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6 pp.880-89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6.880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raditional fretwork patterns and Faux Chenille textiles

Yizhu Feng, Huan Liu*, Younhee Lee**
Maste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h. D.,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November 19, 2022 December 18, 2022 December 20,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raditional Chinese fretwork on the ‘Faux Chenille’ textile work method in a way of enhancing the decorative features of patterns and developing the fashion design. As for the method, it works on the historic background and advancement of the fretwork and it refers to the bibliographies pertinent to the traditional Chinese geometric patter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pure cotton and 100% rayon are mixed to make it feasible to produce the texture for the material to be tender and enhanced, and in the process of washing and dry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The Faux Chenille textile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is required to select materials with great absorption capability as the most effective material to re-visualize the lines and patterns by sustaining the diagonal lines. Second, the fretwork is designed to process the basic formation for 90° angle with the sense of unlimited extensive line and changes with straight lin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the angle that controls the Faux Chenille textile and the tailoring interval are well aligned,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geometric pattern would be effective and it may be expressed in contemporary style. Third, through the fashion design application by utiliz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of the fretwork,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expressed uniquely and creatively while it is affirmed that the western technique and Asian culture can be blended in harmony.



전통 회 문양과 포 셔닐 텍스타일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풍 역축, 유 환*, 이 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박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전통 문양에 나타나는 기하 문양은 고대 시대부터 인간의 창의적 표현 방법을 내포하고 있어 인류의 역 사와 문화적 전승에 있어서 그 의미와 가치를 가진다. 장식적이며 기하학적으로 표현된 회(回) 문양은 고대 부터 도기에 가장 광범위하고 활발하게 응용된 문양 이었으며, 간결하고 독특한 조형적 특성으로 고대사 회의 인문학적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Fang & Fang, 2015). 회 문양은 중국 한자(漢字) 문자 ‘回’와 그의 형 태가 비슷하며, 마가요(马家窑) 문화의 마창(马厂)형 도기 채도(彩陶)의 대표적인 문양의 하나로 상주(商 周)시대 청동기에 장식된 문양 중에 광범위하게 응용 된 것으로 많이 나타났다.

    전통 기하 문양을 바탕으로 회 문양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채도나 도자기 등에 나타난 문양 연구(Liu & Luo, 2011;Xia, 2008;Zhang, 2005;Zhang, 2007) 와 회 문양의 조형적 분석 연구(Yang, 2011;Yang, 2015) 등이 진행되었으며, 패션 관련 연구로는 전통 복식 및 소수민족 복식에 회문양을 응용한 사례에 대 한 연구(Ou Yang, Qiao, & Yang, 2020;Zhao, 2016) 와 현대 패션에 응용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연구 (Cui, 2015;Wu, 2015) 등이 있다. 국내 연구를 살펴 보면 기하학적 회 문양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Xiong, 2016)와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Lee, 2005)로 나타났으며, 전통 문양을 활용한 패션 분야의 지속적 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전통 도자기에 나타난 기하학적 문양을 시대와 문화 유형별로 조사하고, 기하 문양 중 전통 회 문양을 특성을 조사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셔닐 텍스타일 소재를 개발하여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예술적인 기법이 나 수공예 기법을 접목하고 활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다. 패션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 새로운 패 브릭의 개발은 중요한 디자인의 요소로 작용한다. 수 공예 기법의 ‘포 셔닐(Faux Chenille)’ 텍스타일은 스 티치 및 슬래쉬(stitch & slash) 기법으로 소재 개발의 다양한 표현 영역을 넓힐 수 있으며, 원단 표면에 규 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트임을 만들어 주어 섬유 사 이의 간격이 분명한 요철감을 드러나며(Park, Park, Kim, & Yoon, 2010), 이러한 특성들은 회 문양의 조 형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기하학적 회 문양의 조사를 바탕으로 포 셔닐 텍스타일 기법과 연계하여 전통 문화를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고, 이를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여 전통 문화의 가치를 담은 패션 디 자인을 전개, 제작하여 전통 문화를 활용한 창의적이 며 독창적인 패션디자인의 전개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전통 문화와 수공예 기법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분야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전 통 기하학 문양에 대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회 문양의 유형 및 특징 등을 조사한다. 둘째, 포 셔닐 효과를 활 용한 텍스타일에 대하여 조사하고 제작 방법 및 원리 를 파악하고 다양한 효과를 조사한다. 셋째,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 회 문양과 포 셔닐 효과의 텍스타일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 개하였다.

    자료 조사를 위하여 중국 학술 웹 사이트 ‘爱学术 (https://www.ixueshu.com)’, ‘中国知网(https://overse a.cnki.net)’, ‘万万数据(http://g.wanfangdata.com.hk)’, 중국 고대 도기 관련 박물관 웹사이트 ‘广州好普艺术 博物馆(http://www.hpbwg.cn)’, ‘故宫博物馆(https://w ww.dpm.org.cn)’, ‘中国农业博物馆(http://www.ciae.c om.cn)’, ‘甘肃省博物馆(http://www.gansumuseum.co m)’ ‘宋瓷博物馆(http://mosc.com.tw)’ 등을 통해 문헌 과 이미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포 셔닐 텍스타일을 활 용한 패션 디자인 사례 조사를 위하여 ‘Vogue Runway (http://vogue.com)’를 활용하였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Origi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geometrical patterns

    인간은 원시사회부터 석기와 도자기 제조를 시작 하였으며, 불을 사용하며 불이 점토에 일정한 경화와 정형적인 작용을 갖는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점토를 정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거나 생활의 필요에 따라 용기 모양으로 만들어 불에 구워 만들어내며 도 기가 탄생하였다(Yuan & Wang, 2017). 이와 같은 도 기의 출현은 신석기 시대의 중요한 유산이며 표식이 다. 기하 문양은 중국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되고 응용 범위가 넓은 문양으로 도기의 장식 분야에서도 흔하 게 볼 수 있다.

    Qin, Ren, and Hao(2013)의 연구에서는 기하학 문 양이 형성과 발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추측 된다고 설명한다. 첫째, 원시시대 토기의 제작은 다양 한 보조 도구가 이용되었으며, 채도(彩陶)에는 줄(绳) 문양과 석(席) 문양이 나타난다. 채도는 중국의 허난 성(河南省) 앙소(仰韶)에서 출토된 칠 문양 토기로 빨 간색, 검정색 등으로 채색되었고 기하 문양이나 동물 문양이 새겨져 있다. 줄 문양은 밧줄로 토기를 감아 누르며 흔적이 나타나 형성되었다(Zhao, 2018). 이와 같은 방법을 보존하고 문양을 새기면서 의식적으로 예술적인 표현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원시인들 은 신석기 시대부터 계절에 따라 농작물을 심기 시작 했고, 환절기 등의 자연현상과 변화 속에서 규칙적인 파종과 수확 기간을 산출했다. 이러한 계절의 간헐적 리듬은 원시 인류에게 매력을 느끼게 하였으며, 이를 표현하고 기록하기 위한 간단한 기하학적 기호의 리 듬 변화를 구현하게 되었으며 가하학적 문양이 탄생 되었다고 설명된다. 셋째, 원시시대의 생산력이 발전 하고 향상되면서 사람들은 스스로의 독립의식이 강해 졌고, 인간의 생식 번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으며 자 연의 동물이나 식물을 씨족(氏族)의 조상이나 신령으 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토템 신앙을 자연을 통해 나타나는 문양을 가하학적으로 도기에 표현하면서 보 호와 축복을 받을 수 있기를 기원하였다(Wu, 2010)고 전해진다.

    2.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geometrical patterns

    시대별 문양의 발생과 발전은 당시의 사회적 배경 과 생활환경 등의 요인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신석 기 시대에는 농업의 발달로 수자원에 대한 수요가 커 지면서 황하(黄河) 유역과 장강(长江) 유역을 중심으 로 다원적 문화가 발전하는 구도가 형성되었으며, 채 도(彩陶)는 이러한 환경과 지역문화 속에서 탄생하였 다(Zhang, 2005). 채도는 중국 원시사회의 기하학적 장식 문양으로 조형적 특성과 문양의 특성이 뚜렷하 여 고고학적으로 문화적 유형과 시기를 구분할 수 있 는 중요한 근거이다. 채도 문화는 채도의 조형과 문양 에 따라 대표적으로 앙소(仰韶 Yangshao) 문화, 마가 요(马家窑 Majiayao) 문화, 대문구(大汶口 Dawenkou) 문화로 구분할 수 있다(Zhang & Kang, 2019).

    1) Yangshao culture

    앙소문화는 초기 중국 허난(河南)성 민지(渑池)현 앙소(仰韶) 마을에 나타난 채도 문화로, 기원전 약 6,000년에 중국 선민들이 창조한 중요한 문화 중의 하 나이다. 앙소문화 채도의 주요 유형은 반파(半坡)유형 과 묘저구(庙底沟) 유형으로 대표된다(Yang, 2015).

    반파(半坡)시기의 채도(彩陶) 형체가 다양하고 장식 문양도 산점식 구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다. 동물 이미 지를 위주로 한 문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대문(宽 带纹)(Fig. 1), 삼각사선문(三角斜线纹)(Fig. 2) 등 기 하 문양이 있고 그 중에는 어문(鱼纹)(Fig. 3)이 반파 (半坡)형 채도 무늬 장식의 주요 내용과 특징이다. 사 실적 표현에서 추상형에 이르는 표현 기법을 통해 어 문을 물고기 자체의 자연 형태에서 벗어나서 구체에 서 점차 추상화된 기하학적 무늬로 변형시켰다(Kang, 2011).

    묘저구(庙底沟)형 채도는 허남(河南)성 싼먼샤(三 门峡)의 묘저구(庙底沟) 유적에서 출토된 대표적 토 기이다. 묘저구(庙底沟)형 채도에는 주로 기하학적인 무늬가 그려져 있는데, 장식 문양의 특징을 나타낸 것 은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연속 대상(带状) 꽂무늬 (Fig. 4) 및 새무늬(鸟纹)에서 변천한 연속 문양이다. 사선, 호선 등 요소가 있는 구도에서 굵은 원점을 삽 입한 장식으로서 생동감 있는 포인트를 주는 효과를 낸다. 또한 도기의 부풀어 오르는 복부에서 장식된 호 선은 도기를 전체적으로 풍만하게 표현되어 구불구불 하고 유창한 느낌을 준다(Yang, 2015).

    2) Majiayao culture

    마가요(馬家窑) 문화는 5,700년 전 앙소문화가 서 쪽으로 발전한 한 지방의 유형이며, ‘석령하(石岭下)’, ‘마가오(馬家窑)’, ‘반산(半山)’, ‘마창(马厂)’의 네 가 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마가요 문화 시절의 채도 는 중국 채도예술의 정점으로 그의 장식적인 기하문 양이 높은 심미적 가치를 지닌다(Tang, 2010).

    간쑤성(甘肃省)의 동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석령 하(石岭下) 유형은 앙소문화의 먀오디거우(庙底沟) 유형과 마가오형 사이의 과도기형이다. 더불어 기하 학적인 문양으로 단선과 다선의 평행 줄무늬, 톱니 및 호선삼각 문양(Fig. 5), 격자문양 등이 등장한다 (Zhang, 2014). 마가요형의 채도 장식적 문양은 기하 학적인 문양을 중심으로 점과 나선형 문양을 활용하 며 점의 바깥쪽에 나선형 문양으로 둘러져 있어 선회 하고 유창한 예술양식을 만들어냈다(Wang, 2014). 전 체적으로 중심이 대칭적이며, 곡선과 직선의 조합이 나 굵은 선과 가는 선의 조합, 그리고 소밀 있는 조합 을 통해 다양하고 가득한 배치를 이루게 된다. 문양에 는 도트 망문(圆点网纹)(Fig. 6), 호변 삼각 문양(弧边 三角纹)(Fig. 7)이 많고 소수의 소용돌이 문양, 톱니 및 ‘S’형 문양(Fig. 8)도 있다(Tang, 2010).

    반산(半山)형의 기하학적인 문양은 크게 발전하지 않았고 문양 구조가 크게 두 가지로, 개별적으로 나열 된 문양의 소용돌이 문양(旋涡纹)(Fig. 9)과 서로 연결 된 조롱박형 문양(Fig. 10)으로 면을 분할하여 장식 면을 여러 단위로 나누었다. 또한 소용돌이문양의 곡 선과 격자무늬의 직선이 동태와 정태를 대비시키는 효과를 이루었다. 마창(马厂)형 채도 기하문양에서 흔 히 볼 수 있는 것이 삼각무늬, 회 문양(Fig. 11), 망문 (网纹)(Fig. 12), 대권(大圈) 문양 등이다. 문양은 전체 적으로 간결하고 힘 있는 예술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 며, 거칠고 장중하며 호방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Tang, 2010).

    3) Dawenkou culture

    대문구(大汶口)는 고대 산둥(山東)성 태안(泰安)시 에 있었던 지역으로, 1959년 이곳에서 많은 채도와 선 사유적이 발견되면서 신석기 시대의 대문구문화라고 명명하였다(Li, 2014). 대문구 문화 채도의 기하 문양 은 주로 꽃잎문양(花瓣纹), 소용돌이문양(旋涡纹), 팔 각성문양(八角星纹), 운뢰문양(云雷纹), 물결문양(水 波纹), 패문양(贝纹), 꺾은선문양(折线纹), 삼각문양 (三角纹), 망문양(网纹), 연책문양(连栅纹) 등이 있다. 이러한 문양들은 평행선 간격으로 가운데에는 삼각무 늬나 망문이 그려져 있다(He, 2008).

    팔각성문(Fig. 13)은 대문구 문화의 채도 중 대표적 인 문양이다. 진홍색 채도(彩陶)에 백색으로 여러 개 의 사각형을 그리고 테두리에 연속 꺾은선이 그려져 있으며, 각 사각형 사이에는 단열의 반월형 수직선으 로 분리되어 8각의 별 모양의 문양을 형성하였다. 물 결문양은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평행하게 만곡한 선으 로 이루어진 물결 모양의 문양이다(Fig. 14). 삼각문양 은 망문양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Fig. 15), 다른 도형 들과 혼합하여 도안되는 경우가 많다(Fig. 16).

    3.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fretwork

    회 문양은 간쑤(甘肃) 지역에서 오랫동안 유행한 소용돌이 문양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Li, 2006). 마가요 문화의 마장(馬場)형 채도에 가장 먼저 등장하 였고 상․주(商․周) 청동기의 주요한 보조 문양이 되 었다. 또한 회 문양은 고대 인간들이 자연을 모방하여 형태를 간소화시켜 형성된 회선 반복 조형의 추상적 인 기호이기 때문에 ‘부귀를 누리다’, ‘장수하다’의 의 미를 가진다(Yang, 2011).

    전통 회 문양의 발전은 원시 사회의 신석기 초기의 역동적이고 활발한 표현 형식에서 청동기의 장엄하고 숙연한 표현 형식으로 발전했다. 상․주 시기에는 노 예사회시기의 제련기술이 상당히 성숙된 단계로, 이 시기에 나타난 청동기는 위엄있고 간결한 조형 형식 으로 이루어진 도철 문양(饕餮纹)(Fig. 17)을 비롯하 여 기 문양(夔纹), 봉조 문양(凤鸟纹) 등, 문양을 주요 장식적으로 도안하였다. 또한 세로나 가로로 배열하 여 도안된 회 문양은 청동기상의 보조 문양으로서 간 결하고 단정한 조형양식과 번거롭고 정밀한 주요 장 식문양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시각적 아름다움을 나 타내며, 당시 등급제도와 종교를 숭상했던 문화적 분 위기를 반영하고 있다(Liu & Zhang, 2011).

    한(汉)나라 시기에는 간결한 형태의 회 문양이 번 성했던 시대의 미적 추구를 만족시킬 수 없어 점차 쇠 락했으나, 유목민족의 침입이 잦았던 송(宋)나라 시대 에는 사회 불황에 처한 사람들의 담담함과 자연스러 움을 추구하는 미적 욕구에 맞추어졌다(Zhai, 2016). 이에 송나라 시기에는 회 문양이 다시 유행하여 길주 요(吉州窑)(Fig. 18), 자주요(磁州窑)(Fig. 19), 경덕진 요(景德镇窑)(Fig. 20) 등 기물이나 도자기의 보조 문 양으로 사용되었으며, 접시, 사발, 병, 항아리 등 기물 의 둘레나 목 부분에 장식하였다. 그리고 원․명․청 (元․明․清) 각 세대에 걸친 도자기의 장식에도 계 속 사용하였다(Liu & Zhang, 2011; Fig. 21).

    회 문양은 광범위하게 응용된 예술 기호로 청동기 장식 문양에서 자주 나타나고 테두리 장식으로 사람 들의 일상생활에서 각종 기물, 방직물과 공예품의 표 면에 널리 사용되기도 한다. Fang and Fang(2015)의 연구에서는 회 문양이 그래픽 문자를 이용하여 엄밀 성, 규칙성, 리듬성을 갖춘 조형 형태이며 이러한 형 태는 간결함과 공간감을 발생시키며, 또한 선의 구성 이 균형적이며, 질서 정연한 도안은 민족의 상징적 시 각적 기호로 관상성과 실용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4.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etwork patterns

    회 문양은 간단하면서도 조형 및 구성 양식이 매우 다양하여 인류 문명사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조형성 을 지닌 도안으로 그 종류가 풍부하다. 전형적인 회 문양에서의 단위 문양은 순방향 혹은 역방향, 둥근 혹 은 네모난 S형 문양이다. 회 문양의 조형 양식은 주로 4가지 유형으로, ‘방회단체(方回单体)형’, ‘간필조합 (简笔组合)형’, ‘정반(正反) “∾”형’, ‘한필연환(一笔 连环)형’으로 분류한다(Zhai, 2016; Table 1).

    방회단체형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정사각형 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전적인 조형 문양의 대표적 인 요소이다. 본체는 하나의 점을 원심으로, 하나의 선을 통해 밖으로 선회시켜 연장하여 구성하고 하나 의 회 문양의 요소를 서로 다른 조합 방식으로 전후, 좌우로 뻗어 나가 소용돌이를 형성하고, 깔끔한 가로 세로 라인으로 시각적인 역동감을 표현한다. 간필조 합형은 단순화된 문양으로, 라인의 밀도를 감소시켜 문양의 공간감을 나타내며, 구성단위에서는 방회단체 형의 형태를 간소화하여 두 개 단체가 조합한 중단 연 속식 형태로 변환한다. 다른 유형에 비해 간결하고 액 티브한 스타일이다. 정반 “∾”형은 회 문양 양식의 변 천 과정에서 돌발적인 조형 형태로, 회 문양을 수평으 로 반전시켜 “∾”형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반듯하고 장엄한 장식 스타일을 역동적인 감각으로 변화시켰 다. 한필연환형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선으로 연속 적으로 선회하고 반복되어 회 문양을 만들어내며, 질 서 정연하고 획일화된 선은 더욱 공간과 유동성을 가 지며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한 단위의 조형은 지속적 으로 선회하고 중복된 것으로 대칭, 연속, 인접, 연결, 반복 등의 특성을 가지면서 각 조형 형태에 시각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Ⅲ. Chenille Effect Textile

    1. Definition and origin of Chenille textile

    포 셔닐(Faux Chenille)은 Faux와 Chenille의 합성 어로, Faux는 ‘인공적이다’, ‘모조하다’의 의미이며, 셔닐(Chenille)은 원사(yarn)이나 혹은 그것으로 만든 직물을 가리킬 수 있다. 프랑스어로 모충(毛虫)이라는 뜻으로 외관에 보송보송한 느낌이 있다. 셔닐 직물은 1,70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레노 위브(Leno Weave) 직물을 가느다란 천 조각으 로 잘라 셔닐 원사를 만들어 직물을 짜서 열처리를 거쳐 개발되었다. 이후 알렉산더 뷰캐넌(Alexander Buchanan)에 의해 대규모로 셔닐 직물을 생산하는 기 술이 개발되었으며, 점차 다양한 기술의 방법들이 개 발되어 사용되고 있다(Sarina, 2022).

    포 셔닐은 스티치 및 슬래시 기법으로 겹치기-박음 질-자르기 등의 기법으로 마찰-물세탁-말림 등 가공처 리를 통해 섬유소재 자체의 수축효과 등을 통하여 수 공예를 섬유소재에 결합한 작업으로 특유의 수공예적 독창성을 가진다. 1980년대 웨어러블 아티스트 팀 하 딩(Tim Harding)은 화려한 실크를 레이어링하여 스티 치하고 절단하여 제작한 셔닐 기법을 활용하여 풍부 한 색채와 부드러운 터치감의 시그니처 룩을 발표하 였다(Fig. 22).

    1990년대 나네뜨 홀름버그(Nannette Holmberg)는 천연섬유 면과 인조섬유 레이온이 섞이면 직물의 질 감을 부드럽고 풍부하게 만들 수 있고 이렇게 작업한 직물이 세탁하고 말리는 과정 중에 수축 현상으로 나 타나는 포 셔닐 효과의 직물을 개발하고 패션 디자인 으로도 제안하였다(Holmberg, 1997).

    1990년대 후반 포 셔닐은 원단이나 기성복에서 누 빔으로 등장하였으며 원사의 일종으로서 솜털과 같이 부드럽고 가벼운 합성물로 인식되었다. 직물의 스티 치 작업 후 벨벳과 같은 외관이 생겨서 이미테이션 (imitation)이나 ‘포 셔닐(Faux Chenille)’이라고도 한 다(“Chenille fabric”, n.d.). 일상생활에서 수공예 작업 을 통해 천 조각과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물 표면에 ‘Chenille’ 직물의 텍스처와 유사한 외관을 손쉽게 복 제하였고 다양한 웹사이트나 플랫폼에서 포 셔닐 직 물 개발에 적용할 스티치와 슬래시 기법의 작업 과정 이 공개 되어 널리 사용되었으며, 패션 디자인(Fig. 23)이나 패션액세서리에도 활용하였다.

    2. How to make Faux Chenille

    포 셔닐 제작을 위한 스티치 및 슬래시 기법의 진 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100% 면직물을 겹친 다음 재 봉틀을 사용하여 직물을 스트라이프 또는 체크로 스 티칭하여 재봉이 완료되면 층층이 절개되어 가장자 리가 마모될 때까지 여러 번 세탁한다. 스트라이프 스티치란 여러 정방형으로 자른 직물들을 겹친 후 직 물의 대각선 바이어스 방향을 따라서 직물의 표면을 1~2cm의 일정한 간격으로 스티치하고, 일자 혹은 ‘人’자 형태로 배열하며, 체크 스티치란 정방형 직물 들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 이어 맞추고 각 대각선 또는 대각선의 상․하반부를 따라서 새로운 기하 형태를 만들어지게 스티치를 한다.

    스티치는 통상적으로 여러 가지 재료와 방법으로 재봉틀이나 바늘을 사용하여 아트 패브릭을 만드는 기법으로서 소재 표현의 영역을 넓히고 예술성이 깃 든 소재를 만들어 낼 수 있다(Park et al., 2010). 슬래 시는 여러 층의 직조 직물이 겹겹이 쌓이는 과정이자 직물 층을 질서 있는 간격의 선으로 꿰맨 후, 바닥층 을 제외하고는 매우 날카로운 가위 또는 실뜯기 리퍼 를 사용하여 모든 직물층을 절단한다. 스웨이드 브러 시 또는 칫솔을 사용하여 절단된 가장자리를 솔질하 여 섬유질을 높이고 포 셔닐 효과를 만든다(Ahmed & Elsayed, 2019).

    스티치 및 슬래시 기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게이지(gauge)를 사용하여 정확성을 높이고, 제일 위층으로 올려놓을 직물부터 직물의 바 이어스 방향을 따라서 미리 설계된 대각선을 그린다. 둘째, 밑바닥 직물의 정면을 아래로 향하게 한 후 나 머지 정방형으로 자른 직물들이 정면이 위에 향해 겹 치고 직물 층의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맨 위층 직물에 표시된 선을 따라 핀으로 고정한다. 셋째, 경 위선이 모두 잡히고 고정되도록 1.0~2.0 스티치 길이 를 사용하여 선을 따라 기계 봉제하며 선의 양쪽에서 바이어스 방향으로 스티치하고 직물 층을 완전히 채 울 때까지 라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남기고 봉제를 계속하도록 한다. 넷째, 봉제선 사이에서 위쪽의 층을 가위나 전문가용 Chenille 커터로 절개하며 반드시 완전한 밑바닥 층을 유지하며 잘라내지 않도록 한다. 맨 위층 원단과 다른 색상의 봉재실을 사용할 수 있 으며, 원단이 검은색일 경우에는 구별이 뚜렷한 흰색 재봉실로 박음질하면 세탁 및 건조를 건친 후에 그들 은 직물의 수축 현상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숨겨진다 (Holmberg, 1997; Fig. 24).

    Ⅳ.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1. Design intent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기하 문양과 회 문양의 특성 과 대칭, 인접, 연속 등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포 셔닐 텍스타일을 개발하여 이를 다양한 패션 디자인에 활 용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회 문양의 기본 조형을 파악하였으며, 포 셔닐 텍스타일 제작에서는 일정한 방향(45°) 및 너비(1~2cm)를 기준으로 패턴을 설계하며, 회 문양을 포 셔닐 텍스타일에 적용하여 소 재, 색상, 층수 등에 있어서 배합이 서로 다른 샘플 작 업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소재는 레이온과 면 소재를 활용하였으며, 스티치 및 슬래시 기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곡선, 직선, 꺾은 선을 사용해 네 가지 조형의 회 문양과 조합하며 패턴 1-5를 설계하고 4층 혹은 4층 이상 직물의 겹치기를 거치고 채도나 명도의 차이가 큰 색상의 배합으로 포 셔닐 텍스타일의 패턴을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였 다. 디자인 전개 전에 회 문양의 포 셔닐 텍스타일의 효과를 미리 확인하기 위하여 20×20cm/21×21cm(대 각선1cm/1.5cm 간격) 사이즈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Table 2).

    본 연구 작품의 테마는 ‘생생불식(生生不息): 근본 을 추구해 자연으로 돌아가다’이며, 포 셔닐 텍스타일 의 풍성함과 회 문양의 상징적 의미를 접목하였다. 회 문양을 활용하여 개발된 셔닐 텍스타일의 패션 디자 인 전개는 다양한 패션 아이템에 적용하여 다양한 디 자인으로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디자인 전 개는 레트로룩의 트렌치코트, 블랙․화이트로 대비하 는 하프코트와 스커트로 배합한 스트리트룩의 투피 스, 캐주얼룩의 이지스포츠웨어, 블라우스와 캐미숄 상의와 데님 스커트의 레이디룩의 캐주얼웨어로 진행 하여 제작하였다(Table 3).

    2. Production

    작품 1은 H라인의 와인드 코트로디자인으로, 브라 운 소재로 셔닐 텍스타일 소재와 배합하여 가을·겨울 데일리 룩에 적합한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색상은 베이지와 카키색을 위주로 검정색을 포인트 색상으로 활용하였다. 문양은 채도에 나타난 회 문양의 기본 조 형인 한필연환형을 사용하며 사선에 이방연속 형식으 로 배열하여 문양 사이에 줄무늬로 간격을 두어 정연 함이 나타낸다. 패턴 1은 같은 한필연환형 회 문양으 로 적용하였으며, 문양의 조형을 그대로 사용하며 문 양 사이에 간격을 주어서 대각선 방향(45°)에 세 줄로 배열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전반이 직선으로서 대각 선 방향에 나머지 공간을 채워 선이 서로 1cm 간격을 두며 점선에 따라 5층 직물 모두를 단단히 봉제하여 실선에 따라 맨 위에 4층 직물만을 절개한다. 맨 아래 층 원단을 제외하고, 100% 레이온 소재만 사용하였 다. 위에서부터 횐색-노랑색-진녹색-연녹색의 차례로 총 4층의 얇은 소재를 겹치고 레이온 소재가 면과 같 은 셀룰로스 섬유로서 천연 섬유에 가까우며 실크와 부드러운 촉감을 갖고 흡수성이 좋아 물기에 노출되 면 줄어드는 점과 구김이 잘 가는 단점이 있으므로, 세탁, 마찰 또한 건조를 거친 다음에 라인 사이에 노 출된 색상 배열이 들쭉날쭉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패 턴 2는 패턴 1과 같은 조형의 회 문양을 적용하였지만 패턴 설계가 달라 이방연속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중 간마다 한둘 줄 사선이 교차로 4등분을 분할시켰다. 소재는 100% 레이온 소재 및 면 소재를 섞여 있으므 로 패턴 1보다 재질감을 여유롭게 제작하였다. 색상 은 블랙-네온 그린-블랙-화이트 순차로 배치하였으며, 문양 틈에 무채색이 밝은 유채색과 형성하는 대비 효 과를 연출하였다(Fig. 25).

    작품 2는 짧은 재킷과 H라인의 스커트로 디자인하 였다. 긴 소매는 스모킹 처리로 하며, 몸판 밑단에서 균일한 셔링으로 허리 여민 디테일을 편하게 잡아주 었다. 색상은 전체적으로는 검정색과 흰색으로 사용 하여 문양 사이에 흑백 대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문 양은 채도의 회 문양 방회단체형을 사용하며, 한 단위 의 조형을 무작위로 분포하며 조형 주변에 직선이 사 각으로 연장되어 디자인 전체가 선회하고 반복되는 시각적 이미지로 나타난다. 패턴 3의 방회단체형 문 양을 기본 형태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작업 과정에서 는 패턴 1-2의 방법과 절차와 같이 실선에 따라 절개 하고 점선을 따라 봉제하였다. 소재는 100% 면과 100% 레이온 소재를 섞여 사용하였고 총 4층의 직물 을 겹쳐 작업하였다. 색상은 주로 블랙․화이트로 대 비효과를 나타내 회문양 조형을 강력하게 표현하였다 (Fig. 26).

    작품 3은 드롭 숄더의 후드 셔츠와 캐주얼 팬츠의 아이템으로, 몸판 앞뒤, 바지 주머니 및 소매 옆선 사 이드에 포 셔닐 텍스타일을 적용하였다. 상의의 밑단 은 신축성 있는 벨트로 장식하고, 바지의 허리 부분과 바지통은 밴딩으로 장식하여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색상은 회색과 카키색, 연녹색 및 네온그 린으로 구성하였다. 문양은 채도에 나타난 회 문양의 간필조합형을 ‘8’자 형태로 변형시켰으며, 변형된 회 문양을 활용하여 포 셔닐 텍스타일의 표현으로 몸판 앞뒤, 바지 주머니 및 소매 옆선 사이드에 장식하였 다. 간필조합형 회 문양을 위아래로 뒤집었으며 마치 ‘8’ 형태처럼 변형하여 중심 위치에 놓고 나머지 공간 에 곡선으로 채웠다. 점선에 따라 봉제하고, 그 다음 실선에 따라 자른다. 총 5층 직물을 사용하며 맨 위에 는 100%면 아사를 적용하였고 다음 4단의 직물은 각 각 명도가 다른 레이온 직물을 활용하였다. 색상은 형 광녹색-진한녹색-연녹색을 순차적으로 얇은 소재를 활용하여 겹쳐지게 하였다(Fig. 27).

    작품 4는 정반(正反) “∾”형 회문양을 분해시켜 재 구성한 꽃문양의 캐미솔과 시스루 소재의 블라우스, 데님 스커트의 에스닉한 룩으로 완성하였다. 색상은 회색과 흰색에 주홍색을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하였 다. 문양은 주로 캐미솔 몸판 중심 부분에 적용하여 풍성한 윤곽을 만들었다. 패턴은 면적 분할 방식을 사 용하여 정반 “∾”형 회문양의 조형과 주변에 꺾은선 으로 채운 직물의 층을 분리하였다. 회 문양은 두 개 의 단독적인 정반 “∾”형 회 문양을 사용하여 하나의 모양을 만들었고, 가운데 만자문(万字纹)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형을 연결하였다. 소 재는 100% 면 소재와 100% 레이온 소재를 채택하였 다. 색상은 주홍색-흰색-블랙의 순차로 직물을 배치하 였으며, 꺾은선 구역은 연한 파랑-인디고-흰색의 순차 로 4층 직물로 배치하였다. 퍼 셔닐 텍스타일의 회 문 양은 화려한 꽃 모양의 이미지로, 만물이 소생하는 생 기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였다(Fig. 28).

    Ⅴ.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전통 회 문양을 활용한 포 셔 닐 텍스타일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문 화 기반의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하였 다. 회 문양은 중국 전통 기하학적 문양의 하나로서 신석기시대에 약 5,700년 전 마가요 채도 문화 속에 가장 일찍 등장하였고 왕조의 시대가 바뀌면서 청동 기의 황금단계인 상․주(商․周) 때에는 생산력이 확 대되었으므로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이 외에는 회 문양의 배열방식은 청동기의 조형에 따라 계속 보완되어왔으며 상징적 의미와 장식적 역할도 다수의 청동기의 발전에 의해 점차 발전을 가져왔다.

    초기 회 문양 조형은 대부분 곡선으로 이루어져 나 선형으로 곡선형이었으며, 변화를 거치면서 방회단체 형, 간필조합형, 정반∾형, 필연환형의 네 가지로 요 약할 수 있으며 이방연속 패턴이나 사방연속 패턴으 로 배열되어 나타나고 있다. 한 단위의 조형은 끊임없 이 선회하고 중복된 것으로 대칭, 연속, 인접, 연결, 반 복 등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각 조형 형태에 시각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포 셔닐 텍스타일은 스티치와 슬래시 기법에 의하 여 여러 셔닐 효과의 텍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회문양을 활용한 셔닐 효과의 5개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는 패션 디자인으로 전개, 제작하였다. 전통 회 문양과 포 셔닐 텍스타일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전 개 및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 셔닐 텍스타일의 소재 작업 시 순면과 100% 인조 면 및 레이온이 섞여 있으므로 직물의 질 감을 부드럽고 풍부하게 만들 수 있으며, 직물을 세탁 하고 건조하는 과정 중에 수축 현상이 일어나면서 셔 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포 셔닐 텍스타일 제작 시에는 실이 고정되도록 1.0~2.0 스티치 길이를 사용 하여야 완성될 때까지 그 조직의 사이즈가 적어져도 문양의 조형적 형태가 흩어지지 않는다. 포 셔닐 텍스 타일 제작은 그 대각선을 유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밀도가 적당하고 흡수성이 좋은 천연소재로 선정이 중요하며, 색상의 대조가 강한 소재를 사용하면 라인 변화와 문양의 윤곽을 재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회 문양은 기본 조형은 90° 각도로 양 끝을 향해 무한히 연장되고 긴밀하게 둘러싸는 직선의 변 화로 원단에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과 일치하며, 포 셔 닐 텍스타일을 봉제하는 각도와 재단 간격에 적합하 여 전통 기하학적 문양을 활용하기에 적절하였으며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 문양 을 활용한 포 셔닐 텍스타일 샘플 5가지를 제작하였 으며 그 중에 기모감이 쉽게 만들어준 면 소재가 차지 하는 샘플 3의 효과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베이지와 연녹색으로 대비를 형성한 샘플 1과 검정색과 흰색으 로 대비를 형성한 샘플 3, 주홍색과 파랑색으로 대비 를 형성한 샘플 5는 회 문양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이 었다.

    셋째, 회 문양은 규칙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포 셔닐 효과 텍스타일을 제작하는 데 명료한 효과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텍스타일을 활용한 패션 디자 인의 전개는 수공예적 표현으로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포 셔닐 텍스타일을 활용한 디자인 전개 제작 시 적합한 천연소재 및 색상의 배합을 선정한다면 패 션 디자인 작품을 완성하였을 때 더욱 독창적인 이미 지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전통 문양과 포 셔닐 효 과 텍스타일을 적용한 수공예적 표현의 패션 디자인 개발은 서양기법과 동양문화의 결합을 이룰 수 있었 으며, 이와 같은 전통적이며 수공예적인 연구와 개발 이 지속되길 기대한다.

    Figure

    RJCC-30-6-880_F1.gif

    Wide-band pattern three-legged faience pottery bowl Reprinted from Sohu. (n.d.). https://www.sohu.com

    RJCC-30-6-880_F2.gif

    Triangular diagonal pattern faience pottery bowl Reprinted from Shaanxi. (2020). https://baijiahao.baidu.com

    RJCC-30-6-880_F3.gif

    Faience fish pattern pot Reprinted from Weibo. (2022). https://weibo.com

    RJCC-30-6-880_F4.gif

    Floral pattern faience pots Reprinted from Sohu. (2020). https://www.sohu.com

    RJCC-30-6-880_F5.gif

    Stone ridge under the type arc pattern faience pot Reprinted from County Museum. (2018). http://www.huining.gov.cn

    RJCC-30-6-880_F6.gif

    Reticulated dot pattern faience clay pot, Majiayao Faience Pottery Reprinted from Huitu Network. (n.d.). https://www.huitu.com

    RJCC-30-6-880_F7.gif

    Horse factory grid triangle rice pattern amphora jar Reprinted from Guangzhou Haopu Art Museum. (2016). http://www.hpbwg.cn

    RJCC-30-6-880_F8.gif

    Sawtooth & ‘S’ patterns Majiayao faience pottery Reprinted from 360doc. (2015). http://www.360doc.com

    RJCC-30-6-880_F9.gif

    Spiral pattern Majiayao faience pottery Reprinted from 360doc. (2015). http://www.360doc.com

    RJCC-30-6-880_F10.gif

    Gourd pattern faience pot Reprinted from Yu. (2020). https://zhuanlan.zhihu.com

    RJCC-30-6-880_F11.gif

    Echo amphora faience pot, horse factory type Reprinted from Lang Shude and others. (2014). http://www.lzjcg.net

    RJCC-30-6-880_F12.gif

    Mesh jar Reprinted from Walk All Over the World’s Museums. (2020). https://baijiahao.baidu.com

    RJCC-30-6-880_F13.gif

    Octagonal star pattern, faience pottery bowl Reprinted from Kknews. (2016). https://kknews.cc

    RJCC-30-6-880_F14.gif

    Crease pattern, faience pottery Reprinted from Wenlvnews. (2021). http://www.wenlvnews.com

    RJCC-30-6-880_F15.gif

    Triangular reticulation pattern clay red pottery Reprinted from Shandong Museum. (n.d.). http://www.sdmuseum.com

    RJCC-30-6-880_F16.gif

    Faience vortex triangle pattern amphora Reprinted from Zhang. (2019). http://www.kgzg.cn

    RJCC-30-6-880_F17.gif

    Gluttonous pattern. Shang and Zhou dynasties Reprinted from Sohu. (2018). https://www.sohu.com

    RJCC-30-6-880_F18.gif

    Jizhou kiln seawater pattern, Song dynasty Reprinted from Huaxia Collection Network. (2018). https://www.cang.com

    RJCC-30-6-880_F19.gif

    Cizhou kiln character jar, Song dynasty Reprinted from Huaxia Collection Network. (2019). https://www.cang.com

    RJCC-30-6-880_F20.gif

    Jingdezhen kiln, Song dynasty Reprinted from Museum of Song Ceramics. (n.d.). http://mosc.com.tw

    RJCC-30-6-880_F21.gif

    Blue flower lotus seed bowl, Ming dynasty Reprinted from Ke. (2017). http://www.artzip.org

    RJCC-30-6-880_F22.gif

    ‘Seascape Coat’ 1992, Tim Harding Reprinted from Fine Arts Museums of San Francisco. (n.d.). https://art.famsf.org

    RJCC-30-6-880_F23.gif

    Barbara Bui, 2014 spring RTW Reprinted from Vogue runway. (n.d.). https://www.vogue.com

    RJCC-30-6-880_F24.gif

    Steps in stitch and slash techniques Reprinted from Holmberg. (1997). pp.27-31.

    RJCC-30-6-880_F25.gif

    Work 1’s Faux Chenille pattern & fashion design

    RJCC-30-6-880_F26.gif

    Work 2’s Faux Chenille pattern & fashion design

    RJCC-30-6-880_F27.gif

    Work 3’s Faux Chenille pattern & fashion design

    RJCC-30-6-880_F28.gif

    Work 4’s Faux Chenille pattern & fashion design

    Tabl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etwork patterns

    Faux Chenille textile work using fretwork

    Design deployment and composition

    Reference

    1. 360doc. (2015, May 4). Gansu faience Majiayao culture (1): Majiayao faience pottery.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360doc.com/content/15/0504/17/52920_468033651.shtml
    2. Ahmed, O. K. , & Elsayed, N. A. (2019). Fabric manipulation as a fashion inspiration source for children clothes. International Design Journal, 9(4), 79-91.
    3. Chenille fabric. (n.d.). In Wikipedia.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henille_fabric
    4. County Museum. (2018, July 9). Stone ridge under the type arc pattern faience pot.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huining.gov.cn/mobile/cms/view/599.html
    5. Cui, J. (2015). The application of geometric pattern elements in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in modern clothing design. World of Antiquity, (1), 33- 36.
    6. Fang, Y. , & Fang, S. (2015). The research on design value and design innovation of Hui Wen in the modern art. She Ji, (4), 86-87.
    7. Fine Arts Museums of San Francisco. (n.d.). Tim Harding, seascape coat.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art.famsf.org/tim-harding/seascape-coat-19991401
    8. Guangzhou Haopu Art Museum. (2016, August 25). Horse factory grid triangle rice pattern amphora jar.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hpbwg.cn/p-7b66b4fd401a271a1c7224027ce111bc.html
    9. He, D. (2008).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painted potteries from Dawenkou culture. Southeast Culture, (4), 6-11.
    10. Holmberg, N. (1997). Variations in Chenille: Nannette Holmberg’s techniques for creating Faux Chenille. Bothell: That Patchwork Place.
    11. Huaxia Collection Network. (2018, February 3). Ancient civilization, Jizhou kiln seawater pattern gourd bottle.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cang.com/trade/goods/17508379
    12. Huaxia Collection Network. (2019, January 2). Jiuding calligraphy painting collection, Cizhou kiln character jar.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cang.com/trade/goods/19628557
    13. Huitu Network. (n.d.). Gallery, reticulated dot pattern faience clay pot.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huitu.com/photo/show/20201020/141536640060.html
    14. Kang, Y. (2011). The artistic features of the Banpostyle painted pottery in Yangshao civilization. Journal of Yuncheng University, 29(1), 110-112.
    15. Ke, Q. (2017, September 25). Recent researches and exhibitions on Ming dynasty porcelain outside China.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artzip.org/researches-exhibitions-ming-dynasty-porcelain-china
    16. Kknews. (2016, September 29). Daily headlines, appreciation of pottery accessories and exhibition of labor tools in the Damankou culture period at the foot of Mount Tai.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kknews.cc/culture/qrb2nb.html
    17. Lang Shude and others. (2014, August 20). Majiayao culture early horse factory type.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lzjcg.net/jcg_ctg/content.asp?id=229
    18. Lee, C. M. (2005). A study on modern utilization of geometrical traditional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 Li, T. (2014). Interpretation of Dawenkou culture. Art and Literature for the Masses, (23), 32.
    20. Li, Z. (2006). Fret and gong gong. Journal of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Social Sciences Edition), 8(6), 18-21.
    21. Liu, J. , & Luo, X. (2011).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patterns in ceramic decoration. Business Culture, (7), 337-337.
    22. Liu, W. , & Zhang, X. (2011). Talking about the application of fretwork pattern in ceramic decoration. Art Education Research, (3), 40-41.
    23. Museum of Song Ceramics. (n.d.). Song dynasty, Jingdezhen kiln.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mosc.com.tw/s_16.html
    24. Ou Yang, S.-W. , Qiao, H. , & Yang, B. (2020). Characteristics of clothing patterns of Yi ethnic group in the Yino dialect area of the Liangshan. Progress in Textile Science & Technology, (2), 20-45.
    25. Park, H. , Park, S. , Kim, H. , & Yoon, M. (2010). 함께 만들어보는 아트 패브릭 [Art fabric made together]. Seoul: Chung Ram Books.
    26. Qin, S. , Ren, B. , & Hao, Y. (2013). Talking about the cultural connotation of ceramic decorative patterns. The Youth Writers, (1), 212.
    27. Sarina. (2022, January 10). ‘What is Chenille? How is it made?’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sewguide.com
    28. Shaanxi, H. (2020, March 05). Triangular diagonal pattern faience pottery bowl, Xi’an Banpo Museum collection.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baijiahao.baidu.com/s?id=1660295005152043638
    29. Shandong Museum. (n.d.). Reticulated faience back pot.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sdmuseum.com/detail/418.html
    30. Sohu. (2018, August 27). The dry goods are coming! Take stock of the 5,000-year-old origins of bronzes in China.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sohu.com/a/250303356_100173686
    31. Sohu. (2020, April 18). Shaanxi Libo’s prehistoric faience pottery exhibition: Every Chinese person needs to know the history.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sohu.com/a/389152335_149159
    32. Sohu. (n.d.). Banpo cultural period: The birth of faience pottery, wide-band pattern three-legged faience pottery bowl.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sohu.com/a/350487337_99992249
    33. Tang, Y. (2010). A primary analysis of the geometric decorating patterns on the painted pottery in Majiayao culture. The Silk Road, (10), 27-29.
    34. Vogue runway. (n.d.). Barbara Bui spring 2014 ready-to-wear.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ready-to-wear/barbara-bui/slideshow/collection#24
    35. Walk All Over the World’s Museums. (2020, September 7). The collection of the most beautiful faience pottery in ancient China (1), the treasure collection of the Gansu Provincial Museum, mesh jar.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baijiahao.baidu.com/s?id=1677173689037070564&wfr=spider&for=pc
    36. Wang, Y. (2014). Analysis of the decoration on the ancient painted pottery of Majiayao. Guangdo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 190- 194.
    37. Weibo. (2022, April 15). Xi’an Banpo museum.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weibo.com/2245945470/Lozlvdogz?refer_flag=1001030103
    38. Wenlvnews. (2021, July 09). There are relics in Wanzai Shenzhou Shandong century-old archaeology tells you how cattle the Qilu ancestors were.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wenlvnews.com/p/530835.html
    39. Wu, G. (2015). Geometric lines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elements application in modern fashion design. Textile Reports, (10), 65-67.
    40. Wu, J. (2010). Primitive modernity: Research on the forms of decorative patterns of Chinese primitive painted pott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hanghai Normal University, Shanghai, China.
    41. Xia, Y. (2008). Analysis of the cultural meaning of painted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Journal of Jiang Su Teach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3(7), 110-112.
    42. Xiong, H. R. (2016). Application of jewelery design study ancient Chinese geometric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Gimhae, Korea.
    43. Yang, X. (2015). A analysis on the art of painted pottery in Yangshao culture -Painted pottery and decorative pattern. Culture Journal, (3), 135-136.
    44. Yang, Y. (2011). The traditional Hui marks and are used in modern design’s inspiration. Art and Design, 2(11), 50-52.
    45. Yu, F. (2020, February 29). Qinghai tourism must not miss the 4A scenic spot,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Qinghai from the Beginning of the Qinghai Museum.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s://zhuanlan.zhihu.com/p/109929721
    46. Yuan, G. , & Wang, T. (2017). On the origins of early pottery and how It was invented. Archaeology of Luoyang, (4), 29-32.
    47. Zhai, S. (2016). Research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formal language of ‘Fretwork’ patterns in graphic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Qufu Normal University, Qufu, China.
    48. Zhang, J. (2005). The expression of subjective intention under the objective environment: Analysis of the decorative patterns of Chinese Neolithic colored pottery. Journal of Xinjiang Normal University (Social Science), (4), 215-217.
    49. Zhang, J. (2007).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geometry decorating style from the decorating designs on colorful ceramics tile. Journal of Taizhou Polytechnical Institute, 7(3), 44-47.
    50. Zhang, P. (2019, August 21). Archaeological network, Zhang Pengchuan: Neolithic painted pottery has guided the path of imagery expression in Chinese art. Retrieved May 20, 2022, from http://www.kgzg.cn/index.php/a/32.html
    51. Zhang, Y. (2014). Appreciation of Shilingxia pottery in Wushan county museum. Developing, (10), 50.
    52. Zhang, Y.-Q. , & Kang, S.-K.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earthen ware’s decorative patterns of the Neolithic age in Chin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 16(3), 189-207.
    53. Zhao, L. (2018). The origin of cord pattern. Art and Design, 2(3), 123-125.
    54. Zhao, Y. (2016). Research on various nationalities pattern diversity under background of Guangxi ethnic costumes handicrafts. Shandong Textile Economy, (10), 9-12.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