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6 pp.861-879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6.861

Image expression of simulacre in fashion photography

Sero Lee, Mijeong Kwon*, Sookhyun Park**
MD & Web Designer, Jinboram Mall,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Korea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2-Year Research Gra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jkwon@pusan.ac.kr)
November 3, 2022 December 26, 2022 December 26, 2022

Abstract


Simulacre means a copy of the original, an ostensible representation of someone or something. This study closely looks at the 2017 <VOGUE like a painting exhibition> hosted by the fashion magazine Vog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to analyze the simulacre developed in fashion photographs inspired by famous paintings in the exhibition booklet. The booklet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portrait, rococo, landscape painting, from avant-garde to pop art. It also contains 55 pieces comparing the original masterpieces to the works of 26 photographers inspired by them. The fashion photographs were analyzed using Jean Baudrillard’s four stages of simulacre transformation: represent, denature, dissimulate, and replace image change theory. The degree of simulacre expression was indicated three times on a four-point Likert scale by five fashion majors, and the results were integr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in fashion photography, simulacre— due to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technology and the photographer’s artistry— appeared in various ways; image denature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dissimulate, represent, and replace. This study shows that image analysis of fashion photographs and applying the perspective of simulacre when creating artworks can be a way to obtain rich qualitative data in the future.



패션사진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이미지 표현
-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展>을 중심으로 -

이 세로, 권 미정*, 박 숙현**
진보람몰 MD & Web Designer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오늘날 사회는 대중 미디어의 발달이 가속화되고 수많은 이미지들이 넘쳐나는 시 대가 되면서 사회적,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지닌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문화가 형성되었다. 패션 분야 또한 이미지를 중시하는 유행이 다양하고 지속 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으며 이에 역점을 둔 의류산 업이 발달하고 있다. 이미지를 만들고 제공하는 패션 산업의 한 매체인 패션 잡지에서 카메라의 보편화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진의 역할은 더 중요하게 되 었다.

    21세기는 원본이 없는 기호와 이미지만이 존재하 는 사회이다(Lee, 2006). 대중문화, 미디어와 소비사회 이론으로 유명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에 의하면 이미지는 처음 가졌던 실재의 모습을 점점 잃 고 ‘이미지는 결국 실재와 완전하게 동떨어진 자신만 의 순수한 시뮬라크르가 된다’고 하였다(Lee, 2020). 이러한 실재가 없는 이미지의 세계를 시뮬라시옹이라 하는데 이는 현대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나타나 고 있다. 즉 현대사회, 정치, 광고, 영화, 패션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오늘날의 회화와 사진예술에도 보 여진다. 진중권은 현대 예술에 있어 “숭고와 시뮬라크 르는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대립하고 동시에 보 족하면서 현대인의 현실체험을 이루는 두 기둥이다” 라 하였다(Jin, 2003;Jin & Kim, 2006).

    기록매체로 시작되었지만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 라 1973년 디지털 카메라가 출현하였고 2000년대 이 후 누구나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에 카메 라가 본격적으로 장착된 이후 산업기술의 발전은 현 대사진을 이제 예술의 영역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였다. 패션사진은 그림과 인형으로 유행을 전달하였던 이전의 시대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나타 났는데, 1892년 보그에 실린 사진을 시작으로 130년 의 역사를 가진다. 1913년에 보그에 실린 사진에는 수 년간 열망해 온 품격, 세련미, 예술의 완벽한 융합 등 을 보여주었으며(Hong, 1999), 이후 패션사진은 예술 의 개념뿐만 아니라 미, 매력, 사랑, 희망, 섹스, 사회 계급, 부, 민주, 나르시시즘 그리고 욕망의 개념(Lee, 2013) 등의 표현과 더불어 패션을 시각화함으로써 이 미지를 창조하고 있다. 이때 만들어진 사진의 이미지 는 현실에 존재하는 공간의 것이 아닌 가상현실의 역 할을 하며 사진의 이미지는 소비를 부추기거나 사진 속의 스타일을 유행시키는 등 현실에 영향을 미친다 (Lee, 2009). 연구자는 패션잡지의 대명사인 보그의 사진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은 과연 어떻게 창조되는 것인가 하는 물음에 답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보그 사 진전이 개최되어 이를 살펴보는 것은 의의 있으리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패션에 나타난 시뮬라크르 관점에서의 선행연구는 한국적 패션디자인(Seo & Kim, 2019)과 현대 페이크 패션(Kim & Chun, 2016)이 있으며, 시뮬라시옹에 대 한 연구로는 Christian Dior(Kim, 2021), 크레타 복식 (Jung & Kan, 2020), 젠더 플레이 룩(Jung, 2015), 모 조 빈티지 패션(Nam, 2013), 밀리터리 룩(Lee, 2009), 현대패션(Nam, 2007) 등이 있다. 사진 분야에서는 디 지털 사진의 존재론을 시뮬라크르 개념을 접점으로 한 연구(Hong, 2002) 등이 있지만, 패션사진에서의 시 뮬라시옹 표현에 대한 연구(Lee & Kwon, 2019)는 학 술대회서 발표한 본 논저 외에는 거의 없는 실정인 바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화작품에 영감을 받은 패션사 진에 전개된 시뮬라크르를 보드리야르의 이미지의 4 단계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패션사진에서 도 시뮬라크르의 시각적 접근이 가능한가를 살펴볼 뿐만 아니라 이들 결과를 통해 패션사진 이미지의 디자인 방안 제시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함에 그 의 의를 둔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바는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展(VOGUE like a painting exhibition)>에 출품된 패션사진이 보드리야르의 이 론에 따른 이미지의 4단계 변환과정의 관점에서 볼 때 원본 명화를 어떻게 전개시키고 있는가이다.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 였으며 문헌연구는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인터넷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 자료는 전 세계 26개국에서 발간되며 패션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인 보그에서 2017년 흥행한 전시인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展>을 선택하였다. 전시회는 ‘사진과 명화이 야기’라는 부제를 달아 도록으로 발행되었는데, 이 도 록의 마지막 부분인 인덱스편에는 명화와 이 명화에 서 영감을 받은 패션 포토그래퍼들의 작품이 이를 설 명하는 글과 함께 나란히 배치되어 수록되어 있다. 연 구의 범위는 이 인덱스에 소개된 26명의 거장 포토그 래퍼 작가들의 명화를 모티브로 한 사진 작품 55점에 대하여 시뮬라크르 이미지 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인덱스에는 초상화(19점), 정물화, 로코코(12점), 풍경 화(12점), 아방가르드에서 팝아트까지(12점)의 5개 섹 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패션이 표현되지 않 은 정물화를 제외하고 각 섹션별로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Baudrillard, 1981/2001) 의 저서에 나타난 이미지 변화를 패션사진에 적용하 였다. 시뮬라크르 표현단계 즉, 1단계 재현, 2단계 변 질․변형, 3단계 은폐, 4단계 대체단계를 패션 전공자 5인에게 설명을 하고 55점의 작품에 대해 4점 리커트 척도로 3번 표기하게 하여 의견을 종합하여 분석 결 과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시뮬라크르 변화양상은 회화 이미지와 비교․분석에 따른 맥락적 분석을 통 해 설명하였으며 보그 패션잡지 작가들의 작품적 특 징과 원본 명화에 나타난 복식의 특징을 통합하여 결 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Ⅱ. Theoretical Research

    1. Simulacre of Jean Baudrillard

    라틴어 시뮬라크룸에서 생성된 시뮬라크르의 사전 적 의미는 원본으로부터 복제되어 나온 또 다른 원본 을 뜻하며(Segyejeongbok, 2022), 영어에 반영되어 모 조품, 가짜 물건 등을 일컫는다. 시뮬라크르는 원래 플 라톤에 의해 정의되었으며 이 세계는 원형인 이데아, 복제물인 현실, 복제의 복제물인 시뮬라크르로 이루 어져 있다고 하여 원형이 아닌 시뮬라크르를 부정적 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후 1960년대 마샬 맥루 한(Marshall Mcluhan)에 의해 시뮬라크르는 재조명 되어 그는 모방이나 재현과는 다른, 원본 없는 이미 지로서 그 자체가 현실을 대신하고 나아가 그 가상의 현실은 우리가 믿고 있는 현실을 지배하게 된다고 하 였다(Werner, 1995/2006).

    후기 구조주의 철학의 중심인물인 질 들뢰즈(Gilles Deleuze)는 플라톤이 말한 가짜 복사물인 시뮬라크르 에 반기를 들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시뮬라크르 는 복사 이전의 것과는 다른 독립성을 가지며 역동성 과 자기 정체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 사상은 구분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포스트모더니즘과도 연결된다. 들뢰즈와 오랜 동지였던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는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에서 유사(resemblance)와 상사(similitude) 개 념을 도출하였는데, 유사는 원본과 가까움을 말하며 이 중 상사의 개념이 들뢰즈가 이야기한 ‘시뮬라크르’ 와 같은 의미로 Park(2011)은 일종의 ‘복사본의 복사 본’이라 하였다. 즉, 두 철학자는 시뮬라크르를 옹호 하여 밝고 역동적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다. 10년 뒤 1981년 맥루한과 미디어 연구의 쌍두마차로 인정받 는 보드리야르에 와서 시뮬라크르는 현대철학에서 중 요한 개념으로 다시 부상하였다. 맥루한의 시각이 낙 관적이라면 보드리야르는 비관적이고 허무주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플라톤과 유사한 입장을 견지 하여 모방이 반복되어 시뮬라크르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대중의 소비 패턴이 이미 사용 가치보다는 행복, 사회적 기능, 우월감 등으로 규정하고 있는 저 서인 La Societe de Consommation(소비의 사회, 1970)와 “현대사회가 복제의 복제인 시뮬라시옹이 다”라는 명제를 남긴 Simulacres et Simulation(시뮬 라크르와 시뮬라시옹, 1981)을 통해 전통사회 이론 을 거부하고 소비사회와 현대사회를 정확히 진단하고 있다.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사 회는 다름 아닌 가상실재, 즉 시뮬라크르의 미혹 속인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디즈니랜드를 예로 드는 데 미국이라는 나라는 디즈니랜드처럼 유치하나 이러 한 사실을 숨기기 위해 디즈니랜드가 필요하다고 주 장하며 이 세계는 현실과 가상현실의 세계를 구분 지 을 수 없는 복제의 시대 즉, 시뮬라크르들이 실재를 지배하고 대체하는 곳이다”(Baudrillard, 1970/1992) 라 하였다. 또한 그는 시뮬라크르의 실재와 속성을 파 악하고 시뮬라시옹의 계열과 구분을 시도함으로써 “시뮬라시옹 과정에 따른 시뮬라크르의 이미지의 연 속적 변화 4단계”를 제시하였다.

    플라톤 이후 시뮬라크르를 재조명한 들뢰즈, 푸코, 보드리야르는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사상가들이다. 따 라서 시뮬라크르가 전개된 배경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이 깊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는 합리성과 기존 에 존재하던 예술적 흐름에 반하는 새로운 흐름인 불 확정성, 비재현성, 반형식주의, 다원주의, 탈중심화 등 에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패션사진에 나타난 시뮬 라크르의 생성은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표현기법과 연 관성이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과거의 것을 빌리는 시도가 죄악으로 치부된 모더니즘 시대와는 달리 1960년대 접어들어 시각문화에서는 모방이 비단 정 당한 것일 뿐만 아니라 필수적인 창조의 방식이 되었 다(Bascaran, 200/2007;Lee & Park, 2015). 보드리야 르 또한 사진과 기계에 의한 대량복제 생산, 컴퓨터 기술의 합성 등으로 인해 예술작품의 독창성이 해체 되었다고 주장한다. 현 시대에는 표절, 오마주, 패러 디 기법 등과 같은 복제물들이 원본을 대체하고 기호 나 이미지가 실제를 대신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배 하는 소비사회이기에 각 단계의 시뮬라크르는 현대패 션에서 많이 살펴볼 수 있으며 패션사진에서도 예외 가 아니기에 본 연구를 진행할 의미를 가진다.

    2. The trend of the photographers’ works in the <Vogue like a painting exhibition>

    패션잡지 화보에 사용할 목적으로 촬영되는 패션 사진은 광고와 메시지 전달을 동시에 추구한다. 이때 사진은 패션 잡지사의 시각과 의도가 반영되어 제작 되는데 의상을 단순히 찍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 흥미 또는 소구점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레이아웃, 모 델이나 정물의 배경으로 대비, 비례는 어느 정도라야 하는가’의 문제에서 모델의 표정연출, 메이크업, 헤어 스타일, 액세서리, 포즈, 조명, 배경 등의 구성요소에 사진 전체의 분위기가 더해져서 시각적으로 만들어진 다(Hong, 2002). 현대에 들어서는 이미지들이 더 다양 해지고 차별화되며 이 과정에서 이미지는 재현, 변형, 은폐, 혼합, 하이퍼리얼 등으로 표현되고, 패션사진은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게 되며 잡지를 통해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보그 잡지사에서는 지난 125년간 아카이브가 보관 한 포토그래퍼들에게 미술사가 끼친 영향 아래 있는 32명의 거장의 사진 작품 100여 점을 엄선하여 미술 관에 전시하였다. 보그에서는 전시회 패션사진들을 모아 <Vogue like a painting展>이라는 도록을 발간하 였으며, 목차는 초상화, 정물화, 로코코, 풍경화, 아방 가르드에서 팝 아트까지 그리고 스페셜편, 인덱스 (Index)편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인덱스에는 명 화와 명화에서 영감받은 사진을 나란히 배열해 놓고 있는데, 여기에 수록된 포토그래퍼들과 패션사진 작 품의 수는 <Table 1>과 같다.

    본 장에서는 보그 패션사진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 치를 차지하는 대표 포토그래퍼들의 작품경향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패션사진을 시대별로 고찰하 였으며 시대는 선행연구(Cho, 2001;Hong, 1999;Liu, 2022)에 따라 1892에서 1940년대까지의 초창기 발달 과 전개시기, 1950년대에서 1960년대의 발전시기, 197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의 뉴 이미지시기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뉴 미디어시기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패션잡지와 사진은 불가분의 관계로 서로 영향을 끼치며 발전하였다. 최초의 본격적 패션사진가로 알 려진 1920년대에 활동한 에드워드 스타이켄(Edward Steichen)은 “보그를 루브르 박물관처럼 만들어 봅시 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Vogue art brochure, 2017). 그는 짧은 머리의 중성적인 모습을 사진에 담아내었 고 의상의 형태와 질감을 뚜렷이 보여주길 원했다(Fig. 1). 스타이켄의 영향을 받은 1930년대의 세실 비튼 (Cecil Beaton)은 연극적인 무대배경을 만들기를 즐겼 으며 그의 패션사진은 초현실주의의 시각적인 이미지 와 관련 있다(Devlin, 1984)(Fig. 2). 세실 비튼과 동 시대 인물로서 건축가가 되기를 희망했던 패션사진에 서 거장으로 간주되는 호르스트 P. 호르스트(Horst P. Horst)(Fig. 3)는 특별한 조명을 사용하여 아르데코나 구성주의, 건축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의 모델 들은 여자답고 섹시하며 독특한 것처럼 보였다(Lloyd, 1986). 1940년대 활발한 활동을 한 보그 사진가로는 어윈 블루멘펠드(Erwin Blumenfeld)와 어빙 펜(Irving Penn)을 든다. 화가를 꿈꾸었던 펜은 미술사에서 받은 영감을 예술성으로 드러내거나 스타이켄처럼 극사실 주의 경향을 띠는 작품을 선보였는데 카메라는 형태 의 단순함, 선명한 윤곽, 기하학적인 정밀도, 현미경 과 같은 효과를 추구하였다. 1950년대에 펜은 디올 (Dior)이나 발렌시아가(Balenciaga)의 작품에 위엄성 과 고결함을 부여하였다(Fig. 4).

    50, 60년대 이후 보그에서 활동한 사진가로 영상사 진의 개척자이며 현대사진의 선구자인 윌리엄 클라인 (William Klein)(Fig. 5)은 창조력으로 강렬한 이미지 를 거침없이 패션사진에 담아내었다. 미국의 여성 사 진가인 데보라 터브빌(Deborah Turbeville)은 남성의 시각과 다른 내면적이고 서정적인 에로티시즘을 표현 하길 즐겨하였으며 그녀가 발표한 수영복 차림의 목 욕탕 시리즈(Fig. 6)는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하였다. 한편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와 <섹스 앤 더 시티>에 까메오로 출연한 절제와 빛을 통한 편안함을 선사하는 패트릭 드마쉘리에(Patrick Demarchelier) (Fig. 7)는 많은 디올 작품으로 디올 작가라 불리기도 하였다.

    1980년대 이후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다양 한 스타일이 공존하였는데 파울로 로베르시(Paolo Roversi)(Fig. 8), 닉 나이트(Nick Night)(Fig. 9), 피터 린드버그(Peter Lindbergh)(Fig. 10), 마리오 테스티노 (Mario Testino)(Fig. 11) 등이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이탈리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로베르시는 그래픽적 인 단순함과 기술을 결합하여 정적인 분위기를 무심 한 듯 시크하게 표현하였다. 이와는 달리 과감하고 실 험적인 촬영기법으로 예술성과 디지털 이미지를 추구 한 나이트는 의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모델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으므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독일에서 회 화를 전공했던 린드버그는 강한 콘트라스트로 과장되 지 않는 솔직함과 자연스러움을 표현하였으며 페루 태생의 상업사진 작가인 테스티노는 다이애나 왕세자 비 가문의 사진가로 더 유명하다. 1970년 영국 태생의 팀 워커(Tim Walker)(Fig. 12) 또한 “저는 모든 작업 에 임할 때 회화적인 느낌을 내기 위해 노력합니 다”(Lloyd, 1986)라고 하였다. 워커는 이를 토대로 꿈 과 동화의 세계를 재현하길 즐기며 환상적이고 몽환 적인 느낌을 추구하였다.

    2000년대 이후는 안정적이고 형식적이며 수직적으 로 정돈된 느낌을 주는 모더니즘적인 영상과 입체적 이고 반사회적이며 초현실주의 성격을 띤 아방가르드 적 요소가 섞여진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사진이 나타나 기 시작하여 고독, 사랑, 자유, 섹스, 우아함, 절제, 자 연, 쾌락, 갈등, 환희, 파괴 등을 표현하고 있다(Seo, 2004). 이 외 알버트 왓슨(Albert Watson), 조쉬 올린 스(Josh Olins), 마리아노 비반코(Mariano Vivanco), 글 렌 러치포드(Glen Luchford), 카밀라 아크란스(Camilla Akrans), 머트 알라스(Mert Alas), 머트 알라스 & 마 커스 피고트(Mert Alas & Marcus Piggot) 등은 현재 인스타그램에서 활발히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패션사진은 사회문화적 제반 사항에 따라 역동적으 로 모습을 바꾸고 그 시대의 표현 스타일을 가지므로 사회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매체의 속성을 가지고 있 다고 할 수 있다(Beom & Yim, 2015). 오늘날 포토그 래퍼들은 변화의 물결을 따르면서 각자의 철학과 예 술적 취향을 패션사진에 녹여내고 있다.

    Ⅲ. A Theoretical Basis for Simulacre Image Change Steps

    1. Simulacre image change steps in previous studies

    시뮬라크르는 ‘복제의 복제물’로 복제란 원래 원본 을 재현하는 것이지만 보드리야르가 제시한 ‘시뮬라 크르’는 원본과의 관계가 끊어진 복제다. 그는 “시뮬 라시옹 과정에 따른 시뮬라크르의 이미지의 연속적 변화 4단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복제 이미지가 원본 에서 떨어져 나와 독자적인 자립성을 띠게 될 때까지 의 과정을 보드리야르는 “첫째,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 의 반영이다. 둘째,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을 감추고 변질시킨다. 셋째,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의 부재(不 在)를 감춘다. 넷째, 이미지는 그것이 무엇이건 간에 어떠한 사실성과도 무관하다. 이미지는 자기 자신의 순수한 시뮬라크르이다”의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 다(Baudrillard, 1981/2001).

    첫 번째 단계인 사실성의 반영은 재현이라는 개념 으로도 설명되는데 이는 원본을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단계다. 두 번째 단계인 사실성을 변질시킨다는 것은 실재가 왜곡되어 변형이 됨을 일컬으며 세 번째 단계인 사실성의 부재는 실재의 부재를 은폐하는 것 것이다. 이들 단계를 거치면서 마지막 네 번째 단계인 사실성과 무관한 대체에서는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은 하이퍼리얼의 영역인 진정한 시뮬라크르가 등장한다 고 볼 수 있다. 이 내용을 선행연구(Choi, 2014;Lee & Park, 2015)에서는 <Fig. 13>과 <Fig. 14>로 나타내 었다.

    즉, 원본에서 원본을 많이 알아볼 수 있는 재현단 계, 원본과의 유사성은 유지하면서 변질과 변화가 이 루어진 변형단계, 원본의 사실성은 희미하고 독창성 이 많이 개입된 은폐단계, 원본의 재현을 떠나 새로운 실재가 나타나는 대체단계, 이 대체는 또 다른 원본이 되며 재현, 변형의 관계는 끊임없이 순환하면서 변화 한다.

    2. Expressive techniqu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previous studies

    시뮬라크르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패션, 메이크업, 헤어, 미디어와 영상, 애니메이션, 만화, 스포츠, 무용, 미술 외에 소비사회와 소비형태, 매거진과 SNS 콘텐 츠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장에서는 보드 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미지 변화를 3단계로 연구한 논문을 제외하고 4단계로 살펴본 선행연구에 대해 조 사하였다. 선행연구들 중 본 연구에 적용된 주된 이론 적 근거는 패션(Jung, 2021;Kim & Chun, 2016;Lee, 2009;Lee, 2017;Seo & Kim, 2019;Song & Kim, 2021), 아트 메이크업(Park, 2020), 헤어 미용(Ku, 2022;Lee, 2010), 실내 디자인(Kim, 2008), 현대사회 (Lee, 2006)를 통해 마련하였다.

    시뮬라크르 이미지 변화 첫째 단계에서는 깊은 사 실성의 반영 즉, 원본 이미지의 실재성이 반영되는 단 계로 재현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동물과 자연 그대로를 재현하여 특징을 살린 유사한 이미지 가 나타나는 단계다. 또한 사물의 속성이나 현상, 원 본의 실재성을 반영하여 모방, 가장, 흉내 내기, 위조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여기서는 본격적인 시뮬라크르가 나타나지 않으며 원본의 사실성에 집중 하여 형태를 그대로 재현 혹은 모방, 모사한 단계 혹 은 완벽한 모사는 아닐지라도 사실성을 반영한다(Kim & Chun, 2016).

    둘째 단계의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을 감추고 변질 시킨다. 즉, 실재에서 변화가 일어난 단계, 사물의 특 징을 확대, 과장, 크기변화 등을 통하여 강조하거나 형태나 시지각의 왜곡, 혼성, 도치, 은유, 낯설기, 시각 적 변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패션에서는 실루엣, 색채, 디테일의 변형, 트롱프뢰유 기법, 믹스 앤 매치, 빈티지 룩에 크로스 코디네이션 등의 방법을 들 수 있 다. 하지만 여전히 원본의 형태가 다소 뚜렷이 나타나 는 조악한 시뮬라크르 단계이다. 2단계는 탈장르 현 상, 몰 형식성의 부조화를 이루어 새로운 시각적 코드 가 생성되며 의미의 다의성을 가진다. 변형을 통한 신 비감과 과장을 통한 충격 또는 새로운 흥미가 일어나 기도 한다.

    셋째 단계는 깊은 사실성의 부재로 원본과 실재는 사라지고 그것의 이미지만 존재하며 이미지가 부재하 다는 사실을 은폐시키고 감춘다. 패션에서는 원본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다수가 착용되어 일반화되어진 이미지로 예를 들면, 여성복이 과거 남성복의 이미지 를 완전히 벗고 생산 질서, 대량생산에 의한 많은 수 량에 의해 대부분의 여성들이 착용하는 일반적인 여 성복의 하나로 정착된 것(Lee, 2009) 등으로 사실성은 감추어진 단계이다. 여기서는 형태 일부분의 부재, 축 소, 확장, 탈형식, 혼성성으로 인한 애매모호함, 차용, 패러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작가의 창조 성과 상상을 통하여 새로운 이미지나 추상성, 독창성 으로 인해 유희성을 가진다.

    넷째 단계는 보드리야르 이론의 핵심을 이루는 단 계로 보드리야르는 디즈니랜드와 워터게이트 사건 등 에서 사실성과 무관하여 근본은 상실되고 새로워지는 작금의 시대를 시뮬라크르 시대라 하였다. 이 단계는 이미지의 완전 독립단계(Seo & Kim, 2019)로 원본이 사라지고 다른 현실이 실재가 되어버린 시대 가운데 이미지는 처음 사실과 무관하여 대체단계가 된다. 실 재와 관계가 없는 상태로 시뮬라시옹화된 시뮬라크르 는 현실 위에 존재하는 또 다른 현실인 하이퍼리얼 (hyperreal)을 생산해 내며 이는 현실에 영향을 미친 다. 원본과 외적인 형태적 유상성 없이 전달하는 메시 지나 내재적 의미를 지님으로 새로운 미감을 전달하 는 경우도 포함된다(Kim & Chun, 2016). 하이퍼리얼 로 대표되는 양식으로는 팝아트, 옵아트, 극사실주의 미술, 가상현실, 홀로그램 등이 있다. 이 단계에서는 패러디, 콜라주, 오마주, 혼합과 혼성 등의 방법이 나 타난다. 원본과는 무관한 근본을 초월한 순수하고 새 롭게 재탄생한 시뮬라크르는 창조적 디자인으로 독립 적 아우라를 가지며 환상성, 상징성, 추상성을 생성한 다. 선행연구들로부터 정리한 이미지 변화단계에 따 른 표현기법과 표현특성은 <Table 2>와 같다.

    Ⅳ. Simulacre Image Expression of Fashion Photography in <VOGUE Like a Painting Exhibition>

    패션사진은 1980년대 이후 인터넷, 모바일, 정보통 신 등의 매스 미디어의 괄목할 만한 발전과 다양한 예 술 사조의 등장, 이미지의 편집이 가능하게 된 기술의 발달 등으로 가속화되었다. 또한 사진작가의 미의식 의 표현, 연출기법, 새로운 이미지들은 획일적이거나 단순화되지 않고 분산적이고 다원화되었다. 본 장 에서는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展>의 도록 중 인덱스 에 정리되어 있는 초상화, 로코코, 풍경화, 아방가르 드에서 팝아트까지의 4섹션에 나타난 명화와 명화에 서 영감 받은 패션사진에 대하여 보드리야르의 시뮬 라크르 이미지 변화단계를 적용시켜 보고자 한다.

    1.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inspired by a portrait

    인물사진이 일반화되기 전까지 초상화는 외형적 특징에 대한 사실적 시각 재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 라 인물의 내면적인 모습이나 궁극적 삶의 가치를 탐 구하고 성찰하였다(Lee, 2018). 초상화 섹션에 나타난 명화는 16명의 화가가 그린 그림 총 19장으로, 15세 기 초 르네상스에서 바로크, 인상주의, 사실주의, 20 세기 초 표현주의 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베르메르의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를 모방한 블루 멘펠드는 독일 다다와 우아하고 클래식 취향의 초현 실주의 패션사진계의 거목이다. 그의 사진은 머리 두 건과 진주귀걸이의 특징을 유럽 아방가르드 운동의 실 험정신을 사진에 적용하여(Vogue art brochure, 2017) 현대적인 느낌으로 재현한 것으로 이미지 변화 1단계 재현의 시뮬라크르라 볼 수 있다. 원작에서 진주귀걸 이는 순결을 의미하지만 패션사진에서는 모던하고 당 찬 여성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2번째 단계를 나타 내는 사전트의 명화와 로베르시의 사진을 비교해 보 면 오프숄더, 하트 네크라인과 데콜타주 라인의 드레 스에서 스퀘어 네크라인으로 변형이 일어나면서 에 로틱한 여성의 이미지에서 강하고 고혹적인 여성의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모델의 포즈, 시선처리, 헤어스 타일에서의 변형은 원본의 이미지가 많이 희석된 다 른 외양으로 표현되어 주제의 변형에 영향을 끼쳤다. 3번째 단계인 은폐는 모로의 명화에서 영감을 받은 테스티노의 사진에서 나타난다(Vogue art brochure, 2017).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마지막 황제로 비극적 인 최후를 맞은 니콜라이 2세의 네 명의 딸들은 드레 이퍼리 의상을 입고 잠들어 있는 듯하다. 모로의 컬러 그림이 테스티노 사진에서는 낭만적인 헤어와 셔링, 러플, 개더가 사랑스럽게 잡힌 퍼프슬리브 드레스의 흑백필름으로 변형되면서 기존의 이미지가 은폐되었 다. 이 흑백 필름은 지나간 시대로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만드는데(Vogue art brochure, 2017), 이는 명화의 이미지를 벗고 일반화된 이미지로 정착된 3단계 시뮬라크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베르메르 그림의 여인은 청색과 살색의 색채 대비가 뚜렷하고 투피스 형태의 의복과 빳빳하게 풀 먹인 머릿수건, 커다란 칼라 형태의 케이프를 두른 차 림이다. 이를 비반코는 양옆으로 리본이 달려 있는 큰 원형으로 된 러시아의 전통여성 머리장식인 코코쉬닉 (Kokoshnic)을 오마주하였으며 전통양식의 모자와 현 대적인 의상과 고급 액세서리를 하이브리드시켜 하이 퍼리얼로 표현하였다.

    이 섹션에서는 명화를 재현 6점, 변질․변형 8점, 은폐 3점, 대체 2점의 패션사진으로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내었다. 재현은 르네상스, 바로크의 시대성이 반 영되어 있는 의복들의 복제 또는 이미지의 차용을 통 하여 나타났다. 변형은 의상 실루엣, 디테일, 머리장 식, 소품의 특징을 현대적으로 변화시키고 모델의 포 즈와 시선에서 왜곡과 변형이 일어났다. 주제 면에서 도 전통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현대적인 당차고 자유 스러운 여성의 이미지로 변형된 작품이 다수가 보였 다. 은폐는 명화의 이미지를 벗고 패션 사진가의 창조 성이 적극적으로 개입되어 새로운 미학적 경험을 가 능케 하였으며 대체된 하이퍼리얼의 형태는 오마주, 하이브리드,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통한 극적 분위기 를 연출함으로써 새로운 실재로 재탄생되었다. 초상 화에서 영감을 받은 패션사진에 나타난 시뮬라크르 이미지 변화단계는 <Table 3>과 같다.

    2.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inspired by a rococo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높은 채도의 파스텔과 골 드 계열 색조를 사용하여 젊음과 사랑을 주된 소재로 다루는 것으로 알려진 로코코 양식의 이미지에는 패 션이라는 장르가 추구하는 영원한 젊음, 목가적인 풍 경과 상황이 형상화되어 있다(Vogue art brochure, 2017). 로코코 명화는 총 12장으로 프랑스, 영국, 미 국, 오스트리아 중심의 18세기 로코코 양식에서 19세 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프랑스 중심의 인상주의와 상 징주의 화가들의 것이다.

    18세기 영국 귀족들의 연회 장면을 그린 호가스의 명화에서는 로코코시대 패션 스타일인 화려하고 경쾌 한 드레스를 볼 수 있으며 당대 회화의 특징인 시선 분산의 구도가 잘 나타나고 있다. 영화 <마리 앙투아 네트> 촬영장을 배경으로 한 레보비츠 사진에서는 플 라운스와 프릴 등의 디테일과 리본 등의 화려한 트리 밍이 장식된 드레스를 입은 여성과 크라바트와 남성 복 코트에 파우더를 뿌린 백 위그 헤어를 한 남성을 볼 수 있다. 이는 로코코 시대의상의 사실성의 반영인 1단계 시뮬라크르로 표현되고 있다. 시뮬라크르 2단 계 이미지 변질․변형은 상체를 꽉 조이며 허리부터 부채처럼 펴져 무릎 아래까지 오는 흰색의 튀튀(tutu) 를 입은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무용수들을 포착한 드가의 그림을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로 변 화를 준 워커의 사진에서 살펴볼 수 있다. 배경인 빅 토리아 시대에 지어진 무도회장의 벽은 2,400개가 넘 는 사슴의 두개골이 장식되어 있어 포토그래퍼가 추 구하는 ‘기이한 아름다움’을 자아내는 환상적 이미지 (Vogue art brochure, 2017)로 변화를 주고 있다. 은폐 단계는 워터하우스의 명화와 워커의 사진에서 나타나 는데 두드러지는 시각적인 차이는 드레스의 질감 표 현이다. 사실주의 회화 기법을 사용한 명화에서는 질 감이나 액세서리가 세심하게 묘사되어 있고 환상적으 로 표현된 사진에서는 질감보다 율동성과 곡선미를 강조하고 있다. 반대적인 모델 포즈, 의상 실루엣, 배 경 등의 변화된 외형에서는 원본의 부재화가 느껴지 며 사진가의 상상이 투영되어 새로운 미학적 경험을 가능케 한다. 4번째 단계는 펜의 사진에서 보여지는 데 고즈넉한 로코코 여인의 초상화를 펑키한 헤어스 타일과 검은색 미키마우스 가면으로 대체시키고 이미 지들을 하이브리드하여 하이퍼리얼되었다. 의상은 퍼 프슬리브와 자글자글한 셔링으로 여성스러운 로코코 이미지를 차용하였다.

    이 섹션에서는 재현 2점, 변질․변형 5점, 은폐 4 점, 대체 1점의 이미지 변화단계가 나타났다. 재현단 계에서는 로코코와 신고전주의, 아르누보 스타일의 의상을 실재적으로 반영하였으며 부분적으로 현대 하 이패션화한 스타일을 차용하여 나타내었다. 변형된 이미지의 시뮬라르크는 현대적으로 변형된 드레스, 포즈, 소품, 원본과 다른 오브제인 헤어 장식, 배경, 주 제 등에서 변형이 일어났다. 은폐는 주제가 은폐되고 외적으로도 사실적 실체에 상상이라는 요소가 가미되 어 환상성과 무한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 대체단 계에서는 재현된 이미지가 원본과는 무관한 이미지로 재창조되어 하나의 독창적인 아우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로코코 명화에서 영감을 받은 패션사진에 나타난 시뮬라크르 이미지 변화단계는 <Table 4>와 같다.

    3.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inspired by a landscape

    풍경화는 작가의 생각과 경험, 의지가 담긴 관념적 인 공간을 나타내는 시지각적 세계를 구축하는 것으 로 풍경화를 본다는 것은 작가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 점과 그 속에 담겨있는 서사를 공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Lim, 2022).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展>의 포 토그래퍼들은 때로는 암묵적으로, 때로는 직접적으로 풍경화의 기술이나 구성 혹은 모티프에서 영감을 받 았으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하였다(Vogue art brochure, 2017). 12점의 풍경화는 르네상스, 프랑스 의 로코코와 인상주의, 영국의 라파엘전파, 미국의 인 상주의, 덴마크의 자연주의, 스페인의 초현실주의 작 품들이다.

    1단계 재현을 나타내는 패션사진은 찾을 수 없었 다. 2단계의 원본 명화는 크뢰이어 그림으로 덴마크 남쪽 바닷가에 서 있는 2명의 여성은 일자 아래로 떨 어진 튜닉 라인의 드레스를 입고 고즈넉하게 여름 저 녁 해안가의 오후를 거닐고 있다. 예술성과 디지털이 미지를 추구하는 나이트는 이를 벌룬 라인 의상으로 실루엣을 변형시키면서 로맨틱한 분위기로 시뮬라크 르를 표현하고 있다. 또 조리개로 빛의 양을 조절하여 더욱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로의 주관적인 감정 을 변형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세익스피어의 햄릿에 등장하는 비극적인 캐릭터인 오필리아를 그린 라파엘 전파 화가 밀레이의 그림에서 오필리아는 꽃과 나무, 물이 있는 곳에서 영국의 빅토리안 양식의 드레스를 입고 서서히 죽어가는 애틋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를 사진작가인 알라스와 피고트는 현대적인 스타일의 화 이트 드레스로 변형시키고 수풀 한가운데 누워있는 모 습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에는 명화이미지를 차용, 조합, 경계를 해체함으로 원본과 의 경계는 희미해지고 상상력과 창조성을 엿볼 수 있 는 3단계의 시뮬라크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사전트는 어둠이 시작되자 짙은 초록이 뒤덮인 꽃 밭에서 두 소녀가 등에 불을 밝히고 서 있는 모습을 그렸다. 이를 꿈과 동화의 세계를 몽환적으로 표현하 기를 즐기는 워커는 조명과 드레스를 일체시켜서 환 상적인 분위기로 대체시켜 표현하였다. 이는 초현실 적이고 상상적인 허구의 세계를 구현해냈다는 점에서 기존 이미지에서 하이퍼리얼을 생산해냈다고 할 수 있다.

    이 섹션에서는 시뮬라크르 단계로 보면 재현단계 는 나타나지 않았고 변질․변형 3점, 은폐 4점, 대체 5점이 확인되었다. 빛의 양감 조절, 화면 앵글의 조절, 클로즈샷, 번짐 효과 등으로 패션의 변형, 은폐보다는 사진 촬영 기술과 표현기법으로 인한 이미지의 하이 퍼리얼이 많이 나타난 것이 풍경화 사진의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클로즈 샷과 빛을 조절한 해변가나 정원 의 풍경 이미지를 차용한 배경과 이에 어울리는 의상 을 입은 모델들은 2단계 변질․변형과 3단계 은폐를 통해 목가적이고 평화로운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4단 계 대체의 시뮬라크르의 작품인 하이퍼리얼은 고풍스 러운 저택의 정원이나 빛 포착, 헤어장식의 오브제 사 용 등을 하이브리드시켜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새로운 시뮬라크르로 재탄생시켰다. 풍경화에서 영감을 받은 패션사진에 나타난 시뮬라크르 이미지 변화단계는 <Table 5>와 같다.

    4.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inspired from the avant-garde to pop art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위적이고 혁신적인 예술경 향인 아방가르드는 기존의 예술적 기준과 고정관념의 해체를 목표로 한다. 이 운동으로 나타난 예술 사조에 는 표현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 의 등이 있으며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아카데믹한 예 술인 전통적 형식의 거부, 새로운 예술 탐색, 새로운 감각의 옹호 등이다. 이후 20세기 중반에 일어난 팝 아트는 추상표현주의의 주관성과 추상성에 반기를 들 고 발달된 대중문화 이미지들을 적극 수용한 구상미 술의 한 경향이다. 아방가르드에서 팝아트로 재해석한 사진의 원본 명화는 총 12점으로 16세기 이탈리아에 서부터 20세기 표현주의, 야수주의, 입체주의, 사실주 의, 추상표현주의, 팝아트 작품들이다. 이를 독창적인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만든 것은 카메라를 자신의 붓 으로 삼은 포토그래퍼들의 영감과 기술이었다(Vogue art brochure, 2017).

    비튼은 촬영의 배경이 되는 스튜디오를 야수파 화 가 마티스 작품의 부분적인 차용을 통해 본인이 직접 창의력을 발휘하여 꾸몄다. 원본 배경의 이미지는 그 대로 두고 모델의 포즈와 의상, 표정의 변화를 시도하 고 있으나 보는 이로 하여금 쉽게 원본을 알아차릴 수 있다는 면에서 1단계 이미지의 재현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입체주의 화가 렘피카의 여성은 풍만한 육체의 볼륨에 드레이퍼리한 소재와 바이어스 재단, 공기의 흐름과 움직임에 따라서 율동감이 느껴지는 드레스를 입고 있는데 이에는 전체적으로 직선적․입체적 외형 으로 표현한 아르데코 양식을 볼 수 있다. 호르스트는 서로 다른 요소들을 의외성 있게 조합한 혼성모방의 표현양식을 빌려와 밧줄과 어울리지 않는 나뭇잎을 함께 배치한 초현실주의 기법을 재현하였다. 여성은 바디라인에 핏 되는 스판 소재의 수영복 의상과 현대 여성들의 마른 신체의 모델로 변형되면서 원본의 사 실성이 남아있으나 원본과는 다른 다소 변질된 이미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르침볼도의 명화는 사람의 얼 굴을 과일과 채소를 세심하게 배치하여 괴기한 두상 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에 영감을 받아 펜은 과일과 포숑 제과점의 사탕을 이용해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변형시켜 연출하였다. 꽃과 과일이 달린 녹색 상의의 상은 투명한 크리스털 네크 레이스로 현대적으로 변모 되고 머리카락과 입술이 낙서한 것처럼 표현되어 아 방가르드하고 팝아트적인 이미지로 재탄생하면서 3 단계 은폐의 시뮬라크르가 생성되었다. 입체주의의 대 표 표현기법 중 하나인 콜라주를 사용한 브라크 작품 은 유화에 바이올린, 악보 등의 인쇄물을 풀로 붙이거 나 조각에 페인트칠을 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 다. 이를 호르스트는 갖가지 수직의 사각형 세트 모양 과 모델의 실루엣을 입체주의와 미래주의에서 사용한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형태 이미지로 하이퍼리얼시 켜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시뮬라크르를 재탄생시켰다.

    이 섹션에서는 이미지 변화단계가 각 3점으로 골고 루 나타났다. 재현단계는 사진이나 그림을 원본에 충 실하게 반영하였고 변질․변형은 입체주의와 표현주 의 작품에서 원본의 의상과 포즈 등을 새롭게 부분적 으로 재창조함으로써 새로운 시뮬라크르를 보여주고 있다. 은폐는 16세기 초상화를 20세기 팝아트로 재해 석한다든가 기하학적 선과 형태의 바우하우스나 1950 년대 미국 대도시의 고독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작품 에 변화를 줌으로써 나타났다. 주제와 이미지는 유사 하나 원본의 경계가 해체되고 새로운 조합이 일어나 면서 다중적 해석을 가능케 한 작품이 선보였다. 대체 인 하이퍼리얼은 화가의 작품에 연속광과 장시간 노 출을 이용한 촬영으로 번짐 효과를 주고 소프트 포커 스를 통해 사진이 마치 한 점의 그림처럼 보이게 해 새로운 실재를 탄생시켜 독립적인 아우라를 형성하고 있다(Vogue art brochure, 2017). 아방가르드에서 팝 아트 명화에서 영감을 받은 패션사진에 나타난 시뮬 라크르 이미지 변화단계는 <Table 6>과 같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를 정리하여 <Table 7>에 나타 내었다.

    Ⅴ. Conclusion

    패션잡지의 대명사인 보그의 아카이브에서 선택된 사진전시회는 패션사진의 역사이므로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또한 명화의 이미지가 패션 포토그래퍼들에 게 어떠한 영감으로 다가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패션 사진의 연구자나 패션사진가들에게 아이디어의 단초 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 20세기 후반, 이미지에 대해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장 보드리야르의 철학개념인 시뮬라크르 관점에서 분 석하였다.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이미지들이 넘쳐나 는 현대사회는 원본보다 복제가 더 우세하며 원본과 복사본, 현실과 가상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차이 가 없어지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원본 없는 이 미지들이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고 진 단하였다.

    시뮬라크르는 복제를 의미하는데 복제의 이미지가 원본에서 원본을 대체해 자신이 또 다른 원본이 될 때 까지의 변화과정을 보드리야르는 재현, 변질․변형, 은폐, 대체의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 의 대상은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展> 도록의 인덱스 편에 제시된 초상화, 로코코, 풍경화, 아방가르드에서 팝아트까지의 4섹션의 55개 작품들이다. 각 섹션에 나타난 패션사진의 시뮬라크르의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상화 섹션에서는 영혼을 담아내는 서정성이 짙 은 로베르시의 작품이 4점으로 가장 많았다. 패션사 진에서의 재현 이미지는 의복의 실루엣과 디테일, 헤 어장식과 소품, 포즈에서 원본 명화를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변질․변형단계에서의 패션사진은 의복의 실 루엣과 소재 면에서 고전에서 현대로의 변형이 많이 일어났다. 주제 면에서도 전통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일부 사라지고 현대적이고 감각적인 여성의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은폐단계는 사실성이 많이 희미해지고 상상이라는 요소가 첨가되어 나타났다. 대체단계는 빛과 그림자의 대조나 전통과 현대의 느낌을 하이브 리드시켜 원본과는 다른 독립적인 아우라를 가진 시 뮬라크르로 나타났다.

    로코코 섹션에서의 명화 속 여인들은 풍성하고 화 려한 드레스를 입은 로코코 시대 의상과 인체의 곡선 을 따라 흐르는 아르누보 시대의 의상을 입고 있다. 재현단계는 명화를 모방하나 밝고 경쾌한 분위기와 헤어스타일에서의 부분적인 특징을 살린 연출로 나타 났다. 보그 패션잡지의 대표 작가인 몽환적인 느낌을 추구하는 워커나 시크한 표현을 즐기는 로베르시의 작품에서 변형과 은폐를 통한 시뮬라크르가 두드러지 게 나타났다. 변형과 은폐단계에서는 화려하고 관능 적인 여성이 고혹적이며 현대적인 여성상의 모습으로 재탄생하였으며 과거의 복식을 부분적으로 차용하여 하이패션화된 새로운 패션 이미지를 선보인다. 대체 단계는 원본의 흔적이 사라지고 독자적으로 형성된 새로운 실재의 시뮬라크르로 나타났다.

    풍경화 섹션에서는 초상화와 로코코 섹션과는 달 리 원본과의 시뮬라크르 이미지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사진 촬영기법을 구사할 수 있 는 실외라는 공간이 주는 장점 때문이라 생각된다. 재 현단계에 속하는 작품은 보이지 않았다. 변형단계는 바닷가나 정원의 원본 이미지를 차용하고 렌즈의 빛 을 조절하여 목가적이고 평화로운 풍경을 만들어 낸 작품에서 나타났다. 패션사진에서의 은폐는 카메라를 통해 분위기나 외양을 다르게 표현하여 사실성의 부 재를 감추고 있다. 대체단계는 워커의 세 작품에서 볼 수 있었다. 워커는 촬영을 위해 새로운 공간과 시간, 원하는 빛을 찾아 상상 속에 존재하는 새로운 마법 같 은 세계를 창조하였다.

    아방가르드에서부터 팝아트까지의 섹션에서는 네 가지 단계가 고루 나타났다. 특히 야수파, 입체파, 바 우하우스의 사조에 영향을 받은 패션사진들이 많았 다. 재현단계의 패션사진은 비튼 자신이 연출하여 찍 은 사진을 모방한 작품에서 나타났다. 변형단계는 표 현주의의 누드화를 기괴한 느낌으로 변화를 주거나 입체주의 작품을 초현실적으로 풀어낸 작품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모양이 변형된 변질된 이미지의 시뮬 라크르로 설명할 수 있다. 은폐는 16세기 초상화를 팝 아트 적으로 풀어내거나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그림 의 이미지를 벗고 조합을 통한 다중적 해석이 가능한 상상력과 창조성을 발휘한 작품에서 보여진다. 원본 의 그림과는 무관한 새로운 가치의 독립적인 아우라 를 가지는 대체단계는 다양한 콜라주 기법의 회화 작 품을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배경과 인체로 하이퍼리 얼시킨 작품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패션 포토그래퍼들은 원본 명 화의 유사성은 유지하되 주관이 개입됨으로써 일부에 변화를 준 시뮬라크르의 2번째 단계인 변질․변형작 업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 다음으로 은폐, 재현, 대체 순으로 보그 사진작품을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는 패션사진에서의 시뮬라크르의 시각적 접 근이 가능함을 확인해주고 있으며 또한 명화가 영감 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 패 션사진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이미지 표현 연구를 통해 먼저, 패션의 외적인 실루엣이나 색상, 장식 등 의 디자인의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더 나아가 패션사진의 발달과정 속에서 전개된 시각적 이미지의 결과물은 시대적, 문화․예술적, 기술적인 다양한 분석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패션사진이 나아갈 방향을 미력하나 마 제시해 주고 있으며 향후 패션사진 작품의 아이디 어를 구상할 시 시뮬라크르의 이미지 단계를 적용한 다면 상상력의 부재를 차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작품 의 모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 그 의 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명화와 이에 영감받 은 패션사진에 대한 시뮬라크르 단계를 결정함에 있 어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은 한계로 남는다. 지금까지 패션과 시뮬라크르에 대 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지만 현대사회 속에서 시뮬 라크르는 계속될 것이기에 패션 관련한 다양한 분야 에서도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ure

    RJCC-30-6-861_F1.gif

    Vogue 1928. 9, Edward Steichen Reprinted from Chang. (2019). p.15.

    RJCC-30-6-861_F2.gif

    Vogue 1932, Cecil Beaton Reprinted from Cho. (2001). p.35.

    RJCC-30-6-861_F3.gif

    Mnbocher Corset 1939, Horst p. Horst Reprinted from Cho. (2001). p.34.

    RJCC-30-6-861_F4.gif

    Balenciaga Sleeve 1950, Irving Penn Reprinted from Chang. (2014). https://blog.naver.com

    RJCC-30-6-861_F5.gif

    Vogue 1960. 4, William Klein Reprinted from Hong. (1999). p.85.

    RJCC-30-6-861_F6.gif

    Vogue 1975. 5, Deborah Turbeville Reprinted from Hong. (1999). p.89.

    RJCC-30-6-861_F7.gif

    Dior Bazaar 1995. 1, Fatrick Demarchelier Reprinted from Bntnews. (2014). https://www.bntnews.co.kr/

    RJCC-30-6-861_F8.gif

    Vogue 1987, Paolo Roversi Reprinted from Roversi. (2018). https://lavandula.tumblr.com

    RJCC-30-6-861_F9.gif

    A smoker 1988, Nick Night Reprinted from J. H. Kim. (2008). p.218.

    RJCC-30-6-861_F10.gif

    Comme des Garçons 1987, Peter Lindbergh Reprinted from Hong. (1999). p.91.

    RJCC-30-6-861_F11.gif

    Diana 1997, Reprinted from Testino. (1997). https://www.mariotestino. com

    RJCC-30-6-861_F12.gif

    Vogue 2014, Tim Walker Reprinted from Beam & Yim. (2015). p.78.

    RJCC-30-6-861_F13.gif

    Circulation stage of simulacres Reprinted from Choi. (2014). p.27.

    RJCC-30-6-861_F14.gif

    Simulacres conversion stage 4 of Baudrillard Reprinted from Lee & Park. (2015). p.16.

    Table

    Photographers and number of works in the <Vogue like a painting exhibition> (n=55)

    Expressive techniqu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mage change stage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with a portrait motif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with a rococo motif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with a landscape motif

    Simulacre image change stage in a fashion photography with the motif from avang-garde to pop art

    Simulacre change stage in fashion photograph inspired by painting

    Reference

    1. Bascaran, R. (2007). Designs of the times (M. H. Jung, Trans.). Seoul: SigonArt.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2. Baudrillard, J. (1992). Society of consumption, la societe de consommation (S. R. Lee, Trans.). Seoul: A Literary Publisher. (Original work published 1970)
    3. Baudrillard, J. (2001). Simulacres et simulation (T. H. Ha, Trans.). Seoul: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4. Beom, S. H. , & Yim, E. H. (2015). Artistic expression in the fashion advertising photography of Juergen Teller. Journal of Fashion Design, 15(4), 1-17.
    5. Bntnews. (2014, July 16). 패트릭 드마쉘리에 “사진 작가가 된다는 것은 운동선수와 같다.” [Patrick Demarchelier “Being a photographer is like an athlete”]. Retrieved August 20, 2022, from https://www.bntnews.co.kr/article/view/bnt201406100120
    6. Chang, K. (2014, December 5). 어빙 펜 [Irving Penn] [Blog Post]. Retrieved August 10, 2022, from https://blog.naver.com/ktseo2003/220200901270
    7. Chang, M. J. (2019). A study on Lee Miller’s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kmin University, Seoul, Korea.
    8. Cho, Y. H.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photography in surrealist trend: Focusing on the analysis and styling of modern fashion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9. Choi, W. K. (2014). A study on simulacre of ‘Alice in wonderl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0. Devlin, P. (1984). Vogue: Book of fashion photography. London: Tomes and Hudson.
    11. Hong, J. P. (1999). A study on the tendency and expression of fashion photography around the change of the ti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Daegu, Korea.
    12. Hong, J. P. (2002). A study on constituent unit and expression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The Society of Modern Photography & Video, 5, 61- 69.
    13. Jin, J. K. (2003). Lecture on modern aesthetics –A double province of soongo and simulacre-. Paju: Art Books.
    14. Jin, J. K. , & Kim, T. K. (2006). Aesthetics odyssey (3rd ed.). Seoul: Humanist.
    15. Jung, M. A. (2015). The simulation phenomenon in fashion of gender-play lo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6. Jung, M. A. (2021). A study on hyper-reality characteristics of fashion by representing the images -Focused on theory of sim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7. Jung, M. A. , & Kan, H. S. (2020). A study of the reproducibility of ancient cretan costume in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7(2), 1-18.
    18. Kim, B. Y. (2011).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ed fashion obj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H. M. (2008).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contemporary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J. H. (2008). Art loved by fashion (3th ed.). Paju: Artbooks.
    21. Kim, K. W. , & Chun, J. H. (2016). A study on modern fake fashion based on simulacre concept of Baudrill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4), 600-614.
    22. Kim, M. J. (2021). Phenomenon of simulation in Christian Dior fashion coll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3. Ku, M. S. (2022). Simulation phenomenon appearingin hair beauty-based on Jean Baudrillard’s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Korea.
    24. Lee, H. M. (2006).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contemporary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J. Y. (2017). 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ying geometrical space perception of sim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J. Y. (2018). Portraiture as a qualitative research in art and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Art Education, 19(3), 65-80.
    27. Lee, K. S. (2020). A exploratory study of movie trends through simulation in movi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9), 424- 429.
    28. Lee, S. L. (2009). The simulation phenomenon in the military loo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9. Lee, S. R. , & Kwon, M. J. (2019) ). A study on simulation expression in fashion photography –Focusing on vogue like a painting-.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2019 (11), 30-31.
    30. Lee, S. R. , & Park, S. B. (2015). An analysis of the simulacre in picture book, 『Mirror』. The Korea Society of Craft, 18(2), 9-24.
    31. Lee, Y. H. (2013). The women’s bodies in fashion photograph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2. Lee, Y. M. (2010). A study on simulation expression in the hair style of modern colle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33. Lim, Y. S. (2022). A study on space in landscape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34. Liu, J. (2022).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bsurd in modern fashion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5. Lloyd, V. (1986). The art of Vogue photographic covers: Fifty years of fashion and design. New York: Harmony Books.
    36. Nam, E. A. (2013). A study on fake vintage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kmin University, Seoul, Korea.
    37. Nam, S. J. (2007). A study on simulation expression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2001-2006 fashion colle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8. Park, J. J. (2011). Magritte & simulacre. Seoul: Ecrit.
    39. Park, M. J. (2020). Symbolic expression of face painting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 in contemporary art-make up indu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Seoul, Korea.
    40. Roversi, P. (1987). Paolo Roversi. Retrieved August 21, 2022, from https://lavandula.tumblr.com/post/28573988455/kirsten-owen-shot-by-paolo-roversi-1987/amp
    41. Segyejeongbok. (2022). Simulacres, simulation [Blog Post]. Retrieved September 18, 2022, from https://blog.naver.com/a_lord/221242350118
    42. Seo, S. H. , & Kim, H. N. (2019).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simulacr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5), 19-30.
    43. Seo, Y. S. (2004). A study on visual expression effect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9, 253-265.
    44. Song, H. I. , & Kim, J. Y. (2021). A study on the Korean imag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Focusing on Jean Baudrillard’s concept of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1(2), 44-58.
    45. Testino, M. (1997). Diana. Retrieved August 20, 2022, from https://www.mariotestino.com/exhibitions/mario-testino/diana-princess-of-wales/
    46. Vogue art brochure. (2017). <VOGUE like a Painting Exhibition>: Hangaram Museum of Seoul Arts Center. Seoul: De Communication.
    47. Werner, J. (2006) . From mimesis to simulation (H. C. Jang, Trans.). Busan: Kyungsung University Public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