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국내 남성 패션 시장 규모는 2016년 1조 2,574억 원, 2018년 1조 2,918억 원, 2020년 1조 3,098억 원을 기록하며, 그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 남성 패션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높다(Won, 2021). 또한 패션시장에서의 4050 중년층은 활발한 사회 활동과 탄탄한 경제력, 자기관리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주요 소비층으로,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패션시장의 잠재력은 향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중년 남성의 경우 20~30대와는 달리 신체적 변화 와 노화로 체형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며, 제8차 한국 인 인체치수조사사업(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22) 데이터를 활용해 남성 의 연령대별 BMI 25 이상 비만율을 살펴보면, 40대 비만율이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대의 비만율 또한 50% 이상으로 중년 비만남성의 수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패션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는 크 지만 표준체형 사이즈로 전개되는 기성복 사이즈와 신체적 특징이 구분되는 중년 비만남성을 위한 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비만 체형을 위한 플러스 사이즈 제품의 생 산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2022년 7월 기준 국내 주요 백화점(신세계, 현대, 롯데)에 입점해 있는 국내 남성 복 브랜드의 상의 제품의 사이즈를 조사해 보면, 대 부분의 브랜드에서는 가슴둘레 90~110cm까지의 사 이즈를 전개하고 있었으며, 가슴둘레 115cm 이상을 생산하고 있는 브랜드(ZIOZIA, MAESTRO, series, OLZEN)도 볼 수 있었다. 중년 비만남성의 평균 가슴 둘레를 고려해 볼 때 이들이 구매할 수 있는 상의제품 사이즈로 가슴둘레 105cm 이상의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었으나 대부분 기본 사이즈를 단순히 크게 그레이 딩하여 생산되고 있었으며, 특정 연령대의 비만 체형 의 특징을 반영한 제품의 전개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 지 않았다. 또한 네이버 검색을 통해 ‘빅사이즈 남성’, ‘비만남성’을 키워드로 브랜드를 추출하여 상의제품 의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 규모가 작은 온라인 쇼핑몰이었으며 제품에 대한 사이즈 전개는 가슴둘레 또는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하고 있었다. 이처럼 비만 체형을 위한 제품개발은 단지 가슴둘레나 허리둘레를 커버하기 위한 사이즈 전개이거나 기성복 사이즈를 크게 그레이딩하여 생산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기성복 사이즈 범위에서 벗어 나 있는 비만남성 체형에 적합한 의복생산을 위해서 는 의복 설계를 위한 기본원형의 개발이 필요하며, 원 형의 개발에 있어 여유분이 최소한으로 적용된 타이 트 핏 원형은 의복 설계 시 아이템에 따른 여유량 조 절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만 체형에 적합한 타이트 핏 원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들을 위한 의복설계 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으 리라 기대한다.
중년 비만남성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체형에 관한 연구(Lee, 2020;Seong & Ha, 2012)와 사이즈 체계에 관한 연구(Seong & Park, 2012)가 진행되어 왔고, 비만 체형을 위한 원형 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 로 Lee(2013)의 비만남성 체형분류 및 토로소 원형 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그 대상이 20~39세 한국인 비만남성으로 40대 이후 비만 체형이 그 대상 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처럼 40~50대 중년 비만남성 의 의복설계를 위한 원형 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는 거 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 중년 남성의 비만 체형에 알맞은 타이트 핏 원형을 개발함으로써 비만남성 관련 패턴 연구의 확대에 의의가 있을 것으 로 본다.
의류 제품 개발과 생산에 있어 최근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의 도입과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가상착의 프로그램은 시제품 개발을 위한 아바타를 구현할 수 있고, 구현한 아바타를 활용하여 패턴 설계 및 봉제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아바타가 착용한 의상을 시 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반복적으로 수정할 수 있어 의 류 제작에 따른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제품 제작에 따른 시간 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생산시스템이다. 학 계에서도 최근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Hong, 2013;Jeon, 2019;Kwon, 2022;Lee, 2013;Lim, 2011;No, 2015;Shin, 2021)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중년 비만남성을 대상으 로 한 Lim(2010), Lim(2011)의 연구에서는 복부비만 중년 남성의 재킷 길 원형의 여유량 설정과 복부 중년 남성의 슬랙스 원형을 개발에 가상착의를 활용하였 다. 그 외 Cha(2020)의 연구에서는 40~50대 중년남성 의 보디스 원형을 제작한 후 가상착의로 외관평가 및 공극률, 단면도, 색분포도 등을 분석하여 패턴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처럼 가상착의를 활용한 연구는 점점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가상착의를 활용하여 개발한 패턴에 대한 객관적 검정도 이루어 지고 있어 향후 가상착의를 이용한 패턴 개발은 더 활 발하게 이루어지리라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LO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0~50대 중년 남성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비만남성을 대상으로 비만 체형에 적합한 타이 트 핏 토르소 패턴을 개발하고자 하며, 비만 체형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역삼각 비만과 통나무형 비만을 연구대상으로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체형별 패턴 제작 후 완성된 핏을 평가함으로써 표준 체형에서 벗어나 기존의 기성복 사이즈에서 적합한 패턴을 찾기 힘들었던 비만 체형을 위한 남성복 제작 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Ⅱ. Methods
1.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
연구대상은 먼저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KATS, 2022) 자료의 직접 측정 데이터 중 40~50대 남성 754명을 선정하였다. 비만 체형 선정을 위하여 선정한 40~50대 남성 데이터를 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보고서(KATS, 2006)의 비 만 분류 방법을 따라 분류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정한 40~50대 남성 754명을 대상으로 표준체중 백분율(Broca 지수) 20% 이상, 신체질량지수(BMI 지 수) 25.00 이상, 복부지방율(WHR 지수) 1.00 초과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인원을 연구대상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419명이 비만 모집단에 해당 하였다. 이후 KATS(2006)에서 제시하는 산업체에 적 용 가능한 비만 관련 남성 인체 변수 34가지를 대상으 로 이상치를 점검하고, 신장과 몸무게를 제외한 항목 에 대한 비만 변수의 적합성 검정으로 KMO값(Kaiser- 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과 바틀 렛 구형성 검증(Bartlette’s test if sphericity)을 실시하 였다(Table 1). 이후 Size Korea와 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KATS, 2006)의 남성 비만 체형분류에 따라, 4가지 체형(슈퍼사이즈 비만, 삼각 비만, 역삼각 비만, 통나무형 비만)을 기준으로 유사 한 특징을 지닌 군집을 각 비만 체형으로 분류하였다 (Table 2).
2. Virtual fitting evaluation
가상착의 외관평가는 연구 토르소 패턴을 착의한 체형별 아바타의 이미지를 직접 관찰하여 평가하였으 며 1차, 2차로 실시하였다. 평가패널은 의복구성전문 가 집단 5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평가문항은 외관평가 11문항(한 방향 리커트 5점 평정척도), 여유분량 평가 18문항(양방향 리커트 7점 평정척도), 총 2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Data analysis
연구대상 선정과 가상착의 외관평가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선정 시 체형분석은, 회기분석을 이용해 비만 모집단 을 선정하였으며, 요인분석, 베리멕스(Varimax) 직교 회전으로 비만인자를 추출하였고, 군집분석을 통해 최종 비만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체형별 외관평가 의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Cronbach alpha 계수를 구하였다.
Ⅲ. Results and Discussion
1. Selection of research body shape
1) Factor analysis for obese body type
본 연구는 10~60대에 이르는 한국인 비만 체형을 모집단으로 하는 Size Korea 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 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보고서(KATS, 2006)의 연구 방법에 따라 32개 인체변수를 요인분석에 적용하였 다. 이 중 의복제작에 관련이 적은 팔꿈치사이너비 항 목을 제외한 31개 항목을 키로 나눈 값을 요인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비만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 7가 지가 추출되었고, 전체 비만 체형의 75.924%를 설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된 7가지 요인 중 결과값 이 .660 이상인 항목은 20개로 확인되었으며 <Table 3>과 같다. 추출된 요인을 살펴보면, 비만요인1(설명 력 45.913%)은 허리․복부 요인으로 허리두께, 허리 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앉은배두께, 앉은엉덩이두 께, 허리너비, 배꼽수준허리너비, 엉덩이두께 항목을 포함하며, 비만요인2(설명력 7.745%)는 가슴과 진동 요인으로 위팔둘레, 겨드랑둘레, 겨드랑두께, 가슴둘 레 변수를 포함하였다. 비만요인3(설명력 5.765%)은 하체 요인으로 엉덩이너비, 엉덩이둘레, 넙다리중간둘 레 항목이며, 비만요인4(설명력 5.422%)는 어깨 요인 으로 어깨사이너비와 어깨사이길이를 포함하였다. 비 만요인5(설명력 4.225%)는 목뒤젖꼭지허리둘레선길 이(목뒤점에서 목옆점과 젖꼭지점을 지나 허리둘레선 까지의 수직길이) 항목을, 비만요인6(설명력 3.565%) 은 등길이 항목을, 비만요인7(설명력 3.289%)은 젖가 슴두께 항목을 인체변수로 포함하였다.
2) Cluster analysis for obese body type
비만 체형을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으로 얻은 7 개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거리 산출방법 은 Ward법을 사용하였다. 이후 Size Korea와 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보고서(KATS, 2006)의 분류 수에 따라 4가지로 군집하였다.
군집분석으로 도출된 4가지 비만 유형은 Size Korea 의 4가지 비만 유형과 요인별 특징이 가장 유사한 비 만으로 분류하였다. 유형1은 하체 요인과 목뒤젖꼭지 허리둘레선길이 요인, 젖가슴너비가 다른 유형에 비 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젖가슴너비 점수가 매 우 높았다. 가슴과 진동 요인과 어깨요인을 제외한 요 인들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로 나타나 슈퍼사이즈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유형2는 하체 요인의 점수가 높게 나타나 하체 비만인 삼각 비만으로 분류하였으 며, 유형3은 복부와 어깨 요인의 점수가 높고 하체 요 인의 점수가 낮아 역삼각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유형 4는 신체부위가 고르게 비만이며 가슴과 진동둘레 요 인의 점수가 높아 통나무형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남성 비만 체형의 분류 결과,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역삼각 비만과 통나무형 비만 두 체 형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Table 4).
2. Study avatar by body type
역삼각 비만 체형과 통나무형 비만 체형 아바타는 Size Korea의 40~50대 비만 체형 인체형상(*OBJ)을 Blender(ver.2.83.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좌우대칭과 기울기를 수정하였으며 STL 파일로 변환 후 Mash Magic 3D Modeling Software(v.2.00)에서 OBJ 확장 자로 변환하였으며, CLO 3D(ver.6.1.346)의 아바타 자동변환을 통해 제작하였다(Table 5). 이후 역삼각 비만과 통나무형 비만 체형별 평균 치수 ±0.5σ로 수 정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Table 6).
3. Design of fitted torso pattern
연구 토르소 패턴은 CLO 3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아바타의 체표면에 기준선을 설정하고 아바타 선분 기능을 이용하여 기준선 형태의 닫힌 다 각형을 만든 후 플래트닝 기능으로 2D 패턴을 만들었 으며(Table 7), 3D 시뮬레이션 화면을 관찰하며 2D 패턴을 수정하였다.
연구 패턴은 Kwon(2022)의 체형별 피티드 토르소 패턴의 주요 둘레항목 여유분량을 적용하여 사전 테 스트하였다. 역삼각 비만은 역삼각 체형의 여유분량 (가슴둘레 5cm, 허리둘레 4cm, 엉덩이둘레 10cm), 통 나무형 비만은 보통 체형의 여유분량(가슴둘레 7cm, 허리둘레 5.5cm, 엉덩이둘레 8cm)을 플래트닝한 2D 패턴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가슴둘레와 허리둘레에 스트레스 수치가 높고 당김이 관찰되어 시뮬레이션 화면을 관찰하며 패턴에 주요 둘레항목에 여유분량을 추가하여 1차 연구패턴을 설계하였으며, 수정한 주요 둘레항목의 여유분량은 역삼각 비만 가슴둘레 8.4cm, 허리둘레 6cm, 엉덩이둘레 6cm이며, 통나무형 비만 가슴둘레 5.9cm, 허리둘레 6cm, 엉덩이둘레 6cm이다. 1차 연구패턴 평가 점수와 의복구성전문가 집단 5인 의 의견을 반영하여 2차 연구패턴을 설계하였다. 수 정한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역삼각 비만은 총너비 기초선 제도 시 가슴둘레/2+8.5cm에서 가슴둘레/2+ 7cm로 전체 너비를 수정하였다. 맞음새 평가 결과를 반영해 앞판 패턴의 목둘레선의 깊이와 너비를 각 0.7cm, 1.5cm 추가하였으며, 앞어깨 다트분량을 3.8cm 에서 2cm로 줄였다. 또한 옆선의 허리 다트 분량을 2.2cm에서 1cm로 줄여 돌출된 허리둘레선과 배둘레 선을 완만한 곡선으로 수정하였다. 뒤판에 있어 뒤중 심 줄임분량을 2.7cm에서 2cm로 줄였으며, 뒤허리다 트 분량을 각 2.5cm에서 2.8cm로 늘여 허리둘레 여유 분량은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2차 연구패턴(개 발패턴)의 평가에서 수정한 부위의 관련 문항들이 향 상된 점수로 나타났다. 통나무형 비만은 총너비 기초 선 제도 시 가슴둘레/2+8cm에서 가슴둘레/2+7cm로 수정하였으며, 앞판 패턴에 있어 앞목깊이를 0.5cm 추가, 옆솔기의 앞․뒤 밸런스와 형태를 고려해 옆솔 기 다트를 3.5cm에서 1cm로 줄였다. 뒤판 패턴에 있 어 허리다트 분량은 각 2.7cm에서 2cm로 수정하였으 며, 엉덩이둘레선 뒤중심 줄임분량은 2cm에서 1.3cm 로 수정하였다. 또한 진동둘레 설계 시 겨드랑앞벽사 이길이와 겨드랑뒤벽사이길이 치수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평가항목의 모든 문항에서 향상된 점수가 확 인되었다. 2차 연구패턴에서 공통적으로 허리다트 설 정 시 첫 번째 뒤허리다트는 진동둘레 다트 끝점에서 수직으로 내린 위치를 중심으로, 두 번째 뒤허리다트 는 겨드랑뒤벽사이길이 위치에서 수직으로 내린 위치 를 중심으로 하여 다트 분량을 설정하였다. 1․2차 연 구패턴의 중합 이미지는 <Fig. 1>과 같다.
4. Virtual fitting evaluation
1) Evaluation of reverse triangular obesity
역삼각 비만 체형의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는 <Table 8>, 평가 이미지는 <Table 9>와 같다. 역삼각 비만 체형의 연구패턴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의 신 뢰도 검정으로 Cronbach alpha 계수를 구한 결과 .82 로 나타났다. 1차 연구패턴의 평가와 2차 연구패턴의 평가결과를 비교한 결과 1차 외관평가 결과, 평균이 4.25/5점, 2차 외관평가 4.67/5점으로 약 .42점 향상되 었다. 맞음새 항목 중 앞목둘레 형태에서 유의차가 발 생하였는데, 이는 앞목깊이를 크게 설정하여 아바타 의 앞목이 편안해 보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여유분 량 평가결과 1차 평균은 6.18/7점, 2차 평균 6.67/7점 으로 약 .49점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앞판의 허리둘레 여유분량과 앞목깊이, 뒤허리둘레 여유분량 문항의 평균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2차 연구패턴의 수정 부위 가 역삼각 비만 체형에 적합한 여유분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차 연구패턴의 주요둘레의 여유분량은 가 슴둘레 약 8cm, 허리둘레 약 6cm, 엉덩이둘레 약 6cm 로 설정하였다.
2) Evaluation of log obesity
통나무형 비만 체형의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는 <Table 10>, 평가 이미지는 <Table 11>과 같다. 통나무 형 비만 체형의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의 신뢰도 검 정으로 Cronbach alpha 계수를 구한 결과 .79로 확인 되었다. 1차 연구패턴의 평가와 2차 연구패턴 평가결 과를 비교한 결과, 1차 평가 평균이 4.36/5점, 2차 평 가 평균 4.67/5점으로 약 .31점이 향상되었다. 여유분 량 평가 결과 1차 평균은 6.27/7점, 2차 평균 6.69/7점 으로 약 .42점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앞 판의 허리둘레 여유분량과 뒤판의 가슴둘레 여유분 량, 뒷목너비와 전체 평균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이는 전체 패턴의 총너비를 줄이고 옆솔기의 다트분 량을 3.5cm에서 1cm, 뒤허리다트 분량을 2.7cm에서 2cm로 줄임으로써 외관의 맞음새가 향상된 결과라 사 료된다. 2차 연구패턴의 주요 둘레항목의 여유분량은 가슴둘레 약 6cm, 허리둘레 약 5cm, 엉덩이둘레 약 6cm로 설정하였다.
5. Design method of research patterns
비만 체형을 위한 피티드 토르소 패턴은 앞판의 경 우 배 돌출을 반영하여 앞중심선을 앞목둘레 수준에 서 허리둘레 수준에서 사선으로 하며, BP 방향의 어 깨다트로 구성하고, 뒤판의 경우는 어깨다트와 진동 다트, 허리다트, 뒤중심 다트로 구성하였다.
역삼각 비만 체형의 피티드 토르소 패턴 제도방법 은 <Fig. 2>, 통나무형 비만 체형의 피티드 토르소 패 턴 제도방법은 <Fig. 3>과 같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40~50대 중년 비만남성 체형에 적합한 피티드 토르소 패턴을 개발하여 표준체형에서 벗어나 기존의 기성복 사이즈에서 적합한 패턴을 찾기 힘들 었던 비만 체형을 위한 의복 맞음새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KATS(2022)의 40~50대 비만남 성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먼 저 40~50대 비만남성에 대해 3D 프로그램을 활용하 여 아바타를 구현하고, 비만체형 각각의 특징이 반영 된 피티드 토르소 원형에 대한 외관평가를 실시하여 맞음새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50대 남성 역삼각 비만 체형과 통나무형 비만 체형의 피티드 토르소 패턴 설계방법은 다음과 같다. 역삼각 비만 체형을 위한 패턴의 총길이 기준선 은 등길이+엉덩이길이, 총너비 기준선은 가슴둘레/2+ 7cm, 진동깊이 기준선은 등길이/2+2.5~3cm, 앞․뒤 목너비 기준선은(목밑둘레/2)/3+1~1.5, 앞목깊이 기준 선은 (목밑둘레/2)/3–0.5cm, 뒷목높이 기준선은 {(목 밑둘레/2)/3+1}/3이며, 앞목둘레 수준에서 허리둘레선 수준의 프로파일선(사선)은 3cm로, 앞어깨다트는 BP 를 향하며 분량은 3cm, 뒤중심 허리다트 분량은 2cm, 뒤중심 엉덩이다트는 1.5cm로 구성한다. 역삼각 비 만 체형의 주요 둘레항목의 여유분량은 가슴둘레 약 7cm, 허리둘레 약 6cm, 엉덩이둘레 약 7cm로 설정한 다. 통나무형 비만 체형을 위한 패턴의 총길이 기준선 은 등길이+엉덩이길이, 총너비 기준선은 가슴둘레 /2+6cm, 진동깊이 기준선은 등길이/2+2.5~3cm, 앞․ 뒤목너비 기준선은 (목밑둘레/2)/3+1~1.5, 앞목깊이 기준선은 (목밑둘레/2)/3+0.5cm, 뒷목높이 기준선은 {(목밑둘레/2)/3+1}/3, 앞목 수준에서 허리둘레선 수 준의 프로파일선(사선)은 2cm로 설정, 앞어깨다트는 BP를 향하며 분량은 1.5cm, 뒤중심 허리다트 분량은 2cm, 뒤중심 엉덩이다트는 1.5cm로 설정한다. 통나 무형 비만의 주요 둘레항목 여유분량은 가슴둘레 약 6cm, 허리둘레 약 5cm, 엉덩이둘레 약 6cm로 설정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40~50대 비만 체형을 위 한 피티드 토르소 패턴의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 역 삼각 비만 체형의 맞음새 평가 평균 4.67/5점, 여유분 량 평가 평균 6.67/7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 으며, 통나무형 비만 체형은 맞음새 평가 평균 4.67/5 점, 여유분량 평가 평균 6.69점/7점으로 좋은 점수를 얻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40~50대 중년 비만남성 체형 아 바타 체표면 분할을 기초하여 비만 체형에 적합한 피 티드형 토르소 패턴을 개발하였다. 주요 둘레항목에 여유분량을 추가하여 내부 구성선을 설계하였고, 가상 착의 외관평가 결과를 통해 개발한 연구패턴이 각 비 만 체형에 효과적으로 적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피티드 토르소 원형은 40~50대 남성 비 만 체형의 의복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대상 선정 시 Size Korea의 남성 비만 체형 분류에 따라 4가지 비만(슈퍼사이즈 비만, 삼각 비만, 역삼각 비만, 통나무형 비만) 체형의 특징에 준 하여 분류하였음을 밝힌다.