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2 No.5 pp.696-71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4.32.5.696

A study on the Assyrian men’s costumes from the 10th to 7th centuries B.C.

Hyun Jin Cho†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Market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hyunjin7@kmu.ac.kr)
August 14, 2024 October 10, 2024 October 16, 2024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ain insight into society and culture in the 10th to 7th centuries B.C. by exploring the clothing in Assyria, which was the most powerful force in Mesopotamian civilization at the time.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cusing on a total of 127 Assyrian artifacts held in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sic forms of Assyrian clothing are tunics and shawls. The tunics have short sleeves and are knee or ankle length with a special type of tassel decoration. They have a wide belt at the waist, and a decorative panel is attached vertically below with a strap. In addition to the basic clothing, there are loincloths and overskirts, with some having open right sides and fringe decorations to denote a higher status. The overskirt has a third or fourth-tier skirt structure with an open front and fringe decorations on the edges. Most military members, except for archers, wore knee-length tunics as uniforms. As for armor, they wore short-chest or knee-length coat-type lamella armor. Headwear mainly consisted of cylindrical hats and headband-type decorations. In the case of bracelets, mainly rosette-shaped decorations and simple ring-shaped bracelets with three or one turn were worn. For shoes, sandals were mainly worn, and soldiers mainly wore boots. As a result, each costume element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wearer’s status, clearly showing Assyrian costume culture.



기원전 10~7세기 아시리아 남자복식에 대한 연구

조현진†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국립중앙박물관은 2022년 7월 22일부터 2024년 1월 28일까지 ‘메소포타미아, 저기록의 땅(Mesopotamia, Great Cultural Innovations)’이라는 주제로 약 1년 6개월간 메소포타미아실을 새롭게 설치하여 전시를 개최했다. 이 전시는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의 공동 기획으로 진행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들이 소개되었다. 특히, 쐐기문자 점토판, 인장, 종교적 물품, 초상 등 66점이 전시되어(Kim, 2022)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풍요로운 역사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 가운데 고대 아시리아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높은 수준의 문명을 구축한 문화 중 하나로 부각되었다. 이들의 복식 문화는 단순한 의상 착용을 넘어, 그들의 사회, 종교,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 큰 영향을 미쳤고 특정 문화나 시대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반영하는 중요한 사회적 요소로 인식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아시리아는 초기 아시리아(2500~2025 BC), 구아시리아 제국(2025~1378 BC), 중아시리아 제국(1392~ 934 BC), 신아시리아 제국(911~605 BC)으로 시대가 구분된다(“Assyria”, n.d.). 본 연구는 약 2000여 년의 긴 아시리아의 역사 중에서 신아시리아 시대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이 시대는 이전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이지만 아시리아가 가장 강대한 세력을 형성했던 시기로서 당시의 자료가 해외 여러 나라의 박물관에 양과 질 면에서 풍부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며, 이 시기의 아시리아 복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한다.

    이에 대해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사학 분야에서는 아시리아 제국의 역사기록에 대한 연구 (Kim, 2003), 아시리아와 주변국과의 정치 및 경제활 동에 관한 연구(Kim, 2011;Son, 2019), 고고학 분야로는 19세기 영국의 아시리아 문명 발굴과 수용에서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의 혼종성에 대한 연구(Kim, 2018), 신학 분야에서는 성경에 기록된 아시리아 관련 연구(Park, 2007;Shim, 2011) 외 다수의 연구가 있으나, 복식분야에서는 아시리아의 문양에 대한 연구 (Kim, 2001)가 유일할 정도로 아시리아 복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시리아의 복식에 대한 국내 연구가 이전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미흡하게 다룬 측면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고대 아시리아의 복식은 단순한 패션의 표현을 넘어서, 그들의 신앙체계, 사회적 계급, 성별 역할 등과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아시리아 복식의 문화적 의미와 사회적 기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자료와 유물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문헌자료는 아시리아의 역사와 복식 관련 서적과 논문 등을 활용하였고, 유물자료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었던 메소포타미아 문명전 유물 중 아시리아 관련 6점의 유물과 메트로폴리탄 뮤 지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에 소장 중인 58점과 브리티쉬 뮤지움(The British Museum)에 소장 중인 47점, 루브르 뮤지움(Louvre Museum)에 소장 중인 16점을 포함한 총 127점의 아시리아 유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수집한 유물자료는 남성 중심의 사회였던 고대 아시리아의 남자복식에 중점을 두어 해당 문화에서의 기능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대 아시리아의 복식이 어떻게 이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 걸쳐 기능하고, 어떠한 의미를 내포 하고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그들의 생활과 사회 구조를 더 깊이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이 다양한 문화적 콘셉트와 전통적인 요소를 현대 패션에 통합함으로써 복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History of Assyria

    아시리아는 북부 메소포타미아 티그리스강 유역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메소포타미아와 아나톨리아 사이의 교역로를 장악하면서 제국의 성장을 도모하였다(Coffin & Stacey, 2008/ 2014). ‘아시리아’라는 단어는 BC 2000년 경에 세워진 고대 도시이자 수도였던 아수르에서 유래한 명칭으로서 이후에는 북부 메소포타미아 전체와 이집트 그리고 아나톨리아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대제국으로 성장하였고 니네베를 수도로 삼았다(“Assyria”, n.d.). 아시리아는 기원전 10세기 이후 고대 서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세력으로 등장하여 침체기와 쇠퇴기를 거친 뒤 기원전 9세기 초부터 모습을 드러낸 아시리아는 몇몇 아시리아 왕이 효과적이고 중앙 집권적인 체제를 확장하는데 성공하면서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는 세력으로 빠르게 떠올랐다(National Museum of Korea, 2022). 역사적으로 중요한 첫 번째 왕인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Ⅱ, 883~859 BC) 이후 신아시리아 제국 지도(Fig. 1)를 보면 샬메네세르 3세(Shalmeneser III, 859~824 BC)가 제국의 기틀을 잡은 후, 이를 이어서 티글라스-필레세르 3세 (Tiglath-Pileser III, 745~727 BC)가 서쪽의 레반트(Levant) 지역과 동쪽의 자그로스 산맥(Zagros Mountains) 까지, 사르곤 2세(Sargon II, 722~705 BC)가 북쪽의 히타이트 동남부 타우러스 산맥(Taurus Mountains)에서 남쪽의 아라비안 사막과 페르시아만까지, 센나체리브(Sennacherib, 705~681 BC)가 유대 지역,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 688~627 BC)이 이집트 전역을 정복함으로써(Oppenheim, 1964), 단기간에 급속하게 영토가 성장과 팽창된 것을 보여준다.

    대제국을 건설하면서 아시리아의 심장부에 위치한 아수르(Assur)에서 칼후(Kalhu), 뒤르샤루킨(Dur- Sharrukin)과 니네베(Nineveh)로 수도를 이동하였다. 신아시리아인들은 군사적 기술적 독창성과 고도화된 행정력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제국을 건설했으나(Patrick Goodman, 2021), 아슈르바니팔 이후 급속히 쇠락의 길으로 접어들면서 B.C. 612년 멸망하게 되었다.

    2. Society of Assyria

    아시리아의 사회계층은 최상층에 제사장을 겸한 왕이 있고, 그 아래 귀족과 관리로 구성된 상류계층과 일반 서민계층으로 나뉜다. 서민계층은 자유로운 신분의 사람들과 노예의 두 계급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아시리아에서 노예 가족은 개인의 집합체가 아닌 하나의 전체로 취급되어 법의 테두리 안에서 노예가 팔려갈 경우 혼자가 아닌 가족 단위로 판매협상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아시리아의 노예는 개인 재산과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었고, 밭과 정원, 집과 자신의 노예를 소유할 정도로 경제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에서 특이하다(Delaporte, 1925/1996). 노예의 경제적 자유 보장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이 아시리아는 상업활동을 장려함으로써 아시리아가 이집트․히타이트․메소포타미아를 연결하는 지점이 주요 근거지였던 요인으로 인해 고대 근동의 무역을 좌우하는 상업국가로 성장하게 되었고(Shim, 2011), 이러한 상업주의를 통해 축적하였던 부를 기반으로 강력한 군국주의적 지배력을 결합하여 독자적인 군사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에 비해 여성들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여성들의 지위에 대해서는 쐐기문자 토판에 아시리아 법(Palace Decrees)이라 불리는 문서들에 당시 여성들에게 법이 매우 엄격했음을 보여준다. 여성들은 남편과 아버지의 부양에 의존했고 남편이 전쟁 중 적에게 포로로 잡히면, 여성은 재혼을 하려면 2년이 지나야 했다. 그동안 아버지나 아들이 그 여성을 부양 하였다. 혹은 임신 중이라면 사회가 부양해 주었다. 그녀의 첫 남편이 2년 후에 돌아오면 그녀는 다시 받아들여져야 했다. 이때 두 번째 남편을 통해 얻은 자 식이 있다면 두 번째 남편에게 남겨졌다. 범죄에 대한 형벌은 보통 신체 절단이었다. 개인으로부터 물건을 훔치다 잡힌 여인은 남편에 의해 귀가 절단되었고 피해자에 의해 코가 절단되었다. 여성의 사회활동은 엄격하게 제한되었다. 기혼 여성의 경우 홀로 외출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머리를 베일로 가려야만 했다. 미혼 여성과 노예, 그리고 창녀들은 머리를 가리는 것이 불가하였다. 이에 머리를 가린 창녀는 50대의 곤장을 맞고 옷을 벗긴 후 뜨거운 액체를 머리에 뒤집어썼다. 누구든지 머리를 가린 창녀를 보고도 보고하지 않으면 같은 형벌에 처해졌다(Van de Mieroop, 2004/ 2010). 이와 같은 여성들의 낮은 지위는 강력한 군국 주의적 지배력을 가진 남성 중심의 아시리아 제국에서 많은 기록으로 남아 있어 남성의 지위와 대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 Religion in Assyria

    아시리아의 종교는 다른 메소포타미아 종교들과 많은 공통된 신을 가진 다신교적 종교였다. 이 신들은 혼인관계와 인척관계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특히 도시와 결부되어, 이 신에 대한 신앙이 해당 도시 종교의 중심축이 되었다. 앗슈르(Assur)는 이러한 아시리아 종교에서 최고신으로서 아시리아의 발상지인 앗슈르 (현재 이라크의 알 시르깟 현)와 연관되어 숭배된 지역신(local deity)이었다. 다만 앗슈르는 해당 도시와 신의 이름이 일치하는 극히 드문 예 가운데 하나다 (Rhie, 2009).

    이러한 앗슈르 신앙은 기원전 9세기 님루드(Nimrud)에서 출토된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왕좌 뒤에 있는 부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Fig. 2). 부조에는 가운데 생명나무를 기준으로 좌우에 아슈르나시르팔 2세와 그 뒤로 날개 달린 정령이 따르고 있고 생명나무의 꼭대기에는 날개 달린 원반 안에 최고의 신인 앗슈르(Fig. 3)가 오른쪽을 향해 있으며, 왕의 뒤를 따르는 정령(精靈)이 생명나무에 성수를 뿌리고 있음을 볼 수 있다(Curatola, 2006). 이는 최고 통치자인 왕이 신에게 경의를 표시하는 종교적인 의례라 할 수 있다.

    <Fig. 4>는 페르시아 최고의 신인 아후라마즈다(Ahura Mazda)로서 아시리아 최고의 신인 앗슈르 이후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 최고의 신으로 이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최고의 신 앗슈르 외에 다른 신에 대한 종교의식이 사적인 생활에서도 행해졌는데 가령 남편에 대한 애정 표현에 실패한 여자의 경우 사랑의 여신 이쉬타르(Ishtar)에게 제례의식을 치르는 동안 여신의 무릎에 열네 매듭으로 땋은 대마와 양모로 된 끈과 길쭉하게 자른 가젤(gazelle) 고기를 올려 놓았는데(Delaporte, 1925/1996) 이러한 의식에 사용된 제물에 대한 의미는 기록에 남아 있지 않지만 남녀 간의 결합을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Ⅲ. Assyrian Men’s Costumes from the 10th to 7th Centuries B.C.

    기존 서양복식사에 아시리아의 복식은 튜닉과 숄을 기본으로 한다고 일반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리아 남자복식을 분류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로인클로스(loincloth)와 오버스커트(overskirt)를 추가로 발견하여 연구내용에 포함하였으며, 다음 과 같이 아시리아의 남자복식, 군사복식, 장신구 순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 Men’s costumes

    1) Tunic and shawl

    아시리아 남자 튜닉은 짧은 소매에 몸에 꼭 맞는 원피스 형태이며, 상류층은 옷 길이가 길고, 군인과 노동자는 무릎길이로 짧다. 왕과 귀족의 튜닉은 옷 전체에 무늬가 있는 것이 있고, 아랫도련에 길이가 긴 술 장식이 있다(Shin, 2006). 아시리아의 술 장식은 프린지(fringe)와 태슬(tassel)로 구분된다. 이러한 술 장식은 <Fig. 44>와 <Fig. 45>에서 시각적으로 잘 확인할 수 있는데 밑단 가장자리의 겉쪽에는 구불거리는 울 소재로 추정되는 프린지가, 안쪽에는 태슬이 장식된 것을 볼 수 있다.

    먼저 <Fig. 5>에서는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튜닉을 착용하고 있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와 뒤를 따르는 호위병, 부채를 든 시종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왼쪽 맨 뒤 병사 2명은 무릎 길이의 튜닉을 착용하고 있다. 모든 튜닉의 밑단에는 태슬이 장식되어 있으며 복부 에는 넓은 복대에 가는 끈을 묶어 고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경우 복대의 가는 끈이 길게 늘어뜨려지고 끝에 태슬이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를 묘사한 다른 부조(Fig. 6)에서 보여지는 튜닉에서는 가장자리에 태슬이 달린 힙을 가리는 덮개 장식이 복대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볼 때 계급을 구분하는 표식으로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자연적인 존재인 정령(Fig. 7)의 튜닉을 살펴보면, 앞서 무릎길이이며, 밑단에 태슬 장식이 아닌 중첩된 연이은 사각형 모양의 자수로 추정되는 문양이 가장자리를 장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복대의 경우 <Fig. 5>의 복대보다 절반 정도 폭이 좁고 가운데에 매듭 끈이 있으며, 수직 아래로 밑단 가장자리 문양으로 장식된 패널이 늘어뜨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패널 장식의 우측면에는 태슬이 8개가 달려있고 아랫면에는 커다란 태슬 1개가 다리 사이로 매달려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아시리아의 튜닉은 계급과 신분에 다양한 길이와 장식으로 착용되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아시리아의 숄은 왕과 신들, 그리고 궁정 고위 관리들만이 착용할 수 있는 격이 높은 복식으로서(Boucher, 1987) 가장자리에 술이 장식되어 공식적 의상의 징표가 되었는데 술의 길이와 정도로 착용자의 지위를 나타내고 있다. 왕과 고관들은 술의 길이는 물론 술의 개수, 폭과 배치 등으로 신분을 나타냈는데 그 디자인도 경․위사로 술 달린 것, 기하학적 무늬와 여러 색상으로 짠 것, 환상적이거나 종교적 의미를 담은 자수를 놓은 것 등을 다양하게 만들어 장식했다 (Chung, 2010).

    <Fig. 8>과 <Fig. 9>는 튜닉 위에 숄을 착용한 아슈 르나시르팔 2세의 동상이다. 왕은 왕관을 쓰지 않은 채 맨머리로 서 있다. 그의 머리카락은 길지만, 길고 웅장한 곱슬 수염이 위엄을 더하고 있다. 왕의 옷은 짧은 소매의 튜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위에 긴 테두리의 숄이 허리 아래로 그의 몸 대부분을 덮고 있다. 숄은 왼팔 위에 그려져서 등을 감싼 다음, 오른쪽 어깨 위로 앞으로 나아가 앞의 벨트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오른손에는 둥근 낫 모양의 무기인 시컬(sickle)과 왼손에는 타격용 무기인 메이스(mace)를 쥐고 있는 모습은 왕의 강한 힘과 권위를 표현한 것으로 보여진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숄 이외에 다양한 형태가 발견되는데 먼저 <Fig. 10>은 하늘을 향해 솟아 올라가는 듯한 식물의 줄기를 잡고 있는 남성의 모습으로 정강이 길이의 반소매 튜닉 위에 가늘고 긴 숄을 두른 것으로 보여진다. 이 숄은 좁은 폭에 비해 긴 프린지 장식이 달려 있고 허리를 감은 후 왼쪽 어깨 위로 숄 자락을 넘긴 것으로 보인다. 이 숄과 비교해 볼 때 <Fig. 11>의 숄은 엉덩이를 두른 후 오른쪽 어깨 위로 폭이 좁아진 숄 자락을 넘겼고 숄의 가장자리에는 깃털처럼 보이는 프린지가 장식되어 있다. <Fig. 12>의 숄은 <Fig. 11>의 숄과 유사하나 허리 앞에 앞치마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고 숄의 가장자리 겉자락에는 프린지가, 안자락에는 태슬이 장식되어 있다. <Fig. 13> 의 사르곤 2세(Sargon Ⅱ, 722~705 BC)가 착용한 숄의 경우 허리 아래로 정강이 길이의 숄 끝자락이 좌우로 벌어져 있고 허리 위로는 양 어깨를 덮으면서 끝자락이 등 뒤로 늘어뜨려져 있고 가장자리에는 프린지가 장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왕의 앞에서 있는 신하의 폭이 좁은 숄은 허리에서 나선형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왼쪽 어깨 너머로 숄의 끝자락이 늘어뜨려 진 것을 볼 수 있다. 신하가 착용한 숄의 프린지 길이는 왕의 프린지 길이보다 긴 것으로 볼 때 폭이 좁은 숄의 경우 계급의 상하와 관계없이 상급자가 착용한 폭이 넓은 숄의 프린지 길이보다 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시리아의 튜닉과 숄의 소재는 가죽․모직물과 이집트산 리넨과 인도산 목면, 실크로드를 통해 수입된 비단 등이 있고, 보석과 화려한 자수로 장식된 직물들이 사용되었다. 색채에서는 다양한 천연염료를 사용한 직물 염색으로 매우 화려했다. 그리고 티그리스 강 유역의 도시 모슬에서 머슬린이라는 얇은 목면이 생산되었고, 다마스커스에서는 견직물이 생산되었으며,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온 머슬린이나 다마스크의 원조가 되는 직물을 이때부터 생산해 낸 것으로 미루어 아시리아의 직물 발달을 짐작할 수 있다(Shin, 2006).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바로 사르곤 2세가 착용한 숄을 확대한 <Fig. 14>와 같이 정교한 로제트(rosette) 문양이 드러나는데 이로써 당시의 수준 높은 직조 기술을 짐작할 수 있다.

    2) Loincloth

    허리에 두르는 로인클로스는 아시리아만의 독특한 디테일이 발견되고 있는데 그 예로써 <Fig. 15>에 묘사된 사자 머리를 한 반인반수의 우갈루(Ugallu)라는 보호신의 모습에서 확인된다. 우갈루는 상반신은 나체에 허리 아래로 무릎 길이의 짧은 로인클로스를 착용하고 있으며 옆선 가장자리에 프린지 장식이 특징적이다. 2명의 보호신이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자세에서 전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트임은 오른쪽 옆선에만 있으며, 정교한 장식이 새겨진 넓은 복대와 오른쪽 어깨를 사선으로 걸친 수대(baldric)를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6>은 사자 사냥에 나선 남성으로서 상반신은 반팔 상의를 착용하고 그 위에 <Fig. 15>와 동일한 로인클로스를 착용하였으나 수대는 착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반소매의 튜닉 위에 로인클로스를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착장 스타일은 <Fig. 17>에서 보여지는 길가메시(Gilgamesh)의 로인클로스에서도 확인된다. 이 로인클로스는 옆선 트임뿐만 아니라 밑단에도 태슬 장식이 있고 옆선 트임 부분에 4개의 큰 태슬이 2개씩 묶여 늘어뜨려져 있음으로써 계급에 따라 다양하게 착장되고 장식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 외의 로인클로스는 <Fig. 18>과 <Fig. 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Fig. 18>의 로인클로스는 허리를 한 바퀴 두른 후 오른쪽 다리를 한번 더 두르고 있으며, 많은 주름과 가장자리 테두리가 있고, <Fig. 19>의 로인클로스는 트임의 좌우로 프린지 장식이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계급과 착용 상황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로인클로스를 착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Overskirt

    아시리아만의 독특한 복식 아이템을 추가한다면 앞이 오픈된 오버스커트를 들 수 있다. <Fig. 20>은 아시리아 오버스커트의 구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반소매에 무릎 위 길이의 튜닉 위에 넓은 벨트로 여미고 스커트의 앞이 오픈된 채로 착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커트 부분을 자세히 보면 4단으로 구성된 깃털 모양의 티어드(tiered) 형식에 밑단에는 일자형의 프린지 장식이 있고 트임의 세로 측면에는 깃털 모양의 프린지 장식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깃털 모양의 프린지와 티어드 장식은 그리핀(griffin) 머리에 날개 달린 인간의 몸을 한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표현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외 <Fig. 21>에 묘사된 오버스커트의 경우 3단으로 구성된 가장자리에 프린지 장식이 달려 있고, <Fig. 22>에서는 폭이 좁은 벨트에 가장자리 장식이 없는 4단의 티어드 형식의 오버스커트를 확인할 수 있다. <Fig. 23>에서는 희미하게 4단의 티어드가 확인되지만 다른 오버스커트에 비해 2줄의 가는 벨트와 앞부분이 많이 오픈된 것으로 볼 때 오버스커트 또한 계급과 착용 상황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Military costumes

    아시리아인의 호전적인 기질은 군복의 발달을 가져왔는데 그 형태는 짧은 튜닉 위에 갑옷을 입고 머리에는 원추형의 투구를 썼다. 허리에는 넓은 보호용 벨트를 매었고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팔 밑으로 수대를 둘렀다. 갑옷의 소재는 구리․청동․철 등의 찰편(札 片)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러한 소재는 방호뿐만 아니라 햇빛을 반사시켜 적들에게 위협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상업성이 강한 아시리아인들은 터키 고원의 광산물, 특히 구리를 직물들과 바꾸어 직물을 풍부하게 소유할 수 있었으며 광물의 풍부함과 제련공업의 발달은 갑옷을 만드는 일을 용이하게 했다(Chung, 2010). 이러한 우수한 아시리아 군복 발달은 <Fig. 24>와 <Fig. 25>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Fig. 24>는 강을 건너는 기병의 모습이다. 기병의 갑옷을 자세히 보면 작은 미늘형 찰편(札片)을 가로로 길게 엮은 후 세로로 이은 흉갑을 착용하고 허리 부분에는 긴 찰편을 엮은 복대를 착용함으로써 방어력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갑옷 속에 착용한 튜닉의 밑자락은 옆선에 트임이 있어 활동성을 높였다.

    <Fig. 25>는 아시리아 갑옷 제작 기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짧은 소매에 발목 위까지 오는 긴 포(袍)형의 갑옷이다. 이 갑옷의 경우 14단의 찰편을 엮었으며 허리에 벨트를 하고, 벨트 아래 갑옷 앞 부분은 오픈되어 밑단까지 가장자리 장식이 있다. 그리고 어깨부터 허리까지 이어진 띠 장식은 갑옷의 화려함과 정교함을 더하고 있다.

    <Fig. 26>은 궁수의 갑옷으로 조끼 형태의 흉갑을 착용하고 있으며 자세히 보면 앞서 보았던 미늘 갑옷이 아닌 금속 소재의 사각형 징(stud)을 박은 갑옷이다. 궁수는 갑옷 속에 다른 병종과 달리 발목길이의 긴 튜닉을 착용한 점이 특이하다. <Fig. 27>은 궁궐 경비병의 갑옷으로 기병의 갑옷 형태와 유사하나 튜닉의 밑단이 일자형이고 엉덩이 부분에 가리개가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 <Fig. 28>과 <Fig. 29>는 아시리아 군대에 동원된 하급 군인들의 모습으로 흉갑을 착용하지 않고 무릎 길이의 튜닉에 수대와 칼을 찬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Fig. 28>의 병사들은 원추형의 투구를 착용하지 않고 활을 든 병사는 머리띠를 하고 방패를 든 병사는 머리띠에 볼가리개가 있는 둥근 모자를 착용하였고 두 병사 모두 <Fig. 15>에서 묘사된 동일한 로인클로스를 착용하고 있다. <Fig. 29> 는 전차를 운반하고 있는 병사들로서 머리에는 아무것도 착용하고 있지 않으며 <Fig. 28>의 병사들과 동일한 튜닉과 로인클로스를 착용하고 있다. 이들의 수대를 확대해보면 단순한 일반 병사의 수대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로제트 문양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3. Accessories

    1) Headdress

    아시리아의 남자 머리쓰개는 크게 모자 형태와 머리띠가 주를 이룬다. 먼저 <Fig. 30>은 도끼를 든 초자연적인 존재인 정령들이 주로 착용한 황소뿔 3개가 장식된 원통형 모자이며 <Fig. 31>은 신성한 나무에 물을 주는 정령이 착용한 황소뿔 3개가 장식된 정수리가 둥근 원통형 모자이다. <Fig. 32>는 머리 부분만 남은 정령으로서 둥근 보석판이 장식된 머리띠를 착용한 것을 보면 정령들의 역할에 따라 다른 종류의 머리쓰개가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3>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가 착용한 왕의 모자로서 앞뒤로 악사들과 호위병들이 나열한 것으로 볼 때 간소한 행사에서 착용되었으며 <Fig. 34> 또한 아슈르나시르팔 2세가 평상시에 착용한 정수리가 둥근 고깔형 모자로서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자가 착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남자 머리쓰개는 <Fig. 35>와 <Fig. 36>처럼 폭의 넓이가 다른 머리띠 형태를 신분이 낮은 남자들이 착용한 것으로 보이며 <Fig. 37>의 깃털이 장식된 악사의 모자처럼 신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머리쓰개가 착용되었을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2) Bracelet and shoes

    그 외 장신구로는 팔찌가 가장 두드러지게 착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주로 <Fig. 38>, <Fig. 39>와 같은 로제트 모양의 장식이 달린 팔찌가 다양한 계층에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팔찌의 안쪽은 <Fig. 40>처럼 쉽게 벌리고 오무림으로써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의 팔찌는 링 형태로서 <Fig. 41>처럼 세 바퀴를 감거나 <Fig. 42>처럼 한 바퀴를 감는 형태가 있으며 <Fig. 43>와 같이 바깥쪽으로 결합부분이 나오게 착용하기도 하였다.

    아시리아인들의 신발은 주로 샌들이 착용되었다. 샌들의 형태는 <Fig. 44>, <Fig. 45>와 같이 착용자에 따라 발꿈치를 덮는 부분과 발등에서 끈을 묶는 방식을 달리하여 착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군인들의 경우 주로 <Fig. 46>과 같은 부츠 형태의 신발을 착용하였으나 하급군인의 경우에는 샌들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군인의 부츠 형태를 자세히 보면 발과 종아리 부분이 꼭 맞도록 입체적인 재단법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Table 1>은 이상에서 다룬 아시리아의 복식을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Ⅳ.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기원전 10~7세기 아시리아 복식에 대해 해외 여러 나라의 박물관에 산재한 당시 유물들을 중심으로 복식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시리아 남자복식은 짧은 소매에 무릎 또는 발목 길이의 특별한 형태의 튜닉, 태슬 장식이 있고 허리에는 넓은 복대를 착용하고 있으며 중앙에 끈 매듭 장식과 수직 아래로 장식패널이 부착되어 있다. 숄은 신분에 따라 크기와 프린지의 길이가 다르며, 착용 방식도 다양하다. 로인클로스는 특히 오른쪽 옆선이 트이고, 신분에 따라 태슬 또는 프린지 장식이 있다. 오버스커트는 앞이 오픈된 3단 또는 4단의 티어드 스커트 구조이고 가장자리에 프린지가 장식되어 있다.

    군사 복식의 경우 궁수를 제외하고 대부분 무릎 길이의 튜닉을 착용하였다. 병사들의 지위에 따라 태슬과 프린지 장식이 다르며, 기본적으로 수대와 칼을 착용한다. 병사들의 로인클로스는 무릎길이의 오른쪽 옆선이 트여 있고 트임 부분에 프린지 장식이 있으며 활동성이 많은 병사들 위주로 착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갑옷으로는 작은 미늘형 찰편으로 엮은 형식의 짧은 흉갑 또는 무릎 길이의 긴 포형 미늘 갑옷이 착용 되었다. 그러나 하급 병사의 경우 투구와 갑옷을 착용하지 않고 수대와 칼을 착용하였다.

    머리쓰개의 경우 주로 원통형 모자와 머리띠 형식의 장식이 보여지고 신분에 따라 다양한 머리장식을 착용하였다. 팔찌의 경우 주로 로제트 모양의 장식을 한 형태와 단순한 링 형태로 세 바퀴 또는 한 바퀴를 감은 팔찌를 착용하고 있다. 신발은 주로 샌들을 착용하고 있으며 군인들은 주로 부츠 형태의 신발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당시 주변 국가와 구분되는 아시리아 복식의 다양성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태슬과 프린지가 달린 아시리아의 로인클로스와 오버스커트는 주변 강대국이었던 이집트의 대표적인 하의인 로인클 로스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각 복식 요소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됨으로써 아시리아의 복식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기원전 10~7세기 아시리아 복식을 중심으로 관련된 유물자료 127점이라는 적은 수로 당시 아시리아 복식을 설명하기에 많은 제한이 있었으나, 본 연구가 국내 학계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아시리아의 다양한 복식 양식을 재조명함으로써 연구대상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관련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Figure

    RJCC-32-5-696_F1.gif

    Map of Neo-Assyria Reprinted from Patrick Goodman. (2021). https://www.worldhistory.org

    RJCC-32-5-696_F2.gif

    Worship of Assur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a).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3.gif

    Assur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a).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4.gif

    Ahura Mazda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ly 10, 2017).

    RJCC-32-5-696_F5.gif

    Ashurnasirpal II and his servants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b).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6.gif

    Ashurnasirpal II’s waist decoration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c).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7.gif

    An eagle-headed, winged, supernatural spirit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a).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8.gif

    The front of Ashurnasirpal II’s costume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d).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9.gif

    The back of Ashurnasirpal II’s costume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d). https://www.britishmuseum. org

    RJCC-32-5-696_F10.gif

    Assyrian men’s shawl 1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a). https://www.metmuseum.org

    RJCC-32-5-696_F11.gif

    Assyrian men’s shawl 2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e).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12.gif

    Assyrian men’s shawl 3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b).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13.gif

    Shawl of Sargon II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c).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14.gif

    Textile of shawl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c).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15.gif

    Assyrian men’s loincloth 1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f).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16.gif

    Assyrian men’s loincloth 2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g).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17.gif

    Assyrian men’s loincloth 3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d).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18.gif

    Assyrian men’s loincloth 4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b). https://www.metmuseu m.org

    RJCC-32-5-696_F19.gif

    Assyrian men’s loincloth 5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h).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20.gif

    Assyrian men’s overskirt 1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i).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21.gif

    Assyrian men’s overskirt 2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e).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22.gif

    Assyrian men’s overskirt 3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27, 2023).

    RJCC-32-5-696_F23.gif

    Assyrian men’s overskirt 4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c). https://www.metmuseum.org

    RJCC-32-5-696_F24.gif

    Cavalry armor of Assyria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27, 2023).

    RJCC-32-5-696_F25.gif

    Long armor of Assyria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d). https://www.metmuseum.o rg

    RJCC-32-5-696_F26.gif

    Archer’s armor of Assyria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j).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27.gif

    Guard’s armor of Assyria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k).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28.gif

    Assyrian soldier 1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l). https://www.britishmuseum.org

    RJCC-32-5-696_F29.gif

    Assyrian soldier 2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f).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30.gif

    Headdress 1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m). https://www.britishmuseum. org

    RJCC-32-5-696_F31.gif

    Headdress 2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g). https://collections.louvre. fr

    RJCC-32-5-696_F32.gif

    Headdress 3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h).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33.gif

    Headdress 4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n). https://www.britishmuseum .org

    RJCC-32-5-696_F34.gif

    Headdress 5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o). https://www.britishmuseum.or g

    RJCC-32-5-696_F35.gif

    Headdress 6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i).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36.gif

    Headdress 7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e). https://www.metmuseu m.org

    RJCC-32-5-696_F37.gif

    Headdress 8 Reprinted from The British Museum. (n.d.p). https://www.britishmuseu m.org

    RJCC-32-5-696_F38.gif

    Bracelet 1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d).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39.gif

    Bracelet 2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g).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40.gif

    Bracelet 3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j).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41.gif

    Bracelet 4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g).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42.gif

    Bracelet 5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k).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43.gif

    Bracelet 6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f). https://www.metmuseum.org

    RJCC-32-5-696_F44.gif

    Sandals 1 Reprinted from Louvre Museum. (n.d.l). https://collections.louvre.fr

    RJCC-32-5-696_F45.gif

    Sandals 2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g). https://www.metmuseum.org

    RJCC-32-5-696_F46.gif

    Boots Reprin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h). https://www.metmuseum.org

    Table

    Characteristics of Assyrian costumes

    Reference

    1. Assyria. (n.d.). In Wikipedia.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en.wikipedia.org/wiki/Assyria
    2. Boucher, F. (1987). 20,000 Years of fashion.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3. Chung, H. S. (2010). A history of fashion. Seoul: Gyomunsa.
    4. Coffin, J. G. , & Stacey, R. C. (2014). Western civilizations: Their history & their culture (S. I. Park, Trans.). Goyang: Sonamu.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5. Curatola, G. (2006). The art and architecture of Mesopotamia. New York: Abbeville Press Publishers.
    6. Delaporte, L. (1996). Mesopotamia: The Babylonian and Assyrian civilization (V. Gordon Childe, Trans.). London: Routledge. (Original work published 1925)
    7. Kim, K. (2018). The hybridity of orientalism of the empire in the 19th century British excavation and acceptance of Assyrian civil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British Studies, 40, 177-222.
    8. Kim, M. (2001). A study on the art style of sacred tree: Focusing on the Assyrian style tree patter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5(3), 63-71.
    9. Kim, T. (2011). A study on commercial relations between Assyria and Egypt of the 8–7th centuries BCE through opening of trading stations (the Assyrian Karum-Institution). Korea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76, 7-33.
    10. Kim, Y.-J. (2003). Assyrian historiography. The Journal of Classical Studies, 12, 1-24.
    11. Kim, Y. N. (2022, July 21). 국립중앙박물관, ‘메소포타미아, 저기록의 땅’ 전시 개최 [National museum of Korea holds exhibition of ‘Mesopotamia, land of records’]. Yonhap News.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v.daum.net/v/20220721100342285
    12. Louvre Museum. (n.d.a).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693
    13. Louvre Museum. (n.d.b).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3106
    14. Louvre Museum. (n.d.c).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698
    15. Louvre Museum. (n.d.d).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687
    16. Louvre Museum. (n.d.e). Sceau cylindr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43719
    17. Louvre Museum. (n.d.f).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708
    18. Louvre Museum. (n.d.g).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689
    19. Louvre Museum. (n.d.h).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722
    20. Louvre Museum. (n.d.i).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553
    21. Louvre Museum. (n.d.j).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695
    22. Louvre Museum. (n.d.k).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703
    23. Louvre Museum. (n.d.l). Orthostat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collections.louvre.fr/en/ark:/53355/cl010122704
    24. National Museum of Korea. (2022). Mesopotamia: Great cultural innovations, selections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Seoul: Author.
    25. Oppenheim, A. L. (1964). Ancient Mesopotamia: Portrait of a dead civilization.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Park, S.-B. (2007). Judah invasion of Assyria king sennacherib study. Korea Journal of Theology, 6, 51-67.
    27. Patrick Goodman. (2021, March 5). Neo-Assyrian Empire c. 912-612 BCE. World History Encyclopedia.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worldhistory.org/image/13557/neo-assyrianempire-c-912---612-bce/
    28. Rhie, S. (2009). The Assur cult of the Neo-Assyrian period: Assur as the symbol of society.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28, 132-152.
    29. Shim, C. S. (2011). The god’ plans for Assyria history and revelational undertones toward the present christianity. Logos Management Review, 9(1), 61-82.
    30. Shin, S. (2006). A history of costume in the west. Seoul: Suhaksa.
    31. Son, T. (2019). The relation between Assyria and Babylonia in the 7th century B.C.: A reconsideration of policy of Sennacherib and Esarhaddon to Babylonia. Journal of Historycal Review, 92, 387-420.
    32. The British Museum. (n.d.a).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49-0502-15
    33. The British Museum. (n.d.b).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47-0623-13
    34. The British Museum. (n.d.c).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47-0623-10
    35. The British Museum. (n.d.d). Statu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1-0902-507
    36. The British Museum. (n.d.e). Box-fitting.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960-1010-1
    37. The British Museum. (n.d.f).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6-0909-28
    38. The British Museum. (n.d.g).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6-0909-16_7
    39. The British Museum. (n.d.h).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23339
    40. The British Museum. (n.d.i). Figur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80-1216-42
    41. The British Museum. (n.d.j).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80-0130-7
    42. The British Museum. (n.d.k).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1-0902-7-b
    43. The British Museum. (n.d.l).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6-0909-9
    44. The British Museum. (n.d.m).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6-0909-41
    45. The British Museum. (n.d.n).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47-0623-13
    46. The British Museum. (n.d.o).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48-1104-17
    47. The British Museum. (n.d.p). Wall panel; relief.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britishmuseum.org/collection/object/W_1856-0909-22
    48.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a). Panel.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4924
    49.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b). Plaque fragment.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4208
    50.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c). Stamp seal (oval conoid) with cultic scen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3863
    51.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d). Furniture plaque carved in relief with warrior holding lotuses.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4927
    52.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e). Head of a male figure.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4201
    53.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f). Relief panel.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2611
    54.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g). Relief panel.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2614
    55.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h). Relief fragment: cavalryman leading his horse beside a stream. Retrieved February 2, 2024,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2625
    56. Van de Mieroop, M. (2010).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K. W. Kim, & H. K. Kang, Trans.). Seoul: CLC.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