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비만 청소년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현대사회의 심각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Park & Kim, 2016). 우리나라도 예외 는 아니어서 식생활의 서구화와 운동 부족 등으로 청소년 비만이 급격하게 증가하 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Jung, Ko, & Lim, 2010). 청소 년 건강행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비만 유병률은 2011년 5.6%, 2016년 9.1%, 2021년에 는 13.5%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3). 특히 COVID-19 팬데믹 상황은 사회문제로 지속적으로 제 기되던 청소년 비만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Jang, 2021). 즉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으로 인한 등교 중지와 각종 체육 시설의 폐쇄는 거의 모든 활동 이 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을 제한시킴으로써 이는 과체중 혹은 비만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Kim & Woo, 2022). 비만은 단 순한 체중 증가뿐 아니라 신체 각 부위의 지방 분포 차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의 체형 변화를 가져온다. 젊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비만 유형은 상체보다 는 둔부나 넙적다리 등 하체에 지방이 많이 분포되는 양상이다(Ha & Sung, 2005). 특히 10대 비만 여성의 경우 삼각형의 하체 비만형이 70.61%로 성인 여성에 비해 하체 비만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하 체 삼각 비만은 10대 비만의 대표 체형이라 할 수 있 다(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20).
청소년기에는 의복이나 외모를 통해 또래 집단에게 인정을 받고자 하며 이때 의복을 주요 자아표현 수단 으로 사용한다(Uh & Suh, 2005). 그러나 청소년들은 이상적인 체형을 저체중이라 생각하여(Kim & Yoon, 2009) 비만으로 신체 불만족이 높을수록 외모관리 행 동을 많이 하면서(Kim, 2014;Lee & Yoo, 2015) 체형 의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 의복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대상의 국내 의 류 시장은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대부분의 기 성복 시장에서는 평균체형의 청소년 의복을 주로 생 산하고 있고 현행 기성복 치수 체계 또한 다양한 체형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실상이기에 표준이 아닌 비 만의 청소년들은 기성복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Lee, Choi, & Kang, 2004). 특히 의복 아이템 중 슬랙 스는 인체의 복부, 둔부, 그리고 하지를 감싸는 의복 형태로 동작에 따른 기능성 변화가 크기 때문에(Song & Lee, 2001) 신체의 맞음새와 기능성이 요구되는 의 복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슬랙스는 복부와 둔부를 포 함하여 대퇴와 샅 부위까지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 요인을 가지고 있는 복종으로 하체 비만체형은 착용 감과 치수 적합성 등의 만족도가 떨어지기 쉽다(Ha, 2011). 실제 비만체형의 78%는 기성복 구입시 수선 경험(Lee, 2002)을 하였으며, 특히 슬랙스의 경우 허리 둘레와 엉덩이둘레, 밑위길이, 대퇴둘레 등에 착용 불 만이 높아 구매를 하지 않거나 수선하기 힘든 부분의 치수에 맞추어 구매한 후 비교적 수선하기 쉬운 허리 둘레 또는 슬랙스 길이를 수선하여 착용(Kim & Chun, 2004)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체를 편안하게 감 싸면서 비만 부위를 감춰줄 수 있는 의복이 요구된다.
슬랙스원형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성인 여성과 성인 남성 대상의 연구(Lee & Lim, 2021;Lim, 2011;Park & Kim, 2008;Park, Ryu, & Shin, 2006;Park, Wee, Kim, & Pakk, 2005;Yoo & Kim, 2008) 및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Lim, 2019a, 2019b, Seong, 2018), 학령기와 청소년 대상의 연구(Kim & Lee, 2021;Lim & Kim, 2000;Lim, 2015;Shin & Suh, 2010)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비만체형을 위한 슬랙스원형 개발도 그 대상이 성인과 노년층(Lim, 2011, 2019a, 2019b)으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연 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하체 비만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 로 한 슬랙스원형 개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만 12~18세까지의 청소년 시기는 아동 체형에서 성인 체형 으로 변화하는 과도기로 많은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므로(Kim & Kim, 2019) 하체 비만의 신체 특성 이 반영된 패턴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만 12~18세까지의 하체 비만 여자 청 소년을 대상으로 표준체형과의 하반신 체형 특성을 비 교 분석하고, 기존의 여자 청소년 슬랙스 패턴(Lim & Kim, 2000)을 비교원형으로 선정하여 가상착의 시 비만 체형을 커버할 수 있는 슬랙스 구성요인별 수정 부위를 도출함으로써 하체 비만체형에 적합한 슬랙스 패턴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Methods
1. Data collection
본 연구에서는 섬유제품 치수 관련 KS 규격(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9) 의 여자 청소년복 치수(KS K 9401) 기준에 준하여 만 12~18세까지를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진행하 였다. 연구에 활용된 직접 계측 데이터는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연령대가 모두 포함된 제6차 한국인 인체 치수조사 사업 결과(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0)의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만 12~18세 여자 청소년 중 BMI 25kg/m2 이상의 비 만군(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2022)에 속하는 212명을 1차로 선정하였다. 하체 비만의 판정 기준은 여자 청소년복 치수(KS K 9401)의 하의용 의 복 호칭 L, XL에 해당되는 허리둘레 기본 치수 68cm 이상, 또한 선행연구(Ha, 2011)에 준하여 엉덩이둘레 와 허리둘레 하드롭 18cm 이상으로 이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여자 청소년 144명을 최종 선정하였 다. 하체비만 여자 청소년의 연령별 분포는 <Table 1> 과 같다.
2. Lower bodice analysis
하체 비만 여자 청소년의 하반신 체형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하여 표준체형의 하반신 계측치와 비교하였 다. SPSS 27을 사용하여 두 집단간 평균에 대한 t 검 정을 실시하여 평균 체형과 하체 비만체형의 하반신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직접계측 분석항목은 높이 7 항목, 길이 6항목, 둘레 8항목, 너비와 두께 각 3항목, 몸무게이다. 계산항목은 비만지수(BMI),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편평률, 하드롭으로 총 33개 항목이 하반신 체형분석에 활용되었다(Table 2).
3. Virtual avatar construction
착의실험을 위한 가상모델은 3D 가상착의 시스템 인 CLO 3D 5.1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가상착의체 로 사용되는 가상모델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여성 아바타 바디를 불러온 후 아바타 사이즈 라이브러리 에서 비만체형을 적용하고 아바타 편집창에서 키와 허리높이, 하반신 부위별 둘레와 높이 등 하체 비만 여자 청소년의 인체 치수 정보를 입력하여 가상모델 을 제작하였다.
4. Developed slacks pattern construction & virtual garment simulation
연구원형 설계방법은 기존 슬랙스원형을 비교원형 으로 활용하여 비교원형 가상착의 시 부위별로 변형 률과 착장외관을 평가하여 패턴을 수정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교원형으로 여자 청소년 슬랙스원형 (Lim & Kim, 2000)을 사용하였다(Fig. 1).
변형률(strain)은 착장 시 의복이 외부 힘에 의해 변 형되는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CLO 3D 프 로그램의 3D 창에서는 착의 시 변형률(strain)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아바타의 부피나 면적,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의상이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정도를 색상표와 수치(%)로 제공하며 이때 변형의 정도가 없거나 약하 면 청색과 녹색, 변형이 강하면 적색으로 표현되므로 (Seong, 2018)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 결과에 따라 2D 창의 패턴 수정툴로 수정 보완하면서 수정부위를 치 수로 산출하여 최종 연구원형을 도출하였다. 변형률 범위는 100%~120%로 측정 부위는 <Fig. 2>와 같다.
가상착의 외관평가는 의류학 전공자 20명을 전문 평가단으로 구성한 후, 슬랙스 비교원형과 연구원형의 앞면, 옆면, 뒷면 착의 상태 사진을 보고 허리둘레선과 엉덩이둘레선, 옆선 등 기초선의 수평 수직 유지 상태 와 하반신 각 부위의 여유량 등에 대해 1~5점까지 5 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다. 가상착의 원단 물성은 원 단 라이브러리에서 두께 0.38mm, 중량 192.42g/m2의 100% Cotton 평직을 선택하였다.
III. Results and Discussion
1. Lower bodice analysis
하체 비만체형의 하반신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체형과 하반신 부위별 평균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3>에 제시하였다.
높이 모든 항목에서 하체 비만체형의 평균값이 높 으며 두 집단간 평균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은 키와 허리 높이로 나타나 하체 비만체형의 경우 표준 체형보다 전체 키가 크면서 허리선을 기준으로 하반 신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길이 항 목은 모든 항목에서 하체 비만체형의 평균이 유의적 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해지면서 체표면 도 커지기 때문에 표준체형과의 직접계측치 평균차이 는 높이항목보다 크다. 특히 샅앞뒤길이는 배의 돌출 이 계측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길이항목 중 두 집단 간 평균차가 다른 항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샅앞뒤길이는 캐주얼 하의나 운동복 하의 호칭의 참 고 신체치수가 되는 항목이므로 하체 비만체형의 밑 위 부위의 체형 특성을 고려하여 슬랙스원형의 앞뒤 밑위연장선 치수를 도출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둘레항목 중 허리둘레와 배꼽수준허리둘레, 엉덩이 둘레는 슬랙스원형 제도 시 가장 기본이 되는 부위로 비만으로 인해 이들 부위의 치수는 다른 부위보다 표 준체형과의 차이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체 비만은 둔부가 비만해지는 체형 특성으로 기본 부위 중 엉덩이둘레 치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께와 너비항목을 비교해보면 하체 비만 체형인 경우 너비에 비해 두께가 두껍고 편평율의 평 균값이 표준체형에 비해 더 큰 값으로 나타나 하반신 이 동그란 단면 형상인 것을 알 수 있다. 13~18세 여 자 청소년의 경우 엉덩이둘레 성장이 둘레항목 중 가 장 크게 나타나는데(Kim & Kim, 2019), 성장함에 따 라 2차 성징을 겪으며 엉덩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 에 따라 허리에서 엉덩이까지의 굴곡이 분명해지면서 두 집단 모두 하드롭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체 비만체형의 경우 엉덩이 부위가 더 발달하면서 하드 롭의 평균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하체 비만체형은 모든 부위의 수직크기와 수평크기가 표준체형보다 크 지만 수평크기 항목에서 두 집단의 평균차가 더 크며, 비만해지면서 엉덩이부위가 처지고 샅앞뒤길이가 길 어지므로 이들 부위의 체형 특성을 고려한 패턴 설계 가 요구된다.
<Fig. 3>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여성 아바타를 불러온 후 아바타 사이즈 라이브러리에서 표준체형과 비만체형을 각각 Load하고 아바타 편집창에서 부위 별 상세치수를 입력하여 제작한 가상모델이다.
2. Virtual garment simulation results of comparative pattern
의복의 여유량 설정 및 맞음새 평가에 가상착의와 실제착의가 유사하므로 3차원 가상착의의 재현성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Seong, 2018) 하체 비만 여자 청소년의 슬랙스원형 설계를 위해 비교원 형 가상 착의 시 외관과 변형률을 참고하여 수정부위 치수를 도출하였다. 비교원형과 연구원형의 가상착의 외관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원형 가상착의시 외관과 착의시 변형률 및 5점 척도 결과를 다음 절의 연구원 형 가상착의 결과와 같이 제시하였다(Fig. 6, Table 5 and 6).
하체 비만의 체형은 허리에 비해 대퇴부와 엉덩이 가 비대해지며 아래로 처지는 것이 특징으로 비교원 형 착의 외관을 보면 하반신 상단부에서 여유량 분포 가 고르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허리선 위치의 적절성 평가 결과 앞면, 옆면, 뒷면에서의 5점 척도 점 수는 각각 2.58점, 1.98점, 2.87점으로 허리둘레선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퇴 부위와 엉덩이부위 치수는 밑위부위의 여유량에도 영 향을 미치게 되어 허리부위 변형률보다 엉덩이부위와 밑위, 대퇴부위의 변형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각 부위 여유량의 적절성 평가에서도 밑위, 엉덩이, 대 퇴, 허리부위 순으로 평균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뒷면의 엉덩이부위 평균점수는 1.42점, 밑위 부위는 1.25점으로 외관평가 결과가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허리 및 엉덩이부위 여유량과 밑위부 위 길이를 순차적으로 수정하고 바깥솔기선의 곡률을 보정하여 대퇴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연구원형을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옆면에서 보아 허리선이 수평 을 이루지 못하고 밑단을 포함하여 슬랙스가 전체적 으로 앞면 쪽으로 치우쳐 보이기 때문에 앞뒤 폭의 균 형에 대한 외관 평가 점수는 2.66점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허리점을 비교원형보다 올려 배 부위를 자연스럽게 커버하면서 슬랙스 폭의 좌우 균 형을 맞추고, 허리선과 밑단선 등이 수평을 이루도록 보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넙적다리 아래 하반신 하단부는 착의시 변형이 거의 없으며, 슬랙스의 무릎 폭과 밑단 폭은 제품치수에 해당되는 것으로 디자인 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비교원형 가상착의 결과를 종합하여 3D 창 에서 착의 외관과 변형률을 확인하면서 2D 창에서 패 턴 수정 보완을 반복하고, 부위별 최적의 치수를 도출 하여 최종 슬랙스 연구원형을 설계하였다.
3. Developed pattern construction & pattern evaluation
1) Developed pattern construction
하체 비만체형과 표준체형의 하반신 체형 비교에 서 하체 비만체형은 허리에 비해 대퇴부위와 엉덩이 부위가 비대하며 두께가 두껍고 하드롭이 큰 굴곡 있 는 체형임을 알 수 있었다. 대퇴부위와 엉덩이부위 치 수는 밑위부위의 여유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러한 체형특성을 고려하여 각 부위의 여유량 및 곡 률 모양, 다트 위치와 다트량을 수정하면서 연구원형 을 설계하였다.
기초선의 경우 슬랙스길이와 밑위길이는 비교원형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측치를 적용하였으며, 하체 비 만체형의 경우 엉덩이가 크고 처지는 체형 특성으로 제도 시 엉덩이길이는 실측치에 1cm를 더하여 주었 다. 엉덩이길이 제도 치수가 길어지면서 밑위길이도 비례적으로 길어지면 그 부위에 군주름을 형성하여 착의외관이 나빠진다. 따라서 제도 시 밑위길이는 실 측치를 그대로 적용하되 밑위연장선과 중심선 올림분 량 등으로 샅앞뒤길이를 조절하여 둔부의 형태적 특 성을 커버하도록 하였다. 무릎선은 하체 비만체형의 하반신 각 부위 길이가 표준체형보다 더 길어 위치가 내려갈 수 있으나, 무릎선이 낮게 설정될 경우 전체적 인 슬랙스 외관 형태가 좋지 않으므로 비교원형과 동 일한 방법으로 밑위선에서 밑단선까지의 길이를 이등 분하여 4cm 위로 올린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바지 주 름선은 앞밑위연장선이 비교원형에 비해 짧아짐에 따 라 앞밑위폭의 이등분 지점에서 0.5cm 옆선쪽으로 이 동하여 설정하였다.
허리둘레는 슬랙스를 지지하는 부위로 동작과 호 흡에 필요한 최소한의 여유량이 필요하다. 비교원형 은 앞뒤 0.5cm의 여유량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변형 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관평가 결과 및 변형 률을 참고하여 앞면 0.75cm, 뒷면 0.5cm의 여유량을 주고 앞뒤차 0.5cm를 부여하였다. 엉덩이부위는 뒷 면과 뒤밑위 중심부에서의 변형률이 큰 것으로 나타 났고, 뒤엉덩이 두께를 고려하여 허리부위와 마찬가 지로 앞뒤차를 0.5cm 부여하고 여유량은 1~2.5cm까 지 0.5cm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착의외관을 확인한 후 앞면 여유량 1.25cm, 뒷면 여유량 2cm로 뒷면에 더 많은 여유량을 두어 설계하였다.
밑위부위는 변형률이 큰 부위로 앞뒤밑위연장선의 길이를 늘려 설계하였다. 그러나 앞밑위의 경우 비교 원형에서 길이를 연장한 결과 변형률은 낮아지나 밑 위부위에서 들뜨는 부분이 군주름으로 형성되어 외관 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밑위연장선의 길이를 0.5cm 줄일 경우 밑위길이는 줄어드나 대퇴와 엉덩이둘레 여유량으로 앞밑위 당김으로 인한 변형률 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앞밑위연장선의 길이를 H/16+0.5cm로 최종 설정하였다. 뒤밑위연장선도 변 형률을 최소화하면서 군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비교원형의 치수에서 0.5cm씩 연장하여 외관 평 가 후 H/8+1.5cm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엉덩이부위가 처지는 형태적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밑위연장선 의 길이만을 늘리는 것보다 뒤중심선 전체길이를 연 장하는 것이 좋으므로 뒤밑위연장선은 최종 H/8+1cm 로 설계하였다. 뒤중심선 경사각도는 운동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슬랙스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뒤중심허 리들임분량과 뒤중심허리올림분량에 따라 결정된다. 연구원형의 뒤중심허리들임분량을 비교원형에서와 같이 5cm로 설정하였을 때 뒤중심선허리올림분량은 2.5cm가 되면서 연구원형의 뒤중심선길이가 비교원 형보다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하체 비만 체형의 엉덩이부위의 형태적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선행연구(Ha, 2011)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엉덩이 옆 선에 피봇 포인트를 설정하고 엉덩이둘레선을 절개한 후 뒤중심선을 1.5cm 벌려 전체 뒤중심선길이를 늘려 줌으로써 최종적으로 뒤중심허리들임분량은 5.5cm, 뒤중심허리올림분량은 3.7cm가 되도록 설계하여 뒤 중심선 전체길이를 늘려주었다(Fig. 4). 앞중심선은 앞 허리중심점에서 1cm 올린 지점과 0.5cm 들인 지점을 연결하여 비교원형보다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설정함 으로써 복부돌출을 커버하고 앞허리선 처짐을 최소화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원형의 슬랙스 뒤 중심선과 앞중심선 길이는 총 77.2cm가 되어 복부비 만 체형의 샅앞뒤길이의 평균 74.1cm보다 3.1cm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샅앞뒤길이의 실제치수에 기능 성과 심미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여유분은 3~5%(Park & Rim, 1994)이므로 본 연구에서의 연구원형 설계 시 앞뒤중심선 설계방법은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원형의 경우 다트량을 3cm로 미리 설정하여 허리둘레선 치수가 결정되므로 허리둘레와 엉덩이둘 레에 따라 옆허리점에서의 들임분량이 결정된다. 그 러나 연구원형 설계 시에는 옆허리점에서 들임분량을 미리 설정한 후 엉덩이둘레선과 허리둘레선과의 차이 가 다트량이 되도록 설계하여 앞판은 3.5cm, 뒤판은 2.5cm의 다트량이 도출되었다. 앞뒤옆허리점에서 올 림분량은 0.5cm로 설정하여 허리선이 수평을 유지하 도록 하고 무릎선과 밑위선을 연결하는 바깥 솔기선 은 대퇴부위 돌출을 커버할 수 있도록 0.2~0.3cm 바 깥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선 형태로 제도하여 착용감 을 높이도록 하였다.
연구원형 설계 과정은 3D 창에서 의복의 실루엣을 확인하면서 착장 부위별 변형정도와 여유량 등을 검토 하여 2D 창에서 바로 수정이 가능하므로 3D 프로그램 과 CAD 프로그램의 패턴을 서로 호환하지 않고 쉽게 수정패턴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가 상착의에 따른 패턴 수정 결과 최종 연구원형을 도출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 및 <Fig. 5>와 같다.
2) Virtual garment simulation results
<Fig. 6>은 비교원형과 연구원형의 가상착의 외관 이며 <Table 5> 및 <Table 6>은 가상 착의시 변형률 및 외관에 대한 5점 척도 결과이다.
허리부위의 착의외관과 변형률을 보면 연구원형 전체 허리둘레에 2.5cm의 여유량이 부여됨으로써 비 교원형에 보다 여유량이 0.5cm 증가되어 허리부위의 변형률이 앞면 102.81%, 뒷면 101.73%로 완화되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허리중심점을 1cm 올려줌으 로써 허리선은 수평을 유지하고 복부 돌출은 자연스 럽게 커버해주어 앞면 복부의 변형률은 비교원형 112.45%에서 연구원형은 102.04%로 완화되었다. 엉 덩이둘레 여유량은 슬랙스 폭을 결정하고 밑위부위와 대퇴부위의 외관 및 착용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엉덩이둘레에 여유량이 추가되고 뒤중심선 전체길 이가 길어지면서 하체 비만체형의 둔부를 잘 감싸줌 으로써 이들 부위의 변형률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 다. 특히 비교원형에서 변형률이 가장 높았던 앞면 대 퇴부위와 뒷면 밑위부위의 변형률은 각각 103.03%와 103.84%로 크게 완화되었다.
<Table 5>의 연구원형 가상착의시 외관평가 결과를 보면 비교원형 착의외관에서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뒷면 엉덩이부위와 밑위부위의 여유량 적절성 문항의 평균점수가 각각 4.31점과 4.16점으로 나타나 이들 부 위에 여유량이 적절하게 부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앞 뒤 허리선의 위치 및 여유량의 적절성에서도 연구원 형의 평균점수가 유의적인 수준에서 높게 나타나 허 리부위 외관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허리 부위에 앞뒤차를 부여하여 앞으로 치우친 옆선을 보 완함으로써 슬랙스 앞뒤폭이 자연스럽게 균형을 이루 며 옆면에서의 허리선도 수평을 잘 유지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이외에 배부위에서부터 엉덩이, 밑위, 대퇴부까지의 여유량의 적절성도 두 원형간 평균점수 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여 연구원형의 기준선 설정 과 부위별 여유량 및 치수 증감량 설정이 타당한 것으 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가상착의 시 부위별 변형률과 외관평가 결 과,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하체 비만체형을 위한 연구원 형은 out-size 체형을 위한 슬랙스원형으로써 활용 가 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V. Conclusion
만 12~18세까지의 청소년 시기는 사춘기를 거쳐 성 인 체형으로 변화하는 과도기로 신체적으로 많은 변화 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특히 하체 비만은 10대 비만의 대 표 유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체 비만 여자 청소년의 하반신 체형을 분석하고 체형에 적합한 슬랙스원형을 설계함으로써 out-size 구간에 속하는 소비자의 기성 복 구매와 착용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의 결론 은 다음과 같다.
-
하체 비만체형은 수평크기와 수직크기 모든 항 목의 평균값이 표준체형의 평균값보다 크다. 특 히 수평크기 항목인 둘레항목의 평균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대퇴 및 둔부가 비만해지는 체 형 특성으로 하드롭 값이 큰 굴곡 있는 체형임 을 알 수 있다.
-
비교원형에 대한 가상착의 결과 허리와 엉덩이, 밑위부위의 변형률이 크고 여유량이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각 부위 여유량과 밑위부위 치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수정 보완하고 대퇴부위를 커버하기 위해 바깥솔기선의 곡률 보정을 통해 연구원형을 설계하였다.
-
연구원형의 기준선은 실측치를 적용하되 하체 비만체형의 경우 엉덩이가 크고 처지는 체형 특 성으로 제도 시 엉덩이길이는 실측치에 1cm를 더하여 주었다.
-
가상착의 외관평가 및 변형률에 따라 연구원형의 허리부위는 W/4+0.75cm+0.5cm, 뒷면은 W/4+ 0.5cm–0.5cm로 설계하고, 엉덩이부위는 특히 엉 덩이 뒷면과 뒤밑위 중심부에서의 변형률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앞뒤차 0.5cm를 부여하여 앞 면폭은 최종 H/4+1.25cm–0.5cm, 뒤는 H/4+2cm+ 0.5cm로 설계하였다.
-
앞허리중심점에서 올림분량을 1cm 연장하여 앞허리중심점을 설정하고 옆선에서는 들임분량 1.5cm로, 올림분량 0.5cm로 설계하여 복부 돌 출을 감싸고 앞허리선 처짐을 최소화하도록 하 였다.
-
앞뒤밑위부분은 변형률이 큰 부위로 밑위길이를 길게 할 경우 변형률은 완화되나 군주름이 형성 되므로 순차적 치수 증감에 따라 앞밑위연장선 은 H/16+0.5cm, 뒤밑위연장선은 H/8+1cm로 설 정하였다. 또한 뒤중심허리들임분량은 5.5cm, 뒤중심허리올림분량은 3.7cm가 되도록 설계하 여 뒤중심선 길이를 늘려줌으로써 허리선이 수 평을 유지하면서 둔부를 자연스럽게 감싸도록 설계하였다.
-
연구원형의 가상착의 결과 허리와 엉덩이부위의 여유량과 앞뒤차를 더해줌으로써 허리와 엉덩이 부위의 변형률이 최소가 되고 외관평가에서도 비교원형보다 유의적인 수준에서 평균점수가 높 게 나타나 이들 부위에 여유량이 적절하게 부여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복부 및 밑위, 대퇴 부까지의 여유량의 적절성도 유의적인 수준에서 두 원형간 평균점수가 차이를 보여 연구원형의 기준선 설정과 부위별 여유량 및 치수 증감량 설 정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가상착의시 부위별 변형률과 외관평가 결 과,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하체 비만체형을 위한 연구원 형은 out-size 소비자의 슬랙스원형 제작에 기초자료 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소비자의 슬랙스 착용만족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3D 창의 메쉬 보기에서 의복을 메쉬 상태로 변환하여 착장 핏을 확인함으로 써 여유량 분포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여유량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를 얻을 수 없었다. 둘째, 아바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포즈를 적용할 경우 착용 핏이 변하게 되어 다양한 동작에 대한 동작기능성 검 정이 불가능하였으므로 향후에는 모션 캡처 데이터를 가상착의에 적용함으로써 착용 시뮬레이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급변 하는 디지털 패션시장에서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