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4차 산업 혁명의 시대를 맞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산업의 융합화 흐름이 적용되고 있다(Lee, 2023). 웨어러블 테크놀로지(wearable technology)는 대표적인 디지털 컨버전스 분야로서, 착용자가 원할 때 의복에 디스플레이나 센서 등 특정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패션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의미한다(Paek, 2022).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는 디지털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패션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Lee, Lee, & Choi, 2021). 2010년 이후 상용화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제품은 대부분 스마트 안경, 모자, 시계 등의 아이템들로 패션 액세서리가 주를 이루는 동향을 보이며(Suh & Roh, 2015),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아이템으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Park & Kim, 2019). 특히, LED 광원 기술은 소형의 크기와 높은 에너지 효율, 다양한 컬러의 빛을 통해 패션 액세서리의 심미적, 기능적인 측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디지털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Kim & Yoo, 2011), 릴리패드 아두이노 보드와 함께 더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패션 액세서리와 관련된 학계의 연구로는 Kwon(2024)의 조도 센서 아두이노 릴리패드와 LED를 부착한 핸드워머 개발 연구, Lee, Lee, & Choi(2021)의 3D 프린팅한 가방 핸들 액세서리에 릴리패드 아두이노와 LED를 활용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연구, Kwon(2021)의 스포츠 헤드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오디오 디바이스 개발 연구 등이 있으며, 주로 단순히 기술을 적용한 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제품 시장의 주요 소비자층은 트렌드와 개성을 중시하는 20대와 30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Lee, Choo, & Kim, 2021), 단순히 기능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감성적 디자인 요소가 함께 표현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Min & Kim, 2017). 이에 젊은 소비자들의 다층적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과 감성이 함께 부여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패션 액세서리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 고 있으며,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디자인 개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최근 웨딩 산업에서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웨딩 플래닝, 증강 현실을 통한 웨딩 드레스 피팅, 대형 LED 미디어 월 콘셉트의 예식홀 등 다양한 형태로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Kim, 2024). 결혼식 트렌드에 개성과 감성을 중요시하는 소비 성향이 반영되고 있으며,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소규모 하우스 웨딩, 테마 웨딩, 나이트 웨딩 등 하객과 소통하며 즐길 수 있는 파티 형식의 결혼식이 증가하고 있다(Han & Lim, 2022). 이러한 웨딩 트렌드 변화에 따라 개성 있고 차별화된 웨딩 스타일링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웨딩 드레스뿐만 아니라, 함께 코디네이션 하는 웨딩 액세서리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Lee, 2019). 이는 웨딩 드레스 및 웨딩 액세서리를 ‘결혼’이라는 특별한 상징성을 갖는 추억의 소장품으로서 구입하고자 하며, 제품을 통해 개성과 다양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Lee & Park, 2018).
Meng(2023)은 감성 소비의 트렌드에서 웨딩드레스 디자인은 성능, 기능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감성적 요구와 미적 경험이 반영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im(2024)은 실용성과 장식성이 추구되는 웨딩 헤어장신구 디자인을 위해 진주와 크리스탈을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Yang and Do(2022)는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 만족을 위해 탄생석과 탄생화를 모티브로 응용한 웨딩 헤어코사지 디자인을 연구한 바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개성 및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최근 웨딩 산업 소비 트렌드를 따르는 연구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제품에 기능적 요소나 특정 재료, 이미지 등을 적용한 디자인 개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애프터 웨딩 및 웨딩 파티를 위한 웨딩 스타일링은 어두운 예식홀 공간이나 저녁 시간 등의 상황을 고려한 기능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신부의 감성지향적 니즈가 반영되어야 한다(Lee, 2020). 특히, 신부가 추구하는 웨딩 콘셉트와 감성적 이미지는 웨딩 드레스와 웨딩 액세서리의 조화로운 스타일링을 통해 비로소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함께 개발하여 코디네이션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성 있고 특별한 웨딩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LED 광원 기술이 적용된 웨딩 액세서리를 디자인 개발하고, 웨딩 스타일링을 전체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웨딩 드레스를 함께 디자인 개발하였다. 이를 위한 세분화된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웨딩 제품의 개발 방향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웨딩 산업에서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Background
1. Wearable technology and the Arduino Lilypad
아두이노 릴리패드는 MIT 레아 뷰크리(Leah Buechley) 교수팀에 의해 개발된 단일 보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써 웨어러블 의상이나 전자 섬유 제작 등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의류나 액세서리 등의 직물 위에 부착되어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원형의 판이다(Na, Tang, Han, & Kim, 2021). 다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비해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독립적인 인터랙티브 장치로 사용되거나 혹은 릴리패드와 호환되어 센서 기능을 갖는 패션 액세서리 개발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아두이노 릴리패드는 직물 기반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고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원단 위에 장치들을 바느질하여 부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Ha & Kim, 2014). 아두이노 릴리패드 종류에는 아두이노 릴리패드 메인 보드(Arduino Lilypad main board), 아두이노 릴리패드 심플 보드(Arduino Lilypad simple board), 아두이노 릴리패드 USB(Arduino Lilypad USB), 아두이노 릴리패드 심플 스냅(Arduino Lilypad simple Ssnap), 릴리 타이니(Lily tiny) 등이 있다(Kim, 2020). 특히, 아두이노 릴리패드 보드들 중 가장 작은 형태인 릴리 타이니는 20mm의 크기로 4개의 핀을 가지고 있으며, AT tiny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활용한다. 4개의 핀은 각각 LED 빛이 다른 동작을 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데, 0번 핀은 동일한 간격의 패턴으로 빛이 들어 오고, 1번 핀은 동일한 간격의 패턴으로 반짝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2번 핀은 점등과 소등이 되는 기능을 가지며, 3번 핀은 빛이 비동일한 간격으로 페이드(fade)되는 기능을 갖고 있다(Kim, 2020). 이러한 LED 빛의 다양한 동작이 보드 자체에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프로그래밍 없이 LED와 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쉽고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2. LED fashion accessory design examples and research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기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이다(Son & Kim, 2007). 최근 패션 산업에서는 LED의 다양한 컬러와 자체 발광 등의 장점이 디자이너의 디자인 의도에 맞게 의상 및 액세서리에 재구성되고, 빛을 조형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패션의 기능성과 심미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Lee & Lee, 2017).
국내 디자이너 김영희가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Gravity of light’ 모자는 주변이 어두워지면 LED 빛 센서가 작동하는 인터랙션 기능이 특징인 액세서리이다(Lee et al., 2021; Fig. 1). 아이스카이 네트웍스(Isky networks)의 ‘Divoom pixoo sling bag’은 LED 픽셀 아트를 구현한 가방 디자인으로, 사용자가 개인 스마트폰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LED 픽셀 아트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미적 감각과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Lee et al., 2021; Fig. 2). LED 의류 제작 업체 루멘 쿠튀르(Lumen couture)에서 제작된 ‘LED matrix face mask’는 COVID-19 바이러스 감염 방지를 위해 디자인 개발된 LED 마스크로(Lumen Couture, n.d.), 상대방과의 물리적 거리가 마스크 전면에 LED로 표시되어 사회적 거리두기에 편리한 용도를 제공하였다(Fig. 3). 영국 디자이너 케이트 피어슨(Kate Pearson)의 브랜드 ‘FABRIKK’의 ‘VELA LED handbag’은 열 때마다 안감에 내장된 LED 빛이 원단의 광섬유를 통해서 자동으로 전파되도록 디자인함으로써 빛의 기능적이면서도 심미적인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FABRIKK, n.d.; Fig. 4). 이와 같은 사례들과 같이 패션 액세서리 산업 분야에서 LED 광원 기술은 기술과 감성의 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디자인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감성 지향 니즈를 만족시킴으로써 21세기 패션 산업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Park, 2021).
3. The state of the LED wedding accessorie
1) Definition and types of wedding accessories
일반적으로 패션 액세서리는 착용자의 패션 이미지를 구성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며, 의복의 조화를 도모하는 장식품을 의미한다(“Accessory”, n.d.). 웨딩 액세서리란 웨딩 드레스와 전체적인 스타일링의 조화를 이루고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몸에 직접 착용하는 웨딩 소품을 지칭한다(Lee, 2019). 웨딩 액세서리는 웨딩 드레스와 함께 신부의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내면의 미까지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체적인 스타일링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아이템과 소재, 색상 등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o, 2015). 웨딩 액세서리는 웨딩 드레스의 콘셉트와 신부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웨딩 드레스 트렌드와 조화를 이루며 변화되어 왔다(Lee, 2006).
Kim(2017)은 웨딩 액세서리 아이템의 종류를 베일, 티아라, 헤어핀, 헤어밴드, 모자로 분류하였으며, Kim(2021)은 베일, 티아라, 헤어핀, 헤어밴드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 외 선행 연구에서 웨딩 액세서리 아이템의 종류는 주로 베일, 티아라, 헤어핀, 헤어밴드, 모자 등이 주가 되어 분류되었다. 또한, 웨딩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소재는 대부분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텍스처 소재인 경우가 많다(Kim, 2017).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웨딩 드레스에 사용되는 소재와 공통된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종류는 주로 새틴, 실크, 레이스, 쉬폰, 튤, 미카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O, 2011). 새틴 및 공단은 부드럽고 광택감이 있는 소재로 드레이프성이 강한 특징이 있으며, 튤과 쉬폰은 얇고 비치는 소재로 반투명한 물성이 특징인 소재이다. 레이스는 패턴이 다양하고 장식적인 효과가 큰 원단이며, 미카도는 광택이 나는 두꺼운 소재로 다른 웨딩 소재에 비해 내구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Jeon, 2014). 웨딩 액세서리의 컬러도 역시 웨딩 드레스와 같이 아이보리, 크림 등의 화이트 계열의 컬러가 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개성 있고 독특한 웨딩 스타일링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니즈에 따라, 패션 시즌 트렌드 컬러나 파스텔 계열 컬러, 골드 컬러 등 다양한 컬러가 사용되고 있다(Kim, 2017).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웨딩 액세서리 아이템 종류 및 디자인 요소들을 종합하면 <Table 1>과 같으며, 이를 통해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2) The state of the LED wedding accessorie
최근 웨딩 액세서리 산업 시장에서는 LED가 부착된 베일, 티아라 등 다양한 LED 웨딩 액세서리들이 온라인 사이트에서 판매되고 있다. 웨딩 액세서리는 일상에서 착용되는 패션 액세서리에 비해 감성적 아름다움이 더욱 요구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LED의 빛의 효과가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의 장식 요소로서 더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ED 웨딩 액세서리가 실제 상용화되어 판매되는 사례들을 아이템별로 분석한 결과, LED 웨딩 베일은 주로 튤 소재의 원단 위에 LED가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두상에 티아라나 코사지 등의 헤어핀을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컬러는 오렌지 컬러나 다양한 컬러가 사용된다(Fig. 5 and 6). LED 웨딩 헤어밴드는 꽃을 형상화하는 모티브에 LED가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는 화관 형태 디자인의 액세서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컬러는 주로 오렌지 컬러 및 화이트가 사용된다(Fig. 7). LED 웨딩 헤어핀은 다른 웨딩 액세서리에 비해 리본, 코사지 등 여러가지 형태의 디자인이 많았으며, 주로 함께 착용한 웨딩 드레스와 공통된 소재 및 다양한 컬러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Fig. 8). 한편, LED 웨딩 액세서리가 웨딩 드레스와 함께 스타일링 된 사례를 살펴본 결과, 웨딩 액세서리와 웨딩 드레스에 모두 LED를 적용하여 스타일링하는 경우는 오히려 신부보다 빛에 시선이 집중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9 and 10). 이에 LED 광원 기술은 오히려 웨딩 액세서리에만 포인트로 적용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웨딩 스타일링의 감성적,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Fig. 11 and 12).
Ⅲ. Methods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전문 서적, 선행 연구, 패션 정보 전문 사이트 등의 자료를 통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와 아두이노 릴리패드의 개념 및 종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LED의 정의 및 특성, LED가 적용된 패션 액세서리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웨딩 액세서리의 개념 및 종류, 디자인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LED 웨딩 액세서리 시장 현황과 사례들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로는 최근 국내 웨딩 액세서리 시장에서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LED 웨딩 액세서리 아이템들을 분석하고, 아이템 및 디자인 요소 등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LED 웨딩 액세서리와 웨딩 드레스를 기획, 전개, 제작의 프로세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ED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템을 선정하기 위해 웹사이트 분야별 순위가 확인 가능한 ‘랭키닷컴’에서 국내 종합 쇼핑몰 1위 사이트를 검색하였다. 1위로 선정된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서 키워드 ‘LED 웨딩 액세서리’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품들을 아이템 종류별로 빈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488개의 제품이 검색되었으며, 헤어핀 175개(35.8%), 티아라 102개(20.9%), 모자 97개(19.8%), 헤어밴드 68개(13.9%), 기타 46개(9.4%)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LED 웨딩 액세서리 종류 중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헤어핀(hairpin)을 디자인 개발 아이템으로 선정하였다.
LED 웨딩 헤어핀의 타깃 소비자는 하우스 웨딩 및 스몰 웨딩 등에서 애프터 웨딩 및 파티형 웨딩을 계획하고 있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및 중반의 결혼 적령기의 여성들을 주요 타깃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기존 웨딩 문화의 획일화된 형식의 웨딩이 아닌 특별한 웨딩을 진행하고자 하며, 자신만의 개성과 스타일을 표현 및 창조하고자 한다.
Ⅳ. Developing a Wedding Accessory Design with Wearable Technology
1. LED wedding accessory design planning process
LED 웨딩 헤어핀 디자인 기획 단계에서는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기술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고려한 디자인 발상 작업이 수행되었다. 발상 과정에서 실제로 결혼식에서 착용했을 때, 빛의 표현 효과를 더욱 실용적이고 심미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들을 다양하게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혼식장에서 신부가 착용했을 때의 활동성 등을 고려하여, 아두이노 릴리패드 보드의 다양한 종류들 중 가장 무게감이 가볍고 부피감이 적은 릴리 타이니 보드와 코인셀용 전원 장치를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컬러의 LED 발광체를 적용한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을 기획하고자 하였다. 특히, 릴리패드 보드와 배터리, LED 등의 장치들을 전도성 실로 바느질한 뒤에 수정을 해야 할 경우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므로, 실제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들을 주의하며 디자인을 기획하였다. 다음은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아두이노 릴리 타이니, LED, 코인셀 전원장치, 전도성 실 등의 재료 및 디바이스 사진이다(Fig. 13, 14, 15, and 16).
2. LED wedding accessory design evolution process
1) Design elements of LED wedding hairpin
LED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 전개 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및 LED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 사례를 바탕으로 소재 및 컬러 등의 디자인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LED와 배터리, 릴리 타이니 보드 등의 장치들의 위치가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유의하였으며, 전도성사의 회로도가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술적인 요인들을 주의깊게 고려하여 디자인을 설계하였다(Fig. 17 and 18).
본 연구의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웨딩 헤어핀 디자인의 콘셉트는 ‘꽃이 피다’라는 의미의 ‘블룸(bloom)’으로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플라워 코사지 형태의 웨딩 헤어핀은 LED 빛이 구동될 때 더욱 화려해지고 빛나는 액세서리 아이템으로 연출되기 때문에, 이를 꽃이 피어나는 모습으로 비유하는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LED 웨딩 액세서리 소재는 LED의 빛이 발광될 때와 발광되지 않을 때를 함께 고려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살펴본 원단의 특성을 바탕으로 미카도 실크와 튤, 레이스 등을 주요 소재로 선정하였다. 웨딩 헤어핀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짓는 기본 틀을 제작할 원단으로는 두꺼운 두께감으로 인해 주름이 적게 가는 미카도 실크 원단을 선정하였다. 너무 유연하거나 신축성 있는 패브릭일 경우, 바느질된 전도성 실이 서로 맞닿아 합선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힘 있는 미카도 실크 소재를 사용하여 이를 최대한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카도 실크는 LED 빛의 각도에 따라 은은한 광택감이 연출되는 텍스처의 패브릭으로, 원단 위에 장치들을 부착했을 때 안정적으로 단단히 고정되면서도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것으로 예상된다(Fig. 19). 튤은 얇고 비치는 시스루 텍스처의 패브릭으로, LED 빛의 다양한 컬러가 비슷한 컬러의 튤을 통해 은은하게 비칠 때 더욱 화사한 느낌으로 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Fig. 20 and 21). 레이스는 화려하고 장식성이 강한 패브릭으로, 비즈나 크리스탈 등을 함께 장식할 경우 화려함이 더욱 강조되기 때문에 신부의 심미적인 니즈와 감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다.
본 연구의 LED 웨딩 헤어핀의 컬러는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글로벌 컬러 전문 기업인 팬톤 코리아(Pantone Korea, n.d.)의 2024년 S/S Color 트렌드 분석을 참조하여 선정하였다. 팬톤은 2024년 ‘올해의 컬러(The color of the year)’로 오렌지 계열인 ‘Peach Fuzz(13-1023)’ 컬러를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Peach Fuzz’ 컬러와 화이트 계열의 컬러인 ‘Bright White(11-0601)’를 Main color로 선정하고, Sub color는 팬톤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함께 제시된 컬러맵의 컬러 배색을 참고하여 ‘Pale Dogwood(13-1404)’ 컬러와 ‘Blanc de Blanc(11-4800)’ 컬러를 선정하였다(Table 2).
그 외 디자인 요소들 중 디테일은 직접 제작한 입체감 있는 플라워 모티브 장식들을 부분적으로 트리밍하였으며, 은은하게 반짝이는 골드 및 진주, 깃털 장식을 포인트로 사용하였다. 플라워 모티브의 꽃잎 패턴의 사이즈는 가로 2.8cm, 세로 3.5cm의 크기로 여러 장을 미리 절개한 뒤, 서로 연결하며 붙이는 작업을 통해 꽃의 형태로 제작 및 완성하였고, 진주 장식은 0.5cm 사이즈 6개, 0.7cm 사이즈 5개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총 11개의 진주가 사용되었다.
2) LED placement selection and design
LED 웨딩 헤어핀은 LED 빛의 표현과 웨딩 헤어핀의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들을 동시에 고려한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디자인을 개발해야 하며, 시각적인 효과 및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적합한 위치에 장치들이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웨딩 헤어핀의 기본 형태를 제작할 때, 장치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치할 것인지 예상 위치를 미리 계획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다양한 컬러의 LED와 릴리 타이니 보드, 코인셀 배터리의 위치를 제시하는 도식화를 작성함으로써 각 장치들의 회로도가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디자인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특히, LED의 위치는 진주 및 골드 비즈 장식들과 최대한 가까운 곳에 배치함으로써 LED 빛이 발광될 때 반사되는 효과로 더욱 화려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튤 원단으로 제작한 코사지의 꽃잎 부분의 원단 아래로는 빛이 은은하게 비칠 수 있도록 LED 위치를 설계하였다.
3. LED wedding accessory design development process
디자인 기획 및 전개 단계에서 선정했던 디자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웨딩 헤어핀의 기본 틀을 제작하였으며,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재료로는 작은 사이즈의 디바이스들을 위주로 선택하여 LED 웨딩 헤어핀에 표현되는 빛의 효과를 최대한 자연스럽게 연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LED 웨딩 헤어핀 콘셉트 설정 및 디자인에 따라 적합한 디바이스로 릴리패드 아두이노의 ‘릴리 타이니(Lily tiny)’가 선택되어 활용되었다. 릴리 타이니는 매우 작은 크기이지만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내재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큰 메인 보드 없이 빠르고 쉬운 방법으로 다양한 LED 점멸 기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두상 착용을 위해 무게나 크기가 제한적일 수 있는 LED 웨딩 헤어핀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보드라고 할 수 있다(Lee et al., 2021).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LED 웨딩 헤어핀을 제작하기 전에 릴리 타이니 보드의 각 번호의 핀에 각각의 컬러 LED와 코인셀 배터리를 전선 케이블로 미리 서로 연결해 보았다. 발광되었을 때의 LED 컬러 및 광량의 변화를 테스트해 보았으며, 점멸 효과를 통한 시각적인 효과를 웨딩 헤어핀의 디자인 요소에 적절하게 적용하고자 하였다(Fig. 22). 또한, 미카도 실크 원단으로 제작된 타원형 형태의 헤어핀 기본 틀 위에서 릴리 타이니 보드, 다양한 컬러 LED, 배터리 등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이 실제로 잘 구현될 수 있도록 유의하였다. 적절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비교 및 고안해 봄으로써 최종적으로 LED 배치 디자인 도식화와 기술적 실현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전자 회로도를 작성하였다. 디바이스 배치 위치와 전도성 실의 연결 경로를 함께 고려한 체계적인 전자 회로도를 설계를 통해, 실제 헤어핀에 부착되었을 때 서로 겹쳐질 수 있는 세부적인 부분을 미리 체크하여 합선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설계를 진행하였다(Fig. 23).
본 연구에서는 릴리 타이니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총 4가지의 점멸 기능이 3가지 컬러의 LED로 동시에 발광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빛의 효과를 통한 감성적 기능이 연출될 수 있는 전자 회로도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릴리 타이니 각 번호의 핀에 최대한 많은 개수의 LED를 한 번에 연결시킴으로써 발광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으며, 장치들을 연결시키는 전도성 실은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해 장치들 간의 간격은 좁게 배치할 수 있는 회로 방법을 고안 및 적용하였다. 이에 LED 웨딩 헤어핀의 중심 위치에 릴리 타이니 보드를 먼저 고정하고, 보드의 원형 외곽선 주변으로 각 번호의 핀에 3개의 LED를 병렬식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LED는 배치의 방법에 따라 직렬식이나 병렬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병렬식 연결은 전류의 흐름이 나뉘므로 직렬식에 비해 전력 소모는 좀 더 크지만, 모든 LED의 밝기가 동일하게 밝게 발광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LED 웨딩 헤어핀의 심미적 기능을 연출하기에 더욱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Lee et al., 2021).
디바이스들을 부착할 때는 먼저 일반 면실로 미리 고정한 뒤, 앞서 디자인 설계한 전자 회로도 대로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극과 +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극과 +극, –극과 –극의 같은 극은 같은 극끼리 바느질로 연결하였다. 특히, LED의 양극을 릴리 타이니의 각 번호 핀과 배터리를 서로 연결하며 바느질하는 과정에서 공간이 발생할 경우, 디바이스들끼리의 접선 불량도 염두에 두어야 하기 때문에 전도성 실로 최대한 단단하게 고정 및 연결하였다(Fig. 24). 또한, 교차가 염려되는 부분은 미리 미카도 실크 원단을 덧대어서 합선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LED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다루기 용이한 릴리패드의 고휘도의 확산형 10π LED를 사용하였는데, LED 웨딩 헤어핀의 기획 콘셉트와 조화롭게 연출되면서 빛의 색상 변화 및 점멸 광원 기능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오렌지 LED, 핑크 LED, 블루 LED의 총 3가지 LED 컬러를 사용하였다. 베이스 컬러 LED로는 오렌지 컬러와 핑크 컬러를 선정하여 각 5개씩의 LED를 사용하였으며, 포인트 컬러 LED로는 블루 컬러를 선정하여 2개의 LED를 사용하였다. 이에 오렌지 LED 5개, 핑크 LED 5개, 블루 LED 2개의 총 12개의 LED를 부착하여 LED 웨딩 헤어핀을 디자인 개발하였다.
릴리 타이니의 각 번호 핀에 연결된 LED 컬러는 LED 웨딩 헤어핀에 세부적으로 적용된 디자인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빛이 동일한 간격의 패턴으로 들어오거나 반짝이는 점멸 효과를 가지는 0번 핀과 1번 핀에는 핑크 LED 2개와 블루 LED 1개를 연결하여 각각 총 3개의 LED를 설치하였다. 이 LED들은 웨딩 헤어핀의 하단 부분에 배치하여 질서 있게 반복되는 점멸 효과로 좀 더 안정감 있는 기능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블루 LED는 골드 플라워 디테일 장식 바로 밑에 배치하여 정면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측면에서는 보일 듯 말 듯한 위치에 포인트 형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시각적인 재미를 더하고자 하였다. 빛이 켜지면서 점점 더 밝아지는 기능을 하는 2번 핀에는 오렌지 LED 2개와 핑크 LED 1개를 연결하였다. 이 LED들은 플라워 레이스 모티브들과 가깝게 위치하여, 빛의 발광 효과가 마치 꽃이 피는 것처럼 더욱 화려한 느낌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빛이 비동일한 간격으로 페이드 되는 점멸 기능을 가진 3번 핀에는 오렌지 LED 3개를 연결하였다. 이 LED들은 웨딩 헤어핀의 상단에 위치한 깃털 디테일 장식의 밑에 배치하여, 보다 가볍고 산뜻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발광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웨딩 헤어핀 패브릭은 LED와 릴리 타이니 보드, 배터리 등의 디바이스들이 원단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두꺼운 두께감과 은은한 광택의 텍스처로 빛의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미카도 실크 원단과, LED의 다양한 컬러의 빛이 더욱 선명하게 연출될 수 있는 시스루 텍스처의 튤(tulle) 원단을 함께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트리밍 효과를 통한 장식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섬세한 플라워 모티브의 레이스 원단과 진주, 비즈 장식 등의 디테일을 사용하였으며, LED의 빛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들이 적용된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제로 착용했을 때 디바이스들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디바이스가 장착된 부분 위주로 큰 사이즈의 코사지를 트리밍하거나 비즈 장식들을 더욱 섬세하게 비딩하였으며, 가장 큰 크기의 디바이스인 코인셀 배터리는 헤어핀의 코사지 장식 및 레이스 모티브 밑에 배치하여 외관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부착하였다. LED와 전도성 실의 노출 역시 최소화하였다(Fig. 25). 최종적으로 디자인 개발된 LED 웨딩 헤어핀 제품의 사이즈는 가로 23.3cm, 세로 11.8cm이며, 무게는 65g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웨딩 헤어핀에 LED 광원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시대의 고부가가치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Fig. 26> 및 <Fig. 27>은 최종적으로 디자인 개발된 웨딩 헤어핀의 LED 빛이 발광되지 않았을 때와 발광되었을 때를 촬영한 사진이다.
4. Styling of LED wedding hairpin and wedding dress
본 연구에서는 신부가 LED 웨딩 헤어핀을 착용했을 때의 실질적인 기능과 역할을 효과적으로 연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디자인 개발된 헤어핀과 함께 조화롭게 스타일릴할 수 있는 웨딩 드레스 1벌을 동시에 디자인 개발하였다. 웨딩 액세서리는 함께 착용하는 웨딩 드레스와의 감각적인 매치를 통해 신부가 추구하는 전체적인 콘셉트과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패션 액세서리에 비해 토털 코디네이션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결혼식의 주인공인 신부가 LED 웨딩 헤어핀을 웨딩 드레스와 함께 코디네이션하여 착용하고 하객들에게 인사를 드린다면, 새로운 즐거움과 함께 하객들의 시선을 더욱 집중시킴으로써 신부와 하객 간의 상호적인 교감 형성이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 개발된 LED 웨딩 헤어핀과 웨딩 드레스를 최종적으로 함께 코디네이션하여 스타일링을 완성하였다(Fig. 28, 29, 30, and 31). LED 웨딩 헤어핀을 마네킹의 두상에 착용했을 때 실제 크기 및 무게감 등을 확인하였으며, LED 빛의 발광이 제대로 작동되는지 테스트해봄으로써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의 다양성과 창조성,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Ⅴ. Conclusion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흐름 속에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와 LED 광원 기술이 적용된 패션 액세서리 산업은 지속적인 시장성과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웨딩 산업 시장은 개성과 감성을 중요시하는 소비 욕구가 반영되고 있으며, 결혼식 트렌드 변화에 따라 개성 있고 차별화된 웨딩 상품에 대한 니즈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이고 특별한 웨딩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감성 지향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LED 광원 기술이 적용된 웨딩 액세서리를 디자인 및 개발하고, 웨딩 스타일링을 전체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웨딩 드레스를 함께 디자인 및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패션 액세서리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LED를 활용한 웨딩 액세서리가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오늘날 웨딩 상품은 웨딩 산업 트렌드의 흐름을 적용하면서도 감성 지향적 소비 경향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웨딩 액세서리의 디자인 방향성과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둘째, 국내 LED 웨딩 액세서리 시장 현황을 살펴본 결과, 웨딩 액세서리 종류 중 웨딩 헤어핀의 아이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감성적 니즈가 충족될 수 있는 LED 웨딩 헤어핀과 이와 함께 웨딩 스타일링 완성이 가능한 웨딩 드레스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LED 광원 기술과 릴리패드 아두이노를 적용한 LED 웨딩 헤어핀 디자인 개발을 위해 디자인 콘셉트 및 타겟을 제시하고, 기획, 전개, 제작의 3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자인 기획 단계에서는 LED 웨딩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아이템으로 웨딩 헤어핀을 선정하고, 디자인 방향과 적용시킬 LED 기능, 재료 등을 선택하였다. 디자인 전개 단계에서는 기획된 의도에 맞는 디자인 콘셉트 및 소재, 컬러 등 디자인 요소들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디자인 도식화 및 LED 위치 예상 배치도를 제시하였다. 디자인 개발 단계에서는 디자인 요소들과 계획한 전자 회로도를 바탕으로 한 실물 제작 과정을 통해, LED 빛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LED 웨딩 헤어핀 1개를 개발하였으며, 이와 함께 착용이 가능한 웨딩 드레스 1벌을 디자인 개발하였다.
넷째, 디자인 개발된 LED 웨딩 헤어핀과 웨딩 드레스를 함께 코디네이션하여 웨딩 스타일링을 완성하였다. LED 웨딩 액세서리는 웨딩 콘셉트 연출의 기능적 및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신부의 감성을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다는 고부가가치 창출의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감성 지향 웨딩 상품 디자인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LED 웨딩 액세서리는 앞으로 웨딩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더욱 다양한 웨딩 액세서리 아이템에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웨딩 액세서리의 단일 아이템 개발은 웨딩 액세서리 전체 시장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향후 웨딩 티아라, 베일 등 다양한 웨딩 액세서리 아이템에 감성지향 웨딩 트렌드를 반영한 다각적인 접근을 제언한다. 본 연구가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웨딩 제품 디자인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웨딩 액세서리 분야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 관점을 제시하고, 국내 웨딩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