작품 기획과정부터 참여하여 각 분야와의 의견 교류 및 아이디어 공유를 한다. 대본 분석은 각 스텝과 함께 이루어지기도 하며, 디자이너가 단독으로 수행하기도 한다. 이 시기는 의상 초안이 정해지고 의상 제작 견적이 확정되는 단계이므로 중요하다. 제작 회의 중 디자이너는 각 스텝과의 아이디어의 교류와 중간 점검이 가능하므로 참석하도록 한다. 짧은 제작 기간은 다양한 자료수집에 어려움이 있으나, 완성도 높고 차별화 된 디자인을 위해서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자료조사의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2) Process of stage costume production
무대의상 제작 과정에서 뮤지컬 의상의 특수성을 반영한 색상, 소재, 실루엣을 사용하여 디자인하고 패턴 제작, 봉제 과정을 거쳐 의상을 완성하는 것은 일반적인 무대 의상 제작 과정과 동일하다. 그리고 현대극에서는 의상 제작 기간이 짧은 경우, 기성복이나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의상을 리폼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의상 제작 비용이 적게 책정된 시대극의 경우에는 임차의상을 사용하기도 한다. 뮤지컬 의상은 연출 의도와 작품의 콘셉트를 반영하고, 무대 규모와 색채에 맞추어 디자인을 전개한다. 또한 극의 배경과 조화를 이루며 배우 캐릭터를 드러내도록 디자인한다. 소품 제작은 배우들이 몸에 걸치는 일종의 액세서리로 의상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며, 배우의 움직임이나 동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작품의 시대적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작품 I의 의상은 코트, 드레스에서 시대적 배경을 암시하도록 실루엣의 특징을 중요시 하였고, 천사의 역할을 암시하기 위해 날개를 강조한 실루엣이 되도록하였다. 모든 작품에서는 장면의 전환이 많아 의상의 교체가 빈번하므로, 전반적으로 여밈 등의 디테일로 의상의 탈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성과 편리성이 고려되었다. 색채는 캐릭터를 반영한 인물관계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작품 II, IV에서는 고구려 군사와 신라 군사는 그린과 레드의 색채로 작품 V에서는 이사장과 목사의 대립관계를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로 표현하였다. 작품 V, VI과 같이 기성복과 임차의상을 이용할 경우 콘셉트와의 일치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색채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또한 소재는 배우 동작에 영향을 주므로 배우의 신체에 불편함이 없는 적합한 소재를 선택하고, 극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실루엣을 살리거나 캐릭터의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소재를 사용하였다. 작품 I, II, IV, V의 의상은 대체로 스트레치성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치성이 없는 소재의 경우에도 움직임이나 춤을 추기에 불편함이 없는 형태의 의상으로 디자인하였다. 또한, 작품 I에서 댄서의 의상은 안무를 위한 의상은 안무 동작의 표현을 극대화시켜 주기 위해 쉬폰 등과 같이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였다. 작품 III, V에서는 모두 스트레치성이 있는 소재의 의상을 리폼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소재의 무게감을 줄여 주어 배우들이 춤을 출 때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디자이너의 창작의 자율성은 어느정도 허용되었으며, 작품 IV는 연출가의 개입이나 회의의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공연으로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디자인을 할수 있었다. 작품 II는 작품 IV를 재창작한 극이므로 디자이너는 작품 IV의 의상과 달리 새로운 의상디자인을 시도하려 했으나, 연출가의 의도로 기존의 의상과 유사하게 디자인이 되어졌다. 소품 제작에서 작품 I앙상블 배우들은 소품에 제작비를 투자하여 모자, 헤어 액세서리로 시대적 배경을 나타내었다. 작품 I, II, IV의 배우 머리장식이나 작은 액세서리는 시대적 배경을 나타내기 위해 고전적인 스타일의 형태로 제작하였으나, 다른 공연들의 소품은 예산의 문제로 현대극임을 고려한 정도에서 극단에 보유하고 있는 것을 재활용하거나 디자이너의 소장품을 코디하는 형식으로 활용되었다.
사례분석 연구결과, 무대의상의 제작 과정에서 무대의상은 의도한 이미지의 디자인이 되도록 캐릭터의 성격과 시대를 암시하는 실루엣, 인물관계도를 나타내는 색채 그리고 배우의 안무 및 연기에 편안한 소재의 사용으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인 과정에서 소규모 극단의 창작 뮤지컬은 해외 라이선스 공연에 비해 규칙적이고 정기적인 회의의 부재, 연출가의 개입 정도 등과 같은 작업 환경의 차이로 창작의 자율성이어느 정도 허용되므로 의상 디자인의 아이디어는 디자이너의 역할에 따라 충분히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리폼이나 재활용 의상의 활용능력도 중요하며, 의상에 비해 적은 제작비를 들여 작품이 의도하는 시대적 배경이나 인물의 성격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소품 제작은 저 예산 공연에서는 기여하는 역할이 크므로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3. The aspect of production environment
1) Production period, budget, place and performance period
유명 작품 제작 기간을 살펴보면 2010년 ‘빌리엘리어트’는 3년, 2009년 ‘라디오 스타’는 2년, 2007년 ‘댄싱 섀도우’ 공연은 무려 7년의 제작기간이 소요되었다. 대형 창작 뮤지컬 제작기간은 대체로 2년 이상의 제작기간이 소요된다(Park, 2008; "2010 Musical 'Radio Star'", 2010; "2010 Musical Adieu!", 2010).
작품 I, II, III, IV, V, VI에 나타난 뮤지컬의 작품 제작 기간은 6개월에서 1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작품 제작 기간이 길수록 일반적으로 공연의 완성도는 더욱 높아졌다. 이는 의상 디자인의 제작기간은 물론 각 스텝 간의 제작 회의의 빈도수가 작품 완성도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작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디자인 제작 과정은 대체로 1개월에서 2개월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타임테이블을 구성하여 짧은 제작 기간을 숙지하고 무대의상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또한, 소규모 극단의 중소형 창작 뮤지컬은 대체로 극단의 자본이 넉넉한 상태에서 공연이 제작되어지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스폰서와의 연계도 어렵기 때문에, 예산 또한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제한된 예산은 의상 제작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공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제작 환경이다. 제한된 예산으로는 연출가, 안무가, 의상 디자이너, 무대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등 각 분야 간의 규칙적이 고, 주기적인 회의 소집과 의견 교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각 분야 스텝의 전문성에 차이를 보여 일부 분야의 스텝은 전문성이 낮은 인력으로 공연이 제작되기도 하며, 미술감독, 기술 감독 등과 같이 세분화된 전문 스텝 구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저예산에 맞춘 의상 디자인 방법으로 주요 배역 의상제작에 예산의 비중을 높이고, 앙상블 의상은 기존에 극단이 보유하고 있던 의상을 활용하고 실크류소재를 사용하기보다는 저렴한 합성 섬유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의상의 재활용을 위해 수정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작품 I, II공연은 다른 작품들에 비해 비교적 넉넉한 예산으로 무대의상을 제작하여 봉제는 하청을 주고 제작기간을 줄일 수 있었다. 작품 III, IV, V, VI은 디자이너가 직접 봉제를 수행하므로 제작비를 절감하였다. 디자이너가 직접 봉제를 수행하면 의상 제작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중간 디테일에 대한 보강과 수정이 가능하다.
제작 측면에서 무대 의상에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요소는 공연 장소로, 이는 대체로 작품 기획시기에 주최 측에서 작품의 예산과 콘셉트에 맞게 극장의 규모가 결정되었다. 의상 디자인은 공연장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사례분석 작품은 모두 가장 보편화된 극장인 프로시니엄 극장(Shin, 2000)이므로 특별히 고려될 사항은 없었다. 그러나 공연장의 시설에 따라 의상의 디테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드레스 룸의 위치나 시설에 따라 배우의 의상 탈착용의 시간과 동선이 달라지므로 공연 전 공연장의 시설은 의상 디자인의 고려 대상이 되었다. 장소와 더불어 공연기간도 의상 디자인에 영향을 미쳐 장기간 공연된 작품 II, IV에서는 디테일 부분까지도 세밀한 마무리하였고, 세탁 시 형태나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였다. 단기간 공연된 작품 I, III, V, VI에서는 세밀한 마무리가 고려되지 않았다.
사례분석 연구 결과, 뮤지컬 제작 기간은 의상 제작 기간, 제작 회의의 빈도수, 작품의 완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예산은 무대의상을 디자인할 때 제작 환경의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뮤지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산이 넉넉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일정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각 분야의 스텝이 모여 이루어지는 규칙적인 제작회의는 필수적이다. 또한 저예산에 맞추기 위해 무대의상 디자이너는 주요 배역 의상만 제작하거나, 기존 의상의 활용, 봉제는 하청 제작 대신 디자이너가 직접 수행하기도 한다. 장소는 의상 디자인의 고려 대상이며, 공연기간에 따라 내구성을 고려한 마무리가 요구된다.
2) Rehearsal and performance
리허설은 보통 드레스 리허설과 테크니컬 리허설로 이루어지며, 테크니컬 리허설은 조명 큐, 장면전환, 등 퇴장 체크 등 무대의 모든 요소들을 점검하기 위한 리허설이며, 드레스 리허설은 모든 배우들이 실제 공연과 마찬가지로 모두 갖추어진 무대 위에서 모든 의상을 입고 분장을 하고 연기하는 연습이다(Thomas, 2007). 리허설 전에는 무대 위에서 배우가 나와 연기하는 장면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그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파악할 수 있는 드레스 리허설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사례분석 연구 결과, 드레스 리허설 기간에는 의상이 배우에 몸에 맞게 제작되었는지 혹은 동선, 안무에 적합한지 또는 의상이 극에 어울리는지 혹은 조명과 의상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지 등을 현장에서 점검하여야 한다. 즉, 무대 위 배우들 간의 의상 밸런스를 점검하거나 혹은 조명 아래에서도 색채가 잘 드러나는지 혹은 다수의 배우가 나오는 장면에서 서로 간의 의상 색채와 실루엣의 조화는 이루어지는지에 관해 계속적으로 점검이 요구된다. 그 뿐 아니라 리허설 동안 배우들이 직접 의상을 착용하고 불편한 점이나 연기 시 파손되는 의상에 대해서는 보수 작업이 진행된다. 또한 연출부의 요구에 따라 의상이 추가 제작되거나 디테일이 추가되기도 한다. 사례분석 작품의 드레스 리허설 기간은 대체로 짧은 편으로 이 기간에 의상의 대대적인 수정이 이루어지진 않지만 안무 동작에 따라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의상이 부분적으로 수정되기도 한다. 그 밖에 공연 중의 의상 사고에 대비하여 간단한 재봉용구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첫 공연을 마치면 연기에 불편한 소품이나 의상은 보수가 이루어진다. 또한 의상과 분장의 조화도 매우 중요하며, 분장 디자이너는 의상에 맞추어 분장의 콘셉트를 정하고, 극장의 규모에 따라 관객에게 배우의 얼굴이 잘 보이도록 분장의 강도가 달리한다. 드레스 리허설 동안 각 분야가 유기적인 관계로 협력하고 조율하여 공연을 만들어 간다면 공연의 완성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3) Storage and assurance of stage costume
소규모 극단의 공연의 경우, 무대 의상의 보관과 관리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재공연시 의상의 재활용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는 예산 절감이라는 이익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보관이 잘 이루어진 의상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재공연 시 동일한 의상을 여러 차례 제작해야 하는 예산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사례분석 연구결과, 연구자가 참여한 공연은 대체로 소규모 극단의 창작공연이 주를 이루었으므로, 보관이 잘 된 의상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수정을 거쳐 다음 공연에 재활용된다. 의상의 보관 수준은 각 극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연구자가 소속된극단 의상은 인력, 예산의 문제로 철저한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분실, 파손 등으로 인해 보존된 일부 의상만이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작품 II, IV공연을 주최한 극단의 경우에는 사무실 한편을 의상 보관실로 분리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사후관리도 철저히 이루어져 보관된 의상을 수정하여 다양하게 재활용하고 있다. 또한 제작의상을 임대하여 이익을 창출하기도 한다. 의상의 재활용과 임대는 예산 절감과 이익 창출이라는 이점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초기 의상을 디자인할 때에 보관과 관리까지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국내 소규모 극단에서 제작되는 중소형 창작 뮤지컬 의상제작의 실제와 의상 디자이너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으로 기획 단계부터 보관 및 관리까지의 의상제작 과정의 실태를 뮤지컬 제작요소와 관계적 측면, 의상 디자인적 측면, 제작 환경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뮤지컬 제작 요소와의 관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무대의상 디자이너는 여러 분야의 스텝과 함께 공연을 만들어가는 역할을 수행함으로 회의를 통한 의견 조율이 중요하다. 이를 통하여 연출가의 기획의도, 연출의도, 작품 콘셉트를 정확히 파악하고, 의상 디자인이 무대 미술의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어 작품 전체의 콘셉트를 잘 나타내도록 해야한다. 특히 공연장의 규모와 무대 디자인은 의상의 실루엣과 색채에 영향을 미치므로 무대 디자이너와의 교류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의도한 의상의 색채를 보여주기 위해 조명 디자이너와의 의견교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배우의 동작 및 춤을 극대화 시켜 줄 수 있는 디자인을 위해 안무가와의 적극적인 의견 교류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뮤지컬 의상 디자인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무대의상 기획 과정 단계에서는 작품의 기획과 시놉시스를 통해 디자인 콘셉트가 결정된다. 대략 3개월에서 6개월이 소요되는 전체 작품 제작 기간 중 의상 디자인 제작 기간은 약 1개월에서 2개월의 기간이 소요되지만, 무대 의상 디자이너는 콘셉트를 부각시키기 위한 차별화 된 의상 디자인을 위해 심도있는 자료조사의 과정은 반드시 수행되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의상 제작에 대한 중간 점검은 물론 배역 의상의 테스트 등과 같은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무대 의상의 제작 단계에서는 정확한 신체계측을 통해 배우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고, 무대 규모를 고려하여 디자인한다. 일반적으로 실루엣은 시대적 배경을 암시하지만, 뮤지컬 의상 디자인에서 동작의 극대화를 표현하는 형태 및 동작의 용이성과 탈착용을 고려한 기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인물관계도 및 배우, 무대, 조명과의 조화를 이루는 색채, 배우의 안무와 동작을 위한 경량감 및 스트레치성을 고려한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의상에 비해 적은 비용을 들여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소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작 환경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예산은 공연 제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작품 제작 기간, 의상 제작 기간과 전문화 된 스텝의 구성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제반 환경의 어려움으로 나타난다. 또한, 공연 장소, 공연장의 시설 그리고 공연 기간은 무대의상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며, 의상의 보관과 관리 상태에 따라 의상의 재활용과 임대가 가능하므로 예산 절감과 이익 창출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뮤지컬은 모든 분야가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공연예술이므로, 소규모극단의 중소형 창작 뮤지컬의 발전을 위해서는 충분한 제작기간, 각 분야 스텝의 전문성 향상이 필수적이다. 소규모 극단의 창작 뮤지컬의 경우 대형기획사가 제작하는 대형 공연에 비해 짧은 제작기간, 저예산의 공연이 주를 이루므로 무대의상 디자이너는 이에 대처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사례분석 연구 결과를 통해 중소형 창작 뮤지컬의 의상 디자이너는 다음과 같은 역할이요구된다. 첫째, 공연의 각 분야 스텝과의 회의에 적극 참여하여 공연의 전문성과 작품의 시각적 완성도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비록 소규모 극단의 예산 문제로 어려움이 존재하지만, 연출가, 안무가, 조명 디자이너 등 의상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의 스텝들과의 의견 교류가 간과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중소형 창작 뮤지컬 공연은 대형 라이선스 공연보다 창작의 자율성이 어느 정도 허용되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여 의상 디자인을 하도록 한다. 즉, 모든 스텝과의 규칙적이고 정기적인 회의가 원활하지 않은 등의 소규모 극단 중소형 창작 뮤지컬의 작업환경을 역이용하여 연출가의 의도, 작품 콘셉트를 참고하되 보다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디자인 능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또한, 리폼이나 임차 의상의 사용에도 소재와 색채 감각에 중점을 둔 감각적인 활용 능력이 요구된다. 셋째, 중소형 창작 뮤지컬 공연의 의상 디자이너는 저예산과 짧은 제작 기간이 주어지므로 저예산에 따른 의상디자인 제작을 다각적으로 대체할 수 있어야 하며, 제작 기간의 체계적 관리 능력과 공연 시 돌발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부 소규모 극단에서 이루어진 중소형 창작 뮤지컬 공연을 사례 분석한 연구이기에 이를 전반적으로 확대시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작품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거나, 순수한 창작 공연이 아닌 유명 작품을 일부 각색한 공연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작품은 이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비영리 공연의 특수성이라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뮤지컬 의상에 제작 과정뿐 아니라 다양한 공연 분야에서 무대 의상 디자이너의 역할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무대의상 제작에 도움을 주며, 나아가 다양한 중소형 창작 뮤지컬의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
Reference
2.Cha, T. H.(1999). 뮤지컬 연출 체크 리스트 [The Check List of Direction of Musical]. Seoul: m-add.
3.Chae, S. K.(2004). A study on stage costume in Puccini's opera "Turandot"-design based on "Turandot" represented by Jang Ye-mo-.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Cho, M. K.(2001). Analysis of the musical Lion King's costume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Choi, Y. R.(2005).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stage costume of musical 'Christmas Car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6.Goo, M. S.(2005).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of the musical Aid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7.Hyun, S. H.(1999), A study on stage costume of the Verdi' opera La Traviat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8.Kang, E. M.(2007), A study on stage costume design of Twelfth Nigh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9.Kang, H. R.(2004). A study of stage costume used for musical for the youth -'The Little Mermaid' produced by MBC-.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0.Kim, H. M.(2004). A study on stage costume of hamlet in shakespe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Korea.
11.Kim, Y. M., Woo, B. K., Han, N. R., & Yin, X. L. (2009). A study of the designing and producing of efficient stage costume using rented costume -Focusing on the western clothes used in the performance "Lee Jin"-.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59(3), 157-165.
12.Korea Art Management Service(2009). 2008 뮤지컬 실태조사 보고서 [2008 The fact finding survey of musical]. Seoul: Korea Art Management Service.
13.Kwon, H. Y.(1999). A study of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the macbe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Lee, E. K.(2001).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of Haml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Lee, S. Y.(2007). The study on stage costume for opera, the magic flute with clothing construc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6.Musical '2007 princess PYUNG-GANG & general ONDAL' Pamphlet(2007). Seoul.
17.Musical 'GODPEOPLE GOODPEOPLE' Pamphlet (2006). Seoul.
18.Musical 'Holy Steps' Pamphlet(2007). Seoul.
19.Musical '2009 princess PYUNG-GANG & general ONDAL' Pamphlet(2009). Seoul.
20.Na, K.(2003). A study on the make-up shown in stage performance-Focusing on the musical 'Empress Myeong-Seo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21.Musical '천국까지 칠천만' [Seventy million until heaven] Pamphlet(2008). Seoul. #REF!
23.Park, H. J.(2003). A research on the actual status of stage costume focusing on musical and op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4.Park, M. S.(2008). The study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reative music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25.Pong, H. K., & Lee, S. E.(2000). A study on the historical inquiry of TV historical drama costumesmainly focused on 'The way of the great king'-.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 113-136
26.Schumacher, Thomas(2007). How does the show go on. New York: Disney EDITIONS.
27.Seo. Y. H.(2004). 한국현대희곡사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rama].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28.Shin, I. S.(2000). Understanding theatre & terminology. Seoul: Kyobobook.
29.Tae, Y. J.(2008). The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Korea musical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audience's high demands: A specific research on the domestic circumstances of musical production and the behavior of the aud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Seoul, Korea.
30.Yang, J. H.(2001). Producing the performing arts. Seoul: Kyobobook.
31.(2007, August 9). Situation of Stage costume design. Retrieved October 13, 2010, from http://blog.naver.com/ijin0109?Redirect=Log&logNo=130021015319.
32.(2010, December 13). 2010 Musical Adieu!. Segye com. Retrieved December 13, 2010, from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101210003583&subctg1=&subctg2=
33.(2010, November 29). 2010 Musical 'Radio Star'. Edaily. Retrieved December 7, 2010, from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H23&newsid=01449766593170640&DCD=A00705&OutLnkCh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