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ntroduction
우리나라의 인구 변화를 살펴볼 때 고령자가 차 지하는 비중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2011년 기준 여성 고령자의 기대여명은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 났다(“Korea’s Aging Society”, 2013). 여성 노인비 율이 증가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에서 두드러진 인구학적 특성으로, 이에 대응하여 여성 노인을 위한 미래 산업과 소비시장, 생활환경 및 생활제품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또한 이들은 자신 의 나이보다 젊어 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젊은이처 럼 행동하고 싶어 하는 특성을 보이며, 이러한 특 성은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한 패션, 미용, 건강, 외 모 관련 산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여러 산업 분야에서 실버 세대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으 나, 아직까지 국내는 실버 관련 사업이 매우 발달되 어 있는 국외의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는 현 실이다. 실버 세대 층은 유행을 별로 의식하지 않는 소비자라는 기존의 고정관념과 타 연령층에 비해 다양하고 독특한 체형적 특성으로 인한 디자인 및 사이즈 개발의 난점으로 오랫동안 신규 런칭된 브 랜드가 없어서 실버 세대 의류 브랜드가 절대적으 로 부족한 것이 우리나라 실버 세대 패션시장의 현 주소이다(Namkoong, 2008). 최근 실버 세대 여성층 이 주로 찾는 매장의 블라우스 매출이 2013년보다 2014년에 20% 가량 증가하였는데, 특히 아우터형의 긴 블라우스 매출이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는 젊고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는 패션을 선호하는 실 버 세대 여성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 다. 이러한 다운에이징 현상은 앞으로도 크게 확산 될 것으로 예상되고, 업계는 최신 트랜드와 해당고 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상품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Long blouse fever”, 2014). 의류학 계에서는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 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실버 세대의 의복 디자인 선호(Paek, 2005; Jang, 2006), 의복실태조사(Yeo & Kwon, 2005; Chung & Kim, 2006) 등과 같은 소비 자들의 욕구를 파악하는 연구와, 실버 의류의 조형성 이나 스타일 분석에 관한 연구(Chung, 2005; Lim & Lee, 2008; Baek & Byun, 2011)들은 많지만, 살펴보 면 제품의 복종이 포괄적이어서 이에 대한 세분화 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버 여성들이 다른 의상 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편하게 입을 수 있는 블라우 스로 아이템을 선정하여, 블라우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국내·외 실버 세대를 위한 블라우스의 실루엣, 색채, 재질, 무늬의 디자인 특성과 칼라&네 크라인, 슬리브, 장식의 디테일 특성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하여 디자인 전개 방향을 알아보고, 제안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실버 세대를 위한 국내·외 블라우 스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실버 세대를 위한 국내·외 블라우스에 나타 난 디자인 디테일의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실버 세대를 위한 국내·외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전개방향을 분석한다.
II.Background
1.Classification of the blouse
블라우스는 여성용 상의의 하나로 ‘늘어진 느낌 의 불룩한 모양’ 또는 ‘헐렁한 모양을 만든다’는 뜻 이다(Ko, 2011). 흔히 여성과 아동들이 상반신에 입 는 가벼운 소재로 만든 헐렁한 셔츠형을 말하며(Rasar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2), 대체적으 로 허리나 힙 정도의 길이이며,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의 소프트한 디자인이 많다(Lee et al., 2003). 치마, 바지, 수트, 점퍼 등과 조화 또는 대조롭게 입 는 스타일(Calasibetta, 2006)로 모든 의상의 기초가 되며, 가장 많이 활용되고 또 최소한의 경비로 최 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연출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ashion Dictionary, 1999). 디 자인 요소에 따른 분류는 블라우스에 나타난 형태, 장식, 소재 등 디자인 요소의 특징에 따라 블라우 스의 명칭이 붙어진 것을 말하며, 또는 다른 의복에서 블라우스로 변형된 것도 포함한다(Kim, 1999; Fashion Dictionary, 1999; Lee et al., 2003; Kim, 2005; Doosan Encyclopedia, 2010; Bunka Fashion College, 2013). 그 외에도 Davis(1980)는 피트성에 따라 블라우스 를 분류하였는데, buba, cossack, middy, over blouse, peasant, shell, shirt, smock 등 8가지를 포함한다. 착 용방법에 따른 분류는 블라우스를 착용하는 방법 (Kim, 1999; Fashion Dictionary, 1999; Oh, 2000) 과 여밈 방법에 따라(Kim, 1999) 블라우스의 명 칭이 붙어진 것을 말한다. 착용 방법에 따라 분류 된 블라우스는 over blouse, pullover blouse, slip-over blouse, tuck-in blouse 등 4가지를 포함하며, 여밈 방 법에 따라 분류된 블라우스는 Bolero bouse, wrap blouse 등 2가지를 포함한다. 이미지에 따른 분류는 이미지에 의해 블라우스의 명칭이 붙어진 것들을 말하는데, 역사성과 민족성, 조형, 종교성을 중심으 로 이미지의 근원을 가져와 블라우스의 명칭이 붙 어진 것을 말한다(Kim, 2005; Lee et al., 2003). 그 중 역사성에 따른 분류는 시대명 혹은 사람이름으로 분류되었다. 시대명에 따라 분류된 블라우스는 balkan blouse, victoria blouse 등 2가지를 포함하며, 사람이 름에 따라 분류된 블라우스는 balkan blouse, victoria blouse, casanova blouse, cavalier blouse, gaucho blouse, jockey blouse, rodeo blouse 등 10가지를 포함한다. 민 족성에 따른 분류는 각 나라의 민족복에 따라 분류되 었으며, african blouse, choli, cossack, gypsy blouse, peasant blouse, rubashka, russian blouse, zhi-vahgo blouse 등 8가지를 포함한다. 조형에 따른 분류는 회 화 또는 인공조형에 따라 분류되었으며, gibson waist, coach blouse 등 4가지를 포함한다. 종교성에 따른 분류는 cleric blouse, surplice blouse 등 2가지를 포 함한다. 감성에 따른 분류는 연구자의 감성에 따라 분류된 것을 말하며(Park & Na, 2014), collarless blouse, gibson blouse, halter blouse, midi blouse, sash blouse, schoolgirl blouse, shirt blouse, peasant blouse 등 8가지를 포함한다.
이상의 선행연구와 문헌에서 나타난 블라우스 분 류는 디자인요소, 착용방법, 이미지, 감성 등 4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A previous study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전체 인구 중 노년층의 비중이 커지고 사회활동 이 증가하고 구매력 있는 실버 세대가 늘어나면서 의류학계에서도 이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 고 있다. Suh and Lee(1995)는 노년기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 및 의복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노 년기 여성은 오픈칼라, 라운드 네크라인, 긴 길이의 퍼프 슬리브, 민무늬의 블라우스를 선호하였으며, 선호 색상은 봄에는 분홍, 미색, 베이지, 여름에는 하늘색, 파랑, 연두, 가을에는 밤색, 자주, 베이지, 겨울에는 검정, 밤색, 회색으로 계절의 구분이 명확 하였고, 선호 문양은 문양이 없는 단색, 기하학 문 양, 전통문양의 순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Bae(1999) 는 노년층 여성의 의복자아이미지와 의복구매유형 및 선호디자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노년층 여성은 오픈 칼라와 라운드 네크라인, 퍼프 소매와 민무늬, 기장이 긴 블라우스를 선호한다고 하였다. Namkoong(2008)은 시니어 패션 디자인 분석 및 선 호도에 관한 연구에서 한미일 세 나라의 시니어 패 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우리나라는 전반 적으로 모든 체형을 커버할 수 있는 넉넉한 여유분 량과 충분한 길이 등 모든 연령층이 부담 없이 착 용할 수 있는 단순한 디자인이 많았으며, 미국, 일 본의 경우처럼 다양한 디테일이 활용되고 있으나, 특히 금단추, 진주단추, 비즈가 박힌 단추와 밍크 장식 등 주로 화려하면서도 럭셔리한 디테일과 고 명도, 고채도 톤의 과감한 색상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Lim and Lee(2008)는 국내 마담정장 브랜 드와 디자이너 부띠끄 브랜드에 나타난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실루엣은 세미피티 드가 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엘레강스한 이 미지를 추구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프릴, 리본 등의 디테일을 이용하여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엘 레강스함과 각 브랜드의 특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아이템의 전체 또는 부분에 다양한 무늬를 프린트 하여 화려함을 표현하고 있다고 하였다. Baek and Byun(2011)은 뉴실버 세대 패션 브랜드에 관한 연 구에서 블라우스와 티셔츠의 경우, 프린세스 라인 이 없는 H라인 실루엣으로 다양한 길이의 변화를 통해 디자인되고 있었으며, 대부분 셔츠 칼라와 라 운드 네크라인, 브라이트톤과 모노톤, 페일톤을 중 심으로 전개되며, 핑크, 바이올렛 계열, 블루 계열 두 가지 색상 계열로 집중되고 있다고 하였다. 블 라우스는 일정기간 변화 없이 지속되는 클래식 아 이템이면서 연령 구분 없이 누구나 착용할 수 있는 품목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효용성이 높은 것 으로 평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포멀에서 캐쥬얼 까지 확대·적용이 가능한 활용도가 높은 아이템 이다(Seok & Choi, 2012). 그러나 국내 실버 패션에 관한 선행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블라우스에 관한 연구는 포괄적인 내용의 일부일 뿐이며, 디자인 특 성에 관한 고찰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 이에 국내·외 실버 세대 블라우스의 디자인 특성과 디 자인 전개 방향을 알아보고, 다양한 개성과 욕구 충 족을 위해서 기능성을 고려하면서 심미적인 실버 패션을 제안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II.Methods
1.Data collection and methods
이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 및 서적을 통해 블라우 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블라우스의 디자인을 분류 하여, 이를 기반으로 블라우스 종류에 따라 실버 블 라우스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 되는 사진을 수집하기 위한 브랜드 선정은 브랜드 연감 2012/2013에 나타난 브랜드 중에서 국내 백화 점에 입점되어 있으며, 여성복에 분류되어 있고, 중 고가~고가의 가격대에 해당하면서, 타겟층이 메인 타겟과 서브타겟을 포함하여 50대 이상으로 하는 브 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총 국내 15개, 국외 16개의 브랜드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브랜드의 선 정 기준에 의해 국내·외 브랜드 선정 후, 국내 대표 백화점의 웹사이트인 www.hyundaimall.com, www. lotte.com, www.shinsegaemall.ssg.com 및 국내·외 5개의 패션브랜드 홈페이지 등에서 사진을 수집하 였으며, 수집된 브랜드 및 사진의 분포는 <Table 1> 과 같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부터 2014년 7월 의 기간 동안 844장을 수집하였으나, 페플럼 블라 우스 또는 오픈셔츠 블라우스와 같이 자료의 수가 적거나, 앙상블과 같이 아이템을 분류하기 불분명 한 사진은 제외하고, 의류학 전공 박사 3인의 검증 을 받아 판단하기 용이한 정면 포즈 위주로 776장 의 사진을 선별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776장의 사진을 블라우스 분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준인 디자인요소와 착용방 법을 통해 실버 세대를 위한 블라우스를 분류하고 자 한다. 디자인을 기준으로 분류된 블라우스 중 가장 많이 포함된 블라우스를 선정하고, 실버 블라 우스 사진을 가능한 많이 수집한 뒤에 형태적인 면 과 디자인적인 면을 고려하여 이를 유목화 하는 과 정을 거쳐 6가지 종류로 선별하였으나, 자료의 수 가 적은 2가지를 제외하고, 셔츠 블라우스, 티셔츠 블라우스, 풀오버셔츠 블라우스, 튜닉 블라우스와 같은 최종 4가지 종류로 선정하여 각각 블라우스 종류에 따른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Lim & Lee, 2008; Kang, 2010; Kim, 2011)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의 분석기 준을 참고로 하여 실루엣, 색채, 재질, 무늬, 칼라& 네크라인, 슬리브, 장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 며, 이것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자료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과 SPSS 통계패키지 21.0K를 사용 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정리된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개 방향을 알아보고, 국내 실버 블라우스 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IV.Results and Discussion
1.Design ele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실버 세대를 위한 국내·외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루 엣, 색채, 소재, 무늬를 살펴 본 결과는 <Table 3>과 같이 나타났다. 국내 실버 블라우스에서는 재질감, 무늬를 중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루 엣과 색상 및 색조는 그 차이가 적음을 알 수 있었 다. 국외 실버 블라우스는 무늬, 실루엣 재질을 중 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색상과 색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국내와 국외 블라우스의 종류별로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셔츠 블라우스는 H실루 엣(26.5%)과 X실루엣(8.7%)이 많이 나타났다. 색상 은 빨강, 주황, 노랑, 연두를 중심으로 한 난색(15.6%) 과 청록, 파랑, 남색을 중심으로 한 한색(11.0%)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조는 어두운 톤(11.7%)과 화 려한 톤(10.3%)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딱딱한 재질(28.1%)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부드러운 재질은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 아, 앞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셔츠 블라우스 디자인 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무늬는 무늬가 없 는 민무늬(13.7%)와 꽃, 식물, 동물을 중심으로 한 사실적 무늬(9.2%)를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남 을 알 수 있었으며, 복합적 무늬는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복합적 무늬의 셔츠 블라우스 디자인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국 내 티셔츠 블라우스는 H실루엣(15.3%)과 A실루엣 (7.0%)이 많이 나타났다. 색상은 난색(9.7%)과 무채색 (7.3%)이 많이 사용되었다. 색조는 어두운 톤(10.3%) 과 수수한 톤(7.8%)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드 러운 재질(23.4%)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늬 는 민무늬(8.9%)와 여러 종류의 무늬가 섞인 복합 적 무늬(6.7%)를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는 H실루 엣(16.5%)이 많이 나타났다. 색상은 난색(10.0%)과 한색(6.6%)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조는 어두운 톤 (9.2%)과 화려한 톤(8.1%)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드러운 재질(11.7%)과 딱딱한 재질(7.0%), 비치는 재질(6.1%)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늬는 민무늬(12.0%) 와 기하학적 무늬(3.3%), 복합적 무늬(3.1%)를 활용 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튜 닉 블라우스는 A실루엣(3.1%)이 많이 나타났다. 색 상은 난색(4.0%)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조는 수수 한 톤(2.5%)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드러운 재 질(5.6%)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늬는 복합 적 무늬(3.3%)와 사실적 무늬(2.2%)를 활용한 디자 인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국외 셔츠 블라우스는 H실루엣(31.2%)과 X실루 엣(12.6%)이 많이 나타났다. 색상은 흰색, 회색, 검 정색을 중심으로 한 무채색(17.6%)과 난색(14.8%) 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조는 수수한 톤(14.8%)과 밝은 톤(12.1%)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딱딱한 재질(29.1%)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늬는 민 무늬(19.4%)와 양식적 무늬(6.8%), 체크, 스트라이 프를 중심으로 한 기하학적 무늬(6.5%)를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국외 티셔 츠 블라우스는 H실루엣(15.3%)이 가장 많이 나타 났다. 색상은 난색(9.0%)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 조는 수수한 톤(6.0%)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 드러운 재질(10.4%)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 늬는 민무늬(7.8%)와 기하학적 무늬(3.2%), 사실적 무늬(3.05%)를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국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는 H실루엣 (16.2%)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색상은 무채색 (9.7%)과 난색(9.6%)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조는 수수한 톤(8.0%)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드러운 재질(10.4%)과 딱딱한 재질(6.5%)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늬는 민무늬(12.1%)와 기하학적 무늬 (3.8%), 아르누보와 아르데코 문양을 중심으로 한 예술적 무늬(2.95%)를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 남을 알 수 있었다. 국외 튜닉 블라우스는 X실루엣 (2.9%)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H실루엣은 관찰빈 도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H실 루엣의 튜닉 블라우스 디자인이 많이 나타날 것으 로 보인다. 색상은 무채색(3.7%)과 난색(3.5%)이 많 이 사용되었으며, 색조는 수수한 톤(2.7%)과 화려 한 톤(2.4%)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드러운 재 질(4.4%)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무늬는 기하학 적 무늬(2.0%)를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민무늬는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 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민무늬의 튜닉 블라우스 디 자인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 인 구성요소의 특성을 정리하면, 국내 블라우스는 H실루엣과 A실루엣, 난색과 한색, 어두운 톤과 화 려한 톤, 민무늬와 복합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남 을 알 수 있다. 국외 블라우스는 H실루엣과 X실루 엣, 난색과 무채색, 수수한 톤과 밝은 톤, 민무늬와 기하학적 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 기획 시 국외 블라우스의 X실루엣, 기하학적 무늬, 수수한 톤과 밝은 톤과 같은 디자인 구성 요소를 고려한다 면 젊어 보이기를 원하는 실버 세대들의 니즈를 충 족시키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2.Design detai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실버 세대를 위한 국내·외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디테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칼라 & 네크라인, 슬리브, 장식을 살펴 본 결과는 <Table 4> 와 같이 나타났다. 국내 실버 블라우스에서는 장식, 칼라 & 네크라인을 중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슬리브는 그 차이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국외 실버 블라우스는 장식, 칼라 & 네크라인, 슬 리브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국내 셔츠 블라우스는 셔츠 칼라(20.7%)와 베이 직 슬리브(34.0%)가 많이 나타났다. 장식은 단추와 같은 기능적 트리밍(40.7%)이 많이 사용되었다. 국 내 티셔츠 블라우스는 라운드 네크라인(15.6%)과 스탠드 칼라(7.5%)가 많이 나타났으며, 슬리브는 베이직 슬리브(19.2%)와 기모노 슬리브(3.3%)가 많 이 나타났다. 장식은 셔링, 자수, 아플리케와 같은 표면적 디테일(14.0%)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기능 적 트리밍은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 로 보아, 앞으로 기능적 트리밍이 있는 티셔츠 블 라우스 디자인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는 라운드 네크라인(12.3%) 과 스탠드 칼라(6.1%)가 많이 나타났으며, 슬리브 는 베이직 슬리브(15.0%)와 퍼프 슬리브(4.5%), 기 모노 슬리브(3.9%)가 많이 나타났다. 장식은 기능 적 트리밍(23.2%)과 표면적 디테일(10.0%), 곡선적 디테일(7.8%)이 많이 사용되었다. 국내 튜닉 블라 우스는 라운드 네크라인(4.7%)이 많이 나타났으며, 슬리브는 베이직 슬리브(4.5%)가 많이 나타났다. 장 식은 표면적 디테일(4.4%)과 곡선적 디테일(3.4%)이 많이 사용되었다.
국외 셔츠 블라우스는 셔츠 칼라(37.5%)와 베이 직 슬리브(34.4%)가 많이 나타났으며, 기모노 슬리 브는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기모노 슬리브의 셔츠 블라우스 디자인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국외 티셔츠 블라우스 는 라운드 네크라인(15.3%)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 며, 슬리브는 기모노 슬리브(9.0%)와 베이직 슬리 브(7.0%)가 많이 나타났다. 장식은 프릴, 러플, 스 캘럽 곡선과 같은 곡선적 디테일(4.8%)과 표면적 디 테일(3.9%)이 많이 사용되었다. 국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는 라운드 네크라인(9.7%)과 스탠드 칼라 (8.2%)가 많이 나타났으며, 셔츠 칼라는 관찰빈도 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셔츠 칼라의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 디자인이 많이 나타 날 것으로 보인다. 슬리브는 베이직 슬리브(12.4%) 와 퍼프 슬리브(6.5%)가 많이 나타났으며, 장식은 기능적 트리밍(19.45%)과 곡선적 디테일(11.8%)이 많 이 사용되었다. 국외 튜닉 블라우스는 V 네크라인 (3.4%)과 라운드 네크라인(2.9%)이 많이 나타났으 며, 슬리브는 기모노 슬리브(3.9%)와 베이직 슬리브 (2.4%)가 많이 나타났다. 장식은 표면적 디테일(5.0%) 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상의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 인 디테일의 특성을 정리하면, 국내 블라우스는 스 탠드 칼라와 라운드 네크라인, 베이직 슬리브, 기능 적 트리밍과 표면적 디테일, 곡선적 디테일이 특징 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국외 블라우스는 라 운드 네크라인과 V 네크라인, 베이직 슬리브와 기 모노 슬리브, 기능적 트리밍과 표면적 디테일, 곡선 적 디테일이 특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 라서 앞으로 국내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 기획 시 국외 블라우스의 V 네크라인, 기모노 슬리브와 같 은 디자인 디테일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젊어 보이 기를 원하는 실버 세대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3.Design development direction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수집된 사진 자료의 내용분석 및 실버 블라우스 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현 재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에서 나타난 대표적인 전 개 방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에서 중요한 디자인 구성요소가 칼라 및 네크라인 부분이고, 이 요소에서부터 시작하여 디자인 컨셉에 따른 다양 한 실버 블라우스가 디자인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블라우스 디자인에서 디테일의 구성요소인 칼라와 네크라인은 얼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착용자의 인상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디 자인의 구성요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 고, 유행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디자 인이 가능하다(Jang & Seo, 2010)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전제로 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 개 방향을 칼라 및 네크라인에 초점을 맞추어 살 펴보고자 한다.
국내·외 셔츠 블라우스는 스탠드 칼라, 보우· 타이 칼라, 플랫 칼라, 테일러드 칼라 등 다양한 전 개를 보여주고 있다. 국내 셔츠 블라우스는 스탠드 칼라의 높이가 낮은 반면, 국외 셔츠 블라우스는 스탠드 칼라의 높이가 국내 셔츠 블라우스에 비해 높이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현상은 국내와 국 외의 신체 특성에 의해 높이 차이가 생긴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국내 셔츠 블라우스의 보우·타이 칼라는 모양이 머플러와 같은 모양이 많이 보인 반 면, 국외 셔츠 블라우스의 보우·타이 칼라는 리본 모양이 많이 보였다. 이상의 셔츠 블라우스의 디자 인 전개 방향에서 스탠드 칼라는 높이의 변화로 구 분되며, 보우·타이 칼라는 모양의 변화로 구분된 다. 테일러드 칼라는 너비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로 구분된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셔츠 블라우 스의 디자인 전개방향은 <Table 5>와 같다.
국내·외 티셔츠 블라우스는 라운드 네크라인, 스탠드 칼라, 스퀘어 네크라인, V 네크라인 등 다 양한 전개를 보여주고 있다. 국내 티셔츠 블라우스 는 라운드 네크라인에 드레이프 또는 하이 네크라 인과 같은 장식적인 면이 많이 보이는 반면, 국외 티셔츠 블라우스의 라운드 네크라인은 라운드의 모양이 깊거나 넓게 나타났다. 또한, 스퀘어 네크라 인과 V 네크라인에서도 국내보다 국외 티셔츠 블 라우스가 네크라인의 모양이 더 깊거나 더 넓게 나 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티셔츠 블라우 스의 디자인 전개 방향에서 라운드 네크라인과 V 네크라인, 스퀘어 네크라인은 깊이의 변화와 너비 의 변화로 구분된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티 셔츠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개방향은 <Table 6>과 같다.
국내·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는 라운드 네크 라인, 스탠드 칼라, 플랫 칼라, V 네크라인 등 다양 한 전개를 보여주고 있다. 국외 풀오버 셔츠 블라 우스의 라운드 네크라인은 티셔츠 블라우스와 같 이 네크라인의 모양이 국내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 에 비해 네크라인의 모양이 더 깊거나 더 넓게 나 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풀오버 셔츠 블라 우스의 보우·타이 칼라는 머플러와 같은 모양이 많이 나타난 반면, 국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의 보우·타이 칼라는 리본 모양이 많이 나타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 의 플랫 칼라는 둥근 모양이 많이 나타난 반면, 국 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의 플랫 칼라는 셔츠 칼라 모양과 비슷하게 각진 모양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의 디 자인 전개 방향에서 보우·타이 칼라는 모양의 변 화로 구분되며, 플랫 칼라는 끝 모양의 변화와 너 비의 변화로 구분된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개방향은 <Table 7>과 같다.
국내·외 튜닉 블라우스는 스탠드 칼라, 테일러 드 칼라, 셔츠 칼라, 플랫 칼라, V 네크라인 등 다양 한 전개를 보여주고 있다. 국내 튜닉 블라우스는 국외 튜닉 블라우스에 비해 칼라가 달린 디자인이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디자인 전개는 단순히 칼라 모양의 변화뿐만 아니라, 튜닉 블라우스의 여 밈 혹은 실루엣에 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의 튜닉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개 방향에서 스탠드 칼라는 너비의 변화와 높이의 변화로 구분 되며, 셔츠 칼라는 끝 모양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 로 구분된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튜닉 블라 우스의 디자인 전개방향은 <Table 8>과 같다.
V.Conclusion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블라우스 종류에 상관없이 국내 실버 블라 우스와 국외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 구성요소의 공 통점을 살펴보면 실루엣은 대부분 H실루엣으로 나 타나며, 대체적으로 난색과 민무늬의 사용이 두드 러졌다. 차이점은 국내 실버 블라우스는 A실루엣 이 많이 나타났으며, 국외 실버 블라우스는 X실루 엣이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국내 실버 블라우스는 부드러운 재질이 중심적으로 사용되며, 국외 실버 블라우스는 딱딱한 재질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국 내·외 블라우스 종류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셔츠 블라우스는 공통점으로는 H실루엣과 X실루 엣이 많이 나타났으며, 난색과 딱딱한 재질, 민무늬 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차이점으로는 국내는 한색 과 어두운 톤, 화려한 톤이 많이 사용된 반면, 국외 는 무채색과 수수한 톤, 밝은 톤이 많이 사용되었 다. 무늬는 국내는 사실적 무늬가 많이 나타난 반 면, 국외는 양식적 무늬와 기하학적 무늬가 많이 나타났다. 국내·외 티셔츠 블라우스는 공통점으로 는 H실루엣이 많이 나타났으며, 난색과 수수한 톤 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재질은 부드러운 재질이 많 이 사용되었으며, 민무늬가 많이 나타났다. 차이점 으로는 국내는 국외와 달리 A실루엣과 어두운 톤 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무늬는 국내는 복합적 무 늬가 많이 나타난 반면, 국외는 기하학적 무늬와 사실적 무늬가 많이 나타났다. 국내·외 풀오버 셔 츠 블라우스는 공통점으로는 H실루엣이 많이 나타 났으며, 대체적으로 난색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민 무늬와 기하학적 무늬가 많이 나타났다. 재질은 부 드러운 재질과 딱딱한 재질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차이점으로는 국내는 한색과 어두운 톤, 화려한 톤 이 많이 나타난 반면, 국외는 무채색과 수수한 톤 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국외는 국내와 달리 예술 적 무늬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국내·외 튜닉 블 라우스는 공통점으로는 난색과 수수한 톤이 많이 나타났으며, 소프트 재질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 타났다. 차이점으로는 국내는 A실루엣이 많이 나 타났으며, 국외는 X실루엣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국외는 국내와 달리 무채색과 화려한 톤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무늬는 국내는 복합적 무늬와 사실적 무늬가 많이 나타난 반면, 국외는 기하학적 무늬와 민무늬가 많이 나타났다.
둘째, 블라우스 종류에 상관없이 국내 실버 블라 우스와 국외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디테일 특성 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셔츠 칼라와 라운드 네크라 인, 베이직 소매와 기모노 소매가 많이 나타났으며, 기능적 트리밍을 많이 사용하였다. 차이점은 국내 는 국외와 달리 와이어 칼라가 특징적으로 나타났 으며, 국외는 국내와 달리 숄 칼라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블라우스 종류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셔츠 블라우스는 공통점으로는 셔츠 칼라, 베이직 슬리브가 부각되어 나타났으며, 기능 적 트리밍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국내·외 티셔츠 블라우스는 공통점으로는 라운드 네크라인과 베이 직 슬리브, 기모노 슬리브가 부각되어 나타났으며, 장식은 표면적 디테일이 많이 사용되었다. 차이점 으로는 국내는 국외와 달리 스탠드 칼라가 주로 나 타났으며, 국외는 국내와 달리 곡선적 디테일이 주 로 나타났다. 국내·외 풀오버 셔츠 블라우스는 공 통점으로는 스탠드 칼라와 라운드 네크라인이 부 각되어 나타났으며, 슬리브는 베이직 슬리브와 퍼 프 슬리브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장식은 기능적 트리밍과 표면적 디테일이 많이 사용되었다. 차이 점으로는 국내는 국외와 달리 기모노 슬리브가 부 각되어 나타났으며, 국외는 국내와 달리 곡선적 디 테일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국내·외 튜닉 블라우 스는 공통점으로는 라운드 네크라인과 베이직 슬 리브가 많이 나타났다. 차이점으로는 국외는 국내 와 달리 V 네크라인과 기모노 슬리브가 많이 나타 났으며, 장식은 국내의 경우 곡선적 디테일이 많이 사용된 반면, 국외의 경우 표면적 디테일이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이상과 같이 국내·외 실버 세대를 위한 블라우스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의 전개방향을 알아보았다. 블라우스 종류에 상관없이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의 칼라 디자인 전개 방향을 살펴보면 셔츠 칼라는 거의 일정한 모 양으로 두드러진 변화 특성이 보이지 않았다. 스탠 드 칼라는 너비의 변화와 높이의 변화로 구분되며, 스탠드 칼라에 포함된 보우·타이 칼라는 너비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 모양의 변화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랫 칼라는 끝 모양의 변화와 너비 의 변화로 구분되며, 테일러드 칼라는 너비의 변화 와 길이의 변화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 크라인의 디자인 전개 방향을 살펴보면 라운드 네 크라인과 V 네크라인, 스퀘어 네크라인은 깊이의 변화와 너비의 변화, 장식의 변화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블라우스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 로 블라우스를 분류하고, 실버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개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버 세대가 증가 하고, 이들의 경제력에 따른 구매력 측면에서 볼 때, 젊은 감각의 트랜드가 가미된 다양한 디자인이 필요한 국내 환경에서 실버 세대에 적합한 심미성 을 가지는 실버 블라우스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연구의 자료 수집 범위가 2013년F/W부터 2014년S/S까지 이며, 수집원이 인터넷 웹사이트였으므로 실버 블 라우스 디자인의 특성 분석을 위한 사진자료 수집 에는 많은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분 석된 실버 블라우스에 관한 특성을 확대 해석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 는 연구 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변화 주기를 살펴봄으로써 실버 블라우스 의 트렌드를 예측하여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