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1 pp.1-10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1.001

Types of fashion photography investigated through sexual masquerade

Seon-ji Park*, Eun-Hyuk Yim†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Dep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tudies of Art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ehyim@skku.edu)
June 5, 2014 January 29, 2015 February 3, 2015

Abstract

This study, which focuses on a masquerade, starts from the concept that all men exist as visual objects as well as visual subjects before discussing an issue of sexuality to inquire into masquerad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hotography. Masquerade is a concept that can describe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of humans in social norms prescrib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till now, and the concep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fashion. However, it is considered a measure to analyze contemporary expressions of sexuality, on which a need for this research is raised. This study looks into the basic concept of the object and the ego through a psychoanalysis-relate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then inquires into Jacques Lacan's notion of gaze and Roger Caillois's theory of mimicry through related specialty publications. This study reinterprets the concept of masquerade from Lacan's perspective and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masquerade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based on the result drawn in parallel. Sexual masquerade shown in fashion photography based on the concept of masquerade is as follows: first, it appears as normative sexual description,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by social norms; second, sexual ambiguity, obscur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rough playful and bombastic forms; and lastly, sexual subversion, disguising as the opposite sex through putting on clothes of the opposite sex.


성(性)적 마스커레이드를 통해 고찰한 패션사진의 유형

박 선지*, 임 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초록


    I.Introduction

    지난 2012년 우리나라에서 열린 마스커레이드 (Masquerade)展(코리아나 미술관 space*c 갤러리, 2012.8.30.~2012.11.10)은 20세기 중·후반 이후 현 대미술에서의 대표적인 마스커레이드 작업을 선보 였다. 변장을 통해 여러 자아(self)를 창출해 내는 소위 ‘페르소나 퍼포먼스(persona performance)’를 통해 작가들은 정체성의 경계를 지우며 불안정성 을 과감히 노출시켰으며, 다양한 갈등과 고통을 초 래하는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규범에 저항 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마스커레이드를 통해 사 회 규범에 저항하고 정체성을 노출하려는 시도는 후기식민주의, 페미니즘, 퀴어이론 등에서 진행되 어 왔다. 마스커레이드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사회 에서 보여지는 ‘나’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탐색하 게 하는 개념이다.

    라캉(Jacques Lacan)은 ‘나’는 보는 시각 주체이 면서 동시에 ‘보여지는 시각대상’이라고 하였다. 이 때 시각대상으로서의 ‘나’는 곧 응시(gaze)를 전제 로 한 것이며, 응시된다는 것은 곧 그림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으로 나타나는 ‘나’에게는 응시 를 하는 주체에게 자신이 원하는 모습만을 보여주 고 싶은 어떤 욕구가 나타나게 된다. 인간의 속성 이 복잡하고 다층적인 데 비해서 사회가 규범으로 정해놓은 정체성은 단순한 이분법에 근거하고 있 다. 그래서 그 명확하고 단순한 범주에 딱히 부합 되지 못하는 주체에게는 범주화된 경계의 명확한 선을 해체하고 도전하고자 하는 욕구가 발생한다. 마스커레이드(masquerade)는 사회가 정해놓은 ‘나’ 라는 주체에 대한 기대를 가장하고, 혹은 가장을 통해 그 기대를 차단하고, 그 기대에 저항하는 형 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한 인간이 여성이냐 남성이냐를 따지기에 앞서 그 사람이 시각 주체이며 동시에 대 상이라고 하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하는 마스커레 이드에 주목하여, 패션사진에서 나타나는 마스커 레이드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연구된 마스커레이드는 건축(Beak, 2008), 광고(Yoon, 2008), 영화(Park, 1997), 미술(Yoon, 2006) 등에서 이루어져 있다. 마스커레이드는 이분법적인 사회규 범 속에서 다양하고 다차원적인 인간의 속성을 설 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현대의 성적 표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척도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필수적 으로 연구되어야 할 개념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 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마스커레이드의 개념 을 응시와 미미크리(mimicry) 이론과 연관지어 살 펴보고, 둘째, 그 이론을 성적 정체성의 표현 측면 에서 마스커레이드에 적용하여 해석하며, 셋째, 패 션에 그동안 적용되지 않았던 마스커레이드 개념 과의 융합을 통해 패션사진에서 나타나는 마스커 레이드에 대해 고찰한다. 패션에서 마스커레이드는 Lee(2013)의 논문에서 언급되었으나, 패션의 영역 에서 마스커레이드 개념을 활용하기 위한 토대가 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마스커레이드의 개념을 다시 한 번 명확하게 살펴 보고, 향후 현대 성적 표현 특성의 기초 자료로 활 용내지는 후속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 한다.

    연구 방법은 정신분석학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대상과 자아에 관한 기본 개념을 고찰하고, 관련 전문 서적을 통해 마스커레이드의 개념과 라캉의 응시 및 카이와의 미미크리 이론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통해 성의 표현의 측면에서 마스커레이드 개 념을 재해석하고, 앞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현 대 패션사진에서의 마스커레이드적 특성의 사례를 분석하는 연구를 병행한다. 연구 범위는 패션에서 다양한 움직임이 많이 나타난 2010년부터 가장 최 근인 2014년 5월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선정하여, 패션 전문 잡지인 Vogue에 실린 패션 화보 중 성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 마스커레이드적 특성이 뚜 렷이 드러난 사진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Vogue는 국내의 대표적인 라이선스 잡지이며 여성지를 대 표하는 패션 잡지이자, 국내를 비롯하여 미국, 영국 등 세계 각국에서 발행되고 있는 대표적 잡지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되어 영향력이 높은 잡지의 특성상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마스커레이드라는 개념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스커레이드의 개념에 따른 예시 분석을 위해 패션 잡지 Vogue 중 2010년 1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총 53편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대 표 사례를 3개씩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패션과 마 스커레이드를 융합한 개념을 도출하는 초기 단계 의 연구로서, 패션 사진에서 마스커레이드적 특성 이 나타나는 빈도 측정이 아닌 패션 사진에서 나타 나는 마스커레이드적 특성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II.Background

    본 장에서는 패션의 영역에서 생소한 마스커레 이드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응시와 미미크리와 연관지어 해석하여 성의 표현 측면에서의 마스커 레이드 특성을 도출한다.

    1.Concept of masquerade

    마스커레이드(masquerade)는 조안 리비에르(Joan Riviere)가 1929년 ⌈정신분석학 국제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에 실은 ‘가면’으로서의 여성성(Womanliness as Masquerade)이라는 글에서 사용한 이후, 정신분석학에서 주요 개념으로 자리 잡은 용어이다. 리비에르는 그 글에서 남성성을 소 망하는 여성들, 그러나 남성으로부터 위협을 받아 걱정과 보복을 회피하기 위한 방어책으로 여성성 의 가면을 쓴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였다(Sarup, 1994). Riviere(1929)에 따르면, 지적인 여성이 여성 스러워 보이려고 하는 이유는 자신이 아버지로부 터 남성성을 강탈했다고 믿고, 자신의 남성성이 발 휘될 경우 아버지가 보복을 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적인 여성들은 자 신의 남성성이 발휘되었다고 생각하는 순간 여성 임을 강조하는 의상, 여성스러운 제스처, 음성, 어 투 등을 동원하여, 남자 동료들에게 여자로 보이려 고 노력한다(Riviere, 1929). 이는 순진한 척, 죄 없 는 척 하려는 일종의 방어 행위로 그녀들은 남자들 로부터 보복 당하는 위험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여 성스러움을 가장하는 것이다(Riviere, 1929).

    역사적으로, 마스커레이드의 개념은 문명화 과 정의 결과로서 프라이버시라는 개념을 따라 나타 났다(Elias, 2000). 17세기 런던의 여성은 공공의 장 소에서 검은 마스크를 써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 고, 모르는 사람들의 눈길로부터의 평판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Heyl, 2001). 사람들을 자신의 복식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정보를 차단하 고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마 스크를 이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마스커레이드는 남성 시선의 ‘대상 (object)’으로서의 여성이 그 시선으로부터 스스로 를 방어하기 위해 자신의 ‘자아(the ego)’를 감추는 가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은 본능적 욕동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을 가리키 는 용어로, 사랑이나 미움을 받는 사람이나 장소, 사 물, 환상 등을 의미한다(Hamilton, 2007). Freud(2011) 는 대상을 주체와 구별되는 실제로 있고 만질 수 있는 사람이나 사물,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 실제 사람이나 경험적 내용과는 구 별되는 이론적 구성물과 같은 의미 등으로 사용하 였다. 반면, 자아는 지각하고 통합하고 사고하고 행 동하는 것으로 의지하고 사고하고 감정을 느끼는 주체이자 자기 자신의 본질이지만, 우리가 주관적으 로 그것을 알 수는 없으며, 우리 성격의 중심에 위치하 지만 우리가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는 없다(Hamilton, 2007). Freud(2011)는 그의 저서 ⌈The Ego and The Id⌋에서 자아는 자기에 상응하며, 그것은 응집되어 있는 조직체이고 조직자라고 정의했다. Freud(2011) 는 자기로서의 자아는 자기 존재의 다양한 측면, 주 로 신체상과 자기의 주관적인 감각에 대해 의식적 으로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자각한다고 언급하였다.

    마스커레이드는 주체의 대상으로 보여지는 ‘나’ 를 숨기고 거짓되고 꾸며진 ‘자아’를 표출하는 일 종의 가장 형태이다. 마스커레이드는 어떤 이미지 로 겉모습을 이상화하는 일종의 자기선전으로 거짓 페르소나로 해석될 수 있다(Lee, 2011). Tseëlon(2001) 은 ⌈Masquerade and Identities⌋에서 흔히 혼동되는 마스크(mask), 변장(disguise), 마스커레이드를 본질 적으로 구분하였다. Tseëlon에 따르면, 마스크는 본 질적인 특성을 일시적으로 추가시켜(ex, 붙임머리 등) 주목을 받게 하는 자의식적인 인공 장치이며, 변장은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모습을 띄거나 오명 을 숨김으로써 분장을 하거나 통과되려는 노력(ex, 헐리우드의 과산화수소 금발 염색)이고, 마스커레이 드는 조롱이나 사회적 비판으로서, 과장된 형식으 로 보여지는 비유적 패러디이다(Tseëlon, 2001). 마 스커레이드는 거짓을 기념하기 위한 일종의 형태 이기도 하며, 거짓을 벗겨냄으로써 일종의 비판 형 태를 띠기도 한다(Tseëlon, 2012). Goffman(1959)은 사람들은 보통 그들이 나타내려고 하는 모습을 보 여주는 반면, 이러한 모습은 여전히 관리된 모습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스커레이드를 통해 우리는 보여주고 싶은 정체성을 실제 정체성인 것처럼 행 동함으로써 숨기고 기만하거나, 혹은 우리 정체성 의 다양한 면을 보여주기도 한다(Tseëlon, 2012).

    2.Masquerade in gaze and mimicry

    라캉은 1950년대 초부터 시작한 초기 세미나부 터 주체의 정체성과 연관시켜 이미지이론을 발전 시키고 있는데, 그의 이미지 개념은 무의식인 내면 의 이미지, 외적인 이미지, 시각적 이미지뿐 아니 라, 대상으로서 이미지를 다루고 있다(Pih, 2013). 라캉은 ‘나’를, 바라보는 주체일 뿐 아니라 보여지 는 대상이라 정의하였다. 여기서 바라보는 주체에 서 바라보여지는 대상으로 연결된 주체의 의지가 담긴 선을 시선(eyes)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반대 로 바라보여지는 대상으로서 시선의 주체로부터 쏟 아져 들어오는 시선을 받아들이는 것을 응시(gaze)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시선이 내가 바라보는 것이 라면 역으로 응시는 내가 대상으로 바라 보여지는 것으로, 내가 대상-사물을 바라볼 때 이것은 시선 이며 반대로 대상-사물이 내게 시선을 던지는 것, 바라보여지는 것은 응시이다(Son, 2013). 응시, 바 라보여짐은 나를 기습하여 수치심에 빠뜨리며, 타 인의 현존을 상정하기도 한다(Son, 2013).

    사진을 포함해서 회화나 예술작품, 그리고 거울 은 모두 보는 것(seeing)과 인식의 과정을 엮는 작 용으로 라캉은 재현되는 주체와 대상 사이에는 이 미지가 있고, 대상을 파악하는 방식이나 매개도 모 두 이미지라고 정의한다(Jin, 2007). 응시는 주체를 바라보는 타인의 존재와 같은 것으로, ‘나’는 거울 속의 나를 포함한 다른 존재에 의해 관람되거나 바 라봐지는 대상이 되고, 그 가운데에 스크린이나 이 미지가 존재한다(Lacan, 1994). 일방적인 시선의 권 력자로서의 주체는 응시에 의해 새로운 존재로 전 환된다(Jin, 2007).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응시는 사회나 권력이 개인을 비추는 거울이 된다는 전제 안에서 출발한 다. 라캉은 ‘나’는 단 한 지점에서 볼 뿐이지만, ‘나’ 의 실존 속에서 ‘나’는 사방에서 응시되고 있다고 말했다(Lacan, 2008).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 시적인 시각장에서 주체인 ‘나’를 규정하는 것은 ‘나’의 밖에 있는 응시이다(Yang, 2012). 즉, 거울 속의 자아를 응시라고 하는 권력적인 시선(eye)이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의 소수에 속하 는 이들일수록 분쟁 없이 편안하게 살아가기 위해 오히려 더 응시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외적 이미지 를 응시 대상으로서의 이미지로 가장하려 노력한 다. 여기서 마스커레이드의 개념이 등장한다. 응시 대상으로서의 외적 이미지는 주체적인 자아를 표 현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에 의한 철저한 관리와 감시의 대상이 되어 꾸며지고 가장된 이미지로 나 타날 뿐이다.

    미미크리는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가 그의 저서 ⌈놀이와 인간(1994)⌋에서 언급한 용어로 자기 자신을 다른 존재로 믿거나 믿게 하여 일시적으로 다른 인격을 가장하는 것을 말한다(Caillois, 1994). 카이와는⌈ 놀이와 인간(1994)⌋에서 놀이를 경쟁놀 이(agon), 운수놀이(alea), 모방놀이(mimicry), 그리 고 현기놀이(ilinx) 등 4가지로 분류하면서 모방형 식으로 미미크리를 소개했다. 미미크리는 흉내, 모 방, 의태(擬態)를 뜻하며, 놀이로서의 미미크리는 그 자신이 가공의 인물이 되어 그것에 어울리게 행 동하는 것으로 성립하며, 자신의 인격을 일시적으 로 잊고 다른 인격을 가장한다. 따라서 자신이 아 닌 다른 사람 혹은 다른 대상이 되는 것에 흥미를 느끼고, 나 스스로 다른 대상으로 보여지는 것을 즐기는 상태에 머무른다. 미미크리는 끊임없는 창 작이며, 연기자에게는 관객에게 환각(幻覺, illusion) 을 거부하도록 하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면서 관 객을 매혹시키는 것이며, 관객에게는 배경이나 가 면, 인위적인 장치를 처음부터 거부하지 않고, 현실 보다 더 실제적인 현실로서 일정한 시간 동안 환각 (속임수)에 몸을 맡기는 것이다(Caillois, 1994). 따 라서 미미크리는 자신을 탈피하여 다른 대상이 된 다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을 말하며, 다른 대 상으로 보여짐을 즐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Caillois(1964)에 따르면 생물계에는 순수한 변장 의 법칙(a low of pure disguise)이 존재한다. 미미크 리는 생물계에 존재하는 순수한 변장의 법칙이며, 그것은 아무 이유 없이 자신을 다른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Caillois, 1964). 곤충의 미미크리에는 변 장(disguise), 위장(camouflage), 위협(intimidation)의 기 능을 하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변장은 현실에 존재하는 다른 것을 모방하는 행위로 자신을 다른 것으로 착각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위장은 전혀 움직이지 않거나 주변 사물들과 동일한 운동 을 함으로써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여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Caillois, 1964). 위협은 괴물 같은 모습을 하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시늉을 하거 나 이상한 소리를 내어서 상대방이 겁에 질리도록 만드는 행위로, 자신을 무서운 대상처럼 보이게 만 들어 상대방에게 겁을 주는 역할을 한다(Caillois, 1964).

    라캉은 카이와의 미미크리 개념을 받아들여, 미 미크리를 자신의 참모습과는 다른 눈속임의 일종 으로 언급하였다. 라캉에 따르면 미미크리는 배후 에 있는 ‘그 자신’, 즉, 참모습과는 다른 모습을 보 여주는 행위이다(Lacan, 2008). 미미크리는 진짜와 가짜를 분리시키고 가짜만을 보여준다(Yoon, 2006). 라캉은 주체는 보여지는 대상이며, 보여지도록 주 어진 것들 사이에서 유혹되는 존재라고 하였다(Joo, 2006). 시각장에서 ‘나’는 진짜 ‘나’와 가짜 ‘나’로 나뉘는 데, ‘나’는 남에게 가짜 ‘나’만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른 사람의 진짜 모습을 못보고 가짜 모습 만을 본다(Yoon, 2006). 카이와는 그의 저서 ⌈The Mask of Medusa⌋에서 자신의 모양을 원하는 형태 로 변형시키는 힘에 대해 언급했는데(Caillois, 1964), 라캉은 이 개념에서 미미크리의 주체성을 발견했 다. 라캉은 미미크리가 시각차원에서 주체의 전체 모습을 알게 해준다고 주장했다(Yoon, 2006). 미미 크리에서 외부 시선의 대상인 겉모습과 함께 주체 내부에 들어있는 힘, 즉 자신의 겉모습을 스스로 디자인하는 주체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Yoon, 2006). 미미크리가 다른 인격을 가장하는 단 순한 놀이를 넘어선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라캉이 사용한 마스커레이드라는 개념에서 해석될 수 있다.

    3.Sexual masquerade

    성적 불균형 상태로 구축된 세계에서, 보는 쾌락 은 능동적/남성과 수동적/여성으로 양분되어 있다 (Mulvey, 2009). 지배적인 남성의 시선은 자신의 환 상을 여성의 형상에 투사하고, 여성의 형상은 거기 에 맞춰 양식화된다(Mulvey, 2009). 전통적으로 노 출의 역할을 맡은 여성은 강한 시각적 효과와 에로 틱한 효과로 코드화된 외관으로 보여지고, 전시되 는 일종의 ‘볼거리’라고 할 수 있다(Mulvey, 2009). Freud(2000)는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에서, 시각쾌락증(scopophilia)을 성감대와 분 리된 충동으로 존재하는 성적인 본능들 중 하나로 구분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시각쾌락증을 다른 사 람들을 대상물로 취급하고, 호기심 어린 지배적인 시선에 종속시키는 행위와 연관시켰다. 라캉에 따 르면 마스커레이드에 의해 생겨나는 여성성과 남 성성은 ‘보임을 당한다’는 수동적인 측면과 함께 ‘스스로 자신이 보여지도록 만든다’는 적극적인 측 면을 지닌다(Yoon, 2006). 라캉은 리비에르의 마스 커레이드 개념을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확장했다(Owens, 1992). 즉, 남 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형식을 탈피하여 모 든 성적 특성의 문제를 마스커레이드로 보고, 그것 을 미미크리와 관련시켰다.

    마스커레이드는 대상이 여성인지 남성인지를 구 분하기에 앞서 대상 자체의 본질에서 출발한다. 이 에 대해 Yoon(2006)은 그의 논문에서 마스커레이 드는 첫째, 시각장에서 주체가 순수하게 보는 주체 만도 아니고, 그렇다고 순수하게 보여지는 대상만 도 아니며, 둘째, 보여지는 대상일 때조차도 자신의 겉모습을 스스로 연출하는 적극적인 존재이며, 셋 째, 보여지는 대상으로서 자신의 모습을 꾸며내는 이유는 외부 시선을 무력화 시키려는 방어의도와 함께 외부 시선이 무력화된 순간, 그 시선의 주체 를 공격하려는 의도까지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했다. 다 시 말해 마스커레이드는 성과 계급, 인종의 경계를 넘어서 시각 대상으로서의 ‘나’가 보여주는 사회 규범에 대한 도전이자, 억압된 감정으로부터의 해 방이다. 마스커레이드는 일종의 카니발로 권위적이 고 공식적인 지배문화에 대항하여 이를 희화화하 고 전복하려는 저항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III.Masquerade in fashion photography

    앞에서 고찰한 내용을 통해 마스커레이드가 주 체가 순수하게 보는 주체도 아니고, 순수하게 보 여지기만 하는 대상도 아닌 두 역할을 다 하고 있 는 이중적인 상태에 존재하며, 보여지는 대상일 때 수동적으로 노출이 되는 상태에서 벗어나 스스 로 자신이 보여주고자 하는 모습으로 연출하는 능 동적인 존재이며, 이를 통해 외부에서 자신을 보 는 시선에게 선택적인 모습만은 제공하여 자신을 방어하고, 또한 그 시선을 무력화시켜 보고 있는 대상에게 충격을 안겨주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들을 토대로 패 션사진에서 나타나는 성적 가장의 형태를 살펴보 면, 크게 규범적 성의 묘사, 성의 모호성, 성의 전 복이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예는 첫째, 사회적 규범에 맞춰 남성과 여성으로 이분화 된 성을 묘사한 것, 둘째, 유희적이고 과장 된 형태를 통해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관한 성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것, 셋째, 이성의 옷 입기를 통해 상대의 성으로 가장하면서 이분법적으로 나 누어진 성 이외의 자신의 정체성을 표출하는 것으 로 나타난다.

    1.Normative sexual description

    먼저 규범적 성의 묘사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사회에서 정해진 남성스러움과 여성스러움이라는 규범 속에서 자신을 더 여성스럽게 또는 더 남성스 럽게 스스로 꾸미는 것을 말한다. 자신의 겉모습을 사회적 규범에 맞게 스스로 연출하면서, 이성에게 사랑받기 위한 매력적인 존재로 가장하는 것이다.

    <Fig. 1>은 2011년 3월호 Vogue에 실린 화보로 이성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매혹적인 여성과 남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 사진에서는 요염한 여성으로 스 스로를 가장하여, 남성에게 거세된 여인, 열등한 존 재로 보이도록 유도하면서, 경쟁자가 아닌 매력적 인 존재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2012년 3월, Vogue에 게재된 <Fig. 2>를 보 면 영화 ‘가비’의 두 주인공의 모습이 담겨 있다. 이 두 주인공은 영화에서 조선 최초로 바리스타가 된 여자와 그녀를 사랑한 남자로 그려지는 데, 이 사진에서 상대에게 서로 매혹적으로 보이는 남성 과 여성이 등장하여 사회에서 규정한 남성과 여성 이라는 성의 표현을 보여준다. 특히 여성은 뒤로 돌아 남성에게 기댄 포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여성이 영화에서 조선 최초의 바리스타이자 스파 이라는 능동적인 여성의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이 사진에서는 남성에게 의지하는 거세된 여인으로 스스로를 표현하여 자신의 음모를 감추고 있는 듯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Fig. 3>은 새롭게 해석된 디올(Christian Dior)의 뉴룩 스타일을 통해 전형적인 클래식 여성 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e Iconic Lady’라는 타 이틀의 이 화보는 ‘미스 디올(Miss Dior)’이라는 전 형적인 우아한 숙녀의 모습을 표방한다. 이 사진에 서 나타나는 여성은 사회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의 모습이 아닌 완벽한 외모의 트로피 와이프(trophy wife)의 모습으로 거세되고 보호받아야할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2.Sexual ambiguity

    성의 모호성은 유희적 형태나 과장된 형태를 통 해 ‘나’를 성적 대상으로 보는 시선을 차단함으로 써 외부 시선을 무력화한다. 성의 모호성을 보여주 는 사진들은 대체로 우스꽝스럽고 기괴한 모습을 통해 보는 이를 당혹스럽게 만든다.

    2011년 1월 Vogue의 화보를 보면 인체에서 성을 구분할 수 있는 특징적인 부분을 컷아웃 디테일과 주름, 넓은 재킷으로 가리고 모호한 형태의 실루엣 으로 보여주고 있다(Fig. 4). 이 화보의 주제는 ‘아 트 투 웨어’로 패션과 예술의 경계에서 남녀의 이 상적인 모습이 아닌 오브제로서의 ‘나’를 표현하는 데 주력하였다. ‘형태의 추측’이라는 제목의 이 사 진은 모호한 형태를 통해 모델에 대한 정보의 차단 하고, 아름다움, 성별, 사회적 관계를 해체하여 시 각대상으로서의 ‘나’를 표현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성적 가치판단이라는 권력을 가진 외부의 시선을 무력화시킨다.

    또한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명화를 주제로 한 2010년 7월 Vogue의 화보에서도 성의 모호성을 찾 아볼 수 있다. <Fig. 5>는 클림트의 작품 유디트 (Judith)를 모티프로 촬영한 사진으로 팜므파탈(femme fatale)로 그려지는 유디트를 표현하고 있다. 클림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유디트는 가슴을 훤 히 드러낸 채 매혹적인 표정을 짓고 있는데, 매우 에로틱하며 매혹적인 여성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 러나 Vogue의 화보에서는 팜므파탈과 숙명의 여인 으로 그려지는 유디트를 남성 모델이 중성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유혹의 시선을 차단하고 모호한 성 의 경계를 보여주고 있다. 명화라는 공간을 도입하 면서 남성과 여성의 구분을 떠나 하나의 대상으로 만 ‘나’가 표현되고 있다.

    <Fig. 6>에서는 볼륨감 있는 소재로 인체 곡선을 무시한 채 만들어진 드레스를 통해 커다란 구조물 속에 몸을 감추고 있는 형태로 ‘나’를 성적 대상으 로 보는 시선을 차단하고 오브제로서만 사진 속에 존재하고 있다. 사진을 보는 사람은 성적 시선을 차단당하고 우스꽝스럽고 기괴한 대상만을 유희적 으로 바라보게 된다.

    3.Sexual subversion

    마지막으로 이성의 옷 입기를 통해 상대의 성으 로 가장하면서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져 ‘나’에게 주 어진 성을 거부함으로써, 사회적 규범에 대해 도전 하고억압된 감정의 해방을 통해 정체성을 표출하 는 성의 전복에 대해 살펴보겠다.

    2013년 8월 Vogue의 사진을 보면 쌍둥이처럼 보 이는 두 여성이 나란히 서로를 응시하고 있다(Fig. 7). 그러나 똑같이 긴 금발머리를 늘어뜨리고 있는 이 두 여성의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독자, 즉 시선의 주체는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되고 곧 충격을 받게 된다. 겉으로 보기에 완벽히 여성으로 보이던 두 여성 중 한 명이 사실은 남성이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성의 전복에서는 스스로 상대의 성으로 자 신을 꾸며, 시선의 주체로 하여금 자신을 상대의 성으로 착각하게 만들고, 시선의 주체가 그 사실을 깨달았을 때 충격을 주어 그 시선의 주체를 공격하 고 있다.

    <Fig. 8>에서는 얼핏 보기엔 식당에서 매혹적인 여성 앞에 담배를 피우고 있는 남성이 앉아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는 순간 그 남성 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매혹적인 여성 앞에 앉은 여성은 남성으로 스스로를 가장해 시선 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Fig. 9>에서는 완전히 뒤로 빗어 넘 긴 머리에 헐렁한 민소매와 통이 넓은 바지로 쭈뼛 거리듯 서 있는, 흔히 볼 수 있는 남성의 모습을 한 모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 모델은 유명 한 여성 모델인 다리아 워보이(Daria Werbowy)이 다. 이 사진 역시 여성에게 주어진 사회적 규범에 도 전하여 유명 여성 모델에게 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대를 거부하고, 전혀 생각지 못한 모습을 보여줌 으로써 시선의 주체를 공격한다.

    지금까지 패션사진에서 나타나는 성적 표현 특 성을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앞에서 고찰한 내용들을 토대로 패션 사진에 나타난 마스커레이 드의 세 가지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패션의 영역에서 성적 마스커레이드는 보는 주체 와 객체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능동적인 자 기 표현으로 나타났다. 규범적 성의 묘사는 그 표현 형태가 전형적이고 규범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거기에는 이성에게 매력을 어필하기 위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다. 성의 모호성은 유희적이고 과장 된 형태를 통해 나를 성적인 대상으로 보는 시선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으며, 성의 전복은 이 성의 옷 입기를 통해 상대에게 충격을 전달하고 시 선을 공격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다.

    IV.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응시를 바탕으로 미미크 리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마스커레이드라는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사회 적 규정은 현대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갈등을 빚어 오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많은 연구들 에서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마스커레이드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사회에 보 여지는 ‘나’를 시각적으로 연출하여 선택적으로 본 인이 보여주고자 하는 모습만을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사회적 성의 문제에 접근하기에 효 과적인 핵심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형식을 탈피하여 모든 성적 특성의 문제를 마스커레이드로 간주하 였다.

    마스커레이드의 개념을 토대로 패션사진에서 나 타나는 성적 가장을 살펴보면, 첫째, 사회적 규범에 맞춰 남성과 여성으로 이분화 된 성을 묘사한 것으 로 자신의 겉모습을 사회적 규범에 맞게 스스로 연 출하면서 이성에게 사랑받기 위한 매력적인 존재 로 가장한 규범적 성의 묘사, 둘째, 유희적이고 과 장된 형태를 통해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관한 성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여 ‘나’를 성적 대상으로 보는 시선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시선을 무력화하는 성 의 모호성, 셋째, 이성의 옷 입기를 통해 상대의 성 으로 가장하면서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진 성 이외 의 자신의 정체성을 표출하며, 시선의 주체에게 충 격을 주는 성의 전복으로 나타났다.

    마스커레이드라는 개념이 현대의 다양화된 성의 표현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개념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션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비했다. 아직 까지 패션을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마스커레이드 라는 개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지 않았으나, 이후 후속 연구를 통해 패션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의 마스커레이드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현대의 성 적 표현 특성을 재정의 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RJCC-23-1_F1.gif

    From. Vogue(2011, March). p.524.

    RJCC-23-1_F2.gif

    From. Vogue (2012, March). p.594.

    RJCC-23-1_F3.gif

    From. Vogue(2013, September). pp.472-473.

    RJCC-23-1_F4.gif

    From. Vogue(2011, January). p.314.

    RJCC-23-1_F5.gif

    From. Vogue(2010, July). p.245.

    RJCC-23-1_F6.gif

    From. Vogue(2010, January). p.266.

    RJCC-23-1_F7.gif

    From. Vogue(2013, August). p.201.

    RJCC-23-1_F8.gif

    From. Vogue(2010, September). p.459.

    RJCC-23-1_F9.gif

    From. Vogue(2014, May). p.325.

    Table

    The characteristic of masquerade in fashion photography

    Reference

    1. Beak SH (2008) A study on the productive urban interstice through a reflection of masquerade - Focused on the space of urban "in between" as masquerad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2. Caillois R (1964) The mask of Medusa , (G. Ordish. Trans), Clarkson N. Potter, Inc, (Original work published 1960)
    3. Caillois R (1994) Les jeux et les hommes [Man, Play, and Games] , (S. R. Lee, Trans), Moonye Publishing Co., Ltd, (Original work published 1958)
    4. Elias N (2000) The civilising process, Blackwell,
    5. Freud S (2000)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 (J. Strachey. Trans), Basic books,
    6. Freud S (2011) Das Ich und das Es [The Ego and the Id], Martino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23)
    7. Heyl Christoph Z (2001) The metamorphosis of the mask in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London , Masquerade and identities: Essays on gender, sexuality, and marginality, Routledge,
    8. Jin HY (2007) Woman as the object of the ‘gaze’ - De-constructing Krauss’ Sherman <Untitled Film Still> theory , Reviews on the Art History, Vol.29 ; pp.59-84
    9. Joo EJ (2006) 시각과 현대성 [Vision and modernity], Hannarae,
    10. Lacan J (1994) Theory of desire , (S. K. Min, Trans), Moonye,
    11. Lacan J (2008) Les 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 Y. Maeng & S. R. Lee. Trans), Saemulgyul, (Original work published 1973)
    12. Lee TH (2011) 사람의 마음이 읽힌다 [Mind reading], Kyunghyangmedia,
    13. Lee YH (2013) The woman’s body in fashion photography : On theory of feminism and gaz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4. Mulvey L (2009) Visual and other pleasures, Palgrave Macmillan,
    15. Gregory Hamilton N (2007)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Self and others: Object relations theory in practice] , (J. S. Kim, C. D. Kim, & J. Y. Lee, Trans),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16. Owens C (1992) Beyond recognition: Representation, power,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Park HM (1997) A study on feminist film critic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8. Pih JH (2013) Lacan's gaze theory and the subversion of representation , Franz Kafka, Vol.29 ; pp.187-209
    19. Riviere J (1929) Womanliness as masquerade ,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Vol.10 ; pp.303-313
    20. Sarup M (1994) 알기 쉬운 자끄라깡 [Jaques Lacan] , (H. S. Kim, Trans), Baekui, (Original work published 1992)
    21. Son SW (2013) Study on Lacan`s approach to animation with concepts of desire, gaze and fantasy , PNU Film Institute, Vol.6 (1) ; pp.27-58
    22. Tseëlon E (2001) Masquerade and identities: Essays on gender, sexuality, and marginality, Routledge,
    23. Tseëlon E (2012) Fashion and the orders of masking , Critical Studies in Fashion & Beauty, Vol.3 ; pp.3-9
    24. Vogue (2010) Doosan Magazine, ; pp.-266
    25. Vogue (2010) Doosan Magazine, ; pp.-245
    26. Vogue (2010) Doosan Magazine, ; pp.-459
    27. Vogue (2011) Doosan Magazine, ; pp.-314
    28. Vogue (2011) Doosan Magazine, ; pp.-524
    29. Vogue (2012) Doosan Magazine, ; pp.-594
    30. Vogue (2013) Doosan Magazine, ; pp.-201
    31. Vogue (2013) Doosan Magazine, ; pp.472-473
    32. Vogue (2014) Doosan Magazine, ; pp.-325
    33. Yang SK (2012) Cartoon criticism; The subject and the gaze based on Lacan’ s theory otherness of vision: Focusing on KUBRICK of Kang, Do-Ha , Cartoon & Animation Study, Vol.26 ; pp.79-108
    34. Yoon HC (2008) The representation of self-identity in video phone TV commercials ,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8 (2) ; pp.349-358
    35. Yoon JY (2006) ‘Gaze’ and ‘Mimicry’ in Georges Seurat’s Les Poseu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